KR102039898B1 - 카트충돌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카트충돌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898B1
KR102039898B1 KR1020180013481A KR20180013481A KR102039898B1 KR 102039898 B1 KR102039898 B1 KR 102039898B1 KR 1020180013481 A KR1020180013481 A KR 1020180013481A KR 20180013481 A KR20180013481 A KR 20180013481A KR 102039898 B1 KR102039898 B1 KR 102039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art
moving
free end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3988A (ko
Inventor
박덕근
임수정
이향이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80013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898B1/ko
Priority to EP18903547.0A priority patent/EP3617128B1/en
Priority to PCT/KR2018/002059 priority patent/WO2019151560A1/ko
Priority to JP2019563232A priority patent/JP6788133B2/ja
Publication of KR20190093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3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898B1/ko
Priority to US16/680,679 priority patent/US1078107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2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responsive to, or preventing, jamming by foreign objects
    • B66B29/06Comb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8Means to facilitate passenger entry or ex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1/00Accessories for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e.g. for sterilising or cleaning
    • B66B31/006Accessories for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e.g. for sterilising or cleaning for conveying hand carts, e.g. shopping cart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나 무빙워크의 이동발판 상의 사람이나 카트를 승강장쪽으로 안전하게 이동시켜 줄 수 있는 카트충돌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에스컬레이터의 말단 영역에서 하부로 진입하는 이동발판의 상면을 덮는 승강장부재의 전방단부로부터 진입하는 이동발판의 상면으로 연장된 자유단부와 승강장부재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단부를 갖는 틸팅부재와, 자유단부의 영역에 설치되어 이동발판과 접촉하여 회전가능한 접촉롤러와, 접촉롤러에 의해 접촉하여 회전하며 상면으로 부분적으로 노출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롤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트충돌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SAFETY DEVICE OF ESCALATOR FOR PREVENTING CART CRASH}
본 발명은 카트충돌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스컬레이터의 이동발판은 승강장 쪽으로 지속적으로 이동하며 승강장의 하부로 이동한다. 이때, 이동발판 위의 사람이나 카트가 승강장 쪽으로 빠르게 이동하지 못하면, 뒤따라오는 사람이나 카트와 접촉하여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사고는 이동발판이 지속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자칫 대형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기존의 에스컬레이터는 이러한 접촉사고에 대한 안전장치가 충분하지 못하여 사고의 발생이 내제되어 있었고, 대형 쇼핑몰의 경우 이동발판 상의 카트를 승강장 쪽으로 끌어주기 위한 인력이 배치되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동발판 상의 사람이나 카트를 승강장 쪽으로 안전하게 이동시켜 줄 수 있는 카트충돌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에스컬레이터의 말단 영역에서 하부로 진입하는 이동발판의 상면을 덮는 승강장부재를 가진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부재의 전방단부로부터 진입하는 이동발판의 상면으로 연장된 자유단부와 상기 승강장부재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단부를 갖는 틸팅부재와, 상기 자유단부의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발판과 접촉하여 회전가능한 접촉롤러와, 상기 접촉롤러에 의해 접촉하여 회전하며 상면으로 부분적으로 노출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롤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충돌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동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자유단부가 상기 이동발판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를 설치하여 사람이나 카트가 틸팅부재의 전방단부에 접촉했을 때만 가이드롤러가 회전하게 하여 카트충돌 방지용 에스컬레이 안전장치의 내구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유단부에 대해 반대방향에 설치되는 발란스웨이트를 포함하여 틸팅부재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롤러와 상기 회동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발판에 접촉하여 회전가능하며, 비원형 단면을 가지고 상기 틸팅부재를 주기적으로 승강시키는 캠롤러를 통해 회동단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사람이나 카트를 승강장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시켜 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롤러는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부를 갖게 하여, 가이드롤러가 사람이나 카트를 보다 안정적으로 승강장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카트충돌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는 이동발판 상의 사람이나 카트를 승강장 쪽으로 안전하게 이동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카트충돌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의 대기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카트충돌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의 평면도,
도 3은 카트충돌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의 가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카트충돌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의 틸팅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카트충돌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트충돌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는 이동발판(10)이 승강장의 하부로 이동하는 타입의 기계에 적용가능하다. 즉, 에스컬레이터나 무빙워크와 같은 자동이동기계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람이나 카트(30)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자동이동기계에 이동발판(10)을 통해 이동발판(10)에서 승강장방향으로 이동되는 모든 물체의 안전을 위해 적용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명시하고 있는 사람이나 카트(30)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람의 발바닥과 카트(30)의 바퀴를 말한다.
도 1은 카트충돌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의 대기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카트충돌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카트충돌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의 가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카트충돌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의 틸팅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카트충돌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는 에스컬레이터의 말단 영역에서 하부로 진입하는 이동발판(10)의 상면을 덮는 승강장부재(20)에 설치되며, 승강장부재(20)에서 이동발판(10)의 상면으로 연장된 자유단부(110)와 승강장부재(20)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단부(120)를 갖는 틸팅부재(100)와, 자유단부(110)의 영역에 설치되는 접촉롤러(200) 및 가이드롤러를 가진다.
승강장부재(20)는 이동발판(10) 상의 물체가 이동발판(10)으로부터 벗어난 후에 머물게 되는 승강장에서 승강장과 이동발판(10)이 만나는 지점에 설치되는 부재를 총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트충돌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는 이동발판(10)이 승강장의 하부로 들어가는 출구쪽의 승강장부재(20)에 설치되는데, 이러한 승강장부재(20)는 일반적인 산업현장에서는 콤플레이트라는 이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트충돌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는 이러한 콤플레이트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동발판(10)은 에스컬레이터나 무빙워크의 부품이며, 에스컬레이터의 일측의 승강장에서 타측의 승강장으로 물체를 자동이동시켜주기 위한 견고한 구조물을 말한다. 이러한 이동발판(10)은 다수 개의 발판이 고리를 형성하며 서로 연결된 채 승강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지속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발판(10)은 다수 개가 맞물려 움직이는데 이러한 맞물림의 정교함을 상승시키거나 이동발판(10) 상의 물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그루브(11)가 폭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틸팅부재(100)는 승강장부재(20)의 하부에 설치되며, 승강장부재(20)의 하부에서 이동발판(10)의 상면으로 연장된 자유단부(110)와 승강장부재(20)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단부(120)를 갖는다.
자유단부(110)는 회동단부(120)에서 이동발판(1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는 형상을 가지거나, 연장되는 끝단영역에 적어도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111)를 갖는다. 이러한 경사부(111)는 이동발판(10) 상의 물체가 이동발판(10)의 이동에 의해 자유단부(110)의 선단영역에 접촉했을 때 보다 용이하게 경사부(111)를 통해 자유단부(110)의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목적과, 후술하게 될 이동발판(10)이 이러한 자유단부(110)의 형상으로 인해, 이동발판(10)이 자유단부(110)의 하부로 이동할 때 이동발판(10) 상의 물체는 자유단부(110)의 선단에 접촉한 후 자유단부(110)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회동단부(120)는 승강장부재(20)의 하부에 설치되며 틸팅부재(100)는 회동단부(120)와 승강장부재(20) 중 어느하나에 형성된 핀홀과 다른 하나에 형성된 회동핀의 결합에 의해 승강장부재(20)의 하부에서 소정각도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틸팅부재(100)의 회동각도는 승강장부재(20)의 말단이 틸팅부재(100)의 상단과 접촉하게 되는 대기위치와, 틸팅부재(100)의 최하측이 이동발판(10)의 최상측면과 접촉할 수 있는 가동위치 간이다. 이러한 회동각도로 인해 자유단부(110)의 말단은 회동각도 만큼 승강이 가능하다.
회동단부(120)에는 틸팅부재(100)를 대기위치로 유지시키는 스프링부재(121)가 설치된다. 스프링부재(121)는 자유단부(110)가 대기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하게 된다. 이러한 스프링부재(121)는 회동핀에 설치되어 회동핀을 따라 감겨 끝단이 자유단부(110)의 하부에 접촉되어 자유단부(110)를 상방으로 지속적으로 밀어주는 말려서 형성되는 판스프링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자유단부(110)는 대기위치와 가동위치 간을 이동가능하고, 스프링부재(121)에 의해 대기위치로 유지된다. 이로 인해, 이동발판(10) 상의 물체가 이동발판(10)을 따라 이동하다가 자유단부(110)의 선단영역에 접촉하거나 자유단부(110)의 상면을 하측을 밀게 되면, 자유단부(110)의 형상이나 경사부(111)로 인해 이동발판(10)이 가동위치로 하향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물체의 접촉이나 작용이 없어지게 되면 자유단부(110)는 다시 대기위치로 이동하여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대기위치와 가동위치를 회동하며 이동하는 자유단부(110)에는 이동발판(10)과 접촉하여 회전가능한 접촉롤러(200)와, 접촉롤러(200)에 의해 접촉하여 회전하며 상면이 틸팅부재(100)의 상면으로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롤러가 설치된다.
접촉롤러(200)는 틸팅부재(100)의 상면으로는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접촉롤러(200)는 대기상태에서는 회전하지 않고, 가동상태에서만 이동발판(10)에 접촉하여 이동발판(10)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이동발판(10)이 움직이는 힘에 의해 이동발판(10)에 맞물려 회전하게 되며, 이동발판(10)이 움직이는 힘을 회전력으로 전달 받들 수 있도록 이동발판(10)과 접촉했을 때 마찰력이 큰 재질이나 모양으로 형성된다.
가이드롤러는 접촉롤러(20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접촉롤러(200)는 이동발판(10)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가이드롤러는 접촉롤러(200)에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므로, 이동발판(1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이동발판(10)이 승강장부재(20)의 하면으로 인입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롤러의 회전에 의해 자유단부(110)에 접촉하는 물체는 승강장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가이드롤러는 틸팅부재(100)의 상면이나 선단면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노출되는데 이러한 노출되는 가이드롤러의 표면에 물체가 접촉하게 되어 가이드롤러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가이드롤러는 이동발판(10)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다수 개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가이드롤러(310)와 제2가이드롤러(320)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1가이드롤러(310)는 자유단부(110)의 선단영역에 일부가 그루브(11)에 부분적으로 삽입되도록 설치되고, 제2가이드롤러(320)는 제1가이드롤러(310)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지점에 설치된다.
제1가이드롤러(310)는 자유단부(110)의 선단영역에 설치되어 이동발판(10)상의 물체가 적절한 시기에 승강장 쪽으로 이동되지 못했을 때 물체와 직접접촉하여 물체를 자유단부(110)의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제1가이드롤러(310)는 가동상태에서 이동발판(10)의 그루브(11)에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그루브(11)로 인한 공간에 이물질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제2가이드롤러(320)는 제1가이드롤러(310)에 의해 이동된 물체나 제2가이드롤러(320)의 상부와 접촉하는 물체를 승강장방향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롤러는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는 접촉롤러(200)의 회전력을 가이드롤러들에게 전달하기 위한 전동력전달부(500)가 도시화 되어 있다. 전동력전달부(500)는 가이드롤러의 회전축과 동일한 축을 가지며, 접촉롤러(200)의 끝단과 접촉하여 접촉롤러(200)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전동력전달부(500)의 회전방향은 가이드롤러와 동일하다. 전동력전달부(500)는 도면에서는 롤러와 축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접촉롤러(200)의 회전력을 가이드롤러에 전달시켜 가이드롤러가 접촉롤러(200)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구성들 중에서 선택가능한 정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트충돌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는 접촉롤러(200)와 회동단부(120) 사이에 배치되어 이동발판(10)에 접촉하여 회전가능하며, 비원형 단면을 가지고 틸팅부재(100)를 주기적으로 승강시키는 캠롤러(400)를 가질 수 있다.
캠롤러(400)는 틸팅부재(100)의 상면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되고, 원형롤러의 외측 일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캠부(401)를 가진다. 이러한 캠롤러(400)는 접촉롤러(200)가 이동발판(10)에 접촉했을때 캠부(401)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이동발판(10)에 접촉하여 이동발판(1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즉, 자유단부(110)의 선단이나 상면에 사람이나 카트(30)와 같은 물체가 접촉할 때 자유단부(110)는 하강하게 되며 이때 접촉롤러(200)가 이동발판(10)에 접촉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때 캠롤러(400)의 캠부(401)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 또한 이동발판(10)에 접촉하게 된다. 만약, 물체가 접촉했을 때 캠롤러(400)의 캠부(401)가 이동발판(10)에 먼저 닿게 되는 경우에는 접촉롤러(200)는 이동발판(10)과 접촉하지 않는다. 이때, 캠롤러(400)의 캠부(401)가 이동발판(10)에 의해 회전하여 캠부(401)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이동발판(10)과 접촉하게 되면 자유단부(110)는 캠부(401)의 돌출된 높이 만큼 하강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접촉롤러(200)가 이동발판(10)과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캠롤러(400)로 인해, 자유단부(110)는 주기적으로 승강하며 틸팅상태로 전환하게 되며, 이는 자유단부(110)의 선단 또는 상면의 물체를 승강장 방향으로 용이하게 들어 올려주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상기의 구성들을 가진 카트충돌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가 작동되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대기상태의 자유단부(110)는 스프링부재(121)에 의해 이동발판(10)으로부터 이격되어 대기하게 된다. 이때 접촉롤러(200)는 이동발판(10)과 이격되어 있다. 이러한 대기상태는 도 1에 도시화 되어 있다.
사람이나 카트(30)가 이동발판(10)에 의해 이동되어 승강장부재(20)에 근접하게 되면, 사람이나 카트(30)의 선단영역이 자유단부(110)의 선단이나 상면에 접촉하게 되고, 이로 인해 자유단부(110)는 하강하여 접촉롤러(200)와 캠롤러(400)가 이동발판(10)에 접촉하게 되어 가동상태로 전환된다. 이때, 캠롤러(400)의 캠부(401)가 하방을 향한 상태로 자유단부(110)가 하강한다면 캠부(401)가 먼저 닿아 접촉롤러(200)는 회전하지 않고, 캠부(401)가 회전한 후 캠부(401)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이동발판(10)에 접촉할 때 접촉롤러(200)도 이동발판(10)과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가동상태는 도 3에 도시화 되어 있다.
접촉롤러(200)가 회전하여 이동발판(10)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런 회전을 가이드롤러들을 이동발판(10)이 이동하는 방향 즉, 이동발판(10)에서 승강장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롤러는 틸팅부재(100)의 상면에 부분적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이로 인해 사람이나 카트(30)는 가이드롤러에 의해 승강장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사람이나 카트(30)가 이동하고 있을 때, 캠롤러(400)가 회전하며 캠부(401)가 다시 이동발판(10)쪽에 접촉하게 되는 틸팅상태로 전환된다. 이로 인해 틸팅부재(100)의 자유단부(110)가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틸팅으로 인해 사람이나 카트(30)가 보다 용이하게 승강장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사람이나 카트(30)가 무거운 경우에도 이동발판(10)과 캠롤러(400)에 의한 틸팅작용으로 인해 들어올려지고 승강장방향으로 밀어지는 효과가 발생되게 된다. 이러한 틸팅상태는 도 4에 도시화 되어 있다.
사람이나 카트(30)가 자유단부(110)를 벗어나는 시점에서는 접촉롤러(200)나 캠롤러(400)가 이동발판(10)으로부터 이격되어 다시 대기상태로 전환된다.
즉, 대기상태에서 사람이나 카트(30)가 자유단부(110)와 접촉할 때 가동상태와 틸팅상태를 반복하게 되며 사람이 벗어나면 다시 대기상태로 돌아오게 된다. 이러한 틸팅이 반복되는 작용에 의해 물체는 이동발판(10)에서 승강장 방향으로 용이하게 들어 올려져 이동하게 되며, 가이드롤러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카트충돌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의 추가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트충돌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의 틸팅부재(100)는 자유단부(110)에 대해 반대방향에 설치되는 발란스웨이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틸팅부재(100)의 자유단부(110)가 대기상태와 가동상태 또는 틸팅상태를 신뢰성 있게 전환하기 위해서는 탄성부재에 의해 자유단부(110)가 항상 대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만약,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약해지게 될 경우 자유단부(110)가 하강하여 접촉롤러(200)나 캠롤러(400)가 지속적으로 이동발판(10)과 접촉하여 소음이나 불필요한 마모를 발생시킬 수 있다. 발란스웨이트(130)는 자유단부(110)에 반대방향에서 자유단부(110)보다 무겁게 형성되어 자유단부(110)가 대기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이로인해, 탄성부재가 올바른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된 경우에도 자유단부(110)는 대기상태와 가동상태 및 틸팅상태를 신뢰성있게 전환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카트충돌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의 가이드롤러는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부(311,321)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롤러는 접촉롤러(200)와 접촉하여 접촉롤러(20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자유단부(110) 상의 물체를 승강장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가이드롤러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311,321)를 갖는 것으로 인해 물체와의 마찰력이 증가되거나, 돌기부(311,321)가 직접 물체를 밀어 줄 수 있어 보다 효과적이다.
10 : 이동발판 11 : 그루브
20 : 승강장부재 30 : 카트
100 : 틸팅부재 110 : 자유단부
111 : 경사부 120 : 회동단부
121 : 스프링부재 130 : 발란스웨이트
200 : 접촉롤러 310 : 제1가이드롤러
320 : 제2가이드롤러 311, 321 : 돌기부
400 : 캠롤러 401 : 캠부
500 : 전동력전달부

Claims (5)

  1. 에스컬레이터의 말단 영역에서 하부로 진입하는 이동발판의 상면을 덮는 승강장부재를 가진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부재의 전방단부로부터 진입하는 이동발판의 상면으로 연장된 자유단부와 상기 승강장부재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단부를 갖는 틸팅부재와,
    상기 자유단부의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발판과 접촉하여 회전가능한 접촉롤러와,
    상기 접촉롤러에 의해 접촉하여 회전하며 상면이 상기 틸팅부재의 상면으로 부분적으로 노출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롤러를 가지며,
    상기 접촉롤러와 상기 회동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발판에 접촉하여 회전가능하며, 비원형 단면을 가지고 상기 틸팅부재를 주기적으로 승강시키는 캠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충돌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자유단부가 상기 이동발판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충돌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단부에 대해 반대방향에 설치되는 발란스웨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충돌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는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충돌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
KR1020180013481A 2018-02-02 2018-02-02 카트충돌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 KR102039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481A KR102039898B1 (ko) 2018-02-02 2018-02-02 카트충돌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
EP18903547.0A EP3617128B1 (en) 2018-02-02 2018-02-20 Safety device for escalator
PCT/KR2018/002059 WO2019151560A1 (ko) 2018-02-02 2018-02-20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
JP2019563232A JP6788133B2 (ja) 2018-02-02 2018-02-20 エスカレーター安全装置
US16/680,679 US10781079B2 (en) 2018-02-02 2019-11-12 Safety device for escal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481A KR102039898B1 (ko) 2018-02-02 2018-02-02 카트충돌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988A KR20190093988A (ko) 2019-08-12
KR102039898B1 true KR102039898B1 (ko) 2019-11-04

Family

ID=67479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481A KR102039898B1 (ko) 2018-02-02 2018-02-02 카트충돌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81079B2 (ko)
EP (1) EP3617128B1 (ko)
JP (1) JP6788133B2 (ko)
KR (1) KR102039898B1 (ko)
WO (1) WO201915156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18297A (ja) * 2012-12-19 2014-06-30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乗客コンベヤ用コ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01985A (ja) * 1990-11-13 1992-07-22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乗客コンベアの乗降口装置
NL192383C (nl) * 1992-03-30 1997-07-04 Dunlop Enerka Bv Transportsamenstel zoals voor personen, alsmede overbruggingsinrichting hierbij.
DE4313313C2 (de) * 1993-04-23 1996-07-11 O & K Rolltreppen Gmbh Sicherheitseinrichtung für Personenförderanlagen
JPH08127487A (ja) * 1994-10-28 1996-05-21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スカレータ用クシ
MY114579A (en) * 1995-04-24 2002-11-30 Inventio Ag Safety equipment for passenger conveying plants
AUPN605295A0 (en) * 1995-10-18 1995-11-09 Loderway Pty. Limited Systems for the conveyance of standing passengers
FR2747664B1 (fr) * 1996-04-23 1998-06-05 Mediterranee Const Ind Dispositif de transfert, en particulier pour pietons, entre deux elements de transport disposes en prolongement l'un de l'autre et transporteur equipe d'un tel dispositif
MY119352A (en) * 1997-01-17 2005-05-31 Inventio Ag Moving walkway for passengers
KR200201380Y1 (ko) * 1998-03-19 2000-11-01 신철호 에스컬레이터의 회전형 콤플레이트
KR100299301B1 (ko) * 1999-02-02 2001-09-13 조원영 에스컬레이터 또는 벨트식 이송장치의 안전착지 장치
US6644457B2 (en) * 2002-01-10 2003-11-11 Inventio Ag Escalator combteeth force detector
FR2851237B1 (fr) * 2003-02-19 2006-04-28 Mediterranee Const Ind Dispositif de transfert perfectionne pour systeme de transport, tel que trottoir roulant
FI115902B (fi) * 2004-06-30 2005-08-15 Kone Corp Liukukäytäv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18297A (ja) * 2012-12-19 2014-06-30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乗客コンベヤ用コ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17128B1 (en) 2023-09-27
JP6788133B2 (ja) 2020-11-18
US20200079624A1 (en) 2020-03-12
EP3617128A4 (en) 2020-05-13
EP3617128A1 (en) 2020-03-04
US10781079B2 (en) 2020-09-22
WO2019151560A1 (ko) 2019-08-08
JP2020519549A (ja) 2020-07-02
KR20190093988A (ko) 2019-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6419B2 (en) Safety device for a passenger conveyor
IL215654A (en) Folding apron for elevator with moving floor in pit with reduced depth
KR102039898B1 (ko) 카트충돌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
JPH11171457A (ja) マンコンベアの乗降口安全装置
WO2002060802A2 (en) Moveable toe guard assembly for elevators
KR101568085B1 (ko) 에스컬레이터의 측면 안전장치
EP1939127B1 (en) Safety device for transport systems
CN107835781B (zh) 电梯装置
KR101121896B1 (ko) 안전사고 방지기능을 가지는 에스컬레이터
JP3144945U (ja) 移動手すりを備えたコンベアの安全装置
KR102652291B1 (ko) 승객 이송 장치
JP4835211B2 (ja) 乗客コンベア
JP5567090B2 (ja) 乗客コンベア
US20190112162A1 (en) Comb plate and people conveyor
KR100789485B1 (ko) 안전사고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JP2003267277A (ja) 走行装置
KR200356217Y1 (ko) 엘리베이터 상승/하강 겸용 제동 장치
KR101209305B1 (ko)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
EP3549898A1 (en) A moving walking system and a handrail bridging system
JP6536523B2 (ja) 可動コムプレート及び乗り込み支援機能を有する乗客コンベア
KR20140072704A (ko)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
AU2020382872A1 (en) Bending machine and method for working a workpiece by means of a bending machine
JP3155914B2 (ja) かご落下防止装置の試験装置
JP6289272B2 (ja) エスカレータ登り防止用仕切装置
KR19990038383U (ko) 에스컬레이터의 회전형 콤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