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2829B1 - 함침지 기반의 일회용 반창고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함침지 기반의 일회용 반창고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2829B1
KR102022829B1 KR1020190052802A KR20190052802A KR102022829B1 KR 102022829 B1 KR102022829 B1 KR 102022829B1 KR 1020190052802 A KR1020190052802 A KR 1020190052802A KR 20190052802 A KR20190052802 A KR 20190052802A KR 102022829 B1 KR102022829 B1 KR 102022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olution
impregnated paper
aid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2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홍조
Original Assignee
최홍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홍조 filed Critical 최홍조
Priority to KR1020190052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8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61F13/0283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for making adhesive or cohesive tape or fabrics therefor, e.g. coating or mechanical trea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63Accessories for dressings comprising medicaments or additives, e.g. odor control, PH control, debriding, antimicr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retention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69Tapes for dressing attach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61F13/0289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manufacturing of adhesive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0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organ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6Deodorants or malodour counteractants, e.g. to inhibit the formation of ammoni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52Water-repel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58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855Plasters pervious to air or vapours
    • A61F2013/00885Plasters pervious to air or vapours impervious, i.e. occlusive bandage
    • A61F2013/00889Plasters pervious to air or vapours impervious, i.e. occlusive bandage waterpro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902Plasters containing means
    • A61F2013/0091Plasters containing means with disinfecting or anaesthetics means, e.g. anti-mycr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04Biocides, antimicrobial agents, antisep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함침지 기반의 일회용 반창고의 제조 방법은, 종이 재질의 함침지를 준비하는, 제 1 단계; TEOS(tetra ethyl silicate)를 포함하는 함침액을 제조하는, 제 2 단계; 상기 함침지를 상기 함침액에 함침한 뒤 건조하는, 제 3 단계; 상기 건조된 함침지의 저면에 점착제를 도포하는, 제 4 단계; 상기 점착제가 도포된 함침지의 저면에 거즈와 이형지를 접착하여 일회용 반창고를 완성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함침지 기반의 일회용 반창고의 제조 방법은, 높은 해상도의 프린팅이 가능하고 통기성이 보호되어 기존의 플라스틱 재질의 일회용 반창고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함침지 기반의 일회용 반창고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ADHESIVE PLASTER FOR ONLY ONCE BASED ON IMPREGNATED PAPER}
본 발명은 함침지 기반의 일회용 반창고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함침지 기반의 일회용 반창고를 제조함으로써 높은 해상도의 프린팅이 가능하고 통기성이 보호되며 소각 시 다이옥신이 검출되지 않아 기존의 플라스틱 재질의 일회용 반창고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함침지 기반의 일회용 반창고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선, 반창고라 함은 연고나 붕대 따위를 피부에 붙이기 위하여, 점착성 물질을 발라서 만든 헝겊이나 테이프 따위의 의료 소모품을 의미하며, 보통 일회용으로 사용되고 버려진다. 이때, 일회용 반창고는 환부에 직접적으로 부착되어 상처의 치유 및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일반적으로 일회용 반창고의 재질로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또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ly chloride, PVC)가 사용되는데 이 재질을 통해 일회용 반창고를 제조하게 되면 유연성이 좋아 환부에 부착되어도 편리하게 일상생활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회사의 로고 혹은 어린이용 밴드용 캐릭터나 그림 등의 높은 해상도의 프린팅(printing)이 어려우며, 프린팅이 된다 하더라도 프린트물이 쉽게 지워질 수 있고, 소각 시 인체에 유독한 다이옥신이 검출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폴리우레탄과 폴리비닐클로라이드는 플라스틱의 일종이기 때문에 통풍이 잘 되지 않아 사용자가 답답함을 느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종이 재질을 이용하여 일회용 반창고를 제조할 수 있다. 종이를 이용하여 일회용 반창고를 제조하게 되면 기본적으로 두께가 얇아 통기성이 우수하여 접착 후 불편함이 감소될 수 있으며, 일회용 반창고에 높은 해상도의 프린팅이 가능하고, 연약하고 민감한 피부에 사용하기 좋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일회용 반창고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 20-0472060호(고안의 명칭 : 길이조절 일회용 반창고)가 등록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일측면에 접착체가 도포된 베이스 필름;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베이스 필름상에 부착된 거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필름의 양 말단은 각 각 제1 및 제2 접착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 또는 제2 접착부에는 각 각 또는 모두에 절취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취부에는 사용시 길이조절을 위해 떼어낼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절취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반창고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별도의 도구 없이 일회용 밴드의 용이한 길이 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접착부에 형성된 절취선으로 인해 반창고를 상처부위에 적용하기도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플라스틱 재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통기성 성질이 떨어질 수 있으며 일회용 반창고의 표면에 고 해상도의 프린팅이 어려울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함침지를 기반으로 한 일회용 반창고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함침지 기반의 일회용 반창고를 제조함으로써 높은 해상도의 프린팅이 가능하고 통기성이 보호되며 소각 시 다이옥신이 검출되지 않아 기존의 플라스틱 재질의 일회용 반창고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수 성능을 부여할 수 있으며, 표면 거칠기가 향상되어 일회용 반창고 상에 높은 해상도의 프린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함침액을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함침액에 항균제를 포함함으로써 일회용 반창고의 살균, 멸균 또는 소독의 기능을 보조하거나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항균성이 오래 지속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함침지의 상에 코팅액을 도포하여 코팅함으로써 일회용 반창고의 표면 강도 및 응집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함침지 기반의 일회용 반창고의 제조 방법은, 종이 재질의 함침지를 준비하는, 제 1 단계; TEOS(tetra ethyl silicate)를 포함하는 함침액을 제조하는, 제 2 단계; 상기 함침지를 상기 함침액에 함침한 뒤 건조하는, 제 3 단계; 상기 건조된 함침지의 저면에 점착제를 도포하는, 제 4 단계; 상기 점착제가 도포된 함침지의 저면에 거즈와 이형지를 접착하여 일회용 반창고를 완성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함침액은, 전체 1차 용액 중량 대비, 에탄올 80 내지 90중량%, TEOS(tetra ethyl silicate) 1 내지 10중량%, MTMS(Methyl trimethoxy silane) 1 내지 10중량%을 혼합하여 1차 용액을 제조하는, 1차 용액 제조 단계; 전체 2차 용액 중량 대비, 상기 1차 용액 85 내지 95중량%, 질산(HNO3) 1 내지 10중량%, FAS(fluoro alkyl silane) 1 내지 10중량%을 혼합한 후 50 내지 70℃에서 2 내지 5시간 동안 가열하여 2차 용액을 제조하는, 2차 용액 제조 단계; 상기 2차 용액을 여과한 후 물로 1 내지 5회 세척하여 중간 물질을 수득하는, 중간 물질 수득 단계; 전체 함침액 중량 대비, 상기 중간 물질 1 내지 15중량%, BCA(butyl carbitol acetate) 35 내지 50중량%, BC(butyl cellusolve) 35 내지 50중량%을 혼합한 뒤 600 내지 700℃에서 100 내지 200초 동안 가열하여 함침액을 완성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함침액은, 키토산 및 소르빈산을 포함하는 항균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되, 전체 함침액 중량 대비, 1 내지 15중량%의 상기 항균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항균제는, 전체 보조 용액 중량 대비, 초산 95 내지 99중량%, 정제 키토산 0.1 내지 1중량%, 소르빈산 0.5 내지 4중량%를 혼합하여 보조 용액을 제조하는, 보조 용액 제조 단계; 상기 보조 용액을 300 내지 500℃로 승온한 후 감압 건조하여 보조 물질을 수득하는, 보조 물질 수득 단계; 상기 보조 물질을 메탄올로 세척한 후 건조한 뒤 전체 항균제 중량 대비, 보조 물질 30 내지 50중량%, 항균 캡슐 50 내지 70중량%을 혼합하여 항균제를 완성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함침지 기반의 일회용 반창고의 제조 방법은,
1) 높은 해상도의 프린팅이 가능하고 통기성이 보호되며 소각 시 다이옥신이 검출되지 않아 기존의 플라스틱 재질의 일회용 반창고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고,
2) 발수 성능을 부여할 수 있으며, 표면 거칠기가 향상되어 일회용 반창고 상에 높은 해상도의 프린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3) 일회용 반창고의 살균, 멸균 또는 소독의 기능을 보조하거나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항균성이 오래 지속될 수 있을 뿐 아니라.
4) 일회용 반창고의 표면 강도 및 응집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회용 반창고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함침액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점착제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반창고의 재질로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또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ly chloride, PVC)가 사용되는데 이 재질을 통해 일회용 반창고를 제조하게 되면 유연성이 좋아 환부에 부착되어도 편리하게 일상생활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회사의 로고 혹은 어린이용 밴드용 캐릭터나 그림 등의 높은 해상도의 프린팅(printing)이 어려우며, 프린팅이 된다 하더라도 프린트물이 쉽게 지워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폴리우레탄과 폴리비닐클로라이드는 플라스틱의 일종이기 때문에 통풍이 잘 되지 않아 사용자가 답답함을 느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종이 재질을 이용하여 일회용 반창고를 제조할 수 있다. 종이를 이용하여 일회용 반창고를 제조하게 되면 기본적으로 두께가 얇아 통기성이 우수하여 접착 후 불편함이 감소될 수 있으며, 일회용 반창고에 높은 해상도의 프린팅이 가능하고, 연약하고 민감한 피부에 사용하기 좋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회용 반창고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플라스틱 재질의 일회용 반창고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함침지 기반의 일회용 반창고를 제조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반창고는 플라스틱 재질이 아닌 종이 재질의 반창고를 제공하되, 종이가 쉽게 찢어지고 물에 취약한 성질을 가지기에 특정 성분을 포함한 함침액에 함침시켜 이를 보완한 함침지를 기반으로 제작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함침지 기반의 일회용 반창고의 제조 방법은 제 1 단계(S100), 제 2 단계(S200), 제 3 단계(S300), 제 4 단계(S400), 제 5 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 1 단계(S100)는 종이 재질의 함침지를 준비하는 과정으로서, 일회용 반창고의 몸체가 될 함침지를 준비하는 것이다. 이때, 함침지는 사람의 피부색과 유사한 베이지색, 황색, 하얀색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함침지의 구체적인 색상에는 제한을 두지 않으며, 피부에 유연하게 접착되고 통풍이 잘되어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지 않도록 적당한 두께와 재질에 맞추어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함침지의 모양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원형 등이 될 수 있으며 환부의 위치 또는 정도에 따라 다르게 사용될 수 있고, 함침지의 모양에 대한 제한은 두지 않는다.
다음, 제 2 단계(S200)는 TEOS(tetra ethyl silicate)를 포함하는 함침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며, 제 3 단계(S300)은 함침지를 함침액에 함침한 뒤 건조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TEOS(tetra ethyl silicate)를 포함하는 함침액은 함침지에 발수(물이 닿는 순간 원단의 표면에 스며들지 못하도록 튕겨주는 것) 기능을 부여함과 동시에 함침지의 표면 거칠기를 향상시켜주어 높은 해상도의 인쇄를 하더라도 잘 지워지지 않고 잘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함침액의 구체적인 제조 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 더하여, 제 3 단계(S300) 이후에는 건조된 함침지의 위에 프린팅하는 과정을 추가적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제 4 단계(S400)는 건조된 함침지의 저면에 점착제를 도포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점착제는 일회용 반창고에 점착력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이때 점착력은 끈끈하게 달라붙는 힘을 의미하며 환부에 잘 붙는 성질도 필요 하지만 필요 시 환부로부터 일회용 반창고가 잘 제거될 수 있어야 하며, 점착제의 구체적인 제조 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제 5 단계(S500)는 점착제가 도포된 함침지의 저면에 거즈와 이형지를 접착하여 일회용 반창고를 완성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거즈는 별도의 치료 또는 멸균을 위한 조성물이 포함되어 있어 환부의 치료 및 보호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형지는 일회용 반창고 저면의 점착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제조된 일회용 반창고는 함침액에 담지된 후 건조되었기 때문에 발수성능을 가지게 되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사용 기간이 길어질 수 있으며, 표면 거칠기가 향상되어 높은 해상도의 인쇄가 가능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함침액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TEOS(tetra ethyl silicate)를 포함한 함침액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함침액은 1차 용액 제조 단계(S210), 2차 용액 제조 단계(S211), 중간 물질 수득 단계(S212), 함침액 완성 단계(S213)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먼저, 1차 용액 제조 단계(S210)는 전체 1차 용액 중량 대비, 에탄올 80 내지 90중량%, TEOS(tetra ethyl silicate) 1 내지 10중량%, MTMS(Methyl trimethoxy silane) 1 내지 10중량%을 혼합하여 1차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에탄올은 유기 용매로서 역할을 수행하며, TEOS와 MTMS는 완성될 함침액의 전구체가 되는 물질로 두 물질이 반응하여 SiO2가 생성될 수 있으며, SiO2 는 소수성의 성질을 가지는 물질로서 함침지에 발수 성능을 부여할 수 있으며, 다공질의 표면을 가지고 있어 표면의 거칠기(표면의 미세한 요철의 정도)를 향상시켜줄 수 있다.
다음 2차 용액 제조 단계(S211)는 전체 2차 용액 중량 대비, 1차 용액 85 내지 95중량%, 질산(HNO3) 1 내지 10중량%, FAS(fluoro alkyl silane) 1 내지 10중량%을 혼합한 후 50 내지 70℃에서 2 내지 5시간 동안 가열하여 2차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질산은 1차 용액 내의 TEOS와 MTMS의 반응을 촉진하는 촉매로서 역할을 수행하며, 가열 과정 역시 이들의 반응을 촉진하는데 영향을 줄 수 있다. 더하여, FAS는 함침액의 성분으로 함유되어 함침지의 발수성 및 내오염성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물질이다.
이후, 중간 물질 수득 단계(S212)는 2차 용액을 여과한 후 물로 1 내지 5회 세척하여 중간 물질을 수득하는 과정이며, 함침액 완성 단계(S213)는 전체 함침액 중량 대비, 중간 물질 1 내지 15중량%, BCA(butyl carbitol acetate) 35 내지 50중량%, BC(butyl cellusolve) 35 내지 50중량%을 혼합한 뒤 600 내지 700℃에서 100 내지 200초 동안 가열하여 함침액을 완성하는 과정이다.
중간 물질을 수득한 후 BCA와 BC의 혼합물이 중간 물질의 용매로 교체되었으며, 함침액 완성 단계(S213) 이후에는 함침지를 함침액에 담지한 뒤 건조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해 제조된 함침액은 SiO2 영향으로 발수 성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표면 거칠기가 향상되어 함침지 상에 높은 해상도의 프린팅이 가능하며, 프린팅이 되어도 프린팅된 것이 잘 지워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함침액에는 키토산 및 소르빈산을 포함하는 항균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일회용 밴드의 항균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환부에 부착되어 세균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상처를 잘 보호할 수 있다. 이때, 전체 함침액 중량 대비, 1 내지 15중량%의 상기 항균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항균제는 보조 용액 제조 단계, 보조 물질 수득 단계, 항균제 완성 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먼저, 보조 용액 제조 단계는 전체 보조 용액 중량 대비, 초산 95 내지 99중량%, 정제 키토산 0.1 내지 1중량%, 소르빈산 0.5 내지 4중량%를 혼합하여 보조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초산은 용매로서 역할을 수행하며 0.5%의 농도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정제 키토산은 키토산의 순도를 높이기 위해 재결정 한 키토산을 의미하며, 키토산(Chitosan)은 일종의 식이섬유로서 게, 새우, 크릴의 피각, 투구풍뎅이, 메뚜기 등 곤충류, 버섯군류의 세포벽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콜레스트롤 저하 및 중금속 흡착, 항산화 효과 향상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더하여, 소르빈산(sorbic acid)은 세균에 대한 정균작용이 있으며 곰팡이의 성장을 저해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다음, 보조 물질 수득 단계는 보조 용액을 300 내지 500℃로 승온한 후 감압 건조하여 보조 물질을 수득하는 과정이다. 이때, 감압 건조 과정 전에는 90 내지 100℃에서 5 내지 20분 동안 가열한 후 10℃/min의 승온 속도로 300 내지 500℃까지 승온하는 과정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과정을 통해 보조 용액 제조 단계의 키토산과 소르빈산이 합성된다. 여기서, 감압 건조를 한 후 남아있는 잔여물이 키토산과 소르빈산이 합성된 보조 물질이다.
마지막으로, 항균제 완성 단계는 보조 물질을 메탄올로 세척한 후 건조한 뒤 전체 항균제 중량 대비, 보조 물질 30 내지 50중량%, 항균 캡슐 50 내지 70중량%을 혼합하여 항균제를 완성하는 과정이다. 세척 과정은 보조 물질을 메탄올에 20 내지 30시간 동안 침지시켜 미 반응물 및 호모폴리머를 제거하는 과정이며, 건조 과정은 50 내지 70℃에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항균 캡슐은 천연 항균 물질인 로즈우드 오일의 보관성을 높이기 위하여 캡슐레이션(capsulation)한 것이고, 일회용 반창고의 항균 및 살균 능력을 더욱 향상시켜줄 수 있으며, 구체적인 제조 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렇게 제조된 항균제를 함침액에 추가함으로써 일회용 밴드의 살균, 멸균 또는 소독의 기능을 보조하거나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술한 항균 캡슐은 제 1 물질 제조 단계, 제 2 물질 제조 단계, 항균 캡슐 완성 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먼저, 제 1 물질 제조 단계는 전체 제 1 물질 중량 대비, 로즈우드 오일 10 내지 35중량%, 1,6-디이소시아네이토헥산(1,6-diisocyanatohexane) 65 내지 90중량%을 혼합하여 제 1 물질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로드우드(rosewood)란 단단하고 향이 좋아 고급 가구 재료로 쓰이는 나무인데, 로즈우드의 오일은 에센셜 오일의 일종으로 일반적으로 아로마 테라피에 사용되며 세포 재생 및 염증 완화 효과가 노화 피부나 상처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물질이다. 더하여, 1,6-디이소시아네이토헥산은 항균 캡슐의 지용성 단량체로서 역할을 수행하여 후에 캡슐의 몸체 부분이 될 수 있는데, 로즈우드 오일과 1,6-디이소시아네이토헥산 모두 지용성의 특성을 가지므로 제 1 물질은 항균 캡슐의 유기상 물질이 된다.
다음, 제 2 물질 제조 단계는 전체 제 2 물질 중량 대비, 제 1 물질 40 내지 60중량%, 헥사메틸렌디아민(1,6-hexamethylene diamine) 30 내지 50중량%,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1 내지 10중량%을 혼합한 뒤 30 내지 50℃로 10 내지 20분 동안 가열하여 제 2 물질을 제조하는 과정으로서, 질소 분위기 하에서 3000 내지 60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며 상술한 과정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헥사메틸렌디아민은 항균 캡슐의 수용성 단량체로서 역할을 수행하며, 상술한 1,6-디이소시아네이토헥산과 함께 항균 캡슐의 몸체가 될 수 있다. 또한, 폴리비닐알콜은 수용성 단량체인 헥사메틸렌디아민과 지용성 단량체인 1,6-디이소시아네이토헥산의 혼합을 위한 유화제(서로 혼합하지 않는 2종의 액체가 안정된 에멀션을 만들기 위해서 가해지는 물질)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항균 캡슐 완성 단계는 제 2 물질을 여과하여 잔여물을 수득한 뒤 물 또는 에틸 알코올로 세척하여 항균 캡슐을 완성하는 과정이다. 이때, 여과 과정은 감압 여과, 필터 여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또한, 여기서 잔여물은 여과액을 제거한 고체 잔여물을 일컫는 말이며, 이러한 잔여물인 항균 캡슐은 마이크로(㎛) 사이즈의 캡슐 내에 로즈우드 오일이 함유되어 있는 형태가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조된 항균 캡슐은 항균제의 성분으로 포함되어 항균제의 항균성을 더욱 향상시켜줄 수 있으며, 마이크로캡슐의 형태로 항균 물질이 보호되어 있어 항균성이 오래 지속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술한 제 4 단계(S400)는 멥쌀 분말을 포함하는 코팅액을 함침지의 상에 코팅하는 과정 및, 코팅된 함침지를 건조하는 과정을 추가적으로 포함함으로써 함침지의 표면 강도 및 응집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함침지의 저면에 점착제를 바른 후 코팅액을 바르는 과정을 추가적으로 진행한 뒤 함침지를 건조하는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함침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의 코팅은 함침지의 두께를 1이라 할 때 코팅액이 0.1 내지 0.3 가량의 두께를 가지도록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코팅 방법은 스프레이로 분사를 하거나 아니면 초벌/재벌 과정을 거쳐 함침지의 표면에 코팅액을 바르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술한 두께보다 두껍게 코팅을 하는 경우 일회용 반창고의 통기성이 방해될 수 있으므로 표면 강도가 향상되면서 통기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두께에 맞추어 코팅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3은 본 발명의 점착제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러한 점착제는 용매 제조 단계(S420), 점착 용액 제조 단계(S421), 점착제 완성 단계(S422)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먼저, 용매 제조 단계(S420)는 전체 용매 중량 대비, 톨루엔 70 내지 90중량%, 에틸아세테이트 5 내지 25중량%, 메탄올 1 내지 10중량%을 혼합하여 용매를 제조하는 과정이다. 이들은 모두 유기 용매로서 역할을 수행하며, 80 내지 120rpm의 속도로 교반을 해주며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점착 용액 제조 단계(S421)는 전체 점착 용액 중량 대비, 용매 50 내지 70중량%, 부틸아세테이트(BA) 10 내지 30중량%,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10 내지 30중량%, 아크릴산(AA) 1 내지 5중량%,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2-HEMA) 1 내지 5중량%, 개시제 0.1 내지 5중량%를 혼합하여 점착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으로서, 50 내지 80℃에서 5 내지 10시간 반응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부틸아세테이트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는 점착제의 구성이 되는 주 모노머이며, 아크릴산와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는 관능기(작용기) 모노머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더하여, 가교제는 모노머들의 결합 및 경화를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이며, -OH, -COOH, -NH2 등과 같은 작용기를 지니고 있는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로는 에폭시수지, 금속염, 2염기성 이상의 산 또는 그 무수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모노머들을 효과적으로 가교시킬 수 있다면, 그 종류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점착제 완성 단계(S422)는 점착 용액을 60 내지 80℃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가열하여 점착제를 완성하는 과정으로서, 과열 과정을 통해 상술한 모노머들이 합성되어 점착제가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조된 점착제는 함침지의 저면에 도포된 후 건조되어 점착층을 형성함으로써 일회용 반창고에 점착력을 부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일회용 반창고가 환부에 잘 고정이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함침지 기반의 일회용 반창고의 제조 방법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S100: 제 1 단계 S200: 제 2 단계
S300: 제 3 단계 S400: 제 4 단계
S500: 제 5 단계 S210: 1차 용액 제조 단계
S211: 2차 용액 제조 단계 S212: 중간 물질 수득 단계
S213: 함침액 완성 단계
S420: 용매 제조 단계 S421: 점착 용액 제조 단계
S422: 점착제 완성 단계

Claims (10)

  1. 함침지 기반의 일회용 반창고의 제조 방법으로서,
    종이 재질의 함침지를 준비하는, 제 1 단계;
    TEOS(tetra ethyl silicate)를 포함하는 함침액을 제조하는, 제 2 단계;
    상기 함침지를 상기 함침액에 함침한 뒤 건조하는, 제 3 단계;
    상기 건조된 함침지의 저면에 점착제를 도포하는, 제 4 단계;
    상기 점착제가 도포된 함침지의 저면에 거즈와 이형지를 접착하여 일회용 반창고를 완성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함침액은,
    전체 1차 용액 중량 대비, 에탄올 80 내지 90중량%, TEOS(tetra ethyl silicate) 1 내지 10중량%, MTMS(Methyl trimethoxy silane) 1 내지 10중량%을 혼합하여 1차 용액을 제조하는, 1차 용액 제조 단계;
    전체 2차 용액 중량 대비, 상기 1차 용액 85 내지 95중량%, 질산(HNO3) 1 내지 10중량%, FAS(fluoro alkyl silane) 1 내지 10중량%을 혼합한 후 50 내지 70℃에서 2 내지 5시간 동안 가열하여 2차 용액을 제조하는, 2차 용액 제조 단계;
    상기 2차 용액을 여과한 후 물로 1 내지 5회 세척하여 중간 물질을 수득하는, 중간 물질 수득 단계;
    전체 함침액 중량 대비, 상기 중간 물질 1 내지 15중량%, BCA(butyl carbitol acetate) 35 내지 50중량%, BC(butyl cellusolve) 35 내지 50중량%을 혼합한 뒤 600 내지 700℃에서 100 내지 200초 동안 가열하여 함침액을 완성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반창고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액은,
    키토산 및 소르빈산을 포함하는 항균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되,
    전체 함침액 중량 대비, 1 내지 15중량%의 상기 항균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반창고의 제조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제는,
    전체 보조 용액 중량 대비, 초산 95 내지 99중량%, 정제 키토산 0.1 내지 1중량%, 소르빈산 0.5 내지 4중량%를 혼합하여 보조 용액을 제조하는, 보조 용액 제조 단계;
    상기 보조 용액을 300 내지 500℃로 승온한 후 감압 건조하여 보조 물질을 수득하는, 보조 물질 수득 단계;
    상기 보조 물질을 메탄올로 세척한 후 건조한 뒤 전체 항균제 중량 대비, 보조 물질 30 내지 50중량%, 항균 캡슐 50 내지 70중량%을 혼합하여 항균제를 완성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반창고의 제조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캡슐은,
    전체 제 1 물질 중량 대비, 로즈우드 오일 10 내지 35중량%, 1,6-디이소시아네이토헥산(1,6-diisocyanatohexane) 65 내지 90중량%을 혼합하여 제 1 물질을 제조하는, 제 1 물질 제조 단계;
    전체 제 2 물질 중량 대비, 상기 제 1 물질 40 내지 60중량%, 헥사메틸렌디아민(1,6-hexamethylene diamine) 30 내지 50중량%,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1 내지 10중량%을 혼합한 뒤 30 내지 50℃로 10 내지 20분 동안 가열하여 제 2 물질을 제조하는, 제 2 물질 제조 단계;
    상기 제 2 물질을 여과하여 잔여물을 수득한 뒤 물 또는 에틸 알코올로 세척하여 항균 캡슐을 완성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반창고의 제조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52802A 2019-05-07 2019-05-07 함침지 기반의 일회용 반창고의 제조 방법 KR102022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802A KR102022829B1 (ko) 2019-05-07 2019-05-07 함침지 기반의 일회용 반창고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802A KR102022829B1 (ko) 2019-05-07 2019-05-07 함침지 기반의 일회용 반창고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2829B1 true KR102022829B1 (ko) 2019-09-18

Family

ID=68071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802A KR102022829B1 (ko) 2019-05-07 2019-05-07 함침지 기반의 일회용 반창고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282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937Y2 (ja) * 1989-12-05 1995-06-1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救急絆創膏用テープ原反
KR0116976Y1 (ko) * 1994-09-17 1998-04-22 곽창근 일회용 반창고
KR19990036318A (ko) * 1995-08-11 1999-05-25 존 데이비드 홉스 접착제
JP2006325986A (ja) * 2005-05-26 2006-12-07 Hokkaido Univ 固定材組成物および固定材ならびに固定材の固定化方法
KR101200199B1 (ko) * 2004-12-30 2012-11-13 바이엘 이노베이션 게엠베하 신규 섬유 부직물에 의한 단축된 상처 치유 방법
KR20160098343A (ko) * 2013-12-10 2016-08-18 인쎄름 (엥스띠뛰 나씨오날 드 라 쌍떼 에 드 라 흐쉐르슈 메디깔) 조직표면 및 재료의 부착 방법 및 이의 생물의학적 용도
KR20170082950A (ko) * 2016-01-07 2017-07-17 이정용 흉터 제거용 반창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937Y2 (ja) * 1989-12-05 1995-06-1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救急絆創膏用テープ原反
KR0116976Y1 (ko) * 1994-09-17 1998-04-22 곽창근 일회용 반창고
KR19990036318A (ko) * 1995-08-11 1999-05-25 존 데이비드 홉스 접착제
KR101200199B1 (ko) * 2004-12-30 2012-11-13 바이엘 이노베이션 게엠베하 신규 섬유 부직물에 의한 단축된 상처 치유 방법
JP2006325986A (ja) * 2005-05-26 2006-12-07 Hokkaido Univ 固定材組成物および固定材ならびに固定材の固定化方法
KR20160098343A (ko) * 2013-12-10 2016-08-18 인쎄름 (엥스띠뛰 나씨오날 드 라 쌍떼 에 드 라 흐쉐르슈 메디깔) 조직표면 및 재료의 부착 방법 및 이의 생물의학적 용도
KR20170082950A (ko) * 2016-01-07 2017-07-17 이정용 흉터 제거용 반창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12771B1 (en) Polysiloxane-grafted copolymer topical binder composition with novel fluorochemical comonomer and method of coating therewith
US5762952A (en) Transdermal delivery of active drugs
EP0412770B1 (en) Polysiloxane-grafted copolymer topical binder composition with novel hydrophilic monomers and method of coating therewith
JP2008512411A (ja) 接着剤層を含む経皮治療システム、このシステムの支持層をシリコン処理する方法およびこの支持層の使用
US20090163845A1 (en) Acrylate adhesive composition with water-resistant adhesive properties
JP2007254515A (ja) 皮膚貼付用粘着シート
KR20130042520A (ko) 니코틴 경피 전달 시스템
KR100873257B1 (ko) 활성 물질로서 니코틴을 갖는 고가요성 경피 치료 시스템
JP2005015537A (ja) 感圧性粘着テープ
KR102022829B1 (ko) 함침지 기반의 일회용 반창고의 제조 방법
KR20000062348A (ko) 더멀 또는 트랜스더멀 작용을 지닌 고 가요성 패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00796A (ko) 부착제 및 부착 제제
JP2000128720A (ja) 虫除け用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虫除けパッチ
US4752477A (en) Insect-active assembly comprising polymeric body member
US20220133945A1 (en) Acrylic Polymer and Adhesive Compositions
JP2838288B2 (ja) 粘着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70002035A (ko) 피부 적용을 위한 의료용 반창고
KR20170043165A (ko) 박리형 건식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0175960A (ja) 貼付剤
JPH07173437A (ja) テープ剥離剤組成物
KR100708308B1 (ko) 연주황(살색)밀착포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습포제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JPH0725935Y2 (ja) 医療用貼付シート
JPS61187867A (ja) 医療用粘着シ−トもしくはテ−プ
JPH09136829A (ja) 貼付剤
EP4218698A1 (en) Medical article for fixation of a wound dres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