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2774B1 - 배수 밸브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배수 밸브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2774B1
KR102022774B1 KR1020170132951A KR20170132951A KR102022774B1 KR 102022774 B1 KR102022774 B1 KR 102022774B1 KR 1020170132951 A KR1020170132951 A KR 1020170132951A KR 20170132951 A KR20170132951 A KR 20170132951A KR 102022774 B1 KR102022774 B1 KR 102022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lutch
clutch gear
drain valve
plane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2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1076A (ko
Inventor
도시미 미야시타
Original Assignee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41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7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characterised by mechanical means between the motor and the valve, e.g. lost motion means reducing backlash, clutches, brakes or retur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06Use of materials; Use of treatments of toothed members or worms to affect their intrinsic material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using a permanent magnet
    • F16K31/08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using a permanent magnet using a electromagnet and a permanent mag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06Use of materials; Use of treatments of toothed members or worms to affect their intrinsic material properties
    • F16H2055/065Moulded gears, e.g. inser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Retarders (AREA)
  • Gears, Cams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Abstract

[과제]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구동 후의 배수 밸브의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 가능한 배수 밸브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모터 구동력의 전달을 「계속」 상태 또는 「중단」 상태로 전환하는 클러치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클러치 기구는, 상기 배수 밸브의 개폐 상태에 맞춰서 왕복 동작하는 클러치 레버와, 상기 동력 전달 경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하나의 회전체와, 상기 동력 전달 경로에서 상기 회전체의 종동측에 인접하는 기어 부재인 클러치 기어를 갖고 있으며, 상기 클러치 레버는 또한, 배수 밸브의 구동 후에 있어서의 상기 클러치 기어의 역회전을 저지해서 해당 배수 밸브의 구동 완료 시의 상태를 유지하는 걸림편을 갖고 있고, 상기 클러치 기어는, 해당 걸림편에 걸림 결합하는 피걸림편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밸브 구동 장치에 의해 해결한다.

Description

배수 밸브 구동 장치{DRAIN VALVE DRIV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배수 밸브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피니언 기어(20)에 의해, 외부 부하에 대한 모터 구동력의 전달을 단속하는 기어드 모터(1)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76093호 공보
초기 상태로의 복원력을 갖는 외부 부하의 자세를 모터의 구동력으로 변화시키고, 또한 그 변화 후의 외부 부하의 자세를 유지하는 경우, 모터 구동력의 단속 기구나, 외부 부하의 초기 상태로의 복귀를 저지하는 기구 등을 구비할 필요가 있어, 장치가 복잡화·대형화하기 쉽다.
또한, 특허문헌 1의 기어드 모터(1)에 있어서, 외부 부하의 복원력에 대하여 압축 코일 스프링(21)의 밀어붙임 힘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피니언 기어(20)와, 피니언 기어(20)가 맞물리는 입력 기어(17a)와의 사이에 발생한 미끄럼 이동 저항에 의해, 피니언 기어(20)가 클러치 레버(22)에 걸린 상태로 이행할 수 없어, 외부 부하가 초기 상태로 복귀해버릴 우려가 있다.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구동 후의 배수 밸브의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 가능한 배수 밸브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배수 밸브 구동 장치는, 구동원인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피구동체인 배수 밸브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경로와, 상기 동력 전달 경로에 의한 구동력의 전달을 「계속」 상태 또는 「중단」 상태로 전환하는 클러치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클러치 기구는, 상기 배수 밸브의 개폐 상태에 맞춰서 왕복 동작하는 클러치 레버와, 상기 동력 전달 경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하나의 회전체와, 상기 동력 전달 경로에서 상기 회전체의 종동측에 인접하는 기어 부재인 클러치 기어를 갖고 있으며, 상기 회전체 및 상기 클러치 기어는 동 축선 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클러치 기어는 해당 축선 상을 이동 가능하고, 상기 회전체와 상기 클러치 기어와의 사이에는, 이들을 이격 방향으로 밀어붙이는 밀어붙임 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체의 상기 클러치 기어측의 단부면에는, 해당 클러치 기어측에 돌출된 볼록부인 구동측 결합 갈고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클러치 기어의 상기 회전체측의 단부면에는, 해당 회전체측에 돌출된 볼록부인 종동측 결합 갈고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클러치 레버는, 상기 회전체와 상기 클러치 기어와의 간격을 제어하는 슬로프부를 갖고 있으며, 해당 슬로프부는, 상기 배수 밸브의 구동 시에는, 상기 클러치 기어를 상기 회전체측에 압박해서 상기 종동측 결합 갈고리를 상기 구동측 결합 갈고리에 걸림 결합시키고, 상기 배수 밸브의 구동 완료 시에는, 해당 압박을 해제해서 상기 종동측 결합 갈고리를 상기 구동측 결합 갈고리로부터 이격하는 테이퍼면을 갖고 있으며, 상기 클러치 레버는 또한, 상기 배수 밸브의 구동 후에 있어서의 상기 클러치 기어의 역회전을 저지해서 해당 배수 밸브의 구동 완료 시의 상태를 유지하는 걸림편을 갖고 있고, 상기 클러치 기어는, 해당 걸림편에 걸림 결합하는 피걸림편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초기 상태로의 복원력을 갖는 피구동체의 구동 및 그 구동 완료 후의 상태 유지를 간이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어, 배수 밸브 구동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어붙임 부재는, 상기 클러치 기어와, 해당 클러치 기어에 접촉하는 다른 부재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미끄럼 이동 저항에 의해 신장이 방해받지 않는 크기의 밀어붙임 힘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회전체는, 로터 지지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기 모터의 로터를 구성하는 로터 보스이며, 상기 클러치 기어도 상기 로터 지지축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밀어붙임 부재는, 상기 로터 보스에 형성된 상기 구동측 결합 갈고리와 상기 클러치 기어에 형성된 종동측 결합 갈고리와의 사이에서 상기 로터 지지축에 권회된 코일 스프링이며, 상기 코일 스프링의 밀어붙임 힘은, 상기 클러치 기어와, 해당 클러치 기어에 접촉하는 다른 부재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미끄럼 이동 저항에 저항해서 상기 클러치 기어를 상기 로터 지지축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크기의 밀어붙임 힘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코일 스프링의 밀어붙임 힘은, 상기 클러치 기어가 맞물리는 입력 기어부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미끄럼 이동 저항, 및 상기 클러치 기어와 상기 로터 지지축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미끄럼 이동 저항에 저항하여, 상기 클러치 기어를 이격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종동측 결합 갈고리를 상기 구동측 결합 갈고리로부터 이격하기에 충분한 밀어붙임 힘을 갖게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피구동체의 복원력에 대하여 밀어붙임 부재의 밀어붙임 힘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클러치 기어와, 클러치 기어에 맞물리는 다른 기어 부재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미끄럼 이동 저항에 의해, 클러치 기어가 빠르게 피걸림 상태(클러치 기어의 역회전이 클러치 레버에 저지된 상태)로 이행할 수 없어, 피구동체가 초기 상태로 복귀해버릴 우려가 있다. 밀어붙임 부재가, 상기 미끄럼 이동 저항에 의해서는 그 신장이 방해받지 않는 크기의 밀어붙임 힘을 가짐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러치 기어의 축선 방향에서의 상기 피걸림편의 돌출 길이는, 상기 클러치 레버의 상기 슬로프부에 접촉하지 않는 범위에서 최대의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클러치 기어의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피구동체의 구동 완료 후, 클러치 기어가 즉시 피걸림 상태로 이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걸림편의 축선 방향의 돌출 길이가 최대화되어 있음으로써, 클러치 레버의 걸림편과 클러치 기어의 피걸림편과의 간격이 짧아져, 보다 빠르게 피걸림편을 걸림편에 걸림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클러치 기어의 피걸림편이 클러치 레버의 걸림편에 급격하게 충돌하여, 클러치 기어가 하방으로 튄 경우에도, 이들의 걸림 결합 상태를 최대한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체는 상기 모터의 출력축이며, 상기 동력 전달 경로는 감속 기어열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회전체는, 로터 지지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기 모터의 로터를 구성하는 로터 보스로 할 수 있다.
동력 전달 경로 중, 작용하는 토크가 가장 작은 위치에 클러치 기어를 배치함으로써, 클러치 기어와, 이것에 맞물리는 다른 기어 부재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미끄럼 이동 저항을 경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클러치 기어를 보다 빠르게 피걸림 상태로 이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동력 전달 경로는 유성 기어 기구를 갖고 있으며, 상기 유성 기어 기구는, 평 기어인 입력 기어가 외주면에 형성된 외통과, 태양 기어인 내통이, 이들의 한쪽 단부에서 결합된 이중 통 구조의 태양 기어 부재와, 상기 복수의 유성 기어를 지지하는 유성 지지부, 및 해당 유성 지지부로부터 상기 유성 기어 기구의 외부로 연장된, 상기 유성 지지부와 회전 중심을 동일하게 하는 평 기어부인 출력 기어가 일체화된 유성 캐리어 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클러치 기어는, 상기 태양 기어 부재의 상기 입력 기어와 맞물려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큰 감속비가 얻어지는 유성 기어 기구가 동력 전달 경로에 배치되고, 그 입력측에 클러치 기어가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클러치 기어와 입력 기어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미끄럼 이동 저항을 경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클러치 기어를 보다 빠르게 피걸림 상태로 이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모터의 정회전 시의 구동력만을 상기 동력 전달 경로에 전달하는 필터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유성 기어 기구는 또한, 해당 유성 기어 기구의 외부에 노출된 평 기어인 필터 기어를 갖고, 내주면에 내측 기어가 형성된 내측 기어 부재를 갖고 있으며, 상기 필터 기구는, 상기 모터의 정회전 시에만 상기 필터 기어의 회전을 걸림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모터의 정회전 시의 구동력만을 상기 동력 전달 경로에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별도 필터 기구를 구비함으로써, 모터의 역회전에 의한 배수 밸브의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로프부의 상기 테이퍼면은, 상기 회전체 및 상기 클러치 기어의 이격 시에 있어서의 상기 클러치 기어와의 접촉부로부터, 상기 회전체 및 상기 클러치 기어의 걸림 결합 시에 있어서의 상기 클러치 기어와의 접촉부를 향해서, 순서대로, 면 위치가 점차 높아지는 제1 테이퍼면과, 정상부를 거쳐서 면 위치가 점차 낮아지는 제2 테이퍼면을 갖고 있고, 상기 제2 테이퍼면에 의한 면 위치의 저하량은, 상기 제1 테이퍼면에 의한 면 위치의 상승량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테이퍼면은, 상기 클러치 기어의 상기 종동측 결합 갈고리를 상기 회전체의 상기 구동측 결합 갈고리에 대하여 걸림 결합 또는 이격하기 위한 테이퍼면이며, 제2 테이퍼면은, 상기 클러치 기어의 상기 종동측 결합 갈고리와 상기 회전체의 상기 구동측 결합 갈고리와의 걸림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테이퍼면이도록 구성할 수 있다.
회전체와 클러치 기어를 걸림 결합시켰을 때, 제1 테이퍼면의 역방향으로 경사진 제2 테이퍼면으로 클러치 기어를 지지함으로써, 장치의 진동 등의 여파로 클러치 기어가 제1 테이퍼면을 내려가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러치 기어와, 해당 클러치 기어에 맞물리는 다른 기어 부재는, 폴리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러치 기어와, 이것에 맞물리는 다른 기어 부재에, 미끄럼 이동성이 높은 수지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클러치 기어와 다른 기어 부재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미끄럼 이동 저항을 억제할 수 있고, 클러치 기어를 보다 빠르게 피걸림 상태로 이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 밸브 구동 장치에 의하면,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구동 후의 배수 밸브의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배수 밸브 구동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배수 밸브 구동 장치의 전개 단면도이다.
도 3은 모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시 단면도이다.
도 4는 유성 기어 기구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시 단면도이다.
도 5는 모터가 역회전했을 때의 필터 기구의 동작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모터가 정회전했을 때의 필터 기구의 동작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배수 밸브를 구동하고 있을 때의 클러치 기구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배수 밸브를 구동하고 있을 때의 클러치 기구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배수 밸브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때의 클러치 기구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배수 밸브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때의 클러치 기구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구성 개요)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배수 밸브 구동 장치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배수 밸브 구동 장치(90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배수 밸브 구동 장치(900)의 전개 단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의 「상」 및 「하」는, 도 2에서의 상하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배수 밸브 구동 장치(900)는, 모터(100)의 구동력에 의해 배수 밸브(V)를 개방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 형태의 배수 밸브(V)는, 그 초기 상태에서 폐색되어 있고, 또한 도시하지 않은 밀어붙임 수단에 의해, 배수 밸브(V)에는 항상, 배수 밸브(V)를 폐색시키는 방향으로 밀어붙임 힘이 작용하고 있다. 배수 밸브 구동 장치(900)는, 이러한 밀어붙임 힘에 저항해서 배수 밸브(V)를 견인함으로써 이것을 개방시키고, 또한 그 개방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배수 밸브의 형태는, 배수 밸브(V)의 형태에는 한정되지 않고, 배수 밸브 구동 장치에 의한 견인 및 해방으로 그 개폐 상태가 전환되는 것이라면, 항상 개방 방향으로 밀어붙임 힘이 작용하고 있는 배수 밸브이어도 된다.
배수 밸브 구동 장치(900)는, 구동원인 모터(100), 모터(100)의 구동력을 피구동체인 배수 밸브(V)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경로인 제1 경로(P1), 제1 경로(P1)에 의한 구동력의 전달을 「계속」 상태 또는 「중단」 상태로 전환하는 클러치 기구(C), 모터(100)의 정회전 시의 구동력만을 제1 경로(P1)에 전달하는 필터 기구(F), 및 필터 기구(F)에 모터(10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경로인 제2 경로(P2)를 구비하고 있다.
(모터)
도 3은, 모터(100)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시 단면도이다. 모터(100)는, 후술하는 필터 기구(F)의 역회전 방지 기능에 의해 회전 방향이 일 방향으로 제어되는 AC 모터이다.
모터(100)는, 상부가 개구된 대략 컵 형상의 금속제의 모터 케이스(190), 모터 케이스(190)의 내주면을 따라 배치된 원환 형상의 스테이터(110), 스테이터(110)의 내측에 배치된 로터(120), 및 로터(120) 내에 배치되어, 로터(120)와 회전 중심을 동일하게 하는 회전체인 유도 회전체(15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모터 케이스(190)는, 로터(1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로터 지지축(131)을 갖고 있다. 로터 지지축(131)은,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으로 형성된 고정축이며, 모터 케이스(190)의 저부 중앙에 그 기단부가 압입 고정되어 있다. 또한, 스테이터(110)의 상면에는, 배수 밸브 구동 장치(900)를 구성하는 다른 회전 부재나 회동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축·베어링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로터(120)는, 로터 마그네트(121), 로터 보스(122) 및 자기 유도 마그네트(12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로터 마그네트(121)는, 영구 자석을 포함하는 대략 원통 형상의 부재이다. 로터 마그네트(121)는, 그 외주면을 스테이터(110)의 내주면에 대향시켜 배치되어 있고, 스테이터(110)가 발생시키는 자계에 의해 회전한다. 또한, 로터 마그네트(121)의 상단에는, 필터 기구(F)의 일부를 구성하는 역회전 제동부(121a)가 설치되어 있다. 역회전 제동부(121a)는, 스테이터(110)의 상면보다도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로터 보스(122)는, 로터 마그네트(121)와 함께 인서트 성형된 수지제의 축체이며, 모터(100)의 출력축이다. 로터 보스(122)는, 그 직경 방향 중심을 따라 관통된 축 구멍(122b)을 갖고 있으며, 축 구멍(122b)에는 로터 지지축(131)이 삽입 관통되고, 로터 보스(122)는, 로터 지지축(13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로터 보스(122) 및 로터 마그네트(121)는, 이들의 하단부로부터 서로 다른 쪽을 향해서 직경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이 결합되어 있고, 이러한 결합부는 로터(120)의 저부(120a)를 구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로터(120)의 내부에는, 상부가 개구된 원환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로터 보스(122)의 상면에는, 로터 보스(122)의 종동측에 인접하는 기어 부재인 클러치 기어(200)에 모터(10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복수의 볼록부인 구동측 결합 갈고리(122a)가 형성되어 있다.
자기 유도 마그네트(123)는, 로터 마그네트(121)의 내주면에 접착된 환 형상의 영구 자석이다.
자기 유도 마그네트(123)의 내측에는 유도 회전체(150)가 배치되어 있다. 유도 회전체(150)는, 유도 링부(R) 및 유도 링부(R)와 함께 인서트 성형된 수지제의 축체인 보스부(15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유도 회전체(150)는, 자기 유도 마그네트(123)가 회전함으로써 발생하는 와전류의 전자기 유도 작용에 의해, 로터(120)에 연동해서 회전한다.
유도 링부(R)는, 대략 원통 형상의 구리관(151), 및 구리관(151)의 통 내에 압입되는 대략 원통 형상의 철관(15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구리관(151)은, 비자성 도체인 구리를 포함하는 유도체이다. 철관(152)은, 강자성체인 철제의 부재이며, 자기 유도 마그네트(123)의 자기 흡인력이 작용하는 백 요크부이다.
보스부(153)는, 그 직경 방향 중심을 따라 관통된 축 구멍(153b)을 갖고 있으며, 축 구멍(153b)에는 로터 보스(122)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보스부(153)는, 로터 보스(122)에 의해 스러스트 방향 및 레이디얼 방향으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보스부(153)는 로터 보스(122)에는 고정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유도 회전체(150)는, 유도 회전체(150)에 대한 전자기 유도 작용이, 유도 회전체(150)의 회전 저항을 상회할 때에만 로터(120)에 연동해서 회전한다. 또한, 보스부(153)의 상단에는, 필터 기구(F)의 일부를 구성하는 평 기어인 기어부(153a)가 설치되어 있다.
(제1 경로)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제1 경로(P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경로(P1)는, 모터(100)의 정회전 시의 구동력에 의해 배수 밸브(V)를 와이어(450)로 견인하는 출력 경로이다.
제1 경로(P1)는, 구동원측으로부터 배수 밸브(V)측을 향해서, 모터(100)의 로터(120), 클러치 기어(200), 유성 기어 기구(300), 제1 경로 제4 기어(410)(이하, 간단히 「기어(410)」라고 함), 제1 경로 제5 기어(420)(이하, 간단히 「기어(420)」라고 함), 윈치 부재(430), 및 와이어(45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와이어(450)의 선단부에는 배수 밸브(V)측에 설치되는 이음쇠(451)가 고정되어 있다.
로터(120)의 로터 보스(122) 상면에 설치된 구동측 결합 갈고리(122a)가, 클러치 기어(20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볼록부인 종동측 결합 갈고리(210)와 걸림 결합함으로써, 모터(100)의 구동력이 클러치 기어(200)에 전달된다.
클러치 기어(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평 기어인 기어부(220)는, 유성 기어 기구(300)의 입력부인 입력 기어(311)와 맞물려 있다. 입력 기어(311)는, 클러치 기어(200)보다도 대직경의 기어이며, 이에 의해 모터(100)의 회전은 감속되어 유성 기어 기구(300)에 입력된다. 그리고, 유성 기어 기구(300) 내에서 모터(100)의 회전은 더 감속되어, 출력된다.
유성 기어 기구(300)의 출력부인 출력 기어(333)에는, 기어(410)의 대직경 기어부(411)가 맞물려 있고, 기어(410)의 소직경 기어부(412)에는, 기어(420)의 대직경 기어부(421)가 맞물려 있다. 기어(420)는, 그 세레이션부(422)가, 윈치 부재(430)에 형성된 관통 구멍(431)에 감합되어 있어, 기어(420)와 윈치 부재(430)는 둘레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모터(100)의 회전은 더욱 감속되어, 와이어(450)를 통해서 배수 밸브(V)에 전달된다.
(유성 기어 기구)
유성 기어 기구(300)는, 제1 경로(P1)의 일부를 구성함과 함께, 그 차동 기어 구조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필터 기구(F)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도 4는, 유성 기어 기구(300)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시 단면도이다. 유성 기어 기구(300)는, 태양 기어 부재(310), 내측 기어 부재(320), 3개의 유성 기어(331) 및 유성 캐리어 부재(33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태양 기어 부재(310)는, 태양 기어(312)가 형성된 내통(310a)과, 유성 기어 기구(300)의 입력부인 입력 기어(311)가 외주면에 형성된 외통(310b)이, 이들의 상단부에서 일체화된 이중 통 구조의 기어 부재이다. 외통(310b)의 입력 기어(311)는, 클러치 기어(200)의 기어부(220)와 맞물려 있고, 내통(310a)의 태양 기어(312)는, 태양 기어 부재(310)의 내부에서 3개의 유성 기어(331)와 맞물려 있다. 이에 의해, 클러치 기어(200)의 회전은, 입력 기어(311)로부터 태양 기어(312)를 거쳐서, 이들 유성 기어(331)에 전달된다.
내측 기어 부재(320)는, 그 내주면에 내측 기어(322)가 형성된 대략 캡 형상의 기어 부재이다. 내측 기어 부재(320)는, 그 상부가 태양 기어 부재(310)의 외통(310b) 내에 감합되어 있고, 태양 기어 부재(310)로부터 노출된 하단부에는 필터 기어(321)가 형성되어 있다. 필터 기어(321)는, 내측 기어 부재(320)의 하단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에 원환 형상으로 연장된 플랜지 형상의 평 기어이다. 내측 기어 부재(320)의 내측 기어(322)는 유성 기어(331)와 맞물려 있고, 필터 기어(321)는, 후술하는 제2 경로(P2)를 구성하는 제2 경로 제4 기어(720)(이하, 간단히 「기어(720)」라고 함)의 소직경 기어부(722)와 맞물려 있다.
유성 캐리어 부재(330)는, 유성 기어(33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체인 유성 지지부(332)와, 유성 지지부(332)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유성 기어 기구(300)의 출력부인 출력 기어(333)가 일체화된 부재이다. 유성 캐리어 부재(320)의 출력 기어(333)는, 제1 경로(P1)를 구성하는 기어(410)의 대직경 기어부(411)와 맞물려 있다.
유성 기어 기구(300)에 있어서, 입력 기어(311)의 회전, 즉 태양 기어(312)의 회전이 출력 기어(333)에 전달되는지 여부는, 필터 기어(321)의 각도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필터 기어(321)의 회전이 기어(720)의 소직경 기어부(722)에 걸림 정지되면, 필터 기어(321)와 함께, 내측 기어 부재(320)의 내측 기어(322)의 각도 위치도 고정된다. 필터 기어(321)가 고정되어 있을 때 태양 기어(312)가 회전하면, 그 회전은 유성 기어(331)에 전달되고, 유성 기어(331)는, 고정된 내측 기어(322)를 따라 공전하여, 유성 지지부(332)와 함께 출력 기어(333)를 회전시킨다. 한편, 필터 기어(321)가 고정되어 있지 않을 때는, 태양 기어(312)의 회전은 유성 기어(331)의 자전을 거쳐서 내측 기어(322)의 공회전에 의해 소비되고, 출력 기어(333)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즉, 모터(100)의 정회전 시에만 필터 기어(321)를 고정함으로써, 모터(100) 정회전 시의 구동력만을 제1 경로(P1)에 전달시킬 수 있고, 모터(100) 역회전 시의 구동력을 내측 기어(322)의 공회전에 의해 소실시킬 수 있다.
(제2 경로 및 필터 기구)
이하, 도 5, 도 6 및 도 2를 참조하여, 제2 경로(P2) 및 필터 기구(F)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필터 기구(F)는, 모터(100)의 역회전 시에 그것을 정회전으로 수정하고, 또한 모터(100)의 정회전 시의 구동력만을 제1 경로(P1)에 전달하는 기구이다. 제2 경로(P2)는, 이러한 필터 기구(F)를 작동시키는 출력 경로이다.
필터 기구(F) 및 제2 경로(P2)는, 구동원측으로부터 유성 기어 기구(300)측을 향해서, 유도 회전체(150), 부채형 기어(600), 제2 경로 제3 기어(710)(이하, 간단히 「기어(710)」라고 함), 기어(720)(제2 경로 제4 기어(720)), 및 유성 기어 기구(300)의 내측 기어 부재(32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부채형 기어(600)는, 유도 회전체(150)의 기어부(153a)에 맞물리는 톱니부(610)를 갖는 대략 부채형의 기어 부재이다. 부채형 기어(600)의 도 5의 반시계 방향측의 단부에서의, 그 선단부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볼록부인 역회전 시 걸림편(62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채형 기어(600)의 회동 중심부로부터는 원통 형상의 축체(630)가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축체(630)의 상부에는, 축체(630)의 직경 방향 외측에 돌출된 볼록부인 정회전 시 걸림편(63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채형 기어(600)의 회동 중심부로부터는 또한, 유도 회전체(150)측의 대략 반대 방향을 향해서, 막대 형상의 레버부(640)가 연장되어 있다. 레버부(640)의 선단에는 코일 스프링(690)의 일단부가 설치되어 있고, 코일 스프링(690)의 타단부는, 스테이터(110) 상에 설치된 핀(135)에 설치되어 있다.
기어(710)는, 그 상부의 외주면에, 부채형 기어(600)의 정회전 시 걸림편(635)과 걸림 결합 가능한 복수의 걸림 결합 돌기(7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어(710)의 하부는 평 기어인 기어부(712)가 설치되어 있다.
기어(720)는, 동축 상에 겹쳐진 대직경 기어(721) 및 소직경 기어(722)가 일체 성형된 복합 기어이다. 기어(720)의 대직경 기어(721)는, 기어(710)의 기어부(712)와 맞물려 있고, 기어(720)의 소직경 기어(722)는, 내측 기어 부재(320)의 필터 기어(321)와 맞물려 있다.
도 5는, 모터(100)가 역회전했을 때의 필터 기구(F)의 동작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의 모터(100)의 정회전이란, 로터(120)가 도 5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말하며, 모터(100)의 역회전이란, 로터(120)가 도 5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말한다.
모터(100)가 역회전하면, 이것에 연동해서 유도 회전체(15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유도 회전체(150)의 기어부(153a)에 맞물리는 부채형 기어(600)는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부채형 기어(600)의 측면이 기어(710)의 기단부에 맞닿는 위치까지 부채형 기어(600)가 회동하면, 부채형 기어(600)는 더 이상 회동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부채형 기어(600)와 맞물리는 유도 회전체(150)도, 그 이후의 회전이 부채형 기어(600)에 의해 걸림 정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도 회전체(150)의 보스부(153)는, 로터 보스(122)에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유도 회전체(150)는, 유도 회전체(150)에 대한 전자기 유도 작용이, 유도 회전체(150)의 회전 저항을 상회할 때만 로터(120)에 연동해서 회전한다. 그 때문에, 유도 회전체(150)의 회전이 부채형 기어(600)에 걸려 정지한 후에도, 로터(120)는 역회전을 계속한다.
부채형 기어(600)가 기어(710)의 기단부에 맞닿는 위치까지 회동한 상태에서 로터(120)가 역회전하면, 로터(120)의 역회전 제동부(121a)가 부채형 기어(600)의 역회전 시 걸림편(620)에 충돌한다. 이 충격에 의해, 로터(120)의 회전 방향은 정회전으로 수정된다.
도 6은, 모터(100)가 정회전 했을 때의 필터 기구(F)의 동작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모터(100)가 정회전하면, 이것에 연동해서 유도 회전체(15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유도 회전체(150)의 기어부(153a)에 맞물리는 부채형 기어(60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또한, 이때, 코일 스프링(690)은, 부채형 기어(600)에 인장되어, 부채형 기어(60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부채형 기어(600)를 밀어붙인다.
부채형 기어(600)의 정회전 시 걸림편(635)이 기어(710)의 외주면에 맞닿는 위치까지 부채형 기어(600)가 회동하면, 부채형 기어(600)는 더 이상 회동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부채형 기어(600)와 맞물리는 유도 회전체(150)도, 그 이후의 회전이 부채형 기어(600)에 의해 걸림 정지된다. 또한, 이 경우에도 로터(120)는 정회전을 계속한다.
부채형 기어(600)의 정회전 시 걸림편(635)이 기어(710)의 외주면에 맞닿으면, 기어(710)의 걸림 결합 돌기(711)가 정회전 시 걸림편(635)에 걸림 결합함으로써, 기어(710)의 회전이 걸림 정지된다. 또한, 모터(100)가 정회전했을 때는, 기어(710)는, 필터 기어(321)로부터 역류해 온 구동력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한다.
기어(710)의 시계 방향의 회전이 걸림 정지되면, 이것에 연동하여, 기어(720)와 필터 기어(321)(내측 기어 부재(320))의 회전도 걸림 정지된다. 이에 의해, 제1 경로(P1)에 모터(100)의 구동력이 전달되게 된다.
(클러치 기구)
이하,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배수 밸브 구동 장치(900)의 클러치 기구(C)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배수 밸브(V)를 구동하고 있을 때의 클러치 기구(C)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도 8을 화살표 B 방향에서 본 도)이며, 도 8은 클러치 기구(C)의 동일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도 7을 화살표 A 방향에서 본 도)이다. 또한, 배수 밸브 구동 장치(900)를 정지했을 때도, 클러치 기구(C)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상태가 된다. 도 9는, 배수 밸브(V)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때의 클러치 기구(C)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도 10을 화살표 B 방향에서 본 도)이며, 도 10은 클러치 기구(C)의 동일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도 9를 화살표 A 방향에서 본 도)이다. 또한, 도 8 및 도 10에서는, 기어(420)의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클러치 기구(C)는, 제1 경로(P1)에 의한 모터(100)의 구동력의 전달을 「계속」 상태 또는 「중단」 상태로 전환하는 기구이다. 클러치 기구(C)는, 주로, 모터(100)의 로터 보스(122), 제1 경로(P1)에서 로터 보스(122)의 종동측에 인접하는 기어 부재인 클러치 기어(200), 대략 부채형의 판상 부재인 클러치 레버(50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클러치 레버(500)는, 배수 밸브(V)의 개폐 상태에 맞추어, 그 기단부의 지지축(136)을 회동 중심으로 해서 소정의 각도 범위 내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부재이다.
로터 보스(122) 및 클러치 기어(200)는, 로터 지지축(131)에 의해 동축선 상에서 지지되어 있다. 클러치 기어(200)의 축방향 위치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클러치 기어(200)는, 로터 지지축(131) 상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로터 보스(122)의 클러치 기어(200)측의 단부면인 상면(122s)과, 클러치 기어(200)의 로터 보스(122)측의 단부면인 하면(200s)과의 사이에는, 이들을 이격 방향으로 밀어붙이는 밀어붙임 부재인 코일 스프링(250)이 로터 지지축(131)에 권회되어 배치되어 있다.
로터 보스(122)의 상면(122s)에는, 클러치 기어(200)측에 돌출된 복수의 볼록부인 구동측 결합 갈고리(122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클러치 기어(200)의 하면(200s)에는, 로터 보스(122)측에 돌출된 복수의 볼록부인 종동측 결합 갈고리(210)가 형성되어 있다. 종동측 결합 갈고리(210)가 구동측 결합 갈고리(122a)에 걸림 결합함으로써, 모터(100)의 구동력은 클러치 기어(200)에 전달된다. 즉, 제1 경로(P1)가 「계속」 상태로 된다. 또한, 이들 종동측 결합 갈고리(210) 및 구동측 결합 갈고리(122a)의 걸림 결합이 해제됨으로써, 제1 경로(P1)는 「중단」 상태가 된다.
클러치 기어(200)는, 그 기어부(22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통 형상의 종동축(240)을 갖고 있다. 클러치 레버(500)는 그 하면에, 로터 보스(122)와 클러치 기어(200)와의 간격을 제어하는 캠인 슬로프부(510)를 갖고 있다. 슬로프부(510)는, 클러치 기어(200)의 종동축(240)이 접촉하는 테이퍼면(511)을 갖고 있다. 슬로프부(510)는, 테이퍼면(511)으로 클러치 기어(200)의 종동축(240)을 압박함으로써, 클러치 기어(200)의 축방향 위치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수 밸브(V)의 개방 시에는, 클러치 기어(200)를 압박해서 그 축방향 위치를 내림으로써, 종동측 결합 갈고리(210)를 구동측 결합 갈고리(122a)에 걸림 결합시켜, 배수 밸브(V)의 개방이 완료되고, 그 개방 상태를 유지할 때는, 압박을 해제해서 종동측 결합 갈고리(210)를 구동측 결합 갈고리(122a)로부터 이격시킨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로프부(510)의 테이퍼면(511)은, 로터 보스(122)와 클러치 기어(200)가 이격되어 있을 때의 종동축(240)의 위치(도 10의 좌측)로부터, 이들이 걸림 결합하고 있을 때의 종동축(240)의 위치(도 10의 우측)를 향해서, 순서대로, 면 위치가 점차 높아지는 제1 테이퍼면(511a)과, 정상부를 거쳐서 면 위치가 점차 낮아지는 제2 테이퍼면(511b)을 갖고 있다. 또한, 제2 테이퍼면(511b)에서의 면 위치의 저하량(D)은, 제1 테이퍼면(511a)에서의 면 위치의 상승량(U)보다도 작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 보스(122)와 클러치 기어(200)를 걸림 결합시켰을 때, 제1 테이퍼면(511a)과는 역방향으로 경사진 제2 테이퍼면(511b)으로 종동축(240)을 지지함으로써, 장치의 진동 등의 여파로 클러치 기어(200)가 제1 테이퍼면(511a)을 내려가버리는 것이 억제되어 있다. 즉, 제1 테이퍼면(511a)은, 클러치 기어(200)를 로터 보스(122)와 걸림 결합시키거나(종동측 결합 갈고리(210)를 구동측 결합 갈고리(122a)와 걸림 결합시키거나), 또는, 클러치 기어(200)를 로터 보스(122)로부터 이격하기(종동측 결합 갈고리(210)를 구동측 결합 갈고리(122a)로부터 이격하기) 위한 테이퍼면이며, 제2 테이퍼면(511b)은, 클러치 기어(200)와 로터 보스(122)와의 걸림 결합 상태(종동측 결합 갈고리(210)와 구동측 결합 갈고리(122a)와의 걸림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테이퍼면이다.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420)의 상면(420a)에는, 그 둘레 방향 위치에 따라 홈 폭을 바꾸어서 형성된 대략 원호 형상의 홈부인 캠 홈(423)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클러치 레버(500)의 하면에는, 기어(420)와 그 수평 방향에서의 위치가 겹치는 부분에, 하방으로 돌출된 축부인 종동축(530)이 형성되어 있다. 클러치 레버(500)의 종동축(530)은, 기어(420)의 캠 홈(423)에 감합되어 있다. 즉, 기어(420) 및 클러치 레버(500)는 표면 캠을 구성하고 있다. 클러치 레버(500)는, 기어(420)의 캠 종동절이며, 기어(420)의 회동에 추종하여, 수평 방향에서의 소정의 각도 범위 내를 왕복 이동한다.
또한, 클러치 레버(500)에는, 로터 지지축(131)이 삽입 관통되는 긴 구멍인 가이드 구멍(540)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구멍(540)은, 클러치 레버(500)의 가동 범위 내에서, 로터 지지축(131)과 위치가 겹치는 부분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구멍(540)은 슬로프부(510)에 달하고 있고, 이 때문에, 슬로프부(510)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가이드 구멍(540)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환 형상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이 환 형상의 돌기의 클러치 기어(200)측의 면에 슬로프부(510)의 테이퍼면(511)(제1 테이퍼면(511a)과 제2 테이퍼면(511b))이 형성되어 있다. 슬로프부(510)의 내측에 위치하는 가이드 구멍(540)에 로터 지지축(131)이 삽입 관통되어 있기 때문에, 클러치 기어(200)의 종동축(240)은, 로터 지지축(131)에 대하여 양측에 위치하는 테이퍼면(511)과 미끄럼 접촉하여, 로터 지지축(131)의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클러치 레버(500)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볼록부인 걸림편(52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클러치 기어(200)에는, 그 종동축(240)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볼록부인 피걸림편(230)이 설치되어 있다. 배수 밸브(V)의 개방 시에는, 클러치 기어(200)의 피걸림편(230)이, 클러치 레버(500)의 걸림편(520)과 둘레 방향으로 걸림 결합함으로써, 클러치 기어(200)는 그 회전이 걸림 정지된다. 또한, 클러치 기어(200)의 피걸림편(230)은, 평면에서 보아 점대칭으로 2개 형성되어 있다. 클러치 기어(200)의 역회전이 클러치 레버(500)에 저지됨으로써, 배수 밸브(V)의 개방 후에, 배수 밸브(V) 자체의 밀어붙임 힘에 저항해서 배수 밸브(V)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 밸브(V)를 개방할 때는, 클러치 레버(500)의 슬로프부(510)에서 클러치 기어(200)가 하방으로 압박됨으로써, 종동측 결합 갈고리(210)가 구동측 결합 갈고리(122a)에 걸림 결합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1 경로(P1)가 「계속」 상태로 되고, 모터(100)의 구동력으로 배수 밸브(V)가 개방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 밸브(V)의 개방 후, 그 개방 상태를 유지할 때는, 클러치 레버(500)에 의한 클러치 기어(200)의 압박이 해제되고, 종동측 결합 갈고리(210)가 구동측 결합 갈고리(122a)로부터 이격된다. 이에 의해 제1 경로(P1)는 「중단」 상태가 되고, 로터 보스(122)는 공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클러치 기어(200)의 피걸림편(230)이, 클러치 레버(500)의 걸림편(520)과 둘레 방향으로 걸림 결합하여, 클러치 기어(200)의 역회전이 저지된다. 이에 의해, 배수 밸브(V) 자체의 밀어붙임 힘에 저항해서 배수 밸브(V)의 개방 상태가 유지된다.
여기서, 코일 스프링(250)은, 클러치 기어(200)와, 클러치 기어(200)가 맞물리는 유성 기어 기구(300)의 입력 기어부(311)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미끄럼 이동 저항, 및 클러치 기어(200)와 로터 지지축(131)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미끄럼 이동 저항에 의해서는, 그 신장이 방해받지 않는 크기의 밀어붙임 힘을 갖고 있다. 즉, 코일 스프링(250)의 밀어붙임 힘은, 클러치 기어(200)가 맞물리는 유성 기어 기구(300)의 입력 기어부(311)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미끄럼 이동 저항, 및 클러치 기어(200)와 로터 지지축(131)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미끄럼 이동 저항에 저항하고, 클러치 기어(200)를 이격 방향으로 이동시켜 종동측 결합 갈고리(210)를 구동측 결합 갈고리(122a)로부터 이격하기에 충분한 밀어붙임 힘을 갖게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의 코일 스프링(250)에는, 선 직경(φ)이 0.23, 코일 내경이 φ1.8, 자유 길이가 8.5mm, 유효 권취수가 8, 총 권취수가 10, 밀착 높이가 2.53mm, 스프링 하중이 50 내지 85gf이며, 용수철 상수가 0.3N/mm 이상인 코일 스프링이 사용되었다. 배수 밸브(V) 자체의 밀어붙임 힘에 대하여 코일 스프링(250)의 밀어붙임 힘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상기 미끄럼 이동 저항에 의해, 클러치 기어(200)가 빠르게 피걸림 상태(클러치 기어(200)의 역회전이 클러치 레버(500)의 걸림편(520)에 의해 저지된 상태)로 이행할 수 없어, 배수 밸브(V)가 그 밀어붙임 힘에 의해 폐색되어버릴 우려가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코일 스프링(250)은, 상기 미끄럼 이동 저항에 의해서는 그 신장이 방해받지 않는 크기의 밀어붙임 힘을 갖고 있음으로써, 이러한 문제가 방지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클러치 기어(200)의 축선 방향에서의 피걸림편(230)의 돌출 길이는, 클러치 레버(500)의 슬로프부(510)에 접촉하지 않는 범위에서 최대의 길이로 되어 있다. 클러치 기어(200)의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배수 밸브(V)의 개방 후, 클러치 기어(200)는 즉시 피걸림 상태로 이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걸림편(230)의 축선 방향의 돌출 길이가 최대화되어 있음으로써, 클러치 레버(500)의 걸림편(520)과 클러치 기어(200)의 피걸림편(230)과의 간격이 짧게 되어 있어, 보다 빠르게 피걸림편(230)을 걸림편(520)에 걸림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클러치 기어(200)의 피걸림편(230)이 클러치 레버(500)의 걸림편(520)에 급격하게 충돌하여, 클러치 기어(200)가 하방으로 튄 경우에도, 이들의 걸림 결합 상태를 최대한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클러치 기어(200)와, 클러치 기어(200)에 맞물리는 태양 기어 부재(310)는, 폴리아세탈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클러치 기어(200) 및 이것에 맞물리는 태양 기어 부재(310)에 미끄럼 이동성이 높은 수지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클러치 기어(200)와 태양 기어 부재(310)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미끄럼 이동 저항이 억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클러치 기어(200)가, 모터(100)의 출력축인 로터 보스(122)와 맞물려 있어, 유성 기어 기구(300)를 포함하는 감속 기어열의 입력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경로(P1) 중, 작용하는 토크가 가장 작은 위치에 클러치 기어(200)가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클러치 기어(200)와 입력 기어부(311)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미끄럼 이동 저항이 최소화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들의 구성에 의해, 클러치 기어(200)를 보다 빠르게 피걸림 상태로 이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배수 밸브 구동 장치(900)에서는, 클러치 기구(C)가 간이한 구성으로 실장되어 있음으로써, 배수 밸브 구동 장치(900)의 소형화가 실현되어 있다.
(배수 밸브 구동 장치의 동작)
이하, 배수 밸브 구동 장치(9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배수 밸브 구동 장치(900)의 동작을, 초기 상태(폐색 위치)에 있는 배수 밸브(V)를 개방할 때의 동작, 및 개방 상태에 있는 배수 밸브(V)를 폐색할 때의 동작으로 나누어서 설명한다.
(1) 배수 밸브 개방 동작
배수 밸브(V)는, 초기 상태(와이어(450)가 윈치 부재(430)에 감겨 있지 않은 상태)에서 폐색 위치에 있다. 이때, 클러치 레버(500)는, 그 슬로프부(510)에서 클러치 기어(200)를 밀어 내리고 있고, 클러치 기어(200)의 종동측 결합 갈고리(210)는, 로터 보스(122)의 구동측 결합 갈고리(122a)에 걸림 결합한 상태에 있다. 즉, 클러치 기구(C)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고, 제1 경로(P1)는 「계속」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 모터(100)가 정회전 방향으로 구동되면, 로터 보스(122)와 함께 클러치 기어(200)가 회전한다. 그리고, 로터(120) 내에 배치된 유도 회전체(150)도, 로터(120)에 연동해서 회전한다. 유도 회전체(150)가 회전하면, 그 기어부(153)에 맞물리는 부채형 기어(600)가 회동한다. 이때, 부채형 기어(600)는, 코일 스프링(690)의 밀어붙임 힘에 저항하여, 정회전 시 걸림편(635)이 기어(710)(걸림 결합 돌기(71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정회전 시 걸림편(635)이 걸림 결합 돌기(711)에 걸림 결합하면, 기어(710)의 회전이 걸림 정지된다. 기어(710)의 회전이 걸림 정지되면, 기어(710)에 맞물리는 기어(720)의 회전도 걸림 정지된다. 기어(720)의 회전이 걸림 정지되면, 기어(720)에 맞물리는 필터 기어(321), 즉 내측 기어 부재(320)의 회전도 걸림 정지된다. 즉, 필터 기구(F)에 의해, 내측 기어 부재(320)의 각도 위치가 고정되고, 제1 경로(P1)가 모터(100)의 정회전 구동력을 전달 가능한 상태로 된다. 또한, 부채형 기어(600) 및 기어(710)가 걸림 결합함으로써 유도 회전체(150)가 회전 불능이 된 후에도, 로터(120)는 유도 회전체(150)와는 비동기로 정회전을 계속한다.
클러치 기어(200)의 기어부(220)는, 유성 기어 기구(300)의 입력 기어부(311)와 맞물려 있다. 클러치 기어(200)의 회전은, 입력 기어부(311)를 거쳐서 태양 기어(312)에 전달되어, 태양 기어 부재(312)가 회전한다.
태양 기어(312)는, 유성 기어 기구(300)의 내부에서 3개의 유성 기어(331)와 맞물려 있다. 또한, 이들 유성 기어(331)는, 내측 기어 부재(320)의 내측 기어(322)와도 맞물려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 기어 부재(320)는, 필터 기구(F)에 의해 그 각도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 있다. 그 때문에, 태양 기어(312)가 회전하면, 유성 기어(331)는, 내측 기어 부재(320)의 내측 기어(322)를 따라 태양 기어(312)의 둘레를 공전한다. 유성 기어(331)가 공전하면, 유성 기어(331)를 지지하는 유성 캐리어(330)와 함께, 유성 기어 기구(300)의 출력 기어(333)가 회전한다.
또한, 모터(100)가 역회전했을 때는, 필터 기구(F)가 내측 기어 부재(320)의 회전을 걸림 정지시키지 않기 때문에, 가령 태양 기어(312)가 회전했다고 해도, 그 태양 기어(312)의 회전은, 유성 기어(331)의 자전을 거쳐서 내측 기어 부재(320)의 공회전에 의해 소비된다. 유성 기어 기구(300)의 출력 기어(333)에는, 제1 경로(P1)를 통해서 배수 밸브(V) 자체의 밀어붙임 힘이 작용하고 있어, 입력 기어부(311)에 전달된 구동력이, 회전 저항이 적은 내측 기어 부재(320)측으로 흘러가버리기 때문이다.
출력 기어(333)에는 기어(410)가 맞물려 있고, 기어(410)에는 기어(420)가 맞물려 있다. 기어(420)의 상면에는, 기어(420)와 둘레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윈치 부재(430)가 설치되어 있다. 윈치 부재(430)가 회동하면, 윈치 부재(430)에 접속된 와이어(450)가 권취된다. 와이어(450)의 선단에는 배수 밸브(V)가 고정되어 있고, 이에 의해, 배수 밸브(V)가 개방된다.
기어(420)가 소정 위치까지 회동하면(와이어(450)가 소정량 권취되면), 기어(420)의 캠 종동절인 클러치 레버(500)가, 기어(42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클러치 기구(C)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는 상태로 된다.
클러치 레버(500)의 이동에 의해, 클러치 기어(200)의 압박은 해제되고, 클러치 기어(200)는 코일 스프링(250)의 밀어붙임 힘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클러치 기어(200)의 종동측 결합 갈고리(210)와, 로터 보스(122)의 구동측 결합 갈고리(122a)와의 걸림 결합이 해제되고, 모터(100)의 구동력이 클러치 기어(200)에 전달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즉, 제1 경로(P1)는 「중단」 상태로 된다.
또한, 클러치 레버(500)의 상기 이동에 의해, 클러치 기어(200)의 피걸림편(230)이, 클러치 레버(500)에 설치된 걸림편(520)에 둘레 방향으로 맞닿는다. 즉, 클러치 기어(200)의 회전이 클러치 레버(500)에 의해 걸림 정지된 상태로 된다. 클러치 기어(200)의 회전이 걸림 정지되면, 제1 경로(P1)를 구성하는 클러치 기어(200) 이후의 부재의 각도 위치도 고정된다. 또한, 이때도, 필터 기구(F)는 내측 기어 부재(320)의 회전을 걸림 정지시키고 있고, 제1 경로(P1)에는 배수 밸브(V) 자체의 밀어붙임 힘이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클러치 기어(200)의 회전은 클러치 레버(500)에 의해 걸림 정지되어 있기 때문에, 클러치 기어(200)가 역회전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배수 밸브(V) 자체의 밀어붙임 힘에 저항해서 배수 밸브(V)의 개방 상태가 유지된다.
(2) 배수 밸브 폐색 동작
배수의 완료 후, 배수 밸브(V)를 폐색시킬 때는, 모터(100)로의 급전을 정지한다. 모터(100)로의 급전을 정지함으로써, 모터(100)에 의한 유도 회전체(150)의 전자기 유도력이 소실된다. 이에 의해, 부채형 기어(600)가 코일 스프링(690)의 밀어붙임 힘에 밀려서 원위치로 복귀되고, 부채형 기어(600)로부터 기어(710), 기어(720), 그리고 필터 기어(321)에 계속되는 걸림 정지 관계가 해제된다. 즉, 필터 기구(F)가 무효화되어, 내측 기어 부재(320)가 공회전 가능한 상태로 된다.
배수 밸브(V)에는 항상, 배수 밸브(V)를 폐색시키는 방향으로 밀어붙임 힘이 작용하고 있다. 그 때문에, 필터 기구(F)가 무효화되고, 내측 기어 부재(320)가 공회전 가능해지면, 배수 밸브(V)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견인력은 내측 기어 부재(320)의 공회전에 의해 소실된다. 이에 의해 배수 밸브(V)는, 배수 밸브(V) 자체의 밀어붙임 힘에 의해 폐색된다.
또한, 배수 밸브(V)의 폐색 방향으로 기어(420)가 회동하면, 클러치 레버(500)는 기어(42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클러치 기구(C)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는 상태에서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클러치 기어(200)의 종동측 결합 갈고리(210)가, 로터 보스(122)의 구동측 결합 갈고리(122a)에 걸림 결합하여, 모터(100)의 구동력이 클러치 기어(200)에 전달되는 상태가 된다. 즉, 제1 경로(P1)가 「계속」 상태로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전혀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개변이 가능하다.
900 : 배수 밸브 구동 장치 P1 : 제1 경로(동력 전달 경로)
P2 : 제2 경로 C : 클러치 기구
F : 필터 기구 V : 배수 밸브
100 : 모터
122 : 로터 보스(모터의 출력축(하나의 회전체))
122a : 구동측 결합 갈고리 122s : 상면(클러치 기어측의 단부면)
131 : 로터 지지축 150 : 유도 회전체
153 : 보스부 153a : 기어부
200 : 클러치 기어 200s : 하면(회전체측의 단부면)
210 : 종동측 결합 갈고리 220 : 기어부
230 : 피걸림편 250 : 코일 스프링(밀어붙임 부재)
300 : 유성 기어 기구 310 : 태양 기어 부재
310a : 내통 310b : 외통
311 : 입력 기어 312 : 태양 기어
320 : 내측 기어 부재 321 : 필터 기어
322 : 내측 기어 330 : 유성 캐리어
331 : 유성 기어 332 : 유성 지지부
333 : 출력 기어 500 : 클러치 레버
510 : 슬로프부 511 : 테이퍼면
511a : 제1 테이퍼면 511b : 제2 테이퍼면
520 : 걸림편

Claims (15)

  1. 구동원인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피구동체인 배수 밸브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경로와,
    상기 동력 전달 경로에 의한 구동력의 전달을 「계속」 상태 또는 「중단」 상태로 전환하는 클러치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클러치 기구는, 상기 배수 밸브의 개폐 상태에 맞춰서 왕복 동작하는 클러치 레버와, 상기 동력 전달 경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하나의 회전체와, 상기 동력 전달 경로에서 상기 회전체의 종동측에 인접하는 기어 부재인 클러치 기어를 갖고 있으며,
    상기 회전체 및 상기 클러치 기어는 동축선 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클러치 기어는 해당 축선 상을 이동 가능하고, 상기 회전체와 상기 클러치 기어와의 사이에는, 이들을 이격 방향으로 밀어붙이는 밀어붙임 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체의 상기 클러치 기어측의 단부면에는, 해당 클러치 기어측에 돌출된 볼록부인 구동측 결합 갈고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클러치 기어의 상기 회전체측의 단부면에는, 해당 회전체측에 돌출된 볼록부인 종동측 결합 갈고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클러치 레버는, 상기 회전체와 상기 클러치 기어와의 간격을 제어하는 슬로프부를 갖고 있으며, 해당 슬로프부는, 상기 배수 밸브의 구동 시에는, 상기 클러치 기어를 상기 회전체측에 압박해서 상기 종동측 결합 갈고리를 상기 구동측 결합 갈고리에 걸림 결합시키고, 상기 배수 밸브의 구동 완료 시에는, 해당 압박을 해제해서 상기 종동측 결합 갈고리를 상기 구동측 결합 갈고리로부터 이격하는 테이퍼면을 갖고 있으며,
    상기 클러치 레버는 또한, 상기 배수 밸브의 구동 후에 있어서의 상기 클러치 기어의 역회전을 저지해서 해당 배수 밸브의 구동 완료 시의 상태를 유지하는 걸림편을 갖고 있으며, 상기 클러치 기어는, 해당 걸림편에 걸림 결합하는 피걸림편을 갖고 있으며,
    상기 슬로프부의 상기 테이퍼면은, 상기 회전체 및 상기 클러치 기어의 이격 시에 있어서의 상기 클러치 기어와의 접촉부로부터, 상기 회전체 및 상기 클러치 기어의 걸림 결합 시에 있어서의 상기 클러치 기어와의 접촉부를 향해서, 순서대로, 면 위치가 점차 높아지는 제1 테이퍼면과, 정상부를 거쳐서 면 위치가 점차 낮아지는 제2 테이퍼면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제2 테이퍼면에 의한 면 위치의 저하량은, 상기 제1 테이퍼면에 의한 면 위치의 상승량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밸브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어붙임 부재는, 상기 클러치 기어와, 해당 클러치 기어에 접촉하는 다른 부재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미끄럼 이동 저항에 의해 신장을 방해받지 않는 크기의 밀어붙임 힘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밸브 구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기어의 축선 방향에서의 상기 피걸림편의 돌출 길이는, 상기 클러치 레버의 상기 슬로프부에 접촉하지 않는 범위에서 최대의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밸브 구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모터의 출력축이며, 상기 동력 전달 경로는 감속 기어열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밸브 구동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경로는 유성 기어 기구를 갖고 있으며,
    상기 유성 기어 기구는, 평 기어인 입력 기어가 외주면에 형성된 외통과, 태양 기어인 내통이, 이들의 한쪽 단부에서 결합된 이중 통 구조의 태양 기어 부재와,
    상기 복수의 유성 기어를 지지하는 유성 지지부, 및 해당 유성 지지부로부터 상기 유성 기어 기구의 외부로 연장된, 상기 유성 지지부와 회전 중심을 동일하게 하는 평 기어부인 출력 기어가 일체화된 유성 캐리어 부재를 갖고 있으며,
    상기 클러치 기어는, 상기 태양 기어 부재의 상기 입력 기어와 맞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밸브 구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정회전 시의 구동력만을 상기 동력 전달 경로에 전달하는 필터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유성 기어 기구는 또한, 해당 유성 기어 기구의 외부에 노출된 평 기어인 필터 기어를 갖고, 내주면에 내측 기어가 형성된 내측 기어 부재를 갖고 있으며,
    상기 필터 기구는, 상기 모터의 정회전 시에만 상기 필터 기어의 회전을 걸림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모터의 정회전 시의 구동력만을 상기 동력 전달 경로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밸브 구동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이퍼면은, 상기 클러치 기어의 상기 종동측 결합 갈고리를 상기 회전체의 상기 구동측 결합 갈고리에 대하여 걸림 결합 또는 이격하기 위한 테이퍼면이며,
    제2 테이퍼면은, 상기 클러치 기어의 상기 종동측 결합 갈고리와 상기 회전체의 상기 구동측 결합 갈고리와의 걸림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테이퍼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밸브 구동 장치.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기어와, 해당 클러치 기어에 맞물리는 다른 기어 부재는, 폴리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밸브 구동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로터 지지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기 모터의 로터를 구성하는 로터 보스이며, 상기 클러치 기어도 상기 로터 지지축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밀어붙임 부재는, 상기 로터 보스에 형성된 상기 구동측 결합 갈고리와 상기 클러치 기어에 형성된 상기 종동측 결합 갈고리와의 사이에서 상기 로터 지지축에 권회된 코일 스프링이며,
    상기 코일 스프링의 밀어붙임 힘은, 상기 클러치 기어와, 해당 클러치 기어에 접촉하는 다른 부재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미끄럼 이동 저항에 저항해서 상기 클러치 기어를 상기 로터 지지축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크기의 밀어붙임 힘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밸브 구동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경로는 유성 기어 기구를 갖고 있으며,
    상기 유성 기어 기구는, 평 기어인 입력 기어가 외주면에 형성된 외통과, 태양 기어인 내통이, 이들의 한쪽 단부에서 결합된 이중 통 구조의 태양 기어 부재와,
    상기 복수의 유성 기어를 지지하는 유성 지지부, 및 해당 유성 지지부로부터 상기 유성 기어 기구의 외부로 연장된, 상기 유성 지지부와 회전 중심을 동일하게 하는 평 기어부인 출력 기어가 일체화된 유성 캐리어 부재를 갖고 있으며,
    상기 클러치 기어는, 상기 태양 기어 부재의 상기 입력 기어와 맞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밸브 구동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밀어붙임 힘은, 상기 클러치 기어가 맞물리는 상기 입력 기어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미끄럼 이동 저항, 및 상기 클러치 기어와 상기 로터 지지축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미끄럼 이동 저항에 저항하여, 상기 클러치 기어를 이격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종동측 결합 갈고리를 상기 구동측 결합 갈고리로부터 이격하기에 충분한 밀어붙임 힘을 갖게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밸브 구동 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70132951A 2016-10-13 2017-10-13 배수 밸브 구동 장치 KR1020227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01411A JP6772022B2 (ja) 2016-10-13 2016-10-13 排水弁駆動装置
JPJP-P-2016-201411 2016-10-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076A KR20180041076A (ko) 2018-04-23
KR102022774B1 true KR102022774B1 (ko) 2019-09-18

Family

ID=61935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2951A KR102022774B1 (ko) 2016-10-13 2017-10-13 배수 밸브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772022B2 (ko)
KR (1) KR102022774B1 (ko)
CN (1) CN1079400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50483B2 (ja) 2018-05-31 2022-10-11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バルブ駆動装置
JP7228339B2 (ja) * 2018-05-31 2023-02-24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バルブ駆動装置
JP7137452B2 (ja) * 2018-12-03 2022-09-14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バルブ駆動装置
JP7137451B2 (ja) * 2018-12-03 2022-09-14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バルブ駆動装置
CN110645322A (zh) * 2019-09-28 2020-01-03 于永利 一种内啮合行星轮式动力机
CN112664699B (zh) * 2020-11-17 2023-07-14 江苏新扬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双速电动风阀执行机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75404A (ja) * 2014-03-14 2015-10-05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排水弁駆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4774A (en) * 1977-11-21 1979-03-20 Westran Corporation Actuator device
JP2968204B2 (ja) * 1996-03-15 1999-10-25 株式会社シマノ 逆転ブレーキ装置付き内装ハブ
KR100420051B1 (ko) * 2000-06-26 2004-02-25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세이기 세이사꾸쇼 회전저지기구 및 기어드모터
JP4128894B2 (ja) * 2003-03-25 2008-07-30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弁体駆動装置
JP5372606B2 (ja) 2009-05-28 2013-12-18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歯車装置
CN201818872U (zh) * 2009-12-22 2011-05-04 特福隆集团有限公司 阀门电动执行器
CN102848745A (zh) * 2011-06-27 2013-01-0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离合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75404A (ja) * 2014-03-14 2015-10-05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排水弁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062987A (ja) 2018-04-19
CN107940080A (zh) 2018-04-20
KR20180041076A (ko) 2018-04-23
CN107940080B (zh) 2019-07-12
JP6772022B2 (ja) 202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2774B1 (ko) 배수 밸브 구동 장치
KR100936289B1 (ko) 컴팩트한 구성을 갖는 스타터
JP5991189B2 (ja) スタータ用電磁スイッチ
JP6064577B2 (ja) スタータ用電磁スイッチ
US6763735B2 (en) Starter device
JP2006336491A (ja) スタータ
US8091443B2 (en) Speed reduction type starter for engines
JP4572912B2 (ja) スタータ
JP2015195637A (ja) 排水弁駆動装置
PL202074B1 (pl) Rozrusznik
JP5765974B2 (ja) スタータ
CN210007551U (zh) 一种驱动装置
KR102158255B1 (ko) 배수밸브 구동장치
JP2013232997A (ja) モータアクチュエータ
JP2003061306A (ja) ギヤードモータ
JP2017155901A (ja) クラッチ機構および排水弁駆動装置
JP5874288B2 (ja) スタータ
JP3716227B2 (ja) ギヤードモータ
KR102171558B1 (ko) 모터 유닛
CN108026887B (zh) 用于内燃机的起动器
JP2008014196A (ja) スタータ
JP5919715B2 (ja) スタータ
KR20030049040A (ko) 기어드모우터
KR950007660Y1 (ko) 스타터 장치
WO2017150180A1 (ja) クラッチ機構および排水弁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