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0051B1 - 회전저지기구 및 기어드모터 - Google Patents

회전저지기구 및 기어드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0051B1
KR100420051B1 KR10-2001-0034895A KR20010034895A KR100420051B1 KR 100420051 B1 KR100420051 B1 KR 100420051B1 KR 20010034895 A KR20010034895 A KR 20010034895A KR 100420051 B1 KR100420051 B1 KR 100420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rotor
ring
clutch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4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1547A (ko
Inventor
오와준지
테라다요시아키
아카바네토쿠유키
마츠시마순지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세이기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915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73114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94167A external-priority patent/JP364226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341097A external-priority patent/JP403451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42594A external-priority patent/JP4153668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세이기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세이기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20001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1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0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00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dynamo-electric clutch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회전저지기구는 축(27d)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궤적이 축방향에 대해 서로 다르면서 또한 상호 다른 종류로 된 여러종류의 결합부(27a, 27b)를 구비한 회전부재(27)와; 상기 여러종류의 결합부(27a, 27b) 각각의 회전궤적에 대해 전진후퇴가 가능하며, 상기 회전궤적에 대해 전진하여 이 회전궤적에 진입함과 동시에 상기 여러 종류의 결합부(27a, 27b) 중 어느 한 곳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회전부재(27)의 회전동작을 저지하는 저지부(26)를 구비한 회전저지부재(25)를; 구비하며, 상기 저지부(26)는 상기 각 결합부(27a, 27b)와 결합하는 결합부위가 상기 여러종류의 결합부의 각 회전궤적에 따라 여러개 위치하고, 상기 여러종류의 결합부(27a, 27b)는 상기 회전부재(25)의 회전중심의 축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저지기구 및 기어드모터{ROTATION SUPPRESSING MECHANISM AND GEARED MOTOR}
본 발명은 주로 세탁기의 배수밸브나 환기선의 셔터 등을 구동하는 구동기구로서 이용되는 기어드 모터의 개략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자기유도방식을 이용한 클러치 시스템으로서 일본국 특개평 3-198638호가 알려져 있다.
이 일본국 특개평 3-198638호에 개시한 클러치 시스템에 의하면 클러치로서 유성치차기구를 이용하고, 로터로부터의 회동력이 중간에 자기유도수단을 갖는 윤열에 의해 계지편을 구비한 조작체에 전달하며, 이 조작체가 회동됨으로써 계지편이 회전체 결합편의 회전궤적내로 침입하여 회전체의 회전이 저지됨으로써 유성치차기구에 의해 구성된 클러치가 이어지도록 구성된다. 이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회전체의 둘레방향 2곳에 계지편이 형성되지만 계지편의 회전궤적까지 개시되고 있지 않다. 회전체의 회전이 상술한 것과 같이 하여 저지되는 경우, 회전체의 결합편이 침입한 계지편의 같은 위치에 늘 충돌하기 때문에 결합부위가 심하게 마모하게 되어 제품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본 발명의 회전부재의 결합부와 회전저지부재의 저지부와의 결합부위가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충돌에 따른 마모가 일어나지 않도록 회전저지기구 및 이 회전저지기구를 이용한 기어드 모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 1목적으로 한다.
또 이 종래기술의 경우 로터를 정규의 회전방향으로 교정하기 위한 역전방지기구는 로터피니온에 맞물린 기어의 축 외주에 마찰접동하도록 장착된 역전방지부로 구성된다. 이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로터의 정규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 기어의 축 외주와 역전방지부와의 접동면에서 늘 마찰이 발생하고 있어 이 마찰에 의해 접동면이 마모하게 되어 제품수명이 짧아지게 된다. 또 마찰에 의한 마찰음의 문제도 피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역전방지용 부재를 구동하기 위해 마찰접동을 일체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역전방지기구의 장수명화를 도모한 기어드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제 2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 종래기술의 경우 마그네트 및 유도링만으로 자기유도를 행하고 있기 때문에 마그네트와 유도링의 사양변경에 의한 구성상의 자유도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자석과 유도링 외에 자기유도력을 어시스트하는 어시스트수단을 구비함으로써 구성상의 자유도가 증가하고, 어시스트수단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충분한 자기유도력을 확보할 수 있는 기어드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제 3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회전저지기구에 있어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화살표 II-II단면도.
도 3은 도 1의 회전저지기구의 회전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회전저지기구에 있어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회전저지기구를 이용한 기어드 모터장치의 내부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기어드 모터장치에서 커버 및 케이스 윗덮개를 분리한 상태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어드 모터에 있어 역전방지기구부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평면도로서, (a)는 비통전이 되는 초기시에 있어 역전방지용 부재와 로터와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도면, (b)는 초기시부터 로터가 정규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 상태의 역전방지용 부재와 로터와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도면, (c)는 초기시부터 로터가 정규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 상태의 역전방지용 부재와 로터와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1의 기어드 모터의 주요부가 되는 링모양 마그네트가 부착된 로터및 비자성 도전링이 부착된 유도회전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기어드 모터의 주요부가 되는 링모양 마그네트가 부착된 로터 및 비자성 도전링이 부착된 유도회전체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회전저지기구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궤적이 축방향에 대해 서로 다르면서 또한 상호 다른 종류로 된 여러종류의 결합부를 구비한 회전부재와; 상기 여러종류의 결합부 각각의 회전궤적에 대해 전진후퇴가 가능하며, 상기 회전궤적에 대해 전진하여 이 회전궤적에 진입함과 동시에 상기 여러 종류의 결합부 중 어느 한 곳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동작을 저지하는 저지부를 구비한 회전저지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저지부는 상기 각 결합부와 결합하는 결합부위가 상기 여러종류의 결합부의 각 회전궤적에 따라 여러개 위치하고, 상기 여러종류의 결합부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중심의 축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회전부재에 회전궤적이 다른 여러 종류의 결합부가 배치되고 있어 회전저지부재가 소정의 구동을 함으로써 저지부가 여러개인 결합부의 어느 하나와 그 때마다 각각 소정의 위치에서 결합하게 된다. 즉 종래의 회전저지기구이면 회전부재의 결합부는 하나밖에 없기 때문에 저지부의 소정위치가 매회 결합부의 같은 위치와 반복하여 부딪히게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회전궤적의 종류수 만큼 저지부의 결합부와의 접촉위치가 분산하는 구성이 된다. 이 때문에 회전저지부재의 저지부의 소정의 위치에서 마모가 저감된다. 또 회전부재의 결합부에 있어서는 그 설치된 개수만큼 저지부와의 접촉회수가 분산하는 가능성을 갖게 되므로 역시 그 접촉위치에서 마모가 저감된다. 이 결과 회전저지시에 있어 서로 부딪히는 양 부재의 접촉위치에서 마모가 저감되고, 마모를 원인으로 하는 회전저지시에 있어 결합불량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장기적인 사용에 견딜 수 있는 구조가 된다.
또 다른 발명은 상술한 회전저지기구에 있어서, 여러 종류의 결합부는 회전부재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등간격이며 축방향으로 다른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 때문에 각 결합부는 회전저지부재의 저지부에 결합할 때의 회전모멘트가 같게 설정되게 되어 어떤 결합부도 그 결합시에 있어 저지부에 대해 같은 힘으로 부딪히게 된다. 이 때문에 저지부의 여러개의 결합부위가 그 결합시에 있어 각각 같은 힘을 받게 되어 균등한 것이 된다.
또 다른 발명은 상술한 회전저지기구에 있어서 저지부는 각 결합부와의 결합부위를 반경방향에 있어 같은 위치 또한 축방향에 있어 다른 위치에 여러개 구비한 일련의 부위에서 형성한 것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같이 여러개의 결합부위를 구비한 저지부가 일련의 부위에서 형성됨으로써 이 저지부의 강도가 향상되게 된다.
또 다른 발명은 상술한 회전저지기구에 있어서 저지부는 부세부재에 의해 상시 회전궤적에서 밀려나가는 방향으로 부세됨과 동시에 다른 부재로부터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저지부재가 구동됨으로써 부세부재의 부세력에 능가하여 회전궤적내로 진입하도록 구성되며, 다른 부재로부터의 회전력을 소멸함으로써 부세부재의 부세력에 의해 회전궤적으로부터 밀려나가도록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술한 발명에 의하면 그 구성상 다른 부재로부터의 회전력을 소멸하여 저지부가 회전부재의 결합부의 회전궤적으로부터 밀려나갈 때 그 퇴출시키기 위한 부세수단의 부세력은 약하게 설정된다. 그 이유는 비회전 저지상태에서 회전저지상태로 이행할 경우 회전저지부재를 부세수단의 부세력에 능가하여 구동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부세부재의 부세력이 약하게 설정되고 있고, 본래 회전부재의 결합부와 회전저지부재의 저지부와의 이탈시에 있어서의 마찰결합은 대단한 것이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것과 같이 결합부를 여러개 구비하고 또한 저지부의 결합부위도 여러개 배치되어 이와같은 대단한 마찰결합을 분산시키도록 되어있다.
또 다른 발명은 상술한 회전저지기구에 있어서 회전저지부재는 구동원이 되는 로터에 대해 자기유도를 이용하여 연동하는 것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회전저지부재가 자기유도를 이용하여 로터에 종동하는 구성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회전저지부재가 회전부재의 회전을 저지하기 위해 구동될 때의 구동력은 매우 약한 것이 된다. 회전저지부재는 이 약한 구동력으로 부세부재의 부세력에 능가하여 회동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부세부재의 결합을 푸는 방향으로의 부세력은 또한 매우 약한 설정이 된다. 이 때문에 본래 회전부재의 결합부와 회전저지부재의 저지부와의 이탈시에 있어 마찰결합은 더욱 대단한 것이 되지만 이 발명에서는 상술한 것과 같은 구성이 되므로 이와같은 대단한 마찰결합을 분산시키도록 되어있다.
또 다른 발명은 상술한 회전저지기구에 있어서 회전저지부재와 회전부재를 같은 종류의 금속부재 혹은 같은 종류의 수지부재로 구성하고 있다. 본래적으로는 서로 마찰하는 부재끼리를 같은 종류의 부재로 구성하면 마찰접동이 심하게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것과 같이 마찰결합을 분산한 구성이 되므로 이와같이 서로 마찰하는 부재끼리를 같은 종류의 부재로 구성해도 그 만큼 마찰에 의해 부재에 손실이 일어나지 않는다.
또 본 발명의 기어드 모터는 로터와 출력축 사이에 배치되는 구동윤열내에 유성치차를 지지하는 유성치차 지지치차와, 유성치차와 맞물리는 태양치차 및 링치차로 이루어지는 유성치차기구로 구성된 클러치수단과, 이 클러치수단의 계단조작을 행하기 위한 클러치 조작기구를 구비하고, 이 클러치 조작기구의 일부로서 청구항 1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회전저지기구가 이용되며, 이 회전저지기구에 있어 회전부재의 저지동작에 의해 태양치차, 링치차 및 유성치차 지지치차 중 어느 하나의 회전을 저지함으로써 다른 2개의 치차를 통해 로터의 회전을 출력축에 전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 때문에 클러치 조작기구의 일부로서 기능하는 회전저지기구 부분의 마찰접동부위가 적절한 정도로 분산하여 소정부분만을 마찰에 의해 소모하지 않고 장기적인 사용에 견딜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기어드 모터는 구동윤열을 통해 출력축을 회전시키는 로터와, 이 로터의 회전에 따르도록 자기유도력을 이용하여 결합됨과 동시에 구동윤열을 구성하지 않는 동작부재를 갖고, 로터가 정규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동작부재의 회전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하며, 로터의 회전영역으로 들어가 로터의 역회전을 저지함과 동시에 로터가 부딪힐 때의 반동에 의해 로터를 강제적으로 정규 방향의 회전으로 변환시키는 역전방지용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즉 동작부재는 로터에 대해 자기유도력을 이용함으로써 비접촉으로 연결된 것으로 되어있다. 그 때문에 통상 회전시에 있어 로터 사이에서 접촉에 의한 마찰이 일체 발생하지 않고 역전방지기구의 장수명화를 도모한다. 또 마찰음도 발생하지 않는다.
또 본 발명의 기어드 모터는 로터에 구동윤열을 통해 연결되어 회전구동되는출력축과, 구동윤열중에 배치되어 로터와 출력축과의 구동연결을 계단하는 클러치수단과, 이 클러치수단을 계단조작하는 클러치 조작기구를 가지며, 이 클러치 조작기구는 로터와 일체적 또는 연동하여 회전하는 마그네트 혹은 비자성 도전체 중 어느 한쪽과, 이 한쪽에 자기유도에 의해 추수하여 회전하는 마그네트 혹은 비자성 도전체의 다른쪽으로 이루어지는 자기유도 회전수단을 가지며, 자기유도 회전수단의 다른쪽에 연동하여 동작하고, 상기 클러치수단을 잇는 조작을 함과 동시에 로터가 정규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이 역회전을 규제하여 정회전으로 변환시키는 역전방지용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기어드 모터에서는 역전방지용 부재가 연동클러치수단을 이음조작하는 기능과, 로터의 역회전을 규제하는 기능을 겸용하고 있어 부품 점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로터에 대해 자기유도력을 이용함으로써 비접촉으로 연결된 것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통상 회전시에 있어 동작부재와 로터 사이에서 접촉에 의한 마찰이 일체 발생하지 않고 내용연수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발명은 상술한 기어드 모터에 있어서 클러치수단은 유성치차를 지지하는 유성치차 지지치차와, 유성치차와 맞물리는 태양치차 및 링치차로 이루어지는 유성치차기구로 구성되며, 자기유도 회전수단의 다른쪽의 회전을 이용하여 태양치차, 링치차 및 유성치차 지지치차 중 어느 하나의 회전을 저지함으로써 다른 2개의 치차를 통해 로터의 회전을 출력축에 전달하고 있다.
또 다른 발명은 상술한 기어드 모터에 있어서 역전방지용 부재가 자기유도 회전수단의 다른쪽과 일체 회전하는 치차부재에 맞물리는 치차에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그 때문에 로터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하면 역전방지용 부재가 바로 동작을 개시하여 로터의 역회전을 조기에 저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발명은 상술한 기어드 모터에 있어서 상기 치차부재와 맞물리는 치차에 유성치차기구를 구성하는 각 치차 중 하나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규제부가 형성된다. 이와같이 유성치차기구를 구성하는 각 치차중 하나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규제부를 상기 치차에 일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부품점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어드 모터는 로터에 연결되어 회전구동되는 구동축과, 이 구동축과 로터와의 연결을 계단하는 클러치수단과, 이 클러치수단을 계단조작하는 클러치 조작기구를 갖고, 클러치 조작기구는 로터에 연동회전하는 링모양 마그네트 혹은 비자성 도전링 중 어느 한쪽과, 자기유도에 의해 이 한쪽에 추수하여 회전하는 다른쪽과, 비자성 도전링을 링모양 마그네트에서 끼우는 위치에 배치된 자성체의 백요크링을 구비하며, 추수회전하는 다른쪽에 연동하여 클러치수단을 잇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발명은 백요크링과 링모양 마그네트에서 비자성 도전링을 끼우도록 구성되므로 링모양 마그네트의 자속을 백요크링까지 이끌기 쉬워지게 되고, 백요크링과 교차하는 자속량의 증가에 의해 로터에서 보아 윤열의 뒤쪽에 위치하는 비자성 도전링 혹은 링모양 마그네트의 다른쪽을 추종회전시키기 위한 자기유도력이 강력한 것이 된다. 이 때문에 비자성 도전링 혹은 링모양 마그네트의 다른쪽이 부착되는 회전체가 한쪽이 부착된 회전체에 대해 확실하게 추종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클러치수단의 계단을 행하는 클러치 조작기구의 동작이 확실한 것이 되어 클러치수단의 이음을 확실하게 행한다.
또 다른 발명은 상술한 기어드 모터에 있어서 백요크링은 비자성 도전링이 부착된 회전체에 부착되고, 비자성 도전링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발명은 상술한 기어드 모터에 있어서 링모양 마그네트의 쓰러스트방향에서의 자기적 중심과, 백요크링의 쓰러스트방향에서의 자기적 중심을 소정위치에 일치 혹은 불일치시키도록 설정된다.
이와같이 백요크링과 링모양 마그네트의 서로의 자기적 중심을 소정위치에 설정함으로써 비자성 도전링 및 백요크링이 부착된 회전체의 회전위치를 소정위치에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자기적 중심의 어긋남을 이용하여 쓰러스트받이에 대해 강하게 접촉시켜 쓰러스트방향으로의 위치결정을 하거나, 또는 쓰러스트받이에서 뜨도록 설정하여 쓰러스트방향으로의 하중(부하)을 저감하거나 또는 자기적 중심을 일치시켜 적절한 쓰러스트압으로 하는 등 여러가지의 설정이 행해진다.
또 다른 발명은 상술한 기어드 모터에 있어서 백요크링은 링모양 마그네트가 부착된 회전체에 부착되고, 링모양 마그네트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그 때문에 링모양 마그네트와 백요크링과의 위치관계가 백요크링의 회전체에 부착함으로써 일의적으로 정해지고, 당연히 부착후는 양자의 상대적인 이동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양자의 자기적 중심을 설정하는 등의 위치맞춤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 양자를 각각 별개 부재에 부착한 경우는 양자가 상대적으로 이동하기 쉽고, 부착부재가 마찰 등에 의해 손상되는 경우도 있지만 상대적인 이동이 없기 때문에 이와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 다른 발명은 상술한 기어드 모터에 있어서 비자성 도전링과 백요크링 사이 혹은 비자성 도전링과 링모양 마그네트 사이에 간극부를 형성하고, 이 간극부에 점성체를 배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점성체의 찰기에 의해 비자성 도전링의 링모양 마그네트로의 추종회전을 더욱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발명은 상술한 기어드 모터에 있어서 클러치 조작기구는 클러치수단을 끊음에서 이음으로 변환하는 동작과, 클러치수단을 이음에서 끊음으로 변환할 때의 동작에 있어서, 간극부를 통해 대향하는 비자성 도전링과 백요크링 혹은 비자성 도전링과 링모양 마그네트의 상대속도가 다르도록 구성되고, 끊음에서 이음으로 할 경우에 그 회전속도가 빨라 점성체의 점성력이 더욱 강하게 작용함과 동시에 상기 이음에서 끊음으로 할 경우에 그 상대속도가 느려 상기 점성체의 점성력이 거의 작용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발명에 있어서 점성체로서 이용되는 그리스는 이 점성체를 통해 상대회전하는 부재 서로의 상대회전속도가 어느 속도 이하인 경우는 그 만큼 점성에 의한 힘이 강하지 않고, 어느 속도 이상인 경우는 점성에 의한 힘이 강해진다. 즉 고속회전에 의해 자기유도력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추종회전이 되는 경우는 그리스의 점성이 효과적으로 발휘되며 역으로 저속회전 혹은 회전정지에 의해 자기유도력이 작고(거의 없고) 추종회전이 되지 않은 경우는 그리스의 점성이 발휘되지 못한다. 이 때문에 자기유도력을 이용하여 클러치 조작기구를 동작시킬 경우에는 그리스가 효과적으로 자기유도력을 보조하고 또한 자기유도력에 의한 추종동작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리스가 발휘되지 않고 백요크링이 링모양 마그네트에 대해 프리하게 회전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 다른 발명은 상술한 각 기어드 모터에 있어서 비자성 도전링을 부착한 회전체의 베어링부를 로터에 배치하고 또한 이 베어링부에 점성체가 부착된다. 이 때문에 상술한 점성체의 점성에 의한 힘에 의해 비자성 도전링을 부착한 회전체의 로터에 대한 추종회전력을 더욱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클러치 조작기구의 클러치수단을 잇는 동작을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덧붙여서 로터의 반경방향 내측 혹은 외측에 비자성 도전링을 부착한 회전체를 배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장치 전체를 콤팩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발명은 상술한 각 기어드 모터에 있어서, 클러치 조작기구내에 스프링부재에 의해 한쪽의 회전방향으로 부세된 회동부재를 구비함과 동시에 이 회동부재는 로터의 구동력을 받아 링모양 마그네트 및 비자성 도전링의 한쪽이 고속으로 회전하고 다른쪽이 그 한쪽에 추수함으로써 스프링부재의 부세력에 맞서 다른쪽의 회전방향으로 회동함과 동시에 링모양 마그네트 및 비자성 도전링의 한쪽이 저속으로 회전 혹은 정지함으로써 다른쪽의 추수회전이 저속으로 되거나 정지한 경우에 스프링부재의 부세력에 의해 한쪽의 회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며, 회동부재를 스프링부재의 부세력에 맞서 다른쪽의 회전방향으로 회동시킬 때 또는 스프링부재의 부세력에 의해 한쪽의 회전방향으로 회동시킬 때 발열하도록 설정된 발열부재를 스프링부재의 근방에 배치하고, 스프링부재를 발열부재의 발열시와 비발열시에 그 스프링력이 변화하며, 그 스프링력이 이 스프링부재의 스프링력에 맞서 회동부재를 회동시킬 때 약해지도록 설정된 형상기억스프링으로 구성된다.
그 때문에 자기유도력에 의해 로터의 회동력을 회동부재에 전달하지 않는 경우는 스프링부재의 스프링력에 의해 클러치 조작기구를 강제적으로 또한 확실하게 초기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또한 스프링부재의 스프링력이 자기유도력을 이용하여 클러치 조작기구를 동작시킬 때 약한 힘으로 밖에 이 동작에 반작용하지 않고, 자기유도력에 의한 회동력의 전달을 정지하여 초기상태로 되돌리고자 할 경우에는 역으로 강하게 작용하도록 변화하는 형상기억스프링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상반하는 동작(스프링력에 맞서 자기유도력으로 회동부재를 회동시키는 동작과, 자기유도력에 의한 회동력의 전달을 정지하여 스프링력에 의한 회동부재의 회동동작)을 양쪽모두 확실하게 행한다.
또 본 발명의 기어드 모터는 로터에 연결되어 소정의 부하에 맞서 회전구동되는 출력축과, 이 출력축과 상기 로터 사이의 동력의 전달을 계단하는 클러치수단과, 이 클러치수단을 계단조작하는 클러치 조작기구를 가지며,
클러치수단은 상기 로터에서의 동력을 각각 별도 계열의 윤열에 전달가능한 2개의 치차를 구비하고, 이들 2개의 치차 중 일측의 치차의 회전을 클러치 조작기구에 의해 정지시킴으로써 이음상태가 되며, 타측의 치차에 연결된 구동윤열을 통해 출력축에 로터로부터의 동력의 전달을 행하도록 구성되고,
클러치 조작기구는 일측의 치차에 연결된 증속윤열과, 로터에 연동회전하는 마그네트 혹은 비자성 도전부재 중 어느 한쪽 및 자기유도에 의해 이 한쪽에 추수하여 회전하는 다른쪽으로 이루어지는 자기유도수단과, 자기유도수단의 다른쪽에연동하여 증속윤열의 일부를 구성하는 결합치차의 회전을 저지함으로써 클러치수단을 끊음에서 이음으로 변환함과 동시에 로터를 정지시켜 자기유도가 소멸함에 따라 결합치차와의 결합이 풀려 클러치수단을 이음에서 끊음으로 변환하는 클러치 변환부재를 구비하며, 증속윤열은 클러치수단이 이음에서 끊음으로 변환됨으로써 부하에 의해 로터의 구동력에 의한 출력축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출력축이 회전될 때 출력축의 회전을 클러치수단을 통해 받아 증속하면서 그 회전을 전달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이 증속윤열안의 회전부재에는 공기저항에 의해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날개부 또는 점성저항에 의해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점성체로 이루어지는 회전속도 조절수단이 배치된다.
그 때문에 증속윤열안의 회전부재에는 공기저항에 의해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날개부 또는 점성저항에 의해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점성체를 구비한다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증속윤열이 고속회전하려고 하면 할 수록 그 회전에 강한 제동력이 걸리게 된다.
다음 우선 본 발명의 회전저지기구에서의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3을 기초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회전저지기구(A)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단면도이다. 도 3은 회전부재의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회전저지기구(A)는 후술하는 모터(1)의 구동력에 의해 화살표 R1방향(도 1참조)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27)와, 이 회전부재(27)의 외주면에 형성된 2종류의 결합부(27a)(27b)(각 결합부(27a)(27b) 모두 4개씩 배치되므로모두 8개의 결합부가 배치된다) 중 어느 하나의 회전궤적(x1)(x2)으로 진입하여 회전부재(27)의 회전을 저지하는 저지부(26)를 구비한 회전저지부재가 되는 선치차(25) 로 구성된다.
회전부재(27)는 축(27d)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삽통됨과 동시에 치차윤열의 앞단 치차(도시생략)로부터 회전을 받기 위한 받이치차(27c)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회전부재(27)는 이 받이치차(27c)보다 외경이 큰 결합회전부(27e)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이 결합회전부(27e)의 외주면에는 도 1 및 도 3과 같이 회전궤적이 다른 2종류의 결합부(27a)(27b)가 형성된다.
결합부(27a)는 결합회전부(27e)의 외주면의 도 2에서 상측 절반에 약 90도 간격으로 4곳에 형성된다. 그 때문에 회전부재(27)가 화살표 R1방향으로 회전할 때 각 결합부(27a)의 회전궤적(x1)은 결합회전부(27)의 외주면에서 상측 절반에 형성되게 된다. 또한 이 결합부(27a)의 회전방향(R1)에서 앞쪽에는 저지부(26)와 결합한 상태에서 결합을 풀 때 더욱 스무스하게 풀기 위한 경사면(27aa)이 형성된다.
한편 결합부(27b)는 결합회전부(27e)의 외주면의 도 2에서 하측 절반 즉 상술한 결합부(27a)와는 축방향에 있어 다른 위치에 약 90도 간격으로 또한 둘레방향에 있어 상술한 각 결합부(27a)와 번갈아 지그재그모양이 되도록 4곳에 형성된다. 그 때문에 회전부재(27)가 화살표 R1방향으로 회전할 때의 각 결합부(27b)의 회전궤적(x2)은 결합회전부(27)의 외주면에서 하측 절반에 형성되게 된다. 또한 이 결합부(27b)의 회전방향(R1)에 있어 앞쪽에는 저지부(26)와 결합한 상태로부터 결합을 풀 때 더욱 스무스하게 풀기 위한 경사면(27bb)이 형성된다. 또한 상술한 4개씩 2종류, 모두 8개의 결합부(27a)(27b)는 회전부재(27)의 회전중심에서 반경방향에 있어서 등거리로 배치된다.
또 상술한 회전부재(27)의 회전을 저지하는 회전저지부재가 되는 선치차(25)는 상술한 회전부재(27)를 회전구동하는 구동윤열과는 별도 계열의 구동윤열에 의해 회동되도록 되어있다. 즉 선(扇)의 요(要)가 되는 회전중심부(25a)가 축(25d)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삽통됨과 동시에 선형상의 치차부(25b)를 갖고 있다. 그리고 치차부(25b)가 구동윤열에 배치된 치차(도시생략)에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치차가 회전함으로써 선치차(25)가 도 1에 있어 화살표 R2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있다.
선치차(25)의 회전중심부(25a)는 축(25d)에 삽통되는 중공축 형상이 되고, 이 회전중심부(25a)의 도 2에 있어 상측에 상술한 저지부(26)가 형성된다. 이 저지부(26)는 회전중심부(25)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이 저지부(26)는 상술한 것과 같이 구동윤열에 배치된 치차가 회전하여 선치차(25)가 화살표 R2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그 선단부분이 도 1에 있어 화살표 R3방향으로 회동한다. 즉 저지부(26)의 선단부분은 구동윤열에 배치된 치차의 회전을 받아 회전부재(27)의 외주면에 다가가도록 구동된다.
저지부(26)는 축방향에서의 치수가 상술한 회전부재(27)의 회전결합부(27e)의 축방향에서의 치수와 대략 같아지고, 회전부재(27)의 외주면에 닿도록 이동하면 축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는 상술한 양 회전궤적(x1)(x2)의 쌍방에 동시에 진입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저지부(26)는 회전궤적(x1)을 갖는 상측의각 결합부(27a)와 결합하는 결합부위(26a)를 축방향 상측 절반에 또 회전궤적(x2)을 갖는 하측의 각 결합부(27b)와 결합하는 결합부위(26b)를 축방향 하측 절반에 각각 구비한 것이 된다. 그리고 회전궤적(x1)(x2)내에 동시에 진입중인 저지부(26)에 회전중의 회전부재(27)의 각 결합부(27a)(27b)중 어느 하나가(8개의 결합부 중 어느 것이) 결합함으로써 회전부재(27)의 회전이 저지되게 된다.
또 선치차(25)는 회전중심부(25a)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스프링계지부(25e)를 구비하고 있다. 이 스프링 계지부(25e)에는 선치차(25)를 화살표 R5방향(도 1참조)으로 부세하는 부세수단이 되는 회동력 부여용 스프링(도시생략)의 일단이 계지된다. 이 때문에 선치차(25)는 상시 회동력 부여용 스프링에 의해 화살표 R5방향으로 부세된다. 즉 선치차(25)는 상술한 구동윤열의 치차에 의한 구동방향(화살표 R2참조)과는 늘 반대방향으로 부세된다. 그 때문에 상술한 화살표 R2방향으로의 구동시는 이 회동력 부여용 스프링의 부세력에 능가하여 그 이상의 힘으로 선치차(25)가 회동되게 된다. 이와같은 구성이 되므로 회동력 부여용 스프링의 부세력은 구동윤열의 치차의 구동력에 비해 약하게 설정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구동윤열에 배치된 치차로부터의 구동력이 소멸하면 선치차(25)는 상술한 회동력 부여용 스프링의 약한 부세력에 의해 화살표 R5방향으로 구동된다. 이 때문에 선치차(25)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저지부(26)는 결합하고 있는 결합부(27a)(27b)의 경사면(27aa)(27bb)에 접동하면서 회전부재(27)의 외주면에서 멀어지는 방향(도 1의 화살표 R4참조)으로 이동한다. 이 결과 저지부(26)는 상술한 양 회전궤적(x1)(x2)에서 밀려나가고, 회전부재(27)는 이 저지부(26)에 의해회전을 저지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회동저지기구(A)에 있어서는 회전부재(27)의 외주면의 축방향에 있어 다른 위치에 각각 4개씩의 결합부(27a)(27b)가 배치된다. 한편 회전부재(27)의 회전을 저지하는 저지부(26)는 상술한 모두 8개의 결합부(27a)(27b)의 2개의 회전궤적(x1)(x2)에 대응하는 2곳의 결합부위(26a)(26b)가 배치된다.
그 때문에 종래의 늘 같은 위치에 결합부가 마찰결합하는 회전저지기구와 비교하면 본 실시예의 회전저지기구(A)의 저지부(26)의 각 결합부위(26a)(26b)에 각 결합부(27a)(27b)가 각각 마찰결합하는 확율은 1/2가 된다. 이와같이 마찰결합하는 확율이 종래에 비해 감소함으로써 저지부(26)의 마모에 의한 손상의 정도가 저감되어 부품의 수명이 길어진다.
또한 회전부재(27)측에 있어서는 종래의 결합부가 2개 밖에 없는 회동저지기구와 비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결합부가 4배의 수가 되므로 각 결합부(27a)(27b)의 마모에 의한 손상의 정도가 저감되어 부품의 수명이 길어진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저지부(26)를 구비한 회전저지부재를 선치차(25)로 구성했지만 회전저지부재의 형상은 선치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4와 같이 상술한 회전부재(27)를 회전구동하는 구동윤열과는 별도 계열의 구동윤열의 회전을 받기 위한 치차부(25B)를 구비한 원형의 치차(25A)로 해도 좋다.
이 원형의 치차(25A)의 외주면의 둘레방향 약 절반의 부분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회전부재(27)의 회전을 저지하는 저지부가 배치되지 않고, 남은 둘레방향 약 절반의 구간에 각 결합부(27a)(27b)에 결합하여 회전부재(27)의 회전을 저지하는 저지부(26A)(26B)가 집중적으로 5개 형성된다(이 도 4에 도시한 회전부재(27)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회전부재(27)이다). 즉 이 원형의 치차(25A)의 외주면의 나머지 절반 구간에는 상기 결합부(27a)와 결합이탈가능한 저지부(26A)가 90도마다 3개 배치됨과 동시에 양 외측의 각 저지부(26A)와 중간위치에 배치된 저지부(26A)와의 각 중간부분에 상기 결합부(27b)와 결합이탈가능한 저지부(26B)가 모두 2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5개의 저지부(26A)(26A)중 어느 하나가 상기 결합부(27a)(27b)의 회전궤적(x1)(x2)중 어느 한 곳으로 들어가도록 원형 치차(25A)의 회전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저지부(26A)(26B)중 어느 하나가 결합부(27a)(27b)중 어느 하나와 결합하여 회전부재(27)의 회전이 저지되게 된다. 또 원형의 치차(25A)를 예를들면 이 상태에서 약 180도 회전시킴으로써 모든 저지부(26A)(26B)를 상술한 회전궤적(x1)(x2)에서 밀려나감으로써 회전부재(27)의 회전을 프리하게 하도록 하고 있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선치차(25)에서는 저지부(26)를 하나로 하고, 이 하나의 저지부(26)의 다른 위치를 각각 결합부(27a)(27b)와의 결합위치(26a)(26b)로 했지만 도 4에서는 저지부 자체를 여러개 배치하고 있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해도 저지부의 특정위치에 과잉의 마모를 일으키지 않는다는 본 발명의 효과를 갖게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상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회전저지기구(A)를 클러치 조작기구의 일부로서 이용하는 기어드 모터장치의 실시예를 도 5, 도 6, 도 7을 기초로 설명한다. 또한 다음에는 상술한 회전저지기구(A)를 클러치 조작기구의 일부로서 기어드 모터장치내에 배치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상술한 회전저지기구(A)는 특히 이와같은 기어드 모터장치에 이용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술한 회전저지기구(A)는 회전부재(27)의 회전을 저지부(26)에 의해 저지하는 기구를 이용하는 구성의 것이면 다른 구성의 장치에도 여러가지로 응용가능한 것이다.
또한 도 5는 기어드 모터장치의 내부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특히 구동윤열 및 클러치 조작기구를 구성하는 각 치차 서로의 관계를 상세하게 도시하기 위한 전개단면도이다. 도 6은 레버를 피복하기 위한 커버 및 구동기구부를 피복하기 위한 케이스 윗덮개를 분리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또 도 7은 역전방지기구 부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평면도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기어드 모터장치는 도 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AC를 구동원으로 하는 모터(1)와, 모터(1)의 로터(11)에 구동윤열(2)을 통해 연결되어 회전구동되는 출력축(3)과, 출력축(3)과 로터(11)의 연결을 계단하는 제 1클러치수단이 되는 유성치차기구(22)와, 제 1클러치수단을 계단조작하는 클러치 조작기구(5)와, 출력축(3)과 로터(11)와의 연결을 계단하는 제 2클러치수단(4)을 갖고 있다. 또한 상술한 회전저지기구(A)는 클러치 조작기구(5)의 일부로서 이 기어드 모터장치내에 조립되고 있다.
또한 이 기어드 모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원이 AC모터(1)로 구성되고, 기동시에 있어서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할 지는 특정할 수 없다. 그 때문에 기동시에 있어서 로터(11)가 역회전하기 시작하면 로터(11)의 회전영역으로들어가 로터(11)의 역회전을 저지함과 동시에 로터(11)가 맞닿을 때의 반동에 의해 로터(11)를 강제적으로 정규 방향의 회전으로 변환시키는 역전방지용 부재(후술하는 선치차(25)의 돌기(25c)가 상당한다)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어드 모터에서는 상술한 역전방지용 부재 및 이 역전방지용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동작부재(후술하는 유도피니온(16)이 상당함)가 구동윤열(2)과는 독립된 구성이 된다. 이들 부재는 모두 특히 감속윤열로는 되어있지 않은 클러치 조작기구(5)안에 배치된다. 그 때문에 구동윤열(2)은 역전방지용 부재와 로터(11)와의 위치관계를 의식하지 않고 자유로운 배치로 할 수 있게 된다.
이 기어드 모터장치는 제 2클러치수단(4)을 연결함으로써 모터(1)의 구동력을 출력축(3)측에 전달하고, 출력축(3)을 회전시킴으로써 레버(8)를 잡아당기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상술한 제 2클러치수단(4)을 절단하여 로터(11)와 출력축(3) 사이의 연결을 끊고 또한 로터(11)에 대해 프리하게 된 클러치 피니온(21)을 클러치 레버(41)로 락함으로써 구동윤열(2)의 각 부가 역방향(레버(8)를 끌어올리는 것과 반대방향의 의미)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며, 레버(8)를 소정위치까지 끌어올린 후의 위치에서 레버(8)를 고정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이 상태는 모터(1)로의 통전을 유지함으로써 행해진다. 또 이 상태에서 또한 모터(1)로의 통전을 정지함으로써 클러치 피니온(21)의 락을 해제하여 상술한 구동윤열(2)의 역방향으로의 회전을 촉진하고 레버(8)를 끌어올리기 전의 위치까지 되돌리도록 되어있다.
다음 그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모터(1), 구동윤열(2) 및 구동윤열(2)안에 배치된 제 1클러치수단을 변환하는 클러치 조작기구(5) 등으로 구성되는 구동기구부는 케이스체(12)내에 수납된다. 이 케이스체(12)는 케이스본체(12a)와 이 케이스본체(12a)에 피복시킨 케이스 윗덮개(12b)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이 케이스 윗덮개(12b)에는 레버(8)를 피복하도록 커버(12d)가 피복된다.
케이스체(12)내의 저면측에는 레버(8)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원이 되는 모터(1)가 배치된다. 모터(1)는 컵모양으로 형성된 모터케이스(13)내에 배치된 스테이터부(14)와, 이 스테이터부(14)의 또한 내주에 스테이터부(14)에 대해 대향배치된 로터(11)와, 이 로터(11)를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승하는 로터축(15)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스테이터부(14)의 코일(14a)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로터(11)가 로터축(15)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로터축(15)은 그 일단이 모터케이스(13)의 저면을 관통하여 케이스본체(12a)의 저면에 접촉함과 동시에 타단이 모터(1)의 위쪽으로 튀어나와 케이스 윗덮개(12b)에 형성된 베어링구멍(12e)내로 끼워지게 된다.
다음 로터(11) 및 로터(11)의 내측에 배치된 유도회전체(16)에 대해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과 같이 로터(11)는 로터축(15)(도 6참조)을 삽통하는 구멍을 구비한 회전지승부(11a)와, 이 회전지승부(11a)의 외주측에 상단측이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고정된 대략 컵모양의 로터마그네트(11b)를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 로터마그네트(11b)의 내주 공간부측의 면에 로터(11)와 연동회전하는 링모양 마그네트(11c)가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도 8과 같이 링모양 마그네트(11c)의 또한 내측에는 이 링모양 마그네트(11c)에 대향배치된 비자성 도전링(16a) 및 백요크링(16b)이 부착되고 또한 피니온부(16d)를 갖는 유도회전체(16)가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이 유도회전체(16)는 로터(11)의 회전에 의해 링모양 마그네트(11c)가 회전하면 이 링모양 마그네트(11c)의 회전에 자기유도에 의해 비자성 도전링(16a)이 추종회전함으로써 이 유도회전체(16)가 전체적으로 일체로 로터(11)에 추종회전하게 된다.
회전지승부(11a)의 상단부분에는 갈고리(11d)가 형성된다. 이 갈고리(11d)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구동윤열(2)의 일부를 구성하고 또한 제 2클러치수단(4)의 일부가 되는 클러치 피니온(21)의 하단에 형성된 갈고리(21d)와 결합하며, 로터(11)의 회전력을 클러치 피니온(21)에 전달하기 위한 것이 된다. 그리고 이들 갈고리(11d)(21d)가 결합하고 로터(11)의 회전력이 클러치 피니온(21)을 통해 출력축(3)측에 전달된 상태를 제 2클러치수단(4)이 이음상태로 한다. 한편 이들의 갈고리(11d)(21d)의 비결합으로 로터(11)의 회전력이 클러치 피니온(21)에 전달되지 않음에 따라 로터(11)의 회전력이 출력축(3)측에 전달되지 않는 상태를 제 2클러치수단(4)이 끊음상태로 한다. 즉 로터(11)의 상단부의 갈고리(11d)와 클러치 피니온(21)의 하단의 갈고리(21d)와, 이들 양 갈고리(11d)(21d)를 계탈시키는 기구가 제 2클러치수단(4)이 된다.
회전지승부(11a)의 상단내주측 부분에는 로터(11)와 클러치 피니온(21)을 계탈시키기 위한 제 2클러치수단(4)의 일부가 되는 압축코일스프링(18)이 끼워지고 있다. 또한 회전지승부(11a)의 상단외주측 부분에는 유도피니온(16)의 하단부분을안내하는 안내용 단부(11e)가 배치된다. 유도피니온(16)은 링모양으로 되어있는 하단부분을 이 안내용 단부(11e)상에 올려놓음으로써 로터(11)의 위쪽에 동축배치된다.
또 도 7과 같이 로터(11)의 본체마그네트부(11b)의 외주면으로 도 5에서의 상단근방부분에는 로터(11)의 역회전을 저지하는 역회전방지용 부재가 되는 돌기(25c)가 끼워지는 오목부(11k)가 둘레방향으로 균등하게 4곳 배치된다. 이들 오목부(11k)는 로터(11)가 정규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둘레방향에서 후단에 로터(11)의 둘레면에 대해 대략 직각이 되는 접촉면(11h)을 각각 갖고 있다.
이 접촉면(11h)은 로터(11) 및 로터(11)에 추수하는 유도피니온(16)이 정규방향과 반대로 역회전함으로써 선치차(25)가 정규의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 오목부(11)내로 끼워들어가는 돌기(25c)가 닿는 부위가 된다. 또한 돌기(25c)가 오목부(11k)의 접촉면(11h)에 닿으면 로터(1)는 그 이상의 역회전이 저지되고, 일시적으로 락상태가 되어 그 직후에 충돌시의 반동에 의해 정방향 회전으로 변환된다.
또한 도 7(A)은 본 실시예의 기어드 모터에 통전이 행해지지 않은 상태에 있어 선치차(25)와 로터(11)와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 7(A)에 의하면 이 통전이 행해지지 않은 원위치 상태에 있어서 돌기(25c)는 로터(11)의 외주면에 접촉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도 7(B)와 같이 선치차(25)가 로터(11)의 정규 방향(화살표 Y1참조)으로 회전함으로써 통상의 방향(화살표 X1참조)으로 회동하면 돌기(25c)는 로터(11)의 외주면보다 멀어져 가고 로터(11)는 돌기(25c)와접촉하지 않고 프리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c)과 같이 선치차(25)가 로터(11)의 역회전(화살표 Y2)에 의해 통상과 역방향(화살표 X2참조)으로 회동하면 돌기(25c)는 로터(11)의 외주면측으로 부세되고, 역회전의 로터(11)의 회전영역으로 들어가 오목부(11k)내로 끼워져 들어간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로터(11)가 역회전하기 시작해도 그것을 락 할때까지의 시간이 매우 빠르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것과 같이 로터(11)의 외주면에 4개의 오목부(11k)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로터(11)의 역회전에 의해 선치차(25)가 역회전을 하여 돌기(25c)가 로터(11)의 외주면에 다가갈 때 재빠른 타이밍으로 4개중 어느 하나의 오목부(11k)내로 돌기(25)가 들어가게 된다. 이 구성에 의해 로터(11)를 락시킬 때 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과 동시에 돌기(25c)와 로터(11)의 외주면이 마찰접동하는 시간 및 거리도 단축화할 수 있는 구성이 된다.
이 때문에 로터(11)를 역회전에서 정규 방향의 회전으로 변환하여 레버(8)를 끌어올리는 동작을 개시할 때 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또한 로터(11)와 돌기(25c)의 마찰접동을 저감하여 양 부재의 열화를 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본 실시예에서는 로터(1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오목부(11k)의 수를 4개로 했지만 이 수를 4개 미만으로 해도 좋고, 또 5개 이상으로 해도 좋다.
유도회전체(16)는 그 최외주에 동제 등으로 구성된 비자성 도전링(16a)이 배치되고, 비자성 도전링(16a)의 내측에 자성체(구체적으로는 철제 등)로 구성된 백요크링(16b)이 압입되며, 수지에 의한 인서트성형으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유도회전체(16)의 최외주에 배치되는 비자성 도전링(16a)은 상술한 로터(11)에 부착된 링모양 마그네트(16c)이 반경방향 내측에 대향배치된다. 비자성 도전링(16a)은 상술한 것과 같이 링모양 마그네트(11c)에 추종회전하는 부재가 되고, 비자성으로 또한 도전성을 갖는 비자성 유도부재, 구체적으로는 동이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형성된 부재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링모양 마그네트(11c)에 비자성 도전링(16a)을 종동회전시키는 자기유도력을 발생하고, 비자성 도전링(16a)을 외주면에 고정한 유도회전체(16)가 로터(11)의 회전에 따라 로터(11)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상술한 링모양 마그네트(11c)와 유도링(16a)은 자기유도에 의해 로터(11)에 대해 유도회전체(16)를 종동회전시키기 위한 자기유도 회전수단이 되며, 유도회전체(16)는 자기유도에 의해 로터(11)에 종동회전하는 회전체로 또한 역전방지용 부재를 동작하는 동작부재가 된다.
또한 자기유도 회전수단은 클러치 조작기구(5)의 일부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같이 자기유도력을 이용하여 유도피니온(16)을 비접촉으로 로터(11)에 추종시키는 구성이 되므로 유도피니온(16)의 회전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키도록 하면 유도피니온(16)과 로터(11) 사이에는 미끄럼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와같이 구성된 유도피니온(16)은 클러치 조작기구(5)의 선치차(25)에 맞물리고 있다.
한편 도 8과 같이 비자성 도전링(16a)의 내측에 배치된 자성체의 백요크링(16b)은 링모양 마그네트(11c)로 비자성 도전링(16a)을 끼우도록 배치된다. 이 구성에 의해 링모양 마그네트(11c)와 백요크링(16b) 사이에는 많은 자속이통과하여 자로를 형성한다. 그 때문에 링모양 마그네트(11c)에 의한 비자성 도전링(16a)의 자기유도력이 강화된다. 이에 따라 유도회전체(16)의 동작의 확실성이 향상하고, 뒤에 설명하는 클러치 조작기구(5)의 동작의 확실성이 향상된다.
또한 도 8에서는 유도회전체(16)가 로터(11)의 쓰러스트 베어링부(11e)에 쓰러스트 받게 된 상태에 있어서, 백요크링(16b)의 쓰러스트방향에서의 자기적 중심(C2)이 링모양 마그네트(11c)의 쓰러스트방향에서의 자기적 중심(C1)보다 약간 상측으로 어긋나도록 구성된다. 이 때문에 백요크링(16b)이 부착된 유도회전체(16)가 링모양 마그네트(11c)의 자력에 끌리게 되어 쓰러스트 베어링부(11e)측으로 인장된다. 이에 따라 유도회전체(16)는 쓰러스트 베어링부(11e)측으로 약간 부세되면서 위치정밀도가 정확하게 회전하게 된다.
또한 양자의 자기적 중심(C1)(C2)을 일치시켜도 좋다. 이에 따라 위치정밀도를 어느 정도 양호하게 하면서 쓰러스트 베어링부(11e)로의 쓰러스트압을 경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자기유도 회전수단의 한쪽이 되는 로터(11)측에 링모양 마그네트(11c)를 부착하고, 자기유도 회전수단의 다른 쪽이 되는 유도회전체(16)측에 비자성 도전링(16a)을 부착했지만 링모양 마그네트(11c)와 비자성 도전링(16a)을 역의 배치로 해도 좋다. 즉 로터측에 비자성 도전링을 부착하고, 유도회전체측에 링모양 마그네트를 부착해도 좋다. 그 경우에 있어서도 로터측에 부착한 비자성 도전링을 링모양 마그네트와 백요크링에 끼워넣는 배치로 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도 8에서의 링모양 마그네트(11c)의 위치에 비자성도전링(16a)을 부착하도록 하면 이 비자성 도전링(16a)의 외측에 백요크링(16b)을 부착한다.
또한 제 2실시예로서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로터(51)는 로터축(15)을 삽통하는 구멍을 구비한 회전지승부(51a)와, 이 회전지승부(51a)의 외주측에 상단측이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고정된 대략 링모양의 로터마그네트(51b)와, 회전지승부(51a)의 외측에서 또한 로터마그네트(51b)의 내측이 되는 위치에 부착된 백요크링(51g)을 갖고 있다. 또 로터마그네트(51b)의 내주공간부측의 면에는 로터(51)와 연동회전하는 링모양 마그네트(51c)가 끼워지게 된다. 또한 이 링모양 마그네트(51c)는 상술한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로터마그네트(51b)와 일체라도 좋다.
그리고 로터마그네트(51b)의 내측에는 유도회전체(56)가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배치된다. 이 유도회전체(56)는 회전중심이 되는 통모양부(56c)의 상단근방에 플랜지부분이 부착된 비자성 도전링(56a)을 갖고 있다. 이 비자성 도전링(56a)은 링모양 마그네트(51c)의 내측에서 또한 백요크링(51g)의 외측이 되는 간극 부분에 배치되도록 되어있다.
또한 비자성 도전링(56a)과 백요크링(51g) 사이에는 간극부가 배치되고(도 9의 부호 G참조), 이 간극부(G)는 상술한 제 1실시예와 같은 작용을 갖는 점성체가 배치된다. 이 때문에 클러치 조작기구(5)의 동작을 더욱 안정시킬 수 있다. 덧붙여 이 제 2실시예에서는 비자성 도전링(56a)과 링모양 마그네트(51c)사이에도 간극이 형성되지만(도 9부호 G1참조), 이 간극부(G1)에 점성체를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그러나 점성체는 간극부(G)에만 배치하면 점성체가 로터(51) 및 유도회전체(56)에 의해 외부와 칸이 막힌 공간내에서 외부로 점성체가 비산되기 어렵다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가지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예를들면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링모양 마그네트(11c)(51c)를 로터(11)(51)에 일체적으로 배치하고, 이 링모양 마그네트(11c)(51c)와 비자성 도전링(16a)(56a)으로 이루어지는 자기유도 회전수단을 로터(11)(51)와 동축상에 배치했지만 자기유도 회전수단은 로터(11)(51)와 동 축상이 아닌 예를들면 클러치 조작기구(5)를 구성하는 윤열의 다른 위치에 배치해도 좋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스프링부재(39)를 발열에 의해 스프링정수가 저하하도록 구성한 형상기억스프링으로 구성하고, 이 형상기억스프링의 근방에 자기유도에 의해 로터(11)(51)의 회동력을 선치차(25)에 전달할 때 발열하는 발열부재를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같이 구성하면 형상기억스프링의 부세력에 맞서 선치차(25)를 회동시킬 때 발열부재의 발열작용에 의해 스프링력이 저하하므로 자기유도를 이용한 선치차(25)의 회동을 가벼운 힘으로 행한다. 한편 로터(11)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스프링부재(39)에 의해 선치차(25)를 되돌릴 때 발열을 하지 않음으로써 스프링력을 원래로 되돌리며, 강한 힘으로 선치차(25)의 원위치로의 복귀동작을 행한다. 이에 따라 자기력이 약한 유도마그네트를 사용했다고 해도 스프링부재(39)의 스프링력이 자기유도에 의한 회동동작의 방해가 되기 어렵고, 또한 양방향으로의 동작을 모두 스무스하게 또한 확실하게 행함에 따라 클러치 조작기구(5)의 동작을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형상기억스프링은 발열작용이 없을 때 스프링정수가 낮고, 발열작용이 있을 때 스프링정수가 높아지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와같은 스프링을 사용할 경우는 스프링력에 의해 선치차(25)를 회동시킬 때 발열하도록 하고, 역으로 스프링력에 맞서 선치차(25)를 자기유도력을 통해 회동시키는 경우는 발열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가벼운 힘으로 자기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역시 자기력이 약한 유도마그네트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모터(1)의 구동력을 출력축(3)에 전달하는 구동윤열(2) 및 이 구동윤열(2)안에 배치된 제 1클러치수단의 변환을 행하기 위한 클러치 조작기구(5)에 대해 도 5 및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구동윤열(2)은 모터케이스(13)의 상단부분을 바깥쪽으로 빼 내어 형성한 지판과 케이스 윗덮개(12b)에 양단을 지승된 여러개의 축에 각각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승된 각 치차에 의해 구성된다. 즉 구동윤열(2)은 전개단면도인 도 5의 우측 절반에 기재되고, 클러치 피니온(21)과, 이 클러치 피니온(21)과 결합하는 받이치차(32b)를 구비한 유성치차기구(22)와, 이 유성치차기구(22)의 회전력을 받는 전달치차(23)와, 전달치차(23)와 맞물리는 출력치차부(3a)를 구비한 출력축(3)으로 구성된다. 이 구동윤열(2)은 로터(11)의 회전을 감속하여 출력축(3)에 전달하는 감속윤열이 되고, 통전이 행해지지 않은 초기상태에서 상술한 레버(8)가 소정의 위치로 끌어올려질 때 까지 사이에 있어 상술한 제 2클러치수단(4)을 통해 연결된다.
클러치 피니온(21)의 상단부분에는 클러치레버(41)의 캠면(41a)을 향하고 있다. 이 때문에 클러치 피니온(21)은 상시 압축코일스프링(18)의 부세력에 의해 캠면(41a)으로 밀어부쳐진다. 클러치 레버(41)는 일단측이 전달치차(23)를 지승하고 있는 축에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지승됨과 동시에 이 부분의 상측 면은 전달치차(23)를 지승하는 축이 끼워지는 베어링에 접촉한다. 또 클러치 레버(41)의 타단측 즉 캠면(41a)을 구비한 측은 로터축(15)에 자유롭게 요동하도록 지승됨과 동시에 이 부분의 상측의 면은 로터축(15)이 끼워지는 베어링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이 클러치 레버(41)의 캠면(41a)을 구비한 측에는 로터축(15)에 여유있게 끼워지는 장공(41b)(도 6참조)이 형성되고, 클러치 레버(41)는 이 장공(41b)의 범위내에서 전달치차(23)를 지승하는 축을 회동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클러치 레버(41)는 출력치차부(3a)의 일측 면에 형성된 클러치 레버 조작홈(3b)내로 들어가는 조작용 돌기(41e)(도 5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로터(11)의 회전력이 클러치 피니온(21)에서 유성치차기구(22) 및 전달치차(23)를 통해 출력치차부(3a)로 전달되어 출력축(3)이 소정의 회전(이 회전에 의해 레버(8)를 끌어올린다)을 하면 조작용 돌기(41e)가 클러치 조작홈(3b)에 안내되고, 이에 따라 클러치 레버(41)가 회동하도록 되어있다. 즉 제 2클러치수단(4)의 주요한 부재인 클러치 레버(41)는 출력축(3)의 회동각도에 의존하여 계단변환동작을 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술한 캠면(41a)은 클러치 피니온(21)을 압축코일스프링(18)의 스프링 부세력에 맞서 밀어내리는 밀어내리는 부(41c)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밀어내리는부(41c)는 통전이 행해지지 않은 초기상태에서 통전이 행해져 레버(8)를 소정의 위치로 끌어올릴 때 까지 동안 클러치 피니온(21)을 로터(11)측으로 밀어내리는 것이 된다. 이와같이 클러치 레버(41)의 캠면(41a)이 클러치 피니온(21)을 로터(11)측으로 밀어내리면 클러치 피니온(21)의 갈고리(21d)가 로터(11)의 갈고리(11d)에 결합하고, 로터(11)와 클러치 피니온(21)이 일체적으로 회동하게 된다. 즉 제 2클러치수단(4)이 이음상태가 된다.
그리고 출력치차부(3a)가 소정의 회전을 마치면 클러치레버 조작홈(3b)의 안내에 의해 클러치 레버(41)의 캠면(41a)의 밀어내리는 부(41c)가 클러치 피니온(21)의 상단면 부분에서 떨어진 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클러치 피니온(21)은 압축코일스프링(18)의 스프링 부세력에 의해 위쪽으로 이동하고, 클러치 피니온(21)과 로터(11)의 연결이 풀리게 된다. 즉 제 2클러치수단(4)이 끊음 상태로 변환된다. 이에 따라 로터(11)와 출력축(3)사이의 연결은 끊어진다. 이 때문에 구동윤열(2)을 구성하는 각 치차는 레버(8)의 부하력을 받아 역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한다.
또한 클러치 레버(41)는 클러치 피니온(21)이 부세스프링력에 의해 위쪽으로 이동했을 때 이 위쪽 위치에 있어서 클러치 피니온(21)의 회전을 저지할 수 있는 저지부재(도시생략)를 갖고 있다. 그 때문에 클러치 피니온(21)은 제 2클러치수단(4)이 끊음이 되고 로터(11)에 대해 프리하게 된 후에 있어서는 클러치 레버(41)의 상술한 저지부재에 의해 회전을 저지한다. 이에 따라 구동윤열(2)의 각 치차는 락되므로 레버(8)의 부하력을 받아도 역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즉클러치 피니온(21)과 맞물린 태양치차(32)가 락됨과 동시에 자기유도력을 이용하여 클러치 조작기구(5)를 작동시켜 링치차(33)가 락되어 출력축(3)이 그 회전을 끝낸 위치에서 고정된다.
그리고 모터(1)로의 통전을 끊으면 제 1클러치수단이 끊음이 되어 링치차가 프리하게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레버(8)의 부하력에 의해 레버(8)를 끌어내는 방향, 즉 모터구동시와는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때 구동윤열(2)안의 전달치차(23)의 역회전에 추종하여 상술한 클러치 레버(41)가 레버(8)를 끌어올리기 전의 위치측으로 회동한다. 이 결과 클러치 레버(41)의 밀어내리는 부(41c)가 클러치 피니온(21)을 로터(11)측으로 밀어내리고, 제 2클러치수단(4)이 이음이 된다. 즉 모터(1)로의 통전을 끊고, 레버(8)를 끌어올려 고정위치로부터 개방함으로써 제 2클러치수단(4)이 이음(=클러치 피니온(21)의 갈고리(21d)와 로터(11)의 갈고리(11d)가 결합)이 된다.
또 유성치차기구(22)는 클러치 피니온(21)에 맞물려 로터(11)측에서의 구동력을 받는 받이치차(32b) 및 외주에 여러개의 유성치차(36)가 맞물려 유성치차(36)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치차(32a)를 구비한 태양치차(32)와, 유성치차(36)에 맞물리는 내주치차부(33a) 및 클러치 조작기구(5)의 최종부의 증속치차(28)에 맞물리는 외주치차부(33b)를 구비한 링치차(33)와, 유성치차(36)를 각각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승하는 지승판(34a) 및 전달치차(23)와 맞물리는 피니온부(34b)를 구비한 유성치차 지지치차(34)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유성치차기구(22)는 클러치 피니온(21)의 회전을 받아 태양치차(32)가 회전하고, 이 태양치차(32)의 회전에 의해 여러개의 유성치차(36)가 태양치차(32)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각각 자전하며, 이들 각 유성치차(36)의 반대방향으로의 자전을 받아 링치차(33)가 회전하도록 되어있다.
이 때문에 클러치 조작기구(5)내에 배치된 상술한 회전저지기구(A)를 작동하고, 회전부재(27)의 회전을 저지하여 클러치 조작기구(5)의 각 부재의 동작을 정지시키면, 증속치차(28)에 맞물리는 링치차(33)의 회전이 정지한다. 이에 따라 각 유성치차(36)가 태양치차(32)에 대해 공전한다. 즉 각 유성치차(36)를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승하고 있는 유성치차 지지치차(34)가 회전한다. 이에 따라 클러치 피니온(21)을 통해 유성치차기구(22)에 전달된 로터(11)의 회전력이 유성치차 지지치차(34)에 맞물리는 전달치차(23)를 통해 출력치차부(3a)에 전달되고, 레버(8)가 모터(1)의 구동력에 의해 끌어올려지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기어드 모터장치에 있어서는 상술한 회전저지기구(A)가 제 1클러치수단의 변환동작을 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용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클러치 조작기구(5)는 상술한 구동윤열(2)안에 배치된 제 1클러치수단이 되는 유성치차기구(22)의 변환을 행하기 위한 것이 된다. 즉 클러치 조작기구(5)는 전개단면도인 도 5의 좌측절반에 기재되고, 자기유도력에 의해 로터(11)에 연동하는 유도피니온(16)에 의해 구동되는 저지부(26)를 구비한 선치차(25) 및 저지부(26)와 결합함으로써 회전을 저지하는 회전부재(27)로 구성된 회전저지기구(A)와, 회전부재(27)의 받이치차(27c)와 맞물림과 동시에 유성치차기구(22)의 링치차(33)에 맞물리는 증속치차(28)로 구성된다.
또한 회전저지기구(A)의 구성에 대해서는 대략 도 1 내지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했지만 도 6을 이용하여 약간 보충하여 설명한다. 도 6과 같이 선치차(25)의 스프링 계지부(25e)에는 모터케이스(13)에 입설된 핀(38)에 일단이 고정된 회동력 부여용 스프링(39)의 타단이 고정된다. 선치차(25)는 회동력 부여용 스프링(39)의 부세력에 의해 모터(1)의 구동력에 의한 회동과 반대방향(도 6에 있어 화살표 R5방향)으로 회동하는 회동력을 부여하고 있다. 그러나 모터(1)의 로터(11)에 추종회동하는 유도피니온(16)의 회전토오크가 회동력 부여용 스프링(39)의 구동토오크에 능가하므로 유도피니온(16)이 로터(11)에 추종하여 회동하는 경우는 회동력 부여용 스프링(39)의 부세력에 맞서 선치차(25)는 상술한 화살표 R5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되어있다.
상술한 회전저지기구(A)를 이용한 클러치 조작기구(5)는 모터(1)의 통전시에는 자기유도를 이용하여 선치차(25)를 회전시키고, 저지부(26)를 회전부재(27)의 결합부(27a)(27b)중 어느 하나와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 결합에 의해 회전부재(27)의 회전이 저지되고, 클러치 조작기구(5)를 구성하는 각 부재는 그때까지의 동작이 락된다. 그러면 제 1클러치수단이 되는 유성치차기구(22)에서는 링치차(33)의 회전에 락이 걸려 제 1클러치수단은 이음이 된다.
또한 이와같이 제 1클러치수단을 이음으로 한 상태에 있어서 상술한 제 2클러치수단(4)도 이음이 된 경우는 로터(11)의 회전이 유성치차기구(22)의 태양치차(32) 및 유성치차(34)를 통해 출력축(3)측에 전달되게 된다. 또 이 상태에서 제 1클러치수단(4)만이 끊음이 되어 제 1클러치수단이 이음상태를 유지하면로터(11)와의 출력축(3)과의 연결은 풀린 상태가 되지만 상술한 것과 같이 레버(8)는 감아올린 위치에서 고정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또한 모터(1)로의 통전을 끊고, 로터(11)와 유도피니온(16)사이의 자기유도력이 소멸하면 선치차(25)가 후술하는 회동력 부여용 스프링(39)의 부세력에 의해 회동하고, 저지부(26)와 회전부재(27)의 결합부(27a) 또는 (27b)와의 결합이 풀린다. 이에 따라 클러치 조작기구(5)의 각 부의 락상태가 해제가 된다. 이 때문에 외부부하에 의해 역회전하고자 하는 출력축(3)의 회전력이 구동윤열(2)을 역행하도록 전달되어 유성치차기구(22) 및 증속치차(28)를 통해 회전부재(27)로 전달되고, 회전부재(27)가 프리하게 회전하게 된다. 이 결과 레버(8)의 고정상태는 해제가 된다.
이 때 회전부재(27)는 증속되어 고속회전을 하려고 한다. 그러나 이 회전부재(27)의 상단측에는 4장의 날개부(27f)가 배치되고 있기 때문에 고속회전을 하고자 하면 할 수록 이 들의 날개부(27f)가 대단한 공기저항을 받는다. 이 결과 회전부재(27)는 그 만큼 고속회전은 되지 않고 속도를 조절한 상태에서 천천히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회전부재(27) 및 그 앞단의 치차가 그 만큼 고속회전이 되지 않고 속도를 조절한 상태에서 천천히 회전한다. 즉 날개부(27c)를 구비한 회전부재(27)는 각 회전부재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회전속도 조절부재가 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회전속도 조절부재를 4장의 날개부(27f)를 구비한 회전부재(27)로 구성했지만 날개부(27f)의 수는 4장이 아니라도 좋고 좀더 작거나 좀더 많아도 좋다.
또한 날개부(27f)의 상단과 케이스 윗덮개(12b)사이에 회전부재(27)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점성체를 구비하고, 상술한 공기저항에 덧붙여 회전속도의 상승에 따라 그 속도를 점성에 의해 조절하는(저하시키는) 점성체로서 회전부재(27)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도록 해도 좋다. 또 덧붙여서 회전속도 조절부재를 날개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지 않고 단순히 점성체의 점성만을 회전속도 조절용의 부재로서 구비한 것으로 해도 좋다.
예를들면 회전부재(27)의 상단부분에 원반상의 부재를 배치하고, 이 원반상의 부재와 케이스 윗덮개(12b) 사이의 간극에 회전속도 조절용의 점성체를 구비하도록 해도 좋다. 또 예를들면 케이스 윗덮개(12b)에 회전부재(27)의 외주의 일부를 둘러싸는 벽을 형성하고, 이 벽의 내주면과 회전부재(27)의 외주부와의 간극 부분에 점성체를 구비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점성체로서는 회전부재의 회전력이 높아짐에 따라 더욱 점성을 발휘하여 고속화를 억제할 수 있는 타입의 그리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회전부재(27)를 회전속도 조절부재로 했지만 증속윤열로 구성된 클러치 조작기구(5)의 다른 치차를 회전속도 조절부재로 해도 좋다. 또한 유성치차기구(22)를 구성하는 치차의 맞물림 부분에 점성체를 도포하도록 해도 좋다.
클러치 조작기구(5)를 구성하는 각 부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 상술한 실시예의 기어드 모터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 기어드 모터장치는 모터(1)로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 초기상태에 있어서 상술한 클러치 레버(41)의 캠면(41a)의 밀어내리는 부(41c)가 클러치 피니온(21)을압축코일스프링(18)의 스프링력에 맞서 밀어내리는 위치에 있다. 이 때문에 클러치 피니온(21)은 도 5에 있어 아래방향으로 밀려 내려가게 되고 클러치 피니온(21)의 하단의 갈고리(21d)와 로터(11)의 상단의 갈고리(11d)가 결합한 상태가 된다. 즉 제 2클러치수단(4)이 이음상태가 되고 로터(11)와 출력축(3)을 클러치 피니온(21)을 통해 연결하는 구동윤열(2)이 연결된 상태가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모터(1)의 구동력에 의해 로터(11)와 함께 클러치 피니온(21)이 회전하면 그 회전이 유성치차기구(22)의 태양치차(32), 여러개의 유성치차(36)로 전달되고, 각 유성치차(36)가 유성치차 지지치차(34)상에서 자전한다. 이 때문에 이 유성치차(36)와 맞물리는 내주치차부(33a)를 구비한 링치차(33)가 회전한다.
한편 이와같은 상태에 있어서 클러치 조작기구(5)측에서는 로터(11)의 회전에 종동하여 유도피니온(16)이 회전한다. 또한 회전초기시에 있어서 로터(11)가 정규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 경우는 상술한 것과 같이 선치차(25)의 돌기(25c)가 로터(11)의 외주면에 형성된 4개의 오목부(11k)중 어느 한 쪽으로 끼워져 들어가고, 로터(11)의 역회전을 정회전으로 변환시킨다.
또한 로터(11)가 정회전하기 시작한 직후는 선치차(25)에 형성된 저지부(26)가 회전부재(27)의 각 결합부(27a)(27b)중 어느 것과도 결합하지 않는 위치에 있다. 즉 회전저지기구(A)는 아직 작용하지 않아 저지부(26)가 회전부재(27)의 회전을 저지하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유성치차기구(22)는 상술한 링치차(33)의 회전을 멈출 수 없다. 링치차(33)의 회전을 정지할 수 없으면 로터(11)측의 회동력이 클러치 피니온(21)을 통해 유성치차기구(22)에 입력한 후 이 유성치차기구(22)로부터 출력축(3)측과 회전부재(27)측으로 분산하여 전달된다. 이 회전부재(27)측에 전달되는 회전토오크는 구동윤열(2)측의 회전토오크에 비해 매우 작기 때문에 이 사이의 구동력으로는 출력축(3)을 회동시킬 수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같은 상태를 제 1클러치수단의 끊음 상태라고 한다.
이와같은 제 1클러치 수단의 끊음 상태에 있어서는 레버(8)의 감아올리는 동작을 행하지 않고 로터(11)의 회전에 의해 유도피니온(16)을 회동시키며, 이에 따라 선치차(25)와 저지부(26)를 일체로 회동시키는 동작만 하게 된다. 또한 유성치차기구(22)에서 분할되어 회전부재(27)를 향하는 전달경로는 증속윤열이 되므로 다음 동작의 기점이 되는 저지부(26)와 회전부재(27)와의 결합까지의 시간은 극히 단시간이 된다.
그리고 이 동작에서 선치차(25)가 유도피니온(16)의 회전을 받음으로써 저지부(26)가 소정각도 회동하면 저지부(26)는 회전부재(27)의 결합부(27a)(27b)중 어느 하나와 결합가능한 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회전저지기구(A)가 기능하고, 회전부재(27)의 회전이 저지된다. 이에 따라 클러치 조작기구(5)를 구성하는 각 부가 모두 연결되어 회전이 정지되고, 클러치 조작기구(5)의 최종부가 되는 증속치차(28)의 정지를 받아 유성치차기구(22)의 링치차(33)가 정지한다.
이와같이 회전저지기구(A)가 기능함으로써 클러치 조작기구(5)의 각 부(로터(11)에 배치된 링모양 마그네트(11c)를 제외함) 및 제 1클러치수단이 되는유성치차기구(22)의 링치차(33)의 회전이 정지한다. 이 결과 로터(11)와 일체적으로 회동하는 클러치 피니온(21)의 회전력은 유성치차기구(22)를 통해 전달치차(23)에만 전달되고, 전달치차(23)에서 출력치차부(3a)를 통해 회전력을 받은 출력축(3)이 회동한다. 즉 상술한 제 1클러치수단이 이음이 되고, 로터(11)의 회전력이 구동윤열(2)을 통해 효율적으로 출력축(3)에 전달되며 출력축(3)이 회동하여 레버(8)가 끌어올려진다.
그리고 출력축(3)이 소정각도 회전하고, 레버(8)를 소정위치까지 끌어올리면 이 사이에 클러치 레버(41)의 캠면(41a)의 밀어내리는 부(41c)가 클러치 피니온(21)의 상단면 부분에서 떨어진 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클러치 피니온(21)은 압축코일스프링(18)의 스프링 부세력에 의해 도 5에 있어 위쪽으로 이동하고, 클러치 피니온(21)과 로터(11)와의 결합이 풀려 제 1클러치 수단(4)이 끊음이 된다.
이 끌어올리는 동작이 종료되었을 때 통전상태를 유지하면 당연히 로터(11)는 회전을 계속한다. 또 유도피니온(16)은 자기유도력에 의해 미끄럼을 발생시키면서 이 로터(11)의 회전동작에 추종회전하려고 하므로 상술한 회전저지부재(A)의 회전저지기능은 유지된다. 이 결과 상술한 제 1클러치수단의 이음상태는 유지된다.
한편 레버(8)는 자신에게 과해진 부하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되돌아 가려고 한다. 그러나 이 레버(8)의 복귀동작은 상술한 클러치 레버(41)에 의한 클러치 피니온(21)의 락에 의해 저지되고, 레버(8)는 끌어올리는 위치에서 고정된다. 즉 클러치 레버(41)에 배치된 저지부재(도시생략)가 클러치 레버(41)의 회동에 의해 상하이동하는 클러치 피니온(21)에 배치된 접촉부재(도시생략)와 접촉하여 클러치 피니온(21)을 락하도록 기능한다.
또한 이 클러치 피니온(21)은 상술한 것과 같이 클러치 레버(41)의 캠면(41a)의 슬로브에 종동하여 상하이동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통전이 끊어져 출력치차부(3a)가 부하력에 의해 통상의 구동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출력치차부(3a)의 클러치 레버 조작홈(3b)의 안내에 의해 클러치 레버(41)의 캠면(41a)의 밀어내리는 부(41c)가 클러치 피니온(21)의 상단면 부분에서 떨어진 위치로 이동한다. 이 때 동시에 클러치 레버(41)에 배치된 저지부재(도시생략)가 클러치 피니온(21)에 배치된 접촉부재(도시생략)에서 멀어진다. 이 때문에 통전이 끊어진 초기상태로 되돌아가면 클러치 피니온(21)은 클러치 레버(41)에 의해 밀려내려가고 또한 회전저지는 행해지지 않고 로터(11)와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이와같이 끌어올린 동작이 종료되었을 때에 있어 통전상태를 유지하면 클러치 조작기구(5)내의 회전저지기구(A)가 기능하여 유성치차기구(22)의 링치차(33)의 회전이 저지되고, 다른쪽에서 클러치 피니온(21)의 역회전이 저지됨으로써 이 클러치 피니온(21)에 맞물리는 유성치차기구(22)의 태양치차(32)의 회전이 저지된다. 즉 이와같은 상태에 있어서는 유성치차기구(22)를 구성하는 주요한 3개의 치차 중 2개가 정지되고, 이 때문에 구동윤열(2) 전체가 전혀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레버(8)를 끌어올리는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레버(8)는 자신에게 과해진 부하력에 의해 케이스 외측으로 나오지 않고 끌어올려진 위치에서 그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모터(1)로의 통전을 정지하면 로터(11)의 회전이 정지한다. 이 때문에 유도피니온(16)과 로터(11) 사이의 자기유도력이 소멸한다. 이 때문에 유도피니온(16)측에서의 구동력을 잃은 선치차(25)는 저지부(26)와 함께 회동력 부여용 스프링(39)의 부세력에 의해 유도피니온(16)에서 받는 구동력에 의한 회전방향과 반대방향(도 6에 있어 화살표 R5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에 따라 저지부(26)와 회전부재(27)의 결합부(27a)(27b)중 어느 하나와의 결합이 풀리고 회전부재(27)는 저지부(26)에 대해 자유롭게 된다. 즉 상술한 제 1클러치 수단이 끊음 상태가 된다.
이와같이 로터(11)와 링치차(33)사이의 자기유도력에 의한 연결이 해제되어 회전부재(27)가 자유롭게 되면 출력축(3)의 회전에 연동하는 레버(8)의 복귀력은 링치차(33)를 회전시키는 힘이 되고 링치차(33)와 증속치차(28)와 회전부재(27)가 회전한다. 이 때문에 레버(8)는 자신에게 과해진 부하에 의해 케이스 외측방향으로 인출된다. 즉 레버(8)는 인출되기 전의 위치까지 복귀한다. 이 때의 레버(8)의 슬라이드 동작에 의해 출력축(3)은 일체로 상술한 끌어올리는 구동시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출력축(3)의 회전에 의해 출력치차부(3a)가 출력축(3)과 일체로 회전하고, 이 출력치차부(3a)에 형성된 클러치 레버 조작홈(3b)의 안내에 의해 클러치 레버(41)가 회동한다. 이에 따라 클러치 레버(41)는 캠면(41a)을 클러치 피니온(21)의 상단면에 접촉시키고, 클러치 피니온(21)을 압축코일스프링(18)의 스프링 부세력에 맞서 로터(11)방향으로 밀어내리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 결과 클러치 피니온(21)의 갈고리(21d)와 로터(11)의 갈고리(11d)가 결합가능한 위치에 배치되고, 제 1클러치수단(4)이 이음이 되는 초기상태로 복귀한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 여러가지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예를들면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회전저지부재가 되는 선치차(25)의 저지부(26)에 결합하는 결합부(27a)(27b)를 회전부재(27)의 외주면에 지그재그모양으로 번갈아 4개씩 배치했지만 결합부(27a)(27b)의 나열방법은 지그재그모양이 아닌 랜덤이라도 좋다. 또 4개씩이 아닌 3개씩 또는 5개이상씩으로 해도 좋고, 결합부(27a)(27b)의 수는 같은 수가 아니라도 좋다.
또 상술한 각 실시예는 회전부재(27)의 결합부의 회전궤적은 2종류로 구성되지만 회전궤적의 종류는 3종류이상으로 해도 좋다. 예를들면 회전부재(27)의 외주면에 축방향에 있어 다른 위치에 3개의 결합부를 각각 배치하고, 이들 3종류의 결합부를 나선상으로 배치하거나 또는 랜덤하게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각 결합부(27a)(27b)를 회전부재(27)의 외주면에 형성함으로써 모든 결합부(27a)(27b)를 회전부재(27)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에 있어 등거리의 위치에 배치했지만 특히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회전부재(27)의 축방향에서의 일측 면의 회전중심부에서 다른 2종류 이상의 위치에 각각 결합부를 배치하고, 각 결합부의 회전궤적이 2종류 이상 형성되도록 해도 좋다. 이와같이 구성해도 저지부의 다른 부위에 각 결합부가 각각 결합하므로 저지부의 특정 위치의 극도한 마찰결합을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회전저지기구(A)를 구성하는 회전부재(27)와 저지부(26)의 각각의 재질에 대해서는 특별히 설명하지 않지만 상술한 회전저지기구(A)에 의하면 마찰접동부위가 분산함으로써 소정부위에서의 마찰접동회수가 저감되므로 마찰접동이 발생하는 양 부재(27)(26)를 본래적으로는 마찰접동에 의한 열화가 발생하기 쉬운 같은 재질의 부재로 구성해도 좋고, 다른 재질로 구성해도 좋다. 동 재질의 부재로 구성하면 재료의 조달이 합리적이게 되며 제조원가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회전저지기구 및 이를 이용한 기어드 모터장치에 의하면 회전부재에 회전궤적이 다른 여러 종류의 결합부가 배치되므로 회전저지부재가 소정의 구동을 함으로써 저지부가 여러개인 결합부의 어느 하나와 그 때마다 각각 소정의 위치에서 결합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회전궤적의 종류 수만큼 저지부의 결합부와의 접촉위치가 분산되는 구성이 된다. 이 때문에 회전저지부재의 저지부의 소정의 위치에서의 마모가 저감된다. 또 회전부재의 결합부에 있어서는 그 설치된 개수만큼 저지부와의 접촉회수가 분산될 가능성을 갖게 되므로 역시 그 접촉위치에서의 마모가 저감된다. 이 결과 회전저지시에 있어 서로 부딪히는 양 부재의 접촉위치에서 마모가 저감되고, 마모를 원인으로 하는 회전저지시에 있어서의 결합불량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장기적인 사용에 견딜 수있는 구조가 된다.
또 다른 본 발명에 의하면 동작부재가 로터에 대해 자기유도력을 이용함으로써 비접촉으로 연결된 것이 된다. 그 때문에 통상 회전시에 있어 동작부재와 로터 사이에서 접촉에 의한 마찰이 일체 생기지 않아 내용연수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 마찰음도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다른 발명에 의하면 자석과 유도링의 다른 자기유도력을 어시스트하는 어시스트수단을 구비함으로써 구성상의 자유도가 늘어나 어시스트수단을 적절히 선택하는 것으로 충분한 자기유도력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22)

  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궤적이 축방향에 대해 서로 다르면서 또한 상호 다른 종류로 된 여러종류의 결합부를 구비한 회전부재와;
    상기 여러종류의 결합부 각각의 회전궤적에 대해 전진후퇴가 가능하며, 상기 회전궤적에 대해 전진하여 이 회전궤적에 진입함과 동시에 상기 여러 종류의 결합부 중 어느 한 곳에 결합 함으로써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동작을 저지하는 저지부를 구비한 회전저지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저지부는 상기 각 결합부와 결합하는 결합부위가 상기 여러종류의 결합부의 각 회전궤적에 따라 여러개 위치하고,
    상기 여러종류의 결합부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중심의 축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저지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러종류의 결합부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등거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저지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지부는 상기 각 결합부와의 결합부위를 반경방향에 있어서 같은 위치로 또한 축방향에 있어서 다른 위치에 여러개 구비한 일련의 부위로 형성한 것으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저지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지부는 부세부재에 의해 상시 상기 회전궤적에서 물러나는 방향으로 부세됨과 동시에 타부재로부터의 회전력을 받아 상기 회전저지부재가 구동됨으로써 상기 부세부재의 부세력에 능가하여 상기 회전궤적내로 진입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타부재로부터의 회전력이 삭감함으로써 상기 부세부재의 부세력에 의해 상기 회전궤적으로부터 물러나도록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저지기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저지부재는 구동원이 되는 로터에 대해 자기유도를 이용하여 연동하는 것으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저지기구.
  6. 로터와 출력축 사이에 배치되는 구동윤열내에 유성치차를 지지하는 유성치차 지지치차와, 상기 유성치차와 맞물리는 태양치차 및 링치차로 이루어지는 유성치차기구로 구성된 클러치수단과, 이 클러치수단의 계단(繼斷)동작을 행하기 위한 클러치 조작기구를 구비하고, 이 클러치 조작기구의 일부로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회전저지기구가 이용되며, 이 회전저지기구에서 회전부재의 저지동작에 의해 상기 태양치차, 상기 링치차 및 상기 유성치차 지지치차 중 어느 하나의 회전을 저지함으로써 다른 2개의 치차를 통해 상기 로터의 회전을 상기 출력축에 전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
  7. 구동윤열을 통해 출력축을 회전시키는 로터와, 이 로터의 회전에 따르도록 자기유도력을 이용하여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구동윤열을 구성하지 않는 동작부재를 갖고, 상기 로터가 정규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동작부재의 회전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하고, 상기 로터의 회전영역으로 들어가 상기 로터의 역회전을 저지함과 동시에 상기 로터가 마주닿을 때의 반동에 의해 상기 로터를 강제적으로 정규 방향의 회전으로 변환시키는 역전방지용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
  8. 로터에 구동윤열을 통해 연결되어 회전구동되는 출력축과, 상기 구동윤열내에 배치되어 상기 로터와 출력축과의 구동연결을 계단하는 클러치수단과, 이 클러치수단을 계단조작하는 클러치 조작기구를 갖고, 이 클러치 조작기구는 상기 로터와 일체적으로 또한 연동하여 회전하는 마그네트 혹은 비자성 도전체 중 어느 한쪽과, 이 한쪽에 자기유도에 의해 추수(追隨)하여 회전하는 마그네트 혹은 비자성 도전체의 다른쪽으로 이루어지는 자기유도회전수단을 갖고, 이 자기유도 회전수단의 다른쪽에 연동하여 동작하며, 상기 클러치수단을 이음동작함과 동시에 상기 로터가 정규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이 역회전을 규제하여 정회전으로 변환시키는 역전방지용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모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수단은 유성치차를 지지하는 유성치차 지지치차와, 상기 유성치차와 맞물리는 태양치차 및 링치차로 이루어지는 유성치차기구로 구성되고, 상기 자기유도 회전수단의 다른쪽의 회전을 이용하여 상기 태양치차, 상기 링치차 및 상기 유성치차 지지치차 중 어느 하나의 회전을 저지함으로써 다른 2개의 치차를 통해 상기 로터의 회전을 상기 출력축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모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치차 지지치차를 상기 출력축측에 연결하고, 상기 유성치차기구를 감속기구로서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조작기구에 의해 상기 유성치차기구의 링치차의 회전을 규제하고, 상기 태양치차 및 상기 유성치차 지지치차의 회전을 계속시킴으로써 상기 로터의 회전을 상기 출력축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역전방지용 부재가 상기 자기유도 회전수단의 다른쪽과 일체 회전하는 치차부재에 맞물리는 치차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치차부재와 맞물리는 치차에 상기 유성치차기구를 구성하는 각 치차중 하나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규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
  14. 로터에 연결되어 회전구동되는 출력축과, 이 출력축과 상기 로터와의 연결을 계단하는 클러치수단과, 이 클러치수단을 계단조작하는 클러치 조작기구를 갖고, 상기 클러치 조작기구는 상기 로터에 연동회전하는 링모양 마그네트 혹은 비자성 도전링 중 어느 한쪽과, 자기유도에 의해 이 한쪽을 추수하여 회전하는 다른쪽과, 상기 비자성 도전링을 상기 링모양 마그네트에 끼우는 위치에 배치된 자성체의 백요크링을 구비하며, 추수회전하는 상기 다른쪽에 연동하여 상기 클러치수단을 잇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백요크 링은 상기 비자성 도전링이 부착된 회전체에 부착되고, 상기 비자성 도전링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링모양 마그네트의 쓰러스트방향에서의 자기적 중심과, 상기 백요크링의 쓰러스트방향에서의 자기적 중심을 소정위치에 일치 혹은 불일치시키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백요크링은 상기 링모양 마그네트가 부착된 회전체에 부착되고, 상기 링모양 마그네트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모터.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비자성 도전링과 상기 백요크링 사이 혹은 상기 비자성 도전링과 상기 링모양 마그네트 사이에 간극부를 형성하고, 이 간극부에 점성체를 배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조작기구는 상기 클러치수단을 끊음에서 이음으로 변환하는 동작과, 상기 클러치수단을 이음에서 끊음으로 변환했을 때의 동작에 있어 상기 간극부를 통해 대향하는 상기 비자성 도전링과 상기 백요크링 혹은 상기 비자성 도전링과 상기 링모양 마그네트의 상대속도가 다르도록 구성되고, 상기 끊음에서 이음으로 할 경우에 그 상대속도가 빨라 상기 점성체의 점성력이 보다 강하게 작용함과 동시에 상기 이음에서 끊음으로 할 경우에 그 상대속도가 느려 상기 점성체의 점성력이 거의 작용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
  20.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비자성 도전링을 부착한 회전체의 베어링부를 상기 로터에 배치하고 또한 이 베어링부에 점성체를 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
  21.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조작기구내에 스프링부재에 의해 한쪽의 회전방향으로 부세된 회동부재를 구비함과 동시에 이 회동부재는 상기 로터의 구동력을 받아 상기 링모양 마그네트 및 상기 비자성 도전링의 한쪽이 고속으로 회전하고 다른쪽이 그 한쪽에 추수함으로써 상기 스프링부재의 부세력에 맞서 다른쪽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링모양 마그네트 및 상기 비자성 도전링의 한쪽이 저속으로 회전 혹은 정지함으로써 다른쪽의 추수(追隨)회전이 저속 혹은 정지한 경우에 상기 스프링부재의 부세력에 의해 한쪽의 회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동부재를 상기 스프링부재의 부세력에 맞서 다른쪽의 회전방향으로 회동시킬 때 또는 상기 스프링부재의 부세력에 의해 한쪽의 회전방향으로 회동시킬 때 발열하도록 설정된 발열부재를 상기 스프링부재의 근방에 배치하고, 상기 스프링부재를 상기 발열부재의 발열시와 비발열시에 그 스프링력이 변화하며, 그 스프링력이 이 스프링부재의 스프링력에 맞서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시킬 때 약해지도록 설정된 형상기억스프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
  22. 로터에 연결되어 소정의 부하에 맞서 회전구동되는 출력축과, 이 출력축과 상기 로터 사이의 동력의 전달을 계단하는 클러치수단과, 이 클러치수단을 계단조작하는 클러치 조작기구를 갖고,
    상기 클러치수단은 상기 로터로부터의 동력을 각각 별도 계열의 윤열에 전달가능한 2개 치차를 구비하고 이들 2개의 치차 중에서 한쪽 치차의 회전을 상기 클러치 조작기구에 의해 정지시킴으로써 이음상태가 되며, 다른쪽의 치차에 연결된 구동윤열을 통해 상기 출력축에 상기 로터로부터의 동력 전달을 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클러치 조작기구는 상기 한쪽 치차에 연결된 증속윤열과, 상기 로터에 연동회전하는 마그네트 혹은 비자성 도전부재 중 어느 한쪽 및 자기유도에 의해 이 한쪽에 추수하여 회전하는 다른쪽으로 이루어지는 자기유도수단과, 이 자기유도수단의 다른쪽에 연동하여 상기 증속윤열의 일부를 구성하는 결합치차의 회전을 저지함으로써 상기 클러치수단을 끊음에서 이음으로 변환함과 동시에 상기 로터를 정지시켜 자기유도가 소멸함에 따라 상기 결합치차와의 결합이 풀려 상기 클러치수단을 이음에서 끊음으로 변환하는 클러치 변환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증속윤열은 상기 클러치수단이 이음에서 끊음으로 변환됨으로써 상기 부하에 의해 상기 로터의 구동력에 의한 상기 출력축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출력축이 회전되었을 때 상기 출력축의 회전을 상기 클러치수단을 통해 받아 증속하면서 그 회전을 전달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이 증속윤열안의 회전부재에는 공기저항에 의해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날개부 또는 점성저항에 의해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점성체로 이루어지는 회전속도 조절수단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
KR10-2001-0034895A 2000-06-26 2001-06-20 회전저지기구 및 기어드모터 KR1004200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91599 2000-06-26
JP2000191599A JP3731148B2 (ja) 2000-06-26 2000-06-26 ギアードモータ
JP2000194167A JP3642266B2 (ja) 2000-06-28 2000-06-28 回転阻止機構及びこの回転阻止機構が用いられたギアードモータ装置
JP2000-194167 2000-06-28
JP2000-341097 2000-11-08
JP2000341097A JP4034510B2 (ja) 2000-11-08 2000-11-08 ギアードモータ
JP2001042594A JP4153668B2 (ja) 2001-02-19 2001-02-19 ギアードモータ
JP2001-42594 2001-0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1547A KR20020001547A (ko) 2002-01-09
KR100420051B1 true KR100420051B1 (ko) 2004-02-25

Family

ID=27481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4895A KR100420051B1 (ko) 2000-06-26 2001-06-20 회전저지기구 및 기어드모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420051B1 (ko)
CN (2) CN1310404C (ko)
MY (1) MY13092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2474B1 (ko) * 2002-02-15 2005-10-18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세이기 세이사꾸쇼 동작보조장치
KR20040040123A (ko) * 2002-11-06 2004-05-12 정금두 기어드모터
CN102510167B (zh) * 2011-11-21 2013-06-19 宜兴市汉阳电器有限公司 一种牵引器用带有吸铁功能的同步电机
CN103668870B (zh) * 2013-12-27 2019-03-12 宁波奉化科创科技服务有限公司 波轮洗衣机安全型弹性支撑机构
CN103696207B (zh) * 2013-12-27 2019-03-12 宁波奉化科创科技服务有限公司 安全保护的波轮洗衣机传动机构
CN103746509B (zh) * 2014-01-14 2017-11-24 无锡欧瑞京机电有限公司 一种电机防逆转装置
CN104113161B (zh) * 2014-06-24 2016-09-21 宁波东海定时器有限公司 一种电机牵引器
JP6610477B2 (ja) 2016-03-30 2019-11-27 日本電産株式会社 回転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ロボット
JP6772022B2 (ja) * 2016-10-13 2020-10-21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排水弁駆動装置
KR102616617B1 (ko) * 2018-09-06 2023-12-26 주식회사 에스 씨디 세탁물 처리 장치용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
CN110886067B (zh) * 2018-09-06 2022-05-10 株式会社Scd 洗涤物处理设备用驱动装置及包括该装置的洗涤物处理设备
CN110958356B (zh) * 2018-09-27 2022-01-25 光宝电子(广州)有限公司 扫描仪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93478A (ja) * 1988-12-06 1989-08-03 Higashifuji Seisakusho:Kk 開閉機構用駆動装置
JPH03198638A (ja) * 1989-12-26 1991-08-29 Nakagawa Electric Ind Co Ltd ギヤードモータ
US6026747A (en) * 1999-01-19 2000-02-22 Presstek, Inc. Automatic plate-loading cylinder for multiple printing memb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1547A (ko) 2002-01-09
CN1220316C (zh) 2005-09-21
CN1545186A (zh) 2004-11-10
CN1310404C (zh) 2007-04-11
CN1330443A (zh) 2002-01-09
MY130921A (en) 200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0051B1 (ko) 회전저지기구 및 기어드모터
KR101680971B1 (ko) 교합식 걸림 결합 장치
KR19990006393A (ko) 단일 레일 시프트 오퍼레이터 조립체
US11708862B2 (en) Clutch arrangement for a roadable aircraft
JP6209608B2 (ja) クラッチ装置および動力伝達装置
JP4085056B2 (ja) スタータ
WO2014050869A1 (ja) クラッチ
US11371569B2 (en) Selectable one-way clutch with common coil unit and axially moveable armature for active strut actuation
JP6032368B2 (ja) クラッチ
KR100456916B1 (ko) 기어드 모터
WO2017150178A1 (ja) 回転規制装置および排水弁駆動装置
JP5796609B2 (ja) クラッチ
JP2017155901A (ja) クラッチ機構および排水弁駆動装置
CN113661339B (zh) 提供四种操作模式的旋转电离合器组件
JP3642266B2 (ja) 回転阻止機構及びこの回転阻止機構が用いられたギアードモータ装置
JP4034510B2 (ja) ギアードモータ
KR102184464B1 (ko) 부변속기 포크 구조
JP2011106680A (ja) 電動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JP2006077828A (ja) 電磁クラッチ
WO2017150180A1 (ja) クラッチ機構および排水弁駆動装置
JPH0230168Y2 (ko)
JP2021156323A (ja) パーキングロック装置
JP2005325939A (ja) 回転駆動力伝達機構およびアクチュエータ
JPH0865952A (ja) モータ式駆動装置
KR19990020794U (ko) 수동 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