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8008B1 - 유기-몰리브덴 화합물 및 트리아졸 유도체를 포함하는 윤활유 조성물용 첨가제 - Google Patents

유기-몰리브덴 화합물 및 트리아졸 유도체를 포함하는 윤활유 조성물용 첨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8008B1
KR102018008B1 KR1020187003718A KR20187003718A KR102018008B1 KR 102018008 B1 KR102018008 B1 KR 102018008B1 KR 1020187003718 A KR1020187003718 A KR 1020187003718A KR 20187003718 A KR20187003718 A KR 20187003718A KR 102018008 B1 KR102018008 B1 KR 102018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azole
aminomethyl
molybdenum
derivative
lubricating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3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0994A (ko
Inventor
미히르 파텔
빈센트 제이. 가토
Original Assignee
반더빌트 케미칼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더빌트 케미칼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반더빌트 케미칼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80030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0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0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6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containing as components a mixture of at least two types of ingredient selected from base-materials, thickeners or additiv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10M169/04Mixtures of base-materials an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33/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nitrogen
    • C10M133/02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nitrogen having a carbon chain of less than 30 atoms
    • C10M133/38Heterocyclic nitrogen compounds
    • C10M133/44Five-membered ring containing nitrogen and carbon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1/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ixture of two or more compounds covered by more than one of the main groups C10M125/00 - C10M139/00,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10M141/06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ixture of two or more compounds covered by more than one of the main groups C10M125/00 - C10M139/00,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at least one of them being an organic nitrogen-containing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1/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ixture of two or more compounds covered by more than one of the main groups C10M125/00 - C10M139/00,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10M141/12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ixture of two or more compounds covered by more than one of the main groups C10M125/00 - C10M139/00,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at least one of them being an organic compound containing atoms of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0M141/02 - C10M141/10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63/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ixture of a compound of unknown or incompletely defined constitution and a non-macromolecular compound,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5/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5/02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 C10M2215/06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10M2215/064Di- and triaryl 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5/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5/22Heterocyclic nitrogen compounds
    • C10M2215/223Five-membered rings containing nitrogen and carbon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5/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5/30Heterocycl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9/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9/06Thio-acids; Thiocyanates; Derivatives thereof
    • C10M2219/062Thio-acids; Thiocyanates; Derivatives thereof having carbon-to-sulfur double bonds
    • C10M2219/066Thiocarbamic type compounds
    • C10M2219/068Thiocarbamate metal sal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27/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f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0M2203/00, C10M2207/00, C10M2211/00, C10M2215/00, C10M2219/00 or C10M2223/00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27/06Organic compounds derived from inorganic acids or metal salts
    • C10M2227/066Organic compounds derived from inorganic acids or metal salts derived from Mo or W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27/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f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0M2203/00, C10M2207/00, C10M2211/00, C10M2215/00, C10M2219/00 or C10M2223/00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27/09Complexes with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10/00Metal present as such or in compounds
    • C10N2010/12Groups 6 or 16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06Oiliness; Film-strength; Anti-wear; Resistance to extreme 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10Inhibition of oxidation, e.g. anti-oxid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12Inhibition of corrosion, e.g. anti-rust agents or anti-corro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36Seal compatibility, e.g. with 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25Internal-combustion engines
    • C10N2040/252Diesel eng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70/00Specific manufacturing methods for lubricant compositions
    • C10N2070/02Concentrating of additives
    • C10N2210/06
    • C10N2230/06
    • C10N2240/10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구리 및/또는 납 부식 문제를 극복하고 탄성체 밀봉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헤비 듀티 디젤 엔진에 사용하는 윤활유 조성물. 윤활유는 (A) 유기-몰리브덴 화합물, (B) 트리아졸의 알킬레이티드 디페닐아민 유도체, (C) 베이스 오일 및 선택적으로 (D) 항산화제, 분산제, 세정제, 항마모 첨가제, 극압 첨가제, 마찰 변형제, 녹방지제, 부식방지제, 밀봉 팽창제, 소포제, 유동점 저하제 및 점도지수 변형제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갖도록 특징된다.

Description

유기-몰리브덴 화합물 및 트리아졸 유도체를 포함하는 윤활유 조성물용 첨가제{ADDITIVE FOR LUBRICANT COMPOSITIONS COMPRISING AN ORGANOMOLYBDENUM COMPOUND, AND A DERIVATIZED TRIAZOLE}
본 발명은 고 수준의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을 함유하는 엔진 오일의 구리(Cu) 및 납(Pb) 부식(corrosion)을 감소하는데 유효하고, 연소(combustion) 엔진에 사용된 불소 탄성체(fluoroelastomer) 밀봉의 효과적인 보호를 유지하는 새로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구리 및 납 부식에 저항성(resistant)이고 불소 탄성체 밀봉에 호환성(compatible)인 고 수준의 몰리브덴을 함유하는 새로운 엔진 오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고 수준의 유기 몰리브덴 화합물로 제제화된(formulated) 엔진 오일의 구리 및 납 부식을 감소하고 불소 탄성체 밀봉 호환성을 유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출원 20100173808 및 20080200357는 트리아졸 유도체의 사용을 개시하고 있지만, 몰리브덴은 존재하지 않거나 언급하고 있지 않다. 미국 특허출원 20040038835는 트리아졸 유도체를 개시하고 있지만 불소 탄성체 밀봉 호환성의 중요성에 대하여는 가르치지 않고 있다. 미국 특허 5,580,482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에스테르 오일에 사용된 트리아졸 유도체를 개시하지만 몰리브덴은 언급되지 않거나 존재하지 않는다.
자동차 분야에서의 불소 탄성체(듀퐁(Dupont)의 등록상표 비톤(Viton®)로 알려져 있음)의 중요성이 미국 특허출원 2012/0258896에 개시되어 있다. 미국특허 6,723,685는 특정 질소-함유 윤활유 첨가제가 불소 탄성체 밀봉 분해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고 수준의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을 함유하는 엔진 오일의 구리(Cu) 및 납(Pb) 부식을 감소하는데 유효하고, 연소 엔진에 사용된 불소 탄성체 밀봉의 효과적인 보호를 유지하는 새로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구리 및 납 부식에 저항성이고 불소 탄성체 밀봉에 호환성인 고 수준의 몰리브덴을 함유하는 새로운 엔진 오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고 수준의 유기 몰리브덴 화합물로 제제화된 엔진 오일의 구리 및 납 부식을 감소하고 불소 탄성체 밀봉 호환성을 유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첨가제 조성물은 (A) 유기-몰리브덴 화합물, (B) 트리아졸의 알킬레이티드 디페닐아민 유도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새로운 엔진 오일 조성물은: (A) 유기-몰리브덴 화합물, (B) 트리아졸의 알킬레이티드 디페닐아민 유도체, (C) 하나 이상의 베이스(base) 오일 및 선택적으로 (D) 항산화제, 분산제, 세정제(detergents), 항마모 첨가제(anti-wear additives), 극압(extreme pressure) 첨가제, 마찰 변형제(friction modifiers), 녹방지제(rust inhibitors), 부식방지제(corrosion inhibitors), 밀봉 팽창제(seal swell agents), 소포제(anti-foaming agents), 유동점 저하제(pour point depressants) 및 점도지수 변형제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불소 탄성체 밀봉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구리(Cu) 및 납(Pb)을 감소하는 방법은, 상기 (A) 및 (B)를 혼합물로서, 개개의 성분으로서, 또는 (D)에 개시한 선택적인 첨가제와 결합한 혼합물 또는 개개의 성분으로서의 하나로서, B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고온 부식 대상 시험(Bench Test) ASTM D 6594에 의하여 측정된 구리 및/또는 납에 부식성으로 판단된, 윤활 엔진 오일에 첨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구리에 대해 부식성인 오일은 헤비 듀티(heavy duty) 디젤 CJ-4 규격(specification)에 대하여 사용된 오일의 20 ppm 최대를 넘는 구리 수준 증가의 시험 결과를 보고하는 오일이다. 납에 대해 부식성인 오일은 헤비 듀티 디젤 CJ-4 규격에 대하여 사용된 오일의 120 ppm 최대를 넘는 납 수준 증가의 시험 결과를 보고하는 오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은 고 수준의 물리브덴으로 제제화된 엔진 오일에서, ASTM D 6594에 의하여 판단된, 불소 탄성체 밀봉 열화에 대하여 호환성 또는 중립성(neutrality)을 유지하면서, 구리 및 납 부식을 감소한다.
윤활유에서의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의 사용은 산화 보호, 증착(deposit) 제어, 마모 보호 및 향상된 연료 성능을 위한 마찰 감소를 포함하는 다수의 유익한 특성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이들 특성을 얻기 위하여 사용되는 몰리브덴 화합물은 2 종류 있다. 이들은 황-함유 유기-몰리브덴 화합물과 황-프리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이고, 황-함유 유기-몰리브덴 화합물 중에서 몰리브덴 디치오카바메이트 및 트리-핵(tri-nuclear)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이 가장 잘 알려져 있고, 그리고 황-프리 유기-몰리브덴 화합물 중에서 유기-몰리브데이트 에스테르 및 몰리브덴 카복실레이트가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이들 제품은 윤활유에 유익한 특성을 제공하지만 한계를 갖고 있다. 주요한 한계는, 이들은 엔진 오일, 주로 헤비 듀티 디젤 엔진 오일에서 구리 및 납에 대해 부식성이 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디젤 엔진 오일의 부식은 고온 부식 대상 시험 ASTM D 6594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시험 종료후에 사용된 오일이 20 ppm을 초과하는 구리 수준 증가를 가지면 오일은 구리 부식에 대하여 실패한다. 시험 종료후에 사용된 오일이 120 ppm을 초과하는 납 수준 증가를 가지면 오일은 구리 부식에 대하여 실패한다. 이 부식 문제는 윤활유, 특히 헤비 듀티 디젤 엔진 오일에 사용될 수 있는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의 수준을 제한한다. 선택된 몰리브덴 화합물의 형태에 따라, 구리, 납 각각 또는 모두는 부식에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ASTM D 6594를 통과하기 위하여 특정의 헤비 듀티 디젤 엔진 오일 제제에서 매우 낮은 수준의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이 사용되거나 가끔은 아무것도 사용되지 않는다. 몰리브덴 화합물은 상기 기술한 다른 특성을 개선하는데 매우 유익하므로, 이는 크랭크케이스 엔진 오일, 특히 헤비 듀티 디젤 엔진 오일의 제제에 주요 제한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엔진 오일, 특히 헤비 듀티 디젤 엔진 오일의 제제에 사용되었을 때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의 구리 및 납 부식을 감소할 필요가 존재한다. 특히, 고 수준의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을 함유하는 엔진 오일 제제에서 구리 및 납 부식을 위한 고온 부식 대상 시험 ASTM D 6594를 통과할 필요도 존재한다.
ASTM D 6594에서 납 부식을 감소하는 기술이 보고되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출원 2004/0038835는 1,2,4-트리아졸 금속 불활성화제(deactivators)의 특정의 알킬아민 유도체가 특정 글리세롤 기준 첨가제 및 황 화합물이 엔진 오일에 존재하는 경우 납 부식을 감소하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 특허출원은 구리 부식의 효과 또는 이들 1,2,4-트리아졸의 알킬아민 유도체가 불소 탄성체 밀봉과 호환성을 갖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지 않았다.
이 특허출원에서 1,2,4-트리아졸의 알킬아민 유도체는 때로는 구리 및/또는 납 부식의 감소에 효과적이지만, 이들은 불소 탄성체 밀봉에 호환성을 결여하므로 엔진 오일에 부족한 첨가제이다(참조, 실시예 2A와 비교한 실시예 2C 및 2B와 비교한 2F). 일반적인 불소 탄성체 밀봉과의 엔진 오일 호환성은 ASTM D7216에 개시된 공정에 따라 평가된다. FKM은 엔진 오일과 접촉하여 자동차 분야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밀봉물질의 하나이다. 불소 탄성체의 호환성은 탄성체 시료가 시험 윤활유에 150℃에서 336±0.5 시간 동안 침지되었을 때 경도(hardness) 및 인장(tensile) 특성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평가된다. 탄성체의 인장 특성 및 경도는 각각 ASTM D471 및 ASTM D2240에 개시된 공정에 따라 평가되었다. 일삭(ILSAC) GF-5 규격은 인장 특성 및 강도의 변화를 각각 (-65, +10) 및 (6, +6)로 제한한다. 그러나, 밀봉 호환성에 중요한 부정적인 효과 엔진 오일 제제에 문제가 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새로운 첨가제가 존재하는 경우 규격 제한을 통과하고 ASTM D7216에 유해나 중요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을 필요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이들 목표를 달성하는 조성물 및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고 수준의 물리브덴으로 제제화된 엔진 오일에서, 불소 탄성체 밀봉 열화에 대하여 호환성 또는 중립성(neutrality)을 유지하면서, ASTM D 6594에 의하여 판단된 구리 및 납 부식을 감소하는 조성물 및 방법을 제공한다.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의 존재하여 구리 및 납 부식 보호의 약간의 개선은 개선된 엔진 오일 제제에서 중요한 가치를 증명한다. 예를 들어, 완성된 헤비 듀티 디젤 엔진 오일 제제에서 몰리브덴 수준을 0-25 ppm에서 75-200 ppm 으로 증가시키는 능력은 산화, 증착 및 마모를 더 잘 제어하기 위하여 몰리브덴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고온 부식 대상 시험 ASTM D 6594를 통과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엔진 오일 제제에서 비교적 높은 수준(적어도 320 ppm 까지, 그리고 가능하게는 800 ppm 까지)의 유기-몰리브덴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엔진 오일 제제의 부식성은 ASTM D 6594와 비교하여 더 높은 온도 및 짧은 시험 기간이 사용된 ASTM D 6594에 사용된 온도 및 시험 기간의 변형에 의하여 평가되었다. 이들은 주로 헤비 듀티 디젤 엔진 오일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구리 및 납 부식이 문제될 수 있는 어떠한 엔진 오일 제제에서도 쓸 수가 있다. 다른 예는 승용차 엔진 오일, 선박용(marine) 디젤 오일, 철도 디젤 오일, 천연 가스 엔진 오일, 레이싱(racing) 오일, 하이브리드 엔진 오일, 터보-충전(charged) 가솔린 및 디젤 엔진 오일, 직접 분사 기술이 구비된 엔진 및 2-사이클 및 4-사이클 내부 연소 엔진에 사용된 엔진 오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연료 절약 및 전체 윤활유 로버스트(robustness) 및 내구성에서의 개선된 산화 제어, 개선된 증착 제어, 우수한 마모 보호, 마찰 감소 및 개선을 포함하는 다양한 가능한 성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헤비 듀티 디젤 엔진 오일에서 고 수준의 유기 몰리브덴을 사용할 가능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헤비 듀티 디젤 엔진 오일에서 몰리브덴 함량의 적은 증가를 제공하는 매우 비용 효율적인 방식을 나타낸다. 오늘날의 대부분의 헤비 듀티 디젤 엔진 오일은 몰리브덴을 함유하지 않고, 또는 매우 낮은 수준(50 ppm 미만)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은 50 내지 800 ppm, 바람직하게는 75-320 ppm 몰리브덴의 사용을 매우 비용 효율적인 방법으로 가능하게 한다. 보다 높은 수준의 몰리브덴은 이 기술로 가능하지만 높은 비용이 든다.
성분 A - 유기-몰리브덴 화합물
성분 A는 황-함유 유기-몰리브덴 화합물 또는 황-프리(황이 없는)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일 수 있다.
황-함유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은 미국특허 6,723,685에 개시된 모노-, 디-, 트리- 또는 테트라-핵(nucleas)일 수 있다. 디-핵 및 트리-핵 황-함유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황-함유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은 몰리브덴 디치오카바메이트(MoDTC), 몰리브덴 디치오포스페이트(MoDTP), 몰리브덴 디치오포스피네이트(dithiophosphinates), 몰리브덴 크산테이트(xanthates), 몰리브덴 치오크산테이트(thioxanthates), 몰리브덴 설파이드 및 그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사용될 수 있는 황-함유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은 유럽 특허명세서 EP 1 040 115 및 미국특허 6,232,276에 개시된 트리-핵 몰리브덴-황 화합물, 미국특허 4,098,705, 4,178,258, 5,627,146 및 미국 특허출원 20120264666에 개시된 몰리브덴 디치오카바메이트, 미국특허 3,509,051 및 6,245,725에 개시된 황화 옥시몰리브덴 디치오카바메이트, 미국특허 3,356,702 및 5,631,213에 개시된 몰리브덴 옥시설파이드 디치오카바메이트, 미국특허 7,312,348에 개시된 고 설파 몰리브덴 디치오카바메이트, 미국특허 7,524,799에 개시된 고 설파 몰리브덴 옥시설파이드 디치오카바메이트, 미국특허 7,229,951에 개시된 이민 몰리브덴 디치오카바메이트 복합체(complexes), 일본특허 62039696 및 10121086 및 미국특허 3,840,463, 3,925,213 및 5,763,370에 개시된 몰리브덴 디알킬 디치오포스페이트, 일본특허 2001040383에 개시된 설파 옥시몰리브덴 디치오포스페이트, 일본특허 2001262172 및 2001262173에 개시된 옥시설파 몰리브덴 디치오포스페이트, 미국특허 3,446,735에 개시된 몰리브덴 포스포로디치오에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황-함유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은 미국특허 4,239,633, 4,259,194, 4,265,773 및 4,272,387에 개시된 윤활 오일 분산제의 일부일 수 있고, 미국특허 4,832,857에 개시된 윤활 오일 세정제의 일부일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황-함유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의 상업적 예로는 반더빌트 케미칼스 엘엘씨(Vanderbilt Chemicals, LLC)에서 제조되는 몰리반(MOLYVAN) 807, 몰리반 822, 몰리반 2000 및 몰리반 3000, 아데카 코포레이션(Adeka Corporation)에서 제조되는 사쿠라-루브(SAKURA-LUBE) 165 및 사쿠라-루브 515 및 인피니움 인터내쇼날 엘티디.(Infineum International Ltd.)에서 제조되는 인피니움 C9455를 포함한다.
엔진 오일 조성물에서의 황-함유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의 처리 수준은 고온 부식 대상 시험 ASTM D 6594에 의하여 측정된 구리 및/또는 납 부식에서 일어나는 어떠한 수준도 될 수 있다. 실제 처리 수준은 25 내지 1000 ppm 몰리브덴 금속까지 변할 수 있고 성분 B 및 C, 제제에 존재하는 엔진 오일 첨가제 및 완성된 윤활유에 사용된 베이스 오일 형태의 양을 기준으로 하여 변화한다. 황-함유 유기-몰리브덴의 바람직한 수준은 50 내지 500 ppm 몰리브덴 금속이고, 가장 바람직한 수준은 75 내지 350 ppm 몰리브덴 금속이다.
사용될 수 있는 황-프리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은 미국특허 4,692,256에 개시된 몰리브덴과 유기-아민 복합체, 미국특허 3,285,942에 개시된 글리콜 몰리브데이트 복합체, 미국 특허출원 20120077719에 개시된 몰리브덴 이미드, 미국특허 5,143,633에 개시된 몰리브덴과 유기-아민 및 유기-폴리올 복합체, 미국특허 6,509,303, 6,645,921 및 6,914,037에 개시된 고 몰리브덴 함량의 황-프리 유기-몰리브덴 화합물, 미국특허 4,889,647에 개시된 지방유(fatty oil), 디에탄올아민 및 몰리브덴 공급원의 반응에 의하여 제조된 몰리브덴 복합체, 미국특허 5,137,647에 개시된 지방산과 2-(2-아미노에틸)-아미노에탄올로부터 제조된 유기-몰리브덴 복합체, 미국특허 5,412,130에 개시된 2-4-헤테로원자 치환-몰리브데나-3,3-디옥사사이클로 알칸 및 미국특허 3,042,694, 3,578,690 및 RE30642에 개시된 몰리브덴 카복실레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황-프리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은 미국특허 4,176,073, 4,176,074, 4,239,633, 4,261,843 및 4,324,672에 개시된 윤활유 분산제의 일부일 수 있고, 미국특허 4,832,857에 개시된 윤활유 세정제의 일부일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황-프리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의 상업적 예로는 반더빌트 케미칼스, 엘엘씨에서 제조되는 몰리반(MOLYVAN) 855, 아데카 코포레이션에서 제조되는 사쿠라-루브(SAKURA-LUBE) 700 및 오엠 그룹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OM Group Americas, Inc.)에서 제조되는 15% 몰리브덴 HEX-CEM을 포함한다.
엔진 오일 조성물에서의 황-프리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의 처리 수준은 고온 부식 대상 시험 ASTM D 6594에 의하여 측정된 구리 및/또는 납 부식에서 일어나는 어떠한 수준도 될 수 있다. 실제 처리 수준은 25 내지 1000 ppm 몰리브덴 금속까지 변할 수 있고 성분 A 및 C, 제제에 존재하는 엔진 오일 첨가제 및 완성된 윤활유에 사용된 베이스 오일 형태의 양을 기준으로 하여 변화한다. 황-프리 유기-몰리브덴의 바람직한 수준은 50 내지 500 ppm 몰리브덴 금속이고, 가장 바람직한 수준은 75 내지 350 ppm 몰리브덴 금속이다.
성분 B - 트리아졸의 알킬레이티드 디페닐아민 유도체
트리아졸의 알킬레이티드 디페닐아민 유도체의 주요 특징은 그들은 톨루트리아졸 유도체 또는 벤조트리아졸 유도체가 아니라는 것이고, 또한 그들은 트리아졸의 알킬아민 유도체가 아니라는 것이다. 이는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의 존재하에 유효한 부식방지제로서 기능하는 그들의 능력에서 중요한 특성이고, 아직 불소 탄성체 밀봉에 유해를 나타내지 않는다. 본 발명의 트리아졸의 알킬레이티드 디페닐아민 유도체는 2 가지 이유로 더 효과적으로 제조된다. 첫째, 용융(fused) 방향족 링의 부존재로 인하여 그들은 더 효과적인 부식방지제가 될 수 있다. 둘째, 알킬아민의 부존재로 인하여 그들은 불소 탄성체 밀봉에 유해하지(detrimental) 않고 중립성으로 생각된다. 1 분자에서 이들 2 가지 특성은 새로운 것이다.
트리아졸의 알킬레이티드 디페닐아민 유도체는 1,2,4-트리아졸(트리아졸), 포름알데히드 공급원(source) 및 알킬레이티드 디페닐아민으로부터 만니히 반응 (Mannich reaction)에 의하여 제조된다. 이 반응은 미국특허 4,734,209에 개시되어 있고, 여기서 알킬레이티드 디페닐아민은 다양한 2차 아민에 의하여 치환되고, 미국특허 6,184,262에서 트리아졸은 벤조트리아졸 또는 톨루트리아졸로 치환된다. 물은 반응의 부산물이다. 반응은 휘발성 유기 용매에서 희석 오일(diluent oil)에서 또는 희석제의 부존재하에 수행될 수 있다. 휘발성 유기 용매가 사용되면, 일반적으로 용매는 반응이 완료된 후에 증류에 의하여 제거된다. 1,2,4-트리아졸, 포름알데히드 공급원 또는 알킬레이티드 디페닐아민 중의 하나의 약간의 화학적 초과량이 분리된 완성된 제품의 이용에 불리한 영향 없이 사용될 수 있다. 트리아졸 유도체는 다음 일반식 Ⅰ을 갖는다
Figure 112018013314139-pct00001
여기서, R' 및 R''는 각각 수소 또는 저급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1 및 R2는 각각 12 탄소원자까지 갖는 알킬, 페닐알킬 또는 그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일반식 Ⅰ의 트리아졸 유도체는 각각의 가능한 이성체(isomer)가 예시되어 있는 다음의 별개의 화학구조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8013314139-pct00002
이들 트리아졸의 알킬레이티드 디페닐아민 유도체의 제조에서, 유도체의 많은 이성체가 가능하다. 아래는 이들 분자의 가능한 다른 방식의 명명이고, 여기서 R' 및 R''는 수소이고, R1 및 R2는 알킬이다:
1H-1,2,4-트리아졸-1-메탄아민(methanamine), N,N-비스(4-알킬페닐)-
N,N-비스(4-알킬페닐)-((1,2,4-트리아졸-1-일)메틸)아민
N,N-비스(4-알킬페닐)아미노메틸-1,2,4-트리아졸
N,N-비스(4-알킬페닐)-((1,2,4-트리아졸-1-일)메틸)아민
비스(4-알킬페닐)(1H-1,2,4-트리아졸-1-일)메틸)아민
N,N-비스(4-알킬페닐)-1H[(1,2,4-트리아졸-1-일)메틸]아민
N,N-비스(4-알킬페닐)-[(1,2,4-트리아졸-1-일)메틸)아민
N,N-비스(4-알킬페닐)-1,2,4-트리아졸-1-일메탄아민
트리아졸 유도체의 알킬레이티드 디페닐아민 부분은 프로필레이티드, 부틸레이티드, 펜틸레이티드, 헥실레이티드, 헵틸레이티드, 옥틸레이티드, 노닐레이티드, 데실레이티드, 운데실레이티드, 도데실레이티드, 트리데실레이티드, 테트라데실레이티드, 펜타데실레이티드 및 헥사데실레이티드일 수 있다. 알킬 그룹은 천연에서 선형, 분지형(branched) 또는 환형(cyclic)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트리아졸 유도체의 알킬레이티드 디페닐아민 부분은 부틸레이티드, 옥틸레이티드 또는 노닐레이티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다음을 포함한다:
1-[(4-부틸페닐)(페닐)아미노메틸]트리아졸
1-[(4-옥틸페닐)(페닐)아미노메틸]트리아졸
1-[디-(4-부틸페닐)아미노메틸]트리아졸
1-[디-(4-옥틸페닐)아미노메틸]트리아졸
1-[(4-노닐페닐)(페닐)아미노메틸]트리아졸
1-[디-(4-노닐페닐)아미노메틸]트리아졸
1-[(4-부틸페닐)(4-옥틸페닐)아미노메틸]트리아졸
또한, 본 발명에서는 1-[디-(4-혼합 부틸/옥틸페닐)아미노메틸]트리아졸로 개시된 분자 혼합물 또한 예측할 수 있고, 여기서 이 혼합물은 1-[(4-부틸페닐)(페닐)아미노메틸]트리아졸, 1-[(4-옥틸페닐)(페닐)아미노메틸]트리아졸, 1-[디-(4-부틸페닐)아미노메틸]트리아졸, 1-[디-(4-옥틸페닐)아미노메틸]트리아졸 및 1-[(4-부틸페닐)(4-옥틸페닐)아미노메틸]트리아졸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트리아졸의 알킬레이티드 디페닐아민 유도체이고, 트리아졸의 옥틸레이티드 또는 고급 알킬레이티드 디페닐아민 유도체(예를 들어, 노닐레이티드, 데실레이티드, 운데실레이티드, 도데실레이티드, 트리데실레이티드, 펜타데실레이티드, 헥사데실레이티드)이다. 알킬 그룹은 천연에서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cyclic)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새로운 분자는 1-[디-(4-옥틸페닐)아미노메틸]트리아졸 또는 1-[디-(4-노닐페닐)아미노메틸]트리아졸이다. 그러나, 적어도 하나의 페닐 그룹을 갖는 분자가 옥틸화 또는 고급 알킬화 되는 것이 효율적이고, 여기서 다른 페닐 그룹은 C7 또는 그보다 낮은 C4로 알킬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디-(4-혼합 부틸/옥틸페닐)아미노메틸]트리아졸로 개시된 분자 혼합물 또한 기대할 수 있고, 여기서 이 혼합물은 1-[(4-부틸페닐)(페닐)아미노메틸]트리아졸, 1-[(4-옥틸페닐)(페닐)아미노메틸]트리아졸, 1-[디-(4-부틸페닐)아미노메틸]트리아졸, 1-[디-(4-옥틸페닐)아미노메틸]트리아졸 및 1-[(4-부틸페닐)(4-옥틸페닐)아미노메틸]트리아졸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분자 또는 분자 혼합물이 윤활유 조성물에 존재하는 경우, 분자 혼합물의 유효양은 존재하는 옥틸레이티드 또는 고급 알킬의 비율에 따라 기준한다.
엔진 오일 조성물에서의 트리아졸의 알킬레이티드 디페닐아민 유도체의 처리 수준은 성분 A가 그 자체로는 부족할 때 구리 및 납 부식을 감소하는데 필요한 어떠한 수준 또는 구리 및 납에 대한 고온 부식 대상 시험 ASTM D 6594 를 통과하는데 필요한 어떠한 수준도 될 수 있다. 실제 범위는 0.01 내지 5.0 중량%이다. 바람직한 범위는 0.05 내지 3.0 중량%이다. 가장 바람직한 범위는 0.1 내지 2.0 중량%이다. 본 발명의 트리아졸의 알킬레이티드 디페닐아민 유도체는 불소 탄성체 밀봉에 유해하지 않으므로, 이들은 엔진 오일 제제에 부정적인 충격을 갖지 않고 매우 높은 수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성분 C - 베이스 오일
그룹 Ⅰ, Ⅱ, Ⅲ, Ⅳ 및 Ⅴ의 API 카테고리를 충족하는 어떠한 베이스 오일을 포함하는 미네랄 및 합성 베이스 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성분 D - 추가 첨가제
추가 첨가제는 항산화제, 분산제, 세정제, 항마모 첨가제, 극압 첨가제, 마찰 변형제, 녹방지제, 부식방지제, 밀봉 팽창제, 소포제, 유동점 저하제 및 점도지수 변형제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하나 이상의 각각의 형태의 첨가제가 사용될 수 있다. 항마모 첨가제는 인(phosphorus)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비 듀티 디젤 엔진 오일을 위하여, 추가 첨가제는 하나 이상의 분산제, 하나 이상의 칼슘 또는 마그네슘 과염기화(overbased) 세정제, 하나 이상의 항산화제, 항마모 첨가제로서의 아연 디알킬디치오포스페이트, 하나 이상의 유기 마찰 변형제, 유동점 저하제 및 하나 이상의 점도지수 변형제를 포함한다. 헤비 듀티 디젤 엔진 오일에 사용된 선택적 추가 첨가제는 다음을 포함한다: (1) 보충 황-기준, 인-기준 또는 황- 및 인-기준 항마모 첨가제. 이 보충 항마모 첨가제는 재(ash) 생성 금속(예를 들어, 아연, 칼슘, 마그네슘, 텅스텐 및 티타늄)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이들은 재가 없다, (2) 황화(sulfurized) 올레핀, 황화 지방 및 오일을 포함하는 보충 항산화제. 다음 리스트는 헤비 듀티 디젤 엔진 오일 제제에서 본 발명의 첨가제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첨가제를 나타낸다.
옥틸레이티드 디페닐아민
혼합 부틸레이티드/옥틸레이티드 디페닐아민
노닐레이티드 디페닐아민
옥틸레이티드 페닐-α-나프틸아민
노닐레이티드 페닐-α-나프틸아민
도데실레이티드 페닐-α-나프틸아민
메틸렌비스(디-n-부틸디치오카바메이트)
3,5-디-t-부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믹산, C10-C14 알킬 에스테르
3,5-디-t-부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믹산, C7-C9 알킬 에스테르
3,5-디-t-부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믹산, 이소-옥틸 에스테르
3,5-디-t-부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믹산, 부틸 에스테르
3,5-디-t-부틸-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믹산, 메틸 에스테르
4,4'-메틸렌비스(2,6-디-t-부틸페놀)
글리세롤 모노-올레에이트(oleate)
올레아마이드(oleamide)
톨루트리아졸의 옥틸레이티드 디페닐아민 유도체
N,N'-비스(2-에틸헥실)-ar-메틸-1H-벤조트리아졸-1-메탄아민
디알킬암모늄 텅스테이트
아연 디아밀디치오카바메이트
지방유 및 디에탄올아민의 반응 생성물로부터 유도된 보레이트(borate) 에스테르
부탄디오익산(4,5-디하이드로-5-치옥소-1,3,4-치아디아졸-2-일)치오-비스(2-에틸헥실)에스테르
3-[[비스(1-메틸에톡시)포스피노치오일]치오]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디알킬디치오포스페이트 석시네이트
디알킬포스포릭산 모노알킬 1차(primary) 아민 염
2,5-디머캅토-1,3,4-치아디아졸 유도체
본 발명의 엔진 오일의 구리 및 납을 감소하고 불소 탄성체 밀봉 호환성을 유지하는 방법은, 구리 및/또는 납 부식을 위한 고온 부식 대상 시험 ASTM D 6594에 실패한 엔진 오일에 성분 A가 존재하는 경우 성분 B를 첨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적인 조합이 현존하는 헤비 듀티 디젤 엔진 오일 제제 의 처리에 매우 효율적이라고 기대된다. 예를 들어, 현존하는 상업적 헤비 듀티 디젤 엔진 오일의 항산화제, 항마모제, 마찰 특성 또는 증착 제어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는 상업적인 라이센싱 목적을 위하여 필요한 것을 넘는 성능 개선이다. 이런 경우에 성분 A 및 B의 혼합물은 구리 및 납 부식을 제어하면서 보다 높은 성능 특성을 달성하고 불소 탄성체 밀봉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고 수준의 몰리브덴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헤비 듀티 디젤 엔진 오일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은 헤비 듀티 디젤 엔진 오일에 성분 A 및 B의 혼합물을 첨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성분 A 및 B를 갖고, 각각의 성분은 엔진 오일 제제의 일부로서 또는 첨가제로서 존재하는 엔진 오일, 특히 헤비 듀티 디젤 엔진 오일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윤활유 조성물은 대다수 양의(예를 들어, 적어도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5 중량%) 베이스 오일과 다음의 첨가제 조성물을 포함한다:
(A) 유기-몰리브덴 화합물 및
(B) 1,2,4-트리아졸의 알킬레이티드 디페닐아민 유도체
(A)는 윤활유 조성물에 약 50-800 ppm 몰리브덴, 바람직하게는 75-320 ppm 몰리브덴을 제공하는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B)는 윤활유 조성물 내에 0.01 중량% 내지 5.0 중량% 사이,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3.0 중량% 사이,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2.0 중량% 사이의 양으로 존재한다.
트리아졸의 알킬레이티드 디페닐아민 유도체의 양은 몰리브덴의 전체 양과 관련될 수 있고, 낮은 몰리브덴 양에서는 더 적은 트리아졸의 알킬레이티드 디페닐아민 유도체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A)가 약 50-200 ppm 사이의 몰리브덴, 바람직하게는 약 120 ppm 몰리브덴(Mo)을 제공하면, (B)는 약 0.05-0.50 중량% 사이로 존재한다. (A)가 약 250-500 ppm 사이의 몰리브덴, 바람직하게는 약 320 ppm 몰리브덴(Mo)을 제공하면, (B)는 약 0.1-3.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2-2.0 중량% 사이로 존재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윤활유 조성물에 첨가하는 첨가제 농축물(concentrate)을 예측한다. 첨가제 농축물은 상기 성분 (A) 및 (B)를 포함하고, 트리아졸 유도체 첨가제의 양에 대한 몰리브덴 금속의 양에 기준한 (A):(B)의 비율은 약 50:1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약 33:1 내지 1:1 이다.
톨루트리아졸 유도체(CUVAN® 303) 및 2,5-디머캅토-1,3,4-치아디아졸 유도체(CUVAN® 826)과 같은 전형적인 부식방지제를 사용하여 고온 부식 대상 시험 ASTM D 6594 에서 구리 및 납 부식을 감소하려는 노력이 시도되었다. 전자는 매우 높은 납 부식을 생성하고, 후자는 매우 높은 구리 부식을 생성하였다. 톨루트리아졸 유도체에서 트리아졸 유도체로의 전환은 받아들일 수 있는 납 및 구리 부식 감소를 제공하였다.
실시예
HTCBT 부식 (실시예 1A 내지 1J)
ASTM D 6594에 따른 고온 부식 대상 시험(HTCBT)을 사용하여 구리 및 납 금속에 대한 윤활유의 부식 가능성이 평가되었다. 시험 방법의 상세는 ASTM 애뉴얼 북(annual book)에서 찾을 수 있다. 시험을 위하여 시료 100±2 g 윤활유가 사용되었다. 구리, 납, 주석 및 인 청동(phosphor bronze)의 각각의 4개 금속 시료가 시험 윤활유에 침지되었다(immersed). 시험 윤활유는 135℃로 유지되고, 1주 동안 5±0.5 L/h 에서 윤활유에 건조 공기가 버블되었다. 헤비 듀티 디젤 엔진 오일을 위한 API CJ-4 규격은 ASTM D 6594 시험방법에 따라 산화된 오일(oxidized oil)에서 구리 및 납의 금속 농도를 각각 20 ppm 최대 및 120 ppm 최대로 제한한다. 시험 후에, 윤활유는 오일 내의 구리 및 납 금속의 함량을 위하여 유도 결합 플라즈마(inductive coupled plasma; ICP) 분석 기술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표 1, 2 및 3에서 베이스 혼합물(base blend)은, 베이스 오일, 분산제, 세정제, VI 증강제, 항산화제, 항마모제, 유동점 저하제 및 다른 첨가제로 구성되는 SAE 15W-40 SAE 점도 등급의 완전 제제화된(viscosity grade fully formulated) 헤비 듀티 디젤 엔진 오일이다. 이어서, 베이스 혼합물은 실시예 1A 내지 1J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더 제제화된다. 사용된 트리아졸의 100% 활성 알킬아민 유도체는 바스프 코포레이션(BASF Corporation)에서 입수 가능한 일가메트(IRGAMET®) 30, 1-(N,N-비스(2-에틸헥실)아미노메틸)-1,2,4-트리아졸이다. 사용된 몰리브덴 디치오카바메이트는 반더빌트 케미칼스, 엘엘씨로부터 구입 가능한 10 중량%의 몰리브덴 치오카바메이트의 몰리반(MOLYVAN®) 3000 이다. 사용된 몰리브덴 에스테르/아마이드는 반더빌트 케미칼스, 엘엘씨로부터 구입 가능한 8 중량%의 황-프리 유기-몰리브덴 제품의 몰리반 855 이다.
표 1의 결과는 헤비 듀티 디젤 엔진 오일 제제에 몰리브덴이 존재하면 모든 3 가지의 트리아졸 유도체는 HTCBT 시험에서 구리 및 납 부식을 감소하는데 유효하다는 것을 명확히 나타낸다. 결과는 또한 실시예 P-2에서 제조된 트리아졸의 부틸레이티드/옥실레이티드 디페닐아민 유도체가 몰리브덴이 존재하면 트리아졸의 알킬아민 유도체와 같이 부식을 감소하는데 유효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1A 1B 1C 1D
베이스 혼합물(중량%) 99.64 99.44 99.24 99.24
몰리브덴 디치오카바메이트(중량%) 0.16 0.1. 0.16 0.16
몰리브덴 에스테르/아마이드(중량%) 0.2 0.2 0.2 0.2
100% 활성 트리아졸의 알킬아민
유도체 (중량%)
0.2
50% 활성 트리아졸의 디옥틸레이티드
디페닐아민 유도체 (중량%) 실시예 P-1
0.4
50% 활성 트리아졸의 혼합 부틸레이티드/ 옥틸레이티드 디페닐아민 유도체
(중량%) 실시예 P-2
0.4
전체 (중량%) 100 100 100 100
몰리브덴(Mo) (ppm) 320 320 320 320
ASTM D 6594
구리 (ppm) 런1(run 1) 225 7 51 8
구리 (ppm) 런2 265 6 48 7
구리 (ppm) 런3 272 384 600 6
납 (ppm) 런1 101 47 67 40
납 (ppm) 런2 116 43 99 50
납 (ppm) 런3 82 102 14 42

표 2의 결과는 유기-몰리브덴의 하나의 형태, 이 경우에 몰리브덴 에스테르/아마이드가 사용되면, 트리아졸의 알킬레이티드 디페닐아민 유도체(실시예 P-1 및P-2에서 제조된 샘플)의 사용이 HTCBT 에서 측정된 구리 또는 납 부식의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감소하는데 유효하다는 것을 명확히 나타낸다.
삭제
실시예 1E 1F 1G
베이스 혼합물(중량%) 99.8125 99.2 99.2
몰리브덴 에스테르/아마이드(중량%) 0.1875 0.4 0.4
50% 활성 트리아졸의 디옥틸레이티드
디페닐아민 유도체 (중량%) 실시예 P-1
0.4
50% 활성 트리아졸의 혼합 부틸레이티드/ 옥틸레이티드 디페닐아민 유도체
(중량%) 실시예 P-2
0.4
전체 (중량%) 100 100 100
몰리브덴(Mo) (ppm) 150 320 320
ASTM D 6594
구리 런1) 46 29 7
구리 런2 405 7 8
구리 런3 172 7 7
납 런1 144 48 117
납 런2 11 96 131
납 런3 140 122 112
표 3의 결과는 유기-몰리브덴의 하나의 형태, 이 경우에 몰리브덴 디치오카바메이트가 사용되면, 트리아졸의 알킬레이티드 디페닐아민 유도체(실시예 P-1 및 P-2에서 제조된 샘플)의 사용이 HTCBT 에서 측정된 구리 또는 납 부식의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감소하는데 유효하다는 것을 명확히 나타낸다.
실시예 1H 1I 1J
베이스 혼합물(중량%) 99.85 99.28 99.28
몰리브덴 디치오카바메이트(중량%) 0.15 0.32 0.32
50% 활성 트리아졸의 디옥틸레이티드
디페닐아민 유도체 (중량%) 실시예 P-1
0.4
50% 활성 트리아졸의 혼합 부틸레이티드/ 옥틸레이티드 디페닐아민 유도체
(중량%) 실시예 P-2
0.4
전체 100 100 100
몰리브덴(Mo) (ppm) 150 320 320
ASTM D 6594
구리 런1 10 258 27
구리 런2 402 13 28
구리 런3 72 13 62
납 런1 46 5 22
납 런2 6 28 38
납 런3 44 26 14
불소 탄성체 밀봉 호환성 (실시예 2A 내지 2H)
대표적인 밀봉 탄성체와의 엔진 오일 호환성이 ASTM D7216에 개시된 공정에 따라 평가되었다. 평가를 위하여 사용된 탄성체는 일반적으로 FKM으로 알려진 불소 탄성체이다. FKM은 엔진 오일과 접촉하여 자동차 분야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밀봉물질의 하나이다. 탄성체의 호환성은 탄성체 시료가 시험 윤활유에 150℃에서 336±0.5 시간 동안 침지되었을 때 경도(hardness) 및 인장(tensile) 특성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평가된다. 탄성체의 인장 특성 및 경도는 각각 ASTM D471 및 ASTM D2240에 개시된 공정에 따라 평가되었다. 일삭(ILSAC) GF-5 규격은 인장 특성 및 강도의 변화를 각각 (-65, +10) 및 (6, +6)로 제한한다. 결과를 표 4에 보고하였다.
실시예 2A 2B 2C 2D 2E 2F 2G 2H
베이스 혼합물(중량%) 100 99.64 99.8 99.6 99.6 99.44 99.24 99.24
몰리브덴 에스테르/
아마이드 (중량%)
0.2 0.2 0.2 0.2
몰리브덴 디치오카바메이트
(중량%)
0.16 0.16 0.16 0.16
100% 활성 트리아졸의
알킬아민 유도체(중량%)
0.2 0.2
50% 활성 트리아졸의
디옥틸레이티드 디페닐아민
유도체 (중량%) 실시예 P-1
0.4 0.4
50% 활성 트리아졸의
혼합 부틸레이티드/
옥틸레이티드 디페닐아민
유도체 (중량%) 실시예 P-2
0.4 0.4
전체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인장 강도 변화 (%) 40.09 36.61 56.83 40.51 38.69 55.75 37.94 37.36
경도 변화 3.8 3.9 5.1 3.2 3.8 4.8 3.0 3.8
표 4는 베이스 혼합물 + 몰리브덴(2B) 및 베이스 혼합물 + 트리아졸의 알킬레이티드 디페닐아민 유도체(2D 및 2E)는 불소 탄성체 밀봉 열화에 유해하지 않거나 또는 중립성임을 명확히 나타낸다. 이는 2A에서 2B, 2D 또는 2E의 하나로 이동하는 경우 실질적으로 인장 강도 또는 경도의 변화가 없는 것에 의하여 증명된다. 본 발명의 제제 2G 및 2H는 또한 불소 탄성체 밀봉 열화에 중립성이다. 그러나, 트리아졸의 알킬아민 유도체를 포함하는 제제(2C 및 2F)는 인장 강도 및 경도의 실질적인 증가를 나타내어 트리아졸의 알킬아민 유도체는 불소 탄성체 밀봉에 유해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a) 유기-몰리브덴 화합물 및 (b) 트리아졸의 알킬레이티드 디페닐아민 유도체를 포함하는 새로운 제제는 ASTM D 6594에 의하여 측정된 구리 및/또는 납에 대한 매우 효과적인 보호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불소 탄성체 밀봉의 열화에 대하여 완전히 중립성이다. 상기와 같이, 트리아졸의 알킬아민 유도체는 ASTM D 6594에 의하여 측정된 구리 및 납 부식을 감소하는데 효과적이지만, 그들은 불소 탄성체 밀봉 열화에 대하여 매우 유해하여, 구리 및 납 부식 문제에 대한 실제적인 해결책을 제공하지 않는다.
HTCBT 부식 (실시예 3 내지 7)
표 5에서 "베이스 혼합물(base blend)"은, 베이스 오일, 분산제, 세정제, VI 증강제, 항산화제, 항마모제, 유동점 저하제로 구성되는 SAE 0W-20 점도 등급의 완전 제제화된(fully formulated) 오일이다. 이어서, 베이스 혼합물은 표 5의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더 제제화된다.
ASTM D 6594 시험 방법 및 변형 HTCBT 방법에 따른 고온 부식 대상 시험(HTCBT)을 사용하여 구리 및 납 금속에 대한 이들 제제의 부식성이 평가되었다. 변형 HTCBT 방법에서, 시험 윤활유는 165℃로 유지되고, 48 시간 동안 5±0.5 L/h 에서 윤활유에 건조 공기가 버블되었다. 시험 후에, 윤활유는 오일 내의 구리 및 납 금속 함량을 위하여 유도 결합 플라즈마(inductive coupled plasma; ICP) 분석 기술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실시예 3은 몰리브덴을 첨가하는 효과는 ASTM D 6594 및 변형 HTCBT 시험에 따라 헤비 듀티 디젤 엔진 오일에서 구리 및 납 부식 증가를 나타낸다. 실시예 4 및 5는 앞에 기술한 바와 같이 트리아졸의 알킬아민 유도체의 유익한 특성을 나타낸다. 비록 트리아졸의 알킬아민 유도체가 부식 감소에 효과적이지만, 실시예 2C 및 2F는 그들은 밀봉 호환성에 매우 유해하다는 것을 명확히 나타낸다. 실시예 6은 N,N-비스(2-에틸헥실)-ar-메틸-1H-벤조트리아졸-1-메탄아민, 반더빌트 케미칼스, 엘엘씨로부터 큐반(CUVAN®) 303 으로 입수 가능한 톨루트리아졸의 알킬아민 유도체 부식방지제를 사용하는 비교 실시예이다. 실시예 7은 2,5-디머캅토-1,3,4-치아디아졸 유도체, 반더빌트 케미칼스, 엘엘씨로부터 큐반(CUVAN®) 826 으로 입수 가능한 황-기준 부식방지제를 사용하는 비교 실시예이다. 실시예 6 및 7은 비교 부식방지제는 실시예 4의 트리아졸 부식방지제와 같이 효과적이지 않다는 것을 명확히 나타낸다.
실시예 3 4 5 6 7
1 베이스 혼합물* 99.637 99.437 99.437 99.437 99.437
2 몰리브덴 에스테르/아마이드(중량%) 0.2 0.2 0.2 0.2 0.2
3 몰리브덴 디치오카바메이트(중량%) 0.163 0.163 0.163 0.163 0.163
4 100% 활성 트리아졸의
알킬아민 유도체 (중량%)
0.2
5 100% 활성 트리아졸의
알킬아민 유도체 (중량%)- 대안 공급원
0.2
6 N,N-비스(2-에틸헥실)-ar-메틸-1H-
벤조트리아졸-1-메탄아민
0.2
7 2,5-디머캅토-1,3,4-치아디아졸 유도체 0.2
8 전체 100 100 100 100 100
ASTM D 6594
구리(20 ppm 최대) 런1 97 4 4 4 390
구리(20 ppm 최대) 런2 101 4 12 2 366
납 (120 ppm 최대) 런1 41 2 <1 13 114
납 (120 ppm 최대) 런2 52 1 224 190 102
변형 HTDBT 방법
구리(20 ppm 최대) 런1 164 6 4 26 50
구리(20 ppm 최대) 런2 164 4 3 25 214
9 납 (120 ppm 최대) 런1 28 8 2 14 6
10 납 (120 ppm 최대) 런2 20 22 2 165 17
실시예 P- 1: 50% 프로세스 오일 내의 1-( N,N - 비스(4-(1,1,3,3-테트라메틸부 틸)페닐)아미노메틸)-1,2,4-트리아졸의 제조
온도 탐침봉(probe), 오버헤드 교반기 및 딘스타크 세트업(Dean Stark set-up)을 구비한 500 ㎖ 삼-목 둥근 바텀(three-necked round bottom) 플라스크 내에 반루브® 81(디옥틸디페닐아민) (62.5g, 0.158 몰), 1,2,4-트리아졸(11.0g, 0.158 몰), 파라포름알데히드(5.5g, 0.158 몰), 물(3g, 0.166 몰) 및 프로세스 오일 (37.7g)을 충전하였다. 혼합물은 질소하에 급속 혼합과 함께 100-105℃로 가열되었다. 혼합은 100℃에서 1 시간 동안 계속되었다. 1 시간 후에 진공 물 흡입기 (aspirator)가 도입되고 반응 온도는 120℃로 높였다. 반응 혼합물은 이 온도에서 1 시간 동안 유지되었다. 예측되는 물의 양이 회복되면 완전한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암시한다. 반응 혼합물은 90℃로 냉각되고 용기에 옮겨진다. 가벼운 황색의 액체(102.93 g)가 분리되었다.
실시예 P- 2: 50% 프로세스 오일 내의 1,2,4- 트리아졸의 혼합 부틸레이티드 /옥틸레이티드 디페닐아민 유도체 제조
온도 탐침봉(probe), 오버헤드 교반기 및 딘스타크 세트업(Dean Stark set-up)을 구비한 500 ㎖ 삼-목 둥근 바텀 플라스크 내에 반루브® 961(혼합 부틸레이티드/옥틸레이티드 디페닐아민)(60g, 0.201 몰), 1,2,4-트리아졸(13.9g, 0.200 몰), 파라포름알데히드(6.8g, 0.207 몰), 물(3.8g, 0.208 몰) 및 프로세스 오일 (77g)을 충전하였다. 혼합물은 질소하에 급속 혼합과 함께 100-105℃로 가열되었다. 혼합은 100℃에서 1 시간 동안 계속되었다. 1 시간 후에 진공 물 흡입기가 도입되고 반응온도는 120℃로 높였다. 반응 혼합물은 이 온도에서 1 시간 동안 유지되었다. 예측되는 물의 양이 회복되면 완전한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암시한다. 반응 혼합물은 90℃로 냉각되고 용기에 옮겨진다. 어두운 황색의 액체(138.86g)가 분리되었다.

Claims (16)

  1. 윤활유 베이스 오일 및 (A) 윤활유 조성물에서 전체 몰리브덴 함량 50 ppm 내지 800 ppm 함량을 제공하는 유기-몰리브덴 화합물, (B) 윤활유 조성물의 0.01-5.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트리아졸의 알킬레이티드 디페닐 아민 유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B) 유도체는 톨루트리아졸 유도체 및 벤조트리아졸 유도체를 제외하는 윤활유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전체 몰리브덴 함량이 75 ppm 내지 350 ppm인 윤활유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이 몰리브덴 디치오카바메이트 및 몰리브덴 에스테르/아마이드 복합체의 하나 또는 모두로부터 선택되는 윤활유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아졸의 알킬레이티드 디페닐아민 유도체가 윤활유 조성물의 0.05-3.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윤활유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의 몰리브덴 함량(중량%):(B)의 트리아졸 유도체 함량(중량%)에 대한 비율이 0.001:1 내지 20:1인 윤활유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아졸의 알킬레이티드 디페닐아민 유도체가 1-[디-(4-알킬페닐)아미노메틸]트리아졸 및 1-[(4-알킬페닐)(페닐)아미노메틸]트리아졸의 하나 또는 모두로부터 선택되는 윤활유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아졸의 알킬레이티드 디페닐아민 유도체가 하나 이상의
    1-[디-(4-부틸페닐)아미노메틸]트리아졸,
    1-[디-(4-옥틸페닐)아미노메틸]트리아졸,
    1-[디-(4-노닐페닐)아미노메틸]트리아졸,
    1-[(4-부틸페닐)(페닐)아미노메틸]트리아졸,
    1-[(4-옥틸페닐)(페닐)아미노메틸]트리아졸,
    1-[(4-노닐페닐)(페닐)아미노메틸]트리아졸, 및
    1-[(4-부틸페닐)(4-옥틸페닐)아미노메틸]트리아졸로부터 선택되는 윤활유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구리 및/또는 납 부식의 감소가 고온 부식 대상 시험 ASTM D 6594에 따른 윤활유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B)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윤활유는 고온 부식 대상 시험 ASTM D 6594에 따라 구리 및/또는 납에 부식성으로 판단된 것인 윤활유 조성물.
  10. (A) 유기-몰리브덴 화합물 및 (B) 트리아졸의 알킬레이티드 디페닐 아민 유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B) 유도체는 톨루트리아졸 유도체 및 벤조트리아졸 유도체를 제외하고, 상기 (A)의 몰리브덴 함량(중량%):(B)의 트리아졸 유도체 함량(중량%)에 대한 비율이 0.001:1 내지 20:1인, 윤활유 조성물용 첨가제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아졸의 유도체가 1-[디-(4-알킬페닐)아미노메틸]트리아졸 및 1-[(4-알킬페닐)(페닐)아미노메틸]트리아졸의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윤활유 조성물용 첨가제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아졸의 유도체가
    1-[디-(4-부틸페닐)아미노메틸]트리아졸,
    1-[디-(4-옥틸페닐)아미노메틸]트리아졸,
    1-[디-(4-노닐페닐)아미노메틸]트리아졸,
    1-[(4-부틸페닐)(페닐)아미노메틸]트리아졸,
    1-[(4-옥틸페닐)(페닐)아미노메틸]트리아졸,
    1-[(4-노닐페닐)(페닐)아미노메틸]트리아졸, 및
    1-[(4-부틸페닐)(4-옥틸페닐)아미노메틸]트리아졸의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윤활유 조성물용 첨가제 조성물.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몰리브덴 화합물이 몰리브덴 디치오카바메이트 및 몰리브덴 에스테르/아마이드 복합체의 하나 또는 모두인, 윤활유 조성물용 첨가제 조성물.
  14. 엔진 오일에 엔진 오일의 0.05 내지 3.0 중량%로 트리아졸의 알킬레이티드 디페닐아민 유도체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아졸의 알킬레이티드 디페닐아민 유도체는 톨루트리아졸 유도체 및 벤조트리아졸 유도체를 제외하는, 50 ppm 내지 800 ppm 사이의 몰리브덴을 포함하는 헤비 듀티 디젤 엔진 오일에서 고온 구리 및 납 부식을 감소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몰리브덴이 몰리브덴 디치오카바메이트 및 몰리브덴 에스테르/아마이드 복합체의 하나 또는 모두의 형태로 존재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아졸 유도체가
    1-[디-(4-부틸페닐)아미노메틸]트리아졸,
    1-[디-(4-옥틸페닐)아미노메틸]트리아졸,
    1-[디-(4-노닐페닐)아미노메틸]트리아졸,
    1-[(4-부틸페닐)(페닐)아미노메틸]트리아졸,
    1-[(4-옥틸페닐)(페닐)아미노메틸]트리아졸,
    1-[(4-노닐페닐)(페닐)아미노메틸]트리아졸, 및
    1-[(4-부틸페닐)(4-옥틸페닐)아미노메틸]트리아졸의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KR1020187003718A 2015-08-14 2016-08-02 유기-몰리브덴 화합물 및 트리아졸 유도체를 포함하는 윤활유 조성물용 첨가제 KR1020180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05240P 2015-08-14 2015-08-14
US201562205250P 2015-08-14 2015-08-14
US62/205,250 2015-08-14
US62/205,240 2015-08-14
PCT/US2016/045157 WO2017030785A1 (en) 2015-08-14 2016-08-02 Additive for lubricant compositions comprising an organomolybdenum compound, and a derivatized triazo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0994A KR20180030994A (ko) 2018-03-27
KR102018008B1 true KR102018008B1 (ko) 2019-09-03

Family

ID=5799531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3492A KR102025029B1 (ko) 2015-08-14 2016-08-02 황-함유 및 황-프리 유기-몰리브덴 화합물 및 트리아졸을 포함하는 윤활유 조성물용 첨가제
KR1020187003718A KR102018008B1 (ko) 2015-08-14 2016-08-02 유기-몰리브덴 화합물 및 트리아졸 유도체를 포함하는 윤활유 조성물용 첨가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3492A KR102025029B1 (ko) 2015-08-14 2016-08-02 황-함유 및 황-프리 유기-몰리브덴 화합물 및 트리아졸을 포함하는 윤활유 조성물용 첨가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10280381B2 (ko)
EP (2) EP3334810B1 (ko)
JP (2) JP6494153B2 (ko)
KR (2) KR102025029B1 (ko)
CN (2) CN107922869A (ko)
AU (2) AU2016307777B2 (ko)
BR (2) BR112018002826B1 (ko)
CA (2) CA2992312C (ko)
ES (2) ES2767353T3 (ko)
MX (2) MX2018001902A (ko)
RU (2) RU2018108824A (ko)
WO (2) WO20170307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04009B2 (en) * 2018-01-19 2020-07-07 Chevron Oronite Company Llc Ultra low ash lubricating oil compositions
US10767134B1 (en) 2019-05-17 2020-09-08 Vanderbilt Chemicals, Llc Less corrosive organomolybdenum compounds as lubricant additives
CN110511807A (zh) * 2019-08-07 2019-11-29 黄河三角洲京博化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抗磨汽油发动机油
CN111303969A (zh) * 2020-03-11 2020-06-19 北京京蝠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耐磨机油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9732A (ja) * 2001-11-19 2005-04-14 アール.ティー.ヴァンダービルト 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改良された酸化防止剤、抗摩耗性/極圧添加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潤滑組成物
JP2009149890A (ja) * 2007-12-20 2009-07-09 Chevron Oronite Co Llc モリブデン化合物とジアルキルジチオリン酸亜鉛とを含む潤滑油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42694A (en) 1959-04-02 1962-07-03 American Metal Climax Inc Molybdenum carboxylate compounds
US3285942A (en) 1962-03-06 1966-11-15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Preparation of glycol molybdate complexes
US3402188A (en) 1962-07-30 1968-09-17 Lubrizol Corp Molybdenum oxide phosphorodithioates
US3509051A (en) 1964-08-07 1970-04-28 T R Vanderbilt Co Inc Lubric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sulfurized oxymolybdenum dithiocarbamates
US3356702A (en) 1964-08-07 1967-12-05 Vanderbilt Co R T Molybdenum oxysulfide dithiocarbamates and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US3578690A (en) 1968-06-28 1971-05-11 Halcon International Inc Process for preparing molybdenum acid salts
DE2108780C2 (de) 1971-02-24 1985-10-17 Optimol-Ölwerke GmbH, 8000 München Schmiermittel bzw. Schmiermittelkonzentrat
US3925213A (en) 1971-02-24 1975-12-09 Optimol Oelwerke Gmbh Sulfur and phosphorus bearing lubricant
US4098705A (en) 1975-08-07 1978-07-04 Asahi Denka Kogyo K.K. Sulfur containing molybdenum dihydrocarbyldithiocarbamate compound
US4178258A (en) 1978-05-18 1979-12-11 Edwin Cooper, Inc. Lubricating oil composition
US4176074A (en) 1978-09-18 1979-11-27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Molybdenum complexes of ashless oxazoline dispersants as friction reducing antiwear additives for lubricating oils
US4176073A (en) 1978-09-18 1979-11-27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Molybdenum complexes of lactone oxazoline dispersants as friction reducing antiwear additives for lubricating oils
US4239633A (en) 1979-06-04 1980-12-16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Molybdenum complexes of ashless polyol ester dispersants as friction-reducing antiwear additives for lubricating oils
US4261843A (en) 1979-06-28 1981-04-14 Chevron Research Company Reaction product of acidic molybdenum compound with basic nitrogen compound and lubricants containing same
US4259194A (en) 1979-06-28 1981-03-31 Chevron Research Company Reaction product of ammonium tetrathiomolybdate with basic nitrogen compounds and lubricants containing same
US4272387A (en) 1979-06-28 1981-06-09 Chevron Research Company Process of preparing molybdenum complexes, the complexes so-produced and lubricants containing same
US4265773A (en) 1979-06-28 1981-05-05 Chevron Research Company Process of preparing molybdenum complexes, the complexes so-produced and lubricants containing same
USRE30642E (en) 1980-01-23 1981-06-09 Halcon Research & Development Corp. Process for preparing molybdenum acid salts
JPS56112620A (en) 1980-02-11 1981-09-05 Toshiba Corp Measuring device for temperature
US4324672A (en) 1980-06-25 1982-04-13 Texaco, Inc. Dispersant alkenylsuccinimides containing oxy-reduced molybdenum and lubricants containing same
GB8408617D0 (en) * 1984-04-04 1984-05-16 Ciba Geigy Ag Metal deactivators
US4692256A (en) 1985-06-12 1987-09-08 Asahi Denka Kogyo K.K. Molybdenum-containing lubricant composition
US4889647A (en) 1985-11-14 1989-12-26 R. T. Vanderbilt Company, Inc. Organic molybdenum complexes
US4832857A (en) 1988-08-18 1989-05-23 Amoco Corporatio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overbased molybdenum alkaline earth metal and alkali metal dispersions
FR2648473B1 (fr) 1989-06-19 1994-04-01 Elf Aquitaine Ste Nale Additifs surbases pour huiles lubrifiantes renfermant un complexe du molybdene,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compositions renfermant lesdits additifs
US5137647A (en) 1991-12-09 1992-08-11 R. T. Vanderbilt Company, Inc. Organic molybdenum complexes
US5763370A (en) 1994-01-13 1998-06-09 Mobil Oil Corporation Friction-reducing and antiwear/EP additives for lubricants
US5412130A (en) 1994-06-08 1995-05-02 R. T. Vanderbilt Company, Inc. Method for preparation of organic molybdenum compounds
CN1107470A (zh) * 1994-08-19 1995-08-30 辽宁省化工研究院 苯并三唑脂肪胺衍生物的制备方法
JP3454593B2 (ja) 1994-12-27 2003-10-06 旭電化工業株式会社 潤滑油組成物
US5580482A (en) 1995-01-13 1996-12-03 Ciba-Geigy Corporation Stabilized lubricant compositions
JP3659598B2 (ja) 1995-02-15 2005-06-15 旭電化工業株式会社 硫化オキシモリブデンジチオカーバメートの製造方法
JPH10121086A (ja) 1996-10-16 1998-05-12 Honda Motor Co Ltd 等速ジョイント用グリース組成物
US6232276B1 (en) 1996-12-13 2001-05-15 Infineum Usa L.P. Trinuclear molybdenum multifunctional additive for lubricating oils
US5840672A (en) * 1997-07-17 1998-11-24 Ethyl Corporation Antioxidant system for lubrication base oils
US6184262B1 (en) 1997-09-22 2001-02-06 R. T. Vanderbilt Company, Inc. Benzotriazole stabilizers for polyols and polyurethane foam
DE69824886T2 (de) 1997-12-12 2005-06-30 Infineum Usa L.P.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reikernigen molybdenum-schwefel verbindungen und ihre verwendung als schmiermittelzusätze
JP4201902B2 (ja) 1998-12-24 2008-12-24 株式会社Adeka 潤滑性組成物
JP4351765B2 (ja) 1999-07-29 2009-10-28 株式会社Adeka エンジン油用潤滑剤およびエンジン油用潤滑性組成物
JP2001262173A (ja) 2000-03-22 2001-09-26 Asahi Denka Kogyo Kk 潤滑性組成物
JP2001262172A (ja) 2000-03-22 2001-09-26 Asahi Denka Kogyo Kk 内燃機関用潤滑油組成物
US6509303B1 (en) 2000-03-23 2003-01-21 Ethyl Corporation Oil soluble molybdenum additives from the reaction product of fatty oils and monosubstituted alkylene diamines
US7229951B2 (en) 2001-07-18 2007-06-12 Crompton Corporation Organo-imido molybdenum complexes as friction modifier additives for lubricant compositions
US6645921B2 (en) 2002-02-08 2003-11-11 Ethyl Corporation Molybdenum-containing lubricant additive compositions, and processes for making and using same
US6723685B2 (en) 2002-04-05 2004-04-20 Infineum International Ltd. Lubricating oil composition
US20040038835A1 (en) * 2002-08-06 2004-02-26 Chasan David E. Engine oils that are non-aggressive towards lead
US7524799B2 (en) 2005-03-01 2009-04-28 R.T. Vanderbilt Company, Inc. Process for producing highly sulfurized molybdenum oxysulfide dithiocarbamates
US7575695B2 (en) * 2006-01-20 2009-08-18 Delphi Technologies, Inc. Additives package and magnetorheological fluid formulations for extended durability
WO2007136949A2 (en) 2006-04-19 2007-11-29 R.T. Vanderbilt Company, Inc. Process for preparing sulfurized molybdenum dialkyldithiocarbamates
CN101356120B (zh) * 2006-05-05 2012-08-29 R.T.范德比尔特公司 含有有机钨酸盐、二芳基胺和有机钼化合物的用于润滑剂组合物的抗氧化添加剂
JP5167140B2 (ja) * 2006-10-17 2013-03-21 出光興産株式会社 潤滑油組成物
JP5203590B2 (ja) * 2006-10-27 2013-06-05 出光興産株式会社 潤滑油組成物
JP5180466B2 (ja) * 2006-12-19 2013-04-10 昭和シェル石油株式会社 潤滑油組成物
CN101240210B (zh) * 2007-02-06 2010-11-17 张军 润滑油多功能复合添加剂和制备方法及应用
KR20090109086A (ko) 2007-02-07 2009-10-19 시바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다중 금속 부식 억제제
US7871966B2 (en) * 2007-03-19 2011-01-18 Nippon Oil Corporation Lubricating oil composition
WO2009085800A1 (en) * 2007-12-27 2009-07-09 The Lubrizol Corporation Lubricating composition containing detergent
US20090247434A1 (en) * 2008-03-31 2009-10-01 Chevron Oronite Company Llc Preparation of a molybdenum amide additive composition and the lubricating oil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KR20110028317A (ko) * 2008-07-14 2011-03-17 켐트라 코포레이션 윤활유 조성물을 안정화하기 위한 액체 첨가제
CN102510866B (zh) * 2009-09-30 2016-02-03 雪佛龙奥伦耐有限责任公司 具有低残留活性硫的硫化钼酰胺络合物和添加剂组合物的制备
US20110105374A1 (en) * 2009-10-29 2011-05-05 Jie Cheng Lubrication and lubricating oil compositions
WO2011119918A1 (en) * 2010-03-25 2011-09-29 R.T. Vanderbilt Company, Inc. Ultra low phosphorus lubricant compositions
US20120077719A1 (en) 2010-09-24 2012-03-29 Chevron Oronite Company Llc Preparation of a molybdenum imide additive composition and lubricating oil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CA2831614C (en) 2011-04-11 2015-10-06 Vanderbilt Chemicals, Llc Zinc dithiocarbamate lubricating oil additives
BR112013025981B1 (pt) 2011-04-15 2019-01-22 Vanderbilt Chemicals, Llc composições de dialquilditiocarbamato de molibdênio e composições lubrificantes contendo o mesmo
JP5771103B2 (ja) * 2011-09-16 2015-08-26 昭和シェル石油株式会社 潤滑油組成物
FR2983867B1 (fr) * 2011-12-09 2014-08-22 Total Raffinage Marketing Lubrifiant moteur pour vehicules a motorisation hybride ou micro-hybride
EP2859072A1 (en) * 2012-06-06 2015-04-15 Vanderbilt Chemicals, LLC Fuel efficient lubricating oil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9732A (ja) * 2001-11-19 2005-04-14 アール.ティー.ヴァンダービルト 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改良された酸化防止剤、抗摩耗性/極圧添加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潤滑組成物
JP2009149890A (ja) * 2007-12-20 2009-07-09 Chevron Oronite Co Llc モリブデン化合物とジアルキルジチオリン酸亜鉛とを含む潤滑油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92155A1 (en) 2017-02-23
KR20180026526A (ko) 2018-03-12
CA2992155C (en) 2018-06-05
BR112018002811A2 (pt) 2019-01-15
BR112018002826A2 (ko) 2018-10-02
AU2016307777A1 (en) 2018-02-22
US9765276B2 (en) 2017-09-19
CA2992312C (en) 2020-03-24
AU2016307777B2 (en) 2018-11-08
RU2018108824A3 (ko) 2019-12-31
JP6666430B2 (ja) 2020-03-13
KR102025029B1 (ko) 2019-09-24
AU2016307780B2 (en) 2019-02-21
KR20180030994A (ko) 2018-03-27
CN107922870B (zh) 2021-05-25
JP6494153B2 (ja) 2019-04-03
RU2018108824A (ru) 2019-09-16
ES2767353T3 (es) 2020-06-17
US20170044456A1 (en) 2017-02-16
EP3334809A1 (en) 2018-06-20
JP2018523004A (ja) 2018-08-16
EP3334810A4 (en) 2018-06-20
AU2016307780A1 (en) 2018-02-22
WO2017030785A1 (en) 2017-02-23
CN107922870A (zh) 2018-04-17
RU2018108843A3 (ko) 2020-01-14
EP3334809A4 (en) 2019-02-27
EP3334810B1 (en) 2020-04-22
CN107922869A (zh) 2018-04-17
MX2018001902A (es) 2018-06-20
US10280381B2 (en) 2019-05-07
JP2018523003A (ja) 2018-08-16
BR112018002826B1 (pt) 2022-03-08
MX2018001901A (es) 2018-06-20
CA2992312A1 (en) 2017-02-23
EP3334810A1 (en) 2018-06-20
RU2018108843A (ru) 2019-09-17
EP3334809B1 (en) 2019-12-04
WO2017030782A1 (en) 2017-02-23
US20170044457A1 (en) 2017-02-16
RU2724054C2 (ru) 2020-06-19
ES2803753T3 (es) 2021-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0369B1 (ko) 초저함량 인 윤활유 조성물
KR102018008B1 (ko) 유기-몰리브덴 화합물 및 트리아졸 유도체를 포함하는 윤활유 조성물용 첨가제
EP1354933B1 (en) Lubricating oil compositions compatible with the sea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20070203035A1 (en) Stabilizing compositions for lubricants
JP6863557B2 (ja) 潤滑油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70116049A (ko) 인 수준이 감소된 윤활유 조성물
JP5964943B2 (ja) 潤滑剤組成物及び潤滑剤組成物を使用する方法
CN107109278A (zh) 用于改进润滑剂组合物的含氟聚合物密封件相容性的磺酸酯
JP2001049280A (ja) エンジン油
JPH10287895A (ja) 潤滑油組成物
KR20220047214A (ko) 윤활유 첨가제로서 부식성이 적은 유기 화합물
JP2006152313A (ja) 潤滑油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