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8727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8727B1
KR102008727B1 KR1020180014080A KR20180014080A KR102008727B1 KR 102008727 B1 KR102008727 B1 KR 102008727B1 KR 1020180014080 A KR1020180014080 A KR 1020180014080A KR 20180014080 A KR20180014080 A KR 20180014080A KR 102008727 B1 KR102008727 B1 KR 102008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or
substrate
cable
cables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4555A (ko
Inventor
타카히로 야마구치
마사키 키무라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04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04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3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cables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52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characterised by the locat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01R24/64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for high frequency, e.g. RJ 4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027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comprising means for positioning or holding the parts to be soldered or weld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04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 H01R13/580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formed by a metallic element crimped around the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 H01R13/6593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the shield being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5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on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복수의 케이블의 말단에 부착되는 커넥터로서 기판과, 기판에 접속되어 있는 로케이터를 포함한다. 기판은 위치 결정부와 2개의 전극열을 포함하고, 로케이터는 위치 결정부와 2개의 관통구멍열을 포함한다. 실드 케이블의 신호 케이블과 실드 케이블 이외의 케이블의 각각은 복수의 관통구멍 중 대응하는 하나에 삽입통과되어 있다. 기판과 로케이터는 양자의 위치 결정부에 의해 서로 위치 결정되어 있다. 실드 케이블의 신호 케이블에 포함되는 도선과 실드 케이블 이외의 케이블에 포함되는 도선의 각각은 복수의 전극 중 대응하는 하나에 접속되어 있다. 로케이터의 하나의 부위에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복수의 케이블이 로케이터에 고정되어 있다. 신호 케이블을 씌우는 실드재의 말단은 로케이터의 근방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복수의 케이블의 말단에 부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케이블의 말단에 커넥터를 부착할 때, 케이블의 접속 작업을 쉽게 하기 위하여, 케이블의 정렬이 필요하다.
도 1은 복수의 케이블을 정렬시키는 케이블 정렬 부품의 종래예로서 특허문헌 1(일본 특개 2017-27660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케이블 정렬 부품(10)은 그라운드 케이블과 동축 케이블을 나열하고 각각을 기판상의 전극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된다.
케이블 정렬 부품(10)은 동축 케이블을 삽입하기 위한 8개의 케이블 관통구멍(11)과 그라운드 케이블을 삽입하기 위한 2개의 그라운드 케이블 관통구멍(12)을 포함하며, 이들 관통구멍의 도중에 개구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a∼d는 케이블 정렬 부품(10)을 기판(30)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동축 케이블(21)은 케이블 관통구멍(11)에 삽입되고, 그라운드 케이블(22)은 그라운드 케이블 관통구멍(12)에 삽입된다. 그 후, 개구부(13)에 접착제를 주입하여 동축 케이블(21)과 그라운드 케이블(22)을 고정한다. 또한, 동축 케이블(21) 및 그라운드 케이블(22)의 각각에 대하여 단말 처리를 행한다.
기판(30)에는 일렬로 배치된 8개의 전극(31)과, 그라운드 전극(32)과, 2개의 위치 기준부(33)가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위치 기준부(33)는 구멍이다. 그라운드 전극(32)은 띠 형상 전극이며, 전극(31)의 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케이블 정렬 부품(10)은 기판(30)의 정렬 부품 부착부(34)의 위치에 배치된다. 케이블 정렬 부품(10)의 바닥부에는 오목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 정렬 부품(10)의 바닥부는 정렬 부품 부착부(34)와 접촉하는 부분이다. 케이블 정렬 부품(10)에 볼록부인 2개의 위치 결정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부(15)를 위치 기준부(33)에 삽입함으로써, 케이블 정렬 부품(10)은 기판(30)의 소정의 위치에 부착된다.
그라운드 케이블(22)의 도선(22a)은 각각 그라운드 전극(32)에 납땜된다. 동축 케이블(21)의 외부 도체(21a)는 각각 그라운드 전극(32)에 납땜된다. 동축 케이블(21)의 중심 도체(21b)는 전극(31)에 납땜된다. 케이블 정렬 부품(10)을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동축 케이블(21)을 평면 모양으로 나열하는 공정으로부터 복수의 동축 케이블(21)을 기판(30)상의 전극(31)에 접속하는 공정까지의 처리가 용이하다.
이 예에서는, 전극(31)측의 케이블 관통구멍(11)의 수직 방향(단, 수직 방향은 기판(30)의 법선 방향에 평행한 방향임)의 치수는 전극(31)과 반대측의 케이블 관통구멍(11)의 수직 방향의 치수보다도 크다. 따라서, 개구부(13)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케이블 관통구멍(11)으로의 동축 케이블(21)의 삽입은 용이하다.
그런데, 커넥터는 1개의 도선이 피복되어 있는 신호 케이블도 아니고 동축 케이블도 아닌 케이블의 말단에도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넥터는 1개 또는 복수의 신호 케이블이 금속박을 사용한 실드재로 실드되어 있는 케이블(여기에서는, 이 케이블을 실드 케이블(shielded cable)이라고 함)의 말단에도 부착된다.
실드 케이블의 실드재에 사용되는 금속박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박이나 구리박이다. 금속박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필름 위에 형성된다. 실드재는 테이프 모양의 형상을 갖는다. 실드재는 1개 또는 복수의 신호 케이블의 둘레에 나선 모양으로 감아져 있다. 실드 케이블에 포함되는 신호 케이블은, 예를 들면, 트위스트 페어선, 트윈 동축(twin-coaxial)선, 1개의 신호 케이블이다. 실드재의 금속박을 그라운드에 접속해도 되고, 접속하지 않아도 된다.
복수의 케이블(단, 복수의 케이블 중 적어도 1개는 실드 케이블임)의 말단에 커넥터를 부착하는 경우, 복수의 케이블을 정렬하기 위해 종래의 케이블 정렬 부품(10)을 사용하면, 이하의 문제 (1), (2)가 생긴다. 즉,
(1) 실드재를 벗긴 상태에서 실드 케이블 내의 신호 케이블을 케이블 정렬 부품(10)에 장착하면, 개구부(13) 및 케이블 관통구멍(11)의 전체 길이에 있어서 실드재가 없는 부분이 존재하므로, 실드 성능이 손상된다.
(2) 실드재로 피복된 상태에서 실드 케이블을 케이블 관통구멍(11)에 삽입하면, 실드 성능의 저하를 피할 수 있다. 그러나, 테이프 모양의 실드재가 감겨 있는 상태에서 실드 케이블을 케이블 관통구멍(11)에 삽입하는 것은 어려워, 많은 공수를 필요로 한다. 또한 실드재가 케이블 관통구멍(11)의 입구와 충돌한 부위로부터 실드재의 박리가 시작되고, 하니스 제품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실드 케이블을 포함하는 복수의 케이블의 말단에의 부착에 적합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복수의 케이블의 말단에 부착되는 커넥터이다. 복수의 케이블 중 적어도 1개는 실드 케이블이며, 실드 케이블에서는 1개 이상의 신호 케이블이 금속박을 사용한 실드재로 실드되어 있다.
커넥터는 커넥터의 상대방의 커넥터와 접속하기 위한 끼워맞춤부에 접속되어 있는 기판과, 기판에 접속되어 있는 로케이터를 포함한다.
기판은 적어도 하나의 전극열과 위치 결정부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전극열의 각각에는 복수의 전극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로케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멍열과, 위치 결정부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멍열의 각각에는 복수의 관통구멍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실드 케이블의 신호 케이블과 실드 케이블 이외의 케이블의 각각은 복수의 관통구멍 중 대응하는 하나에 삽입통과되어 있다.
기판과 로케이터는 기판의 위치 결정부와 로케이터의 위치 결정부에 의해, 서로 위치 결정되어 있다.
실드 케이블의 신호 케이블에 포함되는 도선과 실드 케이블 이외의 케이블에 포함되는 도선의 각각은 복수의 전극 중 대응하는 하나에 접속되어 있다.
로케이터의 하나의 부위에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복수의 케이블이 로케이터에 고정되어 있다. 당해 하나의 부위는 로케이터에 관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극열에 대면하는 로케이터의 부위와는 반대측에 위치해 있다.
실드재의 말단은 로케이터의 근방에 위치한다.
본 발명은 전극과 실드재와의 단락을 막으면서 실드재를 전극에 근접시킬 수 있으므로, 실드 케이블을 포함하는 복수의 케이블의 말단에의 부착에 적합한 커넥터이다.
도 1은 케이블 정렬 부품의 종래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복수의 케이블이 부착되어 있는 도 1의 케이블 정렬 부품이 기판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에 도시하는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2에 도시하는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3c는 도 2에 도시하는 상태의 저면도이다.
도 3d는 도 2에 도시하는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4에 도시하는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하는 커넥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c는 도 5a의 D-D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하는 커넥터에 부착되어 있는 복합 케이블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하는 커넥터의 일부를 생략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a는 도 7에 있어서의 로케이터의 정면도이다.
도 8b는 도 7에 있어서의 로케이터의 평면도이다.
도 8c는 도 7에 있어서의 로케이터의 측면도이다.
도 8d는 도 7에 있어서의 로케이터의 배면도이다.
도 8e는 도 7에 있어서의 로케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복수의 케이블이 부착된 로케이터가 기판에 부착되어 있고, 당해 기판이 끼워맞춤부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a는 로케이터가 부착된 기판이 끼워맞춤부에 부착된 도 9에 도시하는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0b는 도 9에 도시하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0c는 도 9에 도시하는 상태의 저면도이다.
도 11은 로케이터와 기판의 다른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변형예 1).
도 12는 로케이터와 기판의 다른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변형예 2).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5a∼5c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커넥터(100)는 복수의 케이블을 내포하는 복합 케이블(200)의 말단에 부착되어 있다.
도 6은 복합 케이블(200)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복합 케이블(200)은, 이 예에서는, 드레인선(drain wire)을 포함하는 4개의 실드 케이블(210)과, 드레인선을 포함하지 않는 1개의 실드 케이블(220)과, 6개의 디스크리트 케이블(discrete cable)(230)과, 2개의 드레인 케이블(240)을 내포하고 있다. 도 6 중, 부호 250은 편조를 나타내고, 부호 260은 재킷을 나타낸다.
실드 케이블(210)은, 이 예에서는, 트위스트 페어 선인 신호 케이블과 드레인선이 테이프 모양의 실드재로 감긴 구성을 갖는다. 실드 케이블(220)은, 이 예에서는, 트위스트 페어 선인 신호 케이블이 테이프 모양의 실드재로 감아진 구성을 갖는다. 도 6중, 부호 201은 신호 케이블을 나타내고, 부호 202는 도선, 부호 203은 도선 202를 피복하는 절연체를 나타내고, 부호 204는 실드재를 나타내고, 부호 205는 드레인선을 나타낸다. 실드재(204)는 PET 필름 위에 알루미늄박이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디스크리트 케이블(230)은 1개의 도선(231)이 절연체(232)로 피복된 구성을 갖는다. 드레인 케이블(240)은 상세한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복수의 도선의 다발로 구성되어 있고, 피복을 갖지 않는 나선이다.
커넥터(100)는 상대방 커넥터와 끼워맞추어지는 끼워맞춤부(40)와, 기판(50)과, 로케이터(locator)(60)와, 백 셸(back shell)(70, 75)과, 아우터 몰드(outer mold)(80)와, 이너 몰드(inner mold)(90)를 포함한다. 아우터 몰드(80)는, 도 4, 5a∼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100)의 외형을 구성한다. 아우터 몰드(80)의 전단면으로부터 끼워맞춤부(40)가 돌출해 있다. 아우터 몰드(80)의 「전후 방향」은 복합 케이블(200)의 신장 방향으로서 정의한다(즉, 복합 케이블(200)에 가까운 쪽을 「후」로 하고, 복합 케이블(200)로부터 먼 쪽을 「전」으로 함).
도 7은 복합 케이블(200)과, 분해된 커넥터(100)의 각 부를 도시하고 있지만, 아우터 몰드(80) 및 이너 몰드(90)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7에서는, 복합 케이블(200)의 내부 구성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끼워맞춤부(40)는 통 형상의 셸(41)을 포함한다. 셸(41)의 내부에 상대방 커넥터의 컨택트와 접촉하는 컨택트(42)가 정렬해 있다. 컨택트(42)의 후단은 셸(41)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기판(50)의 상면(50a)의 전단측(복합 케이블(200)로부터 먼 쪽)에, 끼워맞춤부(40)의 컨택트(42)와 접촉하는 전극(51)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상면(50a)의 후단측(복합 케이블(200)에 가까운 쪽)에, 전극열(53)이 형성되어 있다. 전극열(53)에서는 복수의 전극(52)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전극(52)은 각각 복합 케이블(200) 내의 복수의 도선 중 대응하는 도선에 접속된다. 전극열(53)은 이 예에서는 9개의 전극(52)을 포함한다.
도 7에서는 가려져 보이지 않지만, 기판(50)의 하면(50b)의 전단측에 끼워맞춤부(40)의 컨택트(42)와 접촉하는 전극(54)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도 10c 참조). 하면(50b)의 후단측에 전극열(56)이 형성되어 있다. 전극열(56)에서는 복수의 전극(55)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전극(55)은 각각 복합 케이블(200) 내의 복수의 도선 중 대응하는 도선에 접속된다. 전극열(56)은 이 예에서는 8개의 전극(55)을 포함한다. 전단측의 전극(51, 54)과 후단측의 전극(52, 55)을 접속하는 배선 패턴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기판(50)의 후단에 협폭부(狹幅部)(57)가 형성되어 있다. 협폭부(57)의 폭은 기판(50)의 중앙부의 폭보다도 좁다. 협폭부(57)는 기판(50)에 대한 로케이터(60)의 위치 결정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로케이터(60)는 절연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도 8a∼8e에 상세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케이터(60)는 베이스부(61)와, 판상부(62)와, 측벽(63, 64)를 갖는다. 판상부(62)와 측벽(63, 64)은 각각 장방형 평판 모양의 형상을 갖는다. 판상부(62)는 서로 대향하는 측벽(63)과 측벽(64)을 연결하고 있고, 판상부(62)와 측벽(63, 64)에 의해 격벽부가 구성되어 있다. 복합 케이블(200)의 신장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에 의한 격벽부의 단면은 H자 모양이다. 베이스부(61)는 복합 케이블(200)의 신장 방향에 있어서의 격벽부의 일단(즉, 로케이터(60)의 전단)에 위치해 있고, 벽 모양의 형상을 갖는다. 판상부(62)와 측벽(63, 64)에 의해 형성되는 총 4개소의 코너부는 1/4 원호의 곡면(62a)이다(도 8d 참조). 이하, 로케이터(60)의 「폭 방향」을 복합 케이블(200)의 신장 방향에 직교하고, 또한 판상부(62)의 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서 정의한다. 로케이터(60)의 「높이 방향」을 판상부(62)의 법선 방향으로서 정의한다. 로케이터(60)의 「전후 방향」을 복합 케이블(200)의 신장 방향으로서 정의한다(즉, 복합 케이블(200)에 가까운 쪽을 「후」로 하고, 복합 케이블(200)로부터 먼 쪽을 「전」으로 함).
베이스부(61)에 2개의 관통구멍열이 형성되어 있다. 2개의 관통구멍열(65, 66)의 각각은 로케이터(60)의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구멍을 포함한다. 각 관통구멍열(65, 66)에 있어서, 복수의 관통구멍이 로케이터(60)의 폭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2개의 관통구멍열(65, 66)은 로케이터(60)의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2개의 관통구멍열(65, 66) 사이에 판상부(62)가 위치한다. 관통구멍의 직경을 3종류로 구분하고, 소직경, 중직경, 대직경을 갖는 관통구멍 각각에 부호 67a, 67b, 67c를 부여한다. 상단의 관통구멍열(65)에서는, 도 8a에 있어서 좌에서 우로, 관통구멍(67a, 67c, 67c, 67b, 67b, 67a, 67c, 67c, 67a)이 나열되어 있다. 또한 하단의 관통구멍열(66)에서는, 도 8a에 있어서 좌에서 우로, 관통구멍(67c, 67c, 67a, 67a, 67c, 67c, 67a, 67c, 67c)이 나열되어 있다.
관통구멍열(65, 66)은 각각 이 예에서는 9개의 관통구멍을 포함한다. 이웃하는 대직경의 관통구멍(67c) 및 이웃하는 중직경의 관통구멍(67B)은 각각 이 예에서는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웃하는 관통구멍이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삽입구멍(68)과 홈(69)이 베이스부(61)에 형성되어 있다. 삽입구멍(68)은 로케이터(60)의 폭 방향에 긴 직사각형 모양의 개구를 가지고 있고, 2개의 관통구멍열(65, 66)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삽입구멍(68)의 깊이는 부분적으로 판상부(62)에 이르고 있다. 협폭부(57)는 삽입구멍(68)에 삽입된다. 삽입구멍(68)은 로케이터(60)에 대한 기판(50)의 위치 결정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홈(69)은, 베이스부(61)의 가장자리에 있어서, 작은 직경의 관통구멍(67a)의 근방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총 5개의 홈(69)이 형성되어 있다. 홈(69)에 의해 베이스부(61)의 가장자리가 절결되어 있다.
백 셸(70, 75)은 각각 ㄷ자 모양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백 셸(70, 75)이 서로 조합됨으로써, 각통 모양의 실드가 구성된다. 백 셸(70, 75)은 각각 금속판으로 형성된다. 백 셸(70)의 서로 대향하는 측벽(70a, 70b)의 각각에 3개의 창(71)이 형성되어 있다. 백 셸(75)의 서로 대향하는 측벽(75a, 75b)의 각각에 3개의 걸림부(76)가 형성되어 있다. 백 셸(75)의 걸림부(76)가 백 셸(70)의 창(71)에 걸림으로써, 백 셸(70)과 백 셸(75)은 서로 조합된다. 백 셸(75)의 후단(복합 케이블(200)에 가까운 쪽의 단부)에 고정편(77)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고정편(77)은 U자 모양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백 셸(70)의 후단(복합 케이블(200)에 가까운 쪽의 단부)으로부터 홀딩편(72)이 돌출해 있다. 홀딩편(72)과 복합 케이블(200)에 고정편(77)의 양단부를 둘러 감음으로써, 고정편(77)은 복합 케이블(200)을 고정한다. 고정편(77)이 둘러 감아진 홀딩편(72)은 복합 케이블(200)을 홀딩한다.
다음에 각 부의 조립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 10a∼10c는 복합 케이블(200) 내의 케이블이 로케이터(60)에 부착되고, 로케이터(60)가 기판(50)에 부착되고, 또한 기판(50)이 끼워맞춤부(40)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로케이터(60)의 후단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케이블 부위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이하, 이 조립을 공정순으로 설명한다.
(1) 최초에, 복합 케이블(200)의 말단의 재킷(260) 및 편조(250)를 제거하고, 실드 케이블(210, 220), 디스크리트 케이블(230) 및 드레인 케이블(240)을 복합 케이블(200)로부터 꺼낸다.
(2) 다음에 실드 케이블(210, 220)의 말단의 실드재(204)를 제거하고, 실드 케이블(210, 220)로부터 신호 케이블(201)을 꺼낸다. 실드 케이블(210) 내의 드레인선(205)의 노출 부분은 이 예에서는 절단에 의해 제거된다.
(3) 신호 케이블(201), 디스크리트 케이블(230) 및 드레인 케이블(240)의 각각을 로케이터(60)의 관통구멍 중 대응하는 1개에 삽입통과한다. 이 예에서는 관통구멍열(65)의 양단의 관통구멍(67a)에 드레인 케이블(240)이 삽입통과되고, 5페어의 관통구멍(67c, 67c)에 4개의 실드 케이블(210)의 신호 케이블(201) 및 실드 케이블(220)의 신호 케이블(201)이 삽입통과된다. 관통구멍열(65, 66)의 남는 4개의 관통구멍(67a) 및 2개의 관통구멍(67b)에, 6개의 디스크리트 케이블(230)이 삽입통과된다.
드레인 케이블(2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피복되어 있지 않고, 복수의 도선의 다발(연선)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발이 풀어져 관통구멍(67a)에 통과시키기 어렵다고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예에서는, 드레인 케이블(240)은 관통구멍열(65)의 양단에 위치하는 관통구멍(67a)에 삽입통과된다. 드레인 케이블(240)은 측벽(63, 64) 및 곡면(62a)에 의해 관통구멍(67a)으로 안내되므로, 드레인 케이블(240)을 관통구멍(67a)에 통과시키기 쉽다.
(4) 다음에 접착제로 케이블을 로케이터(60)에 고정한다. 접착제 도포부인 판상부(62)의 상면과 하면의 각각에 접착제가 도포됨으로써, 실드 케이블(210, 220), 디스크리트 케이블(230) 및 드레인 케이블(240)이 로케이터(60)에 고정된다. 실드 케이블(210, 220)은 실드재(204)의 말단이 판상부(62)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판상부(62)에 고정된다. 도 9, 10a∼10c에서는 접착제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5) 다음에 각 케이블의 단말 처리를 행한다. 신호 케이블(201)의 절연체(203) 및 디스크리트 케이블(230)의 절연체(232)를 각각 제거하고, 도선(202, 231)을 꺼낸다. 그리고, 도선(202, 231) 및 드레인 케이블(240)을 도 9, 10a∼1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만곡시킨다.
(6) 다음에 케이블을 유지한 로케이터(60)를 기판(50)에 부착한다. 기판(50)의 협폭부(57)가 로케이터(60)의 삽입구멍(68)에 끼워맞추어짐으로써 기판(50)과 로케이터(60)는 서로 위치 결정되고 또한 고정된다. 도선(202, 231) 및 드레인 케이블(240)은 각각, 도 10a∼10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극(52, 55) 중 대응하는 1개의 위에 위치한다.
(7) 다음에 도선(202, 231) 및 드레인 케이블(240)을 전극(52, 55)에 납땜한다. 또한, 도 9, 10a∼10c에서는 납땜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8) 다음에 기판(50)의 전단측을 끼워맞춤부(40)에 삽입함으로써 기판(50)과 끼워맞춤부(40)를 접속한다. 기판(50)의 전단측은 끼워맞춤부(40)의 컨택트(42)에 의해 끼워진다. 기판(50)의 전단측의 전극(51, 54)은 컨택트(42)와 접촉한다.
이와 같이 하여 도 9 및 도 10a∼10c에 도시하는 구성이 완성된다.
다음에 케이블을 유지한 상태에서 로케이터(60), 기판(50) 및 끼워맞춤부(40)가 결합한 구성에 백 셸(70, 75)이 부착되고, 또한 이너 몰드(90) 및 아우터 몰드(80)가 형성된다.
백 셸(70, 75)이,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조합됨으로써, 각통 모양의 실드가 구성된다. 각통 모양의 실드 내에 끼워맞춤부(40)의 일부, 기판(50), 로케이터(60) 및 케이블의 말단이 수용된다. 그리고, 각통 모양의 실드의 내부의 공간(단, 끼워맞춤부(40)의 일부, 기판(50), 로케이터(60) 및 케이블의 말단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에 수지재가 충전됨으로써 이너 몰드(90)가 형성된다(도 5c 참조). 로케이터(60)의 베이스부(61)는 백 셸(70)과 백 셸(75)에 의해 끼워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61)에 홈(69)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충전시의 수지재의 전후 방향(로케이터(60)와 기판(50), 끼워맞춤부(40)의 접속 방향)의 유동이 홈(69)에 의해 확보된다. 따라서, 수지재를 백 셸(70, 75)의 내부의 공간에 양호하게 충전할 수 있다.
최후에 아우터 몰드(80)가 형성된다. 이상의 수순에 따라 도 4 및 도 5a∼5c에 도시하는 커넥터(100)가 완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예의 커넥터(100)는 실드 케이블을 포함하는 복수의 케이블의 말단에 부착된다. 커넥터(100)는 도 8a∼8e에 도시하는 형상을 갖는 로케이터(60)를 포함한다. 도 8a∼8e에 도시하는 형상을 갖는 로케이터(60)의 존재에 의해 하기 a), b)의 이점이 인정된다.
a) 기판(50)의 전극(52, 55)에 대하여 접속해야 할 케이블의 도선을 양호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b) 커넥터(100)에 있어서, 도선이 전극(52, 55)에 접속되어 있는 접속 부위, 즉 기판(50)상의 결선부(58)(도 9, 10a∼10c 참조)는 베이스부(61)의 판상부(62)와는 반대측에서, 베이스부(61)의 관통구멍열(65, 66)의 면전에 위치해 있다. 따라서, 베이스부(61)의 존재에 의해, 실드 케이블(210, 220)의 실드재(204)가 결선부(58)측으로 삐져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실드재(204)와 결선부(58)의 절연을 확보하면서, 실드재(204)를, 도 9, 10a∼10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선부(58)에 가능한 한 근접시킬 수 있다. 즉, 단락의 방지와 실드 성능의 향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상술의 실시예에서는, 로케이터(60)는 관통구멍열(65, 66)이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부(61)와, 기판(50)의 판면과 평행한 판면을 갖는 판상부(62)와, 측벽(63, 64)을 갖는다. 로케이터(60)의 형상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로케이터는 기판(50)의 판면과 평행한 판상부(62) 및 측벽(63, 64)을 갖지 않는 간이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도 11은 간이 구성을 갖는 로케이터(60')를 기판(50')과 함께 나타내고 있다. 로케이터(60')는 로케이터(60)에 있어서의 베이스부(61)만을 갖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로케이터(60')에서는, 접착제가 도포되는 접착제 도포부는 결선부와는 반대측에서 관통구멍의 개구가 위치하는 벽면(60a)이다. 이 예에서는, 삽입구멍(68)의 개구의 폭을 넓게 하고, 또한 기판(50')의 협폭부(57)의 폭을 넓게 함으로써, 삽입구멍(68)을 삽입통과한 기판(50')의 협폭부(57)가 접착제의 받이면으로서 기능한다.
도 12는 1개의 관통구멍열(65)만을 갖는 로케이터(60")를 기판(50")과 함께 나타내고 있다. 로케이터(60")는 관통구멍열(65)이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부(61')만을 갖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복합 케이블(200) 내의 케이블의 수에 따라, 로케이터(60")를 채용해도 된다. 로케이터(60")에서 접착제가 도포되는 접착제 도포부는, 로케이터(60')와 마찬가지로 결선부와는 반대측에서 관통구멍의 개구가 위치하는 벽면(60a)이다. 이 예에서는, 로케이터(60")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2개의 보스(도 12에서는 가려져 보이지 않음)와, 기판(50")에 형성되어 있는 2개의 구멍(59)이 각각 위치 결정 수단이며, 보스가 구멍(59)에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로케이터(60")와 기판(50")은 서로 위치 결정된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는 예시 및 설명의 목적으로 제시된 것이다. 본 발명은 개시된 정확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개시된 상기 예시는 본 발명의 모든 형태를 망라하는 게 아니다. 개량 또는 변경이 상기 교안에 따라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이론과 그 실천적인 형태의 최상의 예시를 제공하고 그리고 당업자가 기대되는 특정한 사용에 적합한 다양한 실시예로 또는 다양한 변형예로 본 발명을 활용할 수 있도록 상기 실시예는 선택되고 설명되었다. 이러한 변형 및 변경 모두는 그것들이 공정하게, 적법하게 또한 공평하게 주어진 넓이에 따라 해석될 때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Claims (9)

1개 이상의 신호 케이블이 금속박을 사용한 실드재로 실드되어 있는 적어도 1개의 실드 케이블을 포함하는 복수의 케이블의 말단에 부착되는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의 상대방의 커넥터와 접속하기 위한 끼워맞춤부에 접속되어 있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접속되어 있는 로케이터
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2개의 전극열과,
위치 결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로케이터는
2개의 관통구멍열과,
위치 결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전극열의 각각에는 복수의 전극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2개의 관통구멍열의 각각에는 복수의 관통구멍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2개의 전극열의 일방은 상기 기판의 일방의 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2개의 전극열의 타방은 상기 기판의 타방의 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케이터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2개의 관통구멍열은 상기 2개의 전극열에 대향하고 있고,
상기 실드 케이블의 상기 신호 케이블과 상기 실드 케이블 이외의 상기 케이블의 각각은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 중 대응하는 하나에 삽입통과되어 있고,
상기 기판과 상기 로케이터는 상기 기판의 상기 위치 결정부와 상기 로케이터의 상기 위치 결정부에 의해, 서로 위치 결정되어 있고,
상기 기판의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기판의 하나의 변에 형성되어 있는 협폭부(狹幅部)이고,
상기 로케이터의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2개의 관통구멍열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구멍이고,
상기 협폭부가 상기 삽입구멍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기판과 상기 로케이터는 서로 위치 결정되어 있고,
상기 실드 케이블의 상기 신호 케이블에 포함되는 도선과 상기 실드 케이블 이외의 상기 케이블에 포함되는 도선의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전극 중 대응하는 하나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로케이터의 하나의 부위에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상기 복수의 케이블이 상기 로케이터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로케이터의 상기 하나의 부위는, 상기 로케이터에 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극열에 대면하는 상기 로케이터의 부위와는 반대측에 위치해 있고,
상기 실드재의 말단은 상기 로케이터의 근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로케이터의 판상부에 도포되어 있고,
상기 판상부는 상기 기판의 판면에 평행한 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케이블 중 적어도 1개는 복수의 도선의 다발로 구성되어 있는 드레인 케이블이며,
상기 판상부의 끝가장자리에 측벽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드레인 케이블은, 상기 판상부와 상기 측벽에 의해 형성되는 코너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 중 대응하는 하나에 안내되어 있고,
상기 드레인 케이블이 삽입통과되어 있는 관통구멍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멍열의 끝에 위치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로케이터의 상기 하나의 부위는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의 개구가 위치하는 벽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제1 항에 있어서,
백 셸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로케이터에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은,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 중,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의 최대 직경보다도 작은 직경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근방에 위치해 있고,
상기 백 셸은 상기 끼워맞춤부의 일부와, 상기 기판과, 상기 로케이터와, 상기 복수의 케이블의 말단을 수용하고 있고,
상기 끼워맞춤부의 일부, 상기 기판, 상기 로케이터, 상기 복수의 케이블의 말단을 제외한 상기 백 셸의 내부의 공간에 수지재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제2 항에 있어서,
백 셸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로케이터에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은,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 중,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의 최대 직경보다도 작은 직경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근방에 위치해 있고,
상기 백 셸은 상기 끼워맞춤부의 일부와, 상기 기판과, 상기 로케이터와, 상기 복수의 케이블의 말단을 수용하고 있고,
상기 끼워맞춤부의 일부, 상기 기판, 상기 로케이터, 상기 복수의 케이블의 말단을 제외한 상기 백 셸의 내부의 공간에 수지재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제3 항에 있어서,
백 셸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로케이터에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은,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 중,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의 최대 직경보다도 작은 직경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근방에 위치해 있고,
상기 백 셸은 상기 끼워맞춤부의 일부와, 상기 기판과, 상기 로케이터와, 상기 복수의 케이블의 말단을 수용하고 있고,
상기 끼워맞춤부의 일부, 상기 기판, 상기 로케이터, 상기 복수의 케이블의 말단을 제외한 상기 백 셸의 내부의 공간에 수지재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제4 항에 있어서,
백 셸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로케이터에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은,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 중,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의 최대 직경보다도 작은 직경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근방에 위치해 있고,
상기 백 셸은 상기 끼워맞춤부의 일부와, 상기 기판과, 상기 로케이터와, 상기 복수의 케이블의 말단을 수용하고 있고,
상기 끼워맞춤부의 일부, 상기 기판, 상기 로케이터, 상기 복수의 케이블의 말단을 제외한 상기 백 셸의 내부의 공간에 수지재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삭제
KR1020180014080A 2017-03-13 2018-02-05 커넥터 KR1020087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47679 2017-03-13
JP2017047679A JP6840579B2 (ja) 2017-03-13 2017-03-13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555A KR20180104555A (ko) 2018-09-21
KR102008727B1 true KR102008727B1 (ko) 2019-08-08

Family

ID=63445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080A KR102008727B1 (ko) 2017-03-13 2018-02-05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48032B2 (ko)
JP (1) JP6840579B2 (ko)
KR (1) KR102008727B1 (ko)
CN (1) CN108574148B (ko)
TW (1) TWI6456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0809B (zh) * 2017-08-10 2021-09-2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插头连接器组件及其制造方法
CN109038118B (zh) * 2018-06-25 2022-06-2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BR112021006841A2 (pt) * 2018-10-11 2021-07-13 Masimo Corporation conjunto de sensor fisiológico não invasivo e método de fabricar um conjunto de conector para um conjunto de sensor não invasivo
JP7232015B2 (ja) * 2018-11-08 2023-03-0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ハーネス
JP7232129B2 (ja) 2019-06-13 2023-03-0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7418984B2 (ja) 2019-07-16 2024-01-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接続構造、接続構造の製造方法及び接続構造のケーブル
JP7249226B2 (ja) 2019-07-18 2023-03-3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ケーブルハーネス
US10833434B1 (en) * 2019-09-18 2020-11-10 Schweitzer Engineering Laboratories, Inc. Terminal block cover with guided probe access
JP6940026B1 (ja) * 2020-06-02 2021-09-2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付き多心ケーブル
JP2021197208A (ja) * 2020-06-09 2021-12-2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ロケータ、ハーネス及びハーネスの製造方法
JP2022039581A (ja) * 2020-08-28 2022-03-1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ロケータ、コネクタ及びハーネス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6375A (ja) * 2007-09-21 2009-04-09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多芯ケーブルコネクタ
CN204205198U (zh) * 2014-07-10 2015-03-11 东莞讯滔电子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KR101585122B1 (ko) * 2014-10-24 2016-01-14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단자부가 이중 인서트 사출성형된 전자기기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2791B2 (ja) * 1994-01-31 2000-11-27 富士通株式会社 コネクタ
JP3656187B2 (ja) 2000-04-17 2005-06-0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20020025722A1 (en) * 2000-08-04 2002-02-28 Hideho Inagawa Shielded cable with connector
JP2003109708A (ja) * 2001-09-28 2003-04-11 D D K Ltd 多芯高速信号伝送コネクタ
TW519322U (en) * 2001-12-19 2003-01-21 Molex Inc Electrical connector
US7497724B1 (en) * 2007-10-04 2009-03-0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wire organizer
US7789703B2 (en) * 2008-10-21 2010-09-0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having a shield electrically coupled to a cable shield
JP5308935B2 (ja) * 2009-06-30 2013-10-0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一体成形方法
JP5568291B2 (ja) * 2009-12-11 2014-08-06 ホシデン株式会社 多極プラグ
JP5981091B2 (ja) * 2011-02-09 2016-08-3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8292655B1 (en) * 2011-04-01 2012-10-23 Intel Corporation Innovative cable termination scheme
CN202142718U (zh) 2011-06-15 2012-02-08 东莞建玮电子制品有限公司 一种连接器的套组式外绝缘体
US8801461B2 (en) * 2012-02-09 2014-08-12 Apple Inc. Stepped termination block
JP5943823B2 (ja) 2012-12-06 2016-07-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059009B2 (ja) * 2012-12-27 2017-01-11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ケーブル整列部品およびケーブル組立体
EP3010089B1 (en) * 2013-06-10 2018-07-18 Olympus Corporation Cable connection structure
JP2015032564A (ja) * 2013-08-07 2015-02-16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1786934B1 (ko) * 2014-07-01 2017-10-18 인텔 코포레이션 케이블 커넥터
CN204143896U (zh) * 2014-09-12 2015-02-0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JP6452565B2 (ja) 2015-07-15 2019-01-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接続構造、ケーブル整線部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6375A (ja) * 2007-09-21 2009-04-09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多芯ケーブルコネクタ
CN204205198U (zh) * 2014-07-10 2015-03-11 东莞讯滔电子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KR101585122B1 (ko) * 2014-10-24 2016-01-14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단자부가 이중 인서트 사출성형된 전자기기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40579B2 (ja) 2021-03-10
CN108574148A (zh) 2018-09-25
US20180261956A1 (en) 2018-09-13
JP2018152244A (ja) 2018-09-27
US10348032B2 (en) 2019-07-09
CN108574148B (zh) 2020-05-12
TW201834314A (zh) 2018-09-16
TWI645636B (zh) 2018-12-21
KR20180104555A (ko) 2018-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8727B1 (ko) 커넥터
US10103453B2 (en) Cable connector, carrier module thereof,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TWI627804B (zh) Cable assembly and circuit board assembly
US10741941B2 (en) Plug connector assembly having an insulative member
JP6720042B2 (ja) ケーブル接続用構造体および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8292655B1 (en) Innovative cable termination scheme
US9466925B2 (en) Paddle card assembly for high speed applications
US9705241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a cable connector assembly
US10833461B2 (en) Connectors for coaxial cables
JP2001297830A (ja) シールド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9583887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spacer
JP6330587B2 (ja) 通信用コネクタ
US20180115093A1 (en) Electrical cable assembly
WO2016035841A1 (ja) 通信用コネクタ
TW201807895A (zh) 插頭連接器
US9484689B2 (en) Wire spacer for different types of cable wires
JP2010165486A (ja) 電線接続ユニット
US6790096B2 (en) Cable assembly having arrangement for organizing cable
WO2016121502A1 (ja) 通信用コネクタ
JPS648905B2 (ko)
JPS5811020Y2 (ja) 同軸リボンケ−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2002334615A (ja) 複合電線及び電線付コネクタ
JP3042811B2 (ja) 極細同軸線の端子付け固定方法及び端子付け固定用部材
JPH0652928A (ja) コネクタ用シールドシェル
KR20240066999A (ko) 커넥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