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6999A -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6999A
KR20240066999A KR1020230145603A KR20230145603A KR20240066999A KR 20240066999 A KR20240066999 A KR 20240066999A KR 1020230145603 A KR1020230145603 A KR 1020230145603A KR 20230145603 A KR20230145603 A KR 20230145603A KR 20240066999 A KR20240066999 A KR 20240066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shell
plug
connector
shield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45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 간노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66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69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Abstract

(과제) 셸의 실드 효과의 저하를 억제한다.
(해결 수단) 커넥터 장치 (1) 는 플러그 (8) 및 리셉터클 (51) 을 구비하고, 플러그 (8) 는 실드가 부착된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에 장착되고, 플러그 (8) 의 끼워 맞춤부 (9) 에는, 플러그 단자가 수용된 절연 부재의 외주부를 상방으로부터 덮고, 케이블의 실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실드 부재와, 절연 부재의 외주부를 하방으로부터 덮고, 케이블의 실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하실드 부재가 형성되고, 리셉터클 (51) 은, 그 하우징의 외주측을 덮는 셸 (61) 을 갖고, 셸 (61) 에는, 플러그 (8) 가 리셉터클 (51) 에 끼워 맞춰졌을 때에 상실드 부재의 상단자 실드부 (22) 에 접촉하는 상접촉편 (62) 과, 플러그 (8) 가 리셉터클 (51) 에 끼워 맞춰졌을 때에 하실드 부재의 하단자 실드부 (32) 에 접촉하는 하접촉편 (63) 과, 기판 (6) 의 그라운드부에 접속되는 그라운드 접속부 (64) 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장치{CONNECTOR APPARATUS}
본 발명은, 절연 전선 및 실드를 구비한 케이블에 장착되는 제 1 커넥터와. 기판에 장착되고, 제 1 커넥터와 끼워 맞춰지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실드가 부착된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등, 절연 전선 및 절연 전선을 덮는 실드를 구비한 실드 케이블은, 전기·전자 기기간에 있어서의 고주파 신호의 전송에 사용된다. 실드 케이블에 있어서의 실드는, 케이블을 통하여 전기·전자 기기에 노이즈가 침입하는 것, 및 케이블을 통하여 전기·전자 기기로부터 노이즈가 방사되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 실드 케이블에 장착되는 커넥터의 상당수는, 케이블의 절연 전선이 접속되는 단자, 단자의 외주측을 덮는 절연 부재, 및 절연 부재의 외주측을 덮는 셸 (또는 실드 부재) 을 구비하고 있다. 셸은, 도전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실드 케이블의 실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당해 커넥터가, 기판에 장착된 상대 커넥터에 끼워 맞춰졌을 때, 셸은, 상대 커넥터가 갖는 도전부에 접촉하고, 그 도전부를 통하여 기판의 그라운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셸은, 커넥터를 통하여 전기·전자 기기에 노이즈가 침입하는 것, 및 커넥터를 통하여 전기·전자 기기로부터 노이즈가 방사되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37826호 (특허문헌 1) 에는, 실드 케이블에 장착되는 커넥터로서, 셸을 갖는 것의 일례가 기재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37826호에 기재된 실드 커넥터 (1) 는, 실드 트위스트 페어 전선 (W) 에 장착되어 있다. 실드 커넥터 (1) 는, 내도체 단자 (2), 내도체 단자 (2) 를 수용하는 이너 하우징 (3), 및 이너 하우징 (3) 을 수용하는 외도체 셸 (4) 을 가지고 있다. 또, 외도체 셸 (4) 은, 외도체 케이스 (5) 와 외도체 커버 (6) 로 분할되어 있고, 외도체 커버 (6) 는 외도체 케이스 (5) 에, 절곡편 (6c) 및 걸어 맞춤편 (5d) 을 통하여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또, 외도체 케이스 (5) 및 외도체 커버 (6) 는, 실드 트위스트 페어 전선 (W) 의 실드 도체 (Wd)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둥근 괄호 내의 부호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37826호에 기재되어 있는 부호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3782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37826호에 기재된 커넥터는, 셸이 케이스와 커버로 분할되고, 케이스에 커버가 걸어 맞춤편 등을 통하여 장착됨으로써 셸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셸의 케이스 및 커버의 각각에 서로 다른 전기 경로가 형성될 우려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37826호에 기재된 커넥터가, 기판에 장착된 상대 커넥터와 끼워 맞춰졌을 때, 셸의 케이스 및 커버 중, 예를 들어 케이스만이 상대 커넥터의 도전부에 접촉하고, 그 도전부를 통하여 기판의 그라운드부에 접속된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셸의 케이스는 상대 커넥터의 도전부에 직접 접속되는 데에 반하여, 셸의 커버는 셸의 케이스를 통하여 상대 커넥터의 도전부에 접속된다. 따라서, 셸의 커버로부터 기판의 그라운드부에 이르는 전기 경로가, 셸의 케이스로부터 기판의 그라운드부에 이르는 전기 경로와 비교하여 길어져, 인덕턴스가 증가한다. 그 결과, 셸의 커버의 전위가, 셸의 케이스의 전위와 비교하여 불안정해질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셸의 실드 효과, 즉, 셸에 의해 노이즈의 방사 및 침입을 억제하는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과제는, 셸의 실드 효과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커넥터 장치의 제 1 양태는, 절연 전선 및 상기 절연 전선을 덮는 실드를 구비한 케이블에 장착되는 제 1 커넥터와, 기판에 장착되고, 상기 제 1 커넥터와 끼워 맞춰지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 장치로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상기 제 2 커넥터와 끼워 맞춰지는 끼워 맞춤부를 갖고, 상기 끼워 맞춤부에는, 상기 절연 전선이 접속되는 제 1 단자와, 상기 제 1 단자의 외주측을 덮는 절연 부재와, 도전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절연 부재의 외주부를 일방으로부터 덮고, 상기 실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실드 부재와, 도전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절연 부재의 외주부를 타방으로부터 덮고, 상기 실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2 실드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끼워 맞춤부가 끼워 맞춰지는 끼워 맞춤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끼워 맞춤부가 상기 끼워 맞춤공에 끼워 맞춰졌을 때에 상기 제 1 단자와 접촉하는 제 2 단자와, 도전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주측을 덮는 셸을 갖고, 상기 셸에는, 상기 끼워 맞춤부가 상기 끼워 맞춤공에 끼워 맞춰졌을 때에 상기 제 1 실드 부재에 접촉하는 제 1 접촉부와, 상기 끼워 맞춤부가 상기 끼워 맞춤공에 끼워 맞춰졌을 때에 상기 제 2 실드 부재에 접촉하는 제 2 접촉부와, 상기 기판의 그라운드부에 접속되는 그라운드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커넥터 장치의 제 2 양태는, 상기 본 발명의 커넥터 장치의 제 1 양태의 구성을 갖고, 추가로, 상기 끼워 맞춤부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드 부재의 가장자리측 부분 및 상기 제 2 실드 부재의 가장자리측 부분은 서로 접근하고, 또한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접촉부 및 상기 제 2 접촉부는, 상기 셸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부가 상기 끼워 맞춤공에 끼워 맞춰졌을 때에 상기 제 1 실드 부재의 상기 가장자리측 부분과 상기 제 2 실드 부재의 상기 가장자리측 부분의 경계에 대응하는 부분인 경계 대응 부분에, 서로 접근하고, 또한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끼워 맞춤부가 상기 끼워 맞춤공에 끼워 맞춰졌을 때, 상기 제 1 접촉부는 상기 제 1 실드 부재의 상기 가장자리측 부분에 접촉하고, 상기 제 2 접촉부는 상기 제 2 실드 부재의 상기 가장자리측 부분에 접촉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커넥터 장치의 제 3 양태는, 상기 본 발명의 커넥터 장치의 제 2 양태의 구성을 갖고, 추가로,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공의 외주측 부분이고, 상기 셸의 상기 경계 대응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당해 부분을 관통하는 구멍 또는 절결인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접촉부 및 상기 제 2 접촉부는, 상기 셸로부터 상기 관통부를 지나 상기 끼워 맞춤공 내에, 각각 직선상으로, 또한 서로 평행하게 신장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커넥터 장치의 제 3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부에 있어서 당해 제 1 접촉부와 상기 셸의 결합 위치로부터 당해 제 1 접촉부의 선단까지의 길이와, 상기 제 2 접촉부에 있어서 당해 제 2 접촉부와 상기 셸의 결합 위치로부터 당해 제 2 접촉부의 선단까지의 길이는 서로 동등한 것으로 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커넥터 장치의 제 4 양태는, 상기 본 발명의 커넥터 장치의 제 3 양태의 구성을 갖고, 추가로 다음의 구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제 1 커넥터는 상기 제 2 커넥터에 상기 제 2 커넥터의 전방에서 끼워 맞춰지고, 상기 하우징은 사각 기둥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끼워 맞춤공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개구되고, 또한 후방으로 신장되고, 상기 관통부는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공의 외주측 부분의 좌우 방향 일측 부분 및 좌우 방향 타측 부분 중 적어도 좌우 방향 일측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셸은 상기 하우징의 좌우 방향 일측의 외면 및 좌우 방향 타측의 외면을 각각 덮는 2 개의 측벽, 및 상기 하우징의 상측의 외면을 덮는 상벽을 갖고, 상기 제 1 접촉부 및 상기 제 2 접촉부는 상기 셸의 상기 2 개의 측벽 중 적어도 상기 하우징의 좌우 방향 일측의 외면을 덮는 측벽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접촉부 및 상기 제 2 접촉부는 상하 방향으로 나열되고, 상기 제 2 커넥터의 측방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1 접촉부 및 상기 제 2 접촉부는 상기 셸로부터 상기 관통부를 지나 상기 끼워 맞춤공 내에 전후 방향으로 신장되고, 상기 그라운드 접속부는 상기 셸의 상기 2 개의 측벽 중 적어도 상기 하우징의 좌우 방향 일측의 외면을 덮는 측벽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그라운드 접속부는 상기 제 1 접촉부 및 상기 제 2 접촉부의 수직 방향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 제 1 커넥터는 그 전부 (前部) 가 상기 제 2 커넥터에 끼워 맞춰지고, 상기 끼워 맞춤부는 상기 제 1 커넥터의 전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실드 부재는 상기 절연 부재의 외주부를 상방으로부터 덮고, 상기 제 2 실드 부재는 상기 절연 부재의 외주부를 하방으로부터 덮고, 상기 제 1 실드 부재의 상기 가장자리측 부분 및 상기 제 2 실드 부재의 상기 가장자리측 부분은, 상기 절연 부재의 좌우 방향 일측의 측면 및 좌우 방향 타측의 측면 중 적어도 상기 절연 부재의 좌우 방향 일측의 측면의 좌우 방향 일측에, 서로 접근하고, 또한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커넥터 장치의 제 5 양태는, 상기 본 발명의 커넥터 장치의 제 1 내지 제 4 중 어느 양태의 구성을 갖고, 추가로, 상기 케이블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셸의 실드 효과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의 플러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2 중 플러그에 있어서 플러그 하우징을 제외한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2 중 플러그에 있어서 플러그 하우징을 제외한 부분을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의 플러그 (플러그 하우징을 제외한 부분) 의 단면도이고, (A) 는, 당해 플러그를, 당해 플러그의 축선을 포함하고,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넓어지는 평면에서 절단하고, 그 절단한 플러그의 단면을 위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B) 는, 도 5(A) 중 절단선 V-V 를 따라 절단한 플러그의 단면을 오른쪽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커넥터 장치의 플러그에 있어서 플러그 하우징 및 하실드 부재를 제외한 부분을 나타내는 외관도이고, (A) 는, 당해 플러그에 있어서 플러그 하우징 및 하실드 부재를 제외한 부분을 오른쪽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B) 는 당해 플러그에 있어서 플러그 하우징 및 하실드 부재를 제외한 부분을 아래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의 리셉터클을 좌전상 (左前上) 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은, 도 7 중의 리셉터클을 좌후하 (左後下) 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는, 도 7 중의 리셉터클을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은, 도 7 중의 리셉터클을 왼쪽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11 은, 도 10 중의 절단선 XI-XI 을 따라 절단한 리셉터클의 단면을 위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커넥터 장치의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끼워 맞춤시에 있어서, 플러그의 상실드 부재 및 하실드 부재와 리셉터클의 셸의 접속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의 리셉터클의 셸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의 플러그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에 대해 전 (Fd), 후 (Bd), 상 (Ud), 하 (Dd), 좌 (Ld), 우 (Rd) 의 방향을 서술할 때에는, 도 1 ∼ 14 중 하측에 그린 화살표에 따른다.
(커넥터 장치)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커넥터 장치 (1) 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장치 (1) 는, 플러그 (8), 및 플러그 (8) 와 끼워 맞춰지는 리셉터클 (51) 을 구비하고 있다. 플러그 (8) 는 「제 1 커넥터」 의 구체예이고, 리셉터클 (51) 은 「제 2 커넥터」 의 구체예이다.
플러그 (8) 는 케이블 (2) 에 장착된다. 케이블 (2) 은, 실드가 부착된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이다. 케이블 (2) 은, 서로 꼬인 2 개의 절연 전선 (3), 도전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2 개의 절연 전선 (3) 의 외주측을 덮는 실드 (4), 및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실드 (4) 의 외주측을 덮는 시스 (5) 를 구비하고 있다. 각 절연 전선 (3) 은, 도체의 외주측을 절연체로 덮음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51) 은 기판 (6) 에 장착된다. 리셉터클 (51) 은 기판 (6) 의 실장면 (6A) 상에 배치된다.
(플러그)
도 2 는 플러그 (8) 를 나타내고 있다. 도 3 은 플러그 (8) 에 있어서 플러그 하우징 (41) 을 제외한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도 4 는 플러그 (8) 에 있어서 플러그 하우징 (41) 을 제외한 부분을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A) 는, 플러그 (8) 의 축선을 포함하고,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넓어지는 평면에서 절단한 플러그 (8) (플러그 하우징 (41) 을 제외한 부분) 의 단면을 위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B) 는, 도 5(A) 중 절단선 V-V 를 따라 절단한 플러그 (8) 의 단면을 오른쪽 (도 5(A) 에 있어서는 아래) 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A) 는 플러그 (8) 에 있어서 플러그 하우징 (41) 및 하실드 부재 (31) 를 제외한 부분을 오른쪽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B) 는 플러그 (8) 에 있어서 플러그 하우징 (41) 및 하실드 부재 (31) 를 제외한 부분을 아래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플러그 (8) 는, 2 개의 플러그 단자 (10), 절연 부재 (14), 상실드 부재 (21), 하실드 부재 (31), 및 플러그 하우징 (41) 을 구비하고 있다. 플러그 단자 (10) 는 「제 1 단자」 의 구체예이고, 상실드 부재 (21) 는 「제 1 실드 부재」 의 구체예이고, 하실드 부재 (31) 는 「제 2 실드 부재」 의 구체예이다.
플러그 하우징 (41) 은, 수지 등의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하우징 (41) 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부 (42) 및 돌출부 (44) 를 가지고 있다. 통부 (42) 는 횡단면의 외형이 사각형인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통부 (42) 내에는, 상실드 부재 (21) 의 후부 (後部) (내전선 실드부 (25) 및 접속편 (27) 등), 하실드 부재 (31) 의 후부 (하단자 실드부 (32) 의 후부, 외전선 실드부 (36) 및 실드 접속부 (38) 등), 및 케이블 (2) 의 단측 부분이 수용되어 있다. 또, 케이블 (2) 은 통부 (42) 내에서부터 후방으로 인출되어 있다. 또, 통부 (42) 의 좌측의 벽부 및 우측의 벽부에는, 하실드 부재 (31) 를 플러그 하우징 (41) 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편 (43) 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 (44) 는, 통부 (42) 의 상측의 벽부의 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돌출부 (44) 의 하방에는, 절연 부재 (14), 상단자 실드부 (22) 및 하단자 실드부 (32) 가 배치되어 있다. 또, 돌출부 (44) 의 전단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결합 볼록부 (45) 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 (44) 의 전단부는, 결합 볼록부 (45) 를 통하여 절연 부재 (14) 의 전단부와 결합되어 있다. 또, 돌출부 (44), 절연 부재 (14), 상단자 실드부 (22) 및 하단자 실드부 (32) 에 의해 끼워 맞춤부 (9) 가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8) 는, 끼워 맞춤부 (9) 가 리셉터클 (51) 의 끼워 맞춤공 (59) 내에 들어가 끼워 맞춰짐으로써, 리셉터클 (51) 과 접속된다. 또, 플러그 하우징 (41) 의 상부에는, 플러그 (8) 가 리셉터클 (51) 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로크편 (46) 이 형성되어 있다.
2 개의 플러그 단자 (10) 는, 도 5(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 부재 (14) 의 내부에, 좌우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플러그 단자 (10) 는, 금속 등의 도전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각 플러그 단자 (10) 는 접촉자부 (11), 도체 접속부 (12), 및 전선 고정부 (13) 를 가지고 있다. 도 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자부 (11) 는 플러그 단자 (10) 의 전부에 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다. 접촉자부 (11) 는 리셉터클 (51) 의 리셉터클 단자 (52) 의 접촉자부 (53) 와 접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 단자 (10) 의 접촉자부 (11) 가 통상으로 형성되고, 리셉터클 단자 (52) 의 접촉자부 (53) 가 핀상으로 형성되고, 플러그 (8) 가 리셉터클 (51) 에 끼워 맞춰졌을 때, 리셉터클 단자 (52) 의 접촉자부 (53) 가 플러그 단자 (10) 의 접촉자부 (11) 내에 삽입된다. 도체 접속부 (12) 는 접촉자부 (11) 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다. 도체 접속부 (12) 는, 절연 전선 (3) 의 도체의 단측 부분을 코킹함으로써, 플러그 단자 (10) 와 절연 전선 (3) 의 도체를 접속한다. 전선 고정부 (13) 는 도체 접속부 (12) 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다. 전선 고정부 (13) 는, 절연 전선 (3) 의 절연체를 코킹함으로써 플러그 단자 (10) 를 절연 전선 (3) 의 단측 부분에 고정시킨다.
절연 부재 (14) 는, 수지 등의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2 개의 플러그 단자 (10) 의 외주측을 덮고 있다. 절연 부재 (14) 는 대략 직방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절연 부재 (14) 의 내부에는, 2 개의 플러그 단자 (10) 를 각각 수용하는 2 개의 단자 수용부 (15) 가 형성되어 있다. 절연 부재 (14) 의 전단부에는, 전방으로 개구되고, 또한 단자 수용부 (15) 내와 연통된 2 개의 삽입구 (16) 가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8) 가 리셉터클 (51) 에 끼워 맞춰졌을 때, 리셉터클 단자 (52) 의 접촉자부 (53) 가, 삽입구 (16) 를 통하여 플러그 단자 (10) 의 접촉자부 (11) 내에 삽입되어, 접촉자부 (11) 와 접촉한다. 또, 절연 부재 (14) 의 후단부에는, 후방으로 개구되고, 또한 단자 수용부 (15) 내와 연통된 2 개의 전선 삽통구 (17) 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절연 전선 (3) 은 플러그 하우징 (41) 의 통부 (42) 내로부터 전선 삽통구 (17) 를 지나 절연 부재 (14) 의 단자 수용부 (15) 내에 진입하고 있다.
또,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 부재 (14) 의 전단부의 상부에는 결합 오목부 (18) 가 형성되어 있다. 절연 부재 (14) 의 전단부는, 결합 오목부 (18) 가 플러그 하우징 (41) 의 돌출부 (44) 의 전단부에 형성된 결합 볼록부 (45) 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플러그 하우징 (41) 의 돌출부 (44) 의 전단부와 결합되어 있다.
또,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 부재 (14) 의 좌측 외면에는 2 개의 걸림 볼록부 (19) 가 전후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절연 부재 (14) 의 우측 외면에도, 동일하게, 2 개의 걸림 볼록부 (19) 가 형성되어 있다. 합계 4 개의 걸림 볼록부 (19) 중, 전측에 배치된 좌우의 2 개의 걸림 볼록부 (19) 에 의해, 상실드 부재 (21) 의 상단자 실드부 (22) 가 절연 부재 (14) 와 결합된다. 또, 뒤쪽에 배치된 좌우의 2 개의 걸림 볼록부 (19) 에 의해, 하실드 부재 (31) 의 하단자 실드부 (32) 가 절연 부재 (14) 와 결합된다.
상실드 부재 (21) 는, 금속 등의 도전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실드 부재 (21) 는, 상단자 실드부 (22), 연결부 (24), 내전선 실드부 (25), 연결부 (26), 및 접속편 (27) 을 가지고 있다. 상실드 부재 (21) 는 도전 재료로 이루어지는 판재에 프레스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상단자 실드부 (22) 는, 후술하는 하실드 부재 (31) 의 하단자 실드부 (32) 와 함께 절연 부재 (14) 의 외주측을 포위함으로써, 절연 부재 (14) 내에 형성된 2 개의 플러그 단자 (10) 를 실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단자 실드부 (22)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 부재 (14) 의 외주부를 상방으로부터 덮고 있다. 상단자 실드부 (22)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넓어지는 평판상의 상벽 (22A), 상벽 (22A) 의 앞쪽 부근 부분의 좌측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신장되고,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넓어지는 평판상의 좌벽 (22B), 및 상벽 (22A) 의 앞쪽 부근 부분의 우측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신장되고,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넓어지는 평판상의 우벽 (22C) 을 가지고 있다. 상단자 실드부 (22) 의 상벽 (22A) 은, 절연 부재 (14) 의 상측의 외면의 대략 전부를 덮고 있다. 상단자 실드부 (22) 의 좌벽 (22B) 은, 절연 부재 (14) 의 좌측의 외면에 있어서의 전상측 부분을 덮고 있다. 상단자 실드부 (22) 의 우벽 (22C) 은, 절연 부재 (14) 의 우측의 외면에 있어서의 전상측 부분을 덮고 있다. 또한, 상단자 실드부 (22) 의 좌벽 (22B) 및 우벽 (22C) 은 각각 「제 1 실드 부재의 가장자리측 부분」 의 구체예이다.
또, 상단자 실드부 (22) 의 좌벽 (22B) 의 전부 및 우벽 (22C) 의 전부에는 걸림공 (23)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2 개의 걸림공 (23) 이, 절연 부재 (14) 의 좌측 외면의 전부 및 우측 외면의 전부에 형성된 2 개의 걸림 볼록부 (19) 에 각각 걸림으로써, 상단자 실드부 (22) 가 절연 부재 (14) 와 결합된다.
내전선 실드부 (25) 는, 케이블 (2) 의 서로 꼬인 2 개의 절연 전선 (3) 에 있어서 실드 (4) 로부터 노출된 부분 (이하, 이것을 「절연 전선 (3) 의 노출 부분」 이라고 한다.) 을 서로 평행하게 한 상태로 묶음으로써 절연 전선 (3) 의 노출 부분의 평행한 상태를 유지함과 함께, 당해 2 개의 절연 전선 (3) 의 노출 부분을 실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내전선 실드부 (25) 는, 도 6(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단자 실드부 (22) 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 내전선 실드부 (25) 는 연결부 (24) 를 통하여 상단자 실드부 (22) 의 후단에 결합되어 있다. 연결부 (24) 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자 실드부 (22) 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면서 후방으로 신장되어, 내전선 실드부 (25) 의 전단에 결합되어 있다.
내전선 실드부 (25) 는 2 개의 절연 전선 (3) 의 노출 부분을 덮고 있다. 즉, 케이블 (2) 을 플러그 (8) 에 장착할 때, 케이블 (2) 의 단측 부분의 시스 (5) 를 절제함으로써, 2 개의 절연 전선 (3) 및 실드 (4) 의 각각의 단측 부분을 시스 (5) 로부터 노출시킨다. 또한, 실드 (4) 에 있어서 시스 (5) 로부터 노출시킨 부분을 시스 (5) 의 외주측으로 되접어 꺾음으로써, 2 개의 절연 전선 (3) 의 단측 부분을 실드 (4) 로부터 노출시킨다. 또한, 각 절연 전선 (3) 에 있어서 실드 (4) 로부터 노출시킨 부분의 단측 부분의 절연체를 절제함으로써, 각 절연 전선 (3) 의 도체의 단측 부분을 절연체로부터 노출시킨다. 케이블 (2) 에 플러그 (8) 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도 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절연 전선 (3) 의 도체의 노출된 단측 부분이 플러그 단자 (10) 의 도체 접속부 (12) 에 접속되고, 각 절연 전선 (3) 의 절연체의 단측 부분이 플러그 단자 (10) 의 전선 고정부 (13) 에 고정되고, 실드 (4) 가 되접어 꺾인 단측 부분이 후술하는 하실드 부재 (31) 의 실드 접속부 (38) 에 접속됨과 함께, 케이블 (2) 의 단측 부분이 실드 접속부 (38) 에 고정된다. 그리고, 2 개의 절연 전선 (3) 에 있어서 실드 (4) 로부터 노출된 부분 (2 개의 절연 전선 (3) 의 노출 부분) 이 플러그 하우징 (41) 의 통부 (42) 내에 배치된다. 또, 2 개의 절연 전선 (3) 은 케이블 (2) 내에 있어서는 서로 꼬여있지만, 케이블 (2) 을 플러그 (8) 에 장착할 때에 2 개의 절연 전선 (3) 의 단측 부분을 실드 (4) 로부터 노출시킨 후에, 2 개의 절연 전선의 단측 부분은, 그 꼬임이 풀려, 직선상으로, 또한 서로 평행하게 신장된 상태로 플러그 하우징 (41) 의 통부 (42) 내에 배치된다. 내전선 실드부 (25) 는, 플러그 하우징 (41) 의 통부 (42) 내에 배치된 2 개의 절연 전선 (3) 의 노출 부분을 덮고 있다.
내전선 실드부 (25) 는 2 개의 절연 전선 (3) 의 노출 부분을 포위하고 있다. 내전선 실드부 (25) 는, 서로 평행하게 직선상으로 신장된 2 개의 절연 전선 (3) 의 노출 부분을 그들의 평행 상태를 유지하면서 묶도록, 그들의 외주측을 전체 둘레에 걸쳐 덮고 있다. 또, 내전선 실드부 (25) 는, 2 개의 절연 전선 (3) 의 노출 부분을 전후 방향으로 광범위에 걸쳐 포위하고 있다.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내전선 실드부 (25) 는, 2 개의 절연 전선 (3) 의 노출 부분을 묶어서 코킹하는 배럴이다. 내전선 실드부 (25) 는 배럴 기부 (25A) 및 2 개의 배럴편 (25B) 을 가지고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럴 기부 (25A) 는 연결부 (24) 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신장되어 있다. 플러그 (8) 가 조립되기 전에 있어서는, 2 개의 배럴편 (25B) 중, 일방의 배럴편 (25B) 은 배럴 기부 (25A) 의 좌측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면서 좌방으로 신장되어 있다. 타방의 배럴편 (25B) 은 배럴 기부 (25A) 의 우측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면서 우방으로 신장되어 있다. 플러그 (8) 가 조립될 때, 2 개의 배럴편 (25B) 은 2 개의 절연 전선 (3) 의 노출 부분의 외주측을 포위하도록 절곡된다. 이로써, 2 개의 절연 전선 (3) 의 노출 부분은,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개의 배럴편 (25B) 에 의해 코킹된다. 2 개의 절연 전선 (3) 의 노출 부분이 내전선 실드부 (25) 에 의해 코킹된 상태에 있어서, 2 개의 절연 전선 (3) 의 노출 부분의 외주면의 일부는 서로 접촉하거나, 또는 매우 접근하고 있다. 또, 내전선 실드부 (25) 의 좌측의 배럴편 (25B) 의 내면의 일부는, 좌측의 절연 전선 (3) 의 노출 부분의 외주면의 일부에 접촉하거나, 또는 매우 접근하고 있다. 또, 내전선 실드부 (25) 의 우측의 배럴편 (25B) 의 내면의 일부는, 우측의 절연 전선 (3) 의 노출 부분의 외주면의 일부에 접촉하거나, 또는 매우 접근하고 있다.
접속편 (27) 은 상실드 부재 (21) 를 케이블 (2) 의 실드 (4) 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접속편 (27) 은, 도 6(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전선 실드부 (25) 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접속편 (27) 은 연결부 (26) 를 통하여 내전선 실드부 (25) 의 후단에 결합되어 있다. 연결부 (26) 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내전선 실드부 (25) 의 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면서 후방으로 신장되어, 접속편 (27) 의 전단에 결합되어 있다.
접속편 (27) 은,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넓어지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접속편 (27) 은, 실드 (4) 의 외주면을 따르도록 만곡되어 있다. 접속편 (27) 의 하면은, 실드 (4) 의 외주면의 상부에 넓게 접촉하고 있다.
하실드 부재 (31) 는, 금속 등의 도전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하실드 부재 (31) 는, 도 3 및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단자 실드부 (32), 연결부 (35), 외전선 실드부 (36), 연결부 (37), 및 실드 접속부 (38) 를 가지고 있다. 하실드 부재 (31) 는 도전 재료로 이루어지는 판재에 프레스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하단자 실드부 (32) 는, 상실드 부재 (21) 의 상단자 실드부 (22) 와 함께 절연 부재 (14) 의 외주측을 포위함으로써, 절연 부재 (14) 내에 형성된 2 개의 플러그 단자 (10) 를 실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하단자 실드부 (32)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 부재 (14) 의 외주부를 하방으로부터 덮고 있다. 하단자 실드부 (32)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넓어지는 평판상의 하벽 (32A), 하벽 (32A) 의 좌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신장되고,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넓어지는 평판상의 좌벽 (32B), 및 하벽 (32A) 의 우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신장되고,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넓어지는 평판상의 우벽 (32C) 을 가지고 있다. 하단자 실드부 (32) 의 하벽 (32A) 은, 절연 부재 (14) 의 하측의 외면의 대략 전부를 덮고 있다. 하단자 실드부 (32) 의 좌벽 (32B) 은, 절연 부재 (14) 의 좌측의 외면에 있어서의 하측 부분 및 뒤쪽 상측 부분을 덮고 있다. 하단자 실드부 (32) 의 우벽 (32C) 은, 절연 부재 (14) 의 우측의 외면에 있어서의 하측 부분 및 뒤쪽 상측 부분을 덮고 있다. 또한, 하단자 실드부 (32) 의 좌벽 (32B) 및 우벽 (32C) 은 각각 「제 2 실드 부재의 가장자리측 부분」 의 구체예이다.
또,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단자 실드부 (22) 의 좌벽 (22B) 과 하단자 실드부 (32) 의 좌벽 (32B) 은, 절연 부재 (14) 의 좌측의 외면 상 (외면의 좌방) 에 있어서, 좌벽 (22B) 의 상측 가장자리와 좌벽 (32B) 의 하측 가장자리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상단자 실드부 (22) 의 좌벽 (22B) 과 하단자 실드부 (32) 의 좌벽 (32B) 은, 절연 부재 (14) 의 좌측의 외면 상에 있어서 서로 접근하고, 또한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상단자 실드부 (22) 의 좌벽 (22B) 및 하단자 실드부 (32) 의 좌벽 (32B) 에 의해, 절연 부재 (14) 의 좌측의 외면의 대략 전부가 덮여 있다. 동일하게, 상단자 실드부 (22) 의 우벽 (22C) 과 하단자 실드부 (32) 의 우벽 (32C) 은, 절연 부재 (14) 의 우측의 외면 상 (외면의 우방) 에 있어서, 우벽 (22C) 의 상측 가장자리와 우벽 (32C) 의 하측 가장자리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상단자 실드부 (22) 의 우벽 (22C) 과 하단자 실드부 (32) 의 우벽 (32C) 은, 절연 부재 (14) 의 우측의 외면 상에 있어서 서로 접근하고, 또한 상하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상단자 실드부 (22) 의 우벽 (22C) 및 하단자 실드부 (32) 의 우벽 (32C) 에 의해, 절연 부재 (14) 의 우측의 외면의 대략 전부가 덮여 있다.
또, 하단자 실드부 (32) 의 좌벽 (32B) 의 전후 방향 중간부의 상측 가장자리부는, 상단자 실드부 (22) 의 상벽 (22A) 의 후부의 좌측 가장자리부와 접촉하거나, 또는 매우 접근하고 있다. 동일하게, 하단자 실드부 (32) 의 우벽 (32C) 의 전후 방향 중간부의 상측 가장자리부는, 상단자 실드부 (22) 의 상벽 (22A) 의 후부의 우측 가장자리부와 접촉하거나, 또는 매우 접근하고 있다.
또, 하단자 실드부 (32) 의 좌벽 (32B) 및 우벽 (32C) 은, 절연 부재 (14) 의 후단보다 후방으로 각각 신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후방으로 신장된 하단자 실드부 (32) 의 좌벽 (32B) 의 후부는, 도 5(A) 및 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실드 부재 (21) 의 내전선 실드부 (25) 의 전부를 좌방으로부터 덮고 있다. 동일하게, 하단자 실드부 (32) 의 우벽 (32C) 의 후부는, 상실드 부재 (21) 의 내전선 실드부 (25) 의 전부를 우방으로부터 덮고 있다.
또,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단자 실드부 (32) 의 좌벽 (32B) 의 전후 방향 중간부 및 우벽 (32C) 의 전후 방향 중간부에는 걸림공 (33)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2 개의 걸림공 (33) 이, 절연 부재 (14) 의 좌측 외면의 후부 및 우측 외면의 후부에 형성된 2 개의 걸림 볼록부 (19) 에 각각 걸림으로써,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단자 실드부 (32) 가 절연 부재 (14) 와 결합된다.
또, 하단자 실드부 (32) 의 좌벽 (32B) 의 후부에는 좌방으로 돌출된 고정 볼록부 (34) 가 형성되고, 하단자 실드부 (32) 의 우벽 (32C) 의 후부에는 우방으로 돌출된 고정 볼록부 (34)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고정 볼록부 (34) 가 플러그 하우징 (41) 의 통부 (42) 의 좌우의 벽부에 각각 형성된 고정편 (43) 에 걸림으로써, 하실드 부재 (31) 가 플러그 하우징 (41) 에 고정된다.
외전선 실드부 (36) 는, 2 개의 절연 전선 (3) 의 노출 부분을 실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외전선 실드부 (36)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개의 절연 전선 (3) 의 노출 부분을 포위한 내전선 실드부 (25) 의 외주측을 덮고 있다. 즉, 외전선 실드부 (36) 는, 2 개의 절연 전선 (3) 의 노출 부분에 있어서 내전선 실드부 (25) 에 의해 포위되어 있는 부분을 내전선 실드부 (25) 의 외주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이로써, 2 개의 절연 전선 (3) 의 노출 부분은, 내전선 실드부 (25) 와 외전선 실드부 (36) 에 의해 이중으로 실드되어 있다. 외전선 실드부 (36) 는, 하단자 실드부 (32) 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 외전선 실드부 (36) 는 연결부 (35) 를 통하여 하단자 실드부 (32) 의 후단에 결합되어 있다. 연결부 (35) 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하단자 실드부 (32) 의 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면서 후방으로 신장되어, 외전선 실드부 (36) 의 전단에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외전선 실드부 (36) 는, 2 개의 절연 전선 (3) 의 노출 부분을 포위한 내전선 실드부 (25) 의 외주측을 포위하고 있다. 외전선 실드부 (36) 는 내전선 실드부 (25) 를 코킹하는 배럴이다. 외전선 실드부 (36) 는 배럴 기부 (36A) 및 2 개의 배럴편 (36B) 을 가지고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럴 기부 (36A) 는 연결부 (35) 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신장되어 있다. 플러그 (8) 가 조립되기 전에 있어서는, 2 개의 배럴편 (36B) 중, 일방의 배럴편 (36B) 은 배럴 기부 (36A) 의 좌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면서 좌방으로 신장되어 있다. 타방의 배럴편 (36B) 은 배럴 기부 (36A) 의 우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면서 우방으로 신장되어 있다. 플러그 (8) 가 조립될 때, 2 개의 배럴편 (36B) 은 내전선 실드부 (25) 의 외주측을 포위하도록 절곡된다. 이로써, 내전선 실드부 (25) 는 2 개의 배럴편 (36B) 에 의해 코킹된다.
실드 접속부 (38) 는, 하실드 부재 (31) 를 케이블 (2) 의 실드 (4) 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기능, 상실드 부재 (21) 의 접속편 (27) 이 실드 (4) 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는 기능, 및 케이블 (2) 을 플러그 (8) 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실드 접속부 (38) 는, 외전선 실드부 (36) 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 실드 접속부 (38) 는 연결부 (37) 를 통하여 외전선 실드부 (36) 의 후단에 결합되어 있다. 연결부 (37) 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외전선 실드부 (36) 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면서 후방으로 신장되어, 실드 접속부 (38) 의 전단에 결합되어 있다.
실드 접속부 (38) 는, 케이블 (2) 의 실드 (4) 및 시스 (5), 그리고 실드 (4) 에 접촉한 접속편 (27) 을 합쳐서 코킹하는 배럴이다. 실드 접속부 (38) 는 배럴 기부 (38A) 및 2 개의 배럴편 (38B) 을 가지고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럴 기부 (38A) 는 연결부 (37) 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신장되어 있다. 플러그 (8) 가 조립되기 전에 있어서는, 2 개의 배럴편 (38B) 중, 일방의 배럴편 (38B) 은 배럴 기부 (38A) 의 좌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면서 좌방으로 신장되어 있다. 타방의 배럴편 (38B) 은 배럴 기부 (38A) 의 우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면서 우방으로 신장되어 있다. 플러그 (8) 가 조립될 때, 2 개의 배럴편 (38B) 은 실드 (4), 접속편 (27) 및 시스 (5) 를 포위하도록 절곡된다. 이로써, 실드 (4), 접속편 (27) 및 시스 (5) 는 2 개의 배럴편 (38B) 에 의해 코킹된다.
(리셉터클)
도 7 은 리셉터클 (51) 을 좌전상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 은 리셉터클 (51) 을 좌후하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9 는 리셉터클 (51) 을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 은 리셉터클 (51) 을 왼쪽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 은, 도 10 중 절단선 XI-XI 을 따라 절단한 리셉터클 (51) 의 단면을 위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리셉터클 (51) 은, 2 개의 리셉터클 단자 (52), 접속 부재 (55), 리셉터클 하우징 (58), 및 셸 (61) 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리셉터클 단자 (52) 는 「제 2 단자」 의 구체예이고, 리셉터클 하우징 (58) 은 「하우징」 의 구체예이다.
리셉터클 하우징 (58) 은,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 등의 절연 재료에 의해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사각 기둥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하우징 (58) 에는, 플러그 (8) 의 끼워 맞춤부 (9) 가 끼워 맞춰지는 끼워 맞춤공 (59) 이 형성되어 있다. 끼워 맞춤공 (59) 은 리셉터클 하우징 (58) 의 전면에 개구되고, 후방으로 신장되어 있다. 플러그 (8) 와 리셉터클 (51) 은, 플러그 (8) 의 전부와 리셉터클 (51) 의 전부를 서로 마주보게 하고, 플러그 (8) 의 끼워 맞춤부 (9) 를 리셉터클 하우징 (58) 의 끼워 맞춤공 (59) 에 끼워 맞춤으로써 접속된다. 그 결과, 끼워 맞춤부 (9) 가 끼워 맞춤공 (59) 에 끼워 맞춰진 상태에 있어서는, 끼워 맞춤공 (59) 의 좌측의 내면이 끼워 맞춤부 (9) 의 우측의 외면과 대향하고, 끼워 맞춤공 (59) 의 우측의 내면이 끼워 맞춤부 (9) 의 좌측의 외면과 대향하게 된다.
또, 리셉터클 하우징 (58) 에 있어서, 끼워 맞춤공 (59) 의 외주측 부분의 좌부 (左部) 에는, 당해 부분을 관통하는 구멍 또는 절결인 관통부 (60) 가 형성되어 있다. 좌측의 관통부 (60) 는, 리셉터클 하우징 (58) 에 있어서, 플러그 (8) 의 끼워 맞춤부 (9) 가 리셉터클 (51) 의 끼워 맞춤공 (59) 에 끼워 맞춰졌을 때에 플러그 (8) 의 상단자 실드부 (22) 의 우벽 (22C) 과, 플러그 (8) 의 하단자 실드부 (32) 의 우벽 (32C) 의 경계에 대응하는 부분 (이하, 이것을 「좌측 경계 대응 부분」 이라고 한다.) 에 배치되어 있다. 또, 끼워 맞춤공 (59) 의 외주측 부분의 우부 (右部) 에도 동일한 관통부 (60) 가 형성되어 있다. 우측의 관통부 (60) 는, 리셉터클 하우징 (58) 에 있어서, 플러그 (8) 의 끼워 맞춤부 (9) 가 리셉터클 (51) 의 끼워 맞춤공 (59) 에 끼워 맞춰졌을 때에 플러그 (8) 의 상단자 실드부 (22) 의 좌벽 (22B) 과, 플러그 (8) 의 하단자 실드부 (32) 의 좌벽 (32B) 의 경계에 대응하는 부분 (이하, 이것을 「우측 경계 대응 부분」 이라고 한다.) 에 배치되어 있다. 또, 리셉터클 하우징 (58) 에는, 각 리셉터클 단자 (52) 및 접속 부재 (55) 를 리셉터클 하우징 (58) 에 장착하기 위한 구멍, 홈 또는 걸림 구조 등이 형성되어 있다. 또, 리셉터클 하우징 (58) 의 외주측에는, 셸 (61) 을 리셉터클 하우징 (58) 에 장착하기 위한 걸림 구조 등이 형성되어 있다.
2 개의 리셉터클 단자 (52) 는,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 (58) 에, 좌우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각 리셉터클 단자 (52) 는, 금속 등의 도전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각 리셉터클 단자 (52) 는 접촉자부 (53) 및 회로 접속부 (54) 를 가지고 있다. 접촉자부 (53) 는, 전후 방향으로 신장된 핀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접촉자부 (53) 의 전단측 부분은 끼워 맞춤공 (59) 내에 위치하고 있다. 접촉자부 (53) 는, 플러그 (8) 의 플러그 단자 (10) 의 접촉자부 (11) 와 접촉한다. 회로 접속부 (54) 는, 접촉자부 (53) 의 후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신장된 후, 구부러지고, 그 후, 후방으로 신장되어 있다. 회로 접속부 (54) 는, 기판 (6) 의 실장면 (6A) 상에 형성된 회로에 있어서, 신호의 입력 또는 출력을 실시하기 위한 패드 등에 접속된다.
접속 부재 (55) 는, 그 일단부 (56) 가 끼워 맞춤공 (59) 내에 위치하도록, 리셉터클 하우징 (58) 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다. 접속 부재 (55) 는, 금속 등의 도전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접속 부재 (55) 의 일단부 (56) 는, 플러그 (8) 가 리셉터클 (51) 에 끼워 맞춰졌을 때, 플러그 (8) 의 하실드 부재 (31) 의 하면에 접촉한다. 또, 접속 부재 (55) 의 타단부 (57) 는 기판 (6) 의 그라운드부에 접속된다.
셸 (61) 은, 도 7 및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 (58) 의 외주측 및 뒤쪽을 덮고 있다. 셸 (61) 은, 금속 등의 도전 재료로 이루어지는 판재에 프레스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셸 (61) 은, 2 개의 리셉터클 단자 (52), 및 끼워 맞춤공 (59) 에 끼워 맞춰진 플러그 (8) 의 끼워 맞춤부 (9) 를 실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셸 (61) 은, 플러그 (8) 가 리셉터클 (51) 에 끼워 맞춰졌을 때, 플러그 (8) 의 상실드 부재 (21) 및 하실드 부재 (31) 를 기판 (6) 의 그라운드부에 접속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셸 (61) 은, 리셉터클 하우징 (58) 의 상측의 외면을 덮는 상벽 (61A), 리셉터클 하우징 (58) 의 좌측의 외면을 덮는 좌벽 (61B), 리셉터클 하우징 (58) 의 우측의 외면을 덮는 우벽 (61C), 및 리셉터클 하우징 (58) 의 후측을 덮는 후벽 (61D) 을 가지고 있다.
또, 셸 (61) 의 좌벽 (61B) 에는, 상접촉편 (62), 하접촉편 (63), 그라운드 접속부 (64), 및 2 개의 기판 접속부 (65)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은 셸 (61) 의 좌벽 (61B) 에 일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접촉편 (62) 은 「제 1 접촉부」 의 구체예이고, 하접촉편 (63) 은 「제 2 접촉부」 의 구체예이다.
셸 (61) 의 좌벽 (61B) 에 형성된 상접촉편 (62) 및 하접촉편 (63) 은, 셸 (61) 의 좌벽 (61B) 에 있어서의 좌측 경계 대응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 상접촉편 (62) 및 하접촉편 (63) 의 위치는, 리셉터클 하우징 (58) 의 좌측의 관통부 (60) 의 위치와 대응하고 있다. 또, 이들 상접촉편 (62) 및 하접촉편 (63) 은, 서로 접근하고, 또한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이웃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이들 상접촉편 (62) 및 하접촉편 (63) 은 서로 대략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51) 을 왼쪽에서 보았을 때, 셸 (61) 의 좌벽 (61B) 에 형성된 상접촉편 (62) 및 하접촉편 (63) 은 각각 전후 방향으로 직선상으로, 또한 서로 평행하게 신장되어 있다. 또, 상접촉편 (62) 에 있어서 당해 상접촉편 (62) 과 셸 (61) 의 결합 위치로부터 당해 상접촉편 (62) 의 선단까지의 길이 (B) 와, 하접촉편 (63) 에 있어서 당해 하접촉편 (63) 과 셸 (61) 의 결합 위치로부터 당해 하접촉편 (63) 의 선단까지의 길이 (C) 는 서로 동등하다. 또, 도 7 및 11 을 보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셸 (61) 의 좌벽 (61B) 에 형성된 상접촉편 (62) 및 하접촉편 (63) 은 셸 (61) 로부터 우방으로 각각 경사져 있다. 이들 상접촉편 (62) 및 하접촉편 (63) 은, 셸 (61) 의 좌벽 (61B) 으로부터, 리셉터클 하우징 (58) 의 좌측의 관통부 (60) 를 지나 끼워 맞춤공 (59) 내에 진입하고 있다.
플러그 (8) 의 끼워 맞춤부 (9) 가 리셉터클 (51) 의 끼워 맞춤공 (59) 에 끼워 맞춰졌을 때, 셸 (61) 의 좌벽 (61B) 에 형성된 상접촉편 (62) 의 전단부는, 플러그 (8) 가 갖는 상실드 부재 (21) 의 상단자 실드부 (22) 의 우벽 (22C) 의 외면에 접촉한다. 또, 플러그 (8) 의 끼워 맞춤부 (9) 가 리셉터클 (51) 의 끼워 맞춤공 (59) 에 끼워 맞춰졌을 때, 셸 (61) 의 좌벽 (61B) 에 형성된 하접촉편 (63) 의 전단부는, 플러그 (8) 가 갖는 하실드 부재 (31) 의 하단자 실드부 (32) 의 우벽 (32C) 의 외면에 접촉한다.
또, 이들 상접촉편 (62) 및 하접촉편 (63) 은 각각, 가늘고 긴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스프링성을 가지고 있다. 플러그 (8) 의 끼워 맞춤부 (9) 가 리셉터클 (51) 의 끼워 맞춤공 (59) 에 끼워 맞춰졌을 때, 상접촉편 (62) 의 전단부 및 하접촉편 (63) 의 전단부가, 플러그 (8) 의 상단자 실드부 (22) 의 우벽 (22C) 및 하단자 실드부 (32) 의 우벽 (32C) 에 각각 접촉하여 좌방으로 밀림으로써, 상접촉편 (62) 및 하접촉편 (63) 이 각각 탄성 변형된다. 이로써, 상접촉편 (62) 의 전단부 및 하접촉편 (63) 의 전단부는, 플러그 (8) 의 상단자 실드부 (22) 의 우벽 (22C) 및 하단자 실드부 (32) 의 우벽 (32C) 에 각각 강하게 접촉한다.
또, 플러그 (8) 에 있어서, 상실드 부재 (21) 를 형성하고 있는 판재의 두께와, 하실드 부재 (31) 를 형성하고 있는 판재의 두께가 서로 동등한 경우에는, 상단자 실드부 (22) 의 우벽 (22C) 의 외면과 하단자 실드부 (32) 의 우벽 (32C) 의 외면의 각각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는 동일하게 된다. 한편, 상실드 부재 (21) 를 형성하고 있는 판재의 두께와, 하실드 부재 (31) 를 형성하고 있는 판재의 두께가 서로 상이한 경우에는, 상단자 실드부 (22) 의 우벽 (22C) 의 외면과 하단자 실드부 (32) 의 우벽 (32C) 의 외면의 각각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서로 어긋난다. 이 경우, 우벽 (22C) 의 외면과 우벽 (32C) 의 외면의 경계 부분에 단차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우벽 (22C) 의 외면과 우벽 (32C) 의 외면의 각각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서로 어긋난 경우에도, 상접촉편 (62) 및 하접촉편 (63) 은 각각 스프링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접촉편 (62) 의 전단부 및 하접촉편 (63) 의 전단부는, 우벽 (22C) 및 우벽 (32C) 에 각각 확실하게 접촉한다.
또, 셸 (61) 의 좌벽 (61B) 에 형성된 그라운드 접속부 (64) 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셸 (61) 의 좌벽 (61B) 의 하단의 전후 방향 중간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 셸 (61) 의 좌벽 (61B) 에 형성된 그라운드 접속부 (64) 는, 셸 (61) 의 좌벽 (61B) 에 형성된 상접촉편 (62) 및 하접촉편 (63) 의 바로 아래, 즉 수직 방향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이 그라운드 접속부 (64) 는, 셸 (61) 의 좌벽 (61B) 의 하단의 전후 방향 중간부로부터 하방으로 신장된 후에 구부러지고, 그 후, 우방으로 신장되어 있다.
셸 (61) 의 좌벽 (61B) 에 형성된 그라운드 접속부 (64) 는, 기판 (6) 의 그라운드부에 땜납에 의해 접속된다. 당해 그라운드 접속부 (64) 의 하단측 부분이 우방으로 신장되어 있음으로써, 당해 그라운드 접속부 (64) 의 하단측 부분의 외면이 기판 (6) 의 실장면 (6A) 과 대향하고 있다. 따라서, 기판 (6) 의 실장면 (6A) 상에, 그라운드부로서 큰 면적을 갖는 패드를 형성함으로써, 당해 그라운드 접속부 (64) 와 기판 (6) 의 그라운드부의 접속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또, 셸 (61) 의 좌벽 (61B) 에 있어서, 2 개의 기판 접속부 (65) 는, 셸 (61) 의 좌벽 (61B) 의 하단의 전부 및 후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들 기판 접속부 (65) 는, 셸 (61) 의 좌벽 (61B) 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들 기판 접속부 (65) 는, 기판 (6) 에 형성된 스루홀에 삽입되고. 땜납에 의해 접속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판 (6) 의 스루홀의 둘레부의 랜드가 기판 (6) 의 그라운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기판 접속부 (65) 를 스루홀에 접속함으로써, 기판 접속부 (65) 는 기판 (6) 의 그라운드부와 접속된다.
셸 (61) 의 우벽 (61C) 에도, 셸 (61) 의 좌벽 (61B) 과 동일하게, 상접촉편 (62), 하접촉편 (63), 그라운드 접속부 (64), 2 개의 기판 접속부 (65) 가 형성되어 있다. 우벽 (61C) 에 형성된 상접촉편 (62), 하접촉편 (63), 그라운드 접속부 (64) 및 2 개의 기판 접속부 (65) 의 형상 및 배치는, 좌벽 (61B) 에 형성된 상접촉편 (62), 하접촉편 (63), 그라운드 접속부 (64) 및 2 개의 기판 접속부 (65) 의 형상 및 배치와 좌우 대칭이다.
(끼워 맞춤시의 작용)
플러그 (8) 와 리셉터클 (51) 을 접속할 때에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8) 의 전면과 리셉터클 (51) 의 전면을 서로 마주보게 하고, 플러그 (8) 의 끼워 맞춤부 (9) 를 리셉터클 (51) 의 끼워 맞춤공 (59) 에 리셉터클 (51) 의 전방으로부터 삽입하여, 플러그 (8) 의 끼워 맞춤부 (9) 를 리셉터클 (51) 의 끼워 맞춤공 (59) 에 끼워 맞춘다. 플러그 (8) 의 끼워 맞춤부 (9) 가 리셉터클 (51) 의 끼워 맞춤공 (59) 에 끼워 맞춰졌을 때, 플러그 (8) 의 2 개의 플러그 단자 (10) 의 접촉자부 (11) 와, 리셉터클 (51) 의 2 개의 리셉터클 단자 (52) 의 접촉자부 (53) 가 각각 서로 접촉한다. 이로써, 케이블 (2) 의 각 절연 전선 (3) 의 도체가, 플러그 단자 (10) 및 리셉터클 단자 (52) 를 통하여, 기판 (6) 의 회로 (예를 들어 신호의 입력 또는 출력을 실시하기 위해서 실장면 (6A) 상에 형성된 패드) 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플러그 (8) 의 끼워 맞춤부 (9) 가 리셉터클 (51) 의 끼워 맞춤공 (59) 에 끼워 맞춰졌을 때, 리셉터클 (51) 의 셸 (61) 의 좌벽 (61B) 에 형성된 상접촉편 (62) 이 플러그 (8) 의 상단자 실드부 (22) 의 우벽 (22C) 의 외면에 접촉하고, 리셉터클 (51) 의 셸 (61) 의 좌벽 (61B) 에 형성된 하접촉편 (63) 이 플러그 (8) 의 하단자 실드부 (32) 의 우벽 (32C) 의 외면에 접촉한다. 또, 이 때, 리셉터클 (51) 의 셸 (61) 의 우벽 (61C) 에 형성된 상접촉편 (62) 이 플러그 (8) 의 상단자 실드부 (22) 의 좌벽 (22B) 의 외면에 접촉하고, 리셉터클 (51) 의 셸 (61) 의 우벽 (61C) 에 형성된 하접촉편 (63) 이 플러그 (8) 의 하단자 실드부 (32) 의 좌벽 (32B) 의 외면에 접촉한다. 또, 이 때, 리셉터클 (51) 의 리셉터클 하우징 (58) 에 장착된 접속 부재 (55) 의 일단부 (56) 가 플러그 (8) 의 하단자 실드부 (32) 의 하벽 (32A) 의 외면에 접촉한다. 이로써, 플러그 (8) 의 상실드 부재 (21) 가, 리셉터클 (51) 의 상접촉편 (62), 셸 (61), 그라운드 접속부 (64) 및 기판 접속부 (65) 를 통하여, 기판 (6) 의 그라운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플러그 (8) 의 하실드 부재 (31) 가, 리셉터클 (51) 의 하접촉편 (63), 셸 (61), 그라운드 접속부 (64), 기판 접속부 (65) 를 통하여, 기판 (6) 의 그라운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하실드 부재 (31) 는 접속 부재 (55) 에 의해서도 기판 (6) 의 그라운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이, 커넥터 장치 (1) 에 있어서는, 플러그 (8) 의 끼워 맞춤부 (9) 가 리셉터클 (51) 의 끼워 맞춤공 (59) 에 끼워 맞춰졌을 때, 플러그 (8) 의 상실드 부재 (21) 가 상접촉편 (62) 을 통하여 리셉터클 (51) 의 셸 (61) 에 접속되고, 플러그 (8) 의 하실드 부재 (31) 가 하접촉편 (63) 을 통하여 리셉터클 (51) 의 셸 (61) 에 접속되므로, 플러그 (8) 와 리셉터클 (51) 의 접속시에 있어서, 상실드 부재 (21) 로부터 셸 (61) 을 통하여 기판 (6) 의 그라운드부에 이르는 전기 경로의 길이와, 하실드 부재 (31) 로부터 셸 (61) 을 통하여 기판 (6) 의 그라운드부에 이르는 전기 경로의 길이를 서로 동등하게 할 수 있어, 이들의 전기 경로를 각각 짧게 할 수 있다.
즉, 만일, 리셉터클 (51) 의 셸 (61) 의 좌벽 (61B) 및 우벽 (61C) 의 각각에, 상단자 실드부 (22) 에 접촉하는 상접촉편 (62) 및 하단자 실드부 (32) 에 접촉하는 하접촉편 (63) 중 하접촉편 (63) 만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 경우, 플러그 (8) 의 끼워 맞춤부 (9) 가 리셉터클 (51) 의 끼워 맞춤공 (59) 에 끼워 맞춰졌을 때, 플러그 (8) 의 하실드 부재 (31) 는 하접촉편 (63) 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셸 (61) 에 접속되는 데에 반하여, 플러그 (8) 의 상실드 부재 (21) 는 하실드 부재 (31) 및 하접촉편 (63) 을 통하여 셸 (61) 에 접속되게 된다. 이 경우, 상실드 부재 (21) 와 셸 (61) 사이에는, 상실드 부재 (21) 로부터 하실드 부재 (31) 를 경유하여 셸 (61) 에 이르는 전기 경로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실드 부재 (21) 로부터 셸 (61) 을 통하여 기판 (6) 의 그라운드부에 이르는 전기 경로의 길이가, 하실드 부재 (31) 로부터 셸 (61) 을 통하여 기판 (6) 의 그라운드부에 이르는 전기 경로의 길이와 비교하여 길어져, 상실드 부재 (21) 와 기판 (6) 의 그라운드부 사이의 셸 (61) 을 통한 전기 경로를, 하실드 부재 (31) 와 기판 (6) 의 그라운드부 사이의 셸 (61) 을 통한 전기 경로와 같이 짧게 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상실드 부재 (21) 와 기판 (6) 의 그라운드부 사이의 셸 (61) 을 통한 전기 경로가 길어지면, 당해 전기 경로의 인덕턴스가 증가하여, 상실드 부재 (21) 의 전위가 하실드 부재 (31) 의 전위와 비교하여 불안정해지기 쉬워져, 상실드 부재 (21) 및 하실드 부재 (31) 에 의해 발휘되는 실드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장치 (1) 에 있어서는, 리셉터클 (51) 의 셸 (61) 의 좌벽 (61B) 및 우벽 (61C) 의 각각에, 상단자 실드부 (22) 에 접촉하는 상접촉편 (62) 및 하단자 실드부 (32) 에 접촉하는 하접촉편 (63) 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플러그 (8) 의 끼워 맞춤부 (9) 가 리셉터클 (51) 의 끼워 맞춤공 (59) 에 끼워 맞춰졌을 때, 하실드 부재 (31) 는 하접촉편 (63) 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셸 (61) 에 접속되고, 상실드 부재 (21) 는 상접촉편 (62) 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셸 (61) 에 접속된다. 따라서, 상실드 부재 (21) 와 기판 (6) 의 그라운드부 사이의 셸 (61) 을 통한 전기 경로의 길이와, 하실드 부재 (31) 와 기판 (6) 의 그라운드부 사이의 셸 (61) 을 통한 전기 경로의 길이가 서로 동등해지고, 그 결과, 상실드 부재 (21) 와 기판 (6) 의 그라운드부 사이의 셸 (61) 을 통한 전기 경로가, 하실드 부재 (31) 와 기판 (6) 의 그라운드부 사이의 셸 (61) 을 통한 전기 경로와 동일하게 짧아지므로, 2 개의 전기 경로의 쌍방의 인덕턴스의 증가를 억제하여, 상실드 부재 (21) 및 하실드 부재 (31) 의 쌍방의 전위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 도 12 는, 도 1 중의 커넥터 장치 (1) 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51) 을 간략화하여 이점 쇄선으로 나타냄으로써, 리셉터클 (51) 의 셸 (61) 의 좌벽 (61B) 에 형성된 상접촉편 (62) 이 플러그 (8) 의 상단자 실드부 (22) 의 우벽 (22C) 의 외면에 접촉하고, 리셉터클 (51) 의 셸 (61) 의 좌벽 (61B) 에 형성된 하접촉편 (63) 이 플러그 (8) 의 하단자 실드부 (32) 의 우벽 (32C) 의 외면에 접촉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8) 에 있어서는, 상단자 실드부 (22) 의 우벽 (22C) 과 하단자 실드부 (32) 의 우벽 (32C) 이, 절연 부재 (14) 의 우측의 외면 상 (외면의 우방) 에 있어서 서로 접근하고, 또한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리셉터클 (51) 에 있어서는, 셸 (61) 의 좌벽 (61B) 에 형성된 상접촉편 (62) 및 하접촉편 (63) 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셸 (61) 의 좌벽 (61B) 에 있어서의 좌측 경계 대응 부분에 있어서, 서로 접근하고, 또한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이웃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플러그 (8) 의 끼워 맞춤부 (9) 가 리셉터클 (51) 의 끼워 맞춤공 (59) 에 끼워 맞춰졌을 때에는, 셸 (61) 의 좌벽 (61B) 에 형성된 상접촉편 (62) 이 상단자 실드부 (22) 의 우벽 (22C) 에 접촉하고, 셸 (61) 의 좌벽 (61B) 에 형성된 하접촉편 (63) 이 하단자 실드부 (32) 의 우벽 (32C) 에 접촉한다. 이와 같이, 커넥터 장치 (1) 에 있어서는, 상실드 부재 (21) 와 셸 (61) 의 좌벽 (61B) 의 접속 지점과, 하실드 부재 (31) 와 셸 (61) 의 좌벽 (61B) 의 접속 지점이 셸 (61) 의 좌벽 (61B) 에 있어서 분산되어 있지 않고, 좌벽 (61B) 의 일부, 구체적으로는, 리셉터클 (51) 의 좌방에서 보았을 때 좌벽 (61B) 의 대략 중앙 부분에 모아져 있다. 또한, 커넥터 장치 (1) 에 있어서는, 셸 (61) 의 좌벽 (61B) 에 있어서의 상접촉편 (62) 및 하접촉편 (63) 의 바로 아래 (수직 방향 하측) 에 그라운드 접속부 (64) 가 배치되어 있다. 동일하게, 상실드 부재 (21) 와 셸 (61) 의 우벽 (61C) 의 접속 지점과, 하실드 부재 (31) 와 셸 (61) 의 우벽 (61C) 의 접속 지점이 우벽 (61C) 의 일부 (리셉터클 (51) 의 우방에서 보았을 때 우벽 (61C) 의 대략 중앙 부분) 에 모아져 있고, 또, 셸 (61) 의 우벽 (61C) 에 있어서의 상접촉편 (62) 및 하접촉편 (63) 의 바로 아래에 그라운드 접속부 (64) 가 배치되어 있다. 커넥터 장치 (1) 의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실드 부재 (21) 와 기판 (6) 의 그라운드부 사이의 셸 (61) 을 통한 전기 경로와, 하실드 부재 (31) 와 기판 (6) 의 그라운드부 사이의 셸 (61) 을 통한 전기 경로를 서로 균일화할 수 있음과 함께, 이들의 전기 경로를 단축화할 수 있다. 이로써, 이들 전기 경로의 쌍방에 있어서 인덕턴스의 증가를 억제하여, 상실드 부재 (21) 및 하실드 부재 (31) 의 쌍방의 전위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 플러그 (8) 의 끼워 맞춤부 (9) 가 리셉터클 (51) 의 끼워 맞춤공 (59) 에 끼워 맞춰진 상태에 있어서, 상실드 부재 (21) 의 각처와 기판 (6) 의 그라운드부의 직선 거리를 생각한 경우, 그들 직선 거리 중, 상단자 실드부 (22) 의 우벽 (22C) (또는 좌벽 (22B)) 과 기판 (6) 의 그라운드부의 직선 거리가 가장 짧다. 따라서, 상접촉편 (62) 및 셸 (61) 을 통하여 상단자 실드부 (22) 의 우벽 (22C) (또는 좌벽 (22B)) 과 기판 (6) 의 그라운드부를 접속함으로써, 상실드 부재 (21) 와 기판 (6) 의 그라운드부 사이의 전기 경로를 짧게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커넥터 장치 (1) 에 있어서는, 플러그 (8) 의 끼워 맞춤부 (9) 가 리셉터클 (51) 의 끼워 맞춤공 (59) 에 끼워 맞춰졌을 때, 플러그 (8) 의 상실드 부재 (21) 가 상접촉편 (62) 을 통하여 리셉터클 (51) 의 셸 (61) 에 접속됨과 함께, 플러그 (8) 의 하실드 부재 (31) 가 하접촉편 (63) 을 통하여 리셉터클 (51) 의 셸 (61) 에 접속된다. 또, 셸 (61) 은 기판 (6) 의 그라운드부에 접속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플러그 (8) 와 리셉터클 (51) 의 접속시에 있어서, 상실드 부재 (21) 와 기판 (6) 의 그라운드부 사이의 셸 (61) 을 통한 전기 경로의 길이와, 하실드 부재 (31) 와 기판 (6) 의 그라운드부 사이의 셸 (61) 을 통한 전기 경로의 길이를 서로 동등하게 할 수 있어, 이들의 전기 경로를 각각 짧게 할 수 있다. 이로써, 2 개의 전기 경로의 쌍방의 인덕턴스의 증가를 억제하여, 상실드 부재 (21) 및 하실드 부재 (31) 의 쌍방의 전위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플러그 (8) 와 같이, 각 플러그 단자 (10) 및 각 절연 전선 (3) 의 노출 부분을 실드하는 구조를 형성하는 부재가, 상실드 부재 (21) 와 하실드 부재 (31) 로 분할되어 있는 경우에도, 각 플러그 단자 (10) 및 각 절연 전선 (3) 의 노출 부분을 실드하는 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장치 (1) 에 있어서는, 상실드 부재 (21) 와 셸 (61) 이 상접촉편 (62) 을 통하여 접속되는 지점과, 하실드 부재 (31) 와 셸 (61) 이 하접촉편 (63) 을 통하여 접속되는 지점이 셸 (61) 의 좌벽 (61B) (또는 우벽 (61C)) 의 일부에 모아져 있다. 또, 셸 (61) 의 좌벽 (61B) (또는 우벽 (61C)) 에 있어서의 상접촉편 (62) 및 하접촉편 (63) 의 바로 아래에 그라운드 접속부 (64) 가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상실드 부재 (21) 와 기판 (6) 의 그라운드부 사이의 셸 (61) 을 통한 전기 경로와, 하실드 부재 (31) 와 기판 (6) 의 그라운드부 사이의 셸 (61) 을 통한 전기 경로를 서로 균일화할 수 있음과 함께, 이들의 전기 경로를 단축화할 수 있다. 이로써, 상실드 부재 (21) 및 하실드 부재 (31) 의 쌍방의 전위를 안정화시킬 수 있어, 상실드 부재 (21) 및 하실드 부재 (31) 의 실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 리셉터클 (51) 에 있어서는, 상접촉편 (62) 에 있어서 당해 상접촉편 (62) 과 셸 (61) 의 결합 위치로부터 당해 상접촉편 (62) 의 선단까지의 길이 (B) 와, 하접촉편 (63) 에 있어서 당해 하접촉편 (63) 과 셸 (61) 의 결합 위치로부터 당해 하접촉편 (63) 의 선단까지의 길이 (C) 가 서로 동등하다. 이로써, 상접촉편 (62) 의 셸 (61) 에 대한 경사 각도 (상접촉편 (62) 의 기단부의 셸 (61) 에 대한 굽힘 각도), 및 하접촉편 (63) 의 셸 (61) 에 대한 경사 각도 (하접촉편 (63) 의 기단부의 셸 (61) 에 대한 굽힘 각도) 를 서로 동등한 소정의 각도로 설정함으로써, 플러그 (8) 의 끼워 맞춤부 (9) 가 리셉터클 (51) 의 끼워 맞춤공 (59) 에 끼워 맞춰졌을 때, 상접촉편 (62) 및 하접촉편 (63) 을, 상단자 실드부 (22) 의 우벽 (22C) (좌벽 (22B)) 및 하단자 실드부 (32) 의 우벽 (32C) (좌벽 (32B)) 에 각각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또, 플러그 (8) 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실드 부재 (21) 를 형성하고 있는 판재의 두께와, 하실드 부재 (31) 를 형성하고 있는 판재의 두께가 서로 상이하고, 우벽 (22C) (좌벽 (22B)) 의 외면과 우벽 (32C) (좌벽 (32B)) 의 외면의 각각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이 위치 어긋남의 상태에 따라 상접촉편 (62) 및 하접촉편 (63) 의 셸 (61) 에 대한 경사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상접촉편 (62) 및 하접촉편 (63) 을 상단자 실드부 (22) 의 우벽 (22C) (좌벽 (22B)) 및 하단자 실드부 (32) 의 우벽 (32C) (좌벽 (32B)) 에 각각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장치 (1) 에 있어서의 플러그 (8) 는, 플러그 하우징 (41) 내에 배치된 2 개의 절연 전선 (3) 의 노출 부분을, 이들 2 개의 절연 전선 (3) 중 적어도 1 개의 절연 전선 (3) 의 노출 부분의 외주면에 접촉하거나 또는 매우 접근하면서 포위하는 내전선 실드부 (25) 를 가지고 있다. 이 내전선 실드부 (25) 에 의하면, 2 개의 절연 전선 (3) 이 케이블 (2) 내에 있어서 실드 (4) 에 의해 포위되어 있는 구조와 동등한 구조를 플러그 하우징 (41) 내에 있어서 형성할 수 있다. 또, 2 개의 절연 전선 (3) 의 노출 부분이 플러그 하우징 (41) 내에 있어서 휘는 것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 (8) 의 특성 임피던스를 케이블 (2) 의 특성 임피던스에 일치시키거나, 또는 매우 근접시킬 수 있다. 이로써, 플러그 (8) 를 통하여 전송하는 고주파 신호의 반사를 억제하여, 고주파 신호의 전송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내전선 실드부 (25) 는, 2 개의 절연 전선 (3) 의 노출 부분을 묶어서 코킹하는 배럴이다. 이 구성에 의해, 2 개의 절연 전선 (3) 의 노출 부분을 포위하면서, 2 개의 절연 전선 (3) 끼리를 밀착시킬 수 있고, 또, 절연 전선 (3) 과 내전선 실드부 (25) 를 서로 밀착시킬 수 있다. 이로써, 플러그 (8) 의 특성 임피던스를 케이블 (2) 의 특성 임피던스에 일치시키는 것이 용이해지거나, 또는, 플러그 (8) 의 특성 임피던스를 케이블 (2) 의 특성 임피던스에 한층 근접시킬 수 있다.
또, 플러그 (8) 는, 2 개의 절연 전선 (3) 의 노출 부분을 포위한 내전선 실드부 (25) 를 덮는 외전선 실드부 (36) 를 가지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2 개의 절연 전선 (3) 의 노출 부분을 내전선 실드부 (25) 및 외전선 실드부 (36) 에 의해 이중으로 실드할 수 있다. 이로써, 플러그 하우징 (41) 내의 절연 전선 (3) 에 대한 상실드 부재 (21) 및 하실드 부재 (31) 에 의한 실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 외전선 실드부 (36) 는, 내전선 실드부 (25) 를 코킹하는 배럴이다. 이로써, 상기 실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리셉터클 (51) 에 있어서는, 셸 (61) 에 형성된 상접촉편 (62) 의 길이 (B) 와 하접촉편 (63) 의 길이 (C) 가 서로 동등하다. 그러나, 도 13 에 나타내는 리셉터클 (71) 과 같이, 셸 (72) 에 형성된 상접촉편 (73) 의 길이와 하접촉편 (74) 의 길이를 서로 상이하게 해도 된다. 상접촉편 (73) 의 길이를 바꿈으로써, 상실드 부재 (21) 와 셸 (72) 사이의 상접촉편 (73) 을 통한 전기 경로의 길이를 바꿀 수 있다. 또, 하접촉편 (74) 의 길이를 바꿈으로써, 하실드 부재 (31) 와 셸 (72) 사이의 하접촉편 (74) 을 통한 전기 경로의 길이를 바꿀 수 있다. 상접촉편의 길이와 하접촉편의 길이가 서로 동일한 경우에, 커넥터 장치 (1), 또는 커넥터 장치 (1) 및 기판 (6) 의 회로를 포함하는 계에 있어서 공진이 발생한 경우에는, 상접촉편의 길이 또는 하접촉편의 길이를 적절히 바꿈으로써, 이 공진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커넥터 장치 (1) 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51) 은, 커넥터 끼워 맞춤 방향이 전후 방향이고, 기판 실장 방향이 상하 방향이고, 커넥터 끼워 맞춤 방향과 기판 실장 방향이 직교한 라이트 앵글형의 리셉터클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커넥터 장치의 리셉터클 (제 2 커넥터) 은, 커넥터 끼워 맞춤 방향과 기판 실장 방향이 동일한 스트레이트형의 리셉터클이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플러그 (8) 는, 플러그 하우징 (41) 내에 배치된 절연 전선 (3) 의 노출 부분을 내전선 실드부 (25) 로 포위하고, 그 내전선 실드부 (25) 를 외전선 실드부 (36) 로 포위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지만, 본 발명의 커넥터 장치의 플러그 (제 1 커넥터) 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4 에 나타내는 플러그 (81) 와 같이, 상실드 부재 (82) 및 하실드 부재 (83) 에 의해, 절연 전선 (3) 의 노출 부분의 외주측을, 절연 전선 (3) 의 노출 부분의 외주측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포위하도록 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은, 서로 꼬인 2 개의 절연 전선 (3) 을 갖는 실드가 부착된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에 장착되는 커넥터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꼬인 3 개 이상의 절연 전선 (3) 을 갖는 실드가 부착된 트위스트 케이블, 또는, 꼬여 있지 않은 복수의 절연 전선을 갖는 실드가 부착된 다심 케이블 등에 장착되는 커넥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 및 명세서 전체로부터 판독할 수 있는 발명의 요지 또는 사상에 반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고, 그러한 변경을 수반하는 커넥터 장치도 또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된다.
1 : 커넥터 장치
2 : 케이블
3 : 절연 전선
4 : 실드
6 : 기판
8, 81 : 플러그 (제 1 커넥터)
9 : 끼워 맞춤부
10 : 플러그 단자 (제 1 단자)
14 : 절연 부재
21, 82 : 상실드 부재 (제 1 실드 부재)
22 : 상단자 실드부
22B : 좌벽 (제 1 실드 부재의 가장자리측 부분)
22C : 우벽 (제 1 실드 부재의 가장자리측 부분)
31, 83 : 하실드 부재 (제 2 실드 부재)
32 : 하단자 실드부
32B : 좌벽 (제 2 실드 부재의 가장자리측 부분)
32C : 우벽 (제 2 실드 부재의 가장자리측 부분)
51, 71 : 리셉터클 (제 2 커넥터)
61, 72 : 셸
62, 73 : 상접촉편 (제 1 접촉부)
63, 74 : 하접촉편 (제 2 접촉부)
64 : 그라운드 접속부
65 : 기판 접속부

Claims (7)

  1. 절연 전선 및 상기 절연 전선을 덮는 실드를 구비한 케이블에 장착되는 제 1 커넥터와, 기판에 장착되고, 상기 제 1 커넥터와 끼워 맞춰지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 장치로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상기 제 2 커넥터와 끼워 맞춰지는 끼워 맞춤부를 갖고,
    상기 끼워 맞춤부에는,
    상기 절연 전선이 접속되는 제 1 단자와,
    상기 제 1 단자의 외주측을 덮는 절연 부재와,
    도전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절연 부재의 외주부를 일방으로부터 덮고, 상기 실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실드 부재와,
    도전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절연 부재의 외주부를 타방으로부터 덮고, 상기 실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2 실드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끼워 맞춤부가 끼워 맞춰지는 끼워 맞춤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끼워 맞춤부가 상기 끼워 맞춤공에 끼워 맞춰졌을 때에 상기 제 1 단자와 접촉하는 제 2 단자와,
    도전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주측을 덮는 셸을 갖고,
    상기 셸에는,
    상기 끼워 맞춤부가 상기 끼워 맞춤공에 끼워 맞춰졌을 때에 상기 제 1 실드 부재에 접촉하는 제 1 접촉부와,
    상기 끼워 맞춤부가 상기 끼워 맞춤공에 끼워 맞춰졌을 때에 상기 제 2 실드 부재에 접촉하는 제 2 접촉부와,
    상기 기판의 그라운드부에 접속되는 그라운드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부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드 부재의 가장자리측 부분 및 상기 제 2 실드 부재의 가장자리측 부분은 서로 접근하고, 또한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접촉부 및 상기 제 2 접촉부는, 상기 셸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부가 상기 끼워 맞춤공에 끼워 맞춰졌을 때에 상기 제 1 실드 부재의 상기 가장자리측 부분과 상기 제 2 실드 부재의 상기 가장자리측 부분의 경계에 대응하는 부분인 경계 대응 부분에, 서로 접근하고, 또한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끼워 맞춤부가 상기 끼워 맞춤공에 끼워 맞춰졌을 때에, 상기 제 1 접촉부는 상기 제 1 실드 부재의 상기 가장자리측 부분에 접촉하고, 상기 제 2 접촉부는 상기 제 2 실드 부재의 상기 가장자리측 부분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공의 외주측 부분이고, 상기 셸의 상기 경계 대응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당해 부분을 관통하는 구멍 또는 절결인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접촉부 및 상기 제 2 접촉부는, 상기 셸로부터 상기 관통부를 지나 상기 끼워 맞춤공 내에, 각각 직선상으로, 또한 서로 평행하게 신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부에 있어서 당해 제 1 접촉부와 상기 셸의 결합 위치로부터 당해 제 1 접촉부의 선단까지의 길이와, 상기 제 2 접촉부에 있어서 당해 제 2 접촉부와 상기 셸의 결합 위치로부터 당해 제 2 접촉부의 선단까지의 길이는 서로 동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상기 제 2 커넥터에 상기 제 2 커넥터의 전방으로부터 끼워 맞춰지고,
    상기 하우징은 사각 기둥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끼워 맞춤공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개구되고, 또한 후방으로 신장되고,
    상기 관통부는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공의 외주측 부분의 좌우 방향 일측 부분 및 좌우 방향 타측 부분 중 적어도 좌우 방향 일측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셸은 상기 하우징의 좌우 방향 일측의 외면 및 좌우 방향 타측의 외면을 각각 덮는 2 개의 측벽, 및 상기 하우징의 상측의 외면을 덮는 상벽을 갖고,
    상기 제 1 접촉부 및 상기 제 2 접촉부는 상기 셸의 상기 2 개의 측벽 중 적어도 상기 하우징의 좌우 방향 일측의 외면을 덮는 측벽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접촉부 및 상기 제 2 접촉부는 상하 방향으로 나열되고,
    상기 제 2 커넥터의 측방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1 접촉부 및 상기 제 2 접촉부는 상기 셸로부터 상기 관통부를 지나 상기 끼워 맞춤공 내에 전후 방향으로 신장되고,
    상기 그라운드 접속부는 상기 셸의 상기 2 개의 측벽 중 적어도 상기 하우징의 좌우 방향 일측의 외면을 덮는 측벽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그라운드 접속부는 상기 제 1 접촉부 및 상기 제 2 접촉부의 수직 방향 하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그 전부가 상기 제 2 커넥터에 끼워 맞춰지고,
    상기 끼워 맞춤부는 상기 제 1 커넥터의 전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실드 부재는 상기 절연 부재의 외주부를 상방으로부터 덮고, 상기 제 2 실드 부재는 상기 절연 부재의 외주부를 하방으로부터 덮고,
    상기 제 1 실드 부재의 상기 가장자리측 부분 및 상기 제 2 실드 부재의 상기 가장자리측 부분은, 상기 절연 부재의 좌우 방향 일측의 측면 및 좌우 방향 타측의 측면 중 적어도 상기 절연 부재의 좌우 방향 일측의 측면의 좌우 방향 일측에, 서로 접근하고, 또한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KR1020230145603A 2022-11-08 2023-10-27 커넥터 장치 KR202400669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179148 2022-11-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6999A true KR20240066999A (ko) 2024-05-16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3600B2 (en) Connector structure
JP4691738B2 (ja) シールド機能を有するコネクタ装置
US8888533B2 (en) Cable header connector
US6582252B1 (en) Termination connector assembly with tight angle for shielded cable
US7632155B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termination disposition
EP1295363B1 (en) High speed connector
US8449329B1 (en) Cable header connector having cable subassemblies with ground shields connected to a metal holder
JP7032978B2 (ja) L形同軸端子を備えた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879647B2 (ja) シールド端子及びシールドコネクタ
US10741974B2 (en) Electrical connector
JP7232015B2 (ja) コネクタ及びハーネス
JP6579438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付きシールドケーブル
JP2018006183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US4537459A (en) Jack for EMI/RFI shield terminating modular plug connector
JP2007317554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システム
JP2002319458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18045938A (ja) 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装置
US20220216653A1 (en) Cable connector with improved metallic shield
KR20240066999A (ko) 커넥터 장치
KR20240067000A (ko) 커넥터, 케이블이 부착된 커넥터 및 커넥터 장치
JP6847016B2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24068586A (ja) コネクタ装置
JP2024068587A (ja) コネクタ、ケーブル付き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装置
JP7070720B2 (ja) コネクタ装置
JP6958589B2 (ja) 電気コネク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