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4739B1 - 구선왕도고 가루 제조방법, 구선왕도고 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구선왕도고 가루 제조방법, 구선왕도고 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4739B1
KR102004739B1 KR1020170028067A KR20170028067A KR102004739B1 KR 102004739 B1 KR102004739 B1 KR 102004739B1 KR 1020170028067 A KR1020170028067 A KR 1020170028067A KR 20170028067 A KR20170028067 A KR 20170028067A KR 102004739 B1 KR102004739 B1 KR 102004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herbal
kneading
concentrat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1738A (ko
Inventor
이수민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래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래현(주)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래현(주)
Priority to KR1020170028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739B1/ko
Publication of KR20180101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1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1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heating without chemical treatment, e.g. steam treatment, cook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17Flakes or other shapes of ready-to-eat type; Semi-finished or partly-finished products therefor
    • A23L7/126Snacks or the like obtained by binding, shaping or compacting together cereal grains or cereal pieces, e.g. cereal ba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구선왕도고 가루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상기 구선왕도고 가루 제조방법은 1차분쇄과정, 반죽과정, 제1차가열과정 및 건조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제1차분쇄과정을 통하여 연자육, 백복령, 검인, 마, 맥아, 백편두 및 율무를 포함하는 한약재를 분쇄하여 한약재가루를 만든다. 상기 반죽과정을 통하여 상기 한약재가루에 물을 주입하여 반죽한다. 상기 제1차가열과정을 통하여 상기 한약재가루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하여 반죽된 상기 한약재가루를 찐다. 상기 건조과정을 통하여 반죽 후 쪄진 상기 한약재가루를 건조한다.
상기 반죽과정은 석창포, 원지 및 백복신으로부터 추출된 농축액을 준비하는 농축액 준비과정, 상기 농축액을 상기 한약재가루에 주입하는 농축액 주입과정, 상기 농축액이 주입된 상기 한약재가루를 뒤섞으면서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과정 및 물이 분사된 상기 한약재가루를 비벼주는 반죽조절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농축액 준비과정은 추출기를 통하여 상기 석창포, 상기 원지 및 상기 백복신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추출물 추출과정, 상기 추출물을 당화 발효하여 발효추출물을 생성하는 발효과정 및 생성된 발효추출물을 농축하여 상기 농축액을 생성하는 농축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효과정을 통하여 구성왕도고 가루는 향상된 항산화활성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구선왕도고 가루 제조방법, 구선왕도고 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gusunwangdogo powder, gusunwangdogo scorched rice and method thereof}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대체로 구선왕도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약재의 냄새가 나지 않으면서, 한약재 고유의 고소한 향을 제공하는 구선왕도고 가루 제조방법, 구선왕도고 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선왕도고는 검인(감인), 맥아, 백복령, 사당, 백편두, 산약(마), 시상, 연자육(연육), 의이인(율무)의 총 9종의 약재로 구성된다. 구선왕도고는 정신을 맑게 하고, 원기를 보하며, 비위(脾胃)를 강하게 하고, 음식을 잘 먹게 하며, 허(虛)해서 상한 것을 보(補)하고, 살찌게 하며, 습열(濕熱)을 없애주는 한의학에서 사용되는 처방의 일종이다.
구선왕도고는 떡의 재료로 사용되어 세종대왕 등 많은 임금들이 즐겨먹었으며, 동의보감 등에 따르면, 구선왕도고는 9가지 약재들을 가루 내어 쌀가루와 함께 설기를 만들어 햇볕에 말린 후 미음 등에 타 먹는 방식으로도 복용할 수 있다고 기술되어 있다.
최근에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함에 따라 구선왕도고를 음식에 접목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증가되고 있다. 구선왕도고를 음식에 활용하는 방법으로는 구선왕도고를 이루는 9가지 한약재를 갈아서 가루로 만든 후 이를 죽, 미음 등과 같은 음식에 첨가하는 방법이 많이 활용된다. 하지만, 구선왕도고를 이루는 9가지 한약재 가루에서 나는 한약재 특유의 역하고 비린 냄새는 일반인들이 구선왕도고를 활용한 음식을 섭취함에 있어 제약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구선왕도고를 구성하는 한약재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구선왕도고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KR 10-1484946 “한약 냄새와 맛을 제거한 한약재 가루의 제조 방법” 등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한약재가루를 가열하는 과정을 통하여 한약재가루의 냄새를 제거되고, 한약재 고유의 고소한 향을 제공하는 구선왕도고 가루 제조방법, 구선왕도고 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구선왕도고 가루 제조방법이 개시(disclosure)된다. 상기 구선왕도고 가루 제조방법은 1차분쇄과정, 반죽과정, 제1차가열과정 및 건조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제1차분쇄과정을 통하여 연자육, 백복령, 검인, 마, 맥아, 백편두 및 율무를 포함하는 한약재를 분쇄하여 한약재가루를 만든다. 상기 반죽과정을 통하여 상기 한약재가루에 물을 주입하여 반죽한다. 상기 제1차가열과정을 통하여 상기 한약재가루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하여 반죽된 상기 한약재가루를 찐다. 상기 건조과정을 통하여 반죽 후 쪄진 상기 한약재가루를 건조한다.
상기 반죽과정은 상기 한약재가루를 뒤섞으면서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과정 및 물이 분사된 상기 한약재가루를 비벼주는 반죽조절과정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구선왕도고 가루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구선왕도고 가루 제조방법은 1차분쇄과정, 반죽과정, 제1차가열과정 및 건조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제1차분쇄과정을 통하여 연자육, 백복령, 검인, 마, 맥아, 백편두 및 율무를 포함하는 한약재를 분쇄하여 한약재가루를 만든다. 상기 반죽과정을 통하여 상기 한약재가루에 물을 주입하여 반죽한다. 상기 제1차가열과정을 통하여 상기 한약재가루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하여 반죽된 상기 한약재가루를 찐다. 상기 건조과정을 통하여 반죽 후 쪄진 상기 한약재가루를 건조한다.
상기 반죽과정은 석창포, 원지 및 백복신으로부터 추출된 농축액을 준비하는 농축액 준비과정, 상기 농축액을 상기 한약재가루에 주입하는 농축액 주입과정, 상기 농축액이 주입된 상기 한약재가루를 뒤섞으면서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과정 및 물이 분사된 상기 한약재가루를 비벼주는 반죽조절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농축액 준비과정은 추출기를 통하여 상기 석창포, 상기 원지 및 상기 백복신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추출물 추출과정, 상기 추출물을 당화 발효하여 발효추출물을 생성하는 발효과정 및 생성된 발효추출물을 농축하여 상기 농축액을 생성하는 농축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효과정을 통하여 구성왕도고 가루는 향상된 항산화활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구선왕도고 가루 제조방법은 상기 한약재 고유의 고소한 향을 제공하기 위하여 건조된 상기 한약재가루를 볶는 2차가열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분사과정에서 분사되는 물은 상기 한약재가루 전체 중량 대비 약 28% 내지 약 40%의 상온 또는 미지근한 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구선왕도고 누룽지가 개시된다. 상기 구선왕도고 누룽지는 앞서 상술한 구성왕도고 가루 제조방법을 통하여 제조되는 구선왕도고 가루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구선왕도고 누룽지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구선왕도고 누룽지 제조방법은 취사과정, 혼합과정, 뜸과정 및 누룽지 성형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취사과정을 통하여 물에 불려진 쌀을 이용하여 밥을 짓는다. 상기 혼합과정을 통하여 상기 취사과정에서 지어지는 밥이 뜸 단계로 진행되기 전에, 상기 취사과정에서 지은 밥과 앞서 상술한 구선왕도고 가루 제조방법을 통하여 제조되는 구선왕도고 가루를 혼합한다. 상기 뜸과정을 통하여 상기 혼합과정을 통하여 상기 구선왕도고 가루와 혼합된 밥을 뜸들인다. 상기 누룽지 성형과정을 통하여 상기 뜸과정을 통하여 지어진 상기 구선왕도고 가루와 혼합된 밥을 누룽지로 성형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선왕도고 가루 제조방법은 한약재가루를 찌는 제1차가열과정을 통하여 한약재가루의 냄새가 제거된 구선왕도고 가루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선왕도고 가루 제조방법은 석창포, 원지 및 백복신으로부터 추출된 농축액을 반죽과정에서 사용함으로써 항산화활성을 가지는 구선왕도고 가루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더구나, 당화 발효를 통하여 농축액을 생성하여 이를 반죽과정에서 사용함으로써 보다 더 향상된 항산화활성을 가지는 구선왕도고 가루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선왕도고 가루 제조방법은 건조된 한약재가루를 볶는 제2차가열과정을 통하여 한약재 고유의 고소한 향을 제공하는 구선왕도고 가루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선왕도고 누룽지는 상술한 효과를 가지는 구선왕도고 가루를 포함하여 제조됨으로써 구선왕도고의 의학적 효능은 유지한 채, 한약재 특유의 역하고 비린 냄새가 제거되어 섭취하기에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선왕도고 누룽지 제조방법은 취사과정을 통하여 지어지는 밥이 뜸 단계로 진행되기 전에, 상기 취사과정에서 지은 밥과 상술한 효과를 가지는 구선왕도고 가루를 혼합하는 혼합과정과 이를 뜸들이는 뜸과정을 통하여 제조됨으로써, 밥과 구선왕도고 가루가 긴밀하게 결합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선왕도고 누룽지 제조방법은 밥과 구선왕도고 가루를 혼합한 후 뜸과정을 통하여 뜸을 들임으로써 구선왕도고 가루의 점성이 증가되므로 누룽지 성형과정에서 누룽지의 용이한 성형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이후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선왕도고 가루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선왕도고 가루 제조방법 중 반죽과정의 여러 실시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선왕도고 누룽지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2,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어지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 될 수 없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쌀이라는 용어는 벼(나락)를 도정하여 얻어지는 현미, 분도미, 백미 등을 모두 아우르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선왕도고 가루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선왕도고 가루 제조방법 중 반죽과정의 여러 실시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의 (a)는 물 분사를 통한 반죽과정의 일례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며, (b)는 농축액 주입과 물 분사를 통한 반죽과정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며, (c)는 발효추출물의 농축을 통하여 농축액을 준비하는 농축액 준비과정의 일례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선왕도고 누룽지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선왕도고 가루 제조방법, 구선왕도고 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구선왕도고 가루 제조방법(100)은 1차분쇄과정(110), 반죽과정(120), 제1차가열과정(130) 및 건조과정(140)을 포함한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구선왕도고 가루 제조방법(100)은 선택적으로(optionally) 혼합과정(112), 2차분쇄과정(152), 2차가열과정(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차분쇄과정(110)을 통하여 연자육, 백복령, 검인, 마, 맥아, 백편두 및 율무를 포함하는 한약재를 분쇄하여 한약재가루를 만든다.
구선왕도고에 사용되는 9가지 한약재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은 효능이 보고되고 있다.
연자육(蓮子肉)은 연육이라고도 불리우며, 연꽃의 성숙한 종자로서 저수지와 같은 연못에서 자라는 수생식물이다. 뿌리는 연근이라 하여 음식재료로 사용하며 관상용으로도 널리 재배되고 있다. 연자육은 설사, 허리아픔, 자궁출혈, 백탁, 만성위장염, 요도염, 신경쇠약증 등에 효능이 있는 약재로 알려져 있다.
백복령은 소나무 뿌리에 기생하는 버섯으로써, 담증, 부증, 습증, 설사 등에 효능이 있는 약재로 알려져 있다.
검인은 감인이라고도 불리우며, 가시연꽃의 열매 속에 들어 있는 씨를 가을에 말린 것으로서, 기와 오장을 보하며, 눈과 귀가 밝아지게 하며 의지를 키우고 늙지 않고 장수하게 하는 효능이 있는 약재로 알려져 있다.
마는 약초로 재배하며 산지에서 자생하는 외떡잎식물의 여러해살이 풀로써, 산약으로도 불리우며, 대표적인 강장제이며, 위와 폐를 보하며 폐결핵이나 신체허약 야뇨증 등에 효능이 있는 약재로 알려져 있다.
맥아는 대맥이라 부르는 겉보리의 싹을 띄운 것을 부르는 말로써, 소화를 돕고 비위를 덥혀 주며 입맛을 돋우는 작용을 하는 효능이 있는 약재로 알려져 있다.
백편두는 까치콩이라고도 불리우며, 해독작용을 하며 갈증을 없애주고 설사를 멎게 하는 효능이 있는 약재로 알려져 있다.
율무는 의이인이라고도 불리우며, 의이인은 율무종자의 껍질을 벗겨낸 것을 말하며, 피부와 폐를 깨끗이 하고, 항암작용, 진통작용 등이 있으며, 콜레스테롤을 낮춰주는 효능이 있는 약재로 알려져 있다.
시상은 감이 잘 익어서 껍질에 생기는 하얀 가루인데, 포도당의 글루코오스가 하얗게 변해 나타나며, 기침과 구강염, 갈증이 날 때 음용하면 좋은 효능이 있는 약재로 알려져 있다.
사당은 사탕수수의 즙을 끓여서 만든 것으로 설탕가루를 의미하며, 심장의 열로 입이 마르는 것을 치료하는 데에 효능이 있는 약재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선왕도고 가루 제조방법(100)은 시상과 사당을 제외한 연자육, 백복령, 검인, 마, 맥아, 백편두 및 율무를 포함하는 한약재를 분쇄하여 얻어지는 한약재가루를 활용한다.
한약재가루는 깨끗하게 세척하고 건조한 연자육, 백복령, 검인, 마, 맥아, 백편두 및 율무를 포함하는 한약재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얻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한약재를 동시에 분쇄할 수도 있으나, 한약재 각각의 단단한 정도 등과 같은 재료의 성질에 따라 분쇄시간이 달라질 수 있어 각각의 한약재를 따로 분쇄할 수도 있다.
한약재를 동시에 분쇄할 경우에는 별도의 혼합과정이 필요 없지만, 한약재 각각을 따로 분쇄할 경우에는 분쇄된 한약재가루를 혼합하는 혼합과정(112)이 반죽과정(120) 이전에 선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차분쇄과정(110)을 통하여 깨끗하게 세척하고 건조한 연자육 약 16g, 백복령 약 16g, 검인 약 8g, 마 약 16g, 맥아 약 8g, 백편두 약 8g 및 율무 약 16g을 각각 분쇄기에 넣고 약 50 내지 약 80 메시로 분쇄한 후 이들을 혼합하여 한약재가루를 준비하였다. 상기의 예시는 하나의 예시로서 한약재가루의 상호 간의 비율, 중량 등은 섭취하는 사람의 기호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하 서로 혼합된 한약재가루를 한약재가루로 간략하게 칭하기로 한다.
반죽과정(120)을 통하여 상기 한약재가루에 물을 주입하여 상기 한약재가루를 반죽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도 2의 (a)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반죽과정(120)은 상기 한약재가루를 뒤섞으면서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과정(122) 및 물이 분사된 상기 한약재가루를 비벼주는 반죽조절과정(124)을 포함할 수 있다.
물분사과정(122)에서는 상기 한약재가루가 담긴 반죽통을 위와 아래로 뒤집거나, 반죽통을 반복적으로 요동치게 하여 상기 한약재가루를 뒤섞으면서 물을 분사함으로써 상기 한약재가루에 골고루 물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반죽조절과정(124)에서는 손을 이용하거나, 서로 대향하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한 쌍의 플레이트 형상의 구조물을 활용하여 골고루 물이 스며든 상기 한약재가루를 비벼줌으로써 상기 한약재가루에 분사된 물이 상기 한약재가루에 잘 스며들도록 할 수 있다. 물분사과정(122)에서 상기 한약재가루에 물이 스며들더라도 반죽조절과정(124)를 통하여 상기 한약재가루는 덩어리 형상으로 뭉치지 아니하고 소정의 부피를 가지는 입자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즉, 물분사과정(122) 및 반죽조절과정(124)을 포함하는 반죽과정(120)을 통하여 반죽이 너무 질거나 너무 되지지 않게 할 수 있고, 반죽된 상기 한약재가루가 덩어리 형상이 아닌 입자 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이후 수행되는 1차가열과정(130)에서 반죽된 상기 한약재가루가 잘 쪄지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한약재가루 전체 중량 대비 28% 내지 40%의 상온 또는 미지근한 물을 분사하여 반죽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한약재가루를 뒤섞으면서 분무기를 이용하여 상기 한약재가루 약 88g에 약 40도씨 정도의 미지근한 물을 약 25g 내지 약 35g 분사하였고, 상기 한약재가루에 물이 어느 정도 스며든 정도가 되면 손을 비벼서 물이 상기 한약재가루에 스며들도록 하여 상기 한약재가루와 물의 양을 조절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반죽이 너무 질거나 너무 되지 않도록 하였다.
한편, 도 2의 (b)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반죽과정(120)은 농축액 준비과정(126) 및 농축액 주입과정(1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농축액 준비과정(126)에서는 석창포, 원지 및 백복신으로부터 추출된 농축액을 준비한다.
석창포는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하는 단자엽식물로서, 머리를 맑게 해주며, 마음을 활짝 열어주는 효능이 있는 약재로 알려져 있다.
원지는 다년생 초본으로 잡 생각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으며 가슴에 쌓인 찌꺼기와 노폐물을 제거해 주는 효능이 있는 약재로 알려져 있다.
백복신은 소나무의 뿌리를 싸고 뭉쳐서 덩어리진 복령을 말하며, 정신을 안정시켜 주며 항스트레스 작용을 하는 효능이 있는 약재로 알려져 있다.
일례로, 상기 농축액은 일반적으로 천연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또는 분리 방법을 통하여 추출 또는 분리된 수득물을 농축기를 통하여 농축하여 얻어질 수 있다.
석창포, 원지 및 백복신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초임계추출법 등의 방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이들을 혼용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농축물은 수득된 추출물을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농축기나 농축방법을 통하여 농축하여 얻어질 수 있다.
일례로, 농축액 준비과정(126)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추출물 추출과정(126-1) 및 농축과정(126-3)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추출물 추출과정(126-1)에서는 추출기를 통하여 상기 석창포, 상기 원지 및 상기 백복신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한다.
농축과정(126-3)에서는 생성된 추출물을 농축하여 상기 농축액을 생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깨끗하게 세척하고 건조한 석창포 약 8g, 원지 약 8g 및 백복신 약 8g을 약 30 내지 약 50 메시로 분쇄한 후, 이들을 약 60도씨의 약 1 리터의 물에서 약 4시간 동안 초음파추출함으로써 상기 추출물을 수득하였으며, 수득된 상기 추출물을 농축기에 넣은 후 약 40 도씨에서 약 4시간 동안 농축하여 약 70브릭스(Brix)를 가지는 상기 농축액을 준비하였다. 상기의 예시는 하나의 예시로서 상기 농축액의 재료배합비율, 당도 등은 섭취하는 사람의 기호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다른 예로, 도 2의 (c)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농축액 준비과정(126)은 추출물 추출과정(126-1), 발효과정(126-2) 및 농축과정(126-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앞서의 예시와 달리 농축액 준비과정(126)은 발효과정(126-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석창포, 원지 및 백복신으로부터 추출되는 발효추출물로부터 상기 농축액을 얻을 수 있다.
추출물 추출과정(126-1)에서는 추출기를 통하여 상기 석창포, 상기 원지 및 상기 백복신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한다.
발효과정(126-2)에서는 상기 추출물을 당화 발효하여 발효추출물을 생성한다. 발효과정(126-2)을 통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향후 제조되는 구선왕도고 가루는 항산화활성이 향상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농축과정(126-3)에서는 생성된 발효추출물을 농축하여 상기 농축액을 생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에서는 깨끗하게 세척하고 건조한 석창포 약 8g, 원지 약 8g 및 백복신 약 8g을 약 30 내지 약 50 메시로 분쇄한 후, 이들을 약 60도씨의 약 1 리터의 물에서 약 4시간 동안 초음파추출함으로써 상기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상기 추출물을 발효기에 넣고 약 105도씨에서 멸균을 한 후, 발효를 위해 발효균 제공원으로서 누룩과 당분으로서 자이리톨 약 8g을 투입하고 약 40도씨에서 약 72시간 당화 발효를 진행하여 발효추출물을 생성하였다.
이후, 생성된 상기 발효추출물을 농축기에 넣은 후 약 40 도씨에서 약 4시간 동안 농축하여 약 70브릭스(Brix)를 가지는 상기 농축액을 준비하였다. 상기의 예시는 하나의 예시로서 상기 농축액의 재료배합비율, 당도, 발효균 종류, 당분 종류 등은 섭취하는 사람의 기호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농축액 주입과정(128)에서는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준비된 상기 농축액을 상기 한약재가루에 주입한다.
물분사과정(122) 및 반죽조절과정(124)은 상기 농축액이 주입된 상기 한약재가루에 대하여 행하여 질 수 있다. 즉, 물분사과정(122)에서는 상기 농축액이 주입된 상기 한약재가루를 뒤섞으면서 물을 분사한다. 그리고 반죽조절과정(124)에서는 물이 분사된 상기 한약재가루를 비벼준다. 상기 한약재가루를 비벼줌으로 해서 당화 발효 과정에서 생성되는 당분으로 인한 점성에 의하여 반죽이 뭉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죽과정(120)에서 상기 농축액을 주입하여 반죽함으로써 석창포, 원지 및 백복신이 제공하는 한의학적 효능이 최종 생성되는 구선왕도고 가루에서 발현된다. 또한, 당화 발효 과정에서 생성되는 당분으로 인한 점성은 향후 구선왕도고 누룽지 제조과정에서 누룽지에 탄력을 부여하여 누룽지 성형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을 가진다.
제1차가열과정(130)을 통하여 상기 한약재가루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하여 반죽된 상기 한약재가루를 찐다. 제1차가열과정(130)에서는 가열을 통해 반죽의 수분을 증발시킴으로써 수분증발을 통해 한약재의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찜솥에 충분한 양의 물을 넣고 인덕션의 센 불로 약 10분간 끓여서 물에서 증기가 만들어 지도록 한 후 찜솥에 면보를 깔고 물이 적셔진 면보 위에 반죽과정(120)을 통하여 준비된 상기 한약재가루를 골고루 펴 준 후, 뚜껑을 닫고 센불에서 약 20분 정도 찌는 과정을 거쳤다. 약 20분 후 나무꼬치 등을 찔러 가루가 묻어 나오지 않으면 다 쪄진 것으로 판단하였다. 상기의 예시는 하나의 예시로서 다양한 장치를 통하여 제1차가열과정(130)을 진행할 수 있으며, 온도 및 시간 조건은 상기 한약재가루의 양, 배합비율 등을 고려하여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건조과정(140)을 통하여 반죽 후 쪄진 상기 한약재가루를 건조한다.
본 발명에서는 다 쪄진 상태가 된 상기 한약재가루를 채판에 펴서 식힌 다음, 면보를 깐 트레이에 펼쳐서 약 40도의 건조기에서 약 3 내지 약 5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상기의 예시는 하나의 예시로서 다양한 장치를 통하여 건조과정(140)을 진행할 수 있으며, 온도 및 시간 조건은 상기 한약재가루의 양, 배합비율 등을 고려하여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2차가열과정(150)을 통하여 상기 한약재 고유의 고소한 향을 제공하기 위하여 건조된 상기 한약재가루를 볶을 수 있다.
2차가열과정(150)은 건조과정(140)을 거친 상기 한약재가루에 대하여 바로 진행할 수도 있고, 건조과정(140)을 통하여 건조된 상기 한약재가루를 분쇄하는 2차분쇄과정(152)을 수행한 후 진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2차분쇄과정(152)을 수행한 후 2차가열과정(150)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공정을 진행하였다. 2차분쇄과정(152)에서는 건조과정(140)을 통하여 건조한 상기 한약재가루를 1차분쇄과정(110)에서 보다 더 곱게 약 100 내지 약 150 메시로 분쇄하여 상기 한약재가루를 분말화하였다.
이후, 2차가열과정(150)에서 2차분쇄과정(152)을 통하여 분말화한 상기 한약재가루를 가정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인덕션(5단계불조절)에서 약불(2단계)로 약 10분정도 볶았다. 2차가열과정(150)은 첨가물 없이 한약재 고유의 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가열(볶음)을 통해 천연물 자체의 고소한 향을 낼 수 있게 하는 방법이므로 은근한 약불에서 주걱으로 잘 섞어서 골고루 볶아주었다. 상기의 예시는 하나의 예시로서 다양한 장치를 통하여 제2차가열과정(150)을 진행할 수 있으며, 온도 및 시간 조건은 상기 한약재가루의 양, 배합비율 등을 고려하여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구선왕도고 가루를 제조할 수 있다.
구선왕도고 누룽지는 도 1 및 도 2와 관련하여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제조된 구선왕도고 가루를 포함한다. 구선왕도고 누룽지는 도 1 및 도 2와 관련하여 상술한 방식으로 제조된 구선왕도고 가루를 포함하는 누룽지는 누룽지 제조 과정의 적절한 단계에 누룽지 재료와 혼합하여 만들어 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누룽지를 누룽지 성형기에 넣고 성형하기 전 단계에서 누룽지와 구선왕도고 가루를 서로 섞은 과정을 통하여 누룽지와 혼합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일반적인 방식으로 만들어진 누룽지에 구선왕도고 가루를 뿌리는 방식으로 만들어 질 수도 있다. 또 다르게는, 후술하는 구선왕도고 누룽지 제조방법을 통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구선왕도고 누룽지 제조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구선왕도고 누룽지 제조방법(200)은 취사과정(210), 혼합과정(220), 뜸고정(230) 및 누룽지 성형과정(240)을 포함한다.
취사과정(210)에서는 물에 불려진 쌀을 이용하여 밥을 짓는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쌀로서 5 내지 6번 정도 손으로 쓰다듬으면서 잘 씻은 5분도현미를 활용하였고, 이를 약 2시간 정도 물에 침지시켜 불렸다. 이렇게 물에 불려진 5분도현미를 전기밥솥에 넣고 약 40분간 밥을 지었다. 상기의 예시는 하나의 예시로서 다양한 장치를 통하여 취사과정(210)을 진행할 수 있으며, 온도 및 시간 조건은 상기 쌀의 양, 쌀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혼합과정(220)에서는 취사과정(210)에서 지어지는 밥이 뜸 단계로 진행되기 전에, 취사과정(210)에서 지은 밥과 앞서 도 1 및 도 2와 관련하여 상술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구선왕도고 가루를 혼합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기밥솥의 밥이 뜸으로 가는 시점에 밥솥뚜껑을 열고 앞서 도 1 및 도 2와관련하여 상술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구선왕도고 가루를 적당량 넣은 뒤 주걱을 통하여 밥과 구선왕도고 가루를 잘 섞어서 혼합하였다.
뜸과정(230)에서는 혼합과정(220)을 통하여 상기 구선왕도고 가루와 혼합된 밥을 뜸들인다. 취사과정(210)을 통하여 밥을 짓는 과정에서 뜸을 들이기 전에 구선왕도고 가루를 혼합한 후 뜸을 들임으로써 밥과 구선왕도고 가루가 긴밀하게 결합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취사과정(210)을 통하여 밥을 짓는 과정에서 뜸을 들이기 전에 구선왕도고 가루를 혼합한 후 뜸을 들임으로써 구선왕도고 가루가 밥으로부터 수분을 전달받아 구선왕도고 가루의 점성이 증가되므로 누룽지 성형과정에서 누룽지의 용이한 성형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특히, 도 2의 (c)에 도시한 방법으로 준비된 발효추출물로부터 농축하여 얻은 농축액을 반죽에 활용하여 제조한 구선왕도고 가루를 활용하여 누룽지를 제조할 경우, 당화 발효 과정에서 생성되는 당분이 제공하는 추가적인 점성으로 인하여 구선왕도고 누룽지 제조방법(200)을 통하여 만들어진 누룽지는 보다 더 큰 점성을 가져 누룽지 성형을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성형된 누룽지가 수분을 오래 함유하도록 하고 탄력을 오래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선왕도고 가루와 혼합된 밥이 담긴 전기밥솥의 밥솥뚜껑을 밀폐시킨 뒤 약 10분 정도 뜸들이는 과정을 진행하였다. 상기의 예시는 하나의 예시로서 다양한 장치를 통하여 뜸과정(230)을 진행할 수 있으며, 온도 및 시간 조건은 상기 구선왕도고 가루와 혼합된 밥의 양, 배합비율 등을 고려하여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누룽지 성형과정(240)에서는 뜸과정(230)을 통하여 지어진 상기 구선왕도고 가루와 혼합된 밥을 누룽지로 성형한다.
본 발명에서는 뜸과정(230)을 통하여 지어진 밥을 원하는 형상을 가지는 누룽지틀에 넣어 누룽지를 성형하였다. 이때, 누룽지를 약 4 내지 약 5분간 호화(또는 호정화)하는 과정을 진행하였다. 상기의 예시는 하나의 예시로서 다양한 장치를 통하여 누룽지 성형과정(240)을 진행할 수 있으며, 온도 및 시간 조건은 상기 구선왕도고 가루와 혼합된 밥의 양, 배합비율 등을 고려하여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제조되는 누룽지에 대하여 아래와 같은 기호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기호도 검사는 도 2의 (c)에 도시한 방법으로 준비된 발효추출물로부터 농축하여 얻은 농축액을 반죽에 활용하여 제조한 구선왕도고 가루를 활용하여 제조된 누룽지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기호도 검사는 식품가공학과 남녀대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시료의 평가 항목은 향(flavor), 맛(taste), 질감(texture) 및 상품성에 대한 전체적인 기호도를 5점척도로 조사하였다. 각 평가를 실시할 때에는 한가지 항목을 측정한 후 입을 깨끗하게 헹군 후 평가하도록 하였다.
위의 표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방법으로 제조한 구선왕도고 가루를 활용한 누룽지는 구선왕도고 가루의 한약재 냄새가 제거되어 향 항목에서 좋은 평가를 얻었으며, 맛, 질감 및 선호도 항목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2와 관련하여 상술한 반죽과정(120)에서 사용한 농축액의 항산화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농축액의 성분 중에서 항산화 작용을 하는 대표적인 물질인 총폴리페놀량을 분석하였다.
총폴리페놀량 분석은 당화 발효를 거치지 않은 농축액 약 200μL, 증류수 약 1.8mL, Folin-Ciocalteu’s phenol regent 약 200μL를 혼합하여 약 5분간 반응시키고, 이어서 약 7% Na2CO3 약 2mL와 증류수 약 0.8mL를 첨가, 혼합한 다음 실온에서 약 90분 동안 반응시킨 후 약 750nm에서 OD를 측정하였다. 검량선은 gallic acid를 증류수에 용해시켜 위와 같은 방법으로 OD를 측정하여 작성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약 6.74g으로 분석되었다.
같은 방식으로 당화 발효를 거친 농축액에 대하여 총폴리페놀량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약 7.45g으로 분석되어 당화 발효를 거친 농축액이 약 10% 많은 총 폴리페놀 함량을 보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농축액을 반죽과정(120)에서 주입하여 제조되는 구선왕도고 가루 및 구선왕도고 누룽지는 항산화활성을 제공해 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당화 발효를 거친 농축액을 사용할 경우에는 항산화활성이 더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
100 : 구선왕도고 가루 제조방법
110 : 1차분쇄과정
112 : 혼합과정
120 : 반죽과정
122 : 물분사과정
124 : 반죽조절과정
126 : 농축액 준비과정
126-1 : 추출물 추출과정
126-2 : 발효과정
126-3 : 농축과정
128 : 농축액 주입과정
130 : 1차가열과정
140 : 건조과정
150 : 2차가열과정
152 : 2차분쇄과정
200 : 구선왕도고 누룽지 제조방법
210 : 취사과정
220 : 혼합과정
230 : 뜸과정
240 : 누룽지 성형과정

Claims (7)

  1. 연자육, 백복령, 검인, 마, 맥아, 백편두 및 율무를 분쇄하여 한약재가루를 만드는 1차분쇄과정;
    상기 한약재가루에 물을 주입하여 반죽하는 반죽과정;
    상기 한약재가루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하여 반죽된 상기 한약재가루를 찌는 1차가열과정; 및
    반죽 후 쪄진 상기 한약재가루를 건조하는 건조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반죽과정은
    석창포, 원지 및 백복신으로부터 추출된 농축액을 준비하는 농축액 준비과정;
    상기 농축액을 상기 한약재가루에 주입하는 농축액 주입과정;
    상기 농축액이 주입된 상기 한약재가루를 뒤섞으면서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과정; 및
    물이 분사된 상기 한약재가루를 비벼주는 반죽조절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농축액 준비과정은
    추출기를 통하여 상기 석창포, 상기 원지 및 상기 백복신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추출물 추출과정;
    상기 추출물을 당화 발효하여 발효추출물을 생성하는 발효과정; 및
    생성된 발효추출물을 농축하여 상기 농축액을 생성하는 농축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발효과정을 통하여 향상된 항산화활성을 가지는 구선왕도고 가루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 고유의 고소한 향을 제공하기 위하여 건조된 상기 한약재가루를 볶는 2차가열과정을 더 포함하는 구선왕도고 가루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분사과정에서 분사되는 물은 상기 한약재가루 전체 중량 대비 28% 내지 40%의 상온 또는 미지근한 물을 포함하는 구선왕도고 가루 제조방법.
  6. 제1항에 의하여 제조되는 구선왕도고 가루를 포함하는 구선왕도고 누룽지.
  7. 삭제
KR1020170028067A 2017-03-06 2017-03-06 구선왕도고 가루 제조방법, 구선왕도고 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004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067A KR102004739B1 (ko) 2017-03-06 2017-03-06 구선왕도고 가루 제조방법, 구선왕도고 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067A KR102004739B1 (ko) 2017-03-06 2017-03-06 구선왕도고 가루 제조방법, 구선왕도고 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738A KR20180101738A (ko) 2018-09-14
KR102004739B1 true KR102004739B1 (ko) 2019-07-29

Family

ID=63599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067A KR102004739B1 (ko) 2017-03-06 2017-03-06 구선왕도고 가루 제조방법, 구선왕도고 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47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4246A (ko) * 2019-03-28 2020-10-07 박수옥 백출, 백복령, 황기, 맥아 및 신곡을 이용한 누룽지의 제조방법
KR20210072434A (ko) 2019-12-09 2021-06-17 서호석 신규한 누룽지 면류 식품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823B1 (ko) * 2003-08-04 2005-11-22 하임조 누룽지 제조방법
KR20130000975U (ko) * 2011-08-02 2013-02-13 구자성 한방 기능성 빵의 제조방법
KR101332583B1 (ko) * 2011-09-07 2013-11-25 서민경 한약 냄새가 나지 않는 구선왕도고 가루 제조 방법, 구선왕도고 구움 과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621147B1 (ko) * 2014-07-02 2016-05-13 에스앤에프 주식회사 석창포 및 원지를 포함하는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96422B1 (ko) * 2015-01-20 2017-01-13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총명떡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4246A (ko) * 2019-03-28 2020-10-07 박수옥 백출, 백복령, 황기, 맥아 및 신곡을 이용한 누룽지의 제조방법
KR102169006B1 (ko) 2019-03-28 2020-10-23 박수옥 백출, 백복령, 황기, 맥아 및 신곡을 이용한 누룽지의 제조방법
KR20210072434A (ko) 2019-12-09 2021-06-17 서호석 신규한 누룽지 면류 식품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738A (ko) 2018-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57298A (zh) 养生茉莉花茶
CN103211178B (zh) 一种波罗蜜核中仁南瓜健胃糕
JP2009013146A (ja) 糖尿病治療組成物
CN105795378A (zh) 一种保健海鳗的加工方法
KR20090130988A (ko) 엉겅퀴 또는 약용 식물을 맥반석 혼합하여 덖음차 제조방법
CN104068183A (zh) 一种芳香浓郁型茶叶及其制备方法
CN104366243A (zh) 一种啤酒虾仁包子及其制备方法
KR102004739B1 (ko) 구선왕도고 가루 제조방법, 구선왕도고 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190329B1 (ko) 꾸지뽕을 이용한 고추장 제조방법
CN104041794A (zh) 一种保健蔬菜酱及其制备方法
CN103404684B (zh) 一种蘘荷蜜饯的加工方法
CN104351415A (zh) 一种葛根解酒茶及其制备方法
CN103653080A (zh) 一种板栗休闲食品及其加工方法
CN103621905B (zh) 一种桔梗珍珠菜保健锅巴的制作方法
CN106262756A (zh) 干菜花生米辣椒酱及其制备方法
CN104757407A (zh) 一种养颜补血面条及其制备方法
CN104273295A (zh) 一种栀子花清热凉血保健茶及其制备方法
CN107594013A (zh) 一种蒲公英黑茶及其生产方法
CN106538763A (zh) 一种雪莲菌保健营养花茶冲剂
CN106235009A (zh) 一种香蒿保健锅巴
CN102450665B (zh) 一种鸡琵琶腿制品及其制备方法
CN104305242A (zh) 一种富硒笋香金针牛肉丝及其加工方法
CN104621449A (zh) 石膏绿豆鲜竹叶清火即食米粉及其制备方法
CN107581299A (zh) 一种蒲公英普洱生茶及其制作方法
CN105851153A (zh) 一种诺丽果饼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