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130B1 - 음악 게임 장치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음악 게임 장치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130B1
KR102001130B1 KR1020180128594A KR20180128594A KR102001130B1 KR 102001130 B1 KR102001130 B1 KR 102001130B1 KR 1020180128594 A KR1020180128594 A KR 1020180128594A KR 20180128594 A KR20180128594 A KR 20180128594A KR 102001130 B1 KR102001130 B1 KR 102001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e
sound source
music
determinatio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8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1844A (ko
Inventor
전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위즈
주식회사 트웰브모먼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위즈, 주식회사 트웰브모먼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위즈
Publication of KR20180121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1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14Musical performances, e.g. by evaluating the player's ability to follow a n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4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 A63F13/2145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the surface being also a display device, e.g. touch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3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wide area network [WAN] connections
    • A63F13/332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wide area network [WAN] connections using wireless networks, e.g. cellular phone networ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 A63F13/42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 A63F13/424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involving acoustic input signals, e.g. by using the results of pitch or rhythm extraction or voice recogn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3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 A63F13/537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using indicators, e.g. showing the condition of a game character on screen
    • A63F13/5375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using indicators, e.g. showing the condition of a game character on screen for graphically or textually suggesting an action, e.g. by displaying an arrow indicating a turn in a driving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4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coustic signals, e.g. for simulating revolutions per minute [RPM] dependent engine sounds in a driving game or reverberation against a virtual wal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40Rhyth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47Music gam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9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performance evaluation, i.e. judging, grading or scoring the musical qualities or faithfulness of a performance, e.g. with respect to pitch, tempo or other timings of a reference performan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05Non-interactive screen display of musical or status data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35Musical aspects of games or videogames; Musical instrument-shaped game input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악 게임 장치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작노트와 종지노트 및 그를 연결하는 경로지시선으로 이루어지는 조작 안내 노트를 제공하되, 경로지시선을 따라 조작을 이동시키는 시간 간격 및 방향만으로 해당 노트의 조작 성공을 판정함으로써, 음악의 템포에 맞는 게임 진행이 가능하여 게임의 흥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음악 게임 장치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A MUSIC GAME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RECORDING PROGRAM THEREFOR}
본 발명은 음악 게임 장치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개의 고정 노트와 그를 연결하는 연결선으로 구성된 형태의 패스노트에서 연결선을 따라 자유롭게 입력할 수 있는 방식의 음악 게임 장치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모바일 장치의 하드웨어 성능이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데스크탑 컴퓨터 기반 게임에 못지않은 다양한 모바일 전용 게임이 출시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사용자가 음악을 들으면서 입력장치를 조작하여 각종 연출 효과를 발생시키는 방식인 음악게임 또는 리듬게임이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이러한 음악게임 또는 리듬게임은 실시간으로 재생되는 음악리듬에 맞춰서 사용자가 입력장치에 적합한 입력형식을 입력부에 입력하고, 이에 대응하여 효과음 혹은 이와 합쳐진 시각적인 움직임의 재생 등 각종 음악적ㆍ시각적 효과가 발생되는 방식으로 작동하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실제로 음악을 들으면서 게임을 진행하거나, 해당 음악을 연주하는 느낌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음악 게임에서는 사용자가 어떠한 방식으로 입력신호를 입력부에 입력하는지가 매우 중요하다. 사용자가 입력하는 입력 조작 방식이 음악 게 임에서의 게이머의 행위가 되며, 이러한 입력 조작 방식에 따라 음악 게임의 흥미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기존의 음악 게임들에서는 음악이 출력되는 동안 표시부에 음악과 연동하여 사용자의 키입력을 안내하는 키입력 안내 표지를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키 입력 안내 표지는 "노트(note)"로 표현될 수 있으며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노트는 게임장치의 화면에 생성되어 이동 또는 형태가 변화되면서 출력되는 음악과 관련된 키 입력 조작 시점과 키 입력 위치를 안내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노트 및 노트 조작과 관련된 하나의 예시로서, 게임화면의 일부에 판정영역이 표시되고, 원형 형상의 노트가 생성되어 판정영역으로 이동하며, 노트가 판정영역에 도달하였을 때 해당 노트를 터치함으로써 키 입력 조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노트를 원형노트, 탭노트 등으로 표현할 수 있다.
게임장치는 노트마다 키 입력 조작 성공을 판정하고, 성공에 따른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키 입력 조작 성공시 일정한 조작 성공 표시 또는 성공 효과음을 출력할 수 있다.
다른 노트의 형태로서 홀드노트가 있으며, 이러한 홀드노트는 일정한 기간동안 키입력 또는 터치 입력을 동일한 위치에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도록 안내하는 노트이다.
또다른 다른 노트의 형태로서 1 이상의 원형 노트와 원형 노트에 연결되거나 2개의 원형 노트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선으로 이루어진 드래그 노트 또는 패스노트라 불리는 노트가 있다.
이러한 드래그 노트 또는 패스 노트는 특정 시점에 원형 노트를 터치하고,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연결선을 따라 터치 위치를 이동시키는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조작 성공으로 판정된다.
이러한 여러 형태의 노트 중에서, 드래그 노트 또는 패스노트 의 경우, 사용자가 입력성공 판정을 받기 위해서는 주어진 시간에 맞춰서 일정한 속도(등속도)로 연결선(패스 지시선)을 따라 키를 입력해야 하는 작동방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음악게임내부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키의 성공여부를 판정하고, 입력한 키의 정확도에 따라 등급을 구분하여 최종점수를 산정하기 위함이다.
즉, 패스노트의 경우 입력 시작 노트(원형 노트)를 터치(키입력)한 후 일정한 속도로 연결선은 따라 터치 입력을 이동(드래그) 시켜야 하며, 이를 위하여 연결선에는 터치 입력의 이동 속도를 안내하기 위한 표지가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게임이 진행되는 동안 출력되는 음악은 저마다 상이한 템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기존의 패스노트에서는 경로선을 따른 조작 이동 속도가 음악의 템포에 따라 달리 설정되어야 하므로 노트 구성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반대로, 노트 구성을 단순화시키기 위하여 연결선의 조작 이동 속도를 음악 템포에 맞도록 조정하지 않고 일정하게 설정하는 경우에는, 출력되는 음악과 동기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게임의 흥미를 반감시킬 수 있다.
또한 모바일을 기반으로 하는 음악 게임은 모바일 화면크기의 한계로 인하여 복잡하고 다양한 패스노트를 도입하기에 근본적인 어려움이 있었다.
이는 모바일 기반의 입력방식인 터치방식과 합쳐져서 더욱 부각되는 문제점이다.
사용자는 제한적인 모바일 화면 위로 키를 입력하기 위하여 터치를 하게 되는데, 그 자체만으로 게임 화면을 가려서 원활한 음악 게임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모바일을 기반으로 하는 음악 게임에서의 패스노트는 단순한 직선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패스 지시선을 따라가는 속도가 등속도일 것이 강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위의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음악 게임에서 직선과 곡선으로 이루어진 선을 따라 자유롭게 입력하여 사용자에게 실제 음악을 연주하는 느낌을 전달하기 위한 게임 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작노트와 종지노트 및 그를 연결하는 경로지시선으로 이루어지는 조작 안내 노트를 제공하되, 경로지시선을 따라 조작을 이동시키는 시간 간격 및 방향만으로 해당 노트의 조작 성공을 판정함으로써, 음악의 템포에 맞는 게임 진행이 가능한 음악 게임 장치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시작노트와 종지노트 및 상기 시작노트와 종지노트를 연결하는 경로지시선을 포함하는 조작 안내 노트를 게임화면상에 제공하는 게임 화면 제공부와, 상기 조작 안내 노트와 관련된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사용자의 조작이 상기 시작노트에서 시작하여 기설정 시간내에 상기 종지노트에서 종료되는지 확인하여 해당 조작 안내표지의 조작 성공을 판정하는 판정부와, 게임의 진행에 따라 상기 조작 안내 노트의 조작 성공 여부에 따른 효과음원과 음악을 구성하는 음악음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음원데이터를 재생하는 음성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은 상기 게임화면에 대한 터치 입력이며, 상기 판정부는 제1타이밍에 상기 시작노트에서 터치 입력이 개시되는 제1조건과, 상기 제1타이밍에서 제2타이밍까지의 시간인 기설정 시간 이내에 터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경로지시선을 따라 터치 조작이 드래그되는 제2조건을 만족하는지 판정하며, 상기 경로지시선 상에는 다수의 중간 판정 지점이 배치되며, 상기 판정부는 상기 터치 조작의 드래그 과정에서 상기 중간 판정 지점 중 일정한 성공판단 기준개수 이상 통과하는 경우 조작 성공으로 판정하는 음악 게임 장치를 제공한다.
이 때, 상기 판정부는 상기 터치 조작의 드래그 과정에서 상기 중간 판정 지점 중 일정한 성공판단 기준개수 이상 연속적을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 또는 상기 터치 조작의 드래그 과정에서 상기 성공판단 기준개수 이상의 중간 판정 지점을 통과하지 않은 경우 조작 실패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부는 상기 터치 조작의 드래그 과정에서 상기 중간 판정 지점의 배치 순서에 역행하는 경우 조작 실패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공판단 기준 개수는 게임의 난이도 조정 및 상기 음악의 템포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판정부는 상기 터치조작의 드래그 과정에서 상기 중간 판정지점을 통과하는지 여부만을 고려하여 조작 성공 여부를 결정하며, 중간 판정지점의 통과 타이밍 및 상기 드래그 과정에서의 터치 입력의 이동 속도는 고려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작노트는 시작노트 외벽 또는 상기 시작노트 외벽 내부에서 생성되어 제1 크기까지 크기가 가변되는 시작노트 조작안내표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종지노트는 종지노트 외벽 또는 상기 종지노트 외벽 내부에서 생성되어 제2 크기까지 크기가 가변되는 종지노트 조작안내표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종지노트 조작안내표지는 상기 시작노트 조작안내표지가 상기 제1크기에 도달된 시점에 생성되며, 상기 제1타이밍은 상기 시작노트 조작안내표지가 상기 제1 크기에 도달한 시점이고, 상기 제2타이밍은 상기 종지노트 안내표지가 상기 제2크기에 도달한 시점일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제어부는 상기 판정부의 조작 성공 여부에 따라 상기 효과음원을 가변하여 출력하고, 상기 조작 성공 여부에 무관하게 상기 음악음원을 일정한 음량으로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제어부는 상기 조작 안내 노트에 대한 조작이 실패한 경우 효과음원 중 일부분을 음소거하거나, 효과음원 중 일부분의 음량을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음악과 관련된 게임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로서, 시작노트와 종지노트 및 상기 시작노트와 종지노트를 연결하는 경로지시선을 포함하는 조작 안내 노트를 게임화면상에 제공하는 게임 화면 제공 기능과, 상기 조작 안내 노트와 관련된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입력 기능과, 상기 사용자의 조작이 상기 시작노트에서 시작하여 기설정 시간내에 상기 종지노트에서 종료되는지 판정하여 해당 조작 안내표지의 조작 성공을 판정하는 판정기능과, 게임의 진행에 따라 상기 조작 안내 노트의 조작 성공 여부에 따른 효과음원과 음악을 구성하는 음악음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음원데이터를 재생하는 음성제어기능을 구현하며, 상기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은 상기 게임화면에 대한 터치 입력이며, 상기 판정기능에서는 제1타이밍에 상기 시작노트에서 터치 입력이 개시되는 제1조건과, 상기 제1타이밍에서 제2타이밍까지의 시간인 기설정 시간 이내에 터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경로지시선을 따라 터치 조작이 드래그되는 제2조건을 만족하는지 판정하며, 상기 경로지시선 상에는 다수의 중간 판정 지점이 배치되며, 상기 판정기능에서는 상기 터치 조작의 드래그 과정에서 상기 중간 판정 지점 중 일정한 성공판단 기준개수 이상 통과하는 경우 조작 성공으로 판정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악 게임 장치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는 사용자가 음악 게임을 보다 생생하고 리듬감 있게 즐길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시작노트와 종지노트 및 그를 연결하는 경로지시선으로 이루어지는 조작 안내 노트를 제공하되, 경로지시선을 따라 조작을 이동시키는 시간 간격 및 방향만으로 해당 노트의 조작 성공을 판정함으로써, 음악의 템포에 맞는 게임 진행이 가능하여 게임의 흥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게임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게임 장치의 기능별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조작 안내 노트인 패스노트의 형태와 그의 성공 판정방식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시작노트 및 종지노트의 작동방식에 대한 각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정 등급 기준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장치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장치는, 게임화면 제공부(110)와, 입력부(120), 판정부(130) 및 음성제어부(140) 등을 포함하며, 부가적으로 메모리부(150), 음원부(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부(150)는 음악 게임의 실행에 필요한 각종 코드 데이터를 저장하고, 음악 출력에 필요한 음악음원과 효과음원으로 이루어진 음원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음악게임의 진행에 따라 게이머가 입려하는 키 입력(터치 조작)에 대응되는 타격 이벤트 데이터와 사용자가 음악 게임을 실행하면서 생성된 게임결과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메모리부(150)는 판정부(130))가 처리한 데이터를 임시기억(Cache Data)형태로 저장하며, 판정부(130) 및 음성제어부(140)에서 요청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가진다.
게임화면 제공부(110)는 게임과 관련된 이미지 데이터 등을 게임화면상에 출력한다. 이미지 데이터는 캐릭터, 노트 형태, 효과 이펙터, 삽화, 진행상황, 인터페이스 구조 등 음악 게임에서 활용되는 각종 이미지 관련 데이터를 의미한다.
특히, 게임화면 제공부(110)에는 게임 진행에 따라 키입력(터치조작)의 위치 및 시점을 안내하기 위한 조작 안내 표지인 노트가 표시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출력되는 음악과 연동하여 게임 조작의 위치 및 타이밍을 안내하기 위하여 게임 화면에 표시되는 모든 형태의 이미지 또는 표지를 "노트"로 명명하지만,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용어 또는 표현으로 불릴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시작노트와 종지노트 및 그를 연결하는 경로지시선으로 이루어진 특수한 형태의 노트를 사용하며, 편의상 이러한 노트를 조작 안내 노트 또는 패스 노트(Path Note)로 표현하기로 한다.
이러한 패스 노트의 구성 및 조작 방법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을 참고로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게임화면 제공부(110)는 터치 스크린 기능이 구현된 액정표시장치(LCD),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등과 같은 하드웨어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개념이며, 표시부와 같은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입력부(120)는 게임장치에 포함된 다수의 조작 키 등을 포함하는 키 입력장치일 수도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력부(120)는 게임 화면이 표시되는 게임화면 제공부(110)에 터치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 입력 수단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한 입력부(120)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으며, 게임 진행에 따라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노트와 관련된 터치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패스 노트가 게임화면 제공부(110)에 표시되는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인 입력부(120)를 이용하여 게임 조작 신호로서의 터치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 또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그에 대응되는 입력코드의 형태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한 입력 코드를 판정부(130)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판정부(130)는 입력부에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 신호와 게임화면 제공부에 의하여 게임화면에 제공된 조작 안내 노트의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조작 성공 여부를 판정하는 기능을 한다.
더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조작 안내 노트는 시작노트와 종지노트 및 그를 연결하는 경로 지시선으로 이루어지는 패스 노트 형태이고, 판정부(130)는 입력부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이 패스 노트의 시작노트에서 시작하여 기설정된 시간 내에 종지노트에서 종료되는지 확인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120)가 터치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터치 입력 수단인 경우, 판정부(130)는 제1타이밍에 시작노트에서 터치 입력이 개시되고, 터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경로 지시선을 따라 종지노트까지 이동하는 경우 패스 노트의 조작 성공으로 판정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작 안내 노트인 패스 노트의 형태 및 조작 방식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고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조작 안내 노트인 패스노트의 형태와 그의 성공 판정방식에 대한 모식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시작노트 및 종지노트의 작동방식에 대한 각 모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사용되는 조작 안내 노트 또는 패스 노트는 시작노트(310)와 종지노트(340) 및 경로지시선(330)으로 이루어질수 있다.
시작노트(310)는 상기 패스노트(300) 경로의 가장 앞에 위치하는 고정형 지시자로서, 사용자가 키 입력 또는 터치 입력을 해야 하는 최초위치와 최초 타이밍(제1타이밍)을 지시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종지노트(340)는 패스노트(300) 경로의 가장 끝에 위치하는 고정형 지시자로서, 패스노트에 대한 키 입력의 종료지점을 나타낸다.
경로지시선(330)은 시작노트(310)와 종지노트(340)를 연결하는 지시선이며, 일정간격으로 존재하는 다수 개의 중간판정 지점(320)을 포함할 수 있으나, 중간판정 지점(320)은 게임화면에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시작 노트(310)는 일정한 원형 또는 타원형의 시작노트 외벽(312)을 포함하며, 시작 노트 외벽의 내부에는 시작노트에 대한 키 입력 안내표지로서의 시작노트 조작 안내표지(314)가 표시된다.
시작노트 조작 안내표지(314)는 시작 노트에 대한 터치 조작 또는 키 입력의 개시 타이밍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시작 노트 외벽(312)의 중앙에서 생성되어 시작 노트 외벽과 동일한 형태 및 크기까지, 또는 시작 노트 외벽 크기 이상까지 일정한 속도로 커지는 이미지일 수 있다.
도 2와 같은 노트의 조작시에는, 시작 노트 외벽(312) 내부에 생성된 시작 노트 조작 안내표지(314)가 시작 노트 외벽(312)의 크기까지 커지거나, 시작 노트 외벽으로부터 일정 오차범위를 가지는 입력 인정범위까지 커진 시점에 해당 시작 노트(310) 위치에 터치 입력(키 입력) 조작을 하여야 한다.
이 때, 시작 노트의 터치 개시 시점에서의 시작 노트 조작 안내표지(314)의 크기를 제1크기로 정의한다.
즉, 시작노트 조작 안내표지(314)의 제1크기는 시작노트 외벽(312)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시작 노트 외벽으로부터 일정 오차범위를 가지는 입력 인정범위의 크기일 수 있다.
그 상태에서 터치 입력 상태를 유지하면서 경로 지시선(330)을 따라 종지노트(340)까지 이동하여야 한다.
즉, 시작 노트(310)는 터치 개시 시점과 터치 개시 위치를 나타내며, 경로 지시선(330)은 터치 유지 상태에서 터치 입력을 이동 또는 드래그(Drag)하는 조작을 안내하는 키 입력 안내표지이다.
이 때, 종지노트(340)는 경로 지시선(330)을 따르는 터치 유지 시점 또는 터치 드래그 시점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기능한다.
더 구체적으로, 종지노트(340) 역시 일정한 원형 또는 타원형의 종지 노트 외벽(342)을 포함하며, 종지 노트 내부에는 키 입력 안내표지로서의 종지 노트 조작 안내표지(344)가 표시된다.
종지 노트 조작 안내표지(344)는 경로 지시선(330)을 따라 종지 노트까지 이동하는 터치 유지 기간 또는 터치 종료 시점을 안내하기 위한 키 입력 안내표지이다.
이러한 종지 노트 조작 안내표지(344)는 시작 노트에 대한 터치 개시 시점, 즉 시작 노트 조작 안내표지(314)가 제1크기에 도달한 시점에서 종지노트 외벽(342) 내부에 생성되어 제2크기까지 크기가 가변되는 이미지일 수 있다.
그 일 예로서, 종지노트 조작 안내표지(344)는 종지노트 외벽(342)의 크기로 생성된 후 일정한 속도로 크기가 감소하여 소멸하는 이미지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크기는 0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종지 노트 조작 안내표지(344)가 제2크기에 도달할 때까지 경로 지시선(330)을 따라 터치 드래그(이동)가 이루어져서 최종적으로 종지노트(340) 위치까지 터치 입력이 지속되는 경우에 한하여, 해당 노트에 대한 최종 조작 성공으로 판정한다.
도 2에 의한 패스 노트에 대한 조작을 다시 설명하면, 사용자는 시작 노트 조작 안내표지(314)가 시작 노트 외벽과 연동된 입력 인정범위 내에 있는 상태에서 시작 노트(310)의 위치를 터치(키입력)하고, 그 때 생성된 종지 노트 조작 안내표지(344)가 제2크기가 되는 동안의 시간인 기설정 시간동안 경로 지시선(330)을 따라 터치 입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종지 노트(340) 위치까지 터치를 드래그한다.
다시 말해서, 패스노트의 경로 지시선(330)에 대한 조작 성공을 판정하기 위한 기준 시간인 기설정 시간은 시작노트 조작안내표지(314)가 제1 크기에 도달된 시점부터 종지노트 조작안내표지(344)가 제2크기에 도달하는 시점까지의 기간이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게임장치의 판정부(130)는 특정한 패스 노트에 대하여, 시작노트 조작 안내표지(312)가 제1크기에 도달하는 제1타이밍에 시작노트(310) 위치에 터치 입력이 있는 제1조건과, 제1타이밍에서 생성된 종지노트 조작 안내표지(314)가 제2크기에 도달하는 제2타이밍까지의 시간인 기설정 시간 이내에 터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경로지시선을 따라 터치 조작이 드래그되는 제2조건을 만족하는지 판정한다.
판정부(130)는 위와 같은 제1조건 및 제2조건이 모두 만족한 경우에 한하여 해당 패스 노트에 대한 조작이 성공된 것으로 판정한다.
이 때, 제2조건에 대한 정확한 판정을 위하여, 경로 지시선(330) 상에는 표시되지 않는 다수의 중간 판정 지점(320)이 배치될 수 있으며, 판정부(130)는 터치 입력의 이동(즉, 드래그) 과정에서 중간 판정지점을 일정 개수 이상 통과하지 못하거나, 상기 터치 입력의 이동이 상기 중간 판정지점의 배치 순서를 역행하는 경우 조작 실패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판정부(130)는 상기 제2조건, 즉 경로 지시선(320)의 조작에 대한 성공 판정을 위하여, 사용자의 키 입력(터치 입력)이 상기 중간판정지점(320)을 특정 개수 이상 연속적으로 실패하는 경우에 입력실패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중간판정지점(320)의 성공판단 기준 개수를 3개로 정한다면, 사용자가 상기 중간판정지점(320)을 4개 이상 연속적으로 입력하는데 실패한 경우에 상기 경로지시선(330)에 대한 조작기준인 제2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한다.
만일 사용자가 상기 경로지시선(330)을 지나는 동안 상기 중간판정지점(320)에 대한 키 입력을 3개 연속으로 실패한 후, 그 다음 중간판정지점은 성공적으로 입력한다면, 이후에 2개 이하의 중간판정지점을 통과하지 못하더라도 제2조건을 만족하는 성공 조작으로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간판정지점(320)의 성공판단 기준 개수를 조정함으로써 게임의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다.
몇 차례 수치를 조정하여 플레이해본 결과, 적정한 난이도를 위해서는 바람직하게는 성공판단 기준개수를 3으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이는 사용 자로부터 선곡된 음악의 템포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며, 난이도 조정에 따라 상황에 맞게 조정되어야 되는 수치이므로 일률적으로 정할 수는 없다.
위에서는 사용자의 상기 중간판정지점(320)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 성공여부를 '연속적으로' 판단하였지만, 이와는 달리 혹은 이에 더하여 단순 입력개수를 바탕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중간판정지점(320)의 성공판단 기준 개수를 (연속적으로 실패하는 것과 상관없이) 10개로 정한다면, 사용자가 상기 중간판정지점(320)을 11개 이상 입력에 실패한 경우에 상기 경로지시선(330)에 대한 입력이 실패인 것으로 판정할 수도 있다.
또한, 판정부(130)는 경로 지시선(330)에 대한 조작 판정을 위하여 중간판정지점(320)의 순서를 더 고려하여, 터치 입력의 이동이 중간 판정지점(320)의 배치 순서를 역행하는 경우 조작 실패로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로 지시선에 배치되는 중간판정지점(320)에 일정한 순서가 할당되어 있고, 경로 지시선을 따른 터치 조작 과정에서 할당된 순서를 벗어나서 중간판정지점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도 2와 같은 패스 노트 및 조작방식을 이용하면, 시작 노트(310)에서 종지노트(340)까지 경로 지시선(330)을 따른 터치 드래그는 종지 노트 조작 안내표지(344)가 소멸할 때까지만 이루어지면 되며, 이를 위하여 판정부(130)는 중간 판정 지시자(320)를 통과하였는지 여부만 판정할 뿐, 각 중간 판정 지점(320)의 통과 타이밍을 인식하지는 않는다.
즉, 도 2의 방식에서는 터치 드래그가 정해진 기간(터치 개시 시점부터 종지 노트 조작 안내표지가 제2크기가 될 때까지의 기간) 내에 경로 지시선(330)을 통과하였는지 여부만 판정할 뿐, 터치 드래그의 이동 속도를 판정하지는 않는다.
판정부(130)는 터치 드래그 입력이 경로 지시선(330)에 배치된 다수의 중간 판정 지점(320)의 위치 및 방향(순서)을 따르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조작 성공으로 판정하며, 중간 판정 지점(320) 사이의 이동 속도를 고려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조작에 능숙한 게이머는 종지 노트 조작 안내표지(344)가 소멸되기 전에 경로 지시선을 따르는 터치 드래그를 완료함으로써 해당 노트에 대한 조작성공을 인정받을 수 있고, 다음 노트의 조작을 위한 시간을 벌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와 같은 방식에서는 시작노트(310), 경로 지시선(330) 및 종지 노트(340)로 구성되는 패스 노트에 대한 키 입력(터치 조작)이 완료되어 노트의 조작 성공 여부가 판정된 이후, 해당 노트가 표시부에서 사라지도록 제어한다.
위와 같은 패스 노트 구성과 조작 성공 판정 방식은, 시작노트와 종지노트를 연결하는 경로지시선에 대하여, 사용자가 일정한 속도로 드래그 하는 방식이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속도로 자유롭게 드래그가 가능한 방식이다.
즉, 경로지시선(330)에 대하여 사용자는 자유로운 속도로 조작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모바일 장치를 기반으로 하는 음악 게임은 모바일 화면크기의 한계로 인하여 복잡하고 다양한 형태의 패스 노트를 도입하기에는 근본적인 어려움이 있었다.
이는 모바일 장치 기반의 입력방식인 터치방식과 합쳐져서 더욱 부각되는 문제점이다.
사용자는 제한적인 모바일 장치의 화면 위로 키를 입력하기 위하여 터치를 하게 되는데, 그 자체만으로 게임 화면을 가려서 원활한 음악연주게임을 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난점은 복잡한 형태의 노트방식을 고수할 경우 더욱 증가되며, 사용자는 성공적인 키 입력을 위하여 일정한 속도로 패스 지시선을 드래그 해야 하고, 이는 지시선의 모양과 방향을 계속 확인해야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존 패스노트의 터치 조작 이동 경로는 복잡한 형태를 가질 수가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상기 패스 노트(300)는 사용자가 상기 경로지시선(330)에 대하여 자유로운 속도로 조작을 할 수 있으므로 경로 지시선에 대한 형태의 제한이 완화된다. 따라서 상기 경로지시선(330)은 직선, 곡선 및 일부 직선과 곡선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모양으로 표현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시작노트 조작 안내표지(314) 및 종지노트 조작 안내 표지(344)가 시작 노트 외벽 내부에서 생성하여 제1크기로 커지거나 제2크기로 작아지는 예로 설명하였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종지노트 조작 안내 표시(344)는 종지 노트외벽(342) 내부에서 시계 방향으로 시계 바늘이 움직이거나 시계방향으로 크기가 가변되는 방식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종지노트 조작 안내 표지(344)는 사용자가 시작노트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경로지시선(330)을 통과하여 상기 종지노트(340)에 이르기까지의 제한시간인 기설정 시간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형태에 반드시 제한될 필요는 없다.
또한, 시작노트(310)나 종지노트(340)는 원형의 모양이 대표적이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작노트(310)는 시작 노트 외벽(312) 외부의 일정 범위까지 연장되는 시작노트 입력인정범위(3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시작노트 조작 안내 표지(314)가 생성된 후 점점 커져서 시작노트 외벽(312)에 해당되는 제1크기까지 도달하는 제1타이밍까지 시작노트(310)에 대하여 키 입력(터치 입력)을 개시 해야 한다.
이처럼 시작노트 조작안내 표시(314)가 사용자가 입력해야할 시간적 기준(제1타이밍)을 제시한다면, 시작노트 입력인정범위(316)은 사용자가 입력해야할 공간적 기준을 제시한다.
판정부(130)는 제1타이밍에 시작노트 입력인정범위(316)내에 사용자가 키를 입력(터치)한 경우 전술한 제1조건이 만족한 것으로 판정한다.
따라서 시작노트 입력인정범위(316)가 넓어지면 게임의 난이도가 하락하며, 좁아지면 상승하게 되므로, 시작노트 입력인정범위(316)를 게임의 난이도 조정에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지노트(340) 역시 종지노트 입력 인정범위(3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판정부(130)는 사용자가 조작 결과의 등급을 이산적으로 판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작노트 조작 안내 표지(314)가 팽창하여 제1크기에 도달하는 시점을 제1타이밍(410)으로 설정하고, 제1타이밍(410)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키 입력이 얼마나 일찍, 혹은 늦게 입력되었는지에 따라서 여러 단계의 판정등급값으로 구분할 수 있다.
사용자가 실제로 키를 입력한 시점과 상기 제1타이밍(410)의 차이를 시간적으로 구분하여 판정 등급값을 설정하게 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상기 제1타이밍(410)을 기준으로 0.1초 내외로 키를 입력하게 되면 'perfect' 판정을 받게 되며, 0.12초 내외로 키를 입력하게 되면'great' 판정을 받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판정등급값을 'perfect', 'great', 'good', 'miss'의 4단계로 구분하였으나 등급단계의 개수 및 표현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상기 판정 등급값도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음악의 속도 및 난이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게임장치의 음성제어부(140)는 판정부(130)의 판정결과,즉 패스 노트에 대한 조작 성공 여부에 따라 음악음원과 효과음원을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즉, 음성제어부(140)는 게임의 진행에 따라 패스 노트의 조작 성공 여부에 따른 효과음원과 음악을 구성하는 음악음원을 포함하는 음원데이터를 재생한다.
본 발명에서는 게임의 흥미를 증가시키고 사운드 지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음악 게임에서 출력되는 음원 데이터를 음악음원(음원트랙)과 효과음원(효과음트랙)으로 구분하여 구성하고, 음성제어부(140)는 패스 노트에 대한 조작 성공 여부와 무관하게 음악음원을 일정한 음량으로 출력하면서, 패스 노트에 대한 조작 성공 여부에 따라 효과음원을 가변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패스 노트에 대한 조작이 성공한 경우에는 효과음원을 일정한 음량으로 정상적으로 출력하고, 패스 노트에 대한 조작이 실패한 경우에는 효과음원을 음소거하거나 효과음원의 음량을 감소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음원부(160)에 저장되는 음원 데이터는 사용자의 조작 성공 또는 실패와 무관하게 연속적으로 출력되는 제1음원과, 사용자의 조작 성공 여부에 따라 출력 상태가 가변(뮤팅 또는 음량 조절)되는 제2음원을 포함하며,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 제1음원을 음악음원, 제2음원을 효과음원으로 표현한다.
즉, 게임 진행에 따라 출력되는 음원 데이터는 2개의 별도 트랙 또는 파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게임 수행에 따라 변화되지 않는 음악음원은 음원트랙으로, 게임 수행에 따라 가변되는 효과음원은 효과음트랙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러한 2개의 트랙인 음원트랙 및 효과음트랙은 서로 연동되어 있으며, 아래에서 설명할 바와 같이, 효과음트랙은 각 노트와 연동된 다수의 분할부분으로 구성된다.
이 때, 효과음트랙에 포함되는 효과음원은 사용자의 키입력 또는 터치 조작에 따라 발생되는 타격음 또는 성공/실패 효과음을 포함하며, 그 밖에 음악의 보컬파트(Vocal Part) 또는 주요 악기파트의 음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원트랙에 포함되는 음악음원은 하나의 음악을 이루는 음원 중에서, 배경음원 및 상기 효과음원으로 사용된 것을 제외한 나머지 악기파트의 음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라는 곡의 전체 음원에서 보컬파트와 기타 악기의 음원만을 분리하고, 그에 타격음 또는 조작 성공/실패 효과음을 더하여 효과음 트랙으로 구성하고, "A"라는 곡의 나머지 부분을 음악음원으로서 음원트랙으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아래 설명할 바와 같이, 음악 게임이 진행되는 동안 조작의 성공 여부와 무관하게 음악음원이 연속적으로 출력되고, 조작 성공 여부에 따라 효과음원이 뮤팅될 수 있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는 키 입력이 실패인 경우(즉, 조작 실패인 경우), 효과음원을 음소거하지 않고, 효과음원의 음량을 일정 정도 감소시키도록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키 입력 실패의 연속 회수 또는 본 발명의 패스노트에 대한 조작 성공 정도에 따라 효과음원의 음량을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최초의 키 입력 실패시에는 원래의 효과음원의 음량의 80%로 감소시키고, 2회 연속 실패인 경우 60%, 3회 연속 실패인 경우에는 40%로 감소시키는 것과 같다.
물론, 이 경우 키 입력 실패에 따른 효과음원 음량 감소 제어 이후에, 키 입력이 성공하게 되면 효과음원 음량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음성제어부(140)는 패스 노트에 대한 키 입력 위치 또는 타이밍중 하나 이상이 정해진 성공 판정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해당 패스 노트에 대한 조작 실패로 인정하고, 효과음원을 음소거하거나 효과음원의 음량을 감소시키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스 노트에 대한 일련의 조작인 시작노트에 대한 터치 개시, 경로지시선을 따른 터치 이동(드래그) 동작 과정에서 조작 실패로 판정된 경우에는, 해당되는 패스 노트가 사라질 때가지 효과음원을 뮤팅하거나 효과음원의 음량을 일정정도 감소할 수 있다.
대신 음성제어부(140)는 각 패스 노트에 대한 키 입력 위치 및 타이밍이 정해진 성공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키 입력 성공을 표시부에 표시하고, 효과음원을 정상적으로 재생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패스노트가 사용되는 경우, 최초 시작 노트에 대한 조작에 실패가 있는 경우 효과음원의 음량을 일정 정도 감소시키고, 이어지는 경로 지시선에 대한 조작 실패가 연속되는 경우 효과음원의 음량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물론, 이 때, 음성제어부(140)는 패스 노트의 조작 성공 여부에 무관하게 음악음원은 지속적으로 재생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게임장치는 패스 노트에 대한 조작 성공 여부 및 조작 실패 여부를 표시부에 별도로 표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방식을 이용하면, 사용자는 패스 노트에 대한 키 입력(조작)을 실패한 경우 효과음원(타격음)은 들을 수 없거나 작은 음량으로 듣게 되어 조작 실패를 인식할 수 있게 되며, 조작 실패가 많아질수록 정상적인 음악 연주를 들을 수 없게 된다.
만일 사용자가 이전 노트의 입력을 실패하였다면 효과음원의 음량이 음소거 되거나 작은 음량으로 출력되지만, 그 다음 노트의 입력을 성공하게 되면 게임장치는 효과음원을 일정 음량으로 정상적으로 재생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키 입력을 실패한 후 다시 키 입력을 성공하게 되면 효과음(타격음)을 정상적으로 들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을 사용하면, 패스 노트에 대한 조작 성공 여부에 따라 효과음원만을 가변 출력하도록 제어하되, 음악음원은 노트에 대한 조작 성공 여부에 상관없이 연속적으로 출력함으로써, 키 입력 조작에 따른 효과음원의 출력에 시간 지연이 발생하더라도 게임의 흥미를 일정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효과음원에 음악의 보컬 파트를 포함시키게 되면, 게이머의 키 입력 조작이 게이머가 실제 노래를 부르는 것과 대응될 수 있어서 게임의 흥미를 더 배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방법은, 음악 연주게임을 실행하게 되면, 단계 510에서 게임화면 제공부(110)가 패스노트(300)의 이미지를 게임 화면 상에 표시한다.
게임 장치는 단계 520에서 사용자가 패스 노트를 구성하는 시작노트 조작 안내 표지(314)가 생성된 후 기준 크기인 제1크기에 도달할 제1타이밍까지의 시간 동안 상기 시작노트 입력인정범위(316) 내에 키입력(터치 입력)을 개시하였는 지를 판단한다.
게임 장치는 단계 530에서 패스노트의 경로 지시선(330)에 대한 조작 성공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키 입력이 중간판정지점(320)을 특정 개수 이상 연속으로 통과하지 못했거나, 중간판정지점의 통과 순서에 오류가 있는 경우 해당되는 패스노트의 경로지시선의 조작을 실패한 것으로 판정한다.
또한, 단계 540에서는 종지노트 조작 안내표지(344)가 종지노트 외벽(342)에서 생성된 후, 종지노트 조작 안내 표지(344)가 제2크기까지 감소되는 타이밍인 제2타이밍까지, 사용자의 키입력(터치 드래그)이 종지노트에 도달하는지 판정한다.
게임 장치는 상기 단계 520, 530, 540에서의 사용자의 키 입력이 모두 성공한 경우, 즉 시작노트에 대한 터치 개시 및 종지노트까지의 터치 드래그 조작이 모두 성공한 경우에 한하여, 패스노트(300)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을 성공이라고 판단하고(단계 550),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패스노트의 조작 실패라고 판단한다(단계 552).
다음으로, 게임 장치는 다수의 패스 노트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이 모두 실행되고 게임이 종료된 뒤, 사용자 실행한 노트에 대한 키 입력 조작 결과를 점수로 환산하고 이를 바탕으로 게임 클리어 조건을 충족하는 점수를 획득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사용자의 획득 점수에 따라서 게임 클리어 조건을 충족한다면 해당 게임은 클리어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게임장치와 게임방법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러한 게임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음악과 관련된 게임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로서, 시작노트와 종지노트 및 상기 시작노트와 종지노트를 연결하는 경로지시선을 포함하는 조작 안내 노트를 게임화면상에 제공하는 게임 화면 제공 기능과, 조작 안내 노트와 관련된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입력 기능과, 사용자의 조작이 상기 시작노트에서 시작하여 기설정 시간내에 상기 종지노트에서 종료되는지 판정하여 해당 조작 안내표지의 조작 성공을 판정하는 판정기능, 및 게임의 진행에 따라 상기 조작 안내 노트의 조작 성공 여부에 따른 효과음원과 음악을 구성하는 음악음원을 포함하는 음원데이터를 재생하는 음성제어기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게임 화면 제공부 120 : 입력부
130 : 판정부 140 : 음성제어부
150 : 메모리부 160 : 음원부
300 : 패스노트(조작 안내노트)
310 : 시작노트 312 : 시작노트 외벽
314 : 시작노트 조작안내표지 316 : 시작노트 입력인정범위
320 : 중간판정지점 330 : 경로지시선
340 : 종지노트 342 : 종지노트 외벽
344 : 종지노트 조작안내표지 346 : 종지노트 입력인정범위
410 : 제1타이밍

Claims (14)

  1. 시작노트와 종지노트 및 상기 시작노트와 종지노트를 연결하는 경로지시선을 포함하는 조작 안내 표지를 게임화면상에 제공하는 게임 화면 제공부;
    상기 조작 안내 표지와 관련된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사용자의 조작이 상기 시작노트에서 시작하여 기설정 시간내에 상기 종지노트에서 종료되는지 확인하여 해당 조작 안내표지의 조작 성공을 판정하는 판정부;
    게임의 진행에 따라 상기 조작 안내 표지의 조작 성공 여부에 따른 효과음원과 음악을 구성하는 음악음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음원데이터를 재생하는 음성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은 상기 게임화면에 대한 터치 입력이며,
    상기 판정부는 제1타이밍에 상기 시작노트에서 터치 입력이 개시되는 제1조건과, 상기 제1타이밍에서 제2타이밍까지의 시간인 기설정 시간 이내에 터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경로지시선을 따라 터치 조작이 드래그되는 제2조건을 만족하는지 판정하며,
    상기 경로지시선 상에는 다수의 중간 판정 지점이 배치되며, 상기 판정부는 상기 터치 조작의 드래그 과정에서 상기 중간 판정 지점 중 일정한 성공판단 기준개수 이상 통과하는 경우 해당 조작 안내 표지의 조작 성공으로 판정하며,
    상기 판정부는 상기 터치조작의 드래그 과정에서 상기 중간 판정지점을 통과하는지 여부만을 고려하여 조작 성공 여부를 결정하며, 중간 판정지점의 통과 타이밍 및 상기 드래그 과정에서의 터치 입력의 이동 속도는 고려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게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터치 조작의 드래그 과정에서 상기 중간 판정 지점 중 일정한 성공판단 기준개수 이상 연속적으로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 조작 실패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게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터치 조작의 드래그 과정에서 상기 성공판단 기준개수 이상의 중간 판정 지점을 통과하지 않은 경우 조작 실패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게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터치 조작의 드래그 과정이 상기 중간 판정 지점의 배치 순서에 역행하는 경우 조작 실패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게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공판단 기준 개수는 게임의 난이도 조정 및 상기 음악의 템포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게임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노트는 시작노트 외벽 또는 상기 시작노트 외벽 내부에서 생성되어 제1 크기까지 크기가 가변되는 시작노트 조작안내표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종지노트는 종지노트 외벽 또는 상기 종지노트 외벽 내부에서 생성되어 제2 크기까지 크기가 가변되는 종지노트 조작안내표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게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종지노트 조작안내표지는 상기 시작노트 조작안내표지가 상기 제1크기에 도달된 시점에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게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타이밍은 상기 시작노트 조작안내표지가 상기 제1 크기에 도달한 시점이고, 상기 제2타이밍은 상기 종지노트 조작안내표지가 상기 제2크기에 도달한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게임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제어부는 상기 판정부의 조작 성공 여부에 따라 상기 효과음원을 가변하여 출력하고, 상기 조작 성공 여부에 무관하게 상기 음악음원을 일정한 음량으로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게임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데이터는 상기 조작 안내 표지에 대한 조작 성공 결과에 무관하게 일정한 음량으로 재생되는 음악음원을 기록하는 음악음원 트랙과, 상기 조작 안내 표지에 대한 조작 성공 결과에 연동하여 가변 출력되는 효과음원을 기록한 효과음원 트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게임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효과음원은 상기 조작 안내 표지에 대한 타격음과, 상기 음악을 구성하는 보컬 음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게임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제어부는 상기 조작 안내 표지에 대한 조작이 실패한 경우 효과음원 중 일부분을 음소거하거나, 효과음원 중 일부분의 음량을 감소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게임 장치.
  14. 음악과 관련된 게임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로서,
    시작노트와 종지노트 및 상기 시작노트와 종지노트를 연결하는 경로지시선을 포함하는 조작 안내 표지를 게임화면상에 제공하는 게임 화면 제공 기능;
    상기 조작 안내 표지와 관련된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입력 기능;
    상기 사용자의 조작이 상기 시작노트에서 시작하여 기설정 시간내에 상기 종지노트에서 종료되는지 판정하여 해당 조작 안내표지의 조작 성공을 판정하는 판정기능;
    게임의 진행에 따라 상기 조작 안내 표지의 조작 성공 여부에 따른 효과음원과 음악을 구성하는 음악음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음원데이터를 재생하는 음성제어기능;
    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상기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은 상기 게임화면에 대한 터치 입력이며,
    상기 판정기능에서는 제1타이밍에 상기 시작노트에서 터치 입력이 개시되는 제1조건과, 상기 제1타이밍에서 제2타이밍까지의 시간인 기설정 시간 이내에 터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경로지시선을 따라 터치 조작이 드래그되는 제2조건을 만족하는지 판정하며,
    상기 경로지시선 상에는 다수의 중간 판정 지점이 배치되며, 상기 판정기능에서는 상기 터치 조작의 드래그 과정에서 상기 중간 판정 지점 중 일정한 성공판단 기준개수 이상 통과하는 경우 해당 조작 안내 표지의 조작 성공으로 판정하며,
    상기 판정기능에서는, 상기 터치조작의 드래그 과정에서 상기 중간 판정지점을 통과하는지 여부만을 고려하여 조작 성공 여부를 결정하며, 중간 판정지점의 통과 타이밍 및 상기 드래그 과정에서의 터치 입력의 이동 속도는 고려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80128594A 2016-04-11 2018-10-26 음악 게임 장치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11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333 2016-04-11
KR20160044333 2016-04-1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077A Division KR101922894B1 (ko) 2016-04-11 2017-02-14 음악 게임 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1844A KR20180121844A (ko) 2018-11-09
KR102001130B1 true KR102001130B1 (ko) 2019-10-01

Family

ID=6029846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077A KR101922894B1 (ko) 2016-04-11 2017-02-14 음악 게임 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80128594A KR102001130B1 (ko) 2016-04-11 2018-10-26 음악 게임 장치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077A KR101922894B1 (ko) 2016-04-11 2017-02-14 음악 게임 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780356B2 (ko)
JP (1) JP6814371B2 (ko)
KR (2) KR101922894B1 (ko)
CN (1) CN1094146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41093B2 (ja) * 2018-07-17 2022-09-22 株式会社アルファコード タイミングゲーム装置およびタイミングゲーム用プログラム
KR102202271B1 (ko) * 2019-04-16 2021-01-13 주식회사 네오위즈 게임 제어 방법, 게임 제어 장치 및 그 기록매체
CN117531196A (zh) * 2019-07-19 2024-02-0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多人在线对战程序中的提醒信息发送方法、装置及终端
KR102595353B1 (ko) * 2021-02-22 2023-10-31 주식회사 네오플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20266138A1 (en) * 2021-02-22 2022-08-25 Neo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ouch screen interface
CN113262470B (zh) * 2021-04-19 2024-02-23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控件处理方法、装置、处理器及电子装置
CN115350477A (zh) * 2022-08-15 2022-11-18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游戏音效播放方法、装置、存储介质以及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401B1 (ko) * 2008-08-05 2008-11-06 (주)펜타비전 오디오 게임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과 그를 위한 장치 및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150614B1 (ko) * 2010-05-28 2012-05-30 (주)네오위즈게임즈 연주게임을 위한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9244A (ja) * 1999-11-01 2001-05-15 Konami Co Ltd 音楽演奏ゲーム装置、演奏ガイド画像表示方法及び演奏ガイド画像形成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可読記録媒体
US6482087B1 (en) * 2001-05-14 2002-11-19 Harmonix Music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group musical interaction over a network
US7212213B2 (en) * 2001-12-21 2007-05-01 Steinberg-Grimm, Llc Color display instrument and method for use thereof
US7806759B2 (en) * 2004-05-14 2010-10-05 Konami Digital Entertainment, Inc. In-game interface with performance feedback
US20060009979A1 (en) * 2004-05-14 2006-01-12 Mchale Mike Vocal training system and method with flexible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JP3950142B2 (ja) * 2005-01-14 2007-07-25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装置、ゲー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80200224A1 (en) * 2007-02-20 2008-08-21 Gametank Inc. Instrument Game System and Method
EP2173444A2 (en) * 2007-06-14 2010-04-14 Harmonix Music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imulating a rock band experience
JP4520490B2 (ja) * 2007-07-06 2010-08-04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装置、ゲーム制御方法、及びゲーム制御プログラム
KR20100135064A (ko) * 2009-06-16 2010-12-24 (주)픽토소프트 휴대단말기의 게임 제어방법
US8414369B2 (en) * 2009-10-14 2013-04-09 745 Llc Music game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same
US20110086704A1 (en) * 2009-10-14 2011-04-14 Jack Daniel Davis Music game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same
KR101073790B1 (ko) 2010-09-16 2011-10-13 (주)네오위즈게임즈 터치입력을 이용한 게임방법, 게임장치 및 기록매체
KR101248081B1 (ko) 2011-02-22 2013-03-27 주식회사 티쓰리엔터테인먼트 리듬액션 게임장치
JP5261520B2 (ja) * 2011-03-08 2013-08-14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制御方法
CN102764505A (zh) * 2012-06-29 2012-11-07 广州华立科技有限公司 使用触屏游戏的方法,设备和记录介质
WO2014029902A1 (en) * 2012-08-20 2014-02-27 Mubik Entertainment Ltd Musical puzzle
JP2014200454A (ja) * 2013-04-04 2014-10-27 株式会社スクウェア・エニックス 記録媒体、ゲーム装置及びゲーム進行方法
JP2016041141A (ja) 2014-08-15 2016-03-31 株式会社コロプラ ゲームプログラム
KR101648931B1 (ko) * 2014-12-22 2016-08-17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리듬 게임 제작 방법, 장치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1606074B1 (ko) 2015-03-23 2016-04-01 김진영 터치 기반 타이밍 게임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401B1 (ko) * 2008-08-05 2008-11-06 (주)펜타비전 오디오 게임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과 그를 위한 장치 및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150614B1 (ko) * 2010-05-28 2012-05-30 (주)네오위즈게임즈 연주게임을 위한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게임 어플 리뷰] Cytus (사이터스) 리뷰", 인터넷 네이버 블로그 게시글(2012.04.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414621A (zh) 2019-03-01
KR101922894B1 (ko) 2018-11-28
US20190118096A1 (en) 2019-04-25
KR20170116568A (ko) 2017-10-19
US10780356B2 (en) 2020-09-22
JP2019513522A (ja) 2019-05-30
JP6814371B2 (ja) 2021-01-20
CN109414621B (zh) 2022-02-01
KR20180121844A (ko) 2018-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1130B1 (ko) 음악 게임 장치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JP5890968B2 (ja) ゲーム装置、ゲームプログラム
WO2019058942A1 (ja) 再生制御方法、再生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9861892B2 (en) Music game which changes sound based on the quality of players input
KR101150614B1 (ko) 연주게임을 위한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KR100895259B1 (ko) 전체음 제어 음악 게임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JP6411412B2 (ja) 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及びゲーム進行方法
KR101926421B1 (ko) 음악 연주 게임장치, 게임방법 및 기록매체
KR20050117808A (ko) 게임용 음악 연출 조작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기록매체
JP6590782B2 (ja) ゲーム装置、プログラム
WO2017179810A2 (ko) 음악 게임 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JP6387382B2 (ja) ゲーム装置、プログラム
JP4069891B2 (ja) 音楽的アミューズメントシステム
JP4069889B2 (ja) 音楽的アミューズメントシステム
JP4069890B2 (ja) 音楽的アミューズメントシステム
JP2005099844A (ja) 音楽的アミューズメントシステム
JP6045660B2 (ja) ゲーム装置、ゲームプログラム
JP6045661B2 (ja) ゲーム装置、ゲームプログラム
WO2017142321A2 (ko) 음악 연주 게임장치, 게임방법 및 기록매체
JP4069888B2 (ja) 音楽的アミューズメントシステム
JP2020171733A (ja) 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及びゲーム進行方法
JP2019037791A (ja) 記録媒体、ゲーム装置及びゲーム進行方法
JP2019025346A (ja) 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及びゲーム進行方法
JP2003308007A (ja) 演奏教習装置及び方法
JP2004240446A (ja) 音楽的アミューズメント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