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0096B1 - 농업 하우스용 필름 및 농업 하우스 - Google Patents

농업 하우스용 필름 및 농업 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0096B1
KR102000096B1 KR1020177017053A KR20177017053A KR102000096B1 KR 102000096 B1 KR102000096 B1 KR 102000096B1 KR 1020177017053 A KR1020177017053 A KR 1020177017053A KR 20177017053 A KR20177017053 A KR 20177017053A KR 102000096 B1 KR102000096 B1 KR 102000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agricultural house
house
carbon atoms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7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2587A (ko
Inventor
쇼고 가타노
유이 오미
기미토 와시야
아키히로 이케야마
에이지 이시이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265310A external-priority patent/JP631618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067332A external-priority patent/JP631623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067456A external-priority patent/JP6316235B2/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92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8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2Treatment of plants with carbon dioxid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07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8Greenhouses for treating plants with carbon dioxid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12Adsorbed ingredients, e.g. ingredients on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2Cellulose; Modified cellul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08L1/10Esters of organic acids, i.e. ac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08L1/10Esters of organic acids, i.e. acylates
    • C08L1/12Cellulose acet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07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 A01G9/1415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with double or multiple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J2301/08Cellulose derivatives
    • C08J2301/10Esters of organ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J2301/08Cellulose derivatives
    • C08J2301/10Esters of organic acids
    • C08J2301/12Cellulose acet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 Y02P60/147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Greenhouse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를 행하지 않아도 식물의 광합성에 필요한 CO2 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농업 하우스용 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농업 하우스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농업 하우스용 필름은,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를 함유하고, 25℃, 상대 습도 80%에 있어서의 평형 함수율이 4~8%이며, 두께가 60~200μm인 셀룰로스 필름인, 농업 하우스용 필름이다.

Description

농업 하우스용 필름 및 농업 하우스{FILM FOR AGRICULTURAL GREENHOUSE AND AGRICULTURAL GREENHOUSE}
본 발명은 농업 하우스용 필름 및 농업 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염화 바이닐,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등을 주원료로하는 투명 필름을 이용한 농업 하우스는, 하계의 일조 시 등에는 일광에 의한 일사열(日射熱)로 하우스 안이 40℃ 이상의 고온이 되는 것이 알려져 있고, 또 동계의 일조 시 등에는 일광에 의한 일사열만으로는 하우스 안의 보온 효과가 충분하지 않은 것이 알려져 있다.
이로 인하여, 하계의 일조 시에 있어서는 하우스 안의 공기를 에어컨으로 냉각하는 방법이나, 미스트 분무 냉각 장치(예를 들면, 미스트 팬, 미스트 쿨러 등)를 이용하여 하우스 안에 물방울(미스트 분무)을 비산시키고, 그 기화열에 의하여 냉각하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 동계의 일조 시에 있어서는 히터 등의 열원으로부터 열을 하우스 안에 공급하여 온도의 저하를 억제하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온실, 비닐 하우스 등의 하우스 안에, 히트 펌프의 실내기를 설치하고, 상기 하우스 밖에, 히트 펌프의 실외기를 설치한 하우스의 냉난방 장치에 있어서, 이 히트 펌프의 실내기의 토출구의 근방에, 순환 팬을 설치하며, 이 순환 팬에서 보내는 난기 또는 냉기를, 상기 순환 팬과, 길이 방향으로 마련된 다른 순환 팬으로 보내고, 이 순환 팬과 다른 순환 팬으로, 상기 토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난기 또는 냉기와, 토출구의 근방에 체류하는 내기(內氣)를 믹싱하면서, 상기 하우스의 길이 방향과 대략 수평 방향으로 난기 또는 냉기의 흐름과, 광역적인 난기 또는 냉기의 흐름을 확보하여, 하우스 전체에 균등하게 상기 난기 또는 냉기가 확충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 하우스의 냉난방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청구항 8]).
또, 미스트 분무 냉각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으로서는, 물방울의 기화에 의하여, 하우스 안이 고습 상태가 되기 때문에, 하우스 안의 공기를 환기하는 환기 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는, "상부를 투명한 피복재(2)로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하우스 본체(1) 내를 상하로 통기 가능한 구획재(6)에 의하여 천장측의 상부실(21)과 재배실이 되는 하부실(22)의 상하 2실로 구획하고, 상기 하부실(22)의 측면(11)에 방충망(3)을 설치하며, 상기 상부실(21) 내를 미스트 분무 냉방 장치(7)에 의하여 미스트 분무 냉방하고, 상기 상부실(21) 내의 공기를 하우스 밖으로 배출하는 배기 팬(5)을 갖고 있음과 함께, 상기 상부실(21) 내의 공기를 배기 팬(5)으로 강제 배기함으로써, 상기 하부실(22) 내의 공기가 상기 상부실(21) 내에 흡인되고 계속해서 상기 하부실(22) 내에 외기(外氣)가 상기 방충망(3)을 통하여 도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 온실."이 기재되어 있다([청구항 1]).
한편, 겨울철의 저온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름을 이중으로 한 이중 구조의 농업 하우스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3에는, "농업용 하우스의 측면 전체를 덮도록 배치되고, 적어도 2매의 합성 수지 시트를,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둔 개소에서 수평 방향으로 융착시켜 복수의 공기 유로부(流路部)가 형성된 보온 시트에 있어서, 합성 수지 시트의 각 융착 개소에는, 각각의 공기 유로에 연통하는 복수의 배수부를 수평 방향으로 필요한 간격을 두고 마련한 보온 시트."가 기재되어 있고([청구항 1]), 또 외측에 위치하는 합성 수지 시트가 비투기성의 시트이고, 또한 내측에 위치하는 합성 수지 시트가 다수의 미소 미세 구멍이 형성된 투기성의 시트인 양태가 기재되어 있다([청구항 3] [청구항 4]).
또, 농업 하우스용 필름은, 일반적으로, 염화 바이닐,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등을 주원료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재료로 제작된 농업 하우스는, 투습성(투습도)이 낮기 때문에, 땅 속으로부터의 수증기가 필름 내면에 부착하여 물방울을 형성하고, 그 결과 필름의 투명성이 저하되며, 나아가서는 물방울이 떨어져, 식물 장애를 일으키는 문제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4 및 5 등 참조).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예를 들면 특허문헌 6에서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양 최외층 및 친수성 수지를 포함하는 중간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성의 기체(基體) 필름과, 그 적어도 편면의 최표면에 친수성 도막층을 갖고, 가시 형상 돌기를 갖는 니들에 의하여 드릴링 가공을 행하여 얻어진 미세 구멍을 복수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적층 필름."이 제안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17093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198035호 특허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10590호 특허문헌 4: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1-320161호 특허문헌 5: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6-279756호 특허문헌 6: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039056호
본 발명자들은, 하우스 안의 냉난방 시의 환기에 대하여 검토한바, 환기를 행하면 냉난방의 효율이 떨어지는 것은 당연하지만, 냉난방의 효율화의 관점에서 환기를 행하지 않고 냉난방을 행하면, 일조 시의 식물의 광합성에 의하여 하우스 안의 이산화 탄소(CO2)가 소비되어, 식물의 광합성에 필요한 CO2 농도가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는 것을 밝혀냈다.
또, 본 발명자들은, 동일한 문제가, 병해충의 침입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환기를 행하지 않고 생육시킬 때에도 발생하는 것을 밝혀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있어서는, 환기를 행하지 않아도 식물의 광합성에 필요한 CO2 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농업 하우스용 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농업 하우스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이하, "제1 과제"라고 약기함)로 한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분무 장치에 의하여 하우스 안을 냉각하는 방법에 대하여 검토한바, 특허문헌 2 등에 기재된 미스트 분무 냉방(냉각)을 행하는 농업 하우스는, 분무에 의하여 상승한 하우스 안의 습도를 낮추는 관점에서 환기를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미스트 분무 냉각과 환기를 교대로 행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또 환기에 따라 병충해가 유입되는 문제가 있는 것을 밝혀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있어서는 환기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아, 병충해의 유입을 억제할 수 있는 농업 하우스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이하, "제2 과제"라고 약기함)로 한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보온 시트에 대하여 검토한바, 내측에 위치하는 합성 수지 시트(내부 설치 필름)로서, 미소 미세 구멍이 형성된 투기성을 갖는 시트를 이용한 경우에는, 온도 차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시트 내측(농업 하우스의 내부측)의 결로의 방지 효과가 충분하지 않고, 또 광선 투과율도 낮아져, 식물의 생육이나 농업 하우스 안의 보온 효과가 저해될 가능성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있어서는, 내부 설치 필름의 내측의 결로를 억제하고, 또한 광선 투과율이 높은 농업 하우스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이하, "제3 과제"라고 약기함)로 한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특허문헌 4~6 등에 기재된 종래 공지의 농업 하우스용 필름에 대하여 검토한바, 방적성(防滴性)을 높이면 가공성이 뒤떨어지는 경우가 있어, 이들 성능을 높은 레벨로 양립하는 것이 곤란한 것을 밝혀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있어서는, 방적성 및 가공성이 모두 우수한 농업 하우스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이하, "제4 과제"라고 약기함)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제1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를 함유하고, 25℃, 상대 습도 80%에 있어서의 평형 함수율이 4~8%이며, 두께가 60~200μm인 셀룰로스 필름을 이용함으로써, 환기를 행하지 않아도 식물의 광합성에 필요한 CO2 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의 제1 양태를 완성시켰다.
즉, 이하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1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1]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를 함유하고,
25℃, 상대 습도 80%에 있어서의 평형 함수율이 4~8%이며, 두께가 60~200μm인 셀룰로스 필름인, 농업 하우스용 필름.
[2] 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인, [1]에 기재된 농업 하우스용 필름.
[3] 투습도가 600g/m2/24h 이상인, [1] 또는 [2]에 기재된 농업 하우스용 필름.
[4]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의 아세틸기 치환도가 2.5~3.0인,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농업 하우스용 필름.
[5] 골조와 필름을 갖고,
필름이, 골조에 설치됨으로써 외부로부터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며,
필름이,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농업 하우스용 필름인, 농업 하우스.
[6] 공간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 수단을 갖지 않는, [5]에 기재된 농업 하우스.
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제2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를 함유하고, 투습도가 600g/m2/24h 이상이며, 두께가 80~200μm인 필름을 이용하여 하우스를 구성함으로써, 환기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아, 병충해의 유입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의 제2 양태를 완성시켰다.
즉, 이하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2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1] 골조와 필름을 갖고,
필름이, 골조에 설치됨으로써 외부로부터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며,
필름이,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를 함유하고, 투습도가 600g/m2/24h 이상이며, 두께가 80~200μm인 셀룰로스 필름이고,
미스트화된 물을 공간 내에 분무하는 분무 장치를 갖는, 농업 하우스.
[2] 분무 장치가, 미스트화된 물을 공간 내에 분무함으로써 공간을 냉각하는 미스트 분무 냉각 장치인, [1]에 기재된 농업 하우스.
[3] 공간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 수단을 갖지 않는, [1] 또는 [2]에 기재된 농업 하우스.
[4]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의 아세틸기 치환도가 2.5~3.0인,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농업 하우스.
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제3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를 함유하고, 투습도가 600g/m2/24h 이상인 셀룰로스 필름을 내부 설치 필름으로서 이용하여, 내부 설치 필름과 외부 설치 필름의 간극에 존재하는 공기를 환기하는 환기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내부 설치 필름의 내측의 결로를 억제하고, 또한 광선 투과율을 높게 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의 제3 양태를 완성시켰다.
즉, 이하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3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1] 외부로부터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 설치 필름과, 외부 설치 필름의 내측에, 외부 설치 필름과 간극을 갖도록 마련되는 내부 설치 필름과, 간극에 존재하는 공기 중 적어도 일부와 외부의 공기를 환기하는 환기 수단을 갖고,
내부 설치 필름 중 적어도 일부가,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를 함유하고, 투습도가 600g/m2/24h 이상인 셀룰로스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는, 농업 하우스.
[2] 외부 설치 필름 중 적어도 일부가, 환기 수단을 구비하고,
환기 수단이, 투습도가 500g/m2/24h 이상인 필름인, [1]에 기재된 농업 하우스.
[3] 환기 수단이,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를 함유하고, 투습도가 600g/m2/24h 이상인 셀룰로스 필름인, [2]에 기재된 농업 하우스.
[4] 내부 설치 필름의 지붕부가, 셀룰로스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는,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농업 하우스.
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제4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를 함유하고, 투습도 및 탄성률이 소정의 값을 나타내는 필름을 이용함으로써, 방적성 및 가공성이 모두 양호해지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의 제4 양태를 완성시켰다.
즉, 이하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4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1]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를 함유하고,
투습도가 600g/m2/24h 이상이며, 또한 탄성률이 3.0GPa 미만인, 농업 하우스용 필름.
[2] 폴리에터에스터 및/또는 폴리에터를 포함하는 가소제를 더 함유하고,
가소제의 함유량이,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0~70질량부인, [1]에 기재된 농업 하우스용 필름.
[3]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의 아세틸기 치환도가 2.5~3.0인, [1] 또는 [2]에 기재된 농업 하우스용 필름.
[4] 가소제가, 하기 식 (A)로 나타나는 폴리에터에스터를 포함하는, [2] 또는 [3]에 기재된 농업 하우스용 필름.
[화학식 1]
Figure 112017059449430-pct00001
식 (A) 중, R1은 탄소수 2~10의 2가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를 나타내고,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6의 2가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를 나타내며,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20의 알킬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2~20의 아실기를 나타낸다. n은 각각 독립적으로 1~20의 정수를 나타내고, p는 1~15의 정수를 나타낸다. 반복 단위에 포함되는 복수의 R1, R2 및 n은 각각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5] 식 (A) 중, R3이 탄소수 1~20의 알킬기인, [4]에 기재된 농업 하우스용 필름.
[6] 가소제가, 하기 식 (B)로 나타나는 폴리에터를 포함하는, [2] 또는 [3]에 기재된 농업 하우스용 필름.
[화학식 2]
Figure 112017059449430-pct00002
식 (B) 중, R4는 탄소수 2~6의 2가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를 나타내고,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20의 알킬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 탄소수 2~20의 아실기, (메트)아크릴로일기, 또는 (메트)아크릴로일기가 중합한 하기 식 (b)로 나타나는 기를 나타낸다. m은 1~20의 정수를 나타낸다. 반복 단위에 포함되는 복수의 R4는 각각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화학식 3]
Figure 112017059449430-pct00003
식 (b) 중, *는 식 (B)에 있어서의 R5 또는 R6과 결합하는 산소 원자를 나타내고, R7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며, q는 1~10의 정수를 나타낸다. 반복 단위에 포함되는 복수의 R7은 각각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7] 식 (B) 중, R5가 탄소수 6~20의 아릴기 또는 (메트)아크릴로일기인, [6]에 기재된 농업 하우스용 필름.
[8] 두께가 60μm~200μm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농업 하우스용 필름.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하면, 환기를 행하지 않아도 식물의 광합성에 필요한 CO2 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농업 하우스용 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농업 하우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하면, 환기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아, 병충해의 유입을 억제할 수 있는 농업 하우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의하면, 내부 설치 필름의 내측의 결로를 억제하고, 또한 광선 투과율이 높은 농업 하우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의하면, 방적성 및 가공성이 모두 우수한 농업 하우스용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양태 및 제2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의 외관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의 내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의 외관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일부 생략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의 내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의 내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의 내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실시예 2-1 및 비교예 2-1에서 제작한 농업 하우스에 있어서 미스트 분무 냉각 장치를 가동시켰을 때의 하우스 내부와 외부(외기)에 있어서의 이산화 탄소 농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양태~제4 양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재하는 구성 요건의 설명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양태에 근거하여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은 실시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를 이용하여 나타나는 수치 범위는 "~"의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하한값 및 상한값으로서 포함하는 범위를 의미한다.
[농업 하우스용 필름(제1 양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용 필름은,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를 함유하고, 25℃, 상대 습도 80%에 있어서의 평형 함수율이 4~8%이며, 두께가 60~200μm인 셀룰로스 필름이다.
여기에서, 25℃, 상대 습도 80%에 있어서의 평형 함수율이란, 측정 대상(샘플)이 되는 필름을 25℃, 상대 습도 80%의 환경하에서 24시간 이상 조습한 후에, 측정에 적합한 질량(500mg)을 필름으로부터 샘플링하고, 수분량을 칼 피셔 수분계(AQ-2200, 히라누마 산교사제)를 이용하여 측정하며, 측정한 수분량(mg)을 샘플 질량(500mg)으로 나누어 산출한 값을 말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를 함유하고, 25℃, 상대 습도 80%에 있어서의 평형 함수율이 4~8%이며, 두께가 60~200μm인 셀룰로스 필름을 이용함으로써, 환기를 행하지 않아도 식물의 광합성에 필요한 CO2 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이유는 상세하게는 분명하지 않지만, 본 발명자들은 이하와 같이 추측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필름 내를 물질이 투과하는 방법은, 물리 확산과 캐리어 수송의 2종류가 알려져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셀룰로스 필름이 물을 매체로 하여 CO2를 외부로부터 도입하는 캐리어 수송에 의하여, CO2 농도를 유지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다.
즉,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용 필름은, 일반적인 농업 하우스용 필름(예를 들면, 염화 바이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보다 물과의 친화성이 높기 때문에, 상술한 평형 함수율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보다 친수성이 높은 필름(예를 들면, 폴리바이닐알코올(PVA) 등)에서 보이는 함수에 의한 강도 저하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용 필름에서는 볼 수 없었다.
이로 인하여, 하우스 안이 고온 다습의 환경이 되면, 상기 셀룰로스 필름이 물을 포함하고, 셀룰로스 필름 중의 물에 하우스 밖의 CO2가 흡착 내지 용해됨으로써, 하우스 안에 CO2를 도입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용 필름은, 상술한 바와 같이, CO2를 하우스 밖으로부터 도입할 수 있다고 생각되지만, 실제로 상기 셀룰로스 필름의 CO2 투과도를 측정하면, 농업 하우스에서의 육성 환경을 모의한, 25℃, 상대 습도 80%에 있어서의 CO2 투과도가 1.0×10-6(cm3/(s·cm2·cmHg)) 이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용 필름은,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를 함유하고, 25℃, 상대 습도 80%에 있어서의 CO2 투과도가 1.0×10-6(cm3/(s·cm2·cmHg)) 이상이 되는 농업 하우스용 필름이라고도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일반적인 필름의 CO2 투과도는, 건막 조건, 즉 JIS K 6275-1에 기재된 "차압법"에 준하여 측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샘플의 표면(공급측)에 탄산 가스를 압력 800kPa로 공급하고, 이면(투과측)을 3Pa까지 진공 펌프로 감압한다. 다음으로 진공 펌프를 멈추어 투과측의 압력 변화를 기록하고, JIS K 6275-1에 따라 지연 시간법에 의하여 산출한다. 측정 온도는 40℃, 샘플 평가 면적은 3.14cm2로 측정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용 필름의 CO2 투과도는, 습막 조건, 즉 농업 하우스 안의 육성 환경을 모의한 25℃, 상대 습도 80%에서의 CO2 투과도를 이하의 방법에 의하여 측정한 값을 말한다.
먼저, 스테인리스제의 골조를 이용하여, 25cm×33cm×33cm의 골격을 쌓아올리고, 전체면(6면)에 각 필름을 첩부하여, 소형의 하우스 시험체를 제작했다.
이어서, 하우스 시험체를 실온 25℃, 상대 습도 80%의 환경하에서 24시간 이상 조습하고, 그 후 내부에 CO2 농도계(TR-76UI, T&D사제)를 설치하며, CO2 가스를 10000ppm이 될 때까지 불어넣고, 점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하우스 시험체의 내부를 밀폐 상태로 했다.
이어서, 25℃, 상대 습도 80%의 환경하에 설치하고, 하우스 시험체의 표면(필름)을 유수하(流水下)에 둠으로써 상시 젖은 상태로 하여, 그 환경하에서의 CO2 가스 농도 추이를 24시간 기록했다.
내부의 CO2 가스 농도의 저하에 대하여 24시간 기록한 결과로부터, CO2 가스 농도의 저하 속도를 구하고, 그 저하 속도에 대하여 이론값에 의한 피팅과의 비교를 행하여, 습막 조건(25℃ 상대 습도 80%)에서의 CO2 투과 계수로 했다.
피팅은 하기 식에 의하여 단위 시간당 CO2 투과량(즉, CO2 투과도) T를 계산하고, 경과 시간에 대한 이론적인 CO2 농도 변화를 플롯했다.
CO2 농도는, 1초 간은 최초의 압력차 조건으로 기체가 이동한다고 가정함으로써 CO2 투과 계수의 값을 실제의 측정값으로 피팅했다.
T(CO2 투과도)=(CO2 투과 계수×필름 표면적×압력차)/필름 두께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용 필름이 함유하는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탄소수 2~22의 지방족 아실기(예를 들면, 아세틸기, 프로피온일기, 뷰티릴기, 펜탄오일기 등)를 포함하는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 무치환의 방향족 아실기를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는, 후술하는 투습도를 유지하는 관점에서, 셀룰로스 필름의 총 질량에 대하여 60~90질량%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65~80질량% 함유하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의 원료 셀룰로스로서는, 예를 들면 면화 린터, 케나프, 목재 펄프(광엽수 펄프, 침엽수 펄프)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1종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이들 중, 원료 셀룰로스로서는, 면화 린터 및/또는 목재 펄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면화 린터 및/또는 목재 펄프는 α-셀룰로스를 80%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면화 린터 및/또는 목재 펄프는, 만노스/크실로오스=0.35/1~3.0/1(몰비)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총 함유량이 0.01~5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면화 린터와 목재 펄프를 병용하는 경우의 혼합비는 5/95~95/5인 것이 바람직하다.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를 구성하는 셀룰로스아실레이트란, 셀룰로스의 카복실산 에스터이며, 예를 들면 셀룰로스의 저급 카복실산 에스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셀룰로스아실레이트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셀룰로스아세테이트, 셀룰로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스아세테이트뷰티레이트, 셀룰로스아세테이트스테아레이트, 셀룰로스아세테이트벤조에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셀룰로스아세테이트인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트라이아세틸셀룰로스(TAC)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셀룰로스아실레이트는, 활성화 공정(전처리 공정), 아실화 공정(아세틸의 경우는 아세틸화 공정), 숙성 공정, 침전 공정, 정제 공정, 건조 공정, 분쇄 공정 중의 조합에 의하여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셀룰로스아실레이트의 원료 면이나 합성 방법에 대해서는, 발명 협회 공개 기보(공기 번호 2001-1745, 2001년 3월 15일 발행, 발명 협회)의 7페이지 내지 12페이지에도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또, 셀룰로스아실레이트의 점도 평균 중합도(DP)가 200~7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셀룰로스아실레이트의 중량 평균 분자량(Mw)과 수평균 분자량(Mn)의 비(Mw/Mn)가 1.0~5.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4.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5~3.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점도 평균 중합도는, 점도법(ASTM D2857)에 의한 평균 분자량을 말하고, 중량 평균 분자량 및 수평균 분자량은, 각각 젤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GPC)법에 의하여 측정되는 분자량을 말한다.
또, 셀룰로스아실레이트는, 잔존 아세트산량 또는 탄소수 3~22의 카복실산의 잔존량이 0.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셀룰로스아실레이트는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류 금속 중 적어도 1종을 1ppb~10000ppm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셀룰로스아실레이트는 25℃에서의 아세톤 추출량이 1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셀룰로스아실레이트는 산해리 지수 1.93~4.5의 산 혹은 부분 에스터화물, 또는 이들의 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셀룰로스아실레이트의 함수율이 2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셀룰로스아실레이트의 옐로니스 인덱스(yellowness index)가 0.1~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셀룰로스아실레이트의 헤이즈가 0.05~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셀룰로스아실레이트의 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셀룰로스아실레이트의 Tg가 80~2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셀룰로스아실레이트의 결정화 발열량이 2~20J/g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있어서는, 셀룰로스아실레이트는 셀룰로스의 수산기에 대한 치환도가, 하기 식 (1) 및 (2)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0≤SA+SB≤3.0…식 (1)
0≤SA≤3.0…식 (2)
여기에서, 식 중, "SA"는 셀룰로스의 수산기의 수소 원자를 치환하고 있는 아세틸기의 치환도를 나타내고, "SB"는 셀룰로스의 수산기의 수소 원자를 치환하고 있는 아세틸기 이외의 아실기의 치환도를 나타낸다.
또, 상기 식 (2)는, 얻어지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용 필름의 가공성이 보다 양호해지는 이유에서 하기 식 (3)으로 나타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평형 함수율이 높아져, CO2 농도를 하우스 밖의 농도와 동등한 정도로 유지할 수 있는 이유에서 하기 식 (4)로 나타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2.0≤SA≤3.0…식 (3)
2.2≤SA≤2.6…식 (4)
<첨가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용 필름은, 사용 환경에 따라, 가소제, 매트제, 열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가소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하기 식 (A)로 나타나는 폴리에터에스터를 포함하는 에스터계 가소제, 하기 식 (B)로 나타나는 폴리에터를 포함하는 에터계 가소제를 적합하게 들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112017059449430-pct00004
상기 식 (A) 중, R1은 탄소수 2~10의 2가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를 나타내고,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6의 2가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를 나타내며,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20의 알킬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2~20의 아실기를 나타낸다. n은 각각 독립적으로 1~20의 정수를 나타내고, p는 1~15의 정수를 나타낸다. 또한, 반복 단위에 포함되는 복수의 R1, R2 및 n은 각각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또, 상기 식 (B) 중, R4는 탄소수 2~6의 2가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를 나타내고,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20의 알킬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 탄소수 2~20의 아실기, (메트)아크릴로일기, 또는 (메트)아크릴로일기가 중합한 하기 식 (b)로 나타나는 기를 나타낸다. m은 1~20의 정수를 나타낸다. 또한, 반복 단위에 포함되는 복수의 R4는 각각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여기에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메트)아크릴로일기"란, 아크릴로일기(CH2=CHCO-) 또는 메타크릴로일기(CH2=C(CH3)CO-)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화학식 5]
Figure 112017059449430-pct00005
상기 식 (b) 중, *는 상기 식 (B)에 있어서의 R5 또는 R6과 결합하는 산소 원자를 나타내고, R7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며, q는 1~10의 정수를 나타낸다. 반복 단위에 포함되는 복수의 R7은 각각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있어서는, 가소제를 함유하는 경우의 함유량은,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0~7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20~60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0~60질량부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40~60질량부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매트제로서는, 유기 또는 무기 미립자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또, 열화 방지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힌더드아민계 광안정제, 산화 방지제, 과산화물 분해제, 라디칼 금지제, 금속 불활성화제, 산포획제, 아민 등을 들 수 있다.
또,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자외선 흡수성을 발현할 수 있는 것으로, 공지의 것을 모두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벤조트라이아졸계나 하이드록시페닐트라이아진계의 자외선 흡수제를 적합하게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첨가제를 첨가하는 경우, 후술하는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용액(도프) 중에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용 필름의 평형 함수율이 4~8%이며, CO2 농도를 유지하기 쉬워지는 이유에서, 5~8%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용 필름의 두께는 60μm~200μm이며, 가공성이 양호해지는 이유에서, 80μm~150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80μm~120μ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농업 하우스용 필름은, 단층 구조여도 되고 적층 구조여도 되지만, 단층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용 필름의 광선 투과율은, 하우스 안의 식물의 광합성을 촉진하고, 하우스 안의 온도를 적합하게 유지하는 등의 이유에서,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0%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광선 투과율은 분광 광도계(자스코 엔지니어링제: V-560)를 이용하여 측정을 행하고, 광합성에 유효한 파장역(400~700nm)에 대하여 평균한 투과율을 말한다.
또,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용 필름의 투습도는, 농업 하우스의 결로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나, 미스트 분무 중인 하우스 안의 상대 습도를 저감시켜, 미스트 분무 냉각 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 등의 관점에서, 600g/m2/24h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00g/m2/24h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00g/m2/24h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투습도란, JIS Z 0208:1976의 "방습 포장 재료의 투습도 시험 방법(컵법)"에 기재된 수법에 따라, 온도 40℃, 상대 습도 90%의 조건하에서 24시간 동안 통과한 수증기의 양(g/m2/24h)을 말한다.
<농업 하우스용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용 필름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셀룰로스아실레이트를 유기 용제에 용해시킨 도프(셀룰로스아실레이트 용액)를 유연(流延) 다이로부터, 케이싱 내에서 회전하는 엔드리스 벨트 또는 드럼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체(이하, 이들을 일괄하여 "지지체"라고 약기함) 위에 유연하고, 지지체로부터 박리하며, 더 건조시켜 필름을 형성하는 용액 제막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용매)
셀룰로스아실레이트를 용해하는 유기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젠, 톨루엔 등의 탄화 수소계 용매; 메틸렌 클로라이드, 클로로벤젠 등의 할로젠화 탄화 수소계 용매; 메탄올, 에탄올, 다이에틸렌글라이콜 등의 알코올계 용매; 아세톤 등의 케톤계 용매; 아세트산 메틸,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프로필 등의 에스터계 용매;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메틸셀로솔브 등의 에터계 용매;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1종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이들 중, 탄소 원자수 1~7의 할로젠화 탄화 수소계 용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셀룰로스아실레이트의 용해성, 지지체로부터의 박리성, 필름의 기계 강도 등의 관점에서, 메틸렌 클로라이드 외에, 탄소 원자수 1~5의 알코올을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코올의 함유량은, 용제 전체에 대하여 2~25질량%가 바람직하고, 5~2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알코올의 구체예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아이소프로판올, n-뷰탄올 등을 들 수 있고, 메탄올, 에탄올, n-뷰탄올, 혹은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용액의 조제)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용액의 조제 방법은, 먼저, 셀룰로스아실레이트와 유기 용매를 혼합하고, -10~55℃에서 셀룰로스아실레이트를 용해하며, 그 용해부, 미용해부 및 유기 용매의 혼합물을 0~97℃로 가온하여 용매 중에 셀룰로스아실레이트를 완전하게 용해시키는 조제 방법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조제되는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용액은 필요에 따라 농축해도 되지만, 셀룰로스아실레이트가 5~40질량%의 농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용액은, 40℃에서의 점도가 10~3000Pa·s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셀룰로스아실레이트와 유기 용매를 혼합할 때에, 셀룰로스아실레이트의 90질량% 이상이 0.1~4mm인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용액은, 유연하기 전에, 0~200℃의 온도에서 여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여과 필터의 평균 구멍 직경이 10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 여과 유량이 50리터/hr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연)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용액을 유연하는 공정은, 그 용액 온도가 -10~57℃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공정의 온도가 -10~57℃에서 보온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용액을 유연하는 지지체가, -20~40℃의 표면 온도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
유연 후의 박리는, 박리 시의 건조풍의 온도가 20~2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건조 시의 미건조의 농업 하우스용 필름이, 텐터로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용액 제막으로 제작되는 농업 하우스용 필름은, 적어도 1축 유연 중 혹은 유연 후에 0.5~300% 연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유연 시의 속도가 1~200m/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농업 하우스용 필름은, 필름의 권취 형태가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100m 이상이고, 또한 폭방향이 60c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상술한 방법 이외의 공지의 방법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발명 협회 공개 기보(공기 번호 2001-1745, 2001년 3월 15일 발행, 발명 협회)의 12페이지 내지 30페이지에 기재된 방법 등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농업 하우스(제1 양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는 골조와 필름을 갖고, 필름이 골조에 설치됨으로써 외부로부터 구획된 공간이 형성되는 농업 하우스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의 외관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농업 하우스(10)는, 골조(2)에 설치된 필름(1)을 갖는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농업 하우스(10)는, 골조(2)에 설치된 필름(1)에 의하여 전체면이 덮여 있으며, 특허문헌 1(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17093호)의 도 4 등에 도시되는 배기 팬을 갖고 있지 않았다.
이하에,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를 구성하는 골조 및 필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골조〕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가 갖는 골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비닐 하우스 등에서 이용되는 골재(예를 들면, 강재, 강관 등)를 이용할 수 있다.
〔필름〕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가 갖는 필름은, 상기 골조에 설치되는 필름이며,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용 필름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용 필름을 갖고 있기 때문에, 환기를 행하지 않아도 식물의 광합성에 필요한 CO2 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는, 적극적인 환기 수단(예를 들면, 하우스의 천장이나 측면에 마련되는 환기 팬 등)을 마련할 필요가 없고, 냉난방의 효율이 좋아지며, 또 병충해의 유입을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환기 수단에는, 농업 하우스 안에서 작업에 종사하는 작업원을 위한 출입구가 포함되지 않지만, 이 출입구에 대해서도, 예를 들면 이중 문 등으로 하여, 외부의 공기가 하우스 안의 공간으로 직접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농업 하우스(제2 양태)]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는, 골조와 필름을 갖고, 필름이 골조에 설치됨으로써 외부로부터 구획된 공간이 형성되는 농업 하우스이다.
상기 필름은,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를 함유하고, 투습도가 600g/m2/24h 이상이며, 두께가 80~200μm인 셀룰로스 필름이다.
또,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는, 미스트화된 물을 공간 내에 분무하는 분무 장치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의 외관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의 내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농업 하우스(10)는, 골조(2)에 설치된 필름(1)을 갖고, 하우스의 공간 내에 미스트화된 물을 분무하는 분무 장치(3) 및 급수 탱크(4)를 갖는다.
또,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농업 하우스(10)는 골조(2)에 설치된 필름(1)에 의하여 전체면이 덮여 있으며, 특허문헌 2(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198035호)의 도 1 등에 도시되는 흡기 팬이나 배기 팬을 갖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는, 상술한 구성, 특히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를 함유하고, 투습도가 600g/m2/24h 이상이며, 두께가 80~200μm인 필름을 이용하여 하우스를 구성함으로써, 분무 장치에 의한 냉각을 이용한 경우이더라도, 환기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아, 병충해의 유입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이유는 상세하게는 분명하지 않지만, 상기 필름의 투습도 및 두께가 상술한 수치 범위 내인 것에 의하여, 분무 장치에 의하여 분무된 물 중 적어도 일부가, 필름을 통하여 외부로 서서히 투과되어, 농업 하우스 안의 습도가 저하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를 구성하는 골조, 필름 및 분무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골조〕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가 갖는 골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비닐 하우스 등에서 이용되는 골재(예를 들면, 강재, 강관 등)를 이용할 수 있다.
〔필름〕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가 갖는 필름(이하, "제2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용 필름"이라고도 함)은, 상기 골조에 설치되는 필름이며,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를 함유하고, 투습도가 600g/m2/24h 이상이며, 두께가 80~200μm인 셀룰로스 필름이다.
여기에서, 투습도란,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용 필름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동의이다.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
제2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용 필름이 함유하는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용 필름이 함유하는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첨가제>
제2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용 필름은, 사용 환경에 따라, 가소제, 매트제, 열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들 첨가제로서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용 필름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제2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용 필름의 두께는, 80μm~200μm이며, 가공성이 양호해지는 이유에서, 80μm~150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80μm~120μ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용 필름은, 단층 구조여도 되고 적층 구조여도 되지만, 단층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농업 하우스용 필름의 제조 방법>
제2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용 필름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용 필름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분무 장치〕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가 갖는 분무 장치는, 미스트화된 물을 하우스의 공간 내에 분무하는 장치이다.
분무 장치로서는,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미스트화된 물을 하우스의 공간 내에 분무함으로써 공간을 냉각하는 미스트 분무 냉각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무 장치는, 후술하는 미스트 분무 냉각 장치 외에, 하우스 안의 식물에 대한 급수에 이용하는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미스트 분무 냉각 장치>
미스트 분무 냉각 장치는, 미스트 분무 냉방 팬이라고도 불리는 것이며, 예를 들면 미스트 팬, 미스트 쿨러 등 공지의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또, 미스트 분무 냉각 장치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068740호에 기재된 "송풍하는 팬과, 이 팬에 미스트 분무를 보내는 분무 수단으로 구성된 농작물의 생육을 제어하는 미스트 분무 냉각 장치"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57068호에 기재된, "가압 공기를 사용하여 액체를 미스트화하는 공기 미스트화형의 노즐을 사용하여 공간 내에 물을 분무할 수 있는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도 2에 있어서는, 급수 탱크(2)가 농업 하우스 안에 설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미스트화된 물을 하우스의 공간 내에 분무하는 수단(예를 들면, 송풍 팬이나 노즐)만이 농업 하우스 안에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분무량>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있어서는, 분무 장치의 분무량은, 여름철의 낮에도 충분한 냉각 효과가 얻어지고, 또 결로의 발생을 보다 억제할 수 있는 이유에서, 5~30g/m2·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10~20g/m2·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는, 상술한 제2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용 필름을 갖고 있기 때문에, 환기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아, 병충해의 유입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는, 적극적인 환기 수단(예를 들면, 하우스의 천장이나 측면에 마련되는 환기 팬 등)을 마련할 필요가 없지만, 병충해의 유입을 보다 억제할 수 있고, 또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환경을 조정하기 쉬워지는 이유에서, 환기 수단을 갖고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환기 수단에는, 농업 하우스 안에서 작업에 종사하는 작업원을 위한 출입구가 포함되지 않지만, 이 출입구에 대해서도, 예를 들면 이중 문 등으로 하여, 외부의 공기가 하우스 안의 공간으로 직접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는, 상술한 농업 하우스용 필름을 갖고 있음으로써, 후술하는 도 7에 있어서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스 안의 이산화 탄소 농도를 외기와 동등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식물의 광합성에 필요한 이산화 탄소를 외부로부터 불어넣는 등의 작업이 불필요해진다.
[농업 하우스(제3 양태)]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는, 외부로부터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 설치 필름과, 외부 설치 필름의 내측에, 외부 설치 필름과 간극을 갖도록 마련되는 내부 설치 필름과, 간극에 존재하는 공기 중 적어도 일부와 외부의 공기를 환기하는 환기 수단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부 설치 필름의 일부가 환기 수단을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외부 설치 필름의 전부가 환기 수단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에 있어서의 내부 설치 필름은, 그 적어도 일부가,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를 함유하고, 투습도가 600g/m2/24h 이상인 셀룰로스 필름으로 구성되는 필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의 외관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일부 생략 사시도이며, 도 4~도 6은, 본 발명의 농업 하우스의 내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3~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농업 하우스(20)는, 외부 설치 필름(11)과 내부 설치 필름(12)(부호 12a: 지붕부, 부호 12b: 벽면부)을 갖는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설치 필름(11)은, 골조(13)에 의하여 설치된 양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3~도 5에 나타내는 농업 하우스(20)은, 외부 설치 필름(11)의 적어도 일부가 환기 수단을 겸한 양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설치 필름(11)과는 별체로 구성되는 환기 팬(14)을 마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는, 상술한 구성, 특히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를 함유하고, 투습도가 600g/m2/24h 이상인 셀룰로스 필름을 내부 설치 필름으로서 이용하며, 내부 설치 필름과 외부 설치 필름의 간극에 존재하는 공기를 환기하는 환기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내부 설치 필름의 내측의 결로를 억제하고, 또한 농업 하우스의 광선 투과율을 높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이유는 상세하게는 분명하지 않지만, 본 발명자들은 이하와 같이 추측하고 있다.
먼저, 특허문헌 3(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10590호)에 기재된 미소 미세 구멍이 형성된 투기성을 갖는 시트에서는, 미세 구멍의 존재에 의하여 투습도를 높이고 있기 때문에, 농업 하우스 안의 습도를 저감시키는 효과를 갖고 있지만, 일단 결로가 발생하면, 결로가 미세 구멍을 막아, 투습성을 저해한다고 생각되고, 또 이 결로나 미세 구멍 자체의 존재에 의하여, 광선 투과율이 낮아졌다고 생각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있어서는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를 함유하고 있음으로써, 친수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내부 설치 필름의 흡습성이 향상되고, 또 투습도가 600g/m2/24h 이상인 것에 의하여, 내부 설치 필름에 있어서의 투습도의 면내 분포가 실질적으로 없어져, 결로의 발생 자체를 억제 또는 일단 발생한 결로를 효율적으로 해소할 수 있기 때문에, 내부 설치 필름의 내측의 결로를 억제하고, 또한 농업 하우스의 광선 투과율을 높게 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를 구성하는 내부 설치 필름, 외부 설치 필름 및 환기 수단 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내부 설치 필름〕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가 갖는 내부 설치 필름은, 후술하는 외부 설치 필름의 내측에 외부 설치 필름과 간극을 갖도록 마련되는 필름이며, 적어도 일부가,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를 함유하고, 투습도가 600g/m2/24h 이상인 셀룰로스 필름으로 구성되는 필름이다.
여기에서, 투습도란,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용 필름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동의이다.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
셀룰로스 필름이 함유하는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용 필름이 함유하는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첨가제>
셀룰로스 필름은, 사용 환경에 따라, 가소제, 매트제, 열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들 첨가제로서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용 필름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셀룰로스 필름의 제조 방법>
셀룰로스 필름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용 필름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있어서는, 결로의 적하에 따른 식물의 생육 불량을 방지하는 이유에서, 내부 설치 필름의 지붕부가, 상술한 셀룰로스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내부 설치 필름의 지붕부 및 벽면부 모두 상술한 셀룰로스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내부 설치 필름의 지붕부란, 식물을 생육시키는 공간의 상부, 즉 식물이 놓여진 토양 등에 대하여 수직 방향에 위치하는 부분을 말하고, 도 3~도 6에 있어서는 부호 12a로 나타나는 부분을 말한다.
또, 내부 설치 필름의 벽면부란, 식물을 생육시키는 공간의 측부, 즉 식물이 놓여진 토양 등에 대하여 수평 방향에 위치하는 부분을 말하고, 도 3~도 6에 있어서는 부호 12b로 나타나는 부분을 말한다.
또, 내부 설치 필름의 두께는, 가공성이 양호해지는 이유에서, 60μm~200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80μm~150μ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80μm~120μm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내부 설치 필름은, 단층 구조여도 되고 적층 구조여도 되지만, 단층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 설치 필름〕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가 갖는 외부 설치 필름은, 외부로부터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는 필름이다.
외부 설치 필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그 구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뷰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아크릴 수지, 폴리염화 바이닐, 폴리바이닐알코올,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 함불소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있어서는 투습성을 유지하고, 결로의 발생을 보다 억제할 수 있는 이유에서, 외부 설치 필름 중 적어도 일부가, 후술하는 환기 수단을 구비하고, 그 환기 수단이, 투습도가 500g/m2/24h 이상인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외부 설치 필름 중 적어도 일부가 후술하는 환기 수단을 구비한다"란, 외부 설치 필름 중 적어도 일부가, 외부 설치 필름과 내부 설치 필름의 간극에 존재하는 공기 중 적어도 일부와 외부의 공기를 환기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것을 말하고, 이 경우에 있어서는, 외부 설치 필름과 별체로 구성되는 환기 수단(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환기 팬(14) 등)을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외부 설치 필름의 전부가 후술하는 환기 수단을 구비한다"란, 외부 설치 필름의 전부가, 외부 설치 필름과 내부 설치 필름의 간극에 존재하는 공기 중 적어도 일부와 외부의 공기를 환기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것을 말하고, 이 경우에 있어서는, 외부 설치 필름과 환기 수단은 동일 부재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게 된다.
상술한 투습도가 500g/m2/24h 이상인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089493호에 기재된 농업용 필름이나, 상술한 내부 설치 필름으로서 기재한 셀룰로스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강우에 따른 물방울의 침입이 없으며, 또 광선 투과율이 보다 높아지는 이유에서,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를 함유하고, 투습도가 600g/m2/24h 이상인 셀룰로스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환기 수단〕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가 갖는 환기 수단은, 상술한 외부 설치 필름과 내부 설치 필름의 간극에 존재하는 공기 중 적어도 일부와 외부의 공기를 환기하는 수단이다.
여기에서, 환기 수단으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술한 외부 설치 필름 중 적어도 일부가 구비하는 양태, 즉 투습도가 500g/m2/24h 이상인 필름이나, 외부 설치 필름과 별체로 구성되는 부재(예를 들면, 환기 팬, 통기 구멍 등) 등을 들 수 있다.
〔골조〕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는, 상술한 외부 설치 필름 및 내부 설치 필름(특히, 외부 설치 필름)을 설치하는 골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여기에서, 골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비닐 하우스 등에서 이용되는 골재(예를 들면, 강재, 강관 등)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있어서는, 상술한 내부 설치 필름을 상술한 외부 설치 필름의 내측에 설치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외부 설치 필름 및 골조를 이용하여 농업 하우스를 제작한 후에, 농업 하우스의 공간 내에 내부 설치 필름 및 골조를 이용하여 소형의 농업 하우스를 제작하는 방법; 외부 설치 필름 및 골조를 이용하여 농업 하우스를 제작한 후에, 농업 하우스의 지붕부와 벽면부의 경계 부근에 커튼 레일이나 와이어를 설치하여, 이들에 내부 설치 필름을 설치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 내부 설치 필름은, 외부의 기온이 내려가는 야간이나 이른 아침의 시간대에 설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관점에서, 커튼 레일 등에 설치하여, 가동식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내부 설치 필름을 설치할 때의 상술한 외부 설치 필름과의 간극은 일정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설치 필름의 지붕부만이 수평이 되도록 설치해도 된다.
[농업 하우스용 필름(제4 양태)]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용 필름은,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 및 임의 성분으로서 폴리에터에스터 및/또는 폴리에터를 포함하는 가소제를 함유하고, 투습도가 600g/m2/24h 이상이며, 또한 탄성률이 3.0GPa 미만인, 농업 하우스용 필름이다.
여기에서, 농업 하우스용 필름이란, 이른바 비닐 하우스(그린 하우스)로 불리는 가건물의 골조(강관)를 피복하는 필름을 말하고, 농업용 멀티 필름, 즉 밭(지표)의 건조 방지, 잡초 억제 등을 위하여 토양 표면을 피복하는 필름과는 다른 필름이다.
또, 투습도란,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용 필름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동의이다.
또, 탄성률은, 측정 방향의 길이가 150mm, 폭이 15mm인 시료를, 측정 방향의 절단 방위를 45도씩 변화시켜 합계 8개 준비하고, 각 시료에 대하여 산출되는 탄성률의 평균값을 말한다. 또, 각 시료에 있어서의 탄성률의 산출은, 각 시료를 25℃, 상대 습도 60%의 환경에 24시간 방치한 직후, A&D사제의 인장 시험기 "스트로그래프"를 이용하여 25℃, 상대 습도 60% 분위기 중, 척 간 길이 100mm, 인장 속도 200mm/분으로 연신시키고, 0.1% 신장 시와 0.5% 신장 시의 응력을 측정하여, 그 기울기로부터 탄성률을 산출했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있어서는,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를 함유하고, 투습도가 600g/m2/24h 이상이며, 또한 탄성률이 3.0GPa 미만인 필름을 이용함으로써, 방적성 및 가공성이 모두 양호해진다.
이하에,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 및 소정의 가소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용 필름이 함유하는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용 필름이 함유하는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가소제>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용 필름은, 얻어지는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용 필름의 방적성 및 가공성이 보다 양호해지고, 하우스 안이 고습도 환경이 되었을 때에도 결로를 방지할 수 있는 이유에서, 폴리에터에스터 및/또는 폴리에터를 포함하는 가소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소제는 폴리에터에스터 및 폴리에터 이외의 가소제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폴리에터에스터 및/또는 폴리에터만으로 이루어지는 가소제여도 된다.
이것은, 가소제의 첨가에 의하여, 필름의 탄성률이 보다 저감한 것뿐만 아니라, 필름의 함수율이 향상되어, 하우스 안의 수증기를 도입하기 쉬워졌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폴리에터에스터)
폴리에터에스터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 식 (A)로 나타나는 폴리에터에스터를 적합하게 들 수 있다.
[화학식 6]
Figure 112017059449430-pct00006
상기 식 (A) 중, R1은 탄소수 2~10의 2가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를 나타내고,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6의 2가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를 나타내며,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20의 알킬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2~20의 아실기를 나타낸다. n은 각각 독립적으로 1~20의 정수를 나타내고, p는 1~15의 정수를 나타낸다.
또한, 반복 단위에 포함되는 복수의 R1, R2 및 n은 각각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상기 식 (A) 중의 R1에 있어서의 탄소수 2~10의 2가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는, 포화여도 되고 불포화여도 되며, 2가의 쇄상 혹은 환상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예를 들면 사이클로알킬렌기 등)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 2가의 쇄상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인 경우는, 직쇄상이어도 되고, 분기상이어도 되며, 바람직한 예로서는, 에틸렌, 트라이메틸렌, 테트라메틸렌, 펜타메틸렌, 헥사메틸렌, 헵타메틸렌, 옥타메틸렌, 노나메틸렌, 데카메틸렌, 프로필렌, 1,2-다이메틸에틸렌, 1-메틸트라이메틸렌, 2-메틸트라이메틸렌, 2-메틸테트라메틸렌, 2,2-다이메틸트라이메틸렌, 1,2-사이클로펜틸렌, 1,3-사이클로펜틸렌, 1,2-사이클로헥실렌, 1,3-사이클로헥실렌, 1,4-사이클로헥실렌 등을 들 수 있다.
또, 2가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의 탄소수는, 필름의 탄성률이 보다 저감되어, 가공성이 보다 양호해지는 이유에서 2~6인 것이 바람직하고, 얻어지는 농업 하우스용 필름으로부터 가소제가 물 등에 의하여 용출하는 비율(이하, 간단히 "용출률"이라고 함)이 저감되는 관점에서, 4~6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식 (A) 중의 R2에 있어서의 탄소수 2~6의 2가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는, 2가의 쇄상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인 것이 바람직하며, 직쇄상이어도 되고, 분기상이어도 된다.
또, 2가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의 탄소수는 2~4가 바람직하고, 2 또는 3이 보다 바람직하며, 2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탄소수 2~6의 2가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로서는, 쇄상의 알킬렌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한 예로서는, 에틸렌, 트라이메틸렌, 테트라메틸렌, 펜타메틸렌, 헥사메틸렌, 프로필렌, 1-메틸트라이메틸렌, 2-메틸트라이메틸렌, 1,2-다이메틸에틸렌, 1-에틸에틸렌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에틸렌, 트라이메틸렌, 프로필렌, 테트라메틸렌, 1-에틸에틸렌이 보다 바람직하며, 에틸렌, 트라이메틸렌, 프로필렌, 테트라메틸렌이 더 바람직하고,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식 (A) 중의 R3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수소 원자, 탄소수 1~20의 알킬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2~20의 아실기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R3에 있어서의 탄소수 1~20의 알킬기는, 쇄상 혹은 환상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쇄상의 지방족기인 경우는, 직쇄상이어도 되고 분기상이어도 되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된다. 그 탄소수는 1~12인 것이 바람직하고, 1~8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4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1 또는 2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 R3에 있어서의 탄소수 6~20의 아릴기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고, 그 탄소수는 6~15인 것이 바람직하며, 6~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8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R3에 있어서의 탄소수 2~20의 아실기는, 지방족 아실기여도 되고 방향족 아실기여도 되며, 이들은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지방족 아실기인 경우, 탄소수는 2~18인 것이 바람직하고, 2~8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4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방향족 아실기인 경우는, 탄소수는 7~18인 것이 바람직하고, 7~1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7~10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7 또는 8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R3은 수소 원자, 탄소수 1~20의 알킬기 및 탄소수 6~20의 아릴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20의 알킬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필름의 탄성률이 보다 저감되어, 가공성이 보다 양호해지는 이유에서, 탄소수 1~20의 알킬기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식 (A) 중의 n은 1~20의 정수를 나타내고, 1~15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며, 1~10의 정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6의 정수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2~6의 정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2~4의 정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식 (A) 중의 p는 1~15의 정수를 나타내고, 필름의 탄성률이 보다 저감되는 관점에서, 1~10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의 정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3의 정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1~2의 정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 (A) 중의 p는, 가소제의 용출률이 저감되는 관점에서, 2~15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2~10의 정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에터에스터의 조제 방법)
상술한 폴리에터에스터의 조제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기 식 (A) 중의 R3이 수소 원자인 경우는, 예를 들면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다이올과 다이카복실산의 폴리에스터화 반응 혹은 에스터 교환 반응에 의한 열 용융 축합법, 또는 이들 산의 산 클로라이드와 글라이콜류의 계면 축합법에 의하여 용이하게 합성할 수 있다.
또한, 중축합 에스터는, 무라이 고이치 편자 "가소제 그 이론과 응용"(가부시키가이샤 사이와이쇼보, 1973년 3월 1일 초판 제1판 발행)에 상세한 기재가 있으며, 기재되어 있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다이카복실산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옥살산, 말론산, 석신산, 말레산, 푸마르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르산, 1,4-사이클로헥세인다이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는 석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1,4-사이클로헥세인다이카복실산이 보다 바람직하며, 지방족기의 탄소수가 2~4인 석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이 더 바람직하다.
또, 상기 식 (A) 중의 R3이 탄소수 1~20의 알킬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2~20의 아실기인 경우는, 하기 식 (a)로 나타나는 화합물과 상술한 다이카복실산으로부터 상술한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상기 식 (A)로 나타나는 화합물을 합성할 수 있다.
[화학식 7]
Figure 112017059449430-pct00007
상기 식 (a) 중, R2, R3 및 n은 상기 식 (A) 중의 정의와 동일하고 , 바람직한 범위도 동일하다. 또한, 상술한 다이카복실산과 상기 식 (a)로 나타나는 화합물로부터 폴리에터에스터를 조제하는 경우는, 상기 식 (A) 중의 p가 1이 된다.
또, 상기 식 (A) 중의 R3이 탄소수 2~20의 아실기인 경우는, 상술한 조제 방법 외에, R3이 수소 원자인 폴리에터에스터를 상술한 방법에 의하여 조제한 후에, 아실기를 도입함으로써 조제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말단의 아실기의 도입은, 예를 들면 카복실산을 이용하여 알코올과 탈수 축합시키는 방법, 카복실산 무수물 혹은 카복실산 할로젠화물을 이용하여 알코올을 아실화하는 방법, 카복실산 에스터를 이용하여 에스터 교환시키는 방법 등에 의하여, 도입할 수 있다.
상기 식 (A)로 나타나는 폴리에터에스터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상기 식 (A) 중의 R1, R2 및 R3 과 n 및 p가 하기 표 1에 기재되는 폴리에터에스터를 들 수 있다.
[화학식 8]
Figure 112017059449430-pct00008
(폴리에터)
폴리에터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 식 (B)로 나타나는 폴리에터를 적합하게 들 수 있다.
[화학식 9]
Figure 112017059449430-pct00009
상기 식 (B) 중, R4는 탄소수 2~6의 2가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를 나타내고,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20의 알킬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 탄소수 2~20의 아실기, (메트)아크릴로일기, 또는 (메트)아크릴로일기가 중합한 하기 식 (b)로 나타나는 기를 나타낸다. m은 1~20의 정수를 나타낸다.
또한, 반복 단위에 포함되는 복수의 R4는 각각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여기에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메트)아크릴로일기"란, 아크릴로일기(CH2=CHCO-) 또는 메타크릴로일기(CH2=C(CH3)CO-)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화학식 10]
Figure 112017059449430-pct00010
상기 식 (b) 중, *는 상기 식 (B)에 있어서의 R5 또는 R6과 결합하는 산소 원자를 나타내고, R7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며, q는 1~10의 정수를 나타낸다. 반복 단위에 포함되는 복수의 R7은 각각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상기 식 (B) 중의 R4에 있어서의 탄소수 2~6의 2가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는, 상기 식 (A) 중의 R2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식 (B) 중의 R5 및 R6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수소 원자, 탄소수 1~20의 알킬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 탄소수 2~20의 아실기, (메트)아크릴로일기, 또는 (메트)아크릴로일기가 중합한 상기 식 (b)로 나타나는 기를 나타내고, (메트)아크릴로일기 및 (메트)아크릴로일기가 중합한 상기 식 (b)로 나타나는 기 이외의 관능기에 대해서는 상기 식 (A) 중의 R3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의 섬유 내 공간이 확대되어, 얻어지는 농업 하우스용 필름의 투습도를 보다 높게 할 수 있는 이유에서, R5가 탄소수 6~20의 아릴기(특히 페닐기), 또는 (메트)아크릴로일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에 친수성을 부여하여, 얻어지는 농업 하우스용 필름의 투습도를 보다 높게 할 수 있는 이유에서, R6이 수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식 (B) 중의 m은 1~20의 정수를 나타내고, 1~15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며, 1~10의 정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6의 정수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2~6의 정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2~4의 정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식 (B)로 나타나는 폴리에터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라이콜, 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라이콜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식 (B)로 나타나는 다른 폴리에터로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합성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페놀류나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가 에틸렌옥사이드인 알킬렌옥사이드(예를 들면, 에틸렌옥사이드, 산화 프로필렌 등)를 개환 부가시키는 반응을 1회 이상 반복함으로써 얻어지는 폴리에터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있어서는, 가소제를 함유하는 경우의 함유량이,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0~7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20~60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0~60질량부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40~60질량부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첨가제>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용 필름은, 사용 환경에 따라, 열화 방지제나 자외선 흡수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열화 방지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힌더드아민계 광안정제, 산화 방지제, 과산화물 분해제, 라디칼 금지제, 금속 불활성화제, 산포획제, 아민 등을 들 수 있다.
또,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자외선 흡수성을 발현할 수 있는 것으로, 공지의 것을 모두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벤조트라이아졸계나 하이드록시페닐트라이아진계의 자외선 흡수제를 적합하게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열화 방지제나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는 경우, 후술하는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용액(도프) 중에, 0.01~10질량%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트제>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용 필름은, 사용 환경에 따라, 매트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매트제로서는, 유기 또는 무기 미립자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미립자로서는, 이산화 규소, 이산화 타이타늄, 산화 알루미늄, 산화 지르코늄, 탄산 칼슘, 탤크, 클레이, 소성 카올린, 소성 규산 칼슘, 수화(水和) 규산 칼슘, 규산 알루미늄, 규산 마그네슘 및 인산 칼슘을 들 수 있다.
이들 미립자는 통상 평균 입자 사이즈가 0.1~3.0μm인 2차 입자를 형성하고, 이들 미립자는 필름 중에서는, 1차 입자의 응집체로서 존재하며, 필름 표면에 0.1~3.0μm의 요철을 형성시킨다. 2차 평균 입자 사이즈는 0.2μm~1.5μm가 바람직하고, 0.4μm~1.2μm가 더 바람직하며, 0.6μm~1.1μm가 가장 바람직하다. 1차, 2차 입자 사이즈는 필름 중의 입자를 주사형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입자에 외접하는 원의 직경을 입자 사이즈로 했다. 또, 장소를 변경하여 입자 200개를 관찰하고, 그 평균값을 평균 입자 사이즈로 했다.
미립자의 바람직한 첨가량은 셀룰로스아실레이트에 대하여 질량비로 1ppm~5000ppm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ppm~1000ppm, 더 바람직하게는 10ppm~500ppm이다.
미립자는 규소를 포함하는 것이 헤이즈를 제어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고, 특히 이산화 규소가 바람직하다. 이산화 규소의 미립자는, 1차 평균 입자 사이즈가 25nm 이하이고, 또한 외관 비중이 30g/리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의 헤이즈를 낮추는 관점에서는, 1차 입자의 평균 직경이 5~20nm로 작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외관 비중은 90~200g/리터 이상이 바람직하고, 100~200g/리터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외관 비중이 클수록, 고농도의 분산액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헤이즈, 응집물이 양호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산화 규소의 미립자는, 예를 들면 에어로질 NX90S, R972, R972V, R974, R812, 200, 200V, 300, R202, OX50, TT600(이상, 닛폰 에어로질(주)제) 등의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산화 지르코늄의 미립자는, 예를 들면 에어로질 R976 및 R811(이상, 닛폰 에어로질(주)제)의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어,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에어로질 200V, 에어로질 R972V가 1차 평균 입자 사이즈가 20nm 이하이고, 또한 외관 비중이 70g/리터 이상인 이산화 규소의 미립자인 점에서, 농업 하우스용 필름의 헤이즈를 낮게 유지하면서, 마찰 계수를 낮추는 효과가 크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용 필름은, 단층 구조여도 되고 적층 구조여도 되지만, 단층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농업 하우스용 필름의 두께는, 얻어지는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용 필름의 가공성이 보다 양호해지는 이유에서, 60μm~200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60μm~150μ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80μm~120μm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농업 하우스용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용 필름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용 필름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관한 농업 하우스용 필름이 가소제를 함유하는 경우, 가소제를 배합하는 타이밍은,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을 형성하는 시점에 첨가되어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셀룰로스아실레이트의 합성 시점〔예를 들면, 상술한 침전 공정 등〕에 첨가해도 되고, 후술하는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프 조제 시에 셀룰로스아실레이트와 혼합해도 된다.
실시예
[제1 양태]
이하에 실시예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제1 양태를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 나타내는 재료, 사용량, 비율, 처리 내용, 처리 순서 등은,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가소제의 합성>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하여, 실시예 1-2 및 1-3 그리고 비교예 1-1에서 사용하는 에스터계 가소제 A~C로 하여, 폴리에터에스터를 합성했다. 또한, 합성한 각 폴리에터에스터에 대하여, 상기 식 (A) 중의 중합 수 (n), 중합 수 (p) 및 말단 (R3)을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가소제 A-실시예 1-2에서 사용)
석신산과 트라이에틸렌글라이콜을 열 용융 축합법에 의하여 폴리에스터화시켜, 폴리에터에스터를 합성했다.
(가소제 B-실시예 1-3에서 사용)
아디프산에 대하여, 모노에틸렌글라이콜 및 테트라에틸렌글라이콜의 도입비(모노/테트라)가 70/30이 되도록 첨가하고, 열 용융 축합법에 의하여 폴리에스터화시켜, 폴리에터에스터를 합성했다.
(가소제 C-비교예 1-1에서 사용)
아디프산과 모노에틸렌글라이콜을 열 용융 축합법에 의하여 폴리에스터화시켜, 폴리에터에스터를 합성했다.
[표 1]
Figure 112017059617291-pct00032
〔실시예 1-1〕
<도프의 조제>
하기의 조성물을 믹싱 탱크에 투입하여 교반하고, 각 성분을 용해하여, 셀룰로스아세테이트 용액을 조제했다.
Figure 112017059449430-pct00012
<필름의 형성>
30℃로 온도 조정된 도프를 이용하여, 건조 후 막두께가 120μm가 되도록 엔드리스 스테인리스 벨트(지지체) 상에 균일하게 유연했다.
유연 후, 즉시 벨트 상의 도프막(웨브)에 100℃의 온풍을 쐬어 건조시킨 후, 유연으로부터 120초 후에, 박리 장력 150N/m으로 박리하고, 다수의 롤로 반송 장력 100N/m으로 반송시키면서 건조시켰다. 박리부의 엔드리스 스테인리스 벨트의 온도는 10℃로 했다. 박리 시의 잔류 용매량은 100질량%였다.
80℃로 설정된 제1 건조 존을 5분간 반송시킨 후, 추가로 120℃로 설정된 제2 건조 존에서 10분간 반송시켜, 건조를 행했다. 건조 후, 롤 형상으로 권취함으로써, 필름 폭 1.5m, 권취 길이 2000m, 막두께 120μm의 필름(하기 표 2 중에 있어서는 "셀룰로스계(무가소)"라고 표기함)을 제작했다. 또한, 권취 시의 잔류 용매량은 0.3질량%였다.
〔실시예 1-2〕
실시예 1-1에서 조제한 도프에 대하여 추가로 가소제 A를 60질량부 배합한 도프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필름 폭 1.5m, 권취 길이 2000m, 막두께 120μm의 필름(하기 표 2 중에 있어서는 "셀룰로스계(가소제 A)"라고 표기함)을 제작했다.
〔실시예 1-3〕
실시예 1-1에서 조제한 도프에 대하여 추가로 가소제 B를 60질량부 배합한 도프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필름 폭 1.5m, 권취 길이 2000m, 막두께 120μm의 필름(하기 표 2 중에 있어서는 "셀룰로스계(가소제 B)"라고 표기함)을 제작했다.
〔실시예 1-4〕
실시예 1-1에서 조제한 도프 중, "셀룰로스아실레이트(아세틸기 치환도: 2.86, 점도 평균 중합도: 320)"를 "셀룰로스아실레이트(아세틸기 치환도: 2.40, 점도 평균 중합도: 320)"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필름 폭 1.5m, 권취 길이 2000m, 막두께 120μm의 필름(하기 표 2 중에 있어서는 "셀룰로스계(무가소)"라고 표기함)을 제작했다.
〔실시예 1-5〕
실시예 1-1에서 조제한 도프 중, "셀룰로스아실레이트(아세틸기 치환도: 2.86, 점도 평균 중합도: 320)"를 "셀룰로스아실레이트(아세틸기 치환도: 2.95, 점도 평균 중합도: 320)"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필름 폭 1.5m, 권취 길이 2000m, 막두께 120μm의 필름(하기 표 2 중에 있어서는 "셀룰로스계(무가소)"라고 표기함)을 제작했다.
〔비교예 1-1〕
실시예 1-1에서 조제한 도프에 대하여 추가로 가소제 C를 15질량부 배합한 도프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필름 폭 1.5m, 권취 길이 2000m, 막두께 120μm의 필름(하기 표 2 중에 있어서는 "셀룰로스계(가소제 C)"라고 표기함)을 제작했다.
〔비교예 1-2〕
AGC 그린 테크사제의 제품명 "에프 클린(등록 상표) 자연광 유적(流滴)"을 불소계 필름으로서 이용했다.
〔비교예 1-3〕
미쓰비시 주시 에그리 드림사제의 제품명 "노비에스 미라이"를 염화 바이닐계 필름으로서 이용했다.
제작 또는 시판품을 사용한 각 필름의 투습도, 평형 함수율 및 광선 투과율과 CO2 투과 계수 및 CO2 투과도에 대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하여 측정 내지 평가했다. 이들의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투습도>
각 필름에 대하여, JIS Z 0208:1976의 "방습 포장 재료의 투습도 시험 방법(컵법)"에 기재된 수법에 따라, 온도 40℃, 상대 습도 90%의 조건하에서 24시간 동안 통과한 수증기의 양(g/m2/24h)을 측정했다.
<평형 함수율>
각 필름으로부터 500mg의 샘플을 채취하여, 상대 습도 80%의 환경하에서 24시간 조습한 후에, 수분량을 칼 피셔 수분계(AQ-2200, 히라누마 산교사제)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광선 투과율>
각 필름에 대하여, 분광 광도계(자스코 엔지니어링제: V-560)를 이용하여, 광합성에 유효한 파장역(400~700nm)의 투과율을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산출했다.
<CO2 투과 계수>
(1) 건막 조건
각 필름에 대하여, 25℃, 상대 습도 55%의 환경하에서 24시간 이상 조습한 후에, 샘플 평가 면적 3.14cm2, 측정 온도는 40℃에서 측정했다. 샘플의 표면(공급측)에 탄산 가스를 압력 800kPa로 공급하고, 이면(투과측)을 3Pa까지 진공 펌프로 감압했다. 다음으로 진공 펌프를 정지하고 투과측의 압력 변화를 기록하여, JIS K 6275-1에 따라, 지연 시간법에 의하여 투과 계수를 산출했다.
(2) 습막 조건
각 필름에 대하여, 상술한 측정 방법에 의하여, 습막 조건(실온 25℃, 상대 습도 80%의 환경)에서의 CO2 투과 계수를 측정했다.
<CO2 투과도(습막 조건)>
CO2 투과도는 습막 조건으로 측정한 CO2 투과 계수(단위: 1×10-10cm3·cm/(s·cm2·cmHg))를 이용하여 하기 식으로부터 산출했다.
T(CO2 투과도)=(CO2 투과 계수×필름 표면적×압력차)/필름 두께
[표 2]
Figure 112017059617291-pct00033
표 2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를 함유하는 필름이어도, 25℃, 상대 습도 80%에 있어서의 평형 함수율이 4% 미만이면, CO2 투과도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비교예 1-1).
또,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를 함유하지 않는 불소계 필름 또는 염화 바이닐계 필름을 이용한 경우에는, 평형 함수율이 매우 낮고, 습막 시의 CO2 투과 계수 및 CO2 투과도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비교예 1-2~1-3).
이에 대하여,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를 함유하고, 25℃, 상대 습도 80%에 있어서의 평형 함수율이 4~8%인 필름을 이용한 경우에는, 모두 습막 시의 CO2 투과 계수 및 CO2 투과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실시예 1-1~1-5).
또, 실시예 1-1~1-5 및 비교예 1-1의 대비로부터, 셀룰로스아실레이트의 아세틸기의 치환도나 가소제의 종류에 따라, 평형 함수율이나 CO2 투과 계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특히 실시예 1-1, 1-4 및 1-5의 대비로부터, 아세틸기의 치환도가 2.2~2.6의 범위 내에 있는 실시예 1-4는, 평형 함수율이 높아져, 습막 시의 CO2 투과 계수 및 CO2 투과도가 보다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농업 하우스의 제작〕
미나미아시가라시 미야노다이에, 6m×9m×(높이)4m의 골조를 세워, 실시예 1-1~1-5 및 비교예 1-1~1-3에서 제작 내지 사용한 하기 표 3에 나타내는 필름을 골조에 설치함으로써, 농업 하우스를 제작했다.
또, 온습도계 및 CO2 농도계를 제작한 농업 하우스 안의 중앙의 지상으로부터 1.5m의 위치에 설치했다.
제작한 농업 하우스에 대하여, 2014년 10월의 맑은 날 낮(13시)에 하우스 안과 하우스 밖의 CO2 농도를 측정하고, 또 하우스 안의 온도 및 습도도 측정했다. 이들의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하우스 밖의 온도는 17도이며, 상대 습도는 89%였다.
[표 3]
Figure 112017059449430-pct00014
표 3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를 함유하는 필름이어도, 25℃, 상대 습도 80%에 있어서의 평형 함수율이 4% 미만이면, 하우스 안과 하우스 밖의 CO2 농도의 비율(하우스 안/하우스 밖)〔이하, 본 단락에 있어서 "CO2 농도 비율"이라고 약기함〕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비교예 1-1).
또,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를 함유하지 않는 불소계 필름 또는 염화 바이닐계 필름을 이용한 경우에는, 평형 함수율이 매우 낮아, CO2 농도 비율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비교예 1-2~1-3).
이에 대하여,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를 함유하고, 25℃, 상대 습도 80%에 있어서의 평형 함수율이 4~8%인 필름을 이용한 경우에는, 모두 CO2 농도 비율이 80% 이상이 되어, 광합성에 필요한 CO2 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1-1, 1-4 및 1-5의 대비로부터, 아세틸기의 치환도가 2.2~2.6의 범위 내에 있는 실시예 1-4는, 평형 함수율이 높아져, CO2 농도 비율이 100%가 되어, 하우스 밖과 동일한 CO2 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식물의 생육〕
실시예 1-1 및 비교예 1-2~1-3에서 제작 내지 사용한 필름을 이용한 농업 하우스 안에서, 2014년 9월~11월에 알이 굵은 토마토(미소라), 중간 크기의 토마토(프루티카), 미니 토마토(패브리사쿠라)의 3종을 생육했다. 생육이 안정된 1개월 동안에 수확된 토마토의 수확량을 비교했다.
생육의 결과(수확량)를 하기 표 4에 나타낸다.
[표 4]
Figure 112017059449430-pct00015
표 4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를 함유하고, 25℃, 상대 습도 80%에 있어서의 평형 함수율이 4~8%이며, 두께가 60~200μm인 셀룰로스 필름을 이용한 농업 하우스는, CO2 농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불소계 필름이나 염화 바이닐계 필름을 이용한 농업 하우스보다 수확량이 많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2 양태]
이하에 실시예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제2 양태를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 나타내는 재료, 사용량, 비율, 처리 내용, 처리 순서 등은,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필름(1)의 제작]
<도프의 조제>
하기의 조성물을 믹싱 탱크에 투입하여 교반하고, 각 성분을 용해하여, 셀룰로스아세테이트 용액을 조제했다.
Figure 112017059449430-pct00016
<필름 (1)의 형성>
30℃로 온도 조정된 도프를 이용하여, 건조 후 막두께가 100μm가 되도록 엔드리스 스테인리스 벨트(지지체) 상에 균일하게 유연했다.
유연 후, 즉시 벨트 상의 도프막(웨브)에 100℃의 온풍을 쐬어 건조시킨 후, 유연으로부터 120초 후에, 박리 장력 150N/m으로 박리하고, 다수의 롤로 반송 장력 100N/m으로 반송시키면서 건조시켰다. 박리부의 엔드리스 스테인리스 벨트의 온도는 10℃로 했다. 박리 시의 잔류 용매량은 100질량%였다.
80℃로 설정된 제1 건조 존을 5분간 반송시킨 후, 추가로 120℃로 설정된 제2 건조 존에서 10분간 반송시켜, 건조를 행했다. 건조 후, 롤 형상으로 권취함으로써, 필름 폭 1.5m, 권취 길이 2000m, 막두께 100μm의 셀룰로스계 필름 (1)을 얻었다. 또한, 권취 시의 잔류 용매량은 0.3질량%였다.
[필름 (2)의 제작]
건조 후 막두께가 120μm가 되도록 엔드리스 스테인리스 벨트(지지체) 상에 균일하게 유연한 것 이외에는, 필름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필름 폭 1.5m, 권취 길이 2000m, 막두께 120μm의 셀룰로스계 필름 (2)를 얻었다.
[필름 (3)]
AGC 그린 테크사제의 제품명 "에프 클린(등록 상표) 자연광 유적"을 불소계 필름 (3)으로서 이용했다.
제작 또는 시판품을 사용한 각 필름의 투습도 및 광선 투과율에 대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하여 측정 내지 평가했다. 이들의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낸다.
<투습도>
각 필름에 대하여, JIS Z 0208:1976의 "방습 포장 재료의 투습도 시험 방법(컵법)"에 기재된 수법에 따라, 온도 40℃, 상대 습도 90%의 조건하에서 24시간 동안 통과한 수증기의 양(g/m2/24h)을 측정했다.
<광선 투과율>
각 필름에 대하여, 분광 광도계(자스코 엔지니어링제: V-560)를 이용하여, 555nm의 광의 투과율을 측정했다.
[실시예 2-1~2-3 및 비교예 2-1~2-2]
<농업 하우스의 제작>
미나미아시가라시 미야노다이에, 6m×9m×(높이)4m의 골조를 세워, 하기 표 5에 나타내는 필름을 골조에 설치함으로써, 농업 하우스를 제작했다.
또, 제작한 농업 하우스 안의 천장에, 미스트 분무 냉각 장치(에어 쿨 AC4543, 풀타 덴키사제)를 매달아 고정했다.
또, 온습도계를 제작한 농업 하우스 안의 중앙의 지상으로부터 1.5m의 위치에 장착하여, 분무량을 측정하는 수량계(水量計)를 미스트 분무 냉각 장치의 입수구(入水口) 바로 앞에 설치했다.
<식물의 생육>
2014년 7월에, 제작한 농업 하우스 안에서, 알이 굵은 토마토(미소라) 38그루, 중간 크기의 토마토(프루티카) 35그루, 미니 토마토(패브리사쿠라) 70그루를 생육했다.
2014년 7월의 맑은 날의 정오(12시)에, 하기 표 5에 나타내는 미스트 분무량이 되도록 미스트 분무 냉각 장치를 가동시켜, 2시간 경과한 14시의 하우스 안의 온도, 상대 습도, 결로의 유무를 확인했다. 또, 14시의 하우스 밖의 온도 및 상대 습도를 하기 표 5에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2-1~2-3 및 비교예 2-1~2-2에 있어서는, 미스트 분무 냉각은 가동 시에 환기를 행하지 않고 실시하고, 후술하는 비교예 2-3에 있어서는 환기를 행하여 실시했다.
[비교예 2-3]
7:00~17:00의 사이, 하우스 측면의 필름(9m×1.5m)을 양측 모두 감아 올려, 환기를 행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미스트 분무 냉각을 행하여, 생육했다.
또한, 필름을 감아 올린 개구부에는 방충용 메시를 장착했지만, 생육 중인 토마토에는 담배가루이나 굴파리과 등에 의한 충해가 확인되었다.
[표 5]
Figure 112017059449430-pct00017
표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2-1 및 2-2와 비교예 2-1의 대비로부터, 미스트 분무 냉각에 의한 분무량이 동일한 양이어도,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를 함유하고, 투습도가 600g/m2/24h 이상이며, 두께가 80~200μm인 셀룰로스 필름을 이용한 농업 하우스는, 하우스 안의 온도 및 상대 습도를 낮게 할 수 있어, 미스트 분무 중의 결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찬가지로, 실시예 2-3과 비교예 2-2의 대비로부터, 미스트 분무 냉각에 의한 분무량이 동일한 양이어도, 투습도가 600g/m2/24h 이상이며, 두께가 80~200μm인 셀룰로스 필름을 이용한 농업 하우스는, 하우스 안의 온도 및 상대 습도를 낮게 할 수 있어, 미스트 분무 중의 결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미스트 분무 냉각 중의 결로를 억제하고, 습도를 저하시키기 위하여 환기를 행한 비교예 2-3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생육 중인 토마토에서는 담배가루이나 굴파리과 등에 의한 충해가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를 함유하고, 투습도가 600g/m2/24h 이상이며, 두께가 80~200μm인 셀룰로스 필름을 이용한 농업 하우스는, 환기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아, 병충해의 유입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실시예 2-1 및 2-2 그리고 비교예 2-1에서 제작한 농업 하우스에 대하여, 미스트 분무 냉각을 실시하지 않는 야간부터 이른 아침까지의 결로의 유무를 관찰했다.
그 결과, 비교예 2-1에서 제작한 농업 하우스에 대해서는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실시예 2-1 및 2-2에서 제작한 농업 하우스에 대해서는 결로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하여,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를 함유하고, 투습도가 600g/m2/24h 이상이며, 두께가 80~200μm인 셀룰로스 필름을 이용한 농업 하우스는, 환기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아, 병충해의 유입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스트 분무 냉각을 실시하지 않는 시간대에 대해서도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1 및 비교예 2-1과 동일하게 제작한 농업 하우스에 대하여, 2014년 7월 20일부터 7월 25일까지의 하우스 안의 이산화 탄소 농도와 외기의 이산화 탄소 농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낸다. 또한, 미스트 분무 냉각 장치의 가동 조건은, 7시부터 17시까지의 10시간으로 하고, 분무량은 14g/m2·분으로 행했다.
도 7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실시예 2-1에서 제작한 농업 하우스는, 식물이 광합성하는 낮에도 외기와 동일한 정도의 이산화 탄소 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 인하여,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를 함유하고, 투습도가 600g/m2/24h 이상이며, 두께가 80~200μm인 셀룰로스 필름을 이용한 농업 하우스는, 환기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아, 병충해의 유입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산화 탄소 농도를 외기와 동일한 정도로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3 양태]
이하에 실시예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제3 양태를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 나타내는 재료, 사용량, 비율, 처리 내용, 처리 순서 등은,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트라이아세틸셀룰로스(TAC) 필름의 제작]
<도프의 조제>
하기의 조성물을 믹싱 탱크에 투입하여 교반하고, 각 성분을 용해하여, 셀룰로스아세테이트 용액을 조제했다.
Figure 112017059449430-pct00018
<TAC 필름의 형성>
30℃로 온도 조정된 도프를 이용하여, 건조 후 막두께가 100μm가 되도록 엔드리스 스테인리스 벨트(지지체) 상에 균일하게 유연했다.
유연 후, 즉시 벨트 상의 도프막(웨브)에 100℃의 온풍을 쐬어 건조시킨 후, 유연으로부터 120초 후에, 박리 장력 150N/m으로 박리하고, 다수의 롤로 반송 장력 100N/m으로 반송시키면서 건조시켰다. 박리부의 엔드리스 스테인리스 벨트의 온도는 10℃로 했다. 박리 시의 잔류 용매량은 100질량%였다.
80℃로 설정된 제1 건조 존을 5분간 반송시킨 후, 추가로 120℃로 설정된 제2 건조 존에서 10분간 반송시켜, 건조를 행했다. 건조 후, 롤 형상으로 권취함으로써, 필름 폭 1.5m, 권취 길이 2000m, 막두께 100μm의 TAC 필름을 얻었다. 또한, 권취 시의 잔류 용매량은 0.3질량%였다.
[불소계 필름]
AGC 그린 테크사제의 제품명 "에프 클린(등록 상표) 자연광 유적"을 불소계 필름으로서 이용했다.
[미세 구멍 폴리올레핀(미세 구멍 PO) 필름]
미쓰비시 주시 에그리 드림사제의 제품명 "가이테키 구칸"을 미세 구멍 PO 필름으로서 이용했다.
[실시예 3-1~3-5 및 비교예 3-1~3-4와, 참고예 1~2]
<농업 하우스의 제작>
미나미아시가라시 미야노다이에, 6.0m×9.0m×4.0m(높이)의 골조를 세워, 하기 표 6에 나타내는 외부 설치 필름을 골조에 설치함으로써, 농업 하우스를 제작했다.
이어서, 제작한 농업 하우스의 내부에, 5.8m×8.8m×3.8m(높이)의 골조를 세워, 하기 표 6에 나타내는 내부 설치 필름을 골조에 설치함으로써, 농업 하우스를 제작했다.
또한, 하기 표 6 중, 내부 설치 필름으로서 "TAC/불소계"라고 기재되어 있는 양태는, 하기 표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설치 필름의 지붕부에 TAC 필름을 이용하고, 내부 설치 필름의 벽면부에 불소계 필름을 이용한 것을 나타낸다.
또, 참고예 1 및 2는, 내부 설치 필름을 이용하지 않고, 외부 설치 필름만 설치한 농업 하우스를 이용했다.
제작한 농업 하우스에 대하여, 내부 설치 필름 및 외부 설치 필름의 투습도와 광선 투과율에 대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하여 측정 내지 평가했다. 이들의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낸다.
또, 제작한 농업 하우스에 대하여, 2014년 11월의 맑은 날의 아침 8시의 시점에서, 내부 설치 필름의 내측에 결로가 발생하고 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동일한 날의 일몰 후의 18시의 시점에서, 농업 하우스 안의 온도 및 상대 습도를 측정했다. 이들의 결과도 하기 표 6에 나타낸다.
<투습도>
각 필름에 대하여, JIS Z 0208:1976의 "방습 포장 재료의 투습도 시험 방법(컵법)"에 기재된 수법에 따라, 온도 40℃, 상대 습도 90%의 조건하에서 24시간 동안 통과한 수증기의 양(g/m2/24h)을 측정했다.
또한, 하기 표 6 중, 실시예 3-3 및 3-5에 대해서는, 내부 설치 필름의 지붕부에 이용한 TAC 필름의 투습도를 나타낸다.
<광선 투과율>
각 필름에 대하여, 분광 광도계(자스코 엔지니어링제: V-560)를 이용하여, 400~700nm의 가시광 영역의 투과율을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산출했다.
그리고, 내부 설치 필름 및 외부 설치 필름의 평균 투과율을 곱한 값이, 80% 이상인 것을 농업 하우스의 광선 투과율이 높은 것으로 하여 "A"라고 평가하고, 60% 이상 80% 미만인 것을 농업 하우스의 광선 투과율이 약간 낮은 것으로 하여 "B"라고 평가하며, 60% 미만인 것을 농업 하우스의 광선 투과율이 낮은 것으로 하여 "C"라고 평가했다.
[표 6]
Figure 112017059449430-pct00019
표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설치 필름으로서 불소계 필름을 이용한 경우에는, 환기 수단의 유무를 불문하고, 결로가 발생하며, 또 광선 투과율도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비교예 3-3-1 및 2).
또, 내부 설치 필름으로서 투습도가 600g/m2/24h 이상인 TAC 필름을 이용한 경우이더라도, 환기 수단을 갖고 있지 않으면, 결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비교예 3-3).
또, 특허문헌 3(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10590호)을 상정하고, 내부 설치 필름으로서 미세 구멍 PO 필름을 이용한 경우에는, 환기 수단을 갖고 있어도, 결로가 발생하고, 또 광선 투과율도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비교예 3-4).
한편, 내부 설치 필름 중 적어도 일부에 투습도가 600g/m2/24h 이상인 TAC 필름을 이용하고, 환기 수단을 갖는 경우는, 내부 설치 필름의 내측의 결로를 억제하며, 또한 광선 투과율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실시예 3-3-1~5).
특히, 외부 설치 필름에도 TAC 필름을 이용한 실시예 3-1~3-3은, 외부 설치 필름 자체가 환기 수단을 겸하고 있기 때문에, 환기 팬의 유무를 불문하고, 하우스 안의 상대 습도를 낮게 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4 양태]
이하에 실시예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제4 양태를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 나타내는 재료, 사용량, 비율, 처리 내용, 처리 순서 등은,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가소제의 합성>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하여, 실시예 4-1~4-26에서 사용하는 가소제로서, 폴리에터에스터 및 폴리에터를 합성했다. 또한, 합성한 각 폴리에터에스터에 대하여, 상기 식 (A) 중의 중합 수 (n), 중합 수 (p) 및 말단 (R3)을 하기 표 7 및 표 8에 나타내고, 합성한 각 폴리에터에 대하여, 상기 식 (B) 중의 중합 수 (m), 말단 (R5) 및 말단 (R6)을 하기 표 7 및 표 8에 나타낸다.
(가소제 A-실시예 4-1에서 사용)
아디프산과 모노에틸렌글라이콜을 열 용융 축합법에 의하여 폴리에스터화시켜, 폴리에터에스터를 합성했다.
(가소제 B-실시예 4-2에서 사용)
아디프산과 다이에틸렌글라이콜을 열 용융 축합법에 의하여 폴리에스터화시켜, 폴리에터에스터를 합성했다.
(가소제 C-실시예 4-3에서 사용)
아디프산과 트라이에틸렌글라이콜을 열 용융 축합법에 의하여 폴리에스터화시켜, 폴리에터에스터를 합성했다.
(가소제 D-실시예 4-4에서 사용)
아디프산과 테트라에틸렌글라이콜을 열 용융 축합법에 의하여 폴리에스터화시켜, 폴리에터에스터를 합성했다.
(가소제 E-실시예 4-5에서 사용)
아디프산과 트라이에틸렌글라이콜을 열 용융 축합법에 의하여 폴리에스터화시켜, 폴리에터에스터를 합성했다.
(가소제 F-실시예 4-6에서 사용)
아디프산과 트라이에틸렌글라이콜을 열 용융 축합법에 의하여 폴리에스터화시켜, 폴리에터에스터를 합성했다.
(가소제 G-실시예 4-7에서 사용)
아디프산과 트라이에틸렌글라이콜을 열 용융 축합법에 의하여 폴리에스터화시켜, 폴리에터에스터를 합성했다.
(가소제 H-실시예 4-8에서 사용)
석신산과 트라이에틸렌글라이콜을 열 용융 축합법에 의하여 폴리에스터화시켜, 폴리에터에스터를 합성했다.
(가소제 I-실시예 4-9에서 사용)
석신산과 테트라에틸렌글라이콜을 열 용융 축합법에 의하여 폴리에스터화시켜, 폴리에터에스터를 합성했다.
(가소제 J-실시예 4-10에서 사용)
석신산과 테트라에틸렌글라이콜을 열 용융 축합법에 의하여 폴리에스터화시켜, 폴리에터에스터를 합성했다.
(가소제 K-실시예 4-11에서 사용)
글루타르산과 트라이에틸렌글라이콜을 열 용융 축합법에 의하여 폴리에스터화시켜, 폴리에터에스터를 합성했다.
(가소제 L-실시예 4-12에서 사용)
아디프산과 1,2-프로필렌글라이콜을 열 용융 축합법에 의하여 폴리에스터화시켜, 폴리에터에스터를 합성했다.
(가소제 M-실시예 4-13에서 사용)
아디프산과 트라이(1,2-프로필렌글라이콜)을 열 용융 축합법에 의하여 폴리에스터화시켜, 폴리에터에스터를 합성했다.
(가소제 N-실시예 4-14에서 사용)
아디프산과 1,2-뷰틸렌글라이콜을 열 용융 축합법에 의하여 폴리에스터화시켜, 폴리에터에스터를 합성했다.
(가소제 O-실시예 4-15에서 사용)
아디프산과 모노에틸렌글라이콜을 열 용융 축합법에 의하여 폴리에스터화시켜, 폴리에터에스터를 합성했다.
(가소제 P-실시예 4-16에서 사용)
아디프산과 모노에틸렌글라이콜을 열 용융 축합법에 의하여 폴리에스터화시켜, 폴리에터에스터를 합성했다.
(가소제 Q-실시예 4-17에서 사용)
페놀에 대하여 에틸렌옥사이드를 순차적으로 3회 개환 부가시킴으로써, 하기 스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폴리에터를 합성했다.
[화학식 11]
Figure 112017059449430-pct00020
(가소제 R-실시예 4-18에서 사용)
페놀에 대하여 에틸렌옥사이드를 순차적으로 2회 개환 부가시킴으로써, 폴리에터를 합성했다.
(가소제 S-실시예 4-19에서 사용)
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에 대하여 에틸렌옥사이드를 순차적으로 2회 개환 부가시킴으로써, 하기 스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폴리에터를 합성했다.
[화학식 12]
Figure 112017059449430-pct00021
(가소제 T-실시예 4-20에서 사용)
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에 대하여 산화 프로필렌을 순차적으로 8회 개환 부가시킴으로써, 폴리에터를 합성했다.
삭제
삭제
(가소제 U-실시예 4-21에서 사용)
아디프산과 트라이에틸렌글라이콜을 열 용융 축합법에 의하여 폴리에스터화시켜, 폴리에터에스터를 합성했다.
(가소제 V-실시예 4-22에서 사용)
아디프산과 다이에틸렌글라이콜을 열 용융 축합법에 의하여 폴리에스터화시켜, 폴리에터에스터를 합성했다.
(가소제 W-실시예 4-23에서 사용)
석신산과 모노에틸렌글라이콜 및 테트라에틸렌글라이콜을 열 용융 축합법에 의하여 폴리에스터화시켜, 폴리에터에스터를 합성했다.
(가소제 X-실시예 4-24에서 사용)
아디프산과 모노에틸렌글라이콜 및 테트라에틸렌글라이콜을 열 용융 축합법에 의하여 폴리에스터화시켜, 폴리에터에스터를 합성했다.
(가소제 Y-실시예 4-25에서 사용)
아디프산과 1,2-프로필렌글라이콜 및 테트라에틸렌글라이콜을 열 용융 축합법에 의하여 폴리에스터화시켜, 폴리에터에스터를 합성했다.
(가소제 Z-실시예 4-26에서 사용)
아디프산과 1,3-뷰테인다이올 및 테트라에틸렌글라이콜을 열 용융 축합법에 의하여 폴리에스터화시켜, 폴리에터에스터를 합성했다.
[실시예 4-1~4-26]
<도프의 조제>
하기의 조성물을 믹싱 탱크에 투입하여 교반하고, 각 성분을 용해하여, 셀룰로스아세테이트 용액을 조제했다.
Figure 112017059449430-pct00022
<필름의 제작>
30℃로 온도 조정된 각 도프를 이용하여, 건조 후 막두께가 100μm가 되도록 엔드리스 스테인리스 벨트(지지체) 상에 균일하게 유연했다.
유연 후, 즉시 벨트 상의 도프막(웨브)에 100℃의 온풍을 쐬어 건조시킨 후, 유연으로부터 120초 후에, 박리 장력 150N/m으로 박리하고, 다수의 롤로 반송 장력 100N/m으로 반송시키면서 건조시켰다. 박리부의 엔드리스 스테인리스 벨트의 온도는 10℃로 했다. 박리 시의 잔류 용매량은 100질량%였다.
80℃로 설정된 제1 건조 존을 5분간 반송시킨 후, 추가로 120℃로 설정된 제2 건조 존에서 10분간 반송시켜, 건조를 행했다. 건조 후, 롤 형상으로 권취함으로써, 필름 폭 1.5m, 권취 길이 2000m, 막두께 80μm의 농업 하우스용 필름을 얻었다. 또한, 권취 시의 잔류 용매량은 0.3질량%였다.
[비교예 4-1]
가소제 A를 배합하지 않았던 것 이외에는,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농업 하우스용 필름을 제작했다.
[비교예 4-2]
가소제 A 대신에, 트라이페닐포스페이트(TPP) 및 바이페닐다이페닐포스페이트(BDP)를 2:1의 질량비로 합계하여 15질량부 배합한 도프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농업 하우스용 필름을 제작했다.
[비교예 4-3]
PET 필름으로서, 미쓰비시 주시 에그리 드림사제의 제품명 "시크라이트 클린"을 농업 하우스용 필름으로서 이용했다.
[비교예 4-4]
염화 바이닐 필름으로서, 미쓰비시 주시 에그리 드림사제의 제품명 "노비에스 미라이"를 농업 하우스용 필름으로서 이용했다.
[비교예 4-5]
PO 필름으로서, CI 가세이사제의 제품명 "스카이 코트 5"를 농업 하우스용 필름으로서 이용했다.
[비교예 4-6]
불소계 필름으로서, AGC 그린 테크사제의 제품명 "에프 클린 자연광 유적"을 농업 하우스용 필름으로서 이용했다.
제작 또는 시판품을 사용한 각 농업 하우스용 필름의 투습도, 탄성률, 신장률, 광투과도, 방적성 및 가공성에 대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하여 측정 내지 평가했다. 이들의 결과를 하기 표 7 및 표 8에 나타낸다.
또, 실시예 4-5, 4-8 및 4-17~4-26에서 제작한 각 농업 하우스용 필름에 대해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하여 용출률을 측정했다. 이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낸다.
<투습도>
제작한 각 농업 하우스용 필름에 대하여, JIS Z 0208:1976의 "방습 포장 재료의 투습도 시험 방법(컵법)"에 기재된 수법에 따라, 온도 40℃, 상대 습도 90%의 조건하에서 24시간 동안 통과한 수증기의 양(g/m2/24h)을 측정했다.
<탄성률>
제작한 각 농업 하우스용 필름을 측정 방향의 길이가 150mm, 폭이 15mm인 시료를, 측정 방향의 절단 방위를 45도씩 변화시켜 합계 8개 준비했다.
이어서, 각 시료를 25℃, 상대 습도 60%의 환경에 24시간 방치한 직후, A&D사제의 인장 시험기 "스트로그래프"를 이용하여 25℃, 상대 습도 60% 분위기 중, 척 간 길이 100mm, 인장 속도 200mm/분으로 연신시키고, 0.1% 신장 시와 0.5% 신장 시의 응력을 측정하여, 그 기울기로부터 탄성률을 산출하여, 이들의 평균값을 탄성률로서 산출했다.
<신장률>
탄성률을 산출한 각 시료를 25℃, 상대 습도 60%의 환경에 24시간 방치한 직후, A&D사제의 인장 시험기 "스트로그래프"를 이용하여 25℃, 상대 습도 60% 분위기 중, 척 간 길이 100mm, 인장 속도 200mm/분으로 연신시키고, 시료가 파단했을 때의 신장 변형량으로부터 신장률을 산출하여, 이들의 평균값을 신장률로서 산출했다.
<광투과도>
제작한 각 농업 하우스용 필름에 대하여, 분광 광도계(자스코 엔지니어링제: V-560)를 이용하여, 400~700nm의 가시광 영역의 투과율을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산출했다.
측정의 결과, 평균 투과율이 90% 이상인 것을 "A"라고 평가하고, 80% 이상 90% 미만인 것을 "B"라고 평가하며, 80% 미만인 것을 "C"라고 평가했다.
<방적성>
40℃의 탕욕(湯浴)을 제작한 각 농업 하우스용 필름으로 밀폐하고, 25℃로 냉각함으로써 강제적으로 결로를 발생시킨 후, 결로의 소실 시간을 관찰했다.
결로의 소실 시간이 3시간 미만인 것을 "A"라고 평가하고, 3시간 이상 5시간 미만인 것을 "B"라고 평가하며, 5시간 이상 12시간 미만인 것을 "C"라고 평가하고, 12시간 이상인 것을 "D"라고 평가했다.
<가공성>
제작한 각 농업 하우스용 필름을 이용하여 농업용 하우스를 설치하고, 그때의 각 필름에 있어서의 파단 상황을 관찰했다.
파단되지 않았던 것을 "A"라고 평가하고, 1~2개소에 작은 파단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실용상 문제가 없는 것을 "B"라고 평가하며, 큰 파단을 확인할 수 있던 것을 "C"라고 평가했다.
<용출률>
실시예 4-5, 4-8 및 4-17~4-26에서 제작한 각 농업 하우스용 필름에 대하여, 수중에 16시간 침지시킨 전후의 질량 변화를 측정하여, 물에 용출한 질량의 비율을 용출률로서 산출했다.
구체적으로는, 제작한 각 농업 하우스용 필름을 감압 조건하에서 40℃, 8시간 건조시킨 후의 질량(침지 전 질량)을 측정하고, 이어서 각 농업 하우스용 필름을 15℃의 수중에 16시간 침지시킨 후에, 동일한 감압 조건하에서 40℃, 8시간 건조시킨 후의 질량(침지 후 질량)을 측정했다.
이어서, 하기 식 (I)로부터, 용출률을 산출했다.
용출률=〔(침지 전 질량-침지 후 질량)/침지 전 질량〕×100…(I)
또한, 트라이아세틸셀룰로스(TAC) 100질량부에 대하여 가소제를 60질량부 첨가하고 있으며, 가소제의 함유 비율은 37.5질량%가 되기 때문에, 용출률이 36%가 되는 실시예 5에 있어서는, 가소제의 대부분이 용출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표 7]
Figure 112017059617291-pct00034
[표 8]
Figure 112017059617291-pct00035
이상의 결과로부터,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를 함유하고 있어도, 투습도가 600g/m2/24h 이상이어도 탄성률이 3.0GPa 이상이 되는 필름은, 가공성이 뒤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비교예 4-1).
마찬가지로,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를 함유하고 있어도, 투습도가 600g/m2/24h 미만이며, 또한 탄성률이 3.0GPa 이상이 되는 필름은, 가공성이 모두 뒤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비교예 4-2).
한편,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 이외의 수지를 이용한 필름은, 모두 투습도가 낮아, 방적성이 뒤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비교예 4-3~4-6).
이에 대하여,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를 함유하고, 투습도가 600g/m2/24h 이상이며, 또한 탄성률이 3.0GPa 미만인 필름은, 모두 방적성 및 가공성이 양호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실시예 4-1~4-26).
특히, 실시예 4-3과 실시예 4-6의 대비로부터, 가소제로서 상기 식 (A)로 나타나는 폴리에터에스터를 이용한 경우에, 말단의 R3이 알킬기이면, 방적성 및 가공성이 보다 양호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실시예 4-9와 실시예 4-10의 대비로부터, 가소제의 함유량이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30~60질량부이면, 방적성 및 가공성이 보다 양호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실시예 4-5와 실시예 4-21 및 4-22의 대비로부터, 가소제의 중합도가 높은 쪽이 용출률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실시예 4-23~4-26을 대비하면, 가소제의 중합도가 동일한 경우는, 다이카복실산의 탄소수가 많은 아디프산을 합성에 이용한 가소제가, 용출도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 필름
2 골조
10 농업 하우스
11 외부 설치 필름
12 내부 설치 필름
12a 내부 설치 필름의 지붕부
12b 내부 설치 필름의 벽면부
13 골조
14 환기 팬
20 농업 하우스

Claims (8)

  1.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를 함유하고,
    25℃, 상대 습도 80%에 있어서의 평형 함수율이 4~8%이며, 두께가 60~200μm인 셀룰로스 필름인, 농업 하우스용 필름.
  2. 청구항 1에 있어서,
    25℃, 상대 습도 80%에 있어서의 CO2 투과도가 1.0×10-6(cm3/(s·cm2·cmHg)) 이상 1.7×10-5(cm3/(s·cm2·cmHg)) 이하인, 농업 하우스용 필름.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인, 농업 하우스용 필름.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투습도가 600g/m2/24h 이상인, 농업 하우스용 필름.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의 아세틸기 치환도가 2.2~2.6인, 농업 하우스용 필름.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하기 식 (A)로 나타나는 폴리에터에스터를 포함하는 에스터계 가소제, 및, 하기 식 (B)로 나타나는 폴리에터를 포함하는 에터계 가소제 중 어느 하나의 가소제를 더 함유하고,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이, 상기 셀룰로스아실레이트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0~70질량부인, 농업 하우스용 필름.
    Figure 112019000268932-pct00036

    Figure 112019000268932-pct00037

    상기 식 (A) 중, R1은 탄소수 2~10의 2가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를 나타내고,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6의 2가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를 나타내며,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20의 알킬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2~20의 아실기를 나타낸다. n은 각각 독립적으로 1~20의 정수를 나타내고, p는 1~15의 정수를 나타낸다. 반복 단위에 포함되는 복수의 R1, R2 및 n은 각각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상기 식 (B) 중, R4는 탄소수 2~6의 2가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를 나타내고,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20의 알킬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 탄소수 2~20의 아실기, (메트)아크릴로일기, 또는 (메트)아크릴로일기가 중합한 하기 식 (b)로 나타나는 기를 나타낸다. m은 1~20의 정수를 나타낸다. 반복 단위에 포함되는 복수의 R4는 각각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Figure 112019000268932-pct00038

    상기 식 (b) 중, *는 식 (B)에 있어서의 R5 또는 R6과 결합하는 산소 원자를 나타내고, R7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며, q는 1~10의 정수를 나타낸다. 반복 단위에 포함되는 복수의 R7은 각각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7. 골조와 필름을 갖고,
    상기 필름이, 상기 골조에 설치됨으로써 외부로부터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필름이,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농업 하우스용 필름인, 농업 하우스.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공간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 수단을 갖지 않는, 농업 하우스.
KR1020177017053A 2014-12-26 2015-10-27 농업 하우스용 필름 및 농업 하우스 KR1020000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65310 2014-12-26
JP2014265310A JP6316183B2 (ja) 2014-12-26 2014-12-26 農業ハウス
JPJP-P-2015-067332 2015-03-27
JP2015067332A JP6316234B2 (ja) 2015-03-27 2015-03-27 農業ハウス
JP2015067456A JP6316235B2 (ja) 2015-03-27 2015-03-27 農業ハウス用フィルムおよび農業ハウス
JPJP-P-2015-067456 2015-03-27
PCT/JP2015/080215 WO2016103898A1 (ja) 2014-12-26 2015-10-27 農業ハウス用フィルムおよび農業ハウス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9863A Division KR102072480B1 (ko) 2014-12-26 2015-10-27 농업 하우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587A KR20170092587A (ko) 2017-08-11
KR102000096B1 true KR102000096B1 (ko) 2019-07-15

Family

ID=5614993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7053A KR102000096B1 (ko) 2014-12-26 2015-10-27 농업 하우스용 필름 및 농업 하우스
KR1020197019863A KR102072480B1 (ko) 2014-12-26 2015-10-27 농업 하우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9863A KR102072480B1 (ko) 2014-12-26 2015-10-27 농업 하우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595472B2 (ko)
KR (2) KR102000096B1 (ko)
CN (2) CN112655433B (ko)
WO (1) WO20161038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109519A1 (de) * 2016-05-24 2017-11-30 Osram Gmbh Eindeckungsteil für ein Gewächshaus, Gewächshaus und Verwendung einer Schicht für ein Eindeckungsteil
US11026373B2 (en) * 2017-06-14 2021-06-08 Grow Solutions Tech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essurizing an assembly line grow pod
JP7008223B2 (ja) * 2017-12-22 2022-01-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薬剤散布方法
WO2019130829A1 (ja) * 2017-12-27 2019-07-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農産容器
JP7012851B2 (ja) * 2018-06-26 2022-01-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農産資材、農産資材ロール及び農業ハウス
KR102302273B1 (ko) * 2019-06-14 2021-09-16 박기철 식물재배시스템
CN114845545B (zh) * 2019-12-25 2023-09-22 富士胶片株式会社 农用采光部件及农产用箱体
EP4082788A4 (en) * 2019-12-27 2023-05-10 FUJIFILM Corporation MULTILAYER SHEET, ROLL OF MULTILAYER SHEET, AGRICULTURAL MATERIAL AND USE OF MULTILAYER SHEET
CN111373965B (zh) * 2020-04-09 2021-09-24 镇江巨杰新材料技术研发中心(有限合伙) 一种生物制药石斛种植凉荫装置
US20220053444A1 (en) * 2020-08-13 2022-02-17 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Network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17654216B (zh) * 2024-02-01 2024-04-23 四川凌耘建科技有限公司 一种三甘醇脱水装置及脱水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8828A (ja) 2006-02-28 2007-09-13 Sumitomo Chemical Co Ltd 農業用シート
JP2009225708A (ja) 2008-03-21 2009-10-0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生分解性栽培用光反射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80287A (en) * 1924-03-20 1926-04-13 Cello Products Inc Glass surstitute
JPH01320161A (ja) 1988-06-20 1989-12-26 Toray Ind Inc 複合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IL98486A (en) 1991-06-13 1995-12-08 Constab Polymer Chemie Gmbh Plastic sheeting preventing water droplet formation on its surface
JPH06279756A (ja) 1993-03-26 1994-10-04 Mitsubishi Corp 光透過性、防滴性にすぐれた被覆用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3444545B2 (ja) * 1993-11-18 2003-09-08 株式会社セクト化学 農作物栽培用ハウス
JPH1095860A (ja) 1996-09-26 1998-04-14 Oji Paper Co Ltd 生分解性と透湿性を有するフィルム及び複合紙
JP3687348B2 (ja) 1998-05-28 2005-08-24 旭硝子株式会社 農業用被覆資材
JP2000043200A (ja) * 1998-07-27 2000-02-15 Oji Paper Co Ltd 生分解性多層成形品
JP4179523B2 (ja) 1999-04-02 2008-11-12 シーアイ化成株式会社 農業用多層フィルム
US7595311B2 (en) * 2002-05-24 2009-09-29 Exelixis, Inc. Azepinoindole derivatives as pharmaceutical agents
JP2004033065A (ja) * 2002-07-01 2004-02-05 Toto Kogyo Co Ltd エアハウス
AU2003284499A1 (en) * 2003-06-23 2005-01-04 Asahi Glass Green-Tech Co., Ltd. Transparent resin film roof and building using the same
JP2005307142A (ja) * 2004-03-25 2005-11-04 Fuji Photo Film Co Ltd セルロースアシレートフィルム、偏光板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20060043733A (ko) * 2004-03-31 2006-05-15 엠케이브이 플라테크 가부시키가이샤 농업용 필름
CN100572427C (zh) * 2004-04-26 2009-12-23 富士胶片株式会社 纤维素酰化物薄膜和纤维素酰化物颗粒的制造方法
KR100480006B1 (ko) * 2004-05-10 2005-03-31 바이오에어텍(주) 에어하우스
CN100528965C (zh) * 2004-06-21 2009-08-19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无色透明的聚酰亚胺复合薄膜及其制备方法
JP4833644B2 (ja) * 2005-11-22 2011-12-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0622455B1 (ko) * 2006-03-17 2006-09-12 권광용 무지주 다층 비닐하우스의 환기장치
CN100535099C (zh) * 2006-03-29 2009-09-02 张长青 生物光合反应堆生产微藻的装置及工艺
JP2008020532A (ja) * 2006-07-11 2008-01-31 Fujifilm Corp 光学機能性シート及び表示装置
FR2919646B1 (fr) * 2007-08-01 2009-09-11 Ferrari S Tissage & Enduct Sa Paroi souple a doubles peaux et dispositif de maintien sous tension d'une paroi souple a doubles peaux
JP2009039056A (ja) 2007-08-10 2009-02-26 Mkv Platech Co Ltd 農業用フィルム
JP5173476B2 (ja) * 2007-12-05 2013-04-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の製造装置
US20090146346A1 (en) * 2007-12-05 2009-06-11 Fujifilm Corporatio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rmoplastic resin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moplastic resin film
DE202008001537U1 (de) * 2008-02-01 2009-06-10 Krecké, Edmond D., Dipl.-Ing. Niedrigenergiegebäude, insbesondere Treibhaus oder Stallung
JP2010017093A (ja) 2008-07-08 2010-01-28 Fulta Electric Machinery Co Ltd ハウスの冷暖房装置又は冷暖房方法。
JP5367324B2 (ja) * 2008-07-25 2013-12-11 株式会社ダイセル 硬化性共重合体及び硬化性樹脂組成物
JP2011010590A (ja) 2009-07-01 2011-01-20 Kasajin Kk 農業用ハウスに使用する保温シート
JP5384314B2 (ja) 2009-12-18 2014-01-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セルロースアシレート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EP2338327A1 (en) * 2009-12-22 2011-06-29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Water curtain cultivation system capable of geological circulation of groundwater and artificial recharge of rainwater
JP2013139541A (ja) 2011-03-29 2013-07-18 Fujifilm Corp セルロースアシレート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5731605B2 (ja) * 2012-09-24 2015-06-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セルロースアシレート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5887259B2 (ja) * 2012-12-11 2016-03-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屋外用表示装置
DE102012112935A1 (de) * 2012-12-21 2014-06-26 JOPE Beteiligungs GmbH Tragluftdach
JP6128920B2 (ja) 2013-03-12 2017-05-17 徳寿工業株式会社 植物栽培温室
WO2014171399A1 (ja) * 2013-04-15 2014-10-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KR101377464B1 (ko) * 2013-07-02 2014-03-25 김문영 에어하우스
KR101539175B1 (ko) * 2014-06-12 2015-07-24 오준상 에어하우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8828A (ja) 2006-02-28 2007-09-13 Sumitomo Chemical Co Ltd 農業用シート
JP2009225708A (ja) 2008-03-21 2009-10-0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生分解性栽培用光反射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655433A (zh) 2021-04-16
KR102072480B1 (ko) 2020-02-03
CN107105618A (zh) 2017-08-29
CN112655433B (zh) 2023-01-06
US20200170196A1 (en) 2020-06-04
CN107105618B (zh) 2021-01-22
US20170280637A1 (en) 2017-10-05
KR20170092587A (ko) 2017-08-11
US10595472B2 (en) 2020-03-24
KR20190085172A (ko) 2019-07-17
WO2016103898A1 (ja) 2016-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0096B1 (ko) 농업 하우스용 필름 및 농업 하우스
JP6285384B2 (ja) 農業ハウス用フィルム
US11040524B2 (en) Biaxially oriented, UV-stabilized, single- or multilayer polyester film with a combination of silicon dioxide particles as light-scattering particles and UV stabilizer, process for producing same and use thereof in greenhouse blinds
JP6316234B2 (ja) 農業ハウス
JP6316235B2 (ja) 農業ハウス用フィルムおよび農業ハウス
KR101519464B1 (ko) 냉온 통풍을 이용한 에어 하우스
CN103467779A (zh) 一种三醋酸纤维素酯薄膜
JP6602501B1 (ja) 農業用フィルム、及び植物の育成方法
US10479872B2 (en) Antifogging film
JP6316183B2 (ja) 農業ハウス
JP3619322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被覆フィルム
WO2004002213A1 (ja) 脂肪族ポリエステル系生分解性樹脂製農業用フィルム
CN205767884U (zh) 基于pet及ldpe薄膜的遮阳帘
JP2012070662A (ja) 農業用フィルム
CN219686791U (zh) 一种新型阻燃增韧聚乳酸流延膜
JP6745831B2 (ja) 農業用透明フィルム
KR100407530B1 (ko) 폴리올레핀수지피복필름및식물재배방법
KR101932255B1 (ko) 광확산성 및 보온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CN104744905A (zh) 一种聚己内酯-乙酸纤维素医用复合薄膜及其制备方法
JPS6274626A (ja) 農業用軟質塩化ビニル系樹脂フイルム
JP3694076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積層フィルム
CN210987330U (zh) 一种模块化集装箱植物栽培装置
JP7142546B2 (ja) フィルム及び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H0662682A (ja) 農業用フィルム
CN205756014U (zh) 基于后拉伸高强度塑料薄膜的遮阳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