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9035B1 - 적층 필름, 수액백용 외장주머니 및 수액백 포장체 - Google Patents

적층 필름, 수액백용 외장주머니 및 수액백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9035B1
KR101999035B1 KR1020177008447A KR20177008447A KR101999035B1 KR 101999035 B1 KR101999035 B1 KR 101999035B1 KR 1020177008447 A KR1020177008447 A KR 1020177008447A KR 20177008447 A KR20177008447 A KR 20177008447A KR 101999035 B1 KR101999035 B1 KR 101999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sin
bag
oxide layer
metal 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8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8475A (ko
Inventor
다이스케 마토바
마사코 키도코로
아키라 노모토
아이코 시마카게
Original Assignee
미쓰이 가가쿠 토세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가가쿠 토세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이 가가쿠 토세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48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0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one layer of ceramic material, e.g. porcelain, ceramic t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2Applications of coated or impregnate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C08J7/0423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with at least one layer of inorganic material and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8Forming gas barrier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52Forming heat-sealable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54Forming anti-misting or drip-proofin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6Coating with compositions not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32B2307/7244Oxygen b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32B2307/7246Water vapor b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80Medical packa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7/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J2427/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J2427/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idene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
    • C08J24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J24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33/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75/04Polyureth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적층 필름(100)은, 기재층(101)과, 기재층(101)의 편면 또는 양면에 설치된 금속산화물을 포함하는 금속산화물층(103)을 구비한다. 그리고, JISK7126-2:2006에 준거하여, 온도 20℃, 습도 90% RH의 조건에서 측정되는 산소 투과도가 20ml/m2·day·MPa 이하이며, 온도 40℃, 습도 90% RH의 조건에서 측정되는 수증기 투과도가 2.5g/m2·day 이상이다. 또한, 금속산화물층(103)을 형광 X선 분석함으로써 얻어지는, 상기 금속산화물을 구성하는 금속의 Kα선 강도를 A로 하고, 상기 금속산화물을 구성하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층을 형광 X선 분석함으로써 얻어지는, 상기 금속의 Kα선 강도를 B로 하였을 때, A/B가 0.20 이상 0.97 이하이다.

Description

적층 필름, 수액백용 외장주머니 및 수액백 포장체{LAMINATE FILM, OUTER PACKAGING BAG FOR TRANSFUSION BAG, AND TRANSFUSION BAG PACKAGING BODY}
본 발명은, 적층 필름, 수액(輸液)백용 외장주머니 및 수액백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수액백의 내용물에 아미노산이나 비타민 등이 포함되는 경우, 그들 성분의 열화(劣化)를 방지하기 위해서, 산소 투과성이 낮은 배리어성 필름을 사용하여 수액백을 포장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 무기 증착막이 적층된 배리어성 필름을 사용하면, 산소 배리어성과 수증기 배리어성 모두 높은 성능을 발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무기 증착막이 적층된 배리어성 필름에 관한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일본국 특허공개 공보 평07-80986호)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특허문헌 1에는, 기재 필름층 상에, 투명성을 가지는 무기질층을 개재시키고 배리어성 수지 코팅층을 피복한 가스 배리어성 필름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이와 같은 가스 배리어성 필름은 기계적 외력의 작용에 의한 가스 배리어성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투명성에 더하여, 피복층이 얇아도 고온에서 뛰어난 가스 배리어성을 가진다고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 공보 평07-80986호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수액백 본체를 포장하는 외장주머니로서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무기 증착막이 적층된 배리어성 필름을 사용하면, 이와 같은 배리어성 필름은 수증기 투과성이 낮기 때문에, 수액백 본체와 그것을 포장하는 외장주머니와의 사이에 수증기가 가득 차고, 그 수증기가 보관 환경의 변화나 수송 중에 결로(結露)되어, 내부에 물방울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파대(破袋)나 액누설이 의심되어, 수액백은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수액백 본체를 포장하는 외장주머니로서, 적당한 수증기 투과성을 가지는, 폴리바이닐알코올(이하, "PVA"라고도 부른다. )이나 에틸렌-바이닐알코올 수지(이하, "EVOH"라고도 부른다. ) 등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검토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필름은 상기 물방울의 발생은 억제할 수 있는 한편, 고습도 하에서는 외장주머니의 산소 투과성이 높아진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뛰어난 수증기 투과성을 가지면서, 고습도 하에 있어서도 산소 배리어성이 뛰어난 적층 필름, 그것을 사용한 수액백용 외장주머니, 및 보관 안정성이 뛰어난 수액백 포장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 하에 나타내는 적층 필름, 수액백용 외장주머니 및 수액백 포장체가 제공된다.
[1]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의 편면 또는 양면에 설치된 금속산화물을 포함하는 금속산화물층을 구비하고,
JISK7126-2:2006에 준거하여, 온도 20℃, 습도 90% RH의 조건에서 측정되는 산소 투과도가 20ml/m2·day·MPa 이하이고,
온도 40℃, 습도 90% RH의 조건에서 측정되는 수증기 투과도가 2.5g/m2·day 이상이고,
상기 금속산화물층을 형광 X선 분석함으로써 얻어지는, 상기 금속산화물을 구성하는 금속의 Kα선 강도를 A로 하고,
상기 금속산화물을 구성하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층을 형광 X선 분석함으로써 얻어지는, 상기 금속의 Kα선 강도를 B로 하였을 때,
 A/B가 0.20 이상 0.97 이하인 적층 필름.
[2]
상기 금속산화물층이 산화알루미늄층이고,
상기 산화알루미늄층을 형광 X선 분석함으로써 얻어지는, 알루미늄의 Kα선 강도를 A1로 하고,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알루미늄층을 형광 X선 분석함으로써 얻어지는, 상기 알루미늄의 Kα선 강도를 B1로 하였을 때,
 A1/B1이 0.20 이상 0.75 이하인 상기 [1]에 기재된 적층 필름.
[3]
상기 산화알루미늄층의 두께가 1nm 이상 40nm 이하의 범위인 상기 [2]에 기재된 적층 필름.
[4]
상기 금속산화물층이 산화규소층이고,
상기 산화규소층을 형광 X선 분석함으로써 얻어지는, 규소의 Kα선 강도를 A2로 하고,
규소로 이루어지는 규소층을 형광 X선 분석함으로써 얻어지는, 상기 규소의 Kα선 강도를 B2로 하였을 때,
 A2/B2가 0.75 이상 0.97 이하인 상기 [1]에 기재된 적층 필름.
[5]
상기 산화규소층의 두께가 10nm 이상 35nm 이하의 범위인 상기 [4]에 기재된 적층 필름.
[6]
상기 Kα선 강도 A가 12kcps 이상 40kcps 이하인 상기 [1] 내지 [5]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
[7]
상기 금속산화물층 상에 수지층이 더 설치된 상기 [1] 내지 [6]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
[8]
상기 수지층이 폴리바이닐알코올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폴리카복실산계 수지, 폴리염화바이닐리덴계 수지, 및 폴리바이닐알코올계 수지와 폴리카복실산 다가 금속염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는 상기 [7]에 기재된 적층 필름.
[9]
수액백용 외장주머니에 사용되는 상기 [1] 내지 [8]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
[10]
상기 [1] 내지 [9]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을 사용한 수액백용 외장주머니.
[11]
수액백 본체와,
상기 수액백 본체를 포장하는 상기 [10]에 기재된 수액백용 외장주머니를 구비하는 수액백 포장체.
본 발명에 의하면, 뛰어난 수증기 투과성을 가지면서, 고습도 하에 있어서도 산소 배리어성이 뛰어난 적층 필름, 그것을 사용한 수액백용 외장주머니, 및 보관 안정성이 뛰어난 수액백 포장체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목적,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이하에 설명하는 적합한 실시형태, 및 그에 부수(付隨)되는 이하의 도면에 의해 더 분명해진다.
[도 1] 본 발명에 관련되는 실시형태의 적층 필름의 구조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본 발명에 관련되는 실시형태의 수액백용 외장주머니의 구조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 본 발명에 관련되는 실시형태의 수액백 포장체의 구조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모든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공통의 부호를 붙여, 적절히 설명을 생략 한다. 또한, 도면은 개략도이며, 실제의 치수 비율과는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 또한, 글 중의 숫자 사이에 있는 "∼"는 특별히 단정짓지 않으면, 이상 내지 이하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실시형태의 적층 필름(100)의 구조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적층 필름(100)은, 기재층(101)과, 기재층(101)의 편면 또는 양면에 설치된 금속산화물을 포함하는 금속산화물층(103)을 구비한다. 그리고, JISK7126-2:2006에 준거하여, 온도 20℃, 습도 90% RH의 조건에서 측정되는 산소 투과도가 20ml/m2·day·MPa 이하, 바람직하게는 15ml/m2·day·MPa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ml/m2·day·MPa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ml/m2·day·MPa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ml/m2·day·MPa 이하이며, 온도 40℃, 습도 90% RH의 조건에서 측정되는 수증기 투과도가 2.5g/m2·day 이상, 바람직하게는 3.0g/m2·day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5g/m2·day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0g/m2·day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5.0g/m2·day 이상이다. 또한, 금속산화물층(103)을 형광 X선 분석함으로써 얻어지는, 상기 금속산화물을 구성하는 금속의 Kα선 강도를 A로 하고, 상기 금속산화물을 구성하는 상기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층을 형광 X선 분석함으로써 얻어지는, 상기 금속의 Kα선 강도를 B로 하였을 때, A/B(이하, 부착률 M이라고도 부른다. )가 0.20 이상 0.97 이하, 바람직하게는 0.20 이상 0.94 이하이다.
여기서, 상기 금속층은, 예를 들면, 산소를 도입하지 않는 이외는 금속산화물층(103)과 동일한 제조 조건에서 금속층이다. 즉, 부착률 M은, 금속산화물층과 금속층에 있어서의, 형광 X선 분석에 의해 Kα선의 강도가 측정되는 각각의 부위에 존재하고 있는 동종의 금속의 원자수의 비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적층 필름(100)은, 뛰어난 수증기 투과성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적층 필름(100)을 사용한 수액백용 외장주머니는 뛰어난 수증기 투과성을 가지기 때문에, 수액백 본체로부터 외장주머니 안으로 투과하여 온 수분을 외장주머니의 밖으로 내뺄 수 있다. 이에 의해, 수액백 본체와 그것을 포장하는 외장주머니와의 사이에 수증기가 가득 차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그 결과, 수액백 포장체를 보관하고 있는 동안에, 그 내부에 물방울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적층 필름(100)은, 고습도 하에 있어서도 산소 배리어성이 뛰어나다. 그 때문에, 적층 필름(100)을 사용한 수액백용 외장주머니는 고습도 하에 있어서도 산소 배리어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고습도 하에 있어서 수액백 본체에 산소가 침입하여, 수액백의 내용물이 열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형태의 적층 필름(100)에 의하면, 보관 안정성이 뛰어난 수액백 포장체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적층 필름(100)을 구성하는 각 부재에 관하여 설명한다.
(기재층)
본 실시형태의 기재층(101)은, 통상,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형성된 시트상(狀) 또는 필름상(狀)의 기재로 구성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공지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4-메틸-1-펜텐), 폴리(1-뷰텐) 등), 폴리에스터(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뷰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 폴리아미드(나일론-6, 나일론-66, 폴리메타자일렌아지파미드 등), 폴리염화바이닐, 폴리이미드, 에틸렌·아세트산바이닐 공중합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타이렌, 아이오노머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연신성, 투명성이 양호한 점에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뷰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가 바람직하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형성된 필름상의 기재는, 무연신 필름이어도, 연신 필름이어도 된다.
또한, 기재층(101)의 편면 또는 양면에, 금속산화물층(103)과의 접착성을 개량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코로나 처리, 화염 처리, 플라즈마 처리, 프라이머 코트 처리 등의 표면 활성화 처리를 실시해 두어도 된다.
기재층(101)의 두께는, 통상 1∼200㎛, 바람직하게는 5∼150㎛의 범위이다.
기재층(101)의 정전기 제거나 표면 처리라는 관점에서, 증착조 내의 기재의 권출(卷出) 직후에, 플라즈마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직류 글로우 방전, 고주파 방전, 마이크로파 방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방전에는 가스의 도입이 필요하고, 가스로서는 상기 방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여러 가지의 가스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아르곤, 헬륨, 산소, 질소 등을 들 수 있다.
(금속산화물층)
본 실시형태의 금속산화물층(103)을 구성하는 금속산화물은, 예를 들면, 투명성 박막을 형성할 수 있는 금속산화물이다. 금속산화물층(103)을 구성하는 금속산화물로서는, 예를 들면, 베릴륨, 마그네슘, 칼슘, 스트론튬, 바륨 등의 주기표 2A족 원소;티탄, 지르코늄, 루테늄, 하프늄, 탄탈 등의 주기표 천이원소;아연 등의 주기표 2B족 원소;알루미늄, 갈륨, 인듐, 탈륨 등의 주기표 3A족 원소;규소, 게르마늄, 주석 등의 주기표 4A족 원소;셀렌, 텔루르 등의 주기표 6A족 원소 등의 산화물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기표의 족명은 구(舊)CAS식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 금속산화물 중에서도, 투명성이 뛰어난 점에서, 산화알루미늄이나 산화규소가 바람직하다.
또한, 산화규소에는, 이산화규소 이외, 일산화규소, 아산화규소가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금속산화물층(103)은 금속산화물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금속산화물층(103)은 단층의 금속산화물층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복수층의 금속산화물층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금속산화물층(103)이 복수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동일 종류의 금속산화물층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상이한 종류의 금속산화물층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적층 필름(100)에 있어서, 상기 A/B로 나타내는 부착률 M이 0.20 이상 0.97 이하, 바람직하게는 0.20 이상 0.94 이하이다.
여기서, 상기 A는, 금속산화물층(103)을 형광 X선 분석함으로써 얻어지는, 상기 금속산화물을 구성하는 금속의 Kα선 강도이다. 또한, 상기 B는, 상기 금속산화물을 구성하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층을 형광 X선 분석함으로써 얻어지는, 상기 금속의 Kα선 강도이다.
상기 부착률 M이 0.20 이상이면, 적층 필름(100)의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거나, 얻어지는 적층 필름(100)의 투명성을 향상시킬 수 있거나 한다. 상기 부착률 M이 0.97 이하, 바람직하게는 0.94 이하이면, 적층 필름(100)의 투명성이 양호해진다.
부착률 M을 상기 범위 내로 설정하고, 또한, 금속산화물층의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JISK7126-2:2006에 준거하여, 온도 20℃, 습도 90% RH의 조건에서 측정되는 산소 투과도가 20ml/m2·day·MPa 이하이며, 온도 40℃, 습도 90% RH의 조건에서 측정되는 수증기 투과도가 2.5g/m2·day 이상인 적층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금속산화물층(103)의 두께를 부착률 M의 값에 따라 적절한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원하는 산소 투과도 및 수증기 투과도를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부착률 M이 크면 금속산화물층(103)의 두께는 얇게 설정되고, 부착률 M이 작으면 금속산화물층(103)의 두께는 두껍게 설정된다. 부착률 M이 크면 기재층(103) 표면에 증착되는 금속산화물의 입자가 작아져 비교적 치밀한 표면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 원하는 수증기 투과도를 얻는 관점에서, 두께를 얇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부착률 M이 작으면 기재층 표면에 증착되는 금속산화물의 입자가 커져 비교적 엉성한 표면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 원하는 산소 배리어성을 얻는 관점에서, 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즉, 부착률 M이 작을수록, 산소 투과도를 저하시키는 관점에서, 금속산화물층(103)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착률 M이 클수록, 수증기 투과도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금속산화물층(103)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Kα선 강도 A는,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형광 X선 분석장치 ZSXPrimusII(리가크사제)를 이용하고, 본 실시형태의 적층 필름(100)의 금속산화물층(103)에 대하여, 상기 금속산화물을 구성하는 금속의 Kα선을 측정하여, 얻어진 형광 X선 강도를 Kα선 강도 A(kcps)로 할 수 있다.
상기 Kα선 강도 B는,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우선, 산소의 도입은 실시하지 않고, 본 실시형태의 적층 필름(100)에 있어서의 금속산화물층(103)과 동일한 제조 조건에서, 기재 상에 상기 금속산화물을 구성하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층을 형성한다. 이어서, 형광 X선 분석장치 ZSXPrimusII(리가크사제)를 이용하고, 얻어진 금속층에 대하여, 상기 금속층을 구성하는 금속의 Kα선을 측정하여, 얻어진 형광 X선 강도를 B(kcps)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적층 필름(100)에 있어서의 금속산화물층(103)의 두께는, 투과형 전자현미경이나 주사형 전자현미경에 의한 관찰 화상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적층 필름(100)에 있어서의 금속산화물층(103)의 두께는, 부착률 M이 동일한 금속산화물층의 경우, 금속산화물층의 두께와 Kα선 강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검량선을 미리 작성해 두면, 상기 Kα선 강도 A를 환산함으로써 구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적층 필름(100)에 있어서, 상기 Kα선 강도 A는, 바람직하게는 12kcps 이상 40kcps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kcps 이상 35kcps 이하이다. 상기 Kα선 강도 A가 상기 범위 내이면, 수증기 투과성과 산소 배리어성의 밸런스가 보다 뛰어난 적층 필름(100)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Kα선 강도 A는, 예를 들면, 금속산화물층(103)의 두께나 부착률 M을 조정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산화알루미늄층)
금속산화물층(103)으로서는, 금속산화물로서 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산화알루미늄층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산화알루미늄층을 형광 X선 분석함으로써 얻어지는, 알루미늄의 Kα선 강도를 A1로 하고,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알루미늄층을 형광 X선 분석함으로써 얻어지는, 상기 알루미늄의 Kα선 강도를 B1로 하였을 때, A1/B1(이하, 부착률 Al라고도 부른다. )은, 금속산화물층(103)의 두께의 제어의 용이성, 얻어지는 적층 필름(100)의 투명성, 적층 필름(100)의 생산 효율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20 이상 0.7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 이상 0.6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20 이상 0.60 이하,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0.20 이상 0.55 미만,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0.25 이상 0.55 미만,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0.30 이상 0.55 미만,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0.30 이상 0.50 이하,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0.35 이상 0.5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40 이상 0.50 이하이다.
여기서, 상기 알루미늄층은, 예를 들면, 산소를 도입하지 않는 이외는 상기 산화알루미늄층과 동일한 제조 조건에서 얻어지는 알루미늄층이다. 즉, 부착률 Al은, 산화알루미늄층과 알루미늄층에 있어서의, 형광 X선 분석에 의해 Kα선의 강도가 측정되는 부위에 존재하고 있는 알루미늄 원자수의 비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금속산화물층(103)이 산화알루미늄층이고, 부착률 Al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수증기 투과성과 산소 배리어성의 밸런스의 관점에서, 금속산화물층(103)의 두께는 1nm 이상 40nm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3nm 이상 35nm 이하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nm 이상 30nm 이하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nm 이상 25nm 이하의 범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적층 필름(100)에 있어서, 상기 Kα선 강도 A1은, 바람직하게는 12kcps 이상 40kcps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kcps 이상 35kcps 이하이다. 상기 Kα선 강도 A1이 상기 범위 내이면, 수증기 투과성과 산소 배리어성의 밸런스가 보다 뛰어난 적층 필름(100)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Kα선 강도 A1은, 예를 들면, 산화알루미늄층의 두께나 부착률 Al를 조정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산화규소층)
금속산화물층(103)으로서는, 금속산화물로서 산화규소를 포함하는 산화규소층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산화규소층을 형광 X선 분석함으로써 얻어지는, 규소의 Kα선 강도를 A2로 하고, 규소로 이루어지는 규소층을 형광 X선 분석함으로써 얻어지는, 상기 규소의 Kα선 강도를 B2로 하였을 때, 상기 A2/B2(이하, 부착률 Si라고도 부른다. )는, 금속산화물층(103)의 두께의 제어의 용이성, 얻어지는 적층 필름(100)의 투명성, 적층 필름(100)의 생산 효율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75 이상 0.97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75 이상 0.9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75 이상 0.94 이하,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0.80 이상 0.94 이하,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0.85 이상 0.94 이하,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0.88 이상 0.94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90 이상 0.94 이하이다.
여기서, 상기 규소층은, 예를 들면, 산소를 도입하지 않는 이외는 상기 산화규소층과 동일한 제조 조건에서 얻을 수 있는 규소층이다. 즉, 부착률 Si는, 산화규소층과 규소층에 있어서의, 형광 X선 분석에 의해 Kα선의 강도가 측정되는 부위에 존재하고 있는 Si의 원자수의 비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금속산화물층(103)이 산화규소층이고, 부착률 Si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수증기 투과성과 산소 배리어성의 밸런스의 관점에서, 금속산화물층(103)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nm 이상 35nm 이하의 범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nm 이상 30nm 이하의 범위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7nm 이상 25nm 이하의 범위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적층 필름(100)에 있어서, 상기 Kα선 강도 A2는, 바람직하게는 12kcps 이상 40kcps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kcps 이상 35kcps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kcps 이상 35kcps 이하이며,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25kcps 이상 35kcps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28kcps 이상 33kcps 이하이다. 상기 Kα선 강도 A2가 상기 범위 내이면, 수증기 투과성과 산소 배리어성의 밸런스가 보다 뛰어난 적층 필름(100)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Kα선 강도 A2는, 예를 들면, 산화규소층의 두께나 부착률 Si를 조정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수지층)
본 실시형태의 적층 필름(100)에 있어서, 금속산화물층(103)의 보호나 산소 배리어성의 향상 등의 관점에서, 금속산화물층(103) 상에 수지층을 설치해도 된다.
상기 수지층은, 올레핀 수지, 폴리에스터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아크릴산이나 아크릴염에 의해 변성한 변성 올레핀 수지, 나일론 수지, 나일론 골격에 방향환을 도입하거나, 수용성화하거나 하여 변성한 변성 나일론 수지, 에폭시 수지, 멜라민 수지, 폴리바이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염화바이닐리덴계 수지,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수지, 폴리카복실산 다가 금속염계 수지, 폴리카복실산계 수지, 폴리바이닐알코올계 수지와 폴리카복실산 다가 금속염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 TEOS(테트라에톡시실란)나 TMOS(테트라메톡시실란)를 가수분해하여 가교시키는 졸겔법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유기 규소계 코팅 수지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지를 포함한다.
이들 중에서도, 생산 효율, 산소 배리어성의 향상, 및 수증기 투과성의 확보의 관점에서, 폴리바이닐알코올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폴리카복실산계 수지, 폴리염화바이닐리덴계 수지, 및 폴리바이닐알코올계 수지와 폴리카복실산 다가 금속염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층은 1종의 수지에 의해 단층으로 설치해도 되고, 2종 이상의 수지에 의해 복수층 설치해도 된다.
수지층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수지 필름을 금속산화물층(103) 상에 적층시킴으로써 수지층을 형성하는 방법, 수지를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함으로써 얻어지는 수지액을 금속산화물층(103) 상에 코팅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수지층을 형성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가공성의 관점에서, 금속산화물층(103) 상에 코팅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수지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폴리바이닐알코올계 수지)
상기 폴리바이닐알코올계 수지는, 폴리바이닐알코올 중합체 이외, 바이닐알코올과 올레핀과의 공중합체도 포함한다. 바이닐알코올과 올레핀과의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올레핀의 공중합량은, 통상은 1∼25몰%, 바람직하게는 3∼20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5∼16몰%이다.
또한, 상기 폴리바이닐알코올계 수지의 중합도는 바람직하게는 100∼3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2500, 특히 바람직하게는 300∼2000의 범위이다. 중합도가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폴리바이닐알코올 중합체나 폴리바이닐알코올 공중합체가 물에 용해되기 쉬워져, 용이하게 수용액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기재층에 폴리바이닐알코올계 수지를 코팅하기 쉬워진다. 게다가 연신성, 산소 배리어성도 양호해진다. 또한, 상기 올레핀으로서는, 탄소수 4 이하의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에틸렌, 프로필렌, 1-뷰텐, 아이소뷰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내수성의 점에서 에틸렌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바이닐알코올 중합체 및 바이닐알코올과 올레핀과의 공중합체의 비누화도는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이다. 비누화도가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산소 배리어성이 보다 뛰어난 수지층을 얻을 수 있다.
(우레탄계 수지)
상기 우레탄계 수지란, 산소 배리어성을 가지는 우레탄 수지이다. 상기 우레탄계 수지의 비수용성 수지는, 음이온성 자기 유화형 폴리우레탄 수지를 구성하고 있고, 우레탄기 및 우레아기의 합계 농도가 높고, 또한 산기를 가진다. 상기 우레탄계 수지는, 방향족, 방향 지방족 및 지환족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하이드록시산과의 반응에 의해 얻을 수 있고, 통상, 중화제로 중화되어 있다. 상기 우레탄계 수지는, 또 다른 성분과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 공중합체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방향족, 방향 지방족 및 지환족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30질량% 이상 포함하는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하이드록시산과, 폴리올 성분 및 쇄신장제(鎖伸張劑) 성분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한쪽의 성분과의 반응에 의해 얻을 수도 있다. 상기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은, 자일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및 수소 첨가 자일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폴리올 성분은, 탄소수 2∼8의 폴리올을 90질량% 이상 포함하는 폴리올 화합물이어도 된다. 상기 쇄신장제 성분은, 예를 들면, 다이아민, 하이드라진 및 하이드라진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이다.
상기 우레탄계 수지의 우레탄기 및 우레아기(요소기)의 합계 농도는, 통상은 25∼60질량%, 바람직하게는 30∼5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5∼55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35∼50질량%이다. 또한, 우레탄기 농도 및 우레아기 농도란, 우레탄기의 분자량(59g/당량) 또는 우레아기의 분자량(일급 아미노기(아미노기):58g/당량, 2급 아미노기(이미노기):57g/당량)을, 반복 구성단위 구조의 분자량으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또한,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우레탄기 및 우레아기의 농도는, 반응 성분의 재료 베이스, 즉, 각 성분의 사용 비율을 베이스로 하여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계 수지의 산기로서는, 카복실기, 설폰산기 등을 들 수 있다. 산기는, 폴리우레탄 수지의 말단 또는 측쇄(특히 측쇄가 바람직하다)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이 산기는, 통상, 중화제(염기)에 의해 중화 가능하고, 염기와 염을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우레탄계 수지의 수평균분자량은, 통상은 800∼1,000,000, 바람직하게는 800∼20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800∼100,000이다.
상기 우레탄계 수지는 가스 배리어성이 높을수록 바람직하고, 우레탄계 수지의 산소 투과도(단위:ml/m2·day·MPa, 온도 20℃, 습도 80% RH의 조건)는, 두께 1㎛에 있어서, 예를 들면, 5000 이하, 바람직하게는 4000 이하(예를 들면, 1000∼4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0 이하(예를 들면, 500∼3000)이다.
이와 같은 우레탄계 수지는, 적어도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특히 바람직하게는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하이드록시산(예를 들면, 폴리하이드록시알케인산, 특히 바람직하게는 다이히드록시산)과의 반응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우레탄계 수지는, 상기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특히 바람직하게는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 성분 및 폴리하이드록시산 성분에 더하여, 폴리올 성분(특히 바람직하게는 알킬렌글라이콜 등의 다이올 성분) 및 쇄신장제(특히 바람직하게는 2 관능성 쇄신장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성분과의 반응에 의해 얻을 수도 있다.
(폴리카복실산계 수지)
상기 폴리카복실산계 수지는, 예를 들면,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카복실기를 가지는 것 및 그 공중합체 및 폴리카복실산 다가 금속염의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3-헥센산, 3-헥센이산 등의 비공역 불포화 카복실산의 단독 중합체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및 에틸에스터 등의 에스터류, 또한 에틸렌 등의 올레핀류 등과의 공중합체, 또는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이타콘산, 프말산, 크로톤산, 신남산 등의 α,β-불포화 카복실산의 단독 중합체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및 에틸에스터 등의 에스터류, 또한 에틸렌 등의 올레핀류 등과의 공중합체이며, 그 중에서도,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이타콘산, 프말산, 크로톤산, 신남산의 단독 중합체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고, 메타크릴산 또는 아크릴산의 단독 중합체가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카복실산 및 폴리카복실산 다가 금속염 중합체의 중합도는 20 이하이다.
또한, 폴리카복실산계 수지로서, 상기 폴리카복실산과 다가 금속과의 염을 중합시킨 수지도 포함된다. 해당 다가 금속으로서는, 예를 들면, 주기표의 2A∼7A족, 1B∼3B족 및 8B족에 속하는 금속이며, 적어도 1종 이상을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마그네슘(Mg), 칼슘(Ca), 스트론튬(Sr), 바륨(Ba), 철(Fe), 코발트(Co), 니켈(Ni), 구리(Cu), 아연(Zn), 알루미늄(Al) 등의 2가 이상의 금속이며, 마그네슘, 칼슘, 바륨, 아연이 바람직하고, 특히 아연이 바람직하다.
(폴리염화바이닐리덴계 수지)
상기 폴리염화바이닐리덴계 수지는, 폴리염화바이닐리덴 수지 및 그들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폴리염화바이닐리덴계 수지는, 여러 가지의 방법으로 적층되지만, 도공의 관점에서 수계(水系)의 에멀젼 타입 및 수지를 용제에 녹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성의 관점에서 수지를 용제에 더 녹인 것을 도공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바이닐알코올계 수지 및 폴리카복실산 다가 금속염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
상기 폴리바이닐알코올계 중합체와 상기 폴리카복실산 다가 금속염계 수지를 혼합하여 도포액을 제작하고, 얻어진 도포액을 금속산화물층(103) 상에 코팅하여 가교 중합시켜, 경화시킴으로써 폴리바이닐알코올계 수지 및 폴리카복실산 다가 금속염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층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폴리바이닐알코올계 수지는, 폴리바이닐알코올 중합체 이외, 바이닐알코올과 올레핀과의 공중합체도 포함한다. 바이닐알코올과 올레핀과의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올레핀의 공중합량은, 통상은 1∼25몰%, 바람직하게는 3∼20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5∼16몰%이다.
또한, 상기 폴리바이닐알코올계 수지의 중합도는 바람직하게는 100∼3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2500, 특히 바람직하게는 300∼2000의 범위이다. 또한, 상기 올레핀으로서는, 탄소수 4 이하의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에틸렌, 프로필렌, n-뷰텐, 아이소뷰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내수성의 점에서 에틸렌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바이닐알코올 중합체 및 바이닐알코올과 올레핀과의 공중합체의 비누화도는 바람직하게는 90%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이상이다. 비누화도가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산소 배리어성이 보다 뛰어난 수지층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폴리카복실산 다가 금속염계 수지는,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카복실기를 가지는 것 및 그 공중합체의 폴리카복실산계 중합체에 2가 이상의 금속염이 결합된 것이다. 상기 폴리카복실산계 중합체로서는, 구체적으로는, 3-헥센산, 3-헥센이산, 등의 비공역 불포화 카복실산의 단독 중합체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및 에틸에스터 등의 에스터류, 또한 에틸렌 등의 올레핀류 등과의 공중합체, 또는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이타콘산, 프말산, 크로톤산, 신남산 등의 α,β-불포화 카복실산의 단독 중합체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및 에틸에스터 등의 에스터류, 또한 에틸렌 등의 올레핀류 등과의 공중합체이며, 그 중에서도,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이타콘산, 프말산, 크로톤산, 신남산의 단독 중합체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고, 메타크릴산 또는 아크릴산의 단독 중합체가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카복실산 및 폴리카복실산 다가 금속염계 수지의 중합도는 20 이하이다.
또한, 폴리카복실산 다가 금속염계 수지를 형성하는 다가 금속으로서는, 예를 들면, 주기표의 2A∼7A족, 1B∼3B족 및 8B족에 속하는 금속이며, 적어도 1종 이상을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마그네슘(Mg), 칼슘(Ca), 스트론튬(Sr), 바륨(Ba), 철(Fe), 코발트(Co), 니켈(Ni), 구리(Cu), 아연(Zn), 알루미늄(Al) 등의 2가 이상의 금속이며, 마그네슘, 칼슘, 바륨, 아연이 바람직하고, 특히 아연이 바람직하다.
(열융착층)
본 실시형태의 적층 필름은, 히트씰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적어도 편면에 열융착층을 설치해도 된다.
금속산화물층(103) 상에 상기 수지층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는 금속산화물층(103) 상에 열융착층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금속산화물층(103) 상에 수지층을 설치하는 경우는, 상기 수지층 상에 열융착층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융착층으로서는, 열융착층으로서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틸렌, 프로필렌, 뷰텐-1, 헥센-1,4-메틸-펜텐-1, 옥텐-1 등의 α-올레핀의 단독 중합체 혹은 공중합체,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소위 L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저결정성 혹은 비정성의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에틸렌·뷰텐-1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뷰텐-1 랜덤 공중합체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층, 에틸렌·아세트산바이닐 공중합체(EVA)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층, EVA 및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층 등을 들 수 있다.
(금속산화물층의 제조 방법)
본 실시형태의 금속산화물층(103)은, 진공 중에서 산소와 금속 증기를 반응시킴으로써 기재층(101) 상에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얻어지는 금속산화물층(103)의 Kα선 강도 A는, 산소의 도입량에 의존하고, 산소의 도입량(산화도)이 커지면 금속으로서의 증착량이 감소되므로, Kα선 강도 A는 작아지며, 산소의 도입량이 적으면 금속으로서의 증착량이 증가되므로 Kα선 강도 A는 커진다.
또한, 금속산화물 또는 금속의 증착량은, 증착되는 기재층(101)의 가공속도(처리속도), 증발한 금속이 기재층(101)에 부착되는 효율(증착 효율), 금속의 증발속도 등에 의존한다. 또한, 금속산화물(금속)의 증착량과 증착 필름의 광선 투과율과는 상관(相關)이 있고, 산화 상태가 동일하다면, 금속산화물(금속)의 증착량이 증가되면 가공 시의 증착 필름의 광선 투과율은 저하된다.
또한, 형광 X선 분석장치를 증착조 내에 장비(裝備)함으로써, 얻어지는 금속산화물층(103)의 Kα선 강도 A를 측정하면 직접 조건을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형광 X선 측정장치를 증착조 내에 장비하지 않는 경우는, 미리, 사용하는 증착장치에서, 가공속도, 금속의 증발량, 산소 도입량 등을 바꾸어 증착 필름을 제작하고, Kα선 강도 A 및 Kα선 강도 B를 측정하여, 가공속도, 금속의 증발량, 산소 도입량, 광선 투과율 등과 Kα선 강도 A 및 Kα선 강도 B와의 검량선을 구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A/B를 이러한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반응시키는 도입 산소량과 금속의 증발량을 제어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도입 산소량은 매스 플로우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일정하게 컨트롤할 수 있다. 금속을 산화시키는 산소의 도입 위치는, 기재의 권출 방향측, 방착판(放着板) 내에 폭방향으로 설치되고, 금속 증기를 향하여 냉각롤의 회전 방향측에 산소를 도입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위치이면, 기재에 증착되는 금속에 대하여만 산소를 공급하면 되기(방착판 등에 부착되는 분(分)의 금속에는 산소를 공급하지 않아도 종료한다) 때문에, 여분의 산소를 도입하여 진공도를 나쁘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금속산화물층(103)을 형성할 때의 가열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고주파 유도 가열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착속도는, 제조상, 장치가 가능한 범위에서 빠를수록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1∼1000m/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00m/분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1000m/분이다. 이 범위이면 안정적으로 제조 가능하다.
수지층으로서 설치하는 산소 투과도가 낮은 수지의 도포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에어 나이프 코트법, 롤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블레이드 코터법, 딥 코트법, 스프레이법, 다이 코트법, 립 코트법 등의 관용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도포액을 도포한 후, 예를 들면 20∼250℃ 정도의 온도에서 건조함으로써, 또한, 자외선 경화, 방사선 경화 등에 의해, 산소 투과도가 낮은 수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적층 필름(100)에는, 필름의 종류,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의 코팅층이나 라미네이트층, 예를 들면, 활성(滑性)층, 대전방지층 등을 더 형성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적층 필름(100)은, 수액용 백의 외장주머니 등의 의료 포장 용도나, 수증기 선택 투과를 필요로 하는 식품 포장 용도 및 공업 포장 용도 등, 여러 가지의 포장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적층 필름(100)은, 식품, 의약품 등 산소 배리어성은 요구되지만, 수증기 투과성은 확보하고 싶은 내용물의 포장에 적합하고, 특히 수액백용의 외장주머니로서 사용하는 것이 양호한 산소 배리어성의 부여와 수증기 투과성에 의한 방담(防曇)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적합하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수액백용 외장주머니(150)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실시형태의 수액백용 외장주머니(150)의 구조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적층 필름(100)은,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수액백용 외장주머니(150)에 사용할 수 있다. 수액백용 외장주머니(150)는 적층 필름(100)을 사용한 것이고, 적층 필름(100)을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대(製袋)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액백 본체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開口部)(151)을 남기고, 그 이외의 주연(周緣)을 열융착에 의해 제대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수액백 포장체(200)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실시형태의 수액백 포장체(200)의 구조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수액백 포장체(200)는, 수액백 본체(201)와, 수액백 본체(201)를 포장하는 수액백용 외장주머니(150)를 구비한다.
수액백 포장체(200)는, 예를 들면, 수액백용 외장주머니(150)의 개구부(151)로부터 수액백 본체(201)를 삽입하고, 이어서, 예를 들면, 질소가스 치환 등을 실시하면서, 개구부(151)를 열융착에 의해 방지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수액백 본체(201)는, 통상은 플라스틱제의 용기이며, 의료용 플라스틱제 용기를 들 수 있다.
수액백 본체(201)의 내용물로서는, 예를 들면, 아미노산, 비타민, 지방 젖산 등의 산소에 의해 변질하기 쉬운 약액, 링거액, 수혈액 등을 들 수 있다.
수액백용 외장주머니(150)는 뛰어난 수증기 투과성을 가지기 때문에, 수액백 본체(201)에서 수액백용 외장주머니(150) 내로 투과되어 온 수분을 수액백용 외장주머니(150)의 밖으로 내뺄 수 있다. 이에 의해, 수액백 본체(201)와 수액백용 외장주머니(150) 사이에 수증기가 가득 차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그 결과, 수액백 포장체(200)를 보관하고 있는 동안에, 그 내부에 물방울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수액백용 외장주머니(150)는 고습도 하에 있어서도 산소 배리어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고습도 하에 있어서 수액백 본체(201)에 산소가 침입되어, 수액백 본체(201)의 내용물이 열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형태의 수액백 포장체(200)는, 보관 안정성이 뛰어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이들은 본 발명의 예시이며, 상기 이외의 여러 가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 본 실시형태를, 실시예·비교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이들 실시예의 기재에 조금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각 물성은 이하의 측정 방법으로 실시했다.
(1) 수증기 투과도의 측정
실시예·비교예에서 얻어진 적층 필름에 대하여, 두께 50㎛의 LLDPE 필름(미쓰이가가쿠히가시셀로사제, 상품명:T.U.X FCS)에 접착제(미쓰이가가쿠사제, 타케락A-310(상품명)/타케네이트A-3(상품명)=12/1(중량비))를 3.0g/m2 도포하여, 적층 필름의 금속산화물층과 LLDPE 필름의 접착제 도포면이 접하도록 적층했다.
이어서 얻어진 적층 필름을 사용하고, 내표면적이 0.01m2가 되도록 제대하ㅇ여 얻어진 주머니 내에 내용물로서 염화칼슘을 10g 넣고, 주머니의 입구를 히트씰 했다.
이어서 얻어진 주머니를 온도 40℃, 습도 90% RH의 환경 하에 보관했다.
보관 전후의 염화칼슘의 중량을 측정하고, 그 차로부터 수증기 투과도를 산출했다. 측정은 48시간 간격으로 실시하고, 산출한 수치가 안정된 시점에서의 값을 적층 필름의 수증기 투과도로 했다.
(2) 산소 투과도의 측정
산소 투과도는 JIS K7126-2:2006에 준거하여 측정했다.
실시예·비교예에서 얻어진 적층 필름에 대하여, 두께 50㎛의 LLDPE 필름(미쓰이가가쿠히가시셀로사제, 상품명:T.U.X FCS)에 접착제(미쓰이가가쿠사제, 타케락A-310(상품명)/타케네이트A-3(상품명)=12/1(중량비))를 3.0g/m2 도포하여, 적층 필름의 금속산화물층과 LLDPE 필름의 접착제 도포면이 접하도록 적층했다.
이어서, 산소 투과율 측정기(MOCON사제:OXTRAN2/21)를 사용하여, 얻어진 적층 필름의 산소 투과도를 온도 20℃, 습도 90% RH의 조건에서 측정했다.
(3) 형광 X선 강도
형광 X선 분석장치(리가크사제:ZSX PrimusII)를 사용하여, 기재층 상에 설치된 산화알루미늄층 및 알루미늄층의 Al의 Kα선에 관하여 각각 측정하고, 산화알루미늄 증착 필름의 Kα선 강도 A와 산소 도입하지 않고 얻어지는 알루미늄 증착 필름의 Kα선 강도 B를 각각 측정하여, A/B를 산출했다.
산화규소의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와 동일하게 형광 X선 분석장치에 의해 기재층 상에 얻어진 산화규소층 및 규소층의 Si의 Kα선에 관하여 각각 측정하고, 산화규소 증착 필름의 Kα선 강도 A와 산소 도입하지 않고 얻어지는 규소 증착 필름의 Kα선 강도 B를 각각 측정하여, A/B를 산출했다.
(4) 수액백 포장체의 평가
실시예·비교예에서 얻어진 적층 필름에 대하여, 두께 50㎛의 LLDPE 필름(미쓰이가가쿠히가시셀로사제, 상품명:T.U.X FCS)에 접착제(미쓰이가가쿠사제, 타케락A-310(상품명)/타케네이트 A-3(상품명)=12/1(중량비))를 3.0g/m2 도포하여, 적층 필름의 금속산화물층과 LLDPE 필름의 접착제 도포면이 접하도록 적층했다.
다음으로 두께 50㎛의 LLDPE 필름(미쓰이가가쿠히가시셀로사제, 상품명:T.U.X FCS)를 사용하여 내면적이 0.009m2가 되도록 제대하고, 얻어진 주머니 내에 내용물로서 물 20g를 넣어, 주머니 입구를 히트씰링하여, 물 충전 작은 주머니를 얻었다.
다음으로 얻어진 적층 필름을 사용하여, 내면적이 0.022m2가 되도록 제대하고, 얻어진 주머니 내에, 물 충전 작은 주머니와 습도 인디케이터(indicator)(KN래보래토리즈사제, PHI9S5-95)를 넣고, 주머니의 입구를 히트씰하여, 수액백 포장체를 얻었다.
얻어진 수액백 포장체를, 온도 40℃의 환경 하에 3일간 보관했다. 보관 후의 수액백 포장체 내의 상대습도가 습도 인디케이터보다, 70% 미만이면 ○, 70% 이상이면 ×로 했다.
(실시예 1)
기재로서, 12㎛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유니치카사제, 상품명:엔블렛PET12 )을 사용했다. 이 기재의 코로나 처리면에, 고주파 유도 가열 방식에 의해, 알루미늄을 가열 증발시켜, 산소를 더 도입하고, 기재 상에 A/B가 0.45, 두께가 10nm가 되도록 산화알루미늄을 증착하여, 적층 필름(산화알루미늄 증착 필름)을 얻었다. 또한, 산소 도입을 실시하지 않는 이외는 상기 산화알루미늄 증착 필름의 제작과 동일한 조건에서, 상기 기재의 코로나 처리면에,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알루미늄 증착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기재로서, 12㎛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유니치카사제, 상품명:엔블렛PET12 )을 사용했다. 이 기재의 코로나 처리면에, 고주파 유도 가열 방식에 의해, 알루미늄을 가열 증발시켜, 산소를 더 도입하고, 기재 상에 A/B가 0.44, 두께가 20nm가 되도록 산화알루미늄을 증착하여, 적층 필름(산화알루미늄 증착 필름)을 얻었다. 또한, 산소 도입을 실시하지 않는 이외는 상기 산화알루미늄 증착 필름의 제작과 동일한 조건에서, 상기 기재의 코로나 처리면에,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알루미늄 증착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적층 필름의 산화알루미늄층 상에,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수지층을 형성함으로써 적층 필름을 얻었다.
여기서, 수지층의 형성 방법은 이하와 같다. 우선, 폴리우레탄 디스퍼젼(polyurethane dispersion)(미쓰이가가쿠사제, 상품명:타케락WPB-341(고형분 30%))을 물과 아이소프로필알코올의 혼합액(중량비:물/아이소프로필알코올=3/1)으로 희석함으로써 도공액(고형분 15%)을 조제했다. 이어서, 이 도공액을, 건조 후의 도공량이 0.7g/m2가 되도록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적층 필름의 산화알루미늄층 상에 어플리케이터로 도공하고, 건조시켜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수지층을 형성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적층 필름의 산화알루미늄층 상에, 에틸렌-바이닐알코올 수지(EVOH)로 이루어지는 수지층을 형성함으로써 적층 필름을 얻었다.
여기서, 수지층의 형성 방법은 이하와 같다. 우선, 에틸렌-바이닐알코올 수지(닛뽕고우세이사제, 상품명:소아놀16DX(고형분 16%))를, n-프로필알코올로 희석함으로써 도공액(고형분 8%)을 조제했다. 이어서, 이 도공액을, 건조 후의 도공량이 1.7g/m2가 되도록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적층 필름의 산화알루미늄층 상에 어플리케이터로 도공하고, 건조시켜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수지층을 형성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적층 필름의 산화알루미늄층 상에, 폴리염화바이닐리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층을 형성함으로써 적층 필름을 얻었다.
여기서, 수지층의 형성 방법은 이하와 같다. 우선, 폴리염화바이닐리덴계 수지(아사히가세이케미컬즈사제, 상품명:사란레진F216)를, 톨루엔:MEK(메틸에틸케톤)=1:2의 용제로 희석함으로써 도공액(고형분 3%)을 조제했다. 이어서, 이 도공액을, 건조 후의 도공량이 0.1g/m2가 되도록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적층 필름의 산화알루미늄층 상에 어플리케이터로 도공하고, 건조시켜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수지층을 형성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6)
12㎛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제막 시에 이접착층(易接着層)으로서 아크릴 성분을 주로 하는 코팅제를 인라인 코트하여, 이접착 PET를 얻었다. 코팅제는 옥사졸린기 함유 수성 폴리머(A)로서, 니혼쇼쿠바이사제, 상품명 "에포크로스WS-300"(고형분 10%), 수성 아크릴계 수지(B)로서, 토아고우세이사제, 상품명 "쥬리머-ET-410"(고형분 30%), 수성 폴리에스터계 수지(C)로서, 닛뽕고우세이가가쿠고교사제, 상품명 "폴리에스터-WR―961"(고형분 30%)을 사용하고, 고형분비로 (A)/(B)/(C)= 23.7/57.2/19.1이 되도록 조제하여, 건조 후 두께가 0.06㎛가 되도록 도공했다.
얻어진 이접착 PET의 이접착면에, 고주파 유도 가열 방식에 의해, SiO를 가열 증발시켜, 산소를 더 도입하고, 기재 상에 A/B가 0.92, 두께가 21nm가 되도록 SiOx를 증착하여, 적층 필름(산화규소 증착 필름)을 얻었다. 또한, 산소 도입을 실시하지 않는 이외는 상기 산화규소 증착 필름의 제작과 동일한 조건에서, 상기이접착 PET의 이접착면에, 규소를 증착하여, 규소 증착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기재로서, 12㎛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유니치카사제, 상품명:엔블렛PET12 )을 사용했다. 이 기재의 코로나 처리면에, 고주파 유도 가열 방식에 의해, 알루미늄을 가열 증발시켜, 산소를 더 도입하고, 기재 상에 A/B가 0.57, 두께가 13nm가 되도록 산화알루미늄을 증착하여, 적층 필름(산화알루미늄 증착 필름)을 얻었다. 또한, 산소 도입을 실시하지 않는 이외는 상기 산화알루미늄 증착 필름의 제작과 동일한 조건에서, 상기 기재의 코로나 처리면에,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알루미늄 증착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기재로서, 12㎛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유니치카사제, 상품명:엔블렛PET12 )을 사용했다. 이 기재의 코로나 처리면에, 고주파 유도 가열 방식에 의해, 알루미늄을 가열 증발시켜, 산소를 더 도입하고, A/B가 0.57, 두께가 26nm가 되도록 산화알루미늄을 증착하여, 적층 필름(산화알루미늄 증착 필름)을 얻었다. 또한, 산소 도입을 실시하지 않는 이외는 상기 산화알루미늄 증착 필름의 제작과 동일한 조건에서, 상기 기재의 코로나 처리면에,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알루미늄 증착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3)
비교예 1에서 얻어진 적층 필름의 산화알루미늄층 상에,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수지층을 형성함으로써 적층 필름을 얻었다.
여기서, 수지층의 형성 방법은 이하와 같다. 우선, 폴리우레탄 디스퍼젼(미쓰이가가쿠사제, 상품명:타케락WPB-341(고형분 30%))을 물과 아이소프로필알코올의 혼합액(중량비:물/아이소프로필알코올=3/1)으로 희석함으로써 도공액(고형분 15%)을 조제했다. 이어서, 이 도공액을, 건조 후의 도공량이 0.7g/m2가 되도록 비교예 1에서 얻어진 적층 필름의 산화알루미늄층 상에 어플리케이터로 도공하고, 건조시켜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수지층을 형성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4)
기재로서, 실시예 6에서 사용한 이접착 PET를 사용했다. 이 이접착 PET이접착면에, 고주파 유도 가열 방식에 의해, SiO를 가열 증발시켜, 산소를 더 도입하고, A/B가 0.99, 두께가 20nm가 되도록 SiOx를 증착하여, 적층 필름(산화규소 증착 필름)을 얻었다. 또한, 산소 도입을 실시하지 않는 이외는 상기 산화알루미늄 증착 필름의 제작과 동일한 조건에서, 상기 이접착 PET의 이접착면에, 규소를 증착하여, 규소 증착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17030310021-pct00001
표 1로부터, 실시예 1과 같이 산화알루미늄 증착 필름에 있어서 막 두께 10nm, 부착률 0.45로, 높은 수증기 투과도와 산소 배리어성이 발현되었다.
실시예 3, 4, 5와 같이 산화알루미늄 증착 필름이 높은 수증기 투과도를 가지고 있으면, 톱코트로서 산소 배리어성을 가지는 수지층을 부여함으로써, 높은 수증기 투과도를 유지하면서, 보다 높은 산소 배리어성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6과 같이 산화규소 증착 필름에 있어서, 막 두께 21nm, 부착률 0.92로, 산화알루미늄 증착 필름과 동일하게 높은 수증기 투과도와 산소 배리어성이 발현되었다.
진공 중에서 산소와 알루미늄 증기를 반응시켜 기재층 상의 산화알루미늄 증착막을 형성할 때에, 부착률 Al이 0.20∼0.75의 범위이므로, 층 두께를 1∼40nm의 범위로부터 선택함으로써, 높은 수증기 투과도와 높은 산소 배리어성을 가지는 수증기 선택 투과성 필름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동일하게 산화규소 증착 필름에서는 부착률 Si가 0.75∼0.94의 범위이므로, 층 두께를 15∼30nm의 범위로부터 선택함으로써, 높은 수증기 투과도와 높은 산소 배리어성을 가지는 수증기 선택 투과성 필름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6에 의해 얻어진 적층 필름을 사용한 수액백 포장체는, 40℃에서 3일간 보관 후도 내부의 습도는 낮게 유지되어 있고, 또한 내부에 물방울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 1∼4에 의해 얻어진 적층 필름을 사용한 수액백 포장체는, 보관 후에 내부의 습도가 높아졌다.
본 출원은, 2014년 10월 3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특원2014-205033호를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開示)의 전부를 여기에 원용한다.

Claims (11)

  1.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의 편면 또는 양면에 설치된 금속산화물을 포함하는 금속산화물층
    을 구비하고,
    JISK7126-2:2006에 준거하여, 온도 20℃, 습도 90% RH의 조건에서 측정되는 산소 투과도가 20ml/m2·day·MPa 이하이고,
    온도 40℃, 습도 90% RH의 조건에서 측정되는 수증기 투과도가 2.5g/m2·day 이상이고,
    상기 금속산화물층을 형광 X선 분석함으로써 얻어지는, 상기 금속산화물을 구성하는 금속의 Kα선 강도를 A로 하고,
    상기 금속산화물을 구성하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층을 형광 X선 분석함으로써 얻어지는, 전기 금속의 Kα선 강도를 B로 하였을 때,
     A/B가 0.20 이상 0.97 이하인 적층 필름을 사용한 수액백용 외장주머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산화물층이 산화알루미늄층이고,
    상기 산화알루미늄층을 형광 X선 분석함으로써 얻어지는, 알루미늄의 Kα선 강도를 A1로 하고,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알루미늄층을 형광 X선 분석함으로써 얻어지는, 상기 알루미늄의 Kα선 강도를 B1로 하였을 때,
     A1/B1이 0.20 이상 0.75 이하인 수액백용 외장주머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산화알루미늄층의 두께가 1nm 이상 40nm 이하의 범위인 수액백용 외장주머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산화물층이 산화규소층이고,
    상기 산화규소층을 형광 X선 분석함으로써 얻어지는, 규소의 Kα선 강도를 A2로 하고,
    규소로 이루어지는 규소층을 형광 X선 분석함으로써 얻어지는, 상기 규소의 Kα선 강도를 B2로 하였을 때,
     A2/B2가 0.75 이상 0.97 이하인 수액백용 외장주머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산화규소층의 두께가 10nm 이상 35nm 이하의 범위인 수액백용 외장주머니.
  6.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Kα선 강도 A가 12kcps 이상 40kcps 이하인 수액백용 외장주머니.
  7.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금속산화물층 상에 수지층이 더 설치된 수액백용 외장주머니.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이 폴리바이닐알코올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폴리카복실산계 수지, 폴리염화바이닐리덴계 수지, 및 폴리바이닐알코올계 수지와 폴리카복실산 다가 금속염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는 수액백용 외장주머니.
  9. 수액백 본체와,
    상기 수액백 본체를 포장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수액백용 외장주머니
    를 구비하는 수액백 포장체.
  10. 삭제
  11. 삭제
KR1020177008447A 2014-10-03 2015-09-29 적층 필름, 수액백용 외장주머니 및 수액백 포장체 KR1019990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05033 2014-10-03
JP2014205033 2014-10-03
PCT/JP2015/077421 WO2016052456A1 (ja) 2014-10-03 2015-09-29 積層フィルム、輸液バッグ用外装袋および輸液バッグ包装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475A KR20170048475A (ko) 2017-05-08
KR101999035B1 true KR101999035B1 (ko) 2019-07-10

Family

ID=55630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8447A KR101999035B1 (ko) 2014-10-03 2015-09-29 적층 필름, 수액백용 외장주머니 및 수액백 포장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350140B2 (ko)
EP (1) EP3202568A4 (ko)
JP (1) JP6427201B2 (ko)
KR (1) KR101999035B1 (ko)
CN (1) CN107073889B (ko)
TW (1) TWI664089B (ko)
WO (1) WO20160524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4183B1 (ko) 2016-07-29 2023-07-10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박리 방법, 표시 장치, 표시 모듈, 및 전자 기기
US10369664B2 (en) * 2016-09-23 2019-08-0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KR101867878B1 (ko) 2017-06-09 2018-06-19 주식회사 불스원 투과성 필름과 이를 포함하는 포장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7133938B2 (ja) * 2018-02-21 2022-09-09 藤森工業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容器および外装体からなる包装体
JP6642605B2 (ja) 2018-03-05 2020-02-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真空断熱材用外包材、真空断熱材、および真空断熱材付き物品
JP7027972B2 (ja) * 2018-03-09 2022-03-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バリア樹脂フィルム、バリア積層体及び該バリア積層体を用いた包装材料
CN111886131B (zh) * 2018-03-23 2022-12-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阻隔树脂膜、阻隔层积体和使用了该阻隔层积体的包装材料
EP3656808A1 (en) * 2018-11-23 2020-05-27 Eurocast Sp. z o.o. The method of coating aluminium oxide sputtered plastic film
CN115103806A (zh) * 2021-11-16 2022-09-23 宝洁公司 用于制品的包装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16375A1 (de) 2009-04-07 2010-10-14 Wipak Walsrode Gmbh & Co. Kg Folie mit dauerhafter Antifog-Wirkung
US20130327677A1 (en) 2013-03-15 2013-12-12 Sangart ,Inc. Packaging system for preserving a nonoxygenated hemoglobin based oxygen therapeutic product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1622B2 (ja) * 1992-06-05 2002-10-07 東レ株式会社 透明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3097311B2 (ja) * 1992-06-05 2000-10-10 東レ株式会社 透明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
JP3097312B2 (ja) * 1992-06-05 2000-10-10 東レ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
JP3219570B2 (ja) 1993-09-16 2001-10-15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
EP0760283A4 (en) * 1995-03-14 1998-12-16 Daicel Chem COMPOSITE BARRIER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3747498B2 (ja) * 1995-11-27 2006-02-22 凸版印刷株式会社 多孔質蒸着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US5799463A (en) * 1996-05-28 1998-09-01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Method for preservation of article
JPH106429A (ja) 1996-06-19 1998-01-13 Toyobo Co Ltd ガスバリア性積層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
JP4335049B2 (ja) * 2004-03-29 2009-09-30 中本パックス株式会社 輸液バッグ用積層フイルム
ES2529741T3 (es) * 2005-04-28 2015-02-25 Otsuka Pharmaceutical Factory, Inc. Cuerpo de alojamiento para envase de líquido médico y procedimiento para producir el mismo
JP2008008316A (ja) 2006-06-27 2008-01-17 Toppan Printing Co Ltd 真空断熱体
JP2008213200A (ja) 2007-03-01 2008-09-18 Tohcello Co Ltd ガスバリア性積層体
CN101835608B (zh) * 2007-10-26 2013-11-06 东洋纺织株式会社 聚酰胺系层叠双轴拉伸膜以及蒸镀聚酰胺系层叠树脂膜
JP4763005B2 (ja) 2008-03-05 2011-08-3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積層体
CN102036819B (zh) * 2008-06-27 2013-12-04 尤尼吉可株式会社 易粘接性聚酯膜及使用其的包装材料
TWM362190U (en) * 2008-10-13 2009-08-01 Univ Far East Packaging structure with dry and wet separation for facial mask
US9605122B2 (en) * 2009-07-31 2017-03-28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Gas-barrier multilayer film
JP5761950B2 (ja) * 2010-10-01 2015-08-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輸液バックおよび外装用フィルム
JP5822488B2 (ja) 2011-03-01 2015-11-24 三井化学東セロ株式会社 血液バッグ用包装材及び血液バッグ包装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16375A1 (de) 2009-04-07 2010-10-14 Wipak Walsrode Gmbh & Co. Kg Folie mit dauerhafter Antifog-Wirkung
US20130327677A1 (en) 2013-03-15 2013-12-12 Sangart ,Inc. Packaging system for preserving a nonoxygenated hemoglobin based oxygen therapeutic pro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52456A1 (ja) 2016-04-07
JP6427201B2 (ja) 2018-11-21
CN107073889A (zh) 2017-08-18
TW201613754A (en) 2016-04-16
JPWO2016052456A1 (ja) 2017-08-03
US20170297793A1 (en) 2017-10-19
EP3202568A1 (en) 2017-08-09
CN107073889B (zh) 2019-06-28
TWI664089B (zh) 2019-07-01
US10350140B2 (en) 2019-07-16
EP3202568A4 (en) 2018-05-23
KR20170048475A (ko) 2017-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9035B1 (ko) 적층 필름, 수액백용 외장주머니 및 수액백 포장체
JPWO2016158794A1 (ja) 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袋
JP2011177992A (ja) 積層体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包装材料
KR101624338B1 (ko) 가스 배리어성 수지 조성물 및 가스 배리어성 복합 필름
JP5045299B2 (ja) 水分吸収性積層体、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水分吸収性パウチ
JP2023162244A (ja) 多層基材、該多層基材を備える多層フィルム、該多層フィルムを備える積層体および該積層体を備える包装材料
JP2019119132A (ja) ラミネートフィルムおよび成形品
JP6451231B2 (ja) 積層体及びそれよりなる非吸着性包装容器
TW200424062A (en) Gas barrier laminated film and a process for producing same
JP6807668B2 (ja) バリア性積層フィルムおよびレトルト食品用包装体
JP2004148681A (ja) 積層蒸着フィルム及びその用途
CN107001756B (zh) 聚甲基烯丙醇树脂组合物和使用了其的成型体
JP6433758B2 (ja) ガスバリア性積層体
JP6492499B2 (ja) 輸液用包装材料及びそれよりなる輸液バッグ、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20220137643A (ko) 에폭시 수지 조성물, 가스배리어성 적층체, 레토르트식품용 포장재, 방취용 또는 보향용 포장재, 열수축성 라벨 및 그의 제조방법, 열수축라벨 및 이것을 갖는 보틀
JP2010221596A (ja) ガスバリア性積層フィルムおよびガスバリア性包装材
WO2019189479A1 (ja) 包装材料及び包装材料を備えるレトルトパウチ又は電子レンジ用パウチ
JP6404165B2 (ja) 積層フィルムおよび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492498B2 (ja) 医療用包装材料及びそれよりなる医療用包装容器、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2009248455A (ja) ハイガスバリア積層体および包装用容器
JP6497022B2 (ja) 輸液バッグ外装袋用包装材料及びそれよりなる輸液バッグ外装袋、並びにその製造方法
CN107109015B (zh) 聚甲基烯丙醇树脂组合物和使用了其的成型体
JP2005290108A (ja) 表面処理用樹脂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多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21053946A (ja) 透明ガスバリア性吸水積層体
JP2010046845A (ja) 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