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580B1 - 모듈형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모듈형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580B1
KR101998580B1 KR1020170103952A KR20170103952A KR101998580B1 KR 101998580 B1 KR101998580 B1 KR 101998580B1 KR 1020170103952 A KR1020170103952 A KR 1020170103952A KR 20170103952 A KR20170103952 A KR 20170103952A KR 101998580 B1 KR101998580 B1 KR 101998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haft
conveyor
modula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3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9281A (ko
Inventor
김명진
이강호
김진욱
문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170103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580B1/ko
Publication of KR20190019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9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11Rolle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6Roller driving means
    • B65G13/07Roller driving means having endless driv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Abstract

모듈형 컨베이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컨베이어는, 화물의 이송을 위한 이송 롤러(moving roller)의 회전축심을 이루는 롤러 샤프트가 배치되는 다수의 샤프트 배치구를 구비하며, 이송 롤러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게 한 쌍으로 배치되는 컨베이어 프레임; 및 롤러 샤프트의 임의 회전이 저지되도록 롤러 샤프트가 형상맞춤되게 조립되는 샤프트 조립부를 구비하며, 컨베이어 프레임의 샤프트 배치구에 모듈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롤러 샤프트를 지지하는 롤러 샤프트 홀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듈형 컨베이어{Module conveyor}
본 발명은, 모듈형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 롤러가 컨베이어 프레임에 모듈식으로 손쉽게 분해 조립될 수 있기 때문에 컨베이어 프레임에 이송 롤러를 조립하거나 유지보수하는 작업을 종래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모듈형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컨베이어 시스템(conveyor system) 혹은 컨베이어 장치(conveyor apparatus)라고도 불리는 컨베이어는 재료 또는 화물(이하, 화물로 통일함)을 공정에서 요구되는 방향으로 운반시키는, 즉 이송시키는 기계장치를 일컫는다.
여기서, 화물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및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하는 기판, 반도체용 웨이퍼(wafer), 기판이나 웨이퍼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트레이나 카세트가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박스(box)를 비롯한 각종 다양한 물류품이 될 수 있다.
이처럼 화물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는 구동 방식에 따라 벨트식, 스테이지식, 스크루식, 업/다운 버킷식, 롤러식 등으로 다양하게 나뉠 수 있다. 이들 방식은 그 나름대로의 장단점을 가지고 여러 공정에 맞게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컨베이어 중에서 특히, 롤러식 컨베이어는 줄지어 배치되는 이송 롤러(moving roller)들의 회전운동에 기초하여 이송 롤러들 상에 탑재된 화물을 이송시키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며, 내구성이 강한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물류센터에 운영 중인 설비 중 가장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설비가 롤러식 컨베이어이다. 최근에는 물류센터의 물동량 처리능력 또는 그 처리량이 증가하면서 롤러식 컨베이어 역시, 고속 이송을 요구하는 추세에 있다.
롤러식 컨베이어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컨베이어 프레임(conveyor frame) 사이에 무동력 자유회전 롤러로서의 이송 롤러들과, 모터가 연결되는 동력 롤러로서의 파워 몰러(power moller)들을 조립해야 한다. 다수의 이송 롤러들 당 하나의 파워 몰러가 적용되며, 이들은 벨트로 연결된다. 이에, 파워 몰러가 구동되면 벨트로 연결된 다수의 이송 롤러가 회전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화물을 원하는 장소로 이송할 수 있다.
한편, 컨베이어를 요구하는 물류센터 등의 규모가 커서 컨베이어의 사이즈가 커지면 커질수록 컨베이어에 부속되는 파워 몰러와 이송 롤러, 특히 이송 롤러들의 수량이 현저하게 증가될 수밖에 없다. 이때, 만약 볼트 등을 이용해서 컨베이어 프레임에 이송 롤러를 단순히 조립하는 경우에는 수많은 이송 롤러들을 조립하는 조립 작업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추후 유지보수를 위해 이송 롤러를 분해하여 재조립하는 유지보수 작업 역시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특히, 이송 롤러의 회전축심을 이루는 샤프트의 규격이 메이커(maker)마다 상이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보면 이송 롤러들의 조립 또는 유지보수 작업에 상당한 어려움이 발생될 수밖에 없으며, 또한 물류센터의 작업 환경에 따라 컨베이어를 다양한 형태로 변형시키기 위해 이송 롤러들을 분해하여 재배치시켜 사용하는 데에 많은 제약이 따를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모듈형 컨베이어에 대한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9-7001356호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송 롤러가 컨베이어 프레임에 모듈식으로 손쉽게 분해 조립될 수 있기 때문에 컨베이어 프레임에 이송 롤러를 조립하거나 유지보수하는 작업을 종래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모듈형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화물의 이송을 위한 이송 롤러(moving roller)의 회전축심을 이루는 롤러 샤프트가 배치되는 다수의 샤프트 배치구를 구비하며, 상기 이송 롤러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게 한 쌍으로 배치되는 컨베이어 프레임; 및 상기 롤러 샤프트의 임의 회전이 저지되도록 상기 롤러 샤프트가 형상맞춤되게 조립되는 샤프트 조립부를 구비하며,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의 샤프트 배치구에 모듈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롤러 샤프트를 지지하는 롤러 샤프트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컨베이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은, 상하 방향을 따라 수직되게 배치되는 프레임 전면부; 상기 프레임 전면부의 양단부에서 상기 프레임 전면부에 교차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 플랜지부; 상기 프레임 플랜지부의 단부에서 상기 프레임 전면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프레임 절곡단부; 및 상기 프레임 전면부와 상기 프레임 플랜지부 사이에 아크(arc) 형상으로 배치되는 프레임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은 압출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샤프트 배치구는 상기 프레임 곡면부와 상기 프레임 전면부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배치구는, 상기 롤러 샤프트 홀더가 삽입되어 조립되는 입구를 이루며, 상기 프레임 곡면부에 형성되는 아크형 홀더 삽입부; 및 상기 아크형 홀더 삽입부와 연통되되 상기 아크형 홀더 삽입부보다 좁은 폭을 가지고 상기 프레임 전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롤러 샤프트 홀더가 끼워져 걸리도록 하는 홀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배치구는, 상기 홀더 걸림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비원형 형상의 렌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 샤프트 홀더는, 상기 샤프트 조립부가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홀더 걸림부에 걸리는 걸림홈이 측부에 형성되는 홀더 바디; 및 상기 홀더 바디에 마련되며, 상기 홀더 바디가 조립된 때 일측이 상기 프레임 플랜지부에 지지되어 상기 홀더 바디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탄성적으로 저지시키는 이탈 방지용 탄성후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조립부는 일측이 개방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롤러 샤프트는 단면이 육각형 형상을 이루되 상기 샤프트 조립부는 상기 렌치부와 함께 상기 롤러 샤프트의 단면과 동일한 육각형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조립부는 개방된 부분이 없는 육각형 형상의 홀(hole)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 플랜지부에 등간격으로 관통 형성되는 다수의 제1 모듈식 조립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 롤러 상에서 이송되는 화물에 대한 센싱(sensing) 작업을 위하여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에 형성되는 상기 다수의 제1 모듈식 조립구들 중 선택된 장소에 모듈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유닛은 상기 화물에 대한 센싱 작업을 위하여 센싱 신호의 발신과 수신을 수행하는 제1 센서 유닛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센서 유닛은, 상기 제1 모듈식 조립구에 연통 가능한 제1 조립식 연통구를 구비하는 제1 유닛 하우징; 상기 제1 유닛 하우징 내에 마련되며, 상기 센싱 신호의 발신과 수신을 모두 수행하는 제1 센서 모듈; 및 상기 제1 센서 모듈이 탑재되는 장소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센서 모듈의 센싱 신호에 대한 발신과 수신의 각도 조절을 위해 상기 제1 유닛 하우징 내에 틸팅(tilting) 가능하게 결합되는 모듈 탑재용 틸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 탑재용 틸팅부는, 상기 제1 유닛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틸팅 바디; 상기 틸팅 바디의 양측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마련되고 상기 제1 유닛 하우징의 통공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틸팅 샤프트; 및 상기 틸팅 바디의 전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유닛 하우징의 전면 개구부에 틸팅 가능하게 배치되되 상기 제1 센서 모듈이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모듈 노출구가 형성되는 틸팅 프론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닛 하우징에는 상기 제1 센서 모듈에 대한 감도 조절을 위하여 상기 제1 유닛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제1 센서 모듈로의 공구의 접근을 허용하는 감도 조절구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 유닛은 상기 화물에 대한 센싱 작업을 위하여 센싱 신호의 수신을 수행하는 제2 센서 유닛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센서 유닛은, 상기 제1 모듈식 조립구에 연통 가능한 제2 조립식 연통구를 구비하는 제2 유닛 하우징; 및 상기 제2 유닛 하우징 내에 마련되며, 상기 센싱 신호의 수신을 수행하는 제2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 모듈식 조립구들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화물의 이탈을 저지시키는 안전대가 모듈식으로 결합되기 위한 모듈식 안전대 착탈부재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의 측부에는 사이드 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은, 상기 제1 모듈식 조립구보다 작은 사이즈를 가지고 상기 프레임 전면부에서 상기 샤프트 배치구에 하나씩 대응되게 관통 형성되는 다수의 제2 모듈식 조립구; 상기 제2 모듈식 조립구들에 이웃하게 등간격으로 배열되되 상기 제2 모듈식 조립구보다 사이즈가 크고 개수가 많게 마련되는 다수의 제3 모듈식 조립구; 및 상기 제3 모듈식 조립구들에 이웃하게 등간격으로 배열되되 상기 제3 모듈식 조립구보다 사이즈가 작고 개수가 적게 마련되는 다수의 제4 모듈식 조립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 롤러와 벨트로 연결되어 상기 이송 롤러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되 몰러 샤프트가 상기 샤프트 배치구를 통과해서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의 외측으로 배치되는 파워 몰러(power moller); 및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의 외측에 모듈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파워 몰러의 몰러 샤프트를 클램핑하는 파워 몰러 클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워 몰러 클램프는, 일측에 덧살부가 형성되는 클램프 바디; 상기 클램프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에 모듈식으로 결합되는 모듈 결합부; 및 상기 클램프 바디의 타측에 형성되되 비원형 단면의 상기 몰러 샤프트가 형상맞춤되게 삽입되는 몰러 샤프트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몰러 샤프트 삽입부가 위치되는 상기 클램프 바디의 덧살부 영역은 상기 몰러 샤프트 삽입부에 삽입되는 상기 몰러 샤프트를 조이기 위해 개방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에 연결되며, 지면에 대하여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지지부는,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에 연결되는 레그 지지용 브래킷; 상기 지면에 지지되는 레그 지지용 푸트; 상기 레그 지지용 브래킷과 상기 레그 지지용 푸트 사이에서 높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레그의 단부에는 볼트 조립을 위하여 레그 서포팅 블록이 개재될 수 있으며, 상기 레그는 압출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레그는, 상하 방향을 따라 수직되게 배치되며, 다수의 원형 관통구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레그 전면부; 상기 레그 전면부의 양단부에서 상기 레그 전면부에 교차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레그 플랜지부; 상기 레그 플랜지부의 중심부에 홈 형태로 마련되되 다수의 각형 관통구가 등간격으로 형성하는 플랜지 홈부; 및 상기 레그 플랜지부의 단부에서 상기 레그 전면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레그 절곡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 롤러가 컨베이어 프레임에 모듈식으로 손쉽게 분해 조립될 수 있기 때문에 컨베이어 프레임에 이송 롤러를 조립하거나 유지보수하는 작업을 종래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컨베이어의 평면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안전대와 사이드 커버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 안전대와 사이드 커버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레그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9는 컨베이어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5의 B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11을 간략화해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이송 롤러를 분해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서 롤러 샤프트 홀더를 분해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5는 롤러 샤프트 홀더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7은 롤러 샤프트 홀더가 컨베이어 프레임에 조립된 상태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8은 도 5의 C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제1 센서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0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24 및 도 25는 각각 모듈 탑재용 틸팅부를 틸팅시킨 상태의 도면들이다.
도 26은 도 5의 D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8은 제2 센서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5의 E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1은 파워 몰러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32 및 도 33은 각각 롤러 샤프트 홀더의 변형 실시예들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컨베이어의 평면 구조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서 안전대와 사이드 커버를 분해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서 안전대와 사이드 커버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레그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9는 컨베이어 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5의 B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12는 도 11을 간략화해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은 도 12에서 이송 롤러를 분해한 상태의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에서 롤러 샤프트 홀더를 분해한 상태의 도면이며, 도 15는 롤러 샤프트 홀더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17은 롤러 샤프트 홀더가 컨베이어 프레임에 조립된 상태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18은 도 5의 C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19는 도 18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0은 제1 센서 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21은 도 2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23은 도 20의 절개 사시도이고, 도 24 및 도 25는 각각 모듈 탑재용 틸팅부를 틸팅시킨 상태의 도면들이며, 도 26은 도 5의 D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27은 도 26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8은 제2 센서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9는 도 5의 E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30은 도 29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1은 파워 몰러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되 주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컨베이어는 이송 롤러(101)가 롤러 샤프트 홀더(150)를 매개로 해서 컨베이어 프레임(110)에 모듈식으로 손쉽게 분해 조립될 수 있기 때문에 컨베이어 프레임(110)에 이송 롤러(101)를 조립하거나 유지보수하는 작업을 종래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컨베이어는 화물의 이송을 위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다수의 이송 롤러(101, moving roller) 및 파워 몰러(104, power moller)와, 이송 롤러(101) 및 파워 몰러(104)의 양측에 배치되어 이송 롤러(101) 및 파워 몰러(104)가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한 쌍의 컨베이어 프레임(110)과, 이송 롤러(101)가 모듈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기 위해 컨베이어 프레임(110)의 샤프트 배치구(115)에 모듈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 샤프트 홀더(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 롤러(101)는 무동력 자유회전 롤러로서 상호간 등간격을 따라 다수 개 배열된다. 파워 몰러(104)는 이송 롤러(10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나 이송 롤러(101)와는 달리 모터가 연결되는 동력 롤러이다. 파워 몰러(104) 하나당 여러 개의 이송 롤러(101)가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이송 롤러(101)와 파워 몰러(104)를 타원형의 폐루프 궤적으로 배열하였으나 이들은 일직선 배열 궤적을 가질 수도 있는데, 이는 물류센터 등의 공정 환경이나 조건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파워 몰러(104) 하나당 여러 개의 이송 롤러(101)가 조합되어 사용되기 위해 도 6, 도 11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웃된 한 쌍의 파워 몰러(104)와 이송 롤러(101), 그리고 서로 이웃된 한 쌍의 이송 롤러(101)와 이송 롤러(101)는 벨트(106)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파워 몰러(104)와 이송 롤러(101) 사이, 그리고 이송 롤러(101)와 이송 롤러(101) 사이에는 이들을 이격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격 지지용 브래킷(107)이 마련된다. 이격 지지용 브래킷(107)은 볼트에 의해 컨베이어 프레임(110)의 내벽에 위치 고정된다.
이처럼 벨트(106)에 의해 파워 몰러(104)와 이송 롤러(101)가 연결되기 때문에 동력원으로서의 어느 한 파워 몰러(104)가 동작되면 그와 벨트(106)로 연결된 조합의 이송 롤러(101)들이 회전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작용에 의해 그 상부에 안착된 화물이 공정에서 요구되는 위치로 운반, 즉 이송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 소개되는 화물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및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하는 기판, 반도체용 웨이퍼(wafer), 기판이나 웨이퍼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트레이나 카세트가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박스(box)를 비롯한 각종 다양한 물류품이 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들을 구별하지 않고 화물이하 하여 설명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형 컨베이어를 요구하는 물류센터 등의 규모가 커서 모듈형 컨베이어의 사이즈가 커지면 커질수록 모듈형 컨베이어에 부속되는 파워 몰러(104)와 이송 롤러(101), 특히 이송 롤러(101)들의 수량이 현저하게 증가될 수밖에 없는데, 이처럼 수량이 증가하더라도 이송 롤러(101)가 컨베이어 프레임(110)에 모듈식으로 손쉽게 분해 조립될 수 있도록 아래와 같은 컨베이어 프레임(110)의 구조가 제시된다.
본 실시예처럼 이송 롤러(101)가 컨베이어 프레임(110)에 모듈식으로 손쉽게 분해 조립되면 조립 작업이나 유지보수 작업이 수월해질 수 있기 때문에 도 1 및 도 2의 형상 외의 다른 형상으로 컨베이어를 배열해서 사용하기에 상당히 유리할 수 있다.
컨베이어 프레임(110)은 파워 몰러(104) 및 이송 롤러(101)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게 한 쌍으로 배치되는 구조물이다. 한 쌍의 컨베이어 프레임(110)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대(108)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한 쌍의 컨베이어 프레임(110)이 이격되어 있어도 안정적으로 파워 몰러(104) 및 이송 롤러(101)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컨베이어 프레임(110)의 측부에는 사이드 커버(145)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사이드 커버(145)는 합성수지로 된 사출물로서, 컨베이어 프레임(110)에 장착되는 다수의 모듈식 부품들을 비롯해서 전선 등이 보이지 않도록 커버링한다. 사이드 커버(145)가 컨베이어 프레임(110)의 측부, 즉 외벽에 결합되기 때문에 모듈형 컨베이어의 외관이 미려하고 깔끔해지게 관리할 수 있다.
컨베이어 프레임(110)의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본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프레임(110)은 끝이 안쪽으로 절곡된 ㄷ자 구조를 이룬다. 다시 말해, 컨베이어 프레임(110)은 상하 방향을 따라 수직되게 배치되는 프레임 전면부(111)와, 프레임 전면부(111)의 양단부에서 프레임 전면부(111)에 교차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 플랜지부(112)와, 프레임 플랜지부(112)의 단부에서 프레임 전면부(111)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프레임 절곡단부(113)를 포함한다.
프레임 전면부(111)와 프레임 플랜지부(112) 사이에는 프레임 곡면부(114)가 아크(arc) 형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프레임 곡면부(114)로 인해 프레임 전면부(111)에서 프레임 플랜지부(112)로 절곡될 때, 아크 형상으로 유연하게 절곡될 수 있으며, 이곳을 통해 샤프트 배치구(115)를 형성시켜 롤러 샤프트 홀더(150)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게끔 할 수 있다.
프레임 전면부(111), 프레임 플랜지부(112), 프레임 절곡단부(113) 및 프레임 곡면부(114)로 이루어질 수 있는 컨베이어 프레임(110)은 파워 몰러(104)와 이송 롤러(101)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해야 하기 때문에 강한 강성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컨베이어 프레임(110)은 강성이 우수하면서도 내부식성이 뛰어난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컨베이어 프레임(110)은 압출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이처럼 컨베이어 프레임(110)이 압출성형에 의해 제작되면 제작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음은 물론 동일한 형상의 컨베이어 프레임(110)을 수량에 관계 없이 연속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컨베이어 프레임(110)에는 다수의 샤프트 배치구(115)가 형성된다. 샤프트 배치구(115)는 이송 롤러(101)의 회전축심을 이루는 롤러 샤프트(102)가 배치되는 장소를 이룬다. 물론, 이송 롤러(101)의 롤러 샤프트(102)가 샤프트 배치구(115)에 직접 조립되는 것은 아니며, 샤프트 배치구(115)에 롤러 샤프트 홀더(150)가 모듈식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롤러 샤프트 홀더(150)에 이송 롤러(101)의 롤러 샤프트(102)가 조립될 수 있다.
샤프트 배치구(115)에는 이송 롤러(101)의 롤러 샤프트(102) 외에도 파워 몰러(104)의 몰러 샤프트(105)가 배치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샤프트 배치구(115)는 컨베이어 프레임(110)에서 프레임 곡면부(114)와 프레임 전면부(111)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샤프트 배치구(115)가 프레임 곡면부(114)와 프레임 전면부(111)에 걸쳐 형성되기 때문에 샤프트 배치구(115)에 롤러 샤프트 홀더(150)를 샤프트 배치구(115)에 끼워 조립하거나 샤프트 배치구(115)에서 롤러 샤프트 홀더(150)를 빼내기가 구조적으로 수월해질 수 있다. 따라서 이송 롤러(101)의 조립 또는 유지보수 작업이 매우 수월해질 수 있다.
이러한 샤프트 배치구(115)는 아크형 홀더 삽입부(115a), 홀더 걸림부(115b) 및 렌치부(115c)를 포함한다.
아크형 홀더 삽입부(115a)는 프레임 곡면부(114)에 형성되는 홀(hole)이며, 롤러 샤프트 홀더(150)가 삽입되어 조립되는 입구를 이룬다. 아크형 홀더 삽입부(115a)가 샤프트 배치구(115)에서 가장 넓은 영역을 이룬다.
홀더 걸림부(115b)는 아크형 홀더 삽입부(115a)와 연통되되 아크형 홀더 삽입부(115a)보다 좁은 폭을 가지고 프레임 전면부(111)에 형성되며, 롤러 샤프트 홀더(150)의 걸림홈(153, 도 15 및 도 16 참조)이 끼워져 걸리도록 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렌치부(115c)는 홀더 걸림부(115b)의 단부에 형성되는 비원형 형상의 홈을 이룬다. 렌치부(115c)는 육각형 형상을 기준으로 그 반인 1/2의 육각형 형상을 이룬다. 이러한 렌치부(115c)는 육각형 형상의 나머지 반을 이루는 롤러 샤프트 홀더(150)의 샤프트 조립부(152)와 조합되어 하나의 완전한 육각형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렇게 완전한 육각형 형상을 이루면 이곳을 통해 이송 롤러(101)의 롤러 샤프트(102)가 형상맞춤되어 안정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롤러 샤프트 홀더(150)는 도 5, 그리고 도 11 내지 도 17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프레임(110)의 샤프트 배치구(115)에 모듈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사출물로서 이송 롤러(101)의 롤러 샤프트(102)를 지지한다.
이러한 롤러 샤프트 홀더(150)는 홀더 바디(151)와, 홀더 바디(151)에 마련되는 이탈 방지용 탄성후크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 바디(151)에는 이송 롤러(101)의 롤러 샤프트(102)가 조립되는 홀(hole) 형상의 샤프트 조립부(152)가 형성된다. 샤프트 조립부(15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육각형 형상을 기준으로 그 반인 1/2의 육각형 형상을 이루며, 샤프트 배치구(115)의 렌치부(115c)와 조합되어 하나의 완전한 육각형 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홀더 바디(151)에는 홈(groove) 형상으로 가공되어 샤프트 배치구(115)의 홀더 걸림부(115b)에 걸리는 걸림홈(153)이 형성된다. 걸림홈(153)은 홀더 바디(151)의 측부에 홈(groove) 형상으로 가공된다. 롤러 샤프트 홀더(150)를 샤프트 배치구(115)의 아크형 홀더 삽입부(115a)로 삽입해서 끼울 때, 샤프트 배치구(115)의 홀더 걸림부(115b)의 벽체에 걸림홈(153)이 걸리면서 끼워질 수 있다.
이탈 방지용 탄성후크부(154)는 홀더 바디(151)에 마련되며, 홀더 바디(151)가 조립된 때 도 17처럼 일측의 단차 지지대(154a)가 프레임 플랜지부(112)에 지지되어 홀더 바디(151)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탄성적으로 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만약, 샤프트 배치구(115)에서 기조립된 롤러 샤프트 홀더(150)를 빼낼 때는 탄성후크부(154)를 가압해서 탄성후크부(154)의 단차 지지대(154a)가 프레임 플랜지부(112)로부터 이격되게 한 후, 조립의 반대 방향으로 롤러 샤프트 홀더(150)를 빼내면 된다.
한편,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 홀더 바디(151)에 형성되는 샤프트 조립부(152)는 일측이 개방된 홀(hole) 형상을 이룬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이송 롤러(101)의 롤러 샤프트(102)는 단면이 육각형 형상을 이루는데, 이러한 육각 단면 구조의 롤러 샤프트(102)가 형상맞춤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샤프트 조립부(152)와 샤프트 배치구(115)의 렌치부(115c)는 서로 조합되어 하나의 육각형 형상을 이룬다.
다시 말해, 도 13처럼 샤프트 조립부(152)는 렌치부(115c)와 함께 롤러 샤프트(102)의 단면과 동일한 육각형 형상을 이룬다. 따라서 샤프트 조립부(152)와 렌치부(115c)에 의해 형성되는 육각홀(hole)에 롤러 샤프트(102)가 끼워짐으로써 롤러 샤프트(102)의 임의 회전이 저지되면서 롤러 샤프트(102)가 안정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 프레임(110)에는 이송 롤러(101)의 롤러 샤프트(102)를 지지하기 위한 롤러 샤프트 홀더(150)가 조립되는 샤프트 배치구(115)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샤프트 배치구(115) 외에도 컨베이어 프레임(110)에는 제1 모듈식 조립구(116)를 비롯하여 제2 내지 제4 모듈식 조립구(117~119)가 위치별로 다수 개씩 마련된다. 따라서 모듈식 부품들을 위치별로 조립해서 사용하기에 좋다.
제1 모듈식 조립구(116)들은 컨베이어 프레임(110)의 프레임 플랜지부(112)에 등간격으로 관통 형성된다.
제2 모듈식 조립구(117)들은 제1 모듈식 조립구(116)보다 작은 사이즈를 가지고 프레임 전면부(111)에서 샤프트 배치구(115)에 하나씩 대응되게 관통 형성된다. 제2 모듈식 조립구(117)들에도 여러 모듈 부품이 조립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전선이 통과될 수 있다.
제3 모듈식 조립구(118)들은 제2 모듈식 조립구(117)들에 이웃하게 등간격으로 배열되되 제2 모듈식 조립구(117)보다 사이즈가 크고 개수가 많게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3 모듈식 조립구(118)들에는 파워 몰러(104)를 클램핑하기 위한 파워 몰러 클램프(180)가 모듈식으로 조립된다. 물론, 제3 모듈식 조립구(118)들을 통해 필요에 따라 전선이 통과될 수도 있고, 파워 몰러 클램프(180) 외의 다른 모듈 부품이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제4 모듈식 조립구(119)들은 제3 모듈식 조립구(118)들에 이웃하게 등간격으로 배열되되 제3 모듈식 조립구(118)보다 사이즈가 작고 개수가 적게 마련된다. 제4 모듈식 조립구(119)들에도 여러 모듈 부품이 조립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전선이 통과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내지 제4 모듈식 조립구(116~119)들 중 제1 모듈식 조립구(116)에는 제1 센서 유닛(160), 제2 센서 유닛(170), 안전대(141)의 모듈식 안전대 착탈부재(142) 등의 구조물이 모듈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센서 유닛(160), 제2 센서 유닛(170), 안전대(141)의 모듈식 안전대 착탈부재(142) 등의 부품들이 다수의 제1 모듈식 조립구(116) 중 선택된 곳에 모듈식으로 조립될 수 있기 때문에 컨베이어 프레임(110) 상에서 특히, 제1 및 제2 센서 유닛(160,170)의 위치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음은 물론 필요에 따라 여러 종류의 센서 유닛(미도시)을 바꿔가며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다양한 작업 환경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
실제, 종전에는 제1 및 제2 센서 유닛(160,170)을 특정 위치에 고정시켜 왔기 때문에 제1 및 제2 센서 유닛(160,170)의 위치 가변이 용이하지 않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모듈식 조립구조라서 손쉽게 제1 및 제2 센서 유닛(160,170)의 위치를 가변시키거나 혹은 다른 기능의 센서 유닛(미도시)으로 바꿀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컨베이어 프레임(110)의 제1 모듈식 조립구(116)들에 모듈식으로 조립될 수 있는 제1 및 제2 센서 유닛(160,17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도 5, 그리고 도 18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센서 유닛(160,170)은 제1 센서 유닛(160)과, 제2 센서 유닛(170)을 포함한다. 제1 센서 유닛(160)은 화물에 대한 센싱 작업을 위하여 센싱 신호의 발신과 수신을 수행하는 센서이며, 제2 센서 유닛(170)은 센싱 신호의 수신을 수행하는 센서이다.
여기서, 센싱 작업이란 이송 롤러(101) 상에서 화물이 실질적으로 이송되고 있는지의 여부, 이송 화물이 몇 개가 지나가는 지의 카운팅 작업, 화물의 이송 위치에 따른 파워 몰러(104)의 동작 정지 등의 작업을 일컫는다.
이러한 센싱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화물로 센싱 신호를 발신해야 하고, 상대편에서는 발신된 센싱 신호를 수신해야 한다. 이때, 제1 센서 유닛(160)은 센싱 신호의 발신과 수신이 모두 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제1 센서 유닛(160)을 한 쌍으로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제1 센서 유닛(160)을 사용하는 대신 제1 및 제2 센서 유닛(160,170)을 조합해서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럴 경우, 제1 센서 유닛(160)이 센싱 신호의 발신 기능을 담당하고, 제2 센서 유닛(170)이 센싱 신호의 수신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어떠한 조합으로 사용하든지 제1 및 제2 센서 유닛(160,170)은 모듈식으로 컨베이어 프레임(110)의 제1 모듈식 조립구(116)들 중 선택된 곳에 손쉽게 조립될 수 있기 때문에 위치 가변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 5, 그리고 도 18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제1 센서 유닛(160)은 제1 유닛 하우징(161)과, 센싱 신호를 발신하는 제1 센서 모듈(165)과, 제1 센서 모듈(165)이 탑재되되 제1 유닛 하우징(161)에 틸팅(tilting) 가능하게 결합되는 모듈 탑재용 틸팅부(16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닛 하우징(161)은 제1 센서 유닛(160)의 외관을 이루며, 제1 센서 모듈(165)과 모듈 탑재용 틸팅부(167)를 지지한다. 이러한 제1 유닛 하우징(161)에 한 쌍의 제1 조립식 연통구(162)가 형성된다. 한 쌍의 제1 조립식 연통구(162)는 컨베이어 프레임(110)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1 모듈식 조립구(116)들 모두에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센서 유닛(160)의 위치 이동이 매우 수월해질 수 있다. 즉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나사가 아닌 손으로 가압해서 끼울 수 있는 제1 후크식 나사(168)를 제1 유닛 하우징(161)의 제1 조립식 연통구(162)로 삽입해서 제1 모듈식 조립구(116)로 체결함으로써 제1 센서 유닛(160)을 원하는 위치에 모듈식으로 조립할 수 있다.
제1 센서 모듈(165)은 제1 유닛 하우징(161) 내에 마련되며, 센싱 신호의 발신과 수신을 모두 수행하는 모듈이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 제1 센서 모듈(165)은 센싱 신호의 발신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모듈 탑재용 틸팅부(167)는 제1 센서 모듈(165)이 탑재되는 장소를 형성한다. 즉 제1 센서 모듈(165)에 형성되는 조립부(165a)와 모듈 탑재용 틸팅부(167)에 형성되는 조립부(167e)를 연통시킨 상태에서 나사로 모듈 탑재용 틸팅부(167)에 제1 센서 모듈(165)을 탑재시킬 수 있다.
모듈 탑재용 틸팅부(167)는 제1 센서 모듈(165)의 센싱 신호에 대한 발신과 수신, 즉 발신의 각도 조절을 위해 제1 유닛 하우징(161) 내에 틸팅(tilting)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제2 센서 모듈(175)에 대한 제1 센서 모듈(165)의 광(光) 발신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모듈 탑재용 틸팅부(167)가 마련된다.
모듈 탑재용 틸팅부(167)는 제1 유닛 하우징(161) 내에 배치되는 틸팅 바디(167a)와, 틸팅 바디(167a)의 양측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마련되고 제1 유닛 하우징(161)의 통공(16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틸팅 샤프트(167b)와, 틸팅 바디(167a)의 전면을 형성하며, 제1 유닛 하우징(161)의 전면 개구부에 틸팅 가능하게 배치되되 제1 센서 모듈(165)이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모듈 노출구(167d)가 형성되는 틸팅 프론트(167c)를 포함한다.
이에, 도 23과 같은 기본 상태에서 도 24처럼 틸팅 프론트(167c)의 아래쪽을 가압하면 틸팅 프론트(167c)가 하방으로 틸팅될 수 있는데, 이때는 제1 센서 모듈(165)의 광(光) 발신 각도가 낮아질 수 있다. 반대로, 도 23과 같은 기본 상태에서 도 25처럼 틸팅 프론트(167c)의 위쪽을 가압하면 틸팅 프론트(167c)가 상방으로 틸팅될 수 있는데, 이때는 제1 센서 모듈(165)의 광(光) 발신 각도가 높아질 수 있다.
제1 유닛 하우징(161)에는 제1 센서 모듈(165)에 대한 감도 조절을 위하여 제1 유닛 하우징(161) 내에 배치되는 제1 센서 모듈(165)로의 공구의 접근을 허용하는 감도 조절구(164)가 형성된다.
감도 조절구(164)는 통공(163)의 하부에 배치되며,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가 삽입되는 장소를 이룬다. 감도 조절구(164)로 공구를 삽입해서 제1 센서 모듈(165)의 감도 조절버튼(165b)을 조작하는 방식으로 제1 센서 모듈(165)의 감도를 조절할 있는데, 이럴 경우, 제1 센서 모듈(165)을 분해하지 않고서도 제1 센서 모듈(165)의 감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5, 그리고 도 26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제2 센서 유닛(170)은 화물에 대한 센싱 작업을 위하여 센싱 신호의 수신을 수행하는 센서이다.
이러한 제2 센서 유닛(170)은 제2 유닛 하우징(171)과, 제2 유닛 하우징(171) 내에 마련되며, 제1 센서 유닛(160)에서 발신된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센서 모듈(17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 유닛(160) 측에서 모듈 탑재용 틸팅부(167)를 통해 제1 센서 모듈(165)의 각도를 조절하면 되기 때문에 굳이 제2 센서 유닛(170)의 제2 센서 모듈(175)을 틸팅시킬 필요는 없다. 따라서 제2 센서 유닛(170)의 제2 센서 모듈(175)은 틸팅되지 않는 고정형으로 마련된다.
제2 유닛 하우징(171)은 제2 센서 유닛(170)의 외관을 이루며, 제2 센서 모듈(175)을 지지한다. 이러한 제2 유닛 하우징(171)에 한 쌍의 제2 조립식 연통구(172)가 형성된다. 한 쌍의 제2 조립식 연통구(172)는 컨베이어 프레임(110)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1 모듈식 조립구(116)들 모두에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센서 유닛(170)의 위치 이동이 매우 수월해질 수 있다. 즉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나사가 아닌 손으로 가압해서 끼울 수 있는 제2 후크식 나사(178)를 제2 유닛 하우징(171)의 제2 조립식 연통구(172)로 삽입해서 제1 모듈식 조립구(116)로 체결함으로써 제2 센서 유닛(170)을 원하는 위치에 모듈식으로 조립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컨베이어 프레임(110)의 제1 모듈식 조립구(116)들에는 제1 및 제2 센서 유닛(160,170)이 원하는 위치에 손쉽게 조립될 수 있는데, 이 외에도 제1 모듈식 조립구(116)들에는 안전대(141)가 조립될 수 있다.
안전대(141)는 컨베이어 프레임(110)의 상부에 배치되어 화물의 이탈을 저지시키는 탄성 벽체 역할을 담당하는데, 이와 같은 안전대(141)의 조립을 위해 모듈식 안전대 착탈부재(142)가 안전대(141)와 제1 모듈식 조립구(116)들에 조립된다. 즉 모듈식 안전대 착탈부재(142)의 일단부는 안전대(141)의 홈(141a, 도 5 참조)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다수의 제1 모듈식 조립구(116) 중 하나에 모듈식으로 손쉽게 조립될 수 있다.
한편,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이송 롤러(101)는 무동력 자유회전 롤러이기 때문에 롤러 샤프트 홀더(150)를 통해 지지해도 충분하다.
하지만, 파워 몰러(104)는 이송 롤러(101)와 벨트(106)로 연결되어 이송 롤러(101)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가 연결되는 동력 롤러라서 롤러 샤프트 홀더(150)만으로 클램핑시키기는 곤란하다. 이를 위해, 파워 몰러 클램프(180)가 사용된다.
파워 몰러(104)의 몰러 샤프트(105, 도 30 참조)는 샤프트 배치구(115)를 통과해서 컨베이어 프레임(1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데, 파워 몰러 클램프(180)가 컨베이어 프레임(110)의 바깥쪽에 고정된 상태에서 몰러 샤프트(105)를 강하게 클램핑한다. 따라서 파워 몰러(104)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파워 몰러 클램프(180)는 도 5, 그리고 도 29 내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프레임(110)의 외측에 모듈식으로 결합되어 파워 몰러(104)의 몰러 샤프트(105)를 클램핑한다.
파워 몰러 클램프(180)는 일측에 덧살부(181a)가 형성되는 클램프 바디(181)와, 클램프 바디(181)의 일측에 형성되되 컨베이어 프레임(110)에 모듈식으로 결합되는 모듈 결합부(182)와, 클램프 바디(181)의 타측에 형성되되 비원형 단면의 몰러 샤프트(105)가 형상맞춤되게 삽입되는 몰러 샤프트 삽입부(183)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 결합부(182)는 컨베이어 프레임(110)에 형성되는 제3 모듈식 조립구(118)와 연통되는 원형의 홀(hole)이다. 따라서 모듈 결합부(182)를 제3 모듈식 조립구(118)에 연통시키고 볼트로 체결함으로써 파워 몰러 클램프(180)를 원하는 위치에 모듈식으로 손쉽게 결합시킬 수 있다.
몰러 샤프트(105) 역시, 이송 롤러(101)의 롤러 샤프트(102)와 마찬가지로 육각 단면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몰러 샤프트(105)가 임의 회전되지 않고 형상맞춤되게 몰러 샤프트 삽입부(183)가 클램프 바디(181)의 타측에 형성된다. 몰러 샤프트 삽입부(183) 역시, 몰러 샤프트(105)와 동일한 형태의 육각홀로 마련된다.
이때, 몰러 샤프트(105)가 몰러 샤프트 삽입부(183)에 끼워져 삽입되는 것만으로는 몰러 샤프트(105)를 강하게 클램핑할 수 없다. 따라서 몰러 샤프트 삽입부(183)가 위치되는 클램프 바디(181)의 덧살부(181a) 영역은 몰러 샤프트 삽입부(183)에 삽입되는 몰러 샤프트(105)를 조이기 위해 개방되게 마련된다. 즉 몰러 샤프트(105)를 몰러 샤프트 삽입부(183)에 형상맞춤되게 끼운 후, 덧살부(181a)에 형성되는 나사공(181b)으로 나사를 삽입해서 덧살부(181a)를 클램프 바디(181) 쪽으로 조임으로써 몰러 샤프트(105)가 몰러 샤프트 삽입부(183)에서 강하게 클램핑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파워 몰러(104)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컨베이어에는 프레임 지지부(120)가 갖춰진다. 프레임 지지부(120)는 프레임 지지부(120)는 컨베이어 프레임(110)에 연결되며, 지면에 대하여 컨베이어 프레임(110)을 이격시켜 지지하는 일종의 다리(bridge)이다.
이러한 프레임 지지부(120)는 컨베이어 프레임(110)에 연결되는 레그 지지용 브래킷(121)과, 지면에 지지되는 레그 지지용 푸트(123)와, 레그 지지용 브래킷(121)과 레그 지지용 푸트(123) 사이에서 높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그(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130)는 상하 방향을 따라 수직되게 배치되며, 다수의 원형 관통구(131a)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레그 전면부(131)와, 레그 전면부(131)의 양단부에서 레그 전면부(131)에 교차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레그 플랜지부(132)와, 레그 플랜지부(132)의 중심부에 홈 형태로 마련되되 다수의 각형 관통구(133a)가 등간격으로 형성하는 플랜지 홈부(133)와, 레그 플랜지부(132)의 단부에서 레그 전면부(131)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레그 절곡단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적인 특징을 갖는 레그(130)는 압출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제작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음은 물론 동일한 형상의 레그(130)를 수량에 관계 없이 연속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레그(130)는 레그 지지용 브래킷(121)과 레그 지지용 푸트(123) 사이에서 높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될 뿐만 아니라 가로로 배치되어 수직된 한 쌍의 레그(130)를 지지한다. 따라서 수직된 한 쌍의 레그(130)에 강성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레그(130)는 대략 ㄷ자 구조의 금속 브래킷이기 때문에 이러한 레그(130)에 이웃된 부재를 배치하여 볼트(B) 조립하고자 할 때, 레그 서포팅 블록(125)이 사용된다. 레그 서포팅 블록(125)은 레그(130)의 단부에 삽입되어 레그(13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해당 위치에서 볼트(B)가 강하게 체결될 수 있게끔 한다.
이상 자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처럼 샤프트 배치구(115)를 비롯해서 제1 내지 제4 모듈식 조립구(116~119)를 구비하는 컨베이어 프레임(110)을 적용할 경우, 롤러 샤프트 홀더(150)를 통해 이송 롤러(101)를 모듈식으로 조립하기에 수월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모듈 부품들, 즉 제1 및 제2 센서 유닛(160,170)을 비롯하여 파워 몰러 클램프(180)를 모듈식으로 원하는 위치에 조립하기에 유리하다. 따라서 모듈형 컨베이어의 조립 및 유지보수 작업, 그리고 모듈형 컨베이어의 확장이나 변형, 재조립 등의 작업이 매우 유리해질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 롤러(101)가 컨베이어 프레임(110)에 모듈식으로 손쉽게 분해 조립될 수 있기 때문에 컨베이어 프레임(110)에 이송 롤러(101)를 조립하거나 유지보수하는 작업을 종래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32 및 도 33은 각각 롤러 샤프트 홀더의 변형 실시예들이다.
도 32에 도시된 롤러 샤프트 홀더(250) 역시, 이송 롤러(101, 도 13 참조)의 롤러 샤프트(102)가 조립되는 샤프트 조립부(252)가 관통되게 형성되는 홀더 바디(251)와, 홀더 바디(251)에 마련되는 이탈 방지용 탄성후크부(25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샤프트 조립부(252)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개방된 부분이 없는 육각형 형상의 홀(hole)을 이룬다. 이럴 경우, 샤프트 조립부(252)에 이송 롤러(101)에 롤러 샤프트(102)가 그대로 조립되면 된다. 이러한 롤러 샤프트 홀더(250)가 적용되더라도 롤러 샤프트(102)가 모듈식으로 조립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
도 33에 도시된 롤러 샤프트 홀더(350) 역시, 홀더 바디(351)에 샤프트 조립부(352)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샤프트 조립부(352)는 일측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기는 하되 계단식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경우, 이송 롤러(101, 도 13 참조)의 롤러 샤프트(102)의 사이즈가 다르더라도 공용으로 모두 적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1 : 이송 롤러 102 : 롤러 샤프트
104 : 파워 몰러 105 : 몰러 샤프트
110 : 컨베이어 프레임 111 : 프레임 전면부
112 : 프레임 플랜지부 113 : 프레임 절곡단부
114 : 프레임 곡면부 115 : 샤프트 배치구
115a : 아크형 홀더 삽입부 115b : 홀더 걸림부
115c : 렌치부 116 : 제1 모듈식 조립구
117 : 제2 모듈식 조립구 118 : 제3 모듈식 조립구
119 : 제4 모듈식 조립구 120 : 프레임 지지부
121 : 레그 지지용 브래킷 123 : 레그 지지용 푸트
125 : 레그 서포팅 블록 130 : 레그
131 : 레그 전면부 131a : 원형 관통구
132 : 레그 플랜지부 133 : 플랜지 홈부
133a : 각형 관통구 134 : 레그 절곡단부
141 : 안전대 142 : 모듈식 안전대 착탈부재
145 : 사이드 커버 150 : 롤러 샤프트 홀더
151 : 홀더 바디 152 : 샤프트 조립부
153 : 걸림홈 154 : 이탈 방지용 탄성후크부
154a : 단차 지지대 160 : 제1 센서 유닛
161 : 제1 유닛 하우징 162 : 제1 조립식 연통구
163 : 통공 164 : 감도 조절구
165 : 제1 센서 모듈 167 : 모듈 탑재용 틸팅부
167a : 틸팅 바디 167b : 틸팅 샤프트
167c : 틸팅 프론트 167d : 모듈 노출구
170 : 제2 센서 유닛 171 : 제2 유닛 하우징
172 : 제2 조립식 연통구 175 : 제2 센서 모듈
180 : 파워 몰러 클램프 181 : 클램프 바디
181a : 덧살부 182 : 모듈 결합부
183 : 몰러 샤프트 삽입부

Claims (21)

  1. 화물의 이송을 위한 이송 롤러(moving roller)의 회전축심을 이루는 롤러 샤프트가 배치되는 다수의 샤프트 배치구를 구비하며, 상기 이송 롤러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게 한 쌍으로 배치되는 컨베이어 프레임;
    상기 롤러 샤프트의 임의 회전이 저지되도록 상기 롤러 샤프트가 형상맞춤되게 조립되는 샤프트 조립부를 구비하며,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의 샤프트 배치구에 모듈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롤러 샤프트를 지지하는 롤러 샤프트 홀더; 및
    상기 이송 롤러 상에서 이송되는 화물에 대한 센싱(sensing) 작업을 위하여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의 선택된 장소에 모듈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은,
    상하 방향을 따라 수직되게 배치되는 프레임 전면부;
    상기 프레임 전면부의 양단부에서 상기 프레임 전면부에 교차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 플랜지부;
    상기 프레임 플랜지부의 단부에서 상기 프레임 전면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프레임 절곡단부;
    상기 프레임 전면부와 상기 프레임 플랜지부 사이에 아크(arc) 형상으로 배치되는 프레임 곡면부; 및
    상기 프레임 플랜지부에 등간격으로 관통 형성되는 다수의 제1 모듈식 조립구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 배치구는,
    상기 롤러 샤프트 홀더가 삽입되어 조립되는 입구를 이루며, 상기 프레임 곡면부에 형성되는 아크형 홀더 삽입부;
    상기 아크형 홀더 삽입부와 연통되되 상기 아크형 홀더 삽입부보다 좁은 폭을 가지고 상기 프레임 전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롤러 샤프트 홀더가 끼워져 걸리도록 하는 홀더 걸림부; 및
    상기 홀더 걸림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비원형 형상의 렌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 샤프트 홀더는,
    상기 샤프트 조립부가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홀더 걸림부에 걸리는 걸림홈이 측부에 형성되는 홀더 바디; 및
    상기 홀더 바디에 마련되며, 상기 홀더 바디가 조립된 때 일측이 상기 프레임 플랜지부에 지지되어 상기 홀더 바디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탄성적으로 저지시키는 이탈 방지용 탄성후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컨베이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은 압출성형에 의해 제작되며,
    상기 샤프트 배치구는 상기 프레임 곡면부와 상기 프레임 전면부에 걸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컨베이어.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조립부는 일측이 개방되게 마련되며,
    상기 롤러 샤프트는 단면이 육각형 형상을 이루되 상기 샤프트 조립부는 상기 렌치부와 함께 상기 롤러 샤프트의 단면과 동일한 육각형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컨베이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조립부는 개방된 부분이 없는 육각형 형상의 홀(hole)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컨베이어.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닛은 상기 화물에 대한 센싱 작업을 위하여 센싱 신호의 발신과 수신을 수행하는 제1 센서 유닛이며,
    상기 제1 센서 유닛은,
    상기 제1 모듈식 조립구에 연통 가능한 제1 조립식 연통구를 구비하는 제1 유닛 하우징;
    상기 제1 유닛 하우징 내에 마련되며, 상기 센싱 신호의 발신과 수신을 모두 수행하는 제1 센서 모듈; 및
    상기 제1 센서 모듈이 탑재되는 장소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센서 모듈의 센싱 신호에 대한 발신과 수신의 각도 조절을 위해 상기 제1 유닛 하우징 내에 틸팅(tilting) 가능하게 결합되는 모듈 탑재용 틸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컨베이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탑재용 틸팅부는,
    상기 제1 유닛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틸팅 바디;
    상기 틸팅 바디의 양측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마련되고 상기 제1 유닛 하우징의 통공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틸팅 샤프트; 및
    상기 틸팅 바디의 전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유닛 하우징의 전면 개구부에 틸팅 가능하게 배치되되 상기 제1 센서 모듈이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모듈 노출구가 형성되는 틸팅 프론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컨베이어.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 하우징에는 상기 제1 센서 모듈에 대한 감도 조절을 위하여 상기 제1 유닛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제1 센서 모듈로의 공구의 접근을 허용하는 감도 조절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컨베이어.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닛은 상기 화물에 대한 센싱 작업을 위하여 센싱 신호의 수신을 수행하는 제2 센서 유닛이며,
    상기 제2 센서 유닛은,
    상기 제1 모듈식 조립구에 연통 가능한 제2 조립식 연통구를 구비하는 제2 유닛 하우징; 및
    상기 제2 유닛 하우징 내에 마련되며, 상기 센싱 신호의 수신을 수행하는 제2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컨베이어.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모듈식 조립구들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화물의 이탈을 저지시키는 안전대가 모듈식으로 결합되기 위한 모듈식 안전대 착탈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의 측부에는 사이드 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컨베이어.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은,
    상기 제1 모듈식 조립구보다 작은 사이즈를 가지고 상기 프레임 전면부에서 상기 샤프트 배치구에 하나씩 대응되게 관통 형성되는 다수의 제2 모듈식 조립구;
    상기 제2 모듈식 조립구들에 이웃하게 등간격으로 배열되되 상기 제2 모듈식 조립구보다 사이즈가 크고 개수가 많게 마련되는 다수의 제3 모듈식 조립구; 및
    상기 제3 모듈식 조립구들에 이웃하게 등간격으로 배열되되 상기 제3 모듈식 조립구보다 사이즈가 작고 개수가 적게 마련되는 다수의 제4 모듈식 조립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컨베이어.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롤러와 벨트로 연결되어 상기 이송 롤러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되 몰러 샤프트가 상기 샤프트 배치구를 통과해서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의 외측으로 배치되는 파워 몰러(power moller); 및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의 외측에 모듈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파워 몰러의 몰러 샤프트를 클램핑하는 파워 몰러 클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컨베이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몰러 클램프는,
    일측에 덧살부가 형성되는 클램프 바디;
    상기 클램프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에 모듈식으로 결합되는 모듈 결합부; 및
    상기 클램프 바디의 타측에 형성되되 비원형 단면의 상기 몰러 샤프트가 형상맞춤되게 삽입되는 몰러 샤프트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몰러 샤프트 삽입부가 위치되는 상기 클램프 바디의 덧살부 영역은 상기 몰러 샤프트 삽입부에 삽입되는 상기 몰러 샤프트를 조이기 위해 개방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컨베이어.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에 연결되며, 지면에 대하여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컨베이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지지부는,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에 연결되는 레그 지지용 브래킷;
    상기 지면에 지지되는 레그 지지용 푸트;
    상기 레그 지지용 브래킷과 상기 레그 지지용 푸트 사이에서 높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그를 포함하며,
    상기 레그의 단부에는 볼트 조립을 위하여 레그 서포팅 블록이 개재되며,
    상기 레그는 압출성형에 의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컨베이어.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상하 방향을 따라 수직되게 배치되며, 다수의 원형 관통구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레그 전면부;
    상기 레그 전면부의 양단부에서 상기 레그 전면부에 교차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레그 플랜지부;
    상기 레그 플랜지부의 중심부에 홈 형태로 마련되되 다수의 각형 관통구가 등간격으로 형성하는 플랜지 홈부; 및
    상기 레그 플랜지부의 단부에서 상기 레그 전면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레그 절곡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컨베이어.
KR1020170103952A 2017-08-17 2017-08-17 모듈형 컨베이어 KR101998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952A KR101998580B1 (ko) 2017-08-17 2017-08-17 모듈형 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952A KR101998580B1 (ko) 2017-08-17 2017-08-17 모듈형 컨베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281A KR20190019281A (ko) 2019-02-27
KR101998580B1 true KR101998580B1 (ko) 2019-07-10

Family

ID=65560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952A KR101998580B1 (ko) 2017-08-17 2017-08-17 모듈형 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85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95248B (en) * 2020-05-19 2022-06-29 Air Tech Innovations Ltd A kit of parts for assembling a castor deck
KR102431650B1 (ko) * 2021-12-31 2022-08-12 (주)백천정밀 성형롤 교체가 용이한 롤 포밍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3138Y2 (ja) * 1990-05-30 1997-08-06 トーヨーカネツ株式会社 ローラコンベヤのフレーム
JP2001311621A (ja) * 2000-04-28 2001-11-09 Omron Corp 傾斜センサユニット
KR200263589Y1 (ko) * 2001-11-21 2002-02-06 주식회사 한화/기계 모우터 롤러식 적치 컨베이어
US20150166263A1 (en) * 2012-05-16 2015-06-18 Savoye Longitudinal member for a conveyor, and assembly comprising a longitudinal member of this kind and a plurality of cable-carrying and cover-securing hook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6923U (ko) * 1990-06-26 1992-03-03
JPH04144821A (ja) * 1990-10-05 1992-05-19 Daifuku Co Ltd 光電装置付きコンベヤ
JPH06293424A (ja) * 1993-04-08 1994-10-21 Okura Yusoki Co Ltd 軸受部材
JPH08108920A (ja) * 1994-10-12 1996-04-30 Meikikou:Kk センサの取付け構造
DK2517986T3 (da) * 2011-04-26 2013-11-11 Interroll Holding Ag Bremserulle
KR20160047941A (ko) * 2014-10-23 2016-05-03 현대제철 주식회사 컨베이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3138Y2 (ja) * 1990-05-30 1997-08-06 トーヨーカネツ株式会社 ローラコンベヤのフレーム
JP2001311621A (ja) * 2000-04-28 2001-11-09 Omron Corp 傾斜センサユニット
KR200263589Y1 (ko) * 2001-11-21 2002-02-06 주식회사 한화/기계 모우터 롤러식 적치 컨베이어
US20150166263A1 (en) * 2012-05-16 2015-06-18 Savoye Longitudinal member for a conveyor, and assembly comprising a longitudinal member of this kind and a plurality of cable-carrying and cover-securing hoo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281A (ko) 201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8580B1 (ko) 모듈형 컨베이어
US7681710B2 (en) Modular conveyer transfer systems and methods
US20090151148A1 (en) Processing apparatus
GB2538945A (en) LED Display Device
KR20060105436A (ko)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
KR20190019282A (ko) 모듈형 컨베이어
JP2009504539A (ja) コンベアシステムにおける改良
US20110176860A1 (en) Structure of connector for aluminum extrusion frame
US11267655B1 (en) Toolless removable wear strip and/or guide rail for a conveyor
US9573769B2 (en) System line
US20120080292A1 (en) Conveyor chain cover
JP3605588B2 (ja) 横送り搬送装置
CN212034511U (zh) Led箱体及拼接显示屏
US20050217975A1 (en) Multi-directional conveyor
US6951271B2 (en) Flight lug
KR102288674B1 (ko) 플렉시블 컨베이어
EP1801041A1 (en) Wheel conveyor
KR20080056475A (ko) 반도체용 진공펌프의 랙 구조
CN218260216U (zh) 输送机及金属检测机
US10046915B2 (en) Transportation system with magnetic clutch
CN216470337U (zh) 单件分离输送装置、分离输送机及分拣系统
JP2916757B2 (ja) ベルトコンベアのエンドローラ取付具
US11535457B2 (en) Attachment assembly for a controller housing
KR200342490Y1 (ko) 용기 이송용 컨베이어장치의 용기 리테이너 취부구조
KR20130133551A (ko) 보조 반송롤러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