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8674B1 - 플렉시블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8674B1
KR102288674B1 KR1020210036711A KR20210036711A KR102288674B1 KR 102288674 B1 KR102288674 B1 KR 102288674B1 KR 1020210036711 A KR1020210036711 A KR 1020210036711A KR 20210036711 A KR20210036711 A KR 20210036711A KR 102288674 B1 KR102288674 B1 KR 102288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nveyor
assembly
connection
rotat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6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앤
Priority to KR1020210036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86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674B1/ko
Priority to PCT/KR2021/012296 priority patent/WO202220313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 B65G17/08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the surface being formed by the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65G23/06Drums, rollers, or wheels with projections engaging abutments on belts or chains, e.g. sprocket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2Arrangements or mountings of driving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30Modular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19Supporting or guiding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277Common features f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87Driv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시블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컨베이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연결 조립되는 모듈식 구조체로서, 모듈식 구조체 간의 다수를 연결 조립에 의한 배열을 갖게 함으로써 상하방향 회전과 좌우방향 회전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연결 조립되어 컨베이어에 무한궤도 형태로 지지 결합되는 컨베이어벨트 측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피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하역 작업을 위한 이송물의 이송시 상하방향 회전은 물론 좌우방향 회전을 개별 또는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특히 상호 연결되는 모듈식 구성을 통해 자유자재로의 방향 전환을 수행할 수 있게 하므로 컨베이어의 회전반경을 최소화할 수 있는 등 컨베이어의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으면서 공간 활용도를 크게 높일 수 있으며, 뱀과 같은 자유자재의 움직임을 갖게 하는 플렉시블한 구조의 컨베이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렉시블 컨베이어{FLEXIBLE CONVEYOR}
본 발명은 플렉시블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방향 회전은 물론 좌우방향 회전을 개별 또는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회전 반경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성을 갖는 플렉시블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베이어(Conveyor)는 각종 이송물에 대해 수평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무한궤도 타입의 이송용 운반장치로서, 컨베이어본체와 이에 결합되어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무한궤도 타입의 이송용 운반장치인 컨베이어는 컨베이어벨트의 종류에 따라 벨트식과 체인식으로 대별된다.
또한, 이송물의 이동 방향에 따라 수평식과 경사식, 수직식 및 스파이럴식(나선 회전식) 등으로 구별된다.
이와 같은 컨베이어는 제조분야와 물류분야, 식품분야, 농수산분야 등을 비롯하여 아주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각종 이송물을 운반하는 산업용으로 널리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 컨베이어는 수평식과 경사식, 수직식 등 대부분의 기종들이 각종 이송물을 상하역시 직선형 이송을 갖게 하는 구성으로서, 곡선부 이송 등 방향 전환이 어려워 사용상의 한계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방향 전환 등 사용상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국내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4624호에서는 "커브 체인을 갖는 곡선 컨베이어"를 개시하고 있고,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324498호에서는 "커브 벨트를 갖는 커브 벨트컨베이어"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들은 방향 전환에 의한 수평적 이송만을 수행할 수 있는 등 공간적 이동이 어려운 한계를 지니고 있으며, 곡선부 측 회전반경이 커서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등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나선형 설치를 통해 공간적 이송이 가능하도록 한 스파이럴식 컨베이어가 국내등록특허 제10-1144411호에서 등지에서와 같이 개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중앙에 회전드럼을 설치하고 그 외측에 나선형 방향으로 컨베이어벨트를 연결 설치하는 구성으로서, 컨베이어의 나선형 설치시 회전 곡률 및 회전 반경이 크며 이로 인해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4624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449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4441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 등을 해결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하방향 회전은 물론 좌우방향 회전을 개별 또는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성을 갖는 플렉시블 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컨베이어프레임 자체를 모듈식으로 일체 구비하여 상호간 연속적인 연결에 의한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서 관절형 연결 구조를 통해 자유자재로의 방향 전환 및 회전 반경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며, 컨베이어의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면서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플렉시블 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컨베이어프레임에 대해 상호간 탈착 가능한 연결 및 조립 구조를 갖게 하므로 필요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플렉시블 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모터를 장착하여 컨베이어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구동부에 모듈식으로 연결되어 상하좌우 움직임이 가능한 프레임부, 및 프레임부에 연결되어 결합되는 컨베이어벨트의 텐션을 조절하는 피동부로 구성되는 일체의 모듈식으로 구비함으로써 조립 용이성은 물론 사용 편의성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플렉시블 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뱀과 같은 스네이크형 움직임을 갖게 하며 컨베이어의 원활한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플렉시블 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컨베이어는,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컨베이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연결 조립되는 모듈식 구조체로서, 모듈식 구조체 간의 다수를 연결 조립에 의한 배열을 갖게 함으로써 상하방향 회전과 좌우방향 회전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연결 조립되어 컨베이어에 무한궤도 형태로 지지 결합되는 컨베이어벨트 측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피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유형으로서, 상기 구동부는, 장방형의 블록구조체로 이루어지되, 선단부 중심부에 함몰된 구조의 요홈부가 형성되고, 후면 중심부에 수직연결핀 체결을 통해 상기 프레임부 측과의 연결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연결고리판이 구비되는 구동프레임; 상기 구동프레임 측 요홈부를 관통하여 횡(橫) 방향 배치되고, 구동모터에 연결되는 구동축; 상기 요홈부 내에 위치하되, 상기 구동축 상에 지지 결합되고, 컨베이어벨트 측과의 체결을 통해 컨베이어벨트의 이동에 관여하는 스프로킷;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 유형으로서, 상기 프레임부는, 회전프레임 모듈과 고정프레임 모듈로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프레임 모듈은 상호 대응하는 연결 조립구조를 갖는 제1회전프레임과 제2회전프레임의 연속 조립에 의한 배열이 가능하도록 다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고정프레임 모듈은 장방형의 판형몸체 1개로 구비되며; 상기 회전프레임 모듈만을 선택 사용하거나 또는 회전프레임 모듈과 고정프레임 모듈을 조합하여 사용하고, 상호간에 대응하는 연결 조립구조를 갖는 구성일 수 있다.
일 유형으로서, 상기 회전프레임 모듈은, 장방형의 플레이트로서, 앞면에 구동부 또는 상대하는 제2회전프레임과 수직연결핀 체결을 통해 연결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연결고리판이 구비되고, 뒷면에 상대하는 제2회전프레임과 수평연결핀 체결을 통해 연결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핀체결돌부가 구비되는 제1회전프레임; 장방형의 플레이트로서, 앞면에 상대하는 제1회전프레임과 수평연결핀 체결을 통해 연결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핀체결부가 구비되고, 뒷면에 연속 배열되는 제1회전프레임 또는 피동부와 수직연결핀 체결을 통해 연결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연결고리판이 구비되는 제2회전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프레임 및 제2회전프레임 각각에는 상하면 중심부에 위치하여 끝단 걸림턱 구조를 갖는 주름관홈이 형성 및 이에 주름관이 끼워져 컨베이트벨트와의 매칭 결합시 컨베이어벨트의 이동 경로를 만들어주는 가이드 기능 및 이탈 방지를 위한 지지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일 유형으로서, 상기 고정프레임 모듈은, 상하면 중심부에 위치하여 길이방향으로 끝단 걸림턱 구조를 갖는 주름관홈이 형성 및 이에 주름관이 끼워져 컨베이트벨트와의 매칭 결합시 컨베이어벨트의 이동 경로를 만들어주는 가이드 기능 및 이탈 방지를 위한 지지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비되며, 판형몸체의 앞면에 제1회전프레임과 수평연결핀 체결을 통해 연결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핀체결부가 구비되고, 뒷면에도 제2회전프레임과 수평연결핀 체결을 통해 연결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핀체결부가 구비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일 유형으로서, 상기 피동부는, 장방형의 블록구조체로 이루어지되, 앞면 중심부에 수직연결핀 체결을 통해 상기 프레임부 측과의 연결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연결고리판이 구비되고, 뒷면에 양측단부에서 후방(後方)을 향해 돌출 및 장공을 형성한 연결플레이트가 구비되는 피동프레임; 상기 피동프레임의 연결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횡(橫) 방향 배치되는 피동축; 상기 피동축 상에 지지 결합되고, 컨베이어벨트 측과의 체결을 통해 컨베이어벨트의 회전 이동에 관여하는 스프로킷; 상기 피동축의 양측면에 체결되어 컨베이어벨트의 텐션을 조정하기 위한 텐션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 유형으로서, 상기 상호간에 연결 조립되는 구동부와 프레임부 및 피동부에는 각각 양측부에 위치시켜 관통되는 스프링삽입배치홀을 형성하여 일렬 배열하고, 상기 일렬 배열을 갖는 스프링삽입배치홀에 장스프링을 삽입하여 구동부로부터 피동부까지 도달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상기 프레임부 측 처짐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 유형으로서, 상기 상호간에 연결 조립되는 구동부와 프레임부 및 피동부에는 각각 서로 마주하는 면의 양측부에 위치시켜 상호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부와 홈부를 형성하되, 돌부가 홈부에 입출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상호간에 가이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하역 작업을 위한 이송물의 이송에 사용시 상하방향 회전은 물론 좌우방향 회전을 개별 또는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을 갖는 개발품으로서, 플렉시블한 움직임이 가능한 플렉시블 컨베이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컨베이어프레임에 대해 상호간 탈착 가능한 연결 및 조립 구조를 갖게 하므로 필요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플렉시블 컨베이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듈식 구성에 의한 일체 조립구조 및 연속적인 연결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자유자재로의 방향 전환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컨베이어의 회전 반경을 최소화할 수 있고 컨베이어의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으면서 공간 활용도를 크게 높일 수 있으며, 뱀과 같은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고 컨베이어의 원활한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플렉시블 컨베이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구조로의 컨베이어 설치 및 공간적 활용이 가능하며, 다양한 물품의 이송물에 대한 운반효율을 높이고 상하역 작업에 따른 용이성 및 편의성을 구현할 수 있는 플렉시블 컨베이어벨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동일 공간상에서 이송물에 대한 체류 길이를 연장하는 설치가 가능하며, 이를 통해 이송물에 대한 체류 시간을 높일 수 있는 등 응용성을 높일 수 있고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기존 곡선 컨베이어나 스파이럴식 컨베이어에 비해 공간효율 및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컨베이어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연결 조립에 의한 모듈식 일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컨베이어에 있어 피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컨베이어에 있어 프레임부 측 회전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컨베이어에 있어 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컨베이어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 분해도 및 요부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컨베이어에 있어 좌우 회전 및 상하 회전 상태를 나타낸 동작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컨베이어에 있어 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하는 무한궤도형 배열을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컨베이어에 있어 고정프레임의 예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컨베이어에 있어 고정프레임을 연결 조립한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컨베이어에 있어 회전이 자유로운 컨베이어벨트 및 이를 무한궤도로 조립 장착한 구성을 나타낸 일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컨베이어에 있어 회전이 자유로운 컨베이어벨트 및 이를 무한궤도로 조립 장착한 구성을 나타낸 다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도면의 도 1 내지 1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컨베이어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컨베이어는 모듈식 연결 조립구조로 이루어지는 컨베이어본체와 이에 무한궤도 타입으로 연결되어 회전 구동하는 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한다.
상기 컨베이어본체는 도 1 내지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컨베이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A)와, 상기 구동부(A)에 연결 조립되는 모듈식 구조체로서 모듈식 구조체 간의 다수를 연결 조립에 의한 배열을 갖게 함으로써 상하방향 회전과 좌우방향 회전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프레임부(B)와, 상기 프레임부(B)에 연결 조립되어 컨베이어에 무한궤도 형태로 지지 결합되는 컨베이어벨트 측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피동부(C)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부(A)는 장방형의 블록구조체로 이루어지되 선단부 중심부에 함몰된 구조의 요홈부가 형성되고 후면 중심부에 수직연결핀 체결을 통해 상기 프레임부(B) 측과의 연결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연결고리판(A5)이 돌출 구비되는 구동프레임(A1)과, 상기 구동프레임(A1) 측 요홈부를 관통하여 횡(橫) 방향 배치되고 구동모터에 연결되는 구동축(A2)과, 상기 구동프레임(A)의 요홈부 내에 위치하되 상기 구동축(A2) 상에 지지 결합되고 컨베이어벨트 측과의 체결을 통해 컨베이어벨트의 이동에 관여하는 스프로킷(A3)을 포함한다.
상기 스프로킷(A3)은 1개 이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A)에는 상기 구동프레임(A1)의 양측부에 위치시켜 관통되는 스프링삽입배치홀(A6)을 형성하고, 상기 구동프레임(A1)의 뒷면 양측부에 위치시켜 홈부(A4)를 형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구동프레임(A1) 측 홈부(A4)는 프레임부(B) 측 제1회전프레임(B11)에 형성된 돌부(B14)와 매칭된다.
상기 프레임부(B)는 회전프레임 모듈(B1)과 고정프레임 모듈(B2)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프레임 모듈(B1)은 상호 대응하는 연결 조립구조를 갖는 제1회전프레임(B11)과 제2회전프레임(B12)의 연속 조립에 의한 배열이 가능하도록 다수 개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회전프레임(B11)과 제2회전프레임(B12)의 연속 조립에 따른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전반적인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 모듈(B2)은 장방형의 판형몸체 1개로 구비되며, 일정 길이를 형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프레임부(B)는 상기 회전프레임 모듈(B1)만을 선택 사용하거나 또는 회전프레임 모듈(B1)과 고정프레임 모듈(B2)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호간에 대응하는 연결 조립구조를 갖도록 구비된다.
상기 회전프레임 모듈(B1)은 상기 제1회전프레임(B11)에 있어, 장방형의 플레이트로서, 앞면에 구동부(A) 즉 구동프레임(A1) 또는 상대하는 제2회전프레임(B12)과 수직연결핀 체결을 통해 연결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연결고리판(B15)이 구비되고, 뒷면에 상대하는 제2회전프레임(B12)과 수평연결핀(B13) 체결을 통해 연결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핀체결돌부(B19)가 구비된다.
상기 제2회전프레임(B12)에 있어서는 장방형의 플레이트로서, 앞면에 상대하는 제1회전프레임(B11)과 수평연결핀(B13) 체결을 통해 연결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핀체결부(B19)가 대응하게 구비되고, 뒷면에 연속 배열되는 제1회전프레임(B11) 또는 피동부(C)와 수직연결핀 체결을 통해 연결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돌출 구조의 연결고리판(B15)이 대응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1회전프레임(B11) 및 제2회전프레임(B12) 각각에는 상하면 중심부에 위치하여 끝단 걸림턱 구조를 갖는 주름관홈(B18)이 형성 및 이에 주름관(B18-1)이 각각 끼워져 컨베이어벨트와의 매칭 결합시 컨베이어벨트의 이동 경로를 만들어주는 가이드 기능 및 이탈 방지를 위한 지지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회전프레임(B11) 및 제2회전프레임(B12) 각각에 형성되는 주름관홈(B18)은 연속적인 연결 조립을 통해 프레임부(B)를 구성할 시 일렬 배열된다.
상기 제1회전프레임(B11) 및 제2회전프레임(B12) 각각에는 양측부에 위치시켜 관통되는 스프링삽입배치홀(B17)을 형성한다.
상기 제1회전프레임(B11)에는 앞면 양측부에 위치시켜 돌부(B14)를 형성하고, 상기 제2회전프레임(B12)에는 뒷면 양측부에 위치시켜 홈부(B16)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 모듈(B2)은 판형몸체의 앞면에 제1회전프레임(B11)과 수평연결핀 체결을 통해 연결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핀체결부가 구비되고, 뒷면에도 제2회전프레임(B12)과 수평연결핀(B22) 체결을 통해 연결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핀체결부(B21)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프레임 모듈(B2)은 판형몸체의 상하면 중심부에 위치하여 길이방향으로 끝단 걸림턱 구조를 갖는 주름관홈(B23)이 형성 및 이에 주름관이 끼워져 컨베이어벨트와의 매칭 결합시 컨베이어벨트의 이동 경로를 만들어주는 가이드 기능 및 이탈 방지를 위한 지지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피동부(C)는 장방형의 블록구조체로 이루어지되 앞면 중심부에 수직연결핀 체결을 통해 상기 프레임부(B) 측과의 연결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연결고리판(C5)이 돌출 구비되고 뒷면에 양측단부에서 후방(後方)을 향해 돌출 및 장공(C7-1)을 형성한 연결플레이트(C7)가 구비되는 피동프레임(C1)과, 상기 피동프레임(C1)의 연결플레이트(C7)를 관통하여 횡(橫) 방향 배치되는 피동축(C2)과, 상기 피동축(C2) 상에 지지 결합되고 컨베이어벨트 측과의 체결을 통해 컨베이어벨트의 회전 이동에 관여하는 스프로킷(C3)과, 상기 피동축(C2)의 양측면에 체결되어 스프로킷(C3)에 결합되는 컨베이어벨트의 텐션을 조정하기 위한 텐션조절부재(C6)를 포함한다.
상기 피동부(C), 즉 피동프레임(C1)에는 양측부에 위치시켜 관통되는 스프링삽입배치홀(C8)을 형성한다.
상기 피동부(C), 즉 피동프레임(C1)에는 앞면 양측부에 위치시켜 돌부(C4)를 형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피동프레임(C1) 측 돌부(C4)는 프레임부(B) 측 제2회전프레임(B12)에 형성된 홈부(B16)와 매칭된다.
또한, 상기 상호간에 연결 조립되는 구동부(A)와 프레임부(B) 및 피동부(C)에는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여 연속되게 스프링삽입배치홀(A6)(B17)(C8)이 형성되는데, 연속되는 스프링삽입배치홀(A6)(B17)(C8)에 스프링(D)을 삽입하여 구동부(A)로부터 피동부(C)까지 도달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상기 제1회전프레임(B11)과 제2회전프레임(B12)를 연속적으로 연결 조립하는 프레임부(B) 측 처짐을 방지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호간에 연결 조립되는 매칭 구조를 갖는 구동부(A)와 프레임부(B) 및 피동부(C)에는 각각 서로 마주하는 면의 양측부에 위치하여 상호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부와 홈부를 갖는데, 상기 돌부가 홈부에 입출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고, 이를 통해 상호간에 가이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은 상술한 구성을 갖는 컨베이어본체는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한 사출성형으로 구성요소들에 대해 상호 매칭되는 모듈식 몸체를 갖도록 생산하여 사용함이 경량화 등을 위해 바람직하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할 것이며, 다이캐스팅에 의한 알루미늄 제품으로 생산하는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한 생산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에 따라,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컨베이어본체는 모듈식 조립을 가능하게 구비한 구동부(A)와 프레임부(B) 및 피동부(C)를 통해 상하방향 회전은 물론 좌우방향 회전을 개별 또는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등 뱀과 같은 자유자재로의 방향 전환 및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며, 필요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고, 컨베이어의 회전 반경을 최소화할 수 있어 컨베이어의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으면서 공간 활용도를 크게 높일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술한 모듈식 연결 조립구조로 이루어지는 컨베이어본체에는 컨베이어벨트가 무한궤도 타입으로 연결 및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데, 시중에 유통되는 모든 유형의 다양한 컨베이어벨트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컨베이어벨트에 대해 도 10 및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모듈식 연결 조립구조로 이루어지는 컨베이어본체에 매칭되는 타입으로 구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즉, 컨베이어벨트에 있어서도 상하방향 회전은 물론 좌우방향 회전을 개별 또는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등 뱀과 같은 자유자재로의 방향 전환 및 움직임을 가능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컨베이어벨트(100)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플레이트(110)와 회전플레이트(110)의 사이에 연결플레이트(120)를 개재 및 수직핀 체결을 통해 상호간 연결 조립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120)를 매개로 회전플레이트(110)의 다수를 연속 배열함으로써 무한궤도형 구조를 갖게 하는 벨트구조체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플레이트(120)는 양측부가 좌우에 배치되는 회전플레이트(110)에 삽입되어 중첩 배치됨에 의해 상기 회전플레이트(110)와 연결플레이트(120) 상호간에 수평면 기준하여 좌우방향으로의 회전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연결한다.
즉, 상기 컨베이어벨트(100)는 회전이 형성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회전플레이트(110)와 연결플레이트(120) 측 외측부분이 신축(伸縮)되고 이와는 반대로 내측부분이 압축(壓縮)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회전플레이트(110)는 육각 마름모꼴 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지되, 길이방향의 중앙을 기준하여 이분(二分)되는 구조로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회전플레이트(110)는 이분 몸체에 있어 상호 마주하는 면에 어긋나게 배치된 구조의 핀결합부를 대응 형성 및 이를 맞춤으로 일렬 배열한 상태에 수평핀을 체결함에 의해 자체에 대해 수평면 기준하여 상하방향으로 꺾임(folding)이 가능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회전플레이트(110)에는 컨베이어본체에 구비되는 스프로킷에 매칭시켜 결합 가능하도록 스프로킷결합부(113)를 하면에 돌출 구조로 구비함으로써 컨베이어벨트(100)의 회전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회전플레이트(110)에는 하면에 이탈방지돌부를 돌출 형성함에 의해 컨베이어프레임 상에 삽입 끼움하여 조립 결합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상기 이탈방지돌부는 상기 컨베이어본체 측 프레임부(B)에 형성된 주름관홈(B18)에 삽입되는 구조로 매칭시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플레이트(120)는 상기 회전플레이트(110)와 마찬가지로 하여 육각 마름모꼴 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지게 하되, 길이방향의 중앙을 기준하여 이분(二分)되는 구조로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연결플레이트(120)는 이분 몸체에 있어 상호 마주하는 면에 어긋나게 배치된 구조의 핀결합부를 대응 형성 및 이를 맞춤으로 일렬 배열한 상태에 수평핀을 체결함에 의해 자체에 대해 수평면 기준하여 상하방향으로 꺾임(folding)이 가능하도록 구비한다.
상세하게, 컨베이어벨트(200)는 다른 유형으로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플레이트(210)와 회전플레이트(210)의 사이에 연결플레이트를(220) 개재 및 수직핀 체결을 통해 상호간 연결 조립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220)를 매개로 회전플레이트(210)의 다수를 연속 배열함으로써 무한궤도형 구조를 갖게 하는 벨트구조체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회전플레이트(210)에는 길이방향의 전후면(前後面) 상에 각각 돌부와 홈부를 순차 형성하여 배열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220)에도 길이방향의 전후면(前後面) 상에 각각 돌부와 홈부를 순차 형성하여 배열한다.
이에, 상기 회전플레이트(210)와 연결플레이트(220) 상호간에는 돌부와 홈부가 지그재그 형태로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어 서로 깍지 끼움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회전플레이트(210)와 연결플레이트(220)가 좌우방향으로 개별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컨베이어벨트(200)는 회전이 형성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회전플레이트(210)와 연결플레이트(220) 측 외측부분이 신축(伸縮)되고 내측부분이 압축(壓縮)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회전플레이트(210)와 연결플레이트(220)는 각각 육각 마름모꼴 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지되, 길이방향의 중앙을 기준하여 이분(二分)되는 구조로 구비되고, 상호 마주하는 면에 어긋나게 배치된 구조의 핀결합부를 각각 형성 및 이에 수평핀을 각각 체결함에 의해 자체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꺾임이 가능하도록 구비한다.
여기에서도, 상기 회전플레이트(210)에는 컨베이어본체에 구비되는 스프로킷에 매칭시켜 결합 가능하도록 스프로킷결합부(216)를 하면에 돌출 구조로 구비함으로써 컨베이어벨트(200)의 회전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회전플레이트(210)에는 하면에 이탈방지돌부를 돌출 형성함에 의해 컨베이어프레임 상에 삽입 끼움하여 조립 결합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상기 이탈방지돌부는 상기 컨베이어본체 측 프레임부(B)에 형성된 주름관홈(B18)에 삽입되는 구조로 매칭시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통해서는 상하역 작업을 위한 이송물의 이송시 상하방향 회전은 물론 좌우방향 회전을 개별 또는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특히 뱀과 같은 자유자재로의 움직임 및 방향 전환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회전이 자유로운 컨베이어를 제공할 수 있다.
부연하여, 본 발명을 통해서는 기존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컨베이어들에 비해 회전반경을 최소화할 수 있어 컨베이어의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는 등 공간 활용도를 크게 높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 구동부 A1: 구동프레임
A2: 구동축 A3: 스프로킷
A4: 돌부 A5: 연결고리판
A6: 스프링삽입배치홀
B: 프레임부 B1: 회전프레임 모듈
B11: 제1회전프레임 B12: 제2회전프레임
B15: 연결고리판 B17: 스프링삽입배치홀
B18: 주름관홈
C: 피동부 C1: 피동프레임
C2: 피동축 C3: 스프로킷
C5: 연결고리판 C8: 스프링삽입배치홀
D: 스프링

Claims (8)

  1.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컨베이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연결 조립되는 모듈식 구조체로서, 모듈식 구조체 간의 다수를 연결 조립에 의한 배열을 갖게 함으로써 상하방향 회전과 좌우방향 회전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연결 조립되어 컨베이어에 무한궤도 형태로 지지 결합되는 컨베이어벨트 측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피동부; 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부는,
    회전프레임 모듈과 고정프레임 모듈로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프레임 모듈은 상호 대응하는 연결 조립구조를 갖는 제1회전프레임과 제2회전프레임의 연속 조립에 의한 배열이 가능하도록 다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고정프레임 모듈은 장방형의 판형몸체 1개로 구비되며;
    상기 회전프레임 모듈만을 선택 사용하거나 또는 회전프레임 모듈과 고정프레임 모듈을 조합하여 사용하고, 상호간에 대응하는 연결 조립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컨베이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장방형의 블록구조체로 이루어지되, 선단부 중심부에 함몰된 구조의 요홈부가 형성되고, 후면 중심부에 수직연결핀 체결을 통해 상기 프레임부 측과의 연결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연결고리판이 구비되는 구동프레임;
    상기 구동프레임 측 요홈부를 관통하여 횡(橫) 방향 배치되고, 구동모터에 연결되는 구동축;
    상기 요홈부 내에 위치하되, 상기 구동축 상에 지지 결합되고, 컨베이어벨트 측과의 체결을 통해 컨베이어벨트의 이동에 관여하는 스프로킷;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컨베이어.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프레임 모듈은,
    장방형의 플레이트로서, 앞면에 구동부 또는 상대하는 제2회전프레임과 수직연결핀 체결을 통해 연결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연결고리판이 구비되고, 뒷면에 상대하는 제2회전프레임과 수평연결핀 체결을 통해 연결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핀체결돌부가 구비되는 제1회전프레임;
    장방형의 플레이트로서, 앞면에 상대하는 제1회전프레임과 수평연결핀 체결을 통해 연결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핀체결부가 구비되고, 뒷면에 연속 배열되는 제1회전프레임 또는 피동부와 수직연결핀 체결을 통해 연결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연결고리판이 구비되는 제2회전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프레임 및 제2회전프레임 각각에는 상하면 중심부에 위치하여 끝단 걸림턱 구조를 갖는 주름관홈이 형성 및 이에 주름관이 끼워져 컨베이트벨트와의 매칭 결합시 컨베이어벨트의 이동 경로를 만들어주는 가이드 기능 및 이탈 방지를 위한 지지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컨베이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 모듈은,
    상하면 중심부에 위치하여 길이방향으로 끝단 걸림턱 구조를 갖는 주름관홈이 형성 및 이에 주름관이 끼워져 컨베이트벨트와의 매칭 결합시 컨베이어벨트의 이동 경로를 만들어주는 가이드 기능 및 이탈 방지를 위한 지지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비되며,
    판형몸체의 앞면에 제1회전프레임과 수평연결핀 체결을 통해 연결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핀체결부가 구비되고, 뒷면에도 제2회전프레임과 수평연결핀 체결을 통해 연결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핀체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컨베이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동부는,
    장방형의 블록구조체로 이루어지되, 앞면 중심부에 수직연결핀 체결을 통해 상기 프레임부 측과의 연결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연결고리판이 구비되고, 뒷면에 양측단부에서 후방(後方)을 향해 돌출 및 장공을 형성한 연결플레이트가 구비되는 피동프레임;
    상기 피동프레임의 연결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횡(橫) 방향 배치되는 피동축;
    상기 피동축 상에 지지 결합되고, 컨베이어벨트 측과의 체결을 통해 컨베이어벨트의 회전 이동에 관여하는 스프로킷;
    상기 피동축의 양측면에 체결되어 컨베이어벨트의 텐션을 조정하기 위한 텐션조절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컨베이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호간에 연결 조립되는 구동부와 프레임부 및 피동부에는 각각 양측부에 위치시켜 관통되는 스프링삽입배치홀을 형성하여 일렬 배열하고, 상기 일렬 배열을 갖는 스프링삽입배치홀에 장스프링을 삽입하여 구동부로부터 피동부까지 도달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상기 프레임부 측 처짐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컨베이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호간에 연결 조립되는 구동부와 프레임부 및 피동부에는 각각 서로 마주하는 면의 양측부에 위치시켜 상호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부와 홈부를 형성하되, 돌부가 홈부에 입출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상호간에 가이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컨베이어.
KR1020210036711A 2021-03-22 2021-03-22 플렉시블 컨베이어 KR102288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711A KR102288674B1 (ko) 2021-03-22 2021-03-22 플렉시블 컨베이어
PCT/KR2021/012296 WO2022203136A1 (ko) 2021-03-22 2021-09-09 플렉시블 컨베이어 및 회전이 자유로운 컨베이어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711A KR102288674B1 (ko) 2021-03-22 2021-03-22 플렉시블 컨베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8674B1 true KR102288674B1 (ko) 2021-08-12

Family

ID=77314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6711A KR102288674B1 (ko) 2021-03-22 2021-03-22 플렉시블 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86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03136A1 (ko) * 2021-03-22 2022-09-29 주식회사 씨앤 플렉시블 컨베이어 및 회전이 자유로운 컨베이어벨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498Y1 (ko) 2003-02-06 2003-08-25 유영식 커브 벨트컨베이어
KR20090004624U (ko) 2007-11-12 2009-05-15 주식회사파멕스 곡선 컨베이어
KR101097613B1 (ko) * 2011-07-20 2011-12-26 현대콘베어주식회사 카펫형 컨베이어
KR101144411B1 (ko) 2003-07-17 2012-05-11 애슈워쓰 브라더스, 인코포레이티드 연결링크, 컨베이어벨트 및 이를 갖춘 이송시스템
KR101592237B1 (ko) * 2014-05-19 2016-02-05 주식회사 티에스피지 체인컨베이어
JP2019182650A (ja) * 2018-07-23 2019-10-24 株式会社オーイズミ チェーンコンベア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498Y1 (ko) 2003-02-06 2003-08-25 유영식 커브 벨트컨베이어
KR101144411B1 (ko) 2003-07-17 2012-05-11 애슈워쓰 브라더스, 인코포레이티드 연결링크, 컨베이어벨트 및 이를 갖춘 이송시스템
KR20090004624U (ko) 2007-11-12 2009-05-15 주식회사파멕스 곡선 컨베이어
KR101097613B1 (ko) * 2011-07-20 2011-12-26 현대콘베어주식회사 카펫형 컨베이어
KR101592237B1 (ko) * 2014-05-19 2016-02-05 주식회사 티에스피지 체인컨베이어
JP2019182650A (ja) * 2018-07-23 2019-10-24 株式会社オーイズミ チェーンコンベア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03136A1 (ko) * 2021-03-22 2022-09-29 주식회사 씨앤 플렉시블 컨베이어 및 회전이 자유로운 컨베이어벨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03629B2 (ja) 横軸ローラベルトおよびモジュール
CA2348426C (en) Knuckle drive link conveyor belt systems
EP2475600B1 (en) Conveyors, belts, and modules with actuated rollers
US7690501B2 (en) Modular conveyor mat
EP3116815B1 (en) Article diverting conveyor belt
KR20140035304A (ko) 다방향성 바퀴들을 구비한 컨베이어, 벨트, 및 모듈
KR102288674B1 (ko) 플렉시블 컨베이어
JP2003054723A (ja) スナップ結合式サイドガード
CA2549595A1 (en) Belt connection for agriculture conveyor
US6948613B2 (en) Module with high friction conveying surface
US6516944B2 (en) Module with alternating, offset cross-rib
US6811023B1 (en) Modular trough conveyor belt and modules
US6279729B1 (en) Article conveyance having mechanical drive
KR102285095B1 (ko) 회전이 자유로운 컨베이어벨트
US20070034486A1 (en) Low cost flight attachment for modular belts
JP4289539B2 (ja) カーブドコンベヤ
JP2003034414A5 (ko)
JP5986684B2 (ja) 湾曲した受け面を有するリンク部材
US7159709B2 (en) Conveyor belt
WO2004078617A2 (en) Roller top conveyor chain assembly
SK286561B6 (sk) Dopravné zariadenie
AU639139B2 (en) Straight running conveyor chain for use with fingered transfer plate
JPS6087111A (ja) 搬送装置
KR100620246B1 (ko) 콘버레터
WO2023091224A1 (en) Oblique-link modular conveyor bel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