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3589Y1 - 모우터 롤러식 적치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모우터 롤러식 적치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3589Y1
KR200263589Y1 KR2020010035832U KR20010035832U KR200263589Y1 KR 200263589 Y1 KR200263589 Y1 KR 200263589Y1 KR 2020010035832 U KR2020010035832 U KR 2020010035832U KR 20010035832 U KR20010035832 U KR 20010035832U KR 200263589 Y1 KR200263589 Y1 KR 2002635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motor roller
roller
frame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58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기계
Priority to KR20200100358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35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35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3589Y1/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Conveyors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우터 롤러식 적치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트레이(1)를 반송 및 적치할 수 있도록 된 컨베이어(2)는 직립된 다수의 레그(3) 상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의 프레임(4)이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4)과 프레임(4) 사이에 일정길이를 갖는 다수의 프리 롤러(5)와 이 프리 롤러(5)들에게 회전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모우터 롤러(6)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모우터 롤러(6)의 회전력을 다수의 프리 롤러(5)에 전달시킬 수 있도록 모우터 롤러(6)의 일측과 각 프리 롤러(5)의 일측에 동력전달용 환 벨트(7)가 설치되고, 상기 모우터 롤러(6)와 연결되는 일측 프레임(4)의 내측에 모우터 롤러(6)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컨트롤 보드(8)와 이 컨트롤 보드(8)에 신호를 입력하는 센서(9)가 각각 연결설치된 구조로서, 모우터 롤러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각각의 트레이를 개별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여러장치가 필요없게 되고, 이에 따라 장비전체의 설비가 단순화됨과 더불어 설치가 용이하게 되며, 간편한 조작으로 구간마다 다양한 속도를 구사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라인 구성이 가능하게 되고, 저비용으로 생산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모우터 롤러식 적치 컨베이어{The Accumulation Conveyor with Motor Roller}
본 고안은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우터 롤러를 이용하여 물류의 반송 및 적치 라인에서 구간 별 흐름을 다양한 속도로 제어함과 더불어 장비의 구조를 단순화시킴으로써 설치 및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모우터 롤러식 적치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화 생산 또는 조립라인 등에 설치되는 컨베이어는 이송시키고자 하는 제품의 형상 및 특성에 따라 벨트 컨베이어, 롤러 컨베이어, 트롤리 컨베이어 등 여러가지 종류가 있는 바, 이들 컨베이어는 제품을 연속 또는 간헐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의 컨베이어는 트레이 등과 같은 기타 물류를 반송할 수 있도록 된 라인에서 반송물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그 반송 및 적치를 반복하게 되고, 또한 대부분의 기존 컨베이어는 하나의 구동모우터를 이용하여 전 구간을 구동시키게 되며, 상기 구동모우터를 제어하거나 반송물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스톱퍼와 같은 기계적인 제어장치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의 종래 컨베이어는 상기 구동모우터의 작동에 의해 벨트를 움직임으로써 벨트 상부에 놓여진 반송물을 이송시키게 되고, 또한 상기 구동모우터에 의해 작동되는 벨트나 체인에 롤러를 연결시킴으로써 롤러를 움직여 롤러의 상부에 올려진 반송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컨베이어의 경우 하나의 구동모우터로 반송물이 이송되는 구간 전체를 이동시키기 때문에 구간별로 반송물의 이송을 제어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고, 또한 구간별로 반송물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많은 장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컨베이어가 복잡해질 뿐만아니라 그 유지 및 보수도 어렵다는 결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컨베이어를 이용한 이송 라인이 복잡해지면서 그 효율성 또한 떨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물류의 반송 및 적치 라인에서 구간 별 흐름을 다양한 속도로 제어함과 더불어 장비의 구조를 단순화시킴으로써 설치 및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모우터 롤러식 적치 컨베이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직립된 다수의 레그 상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의 프레임이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에 일정길이를 갖는 다수의 프리 롤러와 이 프리 롤러들에게 회전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모우터 롤러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모우터 롤러의 회전력을 다수의 프리 롤러에 전달시킬 수 있도록 모우터 롤러의 일측과 각 프리 롤러의 일측에 동력전달용 환 벨트가 설치되고, 상기 모우터 롤러와 연결되는 일측 프레임의 내측에 모우터 롤러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컨트롤 보드와 이 컨트롤 보드에 신호를 입력하는 센서가 각각 연결설치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상에 배치된 하나의 모우터 롤러와 이 모우터 롤러를 중심으로 서로 대응되는 갯수로 배치되는 다수의 프리 롤러가 하나의 구간을 이루게 되어, 상기 모우터 롤러와 다수의 프리 롤러가 이루는 구간별로 이송되는 트레이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모우터 롤러식 적치 컨베이어는 다수의 구간으로 나뉘어져 그 구간별로 트레이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바, 반송되는 트레이를상기 센서가 감지하여 컨트롤 보드에 신호를 입력시키고, 물류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모우터 롤러에 연결된 다수의 프리 롤러를 구동시켜 상기 트레이의 속도를 다양하게 변환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모우터 롤러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각각의 트레이를 개별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여러장치가 필요없게 되고, 이에 따라 장비전체의 설비가 단순화됨과 더불어 설치가 용이하게 되며, 간편한 조작으로 구간마다 다양한 속도를 구사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라인 구성이 가능하게 되고, 저비용으로 생산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모우터 롤러식 적치 컨베이어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는 도 3의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요부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트레이 2 : 컨베이어
3 : 레그 4 : 프레임
5 : 프리 롤러 6 : 모우터 롤러
7 : 환 벨트 8 : 컨트롤 보드
9 : 센서 10 : 측면 커버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모우터 롤러식 적치 컨베이어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요부확대도이다.
상기한 도면들에 의해 본 고안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수의 트레이(1)를 반송 및 적치할 수 있도록 된 컨베이어(2)가 구비되되, 상기 컨베이어(2)는 직립된 다수의 레그(3) 상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의 프레임(4)이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4)과 프레임(4) 사이에 일정길이를 갖는 다수의 프리 롤러(5)와 이 프리 롤러(5)들에게 회전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모우터 롤러(6)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모우터 롤러(6)의 회전력을 다수의 프리 롤러(5)에 전달시킬 수 있도록 모우터 롤러(6)의 일측과 각 프리 롤러(5)의 일측에동력전달용 환 벨트(7)가 설치되고, 상기 모우터 롤러(6)와 연결되는 일측 프레임(4)의 내측에 모우터 롤러(6)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컨트롤 보드(8)와 이 컨트롤 보드(8)에 신호를 입력하는 센서(9)가 각각 연결설치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컨베이어(2)의 가장 큰 특징은 상기 모우터 롤러(6)의 작동에 의해 트레이(1)를 이송할 수 있도록 된 것에 있는 바, 상기 모우터 롤러(6)와 다수의 프리 롤러(5)가 서로에 대해 환 벨트(7)를 통해 연결설치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모우터 롤러(6)가 회전됨으로써 그 회전력을 환 벨트(7)를 매개로 각 프리 롤러(5)에 전달시켜 롤러에 투입된 트레이(1)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2)의 또다른 특징은 상기 프레임(4) 상에 배치된 하나의 모우터 롤러(6)와 이 모우터 롤러(6)를 중심으로 서로 대응되는 갯수로 배치되는 다수의 프리 롤러(5)가 하나의 구간(a,b)을 이루게 되어, 상기 모우터 롤러(6)와 다수의 프리 롤러(5)가 이루는 구간(a,b)별로 이송되는 트레이(1)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다시말하자면, 상기 컨베이어(2)는 다수의 구간(a,b)으로 나뉘어져 그 구간(a,b)별로 트레이(1)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바, 반송되는 트레이(1)를 상기 센서(9)가 감지하여 컨트롤 보드(8)에 신호를 입력시키고, 물류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모우터 롤러(6)에 연결된 다수의 프리 롤러(5)를 구동시켜 상기 트레이(1)의 속도를 다양하게 변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모우터 롤러(6)를 중심으로 그 좌우에각각 세개의 프리 롤러(5)가 배치되어 하나의 구간(a,b)을 이루게 되고, 상기 모우터 롤러(6)와 다수의 프리 롤러(5)가 환 벨트(7)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이렇게 연결된 모우터 롤러(6)와 프리 롤러(5)가 하나의 구간(a,b)을 이루게 되어, 다수의 구간(a,b)이 상기 컨베이어(2)에 배치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모우터 롤러(6)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각 구간(a,b)의 트레이(1) 이송속도를 달리할 수 있고, 투입되는 트레이(1)의 반송 및 적치라인에서 구간(a,b)별로 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2)에 투입되는 트레이(1)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9)와 상기 모우터 롤러(6)의 회전을 제어하는 컨트롤 보드(8)가 상기 프레임(4) 내부에 설치되는 바, 이는 도 2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모우터 롤러(6)와 다수의 프리 롤러(5)가 이루는 하나의 구간(a,b)에 이 구간(a,b)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센서(9)와 컨트롤 보드(8)가 설치되되, 상기 프레임(4)의 내측에 일정 공간이 형성됨과 더불어 프레임(4) 외측면에 탈착가능한 측면 커버(10)가 설치되고, 상기 측면 커버(10)의 내측에 센서(9)와 구간(a,b)끼리 상호 통신하는 컨트롤 보드(8)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설치되며, 상기 구간(a,b)들은 또다른 통합 컨트롤러에 의해 통합 제어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컨베이어(2)에 투입되는 트레이(1)의 개별 제어가 가능해지고, 기존의 기계적인 스톱퍼나 해제장치 등이 필요없기 때문에 단순히 상기 컨트롤 보드(8)와 센서(9)에 의한 상호 통신만으로도 트레이(1)의 반송 및 적치가 가능해지며, 전체적인 설비가 단순화됨에 따라 컨베이어(2)를 이루기 위한 장비의 설치가용이해 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모우터 롤러식 적치 컨베이어에 의하면, 모우터 롤러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각각의 트레이를 개별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여러장치가 필요없게 되고, 이에 따라 장비전체의 설비가 단순화됨과 더불어 설치가 용이하게 되며, 간편한 조작으로 구간마다 다양한 속도를 구사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라인 구성이 가능하게 되고, 저비용으로 생산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직립된 다수의 레그(3) 상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의 프레임(4)이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4)과 프레임(4) 사이에 일정길이를 갖는 다수의 프리 롤러(5)와 이 프리 롤러(5)들에게 회전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모우터 롤러(6)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모우터 롤러(6)의 회전력을 다수의 프리 롤러(5)에 전달시킬 수 있도록 모우터 롤러(6)의 일측과 각 프리 롤러(5)의 일측에 동력전달용 환 벨트(7)가 설치되고, 상기 모우터 롤러(6)와 연결되는 일측 프레임(4)의 내측에 모우터 롤러(6)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컨트롤 보드(8)와 이 컨트롤 보드(8)에 신호를 입력하는 센서(9)가 각각 연결설치된 모우터 롤러식 적치 컨베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4) 상에 배치된 하나의 모우터 롤러(6)와 이 모우터 롤러(6)를 중심으로 서로 대응되는 갯수로 배치되는 다수의 프리 롤러(5)가 하나의 구간(a,b)을 이루게 되어, 상기 모우터 롤러(6)와 다수의 프리 롤러(5)가 이루는 구간(a,b)별로 이송되는 트레이(1)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우터 롤러식 적치 컨베이어.
KR2020010035832U 2001-11-21 2001-11-21 모우터 롤러식 적치 컨베이어 KR2002635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832U KR200263589Y1 (ko) 2001-11-21 2001-11-21 모우터 롤러식 적치 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832U KR200263589Y1 (ko) 2001-11-21 2001-11-21 모우터 롤러식 적치 컨베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3589Y1 true KR200263589Y1 (ko) 2002-02-06

Family

ID=73112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5832U KR200263589Y1 (ko) 2001-11-21 2001-11-21 모우터 롤러식 적치 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358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281A (ko) * 2017-08-17 2019-02-27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모듈형 컨베이어
KR20190019282A (ko) * 2017-08-17 2019-02-27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모듈형 컨베이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281A (ko) * 2017-08-17 2019-02-27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모듈형 컨베이어
KR20190019282A (ko) * 2017-08-17 2019-02-27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모듈형 컨베이어
KR101998580B1 (ko) * 2017-08-17 2019-07-10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모듈형 컨베이어
KR102013724B1 (ko) * 2017-08-17 2019-08-23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모듈형 컨베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476869B (en) Conveyer device
KR20180014679A (ko) 방향전환장치를 갖는 컨베이어
JPWO2003002436A1 (ja) ゾーンコントローラ
KR20170036303A (ko) 컨베이어의 방향전환장치
JP3185447U (ja) コンベヤ装置
CA2749287C (en) Dual power motorized roller
CN206395409U (zh) 一种输送模块及差速变向拼装式输送带
US6793065B2 (en) Transport mechanism for piece goods
KR101968096B1 (ko) 방향전환기능을 갖는 컨베이어 장치
KR200263589Y1 (ko) 모우터 롤러식 적치 컨베이어
JP5735753B2 (ja) 物品搬送装置
EP0719883B1 (en) Device for conveying, to a final station, loose textile articles fed selectively by at least two feed stations
ATE283221T1 (de) Vorrichtung zum umsetzen von transportgütern von einer fördereinrichtung auf mindestens eine andere fördereinrichtung
JP2009039743A (ja) パネル排出装置
AU2001246958A1 (en) Apparatuses for the conveying, lifting and sorting of articles
KR101778189B1 (ko) 클러치 타입 컨베이어 시스템
IT1318125B1 (it) Apparecchiatura di alimentazione di gruppi di prodotti ad untrasportatore per il loro imballaggio.
KR20010075883A (ko) 이송대차
KR20220094913A (ko) 컨베이어용 이송방향 교차변환장치
KR100916599B1 (ko) 스파이럴 컨베이어
KR20010110566A (ko) 상이한 이송속도를 가지는 컨베이어 구조
CN209922284U (zh) 滚轮式移载机
TWI748598B (zh) 立體式輸送裝置
US835590A (en) Transporting system.
EP4071093A1 (en) Dock station arrangement and method for transferring goods between a conveyor device and a transport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