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444B1 - 차량의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444B1
KR101998444B1 KR1020147017185A KR20147017185A KR101998444B1 KR 101998444 B1 KR101998444 B1 KR 101998444B1 KR 1020147017185 A KR1020147017185 A KR 1020147017185A KR 20147017185 A KR20147017185 A KR 20147017185A KR 101998444 B1 KR101998444 B1 KR 101998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hut
main pressure
spring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7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4815A (ko
Inventor
토비아스 괴만
마이클 하베르캄프
안드레아스 루트쉬
Original Assignee
바브코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브코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바브코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114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4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5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 B60G17/015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pneumatic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3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pneumatic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6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fluid
    • B60G21/073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fluid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1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not permanently interconnected, e.g. operative only on acceleration, only on deceleration or only at off-straight position of steering
    • B60G21/106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not permanently interconnected, e.g. operative only on acceleration, only on deceleration or only at off-straight position of steering transvers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14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38Low or lowerable b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2Height or leveling valve for air-springs
    • B60G2500/2021Arrangement of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30Height or ground clearance
    • B60G2500/32Height or ground clearance of only one vehicle part or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01Attitude or posture control
    • B60G2800/019Inclination due to load distribution or road grad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01Attitude or posture control
    • B60G2800/019Inclination due to load distribution or road gradient
    • B60G2800/0194Inclination due to load distribution or road gradient transversal with regard to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20Stationary vehicle
    • B60G2800/202Stationary vehicle kneeling, e.g. for letting passengers on/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90System Controller type
    • B60G2800/91Suspension Control
    • B60G2800/912Attitude Control; levelling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90System Controller type
    • B60G2800/91Suspension Control
    • B60G2800/915Suspension load distrib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스프링 벨로우즈(3, 4)를 갖는 차량의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2개의 스프링 벨로우즈는 차축의 양 차량 측부상에 배치된 공기 스프링에 배치되며 연결 라인(7, 8)을 통하여 메인 압력 라인(9)에 연결될 수 있고 또한 메인 압력 라인에 대하여 차단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연결 라인은 레벨 조정 밸브(5, 6)를 구비한다. 메인 압력 라인(9)은 대안적으로 메인 압력 밸브(10)를 통하여 압축 공기원(12)에 그리고 압축 공기 싱크(11)에 연결될 수 있고, 적어도 2개의 스프링 벨로우즈(3, 4)의 연결 라인(7, 8)은 연결 라인(13)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여기서, 연결 라인(13)은 스로틀(14)을 구비하며 차단 밸브(15, 21)에 의하여 차단될 수 있다. 문제의 밸브 장치의 기능적인 신뢰성을 간략화하고 증가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단 밸브(21)는 기계적으로 작동 가능한 설계로 이루어지고 레벨 조정 밸브(6)가 닫힐 때 차단 밸브(21)는 열리고 레벨 조정 밸브(6)가 열릴 때 차단 밸브가 닫히는 방식으로 차량의 차단 밸브는 도로 중앙쪽(offside)에 배치된 스프링 벨로우즈(4)의 레벨 조정 밸브(6)에 결합된다.

Description

차량의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Air suspension system of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차축의 양 차량 측부에 배치된 공기 스프링과 관련되고 각 연결 라인을 통하여 메인 압력 라인에 연결될 수 있고 또한 메인 압력 라인으로부터 차단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스프링 벨로우즈를 포함하는 차량의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서 각 연결 라인은 레벨 조정 밸브를 구비하고 메인 압력 라인은 대안적으로 메인 압력 밸브를 통하여 압축 공기원과 압축 공기 싱크에 연결될 수 있으며, 스로틀(throttle)을 구비하고 차단 밸브에 의하여 차단될 수 있는 연결 라인을 통하여 적어도 2개의 스프링 벨로우즈의 연결 라인은 서로 연결된다.
일반적인 스틸 서스펜션 시스템과 비교하여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은 현저한 이점을 갖고 있으며 따라서 트럭과 버스와 같은 상용 차량 그리고 고급 승용차와 SUV같은 주로 중형 승용차에 갈수록 더 사용되고 있다. 각 경우에서 실질적인 하중 상태가 에어 스프링의 스프링 벨로우즈 내의 벨로우즈 압력의 적응에 의하여 보상될 수 있기 때문에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은 하중과 관계없이 승차 높이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동일하게, 에어 스프링의 혁신적인 스프링 특성 때문에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은 도로 표면과의 휠의 안전한 접촉 그리고 휠의 충돌(bump) 운동과 튀어오름(rebound) 운동에 대한 편안한 응답을 제공한다.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의 다른 이점은 문제가 되는 차량의 최저 지상고가 필요에 따라서 변할 수 있고 즉, 예를 들어 비포장 도로 사용을 위하여 증가할 수 있고 고속도로 상에서의 고속 주행을 위하여 줄어들 수 있다는 것이다. 상용 차량의 경우, 적재 및 하역시 차량 상부 구조가 낮아질 수 있거나 적절한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는 부가적인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공압적 스프링 트럭 또는 트레일러의 차량 프레임은 샤시는 교체 가능한 플랫포옴을 내리기 위하여 낮아질 수 있고 또한 교체 가능한 플랫포옴을 수용하기 위하여 올려질 수 있다. 동일하게 적재 및 하역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뒤 차축 벨로우즈 압력을 낮추거나 증가시킴으로써 트럭의 적재 바닥(loading floor)이 적재 램프의 높이로 조절될 수 있다. 공압 스프링 버스의 경우, 길가 쪽 스프링 벨로우즈로부터 압축 공기를 배기함으로써 길가 쪽 차량 상부 구조는 낮아질 수 있어 승객의 승차 및 하차가 용이해지며, 그후 스프링 벨로우즈를 다시 채움으로써 길가쪽 차량 상부 구조는 다시 올려질 수 있다.
만일 하나의 차축에서 동일하게 차량 상부 구조가 들어 올려지고 낮아진다면, 단일 레벨 조정 밸브가 관련된 스프링 벨로우즈를 채우고 배기하기에 충분하다. 이 경우, 압축 공기의 약간의 교환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압력 차이를 자동적으로 예를 들어 한 쪽에서의 누설 손실을 통하여 많은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에서는 비작동 상태에서, 즉 레벨 조정 밸브가 닫힌 상태에서 적어도 2개의 에어 스프링 벨로우즈 사이에서의 스로틀 연결이 제공된다.
대응하는 밸브 장치가 예를 들어 DE 195 44 622 C1에 따른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으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 특허문헌의 도 5에 따른 공지된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의 실시예에서, 차축의 양 차량 측부 상에 배치된 에어 스프링과 관련된 2개의 에어 스프링 벨로우즈는 단일의 레벨 조정 밸브 및 2개의 결합된 연결 라인을 통하여 채워질 수 있고 배기될 수 있다. 3/2-웨이 스위칭 밸브는 배기 방향으로 레벨 조정 밸브의 하류에 연결된다. 여기서, 2개의 연결 라인은 3/2-웨이 스위칭 밸브에 의하여 제 1 스위칭 위치(비활동 위치)에서 레벨 조정 밸브에 연결되며, 또한 제 2 위치(작동 위치)에서 레벨 조정 밸브에 대하여 차단되고 스로틀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관련된 파일럿 밸브의 대응하는 작동에 의하여, 주행 중에 3/2-웨이 스위칭 밸브는 작동 위치에서 유지되며, 따라서 2개의 스프링 벨로우즈 사이에서 제한된 압축 공기 또는 압력 보상이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이 공지된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으로 차량 상부 구조의 치우쳐진 들어올림 및 낮아짐은 가능하지 않다.
그에 반하여, DE 10 2005 032 219 B4는 차축의 양 차량 측부 상에 배치된 에어 스프링과 관련된 2개의 스프링 벨로우즈 각각이 관련된 연결 라인에 배치된 레벨 조정 밸브를 통하여 충진되고 배기될 수 있는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의 다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관련된 2개의 스프링 벨로우즈의 연결 라인은, 스로틀을 구비하고 차단 밸브에 의하여 차단될 수 있는 연결 라인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며, 따라서 필요하다면 2개의 스프링 벨로우즈 사이에서의 제한된 압축 공기 및 압력 보상이 중단될 수 있다. 이 경우에서, 2개의 레벨 조정 밸브가 공통 파일럿 밸브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기 때문에, 이 공지된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으로 차량 상부 구조의 치우쳐진 들어올림 및 낮아짐은 가능하지 않다. 그러나, 이러한 단점은 3개의 레벨 조정 밸브의 개별적인 작동에 의한 간단한 방식으로 극복될 수 있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변화는 한 측부 상의 차량 상부 구조를 낮추고 그리고 들어올리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이는 예를 들어 버스의 경우 승객의 승차 및 하차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트럭 내의 불균일한 하중 분포의 경우에 스프링 벨로우즈의 불균일한 채움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는 차량 상부 구조의 비스듬한 자세도 보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 스프링 벨로우즈 사이의 압력 보상이 불리하고 그리고 원치않기 때문에 이 목적을 위해서는 차단 밸브에 의하여 스프링 벨로우즈 간의 연결 라인을 차단하는 것이 필요하다. 솔레노이드 스위칭 밸브 형태의 파일럿 밸브에 의하여 작동 가능한 솔레노이드 스위칭 밸브로서의 또는 압력 제어 스위칭 밸브로서의 차단 밸브의 일반적인 구조는 특정 가격 요인을 나타내며 증가된 오작동의 위험과 관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명세서의 도입부에서 언급된 형태의, 보다 간단하고 비용 효율이 더 높은 방식으로 필요할 때 스프링 벨로우즈 사이의 연결의 차단이 수행되는 차량의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항의 전제부의 특징과 관련하여 이 문제의 제 1 해결책은 레벨 조정 밸브가 닫힐 때 차단 밸브가 열리고 레벨 조정 밸브가 열릴 때 차단 밸브가 닫히는 방식으로 차단 밸브는 기계적으로 작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차량의 길가 쪽에 배치된 스프링 벨로우즈의 레벨 조정 밸브에 결합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 자체가 알려진 차량의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에서 출발하며, 이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은 차축의 양 측부 상에 배치된 에어 스프링들과 관련되고 또한 (레벨 조정 밸브를 갖는) 각 연결 라인을 통하여 메인 압력 라인에 연결될 수 있고 메인 압력 라인으로부터 차단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스프링 벨로우즈를 포함한다. 차량이 탠덤 차축(tandem axle) 또는 짧은 간격을 두고 장착된 2개의 차축을 갖고 있다면, 4개의 스프링 벨로우즈가 유사하게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 벨로우즈는 쌍으로 차량의 양 측부에 배치되며 또한 레벨 조정 밸브를 각각 구비한 연결 라인을 통하여 메인 압력 라인에 연결될 수 있고 그리고 메인 압력 라인에 대하여 차단될 수 있다. 메인 압력 라인은 대안적으로 메인 압력 밸브를 통하여 압축 공기원 그리고 압축 공기 싱크에 연결 가능하다. 스로틀을 구비하고 차단 밸브에 의하여 차단될 수 있는 연결 라인을 통하여 적어도 2개의 스프링 벨로우즈의 연결 라인은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형태의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에서, 차량 상부 구조의 치우친 들어올려짐 그리고 낮아짐 동안에 간단한 그리고 저비용 방식으로 차단 밸브에 의하여 적어도 2개의 스프링 벨로우즈 사이의 스로틀 연결을 차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레벨 조정 밸브가 닫힐 때 차단 밸브가 열리고 레벨 조정 밸브가 열릴 때 차단 밸브가 닫히는 방식으로 차단 밸브는 기계적으로 작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차량의 길가 쪽에 배치된 스프링 벨로우즈의 레벨 조정 밸브에 결합된다.
따라서 차량의 길가쪽에 배치된 스프링 벨로우즈의 치우친 채움 또는 배기를 위하여, 즉 차량 상부 구조의 치우친 들어올림 또는 낮아짐을 위하여 레벨 조정 밸브가 열릴 때 관련된 레벨 조정 밸브에 의하여 차단 밸브는 자동적으로 닫힌다. 레벨 조정 밸브가 닫히면 (이는 외부 채움 및 배기 과정이며 특히 차량이 주행하는 동안임), 차단 밸브는 열리고 따라서 2개의 스프링 벨로우즈 간의 작은 압력 보상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측방향으로 불균일한 하중 분포를 보상하기 위하여 스프링 벨로우즈의 불균일한 채움 동안의 차단 밸브의 자동적인 닫힘은 이러한 밸브 장치로 가능하지 않다.
설치의 비용과 복잡함을 줄이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레벨 조정 밸브와 함께 연결 라인, 스로틀 그리고 차단 밸브를 공통 밸브 블록 내에 배치된다. 차단 밸브 그리고 관련된 레벨 조정 밸브가 공통 밸브 보어 내에서 대체로 동축적으로 배치된다면, 이 밸브 장치와 함께 이중 밸브 블록이면 충분하다. 그러나, 자명하게는 스위칭 밸브 그리고 언급된 요소는 또한 공통 밸브 블록 내에서 메인 압력 밸브 그리고 다른 레벨 조정 밸브와 결합될 수 있다. 다른 레벨 조정 밸브의 스프링 벨로우즈는 다른 차축의 에어 스프링 벨로우즈와 관련이 있다.
2개의 레벨 조정 밸브가 밸브 블록의 하우징 내에서 반경 방향으로 인접한 밸브 보어 내에 배치된 시트 밸브 형태이고 또한 각 레벨 조정 밸브가 스프링 디스크를 통하여 압축 스프링에 의하여 밸브 시트에 가압되는 밸브 플레이트를 갖는 이러한 밸브 블록의 바람직한 실제적인 실시예에서, 연결 라인과 스로틀은 밸브 블록의 연결 커버 내에 배치된 2개의 레벨 조정 밸브의 연결 보어를 서로 연결하는 스로틀 보어로 구성되며; 차단 밸브는 차량의 길가쪽 상에 배치된 스프링 벨로우즈의 레벨 조정 밸브의 내부에 배치되고 그리고 관련된 연결 보어 내에 끼워지고 연결 보어를 갖는 밸브 인서트를 갖는 시트 밸브 형태이되, 연결 보어는 환형 그루브를 통하여 스로틀 보어에 연결되며 또한 밸브 시트 내에서 밀봉 블록과 함께 축 방향으로 종료되고, 밀봉 블록은 밸브 시트와 마주하지 않는 한 부분에서 관련된 스프링 디스크와 접촉하며 밸브 시트를 향하는 부분에서는 밀봉 요소를 구비하고 압축 스프링에 의하여 스프링 디스크에 대하여 가압된다.
따라서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부가적인 공간을 요구함이 없이 연결 라인 스로틀 밸브와 차단 밸브는 밸브 블록 내에서 일체화된다. 관련된 레벨 조정 밸브가 열리자마자 관련된 밸브 플레이트가 관련된 제어 피스톤에 의하여 압축 스프링의 복원력에 대항하여 관련된 연결 보어의 방향으로 옮겨질 때, 동시에 차단 밸브의 실링 블록은 스프링 디스크에 의하여 관련된 압축 스프링의 복원력에 대항하여 관련된 밸브 시트 상으로 가압되며 따라서 연결 보어는 닫힌다. 따라서 스로틀 보어를 통한 2개의 레벨 조정 밸브의 연결 보어들 간의 스로틀 연결은 계획대로 차단된다.
메인 압력 라인이 압축 공기원에 연결될 때 차단 밸브가 열리고 메인 압력 라인이 압축 공기 싱크에 연결될 때 차단 밸브가 닫히는 방식으로 차단 밸브는 기계적으로 작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메인 압력 밸브에 결합된다는 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문제의 제 2 해결책은 청구항 4항의 전제부와 조합하여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의 제 1 변형과 같이 이 해결책의 제 2 변형은 그 자체가 알려진 차량의 동일한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에 기초한다. 이러한 형태의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에서, 차량 상부 구조의 치우친 들어올림과 낮아짐 동안에 그리고 스프링 벨로우즈의 불균일한 압력 채워짐의 경우에 간단하고 저비용 방식으로 차단 밸브를 통하여 적어도 2개의 스프링 벨로우즈 간의 연결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 압력 라인이 압축 공기원에 연결될 때 차단 밸브가 열리고 메인 압력 라인이 압축 공기 싱크에 연결될 때 차단 밸브가 닫히는 방식으로 차단 밸브는 기계적으로 작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메인 압력 밸브에 결합된다.
따라서 메인 압력 라인이 메인 압력 밸브를 통하여 압축 공기 싱크에 연결될 때, 즉 감압될 때 차단 밸브는 메인 압력 밸브를 통하여 자동적으로 닫힌다. 따라서 예를 들어 차량의 길가 쪽에 배치된 스프링 벨로우즈의 치우친 배기 동안에 그리고 양 벨로우즈의 합동 배기 동안에 차단 밸브는 닫힌다. 예를 들어 차량의 길가 쪽에 배치된 스프링 벨로우즈의 치우친 채움 경우에, 관련된 차량의 측부 상의 차량 상부 구조의 들어올려짐 동안에 차단 밸브는 열리며 또한 차단 밸브는 메인 압력 라인을 어큐뮬레이터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형성된 압축 공기원에 연결시킨다. 그러나 이 경우에 차량 상부 구조가 들어올려진 후 스프링 벨로우즈들 사이의 가능한 압력 보상은 스로틀에 의하여 제한되며 또한 메인 압력 밸브를 전환시킴으로써 급속하게 종료될 수 있다.
메인 압력 밸브가 메인 압력 라인이 감압되는 비활동 위치에 있을 때(이는 외부 채움 및 배기 과정이며 특히 차량이 주행하는 동안임), 차단 밸브는 닫히며 따라서 2개의 스프링 벨로우즈 간의 압력 보상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2개의 벨로우즈 간의 제한된 압력 보상이 필요하다면, 메인 압력 밸브의 전환 그리고 차단 밸브의 관련된 열림에 의하여 이 압력 보상은 간단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조립 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적어도 메인 압력 밸브와 함께 연결 라인, 스로틀 그리고 차단 밸브는 공통 밸브 블록 내에 배치되어야만 한다. 여기서 공통 밸브 블록은 공통 밸브 보어 내에서의 대체로 2개의 스위칭 밸브의 동축적인 배치와 함께 단지 단일 밸브 블록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관련된 차축의 2개의 레벨 조정 밸브와 함께 스위칭 밸브, 언급된 요소들 그리고 스프링 벨로우즈가 다른 차축의 에어 스프링과 관련된 다른 레벨 조정 밸브는 또한 결합되어 공통 밸브 블록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더욱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다수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갖는 도면이 본 명세서에 첨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의 제 1 실시예의 밸브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의 밸브 블록의 바람직한 구조를 단면도 형태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의 제 2 실시예의 밸브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차량의 공지된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의 밸브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
차량의 공지된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1c)의 밸브 장치(2c; 도 4에서 개략적인 형태로 나타남)는 제 1 스프링 벨로우즈(3)와 제 2 스프링 벨로우즈(4)를 포함한다. 이 벨로우즈 스프링들은 차축의 양 차량 측부에 배치된 에어 스프링과 관련되며 연결 라인(7, 8) 각각을 통하여 메인 압력 라인(9)에 연결될 수 있고 또한 메인 압력 라인으로부터 차단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라인 각각은 레벨 조정 밸브(4, 6)를 구비한다. 레벨 조정 밸브(4, 6)는 제 1 스위칭 위치(비활동 위치)에서 닫히고 제 2 스위칭 위치(작동 위치)에서 열리는 2/2-웨이 솔레노이드 스위칭 밸브 형태이다. 또한, 3/2-웨이 솔레노이드 스위칭 밸브 형태의 메인 압력 밸브(10)가 존재한다. 메인 압력 라인(9)은 메인 압력 밸브(10)를 통하여 제 1 스위칭 위치(비활동 위치)에서는 압축 공기 싱크(11), 예를 들어 대기 공기에 연결되고, 제 2 스위칭 위치(작동 위치)에서는 압축 공기원(12), 예를 들어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에 연결된다.
2개의 스프링 벨로우즈(3, 4)의 연결 라인(7, 8)은 연결 라인(13)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여기서 연결 라인(13)은 스로틀(14)을 구비하며, 또한 차단 밸브(15)에 의하여 차단될 수 있다. 차단 밸브(15)는 제 1 스위칭 위치(비활동 위치)에서 열리고 제 2 스위칭 위치(작동 위치)에서 닫히는 2/2-웨이 솔레노이드 스위칭 밸브 형태이다. 솔레노이드 스위칭 밸브(5, 6, 10, 15)의 솔레노이드 각각은 각 전기 제어 라인(16, 17, 18, 19)을 통하여 전기 제어 유니트(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다. 본 경우에서, 예를 들어 스로틀(14)을 갖는 연결 라인(14)과 솔레노이드 스위칭 밸브(5, 6, 10, 15)는 결합되어 4중 밸브 블록(20)이 된다.
메인 압력 밸브(10)가 작동 위치에 있고 메인 압력 라인(9)이 결과적으로 압축 공기원(12)에 연결될 때, 관련된 레벨 조정 밸브(5, 6)가 열림으로써 2개의 스프링 벨로우즈(3, 4)는 서로와는 관계없이 채워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메인 압력 밸브(10)가 비활동 위치에 있고 메인 압력 라인(9)이 결과적으로 압축 공기 싱크(11)에 연결, 즉 감압될 때, 관련된 레벨 조정 밸브(5, 6)가 열림으로써 2개의 스프링 벨로우즈(3, 4)는 서로와는 관계없이 배기될 수 있다. 스로틀(14)을 구비한 연결 라인(13)을 통한 2개의 스프링 벨로우즈(3, 4) 간의 스로틀 연결은 필요에 따라 차단 밸브(15)의 작동에 의하여 차단, 즉 가로막힐 수 있다. 솔레노이드 차단 밸브로서의 차단 밸브(15)의 구성은 특정 비용 요인을 나타내며 증가된 오작동의 위험과 관계된다. 또한, 닫힌 상태에서 차단 밸브는 불리하게는 전기 에너지에 의하여 작동 위치에서 유지되어야만 한다.
그에 반하여, 도 1에서 개략적인 형태로 나타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1a)의 제 1 실시예의 밸브 장치(2a)는 기계적으로 작동 가능한 차단 밸브(21)를 갖는다. 차단 밸브(21)가 레벨 제어 밸브(6)가 닫힐 때는 열리고 레벨 제어 밸브(5, 6)가 열릴 때는 닫히는 방식으로 이 차단 밸브는 2개의 레벨 조정 밸브(5, 6) 중 하나의 레벨 제어 밸브(6)에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이 경우에서, 문제의 레벨 조정 밸브(6)는 차량의 길가쪽에 배치된 스프링 벨로우즈(4), 즉 우측으로 주행하도록 제공된 차량의 경우에서는 우측 스프링 벨로우즈(4)와 와 관계된 레벨 조정 밸브이다. 좌측으로 주행하도록 제공된 차량의 경우에는 차단 밸브(21)는 관심있는 차축의 좌측 스프링 벨로우즈(3)와 관계가 있는 레벨 조정 밸브(5)에 상대적으로 결합될 것이다.
따라서 차량의 길가쪽에 배치된 스프링 벨로우즈(4)의 치우친 충진 또는 배기를 위하여, 즉 차량 상부 구조의 치우친 들어올림 또는 낮춤을 위하여 레벨 조정 밸브(6)가 열릴 때 차단 밸브(21)는 관련된 레벨 조정 밸브(6)를 통하여 자동적으로 닫혀진다. 그러나, 바깥쪽 충진 및 배기 과정의 경우에 관련된 레벨 조정 밸브(6)가 닫힌다면 그리고 특히 차량 주행 동안에, 차단 밸브(21)는 열려지고 따라서 2개의 스프링 벨로우즈(3, 4) 간의 압력 및 공기의 작은 교환이 가능하다.
그러나 측방향으로 동일하지 않은 부하 분포를 보상하기 위하여 스프링 벨로우즈(3, 4)의 동일하지 않은 충진(채움)의 경우에, 이 밸브 장치(2a)를 이용한 차단 밸브(21)의 자동적인 닫힘은 가능하지 않다. 차단 밸브(21) 그리고 관련된 레벨 조정 밸브(6)가 공통 밸브 보어 내측에 대체적으로 동축적으로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스로틀(14)을 구비한 연결 라인(13)과 함께 4개의 스위칭 밸브(5, 6, 10, 21)를 결합하는데 3중 밸브 블록(22)이면 충분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1a)의 이러한 밸브 블록(22')의 바람직한 구조가 특히 도 2에 단면도 형태로 나타난다. 도 1의 개략적인 표현과 대조적으로, 2개의 레벨 조정 밸브(5', 6')는 밸브 블록(22')의 하우징(25)의 반경 방향으로 인접한 밸브 보어(23, 24) 내에 배치된 시트 밸브 형태이다. 여기서 각 레벨 조정 밸브는 헬리컬 스프링 형태의 압축 스프링(26, 27)에 의하여 스프링 디스크(28, 29)를 통하여 밸브 시트(30, 31)로 가압되는 밸브 플레이트(32, 33)를 갖는다. 2개의 레벨 조정 밸브(5', 6')를 열기 위하여, 관련된 압축 스프링(26, 27)의 복원력에 대항하여 각 밸브 플레이트(32, 33)는 관련된 제어 피스톤(34, 35)에 의하여 하향 가압된다. 여기서, 제어 피스톤은 결과적으로 도 2의 상세 구조에서는 나타나지 않은 파일롯 밸브를 통하여 압축 공기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본 경우에서, 도 1의 연결 라인(13)과 스로틀(14)은 흐름과 관련하여 밸브 블록(22')의 연결 커버(37) 내에 배치된 2개의 레벨 조정 밸브(5', 6')의 연결 보어(38, 39)를 서로 연결하는 스로틀 보어(36)로서 구성된다.
본 경우에서, 차단 밸브(21')는 또한 시트 밸브 형태이며, 차량의 길가 쪽에 배치된 스프링 벨로우즈(4)의 제 2 레벨 조정 밸브(6') 내에 배치된다. 차단 밸브(21')는 관련된 연결 보어(39) 내에 끼워진 밸브 인서트(40)를 포함하며, 또한 이 밸브 인서트는 연결 보어(43)를 갖는다. 여기서, 연결 보어는 환형 그루브(41)를 통하여 스로틀 보어(36)에 연결되며 또한 밸브 시트(42) 내에서 밀봉 블록(44)과 함께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밸브 시트(42)와 마주하지 않는 한 부분에서 밀봉 블록(44)은 제 2 레벨 조정 밸브(6')의 관련된 스프링 디스크(29)와 접촉하며, 밸브 시트(42)를 향하는 부분에서는 밀봉 요소(45)를 구비한다. 또한, 밀봉 블록(44)은 헬리컬 스프링 형태의 제 3 압축 스프링(46)에 의하여 스프링 디스크(29)에 대하여 가압되며, 여기서 제 3 압축 스프링(46)은 그 다른 종단이 밸브 인서트(40)에 지지된다.
따라서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로틀 보어(36)에 의하여 형성된 연결 라인(13; 도 1 참조), 스로틀(14; 도 1 참조) 그리고 차단 밸브(21')는 부가적인 공간을 요구함이 없이 밸브 블록(22') 내에서 일체화된다. 제 2 레벨 조정 밸브(6')를 여는 중에, 압축 스프링(27)의 복원력에 대항하여 관련된 밸브 플레이트(33)가 관련된 제어 피스톤(35)에 의하여 관련된 연결 보어(39)의 방향으로 옮겨질 때, 동시에 제 3 압축 스프링(46)의 복원력에 대항하여 차단 밸브(21')의 밀봉 블록(44)이 스프링 디스크(29)에 의하여 관련된 밸브 시트(42) 상으로 가압되며, 따라서 연결 보어(43)가 닫혀진다. 따라서 스로틀 보어(36)를 통한 2개의 레벨 조정 밸브(5', 6')의 연결 보어(38, 39) 사이의 스로틀 연결은 계획한 대로 차단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지의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1c)의 밸브 장치(2c)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1b)의 제 2 실시예의, 도 3에 개략적인 형태로 나타나 있는 밸브 장치(2b)는 기계적으로 작동 가능한 차단 밸브(47)를 가지며, 메인 압력 라인(9)이 압축 공기원(12)에 연결될 때 차단 밸브(47)는 열리고 메인 압력 라인(9)이 압축 공기 싱크(11)에 연결될 때 차단 밸브는 닫히고 방식으로 이 차단 밸브는 메인 압력 밸브(10)에 결합된다. 대응적으로, 연결 라인(13')은 이제 메인 압력 밸브(10)와 함께 공통 밸브 보어 내에 대체적으로 동축적으로 배치된 차단 밸브(47)를 통하여 지나간다. 제 1 레벨 조정 밸브(5), 제 2 레벨 조정 밸브(6), 메인 압력 밸브(10), 차단 밸브(47) 그리고 스로틀(14)을 구비한 연결 라인(13')은 결합되어 3중 밸브 블록(47)이 된다.
따라서 이 밸브 장치(2b)에서, 메인 압력 밸브(10)의 작동시, 즉 메인 압력 라인(9)이 메인 압축 밸브(10)를 통하여 압축 공기 싱크(11)에 연결될 때, 즉 감압될 때, 차단 밸브(47)는 자동적으로 닫힌다. 따라서 예를 들어 차량의 길가쪽에 배치된 스프링 벨로우즈(4)의 치우친 배기 동안과 양 스프링 벨로우즈(3, 4)의 합동 배기 동안에 차단 밸브(47)는 닫힌다. 예를 들어 차량의 길가쪽에 배치된 스프링 벨로우즈(4)의 치우친 배기 동안에, 차량 상부 구조의 들어 올려짐 동안에 차량의 관련된 측부 상에서 차단 밸브(47)는 열리고 또한 차단 밸브는 메인 압력 라인(9)을, 일반적으로 어큐뮬레이터에 의하여 형성된 압축 공기원(12)에 연결시킨다. 그러나 이 경우에, 차량 상부 구조가 들어올려진 후에 스프링 벨로우즈(3, 4) 간의 가능한 압력 보상은 스로틀(14)에 의하여 제한되며 또한 메인 압력 밸브(10)의 전환에 의하여 급속하게 종료된다.
메인 압력 밸브(10)가 메인 압력 라인(9)이 감압되는 비활동 위치에 있을 때(이는 외부 채움 및 배기 과정이며 특히 차량이 주행하는 동안임), 차단 밸브(47)는 닫히며 따라서 2개의 스프링 벨로우즈(3, 4) 간의 압력 보상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2개의 벨로우즈(3, 4) 간의 제한된 압력 보상이 필요하다면, 메인 압력 밸브(10)의 전환 그리고 차단 밸브(47)의 관련된 열림에 의하여 이 압력 보상은 간단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작동이 일어남에 따라 메인 압력 라인(9)이 가압될지라도, 제 1 및 제 2 레벨 조정 밸브(5, 6)는 작동하지 않는다(즉, 닫힌다). 그러나, 차단 밸브(47)의 이 작동 위치(차단 밸브(47)는 열리고 메인 압력 라인(9)은 가압된다)에서, 관련된 스프링 벨로우즈 또는 양 스프링 벨로우즈(3, 4)를 채우기 위하여 제 1 또는 제 2 레벨 조정 밸브(5 또는 6) 또는 양 레벨 조정 밸브(5 및 6)가 열린다는 점에서 차량 주행 중에 압력 보상은 또한 가능하다.
실제적인 실시예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계적인 수단에 의하여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인 압력 밸브(10)와 차단 밸브(47)의 결합은 도 2의 도면의 우측부에 나타난 레벨 조정 밸브(6')와 동일하게 또는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그에 대한 언급은 관련된 설명으로 이루어진다.
1a~1c :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
2a~2c : 밸브 장치
3 : 제 1 또는 좌측 스프링 벨로우즈
4 : 제 2 또는 우측 스프링 벨로우즈
5, 5': 제 1 레벨 조정 밸브
6, 6': 제 2 레벨 조정 밸브
7 : 제 1 연결 라인
8 : 제 2 연결 라인
9 : 메인 압력 라인
10 : 메인 압력 밸브
11 : 압축 공기 싱크
12 : 압축 공기원(compressed air source)
13, 13': 연결 라인
14 : 스로틀
15 : 차단 밸브 (shut-off valve)
16 : 전기적 제어 라인
17 : 전기적 제어 라인
18 : 전기적 제어 라인
19 : 전기적 제어 라인
20 : 4중 밸브 블록
21, 21': 차단 밸브
22, 22': 3중 밸브 블록(triple valve block)
23 : 제 1 밸브 보어
24 : 제 2 밸브 보어
25 : 하우징
26 : 제 1 압축 스프링, 헬리컬 스프링
27 : 제 2 압축 스프링, 헬리컬 스프링
28 : 제 1 밸브 디스크
29 : 제 2 밸브 디스크
30 : 제 1 밸브 시트
31 : 제 2 밸브 시트
32 : 제 1 밸브 플레이트
33 : 제 2 밸브 플레이트
34 : 제 1 제어 피스톤
35 : 제 2 제어 피스톤
36 : 스로틀 보어
37 : 연결 커버
38 : 제 1 연결 보어
39 : 제 2 연결 보어
40 : 밸브 인서트
41 : 환형 그루브
42 : 밸브 시트
43 : 연결 보어
44 : 실링 블록
45 : 실링 요소
46 : 제 3 압축 스프링, 헬리컬 스프링
47 : 차단 밸브
48 : 3중 밸브

Claims (5)

  1. 차축의 양 차량 측부에 배치된 공기 스프링과 관련되고 각 연결 라인(7, 8)을 통하여 메인 압력 라인(9)에 연결될 수 있고 또한 메인 압력 라인으로부터 차단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스프링 벨로우즈(3, 4)를 포함하되, 각 연결 라인은 레벨 조정 밸브(5, 6)를 구비하고 메인 압력 라인(9)은 메인 압력 밸브(10)를 통하여 압축 공기원(12)과 압축 공기 싱크(11)에 대안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스로틀(14)을 구비하고 차단 밸브에 의하여 차단될 수 있는 연결 라인(13)을 통하여 적어도 2개의 스프링 벨로우즈(3, 4)의 연결 라인(7, 8)은 서로 연결되고, 레벨 조정 밸브(6)가 닫힐 때 차단 밸브(21)가 열려 스프링 벨로우즈(3, 4) 간의 압력 및 공기의 교환이 가능하고, 레벨 조정 밸브(6)가 열릴 때 차단 밸브가 닫히는 방식으로 차단 밸브(21)는 기계적으로 작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차량의 길가 쪽에 배치된 스프링 벨로우즈(4)의 레벨 조정 밸브(6)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레벨 조정 밸브(5, 6)와 함께 연결 라인(13), 스로틀(14) 그리고 차단 밸브(21)는 공통 밸브 블록(22) 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2개의 레벨 조정 밸브(5, 6)는 밸브 블록(22')의 하우징(25)의 반경 방향으로 인접한 밸브 보어(23, 24) 내에 배치된 시트 밸브 형태이며, 각 레벨 조정 밸브는 압축 스프링(26, 27)에 의하여 스프링 디스크(28, 29)를 통해 밸브 시트(30, 31)에 가압되고; 연결 라인(13)과 스로틀(14)은 밸브 블록(22')의 연결 커버(37) 내에서 2개의 레벨 조정 밸브(5', 6')의 연결 보어(38, 39)를 서로 연결하는 스로틀 보어(36)로 구성되며; 차단 밸브(21')는 차량의 길가 쪽에 배치된 스프링 벨로우즈(4)의 레벨 조정 밸브(6')의 내부에 배치된 시트 밸브 형태이고; 차단 밸브(21')는 관련된 연결 보어(39) 내에 끼워지고 연결 보어(43)를 갖는 밸브 인서트(40)를 포함하되, 연결 보어(43)는 환형 그루브(41)를 통하여 스로틀 보어(36)에 연결되며 또한 밸브 시트(42) 내에서 밀봉 블록(44)과 함께 축 방향으로 종료되며, 밀봉 블록은 밸브 시트(42)와 마주하지 않는 한 부분에서 관련된 스프링 디스크(29)와 접촉하며 밸브 시트(42)를 향하는 부분에서는 밀봉 요소(45)를 구비하고 제 3 압축 스프링(46)에 의하여 스프링 디스크(29)에 대하여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
  4. 차축의 양 차량 측부에 배치된 공기 스프링과 관련되고 각 연결 라인(7, 8)을 통하여 메인 압력 라인(9)에 연결될 수 있으며 또한 메인 압력 라인으로부터 차단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스프링 벨로우즈(3, 4)를 포함하되, 각 연결 라인은 레벨 조정 밸브(5, 6)를 구비하고 메인 압력 라인(9)은 메인 압력 밸브(10)를 통하여 압축 공기원(12)과 압축 공기 싱크(11)에 대안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스로틀(14)을 구비하고 차단 밸브(15, 47)에 의하여 차단될 수 있는 연결 라인(13, 13')을 통하여 적어도 2개의 스프링 벨로우즈(3, 4)의 연결 라인(7, 8)은 서로 연결되고, 메인 압력 라인(9)이 압축 공기원(12)에 연결될 때 차단 밸브(47)가 열려 스프링 벨로우즈(3, 4) 간의 압력 및 공기의 교환이 가능하고 메인 압력 라인(9)이 압축 공기 싱크(11)에 연결될 때 차단 밸브가 닫히는 방식으로 차단 밸브(47)는 기계적으로 작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메인 압력 밸브(10)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적어도 메인 압력 밸브(10)와 함께 연결 라인(13'), 스로틀(14) 그리고 차단 밸브(47)는 공통 밸브 블록(48) 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
KR1020147017185A 2011-12-21 2012-12-06 차량의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 KR1019984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121753.7 2011-12-21
DE102011121753A DE102011121753A1 (de) 2011-12-21 2011-12-21 Luftfederungsanlage eines Kraftfahrzeugs
PCT/EP2012/005046 WO2013091787A1 (de) 2011-12-21 2012-12-06 Luftfederungsanlage eines kraftfahrzeug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4815A KR20140114815A (ko) 2014-09-29
KR101998444B1 true KR101998444B1 (ko) 2019-07-09

Family

ID=47351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7185A KR101998444B1 (ko) 2011-12-21 2012-12-06 차량의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358855B2 (ko)
EP (1) EP2794310B1 (ko)
JP (1) JP6320299B2 (ko)
KR (1) KR101998444B1 (ko)
CN (1) CN104010847B (ko)
BR (1) BR112014010874B1 (ko)
DE (1) DE102011121753A1 (ko)
RU (1) RU2612042C2 (ko)
WO (1) WO20130917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21755A1 (de) * 2011-12-21 2013-06-27 Wabco Gmbh Luftfederungsanlage eines Kraftfahrzeugs und Verfahren zu deren Steuerung
CN103419590B (zh) * 2013-07-31 2015-08-05 江苏大学 空气悬架车身高度调节系统的质量流量自适应稳定装置
CN103863044B (zh) * 2014-03-18 2016-02-24 安徽安凯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机械式空气悬挂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187454B1 (ko) * 2015-12-08 2020-12-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더블 레벨링 밸브를 구조를 갖는 에어서스펜션 시스템
US10220665B2 (en) 2017-06-16 2019-03-05 BASE Air Management, Inc. Symmetrically dynamic equalized volume and pressure air management system
BR112019026584A2 (pt) 2017-06-16 2020-06-23 Base Air Management Limited Sistema de gerenciamento de ar de pressão e volume equalizados simetricamente dinâmico
TWI775965B (zh) 2017-10-17 2022-09-01 澳洲商巴斯空氣管理有限公司 對稱動態均衡體積及壓力之空氣管理系統
DE102018213998B4 (de) * 2018-08-20 2020-12-10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rfahren zur Ansteuerung eines Elektromagnetventils und Druckluftanlage mit einem Elektromagnetventil
BR112021005693B1 (pt) * 2018-09-25 2024-02-06 Hendrickson Usa, L.L.C. Regulador para estabelecer pressão de fluido de saída, sistema de inflação de pneu baseado em carga para um veículo pesado e método para estabelecer pressão em pelo menos um pneu usado em um veículo pesad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6719A (ja) * 2000-11-30 2002-06-11 Tokico Ltd エアサスペンション装置
US20020171219A1 (en) * 2001-05-17 2002-11-21 Sorum Robert D. Anti-roll suspension valve body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37788A (en) * 1957-11-12 1962-06-05 Ford Motor Co Motor vehicle air suspension system
US2967065A (en) * 1957-12-09 1961-01-03 Ford Motor Co Vehicle air suspension system control valve means
DE1190813B (de) * 1958-09-26 1965-04-08 Daimler Benz Ag Pneumatische Kurvenneigung-Ausgleichsvorrichtung fuer Kraftfahrzeuge mit Lufttragfedern
US3342503A (en) * 1964-06-05 1967-09-19 Magneti Marelli Spa Device for rendering independent vehicle pneumatic suspensions controlled by levellers
DE1605083C3 (de) * 1967-12-15 1976-01-08 Knorr-Bremse Gmbh, 8000 Muenchen Luftfederung für Fahrzeuge, insbesondere Schienenfahrzeuge
JPS5330568A (en) * 1976-08-30 1978-03-22 Aichi Sharyo Kk Synchronizing circuit for wire taking up and feeding of constanttension and speed winch delivering device for product
US4238128A (en) * 1978-09-07 1980-12-09 Grumman Flexible Corporation Combination load-leveling and kneeling air suspension system
JPS60112937A (ja) * 1983-11-22 1985-06-19 Kubota Ltd フロントロ−ダの油圧制御装置
JPS60139513A (ja) * 1983-12-27 1985-07-24 Hino Motors Ltd エアサスペンシヨン車のニ−リング装置
JPH0772561B2 (ja) * 1984-04-12 1995-08-02 三輪精機 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群の制御装置
JPS60237277A (ja) * 1984-05-09 1985-11-26 Mitsuwa Seiki Co Ltd 切換弁
DE3446810C1 (de) * 1984-12-21 1986-06-12 Graubremse Gmbh, 6900 Heidelberg Niveauregelventil mit Hoehenbegrenzung
JPS62139716U (ko) * 1986-02-27 1987-09-03
JPH072253Y2 (ja) * 1986-04-15 1995-01-25 株式会社ショーワ 車高調整装置における切換弁構造
US4834418A (en) * 1987-04-20 1989-05-30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Electronic controlled gas suspension system
US4958850A (en) * 1988-03-03 1990-09-25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Hydraulic circuit system for a vehicle height control device
SU1548088A1 (ru) * 1988-06-06 1990-03-07 Львовский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им.Ленинского комсомола Регул тор положени кузов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2528086Y2 (ja) * 1989-09-06 1997-03-05 日本発条株式会社 懸架機構用の流体制御装置
IE64569B1 (en) * 1989-11-07 1995-08-23 Ror Rockwell Ltd Height control of air suspended vehicles
DE4013673A1 (de) * 1990-04-27 1991-10-31 Man Nutzfahrzeuge Ag Omnibus, insbesondere niederflurbus
DE4115593A1 (de) * 1991-05-14 1992-11-19 Bosch Gmbh Robert Niveauregeleinrichtung fuer fahrzeuge
JPH0567506U (ja) * 1992-02-24 1993-09-07 日野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エアサスペンション車の車高調整装置
DE19515255A1 (de) * 1995-04-26 1996-10-31 Wabco Gmbh Niveauregeleinrichtung
DE19544622C1 (de) 1995-11-30 1996-09-05 Grau Gmbh Steueranlage für ein luftgefedertes Fahrzeug mit Niveauregelung
DE19546727A1 (de) 1995-12-14 1997-06-19 Wabco Gmbh Niveauregeleinrichtung
BR9907925A (pt) * 1998-01-27 2001-12-26 Atlas Copco Wagner Inc Sistema de suspensão hidráulica resistente àlaminação, kit e método para veìculo de manejo decarga
US6089551A (en) * 1998-02-10 2000-07-18 Crowe Manufacturing Services, Inc. Height control valve with integral dump device
SE520544C2 (sv) * 2000-05-25 2003-07-22 Volvo Lastvagnar Ab Ventilarrangemang för reglering av luftfjädring, ventilenhet samt fordon försett med dessa
DE10223405B4 (de) 2002-05-25 2007-01-11 Daimlerchrysler Ag Luftfeder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JP2006273095A (ja) * 2005-03-29 2006-10-12 Isuzu Motors Ltd レベリングバルブ
DE102005032219B4 (de) * 2005-07-09 2008-08-14 Haldex Brake Products Gmbh Steuervorrichtung für eine Luftfederungsanlage eines Kraftfahrzeuges
EP1993860B1 (en) * 2006-02-13 2012-10-24 Driveright Holdings, Ltd. Vehicle suspension system and method
JP4793577B2 (ja) * 2006-11-10 2011-10-1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高調整装置
DE102007008159B4 (de) * 2007-02-19 2010-09-02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Luftfederungseinrichtung mit elektrisch betätigtem Sperrventil
CN201304879Y (zh) * 2008-12-11 2009-09-09 东风汽车有限公司 气控式浮动桥控制装置
CN201694021U (zh) * 2010-06-18 2011-01-05 东风汽车有限公司 浮动桥空载自动举升控制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6719A (ja) * 2000-11-30 2002-06-11 Tokico Ltd エアサスペンション装置
US20020171219A1 (en) * 2001-05-17 2002-11-21 Sorum Robert D. Anti-roll suspension valve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10847B (zh) 2017-03-29
RU2014129832A (ru) 2016-02-10
RU2612042C2 (ru) 2017-03-02
BR112014010874A2 (pt) 2017-06-13
JP6320299B2 (ja) 2018-05-09
US9358855B2 (en) 2016-06-07
EP2794310A1 (de) 2014-10-29
EP2794310B1 (de) 2015-09-16
BR112014010874B1 (pt) 2021-03-30
US20140319788A1 (en) 2014-10-30
WO2013091787A1 (de) 2013-06-27
BR112014010874A8 (pt) 2017-06-20
JP2015504806A (ja) 2015-02-16
DE102011121753A1 (de) 2013-06-27
KR20140114815A (ko) 2014-09-29
CN104010847A (zh) 2014-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8444B1 (ko) 차량의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
KR102001698B1 (ko) 차량의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8434773B2 (en) Lift axle control valve
KR102069908B1 (ko) 차량의 공압 서스펜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8047551B2 (en) Multi-stage height control valve including position sensitive pilot signal and pressure boost for vehicle air springs
US7841608B2 (en) Pneumatic proportioning system for vehicle air springs
US20140034202A1 (en) Device for Adapting the Tire Pressure During Travel
US4212484A (en) Hydropneumatic suspension system
US10017023B2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level of an air-suspended motor vehicle
CN110573355A (zh) 用于重型车辆的基于负荷的轮胎充气系统
CN108698465B (zh) 机械操纵式水平高度调节阀装置
US20100072720A1 (en) Device and method for carrying out wheelbase adjustment for utility vehicles
CN108883759B (zh) 气动式或者电气动式机动车制动装置的中继阀装置
US20200361270A1 (en) Lift axle device
US20030132594A1 (en) Valve arrangement for controlling an air suspension, a valve unit, and a vehicle provided with such devices
AU2009327136B2 (en) Control system for pneumatic suspensions of a vehicle provided with at least a driving axle and at least an additional axle with symmetrical load on each axle
Pendyala et al. Modeling and Simulation of Lift Axle Control System at Vehicle Level Using AMESim
EP4375172A1 (en) An air supply control arrangement for a heavy duty vehicle comprising a lift axle
CN116265270A (zh) 用于控制挂车的能抬升的从动桥的阀组件和方法
JPH0553651B2 (ko)
KR100456536B1 (ko) 푸셔액슬 압력에 따른 제동압력 제어방법 및 구조
KR200209487Y1 (ko) 트럭의 피동륜 승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