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7454B1 - 더블 레벨링 밸브를 구조를 갖는 에어서스펜션 시스템 - Google Patents

더블 레벨링 밸브를 구조를 갖는 에어서스펜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7454B1
KR102187454B1 KR1020150174177A KR20150174177A KR102187454B1 KR 102187454 B1 KR102187454 B1 KR 102187454B1 KR 1020150174177 A KR1020150174177 A KR 1020150174177A KR 20150174177 A KR20150174177 A KR 20150174177A KR 102187454 B1 KR102187454 B1 KR 102187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alve
magnetic valve
leveling
leveling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4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7470A (ko
Inventor
이서안
김상엽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4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454B1/ko
Publication of KR20170067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7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6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hydropneumatic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3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pneumatic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1Air spring system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2Height or leveling valve for air-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22Magnet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90System Controller type
    • B60G2800/91Suspension Control
    • B60G2800/914Height Control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블 레벨링 밸브를 구조를 갖는 에어서스펜션 시스템은, 설정된 압력의 에어가 충진된 에어탱크, 상기 에어탱크로부터 에어를 공급받는 마그네틱밸브엠, 상기 마그네틱밸브엠의 오프측과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에어를 공급받는 레벨링밸브노멀, 상기 마그네틱밸브엠의 온측과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에어를 공급받는 레벨링밸브닐링, 일측은 마그네틱밸브에이를 통해서 상기 레벨링밸브노멀과 연결되고, 타측은 마그네틱밸브비를 통해서 상기 레벨링밸브닐링과 연결되는 에어스프링, 및 상기 마그네틱밸브엠, 상기 레벨링밸브노멀, 및 상기 레벨링밸브닐링을 제어하여 상기 에어스프링의 높이를 설정된 정상높이 또는 설정된 낮은 높이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더블 레벨링 밸브를 구조를 갖는 에어서스펜션 시스템{AIR SUSPENSION SYSTEM HAVING DOUBLE LEVELLING VALVE STRUCTURE}
본 발명은 차량의 공압 서스펜션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더블 레벨링 밸브를 구조를 갖는 에어서스펜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와 같은 대형차량에는 일종의 현가장치로써 차고의 높낮이에 따라 레벨링밸브를 선택적으로 동작시켜 에어스프링내의 공기를 방출하거나 에어스프링으로 압축공기를 유입시켜 차고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공기현가장치가 설치된다.
특히 고속버스와 같이 영업을 목적으로 하는 차량의 경우에는 상품성과 탑승 편의성을 향상시킨다는 취지에서 노약자나 어린이 또는 휠체어와 유모차 이용자들이 편하게 승하차할 수 있도록 차량의 상면고를 높이거나 낮춰 차체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닐링장치가 별도로 장착되어 있다.
즉, 닐링장치는 주행시에는 차체높이를 상승시켜 상면고를 높인 상태에서 은행을 하고, 승객 승하차시에는 차체의 높이를 하강시켜 상면고를 낮춰줌으로써 도로면에 근접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에어컴프레셔(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된 에어탱크와, 에어스프링, 이 에어스프링의 에어량을 조절하는 레벨링밸브가 에어탱크와 에어스프링의 연결관로에 각각 설치되어, 차량주행에 따라 엔진이 구동되면 에어컴프레셔에 의해 공기압이 생산되어 에어탱크에 충진되고, 상기 레벨링밸브를 동작시켜 충진된 에어를 에어스프링으로 선택적으로 공급하거나 배기시킨다.
도 3은 일반적인 에어서스펜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이 시스템은 제어부(300), 에어탱크(105), 솔레노이드밸브(305), 레벨센서(310), 제1에어스프링(140a), 및 제2에어스프링(140b)을 포함한다.
상기 레벨센서(310)는 프레임과 액슬의 거리 차를 이용하여 차고의 높이를 감지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05)는 상기 제어부(30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2에어스프링(140a)으로 공급되는 에어를 제어하고, 상기 에어탱크(105)는 압축공기를 저장하고, 상기 제1,2에어스프링(140a, 140b)은 차체의 높이를 제어하고 노면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레벨센서(310)를 통해서 솔레노이드밸브(305)를 제어하는 구조로써, 압축공기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의 비용이 비싼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마그네틱밸브와 레벨링밸브의 배치구조 및 제어 특성을 개선하여 원가를 줄이고, 새로운 구성을 통해서 차고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더블 레벨링 밸브를 구조를 갖는 에어서스펜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블 레벨링 밸브를 구조를 갖는 에어서스펜션 시스템은, 설정된 압력의 에어가 충진된 에어탱크, 상기 에어탱크로부터 에어를 공급받는 마그네틱밸브엠, 상기 마그네틱밸브엠의 오프측과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에어를 공급받는 레벨링밸브노멀, 상기 마그네틱밸브엠의 온측과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에어를 공급받는 레벨링밸브닐링, 일측은 마그네틱밸브에이를 통해서 상기 레벨링밸브노멀과 연결되고, 타측은 마그네틱밸브비를 통해서 상기 레벨링밸브닐링과 연결되는 에어스프링, 및 상기 마그네틱밸브엠, 상기 레벨링밸브노멀, 및 상기 레벨링밸브닐링을 제어하여 상기 에어스프링의 높이를 설정된 정상높이 또는 설정된 낮은 높이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스프링을 이용하여 차고를 설정된 정상높이로 제어하는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그네틱밸브엠은 오프방향으로 에어를 공급하되, 상기 레벨링밸브노멀은 상기 마그네틱밸브비는 차단하고, 상기 마그네틱밸브에이를 통해서 상기 에어스프링으로 에어를 공급하고, 상기 레벨링밸브노멀을 통해서 상기 에어스프링의 높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에어스프링을 이용하여 차고를 설정된 낮은 높이를 제어하는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그네틱밸브에이는 차단하고, 상기 마그네틱밸브엠은 온방향으로 에어를 공급하여 상기 레벨링밸브닐링은 상기 에어스프링의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여 차고의 높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에어스프링은 차량의 앞쪽 일측에 배치되는 제1프론트에어스프링, 및 상기 차량의 앞쪽 일측에 배치되는 제2프론트에어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밸브에이는 상기 제1프론트에어스프링과 대응하는 제1마그네틱밸브에이, 및 상기 제2프론트에어스프링과 대응하는 제2마그네틱밸브에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벨링밸브노멀은 상기 제1마그네틱밸브에이와 상기 제2마그네틱밸브에이로 에어를 공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밸브비는 상기 제1프론트에어스프링과 대응하는 제1마그네틱밸브비, 및 상기 제2프론트에어스프링과 대응하는 제2마그네틱밸브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벨링밸브닐링은 상기 제1마그네틱밸브비와 상기 제2마그네틱밸브비를 통해서 상기 제1프론트에어스프링 및 상기 제2프론트에어스프링의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에어스프링은 차량의 뒤쪽 우측에 배치되는 제1리어에어스프링, 및 상기 차량의 뒤쪽 좌측에 배치되는 제2리어에어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밸브엠은 상기 제1리어에어스프링과 대응하는 제1마그네틱밸브엠, 및 상기 제2리어에어스프링과 대응하는 제2마그네틱밸브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벨링밸브노멀은, 상기 제1마그네틱밸브엠의 오프측과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에어를 공급받는 제1레벨링밸브노멀, 및 상기 제2마그네틱밸브엠의 오프측과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에어를 공급받는 제2레벨링밸브노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벨링밸브닐링은, 상기 제1마그네틱밸브엠의 온측과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에어를 공급받는 제1레벨링밸브닐링, 및 상기 제2마그네틱밸브엠의 온측과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에어를 공급받는 제2레벨링밸브닐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리어에어스프링의 일측은 제1마그네틱밸브에이를 통해서 상기 제1레벨링밸브노멀과 연결되고, 타측은 제1마그네틱밸브비를 통해서 상기 제1레벨링밸브닐링과 연결되고, 제2리어에어스프링의 일측은 제2마그네틱밸브에이를 통해서 상기 제2레벨링밸브노멀과 연결되고, 타측은 제2마그네틱밸브비를 통해서 상기 제2레벨링밸브닐링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라서, 마그네틱밸브와 레벨링밸브의 배치구조 및 제어 특성을 개선하여 원가를 줄이고, 새로운 구성을 통해서 차고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블 레벨링 밸브를 구조를 갖는 에어서스펜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블 레벨링 밸브를 구조를 갖는 에어서스펜션 시스템의 전체적인 에어의 흐름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일반적인 에어서스펜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블 레벨링 밸브를 구조를 갖는 에어서스펜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에어서스펜션 시스템은 에어탱크(105), 마그네틱밸브엠(110), 레벨링밸브노멀(115), 제1마그네틱밸브에이(125a), 제2마그네틱밸브에이(125b), 레벨링밸브닐링(120), 제1마그네틱밸브비(130a), 제2마그네틱밸브비(130b), 제1프론트에어스피링(140a), 및 제2프론트에어스피링(140b)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에어서스펜션의 노멀상태(normal condition)는 차고를 설정된 정상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의미하고, 닐링상태(kneeling condition)는 차고를 설정된 낮은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마그네틱밸브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전환하거나, 공기의 이동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레벨링밸브는 차고의 높이에 따라서 밸브를 열고 닫아서 압축공기를 공급, 차단, 또는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마그네틱밸브와 레벨링밸브의 구조는 공지기술을 참조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구조 및 기능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0)는 수신되는 요구신호에 따라서 노멀상태와 닐링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마그네틱밸브엠(110), 상기 마그네틱밸브노멀(), 상기 제1마그네틱밸브에이(125a), 상기 제2마그네틱밸브에이(125b), 상기 레벨링밸브닐링(120), 상기 제1마그네틱밸브비(130a), 및 상기 제2마그네틱밸브비(130b)를 제어하여, 상기 에어탱크(105)의 에어를 상기 제1프론트에어스피링(140a)과 상기 제2프론트에어스피링(140b)으로 에어를 공급하거나 배출하여 차고를 설정된 높이로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블 레벨링 밸브를 구조를 갖는 에어서스펜션 시스템의 전체적인 에어의 흐름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에어컴프레서(101)에서 압축된 공기는 상기 에어탱크(105)로 설정된 압력으로 충진된다.
먼저 차량의 프론트(front)영역에 대해서 먼저 설명하면, 상기 에어탱크(105)의 에어는 상기 마그네틱밸브엠(110)으로 전달되고, 상기 마그네틱밸브엠(110)은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서 레벨링밸브노멀(115)과 레벨링밸브닐링(120) 중 하나로 에어를 분배한다.
차고를 노멀상태로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마그네틱밸브엠(110)은 오프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레벨링밸브노멀(115)로 에어를 공급한다. 그리고, 차고를 닐링상태로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마그네틱밸브엠(110)은 온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레벨링밸브닐링(120)으로 에어를 공급한다.
상기 레벨링밸브노멀(115)로 공급된 에어는 상기 제1마그네틱밸브에이(125a)와 상기 제2마그네틱밸브에이(125b)로 분배되고, 상기 제1마그네틱밸브에이(125a)로 공급된 에어는 상기 제1프론트에어스피링(140a)으로 공급되고, 상기 제2마그네틱밸브에이(125b)로 공급된 에어는 상기 제2프론트에어스피링(140b)으로 공급되어, 차고의 높이를 설정된 노멀상태로 제어한다.
아울러, 상기 레벨링밸브닐링(120)은 상기 제1마그네틱밸브비(130a)와 상기 제2마그네틱밸브비(130b)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마그네틱밸브비(130a)와 상기 제2마그네틱밸브비(130b)는 상기 제1프론트에어스피링(140a)과 상기 제2프론트에어스피링(140b)의 배출측에 각각 연결된다.
차고를 노멀상태로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마그네틱밸브엠(110)은 상기 레벨링밸브노멀(115)로 에어를 공급하고, 상기 제1마그네틱밸브비(130a)와 상기 제2마그네틱밸브비(130b)는 닫히고, 상기 제1마그네틱밸브에이(125a)와 상기 제2마그네틱밸브에이(125b)는 열리며, 상기 레벨링밸브노멀(115)에 의해서 상기 제1프론트에어스피링(140a)과 상기 제2프론트에어스피링(140b)으로 공급되는 에어가 제어된다.
차고를 닐링상태로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마그네틱밸브엠(110)은 상기 레벨링밸브닐링(120)으로 에어를 공급하고, 상기 제1마그네틱밸브비(130a)와 상기 제2마그네틱밸브비(130b)는 열리고, 상기 제1마그네틱밸브에이(125a)와 상기 제2마그네틱밸브에이(125b)는 닫히며, 상기 레벨링밸브닐링(120)에 의해서 상기 제1프론트에어스피링(140a)과 상기 제2프론트에어스피링(140b)에서 에어를 외부로 토출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레벨링밸브닐링(120)은 미리 설정된 에어만 토출시킴으로써, 에어의 낭비를 막을 수 있고, 상기 레벨링밸브노멀(115)은 에어스프링 측으로 설정된 양의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차고를 노멀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다음 차량의 리어(rear)영역에 대해서 설명하면, 상기 에어탱크(105)의 에어는 제1마그네틱밸브엠(110a)과 제2마그네틱밸브엠(110b)으로 전달되고, 상기 제1마그네틱밸브엠(110a)은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서 제1레벨링밸브노멀(115a)과 제1레벨링밸브닐링(120a) 중 하나로 에어를 분배한다.
상기 제1레벨링밸브노멀(115a)은 제1마그네틱밸브에이(125a)를 통해서 상기 제1리어에어스피링(142a)으로 에어를 공급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1레벨링밸브닐링(120a)은 제1마그네틱밸브비(130a)를 통해서 상기 제1리어에어스피링(142a)에 충진된 에어를 외부로 토출하도록 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제1레벨링밸브노멀(115a)이 상기 제1리어에어스피링(142a)으로 에어를 공급하는 동안에는 상기 제1마그네틱밸브에이(125a)가 열리고, 상기 제1마그네틱밸브비(130a)는 닫힌다.
상기 제2마그네틱밸브엠(110b)은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서 제2레벨링밸브노멀(115b)과 제2레벨링밸브닐링(120b) 중 하나로 에어를 분배하고, 상기 제2레벨링밸브노멀(115b)은 제2마그네틱밸브에이(125b)를 통해서 상기 제2리어에어스피링(142b)으로 에어를 공급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2레벨링밸브닐링(120b)은 제2마그네틱밸브비(130b)를 통해서 상기 제2리어에어스피링(142b)에 충진된 에어를 외부로 토출하도록 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제2레벨링밸브노멀(115b)이 상기 제2리어에어스피링(142b)으로 에어를 공급하는 동안에는 상기 제2마그네틱밸브에이(125b)가 열리고, 상기 제2마그네틱밸브비(130b)는 닫힌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마그네틱밸브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전환하거나, 공기의 이동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레벨링밸브는 차고의 높이에 따라서 밸브를 열고 닫아서 압축공기를 공급, 차단, 또는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마그네틱밸브와 레벨링밸브의 구조는 공지기술을 참조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구조 및 기능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0: 제어부 101: 컴프레서
105: 에어탱크 110a: 제1마그네틱밸브엠
110b: 제2마그네틱밸브엠 110: 마그네틱밸브엠
115a: 제1레벨링밸브노멀 115b: 제2레벨링밸브노멀
115: 레벨링밸브노멀 120a: 제1레벨링밸브닐링
120b: 제2레벨링밸브닐링 120: 레벨링밸브닐링
130a: 제1마그네틱밸브비 130b: 제2마그네틱밸브비
125a: 제1마그네틱밸브에이 125b: 제2마그네틱밸브에이
140a: 제1프론트에어스프링 140b: 제2프론트에어스프링
142a: 제1리어에어스프링 142b: 제2리어에어스프링

Claims (13)

  1. 설정된 압력의 에어가 충진된 에어탱크;
    상기 에어탱크로부터 에어를 공급받는 마그네틱밸브엠;
    상기 마그네틱밸브엠의 오프측 토출측과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에어를 공급받는 레벨링밸브노멀;
    상기 마그네틱밸브엠의 온측 토출측과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에어를 공급받는 레벨링밸브닐링;
    일측은 마그네틱밸브에이를 통해서 상기 레벨링밸브노멀과 연결되고, 타측은 마그네틱밸브비를 통해서 상기 레벨링밸브닐링과 연결되는 에어스프링; 및
    상기 마그네틱밸브엠, 상기 레벨링밸브노멀, 및 상기 레벨링밸브닐링을 제어하여 상기 에어스프링의 높이를 설정된 정상높이 또는 설정된 낮은 높이로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레벨링 밸브를 구조를 갖는 에어서스펜션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에어스프링을 이용하여 차고를 설정된 정상높이로 제어하는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그네틱밸브엠은 오프방향으로 에어를 공급하되, 상기 레벨링밸브노멀은 상기 마그네틱밸브비는 차단하고, 상기 마그네틱밸브에이를 통해서 상기 에어스프링으로 에어를 공급하고, 상기 레벨링밸브노멀을 통해서 상기 에어스프링의 높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레벨링 밸브를 구조를 갖는 에어서스펜션 시스템.
  3. 제1항에서,
    상기 에어스프링을 이용하여 차고를 설정된 낮은 높이를 제어하는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그네틱밸브에이는 차단하고, 상기 마그네틱밸브엠은 온방향으로 에어를 공급하여 상기 레벨링밸브닐링은 상기 에어스프링의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여 차고의 높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레벨링 밸브를 구조를 갖는 에어서스펜션 시스템.
  4. 제1항에서,
    상기 에어스프링은
    차량의 앞쪽 일측에 배치되는 제1프론트에어스프링; 및
    상기 차량의 앞쪽 일측에 배치되는 제2프론트에어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레벨링 밸브를 구조를 갖는 에어서스펜션 시스템.
  5. 제4항에서,
    상기 마그네틱밸브에이는
    상기 제1프론트에어스프링과 대응하는 제1마그네틱밸브에이; 및
    상기 제2프론트에어스프링과 대응하는 제2마그네틱밸브에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레벨링 밸브를 구조를 갖는 에어서스펜션 시스템.
  6. 제5항에서,
    상기 레벨링밸브노멀은 상기 제1마그네틱밸브에이와 상기 제2마그네틱밸브에이로 에어를 공급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레벨링 밸브를 구조를 갖는 에어서스펜션 시스템.
  7. 제4항에서,
    상기 마그네틱밸브비는
    상기 제1프론트에어스프링과 대응하는 제1마그네틱밸브비; 및
    상기 제2프론트에어스프링과 대응하는 제2마그네틱밸브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레벨링 밸브를 구조를 갖는 에어서스펜션 시스템.
  8. 제7항에서,
    상기 레벨링밸브닐링은
    상기 제1마그네틱밸브비와 상기 제2마그네틱밸브비를 통해서 상기 제1프론트에어스프링 및 상기 제2프론트에어스프링의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레벨링 밸브를 구조를 갖는 에어서스펜션 시스템.
  9. 제1항에서,
    상기 에어스프링은
    차량의 뒤쪽 우측에 배치되는 제1리어에어스프링; 및
    상기 차량의 뒤쪽 좌측에 배치되는 제2리어에어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레벨링 밸브를 구조를 갖는 에어서스펜션 시스템.
  10. 제9항에서,
    상기 마그네틱밸브엠은
    상기 제1리어에어스프링과 대응하는 제1마그네틱밸브엠; 및
    상기 제2리어에어스프링과 대응하는 제2마그네틱밸브엠;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레벨링 밸브를 구조를 갖는 에어서스펜션 시스템.
  11. 제10항에서,
    상기 레벨링밸브노멀은,
    상기 제1마그네틱밸브엠의 오프측과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에어를 공급받는 제1레벨링밸브노멀; 및
    상기 제2마그네틱밸브엠의 오프측과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에어를 공급받는 제2레벨링밸브노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레벨링 밸브를 구조를 갖는 에어서스펜션 시스템.
  12. 제11항에서,
    상기 레벨링밸브닐링은,
    상기 제1마그네틱밸브엠의 온측과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에어를 공급받는 제1레벨링밸브닐링; 및
    상기 제2마그네틱밸브엠의 온측과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에어를 공급받는 제2레벨링밸브닐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레벨링 밸브를 구조를 갖는 에어서스펜션 시스템.
  13. 제12항에서,
    상기 제1리어에어스프링의 일측은 제1마그네틱밸브에이를 통해서 상기 제1레벨링밸브노멀과 연결되고, 타측은 제1마그네틱밸브비를 통해서 상기 제1레벨링밸브닐링과 연결되고,
    제2리어에어스프링의 일측은 제2마그네틱밸브에이를 통해서 상기 제2레벨링밸브노멀과 연결되고, 타측은 제2마그네틱밸브비를 통해서 상기 제2레벨링밸브닐링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레벨링 밸브를 구조를 갖는 에어서스펜션 시스템.
KR1020150174177A 2015-12-08 2015-12-08 더블 레벨링 밸브를 구조를 갖는 에어서스펜션 시스템 KR102187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177A KR102187454B1 (ko) 2015-12-08 2015-12-08 더블 레벨링 밸브를 구조를 갖는 에어서스펜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177A KR102187454B1 (ko) 2015-12-08 2015-12-08 더블 레벨링 밸브를 구조를 갖는 에어서스펜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470A KR20170067470A (ko) 2017-06-16
KR102187454B1 true KR102187454B1 (ko) 2020-12-07

Family

ID=59278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4177A KR102187454B1 (ko) 2015-12-08 2015-12-08 더블 레벨링 밸브를 구조를 갖는 에어서스펜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454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2991B2 (ja) * 1995-07-12 2000-06-19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ニーリング装置
KR19980054181A (ko) * 1996-12-27 1998-09-25 박병재 공기현가장치를 이용한 상용차의 차고조정방법
KR100475911B1 (ko) * 2001-12-13 2005-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의 닐링 시스템
KR20080107171A (ko) * 2007-06-05 2008-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자세 조정장치
DE102011121753A1 (de) * 2011-12-21 2013-06-27 Wabco Gmbh Luftfederungsanlage eines Kraftfahrzeu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470A (ko) 2017-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2655B2 (en) Electronic height control for recreational vehicles
JP6350511B2 (ja) 車高調整システム
US9393849B2 (en) Vehicle height adjustment apparatus
CN103660837B (zh) 一种ahc高度控制系统以及车辆
KR20170012295A (ko) 에어 서스펜션이 장착된 자동차의 높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US20190061458A1 (en) Vehicle height control system
KR102187454B1 (ko) 더블 레벨링 밸브를 구조를 갖는 에어서스펜션 시스템
JP2009067316A (ja) エアサスペンション装置
CN206201897U (zh) 一种电控可通断式空气悬架系统、空气弹簧及附加气室
US2862726A (en) Fluid suspension control system
KR20080107171A (ko) 차량의 자세 조정장치
JP2007099096A (ja) 車両制御装置
JP5766501B2 (ja) 車両用エア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KR20080105256A (ko) 차량 전자제어 에어서스펜션의 공압회로
JP3052991B2 (ja) ニーリング装置
JPH046562B2 (ko)
KR100857539B1 (ko)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높이제어장치
JP2934371B2 (ja) 車体角度の制御装置
CN204701412U (zh) 一种商用车空气悬架控制系统
KR20160072911A (ko) 레벨잭을 이용한 차량의 수평조절장치
KR20140048769A (ko) 차량용 에어서스펜션의 기계식 3단 차고 조절 장치
KR100418615B1 (ko) 자동차의 에어 스프링 보조장치
KR20140030747A (ko) 차고조정장치
KR100643962B1 (ko) 공기 스프링을 이용한 차량 전복방지 장치
JP6842360B2 (ja) 車高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