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7786B1 - 연약지반 보강을 위한 s자한계봉제선을 갖는 이음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방법 - Google Patents

연약지반 보강을 위한 s자한계봉제선을 갖는 이음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7786B1
KR101997786B1 KR1020180066733A KR20180066733A KR101997786B1 KR 101997786 B1 KR101997786 B1 KR 101997786B1 KR 1020180066733 A KR1020180066733 A KR 1020180066733A KR 20180066733 A KR20180066733 A KR 20180066733A KR 101997786 B1 KR101997786 B1 KR 101997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line
quot
joints
marg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6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귀봉
Original Assignee
(주)신아건설산업
(주)대영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아건설산업, (주)대영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신아건설산업
Priority to KR1020180066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77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 E02D2300/0078Textiles wove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5Geotextiles
    • E02D2300/0087Geotextiles wo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선 봉제선에 의해 일체화된 이음부의 “한계봉제선”상의 바늘구멍이, 직선펀칭라인이 되어 찢어짐의 유도 라인의 역할을 하면서 직선펀칭 라인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서로 대향된 인장력(T, T)이 작용됨으로써 직선한계펀칭라인을 따라 1겹의 원단이 찢어지는 종래기술의 메카니즘과는 달리, 이음부의 길이방향으로 “한계봉제선”을 S자봉제선으로 일체화하되 1사이클(cycle)의 “S자한계봉제선”에 있어 일직선상의 경사(또는 위사)와 만나는 바늘구멍의 펀칭개수가 2~3개를 넘지 않도록 하면서 연속되지도 않도록 함으로써 서로 대향된 인장력(T, T)으로 인하여 바늘구멍의 “S자한계펀칭라인”을 따라 “1겹”의 원단이 찢어지지 않도록 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연약지반 보강을 위한 S자한계봉제선을 갖는 이음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방법{Joint block structure comprised of S-type limit of sewing line by machine and method reinforcing the soft ground with civil engineering textiles thereof}
본 발명은 연약지반 보강을 위한 S자한계봉제선을 갖는 이음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본 발명은, 직선 봉제선에 의해 일체화된 이음부의 “한계봉제선”상의 바늘구멍이, 직선펀칭라인이 되어 찢어짐의 유도 라인의 역할을 하면서 직선펀칭 라인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서로 대향된 인장력(T, T)이 작용됨으로써 직선한계펀칭라인을 따라 1겹의 원단이 찢어지는 종래기술의 메카니즘과는 달리, 이음부의 길이방향으로 “한계봉제선”을 S자봉제선으로 일체화하되 1사이클(cycle)의 “S자한계봉제선”에 있어 일직선상의 경사(또는 위사)와 만나는 바늘구멍의 펀칭개수가 2~3개를 넘지 않도록 하면서 연속되지도 않도록 함으로써 서로 대향된 인장력(T, T)으로 인하여 바늘구멍의 “S자한계펀칭라인”을 따라 “1겹”의 원단이 찢어지지 않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음부의 양측 “S자한계봉제선”사이의 내부공간부에도 다수의 봉제선으로 일체화하되 “S자한계봉제선”과 동일한 형상이면서 이에 평행된 동일 형태의 S자봉제선으로 봉제함으로써 봉재수단에 의해 동일형상의 S자봉제선으로 한 번에 이음부가 봉제되게 한 발명이다.
그뿐 아니리 이음부가 동일형상의 S자봉제선으로 한 번에 봉제됨으로써 토목섬유가 포설된 시공현장에서 봉재수단의 이동과 함께 그 봉제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져 현장시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유용한 발명이다.
연약지반이란 지지력이 작아 상부에 건설되는 구조물을 지지할 수 없거나, 또는 상부 구조물의 축조로 인해 매우 큰 변형이 발생하는 지반을 말한다.
연약지반이란 용어는 상대적인 개념이다. 즉, 동일한 조건의 지반이라 하더라도 상부에 건설되는 구조물의 하중에 따라서 연약지반으로 간주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아닐 수도 있다. 지지력이 커서 구조물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더라도 많은 침하가 발생할 수 있는 조건이라면 연약지반으로 보아야한다. 포화된 점성토층, 느슨한 사질토층, 유기질 성분이 다량 함유된 지층이 일반적인 범주의 연약지반에 해당된다. 연약지반 개량을 위해 장비 진입에 필요한 지지력을 확보하기위하여 사전에 토목섬유의 포설이 불가피하다. 점성토에 대한 토목섬유공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지오텍스타일은 직포형(woven type)과 부직포형(nonwoven type)으로 나눌 수 있는데 경ㆍ위사를 직각으로 교차시켜 직조한 직포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오텍스타일의 경사는 직조 토목섬유의 길이 방향(롤 방향)의 실로서, 제직 시에 큰 장력을 받기 때문에 위사에 비하여 강한 실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직조 토목섬유는 경사(날줄; warp threads)와 위사(씨줄; welf threads) 두 가닥의 실이 상호 직교되면서 조직된 직물(fabric)이다. 기본적인 직물의 3원조직(三原組織)으로는 평직(도1a참조), 능직, 주자직이 있다. 평직(도1a참조)이 가장 기본적인 조직이다. 평직은 경사와 위사가 한 가닥씩 상하교대로 교차되는 것으로 1up, 1down으로 조직되어 경위사 각 두 올이 하나의 완전조직을 이루는 조직이다. 직조 토목섬유도 통상 평직이다. 능직과 주자직도 평직의 변형이다. 능직은 두 올씩 up 또는 down이 교대로 계속된 조직이고, 주자직은 경사 또는 위사가 다섯 올 이상의 경ㆍ위사가 교대로 계속된 조직이다.
평직의 장점을 들면, ① 제직이 타 조직보다 매우 단순하여 제직이 간단하고, ② 조직점이 많아 얇으면서도 인장강도가 크고 실용적이다.
토목섬유의 롤 방향이 경사방향이고, 폭 방향이 위사방향이다. 특히 폭 방향의 길이가 제한적이어서 경사방향으로 이음부 형성이 불가피하다. 이음부는 통상 경사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음부의 폭은 20~50cm가 보통이다.
토목섬유는 도1b에서와 같이 그 위에 성토된 토사와 장비하중에 의하여 큰 인장력을 받게 된다. 이음부는 인장력에 대하여 취약한 부분이다. 이음부는 토목섬유의 2개의 원단A, B가 서로 겹쳐 중첩된다. 이음부의 조직과 원단A, B의 자체조직과는 전혀 상이한 조직이다.
원단A, B자체의 조직은 인장강도, 인열강도, 신율 등의 물리적 성질이 전적으로 위·경사에 의존된 조직인데 반하여, 이음부의 조직은 그 물리적 성질이 중첩된 이음부에 의존된 조직이기 때문에 양자의 물리적 성질이 전혀 상이하다.
다시 말하면, 원단A, B의 조직은 균등조직인데 반해 이음부의 조직은 비 균등조직이다. 양자의 물리적 성질이 다른 것도 바로 여기에 있다.
토목섬유가 상부재하하중(W)을 지지하기 위해 도1b에서와 같이 포설된다.
토목섬유에는 상부재하하중(W)으로 인해 인장력이 걸리게 된다. 균등조직인 원단A, B는 인장력에 강하다. 처음부터 인장력에 견디도록 설계·제직되었기 때문이다. 비 균등조직인 이음부는 균등조직에 비해 인장력에 대한 대처유연성이 없다.
도1a 및 도1b에서 X방향을 경사방향, Y방향을 위사방향으로 한다. 이음부는 Y방향이다. 토목섬유가 상부재하하중(W)을 견디지 못하게 되면, W하중으로 인해 대향된 인장력 T, T에 의하여 제일 먼저 이음부의 경계면에서 토목섬유가 찢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음부의 경계면에서 토목섬유가 찢어지는 문제점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 이음부(D)와 원단A, B와의 관계
토목섬유 원단은 보통 평직으로 제직된다. 평직은 인장강도가 가장 큰 조직이다. 롤 상의 토목섬유원단은 폭 방향으로 제한을 받는다. 폭의 확장을 위해 이음부(D)가 불가피하다. 이음부(D)의 폭은 보통 20~50cm이다.
도1b에서와 같이 토목섬유 원단A, B는 상부재하하중W로 인한 인장력(T)의 지지부재이다. 서로 대향된 인장력(T)은 동일크기의 반대방향으로 작용되는 힘이다.
원단A, B는 이러한 물리적 성질(인장강도 등)에 만족되도록 설계된 위·경사의 동질패턴의 균등조직이다. 동질패턴의 넓은 거동에 의해 물리적 성질도 넓게 더 한층 강화된다.
이에 대하여 원단A, B가 중첩된 이음부(D)는 원단A, B의 그 물리적 성질이 전혀 다른 이질패턴의 비 균등조직이다. 이질패턴의 좁은 거동에 의해 물리적 성질이 이음부(D)에만 한정된다. 2겹의 이음부(D)의 인장강도가 1겹의 원단A, B의 인장강도보다 훨씬 큰 것도 이 때문이다.
도3에서와 같이 이음부(D)는 직선 봉제선 a-a, b-b, c-c,‥‥에 의해 봉제·결합된다. 이음부(D)는 직선 봉제선에 의해 중첩블록이 형성된다.
직선 봉제선의 a-a 및 e-e는 외곽봉제선이고, b-b, c-c, d-d는 그 중간부에 위치된 중간봉제선이다.
직선 봉제선의 중간봉제선과, 외곽봉제선은 각각 서로 특징을 갖는다.
첫째, 중첩블록의 중간봉제선인 b-b, c-c, d-d는, 중첩블록을 하나로 일체화한 한 몸체결합선이다. 또 중첩블록의 구성요소인 2겹 중첩된 원단A, B도 하나로 일체화한 한 몸체 결합선이다. 중간봉제선에 의한 한 몸체 결합선은, 어떠한 인장력의 크기에 대해서도 중첩블록이 파괴되지 않는 한, 2겹 중첩된 원단A 또는 B가 중간봉제선의 한 몸체 결합선으로부터 분리가 불가능한 구조라는 것을 의미한다. 바로 역기에 중간봉제선의 특징이 있다.
둘째, 중첩블록의 외곽봉제선인 a-a, e-e는 각각 하나의 동일한 봉제선이긴 하나 보는 관점에 따라 서로 다른 구조로 해석된다.
2겹 원단에 대한 봉제선의 관점에서 중첩된 원단A 또는 B가 a-a, e-e로부터 분리가 불가능한 구조이다. 이때 a-a, e-e는, 2겹 원단이 중첩된 중첩블록의 중간봉제선과 동등한 봉제선의 역할을 한다. 1겹 원단에 대한 봉제선의 관점에서 1겹 원단A 또는 B가 a-a, e-e로부터 분리 가능한 구조이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1겹 원단A 또는 B가 a-a, e-e로부터 분리되는 구조이다. 분리 가능한 구조에서 a-a, e-e선에 형성된 바늘구멍을 따라 원단이 찢어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외곽봉제선 a-a, e-e는 “1겹 원단”과 “2겹 원단”이 동시에 만나는 봉제선이다. “1겹”과 만나는 봉제선을 특히 “한계경계선”이라 부르기로 한다. “2겹”의 외곽봉제선은, 위의 중간봉제선과 동일하다. 중첩블록의 중간봉제선에는 구조상 “한계경계선”이 존재하지 않는다. 중간봉제선은 오로지 “2겹”만 만나기 때문이다.
또한 “1겹”의 “한계경계선”은, “2겹”의 중간봉제선보다 물리적 성질(인장강도 등)이 취약하다. “1겹”의 “한계경계선”에다 바늘구멍이 더해지면 더 한층 취약하게 된다. “1겹”의 일직선 “한계경계선”(a-a, e-e)을 따라 원단이 찢어지는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다. 여기서 바늘구멍의 크기는 위·경사 실이 짠 틈새의 크기보다 몇 배 크다. 바늘구멍은 원단에 펀칭된 것이나 다름없다. 그것도 직선상의 큰 직경의 펀칭라인이다. 직선상의 펀칭라인이 곧 “한계경계선”이다. 이 펀칭라인은 원단의 물리적 성질(특히, 인장강도의 저하)의 악화에 주범이다.
나) “한계경계선”따라 “1겹”의 원단A 또는 B가 찢어지는 문제점에 대한 메카니즘
“한계경계선”은 중첩블록의 분리가능구조인데 반해, 중간봉제선은 중첩블록의 분리불가능구조이다. 분리가능구조에서는 “1겹”의 원단A 또는 B가 “한계경계선”을 따라 찢어지게 된다. 분리불가능구조에서는 원단A, B가 찢어지지 않는다.
“한계경계선”과 “1겹”의 원단A 또는 B의 찢어짐의 관계에 대하여 살펴본다. “한계경계선”은 “1겹”의 원단A 또는 B에 형성된 봉제선이다. 그 봉합선을 따라 “한계경계선”에 바늘구멍이 뚫려있다. 바늘구멍은 “한계경계선”을 따라 일직선으로 연속 배열된다. 서로 대향된 인장력(T, T)의 작용점은 일직선배열의 바늘구멍이다. 작용점의 방향은 일직선배열의 바늘구멍에 대하여 직각방향이다. 대향된 인장력(T, T)은 바늘구멍의 일직선상에 연속적으로 작용된다.
일직선상에 형성된 바늘구멍과, 그리고 일직선의 바늘구멍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대향된 인장력(T, T)의 작용점이 된 상태에서 일직선상의 바늘구멍의 어느 취약한 한 점(바늘구멍)에서 찢어짐이 시작되면, 일직선상에 집중·연속된 바늘구멍이, 유도 라인이 되어 그 진행이 빠르게 확장된다.
“한계경계선”상의 바늘구멍과 이에 대향된 인장력(T, T)의 상호작용에 의해 “한계경계선”상의 바늘구멍의 유도 라인을 따라 “1겹”의 원단A 또는 B가 찢어지게 된다. 이것이 바로 일직선 바늘구멍의 유도 라인에 의한 찢어짐 메카니즘이다.
그러나 중첩블록의 중간봉제선에 “한계경계선”상의 바늘구멍이 똑같이 뚫려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바늘구멍으로 인해 원단A 또는 B가 찢어지지 않는다. 중간봉제선은 “한계경계선”과는 달리 분리 불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이다.
대향된 인장력(T, T)으로 인한 원단A 또는 B의 찢어짐은 직조의 성질상 위·경사의 직선방향으로 찢어진다. 위·경사의 대각선방향으로는 찢어지지 않는 것도 이 때문이다.
한편, 토목섬유 이음부의 찢어짐을 방지하는 종래기술로서 특허 제10-0893699호가 있다. 도2a, 2b에서와 같이 원단(10)이 겹치는 이음부(10a)를 재봉선(30)으로 박음질하되 재봉사와 재봉선의 바늘구멍 간에 틈새를 접착제(20)로 메워줌으로써 극한 하중으로 인해 이음부(10a)의 경계면의 찢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경계면의 찢어짐은 직선배열의 바늘구멍을 따라 찢어진다. 바늘구멍의 틈새를 메워주게 되면 틈새의 인장강도는 어느 정도 강화될 수는 있을 것이다.
그런데 원단의 인장강도는 전적으로 위·경사에 의존되어 설계된 직조이다. 접착제에 의해 바늘구멍의 틈새가 메워진다 해도 그 접착제가 위·경사가 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바늘구멍의 틈새가 메워지게 되면, 그 찢어짐의 속도가 약간 지연될 수는 있다. 그렇다고 그 찢어짐의 경로가 바뀌는 것은 아니다. 여전히 그 경로는 직선배열의 바늘구멍 경로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이음부(10a)의 직선배열의 바늘구멍의 경로를 따라 찢어지는 것은 바로 일직선 바늘구멍의 유도 라인에 의한 찢어짐 메카니즘이 갖는 문제점으로서 종래기술도 이와 동일한 문제점을 지니게 된다.
⒜ 본 발명은, 직선 봉제선에 의해 일체화된 이음부의 “한계봉제선”상의 바늘구멍이, 직선펀칭라인이 되어 찢어짐의 유도 라인의 역할을 하면서 직선펀칭 라인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서로 대향된 인장력(T, T)이 작용됨으로써 직선한계펀칭라인을 따라 1겹의 원단이 찢어지는 종래기술의 메카니즘과는 달리, 이음부의 길이방향으로 “한계봉제선”을 S자봉제선으로 일체화하되 1사이클(cycle)의 “S자한계봉제선”에 있어 일직선상의 경사(또는 위사)와 만나는 바늘구멍의 펀칭개수가 2~3개를 넘지 않도록 하면서 연속되지도 않도록 함으로써 서로 대향된 인장력(T, T)으로 인하여 바늘구멍의 “S자한계펀칭라인”을 따라 “1겹”의 원단이 찢어지지 않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고,
⒝ 또한 이음부의 양측 “S자한계봉제선”사이의 내부공간부에도 다수의 봉제선으로 일체화하되 “S자한계봉제선”과 동일한 형상이면서 이에 평행된 동일 형태의 S자봉제선으로 봉제함으로써 봉재수단에 의해 동일형상의 S자봉제선으로 한 번에 이음부가 봉제되게 함에 다른 목적이 있으며,
⒞ 동일형상의 S자봉제선으로 한 번에 이음부가 봉제됨으로써 토목섬유가 포설된 시공현장에서 봉재수단의 이동과 함께 그 봉제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져 현장시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연약지반 보강을 위한 S자한계봉제선을 갖는 이음부구조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약지반에 포설되는 위·경사로 직조된 토목섬유의 봉제선이음부 구조에 있어서
이음부의 길이방향으로 “한계봉제선”이 S자봉제선형태로 연속·반복되면서 일체화하되 1사이클(cycle)의 “S자한계봉제선”과, 그리고 “S자한계봉제선”을 관통하는 일직선상의 경사(또는 위사)와 만나는 바늘구멍의 펀칭개수와의 교차점 개수가 2~3개를 넘지 않도록 하면서 동시에 이 교차점이 직선상의 바늘구멍과 같이 연속되지 않는 한편, “S자한계봉제선”에 직각방향으로 작용되는 대향된 인장력(T, T)으로 인해 “S자한계봉제선”을 따라 1겹의 토목섬유 원단이 찢어지지 않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보강을 위한 S자한계봉제선을 갖는 이음부구조이다.
또한 이음부의 양측에 형성된 “S자한계봉제선”사이의 내부공간에도 다수의 “중간봉제선”으로 일체화하되 이 다수의 “S자한계봉제선”은 “S자한계봉제선”과 동일한 형상이고, “S자한계봉제선”에 일정간격으로 평행되게 봉제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보강을 위한 S자한계봉제선을 갖는 이음부구조이다.
그뿐아니라 이음부의 양측 끝 “S자한계봉제선”을 따라 접착제를 분사하여 펀칭틈새를 메워 위·경사의 인장강도를 강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보강을 위한 S자한계봉제선을 갖는 이음부구조이다.
본 발명 이음부는 길이방향, 즉 롤 방향이다.
이음부에 길이방향으로 봉합선이 봉제된다. 이음부의 양측 끝 봉합선에는 “S자한계봉제선”이, 그리고 그 중간부에는 “중간봉제선”이 봉제된다.
먼저, 양측 끝 “S자한계봉제선”에 대하여 설명한다.
“S자한계봉제선”은 이음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속된 봉제선이다.
“S자한계봉제선”에서 S자 형상을 한 단위로 할 때, 한 단위 S자 형상을 1사이클(cycle)이라 한다.
1사이클(cycle)의 “S자한계봉제선”과, 이를 관통하는 일직선 경사(또는 위사)상과 교차되는 바늘구멍의 펀칭 교차점의 개수가 2~3개를 넘지 않도록 한 구성이다. 그뿐만 아니라 2~3개의 교차점이 통상의 직선 봉제선과 같이 인접·연속되지 않도록 한 구성이다.
이는 종래기술의 직선 봉제선의 바늘구멍과 같이 인접·연속인 직선상의 펀칭라인이 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이와 동시에 직선상의 펀칭라인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대향된 인장력(T, T)의 작용으로 인해 물리적 성질이 취약해진 이 펀칭라인을 따라 1겹의 토목섬유 원단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다음으로, 내부공간의 다수 “중간봉제선”에 대하여 설명한다.
“중간봉제선”은 이음부의 양측 끝 “S자한계봉제선”의 사이 중간부에 봉제된 봉제선이다. “중간봉제선”에 직각방향으로 서로 대향된 인장력(T, T)이 작용되지만 실제 “중간봉제선”을 따라 1겹의 토목섬유 원단이 찢어지지 않는다. 이음부의 “중간봉제선”은 2겹 원단의 중첩블록과 한 몸체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중간봉제선”은 이음부의 양측 끝 “S자한계봉제선”사이의 봉제선이므로 “S자한계봉제선”과 일정간격으로 평행되게 봉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봉재수단에 의해 재봉될 때 “S자한계봉제선”과 “중간봉제선”이 한 번에 봉제되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봉재수단은 통상 재봉틀을 의미하지만 다수개의 “S자봉제선”이 한 번에 재봉되는 그러한 것을 말한다.
한편, 이음부의 양측 끝 “S자한계봉제선”은 “중간봉제선”과는 달리 1겹의 토목섬유 원단과 직접 펀칭 교차점이므로 펀칭교차점을 강화하기 위해 “S자한계봉제선”을 따라 접착제를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펀칭틈새를 메워 위·경사의 인장강도의 강화를 위해서다.
⒜ 본 발명은, 직선 봉제선에 의해 일체화된 이음부의 “한계봉제선”상의 바늘구멍이, 직선펀칭라인이 되어 찢어짐의 유도 라인의 역할을 하면서 직선펀칭 라인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서로 대향된 인장력(T, T)이 작용됨으로써 직선한계펀칭라인을 따라 1겹의 원단이 찢어지는 종래기술의 메카니즘과는 달리, 이음부의 길이방향으로 “한계봉제선”을 S자봉제선으로 일체화하되 1사이클(cycle)의 “S자한계봉제선”에 있어 일직선상의 경사(또는 위사)와 만나는 바늘구멍의 펀칭개수가 2~3개를 넘지 않도록 하면서 연속되지도 않도록 함으로써 서로 대향된 인장력(T, T)으로 인하여 바늘구멍의 “S자한계펀칭라인”을 따라 “1겹”의 원단이 찢어지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고,
⒝ 또한 이음부의 양측 “S자한계봉제선”사이의 내부공간부에도 다수의 봉제선으로 일체화하되 “S자한계봉제선”과 동일한 형상이면서 이에 평행된 동일 형태의 S자봉제선으로 봉제함으로써 봉재수단에 의해 동일형상의 S자봉제선으로 한 번에 이음부 봉제가 간편하고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 동일형상의 S자봉제선으로 한 번에 이음부가 봉제됨으로써 토목섬유가 포설된 시공현장에서 봉재수단의 이동과 함께 그 봉제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져 현장시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를 지닌 유용한 발명이다.
[도1a] 평직조직 모형
[도1b] 연약지반 위에 포설된 토목섬유와 재하하중과의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2a] 종래기술의 연약지반처리용 토목섬유를 생산하기 위한 원단 이음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b] 종래기술의 연약지반처리용 토목섬유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3] 종래기술의 이음부에 직선 봉제선에 의해 중첩블록이 형성된 모습을 보인 상태도
[도4] 본 발명의 이음부에 S자봉제선에 의해 중첩블록이 형성된 모습을 보인 상태도
본 발명 연약지반 보강을 위한 S자한계봉제선을 갖는 이음부구조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방법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약지반에 포설되는 위?경사로 직조된 토목섬유의 봉제선이음부를 봉제하면서 토목섬유 포설방법에 있어서
⒜ 연약지반위에 토목섬유A를 포설한 다음, 이에 인접하여 이음부에서 서로 겹쳐지게 하면서 토목섬유B를 포설하는 단계;
⒝ 토목섬유A, B의 이음부에 그 길이방향으로 봉재수단에 의해 연속적으로 다수의 S자 봉제선으로 봉제하되 이음부의 앙 측 “S자한계봉제선”과, 그 사이에 “중간봉제선”이 봉제되는 한편, 1사이클(cycle)의 “S자한계봉제선”을 관통하는 일직선상의 경사(또는 위사)와 만나는 바늘구멍의 펀칭개수와의 교차점 개수가 2~3개를 넘지 않도록 하면서 동시에 이 교차점이 직선상의 바늘구멍과 같이 연속되지 않도록 하고, 또 중간봉제선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S자한계봉제선”과 평행하게 이음부를 봉제하는 단계;
⒞ 토목섬유B에 인접되게 이음부에서 서로 겹쳐지게 하면서 토목섬유C를 포설하고 토목섬유B, C의 이음부를 상기 ⒝단계와 같이 그 이음부를 봉제하고, 이에 이어 토목섬유D, E, … 의 인접된 이음부도 이와 같이 봉제하면서 이음부를 봉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S자한계봉제선을 갖는 이음부구조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방법이다.
여기에다 상기 ⒝단계 및 ⒞단계의 이음부의 양측 끝 “S자한계봉제선”을 따라 접착제를 분사하여 펀칭틈새를 메워 위·경사의 인장강도를 강화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S자한계봉제선을 갖는 이음부구조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방법이다.
이음부의 양측 끝 “S자한계봉제선”은 “중간봉제선”과는 달리 1겹의 토목섬유 원단과 직접 펀칭 교차점이므로 펀칭교차점을 강화하기 위해 “S자한계봉제선”을 따라 접착제를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펀칭틈새를 메워 위·경사의 인장강도의 강화를 위해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직선 봉제선에 의해 일체화된 이음부의 “한계봉제선”상의 바늘구멍이, 직선펀칭라인이 되어 찢어짐의 유도 라인의 역할을 하면서 직선펀칭 라인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서로 대향된 인장력(T, T)이 작용됨으로써 직선한계펀칭라인을 따라 1겹의 원단이 찢어지는 종래기술의 메카니즘과는 달리, 이음부의 길이방향으로 “한계봉제선”을 S자봉제선으로 일체화하되 1사이클(cycle)의 “S자한계봉제선”에 있어 일직선상의 경사(또는 위사)와 만나는 바늘구멍의 펀칭개수가 2~3개를 넘지 않도록 하면서 연속되지도 않도록 함으로써 서로 대향된 인장력(T, T)으로 인하여 바늘구멍의 “S자한계펀칭라인”을 따라 “1겹”의 원단이 찢어짐을 방지되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5)

  1. 삭제
  2. 연약지반에 포설되는 위·경사로 직조된 토목섬유의 봉제선이음부 구조에 있어서
    이음부의 길이방향으로 “한계봉제선”이 S자형태로 연속·반복되면서 일체화하되 1사이클(cycle)의 “S자한계봉제선”은 일직선상의 경사(또는 위사)와 만나는 바늘구멍(펀칭)의 교차점 개수가 2~3개를 넘지 않도록 하면서 동시에 이 교차점이 직선봉제 시 직선상의 바늘구멍과는 달리 연속되지 않는 한편, S자한계봉제선에 작용되는 인장력(T,T)으로 인해 “S자한계봉제선”을 따라 1겹의 토목섬유 원단이 찢어지지 않게 하고, 이음부의 양측에 형성된 “S자한계봉제선”사이의 내부공간에도 다수의 “중간봉제선”으로 일체화하되 이 다수의 “중간봉제선”은 “S자한계봉제선”과 동일한 형상이고, “S자한계봉제선”에 일정간격으로 평행되게 봉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보강을 위한 S자한계봉제선을 갖는 이음부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이음부의 양측 끝 “S자한계봉제선”을 따라 접착제를 분사하여 펀칭틈새를 메워 위·경사의 인장강도를 강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보강을 위한 S자한계봉제선을 갖는 이음부구조
  4. 청구항 2의 연약지반보강을 위한 S자한계봉제선을 갖는 이음부구조를 이용하여 연약지반에 포설되는 위·경사로 직조된 토목섬유의 봉제선이음부를 봉제하면서 토목섬유를 시공방법에 있어서
    ⒜ 연약지반위에 토목섬유A를 포설한 다음, 이에 인접하여 이음부에서 서로 겹쳐지게 하면서 토목섬유B를 포설하는 단계;
    ⒝ 토목섬유A, B의 이음부에 그 길이방향으로 봉제수단에 의해 연속적으로 다수의 S자 봉제선으로 봉제하되 이음부의 앙 측 “S자한계봉제선”과, 그 사이에 “중간봉제선”이 봉제되는 한편, 1사이클(cycle)의 “S자한계봉제선”을 관통하는 일직선상의 경사(또는 위사)와 만나는 바늘구멍(펀칭)의 교차점 개수가 2~3개를 넘지 않도록 하면서 동시에 이 교차점이 직선상의 바늘구멍과는 달리 연속되지 않도록 하고, 또 중간봉제선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S자한계봉제선”과 평행하게 이음부를 봉제하는 단계;
    ⒞ 토목섬유B에 인접되게 이음부에서 서로 겹쳐지게 하면서 토목섬유C를 포설하고 토목섬유B, C의 이음부를 상기 ⒝단계와 같이 그 이음부를 봉제하고, 이에 이어 토목섬유D, E, . . . 의 인접된 이음부도 이와 같이 봉제하면서 이음부를 봉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S자한계봉제선을 갖는 이음부구조를 이용한 연약지반 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및 ⒞단계의 이음부의 양측 끝 “S자한계봉제선”을 따라 접착제를 분사하여 펀칭틈새를 메워 위·경사의 인장강도를 강화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S자한계봉제선을 갖는 이음부구조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방법
KR1020180066733A 2018-06-11 2018-06-11 연약지반 보강을 위한 s자한계봉제선을 갖는 이음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방법 KR101997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733A KR101997786B1 (ko) 2018-06-11 2018-06-11 연약지반 보강을 위한 s자한계봉제선을 갖는 이음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733A KR101997786B1 (ko) 2018-06-11 2018-06-11 연약지반 보강을 위한 s자한계봉제선을 갖는 이음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7786B1 true KR101997786B1 (ko) 2019-07-08

Family

ID=67256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6733A KR101997786B1 (ko) 2018-06-11 2018-06-11 연약지반 보강을 위한 s자한계봉제선을 갖는 이음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77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814B1 (ko) 2019-11-18 2020-03-17 박서진 이음부위의 인장강도를 향상시킨 토목섬유를 활용한 초대형 마대 및 그 제작방법
KR102257617B1 (ko) 2020-08-11 2021-05-28 일진인터내셔날 (주) 연약지반 보강용 토목섬유원단을 s자봉제선 이음구조로 봉제하기 위한 다침식 재봉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0068A (ja) * 2005-01-20 2006-08-03 Asahi Kasei Fibers Corp 縫製品
KR100893699B1 (ko) * 2008-10-09 2009-04-15 주식회사 신아건설산업 연약지반처리용 토목섬유 및 그 이음방법
JP2015025220A (ja) * 2013-07-26 2015-02-05 有限会社インテリアナガオカ 幅継生地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70083740A (ko) * 2016-01-11 2017-07-19 (유)이안지오텍 토목용 매트의 원단 연결부위 강도 보강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0068A (ja) * 2005-01-20 2006-08-03 Asahi Kasei Fibers Corp 縫製品
KR100893699B1 (ko) * 2008-10-09 2009-04-15 주식회사 신아건설산업 연약지반처리용 토목섬유 및 그 이음방법
JP2015025220A (ja) * 2013-07-26 2015-02-05 有限会社インテリアナガオカ 幅継生地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70083740A (ko) * 2016-01-11 2017-07-19 (유)이안지오텍 토목용 매트의 원단 연결부위 강도 보강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814B1 (ko) 2019-11-18 2020-03-17 박서진 이음부위의 인장강도를 향상시킨 토목섬유를 활용한 초대형 마대 및 그 제작방법
KR102257617B1 (ko) 2020-08-11 2021-05-28 일진인터내셔날 (주) 연약지반 보강용 토목섬유원단을 s자봉제선 이음구조로 봉제하기 위한 다침식 재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1801B1 (ko) 다층 직물로 된 직물형상 및 직물형상으로 만들어진 복합구조
US7279436B2 (en) Grid fabric
PL199670B1 (pl) Tekstylna struktura siatki, zwłaszcza geosiatki
US6429153B1 (en) Textile composite material
KR101997786B1 (ko) 연약지반 보강을 위한 s자한계봉제선을 갖는 이음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방법
KR20170083740A (ko) 토목용 매트의 원단 연결부위 강도 보강구조
JP2019035183A (ja) マルチバー経編機による編み方法
JP2009068185A (ja) 繊維系又は樹脂系ジオグリッド
CN104912052B (zh) 土工管袋及其制作方法
KR19980069878A (ko) 레이스 편물의 제조방법 및 레이스 편물
KR101784362B1 (ko) 이음부 보강된 토목용 매트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5163309A (ja) 軟弱地盤の表層処理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表層処理用袋体及び表層処理用補強材
KR101849317B1 (ko) 고강도 토목섬유매트를 봉제하기 위한 봉제기 및 그로 봉제된 토목섬유매트
JP2014156674A (ja) 部分膨張筒状経編地と、その編成方法
JPH09125399A (ja) 土木工事用二重織袋
JP3635136B2 (ja) 重層構造ジオグリッド
JP2579179Y2 (ja) ジオテキスタイル連結用ベルト
JPH0243409A (ja) 土木用網及びその敷設方法
KR101069102B1 (ko) 이중구조를 갖는 튜브
JPH04327247A (ja) 土木・建築用メッシュシート
JP2592303B2 (ja) 土木用網及びその敷設方法
JP2002030668A (ja) のり面安定工法及びのり面敷設用筒状袋
JP2506042B2 (ja) シ―ト繋縛用織物
JP3394743B2 (ja) 紐状のレース地
JP2592297B2 (ja) 土木用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