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7617B1 - 연약지반 보강용 토목섬유원단을 s자봉제선 이음구조로 봉제하기 위한 다침식 재봉장치 - Google Patents

연약지반 보강용 토목섬유원단을 s자봉제선 이음구조로 봉제하기 위한 다침식 재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7617B1
KR102257617B1 KR1020200100445A KR20200100445A KR102257617B1 KR 102257617 B1 KR102257617 B1 KR 102257617B1 KR 1020200100445 A KR1020200100445 A KR 1020200100445A KR 20200100445 A KR20200100445 A KR 20200100445A KR 102257617 B1 KR102257617 B1 KR 102257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fabric
plate
rotation shaft
reve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0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귀봉
Original Assignee
일진인터내셔날 (주)
주식회사 신아건설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진인터내셔날 (주), 주식회사 신아건설산업 filed Critical 일진인터내셔날 (주)
Priority to KR1020200100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76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1/00Sewing machines with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movement of work-carrier relative to stitch-forming mechanism in order to obtain particular configuration of seam, e.g. programme-controlled for sewing collars, for attaching pocke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2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cilitating seaming; Hem-turning elements; Hemm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5/00Needle holders; Needle bars
    • D05B55/14Needle-bar driv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10Electrical or electromagnetic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5Geotextiles
    • E02D2300/0087Geotextiles wo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약지반 보강용 토목섬유원단을 S자봉제선 이음구조로 봉제하기 위한 다침식 재봉장치에관한 것으로, 토목섬유원단을 안내하기 위한 원단안내판과, 상기 원단안내판으로 토목섬유원단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원단을 탄력적으로 눌러주도록 구성되는 원단압착판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단압착판의 상측에 고정 설치된 상부 고정판의 상방에 형성되는 재봉용 구동모터와, 상기 재봉용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원단안내판과 원단압착판 사이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토목섬유원단의 이음단부를 봉제하기 위한 재봉바늘을 상하로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재봉바늘틀체와, 상기 원단압착판의 하측에 형성되어 재봉바늘이 토목섬유원단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할 때 상기 재봉바늘을 통해 공급되는 윗실에 밑실을 걸어주기 위한 루퍼와, 상기 재봉바늘틀체를 상하로 왕복이동시키기 위한 상부 회전축과, 상기 상부 회전축으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중간 회전축과, 상기 중간 회전축으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재봉바늘로 공급되는 윗실 각각에 밑실을 하나씩 걸어주는 루퍼를 작동시키기 위한 하부 회전축 및 상기 원단안내판과 원단압착판 사이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토목섬유원단의 이음단부를 일정길이씩 단속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스플라인 견인롤러와 연동스플라인 견인롤러를 구비하도록 구성되는 재봉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스플라인 견인롤러와 연동스플라인 견인롤러가 토목섬유원단의 이음단부를 단속적으로 전진 이동시키는 전진이동속도와, 이 전진이동속도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좌우 이동하는 재봉바늘틀체의 좌우이동속도에 의해 복수의 재봉바늘들이 S자 봉제작동을 수행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복수의 재봉바늘들이 리드스크류축의 정·역회전 작동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면서 S자 봉제선을 형성하게 되고, 이때 S자 봉제선은 양측 고정지지대 사이에서 리드스크류축이 정·역회전함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좌,우측 스크류블록의 좌우왕복 이동간격이며, 또 상기 리드스크류축의 정역회전은 정역모터를 정·역 방향으로 회전작동시키는 정,역회전용 스위치센서에 의해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리드스크류축이 정·역회전함에 따라 상부 회전축, 중간 회전축, 하부 회전축이 좌우로 왕복이동하는 동시에 재봉바늘틀체와 복수의 재봉바늘들 및 복수의 루퍼들이 함께 좌우로 왕복이동하면서 S자 봉제선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연약지반 보강용 토목섬유원단을 S자봉제선 이음구조로 봉제하기 위한 다침식 재봉장치{Sewing apparatus for multi-needle type of the S-shaped sewing line in the geosynthetic fabric joint}
본 발명 연약지반 보강용 토목섬유원단을 S자봉제선 이음구조로 봉제하기 위한 다침식 재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장의 연약지반 보강용 토목섬유원단 각각의 이음단부를 포개어놓은 상태로 연결시킴에 있어 상기한 이음단부의 인장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복수의 재봉바늘을 이용하여 2장의 토목섬유원단의 이음단부를 S자봉제선 이음구조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다침식 재봉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공법에서 말하는 연약지반이란 흙의 강도가 작고, 압축되기 쉬워 지반지지력보다 상대적으로 상부 하중이 큰 지반이나 상부 구조물에 대한 하중을 지지할 수 없는 지반을 말한다.
연약지반이란 용어는 상대적인 개념이다. 즉, 동일한 조건의 지반이라 하더라도 상부에 건설되는 구조물의 하중에 따라서 연약지반으로 간주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지지력이 커서 구조물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더라도 많은 침하가 발생될 수 있는 조건이라면 연약지반으로 보아야 하며, 포화된 점성토층, 느슨한 사질토층, 유기질 성분이 다량 함유된 지층 등은 일반적인 범주의 연약지반에 해당한다.
상기한 연약지반 개량을 개량하기 위해서는 장비의 진입에 필요한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연약지반을 일시적으로 강도를 강화시키기 위해 사전에 토목섬유의 포설작업이 불가피하다.
종래 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해 연약지반에 포설되는 토목섬유는 길이방향 및 폭방향이 일정 크기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개량하고자 하는 연약지반의 규모에 따라 연약지반에 포설되는 토목섬유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크기를 크게 확장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 복수의 토목섬유원단 각각의 이음단부를 봉제하여 결속시키는 방법으로 연결시켜서 연약지반을 포설하는 작업으로 연약지반 개량공사를 시공하고 있다.
연약지반 개량공사시 장비의 진입을 위해 연약지반에 포설되는 복수의 토목섬유원단을 연결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국내 등록특허 제10-0893699호로 소개되어 있는 바, 상기한 종래의 선행기술에서는 연약지반에 포설되는 복수의 토목섬유원단(A')(B')을 도 11의 도시와 같이 봉제하는 구조로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 선행기술에서는 다침식 재봉장치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재봉바늘을 이용하여 복수의 토목섬유원단(A')(B')의 중첩된 이음단부(D')를 관통하는 각 재봉구멍(100)들을 연결하는 봉제선(110)이 일직선상으로 나타나도록 봉제하는 구조로 복수의 토목섬유원단(A')(B')을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선행기술과 같이 복수의 재봉바늘들에 의해 형성되는 재봉구멍(100)들을 연결하는 봉제선(110)이 복수의 토목섬유원단(A')(B') 각각에 직조되어 있는 경사 또는 위사와 같은 평행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이음단부(D')의 상측에서 큰 하중이 가해질 경우에는 중첩된 이음단부(D')는 봉제선(110)을 따라 찢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며,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중첩된 이음단부(D')에 접착제를 코팅시키는 방법으로 봉제선(110)이 일정간격으로 연결되는 재봉구멍(100)을 접착제로 메워준다 하더라도 중첩된 이음단부(D')가 봉제선(110)을 따라 찢어지게 되는 물리적 성질에는 큰 변화가 없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345160호(2002. 11. 14. 공고) 국내등록특허 제10-0893699호(2009. 04. 15. 공고) 국내등록특허 제10-1997786호(2019. 07. 08.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특히 등록특허 제10-1997786호에 의한 방법으로 복수의 토목섬유원단의 이음단부를 S자 봉제선 이음구조로 봉제하기 위한 다침식 재봉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 상기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토목섬유원단을 안내하기 위한 원단안내판과, 상기 원단안내판으로 토목섬유원단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원단을 탄력적으로 눌러주도록 구성되는 원단압착판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단압착판의 상측에 고정 설치된 상부 고정판의 상방에 형성되는 재봉용 구동모터와, 상기 재봉용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원단안내판과 원단압착판 사이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재봉바늘틀체와, 상기 원단압착판의 하측에 형성되어 재봉바늘이 토목섬유원단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할 때 상기 재봉바늘을 통해 공급되는 윗실에 밑실을 걸어주기 위한 루퍼와, 상기 재봉바늘틀체를 상하로 왕복이동시키기 위한 상부 회전축과, 상기 상부 회전축으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중간 회전축과, 상기 중간 회전축으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재봉바늘을 통해 공급되는 윗실에 밑실을 걸어주는 루퍼를 작동시키기 위한 하부 회전축 및 상기 원단안내판과 원단압착판 사이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토목섬유원단의 이음단부를 일정길이씩 단속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스플라인 견인롤러와 연동스플라인 견인롤러를 구비하도록 구성되는 재봉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스플라인 견인롤러와 연동스플라인 견인롤러가 토목섬유원단의 이음단부를 단속적으로 전진 이동시키는 전진이동속도와, 이 전진이동속도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좌우 이동하는 재봉바늘틀체의 좌우이동속도에 의해 복수의 재봉바늘들이 S자 봉제작동을 수행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복수의 재봉바늘들이 리드스크류축(8)의 정·역회전 작동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면서 S자 봉제선을 형성하게 되고, 이때 S자 봉제선은 양측 고정지지대(27) 사이에서 리드스크류축(8)이 정·역회전함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좌,우측 스크류블록(81)(82)의 좌우왕복 이동간격이며, 또 상기 리드스크류축(8)의 정역회전은 정역모터(7)를 정·역 방향으로 회전작동시키는 정,역회전용 스위치센서(8a)(8b)에 의해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리드스크류축(8)이 정·역회전함에 따라 상부 회전축(5a), 중간 회전축(5b), 하부 회전축(5c)이 좌우로 왕복이동하는 동시에 재봉바늘틀체와 복수의 재봉바늘들 및 복수의 루퍼들이 함께 좌우로 왕복이동하면서 S자 봉제선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봉용 구동모터와 상부 회전축은 상부 고정판에 고정되어 있는 상부 LM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LM가이드블록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상부 이동판과 같이 일정간격으로 왕복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간 고정판에 고정되어 있는 하부 LM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LM가이드블록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중간 이동판과 같이 일정간격으로 왕복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회전축은 하부 고정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리드스크류축에 일정간격으로 나사결합되어 있는 좌,우측 스크류블록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하부 이동판과 같이 일정간격으로 왕복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드스크류축에 일정간격으로 나사결합되어 있는 좌,우측 스크류블록은 리드스크류축이 정·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때 축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왕복이동하면서 상기 하부 고정판 상방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정·역회전용 스위치를 온(on)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스크류블록이 리드스크류축의 축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왕복이동하면서 상기 정·역회전용 스위치센서를 온(on) 작동시킴에 따라 상기 정역모터가 정·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재봉용 구동모터와 상부 회전축, 중간 회전축, 하부 회전축이 동시에 상기 리드스크류축의 축방향을 향해 왕복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봉용 구동모터와 상부 회전축이 설치되는 상부 이동판과 상기 중간 회전축에 설치되는 중간 이동판은 경사프레임으로 연결되며, 상기 중간 이동판과 하부 이동판은 수직프레임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리드스크류축이 정·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리드스크류축의 축방향으로 왕복이동하게 되는 상기 좌,우측 스크류블록과 함께 중간 이동판, 하부 이동판, 상부 이동판이 동시에 왕복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재봉용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상,하로 왕복작동하는 복수의 재봉바늘들이 토목섬유원단의 이음단부를 관통하여 한차례의 봉제작동을 완료한 후에는 다음의 봉제작동이 개시되기 전에 토목섬유원단이 일정간격으로 전진이동하는 동시에 복수의 재봉바늘들이 토목섬유원단이 진진하는 방향과는 직교하는 측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봉제작동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와 같은 봉제작동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후에는 상기 복수의 재봉바늘들이 토목섬유원단이 전진하는 방향과는 직교하는 측방향으로 일정간격씩 이동하면서 봉제하는 작동을 수행하도록 구성하는 수단으로, 복수의 토목섬유원단이 중첩되는 이음단부를 결속시키는 봉제선의 인장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도록 토목섬유원단을 S자모양의 봉제선 이음구조로 봉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약지반 개량공사 현장에서 연약지반에 포설되는 토목섬유원단을 S자모양의 봉제선 이음구조로 봉제하여 이음단부을 결속하는 봉제선을 인장강도가 강화된 토목섬유원단을 제공함으로써 연약지반 개량공사에 장비의 진입을 안전하게 유도함으로써 연약지반의 개량공사를 효율적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다침식 재봉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전체적인 구성이 잘 나타나도록 도시한 정면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다침식 재봉장치의 좌측면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침식 재봉장치의 우측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침식 재봉장치의 원판압착판 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도 1의 X부분 확대도로서,
도 5는 토목섬유원단을 일정간격으로 전진이동시키면서 재봉바늘과 루퍼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토목섬유원단을 삽입 설치하기 위한 연동스플라인 견인롤러
및 원단압착판을 상승시킨 작동상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침식 재봉장치의 정역모터가 작동하기 전 상태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침식 재봉장치의 정역모터가 정회전 작동한 상태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침식 재봉장치의 정역모터가 역회전 작동한 상태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침식 재봉장치를 이용하여 토목섬유원단의 이음단부를 봉제하였을 때의 S자 봉제선 이음구조의 평면연결 상태도이며,
도 11은 종래 기술의 토목섬유원단 이음단부에 봉제되어 있는 일자형으로 봉제선 연결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연약지반 보강용 토목섬유원단을 S자봉제선 이음구조로 잇기 위한 다침식 재봉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은 다침식 재봉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다침식 재봉장치(1)는 기대(2)의 상부 고정판(21) 위에는 윗실(상측에서 공급되는 상측 섬유사 : 부호 생략)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보빈(3a)이 수납되는 상부 수납공간(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공급공간(31)에 수납되는 복수의 보빈(3a) 각각에는 윗실(상측 섬유사 : 부호 생략)이 권취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대(2)의 하부 고정판(22) 밑에는 밑실(하측에서 공급되는 하측 섬유사 : 부호 생략)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보빈(3b)이 수납되는 하부 수납공간(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보빈(3b) 각각에도 밑실(하측 섬유사 : 부호 생략)이 권취되어 있다.
상기 다침식 재봉장치(1)의 상부 고정판(21) 상방에는 재봉용 구동모터(4)와 상부 회전축(5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고정판(21)과 하부 고정판(22) 사이에 형성되는 중간 고정판(23) 상방에는 상기 상부 회전축(5a)으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중간 회전축(5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고정판(22) 상방에는 하부 회전축(5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다침식 재봉장치(1)는 상부 고정판(21)의 상방에 설치되는 재봉용 구동모터(4)의 구동작동에 의하여 복수의 재봉바늘(N) 및 복수의 루퍼(looper)(L)가 상,하 및 전,후(또는 좌,우)로 빠르게 작동하면서 복수의 토목섬유원단(A)(B)의 이음단부(D)를 봉제하는 방법으로 형성되는 봉제선(P)으로 복수의 토목섬유원단(A)(B)의 이음단부(D)를 봉제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복수의 토목섬유원단(A)(B)의 이음단부(D)를 봉제하는 복수의 재봉바늘(N) 각각으로 하나씩 공급되는 복수의 윗실(상측 섬유사 : 부호 생략)과 복수의 루퍼(L) 각각으로 하나씩 공급되는 복수의 밑실(하측 섬유사 : 부호 생략)이 서로 얽매이는 상태로 연결되어 봉제선(P)이 형성되도록 하는데 따른 기술적 구성은 종래 기술과 대동소이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토목섬유원단(A)(B)의 이음단부(D)를 봉제하는 복수의 재봉바늘(N)이 이음단부(D)의 폭방향을 향해 좌,우로 왕복운동하면서 봉제선(P)이 S자 모양으로 연결되는 이음구조를 반복적으로 형성하는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상부 고정판(21)의 상방에 설치되는 재봉용 구동모터(4)와 상부 회전축(5a), 상기 중간 고정판(23)의 상단에 설치되는 중간 회전축(5b), 상기 하부 고정판(22)의 상방에 설치되는 하부 회전축(5c) 등을 토목섬유원단(A)(B)이 단속적으로 전진 이동할 때 발생하게 되는 단속적인 정지상태의 순간마다 토목섬유원단(A)(B)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동시에 일정간격 왕복이동시키는 방법으로 토목섬유원단(A)(B)의 이음단부(D)를 잇는 봉제선(P)이 S자 모양의 이음구조를 형성하도록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재봉용 구동모터(4)와 상부 회전축(5a)은 상부 고정판(21)의 상면에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어 있는 상부 LM가이드레일(24)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상부 LM가이드블록(51)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상부 이동판(52)과 같이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재봉용 구동모터(4)는 상부 이동판(52) 상면에 고정 부착되어 있고, 상기 상부 회전축(5a)은 상부 이동판(52)의 상방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간 회전축(5b)은 중간 고정판(23)의 상면에 평행하도록 고정 설치되어 있는 하부 LM가이드레일(25)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는 하부 LM가이드블록(53)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중간 이동판(54)과 같이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중간 회전축(5b)의 양단은 중간 이동판(23)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베어링하우징(56a)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회전축(5c)은 하부 고정판(22)의 상방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하부 이동판(55)과 같이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이동판(55)의 양측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복수의 베어링하우징(56b)에 상기 하부 회전축(5c)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축설되어 있다.
상기 상부 회전축(5a)에는 재봉용 구동모터(4)의 출력축(부호 생략)에 축설되어 있는 구동벨트풀리(41)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연동벨트풀리(42)가 축설되어 있으며, 상기 연동벨트풀리(42)와 구동벨트풀리(41)는 벨트(4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재봉용 구동모터(4)가 구동하여 구동벨트풀리(41)를 회전시키게 되면 벨트(43)에 의하여 연동벨트풀리(42)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연동벨트풀리(42)는 상부 회전축(5a)을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 회전축(5a)에는 상부 타이밍풀리(44)가 축설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타이밍풀리(44)는 상부 타이밍벨트(46)를 통해 중간 회전축(5b)에 설치되어 있는 하부 타이밍풀리(45)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회전축(5a)으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중간 회전축(5b)에는 하부 회전축(5c)으로 회전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타이밍풀리(45)에 비하여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연동타이밍풀리(47)가 축설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하부 회전축(5c)에는 연동타이밍풀리(47)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종동타이밍풀리(48)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연동타이밍풀리(47)와 종동타이밍풀리(48)는 하부 타이밍벨트(49)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이동판(52)과 중간 이동판(54)는 경사프레임(57a)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중간 이동판(54)과 하부 이동판(55)을 수직프레임(57b)에 의하여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고정판(21)의 저부에는 하부지지판(26)이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지지판(26)에는 복수의 재봉바늘(N)이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재봉바늘틀체(6)가 상하로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재봉바늘틀체(6)의 상단에 연결되는 캠연결링크(61)는 상부 회전축(5a)에 축설되어 있는 캠(62)을 감싸도록 있는 캠부재(63)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캠부재(63)는 상부 회전축(5a)이 회전함에 따라 편심상으로 회전하는 캠(62)에 의하여 상하방향을 향해 왕복이동하는 작동으로 재봉바늘틀체(6)를 상하로 왕복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기대(2)의 하부 수납공간(32)에는 정,역방향으로 회전구동이 가능한 정역모터(7)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정역모터(7)는 정,역방향으로의 회전구동과 회전수를 제어하는 작동이 정밀하게 구성된 서보모터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정역모터(7)의 출력축에는 구동풀리(71)가 축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고정판(22) 상면에는 양단이 베어링하우징(부호 생략)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리드스크류축(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리드스크류축(8)의 일단에는 연동풀리(72)가 축설되어 있다. 상기 구동풀리(71)와 연동풀리(72)는 회전벨트(73)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정역모터(7)가 정,역방향으로 회전구동함에 따라 상기 리드스크류축(8)이 정,역방향으로 설정된 회전수로 정확하게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리드스크류축(8)에는 일정간격으로 감싸도록 나사결합되는 좌,우측 스크류블록(81)(8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스크류블록(81)(82) 각각은 정역모터(7)를 정회전시키기 위한 정회전용 스위치센서(8a)와 정역모터(7)을 역회전시키기 위한 역회전용 스위치센서(8b)를 온(on)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정,역회전용 스위치센서(8a)(8b) 각각은 좌,우측 스크류블록(81)(82) 각각에서 설정된 위치에 이격 설치되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도 7 참조), 또한 상기 리드스크류축(8)이 정,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복수의 재봉바늘(N)들이 토목섬유원단(A)(B)이 전진이동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정간격씩 이동하면서 봉제작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재봉바늘(N)들은 토목섬유원단(A)(B)에 직조되어 있는 경사 또는 위사 방향을 따라 평행하는 방향으로 바늘구멍(n)을 형성시키지 않고 한차례 봉제작동을 수행한 후에는 토목섬유원단(A)(B)이 전진이동하는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경사 또는 위사를 일정간격으로 건너뛰면서 봉제작동을 수행하는 작동을 반복하게 되므로 토목섬유원단(A)(B)의 이음단부(D)를 S자 모양을 이루도록 봉제하는 봉제선(P)이 나타나게 결속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10 참조)
그리고 상기 하부 고정판(22)의 일측 상면에는 복수의 고정지지대(27)가 일정간격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고정지지대(27) 각각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베어링하우징(28) 각각에는 토목섬유원단(A)(B)을 일정길이씩 전진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스플라인 견인롤러(29a)의 축(290)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스플라인 견인롤러(29a)의 상측에는 연동스플라인 견인롤러(29b)가 탄력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스플라인 견인롤러(29a)와 연동스플라인 견인롤러(29b)는 탄력적으로 치합되는 구조로 회전하면서 토목섬유원단(A)(B)을 일정길이씩 단속적으로 정확하게 전진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동스플라인 견인롤러(29b)의 양단은 하부지지판(26)에 탄력설치되는 승강조절봉(91)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구(92)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조절봉(91)에는 걸림단턱(9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지지판(26)과 걸림단턱(93) 사이에는 스프링(94)이 탄력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승강조절봉(91)은 롤러승강조절레버(9a)로 승강조절시킬 수 있으며, 상기 롤러승강조절레버(9a)는 하부 고정판(21)과 하부지지판(26)에 연결되어 있는 수직고정간(26a)에 형성되어 있는 축지지돌부(26b)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조절축(95)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축(95)에는 승강조절봉(91)의 걸림단턱(93)을 탄력적으로 들어올리는 캠돌부(9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롤러승강조절레버(9a)를 인위적으로 상향으로 회전시키지 않을 때에는 스프링(94)이 걸림단턱(93)을 탄력적으로 눌러주는 작동에 의해 승강조절봉(91)은 하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승강조절봉(91)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구(92)는 연동스플라인 견인롤러(29b)를 구동스플라인 견인롤러(29a)에 탄력적으로 압착시키게 되므로 상기 연동스플라인 견인롤러(29b)는 구동스플라인 견인롤러(29a)와 탄력적으로 치합되는 상태로 회전하면서 토목섬유원단(A)(B)을 전진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도 5 참조)
또한 상기 하부지지판(26)에는 압착판승강조절레버(9b)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지지판(26)에 상,하 왕복작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재봉바늘틀체(6)의 하측에는 토목섬유원단(A)(B)을 이동가능하게 탄력적으로 눌러주기 위한 원단압착판(9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원단압착판(98)에는 복수의 연결돌기(98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연결돌기(98a) 각각에는 스프링(98b)에 의해 탄력설치된 연결봉(98c)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원단압착판(98)은 압착판승강조절레버(9b)를 일정각도 회전조절시키는 작동으로 승강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6 참조)
또한 상기 원단압착판(98)은 복수의 재봉바늘(N)들이 토목섬유원단(A)(B)의 이음단부(D)의 폭방향으로 왕복이동하면서 봉제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4의 도시와 같이 장공(98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지지판(26)의 하측에는 토목섬유원단(A)(B)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원단안내판(99)과 원단지지판(99a)이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원단안내판(99)의 상면에는 토목섬유원단(A)(B)을 이동가능하게 탄력으로 눌러주는 원단압착판(98)이 상하로 승강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단압착판(98)은 압착판승강조절레버(9b)를 상향으로 회전조절시키는 작동으로 원단안내판(99)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토목섬유원단(A)(B)을 삽입시킬 수 있는 공간(S1)이 형성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롤러승강조절레버(9a) 역시 상향으로 회전조절하는 작동으로 연동스플라인 견인롤러(29b)를 구동스플라인 견인롤러(29a)에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공간(S2)이 형성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도 6 참조)
한편, 상기 재봉바늘틀체(6)의 상하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원단압착판(98)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98d)을 통해 원단안내판(99) 밑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재봉바늘(N)에 연결되어 있는 윗실(상측 섬유사)에 밑실(하측 섬유사)을 걸어주는 작동으로 수행하는 복수의 루퍼(L)들 각각은 원단안내판(99) 저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루퍼(L)들은 하부 회전축(5c)에 축설되어 있는 루퍼작동간(58)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 회전축(5c)이 회전함에 따라 좌,우(또는 전,후)로 일정간격으로 왕복작동(도 5의 화살표 방향 참조)하면서 상,하로 승강작동하는 복수의 재봉바늘(N)들에 의해 공급되는 윗실(상측 섬유사)에 밑실(하측 섬유사)이 얽매이도록 걸어주는 작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루퍼(L)의 작동은 종래 기술과 대동소이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하부 회전축(5c)에 축설되어 있는 왕복작동간(59)은 하부 회전축(5c)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스플라인 견인롤러(29a)의 축(290) 일단에 축설된 일방향베어링(291 : 일명 '외베어링')에는 롤러회전용 작동간(292)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롤러회전용 작동간(292)은 하부 회전축(5C)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도 5의 화살표 방향 참조)으로 바꿔주는 왕복작동간(58)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스플라인 견인롤러(29a)를 일방향(반시계방향)을 향해 일정각도씩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구동스플라인 견인롤러(29a)의 축(290)에 축설되어 있는 일방향베어링(291)은 롤러회전용 작동간(29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 이동하게 될 때에는 공회전하는 한편, 상기 롤러회전용 작동간(292)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때에는 구동스플라인 견인롤러(29a)를 반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씩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아니하지만 기대(2)의 상부 수납공간(31)에 수납되어 있는 복수의 보빈(3a) 각각에 권취되어 있는 윗실(상측 섬유사) 각각은 한가닥씩 복수의 재봉바늘(N)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기대(2)의 하부 수납공간(32)에 수납되어 있는 복수의 보빈(3b) 각각에 권취되어 있는 밑실(하측 섬유사) 각각은 한가닥씩 복수의 루퍼(L)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복수의 재봉바늘(N)들은 상,하로 왕복작동하는 동시에 복수의 루퍼(L)들은 좌,우(또는 전,후)로 왕복작동하면서 토목섬유원단(A)(B)의 이음단부(D)를 봉제할 때 윗실과 밑실이 서로 얽매이도 하면서 상기한 이음단부(D)를 결속시키기 위한 S자 모양의 봉제선(P)을 형성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대(2)의 하부 수납공간(32)에는 다침식 재봉장치(1)를 온/오프 등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콘트롤박스(CB)가 설치되어 있으며, 기대(2)의 상,하부 고정판(21)(22) 사이의 일측에는 상기 재봉용 구동모터(4)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인버터(4a)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침식 재봉장치(1)를 이용하여 토목섬유원단(A)(B)의 이음단부(D)를 중첩하여 S자 모양의 봉제선(P)이 형성되도록 봉제하는데 따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다침식 재봉장치(1)의 원단안내판(99) 위에 토목섬유원단(A)(B)의 이음단부(D)를 삽입시키고자 할 때에는 롤러승강조절레버(9a)와 압착판승강조절레버(9b) 각각을 차례대로 상향 회전조작하는데, 먼저 상기 롤러승강조절레버(9a)를 도 6의 도시와 같이 화살표 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캠돌부(96)가 승강조절봉(91)의 걸림단턱(93)을 상승시키게 되므로 상기 걸림단턱(93)은 스프링(94)을 탄력적으로 압축시키면서 승강조절봉(91)과 그 하단의 지지구(92)를 상승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지지구(92)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는 연동스플라인 견인롤러(29a)가 일정높이로 상승이동하여 구동스플라인 견인롤러(29a)와의 사이에 공간(S2)을 형성시키게 된다. 이어서 상기 압착판승강조절레버(9b)를 반시계방향으로 상향 회전조절하게 되면 연결봉(98c)이 스프링(98b)을 탄력적으로 압축시키면서 원단압착판(98)이 상향으로 일정높이로 상승하여 원단안내판(99)과의 사이에 공간(S1)을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롤러승강조절봉(9a)과 압착판승강조절레버(9b) 각각을 상향으로 회전조절시키는 작동으로 상기 구동스플라인 견인롤러(29a)와 연동스플라인 견인롤러(29b)의 사이 및 상기 원단안내판(99)과 원단압착판(98) 사이 각각에 공간(S1)(S2)을 형성시킨 상태에서 토목섬유원단(A)(B)의 이음단부(D)를 중첩시킨 상태로 상기한 공간(S1)(S2) 사이로 삽입시킨 다음, 앞서 상향으로 회전조절하였던 롤러승강조절레버(9a)와 압착판승강조절레버(9b) 각각 원위치로 복원시키게 되면 스프링(94)(98b) 각각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연동스플라인 견인롤러(29b)와 원단압착판(98)은 각각 토목섬유원단(A)(B)의 이음단부(D)를 탄력적으로 압착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스플라인 견인롤러(29a)가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게 되면 토목섬유원단(A)(B)의 이음단부(D)를 탄력적으로 압착하고 있는 연동스플라인 견인롤러(29b)에 구동스플라인 견인롤러(29a)의 회전력이 전달되며, 이에 따라 상기 구동스플라인 견인롤러(29a)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연동스플라인 견인롤러(29b)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토목섬유원단(A)(B)을 도면상(도 5 참조) 좌측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며, 또한 상기 원단압착판(98)은 토목섬유원단(A)(B)의 이음단부(D)를 이동가능하도록 평탄하게 탄력적으로 눌러주는 상태이므로 복수의 재봉바늘(N)들이 이음단부(D)를 봉제하기 위한 바늘구멍(n)을 설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형성하여 결속시키게 되며, 또한 상기 이음단부(D)를 봉제하는 복수의 재봉바늘(n)들은 상기 원단압착판(98)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98d)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일정간격으로 이동하면서 봉제작동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다침식 재봉장치(1)의 원단안내판(99)과 원단압착판(98) 및 구동스플라인 견인롤러(29a)와 연동스플라인 견인롤러(29b) 각 사이에 토목섬유원단(A)(B)의 이음단부(D)를 중첩시킨 상태로 삽입시키는 작업을 완료한 후에는 상기 다침식 재봉장치(1)에 설치되어 있는 콘트롤박스(CB)의 작동스위치를 온(on) 조작하게 되면 재봉용 구동모터(4)와 정역모터(7)가 구동하여 이음단부(D)를 봉제하게 되는데, 상기 다침식 재봉장치(1)의 재봉용 구동모터(4)의 회전동력으로 토목섬유원단(A)(B)의 이음단부(D)를 봉제하는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재봉용 구동모터(4)는 기존의 재봉장치와 마찬가지로 회전동력을 상부 회전축(5a), 중간 회전축(5b), 하부 회전축(5c)에 차례로 전달하게 되며, 상기 상부 회전축(5a)에 전달되는 회전동력은 재봉바늘틀체(6)를 상,하로 왕복작동시켜 복수의 재봉바늘(N)들이 원단압착판(98)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98d)을 통해 상기 원단압착판(98)의 의해 탄력으로 압착되어 있는 토목섬유원단(A)(B)의 이음단부(D)를 관통하도록 하며, 상기 하부 회전축(5c)에 전달되는 회전동력은 원단안내판(99)의 저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루퍼(L)들을 좌,우(또는 전,후)로 왕복작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복수의 재봉바늘(N)들 각각으로 공급되는 윗실(상측 섬유사)과 상기 복수의 루퍼(L)들 각각의 공급되는 밑실(하측 섬유사)이 서로 얽매이는 상태로 연결시키게 되며, 이와 같이 상기 복수의 재봉바늘(N)들의 상,하 왕복작동과 상기 복수의 루퍼(L)들의 좌,우(또는 전,후) 왕복작동으로 이음단부(D)를 연결시키면서 상기 토목섬유원단(A)(B)을 단속적으로 일정간격씩 전진이동시키는 작동으로 이음단부(D)를 결속시키는데 따른 기술적 구성은 기존의 재봉장치와 대동소이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재봉바늘(N)들과 복수의 루퍼(L)들 각각으로 공급되는 윗실과 밑실이 이음단부(D) 하측에서 서로 얽매이는 상태로 연결되면서 토목섬유원단(A)(B)이 구동스플라인 견인롤러(29a)와 연동스플라인 견인롤러(29b)의 회전작동에 의하여 단속적으로 일정간격씩 전진이동하는 작동과 이와 동시에 상기 복수의 재봉바늘(N)들과 복수의 루퍼(L)들 각각은 토목섬유원단(A)(B)이 일정간격으로 전진이동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정간격씩 이동하면서 봉제하는 작동으로 S자 모양의 봉제선(P)을 형성시키게 하는데 특징이 있으므로, 상기 다침식 재봉장치(1)를 이용하여 토목섬유원단(A)(B)의 이음단부(D)를 S자 모양의 봉제선(P)으로 봉제하는데 따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다침식 재봉장치(1)는 기대(2)의 상부 고정판(21) 상방에 설치되어 있는 재봉용 구동모터(4)와 기대(2)의 하부 고정판(22) 저부에 설치되어 있는 정역모터(7)가 동시에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재봉용 구동모터(4)에 의하여 복수의 재봉바늘(N)들 및 복수의 루퍼(L)들 각각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하 왕복작동 및 좌,우(또는 전,후) 왕복작동을 하면서 토목섬유원단(A)(B)의 이음단부(D)를 봉제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정역모터(4)는 기대(2)의 하부 고정판(2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리드스크류축(8)을 정,역 방향으로 설정된 회전수로 회전시키는 작동으로 하부 이동판(55), 중간 이동판(54), 상부 이동판(52) 각각을 토목섬유원단(A)(B)이 전진이동하는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을 향해 동시에 일정간격씩 왕복이동시키게 되므로 상기 복수의 재봉바늘(N)들과 복수의 루퍼(L)들은 토목섬유원단(A)(B)의 이음단부(D)에 S자 모양의 봉제선(P)이 나타나도록 봉제하게 된다.
즉, 도 7의 도시와 같이 상기 리드스크류축(8)에 일정간격으로 나사결합되어 있는 좌,우측 스크류브록(81)(82)이 각각 정회전용 스위치(8a)와 역회전용 스위치(8b) 각각에서 이격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8의 도시와 같이 상기 정역모터(7)가 정방향(화살표 방향 : 반시계방향 참조)으로 회전하게 될 때에는 상기 리드 스크류축(8)도 정방향(화살표 방향 : 반시계방향 참조)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때에는 상기 리드스크류축(8)을 감싸도록 나사결합되어 있는 좌,우측 스크류블록(81)(82)은 동시에 도면상 우측방향(화살표 참조)으로 이동하는데, 이때 상기 좌,우측 스크류블록(81)(82)이 고정 부착되어 있는 하부 이동판(55)도 좌,우측 스크류블록(81)(82)과 같이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며, 이와 동시에 수직프레임(57b)에 의해 하부 이동판(55)과 연결되어 있는 중간 이동판(54)도 하부 이동판(55) 및 경사프레임(57a)에 의하여 중간 이동판(54)과 연결되어 있는 상부 이동판(52) 등이 상기 하부 이동판(55)과 같이 동시에 같은 방향(우측방향 참조)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리드스크류축(8)이 정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도면상 우측방향(도 8의 화살표 방향 참조)으로 이동하는 우측 스크류블록(82)이 역회전용 스위치센서(8b)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역회전용 스위치센서(8b)는 정역모터(7)를 역방향(화살표 방향 : 시계방향 참조)으로 회전구동시키게 되며, 상기 정역모터(7)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리드스크류축(8)도 역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상기 리드스크류축(8)이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때에는 하부 이동판(55), 중간 이동판(54), 상부 이동판(52) 각각은 동시에 같은 방향(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리드스크류축(8)이 역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기 좌,우측 스크류블록(81)(82)이 도 9의 도시와 같이 도면상 좌측(화살표 방향 참조)으로 이동하여 좌측 스크류블록(81)이 정회전용 스위치센서(8a)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역회전용 스위치센서(8a)는 정역모터(7)를 정방향(반시계방향 : 화살표 방향 참조)으로 회전작동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리드스크류축(8)이 정방향(반시계방향)을로 회전하게 되므로 좌,우측 스크류블록(81)(82)이 도 8의 도시와 같이 도면상 우측방향(화살표 방향 참조)으로 이동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정역모터(7)가 정,역방향으로 회전구동함에 따라 복수의 재봉바늘(N)들이 상,하 방향으로 왕복작동하는 동시에 측방향으로 일정간격씩 왕복이동하면서 토목섬유원단(A)(B)의 이음단부(D)를 봉제하는 작용에 대하여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로 설명하면, 도 8의 도시와 같이 리드스크류축(8)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우측 스크류블록(82)이 역회전용 스위치센서(8b)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정역모터(7)는 정방향에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로 변환하게 되므로 이때 복수의 재봉바늘(N)들은 토목섬유원단(A)(B)의 이음단부(D)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하로 왕복작동하는 봉제작동으로 이음단부(D)의 상측부분에 복수의 바늘구멍(n)을 일정간격으로 형성시키는 작동이 완료되면, 이어서 토목섬유원단(A)(B)이 일정길이로 전진이동(도 10의 화살표 방향 참조)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재봉바늘(N)들은 이음단부(D)의 폭방향 하측부분으로 일정간격 이동한 상태에서 왕복작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므로 복수의 재봉바늘(N)들이 정역모터(7)가 역방향으로 회전구동하는 역회전 이동구간(F1)에서는 복수의 재봉바늘(N)들이 이음단부(D)의 상측부분에서 하측부분을 향해 일정간격씩 하향 이동하여 바늘구멍(N')을 형성하면서 봉제선(P)이 하향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연결시키게 되는 한편, 도 9의 도시와 같이 좌측 스크류블록(81)이 정회전용 스위치센서(8a)에 접촉하게 되면 정역모터(7)는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로 변환하게 되며, 이때에는 복수의 재봉바늘(N)들이 이음단부(D)의 상측부분으로 일정간격씩 이동하면서 상,하로 왕복작동을 반복하게 되므로 상기 정역모터(7)가 정방향으로 회전구동하는 정회전 이동구간(F2)에서 복수의 재봉바늘(N)들이 이음단부(D)의 하측부분에서 상측부분을 향해 일정간격씩 상향 이동하여 바늘구멍(N')을 형성하면서 봉제선(P)이 상향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연결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토목섬유원단(A)(B)의 이음단부(D)를 결속시키기 위한 복수의 재봉바늘(N)들은 역회전 이동구간(F1)에서는 봉제선(P)이 하향으로 연결되도록 결속시키는 작동을 수행하게 되며, 정회전 이동구간(F2)에서는 봉제선(P)이 역회전 이동구간(F1)의 하측부분에 연결되된 상태에서 상향으로 연결되도록 결속시키는 작동을 수행하게 되므로 상기한 역회전 이동구간(F1)에서 연결되는 봉제선(P)의 하단과 상기한 정회전 이동구간(F2)의 봉제선(P)의 상단이 연결되는 봉제작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면 토목섬유원단(A)(B)이 중첩되는 이음단부(D)를 결속시키는 봉제선(P)이 토목섬유원단(A)(B)에 직조되어 있는 경사 또는 위사에 대하여 일정간격으로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되는 바늘구멍(n)에서 연결되어 S자 모양이 반복적으로 연속 형성되는 상태로 토목섬유원단(A)(B)의 중첩된 이음단부(D)를 결속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이음단부(D)의 인장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약지반 개량공사를 시공하는 현장에서 연약지반에 포설되는 토목섬유원단(A)(B)이 강화된 인장강도로 결속되어 연약지반을 개량히기 위한 장비을 안전하게 진입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약지반 개량공사를 효율적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1 : 다침식 재봉장치 2 : 기대
21 : 상부 고정판 22 : 하부 고정판
23 : 중간 고정판 24 : 상부 LM가이드레일
25 : 하부 LM가이드레일 26 : 하부지지판
26a : 수직고정간 26b : 축지지돌부
27 : 고정지지대 28 : 베어링하우징
29a : 구동스플라인 견인로러 29b ; 연동스플라인 견인롤러
290 : 축 291 : 일방향베어링
292 : 롤러회전용 작동간 3a,3b : 보빈
31 : 상부 수납공간 32 : 하부 수납공간
4 : 재봉용 구동모터 41 : 구동벨트풀리
42 : 연동벨트풀리 43 : 벨트
44 : 상부 타이밍플리 45 : 하부 타이밍풀리
46 : 상부 타이밍벨트 47 : 연동타이밍풀리
48 : 종동타이밍풀리 5a : 상부 회전축
5b : 중간 회전축 5c : 하부 회전축
51 : 상부 LM가이드블록 52 : 상부 이동판
53 : 하부 LM가이드블록 54 : 중간 이동판
55 : 하부 이동판 56a,56b : 베어링하우징
57a : 경사프레임 57b : 수직프레임
58 : 루퍼작동간 59 : 왕복작동간
6 : 재봉바늘틀체 61 : 캠연결링크
62 : 캠 63 : 캠부재
7 : 정역모터 71 : 구동풀리
72 : 연동풀리 73 : 회전벨트
8 : 리드스크류축 8a,8b : 정,역회전용 스위치센서
81,82 : 좌,우측 스크류블록 9a : 롤러승강조절레버
9b : 압착판승강조절레버 91 : 승강조절봉
92 : 지지구 93 : 걸림단턱
94 : 스프링 95 : 조절축
96 : 캠돌부 98 : 원단압착판
98a : 연결돌기 98b : 스프링
99 : 원단안내판 99a : 원단지지판
N : 재봉바늘 L : 루퍼
F1 : 역회전 이동구간 F2 : 정회전 이동구간
S1,S2 : 공간 P : 봉제선
CB : 콘트롤박스

Claims (4)

  1. 토목섬유원단을 안내하기 위한 원단안내판과, 상기 원단안내판으로 토목섬유원단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원단을 탄력적으로 눌러주도록 구성되는 원단압착판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단압착판의 상측에 고정 설치된 상부 고정판의 상방에 형성되는 재봉용 구동모터와, 상기 재봉용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원단안내판과 원단압착판 사이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재봉바늘틀체와, 상기 원단압착판의 하측에 형성되어 재봉바늘이 토목섬유원단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할 때 상기 재봉바늘을 통해 공급되는 윗실에 밑실을 걸어주기 위한 루퍼와, 상기 재봉바늘틀체를 상하로 왕복이동시키기 위한 상부 회전축과, 상기 상부 회전축으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중간 회전축과, 상기 중간 회전축으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재봉바늘을 통해 공급되는 윗실에 밑실을 걸어주는 루퍼를 작동시키기 위한 하부 회전축 및 상기 원단안내판과 원단압착판 사이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토목섬유원단의 이음단부를 일정길이씩 단속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스플라인 견인롤러와 연동스플라인 견인롤러를 구비하도록 구성되는 재봉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스플라인 견인롤러와 연동스플라인 견인롤러가 토목섬유원단의 이음단부를 단속적으로 전진 이동시키는 전진이동속도와, 이 전진이동속도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좌우 이동하는 재봉바늘틀체의 좌우이동속도에 의해 복수의 재봉바늘들이 S자 봉제작동을 수행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복수의 재봉바늘들이 리드스크류축(8)의 정역회전 작동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면서 S자 봉제선을 형성하게 되고, 이때 S자 봉제선은 양측 고정지지대(27) 사이에서 리드스크류축(8)이 정·역회전함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좌,우측 스크류블록(81)(82)의 좌우왕복 이동간격이며, 또 상기 리드스크류축(8)의 정역회전은 정역모터(7)를 정·역 방향으로 회전작동시키는 정,역회전용 스위치센서(8a)(8b)에 의해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리드스크류축(8)이 정·역회전함에 따라 상부 회전축(5a), 중간 회전축(5b), 하부 회전축(5c)이 좌우로 왕복이동하는 동시에 재봉바늘틀체와 복수의 재봉바늘들 및 복수의 루퍼들이 함께 좌우로 왕복이동하면서 S자 봉제선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보강용 토목섬유원단을 S자봉제선 이음구조로 봉제하기 위한 다침식 재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용 구동모터와 상부 회전축(5a)은 상부 고정판에 고정되어 있는 상부 LM가이드레일(24)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LM가이드블록(51)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상부 이동판(52)과 같이 일정간격으로 왕복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중간 회전축(5b)은 중간 고정판에 고정되어 있는 하부 LM가이드레일(25)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LM가이드블록(53)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중간 이동판과 같이 일정간격으로 왕복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 회전축(5c)은 하부 고정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리드스크류축(8)에 일정간격으로 나사결합되어 있는 좌,우측 스크류블록(81)(82)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하부 이동판과 같이 일정간격으로 왕복이동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보강용 토목섬유원단을 S자봉제선 이음구조로 봉제하기 위한 다침식 재봉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스크류축(8)에 일정간격으로 나사결합되어 있는 좌,우측 스크류블록(81)(82)은 리드스크류축(8)이 정·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때 축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씩 왕복이동하면서 상기 하부 고정판 상방에 일정간격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는 정·역회전용 스위치센서(8a)(8b)를 교대적으로 온(on)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스크류블록(81)(82)이 리드스크류축(8)의 축방향으로 일정간격씩 왕복이동하면서 상기 정·역회전용 스위치센서(8a)(8b)를 교대적으로 온(on) 작동시킴에 따라 상기 정역모터가 정·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재봉용 구동모터와 상부 회전축(5a), 중간 회전축(5b), 하부 회전축(5c) 및 상기 재봉바늘틀체에 형성된 복수의 재봉바늘들이 원단압착판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의 폭범위내에서 좌우로 왕복이동하면서 봉제작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보강용 토목섬유원단을 S자봉제선 이음구조로 봉제하기 위한 다침식 재봉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용 구동모터와 상부 회전축(5a)이 설치되는 상부 이동판과 상기 중간 회전축(5b)이 설치되는 중간 이동판은 경사프레임(57a)에 의하여 연결 형성되며, 상기 중간 이동판과 하부 이동판은 수직프레임(57b)에 의하여 연결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리드스크류축(8)이 정·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리드스크류축의 축방향으로 왕복이동하게 되는 상기 좌,우측 스크류블록(81)(82)과 함께 하부 이동판, 중간 이동판, 상부 이동판이 동시에 왕복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보강용 토목섬유원단을 S자봉제선 이음구조로 봉제하기 위한 다침식 재봉장치.
KR1020200100445A 2020-08-11 2020-08-11 연약지반 보강용 토목섬유원단을 s자봉제선 이음구조로 봉제하기 위한 다침식 재봉장치 KR102257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445A KR102257617B1 (ko) 2020-08-11 2020-08-11 연약지반 보강용 토목섬유원단을 s자봉제선 이음구조로 봉제하기 위한 다침식 재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445A KR102257617B1 (ko) 2020-08-11 2020-08-11 연약지반 보강용 토목섬유원단을 s자봉제선 이음구조로 봉제하기 위한 다침식 재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7617B1 true KR102257617B1 (ko) 2021-05-28

Family

ID=76140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0445A KR102257617B1 (ko) 2020-08-11 2020-08-11 연약지반 보강용 토목섬유원단을 s자봉제선 이음구조로 봉제하기 위한 다침식 재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761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5160B1 (ko) 1995-09-22 2002-11-14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미싱의천칭가이드
KR100893699B1 (ko) 2008-10-09 2009-04-15 주식회사 신아건설산업 연약지반처리용 토목섬유 및 그 이음방법
KR20120080782A (ko) * 2011-01-10 2012-07-18 김범식 광폭 다중 보온덮개 재봉기
KR101997786B1 (ko) 2018-06-11 2019-07-08 (주)신아건설산업 연약지반 보강을 위한 s자한계봉제선을 갖는 이음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5160B1 (ko) 1995-09-22 2002-11-14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미싱의천칭가이드
KR100893699B1 (ko) 2008-10-09 2009-04-15 주식회사 신아건설산업 연약지반처리용 토목섬유 및 그 이음방법
KR20120080782A (ko) * 2011-01-10 2012-07-18 김범식 광폭 다중 보온덮개 재봉기
KR101997786B1 (ko) 2018-06-11 2019-07-08 (주)신아건설산업 연약지반 보강을 위한 s자한계봉제선을 갖는 이음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59495C (en) Multiple horizontal needle quilting machine and method
US6293210B1 (en) Needle reciprocation
CN1049707C (zh) 缝纫机
AU2003225712B2 (en) Multiple horizontal needle quilting machine and method
US4870915A (en) Yarn feed system for tufting machines
JPS6141356A (ja) 多方向性繊維構造の製造方法と装置
JPH07300765A (ja) 縫い込みヘッド及び複合要素用補強体の製造機械
KR102257617B1 (ko) 연약지반 보강용 토목섬유원단을 s자봉제선 이음구조로 봉제하기 위한 다침식 재봉장치
CN112074633A (zh) 带颜色设置和图案缩放的可变针距或多针距簇绒
CN202227092U (zh) 缝纫机
CN1609309B (zh) 纺织机械及其控制方法
US4103630A (en) Tufting machines and method
EP2391757B1 (en) Machine for sewing, embroidering, quilting and/or the like employing curved sewing needles with corresponding movement of needle bars
US4448047A (en) Embroidery device for crochet machines
JPH07194875A (ja) カバー・ステッチ無しの飾りステッチを作るための多針のミシンで連続鎖を形成する装置
CN1152045A (zh) 缝纫机及使用该缝纫机的缝纫方法
AU2020298041B2 (en) A tufting machine
CN115948873A (zh) 一种便于更换纺织针头的纺织装置
KR102449156B1 (ko) 코아 네트 제조장치
US6945281B2 (en) Weaving machine with a needle bar and an insertion element for warp threads
CN111748902B (zh) 一种具有压紧板的针织机
KR20090114820A (ko) 자수기의 연속적인 루프 형성장치 및 방법
JP5408645B2 (ja) 1本糸錠縫化ハンドステッチミシン
WO2005024109A1 (en) Device to automatically change the thread in a needle in textile machines, relative method and textile machine adopting said thread-change device
CN216426323U (zh) 一种基于纺织面料线缠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