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9156B1 - 코아 네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코아 네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9156B1
KR102449156B1 KR1020220045940A KR20220045940A KR102449156B1 KR 102449156 B1 KR102449156 B1 KR 102449156B1 KR 1020220045940 A KR1020220045940 A KR 1020220045940A KR 20220045940 A KR20220045940 A KR 20220045940A KR 102449156 B1 KR102449156 B1 KR 102449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ft
yarn
warp
weft yarn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5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태
Original Assignee
안병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병태 filed Critical 안병태
Priority to KR1020220045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91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1/00Loo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r weaving chenille yarn; Details peculiar to these looms
    • D03D41/002Looms for weaving reed, straw or woo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7Drive or guide mechanisms for weft inserting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Abstract

본 발명은 코코넛 섬유사로 이루어진 경사와 위사를 직조부로 공급하면 결속사가 이를 직조 방식으로 결속시켜 코아 네트를 자동 생산하는 코아 네트 제조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코아 네트 제조장치{Coir net manufacturing equipment}
본 발명은 코아 네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코넛 섬유사로 이루어진 경사와 위사를 직조부로 공급하면 결속사가 이를 직조 방식으로 결속시켜 코아 네트를 자동 생산하는 코아 네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아 네트(Coir net)라는 것은 천연 코코넛 열매 섬유로 다수의 수용공간을 갖도록 가로와 세로로 교차되게 직조된 그물조직으로, 내구성 및 인장강도가 뛰어나고 보온 및 보습성이 우수하여 종자의 발아 및 발근에 효과가 있어 경사면의 침식이나 붕괴방지를 위해 씌워주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코아 네트를 제조하는 종래의 방법은 수작업에 의해 성근 그물조직으로 직조되고 있다.
그러나 코아 네트를 수작업을 제조하다보니 작업성이 떨어지고 대량 생산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수작업을 작업하면 경사와 위사가 균일한 간격을 유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시공하였을 때 한쪽으로 쏠리는 문제점이 있고, 시공현장의 길이에 맞게 절단시 올이 풀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57678호에는 코아 네트를 자동으로 제조하는 코아 네트 직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 개시된 종래의 코아 네트 직조장치는 공급되는 위사를 지그재그로 안내할 때 실린더를 통해 위사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때문에 실린더의 작동 범위가 길어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위사의 이동 거리만큼 실린더 로드의 길이를 설계하다보니 실린더의 전체적인 길이가 길어져 실린더의 제작 및 설치가 쉽지 않고 설치 공간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57678호(등록일: 2017년07월07일), 발명의 명칭: "코아 네트 직조장치"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18174호(등록일: 2008년03월25일), 발명의 명칭: " 절개지 녹화용 네트와 이 네트를 사용한 녹화용 매트"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4266호(등록일: 2010년09월20일), 발명의 명칭: " 뿌리엉김 코이어매트 및 이를 이용한 법면 녹화공법" 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0-0469648호(등록일: 2013년10월21일), 발명의 명칭: "사면 녹화용 네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소정 간격을 두고 여러 가닥으로 공급하는 경사와 한 가닥을 지그재그로 공급하는 위사를 결속사로 엮는 직조 방식으로 코아 네트를 자동 생산하되, 모터를 이용한 왕복타이밍벨트 방식을 적용하여 위사의 지그재그 공급을 원활하게 하고, 위사회전공급수단을 설치하여 지그재그로 공급되는 위사를 직조하기 위해 경사에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이동시킬 때 위사를 이동시키는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킨 코아 네트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은, 다수의 코바늘이 상하로 작동하면서 결속사를 엮어서 경사와 위사를 결속시키는 직조부, 코코넛 섬유사로 이루어진 복수의 경사를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직조부로 공급하는 경사공급부, 복수의 경사를 전방에서 가로질러 직교하도록 코코넛 섬유사로 이루어진 위사를 직조부로 공급하는 위사공급부, 경사와 위사를 결속시키는 결속사를 직조부로 공급하는 결속사공급부가 구비되어, 직조부로 경사, 위사, 결속사를 공급하면 결속사를 엮게 되는 코바늘이 상하로 작동함과 아울러 경사와 결속사가 각각 전후 좌우로 작동하면서 경사와 위사가 교차하는 부분을 결속사로 결속시켜 코아 네트를 제조하는 장치로, 상기 직조부의 전방에는 위사지그재그공급수단이 설치되어 공급되는 위사를 경사의 전방에서 경사를 가로질러 직교하도록 수평으로 공급할 때 이 위사를 좌우로 왕복 이동시켜 위사를 지그재그로 공급하게 구성되고, 상기 위사가 지그재그로 굴절되는 양쪽 끝부분에는 각각 위사회전공급수단이 설치되어 위사가 경사를 가로질러 직교하도록 공급되면 이 위사를 경사 쪽으로 밀어서 결속사로 결속시킬 때 위사와 경사가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위사회전공급수단의 사이에는 위사받침수단이 설치되어 위사와 경사를 결속사로 결속시킬 때 경사를 가로질러 직교하도록 수평으로 공급된 위사의 중간 부분이 하방향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위사의 중간 부분을 받쳐 지지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아 네트 제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위사지그재그공급수단은 상기 직조부의 전방 일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위사왕복용구동풀리와, 상기 위사왕복용구동풀리와 모터축으로 연결되어 위사왕복용구동풀리를 선택적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위사왕복용모터와, 상기 직조부의 전방 타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위사왕복용피동풀리와, 상기 위사왕복용구동풀리와 위사왕복용피동풀리를 연결하여 수평으로 길게 설치되고, 위사왕복용구동풀리의 회전 방향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는 위사왕복용타이밍벨트와, 상기 위사왕복용타이밍벨트의 일부분에 고정되어 위사왕복용타이밍벨트와 함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고, 선단부에는 위사안내공이 관통 형성되어 위사가 위사안내공을 통과하여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위사가이더대로 구성되어, 상기 위사를 위사가이더대의 위사안내공을 통과하도록 공급하면 위사가이더대가 위사왕복용타이밍벨트와 함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위사를 지그재그로 공급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위사회전공급수단은 상기 위사가 지그재그로 굴절되는 양쪽 끝부분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복수의 걸림핀이 일정 등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 회전걸림구와, 상기 회전걸림구의 센터에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걸림구축과, 상기 회전걸림구축의 일부분에 결합되어 회전걸림구축과 함께 회전하는 걸림구용피동풀리와, 상기 걸림구용피동풀리와 이격되어 평행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걸림구용구동풀리와, 상기 걸림구용구동풀리와 모터축으로 연결되어 걸림구용구동풀리를 회전시키는 걸림구용모터와, 상기 걸림구용구동풀리와 걸림구용피동풀리를 연결하여 걸림구용피동풀리가 회전하게 동력을 전달하는 걸림구용타이밍벨트로 구성되어, 상기 경사를 가로질러 직교하도록 공급되는 위사가 회전걸림구의 걸림핀과 걸림핀의 사이로 안내되면 걸림구용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걸림구가 회전하면서 걸림핀이 위사를 걸어서 전방으로 밀어 위사와 경사가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이동시키게 구성되며, 상기 회전걸림구의 옆에는 푸싱실린더를 통해 푸셔가 전후로 작동하면서 위사를 밀어줄 수 있게 설치되어, 위사와 경사가 근접하게 위치한 상태로 결속사를 통해 결속 작업이 완료되면 결속된 위사를 밀어서 회전걸림구의 걸림핀에서 이탈되도록 함으로 위사를 공급하고 결속하는 다음 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위사받침수단은 상기 직조부의 전방에 수평으로 길게 설치되되, 전후로 왕복 작동하게 설치된 전후작동바와, 상기 전후작동바의 중간 중간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다수의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에 고정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받침핀으로 구성되어, 상기 위사가 경사를 가로질러 직교하도록 수평으로 공급되면 받침핀이 전진하여 위사의 중간 부분을 받쳐 지지함으로 위사의 중간 부분이 하방향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아 네트 제조장치는 소정 간격을 두고 여러 가닥으로 공급하는 경사와 한 가닥을 지그재그로 공급하는 위사를 결속사로 엮는 직조 방식으로 코아 네트를 자동 생산하기 때문에 대량 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아 네트 제조장치는 위사를 지그재그로 공급할 때 모터를 이용한 왕복타이밍벨트 방식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위사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고, 위사회전공급수단을 설치하여 지그재그로 공급되는 위사를 경사에 근접하게 위치시키는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결속사를 통해 경사와 위사의 결속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따라서 생산성 뿐만 아니라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아 네트 제조장치를 전체적으로 촬영한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아 네트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주된 구성만을 발췌해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위사지그재그공급수단을 발췌해서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위사회전공급수단과 위사받침수단을 발췌해서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위사회전공급수단의 한쪽 부분을 촬영한 사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위사회전공급수단의 반대쪽 부분을 촬영한 사진,
도 8은 본 발명에서 회전걸림구의 걸림핀에 위사가 걸려 있는 상태를 촬영한 사진,
도 9는 본 발명에서 위사가 위사가이더대를 통해 좌우로 이동하는 상태를 촬영한 사진,
도 10은 본 발명의 직조부에서 코아 네트가 직조되는 상태를 정면에서 촬영한 사진.
도 11은 본 발명의 직조부에서 코아 네트가 직조되는 상태를 후면에서 촬영한 사진.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위사받침수단의 일부분을 촬영한 사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코아 네트 제조장치에서 제조된 코아 네트를 촬영한 사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코아 네트 제조장치는 직조부(100), 경사공급부(200), 위사공급부(300), 위사지그재그공급수단(600), 위사회전공급수단(700), 위사받침수단(800), 결속사공급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직조부(100)는 다수의 코바늘(110)이 상하로 작동하면서 결속사(Y3)를 엮어서 위사(Y2)와 경사(Y1)를 결속시키는 부분으로, 통상적인 편직기의 직조 방식과 동일한 작동 원리를 갖기 때문에 구체적인 작동 원리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코바늘(110)은 가림판(130)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하로 작동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코바늘(110)은 코바늘설치대(112)에 고정되되,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며, 코바늘설치대(112)는 코바늘작동부(120)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면서 코바늘(110)을 작동시키게 구성된다. 물론, 코바늘작동부(120)의 작동 원리 및 구조는 편직기에서 공지된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렇게 설치된 코바늘(110)은 가림판(130)을 기준으로 전방에서 결속사(Y3)를 엮어서 위사(Y2)와 경사(Y1)를 결속시키게 되며, 결속된 위사(Y2)와 경사(Y1)는 가림판(130)의 후면을 따라 흘러내려가면서 별도로 회수되기 때문에 코바늘(110)이 작동할 때 간섭되는 현상이 생기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경사공급부(200)는 코코넛 섬유사로 이루어진 복수의 경사(Y1)를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직조부(100)로 공급하게 구성된다. 즉, 직조부(100)의 상부에 복수의 경사공급롤(210)이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설치되며, 각각의 경사공급롤(210)에서 경사(Y1)가 공급되기 때문에 도 10,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경사(Y1)가 서로 평행하게 직조부(100)로 안내된다.
이렇게 경사공급부(200)에서 공급되는 경사(Y1)는 경사작동판(220)을 통해 직조부(100)로 안내된다. 즉, 경사작동판(220)은 직조부(1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정면 하단에는 경사안내공(232)이 관통 형성된 경사가이더링(230)이 설치되어 경사(Y1)가 경사안내공(232)을 관통한 상태로 직조부(100)로 안내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경사작동판(220)의 상부에는 직조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설치된 중심축(500)이 설치되고, 이 중심축(500)에 경사작동판(220)의 상단이 결합되어 중심축(500)과 함께 움직이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중심축(500)과 경사작동판(220)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전후좌우작동부(510)가 설치되는 데, 이 전후좌우작동부(510)는 중심축(500)을 회전시켜 경사작동판(220)의 하부가 중심축(500)을 중심으로 전후로 시소 운동하는 것과 아울러 별도의 슬라이딩 구조를 통해 경사작동판(220)을 중심축(500)을 따라 좌우로 왕복 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전후좌우작동부(510)의 작동에 의해 경사작동판(220)이 전후좌우로 움직이면서 경사(Y1)를 전후좌우도 움직여 직조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전후좌우작동부(510)의 작동 원리 및 구조는 편직기에서 공지된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위사공급부(300)는 코코넛 섬유사로 이루어진 위사(Y2)를 직조부(100)로 공급하되, 복수의 경사(Y1)를 전방에서 가로질러 직교하도록 공급하게 구성된다. 즉, 별도의 위사공급롤(310)에서 공급되는 한 가닥의 위사(Y2)가 직조부(100)의 전방에 설치된 위사지그재그공급수단(600)을 통해 직조부(100)로 안내되는 데, 이 위사지그재그공급수단(600)은 공급되는 위사(Y2)를 경사(Y1)의 전방에서 경사(Y1)를 가로질러 직교하도록 수평으로 공급할 때 좌우로 왕복 이동시켜 위사(Y2)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로 공급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위사지그재그공급수단(600)은 도 1, 도 2, 도 4,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조부(100)의 전방 일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위사왕복용구동풀리(622)와, 위사왕복용구동풀리(622)와 모터축으로 연결되어 위사왕복용구동풀리(622)를 선택적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위사왕복용모터(620)와, 직조부(100)의 전방 타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위사왕복용피동풀리(624)와, 위사왕복용구동풀리(622)와 위사왕복용피동풀리(624)를 연결하여 수평으로 길게 설치되고 위사왕복용구동풀리(62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는 위사왕복용타이밍벨트(626)와, 위사왕복용타이밍벨트(626)의 일부분에 고정되어 위사왕복용타이밍벨트(626)와 함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고 선단부에는 위사안내공(612)이 관통 형성되어 위사(Y2)가 위사안내공(612)을 통과하여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위사가이더대(610)로 구성된다.
따라서 위사(Y2)가 위사가이더대(610)의 위사안내공(612)으로 안내된 상태에서 위사왕복용모터(620)가 정회전하면 위사왕복용타이밍벨트(626)가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위사(Y2)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위사왕복용모터(620)가 역회전하면 위사왕복용타이밍벨트(626)가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위사(Y2)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위사(Y2)를 지그재그 방식으로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위사가이더대(610)는 위사왕복용타이밍벨트(626)를 따라 좌우로 왕복 이동할 때 도 4,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630)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된다. 즉, 직조부(100)의 전방에는 위사왕복용타이밍벨트(626)와 평행하게 본체프레임(10)이 설치되고, 이 본체프레임(10)의 상면에는 좌우로 길게 레일(630)이 설치되며, 위사가이더대(610)의 단부 저면에는 레일(630)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632)가 설치된다. 따라서 위사가이더대(610)가 위사왕복용타이밍벨트(626)를 따라 좌우로 왕복 이동할 때 위사가이더대(610)의 저면에 설치된 슬라이더(632)가 레일(630)에 조립되어 레일(630)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위사가이더대(610)는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사가이더대(610)가 좌우로 왕복 이동하면서 위사(Y2)를 지그재그로 공급할 때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사(Y2)가 공급되는 범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센서(640)가 설치된다. 즉, 위사(Y2)를 지그재그로 공급할 때 꺽이는 부분인 좌측과 우측 단부에는 본체프레임(10)의 대응되는 위치에 센서(640)가 설치되고, 위사가이더대(610)의 단부에는 센서(640)와 대응되는 위치에 센서터치바(642)가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위사가이더대(610)가 좌측으로 최대한 이동하면 좌측에 위치한 센서(640)가 센서터치바(642)를 감지하여 이동을 제한하고, 위사가이더대(610)가 우측으로 최대한 이동하면 우측에 위치한 센서(640)가 센서터치바(642)를 감지하여 이동을 제한하게 되며, 이로 인해 위사가이더대(610)는 정해진 범위내에서 좌측과 우측으로 반복 이동하면서 위사(Y2)를 정확한 길이로 지그재그로 공급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사(Y2)가 지그재그로 굴절되는 양쪽 끝부분에는 각각 위사회전공급수단(700)이 설치되어 위사(Y2)가 경사(Y1)를 가로질러 직교하도록 공급되면 이 위사(Y2)를 경사(Y1) 쪽으로 밀어서 결속사(Y3)로 결속시킬 때 위사(Y2)와 경사(Y1)가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위사회전공급수단(700)은 도 2, 도 5, 도 6, 도 7,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사(Y2)가 지그재그로 굴절되는 양쪽 끝부분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양쪽에 설치된 위사회전공급수단(700)은 동일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함께 설명한다.
이러한 위사회전공급수단(700)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복수의 걸림핀(712)이 일정 등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 회전걸림구(710)와, 회전걸림구(710)의 센터에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걸림구축(714)과, 회전걸림구축(714)의 일부분에 결합되어 회전걸림구축(714)과 함께 회전하는 걸림구용피동풀리(724)와, 걸림구용피동풀리(724)와 이격되어 평행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걸림구용구동풀리(722)와, 걸림구용구동풀리(722)와 모터축으로 연결되어 걸림구용구동풀리(722)를 회전시키는 걸림구용모터(720)와, 걸림구용구동풀리(722)와 걸림구용피동풀리(724)를 연결하여 걸림구용피동풀리(724)가 회전하게 동력을 전달하는 걸림구용타이밍벨트(726)로 구성된다.
따라서 경사(Y1)를 가로질러 직교하도록 공급되는 위사(Y2)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걸림구(710)의 걸림핀(712)과 걸림핀(712)의 사이로 안내되면 걸림구용모터(72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걸림구(710)가 회전하면서 도 3의 (b)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핀(712)이 위사(Y2)를 걸어서 전방으로 밀어 위사(Y2)가 경사(Y1)에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회전걸림구(710)의 옆에는 푸싱실린더(730)를 통해 푸셔(732)가 전후로 작동하면서 위사(Y2)를 밀어줄 수 있게 설치된다. 따라서 위사(Y2)와 경사(Y1)가 근접하게 위치한 상태로 결속사(Y3)를 통해 결속 작업이 완료되면 결속된 위사(Y2)를 밀어서 회전걸림구(710)의 걸림핀(712)에서 이탈되도록 함으로 위사(Y2)를 공급하고 결속하는 다음 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사회전공급수단(700)의 사이에 위사받침수단(800)이 설치되는 데, 이 위사받침수단(800)은 위사(Y2)와 경사(Y1)를 결속사(Y3)로 결속시킬 때 경사(Y1)를 가로질러 직교하도록 수평으로 공급된 위사(Y2)의 중간 부분이 하방향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위사(Y2)의 중간 부분을 받쳐 지지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위사받침수단(800)은 도 5,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조부(100)의 전방에 수평으로 길게 설치되되, 전후로 왕복 작동하게 설치된 전후작동바(810)와, 전후작동바(810)의 중간 중간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다수의 지지편(812)과, 지지편(812)에 고정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받침핀(820)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위사(Y2)가 경사(Y1)를 가로질러 직교하도록 수평으로 공급되면 받침핀(820)이 전진하여 위사(Y2)의 중간 부분을 받쳐 지지함으로 위사(Y2)의 중간 부분이 하방향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결속사공급부(400)는 위사(Y2)와 경사(Y1)를 결속시키는 복수의 결속사(Y3)를 직조부(100)로 공급하게 구성된다. 즉, 직조부(100)의 상부에 복수의 결속사공급롤(410)이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설치되며, 각각의 결속사공급롤(410)에서 공급되는 결속사(Y3)가 경사(Y1)와 위사(Y2)의 결속 부분에 안내되어 위사(Y2)와 경사(Y1)를 결속시키게 된다.
이렇게 결속사공급부(400)에서 공급되는 결속사(Y3)는 결속사작동판(420)을 통해 직조부(100)로 안내된다. 즉, 결속사작동판(420)은 직조부(100)의 상부에서 결사작동판(220)과 마주보게 설치되며, 후면 하단에는 결속사안내공(432)이 관통 형성된 결속사가이더링(430)이 설치되어 결속사(Y3)가 결속사안내공(432)을 관통한 상태로 직조부(100)로 안내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결속사작동판(420)의 상단은 중심축(500)에 결합되어 중심축(500)과 함께 움직이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중심축(500)과 결속사작동판(420)이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전후좌우작동부(510)와 연결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전후좌우작동부(510)는 중심축(500)을 회전시켜 결속사작동판(420)의 하부가 중심축(500)을 중심으로 전후로 시소 운동하는 것과 아울러 별도의 슬라이딩 구조를 통해 결속사작동판(420)을 중심축(500)을 따라 좌우로 왕복 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전후좌우작동부(510)의 작동에 의해 결속사작동판(420)이 전후좌우로 움직이면서 결속사(Y3)를 전후좌우도 움직여 결속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전후좌우작동부(510)의 작동 원리 및 구조는 편직기에서 공지된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코아 네트 제조장치의 작동 관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을 통해 코아 네트를 제조할 때는 도 2,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공급부(200)에서 경사(Y1)를 직조부(100)로 공급하고, 위사공급부(300)에서 위사(Y2)를 직조부(100)로 공급하며, 결속사공급부(400)에서 결속사(Y3)를 직조부(100)로 공급한다.
이때, 경사(Y1)를 직조부(100)에 수직으로 공급하는 데, 복수의 경사(Y1)를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한 상태로 수직으로 연속되게 공급한다. 그리고 위사(Y2)는 경사(Y1)의 전방에서 복수의 경사(Y1)를 가로질러 직교하도록 수평으로 공급한다. 이처럼 경사(Y1)와 위사(Y2)가 직조부(100)로 공급되어 서로 직교하게 배치되면, 코바늘(110)이 상하로 움직이면서 직조부(100)로 공급되는 결속사(Y3)를 엮는 작업과 아울러 경사작동판(220)과 결속사작동판(420)이 각각 전후좌우작동부(510)를 통해 전후좌우로 움직이면서 서로 근접하게 위치되어 있는 경사(Y1)와 위사(Y2)의 교차 부분을 결속사(Y3)로 결속시키는 직조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코바늘(110)이 상하 작동하고 경사작동판(220)과 결속사작동판(420)이 각각 전후좌우로 움직이면서 결속사(Y3)로 경사(Y1)와 위사(Y2)를 결속하는 기술은 편직기에서 공지된 기술이기 때문에 작동 원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직조 작업은 위사(Y2)가 경사(Y1)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평으로 공급되면 결속사(Y3)를 통해 결속 작업이 이루어지고, 결속 처리된 경사(Y1)와 위사(Y2)는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조부(100)에서 하방향으로 한 스탭씩 이동함과 동시에 새로운 위사(Y2)가 지그재그 방식으로 경사(Y1)의 정면으로 안내되며, 다시 결속사(Y3)가 경사(Y1)와 위사(Y2)를 결속시키게 되는 작업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직조 작업이 연속된다.
특히, 본 발명은 위사(Y2)를 공급할 때 위사지그재그공급수단(600)이 작동되어 한 가닥의 위사(Y2)를 지그재그 방식으로 연속되게 공급하고, 위사회전공급수단(700)이 작동되어 공급된 위사(Y2)를 밀어 경사(Y1)에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하며, 위사받침수단(800)이 작동되어 위사(Y2)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위사지그재그공급수단(600)은 위사(Y2)가 위사가이더대(610)의 위사안내공(612)으로 안내된 상태에서 위사왕복용모터(620)가 정회전하면 도 4에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위사왕복용타이밍벨트(626)가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위사(Y2)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위사왕복용모터(620)가 역회전하면 도 4에 가상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위사왕복용타이밍벨트(626)가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위사(Y2)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한 가닥의 위사(Y2)를 지그재그 방식으로 공급하게 된다. 위사(Y2)가 이동하는 상태는 도 9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위사회전공급수단(700)은 경사(Y1)를 가로질러 직교하도록 공급되는 위사(Y2)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걸림구(710)의 걸림핀(712)과 걸림핀(712)의 사이로 안내되면 회전걸림구(710)가 회전하면서 도 3의 (b)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핀(712)이 위사(Y2)를 걸어서 전방으로 밀어 위사(Y2)와 경사(Y1)가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한다. 물론, 이 상태에서 경사(Y1)와 위사(Y2)를 결속사(Y3)로 결속시키게 된다.
그리고 결속사(Y3)를 통해 위사(Y2)와 경사(Y1)의 결속 작업이 완료되면 도 5에 가상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푸싱실린더(730)의 푸셔(732)가 전진하면서 결속된 위사(Y2)를 밀어서 회전걸림구(710)의 걸림핀(712)에서 이탈되도록 한다. 그러면 위사(Y2)를 공급하고 결속하는 다음 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위사받침수단(800)은 위사(Y2)가 경사(Y1)를 가로질러 직교하도록 수평으로 공급되면 받침핀(820)이 전진하여 위사(Y2)의 중간 부분을 받쳐 지지함으로 위사(Y2)의 중간 부분이 하방향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경사(Y1)와 위사(Y2)를 공급하고 결속사(Y3)로 결속시키는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면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코아 네트를 자동 생산하게 된다.
이상에서와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직조부 110: 코바늘
112: 코바늘설치대 120: 코바늘작동부
130: 가림판 200: 경사공급부
210: 경사공급롤 220: 경사작동판
230: 경사가이더링 300: 위사공급부
310: 위사공급롤 400: 결속사공급부
410: 결속사공급롤 420: 결속사작동판
430: 결속사가이더링 500: 중심축
510: 전후좌우작동부 600: 위사지그재그공급수단
610: 위사가이더대 612: 윈사안내공
620: 위사왕복용모터 622: 위사왕복용구동풀리
624: 위사왕복용피동풀리 626: 위사왕복용타이밍벨트
630: 레일 632: 슬라이더
640: 센서 642: 센서터치바
700: 위사회전공급수단 710: 회전걸림구
712: 걸림핀 720: 걸림구용모터
722: 걸림구용구동풀리 724: 걸림구용피동풀리
726: 걸림구용타이밍벨트 730: 푸싱실린더
732: 푸셔 800: 위사받침수단
810: 전후작동바 812: 지지편
814: 연장봉 820: 받침핀
Y1: 경사 Y2: 위사
Y3: 결속사

Claims (4)

  1. 다수의 코바늘이 상하로 작동하면서 결속사를 엮어서 경사와 위사를 결속시키는 직조부, 코코넛 섬유사로 이루어진 복수의 경사를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직조부로 공급하는 경사공급부, 복수의 경사를 전방에서 가로질러 직교하도록 코코넛 섬유사로 이루어진 위사를 직조부로 공급하는 위사공급부, 경사와 위사를 결속시키는 결속사를 직조부로 공급하는 결속사공급부가 구비되어, 직조부로 경사, 위사, 결속사를 공급하면 결속사를 엮게 되는 코바늘이 상하로 작동함과 아울러 경사와 결속사가 각각 전후 좌우로 작동하면서 경사와 위사가 교차하는 부분을 결속사로 결속시켜 코아 네트를 제조하는 장치로,
    상기 직조부의 전방에는 위사지그재그공급수단이 설치되어 공급되는 위사를 경사의 전방에서 경사를 가로질러 직교하도록 수평으로 공급할 때 이 위사를 좌우로 왕복 이동시켜 위사를 지그재그로 공급하게 구성되고,
    상기 위사가 지그재그로 굴절되는 양쪽 끝부분에는 각각 위사회전공급수단이 설치되어 위사가 경사를 가로질러 직교하도록 공급되면 이 위사를 경사 쪽으로 밀어서 결속사로 결속시킬 때 위사와 경사가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위사회전공급수단의 사이에는 위사받침수단이 설치되어 위사와 경사를 결속사로 결속시킬 때 경사를 가로질러 직교하도록 수평으로 공급된 위사의 중간 부분이 하방향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위사의 중간 부분을 받쳐 지지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아 네트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사지그재그공급수단은
    상기 직조부의 전방 일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위사왕복용구동풀리와,
    상기 위사왕복용구동풀리와 모터축으로 연결되어 위사왕복용구동풀리를 선택적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위사왕복용모터와,
    상기 직조부의 전방 타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위사왕복용피동풀리와,
    상기 위사왕복용구동풀리와 위사왕복용피동풀리를 연결하여 수평으로 길게 설치되고, 위사왕복용구동풀리의 회전 방향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는 위사왕복용타이밍벨트와,
    상기 위사왕복용타이밍벨트의 일부분에 고정되어 위사왕복용타이밍벨트와 함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고, 선단부에는 위사안내공이 관통 형성되어 위사가 위사안내공을 통과하여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위사가이더대로 구성되어,
    상기 위사를 위사가이더대의 위사안내공을 통과하도록 공급하면 위사가이더대가 위사왕복용타이밍벨트와 함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위사를 지그재그로 공급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아 네트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사회전공급수단은
    상기 위사가 지그재그로 굴절되는 양쪽 끝부분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복수의 걸림핀이 일정 등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 회전걸림구와,
    상기 회전걸림구의 센터에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걸림구축과,
    상기 회전걸림구축의 일부분에 결합되어 회전걸림구축과 함께 회전하는 걸림구용피동풀리와,
    상기 걸림구용피동풀리와 이격되어 평행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걸림구용구동풀리와,
    상기 걸림구용구동풀리와 모터축으로 연결되어 걸림구용구동풀리를 회전시키는 걸림구용모터와,
    상기 걸림구용구동풀리와 걸림구용피동풀리를 연결하여 걸림구용피동풀리가 회전하게 동력을 전달하는 걸림구용타이밍벨트로 구성되어,
    상기 경사를 가로질러 직교하도록 공급되는 위사가 회전걸림구의 걸림핀과 걸림핀의 사이로 안내되면 걸림구용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걸림구가 회전하면서 걸림핀이 위사를 걸어서 전방으로 밀어 위사와 경사가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이동시키게 구성되며,
    상기 회전걸림구의 옆에는 푸싱실린더를 통해 푸셔가 전후로 작동하면서 위사를 밀어줄 수 있게 설치되어, 위사와 경사가 근접하게 위치한 상태로 결속사를 통해 결속 작업이 완료되면 결속된 위사를 밀어서 회전걸림구의 걸림핀에서 이탈되도록 함으로 위사를 공급하고 결속하는 다음 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아 네트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사받침수단은
    상기 직조부의 전방에 수평으로 길게 설치되되, 전후로 왕복 작동하게 설치된 전후작동바와,
    상기 전후작동바의 중간 중간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다수의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에 고정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받침핀으로 구성되어,
    상기 위사가 경사를 가로질러 직교하도록 수평으로 공급되면 받침핀이 전진하여 위사의 중간 부분을 받쳐 지지함으로 위사의 중간 부분이 하방향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아 네트 제조장치.
KR1020220045940A 2022-04-13 2022-04-13 코아 네트 제조장치 KR102449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940A KR102449156B1 (ko) 2022-04-13 2022-04-13 코아 네트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940A KR102449156B1 (ko) 2022-04-13 2022-04-13 코아 네트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9156B1 true KR102449156B1 (ko) 2022-09-29

Family

ID=83462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5940A KR102449156B1 (ko) 2022-04-13 2022-04-13 코아 네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915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174B1 (ko) 2006-09-15 2008-03-31 청산산업 주식회사 절개지 녹화용 네트와 이 네트를 사용한 녹화용 매트
KR100984266B1 (ko) 2010-06-21 2010-09-30 (주)이젠리버텍 뿌리엉김 코이어매트 및 이를 이용한 법면 녹화공법
KR200469648Y1 (ko) 2013-02-18 2013-10-28 보경산업주식회사 사면 녹화용 네트
KR101750057B1 (ko) * 2017-04-19 2017-06-22 주식회사 승진텍라인 야자 섬유질 로프 전용 매트 직조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보행매트, 식생매트, 코어네트
KR101757678B1 (ko) 2015-11-10 2017-07-13 유기용 코아 네트 직조장치
KR102030589B1 (ko) * 2018-06-04 2019-10-10 고영신 매트용 직조장치
KR102073019B1 (ko) * 2019-10-10 2020-02-04 주식회사 코단에코로드 보행용매트 직조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174B1 (ko) 2006-09-15 2008-03-31 청산산업 주식회사 절개지 녹화용 네트와 이 네트를 사용한 녹화용 매트
KR100984266B1 (ko) 2010-06-21 2010-09-30 (주)이젠리버텍 뿌리엉김 코이어매트 및 이를 이용한 법면 녹화공법
KR200469648Y1 (ko) 2013-02-18 2013-10-28 보경산업주식회사 사면 녹화용 네트
KR101757678B1 (ko) 2015-11-10 2017-07-13 유기용 코아 네트 직조장치
KR101750057B1 (ko) * 2017-04-19 2017-06-22 주식회사 승진텍라인 야자 섬유질 로프 전용 매트 직조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보행매트, 식생매트, 코어네트
KR102030589B1 (ko) * 2018-06-04 2019-10-10 고영신 매트용 직조장치
KR102073019B1 (ko) * 2019-10-10 2020-02-04 주식회사 코단에코로드 보행용매트 직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1505B2 (en) Yarn color placement system
US8240263B1 (en) Method for selective display of yarn in a tufted fabric
CN110073045B (zh) 用于可变或多隔距簇绒的背衬移位器
US201301804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Artificial Turf Products with a Woven Appearance
US3253426A (en) Apparatus for producing plush fabrics
CA2455835C (en) Tetraxial fabric and machine for its manufacture
US2696181A (en) Method for forming pile fabric
DE2219571C3 (de)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teilweise gewebten und teilweise kettengewirkten Ware
KR102449156B1 (ko) 코아 네트 제조장치
KR101206793B1 (ko) 환편기용 파일사 절단장치
EP0834611B1 (en) Device for inserting alternately-interposed wefts on a crochet galloon machine for warp weaving, and article of manufacture thus obtained
US3402686A (en) Tufting machine
US3512378A (en) Lace-knitting machine
US6209362B1 (en) Warp knitting machine, especially crocheting machine
US5566629A (en) Tufting machine patterning apparatus
KR100925014B1 (ko) 자카드가 표현된 벨벳 및 이를 제조하는 장치와 그제조방법
JPH06158513A (ja) タフテッド織物紡織機
CN102912527B (zh) 切割绒头经纱的方法和适于实现该方法的双层地毯织机
US3963057A (en) Method of making pile fabrics and the pile fabric made thereby
CN111809305A (zh) 一种经编机
KR102306897B1 (ko) 날개사 제조 장치와 방법
US4628711A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patterned warp-knitted material and a warp knitting machine for its use
KR200280245Y1 (ko) 양면 편직물지 직조용 편직기
IE50356B1 (en) Filling effect designs on a stitch-through fabric
SU896103A1 (ru) Плоска основов зальна маши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