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3019B1 - 보행용매트 직조장치 - Google Patents

보행용매트 직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3019B1
KR102073019B1 KR1020190125601A KR20190125601A KR102073019B1 KR 102073019 B1 KR102073019 B1 KR 102073019B1 KR 1020190125601 A KR1020190125601 A KR 1020190125601A KR 20190125601 A KR20190125601 A KR 20190125601A KR 102073019 B1 KR102073019 B1 KR 102073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ft
supply device
warp
split
fee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5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단에코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단에코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단에코로드
Priority to KR1020190125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0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1/00Loo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r weaving chenille yarn; Details peculiar to these looms
    • D03D41/002Looms for weaving reed, straw or woo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7Drive or guide mechanisms for weft inserting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8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vegetable stems, e.g. straw, thatch ; made of texti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경사분할공급장치;
상기 경사분할공급장치는 경사들을 상부로 이동하는 제1경사와 하부로 이동하는 제2경사를 분할하여 공급하도록 경사제2분할공급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경사제2분할공급장치는 상하로 각각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경사제2분할공급장치와 제2경사제2분할공급장치로 구성하고,
상기 제1경사제2분할공급장치와 상기 제2경사제2분할공급장치의 하단부에는 환형상의 환고리를 구성하여 각각 제1경사 및 제2경사가 통과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1경사제2분할공급장치와 상기 제2경사제2분할공급장치가 서로 대면하고 있는 각각의 측면에는 래크기어로 구성하고,
상기 경사제2분할공급장치를 지지하는 경사제2분할공급장치지지대의 중앙부에는 피니언기어를 구성하여 상기 제1경사제2분할공급장치와 상기 제2경사제2분할공급장치의 측면에 각각 구성된 상기 래크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가 서로 맞은편에서 결합되어 동력에 의하여 동시에 각각 상부와 하부로 이동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경사분할공급장치에서 공급한 경사들 공간에 위사를 공급하는 위사공급장치를 구성하고,
위사를 공급하고 난 후에 위사압력장치를 사용하여 위사압력과 동시에 하부로 이동되는 경사들을 분할공급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용매트직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행용매트 직조장치{Walking mat weaving device}
본 발명은 보행용매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의하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자섬유로프를 원사로 하여 인서트레피어만을 사용한 레피어직기에 의해 평직조직으로 제직된 직물로서, 상기 직물의 일변 또는 양변에 형성된 루프 형태의 위사(10)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위사변부올들이 연결되되, n+1(n은 정수)번째 위사변부올은 n(n은 정수)번째 위사변부올의 중앙홀을 통과하여 엮고, n+2(n은 정수)번째 위사변부올은 n(n은 정수)번째 위사변부올의 중앙홀을 통과한 n+1(n은 정수)번째 위사변부올의 중앙홀을 통과하여 엮는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매트용 직물이 제공된다.
배경 발명의 보행매트용 직물은 사직경 8~25㎜의 야자섬유로프를 원사로 하여 인서트레피어만을 사용한 레피어직기에 의해 평직조직으로 제직된 직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의 일변 또는 양변에 루프 형태의 다수개의 위사변부올들이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이 직물의 일변에 루프 형태의 다수개의 위사변부올들이 형성되면 최외곽 경사(20)가 하나의 위사변부올 전체를 뛰어넘거나 위사변부올밑으로 가라앉게 되어 최외곽경사(20)가 빠지게 되어 직물의 형태가 붕괴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배경이 되는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위사변부올끼리 엮도록 한 것이다. 상기 직물의 일변 또는 양변에 형성된 루프 형태의 위사(10)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위사변부올들이 연결되되, n+1(n은 정수)번째 위사변부올은 n(n은 정수)번째 위사변부올의 중앙홀을 통과하여 엮고, n+2(n은정수)번째 위사변부올은 n(n은 정수)번째 위사변부올의 중앙홀을 통과한 n+1(n은 정수)번째 위사변부올의 중앙홀을 통과하여 엮는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마치 니트의 형태를 이루도록 한 것이다.
즉, 두번째 위사변부올 루프는 첫번째 위사변부올 루프의 중앙홀을 통과하여 엮고, 세번째 위사변부올 루프는 첫번째 위사변부올의 중앙홀을 통과한 두번째 위사변부올 루프의 중앙홀을 통과하여 엮고, 네번째 위사변부올 루프는 두번째 위사변부올 루프는 중앙홀을 통과한 세번째 위사변부올 루프의 중앙홀을 통과하여 엮는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가장 마지막 위사변부올(n+7)은 루프 형태가 아니라 일자형으로 이루어져 바로 앞순번의 위사변부올의 중앙홀을 통과하여 묶음으로써 마감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로는 보행매트를 직조할 수 없어 이제까지 수작업으로만 직조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자동화함으로 높은 생산성을 담보할 수 있게 된것이다.
본 발명은 두꺼운 보행매트를 제공하면서도 마감처리를 잘 할 수 있고 생산성이 매우 높은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발명을 개발한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대한민국특허청등록번호 10-1934004(2019.01.02) 대한민국특허청등록번호 10-1711043(2017.02.28)
본 발명의 첫번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두꺼운 줄을 매트로 짜는데 생산성의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두번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마감공정을 간단하게 함으로써 올빠짐을 방지하는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세번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자동공정을 통하여 제품의 신뢰성이 높다.
네번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계구성이 간단하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경사분할공급장치;
상기 경사분할공급장치는 경사들을 상부로 이동하는 제1경사와 하부로 이동하는 제2경사를 분할하여 공급하도록 경사제2분할공급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경사제2분할공급장치는 상하로 각각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경사제2분할공급장치와 제2경사제2분할공급장치로 구성하고,
상기 제1경사제2분할공급장치와 상기 제2경사제2분할공급장치의 하단부에는 환형상의 환고리를 구성하여 각각 제1경사 및 제2경사가 통과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1경사제2분할공급장치와 상기 제2경사제2분할공급장치가 서로 대면하고 있는 각각의 측면에는 래크기어로 구성하고,
상기 경사제2분할공급장치를 지지하는 경사제2분할공급장치지지대의 중앙부에는 피니언기어를 구성하여 상기 제1경사제2분할공급장치와 상기 제2경사제2분할공급장치의 측면에 각각 구성된 상기 래크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가 서로 맞은편에서 결합되어 동력에 의하여 동시에 각각 상부와 하부로 이동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경사분할공급장치에서 공급한 경사들 공간에 위사를 공급하는 위사공급장치를 구성하고,
상기 위사공급장치는 위사를 공급하고 난 후에 경사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하기 위하여 제1위사공급장치와 상기 제1위사공급장치 반대편에서 이동하는 제2위사공급장치를 구성하며,
상기 제1위사공급장치와 상기 제2위사공급장치사이에 위사롤러를 지지하는 위사지지몸체로 구성하되,
상기 제1위사공급장치와 상기 위사지지몸체와 결합하고 위사를 공급한 후에는 상기 제1위사공급장치와 상기 위사지지몸체가 상호이격됨과 동시에 상기 제2위사공급장치와 상기 위사지지몸체와 결합하는 것으로 위사를 공급할 때마다 상호 교번결합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1위사공급장치와 상기 위사지지몸체 및 상기 제2위사공급장치와 상기 위사지지몸체의 결합은 각각 클램프로 구성되고,
상기 위사공급장치에서 상기 위사를 공급하고 난후에 위사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경사들 및 상기 위사가 밀접하게 밀착하게 직조되도록 하는 위사압력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위사압력장치는 경사가 공급되는 방향에서 위사의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경사제2분할공급장치의 후단에 경사제3분할공급장치를 더 구성하되,
상기 경사3분할공급장치는 상부로 이동되는 경사들을 분할공급하고,
요부와 철부를 교번하여 구성하여 상부로 이동되는 경사들 각각을 요부에 안착하도록 분할공급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경사3분할공급장치의 하부에 구성된 위사압력장치는 요부와 철부를 구성하여 위사압력장치철부로는 위사가 배치된 후에 위사를 압력하여 경사 및 위사들끼리 밀접하게 구성되고 ,
하부로 이동되는 경사들은 위사압력장치에 안착하도록 구성하되,
하부로 이동되는 경사들이 더 이상 하부로 이동되지 않도록 위사압력장치철부와 위사압력지지대와 상기 위사압력장치요부와의 중간부위에 경사지지대를 구성하며,
위사압력과 동시에 하부로 이동되는 경사들을 분할공급하도록 보행매트직조장치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위사압력장치와 상기 제3분할공급장치 사이에 위사지지몸체롤러지지대를 구성하여 위사를 공급하는 상기 위사롤러를 적재하고 있는 상기 위사지지몸체가 좌우로 위사지지몸체롤러에 의하여 이동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경사제2분할공급장치의 전단에 경사제1분할공급장치를 구성하여 경사들이 분할되어 상기 경사제2분할공급장치로 공급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경사제1분할공급장치는 상부에서 공급되는 제1경사와 하부에서 공급되는 제2경사를 상기 경사제1분할공급장치의 다음에 위치한 경사텐션유지장치에 같은 평면에서 상기 제1경사 및 상기 제2경사가 공급되도록 수평바를 구성하여 상기 제1경사와 상기 제2경사가 상기 수평바의 하부를 관통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평바에 수직방향으로 봉을 구성하여 상기 제1경사 및 상기 제2경사가 분할되어 공급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경사제1분할공급장치와 상기 경사제2분할장치 사이에 경사텐션유지장치를 구성하여 상기 제1경사와 상기 제2경사에 텐션이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경사텐션유지장치는 경사텐션제1롤러와 상기 경사텐션제1롤러의 하부에 구성된 경사텐션제2롤러로 구성되고 상기 경사텐션제1롤러와 상기 경사텐션제2롤러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하여 텐션조절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텐션조절장치는 상기 경사텐션제1롤러의 상부의 축을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의 압력을 조절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첫번째 효과는 두꺼운 줄을 매트로 짜는데 생산성의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두번째 효과는 마감공정을 간단하게 함으로써 올빠짐을 방지하는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세번째 효과는 자동공정을 통하여 제품의 신뢰성이 높다.
네번째 효과는 기계구성이 간단하다.
제1a도는 보행용매트를 직조하는 전체구성도를 보이는 도이다.
제1a도는 제1경사롤러 및 제2경사롤러를 보이는 도이다.
제2도는 보행용매트에 경사를 공급하는 경사텐션유지장치를 보이는 도이다.
제2b도는 제2a도의 측면도를 보이는 도이다.
제3a도는 경사제2분할공급장치를 보이는 도이다.
제3b도는 제1경사제2분할공급장치와 제2경사제2분할공급장치가 서로 이동하여 위사와 함께 직조되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3c도는 경사제2분할공급장치를 이동시키는 레크와 피니언을 보이는 도이다.
제4a도는 제1경사 및 제2경사를 분할공급하는 환고리들과 분할봉을 보이는 도이다.
제4b도는 제4a도의 환고리들에 제1경사를 삽입한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제5a도는 제1경사제3분할공급장치와 위사압력장치 겸 제2경사분할 및 지지대의 구성을 보이는 도이다.
제5b도는 위사압력장치가 위사를 압력하는 작동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제6a도 및 제6b도는 위사를 공급하는 위사공급장치를 보이는 도이다.
제7도는 보행용매트가 매트이동롤러에 의하여 매트가 이동되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8도는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을 보이는 도이다.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면1a 내지 도면 7에 의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보행매트는 일반적으로 공급되는 줄이 짚으로 엮은 새끼줄과 같은 재료를 사용하거나 좀처럼 부패되지 않는 비닐계통의 실의 종류를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어느 재질의 줄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단위경사와 단위위사는 본발명에서는 두가닥씩 구성하였다.
물론 필요에 따라 한가닥 또는 세가닥 이상을 사용하는 것도 무방하다.
또한 경사는 상하로 이동되도록 구성한다. 위사는 좌우로 이동되도록 장치를 구성한다.
경사분할공급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경사분할공급장치는 경사들을 상부로 이동하는 제1경사(150)와 하부로 이동하는 제2경사(170)를 분할하여 공급하도록 경사제2분할공급장치(300)를 구성하되,
상기 경사제2분할공급장치(300)는 상하로 각각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경사제2분할공급장치(310)와 제2경사제2분할공급장치(320)로 구성한다.
상기 제1경사제2분할공급장치(310)와 상기 제2경사제2분할공급장치(320)의 하단부에는 환형상의 환고리(312,322)를 구성하여 각각 제1경사(150) 및 제2경사(170)가 통과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경사제2분할공급장치(310)와 상기 제2경사제2분할공급장치(320)가 서로 대면하고 있는 각각의 측면에는 래크기어(362,363)로 구성하고,
상기 경사제2분할공급장치(300)를 지지하는 경사제2분할공급장치지지대의 중앙부에는 피니언기어를 구성하여 상기 제1경사제2분할공급장치(310)와 상기 제2경사제2분할공급장치(320)의 측면에 각각 구성된 상기 래크기어(362,363)와 상기 피니언기어(364)가 서로 맞은편에서 결합되어 동력에 의하여 동시에 각각 상부와 하부로 이동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경사분할공급장치에서 공급한 경사들 공간에 위사(535)를 공급하는 위사공급장치(500)를 구성하고,
상기 위사공급장치(500)는 위사(535)를 공급하고 난 후에 경사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하기 위하여 제1위사공급장치(510)와 상기 제1위사공급장치 반대편에서 이동하는 제2위사공급장치(520)를 구성하며,
상기 제1위사공급장치(510)와 상기 제2위사공급장치(520)사이에 위사롤러(540,550)를 지지하는 위사지지몸체(530)로 구성하되,
상기 제1위사공급장치(510)와 상기 위사지지몸체(530)와 결합하고 위사를 공급한 후에는 상기 제1위사공급장치(510)와 상기 위사지지몸체(530)가 상호이격됨과 동시에 상기 제2위사공급장치(520)와 상기 위사지지몸체(530)와 결합하는 것으로 위사(535)를 공급할 때마다 상호 교번결합하도록 구성한다.
이것은 모터를 통하여 제어한다.
상기 제1위사공급장치(510)와 상기 위사지지몸체(530) 및 상기 제2위사공급장치(520)와 상기 위사지지몸체(530)의 결합은 각각 클램프(515,525)로 구성된다.
상기 제1위사공급장치(510)와 상기 제2위사공급장치(520)에는 유압펌프(800)로 작동하는 클램프(515,525)가 구성되어있다.
상기 위사공급장치(500)에서 상기 위사(535)를 공급하고 난후에 위사(535)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경사들 및 상기 위사(535)가 밀접하게 밀착하게 직조되도록 하는 위사압력장치(560)를 구성한다.
상기 위사압력장치(560)는 경사가 공급되는 방향에서 위사(535)의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경사제2분할공급장치(300)의 후단에 경사제3분할공급장치(400)를 더 구성하되,
상기 경사3분할공급장치(400)는 상부로 이동되는 경사들을 분할공급하고,
요부와 철부를 교번하여 구성하여 상부로 이동되는 경사들 각각을 요부에 안착하도록 분할공급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경사3분할공급장치(400)의 하부에 구성된 위사압력장치(560)는 요부와 철부를 구성하여 철부는 위사압력지지대(565)로 위사(535)가 배치된 후에 위사(535)를 압력하여 경사 및 위사(535)들끼리 밀접하게 구성된다.
하부로 이동되는 경사들은 위사압력장치(560)에 안착하도록 구성하되,
하부로 이동되는 경사들이 더 이상 하부로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위사압력지지대(565)와 상기 위사압력장치요부(512)와의 중간부위에 경사지지대(562)를 구성하며,
위사압력장치(560)는 위사압력과 동시에 하부로 이동되는 경사들을 분할공급하도록 구성한다.
제1경사제3분할공급장치(310)와 상기 제2경사제3분할공급장치(320)는 각각 분할봉(313,323)이 서로교차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평행위치에서 서로 상하로 교번하여 이동할 때에 분할봉(313,323)이 각각의 하단부에서 경사들을 통과하는 환고리(312,322)를 구성하는 것이 1차적인 목적이지만 제1경사제3분할공급장치(310)의 분할봉(313)의 하단부에 구성된 환고리(312)를 통과한 제1경사(150)는 상기 제2경사제3분할공급장치(320)의 분할봉(323)들 사이를 통과함으로 분할된다.
또한, 제2경사제3분할공급장치(320)의 분할봉(323)의 하단부에 구성된 원형고리(322)를 통과한 제2경사(170)는 상기 제1경사제3분할공급장치(310)의 분할봉(323)들 사이를 통과함으로 분할되는 것이다.
경사는 교대로 상하로 이동하여 위사를 밀착되도록 직조한다.
상기 제1위사공급장치(510)와 상기 제2위사공급장치(520)사이에 위사롤러(540,550)를 지지하는 위사지지몸체(530)로 구성하여 위사(535)를 공급한 후에 제1경사(150) 및 제2경사(170)의 상하부에는 위사공급장치(500)로 인하여 경사가 이동하는데 장애가 되지 않도록 구성한다.
왜냐하면 경사는 상하로 서로 이동하면서 위사와 더불어 직조를 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상기 제1위사공급장치(510)와 상기 위사지지몸체(530)가 결합되어있어 위사를 공급하고 난후에는 반대편에 구성한 상기 제2위사공급장치(520)가 상기 위사지지몸체(530)에 접근하여 위사지지몸체이동간(미도시)이 상기 위사지지몸체(530)의 홀로 접근하여 결합한 후에 제1위사공급장치(510)에 장착된 유압펌프로 동작하는 클램프(515)는 이완되어 위사지지몸체(530)으로부터 이탈될 준비를 하고 제2위사공급장치(520)의 유압펌프(800)로 작동하는 제2위사공급장치(520)의 클램프(525)는 경시지지몸체(530)와 결합되어 제2위사공급장치(520)와 위사지지몸체 (530)가 결합되어 서로 경사들이 배치된 공간에서 이격된다.
다음과정에서도 동일한 과정을 반복한다. 또한 경사가 배치된 공간에서 이격된 후에는 제1경사3분할공급장치(310)와 제2경사3분할공급장치(320)가 상하로 이동하여 위사와 직조된다.
그러면 또 다시 위사가 공급되면서 상기동작을 반복한다.
여기서 상기 위사압력장치(560)와 상기 경사제3분할공급장치(400) 사이에 위사지지몸체롤러지지대(570)를 구성하여 위사(535)를 공급하는 상기 위사롤러(540,550)를 적재하고 있는 상기 위사지지몸체(530)가 좌우로 위사지지몸체롤러(575)에 의하여 이동되도록 구성한다.
또한,상기 경사제2분할공급장치(300)의 전단에 경사제1분할공급장치(100)를 구성하여 경사들이 분할되어 상기 경사제2분할공급장치(300)로 공급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경사제1분할공급장치(100)는 상부에서 공급되는 제1경사(150)와 하부에서 공급되는 제2경사(170)를 상기 경사제1분할공급장치(100)의 다음에 위치한 경사텐션유지장치에 같은 평면에서 상기 제1경사(150) 및 상기 제2경사(170)가 공급되도록 수평바를 구성하여 상기 제1경사(150)와 상기 제2경사(170)가 상기 수평바의 하부를 관통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수평바에 수직방향으로 봉을 구성하여 상기 제1경사(150) 및 상기 제2경사(170)가 분할되어 공급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경사제1분할공급장치(100)와 상기 경사제2분할장치(300) 사이에 경사텐션유지장치(200)를 구성하여 상기 제1경사(150)와 상기 제2경사(170)에 텐션이 유지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경사텐션유지장치(200)는 경사텐션제1롤러(210)와 상기 경사텐션제1롤러(210)의 하부에 구성된 경사텐션제2롤러(220)로 구성되고 상기 경사텐션제1롤러(210)와 상기 경사텐션제2롤러(220)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하여 텐션조절장치(230)를 구성한다.
상기 텐션조절장치(230)는 상기 경사텐션제1롤러(210)의 상부의 축을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의 압력을 조절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경사텐션제1롤러(210)는 길이방향으로 요철이 구성되어 위사압력장치(560)의 위사압력에 의하여 이동하도록 텐션을 조절한다.
또한 위사압력장치(560)의 가압에 의하여 짜여진 매트가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하거나 위사압력장치(560)의 가압 직후에 유압펌프(800)로 인하여 매트이동롤러(600)를 직조길이만큼 이동하도록 구성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경사제1분할공급장치 150:제1경사 155:제1경사롤러
170:제2경사 175:제2경사롤러
200:경사텐션유지장치 210:경사텐션제1롤러 220:경사텐션제2롤러
230:텐션조절장치 300:경사제2분할공급장치
310:제1경사제2분할공급장치 312,322:환고리 313,323:분할봉
320:제2경사제2분할공급장치 350:경사제2분할공급장치지지대
360:렉크와 피니언 362,363:레크기어 364:피니언기어
400:경사제3분할공급장치 412:경사제3분할공급장치철부
414:경사제3분할공급장치요부
500:위사공급장치 510제1위사공급장치 512:위사압력장치요부 515,525:클램프
520:제2위사공급장치 530:위사지지몸체 535:위사 536:위사공급롤러 540,550:위사롤러 560:위사압력장치 562:경사지지대
565:위사압력지지대 570:위사지지몸체롤러지지대 575:위사지지몸체롤러
600:매트이동롤러 700:보행메트 800:유압펌프

Claims (9)

  1. 경사분할공급장치;
    상기 경사분할공급장치는 경사들을 상부로 이동하는 제1경사와 하부로 이동하는 제2경사를 분할하여 공급하도록 경사제2분할공급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경사제2분할공급장치는 상하로 각각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경사제2분할공급장치와 제2경사제2분할공급장치로 구성하고,
    상기 제1경사제2분할공급장치와 상기 제2경사제2분할공급장치의 하단부에는 환형상의 환고리를 구성하여 각각 제1경사 및 제2경사가 통과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1경사제2분할공급장치와 상기 제2경사제2분할공급장치가 서로 대면하고 있는 각각의 측면에는 래크기어로 구성하고,
    상기 경사제2분할공급장치를 지지하는 경사제2분할공급장치지지대의 중앙부에는 피니언기어를 구성하여 상기 제1경사제2분할공급장치와 상기 제2경사제2분할공급장치의 측면에 각각 구성된 상기 래크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가 서로 맞은편에서 결합되어 동력에 의하여 동시에 각각 상부와 하부로 이동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경사분할공급장치에서 공급한 경사들 공간에 위사를 공급하는 위사공급장치를 구성하고,
    상기 위사공급장치는 위사를 공급하고 난 후에 경사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하기 위하여 제1위사공급장치와 상기 제1위사공급장치 반대편에서 이동하는 제2위사공급장치를 구성하며,
    상기 제1위사공급장치와 상기 제2위사공급장치사이에 위사롤러를 지지하는 위사지지몸체로 구성하되,
    상기 제1위사공급장치와 상기 위사지지몸체와 결합하고 위사를 공급한 후에는 상기 제1위사공급장치와 상기 위사지지몸체가 상호이격됨과 동시에 상기 제2위사공급장치와 상기 위사지지몸체와 결합하는 것으로 위사를 공급할 때마다 상호 교번결합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1위사공급장치와 상기 위사지지몸체 및 상기 제2위사공급장치와 상기 위사지지몸체의 결합은 각각 클램프로 구성되고,
    상기 위사공급장치에서 상기 위사를 공급하고 난후에 위사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경사들 및 상기 위사가 밀접하게 밀착하게 직조되도록 하는 위사압력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위사압력장치는 경사가 공급되는 방향에서 위사의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경사제2분할공급장치의 후단에 경사제3분할공급장치를 더 구성하되,
    상기 경사3분할공급장치는 상부로 이동되는 경사들을 분할공급하고,
    제3분할공급장치요부와 제3분할공급장치철부를 교번하여 구성하여 상부로 이동되는 경사들 각각을 요부에 안착하도록 분할공급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경사3분할공급장치의 하부에 구성된 위사압력장치는 요부와 철부를 구성하여 철부는 위사압력지지대로 위사가 배치된 후에 위사를 압력하여 경사 및 위사들끼리 밀접하게 구성되고 ,
    하부로 이동되는 경사들은 위사압력장치에 안착하도록 구성하되,
    하부로 이동되는 경사들이 더 이상 하부로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위사압력지지대와 상기 위사압력장치요부와의 중간부위에 경사지지대를 구성하며,
    위사압력과 동시에 하부로 이동되는 경사들을 분할공급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용매트직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사압력장치와 상기 제3분할공급장치 사이에 위사지지몸체롤러지지대를 구성하여 위사를 공급하는 상기 위사롤러를 적재하고 있는 상기 위사지지몸체가 좌우로 위사지지몸체롤러에 의하여 이동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용매트직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제2분할공급장치의 전단에 경사제1분할공급장치를 구성하여 경사들이 분할되어 상기 경사제2분할공급장치로 공급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용매트직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제1분할공급장치는 상부에서 공급되는 제1경사와 하부에서 공급되는 제2경사를 상기 경사제1분할공급장치의 다음에 위치한 경사텐션유지장치에 같은 평면에서 상기 제1경사 및 상기 제2경사가 공급되도록 수평바를 구성하여 상기 제1경사와 상기 제2경사가 상기 수평바의 하부를 관통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용매트직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에 수직방향으로 봉을 구성하여 상기 제1경사 및 상기 제2경사가 분할되어 공급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용매트직조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제1분할공급장치와 상기 경사제2분할장치 사이에 경사텐션유지장치를 구성하여 상기 제1경사와 상기 제2경사에 텐션이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용매트직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텐션유지장치는 경사텐션제1롤러와 상기 경사텐션제1롤러의 하부에 구성된 경사텐션제2롤러로 구성되고 상기 경사텐션제1롤러와 상기 경사텐션제2롤러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하여 텐션조절장치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용매트직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조절장치는 상기 경사텐션제1롤러의 상부의 축을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의 압력을 조절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용매트직조장치.


  9. 삭제
KR1020190125601A 2019-10-10 2019-10-10 보행용매트 직조장치 KR102073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601A KR102073019B1 (ko) 2019-10-10 2019-10-10 보행용매트 직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601A KR102073019B1 (ko) 2019-10-10 2019-10-10 보행용매트 직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3019B1 true KR102073019B1 (ko) 2020-02-04

Family

ID=69571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601A KR102073019B1 (ko) 2019-10-10 2019-10-10 보행용매트 직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0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9156B1 (ko) * 2022-04-13 2022-09-29 안병태 코아 네트 제조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1964A (ko) * 2007-05-17 2008-11-24 김상석 합성수지재인 경사 공급장치
KR101711043B1 (ko) 2015-10-23 2017-02-28 주식회사 지매트 보행용 매트의 연결 구조
KR101750057B1 (ko) * 2017-04-19 2017-06-22 주식회사 승진텍라인 야자 섬유질 로프 전용 매트 직조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보행매트, 식생매트, 코어네트
KR101809078B1 (ko) * 2016-12-17 2017-12-14 우진에코텍(주) 로드매트 직조기
KR101900468B1 (ko) * 2018-07-18 2018-09-19 김윤춘 매트직조기와 이에 의해 제조된 매트
KR101919407B1 (ko) * 2018-06-20 2018-11-16 류호대 노면 포장용 매트 직조기
KR101934004B1 (ko) 2017-11-01 2019-01-02 송병선 보행매트용 직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1964A (ko) * 2007-05-17 2008-11-24 김상석 합성수지재인 경사 공급장치
KR101711043B1 (ko) 2015-10-23 2017-02-28 주식회사 지매트 보행용 매트의 연결 구조
KR101809078B1 (ko) * 2016-12-17 2017-12-14 우진에코텍(주) 로드매트 직조기
KR101750057B1 (ko) * 2017-04-19 2017-06-22 주식회사 승진텍라인 야자 섬유질 로프 전용 매트 직조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보행매트, 식생매트, 코어네트
KR101934004B1 (ko) 2017-11-01 2019-01-02 송병선 보행매트용 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19407B1 (ko) * 2018-06-20 2018-11-16 류호대 노면 포장용 매트 직조기
KR101900468B1 (ko) * 2018-07-18 2018-09-19 김윤춘 매트직조기와 이에 의해 제조된 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9156B1 (ko) * 2022-04-13 2022-09-29 안병태 코아 네트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5201B2 (en) Fabric with a variable width
CA2440263C (en) Warp bound composite papermaking fabric
CN104160079B (zh) 具有优化经纱密度的提花织机
US4923724A (en) Composite articles
CN108251955A (zh) 一种双针床双贾卡多色纯色提花网布编织工艺
CN101529002B (zh) 连续角的编织系统
JPH01314760A (ja) 編組物をベースとした構造体およびこの構造体を造るための方法
KR102073019B1 (ko) 보행용매트 직조장치
NO157110B (no) Sammensatt vevduk for arkformingspartiet i en papirmaskin.
CN1811035B (zh) 促动接结和张力经纱的装置及设有该装置的绒头织物织机
KR101681984B1 (ko) 다수의 레노종광을 이용한 직기 및 이로부터 제직된 직물
US488144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raiding three-dimensional fabrics
NO334721B1 (no) Industriell tolagsstruktur
KR102073025B1 (ko) 보행용매트 직조장치
KR102073022B1 (ko) 보행용매트 직조방법
CN207919096U (zh) 经编机的张力调整机构以及经编机
KR101363228B1 (ko) 공간직물 제조장치
KR102073026B1 (ko) 보행매트 직조방법 및 이로인하여 직조된 보행매트
KR940010633B1 (ko) 원형 직기
CN101426977B (zh) 用于生产纤维网材料的机器的成型织物及生产方法
RU2504605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многослойной ткани
KR102243433B1 (ko) 다수의 경사 열들 및 종광 열들을 사용한 다층 제품의 제직
CN204738094U (zh) 一种瓦楞布
JPH0411043A (ja) 三次元織物及びその製織方法
KR100907882B1 (ko) 직물의 제직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