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0468B1 - 매트직조기와 이에 의해 제조된 매트 - Google Patents

매트직조기와 이에 의해 제조된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0468B1
KR101900468B1 KR1020180083716A KR20180083716A KR101900468B1 KR 101900468 B1 KR101900468 B1 KR 101900468B1 KR 1020180083716 A KR1020180083716 A KR 1020180083716A KR 20180083716 A KR20180083716 A KR 20180083716A KR 101900468 B1 KR101900468 B1 KR 101900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rod
line
group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춘
임동규
Original Assignee
김윤춘
임동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춘, 임동규 filed Critical 김윤춘
Priority to KR1020180083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04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1/00Loo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r weaving chenille yarn; Details peculiar to these looms
    • D03D41/002Looms for weaving reed, straw or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8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vegetable stems, e.g. straw, thatch ; made of tex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트직조기와 이에 의해 제조된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상세하게는 야자수에서 추출한 섬유질로된 로프가 엮어서 이루어진 매트와 이를 제조하기 위한 매트직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매트직조기와 이에 의해 제조된 매트에 따르면, 씨줄이 권취된 하나의 보빈으로부터 씨줄을 공급받아 제1그룹과 제2그룹의 날줄들 사이로 씨줄이송로드가 진퇴하므로 씨줄을 공급하는 구조가 간단하고 상하로 교차된 날줄들 사이로 씨줄을 공급하기 위한 공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매트직조기와 이에 의해 제조된 매트{Mat weaving machine and mat produced thereby}
본 발명은 매트직조기와 이에 의해 제조된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야자수에서 추출한 섬유질로된 로프가 엮어서 이루어진 매트와 이를 제조하기 위한 매트직조기에 관한 것이다.
공원이나 하천변 등의 보행로에는 매트를 이용하여 산책로 또는 통행로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매트를 이용한 보행로는 사람들이 보행로로만 통행하도록 유도하여 보행로 이외의 장소에 식재된 잔디나 나무 등을 보호할 수 있고, 보행로 하부의 토사가 빗물에 의하여 쓸려 내려가서 지반이 불균일해 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볏짚이나 코코넛 섬유질 등으로 만들어지는 보행로는 충격을 흡수하여 보행시 편안한 느낌을 주며, 빗물의 배수를 원활하게 하여 빗물이 바닥에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하여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지는 매트를 이용하여 공원이나 산책로 등에 보행로를 설치하는 경우가 점점 많아지고 있다.
한편, 보행로에 설치되는 매트는 플라스틱, 폐타이어, 고무칩 또는 에폭시 등을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구조로 하여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상기 재료들은 외관상 보기가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을 유발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볏짚이나 코코넛 섬유질 등을 이용한 매트를 사용하는 경우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4277호에는 노면 포장용 매트 직조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직조기는 날실의 이탈과정이 자동화되었을 뿐 여전히 작업자가 직접 날실을 걸어주고 제품을 이송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70715호에는 상기와 같은 부분 자동화에 대한 문제점을 보완한 로드매트직조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로드매트 직조기는 씨줄을 폭 방향으로 공급하는 보빈이 쌍으로 구비되어 상하로 교차되는 날줄들 사이로 왕복 이동되므로 상하 방향으로 날줄들 사이의 공간이 넓게 확보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4277호 : 노면 포장용 매트 직조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70715호 : 보행매트 직조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씨줄이 권취된 하나의 보빈으로부터 씨줄을 공급받아 씨줄을 공급하는 구조가 간단하고 상하로 교차된 날줄들 사이로 씨줄을 공급하기 위한 공간을 줄일 수 있는 매트직조기와 이에 의해 제조된 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매트직조기는 다수의 날줄이 길이방향으로 인출되되 인출방향에 교차하는 제1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며 제1그룹과 제2그룹으로 구분되어 인출되게 안내하는 날줄 투입부와; 상기 날줄 투입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제1그룹과 제2그룹을 분리된 상태로 안내하는 제1가이드와 제2가이드와, 상기 제1그룹과 상기 제2그룹의 각 날줄이 상하방향으로 벌어지게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를 상하방향으로 교차되게 이동시키는 가이드교차모듈을 구비하는 날줄교차부와; 상기 제1그룹과 상기 제2그룹에 대해 상기 제1방향으로 이격된 일측에 설치되며 단부가 고정된 씨줄이 권취된 씨줄보빈과, 상기 씨줄보빈으로부터 권취해제된 상기 씨줄이 상기 제1방향에 나란한 타측으로 이동되면서 고리형태가 되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일단부에 상기 씨줄이 관통되며 상기 제1그룹과 상기 제2그룹 사이를 상기 제1방향에 나란하게 진퇴하는 씨줄이송로드를 포함하는 씨줄이송실린더를 구비하는 씨줄공급부와; 상기 씨줄공급부에 대응되는 상기 제1방향의 타측에 고리형태로 구부러진 상기 씨줄과 상기 씨줄이송로드 사이로 상기 날줄의 길이방향에 나란하게 횡단하는 씨줄고정줄을 공급하는 고정줄공급부와; 상기 날줄투입부와, 상기 씨줄공급부에 의해 서로 교차되게 배열된 상기 날줄과 상기 씨줄을 밀착시켜 매트를 직조하는 씨줄밀착부와; 상기 씨줄밀착부를 통해 직조된 상기 매트를 이송시키는 매트배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줄공급부는 상기 날줄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마주하도록 설치되고 상호 인접하거나 멀어지게 길이 신장 또는 신축되어 상기 제1방향의 타측에 고리형태로 구부러진 상기 씨줄과 상기 씨줄이송로드 사이로 상기 고정줄이 권취된 고정줄보빈을 주고받는 제1 및 제2고정줄공급실린더;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고정줄공급부는 상기 제1방향의 타측에 고리형태로 구부러진 상기 씨줄과 상기 씨줄이송로드 사이로 상기 고정줄보빈의 횡단이 용이할 수 있도록, 상기 씨줄과 상기 씨줄이송로드와의 이격거리가 확장되게 상기 씨줄과 상기 씨줄이송로드 사이로 진입되어 상기 씨줄이 상기 씨줄이송로드에 멀어지게 상기 씨줄이송로드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당기는 횡단공간확보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횡단공간확보유닛은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고정줄공급실린더의 하방에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고정줄공급실린더의 연장방향에 나란하게 연장된 전후연장실린더본체와, 상기 전후연장실린더본체에 일측이 수용되어 상기 전후연장실린더본체에 대해 돌출된 길이가 신축되게 왕복운동 가능한 진퇴로드를 구비한 공간진입실린더와, 상기 공간진입실린더의 상기 진퇴로드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하연장실린더본체와, 상기 상하연장실린더본체에 일측이 수용되어 상기 상하연장실린더본체에 대해 돌출된 길이가 신축되게 왕복운동가능하며 상단부에 상기 씨줄과 상기 씨줄이송로드 사이로 진입되어 상기 씨줄을 당기는 당김핀이 형성된 승강로드를 구비한 씨줄당김실린더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매트직조기는 상기 고정줄보빈이 이동되면서 상기 고정줄이 상기 씨줄이송로드와 상기 씨줄 사이에 관통되면, 상기 당김핀에 의한 상기 씨줄 당김이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승강로드가 상기 상하연장실린더본체에 멀어지게 상승 이동되고, 상기 진퇴로드가 상기 전후연장실린더본체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고정줄에 의해 상기 씨줄이 고리형태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상기 씨줄이송로드는 일단부가 상기 씨줄이송실린더에 인접하게 이동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횡단공간확보유닛은 상기 진퇴로드 이동에 의해 상기 씨줄당김실린더가 전후방향으로 이동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를 위치고정하는 회전방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회전방지부는 상기 진퇴로드의 단부에 면적이 확장되며 일면에 상기 씨줄당김실린더가 장착되는 제1브라켓과, 상기 전후연장실린더본체를 마주하는 상기 제1브라켓의 타면에 전후연장 실린더본체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회전방지가이드바와, 상기 전후연장 실린더본체의 단부에 외경이 확장되며 상기 회전방지가이드바가 관통되는 복수의 가이드바관통공이 형성된 제2브라켓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매트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매트직조기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매트직조기와 이에 의해 제조된 매트에 따르면, 씨줄이 권취된 하나의 보빈으로부터 씨줄을 공급받아 제1그룹과 제2그룹의 날줄들 사이로 씨줄이송로드가 진퇴하므로 씨줄을 공급하는 구조가 간단하고 상하로 교차된 날줄들 사이로 씨줄을 공급하기 위한 공간을 줄일 수 있어 제1그룹과 제2그룹을 교차시키는 제1 및 제2가이드의 길이 및 행정거리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트직조기와 이에 의해 제조된 매트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고정줄공급부가 제외된 매트직조기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씨줄공급부와 고정줄공급부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9는 도 1의 씨줄공급부와 고정줄공급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도 1의 씨줄밀착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매트직조기에 대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매트직조기 및 이 매트직조기에 의해 제조된 매트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트직조기(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날줄(3,4)이 투입되는 날줄투입부(10)와, 다수의 날줄(3,4)을 제1그룹과 제2그룹으로 분리하는 날줄교차부(20)와, 제1그룹과 제2그룹 사이로 씨줄(5)을 공급하는 씨줄공급부(60)와, 씨줄이 고리형태로 구부러진 측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줄을 공급하는 고정줄공급부(80)와, 씨줄밀착부(110)와, 매트배출부(15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트직조기(1)에 사용되는 씨줄(5)과 날줄(3,4)은 황마, 야자수 열매 등에서 추출한 식물성 섬유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섬유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트직조기(1)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날줄투입부(10)와, 날줄교차부(20)와, 씨줄공급부(60)와, 고정줄공급부(80)와, 씨줄밀착부(110) 및 매트배출부(150)가 설치되기 위한 날줄이 진행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베이스프레임(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날줄투입부(10)는 본 발명에 따른 매트(7) 직조를 위한 다수의 날줄(3,4)이 투입되는 부분으로, 다수의 날줄이 길이방향으로 인출되되 인출방향에 교차하는 제1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인출되게 안내한다.
날줄투입부(10)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그룹의 다수의 날줄(3)을 안내하는 제1공급롤러(11)와, 제1공급롤러(11)의 전방 측에 설치되며 제1공급롤러(11)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제1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그룹의 다수의 날줄(4)을 안내하는 제2공급롤러(13)와, 제1 및 제2공급롤러(11,13)의 양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15)과, 제2공급롤러(13)의 전방 측에 상하로 중첩되게 설치되어 제1그룹의 날줄(3) 또는 제2그룹의 날줄(4)이 각각 관통되는 원통 형상의 제1 및 제2인출가이드(17,18)를 포함하며 제1방향으로 동일간격 이격되는 다수의 날줄가이드부(16)를 구비한다. 여기서, 전방측은 다수의 날줄(3,4)이 진행되는 방향이다.
날줄교차부(20)는 제1그룹의 다수의 날줄(3)과 제2그룹의 다수의 날줄(4)을 상하로 교차시키고, 씨줄이 공급되도록 장력을 인가한다.
날줄교차부(20)는 일전한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세워지는 제1 및 제2가이드(30,40)와, 제1 및 제2가이드(30,40) 사이에 설치되어 제1 및 제2가이드(30,40)를 상호 반대되는 수직방향으로 교차되게 이동시키는 가이드교차모듈(50)을 구비한다.
제1가이드(30) 또는 제2가이드(40)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으로 세워지는 지지틀(31,41)과, 지지틀(31,41)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 지지봉(32,42)과, 각 가이드 지지봉(212,222) 하단마다 형성된 가이드 링(33,43)으로 각각 이루어진다.
참고로 제1가이드(30)의 구성은 각각 제1지지틀(31), 제1가이드지지봉(32), 제1가이드 링(33)이라 칭하고, 제2가이드(40)의 구성은 각각 제2지지틀(41), 제2가이드 지지봉(42), 제2가이드 링(43)이라 칭하기로 한다.
여기서 어느 하나의 제1인출가이드(17)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단위 날줄(3)은 하나의 제1가이드 링(33)을 통과하고, 어느 하나의 제2인출가이드(18)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단위 날줄(4)은 하나의 제2가이드 링(43)을 통과한다.
가이드교차모듈(50)은 제1지지틀(31)의 양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1래크(51)와, 제2지지틀(41)의 양측에 제1지지틀(31)의 각 제1래크(51)에 대향되게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제2래크(53)와, 제1방향으로 연장되며 양측이 상호 대향되는 제1 및 제2래크(51,53) 사이에 맞물리게 결합되는 피니언(55)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지지틀(31,41)은 피니언(55)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되는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래크(51)와 제2래크(53)에 의해 서로 반대되는 상하방향으로 동일 속도 동일거리 하강 또는 상승된다.
피니언(55)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일단이 피니언구동모터(미도시)의 구동축과 연결되어 피니언구동모터(미도시)의 구동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1 및 제2지지틀(31,41)의 하강 또는 상승 방향을 결정한다. 피니언구동모터는 베이스프레임에 지지고정될 수 있으며 후술되는 제어부에 의해 구동제어된다.
제1 및 제2지지틀(31,41)과, 제1 및 제2가이드 지지봉(32,42)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이유는 제1가이드(30)와 제2가이드(40)로 인하여 분리되는 날줄 제1그룹(3)과 날줄 제2그룹 간(4)의 상하 간격으로 후술되는 씨줄공급부(60)가 날줄(3,4)과의 간섭 없이 통과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한편, 씨줄공급부(60)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씨줄(5)이 권취된 씨줄보빈(61)과; 날줄교차부(20)에 의해 상하로 벌어진 제1그룹(3)과 제2그룹(4) 사이로 권취해제된 씨줄(5)을 제1방향으로 횡단시키는 씨줄이송로드(63)와, 씨줄이송로드(63)가 수용되며 씨줄이송로드(63)를 이동시키기 위한 유체가 내부로 공급되는 씨줄이송실린더본체(65)로 이루어진 씨줄이송실린더를 구비한다.
씨줄보빈(61)은 날줄교차부(20)에 대한 전방 측에서 제1그룹(3)과 제2그룹(4)에 대해 제1방향으로 이격된 일측 즉, 날줄(3,4)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좌측에 설치된다.
씨줄보빈(61)은 날줄이 진행되는 방향에 나란하게 회전축(62)이 연장되어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씨줄(5)을 권취하거나 권취해제한다. 그리고, 씨줄보빈(61)에 권취된 씨줄(5)은 초기에 단부가 베이스프레임(미도시)의 일측에 설치된 고리(68)에 임시 고정된다.
씨줄이송로드(63)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며 일단부에 씨줄보빈(61)으로부터 권취해제된 씨줄(5)이 관통되는 씨줄관통공(64)이 형성되며, 타측이 씨줄이송실린더본체(65)의 내부로 수용된다. 씨줄관통공(64)은 씨줄(5)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씨줄(5)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씨줄이송로드(63)는 유체가 씨줄이솔실린더본체(65)의 타단부로 유입되면서 제1그룹과 제2그룹 사이를 제1방향에 나란하게 타측으로 즉, 우측으로 이동되는데, 일단부를 관통한 씨줄(5)이 고리형태로 구부러진다.
씨줄이송로드(63)는 타측으로 이동시 제1 및 제2그룹의 다수의 날줄들에 대해 타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연장형성되고, 씨줄이송실린더본체(65)는 씨줄이송로드(63)를 수용할 수 있도록 연장형성된다.
고정줄공급부(80)는 씨줄공급부(60)에 대응되는 제1방향의 타측 즉, 우측에 설치되어, 씨줄이송로드(63)가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고리형태로 구부러진 씨줄(5)과 씨줄이송로드(63) 사이로 날줄(3,4)의 길이방향에 나란하게 횡단하는 씨줄고정줄(6)을 공급한다.
고정줄공급부(80)는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날줄(3,4)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마주하도록 설치되고 상호 인접하거나 멀어지게 길이 신장 또는 신축되어 제1방향의 타측에서 고리형태로 구부러진 씨줄(5)과 씨줄이송로드(63) 사이로 씨줄고정줄(6)이 권취된 고정줄보빈(81)을 주고받는 제1 및 제2고정줄공급실린더(82,92)와, 고정줄보빈(81)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또는 제2고정줄공급실린더(82,92)의 단부에 탈부착하게 장착되는 보빈브라켓(99)을 구비한다.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고정줄공급부(80)와 씨줄공급부(63)의 이격거리는 이해를 돕기 위해 도시된 것으로서, 제1그룹 및 제2그룹의 다수의 날줄(3,4)들이 제1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형성하는 폭 보다 크게 이격된다.
제1고정줄공급실린더(82)는 날줄(3,4)의 진행방향에 나란하게 연장된 제1보빈이송로드(83)와, 날줄투입부(10) 방향의 제1보빈이송로드(83)의 타단부가 수용되며 제1보빈이송로드(83)가 날줄이 진행되는 방향에 대해 진퇴가능하게 내부에 유체가 공급되는 제1실린더본체(84)와, 날줄투입부(10)에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제1보빈이송로드(83)의 일단부에 장착되며 전원을 인가받아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제1전자석(87)이 구비되는 제1고정플레이트(86)를 포함하는 제1보빈브라켓 파지수단(85)을 구비한다.
제2고정줄공급실린더(92)는 날줄(3,4)의 진행방향에 나란하게 연장되되 제1보빈이송로드(83)에 대해 전방 방향에 위치하는 제2보빈이송로드(93)와, 전방 방향의 제2보빈이송로드(93)의 타단부가 수용되며 제2보빈이송로드(93)가 날줄이 진행되는 방향에 대해 진퇴가능하게 내부에 유체가 공급되는 제2실린더본체(94)와, 제1보빈이송로드(83)와 마주하는 제2보빈이송로드(93)의 일단부에 장착되며 전원을 인가받아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제2전자석(미도시)이 구비되는 제2고정플레이트(96)를 포함하는 제2보빈브라켓 파지수단(95)구비한다.
제1 및 제2보빈브라켓 파지수단(85,95)은 각각 전원이 인가될 때에만 제1 및 제2전자석(87,미도시)이 구동된다.
도 6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보빈 브라켓(99)이 자기력에 의해 제2보빈브라켓 파지수단(95)의 제2고정플레이트(96)에 접합되었다가, 제1 및 제2보빈이송로드(83,93)가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대향되는 제1보빈 브라켓 파지수단(85)이 보빈 브라켓(31)의 반대 측면에 접촉될 때 대향되는 제1보빈 브라켓 파지수단(85)의 제1전자석(87)이 구동됨과 동시에 애초에 보빈 브라켓(31)을 파지하던 제2전자석(97)의 전원이 오프 됨으로써 파지가 해제된다
한편, 고정줄공급부(80)는 제1방향의 타측에 고리형태로 구부러진 씨줄(5)과 씨줄이송로드(63) 사이로 고정줄보빈(81)의 횡단이 용이할 수 있도록, 씨줄(5)과 씨줄이송로드(63)와의 이격거리가 확장되게 씨줄(5)과 씨줄이송로드(63) 사이로 진입되어 씨줄(5)이 씨줄이송로드(63)에 멀어지게 씨줄이송로드(63)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당기는 횡단공간확보유닛(100);을 더 구비한다.
횡단공간확보유닛(100)은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날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길이 신축되는 공간진입실린더(101)와, 공간진입실린더(101)의 단부에 장착되며 상하방향으로 길이신축되는 씨줄당김실린더(106)와, 씨줄당김실린더(106)의 상단에 장착되어 공간진입실린더부(101)와 씨줄당김실린더(106)의 각 길이 신축에 따라 씨줄이송로드(63)의 하방에 위치한 씨줄(5)을 하방으로 당기거나 당김해제하는 당김핀(109)을 구비한다.
공간진입실린더(101)는 제1고정줄공급실린더(82)의 하방에 제1고정줄공급실린더(82)의 연장방향에 나란하게 연장된 전후연장실린더본체(102)와, 전후연장 실린더본체(102)에 일측이 수용되어 전후연장 실린더본체(102)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날줄의 진행방향에 나란하게 진퇴 이동되어 전후연장 실린더본체(102)에 대해 돌출된 길이가 신축되게 왕복운동 가능한 진퇴로드(103)를 구비한다. 하지만, 공간진입실린더(101)는 도시된 바와 다르게 제2고정줄공급실린더(92)의 하방에 제2고정줄공급실린더(92)의 연장방향에 나란하게 연장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씨줄당김실린더(106)는 공간진입실린더(101)의 진퇴로드(103)의 단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하연장실린더본체(107)와, 상하연장실린더본체(107)에 하부가 수용되어 상하연장실린더본체(107)에 대해 돌출된 길이가 신축되게 왕복운동가능하며 상단부에 씨줄(5)과 씨줄이송로드(63) 사이에 대응되는 높이까지 상승가능하며 상단에 당김핀(109)이 형성된 승강로드(108)를 구비한다.
당김핀(109)는 승강로드(108)의 상단에서 씨줄 방향, 즉 승강로드(108)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또한, 횡단공간확보유닛(100)은 진퇴로드 이동에 의해 씨줄당김실린더(106)가 전후방향으로 이동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를 위치고정하는 회전방지부(140)를 구비한다.
회전방지부(140)는 진퇴로드(103)의 단부에 면적이 확장되며 일면에 씨줄당김실린더(106)가 장착되는 제1브라켓(141)과, 전후방향 실린더본체(102)를 향하는 제1브라켓(141)의 타면에 전후연장 실린더본체(10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회전방지가이드바(143)와, 전후연장 실린더본체(102)의 단부에 외경이 확장되며 회전방지가이드바(143)가 관통되는 복수의 가이드바관통공(146)이 형성된 제2브라켓(145)을 구비한다.
진퇴로드(103)가 전후방향 실린더본체(102)에 대해 진퇴시 회전방지가이드바(143)가 가이드바관통공(146)에 관통이동되면서 씨줄당김실린더(106)가 전후연장실린더본체(102)에 대해 회전되지 않고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김핀(109)이 씨줄(5)을 하방으로 당기고 있는 상태에서, 제2보빈이송로드(93)가 씨줄이송로드(63)와 씨줄 사이를 관통이동되고, 제2보빈브라켓파지수단(95)에 부착된 보빈브라켓(99)이 제1보빈브라켓파지수단(85)에 전달이 완료되면, 제2보빈이송로드(93)가 제2실린더본체(94) 방향으로 위치복원된다.
고정줄보빈(81)에 권취된 고정줄(6)은 일측이 씨줄이나 날줄에 밀착되어 고정되어 있어 제2보빈브라켓파지수단(95)에서 제1보빈브라켓파지수단(85)으로 이동되면서 권취해제된다. 하지만, 고정줄보빈(81)에 권취된 고정줄(6)는 매트(7) 초기 작업 시 씨줄이나 날줄에 밀착되지 않아 권취해제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초기에 제2보빈브라켓파지수단(95)에서 제1보빈브라켓파지수단(85)으로 이동되면서 권취해제 될 수 있도록 시 후술되는 매트배출부(150)에 인접한 베이스프레임(미도시)이나 작업자에게 임시적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과 도 8을 참고하면, 고정줄보빈(81)이 제1보빈브라켓파지수단(85)에 부착되면서 고정줄보빈(81)에 권취 해제된 고정줄(6)이 씨줄이송로드(63)와 씨줄(5) 사이에 관통되면, 당김핀(109)에 의한 씨줄(5) 당김이 해제될 수 있도록 승강로드(108)가 상하연장실린더본체(107)에 멀어지게 상승 이동되며 진퇴로드(103)가 전후연장실린더본체(102) 방향으로 이동되고, 고정줄(6)에 의해 씨줄(5)이 고리형태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씨줄이송로드(63)는 일단부가 씨줄이송실린더본체(65)에 인접하게 이동된다.
씨줄이송로드(63)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씨줄의 구부러진 측이 고정줄(6)에 고정되고 두 줄로 중첩되게 된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정을 반복할 수 있도록,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자석(87)에 부착된 보빈브라켓(99)이 제2보빈브라켓파지수단(95)에 부착될 수 있도록 제2보빈이송로드(93)와 제1보빈이송로드(83)가 상호 인접하게 이동된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위치 복원된다.
두 줄로 중첩된 씨줄(5)은 후술되는 씨줄밀착부(110)에 의해 제1그룹과 제2그룹이 만나는 지점으로 밀착되고, 제1 및 제2가이드(30,40)가 상하교차되면서 날줄(3,4)들에 구속된다.
씨줄밀착부(110)는 날줄투입부(10)와, 씨줄공급부(60)에 의해 서로 교차되게 배열된 날줄(3,4)과 씨줄(5)을 밀착시켜 매트(7)를 직조한다. 고정줄(5)은 씨줄(5)이송로드(63)가 좌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씨줄(5)에 의해 당겨져 날줄들(3,4)에 밀착된다.
씨줄밀착부(11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아, 제1승강실린더(111)의 작동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프레임(112), 승강프레임(112)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113)의 외면에 결합되며 제1그룹과 제2그룹 사이로 공급된 씨줄을 전방측으로 밀어넣는 가압부재(115)를 구비한다.
가압부재(115)는 끝단으로 날줄(3,4)과 씨줄(5)이 만나는 지점으로 밀어 넣는 다수의 리드(115a)가 평행하게 연장형성된다.
가압부재(115)는 상부의 날줄 그룹을 이루는 각 단위 날줄 사이로 통과했다가 후퇴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가압부재(115)는 승강프레임(112)의 일측에 설치된 제2승강실린더(116)와, 제2승강실린더(116)의 로드(117) 단부에 연결되어 회동되는 회동대(117)의 동작이 회전축(113)의 회전 동작으로 이어지면서 상부에서 하부로 회전 곡선을 그리면서 이동된다.
가압부재(115)에 의해 씨줄이 제1그룹과 제2그룹이 만나는 지점으로 밀착되면,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피니언(55)이 회전되어 제1가이드(30)와 제2가이드(40)가 상하방향으로 교차하면서 제1그룹(3)과 제2그룹(4)의 위치가 상하반전되면서 씨줄(5)이 날줄(3,4)들에 구속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트직조기는 상기와 같이 씨줄(5)이 날줄(3,4)에 구속되면 상하반전된 제1그룹(3)과 제2그룹(4) 사이로 씨줄이송로드가 진입되면서 반복된 일련의 과정을 거쳐 일방향으로 동일한 폭을 갖는 매트(7)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매트배출부(150)는 제1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며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배출롤러(151)를 구비하여,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배출롤러(151)들 사이로 씨줄밀착부(110)에서 직조된 매트(7)를 이송시킨다.
매트배출부(150)를 통해 이송되는 매트(7)는 복수의 배출롤러(151)들에 의해 전방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트직조기(1)는 유체가 저장되는 유체저장탱크(미도시)와; 유체저장탱크에서 씨즐이송실린더와, 제1 및 제2고정줄공급실린더(82,92)와, 공간진입실린더(101)와, 씨줄당김실린더(106)에 각각 연결된 다수의 유체공급관(미도시)과; 유체공급관 일측에 설치되어 유체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밸브(미도시)와;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펌프(미도시)와; 컨트롤밸브와 펌브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제1전자석(87) 및 제2전자석(미도시)에 전원 인가를 제어하여 고정줄보빈(81)이 이송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제1전자석(87) 또는 제2전자석(미도시)에 보빈브라켓(99)이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씨줄보빈(61)은 씨줄이송실린더의 상방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씨줄이송로드(63)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씨줄이송실린더본체(65) 방향으로 이동시 씨줄(5)이 다시 권취되게 회전될 수 있도록 보빈 구동모터(미도시)와 결합될 수 있다.
보빈 구동모터는 회전되는 구동축(미도시)이 씨줄보빈(61)과 결합되며, 제어부에 의해 씨줄이송로드(63)가 씨줄이송실린더본체(65) 방향으로 이동시 씨줄이 권취되는 방향으로 씨줄보빈(61)이 회전되게 구동제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트직조기(1)에 의해 제조된 매트(7)는 씨줄(5)이 두 줄로 겹쳐진 상태로 제1그룹의 날줄(4)과 제2그룹의 날줄(4)들 사이로 제1방향으로 횡단되며, 일측에서 구부러진 씨줄(5)은 제1그룹과 제2그룹의 날줄(3,4)들에 의해 지지고정되고 타측에서 구부러진 씨줄(5)은 고정줄(6)에 의해 지지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트직조기(1)와 이에 의해 제조된 매트(7)에 따르면, 씨줄(5)이 권취된 하나의 씨줄보빈(61)으로부터 씨줄(5)을 공급받아 제1그룹과 제2그룹의 날줄(3,4)들 사이로 씨줄이송로드(63)가 진퇴하므로 씨줄(5)을 공급하는 구조가 간단하고 상하로 교차된 날줄(3,4)들 사이로 씨줄(5)을 공급하기 위한 공간을 줄일 수 있어 제1그룹과 제2그룹을 교차시키는 제1 및 제2가이드(30,40)의 길이 및 행정거리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트직조기(1)는 배출롤러(151)들 사이에서 배출되는 매트(7)를 권취하는 매트권취롤러(미도시)와, 매트권취롤러와 배출롤러(151)들 사이에 매트(7)가 매트권취롤러(미도시)에 소정길이 권취된 후 컷팅될 수 있도록 컷팅수단(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12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매트직조기(201)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매트직조기(201)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트직조기(1)의 구조에 방초시트공급부(210)를 더 구비한다.
방초시트공급부(210)는 복수의 배출롤러(151)들에 의해 배출되는 매트(7)의 하방에 위치되며 방초시트(8)가 권취된 방초시트공급롤러(211)와, 방초시트공급롤러(211)로부터 권취해제되어 매트(7) 하방으로 공급되는 방초시트(8)와 매트(7)를 압착하는 복수의 압착롤러(213)를 구비한다.
복수의 압착롤러(213)는 배출롤러(151)에서 배출되는 매트(7)의 이송력에 의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매트(7)와 방초시트(8)를 압착할 수 있으며, 또는 각각 회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각 일측부에 압착롤러구동모터(미도시)의 구동축(미도시)과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방초시트공급롤러(211)는 복수의 압착롤러(213)의 회전력에 의해 방초시트(8)가 당겨지면서 회전될 수 있으나, 별도의 회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일측에 방초시트공급 구동모터(미도시)가 장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방초시트공급부(210)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매트(7)와 방초시트(8)를 결속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압착롤러(213) 전방 측에 니들펀칭기(미도시)를 구비하거나, 방초시트공급롤러(211)와 복수의 압착롤러(213) 사이에 방초시트(8) 상면 또는 매트(7) 하면에 수용성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는 접착제공급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방초시트(8)의 상면 또는 매트(7)의 하면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으면 접착공급부의 구조는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매트직조기(1)에 의해 제조된 매트(7)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매트직조기(201)에 의해 제조되어 방초시트(8)가 부착된 매트(7)는 매트권취롤러에 소정길이 권취되면 컷팅되어 보관되는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의 컷팅된 날줄(3,4)들이 씨줄(5)과 결속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라텍스, 천연고무, 우레탄 등과 같은 신축성 있는 소재에 의해 코팅처리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매트직조기(1)에 의해 제조된 매트(7)와,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매트직조기(201)에 의해 제조되어 방초시트(8)가 부착된 매트(7)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날줄이나 씨줄과 동일 소재로 된 미끄럼방지 줄(미도시)이 부착될 수 있다.
다수의 미끄럼방지줄은 매트(7)의 상면에 각각 접착제 또는 니들펀칭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다수의 미끄럼방지줄은 매트(7) 위에 일정간격마다 설치되는데, 천연고무, 라텍스, 우레탄과 같은 소재에 의해 코팅처리되어 매트(7)를 형성하는 날줄(3,4)과 씨줄(5)과 색을 달리하거나 상호 색을 달리하여, 매트(7) 위를 걷는 보행자에게 전방 거리 예측을 용이하거나 보행시 전방을 더욱 주의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매트직조기(1)에 의해 제조된 매트(7)와,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매트직조기(201)에 의해 제조되어 방초시트(8)가 부착된 매트(7)는 보행자에게 보행방향을 안내할 수 있도록 폭 방향의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야광물질이나, 노랑, 빨강, 녹색, 주황 등과 같이 씨줄 및 날줄보다 밝은 색상의 페인트나 천연고무, 라텍스, 우레탄과 같은 소재가 도포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매트직조기(1)에 의해 제조된 매트(7)와,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매트직조기(201)에 의해 제조되어 방초시트(8)가 부착된 매트(7)의 시공방법은 제조된 매트(7) 또는 방초시트(8)가 부착된 매트(7)를 형성하고자 하는 보행길 방향으로 펼친 후, 일정 간격마다 핀 부재(미도시)를 상하방향으로 관통시켜 지면에 삽입시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매트직조기(1)에 의해 제조된 매트(7)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매트직조기(201)에 의해 제조되어방초시트(8)가 부착된 매트(7)를 지면에 고정시킨다.
만약, 매트를 경사진 지형에 시공하는 경우에는, 핀 부재의 지면 고정력이 높아질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내측에 상방으로 개방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핀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된 보조고정부재(미도시)를 형성하고자 하는 보행길을 따라 일정간격마다 직립방향으로 설치한 후, 매트(7) 또는 방초시트(8)가 부착된 매트(7)를 보행길을 따라 펼친 다음, 보조고정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방에서 핀부재를 매트(7) 또는 방초시트(8)가 부착된 매트(7)에 관통시켜 보조고정부재의 결합홈에 삽입하여 시공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매트직조기와 이에 의해 제조된 매트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매트직조기 3,4 : 날줄
5 : 씨줄 6 : 고정줄
7 : 매트 10 : 날줄투입부
11 : 제1공급롤러 13 : 제2공급롤러
15 : 지지프레임 17 : 제1인출가이드
18 : 제2인출가이드 20 : 날줄교차부
30 : 제1가이드 31 : 제1지지틀
32 : 제1가이드지지봉 33 : 제1가이드링
40 : 제2가이드 41 : 제2지지틀
42 : 제2가이드지지봉 43 : 제2가이드링
50 : 가이드교차모듈 51 : 제1래크
53 : 제2래크 55 : 피니언
20 : 날줄교차부 60 : 씨줄공급부
61 : 씨줄보빈 63 : 씨줄이송로드
64 : 씨줄관통공 65 : 씨줄이송실린더본체
80 : 고정줄공급부 81 : 고정줄보빈
82 : 제1고정줄공급실린더 83 : 제1보빈이송로드
84 : 제1실린더본체 85 : 제1보빈브라켓 파지수단
86 : 제1고정플레이트 87 : 제1전자석
92 : 제2고정줄공급실린더 93 : 제2보빈이송로드
94 : 제2실린더본체 95 : 제2보빈브라켓 파지수단
96 : 제2고정플레이트 97 : 제2전자석
99 : 보빈브라켓 100 : 횡단공간확보유닛
101 : 공간진입실린더 106 : 씨줄당김실린더
109 : 당김핀 110 : 씨줄밀착부
150 : 매트배출부

Claims (7)

  1. 다수의 날줄이 길이방향으로 인출되되 인출방향에 교차하는 제1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며 제1그룹과 제2그룹으로 구분되어 인출되게 안내하는 날줄 투입부와;
    상기 날줄 투입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제1그룹과 제2그룹을 분리된 상태로 안내하는 제1가이드와 제2가이드와, 상기 제1그룹과 상기 제2그룹의 각 날줄이 상하방향으로 벌어지게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를 상하방향으로 교차되게 이동시키는 가이드교차모듈을 구비하는 날줄교차부와;
    상기 제1그룹과 상기 제2그룹에 대해 상기 제1방향으로 이격된 일측에 설치되며 단부가 고정된 씨줄이 권취된 씨줄보빈과, 상기 씨줄보빈으로부터 권취해제된 상기 씨줄이 상기 제1방향에 나란한 타측으로 이동되면서 고리형태가 되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일단부에 상기 씨줄이 관통되며 상기 제1그룹과 상기 제2그룹 사이를 상기 제1방향에 나란하게 진퇴하는 씨줄이송로드를 포함하는 씨줄이송실린더를 구비하는 씨줄공급부와;
    상기 씨줄공급부에 대응되는 상기 제1방향의 타측에 고리형태로 구부러진 상기 씨줄과 상기 씨줄이송로드 사이로 상기 날줄의 길이방향에 나란하게 횡단하는 씨줄고정줄을 공급하는 고정줄공급부와;
    상기 날줄투입부와, 상기 씨줄공급부에 의해 서로 교차되게 배열된 상기 날줄과 상기 씨줄을 밀착시켜 매트를 직조하는 씨줄밀착부와;
    상기 씨줄밀착부를 통해 직조된 상기 매트를 이송시키는 매트배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직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줄공급부는
    상기 날줄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마주하도록 설치되고 상호 인접하거나 멀어지게 길이 신장 또는 신축되어 상기 제1방향의 타측에 고리형태로 구부러진 상기 씨줄과 상기 씨줄이송로드 사이로 상기 고정줄이 권취된 고정줄보빈을 주고받는 제1 및 제2고정줄공급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직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줄공급부는
    상기 제1방향의 타측에 고리형태로 구부러진 상기 씨줄과 상기 씨줄이송로드 사이로 상기 고정줄보빈의 횡단이 용이할 수 있도록, 상기 씨줄과 상기 씨줄이송로드와의 이격거리가 확장되게 상기 씨줄과 상기 씨줄이송로드 사이로 진입되어 상기 씨줄이 상기 씨줄이송로드에 멀어지게 상기 씨줄이송로드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당기는 횡단공간확보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직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공간확보유닛은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고정줄공급실린더의 하방에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고정줄공급실린더의 연장방향에 나란하게 연장된 전후연장실린더본체와, 상기 전후연장실린더본체에 일측이 수용되어 상기 전후연장실린더본체에 대해 돌출된 길이가 신축되게 왕복운동 가능한 진퇴로드를 구비한 공간진입실린더와,
    상기 공간진입실린더의 상기 진퇴로드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하연장실린더본체와, 상기 상하연장실린더본체에 일측이 수용되어 상기 상하연장실린더본체에 대해 돌출된 길이가 신축되게 왕복운동가능하며 상단부에 상기 씨줄과 상기 씨줄이송로드 사이로 진입되어 상기 씨줄을 당기는 당김핀이 형성된 승강로드를 구비한 씨줄당김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직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줄보빈이 이동되면서 상기 고정줄이 상기 씨줄이송로드와 상기 씨줄 사이에 관통되면,
    상기 당김핀에 의한 상기 씨줄 당김이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승강로드가 상기 상하연장실린더본체에 멀어지게 상승 이동되고, 상기 진퇴로드가 상기 전후연장실린더본체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고정줄에 의해 상기 씨줄이 고리형태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상기 씨줄이송로드는 일단부가 상기 씨줄이송실린더에 인접하게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직조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공간확보유닛은
    상기 진퇴로드 이동에 의해 상기 씨줄당김실린더가 전후방향으로 이동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를 위치고정하는 회전방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회전방지부는
    상기 진퇴로드의 단부에 면적이 확장되며 일면에 상기 씨줄당김실린더가 장착되는 제1브라켓과,
    상기 전후연장실린더본체를 마주하는 상기 제1브라켓의 타면에 전후연장 실린더본체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회전방지가이드바와,
    상기 전후연장 실린더본체의 단부에 외경이 확장되며 상기 회전방지가이드바가 관통되는 복수의 가이드바관통공이 형성된 제2브라켓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직조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매트직조기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KR1020180083716A 2018-07-18 2018-07-18 매트직조기와 이에 의해 제조된 매트 KR101900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716A KR101900468B1 (ko) 2018-07-18 2018-07-18 매트직조기와 이에 의해 제조된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716A KR101900468B1 (ko) 2018-07-18 2018-07-18 매트직조기와 이에 의해 제조된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0468B1 true KR101900468B1 (ko) 2018-09-19

Family

ID=63718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716A KR101900468B1 (ko) 2018-07-18 2018-07-18 매트직조기와 이에 의해 제조된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046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025B1 (ko) * 2019-10-10 2020-02-04 주식회사 그린에코로드 보행용매트 직조장치
KR102073019B1 (ko) * 2019-10-10 2020-02-04 주식회사 코단에코로드 보행용매트 직조장치
KR102227142B1 (ko) * 2020-09-09 2021-03-12 주식회사 카이치랜드 마감사 공급장치가 추가로 구비된 야자매트 직조장치
KR102408838B1 (ko) * 2022-01-12 2022-06-13 최미연 보행매트 직조기
KR20220138630A (ko) * 2021-04-06 2022-10-13 이병호 로프 매트 직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83777A (en) 1954-05-07 1957-03-05 Ciro L Bologna Toy loom
KR101870715B1 (ko) 2017-06-22 2018-06-25 우진에코텍 주식회사 보행매트 직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83777A (en) 1954-05-07 1957-03-05 Ciro L Bologna Toy loom
KR101870715B1 (ko) 2017-06-22 2018-06-25 우진에코텍 주식회사 보행매트 직조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025B1 (ko) * 2019-10-10 2020-02-04 주식회사 그린에코로드 보행용매트 직조장치
KR102073019B1 (ko) * 2019-10-10 2020-02-04 주식회사 코단에코로드 보행용매트 직조장치
KR102227142B1 (ko) * 2020-09-09 2021-03-12 주식회사 카이치랜드 마감사 공급장치가 추가로 구비된 야자매트 직조장치
KR20220138630A (ko) * 2021-04-06 2022-10-13 이병호 로프 매트 직조기
KR102566929B1 (ko) 2021-04-06 2023-08-11 이병호 로프 매트 직조기
KR102408838B1 (ko) * 2022-01-12 2022-06-13 최미연 보행매트 직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0468B1 (ko) 매트직조기와 이에 의해 제조된 매트
KR101870715B1 (ko) 보행매트 직조기
JP4567205B2 (ja) バイアス織物、かかる織物を連続的に製造するための製造方法と織機
CN103459692B (zh) 在两个倾斜取向上包含带条的纺织材料及其生产方法和装置
CN103459690B (zh) 用于生产在两个倾斜取向上包含锭带的纺织材料的方法和装置
KR101130855B1 (ko) 결속 유닛과 이를 이용한 발 제작장치
CN203683809U (zh) 一种纺织整经装置
KR101757678B1 (ko) 코아 네트 직조장치
CN108472883A (zh) 针对纤维粗纱的安放设备
CN102951492A (zh) 渔网编织收边装置
CN101994188B (zh) 提花链整经机和用于产生提花链的方法
KR101039467B1 (ko) 웨이브패턴 형성장치를 구비한 경편기
KR101968540B1 (ko) 절단면이 없는 야자매트 제조장치
CN102985607B (zh) 由呈带材状牵切粗股制成的多轴向织物片复合物的生产方法及生产设备
JP2013233118A (ja) 被覆資材の巻取展開装置
CN215826357U (zh) 一种弦丝排图机
JP5339036B2 (ja) 自動畦取装置及び部分整経機
RU249908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мбинированных многослойных тканей
CN113957602B (zh) 一种具有储纱器的经编纱架设备及其安装方法
CN112342683B (zh) 一种经编纬编复合织造设备
CN213681140U (zh) 一种一次成型的3d经编草坪机
CN204780115U (zh) 多轴向经编机
CN211227546U (zh) 塑料空心微管防打结供纬装置
KR20200045370A (ko) 로드 매트 직조장치
CN1357068A (zh) 用来在造纸机上安装织物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