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043B1 - 보행용 매트의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보행용 매트의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1043B1
KR101711043B1 KR1020150148052A KR20150148052A KR101711043B1 KR 101711043 B1 KR101711043 B1 KR 101711043B1 KR 1020150148052 A KR1020150148052 A KR 1020150148052A KR 20150148052 A KR20150148052 A KR 20150148052A KR 101711043 B1 KR101711043 B1 KR 101711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king
fixing plate
mats
mat
reduced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희
김주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매트
김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매트, 김주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매트
Priority to KR1020150148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10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1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on prefabricated supporting structures or prefabricated foundation elements except coverings made of layers of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8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vegetable stems, e.g. straw, thatch ; made of tex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프를 직조하여 형성한 보행용 매트를 연결하되, 연결 후에도 돌출 부위가 없고 연결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보행자의 보행에 방해가 되지 않으며 외관이 좋은 보행용 매트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로프를 직조하여 만든 2 이상의 보행용 매트(1)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한 구조로서, 매트의 길이방향의 단부에 형성된 로프(10)의 축소 직경부(13); 및 서로 연결될 2 개의 보행용 매트의 축소 직경부를 서로 중첩시킨 상태에서 이들을 압착 고정하는 고정구(20);를 포함하며, 상기 축소 직경부는 로프를 이루는 기준 가닥수의 일부를 제거한 줄임 가닥수로 로프를 제작하여 형성되는 보행용 매트 연결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보행용 매트의 연결 구조{CONNECTING STRUCTURE OF WALKING-ON MAT}
본 발명은 보행용 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로프를 직조하여 형성한 보행용 매트를 연결하되, 연결 후에도 돌출 부위가 없고 연결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보행자의 보행에 방해가 되지 않으며 외관이 좋은 보행용 매트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등산로에는 친환경 재료로 제작한 보행용 매트가 설치되고 있다. 이는 등산로의 토사 유실을 방지하고, 투수성이 좋아 매트 하부의 토양에 물과 공기가 원활히 공급되고, 보행자가 토사 등에 의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통상 보행용 매트는 야자 섬유, 짚 등을 꼬아서 만든 로프를 위사와 경사 방향으로 직조하여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보행용 매트는 인력으로 제작하다 보니 길이방향으로 무한히 제작하지 못하고, 대략 10 미터 길이에 맞추어 제작하게 된다.
하지만 보행용 매트를 이렇게 10미터 길이에 맞추어 제작하다 보니, 경사진 등산로에 펼쳐 놓은 보행용 매트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밑으로 내려오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보행용 매트를 지면에 고정하기 위해 매트 위에 페그(peg)나 말뚝을 꽂아 지면에 박아 고정하는 방식으로 보행용 매트를 등산로 지면에 고정시키고 있으나, 지면에 박은 페그나 말뚝은 뽑기 쉽지 않아 보행용 매트를 걷고자 할 때 해체작업이 번거로워 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행용 매트를 지지하는 페그나 말뚝은 보행용 매트에 사람들이 다닐수록 점점 뽑혀 나오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렇게 돌출된 페그나 말뚝에 보행자가 발이 걸려 넘어지는 등의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기도 한다. 특히 보행용 매트를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어가며 페그나 말뚝을 박을 때에는 서로 중첩된 보행용 매트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돌출되므로 보행자의 통행에 방해가 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2 이상의 보행용 매트를 간편하면서도 단단히 연결할 수 있는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행용 매트의 연결 부위가 다른 부위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보행자의 통행에 전혀 방해되지 않도록 한 보행용 매트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면에 고정하지 않으면서도 두 보행용 매트를 간편하고 단단히 연결할 수 있는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두 보행용 매트의 연결부위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심미적으로 미려한 보행용 매트의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로프를 직조하여 만든 2 이상의 보행용 매트(1)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한 구조로서, 매트의 길이방향의 단부에 형성된 로프(10)의 축소 직경부(13); 및 서로 연결될 2 개의 보행용 매트의 단부를 서로 중첩시킨 상태에서 이들을 압착 고정하는 고정구(20);를 포함하며, 상기 축소 직경부는 경사 방향으로 배열되는 로프(10)의 단부 부분의 직경이 축소되어 형성되고(거나), 매트의 길이방향의 단부에서 위사 방향으로 배열되는 로프가 축소된 직경을 가짐으로써 형성되는 보행용 매트 연결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축소 직경부는, 보행용 매트의 본체 부분에 배치되는 로프의 기준 가닥수의 일부를 제거한 줄임 가닥수로 로프를 제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구는, 매트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며, 수직 방향으로 압입핀(23)이 돌설된 제1고정판(21); 및 수직 방향으로 압입핀(23)이 돌설되고, 상기 축소 직경부가 중첩된 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고정판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고정판(22);을 포함하되, 상기 제1고정판과 제2고정판은 압입핀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고정판과 제2고정판을 상호 압착 고정하여 압입핀이 상기 축소 직경부에 압입되도록 함으로써 2 개의 보행용 매트를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판과 제2고정판을 상호 압착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제2고정판의 압입핀은 상기 제1고정판의 면적 범위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판의 압입핀과 상기 제2고정판의 압입핀의 돌설 위치는 서로 어긋나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판과 제2고정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매트의 폭 방향의 길이와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고정판과 제2고정판은 폭 방향으로 복수 개가 분할된 형태일 수 있다.
서로 연결될 2 개의 보행용 매트를 서로 포개어 각각의 길이방향의 단부에 형성된 축소 직경부를 서로 중첩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구를 사용하여 이들을 압착 고정하고, 상부에 포개었던 보행용 매트를 반대방향으로 펼침으로써, 상부에서 보았을 때 고정구가 은폐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에 포개었던 보행용 매트의 축소 직경부의 길이는 하부에 포개었던 보행용 매트의 축소 직경부의 길이보다 더 길어서, 상부에 포개었던 보행용 매트를 펼쳤을 때 상부에 포개었던 보행용 매트의 본체 부분이 보행용 매트의 연결 부위와 중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행용 매트를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할 때 연결 부위가 다른 부분보다 더 돌출되지 않아 보행자의 보행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보행용 매트의 연결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감이 좋고, 돌출 부위가 없어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보행용 매트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보행용 매트의 A-A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보행용 매트를 직조할 때 사용되는 로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로프의 단부에서 일부 가닥을 제거하여 축소 직경부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매트를 연결하기 위해 두 매트를 포갠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두 매트의 축소 직경부를 중첩한 부분을 고정구로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두 매트의 단부를 고정구로 고정한 후 포개졌던 매트를 펼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고정구의 사시도,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매트 연결 구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매트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보행용 매트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보행용 매트의 A-A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3개의 로프(10)를 나란히 배치하며 위사 방향과 경사 방향으로 로프를 직조한 보행용 매트(1)가 도시되어 있다. 보행용 매트는 경사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일 실시예로서 보행용 매트(1)의 폭은 1.5m, 보행용 매트의 길이는 10m 일 수 있다.
보행용 매트(1)를 이루는 로프(10)는 짚이나 야자 섬유를 꼬아 만든 새끼줄로서, 공기와 물이 쉽게 침투하고 배출되는 구조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로프(10)는 4개의 가닥(11)을 꼬아 만든 새끼줄 형태임이 예시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짚이나 야자 섬유의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할 연결 구조를 적용함에 문제가 없는 한 다른 재질도 사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3은 도 1의 보행용 매트를 직조할 때 사용되는 로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로프의 단부에서 일부 가닥을 제거하여 축소 직경부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로프(10)는 4개의 가닥을 기준으로 꼬아서 제작한다.
이 때 본 발명에서 경사 방향으로 배열되는 로프(10)는 그 양단부가 축소 직경부(13)를 가지도록 제작한다. 축소 직경부(1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가닥수에서 일부를 제거(C)하고, 꼬아서 제작한다. 가령 기준 가닥수가 4개인 경우,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소 직경부(13)는 하나의 기준 가닥을 제거하고 3개로 꼬아서 제작할 수 있다. 기준 가닥수와 이들 중 일부를 제거한 줄임 가닥수는 제작하고자 하는 보행용 매트의 두께나 가닥의 재질, 그리고 가닥의 굵기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줄임 가닥수 역시 후술할 보행용 매트 연결 구조에 적합한 두께를 가지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줄임 가닥수에 의해 형성되는 축소 직경부(13)는 기본 직경부(12)의 1/4 내지 1/2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본 직경부 대비 1/3의 두께를 가지는 축소 직경부(13)가 예시된다.
또한 매트의 길이방향의 단부에서 위사 방향으로 직조되는 로프가 전체적으로 축소 직경부(13)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사 방향으로 배치되는 로프를 전체적으로 축소 직경부로서 제작한 후 직조하면 매트 양단의 두께를 더욱 줄일 수 있다.
즉, 매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경사 방향으로 배치되는 로프의 양단부, 및/또는 매트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서 직조되되 매트의 폭 방향을 따라 위사 방향으로 배치되는 로프들을 축소 직경부로 하면 매트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축소 직경부는 보행용 매트의 길이방향의 단부의 두께를 보행용 매트의 본체 부분에 비해 줄이기 위한 방법의 한 예이며, 후술할 연결 구조를 적용함에 문제가 없는 한 다른 방식으로 단부의 두께를 줄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매트를 연결하기 위해 두 매트를 포갠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두 매트의 축소 직경부를 중첩한 부분을 고정구로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두 매트의 단부를 고정구로 고정한 후 포개졌던 매트를 펼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고정구의 사시도,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매트 연결 구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매트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서로 연결하고자 하는 매트(1)의 단부가 통상적인 매트 부분보다 얇게 형성되도록 하고, 이들을 중첩하여 압입 고정하는 것을 하나의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매트의 길이방향의 양단에서 로프(10)의 일부 가닥(11)을 제거하여 축소 직경부(13)를 형성함으로써 구현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서로 길이방향으로 연결할 두 개의 매트(1)가 포개져 배치된다. 그리고 서로 포개져 있는 두 개의 매트의 단부가 서로 일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두 매트(1)의 축소 직경부(13) 부분을 서로 중첩시킨다.
다음으로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중첩된 두 축소 직경부의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제1고정판(21)을 압입하고, 중첩된 두 축소 직경부의 하부로부터 상방으로 제2고정판(22)을 압입하며, 이들 두 고정판을 볼트(24)와 너트(25)로 고정한다. 이때 제1 고정판에는 하방을 향하여 압입핀(23)이 돌설되고, 마찬가지로 제2 고정판에는 상방을 향하여 압입핀(23)이 돌설된다.
도 8을 참조하면 고정판(21,22)은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태이며, 고정판의 길이는 보행용 매트(1)의 폭과 대응한다. 한편 압입핀(32)은 고정판(21)의 양단에 톱니 내지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고정판에 대해 수직을 이루며 돌설된다. 고정판(21,23)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간 부분에는 상기 볼트(24)가 끼워지는 관통공이 일정 간격 이격 형성되어 있다. 압입핀(3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24)와 너트(25)로 두 고정판(21,22)을 조임에 따라, 보행용 매트(1)의 중첩된 축소 직경부(13) 부분에 끼워진다. 이때 고정판의 관통공은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부에 설치되는 제1고정판(21)의 폭(w1)은 하부에 설치되는 제2고정판(22)의 폭(w2)보다 크기 때문에, 결국 이들 관통공에 볼트를 끼워 너트로 고정하면, 제2고정판의 압입핀(23)은 제1고정판(21)에 의해 덮여지게 된다. 이는 제2고정판의 압입핀(23)이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노출될 경우 보행자가 이 부분을 밟게 되면 발을 다칠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한 것이다. 일 예로서 제2고정판의 폭은 20mm 이고 제1고정판의 폭은 25mm일 수 있다.
압입핀은 중첩된 2개 층의 로프 중 1개 층의 깊이 정도의 길이를 가지거나, 2개의 층의 로프 모두에 압입될 정도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고정판의 압입핀(23)의 선단부가 제1고정판의 저면에 접촉할 정도로 두 고정판이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고정판의 압입핀과 제2고정판의 압입핀은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여 로프에 큰 훼손을 가하지 않으면서 로프를 압입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압입핀의 설치 위치나 높이, 형상 등은 본 발명의 보행용 매트 연결 구조를 적용함에 문제가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제1고정판과 제2고정판은 매트의 폭과 대응될 정도로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매트의 폭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고정판을 분할 형성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특히 보행용 매트가 굴곡진 산비탈 면 등에 설치될 경우에는 매트의 폭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 개의 고정판을 설치하여 두 매트의 연결면도 그 폭 방향으로 플렉시블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도 6과 같이 고정구(20)를 고정한 상태에서 포개져 있던 위쪽의 보행용 매트(1)를 반대쪽으로 펼치면, 도 7과 같이 고정구(2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면서 두 보행용 매트(1)가 길이방향으로 연결된다. 일 예로서 하부에 포개어지는 보행용 매트(1)의 단부의 길이(L)는 30 mm 정도일 수 있다. 그리고 상부에 포개어지는 보행용 매트(1)의 단부의 길이(2L)는 위 길이의 두 배인 60mm 정도일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서로 중첩되는 축소 직경부(13) 부분은 3층으로 이루어지고, 앞서 기재하였듯이 축소 직경부의 두께가 보행용 매트의 본체 부분의 두께의 1/3 정도이면, 보행용 매트의 본체 부분의 두께와 이들의 연결 구조 부분의 두께가 일치하게 되므로, 외부에서 보았을 때 보행용 매트의 연결 구조 부분이 돌출되지도 않을 뿐만 아니라, 고정구 부분 역시 은폐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행용 매트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축소 직경부(13)의 길이는 L로, 그리고 타측 단부에 형성된 축소 직경부(13)의 길이는 대략 그 두배인 2L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일측 단부에 형성된 축소 직경부는 보행용 매트의 두께방향으로 보았을 때 아래쪽에, 그리고 타측 단부에 형성된 축소 직경부는 보행용 매트의 두께방향으로 보았을 때 그 반대편인 위측에 배치되도록 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축소 직경부를 짧은 축소 직경부 위에 중첩시켜 고정한 후 도 7과 같이 펼치면, 보행용 매트가 울어버리는 부분 없이 깔끔하게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 부위의 외관이 깔끔함은 물론, 연결된 두 매트가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장력에 의해 하중을 받는 경우, 그러한 하중은 제1고정판과 제2고정판에 의해 매트의 폭 방향을 따라 분산 압입된 압입핀에 분산 작용하므로, 어느 한 곳에 하중이 집중되어 매트의 연결 부위가 끊어지거나 찢어지는 문제 없이 단단히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에서는 두 보행용 매트를 포갠 상태에서 일측 단부를 서로 고정한 후 위쪽에 포개져 있던 보행용 매트를 펼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러한 구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로프의 단부의 가닥 수를 줄여 로프의 축소 직경부를 형성하고, 이 부분을 중첩하여 고정구로 고정하는 사항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보행용 매트의 길이방향의 단부 부분에서 위사 방향으로 직조되는 로프의 갯수를 일부 또는 전부 생략함으로써 보행용 매트의 두께 대비 보행용 매트 양단부의 두께를 줄이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고정판과 제2고정판에 모두 압입핀이 형성된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제1고정판에만 압입핀이 형성되거나, 제2고정판에만 압입핀이 형성될 수도 있다. 어느 일측 고정판에만 압입핀이 형성된 경우에는, 두 고정판에 모두 압입핀이 형성된 경우와 대비하였을 때, 압입핀을 조금 더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입핀의 형상 역시 톱니형 또는 삼각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두 보행용 매트를 포갠 상태에서 고정하고, 고정 후 위쪽의 보행용 매트를 펼치는 방식을 제안하였으나, 두 보행용 매트를 먼저 길이 방향으로 펼친 상태에서 마주하는 길이방향의 단부를 중첩하고, 이 부분에 고정구를 압입하여 연결하는 방식 또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보행용 매트
10: 로프
11: 가닥
12: 기본 직경부
13: 축소 직경부
20: 고정구
21: 제1고정판
22: 제2고정판
23: 압입핀
24: 볼트
25: 너트
w1: 제1고정판의 폭
w2: 제2고정판의 압입핀 사이의 폭

Claims (11)

  1.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위사 방향의 로프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 방향의 로프를 직조하여 만든 보행용 매트(1)를 2 이상 길이방향으로 연결한 보행용 매트의 연결 구조로서,
    상기 보행용 매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경사 방향의 로프는, 기준 가닥수를 가지며 경사 방향의 로프의 길이방향의 본체 부분에 마련되는 기본 직경부(12); 및 상기 기준 가닥수에서 일부를 제거한 줄임 가닥수를 가지며 상기 경사 방향의 로프의 길이방향의 단부에 형성되는 축소 직경부(13);를 포함하여서, 상기 축소 직경부로 인해 상기 보행용 매트의 본체 부분의 두께보다 상기 보행용 매트의 단부 부분의 두께가 더 얇게 되고,
    상기 연결 구조는 서로 연결될 2 개의 보행용 매트의 상기 길이방향의 단부를 서로 중첩시킨 상태에서 이들을 압착 고정하는 고정구(20);를 포함하며,
    서로 연결될 2 개의 보행용 매트의 본체 부분과 단부 부분을 포개고 각 보행용 매트의 길이방향의 단부에 마련된 축소 직경부를 서로 중첩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구를 사용하여 이들을 압착 고정하고,
    상부에 포개었던 보행용 매트를 반대방향으로 펼침으로써, 상부에서 보았을 때 고정구가 은폐되며,
    상부에 포개었던 보행용 매트의 축소 직경부의 길이는 하부에 포개었던 보행용 매트의 축소 직경부의 길이보다 더 길어서, 상부에 포개었던 보행용 매트를 펼쳤을 때 상부에 포개었던 보행용 매트의 본체 부분이 보행용 매트의 연결 부위와 중첩되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용 매트 연결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행용 매트의 폭방향으로 연장 배열되는 위사 방향의 로프들 중 상기 보행용 매트의 길이방향의 단부에 배치되는 위사 방향의 로프들은 보행용 매트의 길이방향의 본체 부분에 배치되는 위사 방향의 로프들보다 축소된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용 매트 연결 구조.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매트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며, 압입핀(23)이 돌설된 제1고정판(21); 및
    상기 축소 직경부가 중첩된 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고정판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고정판(22);을 포함하되,
    상기 제1고정판과 제2고정판을 상호 압착 고정하여 압입핀이 상기 축소 직경부에 압입되도록 함으로써 2 개의 보행용 매트를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용 매트 연결 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판에도 압입핀이 돌설되고,
    상기 제1고정판과 제2고정판을 상호 압착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제2고정판의 압입핀은 상기 제1고정판의 면적 범위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용 매트 연결 구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판의 압입핀과 상기 제2고정판의 압입핀의 돌설 위치는 서로 어긋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용 매트 연결 구조.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판과 제2고정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매트의 폭 방향의 길이와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용 매트 연결 구조.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판과 제2고정판은 폭 방향으로 복수 개가 분할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용 매트 연결 구조.
  10. 삭제
  11. 삭제
KR1020150148052A 2015-10-23 2015-10-23 보행용 매트의 연결 구조 KR101711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052A KR101711043B1 (ko) 2015-10-23 2015-10-23 보행용 매트의 연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052A KR101711043B1 (ko) 2015-10-23 2015-10-23 보행용 매트의 연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1043B1 true KR101711043B1 (ko) 2017-02-28

Family

ID=58543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052A KR101711043B1 (ko) 2015-10-23 2015-10-23 보행용 매트의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104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025B1 (ko) 2019-10-10 2020-02-04 주식회사 그린에코로드 보행용매트 직조장치
KR102073019B1 (ko) 2019-10-10 2020-02-04 주식회사 코단에코로드 보행용매트 직조장치
KR102073022B1 (ko) 2019-10-10 2020-03-02 주식회사 코단에코로드 보행용매트 직조방법
KR102073026B1 (ko) 2019-10-10 2020-03-02 주식회사 그린에코로드 보행매트 직조방법 및 이로인하여 직조된 보행매트
KR102413672B1 (ko) * 2021-10-06 2022-06-24 성낙훈 보행매트의 미끄럼방지 및 훼손을 최소화시킨 보행매트용 미끄럼방지장치
KR20240030520A (ko) 2022-08-31 2024-03-07 주식회사 네이처로드 직조매트 단부 마감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598A (ko) * 1997-06-20 1999-01-15 김종천 직포 매트 및 직포매트 체결장치
KR100489730B1 (ko) * 2002-04-26 2005-05-16 서울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막방수 보호용 섬유매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0614262B1 (ko) * 2005-02-01 2006-08-22 주식회사 파비노 보강경사부를 구비한 직물구조체
KR100973728B1 (ko) * 2009-09-23 2010-08-04 (주) 미도랜드 노면포장용 카펫식 포장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598A (ko) * 1997-06-20 1999-01-15 김종천 직포 매트 및 직포매트 체결장치
KR100489730B1 (ko) * 2002-04-26 2005-05-16 서울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막방수 보호용 섬유매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0614262B1 (ko) * 2005-02-01 2006-08-22 주식회사 파비노 보강경사부를 구비한 직물구조체
KR100973728B1 (ko) * 2009-09-23 2010-08-04 (주) 미도랜드 노면포장용 카펫식 포장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025B1 (ko) 2019-10-10 2020-02-04 주식회사 그린에코로드 보행용매트 직조장치
KR102073019B1 (ko) 2019-10-10 2020-02-04 주식회사 코단에코로드 보행용매트 직조장치
KR102073022B1 (ko) 2019-10-10 2020-03-02 주식회사 코단에코로드 보행용매트 직조방법
KR102073026B1 (ko) 2019-10-10 2020-03-02 주식회사 그린에코로드 보행매트 직조방법 및 이로인하여 직조된 보행매트
KR102413672B1 (ko) * 2021-10-06 2022-06-24 성낙훈 보행매트의 미끄럼방지 및 훼손을 최소화시킨 보행매트용 미끄럼방지장치
KR20240030520A (ko) 2022-08-31 2024-03-07 주식회사 네이처로드 직조매트 단부 마감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1043B1 (ko) 보행용 매트의 연결 구조
KR100993275B1 (ko) 데크플레이트의 고정구조
KR20200018744A (ko) 보행매트 연결 시스템
KR101256097B1 (ko) 낙석방지망 설치 구조물
KR101890275B1 (ko) 간격결합체를 갖는 트러스 거더근 철물 및 이를 이용한 골 데크의 시공 방법
KR970000112A (ko) 면 파스너
US3703059A (en) Extensible perforate floor mat and friction device
KR200442867Y1 (ko) 낙석방지망의 와이어로프 고정용 클램프
KR101215672B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AU703695B2 (en) A sewn attachment loop for a flexible rope,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loop
US3295405A (en) Grip plate for wooden truss members
KR100905697B1 (ko) 조립형 데크 연결구조
KR101649684B1 (ko) 낙석 방지용 탄성 결합구
EP0930404B1 (fr) Elément de liaison et de couverture de joint et main courante ou analogue comportant au moins un tel élément
KR101900790B1 (ko) 그레이팅 구조체
CN102704690B (zh) 索网幕墙拉索连接件的张拉工装
KR100685717B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KR200403457Y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KR102041697B1 (ko) 로프 고정구
JP6870880B1 (ja) 捕捉構造物のロープ連結具
KR200457518Y1 (ko) 웨빙 고정구
US4507987A (en) Wire fence strand spreader
KR102167586B1 (ko) 슬라이딩 장치로 연결된 보행매트
KR101463719B1 (ko) 파형 스톤 매트의 시공방법
CN220284842U (zh) 一种边坡柔性主动防护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