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3719B1 - 파형 스톤 매트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파형 스톤 매트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3719B1
KR101463719B1 KR1020140006493A KR20140006493A KR101463719B1 KR 101463719 B1 KR101463719 B1 KR 101463719B1 KR 1020140006493 A KR1020140006493 A KR 1020140006493A KR 20140006493 A KR20140006493 A KR 20140006493A KR 101463719 B1 KR101463719 B1 KR 101463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net
lower net
mat
curv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6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동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신
Priority to KR1020140006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37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3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3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안, 사면보호공 및 세굴방지공 등 각종 건설 공사에 활용되는 스톤 매트(stone mat)에 관한 것으로, 금속제 망체(網體) 사이에 사석, 쇄석 또는 호박돌 등의 석재(10)가 포설되는 스톤 매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스톤 매트에 봉부(峰部)(25) 및 곡부(谷部)(26)를 형성하여 파형(波形) 단면을 형성하도록 하고, 곡부(26)에서 상부망(22)과 하부망(21)이 결속되도록 함으로써, 포설된 석재(10)가 상부망(22)과 하부망(21) 사이에 밀실하게 충전됨과 동시에, 상부망(22)과 하부망(21)간 결속상태가 긴밀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스톤 매트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스톤 매트내 충전된 석재(10)의 불필요한 이동 및 이탈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파형 스톤 매트의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WAVE TYPE STONE MAT}
본 발명은 호안, 사면보호공 및 세굴방지공 등 각종 건설 공사에 활용되는 스톤 매트(stone mat)에 관한 것으로, 금속제 망체(網體) 사이에 사석, 쇄석 또는 호박돌 등의 석재(10)가 포설되는 스톤 매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스톤 매트에 봉부(峰部)(25) 및 곡부(谷部)(26)를 형성하여 파형(波形) 단면을 형성하도록 하고, 곡부(26)에서 상부망(22)과 하부망(21)이 결속되도록 함으로써, 포설된 석재(10)가 상부망(22)과 하부망(21) 사이에 밀실하게 충전됨과 동시에, 상부망(22)과 하부망(21)간 결속상태가 긴밀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호안(護岸), 사면보호공 및 세굴방지공(洗掘防止工) 등 각종 건설 공사에 활용되는 스톤 매트는 도 1에서와 같이, 금속제 망체인 하부망(21)이 설치 지점 지면에 전개되어 고정핀(29) 등으로 지반에 고정되고, 하부망(21) 상면에 다수의 석재(10)가 포설되며, 포설된 석재(10) 상면에 역시 금속제 망체인 상부망(22)이 적층되어 포설된 석재(1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금속제 망체인 상부망(22) 및 하부망(21) 사이에 다수의 석재(10)가 충전되어 매트형태로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하부망(21)의 외곽부 및 하부망(21) 내부에 간헐적으로 고정핀(29)이 타입(打入)되어 하부망(21)이 지면에 고정되고, 석재(10)를 덮는 상부망(22)과 하부망(21) 사이에는 도 1의 타원내 확대부 및 도 2에서와 같이, 체결나사(39) 등의 결속수단이 체결되어 상부망(22)을 하부망(21)에 고정함으로써, 석재(10)의 이탈 및 유실을 방지하고 스톤 매트의 형태 및 구조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스톤 매트 관련 종래기술로는 특허 제754979호를 들 수 있다.
특허 제754979호를 비롯한 종래의 스톤 매트는 스톤 매트를 구성하는 석재(10)는 상부망(22)에 의하여 지지되고, 이 상부망(22)은 지면에 고정된 하부망(21)에 의하여 지지되는 구성으로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부망(22)과 하부망(21)은 체결나사(39)를 통하여 상호 결속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상부망(22)과 하부망(21)에 결합되는 클립 또는 와셔 등의 부착물을 체결나사(39)를 통하여 체결하는 방식으로서, 하부망(21) 상부에 이미 석재(10)가 포설된 상태에서 극히 협소한 석재(10)간 공극에 체결나사(39)를 투입하여 체결나사(39)의 두부(頭部)를 하부망(21)에 결속하고, 상부망(22) 상측으로 돌출된 체결나사(39)의 상단에 너트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시공이 진행되는 바, 그 공정이 지극히 복잡할 뿐 아니라 고도로 숙련된 인력이 다수 소요될 수 밖에 없어 장기간의 공기와 막대한 공사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1의 타원내 확대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이 완료된 후 체결나사(39)의 상단 일부가 돌출될 수 밖에 없는 구조로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을 뿐 아니라, 스톤 매트로 구축된 구조물의 경관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부망(22)과 하부망(21)을 연결하는 체결나사(39)는 스톤 매트의 평면상 간헐적으로 설치될 수 밖에 없으며, 따라서 경사면에 스톤 매트가 시공되는 경우 체결나사(39)가 석재(10)의 사면을 따른 활동(sliding)을 억제하는 지지체로서 작용할 수 없고, 사면상 석재(10)의 지지는 상부망(22)이 전적으로 담당하게 되는 바, 포설된 석재(10)의 안정적인 지지 및 전체 스톤 매트의 구조 유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간헐적으로 설치되는 체결나사(39)가 사면에 포설된 전체 석재(10)를 지지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스톤 매트를 구성하는 하부망(21)과 상부망(22)이 기본적으로 스톤 매트 전면에 걸쳐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포설된 석재(10)가 하부망(21)과 상부망(22) 사이에서 자중 또는 외력에 의하여 극히 쉽게 이동될 수 있으며, 사석, 쇄석 또는 호박돌 등 포설되는 석재(10)가 직경이 일정하지 않고 불규칙한 형상의 입상체(粒狀體)임을 감안하면, 하부망(21)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상부망(22)이 포설된 석재(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에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이렇듯, 시공 지역 전면에 걸쳐 상부망(22)과 하부망(21)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종래의 스톤 매트에서는 지면에 석재(10)를 포설한 후 석재(10) 상면에 일체의 고정수단을 구축하지 않은 것과 사실상 동일한 상태라 하여도 과언이 아니며, 따라서 하천 호안 사면 등에 스톤 매트가 시공되는 경우, 포설된 석재(10)가 자중은 물론 하천 수류(水流) 등 외력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활동하게 되어 석재(10)가 사면의 하단부 등 특정 지점에 편중되거나, 석재(10)가 유실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석재(10)의 불요(不要) 이동이 누적됨에 따라 전체 스톤 매트의 구조가 와해되어 그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지면에 전개된 하부망(21) 상부에 석재(10)가 포설되고 석재(10) 상부에 상부망(22)이 전개되며 상부망(22)과 하부망(21)이 결속되는 스톤 매트에 있어서, 스톤 매트에는 석재(10)가 포설되는 봉부(25)와 하부망(21)이 노출되는 곡부(26)가 반복되어 형성되고, 상부망(22)은 봉부(25)에서는 포설된 석재(10) 상면에 밀착되고, 곡부(26)에서는 하부망(21)과 밀착되며, 곡부(26)의 하단에서 상부망(22)과 하부망(21)이 결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스톤 매트이자, 상부망(22)은 봉부(25)에서는 포설된 석재(10) 상면에 밀착되고, 곡부(26)에서는 하부망(21)과 밀착되며, 곡부(26)의 하단에는 곡부압착선(36)이 밀착 설치되고, 곡부압착선(36)과 하부망(21)이 결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스톤 매트이다.
또한, 상기 파형 스톤 매트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톤 매트 시공 계획 지면에 하부망(21)을 전개하는 단계와, 하부망(21) 상면에 석재(10)를 포설하되, 봉부(25) 및 곡부(26)가 형성되도록 지점별 포설 두께를 차등 적용하고, 곡부(26)의 하부망(21)을 노출시키는 단계와, 포설된 석재(10) 상면에 상부망(22)을 전개하는 단계와, 곡부(26)의 상부망(22)을 하측으로 압착하여 노출된 하부망(21)에 밀착하고 상부망(22)과 하부망(21)을 결속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스톤 매트의 시공방법이자, 포설된 석재(10) 상면에 상부망(22)을 전개하는 단계가 완료된 후 곡부(26)의 상부망(22)을 하측으로 압착하여 노출된 하부망(21)에 밀착하고 상부망(22)과 하부망(21)이 밀착된 곡부(26)의 하단에는 곡부압착선(36)을 설치한 후 곡부압착선(36)과 하부망(21)을 결속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스톤 매트의 시공방법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스톤 매트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스톤 매트내 충전된 석재(10)의 불필요한 이동 및 이탈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하부망(22)이 노출된 곡부(26)에서 상부망(21)과 하부망(22)간 결속 작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시공 편의성을 확보하고 및 공사기간을 단축하며,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
특히, 스톤 매트에 봉부(25)와 곡부(26)가 반복 형성됨에 따라 스톤 매트내 충전된 전체 석재(10)가 광범위한 구역에 단순 포설된 상태로 거동하는 것이 아니라, 밀실하게 충전된 소규모 충전체가 긴밀하게 연결된 상태로 거동하게 되므로, 최초 시공 후 장시간이 경과되어도 석재(10)의 편중, 붕괴 및 이탈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전체 스톤 매트 구조체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부망(22)과 하부망(21)의 긴밀하고 견고한 결속과 동시에 상부망(22)이 석재(10)의 상면에 강력하게 밀착되어, 전체 스톤 매트의 조직이 견고하게 유지되므로, 하천 호안 등 다각적인 외력이 작용하는 구조물에 적용시 종래 스톤 매트에 비하여 월등한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톤 매트 시공상태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스톤 매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스톤 매트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스톤 매트의 대표 단면도
도 5는 곡부압착선이 적용된 본 발명 스톤 매트의 일 실시예 사시도
도 6은 도 5 실시예의 대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시공방법의 흐름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수행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은 본 발명 스톤 매트의 시공 상태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스톤 매트는 지면에 전개된 하부망(21) 상부에 석재(10)가 포설되고 석재(10) 상부에 상부망(22)이 전개되며 상부망(22)과 하부망(21)이 결속되는 기본 구조를 가지며, 석재(10)가 포설되는 봉부(25)와 하부망(21)이 노출되는 곡부(26)가 반복되어 형성된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 스톤 매트는 상부망(22)과 하부망(21) 사이에 다수의 석재(10)가 포설되되, 스톤 매트 시공 구역 전체에 걸쳐 석재(10)가 고르게 포설되는 것이 아니라, 석재(10)가 포설되어 단면상 볼록한 부분을 형성하는 봉부(峰部)(25)와 석재(10)가 포설되지 않고 지면에 전개된 하부망(21)이 노출되어 단면상 오목한 부분을 형성하는 곡부(谷部)(26)가 반복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파형(波形)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스톤 매트에서 상부망(22)은 봉부(25)에서는 포설된 석재(10) 상면에 밀착되고, 곡부(26)에서는 하부망(21)과 밀착되며, 상부망(22)과 하부망(21)이 밀착되는 곡부(26)의 하단에서 상부망(22)과 하부망(21)은 결속선(35) 등의 체결수단에 의하여 상호 결속된다.
이렇듯, 본 발명에서는 스톤 매트가 하부망(21), 석재(10) 포설층 및 상부망(22)으로 구성되되, 석재(10) 포설층이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스톤 매트 구축 지역 전면에 걸쳐 균일한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봉부(25)와 곡부(26)를 반복하면서 형성되고, 상부망(22) 또한 그에 따라 봉부(25)와 곡부(26)를 형성하며 석재(10) 및 하부망(21)에 밀착되어, 일종의 누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밀실하게 석재(10)가 충전된 다수의 주머니 형식의 구조체가 긴밀하게 연속 결속된 구조가 달성되며, 이로써 종래기술에 있어서 빈발하였던 스톤 매트내 석재(10)의 편중, 붕괴 및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상부망(22)을 하부망(21)에 일층 강력하게 밀착시킴과 동시에, 곡부(26)에 형성되는 상부망(22)과 하부망(21)간 결속 지점을 감축하면서도 상부망(22)과 하부망(21)간 견고한 결속이 가능하도록, 곡부압착선(36)을 적용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6은 동 실시예의 대표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곡부(26)의 하단에 강연선(鋼撚線) 등으로 구성된 곡부압착선(36)이 밀착 설치되고, 이 곡부압착선(36)과 하부망(21)이 결속선(35) 등에 의하여 상호 결속되는데, 스톤 매트 곡부(26) 하단의 상부망(22) 상면에 곡부압착선(36)을 배열한 후 곡부압착선(36)과 하부망(21)을 결속선(35) 등으로 결속하면, 상부망(22)과 하부망(21)을 직접 결속하거나 곡부압착선(36)과 상부망(22)을 결속하는 작업 없이도 상부망(22)의 견고한 고정을 달성할 수 있다.
도 7은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 스톤 매트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우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서와 같이, 스톤 매트 시공 계획 지면에 하부망(21)을 전개하고 고정핀(29)을 타입하여 하부망(21)을 지면에 고정하는 단계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시공방법이 개시된다.
하부망(21)의 전개가 완료되면, 하부망(21) 상면에 석재(10)를 포설하되, 봉부(25) 및 곡부(26)가 형성되도록 지점별 포설 두께를 차등 적용하고, 곡부(26)에서는 하부망(21)이 노출되도록 석재(10) 포설층을 조절하는 단계가 수행되며, 이후 포설된 석재(10) 상면에 상부망(22)을 전개하는 단계와, 곡부(26)의 상부망(22)을 하측으로 압착하여 노출된 하부망(21)에 밀착하고 상부망(22)과 하부망(21)을 결속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한편,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곡부압착선(36)이 적용되는 실시예에서는 포설된 석재(10) 상면에 상부망(22)을 전개하는 단계가 완료된 후, 곡부(26)의 상부망(22)을 하측으로 압착하여 노출된 하부망(21)에 밀착하고 상부망(22)과 하부망(21)이 밀착된 곡부(26)의 하단에는 곡부압착선(36)을 설치한 후 곡부압착선(36)과 하부망(21)을 결속하는 단계가 수행되어, 본 발명 스톤 매트가 완성된다.
10 : 석재
21 : 하부망
22 : 상부망
25 : 봉부
26 : 곡부
29 : 고정핀
35 : 결속선
36 : 곡부압착선
39 : 체결나사

Claims (4)

  1. 지면에 전개된 하부망(21) 상부에 석재(10)가 포설되고 석재(10) 상부에 상부망(22)이 전개되며 상부망(22)과 하부망(21)이 결속되는 스톤 매트로서, 스톤 매트에는 석재(10)가 포설되는 봉부(25)와 하부망(21)이 노출되는 곡부(26)가 반복되어 형성되고, 상부망(22)은 봉부(25)에서는 포설된 석재(10) 상면에 밀착되고, 곡부(26)에서는 하부망(21)과 밀착되며, 곡부(26)의 하단에서 상부망(22)과 하부망(21)이 결속되는 파형 스톤 매트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스톤 매트 시공 계획 지면에 하부망(21)을 전개하고 하부망을 지면에 고정하는 단계와, 하부망(21) 상면에 석재(10)를 포설하되, 봉부(25) 및 곡부(26)가 형성되도록 지점별 포설 두께를 차등 적용하고, 곡부(26)에서는 석재(10) 포설층을 조절하여 하부망(21)을 노출시키는 단계와, 포설된 석재(10) 상면에 상부망(22)을 전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파형 스톤 매트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포설된 석재(10) 상면에 상부망(22)을 전개하는 단계가 수행된 후,
    곡부(26)의 상부망(22)을 하측으로 압착하여 노출된 하부망(21)에 밀착하고 상부망(22)과 하부망(21)이 밀착된 곡부(26)의 하단에는 곡부압착선(36)을 설치한 후 곡부압착선(36)과 하부망(21)을 결속하는 단계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스톤 매트의 시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40006493A 2014-01-20 2014-01-20 파형 스톤 매트의 시공방법 KR101463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493A KR101463719B1 (ko) 2014-01-20 2014-01-20 파형 스톤 매트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493A KR101463719B1 (ko) 2014-01-20 2014-01-20 파형 스톤 매트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3719B1 true KR101463719B1 (ko) 2014-11-21

Family

ID=52291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6493A KR101463719B1 (ko) 2014-01-20 2014-01-20 파형 스톤 매트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371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3865A (ja) * 2004-01-29 2005-08-11 Takeo Suzuki 斜面安定用ブロックマット
KR200418659Y1 (ko) * 2006-03-10 2006-06-14 주식회사 만영엔지니어링 하천 제방의 식생낭 매트 설치구조
KR20070078318A (ko) * 2006-01-26 2007-07-31 (주)리버앤텍 시공석 고정구조물을 이용한 하천 구조물
KR100944269B1 (ko) * 2008-10-29 2010-02-24 한국광해관리공단 광산지역 사면 녹화처리용 직물 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3865A (ja) * 2004-01-29 2005-08-11 Takeo Suzuki 斜面安定用ブロックマット
KR20070078318A (ko) * 2006-01-26 2007-07-31 (주)리버앤텍 시공석 고정구조물을 이용한 하천 구조물
KR200418659Y1 (ko) * 2006-03-10 2006-06-14 주식회사 만영엔지니어링 하천 제방의 식생낭 매트 설치구조
KR100944269B1 (ko) * 2008-10-29 2010-02-24 한국광해관리공단 광산지역 사면 녹화처리용 직물 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58028B1 (ja) 斜面の保護構造および保護方法
US9180323B2 (en) Fall protection tie-off anchor point and method
KR101413262B1 (ko) 하천 바닥 및 비탈면에 시공되는 키 스톤 매트리스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711043B1 (ko) 보행용 매트의 연결 구조
KR20170021267A (ko) 파일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체결방법
KR101890275B1 (ko) 간격결합체를 갖는 트러스 거더근 철물 및 이를 이용한 골 데크의 시공 방법
KR101256097B1 (ko) 낙석방지망 설치 구조물
KR20160033442A (ko) 암부착 와이어넷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1463719B1 (ko) 파형 스톤 매트의 시공방법
JP6942334B2 (ja) 受圧板セ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斜面保護方法
JP6908260B2 (ja) 受圧板、受圧板を用いた既設法枠を有する斜面の保護方法及び既設法枠を有する斜面の保護システム
KR101999571B1 (ko) 프리벤트 리프팅 스톤네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341599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JP4514523B2 (ja) 斜面保護方法
US4290243A (en) Building membrane hold-down system
KR101373904B1 (ko) 절첩매트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JP6363902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構造及び方法
KR101568348B1 (ko) 평지와 경사로의 공용이 용이한 메쉬 펜스 및 이 시공 방법
TW201900998A (zh) 太陽能電池板支撐架及太陽能電池板設置構造和設置方法
KR20150048993A (ko) 중공슬래브용 부력방지장치
JP2005009306A (ja) 斜面保護方法
KR101938988B1 (ko) 메쉬망을 이용한 토류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5714447B2 (ja) 地下入口の止水装置
KR200457518Y1 (ko) 웨빙 고정구
KR101515441B1 (ko) 하천 공사용 돌매트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