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1599B1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41599B1 KR101341599B1 KR1020120018292A KR20120018292A KR101341599B1 KR 101341599 B1 KR101341599 B1 KR 101341599B1 KR 1020120018292 A KR1020120018292 A KR 1020120018292A KR 20120018292 A KR20120018292 A KR 20120018292A KR 101341599 B1 KR101341599 B1 KR 1013415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idge
- expansion joint
- plate
- plates
- drip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386 neutral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87 whit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5/00—Draining the sub-base, i.e. subgrade or ground-work, e.g. embankment of roads or of the ballastway of railways or draining-off road surface or ballastway drainage by trenches, culverts, or conduits or other specially adapted mea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의 상판에 설치되어 이웃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사이를 용이하게 연결하여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설치 시간을 단축시킴과 동시에 연결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2플레이트로 구성된 베이스플레이트와, 제1,2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된 한 쌍의 핑거블록과, 제1,2플레이트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2물받이배수부재가 구비된 물받이배수부로 이루어진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배수부와 이웃하는 물받이배수부를 서로 연결 고정시키는 연결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2플레이트로 구성된 베이스플레이트와, 제1,2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된 한 쌍의 핑거블록과, 제1,2플레이트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2물받이배수부재가 구비된 물받이배수부로 이루어진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배수부와 이웃하는 물받이배수부를 서로 연결 고정시키는 연결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의 상판에 설치되어 이웃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사이를 용이하게 연결하여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설치 시간을 단축시킴과 동시에 연결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구조는 크게 상부구조와 하부구조로 나눌 수 있는데, 상부구조는 계절에 따라 온도변화에 의해 자연스럽게 교축 방향으로 길이가 신장하거나 수축함에 따라 이웃하는 두 상판의 사이에 교량 고유의 신축량을 수용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이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격공간을 두고 상판을 교각에 설치하게 되면 상판이 기온의 상승에 의해 신장할 때에는 이격공간이 수축되어 차량이 교량의 상부를 주행할 수 있으나, 상판이 기온의 저하에 의해 수축할 경우에는 이격공간이 더욱 확대되어 이 이격공간에 의한 간섭으로 교량의 상부를 통행하는 차량이 원활하게 주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격공간으로 빗물 및 겨울철에 눈이 녹은 물이 유입되어 이 수분에 의해 상판이 부식되고, 토사 등이 이격공간부의 하부에 설치된 고무재질의 물받이에 적층되게 되면 그 무게에 의해 물받이는 신축이음장치로부터 탈락하여 신축이음장치의 본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이때, 신축이음장치로부터 이탈된 물받이로 인하여 신축이음장치 하부로 물이 침투하여 교량 하부에 백태, 균열의 발생 및 콘크리트 중성화로 인한 교량 구조물의 수명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특허등록 제10-0895499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등록받은바 있다.
즉, 본 출원인이 선등록한 특허등록 제10-0895499호는 제1,2플레이트의 사이에 "L"자 형상의 제1물받이부재가 구비되고, 제1물받이부재의 하부에는 "U"자 형상의 제2물받이부재로 이루어진 물받이배수부가 구비되어 베이스플레이트의 사이 이격공간부로 침투되는 물을 받아 교량의 양측부에 구비된 배수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교량의 부식, 백태, 중성화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상판을 가로질러 설치되는바 그 폭에 따라 일정한 길이의 신축이음장치를 다수개 연결하여 설치하고 있다.
이때, 신축이음장치와 이웃하는 신축이음장치를 서로 연결시키는 방법으로 본 출원인이 선등록한 특허등록 제10-0895499호에서는 제1,2물받이부재의 양측부에 고무재질의 연결부재를 끼워 고정시키고, 이웃하는 신축이음장치의 제1,2물받이부재의 양측 끝단부를 이 연결부재에 결속시키는 방식으로 하여 다수개의 신축이음장치를 서로 연결하여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인이 선등록한 특허등록 제10-0895499호의 경우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설치시 이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무게가 많이 나가게 되어 작업자의 힘으로 이동 및 설치가 어려워 중장비 등을 이용하여 이동 및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중장비를 이용하여 이동시킴과 동시에 교량에 설치시 이웃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측부에 구비된 연결부재에 결속시키는 작업이 매우 어려워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와 이웃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는 작업 공간이 협소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된 물받이부재의 양측부에 연결판을 구비하고, 이 연결판에 고무접착테이프를 구비하여 이웃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연결판에 구비된 고무접착테이프가 접착되도록 하여 고정시킴으로써,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웃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물받이부재에 구비된 연결판에 접착된 고무접착테이프로 이웃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연결시킨 후 플레이트에 구비된 고정구와 이웃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플레이트에 구비된 고정구와 볼트 및 너트에 의해 고정시킴으로써,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와 이웃하는 교량용 산축이음장치가 견고하게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2플레이트로 구성된 베이스플레이트와, 제1,2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된 한 쌍의 핑거블록과, 제1,2플레이트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2물받이배수부재가 구비된 물받이배수부로 이루어진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배수부와 이웃하는 물받이배수부를 서로 연결 고정시키는 연결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는 물받이배수부의 제2물받이배수부재의 양측면에 제1연결판이 구비되고, 제1연결판에 접착테이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제1물받이배수부재의 양측 끝단면에는 제2연결판이 구비되고, 제2연결판에는 접착테이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플레이트에는 이웃하는 제1,2플레이트에 결속시키는 결속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결속부는 제1,2플레이트의 양측 끝단부 외측면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볼트와 너트로 고정되는 결속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된 물받이부재의 양측부에 연결판을 구비하고, 이 연결판에 고무접착테이프를 구비하여 이웃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연결판에 구비된 고무접착테이프가 접착되도록 하여 고정시킴으로써,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웃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물받이부재에 구비된 연결판에 접착된 고무접착테이프로 이웃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연결시킨 후 플레이트에 구비된 고정구와 이웃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플레이트에 구비된 고정구와 볼트 및 너트에 의해 고정시킴으로써,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와 이웃하는 교량용 산축이음장치가 견고하게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를 보인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보인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의 A부를 보인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보인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를 보인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는 상판과 이웃하는 상판의 사이 이격공간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1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양측으로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어 사이에 이격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제1,2플레이트(112a)(112b)가 구비되고, 제1,2플레이트(112a)(112b) 각각의 상부에는 서로 깍지낀 형상으로 한 쌍의 제1,2핑거블록(114a)(114b)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2플레이트(112a)(112b)의 외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기초골조(116)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제1,2플레이트(112a)(112b)의 이격공간부에 위치되되, 중앙부가 서로 겹쳐저 제1,2핑거블록(114a)(114b)의 하부에 위치되게 제1,2플레이트(112a)(112b) 각각의 대응면에 일측부가 용접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제1,2지지부재(120a)(120b)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1,2플레이트(112a)(112b)의 사이 이격공간부에는 침투하는 물을 수집하여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물받이배출부(1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물받이배출부(130)는 제1,2플레이트(112a)(112b) 중 어느 하나, 즉 제1,2플레이트(112a)(112b) 중 제1플레이트(112a)의 서로 대응면에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플레이트(112a)에 용접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제1물받이배수부재(132)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제1물받이배수부재(132)의 하부에 위치되게 제2플레이트(112b)의 측면에 용접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제2물받이배수부재(13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물받이배수부재(134)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 개방부가 제1플레이트(112a)에 고정된 제1물받이배수부재(132)의 타측 끝단부가 위치되게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2플레이트(112a)(112b)의 사이 이격공간부로 침투하는 물은 제1물받이배수부재(132)의 상부로 떨어지고, 제1물받이배수부재(132)의 상부로 떨어진 물은 제1물받이배수부재(132)의 상부면을 타고 하부로 떨어져 제1물받이배수부재(132)의 하부에 구비된 제2물받이배수부재(134)의 상부로 떨어지고, 제2물받이배수부재(134)의 상부에 모인 물은 양측부로 이동하여 외측부에 구비된 배수구(미도시)를 통하여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와 이웃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의 사이를 연결 고정시키는 연결부(14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140)는 제2물받이배수부재(134)의 양측 끝단부에 제2물받이배수부재(134)의 형상과 동일한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용접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제1연결판(14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물받이배수부재(134)는 제1,2플레이트(112a)(112b)의 길이 길이보다 짧게, 즉 제1연결판(142)이 고정되는 두께만큼 제1,2플레이트(112a)(112b)의 내측으로 수용되게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제2물받이배수부재(134)의 양측 끝단부에 구비된 제1연결판(142)의 외측면, 즉 제2물받이배수부재(134)에 용접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 제1연결판(142)의 타측면에는 고무재질의 접착테이프(144)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상판의 사이 이격공간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의 연결부, 즉 상판의 사이 이격공간부에 설치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에 이웃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를 설치시 제1연결판(142)에 구비된 접착테이프(144)를 이용하여 이웃하는 제2물받이배수부재(134)에 구비된 제1연결판(142)에 접착 고정시킴으로써, 간편하고 신속하게 다수개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를 연결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2플레이트(112a)(112b)의 양측 끝단부에는 이웃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의 제1,2플레이트(112a)(112b)에 결속 고정시키는 결속부(15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결속부(150)는 제1,2플레이트(112a)(112b)의 외측 끝단부에 서로 대응되게 결속부재(152)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2플레이트(112a)(112b)에 구비된 결속부재(152)와 이웃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의 제1,2플레이트(112a)(112b)에 구비된 결속부재(152)를 서로 관통되게 볼트(154)를 체결하고, 너트(156)로 고정시키게 되면 제1,2플레이트(112a)(112b)와 이웃하는 제1,2플레이트(112)(112b)가 밀착되면서 제1연결판(142)에 구비된 접착테이프(144)가 이웃하는 제1연결판(142)에 견고하게 접착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2플레이트(112a)(112b)의 양측 끝단면에 고무재질의 접착테이프(144)를 전체 도포할 수도 있다.
이렇게, 상기 제1,2플레이트(112)(112b)의 양측 끝단부에 접착테이프(144)를 구비함으로써, 이웃하는 제1,2플레이트(112a)(112b)의 측면에 밀착시 이 접착테이프(144)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됨과 동시에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와 이웃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의 사이 연결부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는 본 출원인이 선등록한 특허등록 제10-0895499호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설치됨과 동시에 작용관계 또한 동일한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상판의 이격공간부에 다수개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를 설치시 이웃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상판과 상판의 사이 이격공간부에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를 설치한 다음 이웃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를 설치시 제2물받이배수부재(134)의 양측 끝단부에 고정된 제1연결판(142)과 이웃하는 제2물받이배수부재(134)에 고정된 제1연결판(142)이 고무재질의 접착테이프(144)에 의해 접착 고정됨으로써, 다수개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를 설치가 용이하고 작업 시간이 단축되며, 이로 인해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의 설치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물받이배수부재(134)에 구비된 제1연결판(142)과 이웃하는 제1연결판(142)이 접착테이프(144)에 의해 접착 고정된 상태에서 제1,2플레이트(112a)(112b)에 구비된 결속부재(152)를 볼트(154)와 너트(156)를 이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제1연결판(142)과 이웃하는 제1연결판(142)이 더욱 견고하게 접착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이 연결부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에 구비된 제2물받이배수부재(134)에 구비된 제1연결판(142)과 이웃하는 제1연결판(142)의 사이에 접착테이프(144)에 의해 접착 고정됨과 동시에 제1,2플레이트(112a)(112b)의 외측부에 구비된 결속부재(152)를 이웃하는 제1,2플레이트(112a)(112b)에 구비된 결속부재(152)와 볼트(154) 및 너트(156)에 의해 고정시킨으로써,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와 이웃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의 연결부가 더욱 견고하게 접착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상판의 신축 작용 및 진동 등에 의해 연결부가 이탈되지 않음은 물론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물받이배수부재(132)의 양측 끝단부에 제2연결판(146)이 구비되고, 제2연결판(146)에는 접착테이프(14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물받이배수부재(132)의 길이는 제1,2플레이트(112a)(112b)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1물받이배수부재(132)의 길이는 제1물받이배수부재(132)의 양측부에 고정되는 제2연결판(146)의 두께만큼 제1,2플레이트(112a)(112b)의 사이 내측으로 수용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제1물받이배수부재(132)에 제2연결판(146)을 구비하고, 제2연결판(146)에 접착테이프(144)를 구비하여 이웃하는 제1물받이배수부재(132)에 접착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더욱 견고하게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와 이웃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물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110 : 베이스플레이트
112a, 112b : 제1,2플레이트 114a, 114b :제1,2핑거블록
116 : 기초골조 130 : 물받이배출부
132, 134 : 제1,2물받이배수부재 140 : 연결부
142, 146 : 제1,2연결판 144 : 접착테이프
150 : 결속부 152 : 결속부재
154 : 볼트 156 : 너트
112a, 112b : 제1,2플레이트 114a, 114b :제1,2핑거블록
116 : 기초골조 130 : 물받이배출부
132, 134 : 제1,2물받이배수부재 140 : 연결부
142, 146 : 제1,2연결판 144 : 접착테이프
150 : 결속부 152 : 결속부재
154 : 볼트 156 : 너트
Claims (5)
- 제1,2플레이트로 구성된 베이스플레이트와, 제1,2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된 한 쌍의 핑거블록과, 제1,2플레이트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2물받이배수부재가 구비된 물받이배수부로 이루어진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배수부와 이웃하는 물받이배수부를 서로 연결 고정시키는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는 물받이배수부의 제2물받이배수부재의 양측면에 제1연결판이 용접 결합되고, 제1연결판에 접착테이프가 구비되며,
상기 제1물받이배수부재의 양측 끝단면에는 제2연결판이 용접 결합되고, 제2연결판에는 접착테이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플레이트에는 이웃하는 제1,2플레이트에 결속시키는 결속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제1,2플레이트의 양측 끝단부 외측면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볼트와 너트로 고정되는는 결속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8292A KR101341599B1 (ko) | 2012-02-23 | 2012-02-23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8292A KR101341599B1 (ko) | 2012-02-23 | 2012-02-23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6803A KR20130096803A (ko) | 2013-09-02 |
KR101341599B1 true KR101341599B1 (ko) | 2013-12-13 |
Family
ID=49449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18292A KR101341599B1 (ko) | 2012-02-23 | 2012-02-23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4159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9233A (ko) | 2018-07-18 | 2020-01-30 | 주식회사 이쎈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설치 구조 및 그 방법 |
CN111794091A (zh) * | 2020-07-23 | 2020-10-20 | 刘万杰 | 一种可防水防漏的桥梁柔性伸缩缝装置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947584B (zh) * | 2015-07-10 | 2016-06-29 | 南安市蒂巧工艺品有限公司 | 一种自动清洁式伸缩缝装置的桥梁 |
KR102375815B1 (ko) * | 2021-11-10 | 2022-03-17 | 진형건설(주) | 엇갈림갭판을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028Y1 (ko) | 2002-09-30 | 2003-01-06 |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 수로교 이음부의 누수방지부재 |
KR200423096Y1 (ko) * | 2006-05-23 | 2006-08-02 | (주)서해이앤씨 | 방호벽을 갖는 교량 또는 고가도로의 누수 방지 장치 |
KR100895499B1 (ko) * | 2008-02-26 | 2009-05-06 | 고삼석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KR101006492B1 (ko) | 2010-03-15 | 2011-01-06 | 한국토지주택공사 | 신축이음 구조 |
-
2012
- 2012-02-23 KR KR1020120018292A patent/KR10134159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028Y1 (ko) | 2002-09-30 | 2003-01-06 |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 수로교 이음부의 누수방지부재 |
KR200423096Y1 (ko) * | 2006-05-23 | 2006-08-02 | (주)서해이앤씨 | 방호벽을 갖는 교량 또는 고가도로의 누수 방지 장치 |
KR100895499B1 (ko) * | 2008-02-26 | 2009-05-06 | 고삼석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KR101006492B1 (ko) | 2010-03-15 | 2011-01-06 | 한국토지주택공사 | 신축이음 구조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9233A (ko) | 2018-07-18 | 2020-01-30 | 주식회사 이쎈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설치 구조 및 그 방법 |
CN111794091A (zh) * | 2020-07-23 | 2020-10-20 | 刘万杰 | 一种可防水防漏的桥梁柔性伸缩缝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6803A (ko) | 2013-09-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33984B1 (ko) | 방수 및 이물질 유입 방지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장치 시공공법 | |
KR101341599B1 (ko)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
KR101374606B1 (ko) |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 | |
KR101411895B1 (ko) | 교량 신축이음장치와 그 시공방법 | |
KR101053485B1 (ko) | ㄷ자형 플레이트를 이용한 조립식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설/보수 시공공법 | |
KR20130095093A (ko) | 모노셀형 교량 신축 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이음부의 보수방법 | |
KR101784721B1 (ko) | 배수시트 교체가 용이한 도로교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 |
KR20140011711A (ko) | 도로 교량의 조인트 | |
KR101337024B1 (ko) |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 겸용 배수장치 | |
KR101236191B1 (ko)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신축이음 보수공법 | |
KR102051614B1 (ko) | 교량용 핑거조인트 장치 | |
KR101506118B1 (ko)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 및 보수방법 | |
KR100924708B1 (ko) | 신축이음장치의 배수장치 및 이의 시공 공법 | |
KR101229001B1 (ko) |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와 이의 제작 및 설치방법 | |
KR101630633B1 (ko)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
KR20200006446A (ko) | 내구성과 체결의 정확성이 제고되는 조립형 교량신축이음장치 | |
KR20120123806A (ko) | 시트 교체가 용이한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지보수방법 | |
KR20010075743A (ko) |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 |
KR20120008399A (ko) | 철도 교량용 우수받이 | |
KR101839135B1 (ko) | 교량의 신축 이음 장치 설치 방법 | |
KR100714994B1 (ko)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
KR101775843B1 (ko) | 교량의 인도부 신축 이음 장치 | |
KR200472065Y1 (ko) | 측방 방수 구조를 갖는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 |
KR102305121B1 (ko) | 가황식 배수시트 및 방수도포재를 이용한 유지보수가 용이한 누수방지 신축이음장치 | |
KR101559064B1 (ko) | 누수 방지 기능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