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0633B1 - 원형 직기 - Google Patents

원형 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0633B1
KR940010633B1 KR1019870012627A KR870012627A KR940010633B1 KR 940010633 B1 KR940010633 B1 KR 940010633B1 KR 1019870012627 A KR1019870012627 A KR 1019870012627A KR 870012627 A KR870012627 A KR 870012627A KR 940010633 B1 KR940010633 B1 KR 940010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p
displacement
partial
circular loom
com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2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6397A (ko
Inventor
엑스 · 스타링거-휴머 프란츠
Original Assignee
엑스 · 스타링거-휴머 프란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엑스 · 스타링거-휴머 프란츠 filed Critical 엑스 · 스타링거-휴머 프란츠
Publication of KR880006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6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0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0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7/00Leno or similar shedding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7/00Circular l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 Woven Fabrics (AREA)
  • Auxiliary Weaving Apparatuses, Weavers' Tools, And Shuttle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원형 직기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를 갖는 원형 직기(circular loom)의 개략 측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따른 장치의 개략 평면도.
제 3 도, 4 도 및 5 도는 상이한 기능 상태들에 있는 제 1 도에 따른 원형 직기의 부분 잉아 쌍(heald pair)의 개략 부분 확대도.
제 6 도는 제 3 내지 5 도에 따른 장치의 다른 실시예.
제 7 도는 부분 잉아 쌍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부분도.
제 8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 직기에 의해 생산할 수 있는 레노 직물(leno fabric).
제 9 도 및 제 10 도는 변위장치가 상이한 작동 위치들에 있어 부분 잉아가 상이한 기능 상태들에 있는 것을 도시한 부분 잉아의 또다른 실시예.
제 11 도는 제 9 도 및 제 10 도에 따른 장치의 단면 확대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부 2 : 원형 프레임 캐리어(circular frame carrier)
3 : 원형 바디(reed) 4 : 개폐 스위치
5 : 프레임 부재 6,7 : 부분 잉아
8 : 주축 9 : 지지대
10 : 구동장치 11,12 : 천 인출 로울러(roller)
13 : 직물베일(bale) 14 : 직물 연전기(spreader)
15,16 : 인입 로울러 17 : 오버 플로우(overflow) 로울러
30 : 북 33 : 판 캠(plate cam)
36,37 : 요동 레버(rocking lever)
본 발명은 직기의 주축 둘레에 2열로 원형으로 배열된 내측 및 외측 부분 잉아들로 구성되며, 두개의 환형으로 분포된 경사 다발(warp yarn groups)들의 일부의 안내를 위하여 쌍들로 배열된 상기 부분 잉아들은, 제직 또는 활주 개구(travelling shed)의 형성을 위하여, 직기 주축에 의해 반대 상태 상하 왕복운동이 주어지는 원형 직기에 관한 것이다.
직기들에서 제직된 직물들 중에서, 소위 레노 직물은 특히 중요하며, 두개의 인접한 경사(warp thread)들이 서로 거의 평행하게 놓이지 않으므로, 소위 레노사 루프(loop)들은 제각기 다른 경사, 본 경우에는 바닥사(ground thread)와 위사(weft thread)들이 풀리지 않게 묶여지는 방식으로 교차한다.
그러므로, 이와같은 레노 직물을, 특히 자루(sack)들의 제작을 위하여 좁은 플래스틱 스트랜드(plastic strand)들로부터 제조된 관형 직물들을, 또한 생산할 수 있는 원형 직기가 오랜동안 요구되어 왔으나, 이는 불가능했거나, 아직 만족스럽게 성취되지 못했다.
이러한 점에서 고려되어야 할 문제점은, 각각의 개구형성 교번 운동(shed forming alternating motion)후에, 두개의 상호 작용 위사들이 서로 상반되게 변위하도록, 반대 상태 상하 이동 부분 잉아들을 배열 및 안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레노 직물을 생산하기 위하여, 두개의 인접한 경사들이 레노사가 바닥사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상호 변위되도록 부분 잉아들을 순간 측면 상대역변위(instantaneous lateral relative counter displacement)시키기 위한 각각의 개구 운동 후에 변위 장치가 부분 잉아 쌍중의 적어도 한쪽 부분 잉아를 계합하며, 부분 잉아 쌍중의 한쪽 부분 잉아의 경사들이 개구운동을 일으키고, 다른 부분 잉아에서는, 측면 변화(side change)를 일으키도록 실(thread)안내장치에 의해 자유롭게 안내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원형 직기를 가지면, 상기 부분 잉아들을 서로에 대해 어느 한 방향으로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경사들 상에 예장력(preliminary tension)이 생기게 하는 것이, 위사 통과후 매번 가능하고, 이는 부분 잉아들의 상반 운동에 의한 영점 통과(zero - passage)시에 경사들을 매번 다른 경사의 다른 측면상으로 뛰어넘게 하여, 결국 레노 직물로 직조되게 한다.
이것을 기구적으로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부분 잉아들이 상기 경사들용 빗모양 안내장치(comb-like guide means)를 지지하며, 상기 안내장치의 이빨(teeth)들 또는 프롱(proong)들의 자유부에는 각각 경사의 개구안내를 위한 드레드 아이(thread eye)가 있으며, 자유롭게 안내된 경사를 측면 변화시키기 위한 실 안내 슬릿(slits)들이 각각의 이빨 및 그 다음 이빨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므로, 상기 부분 잉아 쌍의 상기 부분 잉아들이, 서로 반대로 배열되게, 빗모양 안내장치를 지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교호하는(alternating)경사가 너무 뛰는 것을 저지하기 위하여, 단단히 장착된 분리 설부(tongues)들이 빗모양 안내장치의 틈새들 내로 연장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점에 대하여, 빗모양 안내장치는 벨트 스트랜드의 슬릿 내측 스트랜드 또는 외측 스트랜드 상의 틈새에 또한 배치되어, 부분 잉아 쌍을 형성하는, 안내 로도들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분 잉아들의 상기 측면 상대역 변위가 상기 내측 부분 잉아들의 상기 빗모양 안내장치의 변위에 의하여 일어나면 구조적으로 유리하다.
이 점에서, 상기 빗모양 안내장치의 측면 변위는 로커 베어링(rocker bearing)에 의하거나 수평 안내부를 따라 일어날 수 있다.
또한, 빗모양 안내장치의 순간 측면 상대역 변위를 위한 변위 장치는 주축과 함께 회전하는 캠에 의하거나, 또는 부분 잉아들의 리프팅 운동에 의해 작동 자재한 래칫장치에 의해 부분 잉아들의 리프팅 운동(lifting movement)내에 회전될 수 있는 요동 레버(rocking lever)들로 구성되는 것이 편리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기술한다.
제 1 도 및 2 도에 따른 다상(multiphase) 원형 직기는 직기 기부(1)상에 공지된 방식으로 위치하고, 직기 기부(1)은 원형 프레임 캐리어(circular frame carrier) (2)를 지지하며, 원형 프레임 캐리어(2)는 원형 바디(reed) (3), 직기용 개폐 스위치(4), 링 호울더(ring holder)용 프레임 부재(5) 및, 특히 그중에서도, 부분 잉아들(6) 및 (7)을 반송한다. 상기 부분 잉아들(6) 및 (7)은 직기의 주축(8)둘레에 2열로 원형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천 인출 장치(cloth draw-off device)용 지지대(support) (9)는 상기 직기 기부(1)상에 장착되고, 상기 지주는, 특히 그 중에서도, 상기 천 인출용 구동장치(10), 또한 천 인출 로울러(rollers)들 (11) 및 (12) 및 직물 베일(bale) (13)들로 구성된다. 또한 직물 연전기(spreader) (14)는 인출 영역내에서 운동한다.
또한, 도시한 원형 직기의 좌측상에는 경사들 또는 스트랜드들(50), (51)용 인입(draw-in) 로울러(15)가 있고(상세도시 생략), 우측 상에는 경사들(50), (51)용 인입 로울러(16)이 있으며, 추가적으로, 상기 경사들용 오버플로우(overflow) 로울러(17)이 있다. 상기 경사들 또는 스트랜드들(50), (51)은 원형으로 배열된 경사 시이트(sheet)들 또는 개더링(gathering)들로 분리되고, 통상작인 방식으로 드레드 스풀(thread spool)(상세도시 생략)들의 집단들로부터 인출된다. 제직 개구(weaving shed)를 형성하도록, 상기 사이트들 중의 한쪽은 상기 부분 잉아들(6), (7)에 의해 들어 올려지나, 반면에 다른 시이트는 소위 개구 운동의 변화(change-of-shed motion)에 의해 제직 평면의 높이로부터 아래로 내려져서, 결국 경사 정부 개구 및 경사 하부 개구가 생긴다. 상기 개구들 사이에서, 한개 이상, 위사 스풀을 갖는 대체로 여러개의 북(shuttle) (30)들은 수평 통로 상을 횡단한다. 북들의 원형 운동 때문에, 위사 스풀로부터 풀려진 위사(50)(제 8 도)은 생사될 관형 직물의 연부상으로 옮겨져서 상기 위사가 직물로 제직될 수 있다. 이때 관형 직물은 인출될 수 있고 함께 평평하게 놓여질 수 있다.
상기 북(30)들은 직기의 상기 주축(8)상에 있으며 상기 주축(8)과 함께 회전하는 판 캠(plate cam)(33)에 의하여 구동되고, 직기는 가동 부재들에 의해 상기 북들을 활동적으로 계합한다. 또한, 상기 주축(8)은 상기 캠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요동 레버(rocking lever)들(36) 및 (37)에 의하여 소위 잉아 틀 로드(heald frame rod)들(46) 및 (47)에 활동적으로 연결된 제2판 캠(33')을 지지하고, 상기 잉아 틀 로드들(46) 및 (47)은 종래 방식으로 상기 부분 잉아들(6)또는 (7)상에 개구운동의 변화를 전한다.
전술한 바와같은 원형 직기와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분 잉아들은, 거의 각각의 부분 잉아에 대하여, 이음매 없는 벨트(26)이 각각의 하부 프레임 단면들 상부상에 회전하게 지지된 안내 로울러(29)들 각각의 위에 연장되도록, 슬릿 벨트 스트랜드(slit belt strand)들로부터 또한 제조될 수 있다(제 7 도). 벨트의 내측 스트랜드 및 외측 스트랜드는 경사 시이트들 중의 어느쪽인가 한쪽 경사가 당겨지도록 각각의 드레드 아이들에 각각 꿰어진다. 상기 벨트의 상기 스트랜드들을 반대 상태로 상하 왕복운동시키면, 두개의 경사시이트들 상에 전술한 개구운동의 변화가 일어난다. 이러한 개구운동의 변화를 위하여, 상기 내측 스트랜드가 소위 잉아 슬라이드(slide) 또는 캐리지(carriage)에 상기 드레드 아이 밑으로 단단히 고착되고, 상기 슬라이드는 안내장치 상에서 수직하게 상하 활주한다.
상기 수직 슬라이드들로부터 돌출한 것은 직기의 주축과 중심적으로 장착되고 주축과 함께 회전자재한 연관된 판 캠의 대응하는 캠 표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안내 로울러들이다.
전술한 범위까지, 본 원경직기의 구조는 선행 기술과 일치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이 불필요하다.
전술한 바와같이 원형 직기에 관하여 본문에서 다루어져야 하는 문제는 레노 조직으로된 직물을 생산할 수 있는 전술한 바와같은 직기들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웹(web) 통과후 매번 상기 부분 잉아들(6) 및 (7)이 어느 한쪽 방향으로 서로 상대적으로 변위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경사들(50), (51)상에 예 장력을 가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는 상기 경사들을, 교번 운동(alternating motion)으로, 경사의 다른 편상으로 매번 뛰어 오르게 하여, 결국 순차적으로 레노 직물이 제조된다.
두개의 인접한 경사들, 즉 횡단 레노사(51)들 및 바닥사(50)들이, 여러 위사(52)들과 풀리지 않게 관계지어진, 이와같은 레모 직물을 제 8 도에 도시한다.
따라서, 레노 직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두개의 인접한 경사들(50), (51)이, 레노사(51)이 바닥사(50)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게 상반 배열하도록, 순간 측면 상대역 변위를 일으키는 각각의 개구 운동 후에 변위 장치가 부분 잉아 쌍(6), (7)중의 내측 부분 잉아(7)과 적절히 계합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제 3 도, 4 도 및 5 도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순차적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부분 잉아 쌍 중의 한쪽 부분 잉아의 경사는 개구운동을 일으키고, 다른 부분 잉아에서는, 측면 변화가 일어나도록, 실 안내장치(24)(제 3 도)에 의해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자유롭게 안내된다.
따라서, 상기 부분 잉아들(6), (7)은 상기 경사들(50), (51)용 빗모양 안내장치(22)를 지지하고, 상기 안내장치의 이빨들 또는 프롱들(23)은 경사의 개구 안내를 위해 그 이빨의 자유단부상에 배치된 드레드아이(24)를 각각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이빨과 그 다음 이빨 사이에는 측면 변화가 일어나도록 자유롭게 안내된 경사들을 위한 실 안내 슬릿들이 형성된다. 이와같은 관계에 있어서, 상기 부분 잉아 쌍의 상기 부분 잉아들(6) 및 (7)은, 본문에서 잉아 로드들(46) 및 (47)상에 장착된 것과 같이, 빗모양 안내장치(22)가 서로 반대되게 배치되게 지지하도록 개발된다.
임의의 경우에 있어서, 단단히 장착된 분리 설부(tongnes) (610)들은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실 안내슬릿(25)들 사이에서 연장된다. 상기 분리 설부는 교번 경사들이 너무 뛰는 것(over jumping)을 막는다.
이러한 관계에 있어서, 상기 빗모양 안내장치(22)가, 예컨대, 수평 안내부(27)에 의해 각각의 잉아 로드(47)상에 장착되도록, 내측 부분 잉아(7)의 상기 빗모양 안내장치(22)가 변위 자재하게 하는 것이 편리하다. 이때 각각의 안내장치(22)상의 종동 부재들은 원형 직기(제 1 도)의 회전 판 캠(33)과 일시적으로 활동 접촉할 수 있어, 예컨대, 스프링의 회복 효과에 대해 상기 종동 부재들은, 상기 스프링(도시생략에 의해 활동 접촉이 다시 분리되고 안내장치(22)가 반대 방향으로 되돌아갈 때까지, 각각의 안내장치(22)를 옆으로 변위시킨다.
제 3 도, 4 도 및 5 도에 있어서, 상기 부분 잉아들(6)및 (7), 제 8 도에 따른 레노 직물을 제직하기 위한 상기 부분 잉아들의 빗모양 안내장치는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부분 잉아들의 소위 영점 위치(zero-position)때문에 상기 부분 잉아(7)의 상향이동, 및 상기 부분 잉아(6)의 하향이동이 일어났을때, 이 위치에서 상기 경사들은 조직 평면(제 3 도)내에서 발견되고, 레노사(50)은 바닥사(51)(제 4 도)의 좌측에 놓인다. 운동의 변화후에, 상기 부분 잉아(7)이 하향 위치에 있고 상기 부분 잉아(6)이 상향 위치에 있는 것에 의해, 위사 삽입이 일어난 후에, 상기 내측 부분 잉아(7)의 빗모양 안내장치는 우측으로 변위된다. 따라서, 상기 경사들(50) 및 (51)은, 운동의 완전한 변화를 도시한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경사들(50) 및 (51)이, 다음 영점 통과에서, 뛰어넘는 것에 의해 측면들을 변화시키는 예 장력을 받는다. 따라서, 상기 바닥사(50)은 상기 바닥사(51)의 우측에 놓인다. 다음 순간에, 상기 내측 부분 잉아(7)의 빗모양 안내장치(22)는 상기 스프링(21)의 영향하에 다른(좌측) 극단 위치를 얻을 수 있고, 이는 다시 상기 경사들(50)및 (51)의 측면의 변화등으로 이끈다.
부분 잉아(7")상의 빗모양 안내장치(22')의 측면 변위가,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로커 베어링(rocker bearing)(28)에 의해 발생될때 동일한 결과가 얻어진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스트라이킹(striking)장치(63) 및 (64)를 가지며, 축(62) 주위로 수평한, 회전 요동 레버(swivelling rocking lever)(61)은 각각의 내측 부분 잉아(7") 아래로 연장되고, 상기 스트라이킹 장치(63) 및 (64)는 각각의 하향 운동중에 각각의 부분 잉아 아래에서 교대로 회전되어서, 상기 빗모양 안내장치(22)가 각각의 경우에 있어 한쪽 측면으로부터 다른쪽으로 반대로 기울여진다. 상기 로킹 레버(61)의 상기 회전은 직기의 판캠(33)상에서 캠(60)들에 의해 일어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는 부분 잉아틀(7"')내의 로킹 베어링(28) 둘레에 장착된 빗모양 안내장치(22"')의 요동 또는 기울임(tilting)을 두개의 상이한 위치들로 도시한 제 10 도 및 제 11 도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각각의 부분 잉아(7"') 가까이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고정지지된 래칫(ratchet) 축(95)가 마련되고, 상기 래칫 축은 조절 캠 휘일(regulator cam wheels) (94)들을 지지하고 본 기술에서는 세개의 캠(93)들을 가지고 있다. 상기 조절 캠(93)들은, 포울(pawl) (96)들과 함께 작동하며, 각각의 추력 같은 하향 운동중에, 상기 빗모양 안내장치(22"')가 어느쪽으로 기울어지는 방식으로 상기 빗모양 안내장치(22"')로부터 돌출하고, 정지 장치(77)은 상기 리프팅 운동을 제한한다. 한쪽 측면(제 9 도 우측)상에 있는 상기 캠(93)과 상기 포울(96) 사이의 최적 작동 연결 및 다른 측면(제 9 도 좌측)상에서의 뛰어넘기를 위하여, 상기 캠(96) 및 포울(96)은 제 11 도에 따른 경사진 평면들을 가지고 있다. 또한, 래칫 휘일(90)은 상기 래칫축(95)상에 장착되고, 상기 휘일은 예압 스프링(prestressing spring) (92)에 의해 지지 응력하에 있는 정지 보올(stop ball) (91)과 활동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정지 보올(91)은 각각의 포울(96) 위로 캠(93)의 어느 한쪽이 뛰어 넘는 것이 조절 캠 휘일 간격 둘레에 비틀림 없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한 각도에서 래칫 휘일(90)의 치상(tooh bed)내에서 요동할 수 있다.
또한, 부분 잉아들(6) 및 (7')가 제 7 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같이 스트랩(strap) 또는 벨트 스트랜드(26)들에 의해 전술한 방식으로 구성되는 원형 직기는, 약간 구조적으로 교체되며, 동일 방식이 사용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내측 부분 잉아 또는 스트랜드(7')상의 빗모양 안내장치(22")는, 변위를 위하여, 수평 안내부(27')에 의하거나 또는 제 6 도 및 제 9 도 및 10 도내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변위장치를 갖는 로커 베어링(도시생략)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의 원형 직기는 레노 직물의 효과적인 생산이 가능하며, 현존하는 원형 직기로부터도 많은 노력 및 비용들을 들이지 않고 특히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Claims (10)

  1. 제직 또는 활주 개구의 형성을 위하여 직기 주축에 의해 대향의 상하 왕복운동이 주어지는 두개의 환형으로 분포된 경사 다발들의 일부를 안내하도록 쌍들로 직기의 주축 둘레에 2열의 원형으로 배열된 내측 및 외측의 잉아들을 포함하는 원형 직기에 있어서, 레노 직물을 생산하기 위해 인접한 두개의 경사들(50,51)중 레노사(51)이 바닥사(50)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게 배열되도록 변위장치가 순간 측면 상대역 변위를 일으키는 각각의 개구운동 후에 잉아 쌍(6, 7)의 적어도 한쪽 잉아(7)과 계합하고, 잉아 쌍의 한쪽 잉아의 경사가 실 안내장치(24)에 의해 자유롭게 안내되어 개구운동을 일으키고 다른쪽 잉아에서는 측면 변화를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잉아 쌍(6, 7)은 상기 경사들(50, 51)용 빗모양 안내장치를 지지하며, 상기 안내장치의 이빨들 또는 프롱들의 자유단부에는 각각 경사의 개구 안내를 위한 드레드 아이(24)가 배치되어 있으며, 자유롭게 안내된 경사들을 측면 변화시키기 위한 실 안내 슬릿(25)들이 각각의 이빨 및 그 다음 이빨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직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잉아 쌍의 상기 잉아들(6, 7)이 서로 반대로 배열되게 빗모양 안내장치(22)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경 직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단단히 장착된 분리설부(610)들이 빗모양 안내장치(22)의 틈새들 내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직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빗모양 안내장치(22)가 잉아 로드들(46, 47)상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직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빗모양 안내장치(22)가 벨트 스트랜드(26)의 슬릿 내측 스트랜드 또는 외측 스트랜드 상의 틈새들에 배치되어 잉아 쌍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직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잉아들의 상기 측면 상대역변위가 상기 내측 잉아(7)들의 상기 빗모양 안내장치의 변위에 의하여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직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빗모양 안내장치(22)의 상기 측면 변위가 수평 안내부(27)을 따라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직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빗모양 안내장치(22)의 상기 측면 변위가 로커 베어링(28)에 의해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직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빗모양 안내장치(22' 또는 22")의 시간 측면 상대역 변위용 변위 장치가 주축(8)과 함께 회전하는 캠(60)에 의하거나, 또는 잉아(7"')들의 리프팅 운동에 의해 작동 자재한 래칫 장치(90-96)에 의해 잉아(7")들의 리프팅 운동내에 회전될 수 있는 요동 레버들(6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직기.
KR1019870012627A 1986-11-11 1987-11-10 원형 직기 KR9400106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4503/86A CH671043A5 (ko) 1986-11-11 1986-11-11
CH04503/86-5 1986-1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6397A KR880006397A (ko) 1988-07-22
KR940010633B1 true KR940010633B1 (ko) 1994-10-24

Family

ID=4277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2627A KR940010633B1 (ko) 1986-11-11 1987-11-10 원형 직기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4846229A (ko)
EP (1) EP0267509B1 (ko)
JP (1) JPS63135541A (ko)
KR (1) KR940010633B1 (ko)
CN (1) CN1009843B (ko)
AT (1) ATE99745T1 (ko)
BR (1) BR8706086A (ko)
CH (1) CH671043A5 (ko)
DE (1) DE3788711D1 (ko)
IN (1) IN167868B (ko)
PT (1) PT86103B (ko)
TR (1) TR2692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1944A (en) * 1997-02-28 1998-06-30 Saint Hut Co., Ltd. Circular weaving loom with transverse heddle shifting apparatus
CN100376372C (zh) * 2006-05-19 2008-03-26 张玉增 一种编织袋网眼袋两用圆织机
AT504348B8 (de) 2007-03-07 2008-09-15 Starlinger & Co Gmbh Rundwebmaschine
ATE483047T1 (de) * 2007-11-21 2010-10-15 Groz Beckert Kg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drehergeweben
CN105386213A (zh) * 2015-12-15 2016-03-09 江苏华跃纺织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聚四氟乙烯长丝双经纱串联单纬纱网格式过滤毡基布
EP4065758A4 (en) * 2019-11-26 2023-12-20 Lohia Corp Limited CIRCULAR LOOM FOR PRODUCING DOUBLE FABRIC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11492733B2 (en) * 2020-02-21 2022-11-08 Raytheon Technologies Corporation Weave control grid
US11535962B2 (en) * 2020-05-21 2022-12-27 Raytheon Technologies Corporation Weaving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90069A (ko) *
US1139073A (en) * 1914-02-02 1915-05-11 Fabric Fire Hose Circular loom.
FR815436A (fr) * 1936-03-23 1937-07-12 Perfectionnements aux mécanismes de formation de la foule pour les métiers à tisser circulaires
US3220440A (en) * 1962-03-15 1965-11-30 Iwan Simonis S A Sa Selvage forming device for looms, more particularly in circular looms
AT252148B (de) * 1963-09-03 1967-02-10 Elitex Zavody Textilniho Vorrichtung an Webstühlen zum Steuern von Zusatzkettfäden zur Herstellung der Gewebeleiste
GB1068443A (en) * 1965-01-23 1967-05-10 Juan Tubau Quintana Selvedge forming mechanism in a loom
US3463199A (en) * 1966-09-15 1969-08-26 Riegel Textile Corp Selvage-forming apparatus for double fabric looms
FR1591096A (ko) * 1967-09-27 1970-04-27
DE2329688A1 (de) * 1973-06-09 1974-12-19 Gaschuetz & Fischer Webstuhl Drehereinrichtung fuer eine schuetzenlose doppelgewebe-webmaschine
DE2923656C2 (de) * 1979-06-11 1982-12-02 Windmöller & Hölscher, 4540 Lengerich Vorrichtung zur Steuerung der Litzen in einer Rundwebmaschine zur Herstellung von Drehergewebe
CH657163A5 (de) * 1982-06-21 1986-08-15 Huemer Franz Xaver Rundwebmaschine.
AT383834B (de) * 1985-10-10 1987-08-25 Chemiefaser Lenzing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chlauchgewebes sowie rundwebmaschine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AT386847B (de) * 1986-09-01 1988-10-25 Chemiefaser Lenzing Ag Rundwebmaschine
AT386848B (de) * 1986-09-11 1988-10-25 Chemiefaser Lenzing Ag Rundwebmaschine fuer dreherbind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H671043A5 (ko) 1989-07-31
TR26921A (tr) 1994-08-24
US4846229A (en) 1989-07-11
DE3788711D1 (de) 1994-02-17
JPS63135541A (ja) 1988-06-07
BR8706086A (pt) 1988-06-14
ATE99745T1 (de) 1994-01-15
CN87107869A (zh) 1988-05-25
CN1009843B (zh) 1990-10-03
PT86103B (pt) 1994-03-31
EP0267509B1 (de) 1994-01-05
KR880006397A (ko) 1988-07-22
PT86103A (pt) 1988-12-15
EP0267509A2 (de) 1988-05-18
EP0267509A3 (en) 1990-08-16
IN167868B (ko) 199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71413A (en) Shuttle arrangement for a circular loom for a tape yarn
EP0263392B1 (en) Tetraaxial woven fabrics and tetraaxial weaving machine thereof
CA2263202A1 (en) A device for controlling warp threads for the production of leno fabrics on a textile machine
KR940010633B1 (ko) 원형 직기
JPS5936015B2 (ja) サンジクオリモノセイシヨツキ
GB2113725A (en) Circular looms
US3746051A (en) Machine for making a partly woven and partly knitted fabric
US3961648A (en) Positive shedding motion device for a circular loom
US4579149A (en) Circular loom
EP0057237A1 (en) Method of producing leno weave cylindrical fabric and circular loom for executing the same
GB2123857A (en) Circular loom
JPS6320933B2 (ko)
KR910002113B1 (ko) 원형 직기
US2955619A (en) Loom selvage motion
JPH03185148A (ja) 織布側縁部のからみ織り装置
US2830623A (en) Inside selvedge motion for looms
JP2672832B2 (ja) 四軸織機
JPH0684574B2 (ja) 円形織機の経糸開口装置
US3342218A (en) Device for the formation of a travelling shed in looms
KR790001942B1 (ko) 원형직기에 있어서의 경사 장력조절장치
US626149A (en) L desmarais
KR910006407B1 (ko) 원형 직기의 축 구동장치
RU206348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вивки основных нитей на бесчелночном ткацком станке
SU557129A1 (ru) Зевообразовательный механизм дл ткацкого станка с волнообразно подвижным зевом
JPH033654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1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