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3228B1 - 공간직물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공간직물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3228B1
KR101363228B1 KR1020130128700A KR20130128700A KR101363228B1 KR 101363228 B1 KR101363228 B1 KR 101363228B1 KR 1020130128700 A KR1020130128700 A KR 1020130128700A KR 20130128700 A KR20130128700 A KR 20130128700A KR 101363228 B1 KR101363228 B1 KR 101363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yarn
yarn
pile
needle bar
yarn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8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하
Original Assignee
김경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하 filed Critical 김경하
Priority to KR1020130128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32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3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3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5/00Warp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25/06Galloon crocheting machines
    • D04B25/08Galloon crocheting machines for producing p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02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 D04B21/04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0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21/08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2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article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3/00Flat warp knitting machines
    • D04B23/08Flat warp knitting machines with provision for incorporating pile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5/00Warp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25/06Galloon crocheting machines
    • D04B25/10Galloon crocheting machin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5/00Warp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25/06Galloon crocheting machines
    • D04B25/14Galloon crocheting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article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06Needle bars; Sinker bars
    • D04B27/08Driving device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6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arp knitt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직물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직조바늘이 배열된 바늘대가 승강수단에 의하여 승,하강 작동하면서 원사 공급수단에 의하여 원사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경편장치를 구비하여 편직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러한 경편장치가 2열로 배열되도록 하여 두 개의 편물이 동시에 편직되어 제작되면서도 그 경편장치의 사이에는 파일사 공급장치가 왕복작동하면서 파일사를 공급하여 두 개의 편물이 파일사로 연결되어 공간직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며, 파일사 공급장치는 파일사 가이드바의 구동을 위한 작동롯드의 조립이 링크홀이 다수 형성된 장착암에 링크축을 선택적으로 끼워 조립함으로써 파일사 공급수단의 왕복거리를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편하게 편물의 간격을 조절하고 공간직물 원단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경편장치와 파일사 공급장치의 기어비를 조절함으로써 원사와 파일사의 비율을 간단하게 변경하여 공간직물 원단을 경량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고, 구동캠의 외주면에는 왕복구간과 회귀구간을 마련함으로써 파일사의 비율을 변경하는 경우에도 파일사를 안정적으로 공급하여 이중 편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간직물 제조장치{space fabric product machine}
본 발명은 공간직물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간직물을 구성하는 두 개의 편물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에어가 충진되는 공간의 폭을 조절하면서도 파일사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간직물은 편물이 이중구조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에어 충진공간이 형성되므로 부력을 갖도록 되면서도 완충기능을 갖게 되는 것으로, 현재는 소형 보트의 바닥에 장착되는 합판 대용으로만 사용하였지만, 부력을 갖게 되면서도 완충기능을 갖도록 되는 공간직물의 특성상 그 사용분야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편물이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공간직물의 제작방법은, 제조장치에 원사와 파일사를 장착하고, 원사를 이용하여 두 개의 편물을 편직하여 짜면서 그 두 개의 편물을 파일사로 연결하여 하나의 원단으로 제작되며, 이렇게 짜여진 원단의 표면에는 방수재로 코팅하여 두 개의 편물 사이의 공간이 에어 충진공간이 되어 부력을 갖도록 제작된다.
하지만, 종래의 공간직물은 편직될 때 두 편물의 폭을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설정된 폭으로만 제작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으며, 에어충진공간의 폭을 넓히거나 축소하기 위해서는 편직기의 장착구조를 다시 설정하여 설치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특히, 최근에는 공간직물의 사용분야가 확대되는 추세이므로 각각의 용도에 따라서 다양한 두께(두 편물의 이격된 폭)로 제작이 요구되는데, 종래의 구조로는 공간직물의 폭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공간직물은 부력에 의하여 물에 뜨기 위한 용도로 주로 사용되기 때문에 경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종래의 공간직물은 원사가 편직될 때 편물을 연결하는 파일사가 지나치게 촘촘히 짜여지므로 원단이 너무 무거워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원사가 편직되면서 파일사에 의하여 두 개의 편물이 연결되도록 짜여지는 공간직물 제조장치에 있어서, 편물의 간격을 간단하게 조절하여 편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제조과정에서 원사와 파일사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사용분야에 따라서 필요한 강도와 무게를 설정하여 공간직물 원단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직조바늘이 배열된 바늘대가 승강수단에 의하여 승,하강 작동하면서 원사 공급수단에 의하여 원사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경편장치를 구비하여 편직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러한 경편장치가 2열로 배열되도록 하여 두 개의 편물이 동시에 편직되어 제작되면서도 그 경편장치의 사이에는 파일사 공급장치가 왕복작동하면서 파일사를 공급하여 두 개의 편물이 파일사로 연결되어 공간직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며, 파일사 공급장치는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회동축이 피동기어로 연결되어 연동되도록 하면서 회동축에는 구동캠과 작동대를 연동되게 장착하여 파일사 공급수단의 작동축과 링크 연결된 작동롯드를 작동시켜 파일사 가이드바가 두 개의 편물 사이를 왕복 작동하게 유도하며, 상기 작동대와 작동롯드의 조립이 링크홀이 다수 형성된 장착암에 링크축을 선택적으로 끼워 조립함으로써 파일사 공급수단의 왕복거리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파일사 공급장치는 회동축에 형성된 작동대와 파일사 공급수단을 동작시키는 작동롯드가 연동축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하면서 각각 링크홀과 링크축에 의하여 선택적 조립이 가능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파일사 공급장치의 피동기어와 경편장치의 바늘대를 승강작동시키는 승강수단의 구동기어의 기어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사 대비 파일사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구동캠의 형태를 기어비에 대응되게 외주면에 왕복구간과 회귀구간을 마련함으로써 파일사의 비율을 변경하는 경우에도 파일사를 안정적으로 공급하여 공간직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간직물이 편직될 때 공간직물 제조장치의 기어비를 조절함으로써 간격을 유동적이게 하여 간단하게 에어 충진공간의 폭을 변화시킬 수 있게 되므로 하나의 편직기로도 각각의 용도에 맞는 폭으로 다양하게 제작 가능하고, 공간직물의 두께를 20mm~700mm의 범위로 광범위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공간직물의 편물을 서로 연결하는 파일사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파일사의 간격을 듬성듬성 연결할 수 있도록 되므로 공간직물 원단을 경량화할 수 있음은 물론,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원사와 파일사의 비율에 따라서 파일사가 제직되어진 부분에 점무늬가 형성되며, 공간직물에 에어를 충진하면 이러한 점무늬가 형성된 부분(파일사가 제직된)이 움푹들어가게 되면서 공간직물의 표면이 엠보싱의 형태로 이루어져 미관을 수려하게 할 수 있고, 완충기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공간직물을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서 공간직물의 두께나 파일사의 비율을 다양하게 조절하여 제작가능하며, 특히 윈드서핑용 보드와 같이 부력이 필요한 분야를 포함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간직물 제조장치의 구조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공간직물 제조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경편장치와 파일사 공급장치의 장착구조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경편장치의 원사 공급수단의 장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5의 원사 공급수단과 바늘대의 장착구조를 나타낸 정면 구조도
도 7은 도5의 원사 공급수단과 바늘대의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경편장치의 바늘대와 승강수단의 작동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파일사 공급장치의 장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파일사 공급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구동캠의 다양한 장착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12는 도 11의 구동캠 단면구조도
도 13은 본 발명의 파일사 공급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동캠의 작동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사(W)를 이용하여 편물을 제작하는 경편장치(100)가 2열로 이루어져 두 개의 편물을 동시에 편직하여 제작할 수 있도록 하면서 그 경편장치(100)에는 파일사(F)를 공급하는 파일사 공급장치(200)를 더 형성하여 두 개의 편물이 연속적으로 편직되어 제작될 때 매듭이 지어지는 부분에 파일사(F)가 왕복작동을 하면서 편물의 매듭에 동시에 걸려 제작되도록 함으로써 두 개의 편물이 파일사(F)로 연결되게 편직된다.
상기 경편장치(100)는 직조바늘(112)이 수평으로 다수 개 배열된 바늘대(110)가 구비되고, 바늘대(110)의 상부에는 원사(W)를 공급하는 원사 공급수단(130)이 장착되어 원사(W)를 바늘대(110)로 지속적으로 공급하면서 바늘대(110)의 승하강에 의하여 직조바늘(112)이 매듭을 만들어 편직작업을 하게 된다.
상기 바늘대(110)는 승강수단(120)에 연결되며, 승강수단(120)은 구동모터(M)와 연결되어 구동모터(M)의 작동에 의하여 승강수단(120)이 상,하로 왕복작동하면서 바늘대(110)를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작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수단(120)은 도 8과 같이 구동모터(M)의 샤프트(S)에 체인 또는 벨트 방식으로 연결된 구동축(122)에 니들캠(124)을 장착하고, 니들캠(124)에는 승강대(126)가 장착되며, 승강대(126)의 타단에는 바늘대(110)가 연결되어 구동축(122)의 회전 작동에 의하여 승강수단(120)의 승강대(126)가 상,하로 승강작동하면서 바늘대(110)를 승,하강토록 된다.
이때, 상기 바늘대(110)와 승강수단(120)은 2열로 이루어지면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두 개의 편물을 동시에 제작할 수 있도록 된다.
그리고 상기 원사 공급수단(130)은 바늘대(110)의 상부에 원사 가이드바(132)가 장착되어 바늘대(110)의 직조바늘(112)에 원사(W)를 걸어서 편직을 할 수 있게 유도하게 된다.
이때, 원사 가이드바(132)는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2열로 장착되는 바늘대의 상부에 원사 가이드바(132)가 각각 2열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편직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즉 한 열의 바늘대에 2열씩 총 4열의 원사 가이드바(132)가 장착되어 두 개의 편물제작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되며, 원사 가이드바(132)에 공급되는 원사(W)는 원사공급드럼(134)에 실이 감긴 상태에서 원사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원사 가이드바(132)는 호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장착보우(136)의 양단부에 각각 원사 가이드바(132)를 2열로 장착되고 장착보우(136)는 축(137)에 의하여 힌지 작동하면서 바늘대(110)에 반복적으로 원사(W)를 공급토록 되는 것으로, 장착보우(136)는 유동수단(138)에 의하여 일정한 거리를 수평운동하면서 원사 가이드바(132)가 직조바늘(112)을 다수개 배열한 바늘대(110)와 조합되어 원사(W)를 직조바늘에 걸친 후 원사 가이드바(132)를 이동시키면서 동시에 바늘대(110)가 승하강됨으로써 편직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장착보우(136)의 작동구조는 구동모터(M)의 샤프트(S)에 체인 또는 벨트 방식으로 연결하여 원사 가이드바(132)의 반복적인 작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상술한 승강수단(120)과는 동력원을 개별적으로 운용되도록 할 수 있으나, 더 바람직하게는 승강수단(120)의 구동축(122)을 동력원으로 하여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122)에 보조캠(125)을 장착하고, 보조캠(125)에는 보조 승강대(127)를 장착하며, 보조 승강대(127)의 타단이 원사 공급수단(130)에 연결되도록 하여 원사 가이드바(132)가 장착된 장착보우(136)가 축(137)을 중심으로 반복 작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바늘대(110)는 도 7과 같이 간격제어수단(114)이 마련되어 서로 마주보게 장착된 바늘대(110)의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간격제어수단(114)은 바늘대(110)가 장착되는 장착틀(116)의 양 끝부분이 프레임(117)에 고정요소(117a)로 조립되는데, 이때 고정요소(117a)가 조립되는 부분을 장공(미도시)의 형태로 형성하면 바늘대(110)가 장착된 장착틀(116)을 슬라이드 이동시켜 두 개의 바늘대(110) 사이를 더 벌리거나 좁힌 후 장착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간격제어수단(114)은 더 바람직하게는 장착틀(116)의 하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받침대(118)를 형성하여 장착틀(116)이 지지되도록 하고, 받침대(118)가 보조 고정요소(118a)에 의하여 벌어짐 상태가 체결되도록 하여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보조 고정요소(118a) 또한 받침대(118)가 조립되는 보조 프레임(119)에 장공의 형태로 타공홀(119a)을 형성하여 장착틀(116)이 일정한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케 조립되도록 한다.
그리고 장착틀(116)의 벌어짐 간격은 두 개의 편물 사이의 간격이 20mm~700mm 범위 내에서 위치되도록 장착틀(116)의 간격을 조절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파일사 공급장치(200)는 바늘대(110)와 승강수단(120)과 원사 공급수단(130)이 서로 마주보게 2열로 형성되어 두 개의 편물이 동시에 편직되는 경편장치(100)의 상부에 파일사(F)를 공급하기 위하여 장착되는 것으로, 서로 마주보게 2열로 장착된 원사 공급수단(130)의 사이에 파일사 공급수단(230)이 형성되어 파일사 공급수단(230)이 좌,우로 이동하면서 2열로 장착된 바늘대(110)에 파일사(F)를 공급하여 두 개의 편물이 편직될 때 그 매듭에 파일사(F)가 함께 제직하여 매듭지어지도록 함으로써 두 개의 편물을 파일사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파일사 공급장치(200)는 구동모터(M)의 샤프트(S)와 회동축(210)이 피동기어(212)로 연결되고, 회동축(210)에는 구동캠(214)이 장착되면서 구동캠(214)의 회전에 의하여 상,하로 작동되는 작동대(216)가 연동되게 장착되며, 작동대(216)는 파일사 공급수단(230)의 작동축(232)과 링크(234) 연결된 작동롯드(220)와 연동되게 장착된다.
따라서 파일사 공급수단(230)의 파일사 가이드바(232)가 두 개의 편물 사이를 왕복 작동하게 유도하게 된다.
상기 작동대(216)와 작동롯드(220)는 링크홀(218a)이 다수 형성된 장착암(218)에 링크축(218b)을 선택적으로 끼워 조립함으로써 사용자가 간편하게 장착 상태를 변형시킬 수 있게 되며, 그 연결상태에 따라서 파일사 공급수단(230)의 좌,우 왕복거리를 제어할 수 있게 되며, 두 개의 편물 사이를 더 벌리거나 더 좁히는 경우에도 그에 적절한 폭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되므로 공간직물의 두께를 필요에 따라서 간단하게 변형시켜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파일사 공급장치(200)는 회동축(210)에 형성된 작동대(216)와 파일사 공급수단(230)을 동작시키는 작동롯드(220)가 연동축(240)으로 서로 연결되어 연동 되도록 하면 작동대(216)와 작동롯드(220)가 상,하 수직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지 않고도 연동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따라서 구동캠(214)을 외부로 인출하여 장착할 수도 있게 된다.
이때, 연동축(240)은 제1연동암(242)과 제2연동암(244)이 형성되어 각각 작동대(216)와 작동롯드(220)가 연결되며, 제1연동암(242)과 제2연동암(244)에는 각각 다수의 링크홀(242a,244a)이 형성되어 작동대(216)와 작동롯드(220)의 링크축(242b,244b)을 다수의 링크홀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작동롯드(220)는 파일사 공급수단(230)의 파일사 가이드바(232)를 좌,우 동작하도록 하는 작동축(236)과 링크(238)로 연결되어 작동롯드(220)의 승,하강에 의하여 작동축(236)이 회전하면서 파일사 가이드바(232)가 좌,우로 왕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파일사 공급장치(200)를 구동시키는 회동축(210)은 경편장치(100)의 구동축(122)과의 기어비를 조절하면 파일사(F)의 편직비율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즉, 회동축(210)과 구동축(122)의 기어비를 1:1로 하면 원사(W)와 파일사(F)의 길이비율이 1:1의 비율로 공급되므로 파일사(F)가 비교적 촘촘하게 삽입되며, 회동축(210)과 구동축(122)의 기어비를 2:1, 3:1, 또는 그 이상으로 하면 점차 파일사(F)의 비율을 줄일 수 있게 되므로 공간직물의 무게를 더 경량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파일사 공급장치(200)는 회동축(210)과 구동축(122)의 기어비를 1:1로 할 경우에는 회동축(210)에 장착되는 피동기어(212)와 구동축(122)에 장착되는 구동기어(123)의 기어비를 1:1로 제작하면서 도 13에 되시된 바와 같이 구동캠(214)의 구조를 회동축(210)과 편심되게 장착되는 디스크(214a)의 외주면에 환형 베어링(214b)을 장착하고, 상기 베어링(214b)에는 작동대(216)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면 회동축(210)의 회전에 의하여 작동롯드(220)의 승강작동을 유도하면서 경편장치(100)의 바늘대(110)와 1:1의 기어비로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회동축(210)과 구동축(122)의 기어비를 2:1이상(3:1, 5:1, 9:1 등)으로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1와 같이 파일사 공급장치(200)의 회동축(210)에 장착되는 피동기어(212)가 경편장치(100)의 바늘대(110)를 승강작동시키는 승강수단(120)의 구동기어(123)보다 상대적으로 외주면 직경을 크게 형성하여 기어비의 선택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캠(214)은 도 12와 같이 기어비에 대응되게 외주면에 왕복구간(215a)과 회귀구간(215b)이 구비된 하트형 판캠(215)이 장착되어 파일사 공급수단(230)의 속도제어가 이루어진다.
즉, 회동축(210)과 구동축(122)의 기어비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파일사(F)가 바늘대(110)의 직조바늘(112)을 경유하여 회귀하는 순간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는데, 기어비가 커질 경우에는 하트형 판캠(215)의 왕복구간(215a)에서만 파일사 가이드바(232)의 왕복속도가 느려지도록 하고, 회귀구간(215b)에서는 파일사 가이드바(232)의 회귀속도를 빠르게 유지하도록 하여 경편장치(100)와 연동되어 편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다.
이때, 상기 구동캠(214)은 한 쌍의 하트형 판캠(215-1,215-2)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한 쌍의 하트형 판캠(215-1,215-2)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동축(210)에 장착되며, 구동캠(214)과 연동되는 작동대(216)는 한 쌍의 하트형 판캠(215-1,215-2)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장착암(218)이 복수로 형성되어 작동대(216)의 승강작동이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파일사를 공급하기 위한 파일사 공급장치(200)의 경편장치(100)에 대한 기어비 선택 제어가 가능하게 되고, 기어비가 변경될 경우에도 회귀구간(215b)이 그에 대응되게 변형되므로 원사가 편직될 때 파일사 공급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원사(W)가 편직되어 이루어지는 편물이 두 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그 두 개의 편물이 마주본 상태로 파일사(F)가 함께 제직되어 두 개의 편물이 파일사(F)로 연결되며, 파일사(F)의 한 코뜨기(제직)에 대하여 편물이 두 코뜨기 이상으로 편직되어 이중으로 편직물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면서도 파일사의 무게를 절감하여 공간직물을 경량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즉, 서로 마주보게 장착되는 두 개의 바늘대가 형성된 경편장치에 의하여 두 개의 편물이 동시에 편직되면서 그 두 개의 편물을 편직하는 바늘대를 왕복하도록 파일사가 공급되어 두 개의 편물이 파일사로 연결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원사와 파일사의 편직비율이 1:1 내지 12:1 범위의 길이비율로 편직되어 파일사의 무게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러한 회동축(210)에 형성된 작동대(216)와 파일사 공급수단(230)을 동작시키는 작동롯드(220)가 연동축(240)에 의하여 연결되므로 구동캠(214)을 외부로 인출하여 장착할 수 있게 되는데, 이에 따라 공간직물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구동캠(214)을 다양하게 교체하여 파일사(F)의 비율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간단하게 교체함으로써 생산 다변화에 따른 기동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100: 경편장치
110: 바늘대 112: 직조바늘
120: 승강수단 122: 구동축
123: 구동기어 124: 니들캠
125: 보조캠 126: 승강대
127: 보조 승강대
130: 원사 공급수단 132: 원사 가이드바
134: 원사 공급드럼 136: 장착보우
137: 축 138: 유동수단
200: 파일사 공급장치
210: 회동축 212: 피동기어
214: 구동캠 214a: 디스크
214b: 환형 베어링 215-1,215-2: 하트형 판캠
215a: 왕복구간 215b: 회귀구간
216: 작동대 218: 장착암
218a: 링크홀 218b: 링크축
220: 작동롯드
230: 파일사 공급수단 232: 파일사 가이드바
234: 파일사 공급드럼 236: 작동축
238: 링크
240: 연동축 242: 제1연동암
242a: 링크홀 242b: 링크축
244: 제2연동암 244a: 링크홀
244b: 링크축
M: 구동모터 S: 샤프트
W: 원사 F: 파일사

Claims (6)

  1. 직조바늘(112)이 수평으로 다수 개 배열된 바늘대(110)가 구동모터(M)의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는 승강수단(120)에 의하여 상,하로 승강 작동되고, 바늘대(110)의 상부에는 원사 가이드바(130a)를 갖는 원사 공급수단(130)이 장착되어 편물의 원료가 되는 원사(W)가 끼워져 바늘대(110)의 상부로 원사를 지속적으로 안내하도록 되어 편물이 제작되며, 상기 바늘대(110)와 승강수단(120)과 원사 공급수단(130)이 서로 마주보게 2열로 형성되면서 바늘대(110) 사이의 간격조절이 이루어져 두 개의 편물이 20mm 내지 700mm 간격을 갖도록 동시에 편직되는 경편장치(100)와,
    서로 마주보게 2열로 장착된 원사 공급수단(130)의 사이에 파일사 공급수단(230)이 형성되어 파일사 공급수단(230)이 좌,우로 이동하면서 2열로 장착된 바늘대(110)에 파일사(F)를 공급하여 두 개의 편물이 파일사(F)로 연결되도록 하는 파일사 공급장치(200)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일사 공급장치(200)는 구동모터(M)의 샤프트(S)와 회동축(210)이 피동기어(212)로 연결되고, 회동축(210)에는 구동캠(214)이 장착되면서 구동캠(214)의 회전에 의하여 상,하로 작동되는 작동대(216)가 연동되게 장착되며, 작동대(216)는 파일사 공급수단(2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작동롯드(220)와 연동되게 장착되어 파일사 공급수단(230)의 파일사 가이드바(230a)가 두 개의 편물 사이를 왕복 작동하게 유도하고, 상기 작동대(216)와 작동롯드(220)의 조립이 링크홀(218a)이 다수 형성된 장착암(218)에 링크축(218b)을 선택적으로 끼워 조립함으로써 파일사의 왕복거리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공간직물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사 공급장치(200)는 회동축(210)에 형성된 작동대(216)와 파일사 공급수단(230)을 동작시키는 작동롯드(220)가 연동축(240)으로 서로 연결되어 연동토록 되고, 연동축(240)은 제1연동암(242)과 제2연동암(244)이 형성되어 각각 작동대(216)와 작동롯드(220)가 연결되며, 제1연동암(242)과 제2연동암(244)에는 각각 다수의 링크홀(242a,244a)이 형성되어 작동대(216)와 작동롯드(220)의 링크축(242b,244b)을 다수의 링크홀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직물 제조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사 공급장치(200)는 구동캠(214)이 회동축(240)과 편심되게 장착되는 디스크(214a)의 외주면에 환형 베어링(214b)이 장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베어링(214b)에는 작동대(216)가 일체로 형성되어 회동축(210)의 회전에 의하여 작동롯드(220)의 승강작동을 유도하면서 경편장치(100)의 바늘대(110)와 1:1의 기어비로 작동이 이루어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직물 제조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사 공급장치(200)의 회동축(210)에 장착되는 피동기어(212)는 경편장치(100)의 바늘대(110)를 승강작동시키는 승강수단(120)의 피동기어(122)보다 상대적으로 외주면 직경이 크거나 작게 형성되어 기어비의 선택 제어가 가능하게 되고, 상기 구동캠(214)은 기어비에 대응되게 외주면에 왕복구간(215a)과 회귀구간(215b)이 구비된 하트형 판캠(215)이 장착되어 원사와 파일사의 편직비율이 1:1 내지 12:1 길이범위로 편직되어 파일사의 무게를 절감한 경량 공간직물을 제작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직물 제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캠(214)은 한 쌍의 하트형 판캠(215-1,215-2)으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하트형 판캠(215-1,215-2)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동축(210)에 장착되며, 구동캠(214)과 연동되는 작동대(216)는 한 쌍의 하트형 판캠(215-1,215-2)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장착암(218)이 복수로 형성되어 작동대(216)의 승강작동이 이루어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직물 제조장치.
  6. 삭제
KR1020130128700A 2013-10-28 2013-10-28 공간직물 제조장치 KR101363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700A KR101363228B1 (ko) 2013-10-28 2013-10-28 공간직물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700A KR101363228B1 (ko) 2013-10-28 2013-10-28 공간직물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3228B1 true KR101363228B1 (ko) 2014-02-12

Family

ID=50271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8700A KR101363228B1 (ko) 2013-10-28 2013-10-28 공간직물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322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161B1 (ko) * 2014-10-27 2015-05-04 고한수 원형단면을 가진 캠을 이용한 편직장치의 구동구조
KR102021606B1 (ko) * 2019-05-21 2019-09-16 (유)이안지오텍 고강도 라셀 편직 그물망 제조 장치
KR102093617B1 (ko) * 2019-10-08 2020-03-26 주식회사 디앤디기계 플로팅 파일사 형성을 위한 더블라셀 편물기용 스윙장치
KR102104236B1 (ko) * 2019-11-21 2020-04-28 주식회사 에스티엔 이종 원사 공급이 가능한 직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305Y1 (ko) * 1998-06-17 2000-11-15 채병연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직물지 직조용 양면경편기
KR20050023071A (ko) * 2003-08-29 2005-03-09 김종태 3차원직포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양면경편기
KR200407423Y1 (ko) * 2005-11-15 2006-01-31 김재화 이격공간을 이루는 더블 편직물 경편장치
KR101021579B1 (ko) * 2010-10-29 2011-03-17 김재화 이중경편기의 인터레이싱 간격 조절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이중경편직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305Y1 (ko) * 1998-06-17 2000-11-15 채병연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직물지 직조용 양면경편기
KR20050023071A (ko) * 2003-08-29 2005-03-09 김종태 3차원직포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양면경편기
KR200407423Y1 (ko) * 2005-11-15 2006-01-31 김재화 이격공간을 이루는 더블 편직물 경편장치
KR101021579B1 (ko) * 2010-10-29 2011-03-17 김재화 이중경편기의 인터레이싱 간격 조절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이중경편직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161B1 (ko) * 2014-10-27 2015-05-04 고한수 원형단면을 가진 캠을 이용한 편직장치의 구동구조
WO2016068496A1 (ko) * 2014-10-27 2016-05-06 고한수 원형단면을 가진 캠을 이용한 편직장치의 구동구조
KR102021606B1 (ko) * 2019-05-21 2019-09-16 (유)이안지오텍 고강도 라셀 편직 그물망 제조 장치
KR102093617B1 (ko) * 2019-10-08 2020-03-26 주식회사 디앤디기계 플로팅 파일사 형성을 위한 더블라셀 편물기용 스윙장치
KR102104236B1 (ko) * 2019-11-21 2020-04-28 주식회사 에스티엔 이종 원사 공급이 가능한 직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3228B1 (ko) 공간직물 제조장치
KR101772994B1 (ko) 스판덱스를 포함하는 원단 제작 장치
JP2017515988A (ja) ニット製品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US3221520A (en) Double-needle-bed warp knitting machine
KR20100076449A (ko) 돌출 무늬층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망사직물 제직방법 및망사직물지
US2876441A (en) Method and means for feeding thread in tufting machines
CN103409933B (zh) 一种分结构的宽幅提花经编机
KR100987108B1 (ko) 가로방향 요철이 형성된 더블 라셀 편물의 제조방법 및 그 더블 라셀 편물
CN104499181A (zh) 少梳压纱经编机的成圈机构
CN109706613B (zh) 拉舍尔贾卡经编机的驱动结构及其控制装置
KR101021579B1 (ko) 이중경편기의 인터레이싱 간격 조절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이중경편직물
US3688524A (en) Warp knitting machine
KR20110071365A (ko) 환편기의 파일편성장치
EP3272921A1 (en) Method of knitting warp knitted fabric
CN204138883U (zh) 一种经编机的编织机构
EP2130962B1 (en) Method to produce textile articles with warp-knitting machines and machine to carry out such a method
KR20190018458A (ko) 양말 편성방법
CN107002323A (zh) 圆形针织机
BRPI0409810B1 (pt) Máquina de tricotar circular, particularmente do tipo de diâmetro médio, com melhor atuação de agulha"
KR100510955B1 (ko) 3차원직포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양면경편기
KR200280245Y1 (ko) 양면 편직물지 직조용 편직기
KR101425068B1 (ko) 다양한 색으로 형성되는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편직물 제조 장치 및 편직물
KR200335831Y1 (ko) 3차원직포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양면경편기
US280886A (en) Knitting machine
KR100555775B1 (ko) 다양한 고리형태의 문양패턴을 구현하기 위한 편물사편직방법 및 편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