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831Y1 - 3차원직포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양면경편기 - Google Patents

3차원직포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양면경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831Y1
KR200335831Y1 KR20-2003-0028135U KR20030028135U KR200335831Y1 KR 200335831 Y1 KR200335831 Y1 KR 200335831Y1 KR 20030028135 U KR20030028135 U KR 20030028135U KR 200335831 Y1 KR200335831 Y1 KR 2003358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ar
bracket
knitting machine
woven fabric
warp kn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81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태
박기환
Original Assignee
김종태
박기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태, 박기환 filed Critical 김종태
Priority to KR20-2003-00281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8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8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8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3/00Flat warp knitting machines
    • D04B23/08Flat warp knitting machines with provision for incorporating pile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3/00Flat warp knitting machines
    • D04B23/16Flat warp knitting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fabrics, or article blanks, of particular form o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04Sink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10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27/24Thread guide bar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6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arp knitt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3차원 직포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양면경편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차원 직포의 양단에 간격을 갖게 이격된 상태로 직조된 섬유사의 사이를 파일사로 서로 연결되게 3차원 직포를 직조하는 경편기에 섬유사 사이의 간격을 임의대로 조정이 가능하게 하여 동일 기계에서 다품종의 두께를 갖는 3차원 직포의 생산이 용이한 3차원 직포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양면경편기에 관한 것이다.
즉, 모터의 동력으로 구동되는 구동축에 의해 상하로드가 작동하고 상기 상하로드에 연결된 한 쌍의 제 1,2작동부재는 상,하부 브라케트축에 연결하되 상기 상부 브라케트축에 장착되어 하부에 다수개의 싱커가 구비된 파일사가이드바를 연결부재로 고정하는 상부브라케트와 상기 하부브라케트축에 장착되어 하부에 다수개의 싱커가 구비된 섬유사가이드바를 연결부재로 고정하고 내부에 형성된 장공에 섬유사가이드바를 장·탈착이 가능하게 하는 회동부재를 구비함과 아울러 승강봉으로 고정·설치한 승강대의 상부에 편침이 구비되어 그 승강봉에 장착된 승강대의 편침에 3차원 직포를 직조할 때, 상기 회동부재의 한 쌍의 체결공에 각각 장·탈착 가능하되 내부에 형성된 간격조절공이 형성되어 상기 간격조절공에 섬유사가이드바를 장착한 연결부재를 볼트에 의해 체결하는 하부브라케트를 구비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3차원직포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양면경편기{Warp knitting machine that it is able to space adjustment of a three-dimensional textile}
본 고안은 3차원 직포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양면경편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차원 직포의 양단에 간격을 갖게 이격된 상태로 직조된 섬유사의 사이를 파일사로 서로 연결되게 3차원 직포를 직조하는 경편기에 섬유사 사이의 간격을 임의대로 조정이 가능하게 하여 동일 기계에서 다품종의 두께를 갖는 3차원 직포의 생산이 용이한 3차원 직포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양면경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차원 직포로 형성된 에어 매트(Air mat)나 각종 부구와 같은 물품의 제작시에는 섬유사의 사이를 파일사로 연결하여 그 형성된 내부공간에 별도의 공급기에 의해 공기가 주입되어 그 내부공간에 공기가 주입된 상태에서 일정한 폭과 형태를 편평한 상태로 갖도록하여 모서리 부분과 다른 부위와의 균일한 두께의 확보나 내부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한편, 트리코편기와 라셀편기 등이 경편기의 범주에 속하며, 위사를 가로방향으로 편성해 나가는 위편기(緯編機)와는 반대로 바늘보다 급사 운동을 하는 가이드바(guide bar)의 역할이 더욱 중요함은 물론 가이드바에는 바늘수 또는 경사 올수만큼의 급사구가 있어, 이것이 모든 바늘에 1:1로 경사를 일시에 공급해 준다.
그래서, 생산속도가 환편기나 직기보다 월등하게 빠름에 따라 경편기의 일종인 트리코편기는 각종 셔팅, 파운데이션, 란제리용의 천을 직조할 때 사용되고, 라셀편기는 레이스 무늬의 천이 주생산품이다.
도 1a, 1b는 종래의 3차원 직포 직조용 양면경편기의 일예를 도시한 측면개략도 및 요부확대도로서,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직물지 직조용 양면경편기는 구동모터(M)의 동력전달을 받아 변속되는 구동축(10)과 연계 작동하는 승강대(15)가 승하강하게 되고, 상기 구동축(10)에 연계 작동하되 상하운동로드(13)에 장착된 제 1,2 작동부재(21, 22)에 의해 상부축봉(20)과 하부축봉(30)이 회동하여 이에 삽착된 회동부재(31)의 좌,우가이드바(34)(35)가 좌우운동하게 된다.
상기 좌,우가이드바(34)(35)는 상부면에 연결부재(24)에 의해 회동부재(31)에 장착되며 상기 회동부재(31)에 형성된 장공(33)에 의해 소정의 위치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바(25)는 상부축봉(20)을 브라케트(23)에 의해 회동되게 장착된다.
상기 가이드바(25)(34)(35)의 하부에 균일한 배열로 설치된 싱커(17)에 섬유사(11)를 끼워 넣고 구동모터(M)를 구동시키면, 상기 구동모터(M)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구동축(10)은 편침(16)이 설치된 승강대(15)를 승강봉(14)으로 상하구동시키게 되고, 상기 승,하강하는 승강대(15)의 편침(16)과 좌,우 가이드바(34)(35)의 싱커(17)가 교차되면서 상기 싱커(17)에 공급되는 섬유사(11)에 의해 파일사(12)에 의해 좌,우 양측으로 직물이 직조되는 구성이었다.
도 2a, 2b는 종래의 3차원 직포 직조용 양면경편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개략도 및 요부확대도로서, 구동모터(M)의 구동력으로 구동되는 구동축(10)에 의해 한 쌍의 승강대(15)가 승하강되고, 상기 구동축(10)에 연계, 작동되는 한 쌍의 하부축봉(30)에 결합된 각각의 회동부재(31)에 의해 좌,우가이드바(34, 35)가 각운동되며 상기 구동축(10)에 장착된 승강대(15)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편침(16)과 상기 좌,우가이드바(34, 35)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싱커(17)가 서로 교차되면서 상기 싱커(17)에 공급되는 섬유사(11)의 사이를 파일사(12)에 의해 직물이 직조된다.
상기 상부축봉(20)은 연결부재(24)의 하부에 장착된 가이드바(25)를 브라케트(23)에 의해 장착한다.
상기 한 쌍의 하부축봉(30)중 일측의 하부축봉(30)은 일측 구동축(10)에 연계, 작동되고 상기 좌가이드바(34)가 결합되는 하부축봉(30)과, 상기 타측의 하부축봉(30)은 서로 평행되게 일정 거리만큼 이격 설치되어 타측 구동축(10)에 연계, 작동되고 상기 우가이드바(35)가 결합되는 하부축봉(30)으로 구성되어 상기 좌,우측의 하부축봉(30)에 결합되는 좌,우가이드바(34)(35) 사이의 폭이 넓어지도록 하여 승강대의 내측으로 폭이 넓은 직물이 직조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구동축(10)에 연계 작동하되 상하운동로드(13, 13 ')에 장착된 제 1,2 작동부재(21, 22)에 의해 상부축봉(20)과 하부축봉(30)이 회동하여 이에 삽착된 회동부재(31)의 좌,우가이드바(34)(35)가 좌우운동하게 된다.
상기 한 쌍의 회동부재(31)의 장공(33)에 좌,우가이드바(34, 35)가 연결부재(32)에 의해 체결된다.
그리고, 한 쌍의 하부축봉(30)에 결합되는 회동부재(31)는 내부에 형성된 장공(33)에 의해 소정의 위치 변경이 가능함과 아울러 소정길이를 갖게 'ㄴ' 자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3차원 직포를 직조하는 경편기는 양면경편기의 싱커(17)의 이격 거리를 크게 하고자할 경우 브라케트(23)가 회동부재(31)가 장착된 하부축봉(30)에 간섭받아 필요 이격 만큼 좌,우가이드바(34, 35)가 싱커(17)에 파일사를 공급하지 못하였고, 좌,우로 불리된 제 1작동부재(21)에 장착된 좌,우가이드바(34, 35)의 싱커(17)가 파일사(12)의 간격을 넓게 하기가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3차원직포 직조하는 경편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3차원직포를 직조할 때 두께의 여부에 상관없이 일측을 개방한 상부브라케트를 한 쪽에서만 적용하게 장치하여 하부브라케트축에 장착된 회동부재와 하부브라케트의 간섭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하부브라케트를 좌우가독립적으로 분리되면서 동시에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하부 가이드바의 간격을 넓혀 파일사의 간격을 넓히고자 할 때 간단하게 조작될 수 있도록 하여 다품종의 양면 직물지를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는 차원직포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양면경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 1b는 종래의 3차원 직포 직조용 양면경편기의 일예를 도시한 측면개략도 및 요부확대도,
도 2a, 2b는 종래의 3차원 직포 직조용 양면경편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개략도 및 요부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의 3차원 직포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양면경편기의 측면개략도,
도 4는 상기 3차원 직포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양면경편기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상기 3차원 직포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양면경편기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구동축 11: 섬유사
12 : 파일사 13 : 상하로드
14 : 승강봉 15 : 승강대
16 : 편침 17 : 싱커
20 : 상부브라케트축 21 : 제 1작동부재
22 : 제 2작동부재 23: 상부브라케트
24 : 연결부재 25 : 파일사가이드바
26 : 섬유사가이드바 30 : 하부브라케트축
31 : 회동부재 32 ; 장공
33 : 체결공 34 : 하부브라케트
35 : 간격조절공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모터의 동력으로 구동되는 구동축에 의해 상하로드가 작동하고 상기 상하로드에 연결된 한 쌍의 제 1,2작동부재는 상,하부 브라케트축에 연결하되 상기 상부 브라케트축에 장착되어 하부에 다수개의 싱커가 구비된 파일사가이드바를 연결부재로 고정하는 상부브라케트와 상기 하부브라케트축에 장착되어 하부에 다수개의 싱커가 구비된 섬유사가이드바를 연결부재로 고정하고 내부에 형성된 장공에 섬유사가이드바를 장·탈착이 가능하게 하는 회동부재를 구비함과 아울러 승강봉으로 고정·설치한 승강대의 상부에 편침이 구비되어 그 승강봉에 장착된 승강대의 편침에 3차원 직포를 직조하는 경편기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의 한 쌍의 체결공에 각각 장·탈착 가능하되 내부에 형성된 간격조절공이 형성되어 상기 간격조절공에 섬유사가이드바를 장착한 연결부재를 볼트에 의해 체결하는 하부브라케트를 구비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브라케트는 양측 중에 일측을 절단하고 타단측의 두께를 증가시켜 내부에 구비되는 하부브라케트축과 그 축에 장착되는 섬유사가이드바에 대해 상부브라케트축의 동작에 간섭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브라케트는 회동부재에 한 쌍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그 체결공에 좌우가 독립적으로 분리된 하부브라케트를 장착하여 간격 조정과 아울러 각각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3차원직포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양면경편기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3차원 직포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양면경편기의 측면개략도이고, 도 4는 상기 3차원 직포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양면경편기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상기 3차원 직포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양면경편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3차원 직포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양면경편기는 모터(M)의 동력으로 구동되는 구동축(10)에 의해 상하로드(13)가 작동하고 상기 상하로드(13)에 연결된 한 쌍의 제 1작동부재(21)와 제 2작동부재(22)는 상부브라케트축(20)과 하부브라케트축(30)에 연결하되 상기 상부브라케트축(20)에 장착되어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싱커(17)가 구비된 파일사가이드바(25)를 연결부재(24)로 고정하는 상부브라케트(23)와 상기 하부브라케트축(30)에 장착되어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싱커(17)가 구비된 섬유사가이드바(26)를 연결부재(24)로 고정하고 내부에 형성된 장공(32)에 섬유사가이드바(26)를 장·탈착이 가능하게 하는 회동부재(31)를 구비함과 아울러 승강봉(14)으로 고정·설치한 승강대(15)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편침(15)이 구비되어 그 승강봉(14)에 장착된 승강대(15)의 편침(15)에 의해 3차원 직포를 직조한다.
상기 상부브라케트(23)는 일측 부위는 절단하고 타단의 굵기를 굵게 해서 파일사가이바(25)를 지지하는 지탱력이 동일하게 구성하여 파일사(11)의 간격을 넓히고자 할 때, 하부브라케트축(30)이 상부브라케트축(20)의 동작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하부브라케트(34)는 좌우가 독립식으로 분리되면서 동시에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길이를 증가한 일체형 조립식 구조로 개선한 형태이다.
여기서, 상기 상부브라케트(23)는 상부브라케트축(20)을 기점으로 하부에 양측으로 구비된 것 중에 일측을 절단하고 그 대신에 타단측의 두께를 증가시켜 파일사가이드바(25)에 대한 지탱력은 지속시킨다.
즉, 상부브라케트(23)의 내부에 위치되는 하부브라케트축(30)과 그 축에 장착되는 연결부재(34)를 장착한 섬유사가이드바(26)에 대해 상부브라케트축(20)의 동작에 간섭되지 않게 한다.
한편, 직조하고자 하는 3차원직물의 두께가 얇을 경우는 두 쌍의 섬유사가이드바(25)를 구비한 연결부재(24)를 하부브라케트축(30)에 구비된 회동부재(31)의 장공(32)에 장착하고, 3차원직물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는 회동부재(31)에서 섬유사가이드바(26)를 장착한 연결부재(24)를 탈착하고 회동부재(31)에 장착된 하부브라케트(34)의 간격조절공(35)에 장착한 다음 두께가 두꺼운 3차원직포를 직조한다.
상기 하부브라케트(34)는 회동부재(31)에 형성된 한 쌍의 체결공(33)에 좌우가 독립적으로 분리된 하부브라케트(34)를 볼트(B)에 의해 장착하여 각각의 하부브라케트(34)에 섬유사가이드바(26)를 구비한 연결부재(24)를 설치하여 간격 조정은 물론 하부브라케트(34)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이 가능하다.
즉, 에어 매트나 그와 동일한 구조물에 사용되는 3차원직포의 두께에 따라하부브라케트(34)의 간격조절공(35)에 섬유사가이드바(26)를 장착한 연결부재(24)의 위치를 달리하여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운 3차원 직포를 직조할 수 있다.
상기 구동축(10)과 연계 작동하는 승강대(15)의 상부에 편침(16)이 설치된 승강대(15)를 승강봉(14)으로 상하구동시키게 되고, 상기 승,하강하는 승강대(15)의 편침(16)과 섬유사가이드바의 싱커(17)가 교차되면서 상기 싱커(17)에 공급되는 섬유사(11)에 의해 좌,우 양측으로 3차원직포가 직조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3차원직포를 직조할 때 직조하고자 하는 직포의 두께가 얇다면 섬유사가이드바(26)를 장착한 연결부재(24)를 회동부재(31)의 장공(32)에 각각 장착하고, 직포의 두께가 두꺼워 회동부재(31)의 장공(32)의 길이보다 폭이 넓다면 섬유사가이드바(26)가 장착된 연결부재(24)를 회동부재(31)에서 분리한 다음, 상기 회동부재(31)에 형성된 체결공(33)에 볼트(B)로 체결하되 길이방향으로 길고 내부에 간격조절공(35)이 형성된 하부브라케트(34)의 간격조절공(35)에 섬유사가이드바(26)가 장착된 연결부재(24)를 장착하여 섬유사가이드바(26)의 각도와 위치를 조절하여 3차원직포를 직조한다.
또한, 3차원직포의 양단 섬유사(11)의 이격거리가 클 때에는 하부브라케트(34)의 간격조절공(35)의 외부쪽에 싱커(17)가 부착된 섬유사가이드바(26)를 장치한 다음 상기 섬유사가이드바(26)의 각도를 크게 해주고, 이격거리가 적을 때는 하부브라케트(34)의 간격조절공(35)의 내부쪽에 섬유사가이드바(26)를 위치시킨 다음 각도를 적게 해주어 용이하게 직조되게 한다.
이와 같은 3차원직포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양면경편기는 3차원직포를 직조할 때 두께의 여부에 상관없이 일측을 개방한 상부브라케트를 한 쪽에서만 적용하게 장치하여 하부브라케트축에 장착된 회동부재와 하부브라케트의 간섭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브라케트를 좌우가 독립적으로 분리되면서 동시에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길이를 증가한 일체형 조립식 구조로 개선하여 일체형이면서도 용이하게 하부 가이드바의 간격을 넓혀 파일사의 간격을 넓히고자 할 때 용이하게 조작될 수 있도록 하여 다품종의 양면 직물지를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모터(M)의 동력으로 구동되는 구동축(10)에 의해 상하로드(13)가 작동하고 상기 상하로드(13)에 연결된 한 쌍의 제 1,2작동부재(21, 22)는 상,하부 브라케트축(20, 30)에 연결하되 상기 상부브라케트축(20)에 장착되어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싱커(17)가 구비된 파일사가이드바(25)를 연결부재(24)로 고정하는 상부브라케트(23)와 상기 하부브라케트축(30)에 장착되어 하부에 다수개의 싱커(17)가 구비된 섬유사가이드바(26)를 연결부재(24)로 고정하고 내부에 형성된 장공(32)에 섬유사가이드바(26)를 장·탈착이 가능하게 하는 회동부재(31)를 구비함과 아울러 승강봉(14)으로 고정·설치한 승강대(15)의 상부에 편침(16)이 구비되어 그 승강봉(14)에 장착된 승강대(15)의 편침(16)에 3차원 직포를 직조하는 경편기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31)의 한 쌍의 체결공(33)에 각각 장·탈착 가능하되 내부에 형성된 간격조절공(35)이 형성되어 상기 간격조절공(35)에 섬유사가이드바(26)를 장착한 연결부재(31)를 볼트(B)에 의해 체결하는 하부브라케트(34)를 구비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직포의 간격조절이 가능한 양면경편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브라케트(23)는 양측 중에 일측을 절단하고 타단측의 두께를 증가시켜 내부에 구비되는 하부브라케트축(30)과 그 축에 장착되는 섬유사가이드바(26)에 대해 상부브라케트축(20)의 동작에 간섭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직포의 간격조절이 가능한 양면경편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브라케트(34)는 회동부재(31)에 한 쌍의 체결공(33)이 형성되고, 그 체결공(33)에 좌우가 독립적으로 분리된 하부브라케트(34)를 장착하여 간격 조정과 아울러 각각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직포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양면경편기.
KR20-2003-0028135U 2003-09-02 2003-09-02 3차원직포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양면경편기 KR2003358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135U KR200335831Y1 (ko) 2003-09-02 2003-09-02 3차원직포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양면경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135U KR200335831Y1 (ko) 2003-09-02 2003-09-02 3차원직포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양면경편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0110A Division KR100510955B1 (ko) 2003-08-29 2003-08-29 3차원직포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양면경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831Y1 true KR200335831Y1 (ko) 2003-12-11

Family

ID=49341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8135U KR200335831Y1 (ko) 2003-09-02 2003-09-02 3차원직포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양면경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83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43758B1 (en) Warp knitting fabrics having ground structure expressing various design patterns
CN101979741A (zh) 提花毛绒织物的生产方法
CN104160079A (zh) 具有优化经纱密度的提花织机
KR930006219A (ko) 플러시(plush) 천을 만드는 원편기
KR101363228B1 (ko) 공간직물 제조장치
KR100510955B1 (ko) 3차원직포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양면경편기
KR20200007956A (ko) 중간 형체가 투사되는 3층 경편포의 직조 공정 및 그 원단
KR200335831Y1 (ko) 3차원직포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양면경편기
KR200350349Y1 (ko) 여러 겹의 바닥 제직이 가능한 양면경편기
EP2130962B1 (en) Method to produce textile articles with warp-knitting machines and machine to carry out such a method
KR102427435B1 (ko) 더블랏셀 경편기
CN215947544U (zh) 一种高速特里科贾卡经编机
KR101021579B1 (ko) 이중경편기의 인터레이싱 간격 조절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이중경편직물
CN204138883U (zh) 一种经编机的编织机构
KR200202305Y1 (ko)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직물지 직조용 양면경편기
CN112899864B (zh) 一种长绒毛机的编织工艺
EP1692333B1 (en) Method and equipment to change the knitting density in the production of warp fabrics and tubular articles by raschel loom and obtained products
KR200280245Y1 (ko) 양면 편직물지 직조용 편직기
KR102643503B1 (ko) 전자자카드가 장치된 더블랏셀 경편기
CN210215759U (zh) 一种经编机用边纱送经装置
CN2595829Y (zh) 新型双轴向横机经纬纱喂入装置
CN220079348U (zh) 经编机纱线切断机构
CN202131457U (zh) 一种43梳经编机的针床的结构
CN214300620U (zh) 智能3d成型双针床经编机贾卡梳快速更换装置
CN212560645U (zh) 一种三贾卡双针床经编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04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