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2305Y1 -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직물지 직조용 양면경편기 - Google Patents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직물지 직조용 양면경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2305Y1
KR200202305Y1 KR2019980010411U KR19980010411U KR200202305Y1 KR 200202305 Y1 KR200202305 Y1 KR 200202305Y1 KR 2019980010411 U KR2019980010411 U KR 2019980010411U KR 19980010411 U KR19980010411 U KR 19980010411U KR 200202305 Y1 KR200202305 Y1 KR 2002023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lower shaft
double
coupled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04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0839U (ko
Inventor
채병연
Original Assignee
채병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병연 filed Critical 채병연
Priority to KR20199800104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2305Y1/ko
Publication of KR200000008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8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23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23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3/00Flat warp knitting machines
    • D04B23/08Flat warp knitting machines with provision for incorporating pile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10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27/24Thread guide bar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10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 D04B35/12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responsive to thread consump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10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 D04B35/18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responsive to breakage, misplacement, or malfunctioning of knitting instru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6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arp knitt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직물지 직조용 양면경편기에 관한 것으로, 구동축에 의해 한 쌍의 승강대가 승하강되고, 상기 구동축에 의해 하부축봉에 결합된 좌,우가이드바가 각운동되며 상기 구동축에 의해 작동되는 가이드작동장치에 의해 상기 좌,우가이드바가 전후운동되면서 양면이 직조되는 동시에 상기 일측 구동축에 연계, 작동되는 상부축봉에 설치되어 각운동되고 상기 가이드작동장치에 의해 전후운동되는 가이드바에 의해 상기 양면 사이의 공간부에 연결부재가 연결되는 직물이 직조되도록 구성된 양면경편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축봉(60)은 일측 구동축에 연계, 작동되고 상기 좌가이드바(37a)가 결합되는 제 1하부축봉(62)과, 상기 제 1하부축봉(62)에 평행하게 일정 거리만큼 이격 설치되어 타측 구동축에 연계, 작동되고 상기 우가이드바(37b)가 결합되는 제 2하부축봉(64)으로 구성되어 상기 좌,우가이드바(37a)(37b) 사이의 폭이 증가되도록 하여 양면(3a) 사이의 폭이 넓은 직물이 직조되도록 하고, 상기 제 1하부축봉(62)과 제 2하부축봉(64)에 결합된 좌,우가이드바(37a)(37b)에 의해 양면(3a) 사이의 폭이 넓은 직물이 직조되는 과정에서 증가된 양면(3a) 사이의 폭만큼 연결부재(4a)를 직조하는 가이드바(27)의 회동거리가 증가되도록, 상기 가이드바(27)가 결합되는 상부축봉(20)의 설치위치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그 이동된 높이만큼 회동간(70)의 상하길이가 연장 형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직물지 직조용 양면경편기
본 고안은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직물지 직조용 양면경편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면 사이에 일정 폭의 내부공간을 갖도록 서로 이격되게 양면직물이 직조이 직조되는 동시에 양면직물의 내측면이 파일사에 의해 서로 연결되게 직조되도록 하는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직물지 직조용 양면경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 매트(Air mat)나 각종 부구와 같은 물품의 제작시에는 공기가 주입되는 내부공간에 공기가 주입된 상태에서 일정한 폭과 형태를 갖도록하여 균일한 두께의 확보나 내부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양면경편기에 의해 양면이 직조되는 동시에 양면직물지의 양면 내측이 파일사에 의해 서로 연결되게 직조되도록 한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직물지 직조용 양면경편기(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96-003481호)가 첨부도면 도 1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고안되었다.
이에 도시된 바와, 상기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직물지 직조용 양면경편기는 구동모터(M)의 동력전달을 받아 변속되는 구동축(10)(10')의 편심캠(15)과 연계작동하는 캠틀(16)에 의해 승강대(17)가 승하강하게 되고, 상기 구동축(10)에 연계작동하는 제 1편심캠(13)에 의해 하부축봉(30)이 회동하여 이에 삽착된 회동간(33)의 좌,우가이드바(37a)(37b)가 좌우운동하게 되며, 상기 구동축(10)에 연계작동하는 통상의 가이드작동장치(40)에 의해 상기 좌우가이드바(37a)(37b)가 전후운동하게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10)의 제 2구동스프로켓(12a)과 체인(18)이 연결된 피동스프로켓(12b)의 피동축(12c)에는 제 2편심캠(14)이 축착되어 그 상하운동로드(14a)가 제 2작동간(22)에 체결고정되되 타측이 상부축봉(20)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상부축봉(20)에는 하부에 체결공(23a)이 천공된 회동간(23)이 삽착되어 상기 체결공(23a)에 연결간(24)이 체결고정되되 일측에 작동로드(25)가 나삽되고 저면에 가이드바(27)가 고정설치되어서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승강대(17)는 장홈(17a)을 형성하여 캠틀(16)의 승강봉(16c)에 나합 고정되어 좌,우이동이 가능하게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양면경편기는 가이드바(27)(37a)(37b)의 하부에 균일한 배열로 설치된 싱커(5)에 섬유사(3)를 끼워 넣고 구동모터(M)를 구동시키면, 상기 구동모터(M)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구동축(10)(10')의 편심캠(15)은 상기 편심캠(15)과 접촉되어 있는 캠틀(16)의 베어링(16a)과 캠작동하게 되어 상부에 편침(6)이 설치된 승강대(17)를 승강봉(16c)으로 상하구동시키게 되고, 상기 승,하강하는 승강대(17)의 편침(6)과 좌,우 가이드바(37a)(37b)의 싱커(5)가 교차되면서 상기 싱커(5)에 공급되는 섬유사(3)에 의해 좌,우 양측으로 직물이 직조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동시에 상기 구동축(10)에 연동되는 상부축봉(20)에 삽착된 회동간(23)에 결합된 가이드바(27)의 하부에 균일하게 배열 설치된 싱커(5)에 공급되는 파일사(4)가 상기 가이드바(27)의 좌우, 전후운동에 의해 좌,우 양면의 직물에 교대로 연결, 직조되어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양면직물를 일정한 폭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4a)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양면 직물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폭을 조절하고자 할 때는 승강대(17)의 장홈(17a)을 이용하여 승강대(17)를 좌우측으로 이동시킨 다음, 직조하므로써 그 폭을 상기 장홈(17a)의 길이범위내에서 증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양면경편기는 양쪽 승강대(17) 사이의 폭과, 좌우가이드바(37a)(37b) 사이의 거리 및 가이드바(27)의 회동각도가 한정되어 양면 사이의 공간폭이 큰 양면직물지의 직조가 불가능한 것으로,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양면경편기를 이용하여 양면 사이의 공간폭이 큰 양면직물지를 직조하고자 할 때에는, 양쪽 승강대(17) 사이의 거리를 크게 벌리고 회동간(33)의 좌우길이를 증가시켜 좌우가이드바(37a)(37b)를 결합시키는 한편, 상부축봉(20)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가이드바(27)의 회동각도를 증가시켜야 하는데, 상기 하부축봉(30)에 결합된 회동간(33)의 좌우길이를 지나치게 길게 할 경우 좌우가이드바(37a)(37b)의 설치 및 회동각도 조절이 힘들고 자중의 증가로 인해 동작상태가 불량해지는 동시에 다른 장치와의 간섭이 발생되어 동작 및 제작이 어려워지는 등 기계적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상기 상부축봉(20)의 구동력에 의해 회동되면서 가이드바(27)를 일정각도로 회동시키는 연결간(24)의 운동이 하부축봉(30)에 의해 간섭되어 회동각도가 제한되므로 양면직물지 양면 사이의 공간부에 형성되는 연결부재(4a)의 직조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양면 사이에 연결부재가 형성되는 양면직물지에 있어서 그 양면 사이의 공간부 폭을 크게 직조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기계적인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한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직물지 직조용 양면경편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구동모터의 구동력으로 구동되는 구동축에 의해 한 쌍의 승강대가 승하강되고, 상기 구동축에 연계, 작동되는 하부축봉에 결합된 회동간에 의해 좌,우가이드바가 각운동되며 상기 구동축에 연계, 작동되는 가이드작동장치에 의해 상기 좌,우가이드바가 전후운동되면서 일정 폭으로 이격되게 양면이 직조되는 동시에 상기 일측 구동축에 연계, 작동되는 상부축봉에 고정, 설치되어 각운동되고 상기 가이드작동장치에 의해 전후운동되는 가이드바에 의해 상기 양면 사이의 공간부에 연결부재가 연결되는 직물이 직조되도록 구성된 양면경편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축봉은 일측 구동축에 연계, 작동되고 상기 좌가이드바가 결합되는 제 1하부축봉과, 상기 제 1하부축봉에 평행하게 일정 거리만큼 이격 설치되어 타측 구동축에 연계, 작동되고 상기 우가이드바가 결합되는 제 2하부축봉으로 구성되어 상기 좌,우가이드바 사이의 폭이 증가되도록 하여 양면 사이의 폭이 넓은 직물이 직조되도록 하고, 상기 제 1하부축봉과 제 2하부축봉에 결합된 좌,우가이드바에 의해 양면 사이의 폭이 넓은 직물이 직조되는 과정에서 증가된 양면 사이의 폭만큼 연결부재를 직조하는 가이드바의 회동거리가 증가되도록, 상기 가이드바가 결합되는 상부축봉의 설치위치를 소정 높이만큼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그 이동된 높이만큼 회동간의 상하길이가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직물지 직조용 양면경편기를 나타내는 측면개략도,
도 2는 종래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직물지 직조용 양면경편기를 나타내는 정면개략도,
도 3은 종래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직물지 직조용 양면경편기의 요부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
도 4는 종래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직물지 직조용 양면경편기를 나타내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직물지 직조용 양면경편기를 나타내는 측면개략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직물지 직조용 양면경편기의 요부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직물지 직조용 양면경편기를 나타내는 도 5의 B부 확대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직물지 직조용 양면경편기의 제 1작동상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직물지 직조용 양면경편기의 제 2작동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섬유사, 3a:양면직물,
4:파일사, 4a:연결부재,
10,10':구동축, 20:상부축봉,
27:가이드바, 37a,37b:좌,우가이드바,
40:가이드작동장치, 50:회동간,
52:종부재, 54:횡부재,
56:장공, 60:하부축봉,
62:제 1하부축봉, 64:제 2하부축봉,
70:회동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직물지 직조용 양면경편기를 나타내는 측면개략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직물지 직조용 양면경편기의 요부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직물지 직조용 양면경편기를 나타내는 도 5의 B부 확대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직물지 직조용 양면경편기의 제 1작동상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직물지 직조용 양면경편기의 제 2작동상태도로서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M)의 구동력으로 구동되는 구동축(10)(10')에 의해 한 쌍의 승강대(17)가 승하강되고, 상기 구동축에 연계, 작동되는 하부축봉에 결합된 회동간(50)에 의해 좌,우가이드바(37a)(37b)가 각운동되며 상기 구동축에 연계, 작동되는 가이드작동장치(40)에 의해 상기 좌,우가이드바(37a)(37b)가 전후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승강대(17)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편침(6)과 상기 좌,우가이드바(37a)(37b)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싱커(5)가 서로 교차되면서 상기 싱커(5)에 공급되는 섬유사(3)에 의해 일정 폭으로 이격되게 양면(3a)이 직조되는 동시에 상기 일측 구동축(10)에 연계, 작동되는 상부축봉(20)에 고정, 설치되어 각운동되고 상기 가이드작동장치(40)에 의해 전후운동되는 가이드바(27)의 하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싱커(5)에 공급되는 파일사(4)에 의해 상기 양면(3a) 사이의 공간부에 연결부재(4a)가 연결되는 직물이 직조되도록 구성된 양면경편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축봉(60)은 일측 구동축(10)에 연계, 작동되고 상기 좌가이드바(37a)가 결합되는 제 1하부축봉(62)과, 상기 제 1하부축봉(62)에 평행되게 일정 거리만큼 이격 설치되어 타측 구동축(10')에 연계, 작동되고 상기 우가이드바(37b)가 결합되는 제 2하부축봉(64)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 1하부축봉(62)과 제 2하부축봉(64)에 결합되는 좌,우가이드바(37a)(37b) 사이의 폭이 넓어지도록 하여 양면(3a) 사이의 폭이 넓은 직물이 직조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1하부축봉(62)과 제 2하부축봉(64)에 결합되는 회동간(50)은 상측에 프랜지부(52a)가 형성된 소정길이의 종부재(52)와 상기 종부재(52)의 하단 일측에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횡방향으로 장공(56)이 형성된 원호상의 횡부재(54)로 구성되어 대략 " ㄴ " 자 형상을 갖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원의 기술적 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하부축봉(62)과 제 2하부축봉(64)에 결합된 좌,우가이드바(37a)(37b)에 의해 양면(3a) 사이의 폭이 넓은 직물이 직조되는 과정에서 증가된 양면(3a) 사이의 폭만큼 연결부재(4a)를 직조하는 가이드바(27)의 회동거리가 증가되도록, 상기 가이드바(27)가 결합되는 상부축봉(20)의 위치를 소정 높이만큼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그 이동된 높이만큼 회동간(70)의 상하길이가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간(70)은 소정 형상을 갖는 종부재로 구성되고 그 길이는 소정 높이만큼 상측으로 위치 이동된 상부축봉(20)에 의해 원호운동하는 가이드바(27)의 싱커(5)가 양쪽 승강대(17)의 편침(6)과 근접하게 각운동되면서 파일사(4)에 의한 연결부재(4a)의 직조가 용이한 상하길이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하부축봉(62)의 좌가이드바(37a)와, 제 2하부축봉(64)의 우가이드바(37b)의 싱커(5)에 섬유사(3)를 끼워 넣고, 상부축봉(20)의 싱커(5)에 파일사(4)를 끼워 넣은 상태에서, 구동모터(M)를 구동시키게 되면 이 구동력에 의해 구동축(10)(10')이 회동되면서 캠틀(16)이 작동되어 승강봉(16c)이 상하운동되므로 승강대(17)가 승하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10)(10')에 축착된 제 1구동스프로켓(11a)은 체인연결된 피동스프로켓(11b)을 구동되어 이 피동스프로켓(11b)과 동축상에 설치된 편심캠(13)의 작동에 의해 상하운동로드(13a)가 상하운동되므로 제 1작동간(21)을 매개로하여 제 1하부축봉(62)과 제 2하부축봉(64)이 소정 각도범위로 회동되므로 회동간(50)에 의해 상기 제 1하부축봉(62)과 제 2하부축봉(64)에 결합된 좌,우가이드바(37a)(37b)가 원호의 궤적을 그리며 각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좌,우가이드바(37a)(37b)는 상기 제 1하부축봉(62)과 제 2하부축봉(64)에 의해 각운동하는 동시에 구동축(10)의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는 가이드작동장치(40)의 패턴체인(41)에 형성된 돌편(42)이 작동로드(35a)(35b)를 밀게되어 상기 좌,우가이드바(37a)(37b)의 각쌍이 서로 엇갈리게 전후이동하게 된다.
즉, 승하강하는 상기 승강대(17)의 편침(6)과 좌우,전후운동하는 좌,우 가이드바(37a)(37b)의 싱커(5)가 서로 교차되면서 상기 싱커(5)에 공급되는 섬유사(3)는 좌,우측 직물(3a)로 직조된다.
한편, 이와 같이 좌우측으로 직물이 직조되는 과정에서 구동축(10)의 동력을 매개로하여 회동되는 상부축봉(20)에 의해 가이드바(27)가 원호의 궤적을 그리며 각운동하게 되는 동시에 구동축(10)의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는 가이드작동장치(40)의 패턴체인(41)에 형성된 돌편(42)이 작동로드(25)를 밀게되어 상기 가이드바(27)는 전후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좌,우가이드바(37a)(37b)가 좌측으로 회동시 좌측으로 회동하여 좌가이드바(37a)의 섬유사(3)와 같이 편침(6)에 의해 파일사(4)가 좌측직물에 직조되고, 상기 좌,우가이드바(37a)(37b)가 우측으로 회동시 우측으로 회동하여 우가이드바(37b)의 섬유사(3)와 같이 편침(6)에 의해 파일사(4)가 우측직물에 직조되어 좌우측 직물(3a)에 연결되므로서 좌우 양면의 직물을 상호연결하게 되어 일정 폭을 갖는 내부공간에 연결부재(4a)가 형성된 양면직물지가 직조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직물지 직조용 양면경편기에 의하면, 하부축봉을 제 1하부축봉과 제 2하부축봉으로 구성하므로써, 좌우가이드바 사이의 거리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좌,우측직물 사이의 폭이 큰 양면직물지의 직조가 가능하고, 또한 제 1하부축봉과 제 2하부축봉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므로 상부축봉에 결합된 회동간의 회동각도가 넓어져 연결부재를 직조하는 가이드바의 회동각도가 제한되지 않게 되고 따라서 양면 사이의 내부공간이 넓은 양면직물지라 하더라도 파일사에 의한 연결부재의 직조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축봉을 제 1하부축봉과 제 2하부축봉으로 구분하고 별도의 회동간을 구성하여 좌,우가이드바를 회동시키는 구조이므로 좌,우가이드바가 고정된 연결간이 결합되는 회동간의 좌우길이가 짧아서 다른 장치와의 간섭이 방지되고 좌,우가이드바의 제작, 설치 및 회동각도의 조절이 용이하여 기계적인 안정성이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구동모터(M)의 구동력으로 구동되는 구동축(10)(10')에 의해 한 쌍의 승강대(17)가 승하강되고, 상기 구동축에 연계, 작동되는 하부축봉에 결합된 회동간(50)에 의해 좌,우가이드바(37a)(37b)가 각운동되며 상기 구동축에 연계, 작동되는 가이드작동장치(40)에 의해 상기 좌,우가이드바(37a)(37b)가 전후운동되면서 일정 폭으로 이격되게 양면(3a)이 직조되는 동시에 상기 일측 구동축에 연계, 작동되는 상부축봉(20)에 고정, 설치되어 각운동되고 상기 가이드작동장치(40)에 의해 전후운동되는 가이드바(27)에 의해 상기 양면(3a) 사이의 공간부에 연결부재(4a)가 연결되는 직물이 직조되도록 구성된 양면경편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축봉(60)은 일측 구동축에 연계, 작동되고 상기 좌가이드바(37a)가 결합되는 제 1하부축봉(62)과, 상기 제 1하부축봉(62)에 평행하게 일정 거리만큼 이격 설치되어 타측 구동축에 연계, 작동되고 상기 우가이드바(37b)가 결합되는 제 2하부축봉(64)으로 구성되어 상기 좌,우가이드바(37a)(37b) 사이의 폭이 증가되도록 하여 양면(3a) 사이의 폭이 넓은 직물이 직조되도록 하고,
    상기 제 1하부축봉(62)과 제 2하부축봉(64)에 결합된 좌,우가이드바(37a)(37b)에 의해 양면(3a) 사이의 폭이 넓은 직물이 직조되는 과정에서 증가된 양면(3a) 사이의 폭만큼 연결부재(4a)를 직조하는 가이드바(27)의 회동거리가 증가되도록, 상기 가이드바(27)가 결합되는 상부축봉(20)의 설치위치를 소정 높이만큼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그 이동된 높이만큼 회동간(70)의 상하길이가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직물지 직조용 양면경편기.
KR2019980010411U 1998-06-17 1998-06-17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직물지 직조용 양면경편기 KR2002023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411U KR200202305Y1 (ko) 1998-06-17 1998-06-17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직물지 직조용 양면경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411U KR200202305Y1 (ko) 1998-06-17 1998-06-17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직물지 직조용 양면경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839U KR20000000839U (ko) 2000-01-15
KR200202305Y1 true KR200202305Y1 (ko) 2000-11-15

Family

ID=19535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0411U KR200202305Y1 (ko) 1998-06-17 1998-06-17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직물지 직조용 양면경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230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0955B1 (ko) * 2003-08-29 2005-08-31 임유순 3차원직포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양면경편기
KR101021579B1 (ko) 2010-10-29 2011-03-17 김재화 이중경편기의 인터레이싱 간격 조절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이중경편직물
KR101363228B1 (ko) * 2013-10-28 2014-02-12 김경하 공간직물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62403B3 (de) * 2005-12-23 2007-08-23 Groz-Beckert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rzeugung eines Abstandsgestrick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0955B1 (ko) * 2003-08-29 2005-08-31 임유순 3차원직포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양면경편기
KR101021579B1 (ko) 2010-10-29 2011-03-17 김재화 이중경편기의 인터레이싱 간격 조절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이중경편직물
WO2012057429A1 (ko) * 2010-10-29 2012-05-03 Kim Jae Wea 이중경편기의 인터레이싱 간격 조절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이중경편직물
CN103097599A (zh) * 2010-10-29 2013-05-08 金在和 双层经编机的交织间距调节方法和用该方法织出的双层经编织物
KR101363228B1 (ko) * 2013-10-28 2014-02-12 김경하 공간직물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839U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2305Y1 (ko)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직물지 직조용 양면경편기
KR101363228B1 (ko) 공간직물 제조장치
CN100366807C (zh) 具有可动沉降装置的横机
KR101021579B1 (ko) 이중경편기의 인터레이싱 간격 조절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이중경편직물
GB2352455A (en) Computer-controlled jacquard knitting machine
KR200407423Y1 (ko) 이격공간을 이루는 더블 편직물 경편장치
KR102427435B1 (ko) 더블랏셀 경편기
KR100510955B1 (ko) 3차원직포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양면경편기
KR960003481Y1 (ko)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편직물지 직조용 양면경편기
KR200350349Y1 (ko) 여러 겹의 바닥 제직이 가능한 양면경편기
US6101848A (en) Computer controlled needle selection structure for a circular knitting machine
ITTO990983A1 (it) Macchina per maglieria crochet di larghezza ristretta avente un meccanismo di azionamento per una barra di guida di trama e per due o piu' b
KR200335831Y1 (ko) 3차원직포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양면경편기
KR200280245Y1 (ko) 양면 편직물지 직조용 편직기
KR102643503B1 (ko) 전자자카드가 장치된 더블랏셀 경편기
KR200260806Y1 (ko) 라셀경편기의 니들작동바 위치조절장치
KR100331017B1 (ko) 편면 무늬 제직방법 및 그 장치
KR102323156B1 (ko) 의류 제작용 3d 프린터
KR102323161B1 (ko) 의류 제작용 3d 프린터
CN210215759U (zh) 一种经编机用边纱送经装置
KR102611991B1 (ko) 라셀 편직장치
KR102323158B1 (ko) 의류 제작용 3d 프린터
KR100219829B1 (ko) 다침재봉기
CN210561055U (zh) 一种适用于多密度编织的织领机山板
KR200424559Y1 (ko) 투니들 누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