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1017B1 - 편면 무늬 제직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편면 무늬 제직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1017B1
KR100331017B1 KR1019990056624A KR19990056624A KR100331017B1 KR 100331017 B1 KR100331017 B1 KR 100331017B1 KR 1019990056624 A KR1019990056624 A KR 1019990056624A KR 19990056624 A KR19990056624 A KR 19990056624A KR 100331017 B1 KR100331017 B1 KR 100331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cam
needle
knitting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6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7792A (ko
Inventor
김현채
Original Assignee
김현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채 filed Critical 김현채
Priority to KR1019990056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1017B1/ko
Publication of KR20000017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1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10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04B1/12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with colour pattern, e.g. intarsia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20Needle bars
    • D04B15/22Driving device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6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04B15/56Thread guide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10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 D04B35/12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responsive to thread consump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2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eft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2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 D04B7/26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with colour patter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니트의 편면에만 여러 가지 색사에 의한 무늬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 편면무늬 제직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편침 상으로 횡사를 제 1방향으로 공급하는 단계, 다수의 편침을 순차적으로 제 1높이까지 상승시켜 횡사에 걸리게 한 다음 제 2높이까지 편침을 순차적으로 하강시키는 단계, 횡사가 걸린 다수의 편침을 횡사가 이탈되지 않는 제 1높이와 제 2높이 사이의 제 3높이까지 순차적으로 상승시켜 각각의 편침이 열리도록 하는 단계, 제 3높이까지 상승된 각각의 편침 중 필요한 편침에 각각의 종사를 걸어주는 단계, 횡사를 제 2방향으로 공급하면서 편침을 순차적으로 제 1높이까지 상승시켜 횡사가 편침에 걸리게 하는 단계 및 편침을 순차적으로 하강 시켜 제 1방향으로 공급된 횡사와 각 편침의 종사들이 제 2방향 횡사에 걸린 상태로 편침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면 무늬 제직방법 및 이를 구현한 장치로 이루어지며, 편면 즉, 옷감의 바깥쪽면에만 여러 가지 색실을 이용한 화려한 무늬를 형성할 수 있어, 무늬를 나타내기 위한 색사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따라서 획기적인 원가절감을 이룰 수 있으며, 안쪽면은 매끄러워 착용감이 좋은 니트를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편면 무늬 제직방법 및 그 장치{a knitting method and thereof apparatus for knit which has one side pattern}
본 발명은 편면 무늬 제직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니트의 편면에 여러 가지 색사에 의한 무늬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 편면무늬 제직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 색실을 이용해 니트를 짜면서 니트에 무늬를 넣는 경우 그 무늬는 니트의 양측면 모두에 표현되고, 그 표면이 거칠어진다. 즉 종래의 무늬가 있는 니트를 이용한 옷감은 사람의 피부와 접촉되는 내측면이 거칠어 촉감이 좋지 않다.
또, 무늬가 안쪽과 바깥쪽에 모두 표현되기 때문에 실이 필요 이상으로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특히, 값이 비싼 고급 소재의 실을 이용해 니트를 짜는 경우 그 제조원가가 매우 높아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면은 단색으로 제직되게 하고 타측면은 여러 가지 색사에 의해 제직되도록 하여 편면에만 색사에 의한 무늬가 표현되도록 해주는 편면 무늬 제직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편직기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 편직기 주요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편침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편직기 캠뭉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중공핀이 횡부재에 설치된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 장치를 통해 구현되는 본 발명에 따른 편면무늬 제직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7은 편침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a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직된 니트의 정면 사진이고,
도 8b는 도 8a 니트의 배면 사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 : 횡사 50 : 종사
100 : 편직기 110 : 몸체
112 : 캠안내대 114 : 편침안내대
120 : 캠뭉치 121 : 제 1캠
126 : 제 2캠 130 : 편침
140 : 횡사공급수단 150 : 종사공급수단
151 : 횡부재 154 : 중공핀
156 : 종동핀 157 : 횡부재 작동캠
158 : 걸림홈 160 : 캠구동수단
본 발명의 목적은 좌, 우 횡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편침 상으로 횡사를 제 1방향으로 공급하는 단계, 다수의 편침을 순차적으로 제 1높이까지 상승시켜 횡사에 걸리게 한 다음 제 2높이까지 상기 편침을 순차적으로 하강시키는 단계, 횡사가 걸린 다수의 편침을 횡사가 이탈되지 않는 제 1높이와 제 2높이 사이의 제 3높이까지 순차적으로 상승시켜 각각의 편침이 열리도록 하는 단계, 제 3높이까지 상승된 각각의 편침 중 필요한 편침에 각각의 종사를 걸어주는 단계, 횡사를 제 2방향으로 공급하면서 편침을 순차적으로 제 1높이까지 상승시켜 횡사가 편침에 걸리게 하는 단계 및 편침을 순차적으로 하강 시켜 제 1방향으로 공급된 횡사와 각 편침의 종사들이 제 2방향 횡사에 걸린 상태로 편침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면 무늬 제직방법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편침과, 편침이 장착되는 다수의 홈을 구비하여 좌우로 배치되고 편침의 승강을 안내하는 편침안내대와, 편침안내대의 일측을 따라 배치된 캠 안내대를 구비하는 편직기에 있어서, 캠 안내대를 따라 이동 가능케 설치되고 편침을 제 1높이와 제 2높이 사이를 승강시키는 제 1캠과 제 1캠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제 1캠에 의해 제 2높이까지 하강한 편침을 제 2높이와 제 1높이사이의 제 3높이까지 상승시키는 제 2캠을 구비하여 구성된 캠뭉치, 캠뭉치를 좌, 우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캠뭉치 구동수단 캠뭉치를 따라 좌, 우 왕복운동하면서 편침으로 횡사를 안내하기 위한 횡사안내수단 및 편침으로 필요한 시기에 다수의 종사를 공급하기 위한 종사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위 종사공급수단은 편침안내대 상에 소정 각도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소정 거리 좌우이동 가능한 횡부재와 횡부재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각각의 종사를 안내해주는 ㄱ형태의 중공핀과 횡부재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종동핀과 횡사안내수단을 따라 좌, 우 이동하면서 정해진 위치에서 종동핀과 작용하여 횡부재를 회동, 횡이동 및 회동복귀시켜 종사를 편침에 걸어줄 수 있도록 해주는 횡부재작동캠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편직기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직기(100)는 몸체(110) 상에 좌우로 길게 배치된 캠안내대(112)와 캠안내대(112)를 따라 좌우이동 가능케 설치된 캠뭉치(120)를 구비하고 있다. 캠뭉치(120)는 좌우 이동되면서 편침(130)을 올려주거나 내려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 1캠(121)과 그 양측으로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제 2캠(126)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캠뭉치(120)는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루는 부분으로 그 배면 모습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에 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뒤에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캠안내대(112)에 이웃하여 편침안내대(114)가 캠안내대(112)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여기에 다수의 편침(130)이 일정 간격으로 꽂혀 있다. 편침안내대(114)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편침(130)이 캠에 의해 승강되면서 필요한 실을 걸어서 당길 수 있도록 각각의 편침(130)의 승강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편침(130)이 꽂힐 수 있는 편침홈(115)이 촘촘하게 다수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편직기(100)는 횡사공급수단(140)을 구비하고 있다. 이 횡사공급수단(140)은 직조의 기본이 되는 횡사(50)를 횡방향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캠뭉치(120) 상에 결합되어 캠뭉치(120)와 함께 이동되며 횡사(40)가 걸려 안내를 받는 횡사안내편(142)을 구비하고 있다. 이는 도 2를 보면 더 자세히 알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직기(100)는 종사공급수단(15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종사공급수단(150)은 여러 가지 서로 다른 색을 갖는 다수의 색사를 종방향으로 공급하여주기 위한 것으로, 횡부재(151)와 횡부재(151)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ㄱ자 형태의 중공핀(154)과 종동핀(156), 종동핀(156)과 작용하여 횡부재를 회동, 횡이동 및 회동복귀시키는 횡부재작동캠(157)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도 2에 더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사공급수단(150)은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루는 부분으로,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일측으로 캠구동수단(160)이 설치되어 있다.이 캠구동수단(160)은 캠뭉치(120)를 좌우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기술을 그대로 이용하면 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 외 몸체(110) 상에는 종사(50)와 횡사(40)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해주는 행거(116)와 고리(118) 등이 더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도 1 편직기 주요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캠 안내대(112)에 캠뭉치(120)가 좌우 이동 가능케 설치되어 있고, 편침안내대(114)의 홈(115)에 편침(130)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꽂혀 있다. 즉, 캠뭉치(120)가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편침(130)이 정해진 높이까지 승강되면서 제직이 이루어지게 된다.
편침안내대(114) 위쪽으로 횡사공급수단(140)과 종사공급수단(150)이 도시되어 있다. 횡사공급수단(140)은 제직의 바탕되는 횡사를 횡방향으로 공급하여주기 위한 것이고, 종사공급수단(150)은 여러 가지 색실로 이루어진 각각의 종사(50)를 정해진 편침(130)으로 각각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횡사공급수단(140)은 기존의 방식대로 하면 된다.
종사공급수단(150)은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루는 부분으로 편침안내대(114) 상에 소정 각도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된 횡부재(151)를 구비하고 있다. 이 횡부재(151)는 소정 거리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편침안내대(114)를 상대적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도 있다. 이러한 횡부재(151)에는 ㄱ자형태의 중공핀(154)이 일정 간격으로 꽂혀있다. 중공핀(154)은 종사(50)가 필요한 시기에 편침(130)에 걸릴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한 것이다. 또, 횡부재(151)의 양단에는 종동핀(156)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고, 그 위쪽으로 회동부재 작동캠(157)이 배치되어 있다. 횡부재 작동캠(157)은 캠뭉치(120)와 함께 이동되는 것으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끝단이 경사지게 되어 있고, 그 안쪽 일측에는 일방향 걸림홈(158)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횡부재 작동캠(157)은 캠뭉치(120)가 일측 끝단에 도착했을 때 횡부재(151)가 소정 각도 회동 후 횡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종사공급수단(150)은 여타의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단지 정해진 시기에 종사(50)를 필요한 편침(130)에 걸어줄 수만 있으면 되기 때문이다.
도 3은 편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침(130)은 그 끝단에 고리(132)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 일측에 돌기(134)가 형성된 본체(131)와 고리(132) 부근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그 작동 상태에 따라 열리거나 닫히는 회동핀(136)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고리(132)는 횡사(40)나 종사(50)가 걸리는 부분이고, 회동핀(136)은 하강 후 상승할 때 회동핀(136)을 벗어난 종사(50)와 횡사(40)는 고리(132)에 걸리지 않고 편침(130)에서 이탈되어 매듭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하단 돌기(134)는 캠뭉치(120)에 의해 필요한 높이까지 승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편직기 캠뭉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캠뭉치(120)는 캠 안내대(112)를 따라 좌, 우 이동 가능케 설치되는 것으로, 편침(130)을 필요한 시기에 필요한 높이로 승강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캠뭉치(120)는 좌우 중앙의 제 1캠(121)과 그 양측에 각각 결합된 제 2캠(126)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 1캠(121)은 횡이동 하면서 편침 안내대(114)의 편침홈(115)에 장착되어 있는 편침(130)을 도 7에 나타낸 제 1높이와 제 2높이 사이를 승강시키는 역할을 하고, 제 2캠(126)은 제 1캠(121)에 의해 제 2높이까지 하강한 편침(130)을 제 2높이와 제 1높이 사이의 제 3높이까지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편침(130)의 돌기(134)가 걸리는 제 1캠(121)의 캠홈(123)은 직선부분(124)과 곡선부분(125)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경계선에 일방향으로만 열리는 회동편(122)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 5는 중공핀이 횡부재에 설치된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횡부재(151)에 볼트공(152)과 중공핀 삽입공(153)을 각각 형성하여, 중공핀(154)을 중공핀 삽입공(153)에 삽입한 상태에서 볼트(159)로 체결하여 중공핀(154)이 횡부재(151)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면된다. 중공부재(154)의 꺾인 부분에 형성된 구멍(154a)은 앞에서 설명한 종사(50)를 쉽게 끼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은 도 1 장치를 통해 구현되는 본 발명에 따른 편면무늬 제직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7은 편침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캠구동수단(160)에 의해 캠뭉치(120)가 캠 안내대(112)를 따라 제 1방향으로 이동하면 횡사공급수단(140)에 의해 횡사(40)가 횡방향으로 공급되고(단계 1), 이와 동시에 편침(130)은 제 1캠(121)에 의해 제 1높이까지 상승하여 횡사(40)가 걸리게 된다. 이 상태는 제 1캠(121)에 의해 편침(130)이 가장 높은 위치에 도달한 상태로 편침(130)의 돌기(134)가 도 4 제 1캠(121) 캠홈(123)의 꼭지점에 도달한 상태이다. 이는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다. 이 상태에서 캠뭉치(120)가 제 1방향으로 더 이동하면 편침(130)의 돌기(134)는 캠홈(123)을 따라 하강하면 회동편(122)을 타고 넘어 제 2높이까지 하강한다(단계 2). 이 상태는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고, 편침(130)이 횡사(40)를 물고 가장 낮은 위치까지 하강하면서 편침(130)의 회동핀(136)이 닫히고, 동시에 이전 단계의 횡사(40)와 종사(50)가 편침(130)에서 완전히 이탈된다.
캠뭉치(120)가 제 1방향으로 더 이동하면 제 1캠(121)의 뒤쪽에 설치된 제 2캠(126)이 편침(130)을 다시 제 1높이와 제 2높이의 사이에 있는 제 3높이까지 상승시킨다. 이 때 고리(132)에 걸려있던 횡사(40)에 의해 회동핀(136)이 열린다. 이 상태는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다(단계 3).
위와 같은 과정으로 캠뭉치(120)가 일측 끝단에 도달하면 캠뭉치(120)와 함께 이동되는 횡부재 작동캠(157)의 경사진 부분이 횡부재(151)의 종동핀(156)을 눌러주어 횡부재(151)가 소정 각도 회동된다. 그 상태에서 캠뭉치(120)가 조금 더 이동하면 걸림홈(158)에 의해 횡부재(151)가 소정 거리 횡이동 한다. 이 상태에서 다시 캠뭉치(120)가 반대방향으로 즉, 제 2방향으로 이동하면 횡부재 작동캠(157)이 종동핀(156)에서 이탈되고 횡부재(151)는 본래의 회동각도로 회동되면서 중공핀(154)을 통해 공급되는 각각의 종사(50)를 편침(130)에 걸어주게 된다(단계 4). 이는 도 7d를 보면 알 수 있다.
캠뭉치(120)가 제 2방향으로 더 이동하면 편침(130)은 제 3높이에 있는 상태이므로, 편침(130)의 돌기(134)는 제 2캠(126)의 영향을 받지 않고 통과하여 제 1캠(121)의 직선부분(124)으로 된 캠홈(123)으로 들어가 회동편(122)을 열고 곡선부부(125)로 이루어진 캠홈(123)으로 들어간다. 이에 따라 편침(130)은 제 3높이에서 제 1높이까지 상승한다. 이에 따라 고리(132)에 걸려있던 제 1방향으로 공급된 횡사(40)와 종방향으로 공급되는 종사(50)는 편침(130)의 회동핀(136)을 벗어나고 동시에 제 2방향으로 공급되는 새로운 횡사(40)가 편침(130)의 고리(132)에 걸리게 된다(단계 5). 이 상태는 도 7e에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캠뭉치(120)가 제 2방향으로 더 이동하면 제 1캠(121)에 의해 제 2높이까지 하강하여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전단계에 공급된 횡사(40)와 종사(50)는 제 2방향으로 새로이 공급되는 횡사(40)에 걸려 매듭이 형성된다(단계 6). 이에 따라 일측면에는 횡사(40)만이 보이게 되고, 타측면에는 횡사(40)와 여러 가지 각각의 색깔을 가지는 종사(50)에 의한 무늬가 보이게 된다. 이 때 다시 타측의 제 2캠(126)이 편침(130)을 제 3높이까지 올려주고, 종사공급수단(150)의 회동부재 작동캠(157)이 횡부재(151)를 작동시켜 종사(50)를 걸어주는 과정의 반복으로 편면에만 색사에 의한 무늬가 형성되도록 제직작업이 이루어진다.
도 8a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직된 니트의 정면 사진이고, 도 8b는 그 배면 사진이다.
도 8a와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에서 설명한 과정으로 니트를 짜는 경우 일측 편면, 즉 옷감의 바깥쪽면으로는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색을 갖는 각각의 종사와 횡사에 형성된 무늬가 보이는 반면에, 안쪽면은 종사에 의해서 제직된 단색의 면만이 보인다. 여기서 무늬가 보이는 바깥면은 종사에 의한 요철이 형성되어 거친 반면에 그 안쪽면은 횡사에 의해서만 균일하게 제직되기 때문에 그 표면이 매끄럽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면 무늬 제직방법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니트의 편면 즉, 옷감의 바깥쪽면에만 여러 가지 색실을 이용한 화려한 무늬를 형성할 수 있어, 무늬를 나타내기 위한 색사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따라서 획기적인 원가절감을 이룰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만들어진 니트의 안쪽면은 횡사에 의한 균일한 제직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표면이 매끄러워 착용감이 뛰어나다는 장점도 있다.

Claims (3)

  1. 좌, 우 횡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편침 상으로 횡사를 제 1방향으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편침을 순차적으로 제 1높이까지 상승시켜 상기 횡사에 걸리게 한 다음 제 2높이까지 상기 편침을 순차적으로 하강시키는 단계;
    상기 횡사가 걸린 다수의 편침을 상기 횡사가 이탈되지 않는 제 1높이와 제 2높이 사이의 제 3높이까지 순차적으로 상승시켜 상기 각각의 편침이 열리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 3높이까지 상승된 각각의 편침 중 필요한 편침에 각각의 종사를 걸어주는 단계;
    상기 횡사를 제 2방향으로 공급하면서 상기 편침을 순차적으로 제 1높이까지 상승시켜 상기 횡사가 편침에 걸리게 하는 단계; 및
    상기 편침을 순차적으로 하강 시켜 상기 제 1방향으로 공급된 횡사와 상기 각 편침의 종사들이 상기 제 2방향 횡사에 걸린 상태로 상기 편침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면 무늬 제직방법.
  2. 다수의 편침과, 상기 편침이 장착되는 다수의 홈을 구비하여 좌우로 배치되고 상기 편침의 승강을 안내하는 편침안내대와, 상기 편침안내대의 일측을 따라 배치된 캠 안내대를 구비하는 편직기에 있어서,
    상기 캠 안내대를 따라 이동 가능케 설치되고 상기 편침을 제 1높이와 제 2높이 사이를 승강시키는 제 1캠과 상기 제 1캠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 1캠에 의해 제 2높이까지 하강한 편침을 상기 제 2높이와 제 1높이 사이의 제 3높이까지 상승시키는 제 2캠을 구비하여 구성된 캠뭉치;
    상기 캠뭉치를 좌, 우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캠뭉치 구동수단;
    상기 캠뭉치를 따라 좌, 우 왕복운동하면서 상기 편침으로 횡사를 안내하기 위한 횡사안내수단; 및
    상기 편침으로 필요한 시기에 다수의 종사를 공급하기 위한 종사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종사공급수단은 상기 편침안내대 상에 소정 각도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소정 거리 좌우이동 가능한 횡부재와 상기 횡부재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각각의 종사를 안내해주는 ㄱ형태의 중공핀과 상기 횡부재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종동핀과 상기 횡사안내수단을 따라 좌, 우 이동하면서 정해진 위치에서 상기 종동핀과 작용하여 상기 횡부재를 회동, 횡이동 및 회동복귀시켜 상기 종사를 상기 편침에 걸어줄 수 있도록 해주는 횡부재작동캠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
KR1019990056624A 1999-12-10 1999-12-10 편면 무늬 제직방법 및 그 장치 KR100331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624A KR100331017B1 (ko) 1999-12-10 1999-12-10 편면 무늬 제직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624A KR100331017B1 (ko) 1999-12-10 1999-12-10 편면 무늬 제직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792A KR20000017792A (ko) 2000-04-06
KR100331017B1 true KR100331017B1 (ko) 2002-04-01

Family

ID=19624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6624A KR100331017B1 (ko) 1999-12-10 1999-12-10 편면 무늬 제직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10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48640A (zh) * 2016-03-10 2016-06-08 莆田市华锦纺织有限公司 鞋面布纺织机及其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49966A (en) * 1975-06-05 1976-12-23 Brother Ind Ltd Pattern knitted fabric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537048A (en) * 1980-12-08 1985-08-27 Monarch Knitting Machinery Corp. Pile loop forming and cutting element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JPH0813293A (ja) * 1994-04-28 1996-01-16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における糸案内方法及び装置
KR100203591B1 (ko) * 1997-03-31 1999-06-15 김종화 횡편기로 편직한 칼러의 좌, 우 변부부분과 각도조절부분 편성조직과 그 편침의 편성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49966A (en) * 1975-06-05 1976-12-23 Brother Ind Ltd Pattern knitted fabric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537048A (en) * 1980-12-08 1985-08-27 Monarch Knitting Machinery Corp. Pile loop forming and cutting element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JPH0813293A (ja) * 1994-04-28 1996-01-16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における糸案内方法及び装置
KR100203591B1 (ko) * 1997-03-31 1999-06-15 김종화 횡편기로 편직한 칼러의 좌, 우 변부부분과 각도조절부분 편성조직과 그 편침의 편성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48640A (zh) * 2016-03-10 2016-06-08 莆田市华锦纺织有限公司 鞋面布纺织机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792A (ko) 200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919B1 (ko) 횡편기에 있어서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횡편기
JPH01250450A (ja) 丸編機におけるジャカード編地の製造方法
KR930006219A (ko) 플러시(plush) 천을 만드는 원편기
KR101941122B1 (ko) 편기용 니들 및 이를 갖는 환편기
KR100331017B1 (ko) 편면 무늬 제직방법 및 그 장치
JP2000336561A (ja) 高密度編地を編成する丸編機及びその編成方法
GB2046802A (en) Method of and machine for knitting
KR101247071B1 (ko) 스판과 원사로 제직된 더블 니트 스판 자카드 원단, 이의 제직방법 및 이의 제직에 사용되는 자카드 형성용 더블 실린더형 환편기
ITMI940982A1 (it)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con platine di trattenimento della maglia
JPH04272259A (ja) ジャカードパイル編地の編成方法及び装置
US5515697A (en) Rib jacquard knitting machine for knitting eyelet construction as well as transfer construction
ITTO990983A1 (it) Macchina per maglieria crochet di larghezza ristretta avente un meccanismo di azionamento per una barra di guida di trama e per due o piu' b
KR101616522B1 (ko) 환편기
KR0114188Y1 (ko) 편환이동구조 및 아일렛 편성구조용 리브 자카드 편성기
KR101616521B1 (ko) 패턴환편직물 직조방법 및 패턴환편직물
JPS5837421B2 (ja) インタ−シヤ編編成方法
KR101691734B1 (ko) 연속 공정으로 편직물에 홀을 형성하는 편직방법과 이를 통해 제작된 편직물
KR102643019B1 (ko) 광섬유 기반 원단 및 이를 편성하는 라셀 경편기
KR200364192Y1 (ko) 편직용 실
KR101969372B1 (ko) 환편기
KR102066168B1 (ko) 루우프 파일 편직기 및 루우프 파일 편직방법
JPH0551696B2 (ko)
KR960003481Y1 (ko)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편직물지 직조용 양면경편기
KR930006564Y1 (ko) 경편기에 있어서 다색 위사 공급장치
KR200219254Y1 (ko) 의복용 장식사의 구슬간격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