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734B1 - 연속 공정으로 편직물에 홀을 형성하는 편직방법과 이를 통해 제작된 편직물 - Google Patents

연속 공정으로 편직물에 홀을 형성하는 편직방법과 이를 통해 제작된 편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734B1
KR101691734B1 KR1020150071674A KR20150071674A KR101691734B1 KR 101691734 B1 KR101691734 B1 KR 101691734B1 KR 1020150071674 A KR1020150071674 A KR 1020150071674A KR 20150071674 A KR20150071674 A KR 20150071674A KR 101691734 B1 KR101691734 B1 KR 101691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hole
needles
knitting
cou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1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7086A (ko
Inventor
이갑성
Original Assignee
이갑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갑성 filed Critical 이갑성
Priority to KR1020150071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734B1/ko
Priority to PCT/KR2016/004339 priority patent/WO2016190553A1/ko
Publication of KR20160137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7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9/4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stockings, or portion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 공정을 통해 편직물에 홀을 형성할 수 있는 편직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편직방법은, 일반편직영역에 대한 편직을 진행하다가 홀 형성영역이 시작되는 코스에 도달하면 제1 마감조직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마감조직의 상부에 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홀의 상부에 제2 마감조직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편직물을 편직하는 도중에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크기의 홀을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종래처럼 편직을 완료한 후에 절개 및 봉제작업을 추가로 진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나아가 편직물의 어떠한 위치에도 원하는 크기의 홀을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스타킹, 양말 등의 편직물에 다양한 기능과 편의성을 부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고객만족도의 향상과 수요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속 공정으로 편직물에 홀을 형성하는 편직방법과 이를 통해 제작된 편직물{Knitting method for forming hall by continuous process and knitted goods thereby}
본 발명은 편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스타킹, 양말 등의 편직물을 편직하는 공정 중에 원하는 위치에 홀과 마감조직을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는 편직방법과 이러한 방법으로 제작된 편직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편직물은 니들의 왕복운동을 통해 루프를 연속적으로 연결해 나가는 방식으로 제조되며, 이러한 편직물에는 스타킹, 양말, 스웨터, 조끼, 목도리 등이 있다.
편직물을 제조하는 편직기는 크게 환편기와 횡편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 중에서 환편기는 스타킹, 양말 등의 제조에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면에 수직방향을 따라 다수의 삽입홈(11)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실린더(10)와, 다수의 삽입홈(11)에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니들(30)과, 각 삽입홈(11)에서 니들(30)의 하부에 삽입되는 쟈크(40)를 포함한다.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실린더(10)의 상부에는 니들(30)에 실을 공급하기 위한 피더(feeder)가 설치되며, 일반적으로는 4개의 피더가 약 90도의 간격으로 배치된다.
각 니들(30)은 피더에서 공급된 실을 걸기 위해 상단에 형성된 후크(32)와, 후크(32)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래치(도 2의 33)와, 하단부에서 실린더(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버트(butt)(34)를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스타킹 제조용 환편기에는 대략 400개의 니들(30)이 사용되고 있다.
실린더(10)의 외측에는 캠블록(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음)이 전후진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캠블록은 니들(30)의 버트(34)가 접하면서 상승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니들캠과 하강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스티치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실린더(10)를 회전시키면 실린더(10)에 장착된 다수의 니들(30)이 순차적으로 각 피더의 하부를 지나는 과정에서 캠블록의 니들캠과 스티치캠을 따라 상승 및 하강운동을 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각 니들(30)은 피더에서 공급되는 실을 이용하여 새로운 루프를 만들게 된다. 예를 들어 피더가 4개인 경우에는 실린더가 1회전하는 동안 각 니들(30)은 4개의 새로운 루프를 만들게 된다.
쟈크(40)는 니들(30)의 하부에 설치되어 니들(30)을 승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외측으로 각각 돌출된 캠용 버트(42), 제어용 버트(44), 버트(42,44)의 반대쪽으로 돌출된 스프링(4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캠용 버트(42)는 쟈크승강캠(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음)이 제공하는 상승경로 또는 하강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부분이고, 제어용 버트(44)는 쟈크(40)의 동작을 제어하는 매트릭스(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음)의 제어돌기가 접촉하는 부분이다. 매트릭스는 모든 쟈크(40)의 제어용 버트(44)를 선택적으로 누를 수 있도록 설치된다.
쟈크(40)의 동작은 매트릭스에 의해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따라서 쟈크(40)는 편직물에 패턴이나 무늬를 형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니들(30)을 복잡한 패턴으로 동작시키는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
일반적인 편직 구간에서는 캠블록만으로 니들(30)을 승강시키는 것이 보통이지만, 이와 달리 캠블록을 사용하지 않은 채 쟈크(42)를 쟈크승강캠을 따라 승강시키거나 매트릭스 제어를 통해 쟈크(42)를 승강시키면서 편직을 진행할 수도 있다. 패턴, 무늬 등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매트릭스 제어를 통해 해당 구간의 쟈크(42)를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그 상부의 니들(30)을 승강시키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인 편직방법을 살펴보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舊)루프(62)가 형성된 상태에서 니들(30)을 상승시키면 구루프(62)에 의해 래치(33)가 아래쪽으로 열린다. 이어서 니들(30)을 하강시키면 후크(32)에 실(60)이 걸리게 되고, 계속 니들(30)을 하강시키면 구루프(62)가 래치(33)를 위쪽으로 밀어 닫으면서 니들(30)에서 벗어남과 동시에 신(新)루프(64)가 형성된다. 전체 니들(30)이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루프가 연속적으로 연결됨으로써 편직이 이루어지며, 편직물은 실린더(10)의 내부를 통해 아래쪽으로 하강하여 소정의 권취롤러에 감기게 된다.
그런데 편직물은 이와 같이 다수의 루프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중간에 루프가 끊어지면 쉽게 올이 풀리는 단점이 있다. 특히 매우 얇은 실로 편직되는 스타킹에는 이러한 올 풀림 현상이 자주 나타난다.
한편 최근 들어 입고 벗는 것이 불편한 스타킹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스타킹에 다양한 용도의 홀을 형성하는 사례가 늘어 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타킹의 팬티부분에 용변 또는 통풍을 위한 홀을 형성하는 경우도 있고, 스타킹의 발부분에 통풍용 홀을 형성하거나 발을 빼낼 수 있는 홀을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편직물인 스타킹에 이러한 홀을 형성하려면 해당 부분을 절개한 후에 올 풀림 방지를 위하여 별도의 봉제작업(예, 오버로크)을 추가로 해야만 하므로 생산성이 낮아지는 것은 물론이고 제품단가의 상승을 피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스타킹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편직물에 홀을 내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5098호(공고일: 2004.10.15)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타킹, 양말 등의 편직물에 별도의 추가 봉제작업 없이도 간편하게 홀을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일반편직영역에 대한 편직을 진행하다가 홀 형성영역이 시작되는 코스에 도달하면 제1 마감조직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마감조직의 상부에 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홀의 상부에 제2 마감조직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직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편직 방법에서는, 상기 제1 마감조직을 형성하기 시작할 때 상기 제1 마감조직의 양측에서 제3 마감조직의 형성을 시작하고, 상기 제2 마감조직의 형성을 완료할 때 상기 제3 마감조직의 형성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편직 방법에서는, 상기 제1 마감조직, 상기 홀, 및 상기 제2 마감조직을 형성하는 중에 상기 홀 형성영역의 양측에 위치하는 일반편직영역에서도 편직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편직 방법의, 상기 제1 마감조직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마감조직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실을 공급하는 다수의 피더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피더가 실공급을 중단한 상태에서 나머지 피더에서 공급되는 실로만 편직이 이루어지며, 니들이 실공급이 중단된 피더의 하부를 통과할 때는 상승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마감조직의 상부에 홀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다수의 니들 중에서 설정된 개수의 홀 형성용 니들이 실공급이 중단된 피더의 하부에서 상승후 하강함으로써 상기 제1 마감조직과 연결된 루프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편직 방법에서는, 상기 제1 마감조직은 상단이 아래로 접혀서 상기 제1 마감조직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2 마감조직은 하단이 위로 접혀서 상기 제2 마감조직의 상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마감조직 또는 상기 제2 마감조직은 다수의 니들에 의해 다수의 코스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코스는 서로 다른 방법으로 편직되는 다수의 구간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니들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니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니들군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니들군은 제1니들군과 제2 니들군이 교대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니들군은 상기 다수의 구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서는 매 코스마다 루프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니들군은 상기 다수의 구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서는 다수의 코스를 묶어서 하나의 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마감조직의 상기 다수의 구간은, 하부의 일반편직영역과 연결되는 코스를 포함하는 제1구간과, 상기 제1 구간의 상단 코스에 연결되는 제2 구간과, 상기 제2 구간의 상단코스에서부터 상기 홀에 인접한 코스를 포함하는 제3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마감조직의 상기 다수의 구간은, 하부의 홀과 인접하는 코스를 포함하는 제1 구간과, 상기 제1 구간의 상단 코스에 연결되는 제2 구간과, 상기 제2 구간의 상단코스에서부터 상기 제2 마감조직의 상부에 연속하여 형성되는 일반편직영역과 연결되는 코스를 포함하는 제3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편직 방법에서는, 상기 제3 마감조직은 다수의 니들에 의해 다수의 코스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니들은 적어도 하나의 니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니들군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니들군은 제1니들군과 제2 니들군이 교대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니들군은 매 코스마다 루프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니들군은 첫코스와 마지막코스를 묶어서 하나의 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외주면의 삽입홈에 다수의 니들과 쟈크가 상하로 삽입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상부에 설치된 다수의 피더, 상기 니들의 승강을 위해 상기 실린더의 일측에 배치된 다수의 캠블록, 상기 쟈크의 승강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실린더의 일측에 설치되는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환편기를 이용하여 편직물에 홀을 형성하는 편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피더에 모두 실을 공급한 상태에서 일반편직영역에 대한 편직을 진행하는 단계; 설정된 홀 형성영역에 대응하는 코스에 도달하면, 상기 다수의 피더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피더에 대한 실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실공급이 중단된 피더의 하부에서 상기 다수의 니들이 상승하지 않고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나머지 피더에서 공급된 실을 이용하여 상기 일반편직영역과 연속되는 제1 마감조직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니들 중에서 다수의 홀 형성용 니들을 실공급이 중단된 상기 피더의 하부에서 상승 후 하강시켜 상기 다수의 홀 형성용 니들에서 루프가 빠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마감조직과 분리된 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홀 형성용 니들이 상기 나머지 니들로부터 실을 공급받아 상기 홀의 상부에 제2 마감조직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일반편직영역과 연결되어 형성된 제1마감조직; 상기 제1마감조직의 상부에 형성된 홀; 상기 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단이 일반편직영역과 연결된 제2 마감조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마감조직, 상기 홀 및 상기 제2 마감조직은 동일 편직기에서 연속 공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편직물은 상기 제1 마감조직, 상기 홀, 및 상기 제2 마감조직의 전체 코스와 같은 코스로 상기 홀의 양측에 형성된 제3 마감조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편직물을 편직하는 도중에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크기의 홀을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종래처럼 편직을 완료한 후에 절개 및 봉제작업을 추가로 진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나아가 편직물의 어떠한 위치에도 원하는 크기의 홀을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스타킹, 양말 등의 편직물에 다양한 기능과 편의성을 부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고객 만족도 향상과 수요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환편기를 구성하는 실린더, 니들 및 쟈크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루프가 형성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직방법에 의해 홀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사진과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직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일반적인 편직상태일 때의 환편기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마감조직을 형성할 때의 환편기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
도 8은 홀을 형성할 때의 환편기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
도 9는 홀 형성영역의 편직방법을 나타낸 개념도
도 10은 홀 형성영역의 편직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편직 공정 중에 원하는 위치에 마감조직과 함께 홀을 형성하는 편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간단히 도시된 것이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어서는 아니 됨을 미리 밝혀 둔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직방법에 의하여 편직물(예, 스타킹)에 홀(102)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사진과 개념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적인 방법으로 편직이 진행되는 일반편직영역(200)의 중간에 홀 형성영역(100)이 설정되고, 홀 형성영역(100)에는 홀(102)과 홀 주변의 마감조직(110,120,130)이 포함된다. 그리고 일반편직영역(200)의 편직공정과 홀 형성영역(100)의 편직공정은 중단없이 연속적으로 진행된다.
홀 형성영역(100)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올 풀림 방지를 위하여 홀(102)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마감조직(110) 및 제2 마감조직(120)과, 제1 및 제2 마감조직(110, 120)의 양 측단에 형성되어 홀(102)의 양 측단에서의 올 풀림을 방지하는 제3 마감조직(130)을 포함한다.
이러한 홀(102)의 위치나 용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스타킹 등의 발바닥에 통풍이나 발을 빼는 용도로 형성될 수도 있고, 스타킹의 팬티부에 용변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전신용 스타킹의 상단에서 밴드부와 인접하는 위치에 팔을 끼우는 용도로 형성될 수도 있고, 그밖에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용도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 형성 방법은 도 5의 순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인 편직을 진행하는 단계(ST11)와, 홀(102)이 형성될 위치의 하부에 제1 마감조직(110)을 형성하는 한편 제1 마감조직(110)의 양측에 제3 마감조직(130)의 형성을 진행하는 단계(ST12)와, 설정된 위치에 홀(102)을 형성하는 단계(ST13)와, 홀(102)의 상부에 제2 마감조직(120)을 형성하는 한편 제2 마감조직(120)의 양측에 상기 제3 마감조직(130)을 계속 형성하여 완성하는 단계(ST14)와, 다시 일반적인 편직을 진행하는 단계(ST15)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직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실린더(10)와, 실린더(110)의 외측면에 삽입된 다수의 니들(30)과 쟈크(40), 실린더(110)의 상부에서 실을 공급하는 다수의 피더를 포함하는 환편기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편직기의 종류가 반드시 환편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다른 종류의 편직기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5의 순서도와 참고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편직물에 홀(102)을 형성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일반적인 방법으로 일반편직영역(200)에 대한 편직을 진행한다. 이 경우에는 도 6의 개념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린더(10)가 회전함에 따라 모든 니들(30)이 제1 내지 제4피더(1F, 2F, 3F, 4F)의 각 하부에서 상승운동과 승강운동을 반복하면서 루프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니들(30)은 캠블록을 구성하는 니들캠(70)과 스티치캠(80)을 따라 승강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캠블록을 후퇴시킨 상태에서 쟈크(40)를 승강시킴으로써 쟈크(40) 상부의 니들(30)을 승강시킬 수도 있다.
한편 일반편직영역(200)에 대한 편직을 진행할 때는 제1 내지 제4피더(1F, 2F, 3F, 4F)에서 모두 실이 공급되며, 따라서 실린더(10)가 1회전할 때마다 모든 니들(10)이 4개의 루프를 형성하게 된다. (ST 11)
이와 같이 일반적인 편직이 진행되다가 홀 형성영역(100)에 해당하는 코스에 도달하면, 제1 마감조직(110)의 편직을 시작함과 동시에 제1마감조직(110)의 양측에 제3마감조직(130)을 편직하기 시작한다.
이때는 캠블록이 후퇴한 상태에서 매트릭스에 의해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쟈크(40)에 의해 각 니들(30)을 승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감조직(110,120,130)은 일반적인 편직보다 복잡한 니들제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직 방법에 의해 편직이 진행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및 편직상태도이다. 참고로 도 9에서는 편직 중에 형성되는 하나의 루프를 하나의 원으로 표시하였으며, 따라서 여러 코스에 걸쳐 하나의 원만 표시된 것은 해당 구간의 첫코스와 끝코스가 하나의 루프로 묶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에 따르면 54개의 니들(30)이 홀 형성영역(100)의 편직에 사용되고, 이 중에서 가운데 26개의 니들(도면하단에 표시된 15 내지 40 니들)은 제1 및 제2 마감조직(110,120)의 형성에 사용되고, 양측의 각 14개 니들(1 내지 14 니들, 41 내지 54니들)은 제1 및 제2 마감조직(110.120)의 양측에 제3 마감조직(130)을 형성하는 데 사용된다.
즉, 일반편직영역(200)에서는 예를 들어 400개의 니들(30)에 의해 통상적인 방법대로 편직이 진행되다가, 홀 형성영역(100)에 해당하는 코스에 도달하면 54개의 니들에 의해 마감조직(110,120,130)과 홀(102)이 형성되는 한편, 홀 형성영역(100)의 외곽에서는 나머지 346개의 니들에 의해 통상적인 방법대로 편직이 진행된다.
다만, 홀 형성영역(100)의 편직에 사용되는 니들(30)의 개수가 도면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홀(102)이나 마감조직(110,120,130)의 폭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홀 형성영역(100)을 편직할 코스에 도달하면, 도 7의 개념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1피더(1F)의 실 공급을 중단하는 한편 제1피더(1F)의 하부에서는 전체 니들(30)이 상승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전체 니들(30)은 제4피더(4F)에서 공급된 실을 후크에 걸고 하강한 상태에서 제1피더(1F)의 하부를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홀 형성영역(100)에 대한 편직이 시작되면 제1피더(1F)를 제외한 3개의 피더(2F,3F,4F)에서 제공되는 실을 이용하여 제1 마감조직(110)과 양측의 제3 마감조직(130)의 편직이 이루어진다. 또한 홀 형성영역(100) 외곽의 일반편직영역(200)에서도 3개의 피더(2F,3F,4F)에서 제공되는 실을 이용하여 통상적인 편직이 진행된다. (ST12)
이와 같이 홀 형성영역(100)에 대한 편직이 진행되다가 홀(102) 위치에 대응하는 코스에 도달하면 제1 마감조직(110)을 완성하는 한편, 15 내지 40니들을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이 공급되지 않는 제1피더(1F)의 하부에서 상승 및 하강시킨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홀 형성영역(100)에 도달하면 모든 니들(30)은 실이 공급되지 않는 제1피더(1F)의 하부에서 상승하지 않도록 제어되며, 따라서 모든 니들(30)은 제4피더(4F)에서 공급된 실을 후크에 걸고 하강한 상태에서 제1피더(1F)의 하부를 통과한다.
따라서 제4피더(4F)에서 공급된 실을 후크에 걸고 하강한 상태의 15 내지 40니들을 실이 공급되지 않는 제1피더(1F)의 하부에서 상승 및 하강시키면 이들 니들에 걸려있던 실만 후크에서 빠져나가고 15 내지 40니들은 실을 공급받지 못한 빈 상태가 된다. 이렇게 되면 15 내지 40니들은 제1 마감조직(110)의 루프와 완전히 분리되며, 따라서 1차 마감조직의 상부에 홀(102)이 형성된다.
한편 이와 같은 방식으로 홀(102)이 형성되는 중에도 제1 마감조직(110)과 홀(102)의 양측에서는 제3 마감조직(130)을 위한 편직이 계속 진행된다. (ST 13)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홀(102)이 형성된 이후에는 홀(102)의 상부에 제2 마감조직(120)을 형성해야 한다. 즉, 빈 상태의 15 내지 40니들이 제2피더(2F)로부터 실을 공급받아 제2 마감조직(120)을 위한 새로운 루프를 형성하기 시작한다. 이와 동시에 제2 마감조직(120)의 양측에서는 앞서 진행되고 있던 제3 마감조직(120)의 편직이 계속하여 진행된다. 이 경우에도 홀 형성영역(100) 외곽의 일반편직영역(200)에서는 3개의 피더(2F,3F,4F)에서 제공되는 실을 이용하여 통상적인 편직이 계속 진행된다. (ST14)
제2 마감조직(120) 및 제3 마감조직(130)의 편직을 진행하다가, 홀 형성영역(100)이 종료되는 코스에 도달하면, 제2마감조직(120)과 그 양측에서 진행되던 제3 마감조직(130)을 완성함으로써 홀 형성영역(100)에 대한 공정을 완료한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피더(1F)에 대한 실공급을 재개하고 모든 피더(1F, 2F,3F,4F)의 하부에서 바늘을 승강시킴으로써 통상의 편직을 연속하여 진행한다. (ST15)
이하에서는 제1 내지 제3 마감조직(110,120,130)을 형성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한다.
제1 마감조직(110)은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26개 니들(15내지 40 니들)에 의해 편직되는데, 이때 전체 코스를 여러 구간으로 분할하여 서로 다른 방법으로 편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체 코스를 3개의 구간으로 분할하였는데, 예를 들어 홀 형성영역(100)의 제1코스 내지 제3코스를 제1구간으로 하고, 제4코스를 제2구간으로 하고, 제5코스 내지 제14코스를 제3 구간으로 하였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므로 마감조직(110)의 크기에 따라 코스의 개수는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고, 여기에 속하는 구간의 개수도 달라질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구간(1 내지 3코스)에서는 각 니들(30)이 3개의 루프와 1개의 루프를 번갈아 가며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마감조직(110)의 첫번째 니들에 해당하는 15니들은 3개의 루프를 형성하고, 16니들은 제1 내지 제3코스를 하나로 묶어서 1개의 루프를 형성하고, 17니들은 3개의 루프를 형성하고, 18니들은 제1 내지 제3코스를 하나로 묶어서 1개의 루프를 형성하는 등의 순서로 제1구간을 편직할 수 있다.
제1 구간은 제1 마감조직(110) 중에서 하부의 일반편직영역(200)과 인접하는 구간으로서, 이와 같은 방식으로 편직하면 조직이 치밀해져 쉽게 올이 풀리지 않는 한편 하부의 일반편직영역(200)과의 결속력이 높아진다. 또한 이후에 아래쪽으로 접히는 제1 마감조직(110)의 상단과 보다 견고하게 결속될 수 있다.
제2구간(4코스)은 제1구간과 제3구간을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도면에는 각 니들(15 내지 40 니들)이 모두 1개의 코스만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제2구간을 구성하는 코스의 개수는 2개 이상일 수도 있다.
제3 구간(5 내지 14코스)은 제1 마감조직(100)의 상단이 아래쪽으로 접힐 수 있도록 편직되는 구간이며, 따라서 접힐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길이를 가져야 한다. 예를 들어 제1구간보다는 더 많은 코스로 편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마감조직(110)의 제3 구간(5 내지 14코스)에서는 인접한 2개의 니들이 쌍을 이루어 같은 방식으로 동작한다. 예를 들어 첫 번째 및 두 번째 니들에 해당하는 15니들 및 16니들은 각각 제5 내지 제14 코스를 하나로 묶어서 1개의 루프를 형성하고, 17 니들 및 18 니들은 각각 코스 개수대로 10개의 루프를 형성하고, 19니들 및 20니들은 각각 제5 내지 제14 코스를 하나로 묶어서 1개의 루프를 형성하고, 21니들 및 22 니들은 각각 코스 개수대로 10개의 루프를 형성하는 등의 순서로 제3구간(5 내지 14코스)의 편직을 진행한다.
이렇게 편직하면 제1 마감조직(110)의 형성에 사용되는 니들 중에서 대략 절반의 니들에 의해 다수의 코스가 하나의 루프로 묶이게 되며, 이로 인해 제1마감조직(110)의 상단이 아래쪽으로 당겨져 접히면서 하부의 제2구간(4코스)과 제1구간(1 내지 3코스)의 조직에 결속된다.
제2 마감조직(120)은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102)의 상부에서 제1 마감조직(110)과 대칭적인 방법으로 편직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2 마감조직(120)의 경우에도 전체 코스를 3개의 구간으로 분할하고 각 구간을 서로 다른 방법으로 편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제2마감조직(120)을 제1 마감조직(110)과 대칭적으로 편직하는 경우에는 홀(102)에서부터 제1코스 내지 제10코스를 제1구간으로 하고, 제11코스를 제2구간으로 하고, 제12 내지 제14코스를 제3 구간으로 할 수 있다.
제2 마감조직(120)도 제1마감조직(110)과 마찬가지로 코스 및 구간의 개수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홀(102)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빈 상태로 하강했던 26개 니들(15내지 40 니들)에 의해 제2 마감조직(120)의 편직이 시작된다.
제2 마감조직(120)의 제1 구간(1 내지 10코스)은 하단이 위쪽으로 접힐 수 있도록 편직되는 구간이며, 따라서 접힐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길이를 가져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마감조직(120)의 제1 구간(1 내지 10코스)에서는 인접한 2개의 니들이 쌍을 이루어 같은 방식으로 동작한다. 예를 들어 제2 마감조직(120)의 제1 구간(1 내지 10코스)에서 첫번째 및 두번째 니들에 해당하는 15니들 및 16니들은 각각 제1 내지 제10 코스를 하나로 묶어서 1개의 루프를 형성하고, 17니들 및 18 니들은 각각 코스 개수대로 10개의 루프를 형성하고, 19니들 및 20니들은 각각 제1 내지 제10 코스를 하나로 묶어서 1개의 루프를 형성하고, 21니들 및 22 니들은 각각 코스 개수대로 10개의 루프를 형성하는 등의 순서로 제1구간(1 내지 10코스)의 편직을 진행한다.
이렇게 편직하면 제2마감조직(120)의 형성에 사용되는 니들 중에서 대략 절반의 니들에 의해 다수의 코스가 하나의 루프로 묶이게 되며, 이로 인해 제2마감조직(120)의 하단이 위로 당겨져 접히면서 상부의 제2구간(11코스)과 제3구간(12 내지 14코스)의 조직에 결속된다.
제2 마감조직(120)의 제2구간(11코스)은 제1구간(1 내지 10 코스)과 제3구간(12 내지 14 코스)을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도면에는 각 니들(15 내지 40 니들)이 모두 1개의 코스만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제2구간을 구성하는 코스의 개수는 2개 이상일 수도 있다.
제2 마감조직(120)의 제3 구간(12 내지 14 코스)은 상부의 일반편직영역(200)과 인접하는 구간으로서, 각 니들(30)이 3개의 루프와 1개의 루프를 번갈아가며 형성할 수 있다. 즉, 15니들은 3개의 루프를 형성하고, 16니들은 제12 내지 제14코스를 하나로 묶어서 1개의 루프를 형성하고, 17니들은 3개의 루프를 형성하고, 18니들은 제12 내지 제14코스를 하나로 묶어서 1개의 루프를 형성하는 등의 순서로 제3구간(12 내지 14코스)을 편직할 수 있다.
제3구간(12 내지 14 코스)을 이와 같은 방식으로 편직하면 조직이 치밀해져 쉽게 올이 풀리지 않는 한편 상부의 일반편직영역(200)과의 결속력이 높아진다. 또한 이후에 위쪽으로 접히는 제2 마감조직(110)의 하단이 상부의 일반편직영역(200)에 견고하게 결속되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한편 홀(102)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3마감조직(130)은 제1마감조직(110)의 양측에서 제1마감조직(110)과 함께 편직이 시작되고, 제1마감조직(110)이 완성된 후 홀(102)이 형성된 때에도 계속 편직되며, 제2마감조직(120)이 진행되는 중에도 계속 편직되고, 제2마감조직(120)의 편직이 완료될 때 함께 완료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3 마감조직(130)을 위하여 홀 형성영역(100)의 편직에 사용되는 54개의 니들(30) 중에서 홀 형성용 니들(15 내지 40 니들)의 양측에 위치하는 각 14개의 니들(1 내지 14 니들, 41 내지54 니들)을 사용한다.
1 내지 14 니들의 동작을 살펴보면, 홀 형성영역(100)의 편직이 시작되면 1니들, 5니들 및 9 니들은 전체 29코스 마다 루프를 형성하고, 2 내지 4 니들, 6 내지 8 니들, 10 내지 12 니들은 각각 1 내지 29 코스 전체를 하나로 묶어서 하나의 루프를 형성하고, 13니들 및 14니들은 매 코스 마다 루프를 형성한다.
또한 41 내지 54 니들의 동작을 살펴보면, 41 및 42 니들은 매 코스마다 각각 루프를 형성하고, 43 내지 45 니들, 47 내지 49 니들, 51 내지 53 니들은 각각 1 내지 29 코스를 하나로 묶어서 하나의 루프를 형성하고, 46 니들, 50니들 및 54니들은 매 코스 마다 루프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제3 마감조직(130)에는 홀 형성영역(100)의 처음 코스와 마지막 코스를 하나의 루프로 묶는 구간이 다수 형성되며, 이를 통해 제1 및 제2 마감조직(110,120)의 양측이 제3 마감조직(130)에 의해 강하게 조여지므로 홀(102) 주변이 올 풀림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홀(102)의 주변에 마감조직(110,120,130)을 형성하였는데, 마감조직(110,120,130)은 홀(102)의 주변에서 올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마감조직(110,120,130)을 조직할 수 있다. 따라서 마감조직(110,120,130)을 형성하기 위한 니들의 개수, 편직 패턴 등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구체적인 적용에 있어서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편직방법은 스타킹, 양말 등에 홀과 마감조직을 연속 공정으로 형성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지만, 스웨터, 조끼, 목도리, 토시, 모자, 내의 등과 같이 다른 종류의 편직물에 홀과 마감조직을 동시에 형성하는 경우에도 당연히 적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홀(102)의 양측에 제1마감조직(110)과 제2마감조직(120)의 측단을 조여주는 제3 마감조직(130)을 형성하였으나 비교적 두꺼운 실로 편직되거나 강한 실로 편직되어 올 끊김 위험이 적은 경우에는 제3마감조직(130)이 생략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편직 중에 홀을 형성하는 편직기의 종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환편기, 횡편기 등 다양한 편직기를 이용하여 편직물을 제작하는 중에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통해 홀과 마감조직을 연속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변형 또는 수정된 실시예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30: 니들 40: 쟈크 60: 실
70: 니들캠 80: 스티치캠 90: 매트릭스
100: 홀 형성영역 102: 홀 110: 제1 마감조직
120: 제2 마감조직 130: 제3 마감조직 200: 일반편직영역

Claims (14)

  1. 일반편직영역에 대한 편직을 진행하다가 홀 형성영역이 시작되는 코스에 도달하면 제1 마감조직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마감조직의 상부에 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홀의 상부에 제2 마감조직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감조직, 상기 홀, 및 상기 제2 마감조직을 형성하는 중에 상기 홀 형성영역의 양측에 위치하는 일반편직영역에서도 편직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감조직을 형성하기 시작할 때 상기 제1 마감조직의 양측에서 제3 마감조직의 형성을 시작하고,
    상기 제2 마감조직의 형성을 완료할 때 상기 제3 마감조직의 형성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방법
  3. 삭제
  4. 일반편직영역에 대한 편직을 진행하다가 홀 형성영역이 시작되는 코스에 도달하면 제1 마감조직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마감조직의 상부에 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홀의 상부에 제2 마감조직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감조직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마감조직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실을 공급하는 다수의 피더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피더가 실공급을 중단한 상태에서 나머지 피더에서 공급되는 실로만 편직이 이루어지며, 니들이 실공급이 중단된 피더의 하부를 통과할 때는 상승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감조직의 상부에 홀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다수의 니들 중에서 설정된 개수의 홀 형성용 니들이 실공급이 중단된 피더의 하부에서 상승후 하강함으로써 상기 제1 마감조직과 연결된 루프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방법
  6. 일반편직영역에 대한 편직을 진행하다가 홀 형성영역이 시작되는 코스에 도달하면 제1 마감조직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마감조직의 상부에 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홀의 상부에 제2 마감조직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감조직은 상단이 아래로 접혀서 상기 제1 마감조직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2 마감조직은 하단이 위로 접혀서 상기 제2 마감조직의 상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감조직 또는 상기 제2 마감조직은 다수의 니들에 의해 다수의 코스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코스는 서로 다른 방법으로 편직되는 다수의 구간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니들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니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니들군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니들군은 제1니들군과 제2 니들군이 교대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니들군은 상기 다수의 구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서는 매 코스마다 루프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니들군은 상기 다수의 구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서는 다수의 코스를 묶어서 하나의 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감조직의 상기 다수의 구간은, 하부의 일반편직영역과 연결되는 코스를 포함하는 제1구간과, 상기 제1 구간의 상단 코스에 연결되는 제2 구간과, 상기 제2 구간의 상단코스에서부터 상기 홀에 인접한 코스를 포함하는 제3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감조직의 상기 다수의 구간은, 하부의 홀과 인접하는 코스를 포함하는 제1 구간과, 상기 제1 구간의 상단 코스에 연결되는 제2 구간과, 상기 제2 구간의 상단코스에서부터 상기 제2 마감조직의 상부에 연속하여 형성되는 일반편직영역과 연결되는 코스를 포함하는 제3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방법
  11. 일반편직영역에 대한 편직을 진행하다가 홀 형성영역이 시작되는 코스에 도달하면 제1 마감조직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마감조직의 상부에 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홀의 상부에 제2 마감조직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감조직을 형성하기 시작할 때 상기 제1 마감조직의 양측에서 제3 마감조직의 형성을 시작하고, 상기 제2 마감조직의 형성을 완료할 때 상기 제3 마감조직의 형성을 완료하며,
    상기 제3 마감조직은 다수의 니들에 의해 다수의 코스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니들은 적어도 하나의 니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니들군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니들군은 제1니들군과 제2 니들군이 교대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니들군은 매 코스마다 루프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니들군은 첫코스와 마지막코스를 묶어서 하나의 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방법
  12. 외주면의 삽입홈에 다수의 니들과 쟈크가 상하로 삽입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상부에 설치된 다수의 피더, 상기 니들의 승강을 위해 상기 실린더의 일측에 배치된 다수의 캠블록, 상기 쟈크의 승강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실린더의 일측에 설치되는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환편기를 이용하여 편직물에 홀을 형성하는 편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피더에 모두 실을 공급한 상태에서 일반편직영역에 대한 편직을 진행하는 단계;
    설정된 홀 형성영역에 대응하는 코스에 도달하면, 상기 다수의 피더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피더에 대한 실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실공급이 중단된 피더의 하부에서 상기 다수의 니들이 상승하지 않고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나머지 피더에서 공급된 실을 이용하여 상기 일반편직영역과 연속되는 제1 마감조직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니들 중에서 다수의 홀 형성용 니들을 실공급이 중단된 상기 피더의 하부에서 상승 후 하강시켜 상기 다수의 홀 형성용 니들에서 루프가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마감조직의 상부에 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홀 형성용 니들이 상기 나머지 피더로부터 실을 공급받아 상기 홀의 상부에 제2 마감조직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방법
  13. 삭제
  14. 삭제
KR1020150071674A 2015-05-22 2015-05-22 연속 공정으로 편직물에 홀을 형성하는 편직방법과 이를 통해 제작된 편직물 KR101691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674A KR101691734B1 (ko) 2015-05-22 2015-05-22 연속 공정으로 편직물에 홀을 형성하는 편직방법과 이를 통해 제작된 편직물
PCT/KR2016/004339 WO2016190553A1 (ko) 2015-05-22 2016-04-26 연속 공정으로 편직물에 홀을 형성하는 편직방법과 이를 통해 제작된 편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674A KR101691734B1 (ko) 2015-05-22 2015-05-22 연속 공정으로 편직물에 홀을 형성하는 편직방법과 이를 통해 제작된 편직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889A Division KR102146144B1 (ko) 2016-09-02 2016-09-02 연속 공정으로 형성된 홀을 포함하는 편직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086A KR20160137086A (ko) 2016-11-30
KR101691734B1 true KR101691734B1 (ko) 2016-12-30

Family

ID=57393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1674A KR101691734B1 (ko) 2015-05-22 2015-05-22 연속 공정으로 편직물에 홀을 형성하는 편직방법과 이를 통해 제작된 편직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91734B1 (ko)
WO (1) WO20161905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078B1 (ko) * 2017-04-10 2018-07-19 오명석 올 풀림을 방지하면서 홀을 형성하는 편직 방법과 이를 이용한 편직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4188A (en) 1973-04-13 1977-03-29 Conti P Panty hose with improved waist openings
US4022035A (en) 1972-11-10 1977-05-10 Francesco Lonati Panty hose waist opening
JP2011017097A (ja) * 2009-07-08 2011-01-27 Okamoto Kk 筒状編地の開口部形成方法、筒状編地製品、袋状編地製品、及び、靴下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982097B (it) * 1973-04-13 1974-10-21 Billi Spa Procedimento per la formazione di un manufatto tubolare a maglia provvisto di apertura trasversale in specie per la formazione di cal ze mutande con fascia elastica
KR200365098Y1 (ko) 2004-07-30 2004-10-15 유세환 남녀공용 팬티스타킹
JP5695978B2 (ja) * 2011-06-02 2015-04-0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ホールを有する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その編地
KR101270873B1 (ko) * 2012-01-30 2013-06-05 주식회사매스트 양말 편직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2035A (en) 1972-11-10 1977-05-10 Francesco Lonati Panty hose waist opening
US4014188A (en) 1973-04-13 1977-03-29 Conti P Panty hose with improved waist openings
JP2011017097A (ja) * 2009-07-08 2011-01-27 Okamoto Kk 筒状編地の開口部形成方法、筒状編地製品、袋状編地製品、及び、靴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90553A1 (ko) 2016-12-01
KR20160137086A (ko) 201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06997B2 (ja)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KR101498443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CN102264962B (zh) 针织纱的防脱散方法及针织物
EP114145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ree-dimensional knitwear and hosiery items and products obtained thereby
CN102859057B (zh) 相邻的针织物部的接合方法及针织物
TWI774641B (zh) 單面針織物提花花紋的編織方法及藉由該編織方法獲得之複合織物
CN110387636B (zh) 用于制造金银丝针织物的针织横机和方法
JPH04153346A (ja) 筒状編地の切込部分の編成方法
KR20130119855A (ko) 편침 안내 구조, 편침, 편성 방법, 편물 및 장갑
BR9807063A (pt) Tecido de fêlpo aperfeiçoado, processos e máquinas de tricotamento circular com elementos de fêlpo aperfeiçoados para manufaturamento de dito tecido de fêlpo aperfeiçoado
ITMI991068A1 (it)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manufatti tubolari del tipo calze osimili chiusi in corrispondenza di un'estremita' assiale con una macch
JP6211482B2 (ja) フットウェアの編成方法
JP5702576B2 (ja)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EP2568066B1 (en) Set-up method of knitted fabric
EP3165647B1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fine knitwear with air permeable holes
KR101691734B1 (ko) 연속 공정으로 편직물에 홀을 형성하는 편직방법과 이를 통해 제작된 편직물
JP5057711B2 (ja) 靴下編機
KR20210063957A (ko) 니트 웨어의 효율적인 넥 라인 형성을 위한 편성방법
KR102146144B1 (ko) 연속 공정으로 형성된 홀을 포함하는 편직물
US10184196B2 (en) Method for knitting knitted fabric
JPS6366354A (ja) 形状編みによる衣服の製造方法
KR102105581B1 (ko) 커트파일 직물을 포함하는 양면천을 편성하기 위한 환편기 편성 구조
KR101885369B1 (ko) 환편기, 편직 방법 및 그 편물지
KR101155205B1 (ko) 색상 무늬 메쉬를 형성하는 직물 편직기
KR101870078B1 (ko) 올 풀림을 방지하면서 홀을 형성하는 편직 방법과 이를 이용한 편직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