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0078B1 - 올 풀림을 방지하면서 홀을 형성하는 편직 방법과 이를 이용한 편직물 - Google Patents

올 풀림을 방지하면서 홀을 형성하는 편직 방법과 이를 이용한 편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078B1
KR101870078B1 KR1020170045853A KR20170045853A KR101870078B1 KR 101870078 B1 KR101870078 B1 KR 101870078B1 KR 1020170045853 A KR1020170045853 A KR 1020170045853A KR 20170045853 A KR20170045853 A KR 20170045853A KR 101870078 B1 KR101870078 B1 KR 101870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hole
course
tissue
kn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5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명석
Original Assignee
오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명석 filed Critical 오명석
Priority to KR1020170045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0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06Non-run fabrics or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Abstract

본 발명은 편직물에 홀을 형성하는 편직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편직 방법은, 일반편직영역에 대한 편직을 진행하다가 설정된 코스에 도달하면 하부마감조직의 형성을 개시하는 단계; 보강사를 공급하고, 상기 보강사와 기본사를 합사하여 상기 하부마감조직의 적어도 한 코스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마감조직의 상부에 상기 하부마감조직보다 짧은 길이로 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편직 중에 연속 공정으로 홀과 마감조직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홀 주변의 조직에는 기본사보다 훨씬 강도가 높은 보강사를 공급함으로써 홀 주변에서의 올 풀림 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올 풀림 현상이 근본적으로 방지되므로 추가 봉제작업을 진행할 필요가 없어 생산비용과 시간을 크게 절감할 수 있고, 고객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올 풀림을 방지하면서 홀을 형성하는 편직 방법과 이를 이용한 편직물{Knitting method of forming hall while preventing loose and knitted goods thereby}
본 발명은 편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스타킹, 양말 등의 편직물을 편직하는 공정 중에 홀을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고 홀 주변의 올 풀림 현상을 획기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편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편직물은 니들의 왕복운동을 통해 루프를 연속적으로 연결해 나가는 방식으로 제조되며, 대표적인 편직물에는 스타킹, 양말, 스웨터, 조끼, 목도리 등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스타킹 등을 중심으로 사용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용도의 홀을 형성하는 경우가 늘어 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타킹의 팬티부분에 용변 또는 통풍을 위한 홀을 형성하는 경우도 있고, 스타킹의 발부분에 통풍용 홀을 형성하거나 발을 빼낼 수 있는 홀을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편직물인 스타킹에 이러한 홀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해당 부분을 절개한 후에 올 풀림 방지를 위하여 별도의 봉제작업(예, 오버로크)을 추가로 수행해야만 하므로 생산성이 낮아지는 것은 물론이고 제품단가의 상승을 피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추가 봉제작업 없이 편직 중에 연속공정으로 홀과 마감조직을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이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매우 가는 실로 이루어지고 탄력성이 큰 스타킹의 경우에는 착용 시에 홀의 양측에서 올 풀림 현상이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특히 발바닥 등과 같이 마찰이 잦은 부분에 형성된 홀의 주변에는 추가로 봉제작업을 해야 하는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따라서 스타킹 등의 편직물에 홀을 형성할 때 홀 주변의 올 풀림을 보다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편직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5098호(2004.10.15 공고)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스타킹 등과 같이 매우 가는 실로 이루어진 편직물을 제조할 때 연속공정으로 홀을 형성하면서도 홀 주변에서의 올 풀림 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편직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일반편직영역에 대한 편직을 진행하다가 설정된 코스에 도달하면 하부마감조직의 형성을 개시하는 단계; 보강사를 공급하고, 상기 보강사와 기본사를 합사하여 상기 하부마감조직의 적어도 한 코스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마감조직의 상부에 상기 하부마감조직보다 짧은 길이로 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직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편직 방법에서, 상기 보강사는 상기 하부마감조직의 마지막코스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편직 방법에서, 상기 보강사와 기본사를 합사하여 상기 하부마감조직의 적어도 한 코스를 형성하는 단계의 이후에는, 상기 보강사의 양 단부를 상기 하부마감조직의 양 단부에 맞게 커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편직 방법에서, 상기 홀을 형성하는 단계의 이후에는, 제2 보강사를 공급하여 홀의 상부에 상기 제2 보강사와 기본사가 합사된 첫코스를 구비하는 상부조직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하부마감조직의 양 단부에는 상기 하부마감조직의 코스와 상기 제2 보강사를 하나의 루프로 연결한 조직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상기 제2 보강사와 기본사를 합사하여 첫코스를 형성한 이후에는, 상기 제2 보강사의 양 단부를 상기 보강사 또는 상기 하부마감조직의 길이에 맞게 커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편직 방법에서, 상기 홀을 형성하는 단계의 이후에는, 상부마감조직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마감조직의 첫코스는 제2 보강사와 기본사를 합사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하부마감조직의 양 단부에는, 상기 하부마감조직의 코스와 상기 제2 보강사를 하나의 루프로 연결한 조직, 또는 상기 하부마감조직의 코스와 상기 상부마감조직의 코스를 하나의 루프로 연결한 조직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일반편직영역과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단 마지막 코스는 제1 보강사와 기본사가 합사되어 이루어진 하부마감조직; 상기 하부마감조직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마감조직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홀; 상기 홀의 상부에 형성되고, 첫코스는 제2 보강사와 기본사가 합사되어 이루어진 상부조직을 포함하는 편직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편직물에서, 상기 하부마감조직의 양 단부에는 상기 하부마감조직의 코스와 상기 제2 보강사를 하나의 루프로 연결한 조직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편직 중에 연속 공정으로 홀과 마감조직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홀 주변의 조직에는 기본사보다 훨씬 강도가 높은 보강사를 공급함으로써 홀 주변에서의 올 풀림 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올 풀림 현상이 근본적으로 방지되므로 추가 봉제작업을 진행할 필요가 없어 생산비용과 시간을 크게 절감할 수 있고, 고객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직 방법에 의해 홀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직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편직 공정을 수행하는 환편기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편직물의 루프 패턴을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직 방법에 의해 홀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직 방법에 의해 홀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루프 패턴을 예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element)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는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다면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실제와 다른 치수 또는 비율로 나타낸 부분이 있는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직 방법에 따라 홀이 형성된 편직물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직물은 기본사를 이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편직이 진행되는 일반편직영역(10)과 일반편직영역(10)의 중간에 형성된 홀(20)과, 편직방향을 기준으로 홀(20)의 선단(도면에서 홀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마감조직(21)을 포함한다.
하부마감조직(21)은 홀(20)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마감조직(21)의 양 단부는 홀(20)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부마감조직(21)의 상단을 일반편직영역(10)에 사용되는 기본사와 기본사 보다 훨씬 강도가 높은 제1 보강사(25)를 함께 사용하여 마감함으로써 홀(20)의 선단 테두리를 형성한다. 또한 편직방향을 기준으로 홀(20)의 후단(도면에서 홀의 상부)에는 제2 보강사(27)를 공급하여 기본사와 함께 마감함으로써 홀(20)의 후단 테두리를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홀(20)의 선단테두리와 후단테두리에 강도가 높은 제1 보강사(25)와 제2 보강사(27)가 각각 포함되므로 올 풀림 현상이 획기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홀(20)의 위치나 용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스타킹 등의 발바닥에 통풍이나 발을 빼는 용도로 형성될 수도 있고, 스타킹의 팬티부에 용변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전신용 스타킹의 상단에서 밴드부와 인접하는 위치에 팔을 끼우는 용도로 형성될 수도 있고, 그밖에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용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홀(20)을 형성하는 편직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통상적인 방법으로 일반편직영역(10)에 대한 편직을 진행한다. 일반편직영역(10)에 대한 편직은, 도 3a의 개념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직기에 구비된 다수의 니들(30)이 제1 내지 제4피더(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음)의 하부에서 니들캠(70,80)을 따라 승강 및 이동하면서 진행된다. 각 니들(30)은 이렇게 이동하면서 제1 내지 제4피더로부터 각각 공급되는 제1 내지 제4 기본사(61,62,63,64)를 이용하여 루프를 형성한다. 필요한 경우에는 니들캠(70,80)을 후퇴시킨 상태에서 니들(30) 하부에 위치하는 쟈크(40)를 이용하여 니들(30)을 승강시킬 수도 있다. (ST 11)
이와 같이 일반편직영역(10)에 대한 편직을 진행하다가 하부마감조직(21)에 해당하는 코스에 도달하면, 일반편직영역(10)과 다른 루프 패턴으로 하부마감조직(21)을 형성한다. 하부마감조직(21)의 패턴은 일반편직영역(10)의 패턴보다 복잡하기 때문에 니들캠(70,80)을 후퇴한 상태에서 매트릭스(도 3a의 90)에 의해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쟈크(40)를 이용하여 특정 니들(30)을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면서 형성할 수도 있다.
하부마감조직(21)은 홀(20) 보다 넓은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ST12)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올 풀림 방지를 위하여 기본사보다 강도가 높은 제1 보강사(25)를 포함시켜서 하부마감조직(21)을 형성한다.
즉, 하부마감조직(21)의 마지막 코스를 형성할 때, 도 3b의 개념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보강사(25)와 기본사(63)를 함께 공급하고 제1 보강사(25)와 기본사(63)를 합사하여 마지막 코스를 형성하여 홀(20)의 선단 테두리를 마감한다.
다만 제1 보강사(25)가 반드시 하부마감조직(21)의 마지막 코스에만 공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하부마감조직(21)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코스에 제1 보강사(25)를 더 공급할 수도 있다.
제1 보강사(25)는 하부마감조직(21)에만 공급되는 것이므로 제1 보강사(25)와 기본사(63)를 합사하여 하부마감조직(21)에 대응하는 길이의 코스가 형성된 이후에는 제1 보강사(25)의 공급을 중단하고, 하부마감조직(21)의 길이에 맞게 제1 보강사(25)의 양단을 각각 커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하부마감조직(21)의 루프 패턴을 예시한 것으로서, 홀(20)의 직하부에서는, 예를 들어 좌측에서부터 2개씩의 니들로 이루어진 니들군으로 구분하여 홀수번째 니들군은 예를 들어 5개의 코스에 각각 하나씩의 루프를 형성하고, 짝수번째 니들군은 조직을 치밀하게 하기 위해 첫코스와 마지막 코스를 하나의 루프로 묶은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서 하나의 원으로 표시된 것은 기본사로 이루어진 루프이고, 2개의 동심원으로 표시된 것은 기본사와 제1 보강사(25)가 합사되어 이루어진 루프를 나타낸 것이다.
하부마감조직(21)의 이러한 루프 패턴은 예시적인 것이며, 코스의 개수나 루프 패턴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홀(20)의 양측에서 하부마감조직(21)의 첫코스에서 홀 상단의 첫코스를 하나의 루프로 묶은 조직이 나타나 있는데, 이 부분은 홀(20)의 양측을 마감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홀(20)의 상단 첫코스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보강사(27)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하부마감조직(21)의 첫코스와 제2 보강사(27)의 코스를 하나의 루프로 연결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하부마감조직(21)의 양측 단부가 홀(20) 상단의 제2 보강사(27)와 함께 마감되므로 홀(20) 주변의 테두리가 제1 보강사(25)와 제2 보강사(27)에 의해 매우 높은 강도를 가지게 되며, 따라서 올 풀림 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홀(20)의 양측에 형성되는 이러한 루프 패턴도 예시적인 것이므로 구체적인 적용 과정에서 다양한 패턴으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ST13, ST14)
이와 같이 하부마감조직(21)을 형성한 이후에는 홀(20)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도 3c 의 개념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 형성위치에서 기본사(63)와 제1 보강사(25)의 공급을 중단한다. 그리고 도 3d의 개념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선 피더에서 제공된 실을 후크에 건 상태에서 하강했던 니들이 진입하면 이들을 홀 형성위치에서 상승시킨다.
이렇게 하면 니들에 걸려있던 하부마감조직(21)의 상단 루프가 니들에서 분리되며, 따라서 하부마감조직의 상부에 홀(20)이 형성된다. 홀(20)의 길이는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는 니들의 개수에 따라 정해진다.
한편 이와 같은 방식으로 홀(20)이 형성되는 중에도 홀(20)의 양측과 일반편직영역(10)에서는 편직을 계속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T 15)
홀(20)이 형성된 이후에는 홀(20)의 상부에 다시 조직을 형성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홀 형성과정에서 빈 상태가 되었던 니들이 인접한 피더의 하부로 이동하여 기본사(64)를 공급받아 새로운 루프를 형성한다.
이때 도 3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보강사(27)를 기본사(64)와 함께 공급하고 제2 보강사(27)와 기본사(64)를 합사하여 홀(20) 상단의 첫코스를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홀(20)의 상단 테두리의 내구성이 강화되므로 올 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ST16)
제2 보강사(27)는 제1 보강사(25)와 함께 홀(20) 주변의 조직을 강하게 마감하기 위한 것이므로 제2 보강사(27)는 제1 보강사(25) 또는 하부마감조직(21)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 보강사(27)와 기본사를 합사하여 상단 테두리를 조직한 이후에는 제2 보강사(27)의 공급을 중단하고, 제1 보강사(25) 또는 하부마감조직(21)의 길이에 맞게 제2 보강사(27)의 양단을 각각 커팅한다. (ST17)
이어서 홀(20)의 양측에서 하부마감조직(21)의 첫코스와 제2 보강사(27)를 하나의 루프로 연결하여 마감한다. 이렇게 하면 홀(20) 주변 테두리의 내구성이 크게 강화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ST18)
이상의 과정을 거쳐 제1 보강사(25)가 포함된 하부마감조직(21), 홀(20), 제2 보강사(27)를 이용한 상단테두리를 형성한 이후에는, 도 3a와 같은 방식으로 일반편직영역(10)에 대한 편직을 계속 수행한다. (ST19)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홀(20)의 상단 테두리에는 별도의 마감조직을 형성하지 않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20)의 상단에 제2보강사(27)가 삽입된 첫 코스를 형성한 이후에 계속하여 상부마감조직(22)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부마감조직(22)의 루프패턴이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하부마감조직(21)과 대칭적인 루프 패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홀(20)의 상단 테두리의 첫코스가 제2 보강사(27)와 기본사(64)를 합사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는데, 필요에 따라서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보강사(27)를 생략할 수도 있다.
스타킹 등의 발바닥 부위에 형성된 홀(20)은 상단 테두리보다는 홀(20)의 양측이나 하단 테두리에서 올 풀림 현상이 많이 나타나기 때문에 제2 보강사(27)를 생략하더라도 올 풀림 현상을 종래보다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타킹, 양말 등에 홀과 마감조직을 연속 공정으로 형성하기 위한 것이지만, 스웨터, 조끼, 목도리, 토시, 모자, 내의 등과 같이 다른 종류의 편직물에 홀과 마감조직을 동시에 형성하는 경우에도 당연히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직 방법을 수행하는 편직기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환편기, 횡편기 등 다양한 편직기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직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구체적인 적용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변형 또는 수정된 실시예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10: 일반편직영역 20: 홀
21: 하부마감조직 22: 상부마감조직
25: 제1 보강사 27: 제2 보강사
30: 니들 40: 쟈크
61,62,63,64: 기본사 70, 80: 캠
90: 매트릭스

Claims (10)

  1. 일반편직영역에 대한 편직을 진행하다가 설정된 코스에 도달하면 하부마감조직의 형성을 개시하는 단계;
    상기 하부마감조직의 적어도 한 코스를 제1 보강사와 기본사를 합사하여 형성하되, 상기 하부마감조직의 일부 조직은 처음코스와 마지막코스가 하나의 루프로 연결되도록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마감조직의 상부에 상기 하부마감조직보다 짧은 길이로 홀을 형성하는 단계;
    제2 보강사와 기본사가 합사하여 상부마감조직의 첫코스를 홀의 상부에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마감조직의 양 단부에서는 상기 하부마감조직의 코스와 상기 상부마감조직의 상기 제2 보강사가 하나의 루프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사는 상기 하부마감조직의 마지막코스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마감조직의 적어도 한 코스를 상기 제1 보강사와 기본사를 합사하여 형성한 이후에는, 상기 제1 보강사의 양 단부를 상기 하부마감조직의 양 단부에 맞게 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강사와 기본사를 합사하여 상기 상부마감조직의 첫코스를 형성한 이후에는, 상기 제2 보강사의 양 단부를 상기 제1 보강사 또는 상기 하부마감조직의 길이에 맞게 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방법
  5. 일반편직영역과 연결되어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코스는 제1 보강사와 기본사가 합사되어 이루어지고, 일부 조직은 처음코스와 마지막코스가 하나의 루프로 연결된 하부마감조직;
    상기 하부마감조직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마감조직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홀;
    상기 홀의 상부에 형성되고, 첫코스는 제2 보강사와 기본사가 합사되어 이루어진 상부마감조직;
    상기 홀의 양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마감조직의 코스와 상기 상부마감조직의 상기 제2 보강사가 하나의 루프로 연결된 조직
    을 포함하는 편직물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70045853A 2017-04-10 2017-04-10 올 풀림을 방지하면서 홀을 형성하는 편직 방법과 이를 이용한 편직물 KR101870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853A KR101870078B1 (ko) 2017-04-10 2017-04-10 올 풀림을 방지하면서 홀을 형성하는 편직 방법과 이를 이용한 편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853A KR101870078B1 (ko) 2017-04-10 2017-04-10 올 풀림을 방지하면서 홀을 형성하는 편직 방법과 이를 이용한 편직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0078B1 true KR101870078B1 (ko) 2018-07-19

Family

ID=63058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5853A KR101870078B1 (ko) 2017-04-10 2017-04-10 올 풀림을 방지하면서 홀을 형성하는 편직 방법과 이를 이용한 편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07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3384A (en) * 1973-04-13 1977-05-17 Billi, S.P.A. Knit tubular article with transverse waist opening
WO2000014316A1 (en) * 1998-09-10 2000-03-16 Franco Sciacca Method for producing tridimensional knitted goods
KR200365098Y1 (ko) 2004-07-30 2004-10-15 유세환 남녀공용 팬티스타킹
JP2011017097A (ja) * 2009-07-08 2011-01-27 Okamoto Kk 筒状編地の開口部形成方法、筒状編地製品、袋状編地製品、及び、靴下
KR20160137086A (ko) * 2015-05-22 2016-11-30 이갑성 연속 공정으로 편직물에 홀을 형성하는 편직방법과 이를 통해 제작된 편직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3384A (en) * 1973-04-13 1977-05-17 Billi, S.P.A. Knit tubular article with transverse waist opening
WO2000014316A1 (en) * 1998-09-10 2000-03-16 Franco Sciacca Method for producing tridimensional knitted goods
KR200365098Y1 (ko) 2004-07-30 2004-10-15 유세환 남녀공용 팬티스타킹
JP2011017097A (ja) * 2009-07-08 2011-01-27 Okamoto Kk 筒状編地の開口部形成方法、筒状編地製品、袋状編地製品、及び、靴下
JP5548918B2 (ja) * 2009-07-08 2014-07-16 岡本株式会社 筒状編地の開口部形成方法、筒状編地製品、袋状編地製品、及び、靴下
KR20160137086A (ko) * 2015-05-22 2016-11-30 이갑성 연속 공정으로 편직물에 홀을 형성하는 편직방법과 이를 통해 제작된 편직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Z284875B6 (cs) Způsob výroby polotovaru na okrouhlém pletacím stroji
EP114145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ree-dimensional knitwear and hosiery items and products obtained thereby
US11447898B2 (en) Circular knitted garment with apertures
JPH04153346A (ja) 筒状編地の切込部分の編成方法
US6158254A (en) Double layer sock and method of making
ITMI991068A1 (it)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manufatti tubolari del tipo calze osimili chiusi in corrispondenza di un'estremita' assiale con una macch
JPH06240548A (ja) 貼付け型ポケットを有する編地及びその編成方法
CN105143537B (zh) 针织物的编织方法
EP1181405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producing tubular knitwear items provided with at least a brace, shoulder strap, loop and the like, and products obtained thereby
US6739159B2 (en) Method for producing tubular knitwear items and products obtained thereby
KR101870078B1 (ko) 올 풀림을 방지하면서 홀을 형성하는 편직 방법과 이를 이용한 편직물
KR100872365B1 (ko) 칼라 형성방법
US7191622B1 (en) Method for knitting a design on a garment pouch
KR101691734B1 (ko) 연속 공정으로 편직물에 홀을 형성하는 편직방법과 이를 통해 제작된 편직물
JPH02277861A (ja) 複数供給部を有する円形編機を用いた特にアンダーシャツ、ワンピースボディガーメント、ブリーフ等を製造するための半加工製品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品
ITMI20081687A1 (it)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un manufatto sagomato con lembi di maglia bordati su una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calzetteria o simile.
US2278277A (en) Hosiery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2146144B1 (ko) 연속 공정으로 형성된 홀을 포함하는 편직물
US2180593A (en) Stocking and method of making same
CN101605935A (zh) 织针运动机构
ITBS20080229A1 (it) Metodo di costruzione di un manufatto con un doppio strato di tessuto e manufatto ottenuto
KR102049237B1 (ko) 보강부를 구비한 발착용용 편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71632B1 (ko) 니트웨어 편직방법
KR810000080B1 (ko) 소매달린 의복의 편성방법
KR20190123668A (ko) 보강부를 구비한 발착용용 편직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