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237B1 - 보강부를 구비한 발착용용 편직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보강부를 구비한 발착용용 편직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237B1
KR102049237B1 KR1020180047443A KR20180047443A KR102049237B1 KR 102049237 B1 KR102049237 B1 KR 102049237B1 KR 1020180047443 A KR1020180047443 A KR 1020180047443A KR 20180047443 A KR20180047443 A KR 20180047443A KR 102049237 B1 KR102049237 B1 KR 102049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rse
reinforcement
dial
needle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7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3574A (ko
Inventor
윤기영
Original Assignee
윤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기영 filed Critical 윤기영
Priority to KR1020180047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237B1/ko
Publication of KR20190123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3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착용용 편직물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중간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중간부에 연속하여 편직되며 첫코스와 마지막코스가 연결되어 2겹으로 이루어진 보강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강부를 재단하고 단부를 봉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착용용 편직물을 편직할 때 보강부까지 연속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종래 방식에 비하여 보강부 형성공정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발착용용 편직물의 발가락부분이나 발바닥 부분을 2겹으로 편직함으로써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땀흡수력을 높여서 위생성을 개선할 수 있다. 특히 2겹 중에서 착용자의 피부에 닿는 내층을 면사, 은사, 동사 등으로 편직하여 착용감과 위생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강부를 구비한 발착용용 편직물 및 그 제조방법{Knitted goods for foot comprising reinforced par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양말, 스타킹, 타이즈, 덧버선 등의 발착용용 편직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발가락 및/또는 발바닥에 2겹 구조의 보강부를 형성함으로써 내구성과 위생성을 개선한 편직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말, 스타킹, 타이즈, 덧버선 등은 나이론사, 커버링사 등으로 편직되며, 대부분의 경우에는 한 겹으로 편직된다.
그런데 모든 부분을 동일하게 한 겹으로 편직하면 하중이 집중되고 움직임이 많은 발가락 부분이나 발바닥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하여 빨리 닳아서 쉽게 구멍이 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한 겹으로 편직하면 발가락이나 발바닥 부분의 땀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므로 장시간 착용시 냄새와 축축한 느낌 등으로 인해 착용자의 불쾌감을 초래하는 것은 물론이고 위생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가락 부분에 다른 부분보다 두꺼운 소재로 이루어진 보강부를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환편기 등을 이용하여 통 편직물(90)을 제작한 후에 별도로 제작된 보강부(92)를 편직물(90)의 하단에 오버로크(94) 등으로 결합하여 발가락 부분에 두꺼운 보강부를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으로 보강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통 편직물(90)의 단부와 보강부(92)의 단부를 정확하게 정렬한 상태에서 오버로크(94)를 해야 하는데, 스타킹 등과 같이 매우 얇은 소재로 이루어진 통 편직물의 경우에는 정확한 정렬이 어렵기 때문에 작업이 까다롭고 생산성이 매우 낮은 문제가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5993호(2003.06.12 공고)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양말, 스타킹, 타이즈, 덧버선 등과 같은 발착용용 편직물에 종래에 비하여 훨씬 간단한 공정으로 두꺼운 보강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착용용 편직물의 발가락 및/또는 발바닥 부분의 내구성과 위생성을 개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중간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중간부에 연속하여 편직되고 첫코스와 마지막코스가 연결되어 2겹으로 이루어진 보강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강부를 재단하고 단부를 봉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착용용 편직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상기 보강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첫코스에서 중간부분까지는 제1 실을 공급하여 편직하고, 중간부분부터 마지막코스까지는 제2 실을 공급하여 편직할 수 있다. 이때 제1실은 나이론사와 커버링사 중에서 하나이고, 제2실은 면사, 은사, 동사 중에서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중간부를 형성하는 단계의 이전에는, 첫코스와 마지막코스가 연결되어 2겹으로 이루어진 밴드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부는 상기 밴드부에 연속하여 편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상기 보강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보강부의 첫코스에 도달하면 환편기의 제1피더에서 1:3의 비율로 바늘을 상승시키는 단계; 환편기의 다이얼자크를 바깥쪽으로 이동시켜 상승한 바늘 사이마다 2개씩의 다이얼자크를 돌출시키는 단계; 상승한 바늘이 실을 걸고 하강함에 따라 바늘 사이로 돌출된 다이얼자크에 실이 걸리는 단계; 실이 걸려 있는 다이얼자크를 후퇴시키고 상기 보강부의 편직을 계속하는 단계; 상기 보강부의 마지막코스에 도달하면 환편기의 상기 제1 피더에서 다이얼자크를 바깥쪽으로 이동시켜 바늘의 바깥으로 돌출시키는 단계; 상기 제1 피더에서 1:1의 비율로 바늘을 상승시켜 다이얼자크의 사이마다 바늘을 위치시키는 단계; 다이얼자크를 완전히 후퇴시키면, 다이얼자크에 걸려 있던 실이 상승한 바늘에 걸려 다이얼자크로부터 분리되는 단계; 상승한 바늘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보강부의 첫코스와 마지막코스가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중간부; 상기 중간부에 연속하여 편직되고 첫코스와 마지막코스가 연결되어 2겹으로 이루어진 보강부; 상기 보강부를 재단하고 단부를 봉조한 봉조부를 포함하는 발착용용 편직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편직물에서, 상기 보강부는, 첫코스에서 중간부분까지 제1 실로 편직된 외층과, 중간부분부터 마지막코스까지 제2 실로 편직된 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간부의 상단에는 첫코스와 마지막코스가 연결되어 2겹으로 이루어진 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부는 상기 밴드부에 연속하여 편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착용용 편직물을 편직할 때 보강부까지 연속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종래 방식에 비하여 보강부 형성공정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발착용용 편직물의 발가락부분이나 발바닥 부분을 2겹으로 편직함으로써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땀흡수력을 높여서 위생성을 개선할 수 있다. 특히 2겹 중에서 착용자의 피부에 닿는 내층을 면사, 은사, 동사 등으로 편직하여 착용감과 위생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보강부 형성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착용용 편직물의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착용용 편직물의 여러 유형을 예시한 사진
도 4는 환편기의 실린더와 다이얼을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착용용 편직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착용용 편직물의 제조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공정단면도
도 7a 내지 도 7i는 두 겹 구조의 밴드부/보강부를 형성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나타낸 공정순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element)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는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다면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실제와 다른 치수 또는 비율로 나타낸 부분이 있는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은 물론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착용용 편직물의 범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발에 착용할 수 있는 편직물은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킹, 팬티스타킹, 타이즈, 무용타이즈, 아동타이즈, 압박타이즈, 기모타이즈, 카바스타킹. 판타롱, 양말, 덧신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발착용용 편직물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착용용 편직물(100)은 도 2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겹 구조의 밴드부(110), 중간부(120), 2겹 구조의 보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밴드부(110)는 연속으로 편직된 후에 접힌 것으로서, 내층(111)과 외층(112)의 2 겹 구조를 갖는다. 내층(111)은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부분이고 외층(112)은 착용시 바깥쪽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밴드부(110)는, 도 2를 참조하면, 내층(111)의 하단에서 출발하여 내층(111)의 상단, 외층(112)의 상단, 외층(112)의 하단 순으로 편직이 진행된다.
밴드부(110)를 2 겹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밴드부(110)를 편직할 때 밴드부(110)의 첫코스와 마지막코스를 연결하며, 구체적인 연결방법은 도 7a내지 도 7i와 관련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중간부(120)는 밴드부(110)의 외층(112)의 하단과 연속적으로 편직되며, 한 겹으로 이루어진다.
보강부(130)는 중간부(120)의 하단과 연속으로 편직된 후 접힌 것으로서, 내층(131)과 외층(132)의 2 겹 구조를 갖는다. 내층(131)은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부분이고, 외층(132)은 착용시 바깥쪽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보강부(130)는, 도 2를 참조하면, 중간부(120)의 하단과 연속되는 외층(132)의 상단에서 출발하여 외층(132)의 하단, 내층(131)의 하단, 내층(131)의 상단 순으로 편직이 진행된다.
보강부(130)를 2 겹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보강부(130)를 편직할 때 보강부(130)의 첫코스와 마지막코스를 연결하며, 구체적인 연결방법은 도 7a내지 도 7i와 관련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보강부(130)의 단부에는 봉조부(140)가 형성되며, 봉조부(140)는 보강부(130)의 단부를 사람의 발모양에 맞게 절단하고 오버로크 등으로 개방부를 봉조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보강부(130)의 단부를 사람의 발모양에 맞게 봉조한 후에 절단할 수도 있다.
도 3a와 도 3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직물(100) 중 스타킹과 덧신을 나타낸 것으로서, 각각의 좌측 사진은 제품의 외면을 나타낸 것이고, 우측 사진은 제품을 뒤집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의 스타킹의 경우에는 발가락 부분에만 보강부(130)를 형성하였고, 도 3b의 덧신의 경우에는 발바닥 전체에 보강부(130)를 형성하였다. 다만 보강부(130)의 크기, 위치 등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필요에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는 보강부(130)의 색상이 밴드부(110)나 중간부(120)와 다른 것으로 나타나 있는데, 이는 밴드부(110)와 중간부(120)는 나이론사로 편직하고, 보강부(130)의 내층(131)은 동사로 편직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보강부(130) 중에서 적어도 착용자의 피부에 닿는 내층(131)을 나머지 부분과는 다른 실(예, 면사, 동사, 은사 등)로 편직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내구성을 더욱 강화하거나, 땀흠수력을 높여 위생성을 향상하는 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밴드부(110), 중간부(120) 및/또는 보강부(130)를 구성하는 실의 종류는 모두 같을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어느 일부만 다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착용용 편직물(100)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환편기를 이용하여 편직될 수 있다.
환편기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면에 수직방향을 따라 다수의 삽입홈(11)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실린더(10)와, 실린더(10)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면에 방사형으로 다수의 삽입홈(21)이 형성된 원판 형상의 다이얼(20)을 포함한다.
실린더(10)의 다수의 삽입홈(11)에는 각각 바늘(30)과 쟈크(40)가 삽입되고, 다이얼(20)의 다수의 삽입홈(21)에는 다이얼자크(50)가 삽입된다.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실린더(10)의 상부에는 바늘(30)에 실을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피더(feeder)가 설치되며, 일반적으로는 4개의 피더가 약 90도의 간격으로 배치된다.
각 바늘(30)은 피더에서 공급된 실을 걸기 위해 상단에 형성된 후크(32)와, 후크(32)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래치와, 하단부에서 실린더(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버트(34)를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스타킹 제조용 환편기에는 대략 400개의 바늘(30)이 사용되고 있다.
다이얼자크(50)는 실린더 바늘(30)과 1:2의 비율로 설치되며, 따라서 바늘(30)이 400개이면 다이얼자크(50)는 200개가 설치된다.
바늘(30)의 하부에 설치되는 쟈크(40)는 바늘(30)을 승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외측으로 각각 돌출된 캠용 버트(42), 제어용 버트(44), 버트(42,44)의 반대쪽으로 돌출된 스프링(4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바늘(30)은 버트(34)가 실린더(10)의 외측에 설치된 캠블록에 구비된 캠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승강운동을 한다. 복잡한 패턴을 편직하는 경우에는 별도로 쟈크(40)의 승강에 의해 승강운동을 하기도 한다.
다이얼자크(50)는 바깥쪽으로 돌출된 후크(52)와 상단으로 돌출된 제어용 버트(54)를 포함한다. 다이얼자크(50)는 제어용 버트(54)가 다이얼캠(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음)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삽입홈(21)을 따라 수평운동을 하며. 다이얼(20)의 바깥으로 후크(52)가 완전 돌출되는 위치에서 다이얼(20)의 삽입홈(21)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는 위치 사이에서 수평 이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의 순서도와 도 6의 공정단면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착용용 편직물(100)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편직물의 상단에 2겹 구조의 밴드부(110)를 형성한다. 이때 편직 개시 후 처음 몇 코스(예, 1 ~ 3코스)에 대해 일반 편직을 진행한 후에 밴드부(110) 형성 공정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밴드부(110)의 첫코스를 편직할 때 다이얼자크(50)에 실을 걸어 두고, 이후의 코스는 다이얼자크(50)에 첫코스의 실이 걸려 있는 상태에서 설정된 개수의 코스에 대해 통상적인 편직을 수행한다. 그리고 밴드부(110)를 구성하는 마지막 코스를 편직할 때 다이얼자크(50)에 걸린 첫코스의 실을 벗겨내면서 마지막 코스의 루프와 연결한다.
이렇게 하면 밴드부(110)의 첫코스와 마지막코스가 연결되면서 2겹 구조가 된다. (ST11)
이와 같이 밴드부(110)가 형성된 이후에는 통상의 편직 방법에 따라 중간부(120)를 형성한다. 롱 스타킹의 경우에는 중간부(120)가 밴드부(110)나 보강부(130)에 비해 훨씬 길게 형성되고,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덧신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중간부(120)는 아주 짧게 형성된다. (ST12)
이어서 중간부(120)의 하단에 연속 편직으로 보강부(130)를 형성한다. 이때 밴드부(110)와 유사한 방식으로 2겹 구조의 보강부(130)를 형성한다.
즉, 보강부(130)의 첫코스를 편직할 때 다이얼자크(50)에 실을 걸어 두고, 이후의 코스는 다이얼자크(50)에 보강부(130)의 첫코스의 실이 걸려 있는 상태에서 설정된 개수의 코스에 대해 통상적인 편직을 수행한다. 그리고 보강부(130)를 구성하는 마지막 코스를 편직할 때 다이얼자크(50)에 걸린 첫코스의 실을 벗겨내면서 마지막 코스의 루프와 연결한다.
이렇게 하면 보강부(130)의 첫코스와 마지막코스가 연결되면서 2겹 구조가 된다. (ST13)
도 6(a)는 이러한 과정을 거쳐 제조된 통 형상의 편직물을 나타낸 것이다. 다만 환편기에서 편직 공정을 끝냈을 때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뒤집어진 형상이며, 이 상태의 편직물을 대상으로 봉조공정을 수행하면 제품이 완성된다.
즉,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부(130)의 단부를 발모양에 맞는 적절한 형상으로 재단하고,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단된 단부에 오버로크 등을 통해 봉조부(140)를 형성하고, 뒤집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착용용 편직물이 완성된다. (ST14, ST15)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착용용 편직물(100)은 밴드부(110), 중간부(120) 및 보강부(130)를 연속 공정으로 형성하되, 밴드부(110)와 보강부(130)는 2 겹 구조를 가지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하에서는 도 7a 내지 도 7i를 참조하여, 2겹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환편기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보강부(130)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먼저 도 7a는 통상적인 편직을 진행할 때 환편기의 4개 피더 중에서 제1 피더 부근의 바늘(30)과 다이얼자크(50)의 배치를 예시한 것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의 경우에는 제1 피더를 통과할 때 모든 바늘(30)이 상승해서 실(70)을 걸고 하강하면서 각각 루프를 형성한다.
그러다가 제1 피더에서 공급되는 실(70)을 이용하여 보강부(130)의 첫코스를 형성할 때는,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늘(30)이 1:3의 비율로 상승시킨다. 다시 말하면, 제1 피더 부근에서 1개의 바늘이 상승한 채로 통과하면 연속되는 3개의 바늘은 하강한 채로 통과한다.
바늘(30)을 1:3의 비율로 상승시킨 이후에는,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이얼자크(50)를 다이얼의 바깥으로 돌출시키며, 이로 인해 상승한 2개의 바늘(30) 사이마다 2개씩의 다이얼자크(50)가 돌출된다.
이 상태에서, 바늘(30)과 다이얼자크(50)가 제1 피더를 통과하면, 도 7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승했던 바늘(30)이 보강부(130)의 첫코스에 해당하는 실(70)을 걸고 하강함에 따라 바늘(30) 사이로 돌출된 다이얼자크(50)에 실이 걸리게 된다.
이어서 도 7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이얼자크(50)를 중간위치로 후퇴시키면, 실(70)은 다이얼자크(50)의 후크(52)에 걸린 상태에서 바늘(30)보다 안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첫코스에 해당하는 실(70)이 다이얼자크(50)의 후크(52)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도 7f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속 공급되는 실(70a)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편직을 수행하여 보강부(130)를 형성한다. 즉, 보강부(130)의 첫코스를 구성하는 일부 루프가 다이얼자크(50)의 후크(52)에 걸려있는 상태에서 보강부(130)의 나머지 코스에 대한 편직을 수행한다.
한편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보강부(130)의 전체 코스 중에서 절반에 해당하는 코스를 편직한 후에는 실(70)을 다른 실로 교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부(110)의 첫코스에서 중간부(120)를 거쳐 보강부(130)의 중간코스까지는 나이론사나 커버링사를 공급하여 편직하고, 보강부(130)의 중간코스에서 마지막코스까지는 면사, 은사, 동사 등으로 교체하여 편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보강부(130)의 중간코스에서 마지막코스까지는 보강부(130)의 내층(131)에 해당하는 부분이므로, 이러한 부분을 기능성 실로 편직함으로써 내구성을 높이거나 독특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보강부(130)의 편직을 수행하다가 마지막코스에 도달하면 앞서 다이얼자크(50)에 걸려 있는 첫코스의 실(70)을 다이얼자크(50)에서 분리하여 마지막코스와 연결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도 7g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다이얼자크(50)를 바늘(30)의 바깥까지 돌출시키고, 이어서 제1 피더를 통과하는 바늘을 1:1의 비율로 상승시킨다.
다시 말하면, 첫코스의 실(70)이 걸려 있는 다이얼자크(50)를 바깥쪽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실린더의 바늘(30)을 하나 걸러 하나씩 상승시킨다. 이때 보강부(130)의 첫코스를 형성할 때 제1 피더에서 상승시켰던 바늘은 마지막 코스에서도 상승시키고, 첫코스를 형성할 때 제1 피더에서 하강했던 3개의 바늘 중에서 가운데에 위치하는 바늘은 마지막코스를 형성할 때 상승시킨다.
이렇게 하면, 도 7g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이얼자크(50)의 사이마다 바늘(30)이 상승하게 되고, 특히 다이얼자크(50)에 걸린 실의 안쪽으로 바늘(30)이 상승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7i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이얼자크(50)를 완전히 후퇴시키면, 다이얼자크(50)에 걸렸던 실(70)이 다이얼자크(50)에서 분리된다.
이어서 상승했던 바늘(30)이 후크(32)에 실(70b)을 걸고 하강하면 다이얼자크(50)에서 분리된 첫코스의 실(70)과 루프를 형성하게 되면서 보강부(130)의 첫코스와 마직막 코스가 연결되고, 동시에 보강부(130)의 편직이 종료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완료된 편직물은 도 6(a)와 같은 형태이며, 이후에 보강부(130)의 재단 및 봉조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착용용 편직물(100)이 완성된다.
이상에서는 보강부(130)를 2겹 구조로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밴드부(110)의 경우에도 도 7a 내지 도 7i의 과정을 거쳐 2 겹 구조를 형성하므로 사실상 보강부(130)와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밴드부(110)를 형성한다.
다만 밴드부(110)는 마지막코스와 첫코스를 루프로 연결한 이후에도 계속하여 중간부(120)를 편직해야 하는 차이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밴드부(110)에도 2겹 구조를 적용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가락이나 발바닥을 둘러싸거나 지지하는 보강부(130)를 2겹으로 형성하는 것이 내구성을 강화하고 땀흡수력을 높이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보강부(130)만 본 발명의 방법을 적용하여 형성하고 밴드부(110)는 다른 방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밴드부(110)는 다른 소재를 적용하거나 다른 편직기법을 적용하여 1겹으로 편직할 수도 있고, 밴드부(110)를 별도로 제작한 후에 중간부(120)의 상단에 결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구체적인 적용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된 것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것이라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물론이다.
10: 실린더 20: 다이얼 30: 바늘
32: 후크 50: 다이얼쟈크 52: 후크
70: 실 100: 편직물 110: 밴드부
111: 내층 112: 외층 120: 중간부
130: 보강부 131: 내층 132: 외층
140: 봉조부 150: 절단면

Claims (8)

  1. 중간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중간부에 연속하여 편직되고 첫코스와 마지막코스가 연결되어 2겹으로 이루어진 보강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강부를 재단하고 단부를 봉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보강부의 첫코스에 도달하면 환편기의 제1피더에서 1:3의 비율로 바늘을 상승시키는 단계;
    환편기의 다이얼자크를 바깥쪽으로 이동시켜 상승한 바늘 사이마다 2개씩의 다이얼자크를 돌출시키는 단계;
    상승한 바늘이 실을 걸고 하강함에 따라 바늘 사이로 돌출된 다이얼자크에 실이 걸리는 단계;
    실이 걸려 있는 다이얼자크를 후퇴시키고 상기 보강부의 편직을 계속하는 단계;
    상기 보강부의 마지막코스에 도달하면 환편기의 상기 제1 피더에서 다이얼자크를 바깥쪽으로 이동시켜 바늘의 바깥으로 돌출시키는 단계;
    상기 제1 피더에서 1:1의 비율로 바늘을 상승시켜 다이얼자크의 사이마다 바늘을 위치시키는 단계;
    다이얼자크를 완전히 후퇴시키면, 다이얼자크에 걸려 있던 실이 상승한 바늘에 걸려 다이얼자크로부터 분리되는 단계;
    상승한 바늘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보강부의 첫코스와 마지막코스가 연결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착용용 편직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첫코스에서 중간부분까지는 제1 실을 공급하여 편직하고, 중간부분부터 마지막코스까지는 제2 실을 공급하여 편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착용용 편직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은 나이론사와 커버링사 중에서 하나이고, 상기 제2실은 면사, 은사, 동사 중에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착용용 편직물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를 형성하는 단계의 이전에는, 첫코스와 마지막코스가 연결되어 2겹으로 이루어진 밴드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부는 상기 밴드부에 연속하여 편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착용용 편직물의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80047443A 2018-04-24 2018-04-24 보강부를 구비한 발착용용 편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49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443A KR102049237B1 (ko) 2018-04-24 2018-04-24 보강부를 구비한 발착용용 편직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443A KR102049237B1 (ko) 2018-04-24 2018-04-24 보강부를 구비한 발착용용 편직물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6105A Division KR20190123668A (ko) 2019-01-17 2019-01-17 보강부를 구비한 발착용용 편직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574A KR20190123574A (ko) 2019-11-01
KR102049237B1 true KR102049237B1 (ko) 2019-11-28

Family

ID=68535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7443A KR102049237B1 (ko) 2018-04-24 2018-04-24 보강부를 구비한 발착용용 편직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2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2938B2 (ja) 1997-07-28 2001-01-09 板東繊維株式会社 内外二重靴下の製造法
JP2005154911A (ja) * 2003-11-21 2005-06-16 Unebi Kk 足着用具
JP2010065332A (ja) 2008-09-09 2010-03-25 Hyogo Seni Sox:Kk つまさき部分に孔あき柄を形成した靴下素材もしくは靴下およびつまさき部分に孔あき柄を形成した靴下素材もしくは靴下の編成方法
KR101504874B1 (ko) * 2014-08-25 2015-03-30 박철환 입체밴드가 추가된 고기능성 덧버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993Y1 (ko) 2003-03-19 2003-06-12 김명원 양말의 발가락 주변부와 뒤축부 주변부만 다른 부위보다두껍게 되어진 양말
KR20170133587A (ko) * 2016-05-26 2017-12-06 박철환 슬림밴드를 포함하는 덧버선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2938B2 (ja) 1997-07-28 2001-01-09 板東繊維株式会社 内外二重靴下の製造法
JP2005154911A (ja) * 2003-11-21 2005-06-16 Unebi Kk 足着用具
JP2010065332A (ja) 2008-09-09 2010-03-25 Hyogo Seni Sox:Kk つまさき部分に孔あき柄を形成した靴下素材もしくは靴下およびつまさき部分に孔あき柄を形成した靴下素材もしくは靴下の編成方法
KR101504874B1 (ko) * 2014-08-25 2015-03-30 박철환 입체밴드가 추가된 고기능성 덧버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574A (ko) 201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41096A (en) Sock with triple layer fabric in foot and method
US3796067A (en) Two-ply terry sock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707697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sock having a looped tab
US3425246A (en) Protuberance covering tubular elastic garments
RU2379389C2 (ru) Трикотажное изделие и способ его вязания
JP4347524B2 (ja) 改善されたフートウェアガーメント、製造法及び編機
JP2013521415A (ja) ガーメント、特に医療用圧迫ガーメント
US4958507A (en) Process for making socks
US6158254A (en) Double layer sock and method of making
JP2002526665A5 (ko)
JP2003515001A (ja) 三次元ニットウェアおよび靴下類を製造する方法と装置、ならびに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製品
CN108588998B (zh) 一种编织形成耳片结构的织物及其编织方法
KR200463500Y1 (ko) 발목 밴드가 구비된 덧버선
JP6211482B2 (ja) フットウェアの編成方法
ITMI20000373A1 (it) Procedimento ed apparecchiatura per la produzione di manufatti tubolari in particolare calze chiusi in corrispondenza di un'estremita' assia
ITMI20000374A1 (it)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manufatti tubolari in particolare claze chiusi in corrispondenza di un'estremita' assiale con macchine cir
KR102049237B1 (ko) 보강부를 구비한 발착용용 편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23668A (ko) 보강부를 구비한 발착용용 편직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8220485A1 (en) Sock with double-layer foot portion and bottom toe seam
KR101691734B1 (ko) 연속 공정으로 편직물에 홀을 형성하는 편직방법과 이를 통해 제작된 편직물
US20170273363A1 (en) Comfort hosiery with seamless cushioned area
EP0930388A2 (en) Method for producing stockings with form-fitting shape, and stocking obtained with the method
KR101231595B1 (ko) 실린더형 편직기를 이용한 편직방법
JP3157459U (ja) 筒状編地
US3006169A (en) Method for producing seamless split toe hosi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