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9254Y1 - 의복용 장식사의 구슬간격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의복용 장식사의 구슬간격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9254Y1
KR200219254Y1 KR2019990000251U KR19990000251U KR200219254Y1 KR 200219254 Y1 KR200219254 Y1 KR 200219254Y1 KR 2019990000251 U KR2019990000251 U KR 2019990000251U KR 19990000251 U KR19990000251 U KR 19990000251U KR 200219254 Y1 KR200219254 Y1 KR 2002192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d
beads
chamber
overlock
delivery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02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5655U (ko
Inventor
정연채
Original Assignee
권영규
대림 이엠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규, 대림 이엠비주식회사 filed Critical 권영규
Priority to KR20199900002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9254Y1/ko
Publication of KR200000156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6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92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9254Y1/ko

Links

Landscapes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복에 부착되어 미적심미감을 제공하도록 하는 장식사의 구슬간격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통실에 꾀여진 상태로 구슬이송장치에 의하여 공급된 구슬이 구슬납입부재를 통과할 때 이의 왕복시간을 조절하여 인접하는 두구슬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가장자리를 박음질하는 통상의 오버록머신으로 상호 인접하는 두구슬 사이의 통실을 오버록하므로서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또한 구슬이 이동/유동되지 않도록하는 오버록실이 쉽게 풀어지지 않도록 종래 구슬사통실을 따라 감겨 구슬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하는 것을 통실과 직각되게 오버록처리하여 장식사를 이루고 있는 어느 한 부분의 오버록실이 파손 되더라도 용이하게 풀리어 구슬이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의복용 장식사의 구슬간격 조절장치{Apparatus for control bead distance of decoration thread for clothing}
본 고안은 의복에 부착되어 미적신미감을 제공하는 의복용 장식사의 구슬간격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통실에 꾀여진 상태로 구슬이송장치에 의하여 공급된 구슬이 구슬납입부재를 통과할 때 구슬납입부재의 왕복시간을 조절하여 인접하는 두구슬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며 가장자리를 박음질하는 오버록머신으로 상호 인접하는 두구슬 사이의 통실을 어버록처리하여 구슬이 일정한 간격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한 의복용 장식사의 구슬간격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개의 구슬이 실로써 서로 이어져 있는 장식용 줄구슬로는 목걸이와 같이 일정한 길이내에서 구슬 한 가운데로 관통된 실을 중심으로 유동되지 않는 형태, 즉, 몰드와 같은 방법으로 제작되어 일정한 모양으로 고정된 형태로 된 것이나 또는 수작업에 의해 제조되어 구슬의 간격이 불규칙적으로 이뤄진 줄구슬(이하 장식사라칭함)등이 대부분이고 주로 무대의상이나 드레스및 평상복의 장식용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장식사는 장식효과를 최대한 증대시키기 위한 구슬의 간격조정 또는 다양한 실의 종류를 임의로 적절하게 조정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즉, 장식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장식사는 통상적으로 구슬의 형상 및 크기와 배열간격 등이 자유자제로 조정되고 또한, 구슬을 연결시키는 실의 종류도 장식의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되어질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구슬의 간격을 수작업에 의해 조정하여 줄구슬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 인접하는 두구슬의 간격이 불규칙 및 작업효율의 저하등으로 인해 원가상승의 요인이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95-9669호가 제안된바, 이는 첨부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줄구슬 제조장치는 구슬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홈을 이용하여 사통실(100)로 연결된 구슬(200)을 일정간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350)가 일측면부에 위치하고, 상기 이송장치(350)에 의해 이송되는 구슬(200)을 측면에서 지지하는 구슬지지대(190)가 이송장치(350)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줄구슬을 형성하기 위한 다음 공정으로 진행하기까지 안내하고 있다.
상기 구슬 지지대(190)로 부터 이송되어 나온 구슬(200)과 함께 구슬(200)을 관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사통실(100)및 상기 사통실(100)주위로 엮어지는 꼬임실(110)등을 수용하여 줄구슬을 형성하는 꼬임장치(340)가 상기 이송장치(350)와 더불어 일련의 연결고정으로 이뤄지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 꼬임장치(340)의 상단에는 구슬(200)과 함께 사통실(100) 및 심선 형성실(310,320)이 삽입되는 구슬납입구(500)가 위치해 있으며, 상기 구슬 납입구(500)의 상단에는 체결너트(300)가 결합구(900) 측면에 형성된 나선을 따라 내려가면서 구슬납입구(500)를 결합구(900)와 함께 체결시킨다. 상기 결합구(900)의 안쪽에는 가운데가 관통되어 있는 원통형 회전축(800)이고 회전축(800)은 체결너트(300) 및 구슬납입구(500)의 회전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 되어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줄구슬 제조장치의 작동은 구슬(20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구슬(200)을 꿰고 있는 구슬사통실(100)과 줄구슬의 심선을 형성하는 심선형성실(310,320)은 체결너트(300)의 가운데 구멍과 구슬납입구(500)의 삽입홈(600) 및 회전축(800)안으로 들어가고, 동시에 1차 꼬임실(110)이 체결너트(300)의 상부에 파여진 실걸이홈(400) 걸쳐지게 하여 구슬납입구 삽입홈(600)으로 들어가도록 한다.
상기 줄구슬의 심섬을 형성하는 두개의 실(310,320)은 체결너트(300)의 실걸이홈(400)에 걸치지 않고 체결너트(300)의 상부에서 구슬납입구 삽입홈(600)으로 바로 들어가고, 체결너트(300)와 구슬납입구(500)가 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1차 꼬임실(110)은 상기 두개의 심선 형성실(310,320)과 구슬 사통실(100)을 서로 엮게 된다.
이때, 상기 심선형성실(310,320)은 본 고안의 실시에에서는 두개의 실로 구성하였으나, 줄구슬의 사용용도에 따라 실의 갯수와 종류 및 굵기등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한편, 2차 꼬임실(130)은 상기 구슬납입구(500)보다 아래에 위치한 2차 꼬임실 투입홈(330)으로 들어가서 상기 구슬납입구(50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회전축(800)의 상단부에 형성된 관통홈으로 나오도록 하여 회전축(800)과 함께 회전한다.
따라서, 내부의 회전축(800)은 2차 꼬임회전기어(140)와 일체가 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체결너트(300)로 부터 구슬납입구(500)와 결합구(900) 및 1차 꼬임회전기어(120)가 일체가 되어 동일방향으로 움직이되 상기의 회전축(800) 및 2차 꼬임회전기어(140)와는 기어변환장치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사통실(100)로 이어져 있는 구슬(200)이 구슬납입구(500)의 내부로 삽입되어 심선 형성실(310,320)과 제1차 꼬임실(110) 및 2차 꼬임실(120)에 의해 첨부도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줄구슬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되는 종래 줄구슬 제조장치는 구슬사통실에 꿰여져 1,2차꼬임실의 어느 일부분에서 풀림현상이 일어날 경우 연속적으로 고임실의 풀림이 발생되어 구슬을 고정하는 공정력이 해지됨으로 구슬이 이동/유동되어 미적신미감 저하 및 구슬사통실의 끈김으로 섬유원단에서 장식사가 탈거되어 그 부위가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이의 목적은 통실에 꾀여진 상태로 구슬이송장치에 의하여 공급된 구슬이 구슬납입부재를 통과할 때 구슬납입부재의 왕복시간을 조절하여 인접하는 두구슬 사이의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함과, 상기 구슬납입부재에 의하여 간격이조절된 서로 인접하는 두구슬 사이의 통실을 오버록처리하여 구슬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함 및 구슬이 이동/유동되지 않도록하는 오버록실이 쉽게 풀어지지 않도록 종래 구슬사통실을 따라 감겨 구슬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하는 것을 통실과 직각되게 오버록처리하는 의복용 장식사의 구슬간격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다리부재의 상부에 테이블을 구비하고 다부부재의 하단에는 모터부재를 구동시키는 발판스위치가 설치되는 몸체와; 지지대의 전,후단에는 솔레노이드가 부착된 브라켓트를 고정 설치하되 솔레노이드에는 통실이 관통하는 홈을 다수 형성한 격판이 구비되고 브라켓트의 바깥쪽 하단에는 고정축에 회전가능하도록 다수의 로울러로 이루어진 구슬공급장치와; 가장자리를 박음질하는 통상의 오버록머신과; 상기 구슬공급장치에 의해 공급된 구슬및 통실이 유동되지 않도록하는통실가이드로울러와; 로드의 일측은 연결부를 형성하고 그 타측으로는 걸림홈을 직교하는 구슬통과공을 형성하는 걸림편이 구비되되 구슬통과공을 형성하는 양단의 걸림편은 각각다른 뚜께로 형성되면서 대향하는 경사면을 갖는 구슬납입부재와; 상기 구슬납입부재를 왕복운동시켜 왕복시간을 조정하여 구슬의 간격을 조절하는 구슬납입부재콘트롤박스와; 상기 오보록머신, 실패유동수단 및 실패를 구동시키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을 감속시키는 감속장치의 회전축에는 캠이 축설되고 이 캠의 외형을 따라 운동하는 제1운동전달바와 제2운동전달바로 이루어진 실패유동수단과; 상기 실패유동수단에 의하여 유동되어 인접하는 두구슬의 간격이 조절된 장식사를 감는 실패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의복용 장식사의 구슬간격 조절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한편, 상기 구슬납입부재에 있어서, 걸림홈을 직교하는 구슬통과공을 형성하는 걸림편이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실린더부재에 의하여 전진 및 후진이 이루어질때 통실에 궤여진 구슬은 후진시에 구슬관통공을 통과하도록된 구슬납입주재를 설치한 의복용 장식사의 구슬간격 조절장치에 의하여도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구슬의 간격 조절장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구슬의 간격 조절장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인 구슬납입부재의 사시도.
도 5a 및 5b는 도 4의 구슬납입부재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요부인 구슬납입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a는 종래의 구슬 간격 조절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b는 종래 구슬 간격 조절장치에 의해 제조된 장식사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구슬간격 조절장치10,10a : 구슬공급장치12,12a : 솔레노이드16,16a : 격판17 : 로울러20 : 오버록머신
21 : 오버록 스티치30 : 통실가이드로울러40 : 구슬납입부재41 : 로드43 : 걸림홈44 : 구슬관통공
45,45a : 걸림편50 : 구슬납입부재콘트롤박스
46,46a : 경사면60 : 실패유동수단61,63 : 감속장치
62 : 축봉64 : 기어부재65 : 캠부재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구슬의 간격 조절장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구슬의 간격 조절장치 측면도로써, 이에 의하면 본 고안인 의복용 장식사의 구슬간격 조절장치(1)는 지지대(11)의 전,후단으로 구슬이 꿰여진 상태로 걸쳐지는 구슬공급장치(10,10a)와, 가장자리를 박음질하는 통상의 오버록머신(20)과, 상기 구슬공급장치(10,10a)에 의해 공급된 구슬(2) 및 통실(3)이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통실가이드로울러(30)와, 구슬(2)의 간격을 조절하는 구슬납입부재(40)와, 상기 구슬납입부재(40)를 왕복운동시켜 왕복시간을 조정하여 구슬의 간격을 조절하는 구슬납입부재콘트롤박스(50)와, 상기 오버록머신(20), 실패(70)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80)와, 실패에 장식사가 용이하게 권취되도록하는 실패유동수단(60)으로 대별 구성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구슬공급장치(10,10a)는 다리부재(4)의 상부에 테이블(5)이 구비되고 다리부재(4)의 하단에는 구동모터(80)를 구동시키는 스위치가 설치되며, 테이블(5) 상면 후단으로는 세로지지대의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가로지지대가 연결 설치되는 지지대(11)가 고정되되, 상기 세로지지대는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높이조절수단이 설치되어 있있다.
한편, 상기 가로지지대의 양측단 전,후단으로는 솔레노이드(12,12a)가 부착된 브라켓트(13)가 고정 설치되고, 이 솔레노이드(12,12a)에는 통실(3)이 관통하면서 통실(2)에 꿰여진 구슬(2)을 통과시키지 않도록하는 홈을 다수 형성한 격판(16,16a)이 구비되고 브라켓트(13)의 바깥쪽 하단에는 고정축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다수의 로울러(17)로 이루어진 구조있다.
한편, 몸체(6)를 구성하는 테이블(5) 상면에는 가장자리를 박음질하는 오버록 스티치(21)에 한 실이 꿰어지고 다른 루우퍼 실 등을 포함하여 두 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져 박음질하는 통상의 오버록머신(2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첨부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록머신(20)의 전면부에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구슬공급장치(10,10a)에 의해 공급된 구슬(2) 및 통실(3)이 실패(70)에 의하여 당겨져 감질 때 다시말하여 구슬(2)이 오버록머신(20)쪽으로 이동될 때 오버록 스티치(21)의 중심선상에서 유동되어 벗어나지 않도록하는 통실가이드로울러(3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구슬납입부재(40)는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보록머신(20)의 오버록 스티치(21)와 통실가이드로울러(30) 사이에 설치되며, 로드(41)의 일측은 실린더부재와 연결되어 압력의 변화를 전달하는 호스부재와 연결 구성되도록 연결부(42)를 형성하고, 그 타측으로는 구슬(2)의 중심부가 삽입되어 하나의 구슬만이 걸리도록하는 걸림홈(43)을 형성한다.
이 걸림홈(43)의 중심부에는 직교하는 구슬통과공(44)을 형성하는 걸림편(45,45a)이 구비되되, 상기 구슬통과공(44)을 형성하는 양단의 걸림편(45,45a)은 각각 다른 뚜께로 형성되면서 대향하는 끝단에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46,46a)을 형성한 구조이다.
한편, 실린더수단의 구동시간 다시말하여 구슬납입부재(40)의 왕복시간을 조정하여 구슬의 간격을 조절하는 구슬납입부재콘트롤박스(50)가 테이블(5) 상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테이블(5)의 하부에는 오버록머신(20) 및 실패(70)를 구동시키 구동모터(80)가 다리부재(4)의 스위치와 로드로 연결 설치되어 스위치의 작동여부에 따라서 기기자체의 구동여부가 결정된다.
상기 구동모터(80)의 회전축에는 2중의 플리가 설치되어 하나는 테이블(5) 상에 설치된 오버록머신(20)을 구동시키는 풀리와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풀리는 실패유동수단(60)을 동작시키는 풀리와 연결 설치된다.
상기 실패유동수단(60)은 테이블(5)로부터 소정 간격 상부로 이격되게 설치된 베어링에 의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축봉(62)이 축설되고, 이 축봉(62)은 구동모터(80)의 회전력을 감소시키는 감속장치(63)에 의하여 감속된 회전력이 감속장치(63)의 회전축에 축설되 기어와 치합되는 기어부재(64)에 의하여 회전된다.
한편 감속장치(63)에 의하여 회전하는 축봉(62)에는 캠부재(65)을 구동시키는 감속장치(61)의 풀이와 연결되고 축봉(62)에는 실패(70)와 연결되는 풀리가 설치되어 있으며,상기 캠부재(65)의 회전력은 외형을 따라 운동하는 제1운동전달바(66)와 제2운동전달바(67)에 의하여 실정열로울러(68)를 유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의복용 장식사의 구슬간격 조절장치(1)의 작동을 설명하면, 먼저 다리부재(4)의 상부에 설치된 테이블(5) 상부 일측에 세로지지대와 가로지지대로 이루어진 지지대(11)가 고정 설치됨에 있어, 세로지지대에 구비된 높이조절수단을 이용하여 세로지지대의 높이를 조정한 다음 구슬(2)이 꿰여진 통실(3)을 전방의 구슬공급장치(10)와 후방의 구슬공급장치(10a)에 걸고난 후 통실가이드로울러(30)를 경유하여 오버록머신(20)의 오버록 스티치(21)의 바로 하단을 지나가서 실패(70)에 권취되도록 통실(3)을 연결한다.
이때, 구슬공급장치(10,10a)에 걸려지는 통실(3)은 브라켓트(13)에 고정된 솔레노이드(12,12a)의 작동에 의하여 상,하운동하는 격판(16,16)의 홈을 관통하여 걸려지게 되며, 통실(3)에 꿰여진 구슬(2)은 1차적으로 전방 구슬공급장치(10)에 의하여 공급 즉, 전진이 제한되다가 인의적인 작업자의 스위칭신호와 소정의 시간경과에 의해 자동으로 솔레노이드(12)가 작동하여 격판(16)을 상승시키게 된다.
그리하면 격판(12)이 상부로 들어지게 됨으로 홈은 통실(3)에서 이탈되게 되면서 구슬(2)이 전진되게 되는 것이며,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솔레이노드(12)의 작동이 해지됨과 동시에 이와 같이 연동하는 격판(16)이 하강하여 다시 구슬(2)의 전진을 막게 된다.
한편, 전방의 구슬공급장치(12)를 통과한 구슬(2)은 실패(70)에 의하여 감겨지는 통실(3)을 따라 이송하다가 다시 후방의 구슬공급장치(12a)에 의하여 2차적으로 공급이 제한되는데, 이는 전방 구슬공급장치(10)의 작동과 동일하게 작동되며 전,후방에 설치된 구슬공급장치(12,12a)가 각각 개별적으로 작동되거나 전,후방 구슬공급장치가 서로 같이 연동하여 작동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구슬공급장치(12,12a)에 의하여 공급/이송된 구슬(2)은 지지대(11)에서 자유낙하되며, 통실가이드로울러(30)에 의해 수평으로 정열되면서 오버록머신(20)쪽으로 이송된 구슬(2)은 구슬납입부재(40)에 걸려 이송이 제한되면서 통실(3)만이 이송되게 된다.
한편, 구슬납입콘트롤박스(50)에 의해 왕복운동시간이 조절되고 실린더부재와 호스부재로 연결되어 구동되는 구슬납입부재(40)에 걸려진 구슬(2)은 구슬납입부재(40)의 왕복운동시의 전진방향때 통과된다.
이는 첨부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에 의하여 실린더수단의 압력변화를 연결부(42)로 전달하여 상기 구슬납입부재(40)를 동작시켜 전진시키면 걸림홈(43)에 하나의 구슬(2)만이 걸려지게 되는데, 이때 걸림홈(43)에 걸려진 구슬(2)은 그 중심이 걸림홈(43)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구슬납입부재(40)의 전진시 걸림홈(43)에 의하여 같이 전진되며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된 걸림편(45,45a)에 의해 두께가 얇은 걸림편(45a)쪽으로 구슬 중심이 이동됨과 동시에 두께가 두꺼운 걸림편(45)의 경사면(46)이 구슬(2)을 밀게 된다.
그리하면 구슬(2)은 밀리게 되면서 두께가 얇은 걸림편(45a)의 경사면(46a)에 걸리게 되는데 힘을 가하는 두께가 두꺼운 걸림편(45)의 경사면(46)과 힘을 받는 두께가 얇은 걸림편(45a)의 경사면(46a)이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구슬(2)은 구슬관통공(44)을 관통하고 후진시는 원위치로 복귀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한편 첨부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43)을 직교하는 구슬통과공(44)을 형성하는 걸림편(45,45a)이 후면에 형성되어 실린더부재에 의하여 전진 및 후진이 이루어질때 통실(3)에 꿰여진 구슬(2)이 후진시에 구슬관통공(44)을 통과하도록된 구슬납입주재(40a)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구슬납입부재(40)를 통과한 구슬(2)은 통실(3)과 같이 이송되면서 오버록머신(20)에 의하여 오버록되는데 구슬납입부재(40)의 왕복시간이 짧으면 구슬과 구슬간의 간격이 좁고 왕복시간이 길면 인접하는 두구슬간의 간격이 넓게 형성됨을 알 수 있으며, 통실(3)에 오버록처리되는 실은 통실(3)과 직교되게 오버록되므로 종래의 통실과 같은 수평방향으로 감겨지면서 구슬을 고정하는 것보다 견고히 고정된다.
한편, 오버록처리된 장식사는 실패(70)에 권취되는데 실패(70)가 고정되어 회전됨으로 장식사는 실패(70)의 어느 한 곳에 집중적으로 권취되는 것이 실패유동수단(60)에 의하여 방지되면서 실패의 각부위에 일정하게 권취된다.
상기 실패유동수단(60)의 작동은 다리부재(4)의 하단에 설치된 구동모터(80)의 작동과 동시에 회전축에 축설된 2개의 풀리중 오버록머신(20)으로 구동모터(8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풀리를 제외한 다른 풀리가 감속장치(63)의 풀리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구동모터(80)의 회전력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감소된 회전력은 치합된 기어부재(64)를 회동시켜 기어부재(64)가 축설된 축봉(62)에 그 회전력을 전달한다.
그리하면, 축봉(62)에 축설된 풀리도 회전되며 이 풀리는 캠부재(65)가 축설된 감속장치(61)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2차적으로 회전력을 감소시켜 캠부재(65)를 저속으로 구동시키다.
상기 캠부재(65)가 저속으로 회동하면 그 외주연을 따라 구동하는 제1운동전달바(66) 및 제2운동전달바(67)도 연동되어 직선운동으로 전환되며 제2운동전달바(67)의 일측 끝단에는 실패(70)의 상부에 위치되게 설치되고 이의 끝단에 실정열로울러(68)를 직선운동시키므로서 실패(70)에 권취되는 장식사를 권취시킨다.
상기와 같이 장식사가 실패에 권취된 상태에서 의복에 소정의 모양을 형성시켜 미적신미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되는 본 고안은 통실에 꾀여진 상태로 구슬이송장치에 의하여 공급된 구슬이 구슬납입부재를 통과할 때 구슬납입부재의 왕복시간을 조절하여 인접하는 두구슬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며 가장자리를 박음질하는 오버록머신으로 상호 인접하는 두구슬 사이의 통실을 오버록하므로서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며, 또한 통실에 꾀여진 상태로 구슬이송장치에 의하여 공급된 구슬이 구슬납입부재를 통과할 때 구슬납입부재의 왕복시간을 조절하여 인접하는 두구슬 사이의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함과 구슬이 이동/유동되지 않도록하는 오버록실이 쉽게 풀어지지 않도록 종래 구슬사통실을 따라 감겨 구슬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하는 것을 통실과 직각되게 오버록하여 다양한 모양으로 의복에 장식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미적신미감을 더해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다리부재의 상부에 테이블을 구비하고 다부부재의 하단에는 구동모터를 구동시키는 스위치부재가 설치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테이블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대의 전,후단에 솔레노이드가 부착된 브라켓트를 고정 설치하되 솔레노이드에는 통실이 관통하는 홈을 다수 형성한 격판이 구비되고 브라켓트의 바깥쪽 하단에는 고정축에 회전가능하도록 다수의 로울러로 이루어진 구슬공급장치와;
    가장자리를 박음질하는 통상의 오버록머신과;
    상기 구슬공급장치에 의해 공급된 구슬및 통실이 유동되지 않도록하는통실가이드로울러와;
    상기 오보록머신의 오버록바늘의 전면에 설치되며 로드의 일측은 연결부를 형성하고 그 타측으로는 걸림홈을 직교하는 구슬통과공을 형성하는 걸림편이 구비되되 구슬통과공을 형성하는 양단의 걸림편은 각각다른 뚜께로 형성되면서 대향하는 경사면을 갖는 구슬납입부재와;
    상기 구슬납입부재를 왕복운동시키는 실린더수단의 왕복시간을 조정하여 구슬의 간격을 조절하는 구슬납입부재콘트롤박스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을 감속시키는 감속장치의 회전축에는 캠부재가 축설되고 이 캠부재의 외형을 따라 운동하면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절환하는 제1운동전달바와 실정열로울러가 부설된 제2운동전달바로 이루어진 실패유동수단과;
    상기 실패유동수단에 의하여 유동되어 인접하는 두구슬의 간격이 조절된 장식사를 감는 실패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의복용 장식사의 구슬간격 조절장치.
  2. 제 1 항의 구슬납입부재에 있어서, 걸림홈을 직교하는 구슬통과공을 형성하는 걸림편이 후면에 형성되어 실린더부재에 의하여 전진 및 후진이 이루어질때 통실에 꿰여진 구슬이 후진시에 구슬관통공을 통과하도록된 구슬납입주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의복용 장식사의 구슬간격 조절장치.
KR2019990000251U 1999-01-13 1999-01-13 의복용 장식사의 구슬간격 조절장치 KR2002192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251U KR200219254Y1 (ko) 1999-01-13 1999-01-13 의복용 장식사의 구슬간격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251U KR200219254Y1 (ko) 1999-01-13 1999-01-13 의복용 장식사의 구슬간격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655U KR20000015655U (ko) 2000-08-05
KR200219254Y1 true KR200219254Y1 (ko) 2001-04-02

Family

ID=54758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0251U KR200219254Y1 (ko) 1999-01-13 1999-01-13 의복용 장식사의 구슬간격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925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8524A (ko) * 1999-11-26 2001-06-15 안성용 직물용 비드
CN109549301B (zh) * 2017-09-27 2023-09-12 深圳市金百泰珠宝实业有限公司 旋转锁口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655U (ko) 200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21929A (en) Tufting mechanism,method,stitches and article
KR200219254Y1 (ko) 의복용 장식사의 구슬간격 조절장치
KR100532713B1 (ko) 의복용 단추의 재봉실 측면 감침장치
KR101026814B1 (ko) 누비기용 비 누비부 간격조절장치
KR200270890Y1 (ko) 의복용 장식사의 비드간격 조절장치
CN215826357U (zh) 一种弦丝排图机
CN101778970B (zh) 针织物的编织方法及横编机
US5566629A (en) Tufting machine patterning apparatus
DE202005010077U1 (de) Nähmaschine oder Antrieb-System für Nähmaschinen
KR930010999B1 (ko) 자수기용 장치
KR19980032896A (ko) 편직물 끝행의 올풀림 방지 방법
US575851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composite drawcord/elastic waistband
CA1151887A (en) Multiple stitch-through fabrics
KR200170835Y1 (ko) 자수기기용 실 제사기(製絲機) 및 물품
CN2104234U (zh) 超高段位三系统添纱绣花织袜机
CN218951656U (zh) 一种适用连续织物带防卷边防脱散锁边装置
CN103850049A (zh) 一种带有花版编织装置的针织机
CN212247435U (zh) 一种用于绷缝机中的布条输送装置
CN202989470U (zh) 一种带有花版编织装置的针织机
CN115992414A (zh) 锁式线迹及其缝纫方法
CN117385548A (zh) 一种多针道复合编的加工装置
CN201424549Y (zh) 圆筒织带机
KR101987649B1 (ko) 체인 스티치 재봉기
TW201124575A (en) Yarn-transporting device of knitting machine.
CN113665282A (zh) 一种弦丝排图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