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890Y1 - 의복용 장식사의 비드간격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의복용 장식사의 비드간격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890Y1
KR200270890Y1 KR2020010039659U KR20010039659U KR200270890Y1 KR 200270890 Y1 KR200270890 Y1 KR 200270890Y1 KR 2020010039659 U KR2020010039659 U KR 2020010039659U KR 20010039659 U KR20010039659 U KR 20010039659U KR 200270890 Y1 KR200270890 Y1 KR 2002708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d
beads
failure
delivery means
spa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96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아남
Original Assignee
박아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아남 filed Critical 박아남
Priority to KR20200100396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8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8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890Y1/ko

Links

Landscapes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복에 부착되어 미적신미감을 제공하는 의복용 장식사의 비드간격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통실에 꾀여진 상태로 비드가송장치에 의하여 공급된 비드가 비드납입수단을 통과할 때 비드납입수단의 작동시간을 조절하여 인접하는 두비드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며 가장자리를 박음질하는 오버록머신으로 상호 인접하는 두 비드 사이의 통실을 오버록처리하여 비드가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의복용 장식사의 비드간격 조절장치{Apparatus for control bead distance of decoration thread for clothing}
본 고안은 의복에 부착되어 미적신미감을 제공하는 의복용 장식사의 비드간격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통실에 꾀여진 상태로 비드이송장치에 의하여 공급된 비드 또는 막대형 비드납입수단을 통과할 때 비드납입수단의 작동시간을 조절하여 인접하는 두비드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가장자리를 박음질하는 오버록머신으로 상호 인접하는 두비드 사이의 통실을 오버록처리하여 비드가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한 의복용 장식사의 비드간격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개의 비드가 실로써 서로 이어져 있는 장식용 줄비드로는 목걸이와 같이 일정한 길이내에서 비드 한 가운데로 관통된 실을 중심으로 유동되지 않는 형태, 즉, 몰드와 같은 방법으로 제작되어 일정한 모양으로 고정된 형태로 된것이나 또는 수작업에 의해 제조되어 비드의 간격이 불규칙적으로 이뤄진 줄비드(이하 장식사라칭함)등이 대부분이고 주로 무대의상이나 드레스및 평상복의 장식용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장식사는 장식효과를 최대한 증대시키기 위한 비드의 간격조정 또는 다양한 실의 종류를 임의로 적절하게 조정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즉, 장식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장식사는 통상적으로 비드의 형상 및 크기와 배열간격 등이 자유자제로 조정되고 또한, 비드를 연결시키는 실의 종류도 장식의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되어질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비드의 간격을 수작업에 의해 조정하여 줄비드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 인접하는 두비드의 간격이불규칙 및 작업효율의 저하등으로 인해 원가상승의 요인이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95-9669호가 제안된바, 이는 첨부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줄비드 제조장치는 비드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홈을 이용하여 사통실(100)로 연결된 비드(200)을 일정간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350)가 일측면부에 위치하고, 상기 이송장치(350)에 의해 이송되는 비드(200)을 측면에서 지지하는 비드지지대(190)가 이송장치(350)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줄비드를 형성하기 위한 다음 공정으로 진행하기까지 안내하고있다.
상기 비드 지지대(190)로 부터 이송되어 나온 비드(200)과 함께 비드(200)을 관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사통실(100)및 상기사통실(100)주위로 엮어지는 꼬임실(110)등을 수용하여 줄비드를 형성하는 꼬임장치(340)가 상기 이송장치(350)와 더불어일련의 연결고정으로 이뤄지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 꼬임장치(340)의 상단에는 비드(200)과 함께 사통실(100) 및 심선 형성실(310,320)이 삽입되는 비드납입구(500)가위치해 있으며, 상기 비드 납입구(500)의 상단에는 체결너트(300)가 결합구(900) 측면에 형성된 나선을 따라 내려가면서비드납입구(500)를 결합구(900)와 함께 체결시킨다. 상기 결합구(900)의 안쪽에는 가운데가 관통되어 있는 원통형 회전축(800)이고 회전축(800)은 체결너트(300) 및 비드납입구(500)의 회전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 되어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줄비드 제조장치의 작동은 비드(200)의 중심부를관통하여 비드(200)을 꿰고 있는 비드사통실(100)과 줄비드의 심선을 형성하는 심선형성실(310,320)은 체결너트(300)의 가운데 구멍과 비드납입구(500)의 삽입홈(600) 및 회전축(800)안으로 들어가고, 동시에 1차 꼬임실(110)이 체결너트(300)의 상부에 파여진 실걸이홈(400) 걸쳐지게 하여 비드납입구 삽입홈(600)으로 들어가도록 한다.
상기 줄비드의 심섬을 형성하는 두개의 실(310,320)은 체결너트(300)의 실걸이홈(400)에 걸치지 않고 체결너트(300)의 상부에서 비드납입구 삽입홈(600)으로 바로 들어가고, 체결너트(300)와 비드납입구(500)가 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1차 꼬임실(110)은 상기 두개의 심선 형성실(310,320)과 비드 사통실(100)을 서로 엮게 된다.
이때, 상기 심선형성실(310,320)은 본 고안의 실시에에서는 두개의 실로 구성하였으나, 줄비드의 사용용도에 따라 실의갯수와 종류 및 굵기등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한편, 2차 꼬임실(130)은 상기 비드납입구(500)보다 아래에 위치한 2차 꼬임실 투입홈(330)으로 들어가서 상기 비드납입구(50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회전축(800)의 상단부에 형성된 관통홈으로 나오도록 하여 회전축(800)과 함께 회전한다.
따라서, 내부의 회전축(800)은 2차 꼬임회전기어(140)와 일체가 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체결너트(300)로 부터비드납입구(500)와 결합구(900) 및 1차 꼬임회전기어(120)가 일체가 되어 동일방향으로 움직이되 상기의 회전축(800) 및2차 꼬임회전기어(140)와는 기어변환장치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사통실(100)로 이어져 있는 비드(200)이 비드납입구(500)의 내부로 삽입되어 심선 형성실(310,320)과 제1차 꼬임실(110)및 2차 꼬임실(120)에 의해 첨부도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줄비드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되는 종래 줄비드 제조장치는 비드사통실에 꿰여져 1,2차꼬임실의 어느 일부분에서 풀림현상이일어날 경우 연속적으로 고임실의 풀림이 발생되어 비드를 고정하는 공정력이 해지됨으로 비드가 이동/유동되어 미적신미감 저하 및 비드사통실의 끈김으로 섬유원단에서 장식사가 탈거되어 그 부위가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이의 목적은 통실에 꾀여진 상태로 비드가송장치에 의하여 공급된 비드가 비드납입수단을 통과할 때 비드납입수단의 회전시간을 조절하여 인접하는 두비드 사이의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함과, 상기 비드납입수단에 의하여 간격이조절된 서로 인접하는 두비드 사이의 통실을 오버록처리하여 비드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함 및 비드가 이동/유동되지 않도록하는 오버록실이 쉽게 풀어지지 않도록 종래 비드사통실을 따라 감겨 비드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하는 것을 통실과 직각되게 오버록처리하는 의복용 장식사의 비드간격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비드의 간격 조절장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비드의 간격 조절장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인 비드납입수단의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절결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 구성도.
도 6a는 종래의 비드 간격 조절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종래 비드 간격 조절장치에 의해 제조된 장식사를보여주는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다리부재의 상부에 테이블을 구비하고 다리부재의 하단에는 모터부재를 구동시키는 발판스위치가 설치되는 몸체와; 지지대의 전,후단에는 솔레노이드가 부착된 브라켓트를 고정 설치하되 솔레노이드에는 통실이 관통하는 홈을 다수 형성한 격판이 구비되고 브라켓트의 바깥쪽 하단에는 고정축에 회전가능하도록 다수의 로울러로 이루어진 비드공급장치와; 가장자리를 박음질하는 통상의 오버록머신과; 상기 비드공급장치에 의해 공급된 비드및 통실이 유동되지않도록하는 통실가이드로울러와; 실에 꾀여진 비드를 통시키는 통공이 구비된 가이드부재의 설치공에 삽입되는 치차를 일정간격으로 형성한 회전축에는 구동모터가 연결된 워엄형분리부재로 이루어진 비드납입수단과; 상기 비드납입수단을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비드의 간격을 조절하는 비드납입수단콘트롤박스와;상기 오보록머신, 실패유동수단 및 실패를 구동시키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을 감속시키는 감속장치의 회전축에는 캠이 축설되고 이 캠의 외형을 따라 운동하는 제1운동전달바와 제2운동전달바로 이루어진 실패유동수단과; 상기 실패유동수단에 의하여 유동되어 인접하는 두비드의 간격이 조절된 장식사를 감는 실패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의복용 장식사의 비드간격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드납입수단이 가이드부재의 설치공에 삽입되는 치차를 일정간격으로 형성한 회전축에는 구동모터가 연결된 워엄형분리부재로 이루어진 비드납입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용 장식사의 비드간격 조절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비드의 간격 조절장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비드의 간격 조절장치 측면도로써, 이에 의하면 본 고안인의복용 장식사의 비드간격 조절장치(1)는 지지대(11)의 전,후단으로 비드가 꿰여진 상태로 걸쳐지는 비드공급장치(10,10a)와, 가장자리를 박음질하는 통상의 오버록머신(20)과, 상기 비드공급장치(10,10a)에 의해 공급된 비드(2) 및 통실(3)이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통실가이드로울러(30)와, 비드(2)의 간격을 조절하는 비드납입수단(40)과, 상기 비드납입수단(40)을 회전시켜 비드의 간격을 조절하는 비드납입수단콘트롤박스(50)와, 상기 오버록머신(20), 실패(70)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80)와, 실패에 장식사가 용이하게 권취되도록하는 실패유동수단(60)으로 대별 구성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비드공급장치(10,10a)는 다리부재(4)의 상부에 테이블(5)이 구비되고 다리부재(4)의 하단에는 구동모터(80)를 구동시키는 스위치가 설치되며, 테이블(5) 상면 후단으로는 세로지지대의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가로지지대가 연결 설치되는 지지대(11)가 고정되되, 상기 세로지지대는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높이조절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가로지지대의 양측단 전,후단으로는 솔레노이드(12,12a)가 부착된 브라켓트(13)가 고정 설치되고, 이 솔레노이드(12,12a)에는 통실(3)이 관통하면서 통실(2)에 꿰여진 비드(2)을 통과시키지 않도록하는 홈을 다수 형성한 격판(16,16a)이 구비되고 브라켓트(13)의 바깥쪽 하단에는 고정축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다수의 로울러(17)로 이루어진 구조있다.
한편, 몸체(6)를 구성하는 테이블(5) 상면에는 가장자리를 박음질하는 오버록 스티치(21)에 한 실이 꿰어지고 다른 루우퍼 실 등을 포함하여 두 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져 박음질하는 통상의 오버록머신(2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첨부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록머신(20)의 전면부에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비드공급장치(10,10a)에 의해공급된 비드(2) 및 통실(3)이 실패(70)에 의하여 당겨져 감질 때 다시말하여 비드(2)이 오버록머신(20)쪽으로 이동될 때오버록 스티치(21)의 중심선상에서 유동되어 벗어나지 않도록하는 통실가이드로울러(3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비드납입수단(40)은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보록머신(20)의 오버록 스위치(21)와 통실가이드로울러(30) 사이에 설치되어서 실에 꾀여진 비드를 통시키는 통공이 구비된 가이드부재(41)의 설치공(41a)에 삽입되는 치차(42a)를 일정간격으로 형성한 회전축(41b)에는 구동모터(43)가 연결된 워엄형분리부재(42)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한편, 워엄형분리부재(42)로의 회전속도를 조정하여 비드의 공급간격을 조절하므로서 사통실에 괴여진 비드의 간격을 조절하는 비드납입수단콘트롤박스(50)가 테이블(5) 상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테이블(5)의 하부에는 오버록머신(20) 및 실패(70)를 구동시키 구동모터(80)가 다리부재(4)의 스위치와 로드로 연결 설치되어 스위치의 작동여부에 따라서 기기자체의 구동여부가 결정된다.
상기 구동모터(80)의 회전축에는 2중의 플리가 설치되어 하나는 테이블(5)상에 설치된 오버록머신(20)을 구동시키는 풀리와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풀리는 실패유동수단(60)을 동작시키는 풀리와 연결 설치된다.
상기 실패유동수단(60)은 테이블(5)로부터 소정 간격 상부로 이격되게 설치된 베어링에 의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축봉(62)이 축설되고, 이 축봉(62)은 구동모터(80)의 회전력을 감소시키는 감속장치(63)에 의하여 감속된 회전력이 감속장치(63)의 회전축에 축설되 기어와 치합되는 기어부재(64)에 의하여 회전된다.
한편 감속장치(63)에 의하여 회전하는 축봉(62)에는 캠부재(65)을 구동시키는 감속장치(61)의 풀이와 연결되고 축봉(62)에는 실패(70)와 연결되는 풀리가 설치되어 있으며,상기 캠부재(65)의 회전력은 외형을 따라 운동하는 제1운동전달바(66)와 제2운동전달바(67)에 의하여 실정열로울러(68)를 유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비드를 폭과 길이가 같은 구형 즉, 구슬을 일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첨부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형 비드의 단면모양이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등 폭(지름)보다 길이방향의 길이가 더 긴 막대형 비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의복용 장식사의 비드간격 조절장치(1)의 작동을 설명하면, 먼저 다리부재(4)의 상부에 설치된 테이블(5) 상부 일측에 세로지지대와 가로지지대로 이루어진 지지대(11)가 고정 설치됨에 있어, 세로지지대에 구비된 높이조절수단을 이용하여 세로지지대의 높이를 조정한 다음 비드(2)이 꿰여진 통실(3)을 전방의 비드공급장치(10)와후방의 비드공급장치(10a)에 걸고난 후 통실가이드로울러(30)를 경유하여 오버록머신(20)의 오버록 스티치(21)의 바로 하단을 지나가서 실패(70)에 권취되도록 통실(3)을 연결한다.
이때, 비드공급장치(10,10a)에 걸려지는 통실(3)은 브라켓트(13)에 고정된 솔레노이드(12,12a)의 작동에 의하여 상,하운동하는 격판(16,16)의 홈을 관통하여 걸려지게 되며, 통실(3)에 꿰여진 비드(2)은 1차적으로 전방 비드공급장치(10)에 의하여 공급 즉, 전진이 제한되다가 인의적인 작업자의 스위칭신호와 소정의 시간경과에 의해 자동으로 솔레노이드(12)가작동하여 격판(16)을 상승시키게 된다.
그리하면 격판(12)이 상부로 들어지게 됨으로 홈은 통실(3)에서 이탈되게 되면서 비드(2)이 전진되게 되는 것이며,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솔레이노드(12)의 작동이 해지됨과 동시에 이와 같이 연동하는 격판(16)이 하강하여 다시 비드(2)의전진을 막게 된다.
한편, 전방의 비드공급장치(12)를 통과한 비드(2)은 실패(70)에 의하여 감겨지는 통실(3)을 따라 이송하다가 다시 후방의 비드공급장치(12a)에 의하여 2차적으로 공급이 제한되는데, 이는 전방 비드공급장치(10)의 작동과 동일하게 작동되며 전,후방에 설치된 비드공급장치(12,12a)가 각각 개별적으로 작동되거나 전,후방 비드공급장치가 서로 같이 연동하여 작동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비드공급장치(12,12a)에 의하여 공급/이송된 비드(2)은 지지대(11)에서 자유낙하되며, 통실가이드로울러(30)에 의해 수평으로 정열되면서 오버록머신(20)쪽으로 이송된 비드(2)은 비드납입수단(40)의 가이드부재 내측을 관통하는 사통실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41)의 설치공에 삽입되는 치차(42a)에 의해 하나씩 공급이송되는데 이 공급 이송되는 속도는 회전축(41b)에 연결된 구동모터(43)의 회전속도에 의해 조절된다. 에컨데 상기 구동모터(43)의 회전이 빠르면 비드의 간격이 조밀해지고 느리면 간격이 넓게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비드납입콘트롤박스(50)에 의해 구동모터(43)의 회전속도가 조절되면 상기와 같이 비드납입수단(40)를 통과한 비드(2)은 통실(3)과 같이 이송되면서 오버록머신(20)에 의하여 오버록되는데 비드납입수단(40)의 회전속도가 빠르면 비드와 비드간의 간격이 좁고 회전속도가 느리면 인접하는 두 비드간의 간격이 넓게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센서에 의해 오버록작업 시간(침수)을 조절하며 상기 오버록 작업과 비드의 공급작업은 교호로 이루어진도록 되어 있으며 통실(3)에 오버록처리되는 실은 통실(3)과 직교되게 오버록되므로 종래의 통실과 같은 수평방향으로 감겨지면서 비드를 고정하는 것보다 견고히 고정된다.
한편, 오버록처리된 장식사는 실패(70)에 권취되는데 실패(70)가 고정되어 회전됨으로 장식사는 실패(70)의 어느 한 곳에 집중적으로 권취되는 것이 실패유동수단(60)에 의하여 방지되면서 실패의 각부위에 일정하게 권취된다.
상기 실패유동수단(60)의 작동은 다리부재(4)의 하단에 설치된 구동모터(80)의 작동과 동시에 회전축에 축설된 2개의 풀리중 오버록머신(20)으로 구동모터(8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풀리를 제외한 다른 풀리가 감속장치(63)의 풀리에 회전력을전달하여 구동모터(80)의 회전력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감소된 회전력은 치합된 기어부재(64)를 회동시켜 기어부재(64)가축설된 축봉(62)에 그 회전력을 전달한다.
그리하면, 축봉(62)에 축설된 풀리도 회전되며 이 풀리는 캠부재(65)가 축설된 감속장치(61)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2차적으로 회전력을 감소시켜 캠부재(65)를 저속으로 구동시키다.
상기 캠부재(65)가 저속으로 회동하면 그 외주연을 따라 구동하는 제1운동전달바(66) 및 제2운동전달바(67)도 연동되어직선운동으로 전환되며 제2운동전달바(67)의 일측 끝단에는 실패(70)의 상부에 위치되게 설치되고 이의 끝단에 실정열로울러(68)를 직선운동시키므로서 실패(70)에 권취되는 장식사를 권취시킨다.
상기와 같이 장식사가 실패에 권취된 상태에서 의복에 소정의 모양을 형성시켜 미적신미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되는 본 고안은 통실에 꾀여진 상태로 비드가송장치에 의하여 공급된 비드가 비드납입수단을 통과할 때 비드납입수단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인접하는 두비드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며 가장자리를 박음질하는 오버록머신으로 상호 인접하는 두비드 사이의 통실을 오버록하므로서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며, 또한 통실에 꾀여진 상태로 비드가송장치에 의하여 공급된 비드가 비드납입수단을 통과할 때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인접하는 두비드 사이의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함과 비드가 이동/유동되지 않도록하는 오버록실이 쉽게 풀어지지 않도록 종래 비드사통실을 따라 감겨 비드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하는 것을 통실과 직각되게 오버록하여 다양한 모양으로 의복에 장식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미적신미감을 더해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모터부재를 구동시키는 발판스위치가 설치되는 몸체와; 지지대의 전,후단에는 통실이 관통하는 홈을 다수 형성한 격판이 구비된 솔레노이드가 부착된 브라켓트의 바깥쪽 하단에는 고정축에 회전가능하도록 다수의 로울러로 이루어진비드공급장치와; 가장자리를 박음질하는 통상의 오버록머신과; 상기 비드공급장치에 의해 공급된 비드및 통실이 유동되지않도록하는 통실가이드로울러와; 로드의 일측은 연결부를 형성하고 그 타측으로는 걸림홈을 직교하는 비드통과공을 형성하는 걸림편이 구비되되 비드통과공을 형성하는 양단의 걸림편은 각각다른 뚜께로 형성되면서 대향하는 경사면을 갖는 비드납입수단와; 상기 비드납입수단을 왕복운동시켜 왕복시간을 조정하여 비드의 간격을 조절하는 비드납입수단콘트롤박스와;상기 오보록머신, 실패유동수단 및 실패를 구동시키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을 감속시키는 감속장치의 회전축에는 캠이 축설되고 이 캠의 외형을 따라 운동하는 제1운동전달바와 제2운동전달바로 이루어진 실패유동수단과; 상기 실패유동수단에 의하여 유동되어 인접하는 두비드의 간격이 조절된 장식사를 감는 실패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의복용 장식사의 비드간격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드납입수단이 실에 꾀여진 비드를 통시키는 통공이 구비된 가이드부재(41)의 설치공(41a)에 삽입되는 치차(42a)를 일정간격으로 형성한 회전축(41b)에는 구동모터(43)가 연결된 워엄형분리부재(4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용 장식사의 비드간격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의 형상이 구형, 사각형, 원통형, 삼각형, 육각형 중 선텍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용 장식사의 비드간격 조절장치.
KR2020010039659U 2001-12-21 2001-12-21 의복용 장식사의 비드간격 조절장치 KR2002708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659U KR200270890Y1 (ko) 2001-12-21 2001-12-21 의복용 장식사의 비드간격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659U KR200270890Y1 (ko) 2001-12-21 2001-12-21 의복용 장식사의 비드간격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890Y1 true KR200270890Y1 (ko) 2002-04-06

Family

ID=73114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659U KR200270890Y1 (ko) 2001-12-21 2001-12-21 의복용 장식사의 비드간격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8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542B1 (ko) 2016-06-29 2016-08-26 이성환 정역 방향 교차 권선 구조에 의한 와인딩 풀림 방지 및 비 매듭식 단부를 갖는 실크 장식줄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542B1 (ko) 2016-06-29 2016-08-26 이성환 정역 방향 교차 권선 구조에 의한 와인딩 풀림 방지 및 비 매듭식 단부를 갖는 실크 장식줄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7615B1 (en) Method and device to apply cord thread or ribbons onto fabrics in a quilting machine
US6776109B2 (en) Bow and skew control system and method
GB2323098A (en) Pattern yarn feeding in tufting machine
KR101772994B1 (ko) 스판덱스를 포함하는 원단 제작 장치
EP0743385B1 (en) Apparel 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0270890Y1 (ko) 의복용 장식사의 비드간격 조절장치
KR101039467B1 (ko) 웨이브패턴 형성장치를 구비한 경편기
KR101363228B1 (ko) 공간직물 제조장치
KR101658004B1 (ko) 부직포를 이용한 스팽글사 제조장치
KR200219254Y1 (ko) 의복용 장식사의 구슬간격 조절장치
CN1024575C (zh) 用于同时织成多件筒状针织物的圆形纺织机
US5566629A (en) Tufting machine patterning apparatus
CN215826357U (zh) 一种弦丝排图机
KR101026814B1 (ko) 누비기용 비 누비부 간격조절장치
CA2126712A1 (en) Sewing apparatus for making composite drawcord/elastic waistband
DE202005010077U1 (de) Nähmaschine oder Antrieb-System für Nähmaschinen
KR101315986B1 (ko) 원단에 장식밴드를 다양한 패턴으로 봉제하는 가공장치의 구동부
KR101122212B1 (ko)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
KR101315984B1 (ko) 원단에 장식밴드를 다양한 패턴으로 봉제하는 가공장치
KR102239034B1 (ko) 브레이드사 제조장치
KR101658005B1 (ko) 합성수지를 이용한 스팽글사 제조장치
TW201124575A (en) Yarn-transporting device of knitting machine.
CN102102275A (zh) 用于针织机中的输纱器
KR102050081B1 (ko) 구간 교착기능을 갖는 인터레이스 장치
KR200401332Y1 (ko) 스팽글의 간헐 봉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