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2212B1 -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2212B1
KR101122212B1 KR1020080043640A KR20080043640A KR101122212B1 KR 101122212 B1 KR101122212 B1 KR 101122212B1 KR 1020080043640 A KR1020080043640 A KR 1020080043640A KR 20080043640 A KR20080043640 A KR 20080043640A KR 101122212 B1 KR101122212 B1 KR 101122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yarn
unit
decorative
fastened
embroidery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3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7540A (ko
Inventor
임헌흥
Original Assignee
임헌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헌흥 filed Critical 임헌흥
Priority to KR1020080043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2212B1/ko
Publication of KR20090117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7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7/00Special-purpose or automatic embroidering machines
    • D05C7/08Special-purpose or automatic embroidering machines for attaching cords, tapes, bands, or the lik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303/00Applied objects or articles
    • D05D2303/12Rigid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체결되고 바늘이 상, 하로 통과되는 바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바늘 구멍 일측 방향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장식사 관통구에 장식사의 단부가 삽입되어 회전 구동되는 회전 부재를 포함하는 장식사 공급부, 상기 베이스와 연결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 부재를 구동시키는 정, 역회전 되는 스테핑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 유닛, 자수기의 헤드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 유닛을 승강 및 하강시키는 승하강 유닛, 그리고 상기 구동 유닛 및 상기 승하강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자수기로부터 입력되는 점프 솔레노이드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 유닛 및 승하강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장식사의 공급 작업이 원활해지며, 공급되는 장식사가 원단에 견고하게 재봉될 수 있으며, 장식사 공급 작업의 작업률이 향상되고, 작업시의 오류를 방지하여 작업의 중단됨 없이 신속한 장식사의 공급 및 재봉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헤드, 승하강 유닛, 구동 유닛, 장식사 공급부, 위치 조정 유닛, 장식사 안내 유닛, 센서부, 제어부, 메인 센서, 장식사

Description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SPANGLE SUPPLING APPARATUS FOR EMBROIDERING MACHINE}
본 발명은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식사의 공급 및 재봉이 원활해지는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색상의 실을 사용하여 단순하게 자수한 원단에 비하여, 구슬, 리본 테이프 등 다양한 소재의 장식사를 자수한 원단에 부가한 경우 고부가 가치 제품으로 인정받고 있다.
상술한 종류의 장식사는 주로 여성용 원단, 의류, 신발류, 장식품 등에 적용되고 있으며, 대체로 금속에 비하여 PVC나 100% 폴리에스터 등을 주원료로 하여 제작된다.
이러한 장식사를 공급하기 위한 종래의 장식사 공급 장치는, 자수기 생산 공장에서 자사 제품에만 한정되어 장착되었다.
이에 따라, 자수기의 메인 콘트롤러(main controller : CPU)에서 장식사 공급 제어 신호를 받음으로 자수기의 제조사에 따른 장식사 공급 제어 신호가 모두 다름으로 인해 각 제조사마다 장식사 공급 제어 신호를 받기 위한 전자 보드를 따 로 만들어야 함으로 인해 많은 초기 투자 비용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의 장식사 공급 장치는 장식사를 공급하는 중 장식사가 바늘이 상하 이동되는 중심으로 진입되어 장식사가 사절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그리고 장식사가 공급되면서 장식사가 충분한 텐션을 가지지 못하고 공급되어 장식사가 원단에 견고히 재봉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장식사가 쉽게 사절되지 않고 원활히 공급되고, 장식사가 텐션을 유지하면서 공급되어 장식사가 원단에 견고히 재봉될 수 있도록 한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체결되고 바늘이 상, 하로 통과되는 바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바늘 구멍 일측 방향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장식사 관통구에 장식사의 단부가 삽입되어 회전 구동되는 회전 부재를 포함하는 장식사 공급부, 상기 베이스와 연결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 부재를 구동시키는 정, 역회전 되는 스테핑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 유닛, 자수기의 헤드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 유닛을 승강 및 하강시키는 승하강 유닛, 그리고 상기 구동 유닛 및 상기 승하강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자수기로부터 입력되는 점프 솔레노이드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 유닛 및 승하강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스테핑 모터의 회전축에 체결되어 회전 구동되는 모터 기어, 상기 모터 기어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모터 기어가 구동되면 연동하여 회전 구동되는 제1 연동 기어, 상기 제1 연동 기어와 동축 상에 체결되어 상기 제1 연동 기어의 회전 구동시 함께 회전 구동되며 상기 회전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회 전 부재를 회전 구동시키는 제2 연동 기어, 그리고 상기 모터 기어와 상기 제1 연동 기어에 체결되고 상기 제2 연동 기어와 상기 회전 부재에 체결되는 복수의 전동 벨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 유닛은 자수기의 헤드 일측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 상기 고정 부재에 연결되는 승하강 부재, 상기 승하강 부재의 일측에 고정되고 실린더 로드 단부가 상기 결합 부재의 일측에 고정되는 작동 실린더, 상기 작동 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선회 가능하도록 일단이 상기 결합 부재의 일측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승하강 부재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승하강 부재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복수의 링크, 그리고 상기 작동 실린더 및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온 또는 오프 되어 상기 작동 실린더를 구동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장식사 관통구와 근접한 측벽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장식사를 상기 장식사 관통구로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식사 결속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시 상기 장식사가 상기 바늘이 통과하는 내측으로 진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장식사 결속 부재와 교차되는 방향의 일측에 구비되는 장식사 진입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 유닛은 상기 링크의 일면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승하강 부재가 승강된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 클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 유닛 및 상기 구동 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장식사 공급부를 상기 바늘과 수직으로 평행한 위치로 위치를 변경하는 위치 조정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조정 유닛은 상기 승하강 부재의 하단에 체결되고 하부에 제1 체결홈을 가지는 제1 체결 부재, 상부가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어 상기 제1 체결홈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연결 부재, 상기 연결 부재의 하부에 체결되는 제2 체결홈을 가지며 상기 고정 부재의 상측에 체결되어 상기 연결 부재의 하부를 따라 제2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제2 체결 부재, 상기 제2 체결 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판, 그리고 상기 헤드에 근접한 일측이 상기 고정판에 지지되고 상기 연결 부재에 체결되는 위치 조절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자수기의 주축에 설치되어 상기 자수기의 주축의 회전수 및 속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메인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식사 공급부의 상측에 배치되게 상기 구동 유닛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시 상기 장식사를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 방향으로 안내하는 장식사 안내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식사 안내 유닛은 상기 고정 부재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구동 기어와 동축 상에 체결되는 구동 기어, 상기 고정 브라켓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 기어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연동 부재, 상기 구동 기어와 상기 회전 연동 부재를 연결하는 벨트, 일단이 상기 회전 연동 부재에 체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장식사가 삽입되어 상기 회전 연동 부재의 회전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면서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 방향으로 상기 장식사를 안내하기 위한 장식사 안내 링크, 그리고 상기 안내 링크 선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식사 삽입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테핑 모터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차단 후 재 전원 공급시 상기 스테핑 모터를 어느 정도 회전시키면서 상기 장식사 안내 링크를 최초 설정된 회동 시작 위치로 원점 복귀시키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스테핑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원주상에 상호 대응되게 서로 다른 폭으로 형성된 조사 구멍을 가지는 마스크 원판, 상기 조사 구멍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발광 센서, 그리고 상기 발광 센서로부터 조사된 빛을 수광하기 위한 수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모터 기어의 회전 위치를 수동으로 원점 위치시키는 콘트롤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부재는 정, 역회전시 360˚보다 더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는 상기 장식사용 브라켓의 일측에서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승하강 부재가 하강되면 일단이 접촉되면서 일측으로 회동되고 상기 승하강 부재가 승강되면 최초 위치로 복귀되는 작동편, 상기 장식사 릴의 일측 방향에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일단이 상기 장식사 릴의 일측에 밀착되며 상기 작동편이 상기 승하강 부재와 접촉되어 회동될시 함께 회동되면서 일단이 상기 장식사 릴의 일측으로부터 이격되는 브레이크, 상기 작동편과 상기 브레이크가 상호 연결되도록 양단이 상기 작동편과 상기 브레이크에 양단이 체결되어 상기 작동편이 회동될시 상기 브레이크가 일단이 당겨지면서 상기 작동편과 함께 회동되도록 하는 연결 링크,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의 상측에서 상기 브레이크와 연결되고 상기 브레이크를 상측으로 당기는 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에 의하면, 장식사의 공급 작업이 원활해지며, 공급되는 장식사가 원단에 견고하게 재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식사 공급 작업의 작업률이 향상되고, 작업시의 오류를 방지하여 작업의 중단됨 없이 신속한 장식사의 공급 및 재봉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의 구성을 보 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측면도이다.
자수기는 단수 또는 다수의 바늘(7), 바늘을 지지하는 바늘대(미도시) 등을 포함하며, 이러한 자수기의 헤드(6)의 일측에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100)가 결합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는 승하강 유닛(10), 구동 유닛(30), 장식사 공급부(20), 제어부(70), 위치 조정 유닛(40), 메인 센서(81), 장식사 안내 유닛(60), 센서부(90), 콘트롤 스위치(C)를 포함한다.
승하강 유닛(10)은 결합 부재(11), 승하강 부재(12), 작동 실린더(14), 복수의 링크(13), 솔레노이드 밸브(15)를 포함하며, 결합 부재(11)는 바 형상으로 구비되고 자수기의 헤드(6) 일측에 볼트 또는 나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 부재(11)의 전면에는 V자형 홈(11A)이 형성된다.
승하강 부재(12)는 결합 부재(11)의 전방에 배치되며 바 형상으로 구비되어 배면에 V자형 돌기(12A)가 형성된다. 그리고 승하강 부재(12)는 링크(13)에 의해 결합 부재(11)와 연결된다.
복수의 링크(13)는 각각의 일단이 결합 부재(11)의 일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핀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승하강 부재(12)의 대응면에 회동 가능하게 핀 결합되어서 결합 부재(11) 및 승하강 부재(12)를 연결한다.
작동 실린더(14)는 실린더(14a) 및 실린더 로드(14b)를 포함한다. 실린더(14a)에는 공압 장치(미도시)가 연결되어 있으며, 실린더(14a)의 선단이 링 크(13)가 체결된 승하강 부재(12)의 일측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실린더 로드(14b)의 선단은 링크(13)가 체결된 결합 부재(11)의 일측면에 고정된다.
솔레노이드 밸브(15)는 작동 실린더(14) 및 후술할 제어부(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7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온(on) 또는 오프(off) 되어 작동 실린더(14)를 구동한다. 그리고 솔레노이드 밸브(15)는 헤드(6)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승하강 부재(12)는 작동 실린더(14)의 작동에 따라 결합 부재(11)의 전방에서 링크(13)의 길이에 해당하는 회전 궤적을 따라 승강 및 하강되고, 하강시 배면이 결합 부재(11)의 전면에 밀착된다. 이때, V자형의 돌기(11a) 및 홈(12a)이 체결된다.
그리고 링크(13) 상의 일측에는 승하강 부재(12)가 승강된 상태를 강제 고정할 수 있도록 링크(13)의 일면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고정 클립(16)이 구비된다.
한편, 승하강 부재(12)에는 장식사(4)가 권취된 장식사 릴(2)을 자수기의 헤드(6)의 상부에 배치하기 위한 장식사용 브라켓(1)이 일측에 결합되며, 장식사용 브라켓(1)에는 장식사 릴(2)에서 인출된 장식사(4)를 가이드하기 위한 다수의 가이드 롤러(3)가 결합된다.
장식사 공급부(20)는 베이스(21) 및 회전 부재(22)를 포함하며, 베이스(21)는 중앙에 결합 구멍(21a)을 가진다.
그리고 회전 부재(22)는 저면이 막힌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 저면 중앙에는 자수기의 헤드(6)에 구비된 바늘(7)이 상, 하로 통과되는 바늘 구 멍(22a)이 형성된다.
또한 바늘 구멍(22a)의 양측 방향에는 장식사(4)가 삽입되는 장식사 관통구(22b)가 형성된다.
그리고 장식사 관통구(22b)와 근접한 측벽 상단에는 반원 형상의 장식사 결속 부재(23)가 구비되며, 장식사 결속 부재(23)는 장식사(4)가 결속되면서 그 장식사(4)를 유도하여 장식사 관통구(22b)로 관통되게 한다.
또한 회전 부재(22) 상에서 장식사 결속 부재(23)와 교차되는 방향에는 상향 돌출된 장식사 진입 방지 부재(24)가 구비된다.
장식사 진입 방지 부재(24)는 회전 부재(22)의 회전시 장식사(4)가 바늘(7)이 통과하는 회전 부재(22) 내측으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회전 부재(22)는 구동 유닛(30)에 의해 회전되는바, 구동 유닛(30)은 고정 부재(31), 스테핑 모터(32), 모터 기어(33), 제1 연동 기어(34), 제2 연동 기어(35), 전동 벨트(65)를 포함한다.
고정 부재(31)는 수평의 평면부(31a)와 수직의 측면부(31b)를 가진다. 그리고 스테핑 모터(32)는 고정 부재(31)의 평면부(31a)에 고정되고 회전축(32a)이 평면부(31a)의 중앙에 관통되며, 정회전 및 역회전 되면서 구동 된다.
모터 기어(33)는 스테핑 모터(32)의 회전축(32a)에 결합되어 스테핑 모터(32)의 정회전 및 역회전 구동에 의해 정회전 및 역회전을 반복한다.
제1 연동 기어(34)는 고정 부재(31)의 측면부(31b) 상의 일측에 축결합되어 고정 부재(31)의 일측 방향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1 전동 벨트(36)가 모터 기 어(33) 및 제1 연동 기어(34)에 체결되며, 이에 따라 모터 기어(33)가 회전되면 제1 연동 기어(34)가 연동되어 회전된다.
제2 연동 기어(35)는 제1 연동 기어(34)와 동축 상에 체결되며, 제2 전동 벨트(37)가 제2 연동 기어(35)와 장식사 공급부(20)의 회전 부재(22)에 체결된다.
따라서, 스테핑 모터(32)가 정회전 및 역회전을 반복하며 구동되면 모터 기어(33), 제1 연동 기어(34), 제2 연동 기어(35)가 정회전 및 역회전되면서 장식사 공급부(20)의 회전 부재(22)를 정회전 및 역회전 시킨다.
이때, 회전 부재(22)는 정회전 및 역회전시 360˚보다 더 회전 된다.
위치 조정 유닛(40)은 승하강 유닛(10)의 하부와 구동 유닛(30)의 상부 사이에 배치되어 승하강 유닛(10)과 구동 유닛(30)을 연결하며, 승하강 유닛(10)을 기준으로 구동 유닛(30)의 위치가 X, Y축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위치 조정 유닛(40)은 제1 체결 부재(41), 제2 체결 부재(44), 연결 부재(47), 고정판(48), 위치 조절 볼트(49)를 포함한다.
제1 체결 부재(41)는 승하강 유닛(10)의 승하강 부재(12) 하단에 연결되며, 제1 블록(42) 및 제2 블록(43), 복수의 제1 볼트(51), 제2 볼트(5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블록(42)은 승하강 부재(12)의 하단에 복수의 제1 볼트(51)들에 의해 체결되며, 승하강 부재(12)에 체결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제1 블록(42)의 저면부에는 제1 체결면(42a)이 형성된다.
제2 블록(43)은 제1 블록(42)의 일측면에 복수의 제2 볼트(52)에 의해 체결 되며, 제1 블록(42)에 체결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제2 블록(43)의 저면부에는 제1 체결면(42a)에 대응되는 제2 체결면(43a)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블록(42)과 제2 블록(43)이 체결되면 각각에 형성된 제1 체결면(42a) 및 제2 체결면(43a)이 조합되면서 제1 체결홈(41a)이 형성된다.
제2 체결 부재(44)는 구동 유닛(30)의 고정 부재(31) 상단에 체결되며, 제3 블록(45), 제4 블록(46), 복수의 제3 볼트(53) 및 제4 볼트(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블록(45)은 고정 부재(31)의 상단에 복수의 제3 볼트(53)들에 의해 체결되며, 고정 부재(31)에 체결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제3 블록(45)의 평면부에는 제3 체결면(45a)이 형성된다.
제4 블록(46)은 복수의 제4 볼트(54)들에 의해 제3 블록(45)의 일측면에 체결되며, 제3 블록(45)에 체결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그 평면부에 제3 체결면(45a)에 대응되는 제4 체결면(46a)을 갖는다.
그리고 제3 블록(45) 및 제4 블록(46)이 체결되면 각각에 형성된 제3 체결면(45a) 및 제4 체결면(46a)이 조합되면서 제2 체결홈(44a)이 형성된다.
연결 부재(47)는 제1 체결 부재(41)의 제1 체결홈(41a)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제1 체결홈(41a)에 체결되는 상측의 제1 체결부(47a)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체결부(47a)는 제1 체결홈(41a)을 따라 이동 된다.
또한 제2 체결 부재(44)의 제2 체결홈(44a)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제2 체결홈(44a)에 체결되는 하측의 제2 체결부(47b)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체결부(47b)는 제2 체결 부재(44)를 안내하며, 제2 체결 부재(44)가 제2 체결부(47b)를 따라 이동 된다.
고정판(48)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체결 부재(44), 즉 제3 블록(45)의 제3 체결면(45a)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제5 볼트(55)에 의해 제3 블록(45)에 체결된다. 그리고 상단에는 지지홈(48a)이 형성된다.
위치 조절 볼트(49)는 일측이 고정판(48)의 지지홈(48a)에 지지되어서 연결 부재(47)에 체결된다. 그리고 지지홈(48a)에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고정판(48)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플랜지(49a)가 형성된다.
장식사 안내 유닛(60)은 장식사 공급부(20)의 상측에 배치되게 구동 유닛(30) 일측에 고정되어 회전 부재(22)의 회전시 공급되는 장식사(4)를 회전 부재(22)의 회전 방향으로 안내 한다.
그리고 장식사 안내 유닛(60)은 고정 브라켓(61), 구동 기어(62), 회전 연동 부재(63)(64), 벨트(65), 장식사 안내 링크(66), 장식사 삽입 부재(67)를 포함한다.
고정 브라켓(61)은 장식사 공급부(20)를 향하는 구동 유닛(30)의 고정 부재(31)의 일면에 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고정 브라켓(61)은 수평부(61a)와 수평부(61a)의 일측에서 하향 절곡된 수직부(62a)를 가지며, 수직부(62a)가 고정 부재(31)의 일면에 고정된다.
구동 기어(62)는 구동 유닛(30)의 모터 기어(33)와 동축 상에 체결되어 스테핑 모터(32)의 정, 역회전 구동에 의해 정, 역회전 되며, 모터 기어(33)의 일면에 고정된다.
회전 연동 부재(63)(64)는 제1 회전 연동 부재(63) 및 제2 회전 연동 부재(64)로 구성되고, 고정 브라켓(61)의 수평부(61a) 상면에 볼트 및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벨트(65)에 의해 구동 기어(62)와 연결되어 있다.
장식사 안내 링크(66)는 후단부가 제1 회전 연동 부재(63) 및 제2 회전 연동 부재(64) 상면에 볼트에 의해 결합되며, 자유단은 장식사 공급부(20)의 회전 부재(22) 상부로 위치된다.
장식사 삽입 부재(67)는 장식사(4)가 삽입되는 장식사 삽입 구멍(67a)을 가지며 장식사 안내 링크(66) 선단에 결합된다.
제어부(70)는 자수기의 헤드(6)에 배치된 솔레노이드 밸브(15)와 연결되며, 드라이버 및 스테핑 모터(32), 솔레노이드 밸브(15)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드라이버는 자수기의 메인 CPU를 통해 자수기의 헤드(6)에 배치되고 자수기의 헤드(6)에 배치된 토글 스위치(미도시)와 연결되는 솔레노이드(미도시) 또는 스테핑 모터(32)로 연결되는 단자의 신호 전압 차이를 감지한다. 이에 따라 감지된 전압 차이에 따라 스테핑 모터(32)에 구동 또는 정지하라는 명령을 주어 장식사(4)의 공급을 실행 또는 정지 시키도록 별도로 신호 체계를 처리토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그리고 드라이버는 전원의 차단시, 장식사(4) 또는 자수실(5)의 사절시, 장식사(4)의 공급 작업이 종료될 시 등에 항상 승하강 유닛(10)이 승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한편, 자수기의 주축(S)에는 자수기의 주축(S)의 회전수 및 속도를 측정하여 제어부(70)로 전송하고 그 정보를 전송 받은 제어부(70)가 주축(S)의 회전수 및 속도와 대응되게 스테핑 모터(32)를 구동시키도록 메인 센서(81)가 설치된다.
메인 센서(81)는 체결용 브라켓(82)에 의해 주축(S) 상에 체결되어 제어부(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체결용 브라켓(82)은 링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체결용 브라켓(82)의 일측에 메인 센서(81)가 고정될 수 있다.
센서부(90)는 스테핑 모터(32)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어부(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차단 후 재 전원 공급시 모터 기어(33)를 어느 정도 정회전 및 역회전 시키면서 장식사 안내 링크를 최초 설정된 회동 시작 위치로 원점 복귀시킨다. 그리고 센서부(90)는 마스크 원판(91), 발광 센서(92), 수광 센서(93)를 포함한다.
마스크 원판(91)은 모터 기어(33)의 후방에 배치되어 스테핑 모터(32)의 회전축(32a)에 결합되고 원주상에 상호 대응되게 형성된 제1 조사 구멍(91a) 및 제2 조사 구멍(92a)을 가진다. 그리고 제1 조사 구멍(91a)은 제2 조사 구멍(92a)보다 작게 형성된다.
발광 센서(92)는 마스크 원판(91)의 전면측에 배치되어 제1 조사 구멍(91a) 및 제2 조사 구멍(92a)에 빛을 조사한다.
수광 센서(93)는 마스크 원판(91)의 후면측에 발광 센서(92)와 대향되게 배치되어 발광 센서(92)로부터 조사된 빛을 수광한다.
콘트롤 스위치(C)는 제어부(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스테핑 모터(32)를적은 범위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키면서 모터 기어(33)의 회전 위치를 수동으로 원점 위치시킨다.
그리고 콘트롤 스위치(C)는 승하강 유닛(10)의 승하강 부재(12) 전면에 고정되거나, 자수기의 헤드(6)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장식사 안내 링크(66)의 회동 시작 위치는 스테핑 모터(32)의 회전축(32a)에 결합된 마스크 원판(91)의 제1 조사 구멍(91a)이 발광 센서(92) 및 수광 센서(93)의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설정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사 공급 장치의 특징 및 이점이 더욱 부각되도록 작동 관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장식사 공급 장치(100)가 자수기의 헤드(6)에 고정된 상태에서 장식사용 브라켓(1)의 상부에 장식사(4)가 권취된 장식사 릴(2)을 장착한다.
그리고 장식사 공급부(20) 방향으로 장식사용 브라켓(1)에 다수 구비된 가이드 롤러(3)를 따라 장식사 릴(2)에 권취된 장식사(4)를 풀면서 장식사 안내 유닛(60)의 장식사 삽입 부재(67)에 장식사(4)의 단부를 삽입한다.
이후 다시 장식사(4)를 장식사 공급부(20)의 회전 부재(22)에 구비된 장식사 결속 부재(23)에 삽입하면서 장식사 관통구(22b)까지 삽입하여 원단상에 놓여지게 한다.
이때, 회전 부재(22)의 바늘 구멍(22a)이 바늘(7)과 평행한 상태가 아니라면 위치 조정 유닛(40)을 조절하여 평행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즉, 제2 볼트(52)를 어느 정도 풀어서 제1 블록(42) 및 제2 블록(43)의 결합 상태를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위치 조절 볼트(49)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시키면서 연결 부재(47)의 위치를 조절하고, 제2 체결 부재(44)의 위치를 조절하면서 회전 부재(22)의 바늘 구멍(22a)을 바늘(7)과 평행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자수기 및 장식사 공급 장치(100)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자수기의 주축이 회전되면 주축에 설치된 메인 센서(81)가 주축의 회전수 및 속도를 측정하여 제어부(70)로 전달한다.
그리고 헤드(6)의 일측에 설치되어 바늘대 위치를 감지하는 솔레노이드의 신호가 온(on)되면 그 신호는 제어부(70)로 전달된다.
메인 센서(81) 및 솔레노이드로부터 신호를 전달 받은 제어부(70)는 승하강 유닛(10)의 솔레노이드 밸브(15)를 온(on)시키며, 솔레노이드 밸브(15)에 의해 작동 실린더(14)가 작동된다.
이때, 작동 실린더(14)는 공압 장치로부터 공압이 공급되어 실린더 로드(14b)가 실린더(14a)의 내부로부터 인출되고, 이에 따라 상승되어 있던 승하강 부재(12)가 하강된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70)는 스테핑 모터(32)를 자수기의 주축 회전수 및 속도에 대응하는 속도로 구동시키며, 스테핑 모터(32)의 구동에 의해 모터 기어(33)가 정회전 및 역회전을 반복한다.
이때, 모터 기어(33)는 바늘(7)이 상하 방향으로 1주기 동작에선 정회전, 다시 1주기 동작에선 역회전된다.
모터 기어(33)가 회전되면 그 회전 방향에 따라 모터 기어(33)와 제1 전동 벨트(36)로 연결된 제1 연동 기어(34) 및 제1 연동 기어(34)와 동축 상에 구비된 제2 연동 기어(35)가 연동되어 회전된다. 그리고 제2 연동 기어(35)와 제2 전동 벨트(37)로 연결된 장식사 공급부(20)의 회전 부재(22)가 연동되어 회전된다.
그리고 바늘(7)은 회전 부재(22)의 바늘 구멍(22a)으로 계속하여 상, 하로 통과하는 상태이고, 이에 따라 장식사(4)는 원단에 재봉된다.
이때, 회전 부재(22)는 360˚보다 더 회전되며, 약 420˚정도 회전 된다. 이에 따라 장식사(4)는 회전 부재(22)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1회 회전시 바늘(7)을 기준으로 바늘(7)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반복하여 위치되며, 이에 따라 원단(8) 상에 자수실(5)이 장식사(4)를 지그 재그로 재봉하게 된다.
그리고 장식사(4)가 바늘(7)의 좌우측으로 반복하여 위치될시 장식사(4)가 회전 부재(22)의 바늘(7)이 통과되는 내측으로 진입되지 않는다.
즉, 회전 부재(22) 상에 상향 돌출된 진입 방지 부재(24)에 의해 장식사(4)가 회전 부재(22) 내측으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뿐만 아니라, 모터 기어(33)의 정, 역회전시 함께 회전되는 장식사 안내 유닛(60)의 구동 기어(62)와, 구동 기어(62)에 의해 연동되어 회전되는 제1 회전 연동 부재(63) 및 제2 회전 연동 부재(64)에 고정된 장식사 안내 링크(66)가 바늘(7)의 좌, 우로 반복적으로 이동되면서 장식사(4)를 좌, 우로 팽팽한 상태로 안내한다.
이에 따라, 장식사(4)가 회전 부재(22)의 내측으로 진입되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장식사(4)가 하측으로 쳐지는 것을 동시에 방지하여 장식사(4)의 재봉이 원활해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장식사(4)가 지속하여 공급되는 중 전원이 차단하거나, 장식사(4) 또는 자수실(5)의 사절시 등에 제어부(70)에 미리 프로그램된 드라이버에 의해 승하강 유닛(10)의 승하강 부재(12)는 승강한 상태로 대기된다.
또한, 장식사(4)의 공급 작업 중 정전 등에 의해 전원이 차단되거나, 장식사(4) 또는 자수실(5)의 사절시 등에 장식사 공급 장치(100)가 정지된 후, 다시 전원을 공급할시 센서부(90)는 장식사 안내 링크(66)를 최초 설정된 회동 시작 위치로 원점 복귀시킨다.
즉, 장식사(4)의 공급 작업이 중단된 후 다시 전원이 공급될시 발광 센서(92) 및 수광 센서(93) 사이에 제1 조사 구멍(91a) 및 제2 조사 구멍(92a)이 위치되지 않거나, 제2 조사 구멍(92a)이 위치되어 있는 경우라면, 이를 감지한 수광 센서(93)는 신호를 제어부(7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70)는 스테핑 모터(32)를 어느 정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면서 제1 조사 구멍(91a)을 발광 센서(92) 및 수광 센서(93) 사이로 위치시킨다.
이에 따라, 스테핑 모터(32)의 회전축(32a)에 체결된 장식사 안내 유닛(60)의 구동 기어(62)가 회전되면서 제1 회전 연동 부재(63) 및 제2 회전 연동 부재(64)가 회전되어 장식사 안내 링크(66)를 최초 회동 시작 위치로 원점 복귀시킨다.
이와 같이 전원 차단 후 전원의 재 공급시 장식사 안내 링크(66)를 최초 회동 시작 위치로 원점 복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트롤 스위치(C)를 조작하여 스테핑 모터(32)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키면서 장식사 안내 링크(66)를 최초 회 동 시작 위치로 원점 복귀시킬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사 공급 장치(100)는 자수기에 다수의 헤드(6)가 구비된 경우, 각각의 헤드(6) 일측에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장식사(4)의 공급 작업시 사용하지 않는 헤드(6)에 배치된 토글 스위치를 오프(off)시켜서 헤드(6)를 정지시키면, 정지된 헤드(6)에서는 솔레노이드 신호가 발생되지 않아 정지된 헤드(6)에 설치된 장식사 공급 장치(100)는 정지된 상태로 대기한다.
또한, 장식사(4)를 공급하는 작업시 장식사 공급부(20)는 자수기에 원단이 고정된 돌출 부분까지 완전히 근접하여 장식사(4)를 공급할 수 있다.
즉, 구동 유닛(30)이 장식사 공급부(20)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자수기 상에 원단을 고정하고 있는 돌출 부위를 구동 유닛(30)이 상측으로 지나게 되므로 장식사 공급부(20)는 원단이 고정된 돌출 부분까지 완전히 근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단에 장식사(4)를 공급하여 장식사(4)가 재봉될 수 있는 작업 반경이 더욱 넓어지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100)는 장식사(4)의 공급시 장식사(4)가 바늘(7)에 의해 사절되지 않도록 장식사(4)가 바늘(7)측으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한 장식사(4)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장식사(4)의 공급시 장식사(4)의 텐션을 유지하여 장식사(4)의 쳐짐을 방지하므로 장식사(4)가 공급되어 원단에 재봉될시 장식사(4)가 견고하게 원단에 재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장식사(4)가 공급될시 장식사(4)가 바늘(7)의 좌측 및 우측으로 반복하여 위치되므로 장식사(4)가 재봉될시 자수실(5)이 장식사(4)를 지그 재그로 재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장식사(4)가 원단에 더욱 견고하게 재봉될 수 있다.
따라서, 장식사(4)의 공급 작업이 원활해지며, 공급되는 장식사(4)가 원단에 견고하게 재봉될 수 있다. 그리고 장식사(4) 공급 작업의 작업률이 향상되고, 작업시의 오류를 방지하여 작업의 중단됨 없이 신속한 장식사(4)의 공급 및 재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장치(200)를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100)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200)를 나타낸 일부 확대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2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96), 작동편(95), 연결 링크(97), 스프링(98)을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100)와 동일하다.
브레이크(96)는 장식사 릴(2)의 일측 방향 즉, 장식사용 브라켓(1)의 상단에 결합된 장식사 릴 브라켓(B)과 장식사 릴 브라켓(B)에 결합된 장식사 릴(2)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장식사 릴 브라켓(B)의 일측에 축 결합되어 축(P)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장식사 릴(2)의 원판(2a)을 향하여 절곡된 하단이 원판(2a)의 단부에 밀착되어 있다.
스프링(98)은 일단이 장식사 릴 브라켓(B)의 일측에 체결되며 타단은 브레이크(96)의 일측에 체결되어 브레이크(96)를 상측으로 어느 정도 당겨진 상태로 유지시킨다.
작동편(95)은 ㄴ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장식사용 브라켓(1)의 일측에 결합된 고정편(94)에 축 결합되어 축(P)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연결 링크(97)는 브레이크(96)와 작동편(95)을 상호 연결하며 작동편(95)의 회동시 브레이크(96)의 일단이 당겨지도록 하여 작동편(95)을 따라 브레이크(96)가 함께 회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연결 링크(97)는 브레이크(96)와 작동편(95)이 상호 연결되도록 일단이 브레이크(96)의 상단에 체결되고 타단이 작동편(95)의 하단에 체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장치(200)는 승하강 유닛(10)의 승하강 부재(12)가 승강되어 있는 상태이면 도 9에 도시된 확대도와 같이 브레이크(96)가 장식사 릴(2)의 원판(2a) 단부에 밀착된다. 이에 따라 원판(2a)은 브레이크(96)에 의해 자수기의 자수 작업 중에 흔들림이 발생하여도 공회전되지 않고 유동 없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장식사(4)의 공급을 위해 승하강 부재(12)가 하강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편(95)의 상단이 결합 부재(11)와 접촉되면서 축(P)을 중심으로 전방측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작동편(95)이 회동됨에 따라 연결 링크(97)가 당겨지고, 연결 링크(97)는 브레이크(96)를 하측으로 당겨서 브레이크(96)가 함께 회동된다. 이때, 스프링(98)은 인장되고 브레이크(96)의 원판(2a)에 접촉된 하단은 도 10에 도시된 확대도와 같이 원판(2a)으로부터 이격되어 장식사 릴(2)의 고정을 해제한다.
또한 장식사 공급 작업을 완료하여 승하강 부재(12)가 상승되면 작동편(95)이 결합 부재(11)와 이격되고 인장된 스프링(98)이 복원되면서 스프링(98)과 연결된 브레이크(96) 및 연결 링크(97)에 의해 브레이크(96)와 연결된 결합 부재(11)를 최초 위치로 복귀된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96)가 최초와 같이 장식사 릴(2)의 원판(2a)에 밀착되어 원판(2a)의 유동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는 장식사(4)가 권취된 장식사 릴(2)을 평상시 및 헤드(6)의 자수 작업시 브레이크(96)로 고정하여 장식사 릴(2)의 유동에 의해 권취된 장식사(4)가 불필요하게 풀리는 것이 방지되며, 이외의 작용 및 효과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100)와 동일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의 요부를 확대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의 승하강 유닛을 나타낸 부분 확대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의 위치 조정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의 센서부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 부분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의 메인 센서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부분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의 승하강 유닛이 승강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에 의해 장식사가 재봉된 상태를 보이는 개략적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를 나타낸 일부 확대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의 브레이 크가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 확대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장식사용 브라켓 2 : 장식사 릴
3 : 가이드 롤러 4 : 장식사
5 : 자수실 6 : 헤드
7 : 바늘 8 : 원단
10 : 승하강 유닛 11 : 결합 부재
12 : 승하강 부재 13 : 링크
14 : 작동 실린더 15 : 솔레노이드 밸브
16 : 고정 클립 20 : 장식사 공급부
21 : 베이스 22 : 회전 부재
22a : 바늘 구멍 22b : 장식사 관통구
23 : 결속 부재 24 : 장식사 진입 방지 부재
30 : 구동 유닛 31 : 고정 부재
32 : 스테핑 모터 33 : 모터 기어
34 : 제1 연동 기어 35 : 제2 연동 기어
36 : 제1 전동 벨트 37 : 제2 전동 벨트
40 : 위치 조정 유닛 41 : 제1 체결 부재
44 : 제2 체결 부재 47 : 연결 부재
48 : 고정판 49 : 위치 조절 볼트
60 : 장식사 안내 유닛 61 : 고정 브라켓
62 : 구동 기어 63 : 제1 회전 연동 부재
64 : 제2 회전 연동 부재 65 : 벨트
66 : 장식사 안내 링크 67 : 장식사 삽입 부재
70 : 제어부 81 : 메인 센서
82 : 체결용 브라켓 90 : 센서부
91 : 마스크 원판 92 : 발광 센서
93 : 수광 센서 100 : 장식사 공급 장치

Claims (15)

  1.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체결되고 바늘이 상, 하로 통과되는 바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바늘 구멍 일측 방향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장식사 관통구에 장식사용 브라켓에 체결되어있는 장식사 릴로부터 가이드된 장식사의 단부가 삽입되어 회전 구동되는 회전 부재를 포함하는 장식사 공급부,
    상기 베이스와 연결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 부재를 구동시키는 정, 역회전 되는 스테핑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 유닛,
    자수기의 헤드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 유닛을 승강 및 하강시키는 승하강 유닛, 그리고
    상기 구동 유닛 및 상기 승하강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자수기로부터 입력되는 점프 솔레노이드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 유닛 및 승하강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장식사 관통구와 근접한 측벽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장식사를 상기 장식사 관통구로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식사 결속 부재를 더 포함하는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스테핑 모터의 회전축에 체결되어 회전 구동되는 모터 기어,
    상기 모터 기어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모터 기어가 구동되면 연동하여 회전 구동되는 제1 연동 기어,
    상기 제1 연동 기어와 동축 상에 체결되어 상기 제1 연동 기어의 회전 구동 시 함께 회전 구동되며 상기 회전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 부재를 회전 구동시키는 제2 연동 기어, 그리고
    상기 모터 기어와 상기 제1 연동 기어에 체결되고 상기 제2 연동 기어와 상기 회전 부재에 체결되는 복수의 전동 벨트를 더 포함하는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승하강 유닛은
    자수기의 헤드 일측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
    상기 고정 부재에 연결되는 승하강 부재,
    상기 승하강 부재의 일측에 고정되고 실린더 로드 단부가 상기 결합 부재의 일측에 고정되는 작동 실린더,
    상기 작동 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선회 가능하도록 일단이 상기 결합 부재의 일측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승하강 부재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승하강 부재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복수의 링크, 그리고
    상기 작동 실린더 및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온 또는 오프 되어 상기 작동 실린더를 구동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
  4. 삭제
  5. 제3항에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시 상기 장식사가 상기 바늘이 통과하는 내측으로 진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장식사 결속 부재와 교차되는 방향의 일측에 구비되는 장식사 진입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승하강 유닛 및 상기 구동 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장식사 공급부를 상기 바늘과 수직으로 평행한 위치로 위치를 변경하는 위치 조정 유닛을 더 포함하는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위치 조정 유닛은
    상기 승하강 부재의 하단에 체결되고 하부에 제1 체결홈을 가지는 제1 체결 부재,
    상부가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어 상기 제1 체결홈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연결 부재,
    상기 연결 부재의 하부에 체결되는 제2 체결홈을 가지며 상기 고정 부재의 상측에 체결되어 상기 연결 부재의 하부를 따라 제2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제2 체결 부재,
    상기 제2 체결 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판, 그리고
    상기 헤드에 근접한 일측이 상기 고정판에 지지되고 상기 연결 부재에 체결되는 위치 조절 볼트를 포함하는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
  8. 제7항에서,
    자수기의 주축에 설치되어 상기 자수기의 주축의 회전수 및 속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메인 센서를 더 포함하는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
  9. 제2항 또는 제8항에서,
    상기 장식사 공급부의 상측에 배치되게 상기 구동 유닛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시 상기 장식사를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 방향으로 안내하는 장식사 안내 유닛을 더 포함하는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장식사 안내 유닛은
    상기 고정 부재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구동 기어와 동축 상에 체결되는 구동 기어,
    상기 고정 브라켓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 기어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연동 부재,
    상기 구동 기어와 상기 회전 연동 부재를 연결하는 벨트,
    일단이 상기 회전 연동 부재에 체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장식사가 삽입되어 상기 회전 연동 부재의 회전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면서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 방향으로 상기 장식사를 안내하기 위한 장식사 안내 링크, 그리고
    상기 안내 링크 선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식사 삽입 부재를 포함하는 자기수용 장식사 공급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스테핑 모터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차단 후 재 전원 공급시 상기 스테핑 모터를 어느 정도 회전시키면서 상기 장식사 안내 링크를 최초 설정된 회동 시작 위치로 원점 복귀시키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스테핑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원주상에 상호 대응되게 서로 다른 폭으로 형성된 조사 구멍을 가지는 마스크 원판,
    상기 조사 구멍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발광 센서, 그리고
    상기 발광 센서로부터 조사된 빛을 수광하기 위한 수광 센서를 포함하는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
  13. 제12항에서,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모터 기어의 회전 위치를 수동으로 원점 위치시키는 콘트롤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
  14. 제13항에서,
    상기 회전 부재는 정, 역회전시 360˚보다 더 회전되는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
  15. 제14항에서,
    상기 장식사용 브라켓의 일측에서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승하강 부재가 하강되면 일단이 접촉되면서 일측으로 회동되고 상기 승하강 부재가 승강되면 최초 위치로 복귀되는 작동편,
    상기 장식사 릴의 일측 방향에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일단이 상기 장식사 릴의 일측에 밀착되며 상기 작동편이 상기 승하강 부재와 접촉되어 회동될시 함께 회동되면서 일단이 상기 장식사 릴의 일측으로부터 이격되는 브레이크,
    상기 작동편과 상기 브레이크가 상호 연결되도록 양단이 상기 작동편과 상기 브레이크에 양단이 체결되어 상기 작동편이 회동될시 상기 브레이크가 일단이 당겨지면서 상기 작동편과 함께 회동되도록 하는 연결 링크,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의 상측에서 상기 브레이크와 연결되고 상기 브레이크를 상측으로 당기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
KR1020080043640A 2008-05-09 2008-05-09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 KR101122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640A KR101122212B1 (ko) 2008-05-09 2008-05-09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640A KR101122212B1 (ko) 2008-05-09 2008-05-09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540A KR20090117540A (ko) 2009-11-12
KR101122212B1 true KR101122212B1 (ko) 2012-03-19

Family

ID=41602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3640A KR101122212B1 (ko) 2008-05-09 2008-05-09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22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631B1 (ko) * 2011-05-30 2012-06-14 임태식 다기능 스팡글 테이프 자동부착장치
JP6049361B2 (ja) * 2012-09-03 2016-12-21 東海工業ミシン株式会社 ミシン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601Y1 (ko) 2005-01-19 2005-04-14 주식회사 엑스포무역 테두리실 공급장치 및 그 테두리실 공급장치를 갖는 자수기
KR200400782Y1 (ko) * 2005-08-10 2005-11-09 김충식 자수용 코드사 공급장치
KR100608283B1 (ko) * 2005-04-15 2006-08-03 (주)디.에스.이 스팡글 공급 장치
KR100810938B1 (ko) 2005-09-14 2008-03-10 레써 아크티엔게젤샤프트 스티치 기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601Y1 (ko) 2005-01-19 2005-04-14 주식회사 엑스포무역 테두리실 공급장치 및 그 테두리실 공급장치를 갖는 자수기
KR100608283B1 (ko) * 2005-04-15 2006-08-03 (주)디.에스.이 스팡글 공급 장치
KR200400782Y1 (ko) * 2005-08-10 2005-11-09 김충식 자수용 코드사 공급장치
KR100810938B1 (ko) 2005-09-14 2008-03-10 레써 아크티엔게젤샤프트 스티치 기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540A (ko) 200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6362B2 (en) Embroidery sew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075133B1 (ko) 스팡글 공급 장치
US200902207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of the backing feed for a tufting machine
US6957615B1 (en) Method and device to apply cord thread or ribbons onto fabrics in a quilting machine
JP2008114049A (ja) シークイン送り装置及びシークイン縫いが可能なミシン
WO2015147118A1 (ja) コード材を縫着可能な刺繍ミシン
US7500438B2 (en) Chain-stitch sewing machine
JPH07116372A (ja) ミシン装置の構造
KR101122212B1 (ko)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
US20070137540A1 (en) Sewing machine
JP2001137584A (ja) ボタン孔ミシン
JPH08246323A (ja) 刺繍素材の縫い付け方法
US20080121159A1 (en) Operating Method of an Embroidering Machine
KR200170241Y1 (ko) 자수 및 누비 복합기의 원단 미끄럼방지장치
KR20140058157A (ko) 누비기
TW201329309A (zh) 張力調節裝置、包括張力調節裝置的刺繡機的頭部以及刺繡機的張力控制裝置
KR100773819B1 (ko)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장치
JP4240181B2 (ja) 穴かがり縫目形成方法及び穴かがりミシン及び穴かがり縫目
KR200401332Y1 (ko) 스팽글의 간헐 봉착장치
JP4510949B2 (ja) ミシンの下糸手繰装置
KR950007654Y1 (ko) 자수기에서의 장식사 공급장치
WO2021131884A1 (ja) ミシン
JP4686744B2 (ja) 可搬式平刺ミシン
KR20070025652A (ko) 스팽글의 간헐 봉착장치
KR200428488Y1 (ko) 자수기 끈 형상부재 공급 가이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