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488Y1 - 자수기 끈 형상부재 공급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자수기 끈 형상부재 공급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488Y1
KR200428488Y1 KR2020060019744U KR20060019744U KR200428488Y1 KR 200428488 Y1 KR200428488 Y1 KR 200428488Y1 KR 2020060019744 U KR2020060019744 U KR 2020060019744U KR 20060019744 U KR20060019744 U KR 20060019744U KR 200428488 Y1 KR200428488 Y1 KR 2004284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tube
string
guide
bobbin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97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두화
Original Assignee
썬스타 특수정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썬스타 특수정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썬스타 특수정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197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4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4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4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6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ttaching bands, ribbons, strips, or tapes or for binding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7/00Special-purpose or automatic embroidering machines
    • D05C7/08Special-purpose or automatic embroidering machines for attaching cords, tapes, band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수기 끈 형상부재 공급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바늘대와 동축심상에 설치된 회전체의 일측에 고정설치된 레버 및 상기 레버에 체결된 제1 가이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보빈으로부터 인출된 끈 형상부재를 봉제천상으로 공급하는 방향 가이드레버; 상기 회전체의 타측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보빈으로부터 인출된 끈 형상부재가 가장 먼저 인입되도록 상기 보빈으로부터 가깝게 설치된 제2 가이드관; 및 상기 제1 가이드관과 상기 제2 가이드관 사이에 설치된 가이드튜브;를 포함하는 자수기 끈 형상부재 공급 가이드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자수기 끈 형상부재 공급 가이드장치에 의하면, 보빈이 과도하게 회전하더라도 쳐진 끈 형상부재가 봉제천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원활한 끈 형상부재 공급이 가능하고, 끈 형상부재 처짐으로 인한 봉제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정확하고 깨끗한 봉제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끈쳐짐으로 인한 바늘작동 정지 등의 문제가 전혀 발생하지 않아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자수기, 끈 형상부재, 방향 가이드레버, 가이드관, 가이드튜브, 보빈

Description

자수기 끈 형상부재 공급 가이드장치{GUIDING DEVICE FOR SUPPLYING STRING OF EMBROIDERY MACHINE}
도 1은 테이핑(taping) 자수기의 개략적 구성도 및 미싱헤드의 일부 확대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미싱헤드의 바늘대 부근 일부 확대도.
도 3은 종래의 방향 가이드레버를 포함한 미싱헤드의 부분 구성도.
도 4는 종래의 방향 가이드레버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끈 형상부재 공급 가이드장치를 포함하는 미싱헤드의 개략적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자수기의 끈 형상부재 공급 가이드장치를 포함하는 자수기의 부분 사시도.
도 7은 도 6을 우측상방에서 바라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미싱헤드 133; 노루발
140; 회전체 150; 방향 가이드레버
151, 153, 155; 레버 157; 제1 가이드관
160; 보빈 163; 끈 형상부재
170; 제2 가이드관 172; 체결브라켓
175; 가이드 튜브
본 고안은 자수기 끈 형상부재 공급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빈으로부터 인출된 끈 형상부재의 쳐짐을 방지하여 적절한 방향으로 원활하게 끈 형상부재를 공급할 수 있는 자수기 끈 형상부재 공급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핑 자수기는 테이프, 코드, 구슬사 등의 끈 형상부재를 봉제천에 수놓기 위한 미싱기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미싱헤드(10) 및 조작패널(20) 등이 구비되는데, 각 미싱헤드(10)는 가이드 니플(30) 내부에 수용되어 상하로 구동하는 바늘대(31), 상기 바늘대(31)의 하단에 설치되며 자수사(35)가 꿰어지는 바늘(33), 상기 가이드 니플(30)의 후방에 설치되어 봉제천을 잡아주는 노루발(37), 상기 바늘대(31)와 동축심 상에 조립되어 축심 회전이 자유로운 회전체(40), 상기 회전체(40)에 설치되어 바늘(33)의 침원(針元) 위치로 끈 형상부재를 안내하는 방향 가이드레버(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방향 가이드레버에 대하여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종래의 방향 가이드레버를 포함한 미싱헤드의 부분 구성도이고, 도 4는 종래의 방향 가이드레버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40)와 동축심상에 바늘대(30)가 설치되고, 바늘대(30)의 후방에는 미싱작업시 봉제천을 잡아주는 노루발(37)이 구비되며, 노루발(37)의 후방에는 다수의 레버(51,53,55) 및 가이드관(57)을 포함하는 방향 가이드레버(50)가 설치된다. 상기 바늘대(30)와 회전체(40)를 동축심상에서 회전하도록 하는 구동력은 모터(미도시)에 의해 제공되며, 이들의 회전방향이나 회전각도 등은 제어부(미도시)에 기입력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체(40)의 일측에 고정수단으로 고정설치된 방향 가이드레버(50) 및 방향 가이드레버(50)와 결합된 보빈(60) 등은 회전체(40)와 연동회전하하여 보빈(60)에 감겨진 끈 형상부재(63)를 봉제천 상의 적재적소에 공급함으로써원하는 패턴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향 가이드레버(50)는 제1레버(51), 제2레버(53), 제3레버(55) 및 가이드관(57)을 포함하며, 상기 제1레버(51)와 제2레버(53) 및 제 2레버(53)와 제3레버(55)는 고정수단(52,54,56)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가이드관(57)은 제3레버(55)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때, 보빈(60)에 감겨진 끈 형상부재(63)는 미싱작업을 진행함에 따라 적재적소로 안내될 필요가 있는데, 상기 방향 가이드레버(50)가 끈 형상부재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보빈(60)에 감겨진 끈 형상부재(63)는 방향 가이드레버의 가이드관(57)을 관통하여 바늘의 동작에 맞추어 원하는 장소에 공급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자수기의 끈 형상부재 공급 가이드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보빈의 끈 형상부재가 직접 가이드 부재로 공급되므로 보빈이 과도하게 회전할 경우 끈 형상부재가 필요 이상으로 풀어지므로 끈 형상부재 쳐짐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쳐진 끈 형상부재는 봉제천과 접촉하여 끌리게 되어 끈 형상부재의 꿰맴을 정확하고 깨끗하게 수행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심할 경우 바늘의 동작이 정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보빈에서 인출되는 끈 형상부재가 일단 제2 가이드관(guide pipe)으로 인입된 후 길고 플렉시블(flexible)하게 형성된 가이드 튜브(guide tube)로 안내되고, 이어서 방향 가이드레버의 제1 가이드관으로 안내되어 봉제천 상에 봉착되도록 함으로써, 끈 형상부재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어 끈 형상부재 쳐짐으로 인한 봉제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자수기 끈 형상부재 공급 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바늘대와 동축심상에 설치된 회전체의 일측에 고정설치된 다수의 레버 및 상기 레버에 체결되는 제1 가이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보빈으로부터 인출된 끈 형상부재를 봉제천 상으로 공급하는 방향 가이드레버; 상기 회전체의 타측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보빈으로부터 인출된 끈 형상부재가 가장 먼저 인입되도록 상기 보빈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2 가이드관; 및 상기 제1 가이드관과 상기 제2 가이드관 사이에 설치된 가이드튜브;를 포함하는 자수기 끈 형상부재 공급 가이드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가이드관은 체결브라켓을 이용 회전체의 타측에 고정설치되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바람직하게게는 상기 가이드튜브는 상기 방향 가이드레버의 움직임에 따라 유연하게 변형가능한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끈 형상부재 공급 가이드장치를 포함하는 미싱헤드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싱헤드(100)의 하부에는 바늘대와 동축심상에 회전체(140)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140)의 일측에는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보빈(160)이 고정설치되어 회전체(140)와 연동 회전하며, 회전체(140)의 타측에는 다수의 레버(151,153,155) 및 제1 가이드관(157)을 포함하는 방향 가이드레버(150)가 고정설치되어 회전체(140)와 연동 회전한다. 이때, 방향 가이드레버(150)는 가이드튜브(170) 및 제2 가이드관(미도시)과 함께 보빈에서 공급되는 끈 형상부재를 적절하게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방향 가이드레버를 포함하는 끈 형상부재 공급 가이드장치에 대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자수기의 끈 형상부재 공급 가이드장치를 포함하는 자수기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을 우측상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수기 끈 형상부재 공급 가이드 장치는 다수의 레버(151,153,155) 및 제1 가이드관(157)을 포함하는 방향 가이드레버(150), 제2 가이드관(170) 및 가이드튜브(17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방향 가이드레버(150)는 다수의 레버(151,153,155) 및 제1 가이드관(157)으로 구성되고, 다수의 레버(151,153,155) 및 제1 가이드관(157)은 고정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되며, 회전체(140)와 연동회전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2 가이드관(170)은 보빈(160)으로부터 인출된 끈 형상부재(163)가 가장 먼저 인입되는 곳으로 체결브라켓(172)을 이용 보빈(160)에 인접하도록 회전체(140)에 고정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2 가이드관(170)은 끈 형상부재(163)를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가이드관(170)은 체결브라켓(172)을 이용하여 회전체(140)에 고정설치되어 있으므로 회전체(140)와 함께 연동회전한다.
상기 제1 가이드관(157) 및 상기 제 2가이드관(170) 사이에는 가이드 튜브(175)가 설치되는데, 상기 가이드 튜브(175)는 좌우 방향으로 요동하는 방향 가이드레버(150)의 움직임에 따라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변형이 가능한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방향 가이드레버(150), 제2 가이드관(170) 및 가이드 튜브(175)를 포함하는 가이드장치를 미싱헤드 하부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이들 구성요소 및 보빈(160) 등의 설치위치를 적절하게 변경하여야 하는데,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과 달리 본 고안에 따른 방향 가이드레버(150)는 노루발(137)의 전방에 위치하여야 주변 부품에 방해받지 않고 설치가능하다.
따라서 보빈(160)에서 인출된 끈 형상부재(163)는 제2 가이드관(170), 가이드튜브(175) 및 제1 가이드관(157)을 거쳐 노루발(137)의 전방에서 공급되어 봉제천 상에 봉착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 131은 바늘대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자수기 끈 형상부재 공급 가이드장치에 의하면, 보빈에서 인출되는 끈 형상부재가 일단 제2 가이드관으로 인입된 후 길고 플렉시블하게 형성된 가이드 튜브로 안내되고, 이어서 방향 가이드레버의 제1 가이드관으로 안내되어 봉제천 상에 봉착되므로 보빈이 과도하게 회전하더라도 쳐진 끈 형상부재가 봉제천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정확하고 깨끗한 봉제작업이 가능하고, 끈쳐짐으로 인한 바늘작동 정지 등의 문제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도면과 명세서에 최적 실시예를 개시하였다. 여기서는 설명을 위해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를 한정하거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보빈에서 인출되는 끈 형상부재가 일단 제2 가이드관으로 인입된 후 길고 플렉시블하게 형성된 가이드 튜브로 안내되고, 이어서 방향 가이드레버의 제1 가이드관으로 안내되어 봉제천 상에 봉착되므로 보빈이 과도하게 회전하더라도 쳐진 끈 형상부재가 봉제천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원활한 끈 형상부재 공급이 가능하므로, 끈 형상부재 처짐으로 인한 봉제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정확하고 깨끗한 봉제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끈처짐으로 인한 바늘작동 정지 등의 문제가 전혀 발생하지 않아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4)

  1. 바늘대와 동축심상에 설치된 회전체의 일측에 고정설치된 다수의 레버 및 상기 레버에 체결되는 제1 가이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보빈으로부터 인출된 끈 형상부재를 봉제천 상으로 공급하는 방향 가이드레버;
    상기 회전체의 타측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보빈으로부터 인출된 끈 형상부재가 가장 먼저 인입되도록 상기 보빈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2 가이드관; 및
    상기 제1 가이드관과 상기 제2 가이드관 사이에 설치된 가이드튜브;를 포함하는 자수기 끈 형상부재 공급 가이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관은 체결브라켓을 이용 회전체의 타측에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 끈 형상부재 공급 가이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관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 끈 형상부재 공급 가이드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튜브는 상기 방향 가이드레버의 움직임에 따라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 끈 형상부재 공급 가이드장치.
KR2020060019744U 2006-07-21 2006-07-21 자수기 끈 형상부재 공급 가이드장치 KR2004284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744U KR200428488Y1 (ko) 2006-07-21 2006-07-21 자수기 끈 형상부재 공급 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744U KR200428488Y1 (ko) 2006-07-21 2006-07-21 자수기 끈 형상부재 공급 가이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488Y1 true KR200428488Y1 (ko) 2006-10-16

Family

ID=41776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9744U KR200428488Y1 (ko) 2006-07-21 2006-07-21 자수기 끈 형상부재 공급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4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585B1 (ko) * 2012-09-03 2018-06-11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미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585B1 (ko) * 2012-09-03 2018-06-11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미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6362B2 (en) Embroidery sew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5508698B2 (ja) ミシン及びこのタイプのミシンを用いてシームの初めを縫う方法
JP5785684B2 (ja) ミシン
KR200428488Y1 (ko) 자수기 끈 형상부재 공급 가이드장치
KR101866585B1 (ko) 미싱
JP5544056B2 (ja) 飾り縫いミシン
US20070137540A1 (en) Sewing machine
KR100755464B1 (ko) 자수기의 보빈사 인출 가이드 장치
JP2002306876A (ja) 穴かがりミシン
JP2010035990A (ja) 刺繍ミシンの布押え体
KR200465633Y1 (ko) 셔닐 자수기의 미싱헤드
KR101122212B1 (ko)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
JP4510949B2 (ja) ミシンの下糸手繰装置
KR100652836B1 (ko) 스팽글 공급제어장치
JP2009055966A (ja) ミシン
US11519113B2 (en) Embroidery accessory with interchangeable guide
JP4919872B2 (ja) 刺繍方法
US20060016376A1 (en) Embroidery sewing machine
JP5021245B2 (ja) ボビンケース
JPH0522557B2 (ko)
KR200231907Y1 (ko) 자수기의 고속 코딩기구
JP2005211311A5 (ko)
KR101658653B1 (ko) 자수기의 실 장력 조절장치
KR200209888Y1 (ko) 자수기의 윗실 공급장치
JPH05117956A (ja) 紐刺しゆう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