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5652A - 스팽글의 간헐 봉착장치 - Google Patents

스팽글의 간헐 봉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5652A
KR20070025652A KR1020050082047A KR20050082047A KR20070025652A KR 20070025652 A KR20070025652 A KR 20070025652A KR 1020050082047 A KR1020050082047 A KR 1020050082047A KR 20050082047 A KR20050082047 A KR 20050082047A KR 20070025652 A KR20070025652 A KR 20070025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uins
stepping motor
push rod
spangles
sequ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2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이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철 filed Critical 이상철
Priority to KR1020050082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5652A/ko
Publication of KR20070025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56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D06Q1/10Decorating textiles by treatment with, or fixation of, a particulate material, e.g. mica, glass bead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12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fastening articles by sewing
    • D05B3/22Article-, e.g. button-, feed mechanism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24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med by general-purpose sewing machines modified by attachments, e.g. by detachable devices
    • D05B3/246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med by general-purpose sewing machines modified by attachments, e.g. by detachable devices for darning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6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ttaching bands, ribbons, strips, or tapes or for bi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의류 및 장신구의 악세사리로 사용되는 스팽글의 봉착장치에 있어, 특히 스팽글을 공급시키는 밀대의 하측에 스테핑모터에 의해 회전되게 한 별도의 승강축을 장착하여, 상기 승강축의 회전에 의해 밀대가 스팽글을 공급시킬 수 있게 작동되게 하거나, 스팽글을 공급하지 않고 공중에서 헛작동되게 조절함으로서, 상기 밀대의 높이조절을 통한 간헐 주기 또는 피치조절된 스팽글의 간격을 갖는 스팽글 연결체를 생산할 수 있게 하므로,
본체 내의 기어비를 조정하거나 구동기어의 교체작업이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스테핑모터의 회전주기의 조절을 통해 스팽글의 간격을 조절하게 되므로 매우 편리하고 용이한 조작이 가능한 것이며, 서로 다른 피치 및 간격을 갖는 스팽글 연결체를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어 보다 다양한 형태로 의류 및 악세사리 등에 사용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인 특징을 갖는 스팽글의 간헐 봉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팽글, 간헐, 봉착, 간격, 승강축, 밀대

Description

스팽글의 간헐 봉착장치 {Intermittent stitching device for spangl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팽글 봉착장치의 전체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팽글 봉착장치의 측면전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팽글 봉착장치의 밀대 승강구조를 도시한 요부확대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팽글 봉착장치의 밀대 작동부 확대도로서.
도 4a는 밀대가 상승되어 스팽글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의 측단면도
도 4b는 밀대가 하강하여 스팽글을 공급하는 상태의 측단면도
도 5는 밀대 작동부의 스테핑모터와 구동회전축의 센서를 도시한 동력전달부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 스팽글 봉착장치를 이용한 스팽글 연결체의 제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체 2 : 구동모터
3 : 스팽글 4 : 회전축
5 : 마그네트 6 : 자기센서
10 : 밀대구동수단 11 : 밀대
12 : 회전아암 13 : 스프링
20 : 재봉수단
30 : 숭강축 31 : 절삭면
40 : 스테핑모터 41 : 벨트
42 : 절개홈 43 : 회전판
44 : 검출센서
본 발명은 각종 의류 및 장신구의 악세사리로 사용되는 스팽글의 봉착장치에 있어, 특히 그 스팽글 봉착장치의 밀대 높낮이를 가변시키는 승강축 및 그 승강축의 회전량을 제어하는 스테핑모터, 상기 스테핑모터와 연계작동되는 회전감지센서를 각각 장착함으로서, 봉착되는 스팽글의 일정 간격 및 봉착주기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 및 제어할 수 있게 한 스팽글의 간헐 봉착장치에 대한 것이다.
스팽글은 빛의 반사작용을 이용한 필름을 일정한 모양으로 형성하여 각종 의류 및 악세사리 등에 부착 사용하는 것으로, 의류 및 악세사리의 장식성을 높이고 피장식물에 보다 화려함을 갖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스팽글은 대부분 합성수지재 필름을 절단금형을 사용하여 일정한 모양으로 컷팅하여 이를 의류 또는 악세사리 등에 부착하게 되는데, 연속된 형상의 스팽글을 별도의 권취롤에 권취하여 이를 자동화장치에 적용함으로써, 근자에는 매우 고속으로 스팽글 원단을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상기한 스팽글은 주지한 바와 같이 원단의 표면에 직접 부착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나, 의류의 레이스 등에 이용할 경우에는 연속된 봉착상태의 길이형태로 만들어져 이를 별도로 이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스팽글 봉착장치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본체의 내측에 장착되어진 구동모터가 작동하면 그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밀대구동수단 및 봉착수단이 작동을 하게 되므로, 상기한 밀대의 작동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개개의 스팽글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며, 이와 동시에 봉착수단이 동일한 속도비로 작동하게 되어 연속적인 봉착상태를 갖는 스팽글 연결체가 생산되는 시스템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스팽글 연결체는 그 스팽글이 균일한 간격을 갖고 연속적으로 생산되는바, 필요에 의해 스팽글이 간헐 봉착된 상태의 연결체를 얻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밀대구동수단과 봉착수단의 속도비를 제어하여 이에 의한 간헐 봉착 상태의 스팽글 연결체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즉, 밀대구동수단의 작동주기를 봉착수단의 작동주기와 비교하여 1:3의 비율 로 작동되게 하면 3피치의 봉착간격마다 1개의 스팽글이 봉착된 상태를 갖는 연결체가 완성되는 것이며, 그 속도비의 제어에 따라 1:2 또는 1:4의 비율을 갖는 스팽글 연결체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간헐 봉착주기를 갖는 스팽글 연결체는 그 속도비를 조절하기가 매우 어렵고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하면서도, 작업도중 그 간헐간격을 조정하여야 할 경우에는 작업을 중단시킨 상태에서 기어비를 재조정한 후 다시 작업을 재개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동력전달을 위한 구동기어는 구동모터와 함께 본체내에 내장되어 있는바, 상기한 구동기어의 회전비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본체의 일부를 들어내고 서로 맞물려 있는 기어를 분해한 상태에서 목적하고자 하는 기어비를 갖는 구동기어를 재조립한 후 장치를 작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불규칙한 스팽글의 피치를 갖는 연결체는 상기한 바와 같은 이유에 의해 생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자 안출된 것으로서, 스팽글을 공급시키는 밀대의 하측에 스테핑모터에 의해 회전되게 한 별도의 승강축을 장착하여, 상기 승강축의 회전에 의해 밀대가 스팽글을 공급시킬 수 있게 작동되게 하거나, 스팽글을 공급하지 않고 공중에서 헛작동되게 조절함으로서, 상기 밀대의 높이 조절을 통한 간헐 주기 또는 피치조절된 스팽글의 간격을 갖는 연결체를 생산할 수 있게 하므로,
본체 내의 기어비를 조정하거나 구동기어의 교체작업이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스테핑모터의 회전주기의 조절을 통해 스팽글의 간격을 조절하게 되므로 매우 편리하고 용이한 조작이 가능한 것이며, 서로 다른 피치 및 간격을 갖는 스팽글 연결체를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어 보다 다양한 형태로 의류 및 악세사리 등에 사용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인 특징을 갖는 스팽글의 간헐 봉착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팽글 봉착장치의 전체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팽글 봉착장치의 측면전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팽글 봉착장치의 밀대 승강구조를 도시한 요부확대사시도이다.
본체(1) 일측의 구동모터(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전,후 왕복하며 스팽글(3)을 공급하는 밀대구동수단(10)과, 상기 밀대구동수단(10)과 연동하여 각각의 스팽글(3)을 봉착하여 연결하는 재봉수단(20)을 갖는 공지의 스팽글 봉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밀대구동수단(10)에 삽입된 복수개의 밀대(11)는 회전아암(12)의 하단에 스프링(13) 탄지되어 그 단부가 하향되게 하되, 상기 각각의 밀대(11)의 하측 중간부에는 절삭면(31)에 의한 높이차를 갖는 승강축(30)을 형성하고, 상기 승강축(30)의 단부에는 별도의 스테핑모터(40)와 연결된 밸트(41)를 연결하며,
상기 스테핑모터(40)는, 상기 구동모터(2)의 회전축(4) 상에 장착된 마그네트(5)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자기센서(6)와 연동되게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스테핑모터(40)의 회전축(45)에는 절개홈(42)을 갖는 회전판(43)을 장착하고, 상기 회전판(43)의 일측에는 상기 절개홈(42)을 투과하는 검출센서(44)를 장착하여, 상기 검출센서(44)에 의해 상기 스테핑모터(40)의 회전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 스팽글의 간헐 봉착장치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스팽글 봉착장치는 본체(1)의 일측에 장착되어진 구동모터(2)의 작동에 의해 밀대구동수단(10) 및 재봉수단(20)이 연동하여 개개의 스팽글(3)을 연속적으로 봉착하여 연결하는 장치인 것으로서,
상기한 스팽글(3)은 스팽글공급롤(도면에는 미도시함)로부터 연속적으로 본체(1) 내부로 공급되면 상기 밀대구동수단(10)에 의해 일정한 피치로 그 스팽글(3)을 밀어 재봉수단(20)의 하측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스팽글(3)이 순차적으로 공급되면 이와 연동하는 재봉수단(20)에 의해 각각의 스팽글(3)을 실에 의해 연속적으로 연결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한 스팽글은 연속적인 연결상태를 갖는 길이 형태로 만들어져 별도의 권취롤에 감겨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일정한 피치를 갖고 연속적으로 봉착되는 스팽글(3)의 간격을 임의로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4a의 도시와 같이 별도의 스테핑모터(40)를 작동시켜 벨트(41) 연결된 승강축(30)이 일정량 회전되게 하여 그 승강축(30)의 외주면에 상기 밀대(11)가 위치되도록 하면 되는 것인데,
상기와 같이 승강축(30)의 외주면 상에 올려진 밀대(11)는 그 하단이 왕복 슬라이딩하더라도 스팽글(3)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아니하고 회전아암(12)을 따라 공중에서 왕복하게 되므로, 상기 스팽글(3)은 공급되지 않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스팽글(3)의 미공급 상태에서도 상기 재봉수단(20)은 그 구동모터(2)의 동력을 여전히 받게 되므로 스팽글(3)이 없는 상태로 봉착구간을 연속적으로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스팽글(3)이 없는 봉착구간을 어느 정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스테핑모터(40)를 재작동시켜 도 4b의 도시와 같이 그 승강축(30)의 절삭면(31)이 밀대(11)의 하측에 위치되게 하면, 상기 절삭면(31) 및 밀대(11)의 단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고 있는 스프링(13)에 의해 상기한 밀대(11)가 하측으로 하강하게 되므로 이때부터는 다시 스팽글(3)을 밀어 재봉수단(20)을 향하여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한 스테핑모터(40)의 작동에 의해 그 밀대(11)의 승강상태를 제어하므로 스팽글(3)의 간격이나 봉착주기 등을 임의로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한 스팽글의 간헐피치를 가능케 하는 부가적 수단으로서, 도 5의 도시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2)의 회전축(4) 상에 별도의 마그네트(5)를 장착하고, 그 주변에는 상기 마그네트(5)를 감지할 수 있는 자기센서(6)를 장착하여, 상기 자기센서(6)에 의한 마그네트(5)의 감지횟수 즉, 구동모터(2)의 회전량에 따른 재봉수단(20)의 피치를 인지하여, 이에 의한 스테핑모터(40)의 작동횟수가 연동하여 작동되게 하므로 매우 효과적인 제어구조를 갖게 되는 것이다.
즉, 도 6의 도시와 같이 연속적으로 균일한 피치를 갖는 스팽글 연결체를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밀대(11)가 승강축(30)의 절삭면(31)에 올려진 상태에서 연속적인 스팽글(3)의 공급 및 재봉에 의해 완성되게 하면 되는 것이며, 이때의 자기센서(6)와 마그네트(5)의 감지시에도 상기 스테핑모터(40)는 작동하지 않게 된다.
또한, 1피치 간헐간격을 갖는 스팽글(3)을 형성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회전축(4)이 2회 회전하는 동안 상기 스테핑모터(40)는 그 승강축(30)을 한바퀴 회전시키면 되는 것인데, 자기센서(6)의 1차 센싱이 이루어지면 즉시 스테핑모터(40)는 승강축(30)을 반바퀴 회전시켜 밀대(11)가 상승되게 하고, 자기센서(6)의 2차 센싱이 이루어지면 스테핑모터(40) 역시 승강축(30)을 반바퀴 회전시켜 그 절삭면(31) 상에 밀대(11)가 위치되도록 함으로서,
재봉수단(20)의 1차 작동(구동모터 1회 회전)시에는 스팽글(3)이 공급되지 아니하고 2차 작동시에는 스팽글(3)이 공급되게 하여 2피치의 봉착간격마다 하나의 스팽글(3)이 함께 봉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2피치 간헐간격을 갖는 스팽글(3)을 형성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회전축(4)이 3회 회전하는 동안 상기 스테핑모터(40)가 그 승강축(30)을 한바퀴 회전시키면 되는 것인데, 자기센서(6)의 1차 센싱이 이루어지면 즉시 스테핑모터(40)는 승강축(30)을 반바퀴 회전시켜 밀대(11)가 상승되게 하고, 자기센서(6)의 2차 센싱이 이루어질때 상기 스테핑모터(40)의 동작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며, 자기센서(6)의 3차 센싱이 이루어지면 비로소 상기 스테핑모터(40)는 승강축(30)을 반바퀴 회전시켜 그 절삭면(31) 상에 밀대(11)가 위치되도록 함으로서,
재봉수단(20)의 1회 및 2회작동시에는 스팽글(3)이 공급되지 아니하고 3차작동시에는 스팽글(3)이 공급되게 하여 3피치의 봉착간격마다 하나의 스팽글(3)이 함께 봉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한 스테핑모터(40)의 작동주기에 따라 그 밀대(11)를 승,하강시켜 다양한 스팽글(3)의 피치 간격을 얻을 수 있는 것이며, 이를 프로그래밍화하여 다양한 간격을 갖는 스팽글 연속체를 만들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스테핑모터(40)의 회전량은 그 밀대(11)를 승강시키는 직접적인 제어량과 직결되므로 상기 스테핑모터(40)의 오버런이나 부족한 회전량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테핑모터(40)의 회전축(45)에 별도의 회전판(43)을 장착하고,
그 회전판(43)에는 중심을 향하여 절개홈(42)을 형성한 후, 상기 절개홈(42)을 투시하여 회전량을 감지할 수 있는 별도의 검출센서(44)를 장착함으로서,
상기 회전판(43)의 회전량을 상기 검출센서(44)에 의해 정확히 파악할 수 있게 하면서도, 상기 절개홈(42)과 검출센서(44)가 그 스테핑모터(40)의 전원을 단속 할 수 있는 스위치의 역할을 겸할 수 있게 하여 항상 정확한 위치에서 그 스테핑모터(40)가 정지될 수 있게 하므로 미세한 작동폭을 갖는 밀대(11)의 오동작이나 높이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 스팽글의 간헐 봉착장치는, 본체 내의 기어비를 조정하거나 구동기어의 교체작업이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스테핑모터의 회전주기의 조절을 통해 스팽글의 간격을 조절하게 되므로 매우 편리하고 용이한 조작이 가능한 것이며, 서로 다른 피치 및 간격을 갖는 스팽글 연결체를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어 보다 다양한 형태로 의류 및 악세사리 등에 사용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인 것이다.

Claims (2)

  1. 본체(1) 일측의 구동모터(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전,후 왕복하며 스팽글(3)을 공급하는 밀대구동수단(10)과, 상기 밀대구동수단(10)과 연동하여 각각의 스팽글(3)을 봉착하여 연결하는 재봉수단(20)을 갖는 공지의 스팽글 봉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밀대구동수단(10)에 삽입된 복수개의 밀대(11)는 회전아암(12)의 하단에 스프링(13) 탄지되어 그 단부가 하향되게 하되, 상기 각각의 밀대(11)의 하측 중간부에는 절삭면(31)에 의한 높이차를 갖는 승강축(30)을 형성하고, 상기 승강축(30)의 단부에는 별도의 스테핑모터(40)와 연결된 밸트(41)를 연결하며,
    상기 스테핑모터(40)는, 상기 구동모터(2)의 회전축(4) 상에 장착된 마그네트(5)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자기센서(6)와 연동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팽글의 간헐 봉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스테핑모터(40)의 회전축(45)에는 절개홈(42)을 갖는 회전판(43)을 장착하고, 상기 회전판(43)의 일측에는 상기 절개홈(42)을 투과하는 검출센서(44)를 장착하여, 상기 검출센서(44)에 의해 상기 스테핑모터(40)의 회전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팽글의 간헐 봉착장치.
KR1020050082047A 2005-09-05 2005-09-05 스팽글의 간헐 봉착장치 KR200700256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047A KR20070025652A (ko) 2005-09-05 2005-09-05 스팽글의 간헐 봉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047A KR20070025652A (ko) 2005-09-05 2005-09-05 스팽글의 간헐 봉착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490U Division KR200401332Y1 (ko) 2005-09-05 2005-09-05 스팽글의 간헐 봉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5652A true KR20070025652A (ko) 2007-03-08

Family

ID=38099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2047A KR20070025652A (ko) 2005-09-05 2005-09-05 스팽글의 간헐 봉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565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005B1 (ko) * 2016-04-07 2016-09-20 주식회사 광화텍스 합성수지를 이용한 스팽글사 제조장치
KR101658004B1 (ko) * 2016-04-07 2016-09-20 주식회사 광화텍스 부직포를 이용한 스팽글사 제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005B1 (ko) * 2016-04-07 2016-09-20 주식회사 광화텍스 합성수지를 이용한 스팽글사 제조장치
KR101658004B1 (ko) * 2016-04-07 2016-09-20 주식회사 광화텍스 부직포를 이용한 스팽글사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09230B1 (en) Automatic multi-function multi-needle sewingmachine and relative sewing method
US7717051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of the backing feed for a tufting machine
US7426895B2 (en) Tufting machine and process for variable stitch rate tufting
US6957615B1 (en) Method and device to apply cord thread or ribbons onto fabrics in a quilting machine
US11505886B2 (en) Variable or multi-gauge tufting with color placement and pattern scaling
KR20070025652A (ko) 스팽글의 간헐 봉착장치
KR200401332Y1 (ko) 스팽글의 간헐 봉착장치
CN101802285A (zh) 用于针织物的具有高度多样性应用的直型缝合机
JP3038576B2 (ja) フック・アイ金具縫い付けミシン
JP2004528492A (ja) 模様入りタフテッド製品を製造するためのデュアル糸送り機構を備えたタフティング装置
KR101537823B1 (ko) 재봉틀
KR100770018B1 (ko) 장식사 제조장치 및 그 장식사
US11661694B2 (en) Variable or multi-gauge cut pile tufting with backing shifting
KR100792380B1 (ko) 의류용 장식구슬의 자동 부착장치
WO2008090573A1 (en) Automatic multi -needle sewing machine for making ornamental stitches with chain stitch, to create ornamental effects with moss stitch and chenille stitch, for the application of tapes, and relative method
US6920837B2 (en) Sewing machine
CN203238442U (zh) 链式绗缝控制系统
KR100609317B1 (ko) 스팡글 부착장치의 다중스팡글 부착구조
KR100524650B1 (ko) 스팽글 장식원단 및 그 제조방법
US5934212A (en) Two part sewing system for large work pieces
KR101122212B1 (ko)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
KR200412603Y1 (ko) 장식용 구슬실 성형장치
KR100514974B1 (ko) 장식원단 및 그 제조방법
JP2002000974A (ja) 上飾り縫い装置
KR200379201Y1 (ko) 스팡글 부착장치의 다중스팡글 부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