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1601Y1 - 테두리실 공급장치 및 그 테두리실 공급장치를 갖는 자수기 - Google Patents

테두리실 공급장치 및 그 테두리실 공급장치를 갖는 자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1601Y1
KR200381601Y1 KR20-2005-0001649U KR20050001649U KR200381601Y1 KR 200381601 Y1 KR200381601 Y1 KR 200381601Y1 KR 20050001649 U KR20050001649 U KR 20050001649U KR 200381601 Y1 KR200381601 Y1 KR 2003816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feeder
bracket
head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16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엑스포무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엑스포무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엑스포무역
Priority to KR20-2005-00016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16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16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16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1/00Devices for guiding, feeding, handling, or treating the threads in embroidering machines; Machine needles;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therefor
    • D05C11/02Machine needles
    • D05C11/06Needle-driving or control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1/00Devices for guiding, feeding, handling, or treating the threads in embroidering machines; Machine needles;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therefor
    • D05C11/08Thread-tensioning arrangements
    • D05C11/10Guides, e.g. resil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수기에 테두리실을 공급하는 테두리실 공급장치 및 그 테두리실 공급장치를 갖는 자수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프레임(10)에 설치된 밑실을 갖는 침판(20)이 컨트롤러(40)의 제어에 의하여 원단을 X축 및 Y축으로 수평이동시키면, 컨트롤러(40)에 의하여 제어되는 프레임(10)상의 헤드(30)에 설치된 윗실을 갖는 바늘(32)들이 원단에 자수를 실시한다. 이때, 헤드(30)에 내장되거나 표면에 부착되어, 컨트롤러(40)에 의하여 제어되는 테두리실 공급장치(CS)는, 헤드(30)의 바늘(32)들 중 어느 하나의 바늘에 테두리실(C)을 공급한다. 따라서, 테두리실(C)은 이 바늘(32)에 의하여 원단의 자수 테두리에 자동으로 박음질되면서, 자수의 테두리에 테두리선을 형성한다. 여기서, 테두리실 공급장치(CS)는, 브래킷(100)에 의하여 헤드(30)에 고정된 피더(200)가, 구동수단의 구동력으로 테두리실(C)을 당기면서 헤드(30)의 바늘(32)에 테두리실(C)을 공급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침판(20)과 헤드(30) 및 테두리실 공급장치(CS)에 의하여, 자수기(EM)가 침판상의 원단에 자수를 자동으로 실시하는 동시에 자수의 테두리에 테두리선을 자동으로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테두리실 공급장치 및 그 테두리실 공급장치를 갖는 자수기{EDGE CORD SUPPLIER AND EMBROIDERY MARCHINE WITH THEREOF}
본 고안은 원단의 자수 테두리에 테두리선이 형성되도록, 테두리실을 자수기에 공급하는 테두리실 공급장치 및 그 공급장치를 갖는 자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수기는 윗실이 끼워진 복수개의 바늘을 갖는 헤드가, 하부의 침판상에 배치된 원단에 자수를 실시한다. 이때, 침판은 헤드의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자수의 형태에 따라 X축 및 Y축으로 이동(이동수단에 의하여 이동함)하면서 원단을 이동시킨다. 따라서, 헤드는 침판상의 원단에 설정된 형태의 자수를 실시한다.
한편, 최근에는 원단에 형성된 자수의 테두리에 코드사와 같은 굵은 테두리실이 테두리선으로 형성된 원단이 대단히 유행하고 있다. 이렇게, 테두리선이 유행하는 이유는, 자수의 테두리에 테두리선이 형성될 경우, 원단이 더욱 고급스러울 뿐만 아니라 자수가 더욱 돋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금박의 코드사로 테두리선을 형성할 경우 더욱 그러하다.
그러나, 일반적인 자수기는 전술한 바와 같은 테두리실의 공급이 사실상 불가능하여, 자수기에 의하여 자수된 원단에 재봉사가 소형미싱으로 일일이 테두리선을 형성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시 말하면, 자수에 테두리선이 있는 원단을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자수기로 원단에 자수를 실시한 다음, 재봉사가 이 원단을 소형미싱으로 가져가서 테두리선을 만들어야 한다. 즉, 테두리선이 있는 자수된 원단을 만들기 위해서는, 두번의 작업공정을 실시하여야 하는 매우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수작업으로 테두리선을 만들기 때문에, 자수시간이 대단히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수기가 자수 및 테두리선을 동시에 형성하도록, 자수기에 테두리실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테두리실 공급장치 및 그 테두리실 공급장치를 갖는 자수기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윗실이 끼워진 복수개의 바늘을 이용하여 원단의 표면을 자수하는 자수기의 헤드에, 자수된 수의 테두리선을 형성하는 테두리실을 공급하는 테두리실 공급장치에 있어서, 전술한 헤드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브래킷과; 이 브래킷에 연결되고, 테두리실이 전술한 헤드의 바늘들 중 어느 하나의 바늘에 의하여 원단상에 박음질되도록, 테두리실을 당겨서 전술한 헤드의 바늘들 중 어느 하나의 바늘 하부에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피더 및; 이 피더를 작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실 공급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전술한 피더는 예컨대, 브래킷의 하단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베이스와; 이 베이스에 병렬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테두리실이 관통하는 실소통공을 가지며, 테두리실이 와인딩됨에 따라 회전하면서 테두리실을 당기는 동시에, 전술한 헤드의 바늘 중 어느 하나의 바늘 하부에 테두리실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원통형 로터 및; 이 로터에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전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전동부재는 예컨대, 전술한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하며, 일측에 구동기어를 동일체로 갖는 구동축 및; 전술한 로터에 동일체로 연결되고, 이 구동축의 구동기어에 의하여 회전하는 로터기어;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테두리실 공급장치는, 전술한 구동축의 구동기어 및 로터기어와 교합하면서 기어트레인을 형성하고, 구동기어의 회전력을 로터기어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기어;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구동축의 구동기어와 로터기어 및 중간기어는, 미도시된 풀리 및 벨트로 대신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롤러로 대신할 수도 있다. 이때, 롤러를 적용할 경우에는 롤러의 외주면에 고무를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한편, 전술한 테두리실 공급장치는, 전술한 피더를 전술한 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피더고정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피더고정부재는 예컨대, 전술한 브래킷의 일측면에 고정되고, 하부에는 원주방향의 슬롯을 갖는 원통형의 인너하우징과; 이 인너하우징의 외주면에 끼워져서, 외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아우터하우징 및; 이 아우터하우징을 관통하여 전술한 인너하우징의 슬롯에 삽입되고, 체결력에 따라서 아우터하우징을 인너하우징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정지나사;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테두리실 공급장치는, 전술한 피더를 전술한 브래킷에 대하여 슬라이딩시키면서 승강시키는 제1승강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제1승강기는 예컨대, 전술한 피더에 일측이 연결되고, 전술한 브래킷에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를 견인하면서 슬라이딩시키는 견인부재 및; 이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전술한 견인부재는 예컨대, 전술한 브래킷에 고정되는 로드를 가지며, 몸체는 전술한 슬라이더에 연결되어, 로드의 신축시 승강하면서 슬라이더를 견인시키는 제1실린더;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견인부재는 예컨대, 전술한 제1실린더 및 슬라이더에 일체로 연결되어, 제1실린더의 승강시 슬라이더를 견인하는 견인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가이드수단은 예컨대, 전술한 브래킷의 양측에 전술한 슬라이더를 감싸는 수직의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슬라이더의 이동을 수직방향으로 유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전술한 테두리실 공급장치는, 전술한 제1승강기와 연동하여, 상기 구동수단을 승강시키는 제2승강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필요도 있다. 이때, 제2승강기는 예컨대, 전술한 자수기에 고정되고, 로드는 전술한 구동수단에 연결되며, 전술한 제1승강기의 승강시 로드를 작동시켜서 구동수단을 함께 승강시키는 제2실린더 및; 이 제2실린더에 의하여 승강하는 전술한 구동수단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고안의 목적은,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수평상태로 배치되고, 이동수단에 의하여 상부면에 전개된 원단을 X축 및 Y축으로 수평이동시키며, 자수가 가능하도록 자수용 밑실을 제공하는 침판과; 이 침판의 밑실과 함께 수를 형성하는 윗실이 끼워진 복수개의 바늘이 마련되어 침판상의 원단에 자수를 실시하고, 테두리실이 이 바늘들 중 어느 하나의 바늘에 의하여 원단상에 형성된 자수의 테두리선을 형성하도록, 복수개의 바늘들 중 어느 하나의 바늘에 테두리실을 공급하는 전술한 테두리실 공급장치를 일체로 갖는 적어도 하나의 헤드 및; 이 헤드 및 침판의 작동을, 입력된 자수프로그램에 따라서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실 공급장치를 갖는 자수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때, 헤드에 설치되는 테두리실 공급장치는 전술한 테두리실 공급장치와 대동소이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테두리실 공급장치 및 그 테두리실 공급장치를 갖는 자수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자수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테두리실 공급장치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테두리실 공급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피더가 승강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테두리실 공급장치를 갖는 자수기(EM)는, 수직으로 직립되는 프레임(10)과; 이 프레임(10)에 수평상태로 배치되는 침판(20)과; 이 프레임(10)에 고정되고, 테두리실 공급장치(CS)를 일체로 갖는 적어도 하나의 헤드(30) 및; 이 헤드(30)와 침판(20)의 작동을, 입력된 자수프로그램에 따라서 제어하는 컨트롤러(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레임(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전방에는 침판(20)이 안착되는 테이블(12)을 갖는다.
침판(20)은 프레임(10)의 테이블(12)상에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안착된다. 이러한, 침판(20)은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및 Y축으로 설치되어 스테핑모터(SM)에 의하여 작동하는 볼스크류와 같은 이동수단(22)에 의하여 X축 및 Y축으로 수평이동한다. 이때, 침판(20)의 상부면에는 자수용 원단이 전개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침판(20)은 후술되는 헤드(30)의 윗실과 함께 엮어지면서 자수를 실시하는 밑실을 갖는다.
헤드(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침판(20)의 밑실과 함께 자수를 실시하는 윗실이 끼워진 복수개의 바늘(32)을 갖는다. 이때, 헤드(30)에 설치되는 테두리실 공급장치(CS)는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30)의 일측면 외측에 설치되거나, 도시된 바와 달리 헤드(30)의 일측면 내측, 즉 헤드(30)의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테두리실 공급장치(CS)는 코드사와 같이 굵은 형태의 테두리실(C)을 헤드(30)의 바늘(32)들 중 어느 하나에 공급한다. 이때, 테두리실 공급장치(CS)는 헤드(30)의 가장 외측에 설치된 바늘(32)에 테두리실(C)을 공급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30)의 일측단에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헤드(30)의 가장 외측에 설치된 바늘(32)은, 테두리실(C)을 이용하여 원단상의 자수 테두리에 테두리선을 형성하는데만 사용된다.
컨트롤러(40)는 자수를 프로그램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를 갖는 키패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컨트롤러(40)는 입된된 자수 프로그램에 따라 헤드(30) 및 침판(20)의 작동을 제어한다. 물론, 컨트롤러(40)는 침판(20)이 입력된 자수 프로그램에 따라 수평이동하도록, 침판(20)의 스테핑모터(SM)를 제어한다. 따라서, 자수기(EM)는 헤드(30) 및 침판(30)에 의하여 원단상에 자수를 형성하는 동시에, 자수의 테두리에 테두리선을 형성한다.
여기서, 도면상 미설명부호 34는 윗실이 와인딩된 보빈이고, 36은 이 보빈(34)에서 인출되는 윗실에 장력을 제공하는 텐션기이며, 38은 이 텐션기의 윗실을 바늘(32)에 공급하는 실채기이다.
한편, 전술한 테두리실 공급장치(CS)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30)의 일측면 내측이나 외측에 볼팅으로 장착되는 브래킷(100)과; 이 브래킷(100)에 연결되고, 테두리실(C)을 당겨서 헤드(30)의 가장 외측에 설치된 바늘(32)의 하부에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피더(200) 및; 이 피더(200)를 작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구동수단은 도시된 바와 같은 구동모터(M)이며, 이 구동모터(M)는 자수기(EM)의 프레임(10)이나 헤드(30)에 고정되는 제2실린더(532 : 후술됨)에 의하여 자수기(EM)에 고정된다. 그리고, 구동모터(M)는 전술한 컨트롤러(40) 또는, 이 컨트롤러(40)를 대신하는 별개의 미도시된 제어기에 의하여 구동이 제어된다.
여기서, 피더(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100)의 하단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판상의 베이스(210)와; 이 베이스(2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통형 로터(220) 및; 이 로터(220)에 구동모터(M)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로터(220)를 회전시키는 전동부재;를 포함한다.
베이스(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슬라이더(510), 인너하우징(410) 및 아우터하우징(420)에 의하여 브래킷(100)에 연결된다. 하지만, 도시된 바와 달리, 브래킷(100)의 하단에 직결시켜서 구성할 수도 있다.
로터(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를 갖는 풀리형태의 링이다. 이러한, 로터(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로 구성되어 베이스(210)에 병렬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로터(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실(C)이 관통하는 실소통공(222)을 갖는다. 이때, 도 3에 확대된 도면상의 좌측에 위치한 로터(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및 일측면에 실소통공(222)을 갖는다. 그리고, 확대된 도면상의 우측에 위치한 로터(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측 플랜지에 실소통공(222)을 갖는다. 또한, 우측에 위치한 로터(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30)의 바늘(32)이 왕복하는 관통공(220a)을 중앙에 갖는다.
이에 따라, 테두리실(C)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 위치한 로터(220) 중앙 및 일측면의 실소통공(222)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우측에 위치한 로터(220) 외주면에 와인딩 된 다음, 이 우측의 로터(220) 하단측에 형성된 실소통공(222)을 통해서 인출되며, 침판(20)이 이동수단에 의하여 수평이동함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의 로터(220) 하부 중앙에 일직선으로 정렬한다. 따라서, 헤드(30)의 바늘(32)은 우측의 로터(220)에 형성된 관통공(220a)을 통하여, 테두리실(C)을 원단(T)상에 고정한다. 물론, 바늘(32)은 윗실(Y)을 이용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실(C)의 외주면을 지그제그로 박음질하거나, 굵은 테두리실(C)의 중앙부를 따라서 박음질하면서 원단(T)상에 테두리실(C)을 고정한다.
전술한 전동부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M)에 의하여 회전하며, 일측에 구동기어(232a)를 동일체로 갖는 구동축(232) 및; 전술한 로터(220)에 동일체로 연결되는 로터기어(234);를 포함한다. 여기서, 구동축(232)의 구동기어(232a)는 구동력의 전달을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은 헬리컬기어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구동축(232)은 도시된 바와 같은 커플러(C)에 의하여 구동모터(M)에 연결된다. 그리고, 로터기어(234)는 로터(220)의 성형시 형성하거나, 로터(220)와 별개로 제조한 후 로터(220)의 하부에 볼팅 또는 용접으로 부착한다. 이러한, 로터기어(234)는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로 구성된 로터(220)에 제각각으로 부착되면서 서로 교합한다. 또한, 로터기어(234)는 구동축(232)의 구동기어(232a)에 의하여 회전한다. 이때, 로터기어(234)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220)에 형성된 실소통공(222)과 대응되는 실소통공이 형성되어야 한다. 그래야, 로터(220)의 실소통공(222)으로 유입되는 테두리실(C)이 로터(220)의 하부로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로터기어(234)가 구동축(232)의 구동기어(232a)에 의하여 회전하기 위해서는, 로터기어(234)가 도시된 바와 달리 구동기어(232a)에 직접적으로 교합되어야 한다. 하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기어(234) 및 구동기어(232a)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중간기어(236)을 개재하여, 중간기어(236)가 구동기어(232a)의 구동력을 로터기어(234)에 전달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중간기어(236)는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기어(234) 및 구동기어(232a)에 교합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이러한, 중간기어(23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단에 스퍼어기어(236a-1, 236a-2)를 가지며, 하단의 스퍼어기어(236a-2)는 로터기어(234)와 교합하는 축형태의 축기어(236a) 및; 이 축기어(236a)의 하단측 스퍼어기어(236a-2)와 교합하는 스퍼어기어 및, 구동기어(232a)와 직결하는 헬리컬기어를 상·하부에 동일체로 갖는 더블기어(236b)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축기어(236a)의 상단에 더블기어(236b)의 헬리컬기어를 형성할 경우, 더블기어(236b)는 생략이 가능하다.
이렇게,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기어(236)를 구성할 경우, 즉 축기어(236a) 및 더블기어(236b)로 구성할 경우, 중간기어(236)는 구동축(232)의 구동기어(232a) 및 로터(220)의 로터기어(234)와 함께 기어트레인을 형성한다.
여기서, 축기어(236a)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슬라이더(510)의 내주면에 베어링을 장착하여, 슬라이더(51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블기어(236b)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슬라이더(510)의 상단에 일체로 고정된 마운팅브래킷(512)의 하부에 힌지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마운팅브래킷(512)의 일측에는 구동축(232)의 구동기어(232a)가 삽입되는 원통형 케이싱(514)을 일체로 고정한다. 이때, 케이싱(514)의 내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232)을 지지하는 니들베어링을 내장한다. 따라서, 구동축(232)의 구동기어(232a)는 케이싱(514)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테두리실 공급장치(CS)는, 피더(200)를 전술한 브래킷(10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피더고정부재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피더고정부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인너하우징(410)과; 원통형의 아우터하우징(420) 및; 정지나사(43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인너하우징(4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100)의 일측면에 고정되며, 도 2의 좌측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원주방향의 슬롯(412)을 갖는다. 이때, 인너하우징(410)은 브래킷(100)과 승강가능하게 결합하는, 후술되는 슬라이더(510)에 연결됨에 따라 브래킷(100)의 일측면에 고정된다. 아우터하우징(420)은 이러한 인너하우징(410)의 외주면에 끼워져서, 외력에 의하여 회전한다. 정지나사(430)는 이 아우터하우징(420)을 관통하여 인너하우징(410)의 슬롯(412)에 삽입된다. 이러한, 정지나사(430)는 체결력에 따라서 아우터하우징(420)을 인너하우징(410)에 선택적으로 고정한다.
즉, 정지나사(430)를 약간 헐겁게 언로킹할 경우, 아우터하우징(420)은 인너하우징(41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피더(200)는 브래킷(100)에 대하여 회전한다. 다시 말하면, 피더(200)는 회전하면서 위치가 변경된다. 이렇게, 피더(200)의 위치가 변경된 후에는, 다시 정지나사(430)를 조여서 로킹시킨다. 이에 따라, 정지나사(430)는 인너하우징(410)의 슬롯(412)에 로킹되면서 아우터하우징(42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또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테두리실 공급장치(CS)는, 피더(200)를 브래킷(100)에 대하여 슬라이딩시키면서 승강시키는 제1승강기;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제1승강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더(200)에 하단이 연결되고, 브래킷(100)에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슬라이더(510)와; 이 슬라이더(510)를 견인하면서 슬라이딩시키는 견인부재 및; 이 슬라이더(51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여기서, 견인부재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헤드(30)에 고정된 브래킷(100)에 고정되는 로드(522a)를 가지며, 로드(522a)의 신축시 승강하는 제1실린더(522) 및; 이 제1실린더(522) 및 슬라이더(510)에 일체로 연결되어, 제1실린더(522)의 승강시 슬라이더(510)를 견인하는 견인구(524);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때, 제1실린더(522)의 로드(522a)는 도 4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100)을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고정되는 크로스볼트(110)상에 용접이나 볼팅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제1실린더(522)의 로드(522a)는,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볼트(110)의 단부에 블럭을 일체로 마련한 후, 이 블럭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슬라이더(5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린더(522)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일측면이 브래킷(100)의 일측면과 밀착된 상태를 취한다. 또한, 견인구(524)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단은 제1실린더(522)의 몸체에 고정되고, 하단은 슬라이더(510)의 상단에 고정된다. 하지만, 제1실린더(522)의 하부면에 슬라이더(510)를 직결시킬 경우, 전술한 견인구(524)는 생략이 가능하다.
이때, 전술한 가이드수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브래킷(100)의 양측에 전술한 슬라이더(510)를 감싸는 수직의 가이드홈(GS)을 형성하여, 슬라이더(510)의 이동을 수직방향으로 유도하도록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된 제1승강기는, 도 4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볼트(110)의 블럭, 즉 크로스볼트(110)에 고정된 제1실린더(522)의 로드(522a)가 신축하게 되면, 제1실린더(522)의 몸체는 크로스볼트(110)에 대하여 승강한다. 이에 따라, 견인구(524)는 승강하는 제1실린더(522)의 몸체로 인하여 슬라이더(510)를 승강시킨다. 이때, 슬라이더(510)는 베이스(100)의 양측에 마련된 가이드홈(GS)의 안내를 받으면서 수직방향으로 승강한다. 따라서, 슬라이더(510)의 하단에 연결된 피더(200)는 슬라이더(510)와 함께 승강한다. 물론, 피더(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인너 및 아우터하우징(410, 420)에 의하여 슬라이더(510)에 연결된다.
다른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테두리실 공급장치(CS)는, 제1승강기와 연동하여, 전술한 구동모터(M)를 승강시키는 제2승강기;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제2승강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수기(EM)의 프레임(10)이나 헤드(30)에 일측이 연결되어 고정되고, 구동모터(M)에 연결되는 로드(532a)를 갖는 제2실린더(532) 및; 이 제2실린더(532)에 의하여 승강하는 구동모터(M)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534);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여기서, 가이드부재(53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M)의 선단 양측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가이드봉이다. 따라서, 제2실린더(532)에 의하여 승강하는 구동모터(M)는, 이러한 가이드부재(534)의 안내를 받으면서 승강한다.
이때, 제2실린더(532)는 전술한 제1승강기를 구성하는 제1실린더(522)의 승강시 작동한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2실린더(532)는 제1실린더(522)의 작동시 로드(532a)를 작동시켜서 구동모터(M)를 승강시킨다.
이렇게, 제2실린더(532)가 제1실린더(522)와 연동하는 이유는, 제1실린더(522)의 승강시 구동축(232)이 승강하기 때문이다. 즉, 승강하는 구동축(232)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만약, 제1실린더(522)의 승강시, 제2실린더(532)가 승강하지 않을 경우, 구동축(232)은 휨변형되거나 파손된다. 따라서, 제2실린더(532)가 제1실린더(522)와 함께 승강함에 따라 구동축(232)은 보호된다. 물론, 이러한 제1 및 제2실린더(522, 532)는 전술한 컨트롤러(40)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구성하여야 함은 자명하다. 하지만, 컨트롤러(40) 대신 제1 및 제2실린더(522, 532)를 제어하는 별도의 미도시된 제어기를 마련하여, 제1 및 제2실린더(522, 532)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구동축(23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수기(EM)에 복수개로 설치된 헤드(30)를 가로지르도록 길게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브래킷(100) 및 피더(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헤드(30) 일측에 제각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때, 구동축(232)에는 구동기어(232a)를 축을 따라서 복수개 마련한다. 따라서, 구동축(232)은 구동모터(M)의 구동시 복수개의 헤드(30)에 제각각으로 설치된 피더(200)를 동시에 작동시킨다. 즉, 하나의 구동모터(M) 및 구동축(232)은 복수개의 피더(200)를 동시에 작동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테두리실 공급장치(CS) 및 자수기(EM)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수기(EM)의 작동 전, 즉 온(ON) 하기전, 로터(220)의 관통공(220a)에 바늘(32)이 관통하도록, 피더고정부재를 이용하여 피더(200)의 영점을 잡는다. 이에 대하여 도 2를 참고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피더고정부재의 정지나사(430)를 약간 헐겁게 언로킹한다. 이에 따라, 정지나사(430)는 단부가 인너하우징(410)의 슬롯(412) 테두리에 걸린 형태를 취한다.
이어서, 외력으로 아우터하우징(420)을 돌린다. 이때, 아우터하우징(420)은 슬롯(412)에 걸린 정지나사(430)로 인하여, 인너하우징(41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피더(200)의 위치를 변경시킨다. 따라서, 피더(200)의 위치를 변경시키면서 바늘(32)에 대한 피더(200)의 영점을 잡는다. 이렇게, 영점이 잡히면, 다시 정지나사(430)를 로킹하여 피더(200)를 영점이 잡힌 상태로 고정시킨다.
연속해서, 도 1에 도시된 컨트롤러(40)의 작동스위치를 온(ON) 시킨다. 이때, 컨트롤러(40)는 도 2에 도시된 제1 및 제2승강기의 제1 및 제2실린더(522, 532)를 작동시켜서 슬라이더(510) 및 구동모터(M)를 하강시키는 동시에, 구동모터(M) 및 헤드(30), 그리고 침판(20)을 입력된 자수프로그램에 따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침판(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동수단에 의하여 X축 및 Y축으로 이동하면서 원단을 수평이동시킨다. 따라서, 헤드(30)의 바늘(32)은 침판(20)상의 원단에 자수를 실시한다. 이때, 피더(200)는 도 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하여 침판(20)상의 원단과 공극으로 이격되는 동시에, 테두리실(C)을 헤드(30)의 바늘(32)에 공급한다.
여기서, 피더(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M)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축(232)이, 구동기어(232a) 및 중간기어(236), 그리고 피더(200)의 로터기어(234)를 회전시킴에 따라, 테두리실(C)을 바늘(32)에 공급한다. 이에 대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두개의 로터(220)는 회전하면서 도 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30)의 가장 외측에 위치한 바늘(32)에 테두리실(C)을 공급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 우측에 위치하고, 테두리실(C)이 외주면에 와인딩된 로터(220)는, 회전하면 와인딩된 테두리실(C)을 당기며, 도면상 좌측에 위치하는 로터(220)는 회전하면서 테두리실(C)이 우측의 로터(220)에 공급되도록 유도한다. 이렇게 당겨진 테두리실(C)은, 하부의 침판(20)이 수평이동 함에 따라 헤드(30)의 바늘(32) 하부에 일직선으로 정렬한다. 물론, 구동모터(M)는 로터(220)가 테두리실(C)을 주기적으로 당겨서 공급하도록 간헐적으로 작동한다. 따라서, 바늘(32)은 우측의 로터(220)에 형성된 관통공(220a)을 통하여, 테두리실(C)을 원단상에 박음질한다. 이에 따라, 원단에 형성된 자수의 테두리에는 테두리실(C)에 의한 테두리선이 형성된다.
결론적으로, 자수기(EM)는 원단에 자수를 실시하는 동시에, 테두리실(C)을 이용하여 자수의 테두리에 테두리선을 형성한다.
이러한, 원단을 자수하는 자수기(EM)가 자수를 완료하게 되면, 컨트롤러(40)는 구동모터(M)의 구동을 종료시키는 동시에, 제1 및 제2승강기의 제1 및 제2실린더(522, 532)를 작동시켜서 슬라이더(510) 및 구동모터(M)를 상승시킨다. 이에 따라, 구동축(232) 및 피더(200)는 상승한다. 따라서, 피더(200)는 원단의 상부로 상승하면서 원위치로 복귀한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자수기(EM)는 미도시된 커터 및 노루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커터는 바늘(32)의 윗실 및 테두리실 공급장치(CS)에서 공급되는 테두리실(C)을 커팅한다. 물론, 이러한 커터는 컨트롤러(40)에 의하여 작동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그리고, 노루발은 바늘(32)의 하부에 위치한 원단을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커터 및 노루발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구성요소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테두리실 공급장치 및 그 테두리실 공급장치를 갖는 자수기는, 구동모터에 의하여 작동하는 피더가 테두리실을 헤드의 바늘에 공급하므로, 침판상의 원단에 자수를 자동으로 실시하는 동시에 자수의 테두리에 테두리선을 자동으로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한번의 자수공정으로 원단상에 자수 및 테두리선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개의 헤드에 피더를 제각각으로 설치하고, 구동모터에 연결된 구동축을 길게 형성하여 제각각의 피더에 연결할 경우, 하나의 구동모터로 복수개의 피더를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자수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테두리실 공급장치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테두리실 공급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피더가 승강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20 : 침판 30 : 헤드
32 : 바늘 40 : 컨트롤러 100 : 브래킷
200 : 피더 210 : 베이스 220 : 로터
232 : 구동축 232a : 구동기어 234 : 로터기어
236 : 중간기어 236a : 축기어 236b : 더블기어
410 : 인너하우징 420 : 아우터하우징 430 : 정지나사
510 : 슬라이더 522 : 제1실린더 524 : 견인구
532 : 제2실린더 534 : 가이드바 GS : 가이드홈
GR : 가이드레일 M : 구동모터

Claims (19)

  1. 윗실이 끼워진 복수개의 바늘(32)을 이용하여 원단의 표면을 자수하는 자수기(EM)의 헤드(30)에, 자수된 수의 테두리선을 형성하는 테두리실(C)을 공급하는 테두리실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30)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브래킷(100)과;
    상기 브래킷(100)에 연결되고, 테두리실(C)이 상기 헤드(30)의 바늘(32)들 중 어느 하나의 바늘(32)에 의하여 원단상에 박음질되도록, 테두리실(C)을 당겨서 상기 헤드(30)의 바늘(32)들 중 어느 하나의 바늘(32) 하부에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피더(200) 및;
    상기 피더(200)를 작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실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더(200)는,
    상기 브래킷(100)의 하단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베이스(210)와;
    상기 베이스(210)에 병렬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테두리실(C)이 관통하는 실소통공(222)을 가지며, 테두리실(C)이 와인딩됨에 따라 회전하면서 테두리실(C)을 당기는 동시에, 상기 헤드(30)의 바늘(32) 중 어느 하나의 바늘(32) 하부에 테두리실(C)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원통형 로터(220) 및;
    상기 로터(220)에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전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실 공급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부재는,
    상기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하며, 일측에 구동기어(232a)를 동일체로 갖는 구동축(232) 및;
    상기 로터(220)에 동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축(232)의 구동기어(232a)에 의하여 회전하는 로터기어(2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실 공급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232)의 구동기어(232a) 및 상기 로터기어(234)와 교합하면서 기어트레인을 형성하고, 구동기어(232a)의 회전력을 로터기어(234)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기어(23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더(200)를 상기 브래킷(10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피더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피더고정부재는, 상기 브래킷(100)의 일측면에 고정되고, 하부에는 원주방향의 슬롯(412)을 갖는 원통형의 인너하우징(410)과;
    상기 인너하우징(410)의 외주면에 끼워져서, 외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아우터하우징(420) 및;
    상기 아우터하우징(420)을 관통하여 상기 인너하우징(410)의 슬롯(412)에 삽입되고, 체결력에 따라서 아우터하우징(420)을 인너하우징(410)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정지나사(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실 공급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더(200)를 상기 브래킷(100)에 대하여 슬라이딩시키면서 승강시키는 제1승강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승강기는, 상기 피더(200)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브래킷(100)에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슬라이더(510)와;
    상기 슬라이더(510)를 견인하면서 슬라이딩시키는 견인부재 및;
    상기 슬라이더(51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실 공급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재는,
    상기 브래킷(100)에 고정되는 로드(522a)를 가지며, 몸체는 상기 슬라이더(510)에 연결되어, 로드(522a)의 신축시 승강하면서 슬라이더(510)를 견인시키는 제1실린더(52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실 공급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브래킷(100)의 양측에 상기 슬라이더(510)를 감싸는 수직의 가이드홈(GS)을 형성하여, 슬라이더(510)의 이동을 수직방향으로 유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실 공급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기와 연동하여, 상기 구동수단을 승강시키는 제2승강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승강기는, 상기 자수기(EM)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수단에 연결되는 로드(532a)를 가지며, 상기 제1승강기의 승강시 로드(532a)를 작동시켜서 구동수단을 함께 승강시키는 제2실린더(532) 및;
    상기 제2실린더(532)에 의하여 승강하는 상기 구동수단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534);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실 공급장치.
  10. 원단의 표면을 자수하는 자수기에 있어서,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에 수평상태로 배치되고, 이동수단에 의하여 상부면에 전개된 원단을 X축 및 Y축으로 수평이동시키며, 자수가 가능하도록 자수용 밑실을 제공하는 침판(20)과;
    상기 침판(20)의 밑실과 함께 수를 형성하는 윗실이 끼워진 복수개의 바늘(32)이 마련되어 침판(20)상의 원단에 자수를 실시하고, 테두리실(C)이 이 바늘(32)들 중 어느 하나의 바늘(32)에 의하여 원단상에 형성된 자수의 테두리선을 형성하도록, 복수개의 바늘(32)들 중 어느 하나의 바늘(32)에 테두리실(C)을 공급하는 테두리실 공급장치(CS)를 일체로 갖는 적어도 하나의 헤드(30) 및;
    상기 헤드(30) 및 침판(20)의 작동을, 입력된 자수프로그램에 따라서 제어하는 컨트롤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실 공급장치를 갖는 자수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30)의 테두리실 공급장치(CS)는,
    상기 헤드(30)의 일측면 내측이나 외측에 장착되는 브래킷(100)과;
    상기 브래킷(100)에 연결되고, 테두리실(C)을 당겨서 상기 헤드(30)의 바늘(32)들 중 어느 하나의 바늘(32)에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피더(200) 및;
    상기 피더(200)를 작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실 공급장치를 갖는 자수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더(200)는,
    상기 브래킷(100)의 하단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베이스(210)와;
    상기 베이스(210)에 병렬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테두리실(C)이 관통하는 실소통공(222)을 가지며, 테두리실(C)이 와인딩됨에 따라 회전하면서 테두리실(C)을 당기는 동시에, 상기 헤드(30)의 바늘(32)들 중 어느 하나의 바늘(32) 하부에 테두리실(C)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원통형 로터(220) 및;
    상기 로터(220)에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전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실 공급장치를 갖는 자수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부재는,
    상기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하며, 일측에 구동기어(232a)를 동일체로 갖는 구동축(232) 및;
    상기 로터(220)에 동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축(232)의 구동기어(232a)에 의하여 회전하는 로터기어(2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실 공급장치를 갖는 자수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232)의 구동기어(232a) 및 상기 로터기어(234)와 교합하면서 기어트레인을 형성하고, 구동기어(232a)의 회전력을 로터기어(234)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기어(23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실 공급장치를 갖는 자수기.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더(200)를 상기 브래킷(10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피더고정부재;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피더고정부재는, 상기 브래킷(100)의 일측면에 고정되고, 하부에는 원주방향의 슬롯(412)을 갖는 원통형의 인너하우징(410)과;
    상기 인너하우징(410)의 외주면에 끼워져서, 외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아우터하우징(420) 및;
    상기 아우터하우징(420)을 관통하여 상기 인너하우징(410)의 슬롯(412)에 삽입되고, 체결력에 따라서 아우터하우징(420)을 인너하우징(410)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정지나사(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실 공급장치를 갖는 자수기.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더(200)를 상기 브래킷(100)에 대하여 슬라이딩시키면서 승강시키는 제1승강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승강기는, 상기 피더(200)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브래킷(100)에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슬라이더(510)와;
    상기 슬라이더(510)를 견인하면서 슬라이딩시키는 견인부재 및;
    상기 슬라이더(51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실 공급장치를 갖는 자수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재는,
    상기 브래킷(100)에 고정되는 로드(522a)를 가지며, 몸체는 상기 슬라이더(510)에 연결되어, 로드(522a)의 신축시 승강하면서 슬라이더(510)를 승강시키는 제1실린더(52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실 공급장치를 갖는 자수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브래킷(100)의 양측에 상기 슬라이더(510)를 감싸는 수직의 가이드홈(GS)을 형성하여, 슬라이더(510)의 이동을 수직방향으로 유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실 공급장치를 갖는 자수기.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기와 연동하여, 상기 구동수단을 승강시키는 제2승강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승강기는, 상기 프레임(10)이나 헤드(30)에 일측이 연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구동수단에 연결되는 로드(532a)를 가지며, 상기 제1승강기의 승강시 로드(532a)를 작동시켜서 구동수단을 함께 승강시키는 제2실린더(532) 및;
    상기 제2실린더(532)에 의하여 승강하는 상기 구동수단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5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실 공급장치를 갖는 자수기.
KR20-2005-0001649U 2005-01-19 2005-01-19 테두리실 공급장치 및 그 테두리실 공급장치를 갖는 자수기 KR2003816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649U KR200381601Y1 (ko) 2005-01-19 2005-01-19 테두리실 공급장치 및 그 테두리실 공급장치를 갖는 자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649U KR200381601Y1 (ko) 2005-01-19 2005-01-19 테두리실 공급장치 및 그 테두리실 공급장치를 갖는 자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1601Y1 true KR200381601Y1 (ko) 2005-04-14

Family

ID=43683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649U KR200381601Y1 (ko) 2005-01-19 2005-01-19 테두리실 공급장치 및 그 테두리실 공급장치를 갖는 자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160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722Y1 (ko) * 2007-10-17 2009-08-27 정장섭 자수기용 코드사 공급장치
KR101122212B1 (ko) 2008-05-09 2012-03-19 임헌흥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
CN110485077A (zh) * 2019-07-15 2019-11-22 浙江信胜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换色时面线同步的绣花机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722Y1 (ko) * 2007-10-17 2009-08-27 정장섭 자수기용 코드사 공급장치
KR101122212B1 (ko) 2008-05-09 2012-03-19 임헌흥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 장치
CN110485077A (zh) * 2019-07-15 2019-11-22 浙江信胜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换色时面线同步的绣花机
CN110485077B (zh) * 2019-07-15 2024-03-12 浙江信胜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换色时面线同步的绣花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301299A (ja) 多頭刺繍ミシン
KR200381601Y1 (ko) 테두리실 공급장치 및 그 테두리실 공급장치를 갖는 자수기
KR101689038B1 (ko) 미싱
KR20120064010A (ko) 재봉기 및 그의 구동 제어방법
KR20110012192A (ko) 봉제기계의 업다운 헤드 구동장치
KR100687889B1 (ko) 자수기용 윗실공급장치
CN109706653B (zh) 电脑绣花机360全角度旋转式小毛巾装置
JP4336589B2 (ja) 千鳥縫いミシン
CN107237050B (zh) 一种绗缝机
CN215925281U (zh) 一种具备针杆旋转的缝纫机机头
KR20140058157A (ko) 누비기
KR100773819B1 (ko)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장치
KR100755464B1 (ko) 자수기의 보빈사 인출 가이드 장치
KR101675594B1 (ko) 자수 미싱용의 자수재 안내 장치
JP4836528B2 (ja) 環縫いミシンのルーパー装置
KR20220105400A (ko) 재봉헤드의 회전이 가능한 스티칭 장치
KR200465633Y1 (ko) 셔닐 자수기의 미싱헤드
JP5044224B2 (ja) 刺繍ミシン
CN105568582A (zh) 智能单针多色缝制机械
KR100797793B1 (ko) 자수기
CN214831076U (zh) 一种模板缝纫机
CN216514567U (zh) 一种毛线绣装置
KR200249351Y1 (ko) 자수기의 장식사 공급장치
CN211256259U (zh) 一种无梭心旋梭式绗绣机
JP2879271B2 (ja) 複合ミシンのアタチメント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