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5986B1 - 원단에 장식밴드를 다양한 패턴으로 봉제하는 가공장치의 구동부 - Google Patents

원단에 장식밴드를 다양한 패턴으로 봉제하는 가공장치의 구동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5986B1
KR101315986B1 KR1020110140266A KR20110140266A KR101315986B1 KR 101315986 B1 KR101315986 B1 KR 101315986B1 KR 1020110140266 A KR1020110140266 A KR 1020110140266A KR 20110140266 A KR20110140266 A KR 20110140266A KR 101315986 B1 KR101315986 B1 KR 101315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ewing
frame
driv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0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2724A (ko
Inventor
전종우
Original Assignee
전종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종우 filed Critical 전종우
Priority to KR1020110140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986B1/ko
Publication of KR20130072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2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6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ttaching bands, ribbons, strips, or tapes or for binding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24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med by general-purpose sewing machines modified by attachments, e.g. by detachable devices
    • D05B3/246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med by general-purpose sewing machines modified by attachments, e.g. by detachable devices for darning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10Electrical or electromagnetic driv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이브패턴으로 봉제하기 위하여 상하부로울러를 동시에 이동시켜 봉제간격 및 웨이브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제품의 완성도를 높인 원단에 장식밴드를 다양한 패턴으로 봉제하는 가공장치의 구동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단을 공급하는 원단공급부(와, 상기 원단이 평탄하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원단의 양끝단을 안내하는 가이드체인, 상기 원단을 폭방향으로 좌,후 이동시키는 동시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부로울러부, 원단을 장식밴드를 원단에 봉제하는 상,하부봉제부, 상기 메인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하부로울러부 및 상,하부봉제부, 밴드로울러를 구동시킬 수 있는 패턴구동부, 장식밴드가 봉제된 장식원단을 배출하는 배출부로 구성되어 원단이 평탄한 상태에서 상하부가 함께 이동하여 장식밴드가 일정한 간격 및 웨이브 패턴이 완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하부로울러부가 동시에 이동하고 원단에 주름이 발생하지 않도록 양 끝단을 지지핀으로 지지함으로써 장식밴드가 봉제된 후에 완선된 장식원단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장식밴드의 배열간격 및 웨이브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단에 장식밴드를 다양한 패턴으로 봉제하는 가공장치의 구동부{ The band pattern in the fabric plush to stock a wide variety of devices powered forward structure}
본 발명은 기존의 원단에 별도의 장식밴드를 봉제하는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웨이브패턴으로 봉제하기 위하여 상하부로울러를 동시에 이동시켜 봉제간격 및 웨이브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제품의 완성도를 높인 원단에 장식밴드를 다양한 패턴으로 봉제하는 가공장치의 구동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섬유·패션산업은 수출견인 산업으로 여전히 총 수출의 3.2%(2008년 기준,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를 차지하고 있으며, 중국, EU(유럽연합), 터키, 인도, 미국에 이어 세계 6위(2.0%)의 섬유수출국 위치를 견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경기침체에 따른 섬유제품에 대한 수요둔화로, 지속적인 인건비 및 생산비의 증가와 생산설비의 과잉 등 고비용, 저효율로 인하여 생산기반이 크게 약화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섬유산업의 환경변화로 인해, 이제는 양적 확대를 마감하고 기술과 디자인을 접목한 고부가 제품 생산체제로 구조를 바꿔야 한다는 움직임이 일고 있는바, 산업경쟁력을 위한 투자활성화 해결과제로 디자인, 브랜드이미지, 마케팅능력 등 패션·디자인 기술인력의 선진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한편, 천(布)을 제조함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 직물(織物, Woven fabrics)과 편물(編物, Knitting)이다. 특히, 직물은 제직(製織)이라는 공정으로, 편물은 편성(編成)이란 공정을 거쳐서 만들어지며, 편성은 다시 경편(經編)과 위편(緯編)으로 나뉜다.
상기한 경편은, 정경(整經, Warper's beam)되어 평행으로 늘어선 많은 날실에 의해 세로방향으로 편목(編目)을 만들어가는 짜는 방법이다. 이러한 편성공정을 통하여 의류나 커튼 및 블라인드 등에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직물원단 표면에 돌출무늬 장식을 직조(織造, Weaving)하기 위한 대표적인 경편기(經編機, Warp knittingmachine)로는 코메즈(Comez, 이하 "경편기"라 함.)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종래의 경편기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된 채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직조공정을 위한 장치구동을 수행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지정 경로를 따라 권출(捲出, Unwinding) 이송되는 직물원단에 봉제사로써 장식사를 조직(組織)하기 위한 직조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에는, 직물원단과 장식사 그리고 봉제사의 이송안내를 위한 다수의 가이드롤 및 가이드샤프트가 횡으로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에 의해 시계/반시계 방향으로 일정궤도 반복 회동하는 단일의 요동샤프트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구비된 가이드샤프트에는 직물원단이 권취(捲取, Winding)된 원단빔과 장식사가 권취된 다수의 제1정경빔을 장착하고, 상기 본체부의 일측 하단에 구비된 가이드샤프트에는 봉제사가 권취된 다수의 제2정경을 장착한다.
상기 직조부에는, 상기 제1정경빔들로부터 권출(捲出, Unwinding)되어 다른 가이드샤프트들을 거치는 장식사가 상기 직조부의 지정위치를 일률적으로 통과토록 하기 위한 리드홀더가 하측 말단에 일체로 형성된 수직후크와, 상기 제2정경빔들로부터 권출되어 또 다른 가이드샤프트들을 거치는 봉제사 역시 상기 직조부의 지정위치를 통과케 하되 직조공정 시의 상기 요동샤프트 작용에 의하여 봉제사의 공급경로가 상,하로 가변되도록 한 수평후크와, 상기 수평후크에 의해 경로가 가변된 봉제사(S)를 엮어서 끌어당겨 상기 직물원단의 일 표면에 장식사를 봉제할 수 있도록 진,퇴 작용하는 니들(Needle)과, 상기 니들의 진,퇴 작용시 상기 직물원단의 이송 흐름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상기 직물원단을 압착이송시키기 위한 가이드바가 상기 수직후크의 근접 하측에 구비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수평후크의 선단에는, 봉제사를 통과시켜서 공급경로의 가변이 가능토록 한 통공이 관통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바는, 후방 단부에 밀착조립되는 고정편에 의해 상기 본체부 내측에 결착되고, 전단부에 근접하는 가압대를 더 조립하여 마련된 틈새로 직물원단(F-1)을 투입시키는 것으로 상기 직물원단의 압착이송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후크의 조립고정을 위한 견인바가 상기 본체부 내에 더 결착되고, 상기 수평후크의 조립고정 및 상기 요동샤프트와의 연계조립을 위한 다수의 지지브래킷을 포함하는 후크 고정바가 구비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니들고정대의 후단부에는, 상기한 구동부와의 연계결합에 의해 일정거리 전,후 왕복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니들의 진,퇴 작용에 의한 장식사의 박음질을 가능케 한 스윙편을 더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경편기에 따르면, 구동모터에 의한 상기 구동부의 작용으로 상기 본체부 상측 가이드롤들 중 하나에 장착된 상기 원단빔으로부터 직물원단이 권출과 동시에 여타의 가이드롤들과 가이드샤프트들을 거쳐 상기 직조부로 이송 공급된다.
동시에, 상기 본체부의 일측 하단 가이드롤들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된 상기 제2정경빔으로부터 봉제사 역시 여타의 가이드롤들과 가이드샤프트들을 거쳐 상기 직조부로 이송 공급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직조부는, 상기한 구동부에 의하여 정해진 작동을 수행케 됨으로써, 상기와 같이 이송 공급되는 직물원단과 장식사를 봉제사로써 엮어 봉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직조부의 작동시 상기 요동샤프트에 의하여 상기 지지브래킷의 선단이 상,하 승강을 반복함에 따라 상기 후크고정바 및 수평후크가 더불어 승강을 반복하고, 상기 니들고정대 역시 상기한 스윙편에 의해 진,퇴 작용을 반복하게 된다.
이로써, 직물원단의 일 표면을 관통하며 진,퇴 작용하는 상기 니들에 엮인 봉제사에 의해, 직물원단의 공급 이송방향을 따라 장식사가 봉제된 직조직물을 조직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경편기로는 단순히 장식사를 직물원단의 이송방향을 따라 봉제하는 것만이 가능하기 때문에, 직물원단의 표면에 다양한 패턴으로 장식사를 봉제하는데 한계가 있어왔다.
결국, 레이스 등의 별도 장식부재 봉제는 물론 물결무늬와 같은 특정 패턴으로 장식사를 직물원단에 봉제하기 위하여, 숙련공에 의한 수작업 공정이 불가피하고 이러한 추가공정 발생에 따른 인건비 상승 및 생산능률 저하에 따른 판매단가의 상승을 초래해 왔다.
더욱이, 사람에 의한 박음질 작업공정의 그 특성상 정교함을 요구하는 패턴의 형성을 지속적함이 사실상 불가능함으로써, 동일 디자인 패턴을 갖는 제품을 대량생산하기가 부적합했던 한계를 여전히 극복하지 못하는 실정에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번호 10-1039467호로 웨이브패턴 형성장치를 구비한 경편기를 제안되였다.
상기 종래의 웨이브패턴 형성장치를 구비한 경편기는 직물원단이 권취된 원단빔과 장식사가 권취된 제1정경빔과 봉제사가 권취된 제2정경빔을 포함하는 본체부, 구동모터 작동에 의한 장치구동을 수행하는 구동부, 직조공정을 위한 직조부,로 된 통상의 경편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직물원단과 상기 장식사 그리고 상기 봉제사의 이송안내를 위한 다수의 가이드롤 및 가이드샤프트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에 의해 일정궤도 정,역 회동을 반복하는 요동샤프트 및 제2요동샤프트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롤들 중 어느 하나에 레이스가 권취된 제3정경빔이 더 장착되는 한편; 상기 직조부에 추가로 구성하여, 상기 직물원단의 일 표면에 상기 레이스를 더 봉제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이스직조부와; 상기 직조부의 상측에 배치상태로 상기 직물원단이 좌,우로 유동을 반복하며 이송 공급되게 함으로써, 상기 레이스직조부를 통해 상기 직물원단에 상기 레이스가 웨이브패턴으로 조직될 수 있게 하는 상부유동체와; 그리고, 상기 직조부의 하측에 배치상태로 상기 직물원단이 좌,우로 유동을 반복하며 이송 배출되게 함으로써, 상기 직조부를 통해 상기 직물원단에 상기 장식사가 웨이브패턴으로 조직될 수 있게 하기 위한 하부유동체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웨이브패턴 형성장치를 구비한 경편기는 상부유동체의 직물원단을 좌,우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유동시켜 레이스가 웨이브 패턴을 이루며 봉제되도록 직물원단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원단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 사이를 통해 유동되지만 원단 자체뿐만 아니라 원단의 양 끝단 부분에 주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웨이브패턴 형성장치를 구비한 경편기는 원단 자체뿐만 아니라 원단의 양 끝단 부분에 주름이 발생함으로써 레이스가 봉제될 때 일정한 배열 및 패턴으로 봉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이러한 문제점은 원단의 양 끝단 부분에서 더욱 불량하게 봉제되어 일률적인 제품 완성도를 유지할 수 없는 문제 점이 있었다.
더불어, 상기 종래의 웨이브패턴 형성장치를 구비한 경편기는 원단을 좌,우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하부 로울러를 각기 다른 구동력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원단에 주름이 발생하거나 동시 이동을 위한 작동시 구동력의 손실이 발생하여 이동 오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 종래의 웨이브패턴 형성장치를 구비한 경편기는 원단의 공급, 봉제사 공급, 레이스 공급, 레이스가 봉제된 원단의 배출이 상,하부 로울러의 구동에 의해 당겨지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과도한 당김력이 발생되면 원단에 주름이 발생하고, 봉제사나 원단의 절단과 찢어짐이 발생하며, 신장된 원단에 레이스가 봉제된 후 원단이 수축하게 되면 레이스의 패턴의 의도한 바와 다르게 구현되어 제품으로써 기능을 못하고 불량품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원단을 좌,우 이동 또는 길이 방향으로 이송시킬 때 원단 자체 뿐만 아니라 양 끝단 부분에 주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하나의 구동력을 분산, 전달시켜 장식밴드가 봉제될 원단의 상,하부 부분이 동시에 이동하도록 하여 봉제시 오차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장식밴드의 봉제 간격 및 웨이브 패턴이 일정하게 봉제될 수 있도록 개선된 가공장치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상,하부로울러부를 동시에 이동시켜 원단에 주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장식밴드의 웨이브패턴이 일정하게 봉제되도록 하는 원단에 장식밴드를 다양한 패턴으로 봉제하는 가공장치의 구동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인 구동력은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상태에서 상,하부봉제부가 장식밴드를 원단에 봉제한 후 원단에서 빠져나왔을 때 상,하부로울러부를 구동시켜 원단을 이동하게 함으로써 원단이 상,하부봉제부에 의해 찢어지거나 걸림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메인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하부봉제부의 가동과 상,하부로울러부의 이동 및 회전구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추가적인 구동력 발생부가 필요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단에 장식밴드를 봉제하여 장식하는 장식 원단 가공 장치.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되는 원단공급부의 하부측으로 원단을 안내하도록 각각 한 쌍 이상의 가이드로울러로 이루어지는 상부로울러부와 하부로울러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격 설치하여 양 끝단을 각각 연결프레임과 동시에 회전되도록 체인으로 연결 구성하고, 상기 연결프레임의 일측으로 이동하는 원단의 양 끝단을 관통하여 지지하도록 지지핀이 결합된 가이드체인을 회전되게 설치 구성하며,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되는 밴드공급부에서 다수 열로 원단의 전면으로 공급하는 장식밴드 중 홀수열은 상부로울러부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상부봉제부에서, 짝수열은 하부로울러부의 상부측에 위치되는 하부봉제부에서 각각 원단에 봉제하도록 설치 구성하고, 상기 상,하부봉제부에 원단과 장식밴드의 봉제를 위해 프레임의 전방에 봉제사를 공급하는 다수 개의 봉제사공급부를 설치 구성하며,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서 구동하는 메인구동부에 의해 상,하부봉제부는 전/후, 좌/우 방향으로 왕복운동하고, 상기 메인구동부의 구동력이 프레임의 타측으로 전달되어 상,하부로울러부를 동시에 좌/우측으로 반복 이동시켜 원단에 장식밴드가 웨이브형태로 봉제되도록 하는 패턴구동부를 구성하고, 상기 장식밴드가 웨이브형태로 원단에 봉제된 장식원단이 프레임의 후방으로 배출하는 배출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에 장식밴드를 다양한 패턴으로 봉제하는 가공장치의 구동부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하부로울러부를 동시에 이동시켜 원단에 주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장식밴드의 웨이브패턴이 일정하게 봉제되도록 하여 제품의 완성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하부로울러부가 동시에 이동하고 원단에 주름이 발생하지 않도록 양 끝단을 지지핀으로 지지함으로써 장식밴드가 봉제된 후에 완선된 장식원단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장식밴드의 배열간격 및 웨이브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메인 구동력은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상태에서 상,하부봉제부가 장식밴드를 원단에 봉제한 후 원단에서 빠져나왔을 때 상,하부로울러부를 구동시켜 원단을 이동하게 함으로써 원단이 상,하부봉제부에 의해 찢어지거나 걸림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메인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하부봉제부의 가동과 상,하부로울러부의 이동 및 회전구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추가적인 구동력 발생부가 필요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에 장식밴드를 다양한 패턴으로 봉제하는 가공장치의 구동부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단에 장식밴드를 다양한 패턴으로 봉제하는 가공장치의 구동부의 개략적인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에 장식밴드를 다양한 패턴으로 봉제하는 가공장치의 구동부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단공급부의 개략도 및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부로울러부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봉제사공급부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
도 7은 봉제사공급부에서 봉제사의 당김에 의해 센서에 감지로 봉제사가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 8은 메인구동부를 측면에서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메인구동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메인구동부의 작동으로 상,하부봉제부의 작동을 도시한 작동도,
도 11은 패턴구동부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
도 12는 패턴구동부와 상,하부로울러부가 연결된 상태의 구성도,
도 13은 패턴구동부와 밴드공급부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14는 배출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단에 장식밴드를 다양한 패턴으로 봉제하는 가공장치는 원단(1)을 공급하는 원단공급부(20)와, 상기 원단(1)이 평탄하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원단(1)의 양끝단을 안내하는 가이드체인(40), 상기 원단(1)을 폭방향으로 좌,후 이동시키는 동시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부로울러부(32)(33), 원단(1)을 장식밴드(2a)를 원단(1)에 봉제하는 상,하부봉제부(50)(60), 상기 메인구동부(7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하부로울러부(32)(33) 및 상,하부봉제부(50)(60), 밴드로울러(3b)를 구동시킬 수 있는 패턴구동부(80), 장식밴드(2a)가 봉제된 장식원단(1a)을 배출하는 배출부(90)로 구성되어 원단(1)이 평탄한 상태에서 상,하부가 함께 이동하여 장식밴드(2a)가 일정한 간격 및 웨이브 패턴이 완성되도록 하는 가공장치(100)가 구성된다.
먼저, 프레임(10)의 상부에 위치되는 원단공급부(20)의 하부측으로 원단(1)을 안내하도록 각각 한 쌍 이상의 가이드로울러(31)로 이루어지는 상부로울러부(32)와 하부로울러부(33)를 상하 방향으로 이격 설치하여 양 끝단을 각각 연결프레임(34)과 동시에 회전되도록 체인(35)으로 연결 구성한다.
이때, 상기 원단공급부(20)는 원단(1)이 감겨지는 원단로울러(21)의 일 끝단에 원단모터(22)를 장착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원단로울러(21)에서 풀어져 공급되는 원단(1)이 하부측을 접촉하여 이동되는 아이들로울러(23)의 승강가이드(23a)이 프레임(10)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도록 설치 구성한다.
더불어, 상기 원단(1)이 상,하부로울러부(32)(33)의 당김에 의해 잡아당겨져 아이들로울러(23)가 상승할 때 프레임(10)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원단감지센서(24)에 아이들로울러(23)의 승강가이드(23a)가 접촉하면 원단모터(22)가 원단(1)이 풀릴 수 있도록 구동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하부로울러부(32)(33)는 한 쌍의 가이드로울러(31)가 서로 접촉하는 상태로 메인구동부(70)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패턴구동부(80)의 구동력에 의해 하부로울러부(33)의 가이드로울러(31)가 회전하면 체인(35)으로 연결된 상부로울러부(32)의 가이드로울러(31)가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로울러부(33)의 가이드로울러(31)가 결합되는 로울러축(31a)은 외주면을 따라 하나 이상의 키(31b)가 일체로 형성되어 프레임(10)의 일측을 관통하여 노출되게 구성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로울러축(31a)은 키(31b)가 축의 외주면을 따라 3개로 구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로울러축(31a)에 키(31b)가 형성된 것은 작동모터(36)의 구동력을 전달받기 위해 타이밍벨트에 걸림되도록 구성한 것이며, 상기 로울러축(31a)이 프레임(10)을 관통하는 부분에는 회전을 위해 키(31b)를 형성하지 않거나 별도의 회전 베어링(도면상 미도시)을 결합하여 회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연결프레임(34)은 상,하배치된 상,하부로울러부(32)(33)를 일체의 형태가 되도록 가이드로울러(31)의 축이 회전되도록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연결프레임(34)의 일측으로 이동하는 원단(1)의 양 끝단을 관통하여 지지하도록 지지핀(41)이 결합된 가이드체인(40)을 회전되게 설치 구성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체인(40)은 연결프레임(34)의 일측 상,하부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스프라킷(42)을 설치하고 가이드체인(40)을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핀(41)은 가이드체인(4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를 이루며 외측으로 돌출되게 결합되어 원단(1)을 관통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아울러, 상기 프레임(10)의 후방에 설치되는 밴드공급부(2)에서 다수 열로 원단(1)의 전면으로 공급하는 장식밴드(2a) 중 홀수열은 상부로울러부(32)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상부봉제부(50)에서, 짝수열은 하부로울러부(33)의 상부측에 위치되는 하부봉제부(60)에서 각각 원단(1)에 봉제하도록 설치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상,하부봉제부(50)(60)는 원단(1)의 후방에 서 원단(1)을 관통해 전방으로 노출되는 다수 개의 코바늘(51)(61)이 일렬로 배치된 후방틀(52)(62)이 구성되고, 상기 코바늘(51)(61)이 원단(1)의 전면으로 공급되는 장식밴드(2a)를 관통하여 전방으로 노출되면 봉제사(3a)를 코바늘(51)(61)에 걸어 주도록 봉제사(3a)가 엮어진 다수 개의 봉제바늘(53)(63)이 일렬로 배치된 전방틀(54)(64)이 원단(1)의 전면으로 배치 구성된다.
즉, 상기 후방틀(52)(62)는 프레임(10)을 단면방향에서 투영하면 프레임(10))의 방향으로 왕복이동 하도록 메인구동부(7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며, 상기 전방틀(54)(64)은 프레임(10)을 전면방향에서 투영했을 경우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메인구동부(70)의 구동력으로 작동하는 패턴구동부(80)의 구동력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상,하부봉제부(50)(60)에 원단(1)과 장식밴드(2a)의 봉제를 위해 프레임(10)의 전방에 봉제사(3a)를 공급하는 다수 개의 봉제사공급부(3)를 설치 구성한다.
이때, 상기 봉제사공급부(3)는 봉제사(3a)가 권취된 봉제사권취롤(3b)이 프레임(10)의 전방측에서 봉제사모터(3c)에 의해 회전되는 봉제사롤축(3d)에 결합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봉제사(3a)의 텐션을 유지하기 위하여 접촉하며 이동되는 제1,2텐션봉(3e)(3f)으로 이루어진 텐션봉(3g)에서 봉제사권취롤(3b)이 설치된 프레임(10)의 상부에 제1텐션봉(3e)을 회전되게 설치 구성한다.
이때, 상기 봉제사(3a)가 상,하부봉제부(50)(60)의 봉제 작동에 의해 당겨져 텐션봉(3g)이 회전하면서 프레임(10)에 설치된 봉제감지센서(3h)에 감지되면 봉제사모터(3c)를 구동시켜 봉제사롤축(3d)을 회전시켜 봉제사권취롤(3b)에서 봉제사(3a)가 풀어지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서 구동하는 메인구동부(70)에 의해 상,하부봉제부(50)(60)의 후방틀(52)(62)를 전/후방향으로 작동하는 동시에 전방틀(54)(64)은 좌/우 방향으로 왕복운동하고, 상기 메인구동부(70)의 구동력이 프레임(10)의 타측으로 전달되어 상,하부로울러부(33)를 동시에 좌/우측으로 반복 이동시켜 원단(1)에 장식밴드(2a)가 웨이브형태로 봉제되도록 하는 패턴구동부(80)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구동부(70)의 제1,2구동축(71)(72)의 회전력이 직선왕복운동이 변환되어 상,하부봉제부(50)(60)는 프레임(10)의 전/후 방향으로 왕복 작동하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제1,2구동축(71)(72)의 회전력이 직교 방향 전환된 회전력이 수평왕복 운동으로 변환시켜 패턴구동부(80)로 전달되어 상,하부봉제부(50)(60)가 프레임(10)의 전/후, 좌/우 방향으로 왕복 작동하도록 구성한다.
더불어, 상기 제1,2구동축(71)(72)의 회전력이 직교 방향 전환된 회전력이 수평왕복 운동으로 변환시켜 상,하부로울러부(32)(33)가 프레임(10)의 좌/우 방향으로 왕복 작동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제1구동축(71)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감지구(73)가 프레임(10)에 설치되는 감지센서(74)에 감지될 때 상,하부봉제부(50)(60)는 장식밴드(2a)를 원단(1)에 봉제하지 않도록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가 되며, 상기 상,하부로울러부(32)(33)는 좌/우 방향으로 왕복 작동하는 동시에 원단(1) 및 장식밴드(2a)를 이동시키기 위해 회전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메인구동부(70)는 프레임(10)을 일측에 설치된 메인모터(70a)가 구동으로 프레임(10)의 후방을 가로지르며 회전하는 제1구동축(71)의 하부로 제2구동축(72)이 이격 설치되어 패턴구동부(80)로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제1구동축(71)의 양 끝단에는 제1캠(71a)이 결합되고, 상기 제1구동축(71)의 후방 상부측으로 프레임(10)에 설치되는 제1고정축(71b)에는 제1캠(71a)에 접촉되는 제1크랭크(71c)와 연결되는 제1로드(71d)에 상부봉제부(50)가 연결되어 상부봉제부(50)가 프레임(10)의 전/후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을 하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제2구동축(72)의 양 끝단에는 제2캠(72a)이 결합되고, 상기 제2구동축(72)의 후방 상부측으로 프레임(10)에 설치되는 제2고정축(72b)에는 제2캠(72a)에 접촉되는 제2크랭크(72c)와 연결되는 제2로드(72d)에 하부봉제부(60)가 연결되어 하부봉제부(60)가 프레임(10)의 전/후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을 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패턴구동부(80)는 연결프레임(34)으로 연결된 상,하부로울러부(32)(33)를 좌/우 방향으로 왕복운동 하도록 구동력을 전달받기 위해 제1구동축(71)에 직교를 이루며 헬리컬기어 방식으로 일 끝단에 제3캠(81)이 결합된 제1패턴구동축(82)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의 외측면에는 제3캠(81)에 접촉되어 직선왕복 운동하는 제3크랭크(83)가 설치되고, 상기 제3크랭크(83)는 상부봉제부(50)와 연결되어 상부봉제부(50)를 프레임(10)의 좌/우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구동력을 전달받기 위해 제2구동축(72)에 직교를 이루며 헬리컬기어 방식으로 일 끝단에 제4캠(84)이 결합된 제2패턴구동축(85)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10)의 외측면에는 제4캠(84)에 접촉되어 직선왕복 운동하는 제4크랭크(86)가 설치되고, 상기 제4크랭크(86)는 하부봉제부(60)와 연결되어 하부봉제부(60)를 프레임(10)의 좌/우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구성한다.
더불어, 상기 제2패턴구동축(85)과 직교를 이루며 헬리컬기어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2구동축(7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5크랭크(87a)가 상/하 왕복운동 하도록 설치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구동축(72)에는 캠(72a)이 결합되어 있어 제5크랭크(87a)가 회전하는 캠(72)의 정점에 접촉하면 상승하고, 저점에 접촉하면 하강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상기 프레임(10)의 일측 외면에 제1크랭크(71c)에 연결되는 제1장홀(88a)이 형성된 제1장홀단(88b)과 제2장홀(88c)이 형성된 제2장홀단(88d)이 'V'자 형태로 배치된 제1가동구(88)를 선회되게 설치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제2장홀(88c)에는 연결링크(88e)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연결링크(88e)의 타단은 가동구축(89a)에 선회되게 결합된 다수 개의 위치홀(89b)이 형성된 제2가동구(89)에 연결 구성한다.
더불어, 상기 제2가동구(89)의 가동구축(89a)에 직교 방향으로 헬리컬기어 방식으로 방향전환축(89c)을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방향전환축(89c)의 끝단에 결합된 부싱(89d)의 중심에서 편심되되, 외측에서 내측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결합홀(89d') 중 하나에 연결되는 가동링크(89e)가 상,하부로울러부(32)(33)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프레임(34)에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제2구동축(72)의 회전시 제5크랭크(87a)의 상/하 왕복 작동이 제1가동구(88)를 선회 작동시키면 연결링크(88e)와 연결된 제2가동구(89)의 선회작동으로 가동구축(89a)이 회전된다.
아울러, 상기 가동구축(89a)의 회전력이 방향전환축(89c)으로 전달되어 가동링크(89e)가 연결프레임(34)에 연결된 상태로 밀려지거나 당겨지면서 상,하부로울러부(32)(33)를 프레임(10)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한다.
더울어, 상기 제2패턴구동축(85)의 회전력을 제1체인(85a)으로 연결 전달받아 회전하는 감속기(85b)가 프레임(10)의 일측에 설치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감속기(85b)와 제2체인(85c)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스프라킷축(85d)에 결합된 제1기어(85e)와 기어 피치가 다른 다수 개의 아이들기어(85f) 중 하나의 아이들기어(85f)가 기어 연결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아이들기어(85f)에 제2기어(85g)가 결합된 제2스프라킷축(85h)에 연결되는 제3체인(85i)과 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장식밴드(2a)가 상부로 접촉하여 이동하는 밴드로울러(3b)를 연결시켜 구성한다.
즉, 상기 아이들기어(85f)로 교체함으로써 밴드로울러(3b)의 회전속도를 변화시켜 장식밴드(2a)를 당겨진 상태나, 느슨한 상태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로울러부(33)의 가이드로울러(31)가 결합되는 로울러축(31a)은 외주면을 따라 하나 이상의 키(31b)가 일체로 형성되어 프레임(10)의 일측을 관통하여 노출되게 구성하는데, 상기 로울러축(31a)은 감지구(73)가 작동센서(74)에 감지될 때 작동하는 작동모터(36)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하부로울러부(33)가 회전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장식밴드(2a)가 웨이브형태로 원단(1)에 봉제된 장식원단(1a)이 프레임(10)의 후방으로 배출하는 배출부(90)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배출부(90)는 하부로울러부(33)를 통과한 장식원단(1a)의 상부면이 접촉되는 제2배출텐션봉(92)의 후방으로 연결되는 제1배출텐션봉(91)으로 이루어지는 배출텐션봉(93)을 구성하여, 제1배출텐션봉(91)을 프레임(10)의 후방측에 회전되게 결합한다.
아울러, 상기 배출텐션봉(93)의 후방으로 배출모터(94)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배출로울러(95)를 프레임(10)의 후방측에 결합한다.
이러한, 상기 배출로울러(95)의 당김력에 의해 장식원단(1a)이 당겨져 제2배출텐션봉(92)이 제1배출텐션봉(91)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설치된 배출감지센서(96)에 접촉한 상태의 제2배출텐션봉(92)이 회전되어 배출감지센서(96)의 감지력이 해제되면 배출모터(94)의 구동을 정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가공장치(100)를 이용하여 원단(1)에 장식밴드(2a)를 봉제하기 위해서는 원단공급부(20)의 원단로울러(21)에 원단(1)을 권취시킨다.
이후, 상기 원단(1)을 원단로울러(21)에서 풀어져 공급되는 원단(1)이 이이들로울러(23)의 하부측을 접촉하는 상태로 상부로울러부(32)의 가이드로울러(31) 사이를 통과시킨 후 원단(1)의 양 끝단을 가이드체인(40)의 지지핀(41)이 관통하도록 결합시킨 상태에서 하부로울러부(33)의 가이드로울러(31) 사이를 통과시킨다.
이렇게, 상기 원단(1)의 양 끝단이 가이드체인(40)의 지지핀(41)에 지지되면 원단(1)이 평탄하게 펼쳐지게 되어 장식밴드(2a)가 봉제 될 때 원단(1)에 구김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밴드공급부(2)에서 공급받는 장식밴드(2a)를 밴드로울러(3b)의 상부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장식밴드(2a)의 홀수열은 상부로울러부(32)의 하부측에 위치하는 상부봉제부(50)로 공급되도록 하고, 장식밴드(2b)의 짝수열은 하부로울러부(33)의 하부측에 위치하는 하부봉제부(60)로 공급되도록 배치한다.
아울러, 상기 봉제사공급부(3)에서 공급되는 봉제사(3a)는 텐션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1,2텐션봉(3e)(3f)으로 이루어진 텐션봉(3g)에 접촉하며 이동하도록 공급한다.
이때, 상기 봉제사(3a)가 상,하부봉제부(50)(60)의 봉제 작동에 의해 당겨져 텐션봉(3g)이 회전하면서 프레임(10)에 설치된 봉제감지센서(3h)에 감지되면 봉제사모터(3c)를 구동시켜 봉제사롤축(3d)을 회전시켜 봉제사권취롤(3b)에서 봉제사(3a)가 풀어지도록 하여 봉제사(3a)가 절단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봉제사(3a)는 상,하부봉제부(50)(60)의 봉제바늘(53)(63)에 형성되는 봉제홀(53a)(63a)에 통과하여 엮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봉제사(3a)는 펼쳐진 상태로 공급하기 위하여 봉제사(3a)가 통과할수 있도록 납작한 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별도의 안내관(3a')을 통과해 공급된다.
이렇게, 상기 원단(1)에 장식밴드(2a)를 봉제할 준비가 완료되면 메인구동부(70)의 메인모터(70a)를 구동시키면 구동력이 도면번호 미도시한 체인과 스프라킷 방식과 벨트와 벨트풀리 방식을 조합하여 메인모터(70a)의 회전력을 전달 받을수 있도록 연결되는 제1,2구동축(71)(72)로 전달되어 제1,2구동축(71)(72)이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제1구동축(71)의 제1캠(71a)에 접촉되는 제1크랭크(71c)와 연결된 제1로드(71d)가 상부봉제부(50)의 후방틀(52)에 연결되어 상부봉제부(50)가 프레임(10)의 전/후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한다.
더불어, 상기 제2구동축(72)의 제2캠(72a)에 접촉되는 제2크랭크(72c)와 연결된 제2로드(72d)가 하부봉제부(60)의 후방틀(62)에 연결되어 하부봉제부(60)가 프레임(10)의 전/후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한다.
이로써, 상기 후방틀(52)(62)의 전,후진 작동으로 코바늘(51)(61)은 전진하여 원단(1)과 장식밴드(2a)를 관통하고, 후진하여 원단(1)과 장식밴드(2a)의 후방에서 이탈하게 된다.
한편, 상기 메인구둥부(7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는 패턴구동부(80)는 제1,2구동축(71)(72)의 회전력이 직교 방향 전환된 회전력을 수평왕복 운동으로 변환시켜 상,하부로울러부(32)(33)가 프레임(10)의 좌/우 방향으로 왕복 작동한다.
즉, 상기 제1구동축(71)에 직교를 이루며 헬리컬기어 방식으로 연결된 제1패턴구동축(82)이 회전하면 제3캠(81)이 함께 회전된다.
이러한, 상기 제3캠(81)에 접촉되는 제3크랭크(83)는 상부봉제부(50)의 전방틀(54)과 연결된 상태로 제3캠(81)의 돌출된 정점과 접촉하면 밀리게 되고, 정점이 아닌 곳에 접촉하게 되면 원위치 되는 작동으로 프레임(10)의 좌/우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함으로써 상부봉제부(50)의 전방틀(54)이 프레임(10)의 좌/우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2구동축(72)에 직교를 이루며 헬리컬기어 방식으로 연결된 제2패턴구동축(85)이 회전하면 제4캠(84)이 함께 회전한다.
이러한, 상기 제4캠(84)에 접촉되는 제4크랭크(86)는 하부봉제부(60)의 전방틀(64)과 연결된 상태로 제4캠(84)의 돌출된 정점과 접촉하면 밀리게 되고, 정점이 아닌 곳에 접촉하게 되면 원위치 되는 작동으로 프레임(10)의 좌/우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함으로써 하부봉제부(60)의 전방틀(64)이 프레임(10)의 좌/우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전방틀(54)(64)의 좌/우 방향 직선 왕복 운동으로 인하여 전/후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는 후방틀(52)(62)에 결합된 코바늘(51)(61)이 원단(1)과 장식밴드(2a)를 관통하여 전방으로 노출되면 봉제사(3a)가 엮여진 봉제바늘(53)(63)이 코바늘(51)(61)의 상부를 지나치며 봉제사(3a)를 코바늘(51)(61)에 걸림시킨 후 복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코바늘(51)(61)에 봉제사(3a)가 걸려진 상태로 후방틀(52)(62)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봉제사(3a)에 의해 원단(1)과 장식밴드(2a)가 봉제되는데, 연속적으로 장식밴드(2a)를 원단(1)에 봉제하기 위해서는 원단(1)의 길이방향 이동과 장식밴드(2a)의 웨이브패턴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원단(1)을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원단(1)의 길이방향 이동과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제2패턴구동축(85)과 직교를 이루며 헬리컬기어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3패턴구동축(87)에 결합된 제5크랭크(87a)가 상/하 왕복운동을 한다.
이러한, 상기 제5크랭크(87a)의 상/하 왕복운동으로 인하여 제5크랭크(87a)에 연결된 제1가동구(88)가 선회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5크랭크(87a)는 제1가동구(88)의 제1장홀단(88b)에 형성된 제1장홀(88a)에 위치를 조정하며 결합되어 제1가동구(88)의 선회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가동구(88)의 선회 운동은 제2장홀단(88d)의 제2장홀(88c)에 연결되는 연결링크(88e)로 전달된다.
이러한, 상기 연결링크(88e)는 가동구축(89a)에 선회되게 결합된 제2가동구(89)의 위치홀(89b) 중 하나에 연결한다.
이때, 상기 연결링크(88e)는 제2장홀(88c)과 위치홀(89b)에 연결 위치를 조정하여 연결함으로써 제2가동구(89)의 선회 이동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제2가동구(89)의 선회 운동이 가동구축(89a)를 선회 회전시키면 방향전환축(89c)이 회전된다.
이후, 상기 방향전환축(89c)에 결합된 부싱(89d)이 함께 회전되면서 부싱(89d)에 연결된 가동링크(89e)가 전,후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동링크(89e)는 부싱(89d)에 결합홀(89d')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데, 상기 부싱(89d)의 중심에서 멀리 이격되어 설치된 결합홀(89d')에 가동링크(89e)를 연결할 경우보다, 부싱(89d)의 중심에서 가깝게 이격되어 설치된 결합홀(89d')에 가동링크(89e)를 연결할 경우는 가동링크(89e)의 이동거리가 짧아지게 된다.
즉, 상기 결합홀(89d')은 부싱(89d)의 중심을 기준으로 소용돌이 배열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이동하는 가동링크(89e)를 연결프레임(34)에 연결되어 연결프레임(34)으로 연결된 상,하부로울러부(32)(33)가 동시에 프레임(10)의 정면에서 투영했을 때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상기 상,하부로울러부(32)(33)의 좌/우 방향 왕복이동으로 장식밴드(2a)가 원단(1)의 길이 방향으로 물결 형태의 웨이브 패턴을 이루면 봉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구동축(71)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감지구(73)가 제1구동축(71)과 함께 회전할 때 프레임(10)에 설치되는 감지센서(74)에 감지되는 동시에 작동모터(36)가 구동되면서 슬립현상이 방지되도록 타이밍벨트로 연결된 로울러축(31a)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상,하부봉제부(50)(60)는 장식밴드(2a)를 원단(1)에 봉제하지 않도록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가 되며, 상기 상,하부로울러부(32)(33)는 원단(1) 및 장식밴드(2a)와 장식원단(1a)을 이동시키기 위해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장식원단(1a)은 제2배출텐션봉(92)의 하부에 접촉한 상태로 배출로울러(95)의 당김력에 의해 당겨져 별도의 배출통에 적층된다.
아울러, 상기 장식원단(1a)이 배출로울러(95)의 과도한 당김력에 의해 당지면 장식원단(1a)이 제2배출텐션봉(92)을 들어올려 배출감지센서(96)에 접촉한 상태의 제2배출텐션봉(92)이 회전되어 배출감지센서(96)의 감지력이 해제되면 배출모터(94)의 구동을 정지시켜 장식원단(1a)이 과도하게 당겨져 찢어지거나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 : 원단 1a : 장식원단
2 : 밴드공급부 2a : 장식밴드
3 : 봉제사공급부 3a : 봉제사
3a' : 안내관
3b : 봉제사권취롤 3c : 봉제사모터
3d : 봉제사롤축 3e : 제1텐션봉
3f : 제2텐션봉 3g : 텐션봉
10 : 프레임 20 : 원단공급부
21 : 원단로울러 22 : 원단모터
23 : 아이들로울러 24 : 원단감지센서
31 : 가이드로울러 31a : 로울러축
32 : 상부로울러부 33 : 하부로울러부
34 : 연결프레임 35 : 체인
36 : 작동모터
40 : 가이드체인 41 : 지지핀
42 : 스프라킷 50 : 상부봉제부
60 : 하부봉제부 51,61 : 코바늘
52,62 : 후방틀 53,63 : 봉제바늘
53a,63a : 봉제홀 54,64 : 전방틀
70 : 메인구동부 70a : 메인모터
71 : 제1구동축
71a : 제1캠 71b: 제1고정축
71c : 제1크랭크 71d : 제1로드
72 : 제2구동축 72a : 제2캠
72b : 제2고정축 72c : 제2크랭크
72d : 제2로드 73 : 감지구
74 : 작동센서 80 : 패턴구동부
81 : 제3캠 82 : 제1패턴구동축
83 : 제3크랭크 84 : 제4캠
85 : 제2패턴구동축 85a : 제1체인
85b : 감속기 85c : 제2체인
85d : 제1스프라킷축 85e : 제1기어
85f : 아이들기어 85g : 제2기어
85h : 제2스프라킷 85i : 제3체인
86 : 제4크랭크
87 : 제3패턴구동축 87a : 제5크랭크
88 : 제1가동구 88a : 제1장홀
88b : 제1장홀단 88c : 제2장홀
88d : 제2장홀단 88e : 연결링크
89 : 제2가동구 89a : 가동구축
89b : 위치홀 89c : 방향전환축
89d : 부싱 89d' : 결합홀
89e : 가동링크 90 : 배출부
91 : 제1배출텐션봉 92 : 제2배출텐션봉
93 : 배출텐션봉 94 : 배출모터
95 : 배출로울러 96 : 배출감지센서
100 : 가공장치

Claims (7)

  1. 원단(1)에 장식밴드(2a)를 봉제하여 장식하는 가공장치의 구동부에 있어서,
    프레임(10)의 상부에 위치되는 원단공급부(20)의 하부측으로 원단(1)을 안내하도록 각각 한 쌍 이상의 가이드로울러(31)로 이루어지는 상부로울러부(32)와 하부로울러부(33)를 상하 방향으로 이격 설치하여 양 끝단을 각각 연결프레임(34)과 동시에 회전되도록 체인(35)으로 연결 구성하고,
    상기 연결프레임(34)의 일측으로 이동하는 원단(1)의 양 끝단을 관통하여 지지하도록 지지핀(41)이 결합된 가이드체인(40)을 회전되게 설치 구성하며,
    상기 프레임(10)의 후방에 설치되는 밴드공급부(2)에서 다수 열로 원단(1)의 전면으로 공급하는 장식밴드(2a) 중 홀수열은 상부로울러부(32)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상부봉제부(50)에서, 짝수열은 하부로울러부(33)의 상부측에 위치되는 하부봉제부(60)에서 각각 원단(1)에 봉제하도록 설치 구성하고,
    상기 상,하부봉제부(50)(60)에 원단(1)과 장식밴드(2a)의 봉제를 위해 프레임(10)의 전방에 봉제사(3a)를 공급하는 다수 개의 봉제사공급부(3)를 설치 구성하며,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서 구동하는 메인구동부(70)에 의해 상,하부봉제부(50)(60)는 전/후, 좌/우 방향으로 왕복운동하고, 상기 메인구동부(70)의 구동력이 프레임(10)의 타측으로 전달되어 상,하부로울러부(33)를 동시에 좌/우측으로 반복 이동시켜 원단(1)에 장식밴드(2a)가 웨이브형태로 봉제되도록 하는 패턴구동부(80)를 구성하고,
    상기 장식밴드(2a)가 웨이브형태로 원단(1)에 봉제된 장식원단(1a)이 프레임(10)의 후방으로 배출하는 배출부(90)로 구성하고,
    상기 메인구동부(70)의 제1,2구동축(71)(72)의 회전력이 직선왕복운동이 변환되어 상,하부봉제부(50)(60)는 프레임(10)의 전/후 방향으로 왕복 작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1,2구동축(71)(72)의 회전력이 직교 방향 전환된 회전력이 수평왕복 운동으로 변환시켜 패턴구동부(80)로 전달되어 상,하부봉제부(50)(60)가 프레임(10)의 전/후와 좌/우 방향으로 왕복 작동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1,2구동축(71)(72)의 회전력이 직교 방향 전환된 회전력이 수평왕복 운동으로 변환시켜 상,하부로울러부(32)(33)가 프레임(10)의 좌/우 방향으로 왕복 작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1구동축(71)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감지구(73)가 프레임(10)에 설치되는 감지센서(74)에 감지될 때 상,하부봉제부(50)(60)는 장식밴드(2a)를 원단(1)에 봉제하지 않도록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가 되며, 상기 상,하부로울러부(32)(33)는 좌/우 방향으로 왕복 작동하는 동시에 원단(1) 및 장식밴드(2a)를 이동시키기 위해 회전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에 장식밴드를 다양한 패턴으로 봉제하는 가공장치의 구동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구동부(70)는 프레임(10)을 일측에 설치된 메인모터(70a)가 구동으로 프레임(10)의 후방을 가로지르며 회전하는 제1구동축(71)의 하부로 제2구동축(72)이 이격 설치되어 패턴구동부(80)로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1구동축(71)의 양 끝단에는 제1캠(71a)이 결합되고, 상기 제1구동축(71)의 후방 상부측으로 프레임(10)에 설치되는 제1고정축(71b)에는 제1캠(71a)에 접촉되는 제1크랭크(71c)와 연결되는 제1로드(71d)에 상부봉제부(50)가 연결되어 상부봉제부(50)가 프레임(10)의 전/후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을 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2구동축(72)의 양 끝단에는 제2캠(72a)이 결합되고, 상기 제2구동축(72)의 후방 상부측으로 프레임(10)에 설치되는 제2고정축(72b)에는 제2캠(72a)에 접촉되는 제2크랭크(72c)와 연결되는 제2로드(72d)에 하부봉제부(60)가 연결되어 하부봉제부(60)가 프레임(10)의 전/후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을 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에 장식밴드를 다양한 패턴으로 봉제하는 가공장치의 구동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구동부(80)는 연결프레임(34)으로 연결된 상,하부로울러부(32)(33)를 좌/우 방향으로 왕복운동 하도록 구동력을 전달받기 위해 제1구동축(71)에 직교를 이루며 헬리컬기어 방식으로 일 끝단에 제3캠(81)이 결합된 제1패턴구동축(82)이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10)의 외측면에는 제3캠(81)에 접촉되어 직선왕복 운동하는 제3크랭크(83)가 설치되고, 상기 제3크랭크(83)는 상부봉제부(50)와 연결되어 상부봉제부(50)를 프레임(10)의 좌/우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구성하고,
    구동력을 전달받기 위해 제2구동축(72)에 직교를 이루며 헬리컬기어 방식으로 일 끝단에 제4캠(84)이 결합된 제2패턴구동축(85)이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10)의 외측면에는 제4캠(84)에 접촉되어 직선왕복 운동하는 제4크랭크(86)가 설치되고, 상기 제4크랭크(86)는 하부봉제부(60)와 연결되어 하부봉제부(60)를 프레임(10)의 좌/우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에 장식밴드를 다양한 패턴으로 봉제하는 가공장치의 구동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패턴구동축(85)과 직교를 이루며 헬리컬기어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2구동축(7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5크랭크(87a)가 상/하 왕복운동 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0)의 일측 외면에 제1크랭크(71c)에 연결되는 제1장홀(88a)이 형성된 제1장홀단(88b)과 제2장홀(88c)이 형성된 제2장홀단(88d)이 'V'자 형태로 배치된 제1가동구(88)를 선회되게 설치하며,
    상기 제2장홀(88c)에는 연결링크(88e)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연결링크(88e)의 타단은 가동구축(89a)에 선회되게 결합된 다수 개의 위치홀(89b)이 형성된 제2가동구(89)에 연결하며,
    상기 제2가동구(89)의 가동구축(89a)에 직교 방향으로 헬리컬기어 방식으로 방향전환축(89c)을 연결하되, 상기 방향전환축(89c)의 끝단에 결합된 부싱(89d)의 중심에서 편심되되, 외측에서 내측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결합홀(89d') 중 하나에 연결되는 가동링크(89e)가 상,하부로울러부(32)(33)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프레임(34)에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제2구동축(72)의 회전시 제5크랭크(87a)의 상/하 왕복 작동이 제1가동구(88)를 선회 작동시키면 연결링크(88e)와 연결된 제2가동구(89)의 선회작동으로 가동구축(89a)이 회전되고, 상기 가동구축(89a)의 회전력이 방향전환축(89c)으로 전달되어 가동링크(89e)가 연결프레임(34)에 연결된 상태로 밀려지거나 당겨지면서 상,하부로울러부(32)(33)를 프레임(10)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에 장식밴드를 다양한 패턴으로 봉제하는 가공장치의 구동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로울러부(33)의 가이드로울러(31)가 결합되는 로울러축(31a)은 외주면을 따라 하나 이상의 키(31b)가 일체로 형성되어 프레임(10)의 일측을 관통하여 노출되게 구성하고,
    상기 로울러축(31a)은 감지구(73)가 작동센서(74)에 감지될 때 작동하는 작동모터(36)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하부로울러부(33)가 회전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에 장식밴드를 다양한 패턴으로 봉제하는 가공장치의 구동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패턴구동축(85)의 회전력을 제1체인(85a)으로 연결 전달받아 회전하는 감속기(85b)가 프레임(10)의 일측에 설치 구성되고,
    상기 감속기(85b)와 제2체인(85c)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스프라킷축(85d)에 결합된 제1기어(85e)와 기어 피치가 다른 다수 개의 아이들기어(85f) 중 하나의 아이들기어(85f)가 기어 연결되고,
    상기 아이들기어(85f)에 제2기어(85g)가 결합된 제2스프라킷축(85h)에 연결되는 제3체인(85i)과 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장식밴드(2a)가 상부로 접촉하여 이동하는 밴드로울러(3b)를 연결시켜,
    상기 아이들기어(85f)로 교체함으로써 밴드로울러(3b)의 회전속도를 변화시켜 장식밴드(2a)를 당겨진 상태나, 주름진 상태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에 장식밴드를 다양한 패턴으로 봉제하는 가공장치의 구동부.
KR1020110140266A 2011-12-22 2011-12-22 원단에 장식밴드를 다양한 패턴으로 봉제하는 가공장치의 구동부 KR101315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266A KR101315986B1 (ko) 2011-12-22 2011-12-22 원단에 장식밴드를 다양한 패턴으로 봉제하는 가공장치의 구동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266A KR101315986B1 (ko) 2011-12-22 2011-12-22 원단에 장식밴드를 다양한 패턴으로 봉제하는 가공장치의 구동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2724A KR20130072724A (ko) 2013-07-02
KR101315986B1 true KR101315986B1 (ko) 2013-10-08

Family

ID=48987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0266A KR101315986B1 (ko) 2011-12-22 2011-12-22 원단에 장식밴드를 다양한 패턴으로 봉제하는 가공장치의 구동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9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371B1 (ko) 2016-08-04 2017-02-28 주식회사 진솔섬유 모듈화 된 코메즈 편직용 컨트롤장치
KR101710417B1 (ko) 2016-08-04 2017-02-28 주식회사 진솔섬유 코메즈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9160A (ja) * 1983-09-13 1985-04-05 東海工業ミシン株式会社 ミシンの紐状部材縫着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9160A (ja) * 1983-09-13 1985-04-05 東海工業ミシン株式会社 ミシンの紐状部材縫着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371B1 (ko) 2016-08-04 2017-02-28 주식회사 진솔섬유 모듈화 된 코메즈 편직용 컨트롤장치
KR101710417B1 (ko) 2016-08-04 2017-02-28 주식회사 진솔섬유 코메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2724A (ko) 201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90579A (en) Textile material and manufacture
KR101315986B1 (ko) 원단에 장식밴드를 다양한 패턴으로 봉제하는 가공장치의 구동부
KR101039467B1 (ko) 웨이브패턴 형성장치를 구비한 경편기
KR100893963B1 (ko) 위사 공급 및 제직밀도 조절이 가능한 라셀기
KR101315984B1 (ko) 원단에 장식밴드를 다양한 패턴으로 봉제하는 가공장치
RU2474627C2 (ru)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процесс изготовления нераспускающегося трикотажного полотна
KR200436758Y1 (ko) 경편기용 구슬공급장치
KR101315989B1 (ko) 원단에 장식밴드를 다양한 패턴으로 봉제하는 가공장치의 공급부
CN101724954A (zh) 织机的捕纬边的经线开口装置
KR101363228B1 (ko) 공간직물 제조장치
KR101026814B1 (ko) 누비기용 비 누비부 간격조절장치
KR20160000261U (ko) 라셀편기의 무늬사 가이드장치, 이를 포함한 라셀편기 및 이를 이용하여 편직된 원단
KR100900186B1 (ko) 랏셀 편기의 태그장치
CN112342683B (zh) 一种经编纬编复合织造设备
CN205062364U (zh) 一种经编绣花一体机
CN203065725U (zh) 塑料编织布喷水织机
KR200482696Y1 (ko) 경편기의 장식 원사 공급장치
CN111809305A (zh) 一种经编机
CN213951521U (zh) 一种经编机
KR200408288Y1 (ko) 양면경편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원단
KR960005671Y1 (ko) 개량 텍스터 가이드(texture guide)
KR100555775B1 (ko) 다양한 고리형태의 문양패턴을 구현하기 위한 편물사편직방법 및 편직기
US4021593A (en) Needled fabric structure
KR200260788Y1 (ko) 편직기의 니들 구동장치
KR101112101B1 (ko) 슬릿 얀 편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