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0186B1 - 랏셀 편기의 태그장치 - Google Patents

랏셀 편기의 태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0186B1
KR100900186B1 KR1020080071792A KR20080071792A KR100900186B1 KR 100900186 B1 KR100900186 B1 KR 100900186B1 KR 1020080071792 A KR1020080071792 A KR 1020080071792A KR 20080071792 A KR20080071792 A KR 20080071792A KR 100900186 B1 KR100900186 B1 KR 100900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ging
tag
chain belt
knitting
knitt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1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양
Priority to KR1020080071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0186B1/ko
Priority to AU2008243223A priority patent/AU200824322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0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0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0Open-work fabrics
    • D04B21/12Open-work fabric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3/00Flat warp knitting machines
    • D04B23/16Flat warp knitting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fabrics, or article blanks, of particular form o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3/00Flat warp knitting machines
    • D04B23/22Flat warp knitting machines with special thread-guid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10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27/24Thread guide bar assemblies
    • D04B27/26Shogging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망 원단을 편직하는 랏셀 편기의 태그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동모터에 연결된 구동드럼(14)과 피동축휠(16) 간에 연결된 다수의 체인벨트들(18)(20)중의 태깅용 체인벨트(20)에는 돌출편(22)들이 등간격으로 배열 형성되며 태깅용 체인벨트(20) 상방에는 감지센서(24)가 설치되고, 구동드럼(14)의 체인벨트(18)(20)들에는 각 작동대(26)(28)의 일단을 면접시켜서 제편부(30)내 경사(32)들의 편환을 위한 수평 왕복운동이 가능케 구성하고, 태깅용 체인벨트(20)에 면접된 태깅용 작동대(28)에 태그사 공급부(34)를 연결하여서 태그사 공급부(34)를 통해서 공급되는 태그사(4)가 제편부(30)에서 경사(32)들과 함께 편직되게 구성하며, 태깅용 체인벨트(20)와 태깅용 작동대(28) 사이에 위치하며 돌출편(22)을 감지하는 감지센서(24)로부터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태깅용 작동대(28)와 태깅용 체인벨트(20)의 면접촉을 단속하는 태깅 제어부(38)를 구비하여서, 제편되는 망 원단(2)의 가로 변부를 따라가며 일정간격으로 태그사(4)로 된 표시태그(6)가 편직 형성되게 한다.
Figure R1020080071792
망 원단, 표시태그, 태그사

Description

랏셀 편기의 태그장치{TAGGING APPARATUS OF RASCHEL KNITTING MACHINES}
본 발명은 각종 설치망을 제편하는 경편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랏셀 편기로 제편되는 설치망의 가로 변부에 위치식별이 용이한 표시태그가 형성되게 하는 태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안전망이나 농업용 보호망 등의 설치망은 랏셀 편기를 이용해서 그 용도에 맞게 제편되어지며, 요즈음에는 망의 폭이 점차 넓어지고 길이도 수백 미터나 되는 대형 사이즈로도 생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형 사이즈의 설치망이 생산 가능함에 따라 한번에 넓게 펼쳐서 사용할 수는 있는 이점을 제공해 주었지만, 망 설치시에 망의 위치 식별이 어려워 설치가 애로가 있었으며 설치망 판매 시에도 판매자가 대형 사이즈된 망의 길이를 일일이 재어야 하므로 여간 불편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산업현장이나 농사현장 등에 사용되는 그물망을 사용하거나 판매함에 있어서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이 요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랏셀 편기로 제편되는 설치망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설치망 판매시에도 길이 확인이 쉽도록 하는 태그를 형성하는 랏셀 편기의 태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의한 본 발명은, 랏셀 편기로 제편되는 망 원단(2)의 가로 변부를 따라가며 일정간격으로 태그사(4)로 된 표시태그(6)가 편직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망을 제편하는 랏셀 편기의 태그장치로서, 구동모터에 연결된 구동드럼(14)과 피동축휠(16) 간에 연결된 다수의 체인벨트들(18)(20)중의 태깅용 체인벨트(20)에는 돌출편(22)들이 등간격으로 배열 형성되며 태깅용 체인벨트(20) 상방에는 감지센서(24)가 설치되고, 구동드럼(14)의 체인벨트(18)(20)들에는 각 작동대(26)(28)의 일단을 면접시켜서 제편부(30)내 경사(32)들의 편환을 위한 수평 왕복운동이 가능케 구성하고, 태깅용 체인벨트(20)에 면접된 태깅용 작동대(28)에 태그사 공급부(34)를 연결하여서 태그사 공급부(34)를 통해서 공급되는 태그사(4)가 제편부(30)에서 경사(32)들과 함께 편직되게 구성하며, 태깅용 체인벨트(20)와 태깅용 작동대(28) 사이에 위치하며 돌출편(22)을 감지하는 감지센서(24)로부터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태깅용 작동대(28)와 태깅용 체인벨트(20)의 면접촉 을 단속하는 태깅제어부(38)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망 원단에 표시태그가 가로변부를 따라가며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므로 망 설치시에 망의 해당 위치를 쉽게 식별되게 해주어 설치의 애로를 줄여주며, 설치망 판매 시에도 표시태그를 기준삼아 망의 길이를 잴 수 있으므로 판매에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설치망에 표시태그가 형성되도록 해주는 태그장치가 구비된 랏셀 편기에 관련된 각종 구성도이며, 도 1은 랏셀 편기의 태그장치를 이용해서 망 원단에 표시태그가 형성된 사시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망 원단(2)은 본 발명의 태그장치가 구비된 랏셀 편기(10)로 편직되며, 망 원단(2)의 가로 변부를 따라가며 일정간격으로 태그사(4)로 된 표시태그(6)가 편직 형성되게 한 요지적 특징을 갖는다.
망 원단(2)의 가로변부를 따라 가며 편직형성된 표시태그(6)는 태그사(4)가 망 원단(2)을 형성하는 경사(32)와는 다른 색상을 가지며 지그재그형태로 편직 형 성되어서 사용자가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때 표시태그(6)를 구성하는 태그사(4)는 망 원단(2)을 형성하는 경사(32)보다 그 굵기가 상대적으로 더 굵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태그(6)를 갖는 망 원단(2)을 편직하는 랏셀 편기(10)를 보여주는 도 2 내지 도 7에서, 도 2는 랏셀 편기(10)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그장치가 구비된 전체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단면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망 원단 제편시 태그사의 공급상태를 보여주는 측부 종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서, 참조번호 "30"은 랏셀 편기(10)의 제편부이다. 제편부(30)내에는 경사(32)들의 편환을 위해 수평 왕복운동하는 다수의 작동대(26)(28)들과 다수의 경사(32)들을 니들대(44)로 안내하는 가이드바(42)들이 부채살 형태의 가이드바 정렬기(40)를 통해 서로 연동되게 구성된다. 가이드바 정렬기(40)는 랏셀 편기(10)의 본체(50)에 장치된 고정축대(48)에 결합 고정되며, 가이드바(42)의 하단에는 경사(32)들을 니들바(44)로 집중되게 안내하는 가이드(43)가 장착되며, 니들대(44)에서 편직된 망 원단(2)은 안내롤러(46)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랏셀 편기의 구동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그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와 아울러 도 5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제편부(30)내 경사(32)들의 편환을 위한 수평 왕복운동을 하는 다수의 작동대(26)(28)의 일단에는 지지롤(26a)(28a)들을 갖는 각 슬라이더(36)가 장치된다. 각 슬라이더(36)들은 본 체(50)내 받침대(35)에 장착된 슬라이드 레일(37)상의 각 레일홈들을 따라가며 슬라이딩될 수 있게 구성한다.
랏셀 편기(10)의 구동부에는 상기 다수의 작동대(26)(28)들을 수평 왕복운동케 하기 위한 구동모터(미도시됨)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모터에는 체인과 기어박스(12)를 통해서 구동드럼(14)이 연결되며, 구동드럼(14)과 피동축휠(16)간에는 다수의 체인벨트들(18)(20)이 연결된다.
다수의 체인벨트들(18)(20)중에서, 앞측으로부터 첫번째 및 두번째, 네번째 내지 일곱번째 체인벨트(18)는 경사(32)를 편환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편직용 작동대(26)들에 관련된 편직용 체인벨트이고, 세번째 체인벨트(20)은 태그사(4)로 된 표시태그(6)를 형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태깅용 작동대(28)에 관련된 태깅용 체인벨트이다.
태깅용 체인벨트(20)를 제외한 나머지 편직용 체인벨트(18)들에는 미리 설정된 형태의 편직을 위해서 그 체인표면의 요철높이가 서로 다른 다단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태깅용 체인벨트(20)는 편직용 체인벨트(18)들과는 다르게 등간격으로 배열 형성된 돌출편(22)들을 갖는다. 상기 돌출편(22)은 편직용 체인벨트(18)에 형성된 다단 요철보다 상대적으로 훨씬 더 높은 높이를 갖도록 구성하여서 망 원단(2)에서의 표시태그(6)의 지그재그 폭이 망 편직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게 해준다.
태깅용 체인벨트(20)의 상방에는 태깅용 체인벨트(20)의 돌출편(22)들을 감지하는 감지센서(24)가 설치되며, 감지센서(24)가 감지한 감지신호는 태깅제어부(38)에서의 태깅 제어에 이용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체인벨트(18)(20)들은 작동대(26)(28)들의 지지롤(26a)(28a)과 면접촉되게 구성하되, 구동드럼(14)에 감긴 해당 체인벨트들의 측점부에서 작동대(26)(28)들과 면접촉되게 구성된다.
작동대(26)(28)들 각각에는 해당 작동대(26)(28)를 그의 일단측으로 당겨주는 인장스프링(52)을 갖는 견인부(54)가 연결되며, 또 작동대(26)(28)들의 지지롤(26a)(28a)이 구동드럼(14)의 측면부에 위치한 해당 체인벨트(18)(20)와 면접촉된다. 그러므로 구동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편직용 체인벨트(18)들의 서로 다른 다단 요철높이에 의해서 대응 작동대(26)들이 좌우로 수평 왕복운동을 하게된다. 그리고 태깅용 체인벨트(20)에는 돌출편(22)이 등간격으로 배열 형성되어 있으므로 구동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태깅용 작동대(28)는 편직용의 작동대(26)들보다 더 큰 스윙폭으로 좌우 왕복운동을 하게된다.
도 1의 망 원단(2)의 가로 변부에 형성된 표시태그(6)는 제조자가 원하는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야 하므로 태깅용 작동대(28)의 좌우 왕복운동을 단속할 필요가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랏셀 편기(10)의 태그장치에는 이를 위한 태깅 제어부(38)가 구비된다.
태깅 제어부(38)는 도 2에서와 같이 태깅용 체인벨트(20)와 태깅용 작동대(28) 사이에 위치하며, 태깅용 체인벨트(20)에 형성된 돌출편(22)들을 감지하는 감지센서(24)로부터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태깅용 작동대(28)과 태깅용 체인벨트(20)간의 면접촉을 단속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태깅 제어부(38)는, 감지센서(24)로부터의 감지 신호와 입력부(미도시됨)를 통해 기입력된 태그표시 제어값을 이용하여 신호처리하여 단속제어명령을 출력하는 신호처리부(미도시됨)와, 상기 신호처리부의 단속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승강 작동하는 솔레노이드 작동체(60)를 구비하며, 솔레노이드 작동체(60)의 하단에는 스토퍼(62)가 장치되게 구성한다. 또한 태깅용 작동대(28)의 일단에 장치된 슬라이더(36) 상부에는 걸림편(64)이 형성되게 하여서 솔레노이드 작동체(60)의 스토퍼(62)가 하강된 상태가 되면 그 걸림편(64)이 스토퍼(62)에 걸리도록 해준다.
한편 본 발명의 랏셀 편기(10)의 태그장치는 태깅용 작동대(28)에 태그사 공급부(34)를 연결하여서 그 태그사 공급부(34)를 통해서 공급되는 태그사(4)가 제편부(30)에서 경사(32)들과 함께 편직되게 구성한다.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그장치를 구성하는 태그사 공급부(34)를 포함하고 있으며, 도 7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그사 공급부(34)의 부품 분해 사시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6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태그사 공급부(34)는, 제편부(30)내에 있는 가이드바 정렬기(40)에 설치된 안내축부(70)에 왕복안내대(72)가 좌우왕복운동 가능케 장치되게 하고, 왕복안내대(72)에는 연결편(74)을 통해 실 안내구(76)가 체결되며, 실 안내구(76)에는 다수의 안내관(78)들이 형성되게 구성한다. 실 안내구(76)내의 다수의 안내관(78)들은 하나 이상의 태그사(4)로 표시태그(6)를 형성할 때에 복수 사용될 수 있다. 또 하나의 태그사(4)로 표시태그(6)를 형성시 그 태그 형성위치를 변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도 다수 안내관(78)들중 다른 하나를 선정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허용해준다.
이제 상기한 바와 같은 랏셀 편기(10)의 태그장치를 이용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망 원단(2)의 편직시 표시태그(6)가 형성되는 동작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조자는 망 원단(2)상에 형성할 표시태그(6)의 형성 길이와 표시태그(6)간의 목표인터벌값을 랏셀 편기(10)내 태그장치의 입력부(미도시됨)를 통해 입력한다. 그에 따라 신호처리부(미도시됨)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표시태그(6)의 형성 길이와 표시태그(6)간의 목표인터벌값을 태그표시 제어값으로서 인식하고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다.
또한 제조자는 다수의 경사(32)들은 제편부(30)로 공급되도록 하고 태그사(4)는 태그사 공급부(34)를 통해서 제편부(30)로 공급되도록 한다.
제조자가 입력부를 통해 작동스위치를 턴온(turn on)시키게 되면 구동모터가 구동하게 되며, 그에 따라 구동모터에 체인과 기어박스(12)를 통해 연결된 구동드럼(14)과 피동축휠(16) 간에 연결된 다수의 체인벨트(18)(20)들이 벨트회전을 하게된다. 구동드럼(14)의 측면에 위치한 체인벨트(18)들에 면접촉된 편직용의 작동대(26)들은 체인벨트(18)의 표면에 형성된 요철높이에 따라가며 좌우로 수평 왕복운동을 하게되고, 편직용의 작동대(26)들의 수평 왕복운동으로 제편부(30)에서는 망 원단 생산을 위한 편직이 이루어진다.
한편 체인벨트(18)(20)중 태깅용 체인벨트(20)의 상방에는 감지센서(24)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감지센서(24)는 체인벨트(20)내에 형성된 돌출편(22)을 감지하 면 태깅 제어부(38)의 신호처리부로 출력한다.
태깅 제어부(38)의 신호처리부는 감지센서(24)의 감지신호와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태그표시 제어값 즉, 표시태그(6)의 형성 길이와 표시태그(6)간의 목표인터벌값을 이용해서 표시태그(6)가 형성되지 않을 구간에서는 태깅용 작동대(28)가 좌우 왕복운동을 하지 못하도록 하는 단속제어명령을 솔레노이드 작동체(60)로 출력한다. 그에 따라 솔레노이드 작동체(60)는 스토퍼(62)를 하강 작동시키게 되고, 태깅용 작동대(28)의 일단에 장치된 슬라이더(36) 상부의 걸림편(64)은 하강된 스토퍼(64)에 걸림된다. 그러면 태깅용 작동대(28)은 구동드럼(14)의 측면에 위치한 태깅용 체인벨트(20)와는 이격되어지고, 태깅용 체인벨트(22)가 벨트회전을 하더라도 태깅용 작동대(28)는 좌우 왕복운동을 하지 못하게 된다. 그 결과, 이 구간에서는 편직되는 망 원단(2)에 표시태그(6)가 형성되지 않고 태그사(4)만이 형성된다.
그런데 표시태그(6)가 형성될 구간이 되면 태깅 제어부(38)의 신호처리부는 감지센서(24)의 감지신호와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태그표시 제어값을 이용해서 이를 인식한다. 즉 신호처리부는 감지센서(24)의 감지신호를 카운트하여 얻은 길이값과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목표인터벌값이 허용범위내에 같게되면 표시태그(6)가 형성될 구간으로 인식한다.
그러면 태깅 제어부(38)는 태깅용 작동대(28)가 좌우 왕복운동을 하도록 하는 단속제어명령을 솔레노이드 작동체(60)로 출력한다. 그에 따라 솔레노이드 작동체(60)는 하강상태로 있던 스토퍼(62)를 상승시키게 되고, 그러면 태깅용 작동대(28)의 일단에 장치된 슬라이더(36)는 전진하면서 태깅용 작동대(28)의 슬라이 더(36)가 갖는 지지롤(28a)이 구동드럼(14)의 측면에 위치한 태깅용 체인벨트(20)에 면접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태깅용 체인벨트(22)가 벨트회전을 하게되면 태깅용 작동대(28)는 태깅용 체인벨트(20)에 형성된 돌출편(22)과 인접 돌출편(22)사이의 요입면에 의해서 편직용의 작동대(26)들보다 더 큰 스윙폭으로 좌우 왕복운동을 하게된다. 그 결과, 이 구간에서는 편직되는 망 원단(2)에 태그사(4)에 의해서 지그재그 형태의 표시태그(6)가 형성된다.
표시태그(6)는 신호처리부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표시태그(6)의 형성 길이값만큼 형성되도록 태깅 제어부(38)에 의해서 제어된다. 즉, 태깅 제어부(38)의 신호처리부는 감지센서(24)의 감지신호를 카운트하여 얻은 길이값과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표시태그(6)의 형성길이 값이 허용범위내에 서로 같게되기 전까지는 표시태그(6)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속제어명령의 출력을 유지한다.
또 상기 카운트하여 얻은 길이값과 기저장된 표시태그(6)의 형성길이값이 허용범위내에서 서로 같게되면 신호처리부는 표시태그(6)의 종료지점으로 인식하고 태깅용 작동대(28)가 좌우 왕복운동을 못하도록 하는 단속제어명령을 솔레노이드 작동체(60)로 출력한다. 그에 따라 솔레노이드 작동체(60)는 상승상태로 있던 스토퍼(62)를 다시 하강시키고, 태깅용 작동대(28)의 걸림편(64)은 솔레노이드 작동체(60)의 스토퍼(62)에 의해서 걸림되므로 태깅용 작동대(28)는 더 이상 좌우로 수평 왕복운동을 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어를 통해서 망 원단(2)의 가로 변부에 태그사(4)로 된 표시 태그(6)가 일정간격으로 반복형성된다. 상기 표시태그(6)의 형성길이와 표시태그(6)간의 간격은 제조자가 입력부를 이용하여서 본인이 원하는 만큼으로 표시태그 제어값으로 입력하게 태깅 제어부(38)내의 내부 메모리에 설정되어진다. 그러므로 제조자는 표시태그(6)의 형성길이와 표시태그(6)간의 간격을 임의대로 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은 망 원단을 제조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망 원단의 사시도.
도 2는 랏셀 편기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그장치가 구비된 전체 구성도.
도 3은 도 2의 평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망 제편시 태그사의 공급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그장치의 구동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그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그사 공급부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망 원단 (4)-- 태그사
(6)-- 표시태그 (10)-- 랏셀 편기
(12)-- 기어박스 (14)-- 구동드럼
(16)-- 피동축휠 (18)(20)-- 체인벨트
(22)-- 돌출편 (24)-- 감지센서
(26)(28)-- 작동대 (30)-- 제편부
(32)-- 경사 (34)-- 태그 공급부
(38)-- 태깅 제어부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망 원단을 편직하는 랏셀 편기에 있어서,
    구동모터에 연결된 구동드럼(14)과 피동축휠(16) 간에 연결된 다수의 체인벨트들(18)(20)중의 태깅용 체인벨트(20)에는 돌출편(22)들이 등간격으로 배열 형성되며 태깅용 체인벨트(20) 상방에는 감지센서(24)가 설치되고, 구동드럼(14)의 체인벨트(18)(20)들에는 각 작동대(26)(28)의 일단을 면접시켜서 제편부(30)내 경사(32)들의 편환을 위한 수평 왕복운동이 가능케 구성하고, 태깅용 체인벨트(20)에 면접된 태깅용 작동대(28)에 태그사 공급부(34)를 연결하여서 태그사 공급부(34)를 통해서 공급되는 태그사(4)가 제편부(30)에서 경사(32)들과 함께 편직되게 구성하며, 태깅용 체인벨트(20)와 태깅용 작동대(28) 사이에 위치하며 돌출편(22)을 감지 하는 감지센서(24)로부터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태깅용 작동대(28)와 태깅용 체인벨트(20)의 면접촉을 단속하는 태깅 제어부(38)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랏셀 편기의 태그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태깅제어부(38)는, 감지센서(24)로부터의 감지신호와 입력부를 통해 기입력된 태그표시 제어값을 이용하여 신호처리하여 단속제어명령을 출력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신호처리부의 단속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승강 작동하는 솔레노이드 작동체(60)를 구비하며, 솔레노이드 작동체(60)의 하단에는 스토퍼(62)가 장치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랏셀 편기의 태그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태그사 공급부(34)는, 가이드바 정렬기(40)에 설치된 안내축부(70)에 왕복안내대(72)가 좌우왕복운동 가능케 장치되며, 왕복안내대(72)에는 연결편(74)을 통해 실 안내구(76)가 체결되며, 실 안내구(76)에는 다수의 안내관(78)들이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랏셀 편기의 태그장치.
KR1020080071792A 2008-07-23 2008-07-23 랏셀 편기의 태그장치 KR100900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792A KR100900186B1 (ko) 2008-07-23 2008-07-23 랏셀 편기의 태그장치
AU2008243223A AU2008243223B2 (en) 2008-07-23 2008-11-12 Tagging apparatus for raschel knitting machines and net tagged by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792A KR100900186B1 (ko) 2008-07-23 2008-07-23 랏셀 편기의 태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0186B1 true KR100900186B1 (ko) 2009-06-02

Family

ID=40982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1792A KR100900186B1 (ko) 2008-07-23 2008-07-23 랏셀 편기의 태그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00186B1 (ko)
AU (1) AU2008243223B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606B1 (ko) * 2019-05-21 2019-09-16 (유)이안지오텍 고강도 라셀 편직 그물망 제조 장치
KR102094100B1 (ko) * 2019-03-14 2020-03-26 최윤원 안전 문구가 일체로 편조된 산업안전유도망,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74289B2 (en) * 2011-05-20 2017-02-21 Tama Plastic Industry Netting with elongation indicator and method of determining the elongation of a nett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4118A (ja) * 1987-01-14 1989-04-21 Kuroda Henshiyoku Kk 防護ネ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49864Y1 (ko) 1996-07-12 1999-06-15 박준식 분진망
KR20000018414U (ko) * 1999-03-16 2000-10-16 강백구 건축공사장용 안전보호망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553845A (en) * 2004-09-07 2010-02-26 Tama Plastic Ind Netting material with reflective or luminescent marker
WO2007059345A2 (en) * 2005-11-16 2007-05-24 Plantra, Inc. Horticultural netting with dimensional contro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4118A (ja) * 1987-01-14 1989-04-21 Kuroda Henshiyoku Kk 防護ネ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49864Y1 (ko) 1996-07-12 1999-06-15 박준식 분진망
KR20000018414U (ko) * 1999-03-16 2000-10-16 강백구 건축공사장용 안전보호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100B1 (ko) * 2019-03-14 2020-03-26 최윤원 안전 문구가 일체로 편조된 산업안전유도망,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2021606B1 (ko) * 2019-05-21 2019-09-16 (유)이안지오텍 고강도 라셀 편직 그물망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8243223A1 (en) 2010-02-11
AU2008243223B2 (en) 201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0186B1 (ko) 랏셀 편기의 태그장치
EP2775020B1 (en) Flat knitting machine and knitting method using flat knitting machine
US5671614A (en) Apparel system and a lily yarn machine usable to it
KR20200007956A (ko) 중간 형체가 투사되는 3층 경편포의 직조 공정 및 그 원단
JP6593998B2 (ja) 経編生地の編成方法
EP2843093B1 (en) Warp yarn positive feeding device for knitting machine and knitting machine
KR20160000261U (ko) 라셀편기의 무늬사 가이드장치, 이를 포함한 라셀편기 및 이를 이용하여 편직된 원단
KR101315986B1 (ko) 원단에 장식밴드를 다양한 패턴으로 봉제하는 가공장치의 구동부
ITBS20080115A1 (it) Metodo per la produzione di articoli tessili su macchine per maglieria in catena e macchina per realizzare tale metodo
KR101155205B1 (ko) 색상 무늬 메쉬를 형성하는 직물 편직기
KR101315984B1 (ko) 원단에 장식밴드를 다양한 패턴으로 봉제하는 가공장치
KR101888128B1 (ko) 길리 슈트 제조장치, 길리 슈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길리 슈트
KR101459260B1 (ko) 쟈크를 이용한 덧버선의 밴드부 편직방법과 그 장치
KR101091137B1 (ko) 수세미 편직장치
KR102643019B1 (ko) 광섬유 기반 원단 및 이를 편성하는 라셀 경편기
KR101315989B1 (ko) 원단에 장식밴드를 다양한 패턴으로 봉제하는 가공장치의 공급부
KR101451624B1 (ko) 투톤 색상을 갖는 망사직물 제직장치 및 망사직물지
KR102323158B1 (ko) 의류 제작용 3d 프린터
TR201815251T4 (tr) Havlı kumaş üretimine yönelik yöntem, çözgülü örgü makinesi ve sürgü.
KR101527964B1 (ko) 주름패턴을 갖는 직물의 제직방법과 제직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직물
KR200458996Y1 (ko) 정렬 가이드
KR100994131B1 (ko) 랏셀 편기에서의 망원단 로프체결장치 및 로프를 갖는 망원단
KR101566468B1 (ko) 환편기
Kovar Intelligent yarn delivery systems in weft knitting
KR101574220B1 (ko) 원형 편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