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9864Y1 - 분진망 - Google Patents

분진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9864Y1
KR200149864Y1 KR2019960020661U KR19960020661U KR200149864Y1 KR 200149864 Y1 KR200149864 Y1 KR 200149864Y1 KR 2019960020661 U KR2019960020661 U KR 2019960020661U KR 19960020661 U KR19960020661 U KR 19960020661U KR 200149864 Y1 KR200149864 Y1 KR 2001498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luminous
dust
net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06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8187U (ko
Inventor
박준식
Original Assignee
박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식 filed Critical 박준식
Priority to KR20199600206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9864Y1/ko
Publication of KR9800081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1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98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98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0Open-work fabric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진망에 관한 것으로서, 망체의 외측부에 보강끈을 결합구성하여 설치사용시 쉽게 찢어져 파손됨을 방지하고 또한 소정부위에 야광사를 편직하여 야간에도 공사현장임을 알랄 수 있는 안전표시망으로써의 역할을 하며 또 소정부위에 다른 색상사로 망을 편직하여 주간에도 쉽게 공사현장임을 알릴 수 있음을 물론 미관상 미려함을 줄 수 있는 분진망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분진망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대한 분진망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부 확대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대한 분진망의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대한 분진망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망체 2 : 야광부
3 : 보강끈 4 : 위편사
5 : 경편사 6 : 세망사
본 고안은 분진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망의 외측부에 보강끈을 결속하여 설치 및 사용이 용이하고, 파손을 방지하며, 또 분진망의 일부를 야광사 또는 다른 색상사로 편직하여 쉽게 눈에 띠도록 하므로써 안전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분진망에 관한 것이다.
분진망이라 함은 건물 등을 신축 공사할 때 분진등이 공사장 밖으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이다.
종래의 분진망은 단지 망체로만 이루어진 형태로서, 설치시에는 망체의 외측사이드(Side) 부분을 철사끈 등으로 끼운다음 버팀용 파이프 등에 엮어 고정 설치하였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분진망은 견고성이 부족하여 강풍이 불거나 먼지등이 많이 쌓이면 망체의 엮은 부위가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그리고, 또한 야간에는 어두워서 그물망이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공사현장인지 식별하기가 곤란하여 안전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고, 외관상 보기도 흉하여 도시미관을 해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망체의 외측부에 보강끈을 결합하여 설치사용시 쉽게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소정부위에 야광사를 편직하여 야간에도 공사현장임을 쉽게 알릴 수 있는 안전표시망으로써의 역할을 하며, 또 소정부위에 다른 색상의 망을 편직하여 주간에도 쉽게 공사현장임을 알릴 수 있음은 물론 외관상 미려함을 줄 수 있는 분진망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도시된 제1도 및 제2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망체(1)의 외측부에 소정의 길이(a)만큼 야광사로써 편직하여 야광부(2)를 형성하고, 이 야광부(2)의 중간부분에 보강끈(3)을 결합구성한다.
상기 야광부(2)는 대략 3~5cm 정도의 길이로 하고, 보강끈(3)의 결합수단은 일예로서 제2도에서와 같이 구성한다.
즉, 위편사(4)와 경편사(5)로 이루어지고 경편사(5)사이에 종방향의 세망사(6)로 이루어진 망체(1)에서 상기 경편사(5)와 종방향의 세밍사(6) 사이에 보강끈(3)을 엇갈리게 삽입한다.
이와 같이 하면, 보강끈(3)이 경편사(5)와 세밍사(6)에 교대로 엇갈리게 편직되어 분진망을 앞, 뒤 어느 방향으로 설치하더라도 상기 경편사 또는 세밍사에 의해 견고히 지지된다.
다음, 본 고안의 제2실시예로써 제3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서는 망체(1)의 양측부에 야광부를 형성하지 않고, 단지 보강끈(3)만 상기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결합구성한다.
다음, 본 고안의 제3실시예로서 제4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3실시예에서는 망체(1)의 양측부 또는 어느 일부분에 야광사를 편직하여 야광부(2)만을 형성한다.
다음, 본 고안의 제4실시예로서 상기 제1 및 제3실시예의 야광부 대신 다른 색상사를 편직하여 색상부를 형성한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보강끈(3)을 구성함에 따라 설치 사용할 때 강풍이나 많은 먼지등이 쌓여도 쉽게 찢어져 파손됨을 방지하고, 야광부(2)에 의해 야간에도 공사 현장임을 쉽게 식별할 수 있어 안전표시망의 효과가 있다.
상기, 제2실시예 또한 망체(1)에 야광부는 형성되어 있지 않으나 보강끈(3)을 결합 구성함에 따라 설치 사용시 강풍 등에 의해서도 쉽게 찢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3실시예에서 야광사로서 편직하여 야광부 만을 형성함에 따라 야간에 공사 현장임을 쉽게 알릴 수 있는 안전표시망으로써의 효과가 있다.
상기, 제4실시예는 제1 및 제3실시예와 같이 실시하되 야광부 대신 다른 색상사를 편직하여 색상부를 형성함에 따라 주간에도 쉽게 공사 현장임을 알릴 수 있고, 또 미관상 미려함을 갖게 되어 도시미관에 일조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 본 고안이 구성되는 망체를 분진망의 용도로 사용하고 있음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추락 분진망 등에도 적용시켜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2)

  1. 횡방향의 위편사(4)와 종방향의 경편사(5)가 연결되고, 상기 경편사(5) 사이에 종방향의 세망사(6)로 연결된 망체(1)로 구성되는 분진망에 있어서, 상기 망체(1)의 외측부에 소정의 길이(a) 만큼 야광사를 편직하여 야간식별수단인 야광부(2)를 형성하고, 이 야광부 내에 위치한 경편사(5)와 세밍사(6) 사이에는 보강끈(3)을 엇갈리게 삽입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망체(1)의 외측부에 다른 색상사를 편직하여 주간식별수단인 색상부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망.
KR2019960020661U 1996-07-12 1996-07-12 분진망 KR2001498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0661U KR200149864Y1 (ko) 1996-07-12 1996-07-12 분진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0661U KR200149864Y1 (ko) 1996-07-12 1996-07-12 분진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187U KR980008187U (ko) 1998-04-30
KR200149864Y1 true KR200149864Y1 (ko) 1999-06-15

Family

ID=19461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0661U KR200149864Y1 (ko) 1996-07-12 1996-07-12 분진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9864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186B1 (ko) 2008-07-23 2009-06-02 주식회사 대양 랏셀 편기의 태그장치
KR100994131B1 (ko) 2008-12-02 2010-11-15 박학근 랏셀 편기에서의 망원단 로프체결장치 및 로프를 갖는 망원단
KR102003254B1 (ko) * 2019-03-15 2019-07-24 주식회사 대현 경량 분진망
KR102094100B1 (ko) * 2019-03-14 2020-03-26 최윤원 안전 문구가 일체로 편조된 산업안전유도망,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2118122B1 (ko) * 2019-05-09 2020-06-02 주식회사 대현 경량 분진망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7299A (ko) * 2004-09-04 2004-10-13 장정근 배너기능을 갖는 건설현장용 야광분진망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186B1 (ko) 2008-07-23 2009-06-02 주식회사 대양 랏셀 편기의 태그장치
KR100994131B1 (ko) 2008-12-02 2010-11-15 박학근 랏셀 편기에서의 망원단 로프체결장치 및 로프를 갖는 망원단
KR102094100B1 (ko) * 2019-03-14 2020-03-26 최윤원 안전 문구가 일체로 편조된 산업안전유도망,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2003254B1 (ko) * 2019-03-15 2019-07-24 주식회사 대현 경량 분진망
KR102118122B1 (ko) * 2019-05-09 2020-06-02 주식회사 대현 경량 분진망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187U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1538A (en) Light reflecting safety belt
KR200149864Y1 (ko) 분진망
BR0318564B1 (pt) "tela protetora de arame de dupla torção com malhas hexagonais e estrutura protetora".
TR25496A (tr) Hidrofil tekstil ipligi ile donatilmis izolasyon ve gölgeleme tentesi
DE69906292D1 (de) Papiermachergewebe mit verstärkungsknoten
NO974377L (no) Maskinkledning utstyrt med skjötesöm og spiral til bruk i slik skjötesöm
DK1066425T3 (da) Gitterstruktur
KR100346347B1 (ko) 유리표면등과같은큰표면을차폐하기위한장치및스크린의설치방법
DE59901891D1 (de) Textiles Flächengebilde mit Sollbruch-Linie
ATE294891T1 (de) Papiermaschinenbespannung mit muster
NO863153L (no) Papirmaskinbane og lignende.
US20180106438A1 (en) Illuminating safety net
KR200395028Y1 (ko) 건설용 유도 안전방망
BR0316356A (pt) Tecido com fio flutuante que tem elementos de conexão internos
US20200394943A1 (en) Led-illuminated caution and display devices
PL338014A1 (en) Reinforced knitted fabric structure incorporating metallic monofilaments
KR200176070Y1 (ko) 작업장용 보호막
KR200157210Y1 (ko) 텐트용 야광 길이 조절구
ATE173141T1 (de) Gewebebahn
DE59800747D1 (de) Textilgewebe mit Netzstruktur
KR200149865Y1 (ko) 오이망
KR19980026569U (ko) 인삼밭용 차양망
JP2550106Y2 (ja) 金属製網と合成樹脂製網との連結構造
HUP0202582A2 (en) Cloth bag, fabric for making same and method for making said fabric
JP4227063B2 (ja) ハウス用保護ネ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