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423Y1 - 이격공간을 이루는 더블 편직물 경편장치 - Google Patents

이격공간을 이루는 더블 편직물 경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423Y1
KR200407423Y1 KR2020050032333U KR20050032333U KR200407423Y1 KR 200407423 Y1 KR200407423 Y1 KR 200407423Y1 KR 2020050032333 U KR2020050032333 U KR 2020050032333U KR 20050032333 U KR20050032333 U KR 20050032333U KR 200407423 Y1 KR200407423 Y1 KR 2004074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ar
double
shaft
right guide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23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화
Original Assignee
김재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화 filed Critical 김재화
Priority to KR20200500323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4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4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4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3/00Flat warp knitting machines
    • D04B23/02Flat warp knitting machines with two sets of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06Needle bars; Sinker ba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10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27/24Thread guide bar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6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arp knitt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격공간을 이루는 더블 편직물 경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편직물 직조용 부품에 무리가 가지 않는 가운데 중간 가이드바와 좌,우 가이드바가 각기 개별적으로 유동되어질 수 있도록 개별 장착구조를 제공함으로서 편직물간 이격거리를 10mm 이상으로 최대 500mm까지도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구동축(10)으로 부터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동되는 각각의 좌,우측 회동축(26,36)에 고정되어 좌우 회동이 이루어지며, 하부에는 섬유사(2',3')가 공급되는 가이드(24,34)가 장착된 좌,우 가이드바(20,30)와, 상기 좌,우 가이드바(20,30) 각각의 하부에서 승강 동작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가이드(24,34)와의 교차 동작을 통해 양면 편직물(2,3)을 직조하기 위한 편침(14)이 구비된 편침 승강대(13)와, 상기 좌,우 가이드바(20,30) 사이에서 연결용 파일사(4)를 공급하기 위한 가이드(44)가 장착되되, 구동축(10)으로 제3피동축(41)을 경유하는 동력을 전달받아 회동되는 중앙 회동축(46)상에 고정 설치되어 왕복 구동이 이루어지는 중간 가이드바(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면, 편직, 더블, 직조, 이격

Description

이격공간을 이루는 더블 편직물 경편장치{DOUBLE KNITTING MACHINE FOR SPACE}
도 1은 본 고안 더블 편직물 경편장치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경편장치의 측면 상세도.
도 3은 본 고안 가이드바의 유동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 가이드바의 또 다른 유동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 경편장치에 의해 직조된 편직물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5a는 편직물간 최소 간격시 상태도.
5b는 편직물간 최대 간격시 상태도.
도 6은 종래 일반적인 에어매트 단면 구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구동모터 2,3 : 편직물
4 : 연결용 파일사 10 : 구동축
11 : 편심캠 12 : 캠틀
13 : 편침 승강대 14 : 편침
20,30 : 좌,우 가이드바 21,31 : 피동축
22,32 : 편심휠 23,33 : 수직로드
24,34 : 가이드 25,35 : 연결대
26,36 : 회동축 29,39 : 회동간
40 : 중간 가이드바 41 : 제3피동축
42 : 체인스프로켓 43 : 회전로울러
44 : 가이드 45 : 연결로드
46 : 중앙 회동축 49 : 회동간
본 고안은 편직물 경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면 형태의 더블 편직물을 직조함에 있어 내부 이격공간을 연결하는 파일사의 직조 주기를 선택적으로 감소시킴으로서 장치 구동에 있어 부품에 무리가 가지 않는 가운데 용이하게 직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각종 에어매트는 각각 별도로 경편기에 의해 직조된 2개의 직물을 내부와 외부에 각각 코팅처리를 한 후 이를 포개어 양면을 형성하여 고주파 접착 등의 과정을 통해 일정한 형태로 융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에어매트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균일한 두께의 확보 및 내부에 충진된 공기압력의 수용을 위해 양면의 직물(101,102)을 연결하는 연결부재(103)를 에어매트의 내부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융착하여 사용하였다.
한편, 종래의 양편형 편직장치에서는 상기의 연결부재(103)인 파일사를 직조 하기 위한 구성인 중간 가이드바가 양면의 직물(101,102)인 섬유사를 직조하기 위한 구성인 좌,우 가이드바 와 1:1의 비율로 구성되어 상호간에 회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편직장치는 양면 편직물간 간격이 10mm 이하의 직물 생산에만 사용이 가능하였으며, 편직물간 간격을 10mm 이상으로 직조하는 경우에는 중간 가이드바의 회동 주기를 상대적으로 증가시켜야 하기 때문에 RPM 상승에 따른 부품 구동에 있어 무리가 발생되어지게 되어 일정 간격 이상으로는 재직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좌,우 가이드바와 중간 가이드바가 동일 주기로 구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연결부재인 파일사의 사용량이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한 원단의 무게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편직물의 재직이 이루어지는 중간 가이드바와 양측의 좌,우 가이드바 간 독립적인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경편장치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10mm 이상의 넓은 간격으로 양면 편직물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게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중간 가이드바의 구동 속도를 감소시킴으로서 연결용 파일사의 사용량을 저감시키고, 이로 인한 원단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변속 회동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상에 설치된 편심캠과, 상기 편심캠과 연계 작동하는 캠틀에 의해 승하강이 이루어지며 상부에는 각각 편침이 정렬 구비된 좌,우 편침 승강대와,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각각 회동력을 전달받는 제1,제2 피동축과, 상기 각 피동축상에 설치된 제1,제2 편심휠과, 상기 각 편심휠로 부터 수직로드를 통해 승강 유동력을 전달받아 회동이 이루어지며 하부에는 양면 편직물 직조용 가이드가 장착된 좌,우 가이드바와, 상기 좌,우 가이드바 사이에서 연결용 파일사를 공급하기 위한 왕복 구동이 이루어지는 중간 가이드바를 포함하는 더블 편직물 경편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일사를 공급하는 중간 가이드바는 구동축으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상부의 중앙 회동축상에 설치되어 회동축을 중심으로 왕복 회동이 이루어지며; 상기 양측의 편직물을 직조하는 좌,우 가이드바는 개별적인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각각 좌,우측 회동축에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격공간을 이루는 더블 편직물 경편장치를 통해 이룰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 경편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동력원인 구동모터(1)와, 구동모터(1)로 부터 체인(9)를 통해 일측에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축(10)과, 구동축(10)상에 설치된 편심캠(11)과, 상기 편심캠(11)과 연계 작동하는 꺽임쇠 형태의 캠틀(12)과, 상기 캠틀(12)의 유동 중심을 이루는 지지축(12a)과, 캠틀(12)의 하단에 돌출 구비되어 편심캠(11)에 의해 유동력을 전달받는 작동구 (12b)와, 캠틀(12)의 상단에 연결된 수직봉(15)과, 상기 수직봉(15)에 의해 승하강이 이루어지며 상부에는 각각 편침(14)이 정렬 구비된 좌,우 편침 승강대(13)가 연결 설치되었다.
그리고, 상부에는 양면 편직물(2,3)의 직조를 위해 2개가 쌍을 이루고 있는 좌,우 가이드바(20,30)가 구성되었으며, 좌,우 가이드바(20,30) 사이에는 파일사(4) 연결을 위한 중간 가이드바(40)가 구성되었다.
상기 좌,우 가이드바(20,30)는 각각 회동이 가능한 회동간(29,39)에 의해 좌,우측 회동축(26,36)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져 있으며, 좌,우측 회동축(26,36)은 수직로드(23,33)와 힌지(25a,35a) 연결된 연결대(25,35)와 결합 구성되었고, 수직로드(23,33)는 하단이 제1,제2 편심휠(22,32)에 연결되었으며, 각각의 편심휠(22,32)은 구동축(10)으로부터 상호 체인 연결된 체인스프로켓(21a,10a,21b,31a)을 통해 회동력을 전달받는 제1,제2 피동축(21,31)이 각각 축설되었다.
또한, 중간 가이드바(40)는 구동축(10)으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동되는 중앙 회동축(46)상에 회동간(49)과 함께 설치되어 왕복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었는데, 회동간(49)은 연결로드(45)의 일단이 상부에 연결 구성되어 좌우 유동력을 전달받되, 상기 연결로드(45)의 타단은 제3피동축(41)으로 부터 체인(42a)으로 연결되어 회전 동작되는 회전 로울러(43)상에 편심 연결되었으며, 제3피동축(41)에는 구동축(10)으로 부터 회동력 전달을 위해 체인(41a) 연결되어진 체인스프로켓(42)이 장착되었다. 회동간(49)의 회동간격은 회전 로울러(43)의 크기에 의해 조절 가능하다.
즉, 본 고안의 직조를 위한 동작부 구조는 도 2에서와 같이 공급되는 직물사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24,34)를 하단에 구비한 좌,우 가이드바(20,30)가 각각 하부에서 편침(14)을 구비하고 있는 편침 승강대(13)와 한조를 이룸으로서 양측의 양면 편직물(2,3)을 제작하게 되고, 중간 가이드바(40)가 중앙 회동축(46)을 축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동되어지면서 가이드(44)에 의해 양면 편직물(2,3)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연결할 연결용 파일사(4)를 직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43a 및 45a는 부재간 회동이 자유롭도록 연결된 연결핀이고, 43b는 지지축을 각각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고안 경편장치의 보다 구체적인 동작에 따른 작용효과를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각 가이드바(20,30,40)의 하부에 일렬로 배열된 가이드(24,34,44)에 상부로 부터 공급되는 섬유사(2',3') 및 파일사(4)를 끼워넣고 구동모터(1)에 전원을 인가하면, 동력을 전달받아 회동되는 구동축(10)상에 설치된 편심캠(11)은 캠틀(12)의 작동구(12b)를 자체형상에 따라 반복적으로 밀어주게 됨으로 캠틀(12)이 지지축(12a)을 축으로 회전 동작되고, 이에 따라 연결된 수직봉(15)이 수직방향으로 유동 됨으로 좌,우 편침 승강대(13)가 상하로 승강 구동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섬유사(2',3')가 공급되는 좌,우 가이드바(20,30)는 회동간(29,39)에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축(26,36)의 정/역 반복회전 구동에 따라 좌 우로 왕복 유동하게 된다.
즉, 구동축(10)과 체인을 통해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은 피동축(21,31)이 구동되면, 이에 각각의 편심휠(22,32)이 축을 중심으로 편심 회동되어지고, 이에 따라 편심휠(22,32)을 감싸는 베어링(부호 미표시)과 연결된 수직로드(23,33)가 수직방향으로 승강 동작되어짐에 따라 힌지(25a,35a)로 연결된 연결대(25,35)가 회동축(26,36)을 중심으로 유동되면서 회동축(26,36)을 소정 범위내에서 정/역 회동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섬유사(2',3')를 물고 있는 좌,우 가이드바(20,30)가 상호 엇갈린 상태로 좌우 1회 왕복 유동할때 편침 승강대(13)도 상하로 1회 승강 구동되는 동작이 상호 교차하는 형태로 연속동작으로 이루어짐에 의해 좌,우 양면의 편직물(2,3)의 직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양면의 편직물(2,3)이 직조되는 과정에서 중간 가이드바(40)가 좌,우로 왕복 회동되면서 가이드(44)에 공급되는 파일사(4)가 이들 양면 편직물(2,3)을 상호 연결하게 된다.
즉, 이때에는 구동축(10)으로 부터 체인(41a)을 통해 회동력을 전달받은 제3피동축(41)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로울러(43)가 체인(42a)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회전로울러(43)에 일단이 편심 연결된 연결로드(45)가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어짐에 의해 연결로드(45)의 타단에 연결된 회동간(49)이 역시 좌우로 회동되어짐으로서 중간 가이드바(40)가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왕복 회동되면서 파일사(4)의 직조 연결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이와 같은 본 고안 장치의 동작에 의해 내부 간격이 연결용 파일사(4)에 의해 연결되어진 양면 편직물(2,3)의 직조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그중 도 5a는 편직물(2,3)간 간격이 약 10mm인 경우 연결용 파일사(4)의 직조 주기가 비교적 작은 간격(d)을 이루게 되나, 도 5b에서와 같이 편직물(2,3)간 간격이 최대 약 500mm를 이루는 경우에도 중간 가이드바(40)의 회전수는 높아지지 않고 항상 일정하게 구동시킴으로 상대적으로 연결용 파일사(4)의 직조 주기는 증가된 간격(D)을 이루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편직물간 간격이 증가함에 따라 중간 가이드바의 회동력이 함께 증가되어야 함으로 인해 구동 부품에 무리가 가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고안의 중간 가이드바(40)는 좌,우 가이드바(20,30)와 별도로 구동력이 전달되어짐으로 양면 편직물(2,3)간 간격에 관계 없이 항상 안정적인 동일 회전수로 동작이 이루어져 구동에 무리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연결용 파일사(4)의 사용량이 상대적으로 감소되어 제조 원가를 절감시킴과 함께, 완성된 원단의 무게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중간 가이드바와 좌,우 가이드바가 각기 개별적으로 유동되어질 수 있도록 개별 회동축 장착구조를 제공함으로서 편직물간 이격거리를 10mm 이상으로 최대 500mm 까지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중간 가이드바의 회동 주기를 좌,우 가이드바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느린 회전수로 동작되어질 수 있도록(좌,우 가이드바가 1번 내지 10번 동작되는 동안 중간 가이드바는 1번만 왕복 동작되도록) 함으로서 편직물간 이격거리가 증가하더라도 항상 동일한 RPM으로 구동축의 회동이 이루어져 부품에 무리가 발생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하여 연결용 파일사의 사용량이 절감되어 원단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구동축(10)으로 부터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동되는 각각의 좌,우측 회동축(26,36)에 고정되어 좌우 회동이 이루어지며, 하부에는 섬유사(2',3')가 공급되는 가이드(24,34)가 장착된 좌,우 가이드바(20,30)와;
    상기 좌,우 가이드바(20,30) 각각의 하부에서 승강 동작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가이드(24,34)와의 교차 동작을 통해 양면 편직물(2,3)을 직조하기 위한 편침(14)이 구비된 편침 승강대(13)와;
    상기 좌,우 가이드바(20,30) 사이에서 연결용 파일사(4)를 공급하기 위한 가이드(44)가 장착되되, 구동축(10)으로 제3피동축(41)을 경유하는 동력을 전달받아 회동되는 중앙 회동축(46)상에 고정 설치되어 왕복 구동이 이루어지는 중간 가이드바(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격공간을 이루는 더블 편직물 경편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 가이드바(40)가 하부에 고정 설치된 중앙 회동축(46)은 연결로드(45)의 일단이 상부에 연결 구성되어 좌우 유동력을 전달받되, 상기 연결로드(45)의 타단은 제3피동축(41)으로 부터 체인(42a)으로 연결되어 회전 동작되는 회전 로울러(43)상에 편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격공간을 이루는 더블 편직물 경편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구동축(10)상에 설치된 편심캠(11)과, 상기 편심캠(11)과 연계 작동하는 캠틀(12)에 의해 승하강이 이루어지며 상부에는 각각 편침(14)이 정렬 구비된 좌,우 편침 승강대(13)와, 상기 구동축(10)으로부터 회동력을 전달받는 제1,제2 피동축(21,31)과, 상기 각 피동축(21,31)상에 설치된 제1,제2 편심휠(22,32)과, 상기 각 편심휠(22,32)에 하단이 연결되어 승강 유동이 이루어지는 수직로드(23,33)와, 상기 수직로드(23,33)의 상단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회동축(26,36)에 고정된 연결대(25,35)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편직물 경편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간 가이드바(40)는 좌,우 가이드바(20,30)가 2~10번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1번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편직물 경편장치.
KR2020050032333U 2005-11-15 2005-11-15 이격공간을 이루는 더블 편직물 경편장치 KR2004074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333U KR200407423Y1 (ko) 2005-11-15 2005-11-15 이격공간을 이루는 더블 편직물 경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333U KR200407423Y1 (ko) 2005-11-15 2005-11-15 이격공간을 이루는 더블 편직물 경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423Y1 true KR200407423Y1 (ko) 2006-01-31

Family

ID=49296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333U KR200407423Y1 (ko) 2005-11-15 2005-11-15 이격공간을 이루는 더블 편직물 경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742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983B1 (ko) 2008-11-18 2009-01-14 박종규 녹화용 씨줄네트 및 그 제조장치
KR101004905B1 (ko) 2010-02-01 2010-12-28 하문석 랏셀낙하판용 가이드바 고정장치
KR101029819B1 (ko) 2009-03-30 2011-04-15 주식회사 경인 더블 라셀 머신
KR101363228B1 (ko) * 2013-10-28 2014-02-12 김경하 공간직물 제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983B1 (ko) 2008-11-18 2009-01-14 박종규 녹화용 씨줄네트 및 그 제조장치
KR101029819B1 (ko) 2009-03-30 2011-04-15 주식회사 경인 더블 라셀 머신
KR101004905B1 (ko) 2010-02-01 2010-12-28 하문석 랏셀낙하판용 가이드바 고정장치
KR101363228B1 (ko) * 2013-10-28 2014-02-12 김경하 공간직물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7423Y1 (ko) 이격공간을 이루는 더블 편직물 경편장치
CN101509173B (zh) 织品下拉装置
KR20060048017A (ko) 더블 라셸기의 트릭 플레이트간 및 바닥실용 바디간의 간격변경 장치
CN104593926B (zh) 一种提花机
JP5080113B2 (ja) 直線編機
KR100338527B1 (ko) 원형자수기
CN104562358B (zh) 一种提花面料的传动设备
CN201265080Y (zh) 横机中的针织物牵拉装置的开关机构
KR101021579B1 (ko) 이중경편기의 인터레이싱 간격 조절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이중경편직물
CN112301528B (zh) 一种平行导轨智跑横机
KR101029819B1 (ko) 더블 라셀 머신
TWI660086B (zh) 裁縫機
JP2010059596A (ja) 編物の編成方法と経編機
KR101226503B1 (ko) 산업용 격자 구조물의 제직장치
CN214422878U (zh) 一种多针压脚绣花机机头及绣花机
CN107881655A (zh) 一种步进控制花边机
KR200280245Y1 (ko) 양면 편직물지 직조용 편직기
KR101315986B1 (ko) 원단에 장식밴드를 다양한 패턴으로 봉제하는 가공장치의 구동부
CN105442176B (zh) 一种双针床经编机提花装置
CN213447487U (zh) 一种纬纱提花龙头
KR200202305Y1 (ko)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직물지 직조용 양면경편기
CN104963080B (zh) 一种经编机的缺压机构
KR100555775B1 (ko) 다양한 고리형태의 문양패턴을 구현하기 위한 편물사편직방법 및 편직기
KR960003481Y1 (ko)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편직물지 직조용 양면경편기
CN217948425U (zh) 电脑横机牵拉耙总成的开合升降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