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9819B1 - 더블 라셀 머신 - Google Patents

더블 라셀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9819B1
KR101029819B1 KR1020090026998A KR20090026998A KR101029819B1 KR 101029819 B1 KR101029819 B1 KR 101029819B1 KR 1020090026998 A KR1020090026998 A KR 1020090026998A KR 20090026998 A KR20090026998 A KR 20090026998A KR 101029819 B1 KR101029819 B1 KR 101029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ar
cam
double
raschel machine
eccen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6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8790A (ko
Inventor
황영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인
Priority to KR1020090026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9819B1/ko
Publication of KR20100108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8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9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9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3/00Flat warp knitting machines
    • D04B23/08Flat warp knitting machines with provision for incorporating pile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3/00Flat warp knitting machines
    • D04B23/02Flat warp knitting machines with two sets of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10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27/24Thread guide bar assemblies
    • D04B27/26Shogging device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10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 D04B35/14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responsive to thread breakag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10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 D04B35/18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responsive to breakage, misplacement, or malfunctioning of knitting instru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6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arp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9/00Knitting processes, apparatus or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블 라셀 머신에 관한 것으로,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체인을 통해 일측에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 상에 설치된 편심캠과, 상기 편심캠과 연계 작동하는 꺽임쇠 형태의 캠틀과, 상기 캠틀의 상단에 연결된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수직봉의 승하강 운동에 의해 승하강하도록 이루어지며, 일측에 편침이 구비된 편침 승강대와, 상기 구동축과 복수 개의 체인 및 스프로켓을 통해서 연결된 회전 로울러와, 상기 회전 로울러의 측부에 설치된 타원형 모양의 캠과, 그 일단이 상기 캠의 외주의 홈을 따라 회전하도록 베어링 결합된 연결 로드와, 상기 연결로드의 타단에 그 상부가 연결되어 좌우 유동력을 전달받는 회동간과,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양면 편직물의 직조를 위해 2개가 쌍을 이루고 있으며, 각각 제 1 경사 및 제 2 경사를 공급하는 제 1 가이드바 및 제 2 가이드바와, 상기 제 1 가이드바 및 상기 제 2 가이드바의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회동간과 결합된 중앙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파일사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가 하단에 구비된 중간 가이드바를 포함한다.
더블 라셀 머신, 이중 공간지

Description

더블 라셀 머신{DOUBLE RASCHEL MACHINE}
본 발명은 이중 공간지를 직조하는 더블 라셀 머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더블 라셀 머신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간단한 부재, 즉 타원형 캠의 부가 및 파일사 공급 속도보다 약간 느린 피딩 롤러를 추가함으로써, 간단하게 직물 표면이 깔끔하게 나오는, 즉 표면이 울퉁불통해지는 등의 품질 불량이 없으며, 중간 가이드바의 가이드 말단에 존재하는 얇은 튜브 가이드가 찢어지는 경우가 없는 더블 라셀 머신에 관한 것이다.
더블 라셀 머신은 전면과 후면 및 상기 전면과 후면을 상호 연결하여 편성되는 첨모 조직으로 3차원 합포 조직의 편물지를 편직하는 것으로서, 가이드 바의 스윙(swing) 동작 및 래핑(lapping) 동작에 의하여 전, 후 경사 및 파일사를 편직기의 길이 방향으로 공급함으로써 편침이 구비된 편침 승강대의 승하강 운동과 상호 교호적으로 작용하여 이중 공간지를 직조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더블 라셀 머신에는 직조를 위해 편침이 구비된 편침 승강대가 승하강 운동하도록 구동하는 더블 라셀 머신용 승강장치가 구비되어 있는데, 종래의 더블 라셀 머신용 승강장치에는 편심캠이 구비되어 상기 편심캠의 동작에 의해 수 직봉을 상하 운동시키고, 상기 수직봉에 연결 설치된 편침 승강대를 승하강 운동시키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2b를 참고하여 종래 더블 라셀 머신 및 더블 라셀 머신용 승강 장치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방식의 더블 라셀 머신용 승강장치의 개략적인 형태를 나타낸 개략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더블 라셀 머신용 승강장치의 편심캠의 동작에 의해 수직봉이 승하강하는 과정을 나타낸 측면 사용상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더블 라셀 머신용 승강장치(10)는 동력원인 구동모터(11)와, 구동모터(11)로부터 체인(11a)를 통해 일측에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축(12)과, 구동축(12) 상에 설치된 편심캠(14)과, 상기 편심캠(14)과 연계 작동하는 꺽임쇠 형태의 캠틀(13)과, 캠틀(12)의 상단에 연결된 수직봉(15)과, 상기 수직봉(15)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수직봉(15)의 승하강 운동에 의해 승하강 운동하도록 구비된 편침 승강대(16)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캠틀(13)은 유동 중심을 이루는 지지축(13a)과, 캠틀(13)의 하단에 돌출 구비되어 편심캠(14)에 의해 유동력을 전달받는 작동구(13b)를 구비하고, 상기 편침 승강대(16)는 각각 편침(17)이 정렬 구비된 좌,우 편침 승강대(16)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은 더블 라셀 머신용 승강장치(10)가 구비된 더블 라셀 머신(1)은 상부에 양면 편직물의 직조를 위해 2개가 쌍을 이루고 있으며, 각각 제 1 경사(2a) 및 제 2 경사(3a)를 공급하는 제1가이드바(20) 및 제2가이드바(30)과, 상 기 제1가이드바(20) 및 제2가이드바(30)의 사이에 마련되어 파일사를 연결하는 중간 가이드바(40)가 구비된다.
즉, 상기 더블 라셀 머신(1)은 상기 제1가이드바(20), 제2가이드바(30) 및 중간 가이드바(40)가 스윙동작 및 래핑동작을 수행할 때, 편침(17)이 구비된 좌, 우 편침 승강대(16)가 승하강 운동함으로써 이중 공간지를 직조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도 2a 및 도 2b를 참고하여 종래 더블 라셀 머신용 승강장치(10)의 캠 동작에 의한 좌, 우 편침 승강대(16)의 승하강 운동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 및 도 2b를 참고하면, 상기 제1가이드바(20), 제2가이드바(30) 및 중간 가이드바(40) 각각의 하부에 일렬로 배열된 가이드(24,34,44)에 상부로부터 공급되는 제 1 경사 및 제 2 경사(2a,3a) 및 파일사(4)를 끼워넣고 구동모터(11)에 전원을 인가하면, 동력을 전달받아 회동되는 구동축(12)상에 설치된 편심캠(14)은 캠틀(13)의 작동구(13b)를 자체 형상에 따라 반복적으로 밀어주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캠틀(13)이 지지축(13a)을 축으로 회전 동작됨으로써 상기 캠틀(13)의 상단에 연결된 수직봉(15)이 수직방향으로 유동됨으로써 좌,우 편침 승강대(16)가 상하로 승강 구동된다.
즉, 도 2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편심캠(14)이 상기 작동구(13b)를 밀기 전에는 상기 좌,우 편침 승강대(16)가 승강한 상태를 구성하며, 도 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편심캠(14)이 상기 작동구(13b)를 자체 형상에 따라 밀어내어 상기 지지축(13a)을 따라 상기 편심캠(14)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캠틀(13)이 회동되는 경우 상기 캠틀(13)의 상단에 연결된 수직봉(15)도 일정한 거리만큼 하강 되므로 상기 좌,우 편침 승강대(16)의 하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종래 더블 라셀 머신용 승강장치(10)는 편심캠(14)의 동작에 의해 상기 지지축(13a)을 따라 상기 캠틀(13)이 반복적으로 회동함으로써 좌,우 편침 승강대(16)의 승하강 운동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더블 라셀 머신용 승강장치(10)의 경우, 위에서 설명한 편심캠(14)의 동작에 의해서, 1번 피크(peak)에서는 상기 제1가이드바(20), 제2가이드바(30) 및 중간 가이드바(40) 각각의 하부에 일렬로 배열된 가이드(24,34,44)에 상부로부터 공급되는 경사(2a,3a) 및 파일사(4)가 좌측 편침(17)으로 들어가게 되며, 2번 피크에서는, 우측 편침(17)으로 들어가게 되지만, 3번, 4번, 5번, 6번 피크에서는 파일사가 들어가지 않고 공타(空打)를 치게 된다.
참고로, 1번, 2번 피크에서 파일사가 들어가고, 3번, 4번, 5번, 6번 피크에서 파일사가 들어가지 않는 것은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예를 들어, 1번, 2번 피크에서 파일사가 들어가고, 3번, 4번 피크에서 파일사가 들어가지 않을 수 있다. 1번, 3번 피크에 파일사가 들아가고, 2번, 4번 피크에서는 파일사가 들어가지 않고 공타를 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 경우 공타를 치는 동안에는 파일사를 팽팽하게 당기는 장력이 가해지지 않아서, 실이 처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결과적으로 직물 표면이 깔끔하게 나오지 않고 울퉁불퉁해지는 등의 품질 불량의 한 가지 원인이 되었다.
또한, 이 경우, 콘(cone) 형상 위에 감겨져 있던 파일사가 계속적으로 당겨지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중간 가이드바(40)의 가이드(44)의 말단에 있는 얇은 튜 브 가이드(tube guide)(미도시)가 찢어지는 경우가 다량으로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기존의 더블 라셀 머신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간단한 부재, 즉 타원형 캠의 추가 및 중간 가이드바의 속도보다 약간 느린 파일사의 피딩 롤러를 추가함으로써, 직물 표면이 깔끔하게 나오는, 즉 표면이 울퉁불통해지는 등의 품질 불량이 없는 더블 라셀 머신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중간 가이드바의 가이드 말단에 존재하는 얇은 튜브 가이드가 찢어지는 경우가 없는 더블 라셀 머신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더블 라셀 머신은,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체인을 통해 일측에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 상에 설치된 편심캠과, 상기 편심캠과 연계 작동하는 꺽임쇠 형태의 캠틀과, 상기 캠틀의 상단에 연결된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수직봉의 승하강 운동에 의해 승하강하도록 이루어지며, 일측에 편침이 구비된 편침 승강대와, 상기 구동축과 복수 개의 체인 및 스프로켓을 통해서 연결된 회전 로울러와, 상기 회전 로울러의 측부에 설치된 타원형 모양의 캠과, 그 일단이 상기 캠의 외주의 홈을 따라 회전하도록 베어링 결합된 연결 로드와, 상기 연결로드의 타단에 그 상부가 연결되어 좌우 유동력을 전달받는 회동간과, 상기 구동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양면 편직물의 직조를 위해 2개가 쌍을 이루고 있으며, 각각 제 1 경사 및 제 2 경사를 공급하는 제 1 가이드바 및 제 2 가이드바와, 상기 제 1 가이드바 및 상기 제 2 가이드바의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회동간과 결합된 중앙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파일사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가 하단에 구비된 중간 가이드바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캠은 그 중심이 편심되어 있으면서, 편심된 쪽의 일단은 움푹 들어간 형태이며, 편심되지 않은 쪽의 타단은 길어 늘여진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콘(cone) 형상 위에 감겨져 있던 상기 파일사가 상기 중간 가이드바의 가이드에 공급될 때, 상기 중간 가이드바의 동작 속도보다 약간 느리게 상기 파일사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피딩 롤러(feeding roller)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더블 라셀 머신에 따르면, 기존에 종래 기술에서는, 1번 피크(peak)에서 좌측 편침(17)에 파일사가 들어가고, 2번 피크에서 우측 편침(17)으로 파일사가 들어가지만, 3번, 4번, 5번, 6번 피크에서는 파일사가 들어가지 않고 공타(空打)를 치게 되는데, 이 경우 공타를 치는 동안에는 파일사를 팽팽하게 당기는 장력이 가해지지 않아서, 실이 처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결과적으로 직물 표면이 깔끔하게 나오지 않고 울퉁불퉁해지는 등의 품질 불량의 한 가지 원인이 되었지만, 후술할 도 4에 도시된 캠(500)을 이용할 경우, 정확한 타이밍 을 잡으면서도, 즉 도 4에 도시된 캠(500)의 외주를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캠의 외주를 따른 홈과 베어링 결합된 연결로드가 1번 피크의 경우, 연결로드(450)가 도 4의 540 부위 혹은 530 부위의 홈에 있으며, 4번 피크의 경우, 반대편의 홈에 있게 되며, 이 때 제 1 경사 및 제 2 경사(2a, 3a)와 파일사(4)가 들어가게 되며, 그 사이인 2번, 3번 피크와 5번, 6번 피크의 경우, 파일사(4)는 들어가지 않고, 제 1 경사 및 제 2 경사(2a, 3a)만 들어가는 구성이다. 즉, 2번, 3번, 5번, 6번 피크에서는, 종래와 달리 필요없이 공타를 칠 필요 없이, 캠(500)의 타원형을 천천히 돌면 되며, 이와 같이 캠(500)의 타원형을 천천히 도는 동안, 파일사(4)에 장력을 계속적으로 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되어서, 그 결과 제품 제조 상의 트러블이 현저히 줄어들 뿐만 아니라 직물 표면을 깔끔하게 만들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더블 라셀 머신용 승강장치의 개략적인 형태를 나타낸 개략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더블 라셀 머신에 사용되는 캠(500)의 모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 라셀 머신용 승강장치(100)의 동작에 의해 편침 승강대(150)는 승하강 운동을 하도록 구비되고, 제1가이드바(200) 및 제2가이드바(300)는 각각 회동축(260,360)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간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회동축(260,360)은 수직로드(230,330)와 힌지(251,351) 연결된 연결로드(250,350)와 결합 구성되고, 상기 수직로드(230,330)의 하단은 제1편심휠(220) 및 제2편심휠(320)에 각각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편심휠(220) 및 제2편심휠(320)은 상기 구동축(120)으로부터 상호 체인 연결된 체인 스프로켓(211,121,213,311)을 통해 회동력을 전달받는 제1피동축(210) 및 제2피동축(310)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중간 가이드바는 구동축(12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동되는 중앙 회동축(460)의 하측으로 연결 장착되고, 상기 회동축(460)의 상측으로는 회동간(490)이 장착되어 상기 중간 가이드바의 왕복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동간(490)의 상부에는 연결로드(450)의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회동간(490)에 좌우 유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결로드(450)의 타단은 제3피동축(410)으로부터 체인(421)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 로울러(430) 상에 설치된 캠(500)의 외주에 형성된 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베어링 결합 되어 구성되며, 제3피동축(410)에는 구동축(120)으로부터 회동력의 전달을 위해 체인(411) 연결된 체인 스프로켓(420)이 장착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500)은 그 중심(510)이 편심되어 있으면서, 편심된 쪽의 일단(520)은 움푹 들어간 형태이며, 편심되지 않은 쪽의 타단(530)은 길어 늘여진 형태를 띠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상기 회동간(490)의 회동간격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타원형 모양의 캠(500)에 따라 좌우되는 것이다. 즉, 다시 말해, 대략 타원형 모양의 캠(500)을 상기 회전 로울러(430)의 측면에 설치하고, 연결로드(450)를 그 캠의 외주를 따라 회전하도록 베어링 결합시킴으로써, 경사(2a, 3a) 및 파일사(4)가 편침(151)에 상호 교호적으로 공급될 때 타이밍을 잡아주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시 말해, 기존에 종래 기술에서는, 1번 피크(peak)에서 편침(151)의 좌측에 파일사가 들어가고, 2번 피크에서 편침(151)의 우측으로 파일사가 들어가지만, 3번, 4번, 5번, 6번 피크에서는 파일사가 들어가지 않고 공타(空打)를 치게 되는데, 이 경우 공타를 치는 동안에는 파일사를 팽팽하게 당기는 장력이 가해지지 않아서, 실이 처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결과적으로 직물 표면이 깔끔하게 나오지 않고 울퉁불퉁해지는 등의 품질 불량의 한 가지 원인이 되었다.
하지만, 도 4에 도시된 캠(500)을 이용할 경우, 정확한 타이밍을 잡으면서도, 즉 도 4에 도시된 캠(500)의 외주를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캠(500)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홈과 베어링 결합된 연결로드(450)가 도 4의 540 부위 혹은 530 부위에 있는 경우가 1번 피크가 되어서, 이때 경사(2a 및 3a) 및 파일사(4)가 좌측 편 침(151)에 들어가고, 캠(500)의 타원형을 천천히 도는 동안에 파일사(4)에 장력을 계속적으로 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되어서, 그 결과 제품 제조 상의 트러블이 현저히 줄어들 뿐만 아니라 직물 표면을 깔끔하게 만들 수 있으며, 또한, 캠(500)의 타원형을 천천히 도는 동안, 2번 피크, 3번 피크에서는 경사(2a 및 3a)만 들어가게 된다.
또한, 연결로드(450)가 도 4의 530 부위 혹은 540 부위에 있는 경우가 4번 피크가 되어서, 경사(2a 및 3a) 및 파일사(4)가 우측 편침(151)로 들어가고, 그 뒤 캠(500)의 타원형을 천천히 도는 동안에 마찬가지로 파일사(4)에 장력을 계속적으로 가할 수 있게 되는 동안에, 5번 피크, 6번 피크에서는 경사(2a 및 3a)만 들어가게 되며, 파일사(4)는 들어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과 같이 필요없이 공타를 치는 경우를 막을 수 있어서, 캠(500)의 타원형을 천천히 도는 동안에 파일사(4)에 장력을 계속적으로 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되며, 그 결과 제품 제조 상의 트러블이 현저히 줄어들 뿐만 아니라 직물 표면을 깔끔하게 만들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이 경우, 콘(cone)(미도시) 형상 위에 감겨져 있던 파일사(4)가 중간 가이드바의 가이드에 공급될 때, 상기 중간 가이드바의 동작 속도보다 약간 느리게 파일사(4)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피딩 롤러(feeding roller)(미도시)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중간 가이드바의 동작 속도보다 약간 느리게라는 것은, 중간 가이드바의 동작 속도보다 피딩 롤러가 대략 3% 내지 10% 느린 것을 말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방식의 더블 라셀 머신용 승강장치의 개략적인 형태를 나타낸 개략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더블 라셀 머신용 승강장치의 편심캠의 동작에 의해 수직봉이 승하강하는 과정을 나타낸 측면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더블 라셀 머신용 승강장치의 개략적인 형태를 나타낸 개략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더블 라셀 머신에 사용되는 캠(500)의 모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구동모터
111 체인
120 구동축
140 수직봉
150 편침 승강대
151 편침
200 제 1 가이드바
211, 121, 213, 311 스프로켓
210 제 1 피동축
220, 320 제 1편심휠, 제 2 편심휠
260, 360 회동축
230, 330 수직로드
250, 350 연결로드
251, 351 힌지
300 제 2 가이드바
310 제 2 피동축
410 제 3 피동축
411 체인
420 체인 스프로켓
421 체인
430 회전 로울러
450 연결로드
490 회동간
500 타원형 캠

Claims (3)

  1.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체인을 통해 일측에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 상에 설치된 편심캠과,
    상기 편심캠과 연계 작동하는 꺽임쇠 형태의 캠틀과,
    상기 캠틀의 상단에 연결된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수직봉의 승하강 운동에 의해 승하강하도록 이루어지며, 일측에 편침이 구비된 편침 승강대와,
    상기 구동축과 복수 개의 체인 및 스프로켓을 통해서 연결된 회전 로울러와,
    상기 회전 로울러의 측부에 설치된 타원형 모양의 캠과;
    그 일단이 상기 캠의 외주의 홈을 따라 회전하도록 베어링 결합된 연결 로드와;
    상기 연결로드의 타단에 그 상부가 연결되어 좌우 유동력을 전달받는 회동간과;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양면 편직물의 직조를 위해 2개가 쌍을 이루고 있으며, 각각 제 1 경사 및 제 2 경사를 공급하는 제 1 가이드바 및 제 2 가이드바와,
    상기 제 1 가이드바 및 상기 제 2 가이드바의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회동간 과 결합된 중앙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파일사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가 하단에 구비된 중간 가이드바를 포함하는 더블 라셀 머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그 중심이 편심되어 있으면서, 편심된 쪽의 일단은 움푹 들어간 형태이며, 편심되지 않은 쪽의 타단은 길어 늘여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라셀 머신.
  3. 제 2항에 있어서,
    콘(cone) 형상 위에 감겨져 있던 상기 파일사가 상기 중간 가이드바의 가이드에 공급될 때, 상기 중간 가이드바의 동작 속도보다 약간 느리게 상기 파일사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피딩 롤러(feeding roller)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라셀 머신.
KR1020090026998A 2009-03-30 2009-03-30 더블 라셀 머신 KR101029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998A KR101029819B1 (ko) 2009-03-30 2009-03-30 더블 라셀 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998A KR101029819B1 (ko) 2009-03-30 2009-03-30 더블 라셀 머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8790A KR20100108790A (ko) 2010-10-08
KR101029819B1 true KR101029819B1 (ko) 2011-04-15

Family

ID=43130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6998A KR101029819B1 (ko) 2009-03-30 2009-03-30 더블 라셀 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98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936B1 (ko) 2019-12-20 2021-03-25 유한회사 와이디 작업성이 향상된 라셀 편직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579B1 (ko) * 2010-10-29 2011-03-17 김재화 이중경편기의 인터레이싱 간격 조절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이중경편직물
KR101517161B1 (ko) * 2014-10-27 2015-05-04 고한수 원형단면을 가진 캠을 이용한 편직장치의 구동구조
KR102104236B1 (ko) * 2019-11-21 2020-04-28 주식회사 에스티엔 이종 원사 공급이 가능한 직조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1717A (en) 1975-05-12 1977-06-28 Veb Wirkmaschinenbau Patterning apparatus for knitting machines, particularly for manufacturing patterned knitted pile fabrics on crochetting machines
US5918484A (en) 1997-08-20 1999-07-06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Warp knitting machine with fall plate bar
KR200407423Y1 (ko) 2005-11-15 2006-01-31 김재화 이격공간을 이루는 더블 편직물 경편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1717A (en) 1975-05-12 1977-06-28 Veb Wirkmaschinenbau Patterning apparatus for knitting machines, particularly for manufacturing patterned knitted pile fabrics on crochetting machines
US5918484A (en) 1997-08-20 1999-07-06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Warp knitting machine with fall plate bar
KR200407423Y1 (ko) 2005-11-15 2006-01-31 김재화 이격공간을 이루는 더블 편직물 경편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936B1 (ko) 2019-12-20 2021-03-25 유한회사 와이디 작업성이 향상된 라셀 편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8790A (ko) 201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9819B1 (ko) 더블 라셀 머신
CN101590643B (zh) 水钻自动取放装置
TW200949035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with a rotatable blade for cutting a fabric tube
CN101724954B (zh) 织机的捕纬边的经线开口装置
KR200407423Y1 (ko) 이격공간을 이루는 더블 편직물 경편장치
TWI660086B (zh) 裁縫機
CN113373586B (zh) 一种横机的自动校准智跑纱嘴装置
KR101021579B1 (ko) 이중경편기의 인터레이싱 간격 조절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이중경편직물
CN100446950C (zh) 一种竹片编织机
CN102433694A (zh) 一种三针锁式线迹平缝机的传动机构
CN208455201U (zh) 无基布防火卷帘缝纫机具
CN210236616U (zh) 一种转移印花机放卷装置
CN209443096U (zh) 一种解决卷材连续镀起折的装置
CN110082157A (zh) 一种粮仓下杆机构及使用该粮仓下杆机构的下杆小车
CN213894595U (zh) 一种用于码布机的快速导布装置
CN201333693Y (zh) 一种水钻自动取放装置
CN202227103U (zh) 一种三针锁式线迹平缝机的传动机构
KR960003481Y1 (ko)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편직물지 직조용 양면경편기
CN220811265U (zh) 一种用于纺织面料生产的传输装置
KR102200584B1 (ko) 자동 방직기
CN218642930U (zh) 一种电脑横机牵拉机构
KR200243114Y1 (ko) 누비기
CN203890627U (zh) 一种经编机的可调牵拉机构
CN217947206U (zh) 一种纺织线分线缠绕装置
CN111847084B (zh) 一种可调节的铺布机展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