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584B1 - 자동 방직기 - Google Patents

자동 방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0584B1
KR102200584B1 KR1020190179363A KR20190179363A KR102200584B1 KR 102200584 B1 KR102200584 B1 KR 102200584B1 KR 1020190179363 A KR1020190179363 A KR 1020190179363A KR 20190179363 A KR20190179363 A KR 20190179363A KR 102200584 B1 KR102200584 B1 KR 102200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riving
link
heald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9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열
이동규
남재혁
정아라
김웅희
Original Assignee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79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5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007Loom optimisation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14Apparatus for threading warp stop-motion droppers, healds, or ree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5/00Shut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본 발명은 동력의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 방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 방직기는 복수의 막대를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경사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종광부, 간격이 이격된 경사들 사이로 위사가 감긴 북을 밀어주는 북 이송부, 상기 종광부를 회전시키는 종광 구동부, 제직된 직물을 감는 권취부, 및 상기 북 이송부, 상기 종광 구동부, 상기 권취부를 구동하는 메인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구동부는 메인 구동축, 상기 메인 구동부에 연결된 동력 전달부, 상기 동력 전달부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서브 구동축, 상기 서브 구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권취부를 회전시키는 제1 베벨기어, 상기 메인 구동축에 고정되어 메인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종광 구동부를 구동하는 고리부재, 상기 메인 구동축에 고정되며 상기 북 이송부를 회전시키는 구동 돌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 방직기{AUTOMATIC WEAVING MACHINE}
본 발명은 방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으로 직물을 제작할 수 있는 자동 방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직기(loom)는 직물을 짜는 기계를 말하는 것으로, 직물의 폭에 해당하는 올 수만큼의 경사가 감긴 빔으로부터 나란히 송출되는 경사는 종광의 눈에 올올이 끼워지고, 이들 경사는 별도의 장치에 의해 2군 이상으로 나누어 각각 위와 아래로 벌어져서 개구를 만들면, 북이 이 개구 속을 지나가게 되며, 상기, 북실, 즉 북 속에 담겨 끌려다니는 경사는, 개구 속을 가로질러 모든 경사의 위아래로 교차하여 위입이 일어나며, 다음, 이 경사를 바디(reed)로 쳐서 이미 짜여진 천의 끝에 바싹 밀어붙임으로써, 비로소 경사와 경사의 조직이 완성되는데, 이처럼 직기는 1계열의 실만으로 천을 짜는 편기에 대하여 경사, 경사 2계열의 실을 사용하여 개구, 위입, 바디질 등의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연속된 직물을 짜게 된다.
그리고 방직기의 일반적인 동력 전달 구조를 살펴보면, 방직기는, 다수개의 경사가 감겨 경사를 공급하는 경사빔으로 구성하는 송출부, 공급하는 경사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경사를 공급하여, 경사와 경사의 교차를 통해 직물을 제직하는 제직부, 제직된 직물을 감는 와인딩부를 구성한다.
경사빔, 제직부, 및 와인딩부의 각 축을 회전하기 위해서는 동력전달이 필요하며, 상기 각 동력전달은 메인모터의 작동과, 각 축이, 기어나 풀리와 벨트 등에 의한 순차적인 동력전달로 이루어지는데, 일반적인 제직기는 메인모터와 와인딩부가 제직기의 전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직기의 후면에 송출부를 위치하고, 상기 송출부와 와인딩부 사이에 제직부를 구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제직기는 종광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와 북을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 직물을 감기 위한 모터가 각각 필요하므로 동력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본 발명은 동력의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 방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 방직기는 복수의 막대를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경사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종광부, 간격이 이격된 경사들 사이로 위사가 감긴 북을 밀어주는 북 이송부, 상기 종광부를 회전시키는 종광 구동부, 제직된 직물을 감는 권취부, 및 상기 북 이송부, 상기 종광 구동부, 상기 권취부를 구동하는 메인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구동부는 메인 구동축, 상기 메인 구동부에 연결된 동력 전달부, 상기 동력 전달부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서브 구동축, 상기 서브 구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권취부를 회전시키는 제1 베벨기어, 상기 메인 구동축에 고정되어 메인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종광 구동부를 구동하는 고리부재, 상기 메인 구동축에 고정되며 상기 북 이송부를 회전시키는 구동 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종광 구동부는 상기 고리부재에 하부가 삽입되는 제1 링크 막대, 상기 제1 링크 막대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굽어져 형성된 굴곡 링크, 상기 굴곡 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링크 막대, 상기 제2 링크 막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링크 막대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 막대, 상기 회전 막대와 연결된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와 결합되어 상기 종광부를 회전시키는 제2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링크 막대는 상기 고리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북 이송부는 상기 구동 돌기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어지며 상기 구동 돌기에 의하여 회전하는 피동 돌기, 상기 피동 돌기와 결합되어 피동 돌기와 함께 회전하는 돌기 축, 상기 돌기 축에 유니버셜 조인트를 매개로 결합된 경사 링크, 상기 경사 링크의 상단에 유니버셜 조인트를 매개로 결합되어 회전하며 북을 밀어주는 푸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푸쉬부재는 상기 경사 링크와 유니버셜 조인트를 매개로 결합되며 후방으로 이어진 푸쉬 구동축, 상기 푸쉬 구동축과 결합되며 외측을 향하여 이어진 제1 푸쉬 링크, 상기 제1 푸쉬 링크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푸쉬 링크에서 하부로 이어져 북을 밀어주는 제2 푸쉬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권취부는 상기 제1 베벨 기어와 결합된 제2 베벨 기어, 상기 제2 베벨 기어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는 권취 연결축, 상기 권취 연결축에 고정된 웜, 상기 웜과 결합된 웜 기어, 상기 웜 기어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며 제직된 직물을 감는 권취 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 방직기는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직물을 제작하므로 동력의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종광 구동부가 고리부재에 의하여 지연 구동되므로 북 이송부와 종광 구동부가 적정한 타이밍으로 구동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방직기를 앞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방직기를 뒤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방직기를 잘라 본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방직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방직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방직기를 앞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방직기를 뒤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방직기를 잘라 본 절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방직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방직기(100)는 메인 프레임(10), 종광부(20), 바디(70), 북 이송부(50), 종광 구동부(40), 권취부(60), 메인 구동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은 바닥 지지부와 측면 지지부를 포함하며, 자동 방직기(100)의 외형을 이룬다. 메인 프레임(10)은 복수의 막대 또는 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의 앞쪽에는 경사들이 감겨진 복수의 보빈(12)이 설치될 수 있으며, 보빈(12)은 메인 프레임(10)의 전방에 설치된다. 또한 메인 프레임(10)의 후방에는 북이 이동하는 채널(13)이 형성될 수 있다.
종광부(20)는 메인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경사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종광부(20)는 경사들의 간격을 벌려서 경사들 사이로 북(미도시)이 이동하도록 경사들 사이의 간격을 제어할 수 있다.
종광부(20)는 메인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종광 프레임(21)과 종광 프레임(21)에 결합된 2개의 종광(23)을 포함할 수 있다. 종광 프레임(21)은 메인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지지축(21a)과 지지축(21a)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된 승강 막대(21b)를 포함할 수 있다. 종광 프레임(21)은 2개의 지지축(21a)를 포함하며, 각각의 지지축(21a)에 승강 막대(21b)가 결합된다. 종광(23)은 승강 막대(21b)에 고정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종광(23)은 경사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 복수의 막대를 포함하며, 승강 막대(21b)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에 종광(23)이 각각 고정된다. 이에 따라 승강 막대(21b)가 회전할 때, 하나의 종광(23)이 상승하면 다른 종광(23)은 하강하도록 이루어진다. 종광(23)의 높이가 비슷하면 경사들의 간격이 좁아지고, 종광(23)의 높이가 상이하면 경사들의 간격이 증가한다.
바디(70)는 종광부(20)의 후방에 배치되며 메인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바디(70)는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세워진 복수의 가이드 막대(71)와 가이드 막대(71)의 후방으로 돌출된 가압판(72)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70)는 종광(23)이 회전할 때, 종광(23)에 밀려서 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으며, 바디(70)가 후방으로 기울어질 때 가압판(72)이 경사들을 후방으로 가압하여 정렬시킬 수 있다.
메인 구동부(30)는 제1 풀리(31a)와 제2 풀리(31b)와 제1 풀리(31a) 및 상기 제2 풀리(31b)를 연결하는 벨트(31c)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부(31), 제1 풀리(31a)에 연결된 메인 구동축(32), 제2 풀리(31b)에 연결된 서브 구동축(33), 서브 구동축(33)에 연결되어 권취부(60)를 회전시키는 제1 베벨 기어(34), 메인 구동축(32)에 고정되어 메인 구동축(32)과 함께 회전하며 종광 구동부(40)를 구동하는 고리부재(35), 메인 구동축(32)에 고정되며 북 이송부(50)를 구동하는 구동 돌기(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풀리(31a)와 제2 풀리(31b)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벨트(31c)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스프로킷이 설치되고, 스프로킷들이 체인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1 풀리(31a)와 제2 풀리(31b)는 메인 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풀리(31a)에는 제1 풀리(31a)의 구동을 위한 구동 모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모터는 메인 구동축(32) 또는 제2 풀리(31b)에 연결될 수도 있다.
메인 구동축(32)은 제1 풀리(31a)와 연결되어 제1 풀리(31a)와 함께 회전하며, 메인 구동축(32)에는 고리부재(35)와 구동 돌기(36)가 연결 설치될 수 있다. 고리부재(35)는 메인 구동축(32)과 함께 회전하는 연결 바(35a)와 연결 바(35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고리부(35b)를 포함할 수 있다. 고리부(35b)는 연결 바(35a)와 함께 회전하되 연결 바(35a)에 대하여 하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구동 돌기(36)는 후방(-y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북 이송부(50)를 밀어줄 수 있다. 서브 구동축(33)에는 서브 구동축(33)의 동력을 권취부(60)로 전달하는 제1 베벨 기어(34)가 설치될 수 있다.
종광 구동부(40)는 고리부재(35)와 연결되어 고리부재(35)에서 동력을 전달 받으며, 종광부(20)를 회전시킨다. 종광 구동부(40)는 고리부재(35)에 하부가 삽입되는 제1 링크 막대(41), 제1 링크 막대(41) 및 메인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굽어져 형성된 굴곡 링크(42), 굴곡 링크(4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링크 막대(43), 제2 링크 막대(43)와 연결되어 제2 링크 막대(43)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 막대(46), 회전 막대(46)와 연결된 제1 기어(44), 제1 기어(44)와 결합되어 종광부(20)를 회전시키는 제2 기어(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크 막대(41)는 고리부재(35)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고리부재(35)가 회전할 때, 제1 링크 막대(41)는 슬라이딩한 후에 회동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링크 막대(41)는 지연된 회전력을 종광부(20)에 전달할 수 있다. 제1 링크 막대(41)에는 고리부재(35)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 돌기(41a)가 형성될 수 있다.
굴곡 링크(42)는 제1 링크 막대(41) 및 메인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굽어져 형성된다. 굴곡 링크(42)는 대략 V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될 수 있으며, 굴곡 링크(42)의 일측 단부는 메인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굴곡 링크(42)의 타측 단부는 제1 링크 막대(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링크 막대(43)의 하단은 굴곡 링크(4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굴곡 링크(42)에서 제1 링크 막대(41)와 결합된 부분과 인접한 부분에 결합된다. 제2 링크 막대(43)의 상단은 회전 막대(46)와 결합된다.
회전 막대(46)는 메인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링크 막대(43)의 이동에 따라 회전한다. 회전 막대(46)에는 제1 기어(44)가 고정되며 제2 기어는 회전 막대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1 기어(44)에는 종광부(20)를 회전시키는 제2 기어(45)가 결합된다. 제2 기어(45)는 종광부(20)의 지지축(21a)에 고정되어 종광부(20)를 회전시킨다.
북 이송부(50)는 간격이 이격된 경사들 사이로 위사가 감긴 북을 밀어주어 북이 경사들 사이로 왕복 이동하도록 한다. 자동 방직기(100)는 2개의 북 이송부(50)를 포함하며, 북 이송부(50)들은 메인 프레임(10)의 폭 방향 양쪽 가장자리에 설치될 수 있다.
북 이송부(50)는 구동 돌기(36)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어지며 구동 돌기(36)에 의하여 회전하는 피동 돌기(51), 피동 돌기(51)와 결합되어 피동 돌기(51)와 함께 회전하는 돌기 축(52), 돌기 축(52)에 유니버셜 조인트(53a)를 매개로 결합된 경사 링크(53), 경사 링크(53)의 상단에 유니버셜 조인트(53a)를 매개로 결합되어 회전하며 북을 밀어주는 푸쉬부재(56)를 포함할 수 있다.
피동 돌기(51)는 돌기 축(52)과 결합되어 돌기 축(52)과 함께 회전하며 돌기 축(52)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구동 돌기(36) 상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메인 구동축(32)이 회전할 때, 구동 돌기(36)가 피동 돌기(51)를 밀어 올리고 피동 돌기(51)의 이동에 따라 돌기 축(52)이 90도 정도 회전하게 된다. 다만 돌기 축(52)은 경사 링크(53)와 유니버셜 조인트(53a)로 연결되며 완전히 회전하지 못하고 다시 원래 위치로 복귀하고 구동 돌기(36)는 피동 돌기(51)를 다시 밀어 올릴 수 있다.
경사 링크(53)는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이어진 막대로 이루어지며, 경사 링크(53)의 하단은 돌기 축(52)에 유니버셜 조인트(53a)를 매개로 결합되고, 경사 링크(53)의 상단은 푸쉬부재(56)에 유니버셜 조인트(53a)를 매개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돌기 축(52)의 회전력이 경사 링크(53)를 매개로 푸쉬부재(56)로 전달되어 푸쉬부재(56)가 이동할 수 있다.
푸쉬부재(56)는 경사 링크(53)와 유니버셜 조인트(53a)를 매개로 결합되며 후방으로 이어진 푸쉬 구동축(561), 푸쉬 구동축(561)과 결합되며 외측을 향하여 이어진 제1 푸쉬 링크(562), 제1 푸쉬 링크(562)에 결합되며 제1 푸쉬 링크(562)에서 하부로 이어져 북을 밀어주는 제2 푸쉬 링크(563)를 포함할 수 있다.
푸쉬 구동축(561)은 유니버셜 조인트(53a)를 매개로 경사 링크(53)와 결합되며 메인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푸쉬 구동축(561)은 메인 프레임(10)의 길이방향(y축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어 경사 링크(53)에 의하여 회전한다. 제1 푸쉬 링크(562)는 푸쉬 구동축(561)과 결합되며 메인 프레임(10)의 외측을 향하여 이어진 막대로 이루어진다. 제1 푸쉬 링크(562)는 제2 푸쉬 링크(563)와 결합되어 제2 푸쉬 링크(563)를 밀어 줄 수 있다.
제2 푸쉬 링크(563)는 제1 푸쉬 링크(56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푸쉬 링크(562)에서 하부로 이어지되 메인 프레임(10)의 폭 방향(x축 방향) 내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된다. 제2 푸쉬 링크(563)의 하단은 메인 프레임(10)의 후방에 형성된 채널(13)에 삽입된다. 제2 푸쉬 링크(563)의 하단은 채널(13)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채널(13)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된다. 이에 따라 제1 푸쉬 링크(562)가 회전할 때, 제1 푸쉬 링크(562)의 하단은 채널(13)을 따라 이동하면서 북을 밀어줄 수 있다.
권취부(60)는 제직된 직물을 감는 부재로서, 제1 베벨 기어(34)와 결합된 제2 베벨 기어(62), 제2 베벨 기어(62)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는 권취 연결축(63), 권취 연결축(63)에 고정된 웜(64), 웜(64)과 결합된 웜 기어(65), 웜 기어(65)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며 제직된 직물을 감는 권취 빔(67)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벨 기어(62)는 제1 베벨 기어(34)와 결합되어 제1 베벨 기어(34)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을 수 있다. 또한, 제2 베벨 기어(62)는 권취 연결축(63)과 웜(64)을 회전시키며 웜(64)의 회전에 따라 웜 기어(65)와 연결된 권취 빔(67)이 회전하면서 제직된 직물을 권취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종광부(20), 바디(70), 권취부(60), 북 이송부(50)를 구동하므로 동력의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종광 구동부(40)가 고리부재(35)에 의하여 지연 구동되므로 북 이송부(50)와 종광 구동부(40)가 적정한 타이밍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자동 방직기 10: 메인 프레임
12: 보빈 13: 채널
20: 종광부 21: 종광 프레임
23: 종광 30: 메인 구동부
31: 동력 전달부 32: 메인 구동축
33: 서브 구동축 34: 제1 베벨 기어
35: 고리부재 36: 구동 돌기
40: 종광 구동부 41: 제1 링크 막대
42: 굴곡 링크 43: 제2 링크 막대
44: 제1 기어 45: 제2 기어
46: 회전 막대 50: 북 이송부
51: 피동 돌기 52: 돌기 축
53: 경사 링크 56: 푸쉬부재
60: 권취부 62: 제2 베벨 기어
63: 권취 연결축 64: 웜
65: 웜 기어 67: 권취 빔
70: 바디 71: 가이드 막대
72: 가압판

Claims (5)

  1. 복수의 막대를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경사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종광부;
    간격이 이격된 경사들 사이로 위사가 감긴 북을 밀어주는 북 이송부;
    상기 종광부를 회전시키는 종광 구동부;
    제직된 직물을 감는 권취부;
    상기 북 이송부, 상기 종광 구동부, 상기 권취부를 구동하는 메인 구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구동부는 메인 구동축, 상기 메인 구동부에 연결된 동력 전달부, 상기 동력 전달부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서브 구동축, 상기 서브 구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권취부를 회전시키는 제1 베벨기어, 상기 메인 구동축에 고정되어 메인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종광 구동부를 구동하는 고리부재, 상기 메인 구동축에 고정되며 상기 북 이송부를 회전시키는 구동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북 이송부는 상기 구동 돌기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어지며 상기 구동 돌기에 의하여 회전하는 피동 돌기, 상기 피동 돌기와 결합되어 상기 피동 돌기와 함께 회전하는 돌기 축, 상기 돌기 축에 유니버셜 조인트를 매개로 결합된 경사 링크, 상기 경사 링크의 상단에 유니버셜 조인트를 매개로 결합되어 회전하며 북을 밀어주는 푸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방직기.
  2. 복수의 막대를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경사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종광부;
    간격이 이격된 경사들 사이로 위사가 감긴 북을 밀어주는 북 이송부;
    상기 종광부를 회전시키는 종광 구동부;
    제직된 직물을 감는 권취부;
    상기 북 이송부, 상기 종광 구동부, 상기 권취부를 구동하는 메인 구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구동부는 메인 구동축, 상기 메인 구동부에 연결된 동력 전달부, 상기 동력 전달부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서브 구동축, 상기 서브 구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권취부를 회전시키는 제1 베벨기어, 상기 메인 구동축에 고정되어 메인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종광 구동부를 구동하는 고리부재, 상기 메인 구동축에 고정되며 상기 북 이송부를 회전시키는 구동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종광 구동부는 상기 고리부재에 하부가 삽입되는 제1 링크 막대, 상기 제1 링크 막대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굽어져 형성된 굴곡 링크, 상기 굴곡 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링크 막대, 상기 제2 링크 막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링크 막대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 막대, 상기 회전 막대와 연결된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와 결합되어 상기 종광부를 회전시키는 제2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링크 막대는 상기 고리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방직기.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부재는 상기 경사 링크와 유니버셜 조인트를 매개로 결합되며 후방으로 이어진 푸쉬 구동축, 상기 푸쉬 구동축과 결합되며 외측을 향하여 이어진 제1 푸쉬 링크, 상기 제1 푸쉬 링크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푸쉬 링크에서 하부로 이어져 북을 밀어주는 제2 푸쉬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방직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는 상기 제1 베벨 기어와 결합된 제2 베벨 기어, 상기 제2 베벨 기어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는 권취 연결축, 상기 권취 연결축에 고정된 웜, 상기 웜과 결합된 웜 기어, 상기 웜 기어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며 제직된 직물을 감는 권취 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방직기.
KR1020190179363A 2019-12-31 2019-12-31 자동 방직기 KR102200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363A KR102200584B1 (ko) 2019-12-31 2019-12-31 자동 방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363A KR102200584B1 (ko) 2019-12-31 2019-12-31 자동 방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0584B1 true KR102200584B1 (ko) 2021-01-11

Family

ID=74129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9363A KR102200584B1 (ko) 2019-12-31 2019-12-31 자동 방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58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3371Y1 (ko) * 1986-05-24 1989-05-20 신현발 직기첨부용 레피어 구동장치
KR920007641U (ko) * 1990-10-30 1992-05-19 박창호 여과 필터의 체결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3371Y1 (ko) * 1986-05-24 1989-05-20 신현발 직기첨부용 레피어 구동장치
KR920007641U (ko) * 1990-10-30 1992-05-19 박창호 여과 필터의 체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4729B2 (en) Jacquard machine
US6315008B2 (en) Weaving loom for producing a leno fabric
KR102200584B1 (ko) 자동 방직기
US4031922A (en) Vertically arranged triaxial weaving machine
EP0879910A2 (en) Three-dimensional weaving machine
US5375627A (en) Method and weaving machine for producing multi-axial fabric
CN101148799B (zh) 用于控制柔性剑杆的装置和结合有至少一个这种装置的织机
EP1783254B1 (en) Warp yarn weaving device for selvedge formation in weaving looms
KR101029819B1 (ko) 더블 라셀 머신
KR101434043B1 (ko) 세폭자카드직기용 종광작동장치
US2263678A (en) Shedding mechanism
US245259A (en) crompton
US745178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eaving leno fabric
EP0808386B1 (en) A multi-axial yarn structure forming machine
CS239001B1 (en) Plain weave shed forming device
JPS5921747A (ja) 杼無織機
CN110760979A (zh) 一种用于纬纱束编织的剑杆织机及其操作方法
KR20200045370A (ko) 로드 매트 직조장치
CS200516B2 (en) Weft thread conveying device for shuttleless weaving looms
US2189444A (en) Loom and the method of weaving thereon
BE1000443A4 (nl) Inrichting voor het vormen van een zelfkant, respektievelijk zelfkanten, aan weefsels.
KR920007641Y1 (ko) 벨벳트 직물 제직용 레피어 직기
BE1016428A6 (nl) Aandrijfsysteem voor een gaapvormingselement.
US2935093A (en) Device for driving the healds in looms, particularly in tape looms
US305496A (en) Loom foe weaving chenille or axminsteb carpets and bu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