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1936B1 - 작업성이 향상된 라셀 편직장치 - Google Patents

작업성이 향상된 라셀 편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1936B1
KR102231936B1 KR1020190172058A KR20190172058A KR102231936B1 KR 102231936 B1 KR102231936 B1 KR 102231936B1 KR 1020190172058 A KR1020190172058 A KR 1020190172058A KR 20190172058 A KR20190172058 A KR 20190172058A KR 102231936 B1 KR102231936 B1 KR 102231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etachable
shaft
knitt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2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동
이명철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와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와이디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와이디
Priority to KR1020190172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9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10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27/12Tensioning devices for individual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0Open-work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6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arp knitt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원사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공급롤(120); 상기 본체(110)의 내측 중간에 상기 공급롤(120)에서 공급하는 원사를 그물망 형태로 편직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편직유닛(130); 상기 본체(110)의 내측 하부에 상기 편직유닛(130)을 통과하는 그물망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배출유닛(140); 상기 배출유닛(140)을 통과하는 그물망을 감을 수 있도록 형성하는 권취유닛(150); 상기 편직유닛(130)과 배출유닛(140) 및 권취유닛(150)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구동유닛(160);을 포함하는 라셀 편직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상기 공급롤(120)의 중앙을 관통하여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축(121); 상기 본체(110)의 상부 양측에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전축(122); 상기 지지축(121)과 회전축(122)의 사이에 작업자가 탈착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탈착유닛(200);을 포함하되, 상기 탈착유닛(200)은 상기 지지축(121)의 외측에 형성하는 삽입축(121a); 상기 회전축(122)의 내측에 상기 삽입축(121a)을 삽입할 수 있도록 상부를 개방하는 삽입부(211)를 구비하는 고정몸체(210); 상기 회전축(122)과 고정몸체(210)의 사이에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경사부(220); 상기 고정몸체(210)가 중앙을 관통할 수 있도록 통공(231)을 형성하는 탈착몸체(230); 상기 고정몸체(210)와 탈착몸체(230)의 하부 일측을 동시에 연결하여 상기 탈착몸체(230)가 상기 경사부(230)의 표면에 맞닿도록 회전하거나 수직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전부(240);를 포함하는 작업성이 향상된 라셀 편직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원사가 감긴 다수개의 공급롤을 작업자가 쉽게 교환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작업성이 향상된 라셀 편직장치{Raschel knitting device with improved work efficiency}
본 발명은 작업성이 향상된 라셀 편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사 공급롤을 작업자가 쉽게 교체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작업성이 향상된 라셀 편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셀 편직장치(경편기)는 건설현장 또는 수산업계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그물망(안전망) 등을 제조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라셀 편직장치는 원사가 감긴 다수개의 공급롤을 장착 및 교환하는 과정이 복잡하고 불편하여 작업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특히 작업자가 공급롤의 교환을 위해서 다수개의 볼트를 일일이 결합 및 분리시켜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증가하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또한, 공급롤을 장착 또는 교환하는 과정에서 작업공간이 협소하고 작업자가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없으므로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60806호(2002.01.17.)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55816호(2004.07.09.)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18551호(2009.02.20.)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6322호(2009.10.16.) 한국등록특허 제10-1029819호(2011.04.15.) 한국등록특허 제10-2021606호(2019.09.16.)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원사 공급롤을 쉽게 장착 및 교환할 수 있는 작업성이 향상된 라셀 편직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원사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공급롤(120); 상기 본체(110)의 내측 중간에 상기 공급롤(120)에서 공급하는 원사를 그물망 형태로 편직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편직유닛(130); 상기 본체(110)의 내측 하부에 상기 편직유닛(130)을 통과하는 그물망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배출유닛(140); 상기 배출유닛(140)을 통과하는 그물망을 감을 수 있도록 형성하는 권취유닛(150); 상기 편직유닛(130)과 배출유닛(140) 및 권취유닛(150)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구동유닛(160);을 포함하는 라셀 편직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상기 공급롤(120)의 중앙을 관통하여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축(121); 상기 본체(110)의 상부 양측에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전축(122); 상기 지지축(121)과 회전축(122)의 사이에 작업자가 탈착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탈착유닛(200);을 포함하되, 상기 탈착유닛(200)은 상기 지지축(121)의 외측에 형성하는 삽입축(121a); 상기 회전축(122)의 내측에 상기 삽입축(121a)을 삽입할 수 있도록 상부를 개방하는 삽입부(211)를 구비하는 고정몸체(210); 상기 회전축(122)과 고정몸체(210)의 사이에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경사부(220); 상기 고정몸체(210)가 중앙을 관통할 수 있도록 통공(231)을 형성하는 탈착몸체(230); 상기 고정몸체(210)와 탈착몸체(230)의 하부 일측을 동시에 연결하여 상기 탈착몸체(230)가 상기 경사부(230)의 표면에 맞닿도록 회전하거나 수직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전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몸체(210)의 전방에 형성하는 걸림돌기(212); 상기 통공(231)의 내측 상부에 상기 걸림돌기(212)와 맞닿아 상기 탈착몸체(230)를 수직방향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걸림홈(2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몸체(210)의 상부에 형성하는 고정홈(213); 상기 통공(231)의 내측에서 수직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탈착몸체(230)의 일측에 형성하는 탄성체(233); 상기 탄성체(233)의 하부에 형성하는 고정구(2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경사부(220) 또는 탈착몸체(230)의 일측에 형성하는 자성체(2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원사가 감긴 다수개의 공급롤을 작업자가 쉽게 교환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작업성이 향상된 라셀 편직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작업성이 향상된 라셀 편직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탈착유닛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탈착유닛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결합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탈착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작업성이 향상된 라셀 편직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작업성이 향상된 라셀 편직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탈착유닛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탈착유닛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탈착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원사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공급롤(120); 상기 본체(110)의 내측 중간에 상기 공급롤(120)에서 공급하는 원사를 그물망 형태로 편직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편직유닛(130); 상기 본체(110)의 내측 하부에 상기 편직유닛(130)을 통과하는 그물망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배출유닛(140); 상기 배출유닛(140)을 통과하는 그물망을 감을 수 있도록 형성하는 권취유닛(150); 상기 편직유닛(130)과 배출유닛(140) 및 권취유닛(150)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구동유닛(160);을 포함하는 라셀 편직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상기 공급롤(120)의 중앙을 관통하여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축(121); 상기 본체(110)의 상부 양측에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전축(122); 상기 지지축(121)과 회전축(122)의 사이에 작업자가 탈착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탈착유닛(200);을 포함하되, 상기 탈착유닛(200)은 상기 지지축(121)의 외측에 형성하는 삽입축(121a); 상기 회전축(122)의 내측에 상기 삽입축(121a)을 삽입할 수 있도록 상부를 개방하는 삽입부(211)를 구비하는 고정몸체(210); 상기 회전축(122)과 고정몸체(210)의 사이에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경사부(220); 상기 고정몸체(210)가 중앙을 관통할 수 있도록 통공(231)을 형성하는 탈착몸체(230); 상기 고정몸체(210)와 탈착몸체(230)의 하부 일측을 동시에 연결하여 상기 탈착몸체(230)가 상기 경사부(230)의 표면에 맞닿도록 회전하거나 수직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전부(24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공급롤(120)은 외경에 그물망을 편직하기 위한 원사가 감긴 상태로, 중앙에 상기 지지축(121)이 관통하여 순차적으로 다수개의 공급롤(120)을 장착한다.
이때 상기 지지축(121)의 양측은 상기 본체(110)의 상부 양측에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전축(122)과 연결하여 상기 편직유닛(130)의 작동으로 원사를 당길 경우 자연스럽게 풀릴 수 있도록 공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122)은 베어링 등을 포함하여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편직유닛(130)은 다수개의 공급롤(120)에서 풀리는 원사를 전달받아서 스윙동작과 래핑동작을 반복하여 망상형태의 그물망을 편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편직유닛(130)은 길이방향을 따라서 양측에 배열하는 트릭 플레이트; 상기 트릭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작동하는 다수개의 편침; 상기 편침의 사이에 상기 트릭 플레이트를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 작동하는 싱커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편직유닛(130)에 대한 상세한 구성과 도면 및 작동원리는 공지기술이므로 상세한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유닛(140)은 상기 편직유닛(130)의 작동으로 편직된 그물망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부와 하부에 다수개의 롤러를 맞닿아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그물망이 롤러의 사이에 밀착한 상태로 상기 롤러의 회전력에 의해서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면서 외부로 이동 및 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유닛(140)에 대한 상세한 구성과 도면 및 작동원리는 공지기술이므로 상세한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권취유닛(150)은 상기 배출유닛(140)을 통과하는 그물망을 회전하면서 감아서 출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권취유닛(150)은 외경에 그물망을 감아서 저장할 수 있도록 일정지름을 갖는 롤러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구동유닛(160)은 회전력을 발생할 수 있는 모터와 감속기는 물론 풀리 및 벨트와 체인 및 스프로킷 등과 같은 동력전달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편직유닛(130)과 배출유닛(140) 및 권취유닛(150)을 작동시킬 수 있는 동력을 발생 및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탈착유닛(200)은 종래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공급롤(120)을 교환하기 위해서 상기 지지축(121)과 회전축(122)을 연결하는 볼트를 일일이 결합하거나 분리시켜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해소하여 짧은 시간에 편리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지지축(121)은 다수개의 공급롤(120)의 중앙을 관통하여 삽입한 상태로 외측(양측)에 삽입축(121a)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부(211)의 내측에 삽입하여 상기 지지축(121)과 회전축(122)이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축(121a)은 단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사각형상 등과 같은 다각형상을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삽입부(211)는 상기 삽입축(121a)이 내측에 삽입하여 맞물려 헛돌지 않도록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삽입부(211)는 상부방향으로 개방한 상태로 작업자가 호이스트 또는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축(121)과 공급롤(120)을 들어올린 후 상기 삽입축(121a)을 상기 삽입부(211)의 내측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한편, 상기 고정몸체(210)는 상기 회전축(122)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축(121)과 공급롤(12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몸체(210)의 전방에 형성하는 걸림돌기(212); 상기 통공(231)의 내측 상부에 상기 걸림돌기(212)와 맞닿아 상기 탈착몸체(230)를 수직방향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걸림홈(232);을 포함하여 상기 탈착몸체(230)가 수직방향에서 더는 상기 지지축(121)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고 수직방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212)는 수직방향으로 일정높이를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걸림홈(232)은 상기 걸림돌기(212)가 내측으로 삽입하여 맞닿을 수 있도록 일정넓이를 갖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고정몸체(210)의 상부에 형성하는 고정홈(213); 상기 통공(231)의 내측에서 수직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탈착몸체(230)의 일측에 형성하는 탄성체(233); 상기 탄성체(233)의 하부에 형성하는 고정구(234);를 포함하여 상기 탈착몸체(230)가 수직방향을 유지한 상태에서 외부충격 또는 진동으로 쉽게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구(234)가 상기 탄성체(233)의 탄성력에 의해서 하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에서 상기 고정홈(213)의 내측으로 삽입되므로 상기 탈착몸체(230)가 수직방향을 유지할 수 있다.
반대로 작업자가 일정한 힘으로 상기 탈착몸체(230)를 상기 경사부(200)의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탄성체(233)가 압축되면서 상기 고정구(213)가 상기 고정홈(213)의 내측에서 이탈하여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체(233)는 스프링을 사용하고, 상기 고정구(213)는 구 형상을 갖도록 형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220)는 작업자가 상기 회전축(122)과 공급롤(120)을 교환할 경우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상기 탈착몸체(230)가 일측으로 회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이때 상기 경사부(220)는 상기 탈착몸체(230)가 회전하여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삽입축(121a)이 간섭없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상기 회전축(122)을 바라보는 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경사부(220) 또는 탈착몸체(230)의 일측에 형성하는 자성체(221);를 포함하여 상기 탈착몸체(230)를 상기 경사부(220)의 표면에 맞닿도록 회전시킨 상태에서 외부충격 및 진동으로 쉽게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성체(221)는 다양한 크기 및 자력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부(240)는 상기 탈착몸체(23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중심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240)는 축 또는 핀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회전부(240)는 상기 고정몸체(210)와 탈착몸체(230)의 하부 일측에 형성하는 결합공(210a,230a)에 삽입하여 상기 탈착몸체(23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211)의 내측에 상기 삽입축(121a)을 삽입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탈착몸체(230)를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삽입축(121a)이 상기 탈착몸체(230)의 간섭으로 이탈하지 않으므로 상기 지지축(121)과 회전축(122)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 및 연결할 수 있다.
반대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롤(120)을 교환할 경우 작업자가 상기 탈착몸체(230)를 상기 경사부(220)의 표면에 맞닿도록 일측으로 회전시켜 상기 삽입부(211)의 상부가 개방되고 호이스트 또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축(121)을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회전축(122)과 분리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0: 본 발명 작업성이 향상된 라셀 편직장치
110: 본체
120: 공급롤 121: 지지축
121a: 삽입축 122: 회전축
130: 편직유닛 140: 배출유닛
150: 권취유닛 160: 구동유닛
200: 탈착유닛
210: 고정몸체 210a: 결합공
211: 삽입부
212: 걸림돌기 213: 고정홈
220: 경사부 221: 자성체
230: 탈착몸체 230a: 결합공
231: 통공
232: 걸림홈 233: 탄성체
234: 고정구 240: 회전부

Claims (4)

  1.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원사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공급롤(120); 상기 본체(110)의 내측 중간에 상기 공급롤(120)에서 공급하는 원사를 그물망 형태로 편직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편직유닛(130); 상기 본체(110)의 내측 하부에 상기 편직유닛(130)을 통과하는 그물망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배출유닛(140); 상기 배출유닛(140)을 통과하는 그물망을 감을 수 있도록 형성하는 권취유닛(150); 상기 편직유닛(130)과 배출유닛(140) 및 권취유닛(150)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구동유닛(160);을 포함하는 라셀 편직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상기 공급롤(120)의 중앙을 관통하여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축(121); 상기 본체(110)의 상부 양측에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전축(122); 상기 지지축(121)과 회전축(122)의 사이에 작업자가 탈착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탈착유닛(200);을 포함하되, 상기 탈착유닛(200)은 상기 지지축(121)의 외측에 형성하는 삽입축(121a); 상기 회전축(122)의 내측에 상기 삽입축(121a)을 삽입할 수 있도록 상부를 개방하는 삽입부(211)를 구비하는 고정몸체(210); 상기 회전축(122)과 고정몸체(210)의 사이에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경사부(220); 상기 고정몸체(210)가 중앙을 관통할 수 있도록 통공(231)을 형성하는 탈착몸체(230); 상기 고정몸체(210)와 탈착몸체(230)의 하부 일측을 동시에 연결하여 상기 탈착몸체(230)가 상기 경사부(220)의 표면에 맞닿도록 회전하거나 수직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전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성이 향상된 라셀 편직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210)의 전방에 형성하는 걸림돌기(212); 상기 통공(231)의 내측 상부에 상기 걸림돌기(212)와 맞닿아 상기 탈착몸체(230)를 수직방향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걸림홈(2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성이 향상된 라셀 편직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210)의 상부에 형성하는 고정홈(213); 상기 통공(231)의 내측에서 수직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탈착몸체(230)의 일측에 형성하는 탄성체(233); 상기 탄성체(233)의 하부에 형성하는 고정구(2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성이 향상된 라셀 편직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220) 또는 탈착몸체(230)의 일측에 형성하는 자성체(2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성이 향상된 라셀 편직장치.
KR1020190172058A 2019-12-20 2019-12-20 작업성이 향상된 라셀 편직장치 KR102231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058A KR102231936B1 (ko) 2019-12-20 2019-12-20 작업성이 향상된 라셀 편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058A KR102231936B1 (ko) 2019-12-20 2019-12-20 작업성이 향상된 라셀 편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1936B1 true KR102231936B1 (ko) 2021-03-25

Family

ID=75222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2058A KR102231936B1 (ko) 2019-12-20 2019-12-20 작업성이 향상된 라셀 편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19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1991B1 (ko) 2022-06-22 2023-12-08 신한테크(주) 라셀 편직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806Y1 (ko) 2001-10-10 2002-01-17 박승헌 라셀경편기의 니들작동바 위치조절장치
KR200355816Y1 (ko) 2004-04-01 2004-07-0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3-링크 니들용 라셀기의 니들 가이드장치
KR20090018551A (ko) 2007-08-17 2009-02-20 우한윤 위사 공급 및 제직밀도 조절이 가능한 라셀기
KR200446322Y1 (ko) 2009-05-27 2009-10-16 우한윤 트레버스를 가지는 라셀기용 와인더
KR101029819B1 (ko) 2009-03-30 2011-04-15 주식회사 경인 더블 라셀 머신
KR101178458B1 (ko) * 2012-06-08 2012-09-10 (주)대광레이스 경편기
KR101868864B1 (ko) * 2017-10-26 2018-06-19 (주)대광레이스 경편기의 원사빔 리프팅 장치
KR102021606B1 (ko) 2019-05-21 2019-09-16 (유)이안지오텍 고강도 라셀 편직 그물망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806Y1 (ko) 2001-10-10 2002-01-17 박승헌 라셀경편기의 니들작동바 위치조절장치
KR200355816Y1 (ko) 2004-04-01 2004-07-0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3-링크 니들용 라셀기의 니들 가이드장치
KR20090018551A (ko) 2007-08-17 2009-02-20 우한윤 위사 공급 및 제직밀도 조절이 가능한 라셀기
KR101029819B1 (ko) 2009-03-30 2011-04-15 주식회사 경인 더블 라셀 머신
KR200446322Y1 (ko) 2009-05-27 2009-10-16 우한윤 트레버스를 가지는 라셀기용 와인더
KR101178458B1 (ko) * 2012-06-08 2012-09-10 (주)대광레이스 경편기
KR101868864B1 (ko) * 2017-10-26 2018-06-19 (주)대광레이스 경편기의 원사빔 리프팅 장치
KR102021606B1 (ko) 2019-05-21 2019-09-16 (유)이안지오텍 고강도 라셀 편직 그물망 제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1991B1 (ko) 2022-06-22 2023-12-08 신한테크(주) 라셀 편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1936B1 (ko) 작업성이 향상된 라셀 편직장치
JP6715225B2 (ja) 横編機
TR199802755A2 (xx) Elektronik olarak kontrollü şablon çözgü tezgahı.
KR101363228B1 (ko) 공간직물 제조장치
KR20120047375A (ko) 석재가공장치
JP2020005503A (ja) 海藻養殖網を耳綱へ固着する固着自動化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78458B1 (ko) 경편기
CN214831035U (zh) 一种自动环圈缝纫机
KR102611991B1 (ko) 라셀 편직장치
WO1997017485A1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with replaceable knitting head
CN105947729A (zh) 一种立式织布放卷机构
CN105947730A (zh) 具有支撑功能的立式织布放卷机构
CN106004022A (zh) 一种纺织用织布印花装置
JP2009150019A (ja) ニードルパンチ機
KR101096723B1 (ko) 쌍침 사절 장치와 이를 이용한 재봉틀
CN100436289C (zh) 喂料机
CN213622678U (zh) 一种高速电脑编织机
KR101195521B1 (ko) 스팡글 자수기의 스팡글 공급장치
CN211446160U (zh) 锁边机
CN215251558U (zh) 一种中小型卷筒随机支撑装置
CN111691086B (zh) 送绳装置和刺绣机
CN102978846B (zh) 盘带绣装置及包含该盘带绣装置的绣花机
KR200329194Y1 (ko) 패턴 재봉기
CN220468361U (zh) 一种同步缝纫机
KR20110017768A (ko) 봉제기용 바늘 가이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