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1579B1 - 이중경편기의 인터레이싱 간격 조절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이중경편직물 - Google Patents

이중경편기의 인터레이싱 간격 조절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이중경편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1579B1
KR101021579B1 KR1020100106714A KR20100106714A KR101021579B1 KR 101021579 B1 KR101021579 B1 KR 101021579B1 KR 1020100106714 A KR1020100106714 A KR 1020100106714A KR 20100106714 A KR20100106714 A KR 20100106714A KR 101021579 B1 KR101021579 B1 KR 101021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knitting machine
warp knitting
adjusting
double war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6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화
Original Assignee
김재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화 filed Critical 김재화
Priority to KR1020100106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15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1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1579B1/ko
Priority to CN2011800346485A priority patent/CN103097599A/zh
Priority to PCT/KR2011/004186 priority patent/WO201205742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06Needle bars; Sinker bars
    • D04B27/08Driving device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10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27/24Thread guide bar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10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2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eft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9/00Knitting processes, apparatus or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08Upholstery, matt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모터(M)의 동력전달을 받아 변속되는 구동축(10)(10')의 구동시 편심캠(15)과 캠틀(16)의 일측 베어링(16a)이 캠작동되어 캠틀(16)의 승강봉(16c) 상부에 형성된 니들바늘대(17)가 승하강되고, 상기 구동축(10)에는 제1,2구동스프로켓(11a)(12a)이 축결합되어 각각 제1, 2편심캠(13)(14)이 축결합된 피동축(11c)(12c)의 피동스프로켓(11b)(12b)과 체인(18)이 연결되되, 상기 제1, 2편심캠(13)(14)의 상하운동로드(13a)(14a)가 작동간(21)(22)의 일측에 체결고정되고 상기 제1, 2작동간(21)(22)은 일측이 각각 상, 하부축봉(20)(30)에 고정설치되어서 구동축(10)의 구동시 상, 하부 축봉(20)(30)이 일정하게 회동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축봉(20)에는 연결로드(24)와 가이드바(27)가 고정설치되며, 상기 하부축봉(30)에는 좌, 우 각각 1쌍의 연결로드(34a)(34b)와 좌, 우 가이드바(37a)(37b)가 고정설치되는 이중경편기에 있어서, 상기 이중경편기의 운전을 정지시킨 후에 구동모터(M)와 구동축(10, 10')들 사이에 형성된 체인 또는 벨트를 해제시킨 후에 니들바늘대(17) 사이를 좁히거나 넓히기 위해서 니들바늘대(17)와 캠틀(16) 및 편심캠(15) 등으로 연결된 구동축(10)을 이동시키는 과정인 구동축 사이의 이격 과정과, 상기 구동축 사이의 이격 과정을 거친 후에 진행되는 작동간 체결위치 이동 과정과, 상기 작동간 체결위치 이동 과정을 거친 후에 진행되는 연결로드 길이 조절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경편기의 인터레이싱 간격 조절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양면의 직물이 형성하는 공간의 폭을 필요에 따라 조절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Description

이중경편기의 인터레이싱 간격 조절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이중경편직물{METHOD FOR ADJUSTING INTERLACING LENGTH IN DOUBLE WARP KNITTING MACHINE AND DOUBLE WARP KNIT FABRIC MANUFACTURED THEREBY}
본 발명은 작업효율이 향상된 이중경편기의 인터레이싱 간격 조절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에어매트리스(air mattress)는 경편기에 의해 2개의 직물을 각각 별도로 직조하고, 상기 직물들의 내부와 외부에 각각 코팅처리를 한 후 이를 포개어 양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양면이 형성된 상태에서 직물들 사이를 봉제, 고주파접착 등을 이용하여 일정한 형태로 융착한다.
도 1은 종래의 에어매트리스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상기 에어매트리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균일한 두께의 확보 및 내부에 충진된 공기의 압력을 수용하기 위해 양면의 직물(101)(102)을 연결하는 연결부재(103)를 에어매트리스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융착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종래의 각종 에어매트리스는 실용신안 제1994-0021330호와 같은 양면경편기에 의해 제조되고 있으나, 상기 실용신안 문헌에는 양면경편기의 간격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캠틀(16)의 승강봉(16c)의 상부에 체결고정된 승강대(17)를 승강대(17)의 장홈(17a)을 이용하여 좌, 우이동시켜 가능하게 된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양면경편기의 간격이 30mm 이내의 경우에만 가능하기 때문에 30mm~500mm 사이의 간격 조절은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30mm~500mm 사이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이중경편기의 인터레이싱 간격 조절방법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구동모터(M)의 동력전달을 받아 변속되는 구동축(10)(10')의 구동시 편심캠(15)과 캠틀(16)의 일측 베어링(16a)이 캠작동되어 캠틀(16)의 승강봉(16c) 상부에 형성된 니들바늘대(17)가 승하강되고, 상기 구동축(10)에는 제1,2구동스프로켓(11a)(12a)이 축결합되어 각각 제1, 2편심캠(13)(14)이 축결합된 피동축(11c)(12c)의 피동스프로켓(11b)(12b)과 체인(18)이 연결되되, 상기 제1, 2편심캠(13)(14)의 상하운동로드(13a)(14a)가 작동간(21)(22)의 일측에 체결고정되고 상기 제1, 2작동간(21)(22)은 일측이 각각 상, 하부축봉(20)(30)에 고정설치되어서 구동축(10)의 구동시 상, 하부 축봉(20)(30)이 일정하게 회동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축봉(20)에는 연결로드(24)와 가이드바(27)가 고정설치되며, 상기 하부축봉(30)에는 좌, 우 각각 1쌍의 연결로드(34a)(34b)와 좌, 우 가이드바(37a)(37b)가 고정설치되는 이중경편기에 있어서,
상기 이중경편기의 운전을 정지시킨 후에 구동모터(M)와 구동축(10, 10')들 사이에 형성된 체인 또는 벨트를 해제시킨 후에 니들바늘대(17) 사이를 좁히거나 넓히기 위해서 니들바늘대(17)와 캠틀(16) 및 편심캠(15) 등으로 연결된 구동축(10)을 이동시키는 과정인 구동축 사이의 이격 과정과,
상기 구동축 사이의 이격 과정을 거친 후에 진행되는 작동간 체결위치 이동 과정과,
상기 작동간 체결위치 이동 과정을 거친 후에 진행되는 연결로드 길이 조절 과정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경편기의 인터레이싱 간격 조절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간 체결위치 이동 과정은 상기 구동축(10)이 이동됨에 따라서 제 1 편심캠(13)과 제 2 편심캠(14)에 각각 연결된 상하운동로드(13a, 14a)의 상단이 결합되는 작동간(21, 22)의 구멍(21-1, 21-2, 21-3, 21-4, 22-1, 22-2, 22-3, 22-4)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로드 길이 조절 과정은 상기 연결로드(24)와 체결공(23a) 사이의 체결위치를 조절하여 가이드바(27)가 변화된 니들바늘대(17) 사이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과정과 연결로드(34a, 34b)와 장공(33a, 33b) 사이의 체결위치를 조절하여 가이드바(37a, 37b)가 변화된 니들바늘대(17) 사이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양면의 직물이 형성하는 공간의 폭을 필요에 따라 30mm~500mm 사이에서 자유롭게 조절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도 1은 종래의 에어매트리스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경편기의 요부를 도시한 측면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경편기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정면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경편기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2의 "F"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경편기에 의해 직조된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직물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가이드바가 좌측으로 회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8은 가이드바가 우측으로 회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9는 이중경편기의 인터레이싱 간격 조절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이중경편기의 인터레이싱 간격 조절방법에 관한 것으로, 먼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이중경편기에 대해 설명한 다음에 이중경편기의 인터레이싱 간격 조절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경편기의 요부를 도시한 측면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경편기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정면개략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경편기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F"부 확대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경편기에는 구동모터(M)의 동력전달을 받아 변속되는 구동축(10)(10')상에 편심캠(15)이 설치되되, 상기 편심캠(15)은 피동축(16b)에 축결합된 캠틀(16)의 일측 베어링(16a)과 접촉되게 설치되어서 구동축(10)(10')의 구동시 편심캠(15)과 캠틀(16)의 일측 베어링(16a)이 캠작동되어 캠틀(16)의 승강봉(16c) 상부에 형성된 니들바늘대(17)가 승하강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10)에는 제1,2구동스프로켓(11a)(12a)이 축결합되어 각각 제1, 2편심캠(13)(14)이 축결합된 피동축(11c)(12c)의 피동스프로켓(11b)(12b)과 체인(18)이 연결되되, 상기 제1, 2편심캠(13)(14)의 상하운동로드(13a)(14a)가 작동간(21)(22)의 일측에 체결고정되고 상기 제1, 2작동간(21)(22)은 일측이 각각 상, 하부축봉(20)(30)에 고정설치되어서 구동축(10)의 구동시 상, 하부 축봉(20)(30)이 일정하게 회동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부축봉(20)에는 하부에 체결공(23a)이 천공된 회동간(23)이 결합되되, 상기 회동간(23)의 체결공(23a)에 연결로드(24)가 체결되어 일측에 작동로드(25)의 단부가 연결되고 저면에 가이드바(27)가 고정설치된다.
한편, 상기 하부축봉(30)에는 장공(33a)(33b)이 천공된 원호상의 회동간(33)을 결합하되 상기 장공(33a)(33b)에 좌, 우 각각 1쌍의 연결로드(34a)(34b)가 체결되어 각각 일측에 작동로드(35a)(35b)의 단부가 결합되고 저면에 좌, 우 가이드바(37a)(37b)가 고정설치된다.
이때, 상기 작동로드(25)(35a)(35b)는 상기 구동축(10)의 동력전달을 받아 구동되는 통상의 가이드작동장치(40)의 패턴체인(41)의 돌편(42)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각 가이드바(27)(37a)(37b)를 전후유동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캠틀(16)의 승강봉(16c) 상부에 결합되는 니들바늘대(17)에는 장홈(17a)이 형성되어 있어 승강봉(16c)의 상부에서 체결고정시 좌, 우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미설명부호로서 3은 섬유사, 4는 파일사, 5는 싱커, 6은 편침을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경편기의 작용에 대해 살펴 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경편기에 의해 직조된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직물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7은 가이드바가 좌측으로 회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며, 도 8은 가이드바가 우측으로 회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먼저 상기한 양면경편기의 가이드바(27)(37a)(37b)의 하부에 균일한 배열로 설치된 싱커(5)에 섬유사(3)를 끼워넣고 구동모터(M)에 전원을 연결시키면, 상기 구동모터(M)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구동축(10)(10')의 편심캠(15)은 상기 편심캠(15)과 접촉되어 있는 캠틀(16)의 베어링(16a)과 캠작동하게 되어 상부에 편침(6)이 설치된 니들바늘대(17)를 승강봉(16c)으로 상하구동시키게 되고, 상기 승하강하는 니들바늘대(17)의 편침(6)에 좌, 우 가이드바(37a)(37b)의 싱커(5)에 공급되는 섬유사(3)를 좌, 우 가이드바(37a)(37b)의 좌우, 전후운동에 의해 좌, 우 양면의 직물로 직조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축(10)에 축결합된 제1구동스프로켓(11a)은 체인연결된 피동스프로켓(11b)을 구동시키고, 이에 피동스프로켓(11b)과 동일축상에 있는 편심캠(13)의 상하운동로드(13a)에 의해 제1작동간(21)을 상하운동시켜 하부축봉(30)과 하부축봉(30)에 삽착된 원호상의 회동간(33)의 좌, 우가이드바(37a)(37b)를 좌, 우 운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구동축(10)의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는 가이드작동장치(40)의 패턴체인(41)에 형성된 돌편(42)이 상기 연결로드(34a)(34b)에 단부가 체결고정된 작동로드(35a)(35b)를 밀게되어 상기 좌, 우 가이드바(37a)(37b)의 각쌍이 서로 엇갈린 상태로 전후이동하면서 좌, 우양면의 직물을 직조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그 직조패턴은 통상적인 경편기의 운용방법에 따라 변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편침(6)이 설치된 니들바늘대(17)가 승, 하강시 좌, 우가이드바(37a)(37b)는 좌우, 전후운동하여 좌우양면의 직물을 직조하는 동시에 상부 축봉(20)에 삽착된 회동간(23)은 그 하부의 체결공(23a)에 연결로드(24)에 의해 가이드바(27)를 고정시켜서 그 하부에 균일한 배열로 설치된 싱커(5)에 공급되는 파일사(4)가 상기 가이드바(27)의 좌우, 전후운동에 의해 좌, 우 양면의 직물에 교대로 직조되어 이들 양면직물이 일정간격 유지되면서 상호 연결된다.
이때 상기 구동축(10)에 축결합된 제2구동스프로켓(12a)은 체인(18)연결된 피동스프로켓(12b)을 구동시키고 이에 피동스프로켓(12b)과 동일측상에 있는 제2편심캠(14)의 상하운동로드(14a)에 의해 제2작동간(22)을 상하운동시켜 상부축봉(20)과 상부축봉(20)에 삽착된 회동간(23)의 가이드바(27)를 좌,우 운동시키게 되는데 상기 가이드바(27)의 싱커(5)에 공급된 파일사(4)는 니들바늘대(17)의 편침(6)이 승하강하게되며 좌, 우가이드바(37a)(37b)가 좌측으로 회동시 좌측으로 회동하여 좌가이드바(37a)의 섬유사(3)와 같이 편침(6)에 의해 좌측직물에 도 7과 같이 직조된다.
그리고 상기 좌, 우가이드바(37a)(37b)가 우측으로 회동시 우측으로 회동하여 우가이드바(37b)의 섬유사(3)와 같이 편심(6)에 의해 우측직물에 직조되어(도 8 참조) 좌우양면의 직물을 상호 연결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구동축(10)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가이드작동장치(40)의 패턴체인(41)의 돌편(42)이 상기 연결로드(24)에 단부가 나합고정된 작동로드(25)를 밀게되어 상기 가이드바(27)는 전후로 이동하여 좌우 양면의 직물을 상호연결하는 파일사(4)를 일정한 패턴에 의해 전, 후 이동시키며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직물지가 직조된다.
한편, 상기 양면경편기에 의해 직조된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직물지는 통상적인 양면경편기의 운용방법에 따라 그 직조패턴을 변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 우가이드바(37a)(37b)가 2번회동할 때 파일사(4)를 공급하는 가이드바(27)가 1번 회동하게 하여 파일사(4)의 공급주기를 적게 하거나 가이드 작동장치(40)에 의한 전후요동의 크기나 주기를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직물지는 파일사(4)에 의해 양면의 직물이 형성하는 공간의 폭을 필요에 따라 조절가능하게 된다.
도 9는 이중경편기의 인터레이싱 간격 조절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인 이중경편기의 인터레이싱 간격 조절방법은 시작 과정인 제 1 단계(S100)와, 제 1 단계(S100)를 거친 후에 진행되는 구동축 사이의 이격 과정인 제 2 단계(S200)와, 제 2 단계(S200)를 거친 후에 진행되는 작동간 체결위치 이동 과정인 제 3 단계(S300)와, 제 3 단계(S300)를 거친 후에 진행되는 연결로드 길이 조절 과정인 제 4 단계(S400) 및 제 4 단계(S400)를 거친 후에 진행되는 종료과정인 제 5 단계(S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2 단계(S200)인 구동축 사이의 이격 과정은 상기 구동모터(M)의 동력전달을 받아 변속되는 구동축(10)(10')의 구동시 편심캠(15)과 캠틀(16)의 일측 베어링(16a)이 캠작동되어 캠틀(16)의 승강봉(16c) 상부에 형성된 니들바늘대(17)가 승하강되고, 상기 구동축(10)에는 제1,2구동스프로켓(11a)(12a)이 축결합되어 각각 제1, 2편심캠(13)(14)이 축결합된 피동축(11c)(12c)의 피동스프로켓(11b)(12b)과 체인(18)이 연결되되, 상기 제1, 2편심캠(13)(14)의 상하운동로드(13a)(14a)가 작동간(21)(22)의 일측에 체결고정되고 상기 제1, 2작동간(21)(22)은 일측이 각각 상, 하부축봉(20)(30)에 고정설치되어서 구동축(10)의 구동시 상, 하부 축봉(20)(30)이 일정하게 회동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축봉(20)에는 연결로드(24)와 가이드바(27)가 고정설치되며, 상기 하부축봉(30)에는 좌, 우 각각 1쌍의 연결로드(34a)(34b)와 좌, 우 가이드바(37a)(37b)가 고정설치되는 이중경편기의 운전을 정지시킨 후에 구동축(10)과 구동축(10')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과정으로, 구동모터(M)와 구동축(10, 10')들 사이에 형성된 체인 또는 벨트를 해제시킨 후에 니들바늘대(17) 사이를 좁히거나 넓히기 위해서 니들바늘대(17)와 캠틀(16) 및 편심캠(15) 등으로 연결된 구동축(10)을 이동시키는 과정이다.
그리고 제 3 단계(S300)는 상기 구동축(10)이 이동됨에 따라서 제 1 편심캠(13)과 제 2 편심캠(14)에 각각 연결된 상하운동로드(13a, 14a)의 상단이 결합되는 작동간(21, 22)의 구멍(21-1, 21-2, 21-3, 21-4, 22-1, 22-2, 22-3, 22-4)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이다.
제 4 단계(S400)는 상기 연결로드(24)와 체결공(23a) 사이의 체결위치를 조절하여 가이드바(27)가 변화된 니들바늘대(17) 사이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과정과 연결로드(34a, 34b)와 장공(33a, 33b) 사이의 체결위치를 조절하여 가이드바(37a, 37b)가 변화된 니들바늘대(17) 사이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 포함된다.
제 4 단계(S400)를 거친 후에 제 5 단계(S500)인 종료단계가 완료된다.
예를 들어, 니들바늘대(17) 사이의 간격을 확장시키는 경우에는 제 2 단계(S200)에서 구동축(10, 10') 사이의 간격을 확장시키고, 제 3 단계(S300)에서 상하운동로드(13a, 14a)의 상단 연결 위치를 기존구멍(21-2, 22-2)에서 외측구멍(21-1, 22-1)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 4 단계(S400)에서 가이드바(27)가 변화된 니들바늘대(17) 사이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연결로드(24)와 체결공(23a) 사이의 체결위치를 조절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에 양면의 직물이 형성되는 공간의 폭을 30mm까지 조절하였던 것을 필요에 따라 30~500mm까지 조절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10' : 구동축 13, 14 : 제1, 2편심캠
15 : 편심캠 16 : 캠틀
17 : 니들바늘대 20 : 상부축봉
30 : 하부축봉 23, 33 : 회동간
24, 34a, 34b : 연결로드 25, 35a, 35b : 작동로드
27, 37a, 37b : 가이드바 40 : 가이드작동장치
41 : 패턴체인

Claims (4)

  1. 구동모터(M)의 동력전달을 받아 변속되는 구동축(10)(10')의 구동시 편심캠(15)과 캠틀(16)의 일측 베어링(16a)이 캠작동되어 캠틀(16)의 승강봉(16c) 상부에 형성된 니들바늘대(17)가 승하강되고, 상기 구동축(10)에는 제1,2구동스프로켓(11a)(12a)이 축결합되어 각각 제1, 2편심캠(13)(14)이 축결합된 피동축(11c)(12c)의 피동스프로켓(11b)(12b)과 체인(18)이 연결되되, 상기 제1, 2편심캠(13)(14)의 상하운동로드(13a)(14a)가 작동간(21)(22)의 일측에 체결고정되고 상기 제1, 2작동간(21)(22)은 일측이 각각 상, 하부축봉(20)(30)에 고정설치되어서 구동축(10)의 구동시 상, 하부 축봉(20)(30)이 일정하게 회동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축봉(20)에는 연결로드(24)와 가이드바(27)가 고정설치되며, 상기 하부축봉(30)에는 좌, 우 각각 1쌍의 연결로드(34a)(34b)와 좌, 우 가이드바(37a)(37b)가 고정설치되는 이중경편기에 있어서,
    상기 이중경편기의 운전을 정지시킨 후에 구동모터(M)와 구동축(10, 10')들 사이에 형성된 체인 또는 벨트를 해제시킨 후에 니들바늘대(17) 사이를 좁히거나 넓히기 위해서 니들바늘대(17)와 캠틀(16) 및 편심캠(15) 등으로 연결된 구동축(10)을 이동시키는 과정인 구동축 사이의 이격 과정과,
    상기 구동축 사이의 이격 과정을 거친 후에 진행되는 작동간 체결위치 이동 과정과,
    상기 작동간 체결위치 이동 과정을 거친 후에 진행되는 연결로드 길이 조절 과정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경편기의 인터레이싱 간격 조절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간 체결위치 이동 과정은 상기 구동축(10)이 이동됨에 따라서 제 1 편심캠(13)과 제 2 편심캠(14)에 각각 연결된 상하운동로드(13a, 14a)의 상단이 결합되는 작동간(21, 22)의 구멍(21-1, 21-2, 21-3, 21-4, 22-1, 22-2, 22-3, 22-4)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경편기의 인터레이싱 간격 조절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로드 길이 조절 과정은 상기 연결로드(24)와 체결공(23a) 사이의 체결위치를 조절하여 가이드바(27)가 변화된 니들바늘대(17) 사이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과정과 연결로드(34a, 34b)와 장공(33a, 33b) 사이의 체결위치를 조절하여 가이드바(37a, 37b)가 변화된 니들바늘대(17) 사이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경편기의 인터레이싱 간격 조절방법.
  4. 청구항 1에 의하여 인터레이싱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제조되는 이중경편직물.
KR1020100106714A 2010-10-29 2010-10-29 이중경편기의 인터레이싱 간격 조절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이중경편직물 KR101021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714A KR101021579B1 (ko) 2010-10-29 2010-10-29 이중경편기의 인터레이싱 간격 조절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이중경편직물
CN2011800346485A CN103097599A (zh) 2010-10-29 2011-06-08 双层经编机的交织间距调节方法和用该方法织出的双层经编织物
PCT/KR2011/004186 WO2012057429A1 (ko) 2010-10-29 2011-06-08 이중경편기의 인터레이싱 간격 조절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이중경편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714A KR101021579B1 (ko) 2010-10-29 2010-10-29 이중경편기의 인터레이싱 간격 조절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이중경편직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1579B1 true KR101021579B1 (ko) 2011-03-17

Family

ID=43938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6714A KR101021579B1 (ko) 2010-10-29 2010-10-29 이중경편기의 인터레이싱 간격 조절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이중경편직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021579B1 (ko)
CN (1) CN103097599A (ko)
WO (1) WO201205742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228B1 (ko) * 2013-10-28 2014-02-12 김경하 공간직물 제조장치
KR102427435B1 (ko) * 2022-02-09 2022-08-05 박노헌 더블랏셀 경편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225B1 (ko) 2017-01-09 2017-05-11 최윤원 경편기의 하부바늘 구동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8108U (ko) * 1994-08-23 1996-03-15 김재화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편직물지 직조용 양면경편기
KR200202305Y1 (ko) 1998-06-17 2000-11-15 채병연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직물지 직조용 양면경편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6458B2 (ja) * 2001-12-28 2006-01-18 日本マイヤー株式会社 ダブルラッシェル機におけるトリックプレート間隔変更装置
KR200280245Y1 (ko) * 2002-04-03 2002-06-29 김재화 양면 편직물지 직조용 편직기
CN2698821Y (zh) * 2004-05-28 2005-05-11 卡尔迈耶纺织机械有限公司 脱圈板间距中央调节机构
KR200408288Y1 (ko) * 2005-10-19 2006-02-08 강매원 양면경편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원단
CN2918477Y (zh) * 2006-04-26 2007-07-04 常德纺织机械有限公司 双针床经编机针槽板间距调节机构
CN201245750Y (zh) * 2008-06-30 2009-05-27 刘彤彦 双针床经编机的脱圈板调整机构
KR101029819B1 (ko) * 2009-03-30 2011-04-15 주식회사 경인 더블 라셀 머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8108U (ko) * 1994-08-23 1996-03-15 김재화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편직물지 직조용 양면경편기
KR200202305Y1 (ko) 1998-06-17 2000-11-15 채병연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직물지 직조용 양면경편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228B1 (ko) * 2013-10-28 2014-02-12 김경하 공간직물 제조장치
KR102427435B1 (ko) * 2022-02-09 2022-08-05 박노헌 더블랏셀 경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57429A1 (ko) 2012-05-03
CN103097599A (zh) 201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1579B1 (ko) 이중경편기의 인터레이싱 간격 조절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이중경편직물
CN102154780B (zh) 一种多功能花边钩编机
CN103409933B (zh) 一种分结构的宽幅提花经编机
KR101363228B1 (ko) 공간직물 제조장치
CN202898728U (zh) 一种经编机
CN100408743C (zh) 经编机
CN202072885U (zh) 一种多功能花边钩编机
KR20150126203A (ko) 편물지
CN201265080Y (zh) 横机中的针织物牵拉装置的开关机构
WO2018227396A1 (zh) 一种新型立体多色织物贾卡经编机
KR200407423Y1 (ko) 이격공간을 이루는 더블 편직물 경편장치
EP2130962B1 (en) Method to produce textile articles with warp-knitting machines and machine to carry out such a method
CN107558148B (zh) 一种纺织布自动裁剪收装一体机
CN203451779U (zh) 一种分结构的宽幅提花经编机
JP2018503000A5 (ko)
CN206359733U (zh) 一种可生产特殊压纱花型织物的多梳拉舍尔经编机
KR101710417B1 (ko) 코메즈 장치
CN111560700B (zh) 经编机花梳导纱器
KR960003481Y1 (ko)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편직물지 직조용 양면경편기
KR200280245Y1 (ko) 양면 편직물지 직조용 편직기
CN107503059A (zh) 一种纺织用自动烘干收装设备
KR200202305Y1 (ko)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직물지 직조용 양면경편기
CN100424245C (zh) 横机的线迹压针机构
KR100510955B1 (ko) 3차원직포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양면경편기
KR101710371B1 (ko) 모듈화 된 코메즈 편직용 컨트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