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6897B1 - 날개사 제조 장치와 방법 - Google Patents

날개사 제조 장치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6897B1
KR102306897B1 KR1020210053944A KR20210053944A KR102306897B1 KR 102306897 B1 KR102306897 B1 KR 102306897B1 KR 1020210053944 A KR1020210053944 A KR 1020210053944A KR 20210053944 A KR20210053944 A KR 20210053944A KR 102306897 B1 KR102306897 B1 KR 102306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central
center
loop
adver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태
Original Assignee
김원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태 filed Critical 김원태
Priority to KR1020210053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8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4Yarns or threads having slubs, knops, spirals, loops, tufts, or other irregular or decorative effects, i.e. effect yar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26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with characteristics dependent on the amount or direction of twist
    • D02G3/28Doubled, plied, or cabled thr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날개사 제조 장치와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날개사에 관한 것으로, 복수가닥의 부사를 복수개의 중심사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교차시켜 꼬아지도록 함으로써 모든 중심사 루프에 부사가 꼬아져서 밀도가 향상되도록 하여, 풀림이 억제되면서 편물의 촉감을 개선하는 날개사 제조 장치와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날개사를 제공하는 데 있다.

Description

날개사 제조 장치와 방법{feather yarn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날개사 제조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날개사의 밀도가 향상되도록 하여, 풀림이 억제되면서 편물의 촉감을 개선하는 날개사 제조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날개사(feather yarn)는 중심사(中心絲)를 경사(經絲)(날실, warp)로 이용하고, 상기 중심사에 한올 이상의 부사(副絲)를 위사(緯絲)(씨실, woof)로 이용하여 중심사와 부사를 상호 편직시켜 중심사에 부사가 꼬아진 형태로 가공한 후, 부사를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완성되는 실로서, 중심사의 한쪽 또는 양쪽으로 부사가 마치 날개처럼 돌출되므로 날개사라고 칭하며, 일명 '탁텔사(tactel 絲)' 또는 '팬시얀(fancy yarn, 장식사)' 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날개사는 모자나 셔츠, 블라우스, 치마, 바지와 같은 각종 의류와 수세미 등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날개사를 이용하여 제조된 옷 등은 날개사가 쉽게 빠져 흩날려 주위를 어지럽히고 주변 의류등에 부착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며, 보온용도로 사용된 경우 날개사가 많이 빠지면 보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더욱이 종래 날개사는 1가닥의 부사가 복수개의 중심사를 지그재그로 왕복하면서 교차된 후 부사의 중심을 절단하므로, 부사는 중심사의 모든 루프에 위치되지 못하고 하나씩 걸러서 위치되므로 제조된 날개사에서 부사의 함량이 적고 이로 인하여 보온성이 낮으며, 거친느낌이 발생되고 부사가 교차되지 않은 중심사 부분은 부사 부피만큼 루프에 공간이 발생되므로 직물을 편성하거나 다른 가공 중 해당 루프부분이 다른 루프부분으로 이동되면서 부사가 끼워진 루프도 헐거워 지면서 부사가 빠지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한편, 상기한 날개사를 제조하는 종래 장치의 예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날개사 제조 장치(10)는 크릴(10a)로부터 인출된 위사(1)가 공급대(11)를 지나고 분리대(12)를 지나면서 하강하여 위사가이드부재(13)에 설치된 위사공급부(14)에 공급된다.
그리고, 경사(2)는 경사공급릴(18)로부터 공급되어 경사공급부(15)에 공급된다.
이때,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뜨개바늘(16)이 상기 복수개의 경사(2)에 위사(1)를 지그재그로 엮어 원사(3)가 제조되고, 이와 같이 제조된 원사(3)는 롤러(20)를 지나게 되면서 가위(17)에 의해 위사(1)가 절단되어 날개사(4)가 만들어지며, 이 날개사(4)는 안내롤러(21)를 거쳐 회수릴(19)에 회수된다.
여기서, 상기 경사공급부(15)는 1피치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바늘(15a) 중 양 끝단의 바늘(15a)에 2개의 경사(2)을 각각 끼운 상태에서 좌우방향(a1)으로 1피치씩 왕복이동하면서 공급하고, 상기 위사공급부(14)는 1개의 위사(1)를 상기 양 끝단의 바늘(15a)의 간격만큼(a2) 왕복이동하면서 공급하며, 이때 상기 뜨개바늘(16)은 그 양단에 구비된 2개의 뜨개 바늘(16a)이 전후방향(a3)으로 왕복이동하면서 상기 위사(1)를 경사(2)에 엮어 원사(3)를 제조한다.
이렇게 생산된 1줄의 원사(3)는 뜨개바늘 가이드블럭(22)과 원사가이드블럭(23)의 사이로 안내되어 아래방향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위(17)에 의해 절단되어 생산된 날개사(4)는 가이드롤러(21)를 통해서 회수릴(18)에 회수되게 된다.
한편, 상기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사공급부(14)와 경사공급부(15)와 뜨개바늘(16)을 1조로 하여 1개의 원사(3)가 생산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수개의 조를 좌우방향으로 간격을 일정하게 나열하면 나열된 조의 수만큼의 원사(3)를 얻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날개사 제조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경사 즉 부사가 복수개의 중심사 사이를 지그재그로 왕복하므로, 부사의 밀도가 낮고, 풀림이 발생되며, 촉감이 거칠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93399호 대한민국 공개번호 10-2001-0039448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가닥의 부사를 복수개의 중심사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교차시켜 꼬아지도록 함으로써 모든 중심사 루프에 부사가 꼬아져서 밀도가 향상되도록 하여, 풀림이 억제되면서 편물의 촉감을 개선하는 날개사 제조 장치와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상하로 나란히 위치된 복수개의 제 1/2 중심사용 지지블록(110a)(110b), 상기 제 1/2 중심사용 지지블록(110a)(110b)에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고 평면상 서로 소정치수만큼 어긋나도록 구비되는 제 1/2 중심사용 가이드(120a)(120b), 상기 제 1/2 중심사용 지지블록(110a)(110b)을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하 왕복운동하도록 하는 중심사용 구동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중심사공급부(100); 전후로 나란히 위치된 복수개의 제 1/2 부사용 지지블록(210a)(210b), 상기 제 1/2 부사용 지지블록(210a)(210b)에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는 제 1/2 부사용 가이드(220a)(220b), 상기 제 1/2 부사용 지지블록(210a)(210b)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좌우 왕복운동시킴과 아울러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는 부사용 구동수단(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부사 공급부(200); 다수개의 바늘(310)이 제 1/2 중심사용 가이드(120a)(120b)와 같은 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다수개의 바늘(310)이 전/후 왕복운동하면서 상기 제 1/2 중심사용 가이드(120a)(120b)를 통과한 제 1/2중심사(500)와, 제 1/2 부사용 가이드(220a)(220b)를 통과한 제 1/2부사(700)중 같은 위치에 위치되는 중심사와 부사를 한번에 엮어 루프를 형성하는 루프 형성부(300); 상기 중심사 공급부(100)와 부사 공급부(200) 및 루프 형성부(300)에 의하여 형성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히 배열된 제 1/2중심사(500a)(500b) 사이를 제 1/2부사(700a)(700b)가 지그재그로 교차하면서 계속해서 루프를 형성함으로써 제조된 원사에서 제 1/2부사(700a)(700b)의 중심을 절단하여 날개사를 제조하는 절단부(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사 제조 장치 및 방법에 있다.
한편, 상기한 제조장치 및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날개사는 심사와 부사가 동시에 루프를 형성하되, 상기 모든 루프에 제 1 부사 및 제 2 부사가 교대로 포함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가닥의 부사를 복수개의 중심사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교차시켜 꼬아지도록 함으로써 모든 중심사 루프에 부사가 꼬아져서 밀도가 향상되고, 이로 인하여 날개사의 풀림이 억제되면서 편물의 촉감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종래 날개사 제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날개사 제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날개사 제조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날개사 제조 장치로 제조된 날개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날개사 제조 장치는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사공급부(100), 부사 공급부(200), 루프형성부(300), 절단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중심사공급부(100)는 상하로 나란히 위치된 복수개의 제 1/2 중심사용 지지블록(110a)(110b), 상기 제 1/2 중심사용 지지블록(110a)(110b)에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고 평면상 서로 소정치수만큼 어긋나도록 구비되는 제 1/2 중심사용 가이드(120a)(120b), 상기 제 1/2 중심사용 지지블록(110a)(110b)을 구동시키되, 상기 제 1/2 중심사용 지지블록(110a)(110b)은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하 및 좌우 왕복운동하도록 하는 중심사용 구동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제 1/2 중심사용 가이드(120a)(120b)가 타원모양으로 운동되어 그 간격이 좁아졌다가 넓어지면서 상/하 왕복하는 것을 반복하도록 한다.
이때 제 1/2 중심사용 가이드(120a)(120b)는 도 4의 경사공급부와 동일하게 구성된 것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제 1/2 중심사용 지지블록(110a)(110b)을 구동시키는 중심사용 구동부(130)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2 중심사용 지지블록(110a)(110b)의 양측면에 구비되고 날개사 제조 장치를 구성하는 프레임(610)에 좌우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구동축(131), 상기 제 1/2 중심사용 지지블록(110a)(110b)에 일측 종단이 연결되어 제 1/2 중심사용 지지블록(110a)(110b)이 구동축(131)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상하 왕복운동하도록 하는 다수개의 링크(133), 상기 링크(133)의 타측 종단이 설치되어 링크(133)를 구동하는 구동모터 등의 구동수단(1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구동축(131)을 좌우 왕복시키는 구성은 프레임(610) 내부에 모터(136)와 편심캠(137), 링크(138)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이외에도 당업자라면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구동축(131)이 좌우왕복운동하는 것을 링크(133)가 수용할 수 있어야 하므로 이를 위하여 링크(133)와 구동축(131)을 연결하는 연결핀(133a)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거나 연결핀이 삽입되는 통공의 직경을 연결핀보다 다소 크게 하여 링크의 좌우이동 및 기울어짐이 가능하도록 하여 구동축(131)이 좌우이동되는동안 구동축(131) 혹은 구동축(131)에 구비된 제 1/2 중심사용 지지블록(110a)(110b)이 소정각도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부사 공급부(200)는 전후로 나란히 위치된 복수개의 제 1/2 부사용 지지블록(210a)(210b), 상기 제 1/2 부사용 지지블록(210a)(210b)에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는 제 1/2 부사용 가이드(220a)(220b), 상기 제 1/2 부사용 지지블록(210a)(210b)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좌우 왕복운동시킴과 아울러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시켜 복수개의 제 1/2 부사용 가이드(220a)(220b)에 안내된 복수개의 제 1/2부사(700)를 승하강 및 복수개의 제 1/2중심사(500)간격만큼 서로 반대방향으로 지즈재그로 왕복운동운동시키는 부사용 구동수단(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제 1/2 부사용 가이드(220a)(220b)는 도 4에 나타내는 위사공급부와 동읽한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부사용 구동수단(230)은 중심사용 구동수단(130)과 동기화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부사용 구동수단(230)은 구동모터와 편심캠 및 링크를 통해서 좌우 왕복운동하고, 제 1/2 부사용 지지블록(210a)(210b)의 양측에 돌출된 구동축(212)이 관통설치된 부사용 브라켓(240)이 구동모터, 캠 등에 이하여 가이드(242)를 따라 승하강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승하강 및 좌우왕복구성은 중심사용 구동수단의 구동모터와 편심캠 및 링크 구성과 동일하게 하거나 이외에도 당업자에게는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는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루프 형성부(300)는 다수개의 바늘(310)이 제 1/2 중심사용 가이드(120a)(120b)와 같은 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다수개의 바늘(310)이 전/후 왕복운동하면서 상기 제 1/2 중심사용 가이드(120a)(120b)를 통과한 제 1/2중심사(500)와, 제 1/2 부사용 가이드(220a)(220b)를 통과한 제 1/2부사(700)중 같은 위치에 위치되는 중심사와 부사를 한번에 엮어 루프를 형성하여,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2 중심사(500)에 제 1/2부사(700)가 지그재그로 엮인 상태의 원사를 만든다.
이때, 상기 바늘(310)은 도 4의 뜨개바늘(16)구성과 동일하고, 상기 바늘(310)이 왕복하면서 루프를 형성하는 구성은 당업계에서는 자명한 사항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루프형성부(300)에 의하여 제조된 원사의 중심 즉 제 1/2부사(700)의 중심을 절단부(400)에서 절단하여 날개사를 제조한다.
이때 상기 절단부는 원반형의 회전칼날(410)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날개사 제조장치를 이용한 날개사 제조방법을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살펴보되, 1쌍의 줄심사와 이에 결합되는 한 쌍의 ㅂ부사를 위주로 설명한다.
우선 복수개의 중심사(500a)(500b)와 복수개의 부사(700a)(700b)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여 각각 중심사용 가이드와 부사용 가이드를 통과시켜, 제 1중심사(500a) 위치에 제 1부사(700a)가 위치되고, 제 2중심사(500b) 위치에 제 2부사(700b)가 위치되어 루프 형성부(300)를 구성하는 바늘로 제 1중심사(500a)와 제 1부사(700a)로 루프를 형성하고, 제 2중심사(500b)와 제 2부사(700b)로 루프를 형성한다.
이때, 도면상 제 1/2 부사(700a)(700b)의 지시선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2 부사용 가이드에 표시한다.
이후 제 1부사(700a)는 제 2중심사(500a)위치로 제 2부사(700b)는 제 1중심사(500a)위치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데, 도 11은 도 10의 상태에서 제 1/2 부사(700a)(700b)가 중간정도 지점에서 교차되기 직전 위치이고, 도 12는 도 11의 상태에서 제 1/2 부사(700a)(700b)가 중간 지점에서 교차된 직후의 위치이며, 도 13은 제 1부사(700a)가 제 2중심사(500b)상으로, 제 2부사(700b)가 제 1중심사(500a)상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제 1부사(700a)가 제 2중심사(500b)상으로, 제 2부사(700b)가 제 1중심사(500a)상으로 이동되면 루프 형성부(300)를 구성하는 바늘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진하여 제 1중심사(500a)와 제 2부사(700b)로 루프를 형성하고, 제 2중심사(500b)와 제 1부사(700a)로 루프를 형성하고, 이후 이 과정을 계속해서 반복한다.
도 15는 상기 바늘이 루프를 형성하기 위하여 각각 제 1중심사(500a)와 제 2부사(700b)를 걸고 후퇴하는 것과, 제 2중심사(500b)와 제 1부사(700a)를 걸어서 후퇴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히 배열된 제 1/2중심사(500a)(500b) 사이를 제 1/2부사(700a)(700b)가 지그재그로 교차하면서 계속해서 루프를 형성하여 원사를 제조하고, 상기 원사를 절단부에서 제 1/2부사의 중심을 절단하여 날개사를 제조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날개사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심사(500b)로 형성된 모든 루프에 제 1/2부사(700a)(700b)가 교대로 포함되고, 모든 루프가 중심사와 부사로 형성되므로, 이후 해당 날개사로 제조된 의류 등에서 부사의 양이 많아 보온성이 우수하고 촉감이 부드러우며, 부사가 쉽게 탈락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6은 날개사 중 제 2심사로 형성된 날개사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제 1심사로 형성된 날개사도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100 ; 중심사 공급부
200 : 부사 공급부
300 : 루프형성부
400 : 절단부

Claims (5)

  1. 상하로 나란히 위치된 복수개의 제 1/2 중심사용 지지블록(110a)(110b), 상기 제 1/2 중심사용 지지블록(110a)(110b)에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고 평면상 서로 소정치수만큼 어긋나도록 구비되는 제 1/2 중심사용 가이드(120a)(120b), 상기 제 1/2 중심사용 지지블록(110a)(110b)을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하 왕복운동하도록 하는 중심사용 구동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중심사공급부(100);
    전후로 나란히 위치된 복수개의 제 1/2 부사용 지지블록(210a)(210b), 상기 제 1/2 부사용 지지블록(210a)(210b)에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는 제 1/2 부사용 가이드(220a)(220b), 상기 제 1/2 부사용 지지블록(210a)(210b)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좌우 왕복운동시킴과 아울러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는 부사용 구동수단(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부사 공급부(200);
    다수개의 바늘(310)이 제 1/2 중심사용 가이드(120a)(120b)와 같은 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다수개의 바늘(310)이 전/후 왕복운동하면서 상기 제 1/2 중심사용 가이드(120a)(120b)를 통과한 제 1/2중심사(500)와, 제 1/2 부사용 가이드(220a)(220b)를 통과한 제 1/2부사(700)중 같은 위치에 위치되는 중심사와 부사를 한번에 엮어 루프를 형성하는 루프 형성부(300);
    상기 중심사 공급부(100)와 부사 공급부(200) 및 루프 형성부(300)에 의하여 형성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히 배열된 제 1/2중심사(500a)(500b) 사이를 제 1/2부사(700a)(700b)가 지그재그로 교차하면서 계속해서 루프를 형성함으로써 제조된 원사에서 제 1/2부사(700a)(700b)의 중심을 절단하여 날개사를 제조하는 절단부(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사 제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400)는 원반형의 회전칼날(410)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사 제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중심사용 지지블록(110a)(110b)은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하 왕복운동하면서 동시에 좌우 왕복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사 제조 장치.
  4. 복수개의 중심사(500a)(500b)와 복수개의 부사(700a)(700b)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여 각각 중심사용 가이드와 부사용 가이드를 통과시켜, 제 1중심사(500a) 위치에 제 1부사(700a)가 위치되고, 제 2중심사(500b) 위치에 제 2부사(700b)가 위치되어 루프 형성부(300)를 구성하는 바늘로 제 1중심사(500a)와 제 1부사(700a)로 루프를 형성하고, 제 2중심사(500b)와 제 2부사(700b)로 루프를 형성하는 과정;
    이후 제 1부사(700a)는 제 2중심사(500a)위치로 제 2부사(700b)는 제 1중심사(500a)위치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1부사(700a)가 제 2중심사(500b)상으로, 제 2부사(700b)가 제 1중심사(500a)상으로 이동되면, 루프 형성부(300)를 구성하는 바늘로 제 1중심사(500a)와 제 2부사(700b)로 루프를 형성하고, 제 2중심사(500b)와 제 1부사(700a)로 루프를 형성하는 과정;
    상기 과정들을 계속해서 반복함으로써,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히 배열된 제 1/2중심사(500a)(500b) 사이를 제 1/2부사(700a)(700b)가 지그재그로 교차하면서 계속해서 루프를 형성하여 원사를 제조하고, 상기 원사를 절단부를 통해서 제 1/2부사의 중심을 절단하여 날개사를 제조하는 과정;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사 제조 방법.
  5. 삭제
KR1020210053944A 2021-04-26 2021-04-26 날개사 제조 장치와 방법 KR102306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944A KR102306897B1 (ko) 2021-04-26 2021-04-26 날개사 제조 장치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944A KR102306897B1 (ko) 2021-04-26 2021-04-26 날개사 제조 장치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6897B1 true KR102306897B1 (ko) 2021-09-28

Family

ID=77923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944A KR102306897B1 (ko) 2021-04-26 2021-04-26 날개사 제조 장치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689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9448A (ko) 1999-10-30 2001-05-15 손동태 편조날개사 및 날개사용 루우프파일 절개장치
KR101393399B1 (ko) 2013-05-24 2014-05-13 이창우 고신축성 날개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9448A (ko) 1999-10-30 2001-05-15 손동태 편조날개사 및 날개사용 루우프파일 절개장치
KR101393399B1 (ko) 2013-05-24 2014-05-13 이창우 고신축성 날개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1253A (en) Method and device for making weft of weaving for wigs
MX2011010844A (es) Dispositivo para producir una estera de fibras por tejeduria.
US8800606B2 (en) Weaving finishing device
US3650228A (en) Tufting machines
US3746051A (en) Machine for making a partly woven and partly knitted fabric
KR102306897B1 (ko) 날개사 제조 장치와 방법
CN114222836B (zh) 用于织造机器的纬纱线节约设备
CN101215757A (zh) 用以制造不抽丝弹性织物的方法
KR101663923B1 (ko) 꼬임을 이용한 후레이원단 전용 무늬형성방법 및 그 제직장치
WO2007093504A1 (en) Machine for weaving and concurrent embroidering of clothing items, specifically embroidered headgear
KR20160000261U (ko) 라셀편기의 무늬사 가이드장치, 이를 포함한 라셀편기 및 이를 이용하여 편직된 원단
US267357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pertured fabric
KR100925014B1 (ko) 자카드가 표현된 벨벳 및 이를 제조하는 장치와 그제조방법
US2141409A (en) Lace fabric
US20200024776A1 (en) Obtaining warp knit fabrics from cotton yarn with warp knitting machines and warp knit fabric obtained
JP2672832B2 (ja) 四軸織機
US4628711A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patterned warp-knitted material and a warp knitting machine for its use
KR101112101B1 (ko) 슬릿 얀 편직방법
KR102449156B1 (ko) 코아 네트 제조장치
CZ195495A3 (en) Set of sinkers in a knitting machine and process for producing loop and weft knitted fabrics
KR100582261B1 (ko) 직조기
KR101916013B1 (ko) 코로셋 머신
Fayez et al. Advanced Technology in Fabric Manufacturing
EP0294483A1 (en) Loom for gauze weaving or the like
KR200190227Y1 (ko) 부풀에 의해 형성된 무늬를 가지는 직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