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1201B1 -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 Google Patents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1201B1
KR101991201B1 KR1020180093079A KR20180093079A KR101991201B1 KR 101991201 B1 KR101991201 B1 KR 101991201B1 KR 1020180093079 A KR1020180093079 A KR 1020180093079A KR 20180093079 A KR20180093079 A KR 20180093079A KR 101991201 B1 KR101991201 B1 KR 101991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fishing
ring
attachment portion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히토 오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CN201880086712.6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1615334B/zh
Priority to JP2019531363A priority patent/JP6598416B1/ja
Priority to EP18901040.8A priority patent/EP3741210B1/en
Priority to PCT/JP2018/047623 priority patent/WO2019142624A1/ja
Priority to EP22160912.6A priority patent/EP4032399B1/en
Priority to TW108100341A priority patent/TWI683623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1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1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4Fishing-line guides on rods, e.g. t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5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fibre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59Coating ann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0Agricultural usage or equipment
    • B29L2031/7002Agricultural usage or equipment for fish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낚싯대의 관상 대에 부착되어 낚싯줄을 안내하는 낚싯줄 가이드를 제공한다. 낚싯줄 가이드는 환상의 부착부와, 낚싯줄이 통과하는 가이드 링과, 금속제의 박판으로 이루어지고 부착부와 부분적으로 결합되며 가이드 링을 지지하는 링 서포트를 포함한다. 링 서포트는, 가이드 링이 결합되는 링 유지공을 가지는 링 유지부와, 링 유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부착부에 부분적으로 매립되어 부착부와 결합되는 링 지지부를 포함한다. 부착부는 길이가 5mm 내지 10mm의 카본 장섬유를 포함하는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 재료로부터 인서트 사출되어 형성된다.

Description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FISHING LINE GUIDE AND FISHING ROD INCLUDING SAME}
본 개시는 낚싯줄을 안내하는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낚시구를 캐스팅할 때 또는 물고기를 낚아올릴 때에 낚싯줄을 가이드하기 위해 낚싯줄 가이드가 낚싯대의 관상 대에 부착된다. 낚싯줄 가이드는, 낚싯줄이 통과하는 가이드 링과, 가이드 링을 유지 및 지지하는 프레임과, 프레임과 결합되고 낚싯대의 관상 대에 부착되는 부착부를 가진다.
낚싯대 중 이른바 진출식(振出式) 낚싯대(telescopic fishing rod)에는, 낚싯대의 관상 대의 외주면에 억지끼워맞춤에 의해 고정되는 유동(遊動) 가이드 또는 슬라이딩 가이드가 사용되고 있다. 유동 가이드는, 낚싯대의 관상 대가 관통하는 환상의 부착부를 가진다. 유동 가이드는 관상 대가 부착부를 관통한 상태에서 관상 대를 따라 이동 가능하며, 부착부와 관상 대의 외주면 간의 억지끼워맞춤에 의해 낚싯대에 고정된다.
유동 가이드의 일 예로서, 일본 특허공보 제4275457호와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제(평)7-7726호는, 관상 대에 끼워맞춤되는 환상의 부착부와, 가이드 링을 지지하고 부착부에 끼워맞춤되는 부착링을 갖는 금속제의 프레임을 구비하는 유동 가이드를 개시한다.
유동 가이드를 진출식 낚싯대에 설치하기 위해, 유동 가이드의 환상 부착부는 낚싯대의 후단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된다. 진출식 낚싯대의 관상 대는 낚싯대의 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관상 대의 외경과 부착부의 내경이 동일해지는 위치에서, 부착부는 관상 대의 외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부착부를 낚싯대의 후단 측으로 강하게 누르면, 부착부가 약간 변형되고, 부착부가 낚싯대의 외주면에 억지끼워맞춤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낚시구를 캐스팅할 때에, 또는 물고기를 낚아올릴 때에, 부착부에 결합된 프레임에 다양한 외력이 작용한다. 예컨대, 낚싯대에 횡방향으로 외력이 프레임에 가해지면, 프레임과 부착부가 관상 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으며, 그러한 경우, 유동 가이드의 낚싯줄 안내 기능이 상실된다. 그러나, 환상의 부착부와 부착링에 의해 부착부와 결합되는 프레임을 가지는 종래기술의 유동 가이드는, 프레임에 가해지는 횡방향의 힘에 저항하는 충분한 회전방지강도를 갖지 못해, 사용자가 프레임에 가하는 부주의한 충격, 또는 낚시 장소에서의 바위 또는 지면이 프레임에 가하는 충격에 의해, 관상 대를 중심으로 하여 쉽게 회전될 수 있다. 종래기술의 유동 가이드는, 관상 대를 중심으로 한 회전에 저항하는 회전방지강도가 크도록 설계되어 있지 않다. 또한, 종래기술의 유동 가이드는, 금속제의 부착링이 프레임으로부터 돌출해 있으므로, 충분한 굽힘강도를 갖지 못하며, 유동 가이드에 발생하는 낚싯줄의 줄엉킴을 원활하게 해제하지 못한다.
진출식 낚싯대는, 둔치, 해변가, 갯바위 등에서의 낚시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갯바위 낚시를 위한 진출식 낚싯대는, 4.5m 내지 5.5m의 전장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진출식 낚싯대에는, 일반적으로 10개 내지 15개의 유동 가이드가 부착될 수 있다. 낚시구의 캐스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또는 물고기를 용이하게 낚아올리기 위해서는, 경량의 낚싯대가 유리하며, 이를 위해서는, 경량의 유동 가이드가 진출식 낚싯대에 요구된다. 그러나, 금속제의 부착링을 가지는 금속제의 프레임으로 인해, 종래기술의 유동 가이드는 경량화에 부응하지 못한다.
일본 특허공보 제4275457호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제(평)7-7726호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한 낚싯줄 가이드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강도가 향상된 수지 재료를 사용하여, 충분한 강도를 갖추면서도 경량인 낚싯줄 가이드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낚싯대의 관상 대를 중심으로 한 회전에 저항하는 회전방지강도가 향상된 낚싯줄 가이드가 제공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의 관상 대에 부착되어 낚싯줄을 안내하는 낚시줄 가이드는, 환상의 부착부와, 낚싯줄이 통과하는 가이드 링과, 금속제의 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착부와 부분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링을 지지하는 링 서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링 서포트는, 상기 가이드 링이 결합되는 링 유지공을 가지는 링 유지부와, 상기 링 유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부착부에 부분적으로 매립되어 상기 부착부와 결합되는 링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부는 상기 링 서포트를 금형 내의 인서트로 하여 길이가 5mm 내지 10mm인 카본 장섬유를 포함하는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 재료로부터 인서트 사출되어 상기 링 서포트의 상기 링 지지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카본 장섬유는 상기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의 총 중량의 20 내지 40 중량%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착부는, 상기 관상 대의 외주면에 끼워맞춤되는 환상체; 및 상기 환상체의 외주면에 외측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제1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환상체는, 상기 낚싯대의 버트를 향하는 후방 방향으로 위치하고, 상기 제1 리브가 형성된 소외경부; 및 상기 소외경부보다 큰 외경을 갖고, 상기 링 지지부의 하측 일부가 매립되는 대외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낚싯대의 버트를 향하는 후방 방향으로 상기 소외경부의 후단면까지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대외경부의 외측 반경방향 선단으로부터 상기 소외경부의 후단면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된 외주면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리브의 외주면에 포함된 길이 방향 중심선은 상기 낚싯대의 중심축과 소정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낚싯대의 버트를 향하는 상기 제1 리브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낚싯대의 팁을 향하는 상기 제1 리브의 전단으로 갈수록 확대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착부는, 상기 제1 리브에 대하여 둘레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환상체의 외주면에 외측 반경방향으로 각각 돌출하도록 형성된 제2 및 제3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착부의 내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배열되고 낚싯대의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세레이션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세레이션은 선단에 팁이 형성되도록 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착부는,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한 두께를 갖는 하측 부착부; 및 상기 하측 부착부의 양 선단으로부터 둘레방향을 따라 두께가 증가하도록 구성된 상측 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의 관상 대에 부착되어 낚싯줄을 안내하는 낚시줄 가이드는, 낚싯줄이 통과하는 가이드 링; 및 상기 가이드 링을 지지하는 가이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본체는, 환상의 부착부와, 상기 가이드 링을 지지하는 링 서포트를 포함하고,상기 링 서포트는, 상기 가이드 링이 결합되는 링 유지공을 가지는 링 유지부와, 상기 부착부와 상기 링 유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링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본체는 길이가 5mm 내지 10mm인 카본 장섬유를 포함하는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 재료로부터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링 지지부에는 상기 링 서포트의 폭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하는 2개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링 지지부는 상기 2개의 개구의 일부의 가장자리를 각각 구성하도록 상기 부착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2개의 보강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본체는 상기 링 유지공과 인접한 상기 링 유지부의 상단으로부터 낚싯대의 중심축 방향에 수직한 상기 부착부의 선단면까지 연장하도록 형성된 제 1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착부는, 상기 관상 대의 외주면에 끼워맞춤되는 환상체; 및 상기 낚싯대의 팁을 향하는 전단이 상기 링 지지부와 이어지도록 상기 환상체의 외주면에 외측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제1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낚싯대의 버트를 향하는 후방 방향으로 상기 환상체의 후단면까지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링 지지부의 외측 반경방향 선단으로부터 상기 환상체의 후단면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된 외주면을 갖고, 상기 제1 리브의 외주면에 포함된 길이 방향 중심선은 상기 낚싯대의 중심축과 소정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착부는,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한 두께를 갖는 하측 부착부; 및 상기 하측 부착부의 양 선단으로부터 둘레방향을 따라 두께가 증가하도록 구성된 상측 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착부의 내주면은 낚싯대의 중심축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평평한 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는, 복수개의 관상 대와, 상기 관상 대 중 하나에 부착되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부착부가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로부터 인서트 사출되어 제조되므로, 부착부의 웰드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부착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세레이션에 뾰족한 팁을 형성하더라도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 자체의 강도가 높기 때문에 팁이 무너지지 않으므로, 낚싯대에 대한 부착부의 고정력이 강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가 설치된 진출식 낚싯대를 도시한다.
도 2a 내지 2c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다양한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3c는 도 2a 내지 2c에 도시된 낚싯줄 가이드의 링 서포트 및 가이드 링의 결합체를 다양한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4d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다양한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5c는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다양한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에 사용되는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7은 도 6에서 설명하는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에 함침되는 카본 장섬유의 러너부의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8은 도 7에서 촬영된 카본 장섬유의 러너부의 선단을 500배로 확대한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9는 도 7에서 촬영된 카본 장섬유의 러너부의 선단을 2000배로 확대한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웰드 강도를 개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제조하는 과정을 유동 해석을 통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제조하는 과정을 유동 해석을 통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웰드 강도를 개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제조하는 과정을 유동 해석을 통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에 제공된 회전 내력을 향상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구성하는 재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구성하는 재료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에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를 사용하여 회전 내력이 향상된 정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재되는 치수와 수치는 기재된 치수와 수치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이러한 치수와 수치는 기재된 값 및 이것을 포함하는 동등한 범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 기재된 '7 mm'라는 치수는 '약 7 mm'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상방”, “상” 등의 방향지시어는 첨부된 도면에서 가이드 링이 부착부에 대해 위치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하방”, “하” 등의 방향지시어는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는 달리 배향될 수도 있으며, 상기 방향지시어들은 그에 맞추어 해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도면에 표시된 좌표계에서, "TD"는 전방 방향을 의미하고, "BD"는 후방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UD"는 상방 방향을 의미하고 "LD"는 하방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WD"는 폭 방향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TC-모델"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1)를 지칭하는 모델명이고, "C1-모델"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2)를 지칭하는 모델명이고, "C2-모델"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3)를 지칭하는 모델명이며, "C-모델"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2)와 제3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3)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1, 2, 3)가 설치된 진출식 낚싯대(1000)를 도시한다.
화살표(TD)는 낚싯대의 팁(tip)(1001)을 향하는 전방 방향을 지시하고, 화살표(BD)는 낚싯대의 버트(butt)(1002)를 향하는 후방 방향을 지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낚싯대(1000)는, 당해 분야에서 진출식(振出式, telescopic) 낚싯대로 참조될 수 있다. 낚싯대(1000)는, 둔치, 해안가, 선상, 갯바위 등에서의 낚시를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낚싯대(1000)의 사용 장소가 전술한 장소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낚싯대(1000)는 길다란 원통 형상의 간체(竿體)(1005)를 포함한다. 간체(1005)는 낚싯대(1000)에 작용하는 여러 외력에 저항하고 낚싯대(1000)의 형상을 유지하는 구조물로서 기능할 수 있다. 간체(1005)는 제1 내지 제5 관상 대(1110, 1120, 1130, 1140, 1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관상 대가, 그 다음에 위치하고 그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관상 대의 내부에 끼워지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복수개의 관상 대가 결합되어, 간체(1005)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확장된 낚싯대(1000)의 간체(1005)를 도시한다.
간체(1005)의 관상 대 중, 낚싯대(1000)의 후단에 위치하는 제1 관상 대(1110)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원대로서 기능한다. 제1 관상 대(1110)에는 릴 시트(1115)가 부착되며, 릴 시트(1115)에는 낚싯줄(미도시)을 방출하거나 감기 위한 릴(미도시)이 제거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낚싯대(1000)는 제2 내지 제5 관상 대(1120, 1130, 1140, 1150)에 설치되는복수개의 낚싯줄 가이드를 구비할 수 있다. 낚싯줄 가이드는 낚시구를 캐스팅할 때에 릴로부터 방출되거나 물고기를 낚아올릴 때에 릴에 감기는 낚싯줄을 안내한다. 상기 복수개의 낚싯줄 가이드로서, 개시된 여러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낚싯줄 가이드(1, 2, 3)가 간체(1005)의 제2 내지 제 5관상 대(1120, 1130, 1140, 1150) 중 하나에 부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1, 2, 3)는 순서대로, 직경이 큰 관상 대로부터 직경이 작은 관상 대에 부착될 수 있다. 낚싯줄 가이드(1)(도2a 참고)는 제2 관상 대(1120) 또는 제3 관상 대(1130)에 부착될 수 있다. 낚싯줄 가이드(2)(도 4a 참고)는 제4 관상 대(1140)에 부착될 수 있다. 낚싯줄 가이드(3)(도 5a 참고)는 제5 관상 대(1150)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체(1005)의 제3 관상 대(1130)가 낚싯줄 가이드(1)의 환상의 부착부를 관통하여, 낚싯줄 가이드(1)가 간체(1005)에 부착된다. 낚싯줄 가이드(1)가 간체(1005)에 장착되기 전에, 낚싯줄 가이드(1)는 그 부착부에서 간체(1005)를 따라 전방 방향(TD) 또는 후방 방향(BD)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며 간체(100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간체(1005)의 제3 관상 대(1130)는 전방 방향(TD)으로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낚싯줄 가이드(1)를 후방 방향(BD)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낚싯줄 가이드(1)의 부착부가 제3 관상 대(1130)의 외주면과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함됨으로써, 낚싯줄 가이드(1)가 간체(1005)에 부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는 당해 분야에 있어서 '유동 가이드' 또는 '슬라이딩 가이드'로서 참조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1)를 다양한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낚싯줄 가이드(1)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낚싯줄 가이드(1)의 정면도이며, 도 2c는 낚싯줄 가이드(1)의 측면도이다.
낚싯줄 가이드(1)는 링 서포트(1a) 및 링 서포트(1a)와 결합되는 부착부(1b)를 포함할 수 있다. 링 서포트(1a)는 링 유지공(10a)이 형성되는 링 유지부(11) 및 링 유지부(1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링 지지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링 유지공(10a)에는 가이드 링(12)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부착부(1b)는 링 서포트(1a)를 인서트로 하여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로부터 인서트 사출 성형되어 링 지지부(13)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부착부(1b)는 도 1에 도시된 낚싯대(1000)의 외주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부착부(1b)는 환상의 형상을 가져, 간체(1005)의 관상 대 중 예를 들어, 제3 관상 대(1130)가 부착부(1b)를 관통할 수 있다. 부착부(1b)는 제3 관상 대(1130)가 관통할 수 있는 환상체(16)를 포함한다. 환상체(16)에는 제3 관상 대(1130)의 외주면에 끼워맞춤되는 원통형의 보어(10b)가 낚싯대의 중심축(R)을 따라 관통되어 있다. 보어(10b)의 직경은 전방 방향(TD) 또는 후방 방향(BD)으로 균일할 수 있다. 제3 관상 대(1130)가 보어(10b)를 관통한 상태에서, 부착부(1b)는 제3 관상 대(1130)를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고 제3 관상 대(113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제3 관상 대(1130)는 전방 방향(TD)으로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환상체(16)를 후방 방향(BD)으로 이동시키는 도중, 제3 관상 대(1130)의 외경과 보어(10b)의 직경이 대략 동일해지는 위치에서 환상체(16)는 제3 관상 대(1130)의 외주면과 끼워맞춤될 수 있다. 이 때, 환상체(16)를 후방 방향(BD)으로 더욱 이동시키면, 환상체(16)가 약간 변형되면서 부착부(1b)는 제3 관상 대(1130)에 견고하게 끼워맞춤되어 고정될 수 있다.
환상체(16)의 내주면에는 보어(10b)의 축방향으로 연장하고 중심축(R)을 향하여 돌출한 복수의 세레이션(17)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세레이션(17)의 단부에는 뾰족한 형상의 팁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세레이션(17)은 간체(1005)와 환상체(16) 사이의 고정력을 강화할 수 있다.
링 유지공(10a)은 링 유지부(11)에 링 유지부(11)의 두께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링 유지공(10a)은 가이드 링(12)의 외주면에 맞추어지도록 타원형의 내주면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링(12)은 낚싯줄에 의한 마모의 방지를 위하여 세라믹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 링(12)은 그 외주면에서 링 유지공(10a)의 내주면에 끼워맞춤되며, 점접촉 또는 면접촉 등에 의해 링 유지공(10a)의 내주면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링 유지공(10a)의 내주면과 가이드 링(12)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이들을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제가 도포될 수도 있다. 링 유지부(11)는 링 유지공(10a)에 의해 가이드 링(12)의 전체 둘레를 따라 가이드 링(12)을 유지하도록 대략 환상을 취한다.
환상체(16)는, 전방 방향(TD)으로 위치하고 외경이 상대적으로 큰 대외경부(16a)와, 대외경부(16a)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대외경부(16a)와 이어져 있는 소외경부(16b)를 가진다. 대외경부(16a)에서의 환상체(16)의 반경 방향 두께는 소외경부(16b)에서의 환상체(16)의 반경 방향 두께보다 크다. 대외경부(16a)의 전방 방향(TD)의 표면이 부착부(1b)의 환상의 전단면(前端面)(161a)을 형성하고, 소외경부(16b)의 후방 방향(BD)의 표면이 부착부(1b)의 환상의 후단면(後端面)(161b)을 형성할 수 있다.
부착부(1b)는 링 서포트(1a)와 결합하는 결합부(18)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8)는 대외경부(16a)의 상측 외주부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8)는 전방 결합부(18a)와 후방 결합부(18b)를 포함할 수 있다.
환상체(16)의 외주면에는 제1 내지 제3 리브(15a, 15b, 15c)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리브(15a)는 중앙 리브로 설명될 수 있고, 제2 및 제3 리브(15b, 15c)는 측방 리브로 설명될 수 있다. 제1 리브(15a)는 후방 결합부(18b)의 외측 단부와 소외경부(16b)의 후단면(161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및 제3 리브(15b, 15c)는 소외경부(16b)의 하측 부분의 양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리브(15a, 15b, 15c)는 정면 방향에서 대체로 삼각형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제1 리브(15a)는 링 지지부(13)에 인접하여 환상체(16)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리브(15a)는 후방 결합부(18b)와 소외경부(16b)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제1 리브(15a)의 상면(151a)은 중심축(R)을 향해 기울어져 있다. 제1 리브(15a)는 낚싯대의 버트를 향하는 후방 방향(BD)으로 테이퍼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리브(15a)는, 후방 방향(BD)에서의 후단면(161b)으로부터 낚싯대의 팁을 향하는 전방 방향(TD)으로 확대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제1 리브(15a)의 상면(151a)에 포함된 길이 방향 중심선(M2)은 낚싯대의 중심축(R)과 소정의 각도(δ1)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및 제3 리브(15b, 15c)는 환상체(16)의 측단에서 환상체(16)의 중심보다 아래에 위치한다. 제2 및 제3 리브(15b, 15c)는 대외경부(16a)와 소외경부(16b)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제2 및 제3 리브(15b, 15c)의 폭은 제1 리브(15a)의 폭보다 작다. 제1 리브(15a)와 제2 및 제3 리브(15b, 15c) 간의 중심축(R)에 대한 각도는 약 120°가 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b를 참고하면, 소외경부(16b)는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한 반경방향의 두께를 갖는 하측 부착부(161)와, 하측 부착부(161)의 양 선단으로부터 둘레방향을 따라 반경방향의 두께가 증가하도록 구성된 상측 부착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부착부(162)는 중심축(R)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할 수 있고, 하측 부착부(161)는 중심축(R)을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측 부착부(162)는 제1 리브(15a)와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측 부착부(162)는 하측 부착부(161)의 양 선단으로부터 제1 리브(15a)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반경방향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측 부착부(162)에서 제1 리브(15a)와 이어지는 부분의 반경방향 두께가 가장 클 수 있다. 중심축(R)과 하측 부착부(161)의 양 선단을 연결한 선 사이의 각도(α)는 170° 이하가 될 수 있다. 상측 부착부(162)는 인서트 사출 성형시, 중심선(M1)으로 향하는 사출물의 유속을 감소시켜 반전류의 유입을 촉진함으로써 웰드 라인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링 서포트(1a) 및 가이드 링(12)의 결합체를 다양한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링 서포트(1a) 및 가이드 링(12)의 결합체의 정면도이고, 도 3b는 링 서포트(1a) 및 가이드 링의 결합체의 하면도이고, 도 3c는 링 서포트(1a) 및 가이드 링(12)의 결합체의 I-I선 단면도이다.
링 서포트(1a)는 가이드 링(12)을 유지하며, 부착부(1b)에 대하여 가이드 링(12)을 지지할 수 있다. 링 서포트(1a)는 스테인리스 스틸, 스테인리스 합금, 티타늄합금, 순티타늄 등의 금속 재료로 제조된 박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링 서포트(1a)는, 그 안에 형성된 굽힘부에 의해 링 서포트(1a)를 구성하는 부분들이 서로에 대해 절곡되거나 만곡되어 있는 박판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링 서포트(1a)는, 상기 금속 재료 중 하나로 이루어진 얇은 금속 쉬트(당해 분야에서, 이러한 금속 쉬트는 블랭크(blank)로서 참조될 수 있다)를 펀칭, 블랭킹, 벤딩과 같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링 지지부(13)에는 복수의 개구(13a)가 펀칭되어 형성될 수 있다. 부착부(1b)는 인서트 사출 성형과정에서 부착부(1b)를 이루는 수지 재료가 복수의 개구(13a) 중 일부의 개구를 채우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부착부(1b)의 일부와 링 지지부(13)의 일부가 서로 교차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링 서포트(1a)와 부착부(1b) 사이의 고정력이 강화될 수 있다.
링 서포트(1a)의 링 유지부(11)에는 버링부(11a)가 형성될 수 있다. 버링부(11a)에 의하여 링 유지공(10a)을 둘러싸는 부분의 두께가 링 서포트(1a)의 나머지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되므로, 가이드 링(12)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가이드 링(12)과 링 유지부(11)와의 결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링 유지부(11) 자체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링 지지부(13)에는 예를 들어 4개의 개구(13a)가 형성될 수 있고, 인서트 사출 성형 과정에서 부착부(1b)의 결합부(18)가 하측에 배치된 2개의 개구(13a)를 채우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링 지지부(13)의 하측 단부(13b)는 링 유지부(11)를 향하여 'V'자 형으로 들어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링 지지부(13)의 하측 단부(13b)의 구조는, 부착부(1b)가 사출 성형되는 과정에서 부착부(1b)의 원통형 내주면의 형상을 제공하게 할 수 있다.
링 지지부(13)는 중심선(M1)을 기준으로 양 측에 형성된 제1 및 제2 링 지지부(131, 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링 지지부(131, 132)는 중심선(M1)을 기준으로 'V'자 형으로 구부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링 지지부(131, 132)가 형성하는 각도(β)는 120°와 170° 사이의 둔각이 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2)를 다양한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낚싯줄 가이드(2)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낚싯줄 가이드(2)의 정면도이고, 도 4c는 낚싯줄 가이드(2)의 측면도이고, 도 4d는 낚싯줄 가이드(2)를 II-II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낚싯줄 가이드(2)는 예를 들어, 제5 관상 대(1150)에 설치될 수 있다. 낚싯줄 가이드(2)는 낚싯줄이 통과하는 가이드 링(22) 및 가이드 링(22)을 지지하는 가이드 본체(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본체(20)는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 재료로부터 사출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본체(20)는 환상의 부착부(23)와 가이드 링(22)을 지지하는 링 서포트(20a)를 포함할 수 있다. 링 서포트(20a)는, 가이드 링(22)이 결합되는 링 유지공(26)을 가지는 링 유지부(21)와, 부착부(23)와 링 유지부(21) 사이에 형성되는 링 지지부(29)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링 (22)은 링 유지공(26)에 삽입되어 고정 될 수있다. 또한, 링 유지공(26)의 내주면과 가이드 링(22)의 외주면 사이에는 이들을 접착시키기위한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가이드 링(22)으로는 낚싯줄이 관통될 수 있다.
부착부(23)는 낚싯대의 외주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부착부(23)에는 낚싯대의 중심축(R) 방향으로 관통된 보어(27)가 형성될 수 있다. 보어(27)로는 낚싯대가 관통될 수 있다. 보어(27)는 링 유지공(26)보다 큰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부착부(23)는 링 지지부(29)로부터 연장 형성된 대외경부(23a)와, 대외경부(23a)로부터 낚싯대의 중심축(R)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소외경부(23b)를 포함할 수 있다. 대외경부(23a)의 반경 방향 두께는 소외경부(23b)의 반경 방향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대외경부(23a)의 전방 방향(TD)의 표면이 부착부(23)의 환상의 전단면(前端面)(231a)을 형성하고, 소외경부(23b)의 후방 방향(BD)의 표면이 부착부(23)의 환상의 후단면(後端面)(231b)을 형성할 수 있다.
링 유지부(21)와 부착부(23)사이의 링 지지부(29)에는 2개의 개구(24)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24)는 중심선(M1)을 기준으로 링 지지부(29)의 양 측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본체(20)는 링 유지공(26)과 인접한 링 지지부(29)의 상단(291)으로부터 낚싯대의 중심축(R) 방향에 수직한 부착부(23)의 후단면(231b)까지 연장하도록 형성된 제 1 리브(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리브(25)는 낚싯대의 중심축(R)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리브(25)의 외주면(251)에 포함된 길이 방향 중심선(M2)은 낚싯대의 중심축(R)과 소정의 각도(δ2)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b를 참고하면, 소외경부(23b)는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한 반경방향의 두께를 갖는 하측 부착부(231)와, 하측 부착부(231)의 양 선단으로부터 둘레방향을 따라 반경방향의 두께가 증가하도록 구성된 상측 부착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부착부(232)는 중심축(R)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할 수 있고, 하측 부착부(231)는 중심축(R)을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측 부착부(232)는 제1 리브(25)와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측 부착부(232)는 하측 부착부(231)의 양 선단으로부터 제1 리브(25)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반경방향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측 부착부(232)에서 제1 리브(25)와 이어지는 부분의 반경방향의 두께가 가장 클 수 있다. 중심축(R)과 하측 부착부(231)의 양 선단을 연결한 선 사이의 각도(γ)는 170° 이하가 될 수 있다. 상측 부착부(232)는 사출 성형시, 중심선(M1)으로 향하는 사출물의 유속을 감소시켜 반전류의 유입을 촉진함으로써 웰드 라인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링 지지부(29)는 2개의 개구(24)의 일부의 가장자리를 각각 구성하도록 대외경부(23a)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2개의 보강 리브(28)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 리브(28)는 링 지지부(29)에 형성된 개구(24)의 하측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보강 리브(28)는 대외경부(23a)으로부터 2개의 개구(24) 각각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할 수 있다. 보강 리브(28)는 대외경부(23a)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보강 리브(28)는 중심선(M1)을 기준으로 대칭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강 리브(28)는, 사출 성형시 가이드 본체(20)의 중심선(M1) 부근에 웰드 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사출물의 유속을 증가시킬 수 있다.
가이드 본체(20)는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로부터 일체로 형성되므로, 링 서포트(20a)에 버링부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부착부(23)의 내주면에는 세레이션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낚시대와의 결합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부착부(23)의 내주면은 복수의 평면(23c)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평면(23c)은 낚싯대의 중심축(R)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5a 내지 5c는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3)를 다양한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낚싯줄 가이드(3)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낚싯줄 가이드(3)의 정면도이고, 도 5c는 낚싯줄 가이드(3)의 우측면도이다.
낚싯줄 가이드(3)는 예를 들어, 간체(1005)의 제5 관상 대(11500)에 설치될 수 있다. 낚싯줄 가이드(3)는 가이드 본체(30) 및 가이드 링(32)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본체(30)는 전체적으로,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본체(30)는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로부터 사출 성형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본체(30)는 링 서포트(30a) 및 부착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링 서포트(30a)는 링 유지공(34)이 형성된 링 유지부(31) 및 링 유지부(31)로부터 연장 형성된 링 지지부(39)를 포함할 수 있다. 부착부(33)에는 보어(37)가 형성되어, 부착부(33)는 낚싯대의 외주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보어(37)로는 낚싯대가 관통될 수 있다. 가이드 링(32)은 링 유지공(34)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링 유지공(34)의 내주면과 가이드 링(32)의 외주면 사이에는 이들을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보어(37)는 링 유지공(34)보다 작은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보어(37)는 대체로 육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낚싯대의 관상 대 중 가장 지름이 작은 제5 관상 대(1150)는 보어(37)의 육각형 형상에 대응하도록, 육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부착부(33)는 링 지지부(39)로부터 연장 형성된 대외경부(33a), 대외경부(33a)로부터 보어(37)의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소외경부(33b)를 포함할 수 있다. 대외경부(33a)의 반경 방향 두께는 소외경부(33b)의 반경 방향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대외경부(33a)의 전방 방향(TD)의 표면이 부착부(33)의 전단면(前端面)(331a)을 형성하고, 소외경부(33b)의 후방 방향(BD)의 표면이 부착부(33)의 후단면(後端面)(331b)을 형성할 수 있다.
링 유지부(31)와 부착부(33)사이의 링 지지부(39)에는 2개의 개구(36)가 형성될 수 있다. 링 지지부(39)와 부착부(33)의 외주면 사이에는 제1 리브(35)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리브(35)는 링 유지공(34)과 인접한 링 지지부(39)의 상단(391)으로부터 낚싯대의 중심축(R) 방향에 수직한 부착부(33)의 후단면(331b)까지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개구(36)는 중심선(M1)을 기준으로 제1 리브(35)의 양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리브(35)는 낚싯대의 중심축(R)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리브(35)의 외주면(351)에 포함된 길이 방향 중심선(M2)은 낚싯대의 중심축(R)과 소정의 각도(δ3)를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본체(30)는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로부터 일체로 형성되므로, 링 유지부(31)에 버링부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부착부(33)의 내측면에는 세레이션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부착부(33)의 내측면은 복수의 평면(33c)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에 사용되는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 재료는, 카본 단섬유 강화 수지 재료에 비해 3~5배의 높은 충격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 재료는, 높은 섬유 배합량으로 고강성을 가지며, 고온에서 우수한 크리프 특성을 가진다.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 재료는, 고온에서 높은 탄성 유지율을 갖고, 저온에서 우수한 충격 유지율을 갖는다.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 재료는, 휨 변형량이나 당김 변형량이 작고 선팽창 계수가 작아, 치수 안정성이 높으며, 우수한 내마모성을 가진다. 카본 장섬유는 대략 7mm의 길이와 원통형을 가질 수 있다.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 재료에서의 카본 함량은 약 30%가 될 수 있다.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 재료에서의 수지는 나일론 수지일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DAICEL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지 재료를 생산하는 회사의 명칭이다. 플러스트론(plastronTM, PA12-CF30)은 DAICEL이 생산하는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 재료이다. 비교예 1은 합성 수지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POM이 될 수 있다. POM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일종으로써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으로 구성될 수 있다. 비교예 2는 비교예 1과는 다른 합성 수지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비교예 2는, 예를 들어, PA(폴리아미드)이고, 비결정성의 PA로 구성된 투명한 재료라는 것이 특징이 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 재료로 부착부 및/또는 가이드 본체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 재료로서, 다이셀 화학공업 주식회사(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제조의 플러스트론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부착부는 길이가 5mm 내지 10mm의 카본 장섬유를 포함하는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 재료로부터 사출될 수 있다. 플러스트론은, 예를 들어 7mm 길이의 카본 장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플러스트론은 9mm 길이의 카본 장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7mm 또는 9mm길이의 카본 장섬유는 합성 수지 재료 내에서 함침될 수 있다. 카본 장섬유의 함유량은 카본 장섬유와 합성 수지 재료를 합친 총 중량의 20 내지 50 중량%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카본 장섬유와 합성 수지 재료를 합친 총 중량의 30 중량%가 될 수 있다. 플러스트론은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적 특징을 만족시킬 수 있다.
플러스트론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1, 2, 3)에 사용될 수 있다. 플러스트론은, 인장강도, 굽힘강도, 굽힘탄성률, 노치붙이 샤르피 충격 강도(Charpy notched impact strength), 하중 휨 온도, 및 밀도를 포함하는 모든 특성에서, 다른 재료인 비교예 1 및 비교예 2 보다 우수하다. 따라서, 플러스트론을 사용하는 경우 부착부의 강도가 강화될 수 있다.
플러스트론은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이므로 고충격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섬유 강화 수지에 비하여 3 내지 5배의 충격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플러스트론은 30%의 카본 수지 함유랑을 가지는 고강성 재료이다. 또한, 플러스트론은 우수한 크리프 강도(장시간의 하중으로 재료가 계속적으로 서서히 소성변형을 일으키는 현상)을 가질 수 있고, 특별히 고온에서의 크리프 강도가 우수하다. 즉, 오랜 시간 사용하거나 고온에서 사용하여도 소성 변형이 잘 되지 않는다. 또한, 플러스트론은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다. 즉, 플러스트론으로 제조된 부품은 휨 또는 구부러짐이 적고, 선팽창 계수가 낮다.
도 7은 도 6에서 설명하는 수지 재료에 함침되는 카본 장섬유의 러너부의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7에 촬영된 부분은 제품에 유입하기 전(즉, 수지에 함침시키기 전)의 러너 부분이기 때문에 섬유 방향이 일정하게 배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카본 장섬유의 길이 방향은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카본 장섬유의 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를 연소시켜 나일론 수지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연소된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는, 모양에 따라 카본 장섬유가 와이어 형상으로 엉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서 촬영된 카본 장섬유의 러너부의 선단을 500배로 확대한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9는 도 7에서 촬영된 카본 장섬유의 러너부의 선단을 2000배로 확대한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8 및 9는 2000배 이상의 배율을 가는 현미경으로 카본 장섬유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카본 장섬유는 대체로 원통형 형상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사진 중에서, 섬유 단면이 정면을 향하고 있는 부분을 확대한 사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가는 섬유가 다발 형태로 정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2)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웰드 강도를 개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각각 비교예 A, B, 및 C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d)는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 D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e)는 비교예 A 내지 C와 실시예 D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낚시인은 낚시 중에, 낚싯대에 대한 낚싯줄 가이드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낚싯대의 외주 상에 낚싯줄 가이드를 강하게 밀어붙여 고정할 수 있다. 낚싯줄 가이드가 실시예 D와 같은 구조를 갖는 경우, 낚싯줄 가이드의 부착부가 낚싯대에 고정되기에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의 결점이라고 볼 수 있는 사출 성형시의 낮은 웰드 강도를 극복하기 위하여, 사출 성형시의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한다. 실시예 D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2)에 대응하는 실시예이고, 비교예 A, B, 및 C는 본 개시의 실시예 D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고려하였던 대안들이다.
도 10(a)를 참고하면, 비교예 A는, 제1 리브(25)의 선단은 후단면(231b)까지 연장되지 못하고, 부착부(23)의 중간 정도에서 끝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단면(231b)의 두께가 균일하게 구성된다. 도 10(b)를 참고하면, 비교예 B는 비교예 A와 비교하여 후단면(231b)의 두께가 균일하게 구성되지 않도록, 소외경부(23b)가 하측 부착부(231) 및 하측 부착부(231)의 양 선단으로부터 둘레방향을 따라 반경방향의 두께가 증가하도록 구성된 상측 부착부(232)를 포함한다. 도 10(c)를 참고하면, 비교예 C는 비교예 B와 비교하여 제1 리브(25)가 후단면(231b)까지 연장하도록 구성된다. 도 10(d)를 참고하면, 실시예 D는, 비교예 C와 비교하여 개구(24)의 하단에 보강 리브(28)가 추가되어 있다.
도 10(e)를 참고하면, 비교예 A, B, C 및 실시예 D는, i) 부착부의 후단면(231b)의 두께 변화, ii) 리브(25)의 부착부의 후단면(231b)까지의 도달 여부, 및 iii) 보강 리브(28)의 채용 여부에서 서로 차이점을 가진다. 비교예 A는 위 i) 내지 iii) 구성 모두를 포함하지 않는다. 비교예 B는 i)의 구성만을 포함한다. 비교예 C는 i) 및 ii)의 구성을 포함한다. 실시예 D는 i) 내지 iii)의 구성을 모두 포함한다.
도 10(e)에서, 부착부 압입 내력을 비교하면, 비교예 A에 비하여 실시예 D는 대략적으로 52% 정도가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비교예 A에 비하여 실시예 D의 부착부는 50% 이상 큰 압입 내력을 가질수 있으므로, 낚시인이 가진 최대의 힘으로 강하게 유동 가이드를 낚싯대에 압입하더라도 부착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실시예 D는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로 구성된 가이드 본체의 웰드 강도를 개선할 수 있다.
수치 유동 해석 결과에 따르면, 웰드 제어는 비교예 A로부터 실시예 D로 갈수록 우수한 개선 정도를 나타내며, 자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제조하는 과정을 유동 해석을 통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는 수지 재료의 사출이 시작되는 위치를 도시한다. 도 11b는 사출 과정에서 진행되는 유동의 방향을 도시한다. 도 11c는 사출의 진행 과정을 유동 해석 결과를 통해 도시한다.
도 11a를 참고하면, 부착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를 사출 성형하기 시작하는 게이트 위치(IP)는 부착부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게이트 위치(IP)는 노즐(N)로부터 용융된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가 방출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게이트 위치(IP)는 링 유지부로부터 연장되는 대외경부(23a)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노즐(N)로부터 용융 상태로 주입된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는, 금형 내에서, 대외경부(23a)에 대응하는 부분을 거쳐 소외경부(23b)에 대응하는 부분으로 흐르고, 다음으로 링 지지부(29)에 대응하는 부분으로 흐를 수 있다.
도 11c를 참고하면, 비교예 A 내지 C 및 실시예 D는 도 10에 도시된 비교예 A 내지 C 및 실시예 D와 동일하다. 사출 성형의 시간 흐름은, T1 단계로부터 T4 단계로 진행하면서, 초기 상태에서 후기 상태로 진행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11b를 참고하면, 게이트 위치(IP)로부터 시작하는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의 유동은 금형 내에서 다수의 유동 흐름(b1, b1', a1, a1', c1, c1')으로 갈라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유동(b1, b1')은 게이트 위치(IP)로부터 대외경부(내원 부분)를 형성하도록 흐르는 유동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3 및 제4 유동(a1, a1')은 게이트 위치(IP)로부터 소외경부를 형성하도록 흐르는 유동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5 및 제6 유동(c1, c1')은 링 유지부 및 링 지지부를 형성하도록 흐르는 유동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1b에 도시된 낚싯줄 가이드의 자세와 같은 상태로 금형에 대해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의 사출 성형이 진행되므로, 제3 및 제4 유동(a1, a1')은 중력 방향에 대한 반대 방향으로의 유로를 먼저 흐르게 되어, 상당한 유속의 손실이 발생한다. 따라서, 제3 및 제4 유동(a1, a1')은 제1 및 제2 유동(b1, b1')에 비하여 상당히 느린 유속을 가진다.
소외경부를 형성하도록 제3 및 제4 유동(a1, a1')이 흐르면서, 반경방향의 두께가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상측 부착부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하측 부착부보다 반경방향의 두께가 두꺼운 상측 부착부 부분을 제조하기 위하여, 금형에 형성된 채널의 간격도 이에 대응하여 넓어지기 때문에, 상기 채널을 통과하는 사출물의 유속이 감소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3 및 제4 유동(a1, a1')의 유속과 제1 및 제2 유동(b1, b1')의 유속 차이를 더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1c를 참고하면, 제1 및 제2 유동(b1, b1')의 유속이 제3 및 제4 유동(a1, a1')의 유속보다 빠르기 때문에, T1 단계에서는 용융된 사출물의 사출 단부가 기울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후, T2 단계에서는 제1 및 제2 유동(b1, b1')이 먼저 만나게 되어 제1 리브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참고선(參考線, 제1 리브의 길이 방향 중심선, M2)을 기준으로 V자 형상으로 합쳐진다. T3 단계에서는 반전류(x1, x1', y1, y1')가 제3 및 제4 유동(a1, a1')의 충돌 라인을 따라 흐르게 되어 웰드 라인의 형성이 방지된다. T4 단계에서는, 제5 및 제6 유동(c1, c1')이 링 유지부를 형성하도록 흐르게 된다.
제1 및 제2 유동(b1, b1')은 금형 내에서 원통 형상의 경로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흐른 후에, 각각 세 개의 유동으로 갈라진다. 제1-2 유동(y1) 및 제2-2 유동(y1')은 링 지지부의 상단 및 제1 리브의 상단을 형성하도록 흐르는 유동이다. 제1-3 유동(x1) 및 제2-3 유동(x1')은 대외경부의 상단 및 제1 리브의 하단을 형성하도록 흐르는 유동이다. 제5 및 제6 유동(c1, c1')은 링 유지부를 형성하도록 흐르는 유동이다.
제1-2 유동(y1) 및 제2-2 유동(y1') 및 제1-3 유동(x1) 및 제2-3 유동(x1')은, 제3 및 제4 유동(a1, a1') 보다 유속이 빠르기 때문에, 제1 및 제2 유동(b1, b1')의 흐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반전류를 형성하게 된다. 반전류는 링 지지부의 상단으로부터 소외경부의 후단면을 향하여 흐르게 된다. 즉, 반전류는 제1 리브의 길이 방향 중심선(낚싯대의 중심축을 향하는 방향, M2)을 따라, 제1 리브를 형성하면서, 제1 리브의 상단(링 유지공에 인접한 위치)에서 하단(후단면)으로 흐를 수 있다. 이러한 반전류는 제3 및 제4 유동(a1, a1')이 180˚로 충돌하여 웰드 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c를 참고하면, 비교예 A 및 비교예 B는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의 유동이 원주 방향을 따라 흐르는 2방향의 흐름만을 가지게 될 수 있다. 이러한 2방향의 흐름은 서로 180˚로 충돌(CO)하여 웰드 라인을 형성하기가 쉽다. 이와 달리, 비교예 C 및 실시예 D는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의 유동이 반전류(IF)를 포함하는 3방향의 흐름을 가지게 되므로, 반전류(IF)가 나머지 2방향 흐름의 180°의 충돌(CO)을 차단하게 되어, 웰드 강도를 개선할 수 있다. 여기서, 반전류(IF)의 흐름이 빠를수록 웰드 라인의 형성이 억제될 수 있다.
실시예 D는 가이드 본체가 보강 리브를 포함하므로, 제1-2(y1) 유동 및 제2-2 유동(y1')의 흐름이 강화된다. 따라서, 실시예 D는, 보강 리브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C에 비하여 반전류(IF)를 통한 웰드 라인의 억제 정도가 더 크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라,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의 결점이라고 볼 수 있는 사출 성형시의 낮은 웰드 강도를 극복하기 위하여,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의 유동을 컨트롤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할 수 있다. 금형 내의 수지의 흐름을 복수개로 만들고, 각각의 속도가 달라지도록 조절하는 경우,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의 맞부딪치는 영역이 복잡하게 뒤엉키게 되어 웰드에 의한 강도 저하를 해소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비교예 A 또는 비교예 B와 같이 반전류의 형성을 유도하지 못하게 되어, 2방향 흐름이 맞부딪히게 되면 부딪히는 영역에는 큰 웰드 라인이 발생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범위에서 강도 저하가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느린 유속의 제3 및 제4 유동(a1, a1')과, 반전류(x1, x1') 및 반전류(y1, y1')를 만들어서, 유속이 다른 여러 수지의 흐름을 만드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지 유동의 특성을 활용하면 원통부의 두께의 최적화를 통해, 부착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흐르는 카본 수지의 반전류를 만들어 내고, 부착부 단면의 웰드 강도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2)를 제조하는 과정을 유동 해석을 통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의 R1열을 참고하면, 비교예 A 내지 C 및 실시예 D는 도 10에 도시된 비교예 A 내지 C 및 실시예 D와 동일하다. 도 12의 R2열을 참고하면, 도 11b 및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전류를 통해 링 지지부 및 제1 리브에서 웰드 라인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의 R3열을 참고하면, 링 유지부의 상단에 웰드 라인이 형성될 수 있으나, 링 유지부의 링 유지공에 가이드 링이 삽입되므로,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기 때문에, 접착제가 웰드 라인을 가교하여, 가이드 링에 의하여 링 유지부의 파손이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도 12의 R4열에서는 도 12의 R1열에 도시된 비교예 A 내지 C 및 실시예 D에 따른 유동 가이드의 골격을 도시한다. 도 12의 R5열 및 R6열에서, 노즐로부터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가 사출되는 게이트 위치(IP)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R5열 및 R6열을 통해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가 부착부를 형성하면서 흐르는 유동의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1)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웰드 강도를 개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각각 비교예 A, B, 및 C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d)는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 D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e)는 비교예 A 내지 C와 실시예 D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13(a)를 참고하면, 비교예 A는, 제1 리브(15a)의 선단은 부착부의 후단면(161b)까지 연장되지 못하고, 소외경부(16b)의 외주면에서 축방향을 기준으로 중간 정도에서 끝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단면(161b)의 두께가 균일하게 구성된다. 도 13(b)를 참고하면, 비교예 B는 비교예 A와 비교하여 후단면(161b)의 두께가 균일하게 구성되지 않도록, 소외경부(16b)가 하측 부착부(161) 및 하측 부착부(161)의 양 선단으로부터 둘레방향을 따라 반경방향의 두께가 증가하도록 구성된 상측 부착부(162)를 포함한다. 도 13(c)를 참고하면, 비교예 C는 비교예 B와 비교하여 제1 리브(15a)가 후단면(161b)까지 연장하도록 구성된다. 도 13(d)를 참고하면, 실시예 D는, 비교예 C와 비교하여 제1 내지 제3 리브(15a, 15b, 15c)가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D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1)에 대응하는 실시예이고, 비교예 A, B, 및 C는, 실시예 D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고려하였던 대안들이다. 비교예 A, B, C 및 실시예 D는, i) 부착부의 후단면의 두께 변화, ii) 부착부의 후단면에 리브(15a) 도달 여부, 및 iii) 중앙 리브 및 측방 리브(15a, 15b, 15c)의 채용 여부에서 서로 차이점을 가질 수 있다. 비교예 A는 위 i) 내지 iii) 구성 모두를 포함하지 않는다. 비교예 B는 i)의 구성만을 포함한다. 비교예 C는 i) 및 ii)의 구성을 포함한다. 실시예 D는 i) 내지 iii)의 구성을 모두 포함한다.
부착부 압입 내력을 비교하면, 비교예 A에 비하여 실시예 D는 대략적으로 126% 정도가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비교예 A에 비하여 실시예 D의 부착부는 126% 이상 큰 압입 내력을 가질수 있으므로, 낚시인이 가진 최대의 힘으로 강하게 유동 가이드를 낚싯대에 압입하더라도 부착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실시예 D를 통해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의 웰드 강도를 개선할 수 있다.
수치 유동 해석 결과는 비교예 A로부터 실시예 D로 갈수록 우수한 개선 정도를 나타내며, 자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도 14a 내지 14c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1)를 제조하는 과정을 유동 해석을 통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1)는 부착부에 해당하는 부분만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로 제조된다. 도 14a는 수지 재료의 사출이 시작되는 위치를 도시한다. 도 14b는 사출 과정에서 진행되는 유동의 방향을 도시한다. 도 14c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1)를 제조하는 과정의 유동 해석 결과를 도시한다.
도 14a를 참고하면, 부착부(1b)를 형성하기 위하여, 게이트 위치(IP)는 대외경부(16a)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노즐(N)로부터 용융 상태로 주입된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는, 금형 내에서, 대외경부(16a)에 대응하는 부분을 거쳐 소외경부(16b)에 대응하는 부분으로 흐르고, 다음으로 결합부(18)에 대응하는 부분으로 흐를 수 있다.
도 14b를 참고하면, 게이트 위치(IP)으로부터 시작하는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의 유동은 금형 내에서 다수의 유동 흐름(b2, b2', a2, a2', c2, c2')으로 갈라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유동(b2, b2')은 게이트 위치(IP)으로부터 대외경부(내원 부분)를 형성하도록 흐르는 유동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3 및 제4 유동(a2, a2')은 게이트 위치(IP)으로부터 소외경부를 형성하도록 흐르는 유동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5 및 제6 유동(c2, c2')은 전방 결합부를 형성하도록 흐르는 유동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4b에 도시된 낚싯줄 가이드의 자세와 같은 상태로 금형에 대해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의 사출 성형이 진행되므로, 제3 및 제4 유동(a2, a2')은 중력 방향에 대한 반대 방향으로의 유로를 먼저 흐르게 되어, 상당한 유속의 손실이 발생한다. 따라서, 제3 및 제4 유동(a2, a2')은 제1 및 제2 유동(b2, b2')에 비하여 상당히 느린 유속을 가진다.
소외경부를 형성하도록 제3 및 제4 유동(a2, a2')이 흐르면서, 반경방향의 두께가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상측 부착부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하측 부착부보다 반경방향의 두께가 두꺼운 상측 부착부 부분을 제조하기 위하여, 금형에 형성된 채널의 간격도 이에 대응하여 넓어지기 때문에, 상기 채널을 통과하는 사출물의 유속이 감소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3 및 제4 유동(a2, a2')의 유속과 제1 및 제2 유동(b2, b2')의 유속 차이를 더 증가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유동(b2, b2')은 금형 내에서 원통 형상의 경로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흐른 후에, 각각 세 개의 유동으로 갈라진다. 제1-2 유동(y2) 및 제2-2 유동(y2')은 결합부의 상단 및 제1 리브의 상단을 형성하도록 흐르는 유동이다. 제1-3 유동(x2) 및 제2-3 유동(x2')은 대외경부의 상단 및 제1 리브의 하단을 형성하도록 흐르는 유동이다.
제1-2 유동(y2) 및 제2-2 유동(y2') 및 제1-3 유동(x2) 및 제2-3 유동(x2')은, 제3 및 제4 유동(a2, a2') 보다 유속이 빠르기 때문에, 제1 및 제2 유동(b2, b2')의 흐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반전류를 형성하게 된다. 반전류는 결합부의 상단으로부터 소외경부의 후단면을 향하여 흐르게 된다. 즉, 반전류는 제1 리브의 길이 방향 중심선(낚싯대의 중심축을 향하는 방향, M2)을 따라, 제1 리브를 형성하면서, 제1 리브의 상단(링 유지공에 인접한 위치)에서 하단(후단면)으로 흐를 수 있다. 이러한 반전류는 제3 및 제4 유동(a2, a2')이 180˚로 충돌하여 웰드 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c를 참고하면, 비교예 A 및 비교예 B는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의 유동이 원주 방향을 따라 흐르는 2방향의 흐름만을 가지게 될 수 있다. 이러한 2방향의 흐름은 서로 180˚로 충돌하여 웰드 라인을 형성하기가 쉽다. 이와 달리, 비교예 C 및 실시예 D는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의 유동이 반전류를 포함하는 3방향의 흐름을 가지게 되므로, 반전류가 나머지 2방향 흐름의 180°의 충돌을 차단하게 되어, 웰드 강도를 개선할 수 있다. 여기서, 반전류의 흐름이 빠를수록 웰드 라인의 형성이 억제될 수 있다.
도 14c를 참고하면, 비교예 A 내지 비교예 C 및 실시예 D는 도 13에 도시된 비교예 A 내지 비교예 C 및 실시예 D와 동일하다. 도 14c의 R3열에서는 도 14c의 R1열에 도시된 비교예 A 내지 비교예 C 및 실시예 D에 따른 유동 가이드의 골격을 도시한다. 도 14c의 R4열 및 R5열에서 노즐로부터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가 사출되는 게이트 위치(IP)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4c의 R4열 및 R5열을 통해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가 부착부를 형성하면서 흐르는 유동의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4c의 R2열을 참고하면, 실시예 D는 제1 리브가 소외경부의 단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측 부착부의 두께를 하측 부착부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하여 반전류의 형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 D에서 부착부에 웰드 라인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고, 웰드 강도가 개선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1)에 제공된 회전 내력을 향상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a)에서는 낚싯줄 가이드(1)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5(b)는 낚싯줄 가이드(1)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5(d)는 비교예에 따른 세레이션(17')을 도시한다. 도 15(c)는 실시예에 따른 세레이션(17)을 도시한다.
낚싯줄 가이드가 낚시 중에 낚싯대에 대하여 회전하게 되면 온전한 낚시의 진행에 방해가 될 수 있다. 또한, 낚싯줄 가이드의 회전은 낚싯대의 파손이나 낚싯줄의 줄엉킴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린이나 여성과 같이 힘이 약한 사람이 유동 가이드를 낚싯대에 설치하더라도, 유동 가이드에 충분한 회전 내력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도 15(b)를 참고하면, 낚싯줄 가이드에서, 부착부의 내주면에는 회전 내력 향상을 위하여 팁(171)이 구비된 복수의 세레이션(17)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부착부의 내주면에는 룰렛 형상(knurling shape)이 채용될 수 있다.
도 15(c)를 참고하면, 부착부의 재료를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로 구성하는 경우, 강도가 크게 향상되어, 세레이션의 팁의 좌굴이 방지될 수 있다. 즉, 룰렛 선단의 좌굴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강하게 부착부를 낚싯대에 압입하더라도, 세레이션의 팁이 무너지지 않으므로 뾰족한 팁의 형상이 유지되어, 부착부의 낚시대에 대한 회전 내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5(d)를 참고하면, 비교예에서는 부착부의 재료를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 POM) 수지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낚싯줄 가이드를 낚싯대에 압입할 때, 삼각형 형상의 세레이션의 팁에 좌굴이 발생하게 되어, 도 15(d)와 같이 팁이 평평하게 무너진 세레이션(17')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팁이 평평하게 무너지게 되면 부착부의 회전 내력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강하게 부착부를 낚싯대에 압입하면, 세레이션(17')와 같은 팁이 평평하게 무너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1)를 구성하는 재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7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1)를 구성하는 재료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고하면, 비교예의 링 서포트를 이루는 금속 프레임은 티타늄 합금을 사용하고,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1)인 TC-모델의 링 서포트를 이루는 금속 프레임은 순(純) 티타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의 부착부는 POM을 사용하고, TC-모델의 부착부는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도 6 및 도 17을 참고하면,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의 비중이, 나머지 재료들에 비하여 가장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의 인장 강도는 POM의 인장 강도의 대략 3.9배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고하면,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의 굽힘 강도는 POM의 굽힘 강도의 대략 3.5배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부착부가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로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가 강한 힘으로 부착부를 낚싯대에 압입한다고 하더라도, 부착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세레이션이 좌굴되지않고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8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에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를 사용하여 회전 내력이 향상된 정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평가 낚싯대로서, 아텐다(상표명, 낚싯대의 한 종류) 1.5-53(세부 모델명)에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1, 2, 3)를 압입 부착하여 사용한다. 평가 방법으로, 과도한 후킹을 가정하여, 낚싯줄 가이드를 낚싯대에 대하여 90˚ 횡방향으로 회전 부하를 추가하는 것처럼, 낚싯대를 100회 연속적으로 90˚ 횡방향으로 구부리는 동작(2.5kgf ~ 3.0kgf 부하)을 하여, 낚싯대에 대한 낚싯줄 가이드의 회전 유무를 확인한다.
도 18을 참고하면, 낚싯줄 가이드의 사이즈별로, 표시된 압입 하중으로 압입한 후의 낚시줄 가이드의 회전 유무에 대한 평가 결과가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O" 표시된 영역은 해당 압입 하중으로 낚시줄 가이드를 낚시대에 장착하여 회전 방지가 성공한 경우를 나타내고, "X" 표시된 영역은 회전 방지가 실패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18에서 "O" 표시 또는 "X" 표시와 함께 특정 낚싯줄 가이드의 회전 내력수치가 기재되어 있는 셀이 있다. 예를 들어, 비교예의 4.5-5.0 사이즈에 대한 행을 참고하면, 회전 내력이 0.4 일때는 "X"표시가 되어 있어 회전 방지가 실패된 경우를 나타내고, 회전 내력이 0.8 일때는 "O"표시가 되어 있어 회전 방지가 성공한 경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비교예의 4.5-5.0 사이즈의 경우, 1.0kgf의 압입 하중에서, 회전내력이 0.4 kgf일 때에는 회전 방지에 실패할 것이고, 2.0kgf의 압입 하중에서, 회전내력이 0.8kgf일 때에는 회전 방지에 성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른 예로, TC-모델의 9H-14.2 사이즈의 경우, 1.0kgf의 압입 하중에서, 회전 내력이 0.6 kgf일 때에는 회전 방지에 실패할 것이고, 2.0kgf의 압입 하중에서, 회전 내력이 1.2 kgf일 때에는 회전 방지에 성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도 18의 B1 및 B2영역을 참고하면, B1 및 B2영역은 모두 회전 방지가 성공한 경우를 나타낸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대부분의 사이즈의 낚싯줄 가이드는 대략 2.0 kgf에 근접한 압입 하중을 적용 하면 낚싯대에 대한 낚싯줄 가이드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낚싯줄 가이드를 낚싯대에 압입할 때, POM은 재료 강도가 낮기 때문에, 룰렛 선단이 무너지고 좌굴하는 것에 비하여,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는 재료 강도가 높기 때문에 룰렛 선단이 무너지지 않고 룰렛 선단이 낚싯대의 도장면을 물어서 스파이크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낚싯대의 후킹 시에 낚싯줄 가이드의 부착부의 회전 내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 2, 3: 낚싯줄 가이드
20, 30: 가이드 본체
1a, 20a, 30a: 링 서포트
11, 21, 31: 링 유지부
12, 22, 32: 가이드 링
13, 29, 39: 링 지지부
1b, 23, 33: 부착부
10b, 27, 37: 보어
15a, 25, 35: 제1 리브
15b, 15c: 제2 리브, 제3 리브
1b, 23, 33: 부착부
17: 세레이션

Claims (21)

  1. 낚싯대의 관상 대에 부착되어 낚싯줄을 안내하는 낚싯줄 가이드이며,
    환상의 부착부와,
    낚싯줄이 통과하는 가이드 링과,
    금속제의 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착부와 부분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링을 지지하는 링 서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링 서포트는, 상기 가이드 링이 결합되는 링 유지공을 가지는 링 유지부와, 상기 링 유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부착부의 원주 방향의 일부에 하측 일부가 매립되어 상기 부착부와 결합되는 링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부는 길이가 5mm 내지 10mm인 카본 장섬유를 포함하는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 재료로 상기 링 지지부의 상기 하측 일부를 둘러싸서 매립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링 지지부의 상기 부착부에 매립된 상기 하측 일부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부착부를 이루는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 재료의 일부가 상기 개구를 채우도록 형성되는,
    낚싯줄 가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장섬유는 상기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의 총 중량의 20 내지 40 중량%를 갖는, 낚싯줄 가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관상 대의 외주면에 끼워맞춤되는 환상체; 및
    상기 환상체의 외주면에 외측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제1 리브를 포함하는,
    낚싯줄 가이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체는,
    상기 낚싯대의 버트를 향하는 후방 방향으로 위치하고, 상기 제1 리브가 형성된 소외경부; 및
    상기 소외경부보다 큰 외경을 갖고, 상기 링 지지부의 하측 일부가 매립되는 대외경부를 포함하는, 낚싯줄 가이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낚싯대의 버트를 향하는 후방 방향으로 상기 소외경부의 후단면까지 연장하도록 형성되는,
    낚싯줄 가이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대외경부의 외측 반경방향 선단으로부터 상기 소외경부의 후단면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된 외주면을 갖는,
    낚싯줄 가이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의 외주면에 포함된 길이 방향 중심선은 상기 낚싯대의 중심축과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는,
    낚싯줄 가이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낚싯대의 버트를 향하는 상기 제1 리브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낚싯대의 팁을 향하는 상기 제1 리브의 전단으로 갈수록 확대되는 폭을 갖는,
    낚싯줄 가이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제1 리브에 대하여 둘레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환상체의 외주면에 외측 반경방향으로 각각 돌출하도록 형성된 제2 및 제3 리브를 더 포함하는,
    낚싯줄 가이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의 내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배열되고 낚싯대의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세레이션이 형성된,
    낚싯줄 가이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세레이션은 선단에 팁이 형성되도록 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갖는,
    낚싯줄 가이드.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 재료를 사출 성형하기 시작하는 게이트 위치는 상기 대외경부의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소외경부는,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한 두께를 갖는 하측 부착부; 및
    상기 하측 부착부의 양 선단으로부터 둘레방향을 따라 두께가 증가하도록 구성된 상측 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부착부는 상기 제1 리브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낚싯줄 가이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복수개의 관상 대와,
    상기 관상 대 중 하나에 부착되는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낚싯줄 가이드를 포함하는,
    낚싯대.
KR1020180093079A 2018-01-17 2018-08-09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KR101991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80086712.6A CN111615334B (zh) 2018-01-17 2018-12-25 钓鱼线引导器和配备有钓鱼线引导器的钓鱼竿
JP2019531363A JP6598416B1 (ja) 2018-01-17 2018-12-25 釣り糸ガイド及びこれを備える釣り竿
EP18901040.8A EP3741210B1 (en) 2018-01-17 2018-12-25 Fishing line guide and fishing rod equipped with same
PCT/JP2018/047623 WO2019142624A1 (ja) 2018-01-17 2018-12-25 釣り糸ガイド及びこれを備える釣り竿
EP22160912.6A EP4032399B1 (en) 2018-01-17 2018-12-25 Fishing line guide and fishing rod equipped with same
TW108100341A TWI683623B (zh) 2018-01-17 2019-01-04 釣線導引件及具備其之釣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05465 2018-01-17
JP2018005465 2018-01-17
KR20180024645 2018-02-28
KR1020180024645 2018-02-2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415A Division KR102172948B1 (ko) 2018-01-17 2019-05-09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1201B1 true KR101991201B1 (ko) 2019-06-19

Family

ID=6710436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079A KR101991201B1 (ko) 2018-01-17 2018-08-09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KR1020190054415A KR102172948B1 (ko) 2018-01-17 2019-05-09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415A KR102172948B1 (ko) 2018-01-17 2019-05-09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2) EP3741210B1 (ko)
JP (1) JP6598416B1 (ko)
KR (2) KR101991201B1 (ko)
CN (1) CN111615334B (ko)
TW (1) TWI683623B (ko)
WO (1) WO20191426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68400B (zh) * 2018-06-28 2023-06-06 古洛布莱株式会社 具有安装了安装部件的竿体的钓竿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700Y1 (ko) * 1994-12-27 1997-07-02 정춘재 낚시대의 낚시줄 안내링
JPH09172914A (ja) * 1995-12-26 1997-07-08 Ryobi Ltd 釣竿の釣糸ガイド
KR19980058280U (ko) * 1997-02-18 1998-10-26 정춘재 낚시용 가이드
JP4275457B2 (ja) 2003-05-16 2009-06-10 富士工業株式会社 釣竿用ガイド
JP2017112844A (ja) * 2015-12-21 2017-06-29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遊動式の釣糸ガイド、当該釣糸ガイドの製造方法、及び当該釣糸ガイドを備えた釣竿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4380U (ja) * 1981-12-18 1983-06-27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竿の釣糸ガイド
JP2607635Y2 (ja) 1993-07-05 2002-03-04 凸版印刷株式会社 紙カップ製の除湿器
KR970006700A (ko) * 1995-07-22 1997-02-21 반 김 자동소변세척수 공급기
KR970006700U (ko) * 1995-07-29 1997-02-21 쇼케이스의 냉각기 취부구
JP3714774B2 (ja) * 1997-06-27 2005-11-09 富士工業株式会社 釣竿用ラインガイド
JP3993448B2 (ja) * 2002-03-25 2007-10-17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竿
JP2004024079A (ja) * 2002-06-24 2004-01-29 Daiwa Seiko Inc 釣糸ガイド及び釣竿
JP2004081080A (ja) * 2002-08-26 2004-03-18 Daiwa Seiko Inc 釣竿
CN102834000A (zh) * 2010-02-18 2012-12-19 株式会社岛野 钓竿用钓线引导件(包含顶部钓线引导件)以及钓竿
JP5431286B2 (ja) * 2010-09-30 2014-03-05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糸ガイ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6386710B2 (ja) * 2013-09-30 2018-09-05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糸ガイド
US9713322B2 (en) * 2014-03-27 2017-07-25 Globeride, Inc. Fishing rod having fitting mounted on rod body
JP6247587B2 (ja) * 2014-04-10 2017-12-13 株式会社シマノ 振り出し竿用の釣糸ガイド及び振り出し竿
KR101524407B1 (ko) * 2014-05-23 2015-05-29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낚싯줄 가이드,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 및 낚싯줄 가이드를 구비하는 낚싯대
JP6433310B2 (ja) * 2015-01-23 2018-12-05 株式会社シマノ 釣糸ガイド、釣竿、ガイドフレ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6518137B2 (ja) * 2015-06-09 2019-05-22 株式会社シマノ 釣糸ガイド、釣竿、釣糸ガイドのガイドフレーム及びガイドフレームの製法
JP6401681B2 (ja) * 2015-08-31 2018-10-10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糸ガイド及びこれを備える釣竿
JP6161672B2 (ja) * 2015-10-15 2017-07-12 株式会社シマノ 振出竿用ラインガイド及び振出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700Y1 (ko) * 1994-12-27 1997-07-02 정춘재 낚시대의 낚시줄 안내링
JPH09172914A (ja) * 1995-12-26 1997-07-08 Ryobi Ltd 釣竿の釣糸ガイド
KR19980058280U (ko) * 1997-02-18 1998-10-26 정춘재 낚시용 가이드
JP4275457B2 (ja) 2003-05-16 2009-06-10 富士工業株式会社 釣竿用ガイド
JP2017112844A (ja) * 2015-12-21 2017-06-29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遊動式の釣糸ガイド、当該釣糸ガイドの製造方法、及び当該釣糸ガイドを備えた釣竿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제(평)7-7726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036A (ko) 2019-07-25
EP4032399B1 (en) 2023-07-19
JPWO2019142624A1 (ja) 2020-01-23
WO2019142624A1 (ja) 2019-07-25
EP4032399A1 (en) 2022-07-27
EP3741210A4 (en) 2020-12-23
CN111615334A (zh) 2020-09-01
EP3741210B1 (en) 2022-04-20
JP6598416B1 (ja) 2019-10-30
TWI683623B (zh) 2020-02-01
EP3741210A1 (en) 2020-11-25
KR102172948B1 (ko) 2020-11-02
CN111615334B (zh) 2022-03-22
TW201932007A (zh) 201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1414B2 (en) Fishing line guide, reel seat and fishing rod including the same
KR101991201B1 (ko)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JP6805029B2 (ja) 釣竿及び釣竿の穂先竿体
TWI684401B (zh) 釣線導引件之製造方法、釣線導引件及包含其之釣竿
KR101986052B1 (ko)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TWI685299B (zh) 釣線導引件之製造方法、用於釣線導引件之製造之射出成形裝置及釣線導引件
CN111601503B (zh) 制造钓鱼线引导器的方法,制造钓鱼线引导器的注射模制装置和钓鱼线引导器
JP6212022B2 (ja) 釣竿
JP5478351B2 (ja) 釣り糸ガイド
KR20220011596A (ko) 초목 절단용 모노필라멘트
JP2009523441A (ja) 浮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