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1607B1 - 플라텐 유닛 및 프린터 - Google Patents

플라텐 유닛 및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1607B1
KR101981607B1 KR1020187036721A KR20187036721A KR101981607B1 KR 101981607 B1 KR101981607 B1 KR 101981607B1 KR 1020187036721 A KR1020187036721 A KR 1020187036721A KR 20187036721 A KR20187036721 A KR 20187036721A KR 101981607 B1 KR101981607 B1 KR 101981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venting member
upstream
downstream
curling preventing
side cur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6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6589A (ko
Inventor
타크미 나카모리
Original Assignee
사토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토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사토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36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6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45Guides for printing material
    • B41J11/005Guides in the printing zone, e.g. guides for preventing contact of conveyed sheets with print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04Roller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36Blanking or long feeds; Feeding to a particular line, e.g. by rotation of platen or feed roller
    • B41J11/42Controlling printing material conveyance for accurate alignment of the printing material with the printhead; Print regis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6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for the guidance of continuous cop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kewed conveyance of the continuous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11/00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 B65C11/02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having printing equipment
    • B65C11/0205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having printing equipment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 B65C11/021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having printing equipment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label feeding from strips
    • B65C11/0284Linerless labels

Landscapes

  • Handling Of Sheet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Handling Of Continuous Sheets Of Paper (AREA)

Abstract

서멀 프린터(1a)는, 플라텐 롤러(14)의 롤러 축(14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부(322), 고정부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43)를 구비하고,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는, 고정부에 롤러 축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고정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고,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는, 롤러 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 및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에는,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에 대한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의 상대적인 회전을 규제하는 규제 기구(162, 173, 175)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플라텐 유닛 및 프린터{PLATEN UNIT AND PRINTER}
본 발명은 밴드형 라벨 연속체를 서멀 헤드와 플라텐(platen) 롤러로 협지(挾持)하면서 인자를 행하는 서멀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밴드형의 라벨 연속체로서, 라벨 기재(基材)의 이면(裏側) 측의 점착제층을 임시로 붙이는 박리지(剝離紙)를 이용하지 않고, 자원 절약을 목표로 한 박리지가 없는 라벨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박리지가 없는 라벨용의 서멀 프린터(1)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리지가 없는 라벨(2)의 공급부(3), 검출부(4), 인자부(5)를 구비하고 있다.
공급부(3)에는, 박리지가 없는 라벨(2)이 롤형으로 돌려 감긴 상태의 롤지(紙)로서 장전된다. 박리지가 없는 라벨(2)은 도 10에 그 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밴드형의 라벨 기재(7), 라벨 기재(7)의 이면에 형성한 점착제층(8), 라벨 기재(7)의 표면에 형성한 하층 측의 감열(感熱) 발색제층(發色劑層)(9) 및 상층 측의 박리제층(10)을 가진다.
이와 같이, 박리지가 없는 라벨(2)의 최상층에는 박리제층(1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박리지가 없는 라벨(2)을 롤형으로 돌려 감으면 점착제층(8)에 박리제층(10)이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박리지가 없는 라벨(2)을 롤지로서 공급부(3)에 장전하여도, 내층 측과 외층 측이 서로 접착하여 들러붙어 버리지 않고 박리지가 없는 라벨(2)을 송출 가능해진다.
공급부(3)로부터 풀려내보내진 박리지가 없는 라벨(2)은, 공급부(3)로부터 인자부(5)를 향해 반송된다. 공급부(3)로부터 인자부(5)까지의 박리지가 없는 라벨(2)의 반송로에는 박리지가 없는 라벨(2)을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11), 검출부(4)가 설치되어 있다.
검출부(4)는 투과형 광센서 등으로 구성된 마크 센서(12)를 가지고, 박리지가 없는 라벨(2)에 소정 피치로 미리 인쇄되어 있는 위치 검출용 마크(미도시)를 검출하여 인자부(5)에 대한 박리지가 없는 라벨(2)의 상대적 위치를 검출한다.
인자부(5)는 서멀 헤드(13), 플라텐 롤러(14)를 가지고 있다. 공급부(3)로부터 풀려내보내진 박리지가 없는 라벨(2)은 서멀 헤드(13)와 플라텐 롤러(14) 사이에 공급된다.
인자부(5)에서는, 플라텐 롤러(14)를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박리지가 없는 라벨(2)을 협지 반송함과 함께, 서멀 헤드(13)의 발열 소자(15)에 인자 데이터를 공급하여 라벨 기재(7)의 표면에 형성한 감열 발색제층(9)을 발색시킴으로써 라벨 기재(7)의 표면에 소정 내용의 인자를 행한다.
그리고, 박리지가 없는 라벨(2)에 소정 피치로 형성되어 있는 점선(미도시)에서 박리지가 없는 라벨(2)을 절단하고, 단엽의 박리지가 없는 라벨(2A)로서 발행한다. 그리고, 가동날과 고정날로 이루어지는 절단부에 의해 인자 완료된 박리지가 없는 라벨(2)을 소정 피치에서 떼어내 단엽의 박리지가 없는 라벨(2A)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의 서멀 프린터(1)에서, 박리지가 없는 라벨(2)의 이면의 점착제층(8)에 접촉하는 플라텐 롤러(14)에는 실리콘 고무재 등의 박리성 재료가 사용되어 비점착성이 확보되어 있다. 그리고, 플라텐 롤러(14)의 반송 방향 하류 측에는, 플라텐 롤러(14)와 마찬가지로 비점착성을 가지는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가 설치되어 있다.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와 플라텐 롤러(14)와의 간극(間隙)은, 가능한 한 작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유지보수성을 고려하여 플라텐 롤러(14)를 착탈 가능하게 한 경우에는,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와 플라텐 롤러(14)와의 간극을 너무 작게 하면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가 방해가 되어 플라텐 롤러(14)의 착탈에 지장을 초래해 버린다.
그래서, 플라텐 롤러(14)의 롤러 축(14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플라텐 베어링에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를 장착하고, 플라텐 베어링을 고정부로 하여 장치 하우징에 설치된 지지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플라텐 롤러(14)와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를 유닛화하여 장치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JP9-314948A참조).
JP9-314948A에서는 플라텐 베어링의 외주에 2면 컷을 행하고, 이 2면 컷 부분에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플라텐 베어링의 2면 컷 부분을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와 함께 회전시키면서 지지 부재의 오목부에 삽입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박리지가 없는 라벨(2)을 역방향으로 반송하는 백 피드시에도, 플라텐 롤러(14)에 박리지가 없는 라벨(2)이 붙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플라텐 롤러(14)의 반송 방향 상류 측에도 플라텐 롤러(14)와 마찬가지로 비점착성을 가지는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와 플라텐 롤러(14)와의 간극도,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와 마찬가지로 가능한 한 작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간극을 너무 작게 하면 플라텐 롤러(14)의 착탈에 지장을 초래한다.
그래서, 플라텐 롤러(14)와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에 더하여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도 유닛화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와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는 플라텐 롤러(14)를 협지하여 설치되므로, 지지 부재에 플라텐 베어링을 고정시킬 때에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와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의 어느 하나가 방해가 되어 착탈을 원활하게 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플라텐 롤러와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에 더하여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를 유닛화하여도, 착탈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서멀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의하면, 박리지가 없는 라벨을 협지(挾持) 반송(搬送)하면서 인자를 행하는 서멀 헤드 및 플라텐 롤러, 반송 방향 하류 측에 배치되고 상기 박리지가 없는 라벨의 상기 플라텐 롤러에의 말려듦을 방지하는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 반송 방향 상류 측에 배치되고 상기 박리지가 없는 라벨의 상기 플라텐 롤러에의 말려듦을 방지하는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를 구비하는 서멀 프린터로서, 상기 플라텐 롤러의 롤러 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는, 상기 고정부에 상기 롤러 축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고정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고, 상기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는, 상기 롤러 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 및 상기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에는, 상기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에 대한 상기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의 상대적인 회전을 규제하는 규제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서멀 프린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의하면, 제1 태양에 관한 서멀 프린터에서 상기 지지 부재에는, 상기 고정부를 고정시키는 고정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를 소정 방향으로 상기 고정 오목부에 삽입시킨 후, 상기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 및 상기 고정부를 상기 롤러 축 주위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가 위치결정되고, 상기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는, 상기 규제 기구에 의해 상기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에 대해서 상기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가 가까워지는 방향의 회전이 규제된 상태로 상기 고정부가 상기 고정 오목부에 삽입되면,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의하면, 제1 태양에 관한 서멀 프린터에서 상기 지지 부재에는, 상기 고정부를 고정시키는 고정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를 소정의 방향으로 상기 고정 오목부에 삽입시킨 후, 상기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 및 상기 고정부를 상기 롤러 축 주위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가 위치결정되고, 상기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는, 상기 규제 기구에 의해 상기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에 대해서 상기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가 이격되는 방향의 회전이 규제된 상태로 상기 고정부가 상기 고정 오목부에 삽입되면, 소정의 위치를 향해 회전이 보조 되어 위치 결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의하면, 제3 태양에 관한 서멀 프린터에서 상기 고정부의 상기 고정 오목부에의 삽입시에, 상기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와 맞닿아 상기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를 소정의 위치를 향해 회전시키는 경사면이 형성된 계합(係合)부를 더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태양에 의하면, 제4 태양에 관한 서멀 프린터에서 상기 계합부에는, 상기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의 상이한 개소(箇所)에 각각 계합하여 위치결정하는 각도가 상이한 2개의 계합면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6 태양에 의하면, 제4 태양에 관한 서멀 프린터에서 상기 고정부의 상기 고정 오목부에의 삽입시에, 상기 경사면에 맞닿는 상기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의 개소는, 상기 롤러 축의 중심축보다 상류 측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태양에 의하면, 플라텐 롤러와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에 더하여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를 유닛화하여도, 플라텐 롤러의 장착시에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를 방해가 되지 않는 개소에 위치시킬 수 있어, 플라텐 롤러의 착탈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서멀 프린터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 측면도이다.
도 2는 플라텐 롤러에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와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를 장착한 플라텐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플라텐 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서멀 프린터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5는 하류 측 플레이트부만을 파지하여 플라텐 유닛을 지지 부재에 장착하는 장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은 하류 측 플레이트부만을 파지하여 플라텐 유닛을 지지 부재에 장착하는 장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은 하류 측 플레이트부만을 파지하여 플라텐 유닛을 지지 부재에 장착하는 장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은 하류 측 플레이트부만을 파지하여 플라텐 유닛을 지지 부재에 장착하는 장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9는 하류 측 플레이트부 및 상류 측 플레이트부를 파지하여 플라텐 유닛을 지지 부재에 장착하는 장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서멀 프린터의 개략 측면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서멀 프린터(1a)는, 도 1를 참조하면 박리지가 없는 라벨(2)의 공급부(3), 검출부(4), 인자부(5a)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서, 도 10에 나타낸 종래의 서멀 프린터(1)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인자부(5a)에는, 도 1를 참조하면 플라텐 롤러(14)보다 박리지가 없는 라벨(2)의 반송 방향 하류 측(이하, 단지 하류 측이라 함)에 배치된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에 더하여, 플라텐 롤러(14)보다 박리지가 없는 라벨(2)의 반송 방향 상류 측(이하, 단지 상류 측이라 함)에 배치된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가 설치된다.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와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라텐 롤러(14)의 롤러 축(140)에 장착되어 있고, 이들이 플라텐 유닛(30)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플라텐 롤러(14)에는 실리콘 고무재 등의 박리성 재료가 사용되고, 비점착성이 확보되어 있다. 또,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 및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의 박리지가 없는 라벨(2)의 이면의 접촉하는 면도 플라텐 롤러(14)와 마찬가지로 비점착성이 확보되어 있다.
플라텐 유닛(30)은, 도 3을 참조하면 플라텐 롤러(14),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 및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 외에 한 쌍의 부재 베어링(31), 한 쌍의 플라텐 베어링(32), 기어부(33), 한 쌍의 잠금쇠(34)를 구비하고 있다.
박리지가 없는 라벨(2)의 반송 방향을 향해 플라텐 롤러(14)의 좌측에 위치하는 롤러 축(140)에는, 부재 베어링(31) 및 플라텐 베어링(3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축부(141), 잠금쇠(34)가 계합(係合)되는 계합홈부(143)가 해방단(解放端)을 향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박리지가 없는 라벨(2)의 반송 방향을 향해 플라텐 롤러(14)의 우측에 위치하는 롤러 축(140)의 다른 쪽 끝 측에는, 부재 베어링(31) 및 플라텐 베어링 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축부(141), D컷이 행해지고 기어부(33)가 장착되는 D컷부(142), 잠금쇠(34)가 계합되는 계합홈부(143)가 해방단을 향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부재 베어링(31)은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가 장착되는 계합 돌출부(311), 플랜지부(312)를 구비하고, 롤러 축(140)의 좌측 및 우측의 회전 축부(141)에 계합 돌출부(311)를 내측으로 하여 각각 환형으로 장착된다.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는, 좌측의 회전 축부(141)에 환형으로 장착된 부재 베어링(31)에 장착되는 좌측 브래킷(171), 우측의 회전 축부(141)에 환형으로 장착된 부재 베어링(31)에 장착되는 우측 브래킷(172), 좌측 브래킷(171)과 우측 브래킷(172) 사이에 걸쳐놓은 상류 측 플레이트부(173)를 구비하고 있다.
좌측 브래킷(171)에는 장착공(174)이, 우측 브래킷(172)에는 장착홈(178)이 각각 형성되고, 장착공(174) 및 장착홈(178)이 좌측 및 우측의 부재 베어링(31)의 계합 돌출부(311)에 각각 장착된다.
이로써,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는 플라텐 롤러(14)의 주위면과 상류 측 플레이트부(173)와의 간극을 적절히 유지한 상태로 플라텐 롤러(14)(롤러 축(140))의 회전에 대해서 독립적으로 장착된다.
플라텐 베어링(32)은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가 장착되는 계합 돌출부(321), 지지 부재(43)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부(322), 계합 돌출부(321)와 고정부(322) 사이에 형성된 플랜지부(323)를 구비하고, 롤러 축(140)의 좌측 및 우측의 회전 축부(141)에, 부재 베어링(31)에 이어 계합 돌출부(321)를 내측으로 하여 각각 환형으로 장착된다.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는, 좌측 및 우측의 회전 축부(141)에 각각 환형으로 장착된 플라텐 베어링(32)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장착 브래킷(161)과 한 쌍의 장착 브래킷(161) 사이에 걸쳐놓은 하류 측 플레이트부(162)를 구비하고 있다.
플라텐 베어링(32)의 계합 돌출부(321)에는 2면 컷이 행해져 있고, 장착 브래킷(161)에는 계합 돌출부(321)에 계합되는 계?공(163)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 브래킷(161)은 계?공(163)에 의해 좌측 및 우측의 플라텐 베어링(32)의 계합 돌출부(321)에 각각 장착된다.
이로써,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는 플라텐 롤러(14)의 주위면과 하류 측 플레이트부(162)와의 간극을 적절히 유지한 상태로 플라텐 롤러(14)(롤러 축(140))의 회전에 대해서 독립적으로 장착된다.
또, 플라텐 베어링(32)와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는 롤러 축(140)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방향에 있어서 고정되고, 플라텐 롤러(14)(롤러 축(140))의 주위를 일체로 회전한다.
또한,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는 플라텐 베어링(32)에,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는 부재 베어링(31)에 각각 장착되고, 플라텐 베어링(32)과 부재 베어링(31)은 독립된 부재이므로,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와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는 플라텐 롤러(14)(롤러 축(140))의 주위를 독립적으로 회전한다.
서멀 프린터(1a)는, 도 4를 참조하면 하부 하우징(41), 하부 하우징(41)의 후방측을 지점(支点)으로 하여 상부를 개폐 가능하게 커버하는 상부 커버(42)로 구성된 하우징(40)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도 4에는 플라텐 유닛(30)을 분리해 낸 상태의 서멀 프린터(1a)가 나타나 있다.
상부 커버(42)에는 발열 소자(15)를 구비한 서멀 헤드(13)가 설치되어 있고, 하부 하우징(41)에는 돌려 감아진 박리지가 없는 라벨(2)을 회동(回動) 가능하게 지지하여 수납하는 공급부(3)가 설치되어 있다.
또, 하부 하우징(41)에서 상부 커버(42)를 폐쇄된 상태로 발열 소자(15)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플라텐 유닛(30)이 장착되는 한 쌍의 지지 부재(4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지지 부재(43)의 사이에는 플라텐 유닛(30)의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를 위치결정하는 제1 계합부(44), 플라텐 유닛(30)의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를 위치결정하는 제2 계합부(45) 및 제3 계합부(46)가 설치되어 있다.
먼저,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의 하류 측 플레이트부(162)를 파지한 상태로 플라텐 유닛(30)을 지지 부재(43)에 장착하는 장착 동작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지지 부재(43)에는, 도 5를 참조하면, 위쪽을 향해 해방된 삽통부(揷通部)(431), 플라텐 베어링(32)의 고정부(322)를 지지하는 고정 오목부(432)가 형성되어 있다.
플라텐 베어링(32)의 고정부(322)에는, 2면 컷이 행해져 있다. 그리고, 삽통부(431)의 간격(L1)은 고정부(322)의 소경(小徑)(대향하는 컷 면의 간격)(L2)보다 약간 넓게 형성되고, 고정 오목부(432)의 직경(M1)은 고정부(322)의 대경(大徑)(M2)와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322)의 컷 면을 수직으로 하여 고정부(322)를 삽통부(431)로부터 고정 오목부(432)에 삽입시키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322)를 롤러 축(140)의 축 주위로 회전시키면, 플라텐 베어링(32)에 각각 장착된 장착 브래킷(161)(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이 위치결정되어 고정부(322)가 지지 부재(43)의 고정 오목부(432)에 고정된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에서는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 제2 계합부(45) 및 제3 계합부(46)가 생략되어 있다. 또, 도 8에서는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 및 제1 계합부(44)가 생략되어 있다.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의 좌측 브래킷(171) 및 우측 브래킷(172)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의 하류 측 플레이트부(162)에 이면 측으로부터 계합되는 회전 규제부(175)가 형성되어 있다.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와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는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지만, 회전 규제부(175)가 하류 측 플레이트부(162)에 이면 측으로부터 계합함으로써,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의 하류 측 플레이트부(162)와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의 상류 측 플레이트부(173)가 필요 이상으로 이격되어 버리지 않게,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에 대해서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가 이격되는 방향의 상대적인 회전이 규제된다.
이로써,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322)의 컷 면을 수직으로 한 플라텐 유닛(30)의 장착시에 상류 측 플레이트부(173)의 상류 측 단부는 롤러 축(140)의 중심축보다 상류 측에 위치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41)에 설치된 제1 계합부(44)에는, 플라텐 유닛(30)의 장착시에 상류 측 플레이트부(173)의 상류 측 단부에 맞닿는 경사면(441)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441)은 단면(斷面)이 대략 원호형이며, 상류 측이 완만하게 높아져 있다. 경사면(441)의 곡률은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의 회전에 의해 상류 측 플레이트부(173)의 상류 측 단부가 그리는 곡률보다 완만하게 되어 있다. 이로써, 플라텐 유닛(30)의 장착에 수반하여 경사면(441)으로부터 상류 측 플레이트부(173)의 상류 측 단부에 힘이 작용하고,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가 도 6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 즉 상류 측 플레이트부(173)가 상류 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플라텐 유닛(30)의 장착시에, 작업자가 도 6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 즉 상류 측 플레이트부(173)가 상류 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를 회전시켜도 된다. 이 경우에는, 상류 측 플레이트부(173)가 경사면(441)에 맞닿으면 경사면(441)으로부터 상류 측 플레이트부(173)의 상류 단부에 도 6에서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므로, 작업자가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를 회전시키는 작업을 보조할 수 있다.
또, 제1 계합부(44)로서 경사면(441)의 상류 측에는 수평 계합면(442)이, 경사면(441)의 하류 측에는 수직 계합면(44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의 회전에 의해 상류 측 플레이트부(173)의 상류 측 단부가 경사면(441)으로부터 벗어나면, 이번에는 상류 측 플레이트부(173)의 상류 측 단부와 간격을 두고 좌측 브래킷(171)에 설치된 상류 측 위치 결정부(176)가 경사면(441)에 맞닿아, 마찬가지로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가 회전한다.
좌측 브래킷(171)에는 상류 측 위치 결정부(176)와 간격을 두고 하류 측 위치 결정부(177)가 설치되어 있다. 플라텐 유닛(30)의 장착에 수반하여, 롤러 축(140)의 중심축이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류 측 위치 결정부(176)가 제1 계합부(44)의 수평 계합면(442)과 계합함과 함께, 하류 측 위치 결정부(177)가 제1 계합부(44)의 수직 계합면(443)에 계합하고,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 즉 상류 측 플레이트부(173)가 좌측에서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또,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 브래킷(172)에도 상류 측 위치 결정부(176) 및 하류 측 위치 결정부(177)가 형성되어 있다. 우측 브래킷(172)에서도, 상류 측 위치 결정부(176)가 제1 계합부(44)의 수평 계합면(442)과 계합함과 함께, 하류 측 위치 결정부(177)가 제1 계합부(44)의 수직 계합면(443)에 계합하고,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 즉 상류 측 플레이트부(173)가 우측에서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이로써,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 즉 상류 측 플레이트부(173)는 우측과 좌측의 양쪽에서 위치 결정된다.
도 8을 참조하면,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의 장착 브래킷(161)에는 플라텐 유닛(30)의 장착에 수반하여, 제2 계합부(45)에 맞닿는 상류 측 위치 결정부(164)가 설치되어 있다. 제2 계합부(45)는 상류 측을 향해 연장되어 상류 측 위치 결정부(164)의 접촉에 의해 변형되는 탄성편(451), 탄성편(451)의 해방단에 형성된 수평 계합면(452)을 구비하고 있다.
또, 장착 브래킷(161)에는 상류 측 위치 결정부(164)와 간격을 두고 하류 측 위치 결정부(165)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 방향에 있어서 고정부(322)에 고정된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를 도 7에 나타낸 화살표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류 측 위치 결정부(164)가 제2 계합부(45)의 수평 계합면(452)과 계합함과 함께 하류 측 위치 결정부(165)가 수평 계합면인 제3 계합부(46)에 계합하고,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 즉 하류 측 플레이트부(162)가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이로써, 고정부(322)가 지지 부재(43)의 고정 오목부(432)에 고정되고, 플라텐 롤러(14)가 소정의 위치에 장착되게 된다.
이어서,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의 하류 측 플레이트부(162)와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의 상류 측 플레이트부(173)를 파지한 상태로 플라텐 유닛(30)을 지지 부재(43)에 장착하는 장착 동작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작업자가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의 하류 측 플레이트부(162)와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의 상류 측 플레이트부(173)의 양쪽을 함께 파지하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류 측 플레이트부(162)와 상류 측 플레이트부(173)가 맞닿는다.
하류 측 플레이트부(162)와 상류 측 플레이트부(173)는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에 대해서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가 가까워지는 방향의 상대적인 회전을 규제하는 규제 기구로서 기능한다.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에 대해서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가 가까워지는 방향의 회전이 규제된 상태, 즉 하류 측 플레이트부(162)와 상류 측 플레이트부(173)가 맞닿은 상태로 고정부(322)의 컷 면을 수직으로 하여 고정부(322)를 삽통부(431)로부터 고정 오목부(432)에 삽입시키면,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의 좌측 브래킷(171) 및 우측 브래킷(172)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류 측 위치 결정부(176)가 제1 계합부(44)의 수평 계합면(442)과 계합함과 함께, 하류 측 위치 결정부(177)가 제1 계합부(44)의 수직 계합면(443)에 계합하는 위치로 안내된다.
이로써, 작업자가 의식하지 않고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 즉 상류 측 플레이트부(173)가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그 후에는,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를 하류 측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 즉 하류 측 플레이트부(162)가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박리지가 없는 라벨(2)을 협지 반송하면서 인자를 행하는 서멀 헤드(13) 및 플라텐 롤러(14), 반송 방향 하류 측에 배치되고 박리지가 없는 라벨(2)의 플라텐 롤러(14)에의 말려듦을 방지하는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 반송 방향 상류 측에 배치되고 박리지가 없는 라벨(2)의 플라텐 롤러(14)에의 말려듦을 방지하는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를 구비한 서멀 프린터(1a)는, 플라텐 롤러(14)의 롤러 축(14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부(322)(플라텐 베어링(32)), 고정부(322)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43)를 구비하고,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는 고정부(322)에 롤러 축(140) 회전 방향에 있어서 고정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고,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는 롤러 축(14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 및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에는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에 대한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의 상대적인 회전을 규제하는 규제 기구로서 하류 측 플레이트부(162), 회전 규제부(175)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으로부터, 플라텐 롤러(14)와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에 더하여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를 유닛화하여도, 플라텐 롤러(14)의 장착시에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를 방해가 되지 않는 개소에 위치시킬 수 있어, 플라텐 롤러(14)의 착탈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 부재(43)에는 고정부(322)를 고정시키는 고정 오목부(432)가 형성되어 있고, 고정부(322)를 소정의 방향(2면 컷의 컷 면을 수직으로 한 방향)으로 고정 오목부(432)에 삽입시킨 후,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 및 고정부(322)를 롤러 축(140) 주위로 회전시킴으로써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가 위치결정되고,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는 규제 기구로서의 하류 측 플레이트부(162)와 상류 측 플레이트부(173)에 의해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에 대해서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가 가까워지는 방향의 회전이 규제된 상태로 고정부(322)가 고정 오목부(432)에 삽입되면,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이 구성으로부터, 작업자가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의 하류 측 플레이트부(162)와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의 상류 측 플레이트부(173) 양쪽을 함께 파지한 상태로 플라텐 유닛(30)을 지지 부재(43)에 장착하면, 작업자가 의식하지 않고,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 즉 상류 측 플레이트부(173)가 좌측에서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 부재(43)에는 고정부(322)를 고정시키는 고정 오목부(432)가 형성되어 있고, 고정부(322)를 소정의 방향(2면 컷의 컷 면을 수직으로 한 방향)으로 고정 오목부(432)에 삽입시킨 후,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 및 고정부(322)를 롤러 축(140) 주위로 회전시킴으로써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가 위치결정되고,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는 규제 기구로서의 하류 측 플레이트부(162), 회전 규제부(175)에 의해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에 대해서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가 이격되는 방향의 회전이 규제된 상태로 고정부(322)가 고정 오목부(432)에 삽입되면, 소정의 위치를 향해 회전이 보조되어 위치 결정된다.
이 구성으로부터, 플라텐 롤러(14)의 장착에 수반하여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과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가 위치 결정되기 때문에,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6) 및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의 위치 결정을 고려하지 않고, 플라텐 롤러(14)의 장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서멀 프린터(1a)는 고정부(322)의 고정 오목부(432)에의 삽입시에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와 맞닿아,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를 소정의 위치를 향해 회전시키는 경사면(441)이 형성된 제1 계합부(44)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으로부터, 플라텐 롤러(14)의 장착에 수반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를 소정의 위치를 향해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계합부(44)에는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의 상이한 개소에 각각 계합하여 위치결정하는 각도가 상이한 2개의 계합면(수평 계합면(442), 수직 계합면(44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으로부터, 수평 계합면(442) 및 수직 계합면(443)에 의해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를 정확하게 위치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부(322)의 고정 오목부(432)에의 삽입시에 경사면(441)에 맞닿는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의 개소는 롤러 축(140)의 중심축보다 상류 측에 위치한다.
이 구성으로부터, 플라텐 롤러(14)의 장착에 수반하여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17)를 소정의 위치를 향해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적용예의 일부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상기 실시형태의 구체적 구성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본원은 2014년 8월 29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특원 2014-175687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 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내장된다.

Claims (13)

  1. 박리지가 없는 라벨을 서멀 헤드 및 플라텐 롤러로 협지(挾持) 반송(搬送)하면서 인자를 행하는 프린터의 플라텐 유닛으로서,
    상기 플라텐 롤러,
    상기 플라텐 롤러보다 상기 박리지가 없는 라벨의 반송 방향 하류 측에 배치되며, 상기 박리지가 없는 라벨의 상기 플라텐 롤러에의 말려듦을 방지하는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
    상기 플라텐 롤러보다 상기 박리지가 없는 라벨의 반송 방향 상류 측에 배치되며, 상기 박리지가 없는 라벨의 상기 플라텐 롤러에의 말려듦을 방지하는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 및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는, 상기 플라텐 롤러의 롤러 축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 및 상기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의 상대적인 회전을 규제하는 규제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규제 기구는, 상기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에 설치된 제1 규제부와, 상기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제에 설치된 제2 규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규제부와 상기 제2 규제부가 맞닿는 것에 의해, 상기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와 상기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의 상대적인 회전이 규제되는,
    플라텐 유닛.
  2. 제1항에 기재된 상기 플라텐 유닛을 구비한 프린터로서,
    상기 플라텐 유닛을 고정하는 고정 기구를 구비하는,
    프린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를 위치결정하는 하류 측 위치결정 기구를 더 구비하는,
    프린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를 위치결정하는 상류 측 위치결정 기구를 더 구비하는,
    프린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텐 유닛은, 상기 롤러 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는, 상기 고정부에 상기 롤러 축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고정된 상태로 장착되고,
    상기 고정 기구는, 상기 고정부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부재에 형성된 고정 오목부에 상기 고정부를 소정 방향으로 삽입시킨 후, 상기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 및 상기 고정부를 상기 롤러 축 주위로 회전시키면, 상기 하류 측 위치결정 기구에 의해서 상기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가 위치결정되는,
    프린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텐 유닛은, 상기 롤러 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고정 기구는, 상기 고정부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규제 기구에 의해 상기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에 대해 상기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가 가까워지는 방향의 회전이 규제된 상태로 상기 고정부가 상기 지지 부재에 형성된 고정 오목부에 삽입되면, 상기 상류 측 위치결정 기구에 의해 상기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가 위치결정되는,
    프린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텐 유닛은, 상기 롤러 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고정 기구는, 상기 고정부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규제 기구에 의해 상기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에 대해 상기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가 멀어지는 방향의 회전이 규제된 상태로 상기 고정부가 상기 지지 부재에 형성된 고정 오목부에 삽입되면, 소정의 위치를 향해 상기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의 회전이 보조되어 상기 상류 측 위치결정 기구에 의해 상기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가 상기 소정의 위치로 위치결정되는,
    프린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상기 고정 오목부에의 삽입시에, 상기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와 맞닿고 상기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를 상기 소정 위치를 향해 회전시키는 경사면이 형성된 계합부를 더 구비하는,
    프린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부에는, 상기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의 상이한 개소(箇所)에 각각 계합하여 위치결정하는 각도가 상이한 2개의 계합면이 형성되어 있는,
    프린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상기 고정 오목부에의 삽입시에, 상기 경사면에 맞닿는 상기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의 개소는, 상기 롤러 축의 중심축보다 상류 측에 위치하는,
    프린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텐 롤러의 상기 롤러축이 상기 프린터에 구비되어 있는 지지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프린터로부터 상기 플라텐 유닛을 분리할 때, 상기 플라텐 롤러, 상기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 및 상기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가 상기 프린터에서 일체적으로 분리되는,
    플라텐 유닛.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는, 상기 플라텐 롤러의 상기 롤러 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하류 측 브래킷과, 상기 한 쌍의 하류 측 브래킷 사이에 걸쳐놓은, 상기 제1 규제부로서의 하류 측 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는, 상기 제2 규제부가 설치되어 상기 플라텐 롤러의 상기 롤러 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상류 측 브래킷과, 상기 한 쌍의 상류 측 브래킷 사이에 걸쳐놓은 상류 측 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규제부와 상기 제2 규제부가 맞닿는 것에 의해, 상기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에 대해 상기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가 멀어지는 방향의 상대적인 회전이 규제되는,
    플라텐 유닛.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는, 상기 플라텐 롤러의 상기 롤러 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하류 측 브래킷과, 상기 한 쌍의 하류 측 브래킷 사이에 걸쳐놓은, 상기 제1 규제부로서의 하류 측 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는, 상기 플라텐 롤러의 상기 롤러 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상류 측 브래킷과, 상기 한 쌍의 상류 측 브래킷 사이에 걸쳐놓은, 상기 제2 규제부로서의 상류 측 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규제부와 상기 제2 규제부가 맞닿는 것에 의해, 상기 하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에 대해 상기 상류 측 말려듦 방지 부재가 가까워지는 방향의 상대적인 회전이 규제되는,
    플라텐 유닛.
KR1020187036721A 2014-08-29 2015-08-21 플라텐 유닛 및 프린터 KR1019816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75687 2014-08-29
JP2014175687A JP6408834B2 (ja) 2014-08-29 2014-08-29 プラテンユニット及びプリンター
PCT/JP2015/073489 WO2016031698A1 (ja) 2014-08-29 2015-08-21 サーマルプリンタ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6831A Division KR20170020381A (ko) 2014-08-29 2015-08-21 플라텐 유닛 및 프린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589A KR20180136589A (ko) 2018-12-24
KR101981607B1 true KR101981607B1 (ko) 2019-05-23

Family

ID=5539959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6831A KR20170020381A (ko) 2014-08-29 2015-08-21 플라텐 유닛 및 프린터
KR1020187036721A KR101981607B1 (ko) 2014-08-29 2015-08-21 플라텐 유닛 및 프린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6831A KR20170020381A (ko) 2014-08-29 2015-08-21 플라텐 유닛 및 프린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315440B2 (ko)
EP (1) EP3150393B1 (ko)
JP (1) JP6408834B2 (ko)
KR (2) KR20170020381A (ko)
CN (1) CN106660379B (ko)
MY (1) MY182552A (ko)
WO (1) WO20160316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51309B2 (ja) * 2016-05-24 2020-09-02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
JP6874327B2 (ja) * 2016-10-28 2021-05-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JP6769264B2 (ja) * 2016-11-28 2020-10-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JP7031439B2 (ja) * 2018-03-30 2022-03-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KR102337520B1 (ko) * 2018-07-18 2021-12-10 주식회사 빅솔론 인쇄장치의 플래튼롤러 설치구조
CN112373175B (zh) * 2020-10-21 2022-11-11 珠海趣印科技有限公司 一种牢固的胶辊结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1730A (ja) 2003-09-09 2005-03-31 Ishida Co Ltd ラベルプリンタ
US20080095565A1 (en) 2006-10-23 2008-04-24 Zih Corp. Printer With Platen Support Device for Linerless Media and Associated Method
JP2009269319A (ja) 2008-05-08 2009-11-19 Seiko Instruments Inc カッター付きプリンタ
JP2011031426A (ja) 2009-07-30 2011-02-17 Sato Knowledge & Intellectual Property Institute サーマルプリンターにおける台紙なしラベルの巻込み防止装置
WO2012090347A1 (ja) 2010-12-28 2012-07-05 サト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ラベルの巻込み防止装置
JP2013215899A (ja) * 2012-04-04 2013-10-24 Teraoka Seiko Co Ltd 台紙レスラベルプリンタ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8794A (ja) * 1993-05-18 1994-11-29 Canon Inc 記録装置
JPH09314948A (ja) * 1996-05-23 1997-12-09 Sato:Kk ラベルプリンターのラベル巻込み防止装置
JP3563986B2 (ja) * 1998-01-09 2004-09-08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
JP3599595B2 (ja) * 1999-05-10 2004-12-08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
US7186043B2 (en) * 2004-04-08 2007-03-06 Paxar Americas, Inc. Linerless web utilizing apparatus and methods having dual function stripper element
JP2015071476A (ja) * 2013-10-02 2015-04-16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1730A (ja) 2003-09-09 2005-03-31 Ishida Co Ltd ラベルプリンタ
US20080095565A1 (en) 2006-10-23 2008-04-24 Zih Corp. Printer With Platen Support Device for Linerless Media and Associated Method
JP2009269319A (ja) 2008-05-08 2009-11-19 Seiko Instruments Inc カッター付きプリンタ
JP2011031426A (ja) 2009-07-30 2011-02-17 Sato Knowledge & Intellectual Property Institute サーマルプリンターにおける台紙なしラベルの巻込み防止装置
WO2012090347A1 (ja) 2010-12-28 2012-07-05 サト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ラベルの巻込み防止装置
JP2013215899A (ja) * 2012-04-04 2013-10-24 Teraoka Seiko Co Ltd 台紙レスラベルプリン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589A (ko) 2018-12-24
US20170129260A1 (en) 2017-05-11
JP2016049686A (ja) 2016-04-11
JP6408834B2 (ja) 2018-10-17
EP3150393A1 (en) 2017-04-05
WO2016031698A1 (ja) 2016-03-03
CN106660379B (zh) 2019-05-17
CN106660379A (zh) 2017-05-10
MY182552A (en) 2021-01-25
EP3150393B1 (en) 2021-02-24
KR20170020381A (ko) 2017-02-22
US10315440B2 (en) 2019-06-11
EP3150393A4 (en) 2018-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1607B1 (ko) 플라텐 유닛 및 프린터
JPH09506053A (ja) ライナーレスラベルプリンター及び搬送システム
JP5850977B2 (ja) プリンタ
JP2011032008A (ja) 印字用紙の供給軸装置、その供給方法および印字用紙用プリンター
KR102296437B1 (ko) 서멀 프린터에서 박리지가 없는 라벨의 말려듦 방지 장치 및 라벨 선단 세팅 방법
WO2015099041A1 (ja) プリンタ
JPH11221948A (ja) ライナレスラベル巻込防止機構とそれを備えたプリンタ
JP6172457B2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5311856B2 (ja) ラベル自動貼付機のラベルガイド装置
JP2013095499A (ja) ラベル剥離機構、ラベル剥離機構の制御方法およびラベル印刷装置
WO2015151367A1 (ja) サーマルプリンターにおける台紙なしラベルの巻込み判定装置および巻き込み判定方法
JP2000211785A (ja) プリンタ
JP6389389B2 (ja) サーマルプリンター
JP6408789B2 (ja) ラベル供給装置
JP2015101049A (ja) 熱転写ラベルプリンター、および熱転写ラベルプリンターにおける熱転写インクリボンの検出方法
JP2522757B2 (ja) ラベル貼着装置
JP2005343643A (ja) 印刷装置
JP2017030903A (ja) 弾性体無端ベルトおよび弾性体無端ベルト装置
JP2014034153A (ja) 記録媒体の巻込み防止装置
JP2000281029A (ja) 台紙なしラベルの印字切断装置
JP2015085603A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2003165516A (ja) 自動送り込み感熱ラベラーと感熱ラベラーの自動送り込み貼着方法。
JP2010274478A (ja) 使用済みインクリボンの切断装置および切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