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718B1 - 드립커피 제조장치 및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드립커피 제조장치 및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718B1
KR101978718B1 KR1020180081334A KR20180081334A KR101978718B1 KR 101978718 B1 KR101978718 B1 KR 101978718B1 KR 1020180081334 A KR1020180081334 A KR 1020180081334A KR 20180081334 A KR20180081334 A KR 20180081334A KR 101978718 B1 KR101978718 B1 KR 101978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pper
filter
cup
feeder
d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1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삼태
강모근
Original Assignee
강삼태
강모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삼태, 강모근 filed Critical 강삼태
Priority to KR1020180081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7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4Powder dos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60Clean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3Inventory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봇(이하 '이송로봇'이라 한다.)을 중심으로 해서 맛과 향이 좋은 드립커피를 보다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설치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드립커피 제조장치 및 제공방법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기체의 좌측으로 배치되는 드립퍼가 안치되는 드립퍼 받침대와; 필터가 끼워진 상태로 드립퍼 받침대에 안치된 드립퍼에 온수를 드립핑하는 온수공급기와; 기체의 우측에 배치되며, 드립퍼가 공급되면 드립퍼 위에 필터를 적층 상태로 공급하는 하향 공급식의 필터공급기와; 필터공급기의 측방에 배치되며, 컵을 공급하는 컵공급기와; 드립퍼와 필터를 적층한 상태로 투입할 때 필터 내로 원두가루를 공급하는 원두공급기와; 드립핑된 필터를 수거하는 쓰레기통과; 기체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어 드립퍼 받침대와, 필터공급기와, 컵공급기와, 원두공급기, 쓰레기통으로 이동하면서 작업하는 이송로봇과; 기체에 설치한 단말기를 포함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한 것이다.

Description

드립커피 제조장치 및 제공방법{Drip coffee-ma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본 발명은 유인 또는 무인 매장에서 양질의 드립커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드립커피 제조장치 및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리스타 없이 다관절 로봇이나 팔의 기계구조가 평행축인 회전 조인트를 가지며, 축에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컴플라이언스를 가진 수평 다관절 로봇(이하 '이송로봇'이라 한다.)을 중심으로 해서 맛과 향이 좋은 드립커피를 보다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설치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드립커피 제조장치 및 제공방법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4차 산업의 발달로 로봇기술,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ICT, IOT 기술을 접목하여 맛을 균일하게 구현하고, 한잔에 4~5분 소요되는 제조시간을 최적의 공정기술로 1분이내로 단축하여 생산성향상과 대기시간을 줄여, 무인자판기와 무인커피숍에 최고급 바리스타의 레시피로 맛의 편차를 일소하고, 최고급커피를 균일하게 구현할 수 있는 드립커피 제조장치 및 제공방법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커피를 즐기는 인구가 증가하면서 커피의 맛과 향에 대한 취향이 고급화되어 가고 있으며, 원두를 갈아 손수 뜨거운 물을 천천히 내리면서 향을 우려낸 드립커피에 대한 관심도 많아지고 있다.
또한 소비자의 기호가 다양하여 전문커피 애호가들의 기호에 충족에 따라 커피매출이 차이가 많이 나며, 이는 커피의 맛으로 커피전문점을 찾는 애호가들이 늘고 있는 추세에 커피의 맛이 더욱 중요시 되고 있다.
커피의 맛을 결정하는 주요인자는 시간과속도, 분쇄의밀도, 물의 양조절, 물의온도, 낙하속도 등의 맛을 좌우하는 인자를 균일하게 구현하여야 하며, 이는 비숙련 바리스타와 전문 바리스타의 숙련도에 따라 맛이 결정되고 매장에 매출에도 직접영향을 미친다.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분말입자를 다르게 하여 전문 바리스타가 구현하는 고급커피를 바리스타의 숙련도에 맛이 결정되는 드립커피의 맛을 시간과속도, 분쇄의밀도, 물의 양조절, 낙하속도, 물의온도, 등의 맛을 좌우하는 인자이다.
최근에는 인스턴트커피 대신 원두로부터 커피를 직접 추출하여 제조하는 장치, 즉 소위 커피 메이커로 일컬어지는 장치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들의 예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A)10-2015-0101084호(2015.09.03.)의 드립커피 제조장치가 제안되고 있으며, 그 구성은 물탱크; 커피가 수용되는 호퍼; 일측이 상기 물탱크에 연결되는 급수관; 상기 급수관에 연결되는 밸브; 상기 급수관의 타측이 연결되고, 연결된 상기 급수관을 이동시키는 급수관 이송부; 및 상기 급수관 이송부와 상기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제공되고 있다.
다른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B)10-0897984호(2009.05.18.)의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가 제공되고 있으며, 그 구성은 커피분말을 수용하며 하부에 추출구가 형성된 호퍼; 상기 호퍼의 상부에 배치되어 그 단부가 상기 호퍼내로 물을 제공하며, 일정 구간내에서 직선운동과 회전운동이 가능한 드립퍼; 상기 드립퍼에 구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드립퍼를 이동시키는 구동수단; 및, 미리 설정된 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드립퍼가 직선운동 및 회전운동하면서 상기 호퍼내로 물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립퍼 헤드가 상기 호퍼내에서 나선형을 그리면서 회전하도록 상기 제1이송축 모터와 상기 제2이송축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B)10-1693261호(2017.01.05.)의 자동 드립퍼 메이커가 제안되고 있으며, 그 구성은 외관을 형성하는 몸체케이스와, 상기 몸체케이스에 배면 내부에 구성되는 급가열히터와 물탱크가 일측의 냉수흐름관에 의해 연통되고, 상기 냉수흐름관에는 냉수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해 냉수의 흐름이 개폐되며, 상기 급가열히터는 냉수흐름관에서 공급된 냉수를 히터에 의해 급속으로 가열하여 일측의 온수공급관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된 급가열어셈블리와, 상기 급가열히터의 히터에 의해 급가열된 온수를 저장탱크를 연결하여 분배 제어하는 3웨이밸브로 연결되고, 상기 저장탱크 각각은 저장된 온수를 재가열하는 카트리지히터, 재가열된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측정센서와, 공급되는 온수의 량을 제어하는 수위레벨센서가 구비된 상태에서 바닥의 일측 배출구에 노즐이 각각 연결되어 구성된 탱크노즐어셈블리와, 상기 몸체케이스의 전면에 착탈자재로 구성되어 커피드립퍼 및 커피드립퍼가 거치되도록 조립되는 받침대와, 상기 몸체케이스의 전면에 물의 온도, 수위 분출량에 간헐적 시간을 조절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제어표시판넬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한 종래 기술들에 의하면 대부분 드립핑을 자동으로 하는 정도의 기술이며, 컵 공급이나 드립핑 후 필터 및 드립퍼 청소등을 수작업으로 행해야 하는 것으로 무인판매용 혹은 매장에서의 영업용으로 활용하기에 어려움이 있고, 맛과 향이 우수한 드립커피를 단시간에 연속하여 공급하는 데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다.
KR 1020150101084 A 2015.09.03. KR 100897984 B 2009.05.18. KR 101693261 B 2017.01.05.
이에 본 발명자는 최근에 다관절 로봇을 이용한 드립커피 장치가 사용되고 있었으나, 구조적인 결함이나 배치상의 문제점으로 인해 제조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과 설치공간 확보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코자 4차 산업의 발달로 로봇기술,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ICT, IOT 기술을 접목하여 드립커피를 제공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연구 개발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바리스타 없이 이송로봇의 주변에 드립커피 장비들을 배치하고, 특히 드립퍼에 일회용 종이필터를 올려 드립퍼의 신속한 청소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드립퍼를 컵 위에 적층한 상태로 이동시 가능하도록 구성하였으며, 또한 드립핑 하는 동안에 이송로봇이 다음 작업을 수행하여 대기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송로봇의 좁은 작동반경 내에서 모든 작업이 수행되도록 함으로 해서 설치공간에 따른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는 기능성을 제공함으로 해서, 맛을 균일하게 구현하고, 한잔에 4~5분 소요되는 제조시간을 최적의 공정기술로 1분이내로 단축하여 생산성향상과 대기시간을 줄여, 무인자판기와 무인커피숍에 최고급 바리스타의 레시피로 맛의 편차를 일소하고, 최고급커피를 균일하게 구현할 수 있는 드립커피 제조장치 및 제공방법을 제공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첫째 기체의 좌측으로 배치되는 드립퍼가 안치되는 드립퍼 받침대와; 필터가 끼워진 상태로 드립퍼 받침대에 안치된 드립퍼에 온수를 드립핑하는 온수공급기와; 기체의 우측에 배치되며, 드립퍼가 공급되면 드립퍼 위에 필터를 적층 상태로 공급하는 하향 공급식의 필터공급기와; 필터공급기의 측방에 배치되며, 컵을 공급하는 컵공급기와; 드립퍼와 필터를 적층한 상태로 투입할 때 필터 내로 원두가루를 공급하는 원두공급기와; 드립핑된 필터를 수거하는 쓰레기통과; 기체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어 드립퍼 받침대와, 필터공급기와, 컵공급기와, 원두공급기, 드립퍼세척부, 쓰레기통으로 이동하면서 작업하는 이송로봇과; 기체에 설치한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둘째 상기 컵공급기는 상향 공급식 또는 하향 공급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셋째 상기 쓰레기통의 측방에는 드립퍼를 세척하는 세척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넷째 상기 단말기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주문 및 결재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섯째 상기 원두공급기 측방으로 차분말공급기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섯째 기체의 전방으로는 완성된 드립커피를 배출하는 승강식 혹은 인라인 타입으로 구성된 배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곱째 상기 필터공급기와, 컵공급기와, 원두공급기, 쓰레기통, 그리고 드립퍼 받침대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하여 드립커피의 추출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덟째 상기 드립퍼 받침대는 2개 이상 복수로 설치되며, 온수공급기의 노즐은 개별 구동되도록 복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홉째 단말기에 의해 드립커피 주문이 이루어질 때 이송로봇에 의해 드립커피가 제조되어 배출되는 것으로; 컵공급기에서 공급된 컵을 이송로봇의 핑거로 클램핑하여 드립퍼 받침대 하측에 안치하는 컵공급단계와; 드립퍼 받침대에 안치된 드립퍼를 이송로봇의 핑거로 클램핑 인출하는 드립퍼인출단계와; 클램핑된 드립퍼를 필터공급기로 공급하여 드립퍼 상측으로 필터를 적층하는 필터공급단계와; 필터가 적층된 드립퍼를 원두공급기에 내입하여 필터 내에 원두가루를 공급하는 원두공급단계와; 필터에 원두 공급이 완료된 상태에서 드립퍼 받침대에 드립퍼를 올리는 드립퍼인입단계와; 온수공급기의 노즐로 온수를 공급하는 드리핑단계와; 완성된 드립커피를 이송로봇의 핑거로 클램핑하여 배출하는 커피배출단계와; 드립퍼를 이송로봇의 핑거로 클램핑 인출하여 드립핑된 원두를 포함하는 필터를 쓰레기통에 버린 후 드립퍼 받침대에 인입하는 필터버림단계와; 온수공급기의 노즐로 드립퍼를 세척하는 드립퍼세척단계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째 단말기에 의해 드립커피 주문이 이루어질 때 이송로봇에 의해 드립커피가 제조되어 배출되는 것으로; 컵공급기에서 공급된 컵을 이송로봇의 핑거로 클램핑하여 드립퍼 받침대 하측에 안치하는 컵공급단계와; 드립퍼 받침대에 안치된 드립퍼를 이송로봇의 핑거로 클램핑 인출하는 드립퍼인출단계와; 클램핑된 드립퍼를 필터공급기로 공급하여 드립퍼 상측으로 필터를 적층하는 필터공급단계와; 필터가 적층된 드립퍼를 원두공급기에 내입하여 필터 내에 원두가루를 공급하는 원두공급단계와; 필터에 원두 공급이 완료된 상태에서 드립퍼 받침대에 드립퍼를 올리는 드립퍼인입단계와; 온수공급기의 노즐로 온수를 공급하는 드리핑단계와; 완성된 드립커피를 이송로봇의 핑거로 클램핑하여 배출하는 커피배출단계와; 드립퍼를 이송로봇의 핑거로 클램핑 인출하여 드립핑된 원두를 포함하는 필터를 쓰레기통에 버린 후 드립퍼를 세척조에서 세척하는 버림세척단계와; 세척된 드립퍼를 드립퍼 받침대에 안치하는 마무리단계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한째 단말기에 의해 드립커피 주문이 이루어질 때 이송로봇에 의해 드립커피가 제조되어 배출되는 것으로; 드립퍼 받침대에 안치된 드립퍼를 이송로봇의 핑거로 클램핑 인출하는 드립퍼인출단계와; 클램핑된 드립퍼를 필터공급기로 공급하여 드립퍼 상측으로 필터를 적층하는 필터공급단계와; 필터가 적층된 드립퍼를 컵공급기로 공급하고, 상향 개구되도록 공급된 컵 위에서 드립퍼를 언클램핑하여 컵 위에 드립퍼가 적층되도록 한 상태에서 핑거로 컵을 클램핑하는 컵공급단계와; 컵과 드립퍼 및 필터를 적층한 상태로 원두공급기에 공급하여 필터 내에 원두가루를 공급하는 원두공급단계와; 필터에 원두 공급이 완료된 상태에서 드립퍼 받침대에 드립퍼를 올려 드립퍼와 컵이 분리되도록 하는 드립퍼인입단계와; 드립퍼와 컵이 분리된 상태에서 온수공급기의 노즐로 온수를 공급하는 드리핑단계와; 완성된 드립커피를 이송로봇의 핑거로 클램핑하여 배출하는 커피배출단계와; 드립퍼를 이송로봇의 핑거로 클램핑 인출하여 드립핑된 원두를 포함하는 필터를 쓰레기통에 버린 후 드립퍼 받침대에 인입하는 필터버림단계와; 온수공급기의 노즐로 드립퍼를 세척하는 드립퍼세척단계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두째 단말기에 의해 드립커피 주문이 이루어질 때 이송로봇에 의해 드립커피가 제조되어 배출되는 것으로; 드립퍼 받침대에 안치된 드립퍼를 이송로봇의 핑거로 클램핑 인출하는 드립퍼인출단계와; 클램핑된 드립퍼를 필터공급기로 공급하여 드립퍼 상측으로 필터를 적층하는 필터공급단계와; 필터가 적층된 드립퍼를 컵공급기로 공급하고, 상향 개구되도록 공급된 컵 위에서 드립퍼를 언클램핑하여 컵 위에 드립퍼가 적층되도록 한 상태에서 핑거로 컵을 클램핑하는 컵공급단계와; 컵과 드립퍼 및 필터를 적층한 상태로 원두공급기에 공급하여 필터 내에 원두가루를 공급하는 원두공급단계와; 필터에 원두 공급이 완료된 상태에서 드립퍼 받침대에 드립퍼를 올려 드립퍼와 컵이 분리되도록 하는 드립퍼인입단계와; 드립퍼와 컵이 분리된 상태에서 온수공급기의 노즐로 온수를 공급하는 드리핑단계와; 완성된 드립커피를 이송로봇의 핑거로 클램핑하여 배출하는 커피배출단계와; 드립퍼를 이송로봇의 핑거로 클램핑 인출하여 드립핑된 원두를 포함하는 필터를 쓰레기통에 버린 후 드립퍼를 세척조에서 세척하는 버림세척단계와; 세척된 드립퍼를 드립퍼 받침대에 안치하는 마무리단계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셋째 상기 드립퍼 받침대는 2개 이상 복수로 설치하고, 온수공급기의 노즐은 개별 구동되도록 복수가 제공하여 드립퍼 받침대 중 어느 하나에서 드립핑이 이우러질 때 이송로봇은 비어 있는 드립퍼 받침대에서 드립퍼를 인출하여 작업이 행해질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드립커피 제조장치 및 제공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하기와 같은 효과가 있다.
-팔의 기계구조가 평행축인 회전 조인트를 가지며, 축에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컴플라이언스를 가진 이송로봇을 중심으로 해서 필터공급기와, 컵공급기와, 원두공급기, 쓰레기통 및 세척조, 그리고 드립퍼 받침대는 반시계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드립핑되는 동안에 준비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어 신속한 제조 작업이 가능하다.
-이송로봇의 작동 반경에 각종 기구들이 배치되는 구성으로 설치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다.
-1회용 필터를 사용하므로, 필러를 버린 후 드립퍼를 세척하면 되므로 청결성을 보장할 수 있고 단시간에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드립 다능한 녹차나 홍차 등을 제공하는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무인 혹은 유인 판매용 바리스타로 활용할 수 있어 인건비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항상 동일한 맛과 향의 드립커피 제공이 가능하다.
-로봇기술,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ICT, IOT 기술을 접목하고 있으므로 4차 산업의 발달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 한잔에 4~5분 소요되는 제조시간을 최적의 공정기술로 1분 이내로 단축하여 생산성향상과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다.
-무인자판기와 무인커피숍에 최고급 바리스타의 레시피로 맛의 편차를 일소하고, 최고급 커피를 바리스타 없이도 제공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드립커피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드립커피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드립커피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이송로봇의 핑거로 드립퍼를 클램핑한 상태로 필터를 적층한 예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이송로봇의 핑거로 컵 위에 드립퍼와 필터를 적층한 상태로 컵을 클램핑한 예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송로봇을 이용한 드립커피 제조방법의 실시례1의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송로봇을 이용한 드립커피 제조방법의 실시례2의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송로봇을 이용한 드립커피 제조방법의 실시례3의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송로봇을 이용한 드립커피 제조방법의 실시례4의 순서도
이하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드립커피 제조장치 및 제공방법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례들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드립커피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평면 배치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드립커피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정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서 이송로봇의 핑거로 드립퍼를 클램핑한 상태로 필터를 적층한 예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이송로봇의 핑거로 컵 위에 드립퍼와 필터를 적층한 상태로 컵을 클램핑한 예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드립커피 제조장치(1)는 협소한 공간에 설치하면서도 단시간에 양질의 드립커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기체(2), 기체(2)의 상측 중심에 위치하는 이송로봇(3), 이 이송로봇(3)의 작동 반경에 배치되는 필터공급기(4), 컵공급기(5), 원두공급기(6), 쓰레기통(7) 및 세척조(8), 그리고 드립퍼 받침대(9)와, 드립퍼 받침대(9)의 후방으로 설치된 온수공급기(1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기체(2)은 사용자의 허리 높이(1~1.2m) 정도로 구성되며, 전방으로는 사용자가 드립커피를 주문하고 결재하거나 사용자가 관리하는 단말기(11)가 구비된다.
기체(2)의 외부에는 부스 형태의 케이스가 씌워질 수 있으며, 케이스는 유리로 구성하여 내부를 관측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케이스에는 상기 각 구성부재들과 단말기(11)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어기(컴퓨터)가 포함되며, 케이스의 전면 상측과 하측에는 디지털패널을 설치하여 단말기를 통해 주문한 드립커피의 대기시간 대기번호 등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별도로 도시되지 않음.)
또한 상기 기체(2)의 전방으로는 완성된 드립커피를 배출하는 승강식 혹은 인라인 타입으로 구성된 배출수단(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1)는 드립커피의 수량과 현금 또는 카드 결제, 카카오 페이 등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단말기(11)는 일반적인 매장(또는 무인매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술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토록 한다.
기체(2)의 상부 중앙에는 본 발명의 핵심 구성요인 작업수단으로 이송로봇(3)이 설치된다. 작업수단으로 다관절 로봇이 적용될 수 있으나, 작동시간에 따른 시간 절약과 함께 좁은 공간 내에서의 작동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본 발명에서는 수평 다관절 로봇인 스카라 로봇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송로봇(3)의 주변으로는 작동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상측에는 필터공급기(4), 컵공급기(5), 원두공급기(6), 쓰레기통(7) 및 세척조(8), 그리고 드립퍼 받침대(9)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위치시켜 연속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 해서 드립커피의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성요소들이 반시계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송로봇(3)으로 사용되는 스카라 로봇은 팔의 기계구조가 평행축인 회전 조인트를 가지며, 축에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컴플라이언스를 가진 것으로, 회동 가능하면서 물건을 클램핑할 수 있는 핑거(31)가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핑거(31)는 대상물을 클램핑하는 기능과 함께 회전툴을 구비하여 핑거(31)가 회전되어 클램핑한 대상물의 방향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필터공급기(4)는 기체(2)의 상부면과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으로 이송로봇(3)의 핑거(31)에 클램핑된 드립퍼(12)가 내입되면, 드립퍼(12) 상부로 필터(13)를 공급하여 드립퍼(12)에 필터(13)를 적층상태로 위치되도록 하는 구성부재이다.
이때 필터(13)는 필터공급기(4)에서 낱개로 배출되는 하향 공급식으로 구성되며, 필터(13)는 자연 분해되는 종이 재질의 것을 사용하여 원두 찌꺼기와 함께 버려 퇴비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컵공급기(5)는 상기 필터공급기(4)와 같이 기체(2)의 상부면과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으로 이송로봇(3)의 핑거(31)에 클램핑될 수 있도록 한다.
컵공급기(5)는 상향 공급식 또는 하향 공급식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컵공급기(5)에서 공급되는 컵(14)이 바로 세어진 상태로 공급되는 경우에는 그대로 사용 가능하나, 뒤집은 상태로 공급되는 경우 이송로봇(3)으로 컵(14)을 바로 세우는 작업이 필요하다. 컵공급기(5)에서 제공되는 컵(14)은 이송로봇(3)에 의해 후술할 드립퍼 받침대(9)로 바로 공급되거나, 필터공급기(4)에서 드립퍼(12)에 필터(13)가 적층된 상태로 공급되어 컵(14)에 적층될 수도 있다.
원두공급기(6)는 원두를 즉석으로 분쇄하여 공급하는 장치이다. 원두공급기(6)의 측방으로는 차분말공급기(15)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원두공급기(6)와 차분말공급기(15)는 공지된 장비이다.
쓰레기통(7)은 드립퍼 받침대(9)에서 드립핑이 끝난 필터(13) 및 원두찌꺼기를 버리는 통이다.
쓰레기통(7)의 측방에는 세척조(8)가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세척조(8)에는 드립퍼(12)에서 필터(13)를 분리 배출한 후 드립퍼(12)를 세척하는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
드립퍼 받침대(9)는 하측으로 기체(2)의 상면과 사이에 컵(14)이 내입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평면에서 볼 때 전방이 개구되어 있는 홈이 형성되어 드립퍼(12)가 내입 고정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이는 컵(14)에 드립퍼(12)가 적층된 상태에서 이송로봇(3)에 의해 공급될 때 드립퍼(12)와 컵(14)이 상호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드립퍼 받침대(9)는 복수로 구비되며, 본 발명에서는 4개가 도시되어 있다.
온수공급기(10)는 드립퍼(12)의 상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노즐(10c)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직교로봇을 사용하고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X축로봇(10a)에 독립구동되는 2개의 테이블을 설치하고 이에 노즐(10c)이 각각 설되어 있는 Y축로봇(10b)을 설치하여 드립퍼 받침대(9) 상측에서 노즐(10c)의 위치를 이동시키면서 드립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노즐(10c)로 공급되는 온수의 경우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일정 온도로 공급되며, 드립핑에 적합하도록 온수의 공급과 차단이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온수공급기(10)의 바람직하기로는 뜸들이기 시간, 드립패턴, 추출수의 온도, 유량, 유속, 추출시간 등을 미리 설정하여 제공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단말기(11)에 의해 드립커피 주문이 이루어질 때 이송로봇(3)에 의해 드립커피가 제조되어 배출되는 드립커피 제조장치(1)를 이용한 드립커피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실시례1)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송로봇을 이용한 드립커피 제조방법의 실시례1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례 1에서 제공하는 제조방법은 (1)컵공급단계(S10), (2)드립퍼인출단계(S20), (3)필터공급단계(S30), (4)원두공급단계(S40), (5)드립퍼인입단계(S50), (6)드리핑단계(S60), (7)커피배출단계(S70), (8)필터버림단계(S80), (9)드립퍼세척단계(S90)의 순서에 의해 이루어지며 각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컵공급단계(S10)
컵공급기(5)에서 공급된 컵(14)을 이송로봇(3)의 핑거(31)로 클램핑하여 드립퍼 받침대(9) 하측에 안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컵공급기(5)는 상향 공급식 또는 하향 공급식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상향 공급식인 경우 핑거(31)로 클램핑하여 180도 회전시켜 컵(14)의 개구측이 위로 보도록 한 상태로 공급해야 한다.
(2)드립퍼인출단계(S20)
드립퍼 받침대(9)에 안치된 드립퍼(12)를 이송로봇(3)의 핑거(31)로 클램핑 인출하는 단계이다.
드립퍼 받침대(9)가 복수로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위치가 이송로봇(3)의 좌표로 기억되어 드립핑되는 것을 제외한 비어 있는 드립퍼(12)를 클램핑할 수 있도록 한다.
(3)필터공급단계(S30)
클램핑된 드립퍼(12)를 필터공급기(4)로 공급하여 드립퍼(12) 상측으로 필터(13)를 적층하는 단계이다.
필터공급기(4)에서 공급되는 필터(13)는 종이 재질로 구성되며, 상측으로 드립퍼(12)에 걸림되는 걸림테가 형성되며, 하향 공급식으로 구성되어 핑거(31)에 클램핑된 드립퍼(12)가 내입되면 드립퍼(12) 상으로 필터(13)를 낙하시키는 방법으로 드립퍼(12)와 필터(13)가 적층되도록 구성한다.
(4)원두공급단계(S40)
필터(13)가 적층된 드립퍼(12)를 원두공급기(6)에 내입하여 필터(13) 내에 원두가루를 공급하는 단계이다.
원두분쇄기는 드립퍼(12)가 내입된 상태에서 원두를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단말기(11)를 통해 주문이 이루어질 때 미리 원두를 분쇄하여 두었다가 필터(13)가 올려진 드립퍼(12)가 내입됨과 동시에 원두분말을 공급토록 하여 제조시간을 단출할 수 있도록 한다.
(5)드립퍼인입단계(S50)
필터(13)에 원두 공급이 완료된 상태에서 드립퍼 받침대(9)에 드립퍼(12)를 올리는 단계이다.
(6)드리핑단계(S60)
온수공급기(10)의 노즐(10c)로 온수를 공급하는 단계이다.
노즐(10c)로 공급되는 온수는 항상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준비되며, 또한 드립핑은 바리스타가 드립핑하는 것과 같이 여러 번 나눠서 하며, 직교로봇에 위해 좌표 이동되는 구성이므로 필터(13) 위에서 원을 그리면서 드립핑하여 원두가루에 고르게 온수가 공급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뜸들이기 시간, 드립패턴, 추출수의 온도, 유량, 유속, 추출시간 등을 미리 설정하여 제공되도록 한다.
(7)커피배출단계(S70)
상기와 같이 드립핑 작업으로 완성된 드립커피를 이송로봇(3)의 핑거(31)로 클램핑하여 배출하는 단계이다.
(8)필터버림단계(S80)
드립퍼(12)를 이송로봇(3)의 핑거(31)로 클램핑 인출하여 드립핑된 원두찌꺼기를 포함하는 필터(13)를 쓰레기통(7)에 버린 후 드립퍼 받침대(9)에 인입하는 단계이다.
(9)드립퍼세척단계(S90)
필터(13)를 버리고 드립퍼 받침대(9)에 올린 드립퍼(12)의 경우 일부 오염된 경우가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온수공급기(10)의 노즐(10c)로 공급되는 온수를 이용하여 드립퍼(12)를 세척토록 한다.
(실시례2)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송로봇을 이용한 드립커피 제조방법의 실시례2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례 2에서 제공하는 제조방법은 (1)컵공급단계(S10), (2)드립퍼인출단계(S20), (3)필터공급단계(S30), (4)원두공급단계(S40), (5)드립퍼인입단계(S50), (6)드리핑단계(S60), (7)커피배출단계(S70), (8)버림세척단계(S81), (9)마무리단계(S91)의 순서에 의해 이루어진다.
실시례2에서는 실시례 1의 (1) 내지 (7) 단계는 동일하며, (8)버림세척단계(S81), (9)마무리단계(S91)가 상이하다.
(8)버림세척단계(S81)는 드립퍼(12)를 이송로봇(3)의 핑거(31)로 클램핑 인출하여 드립핑된 원두를 포함하는 필터(13)를 쓰레기통(7)에 버린 후 드립퍼(12)를 세척조(8)에서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9)마무리단계(S91)는 세척된 드립퍼(12)를 드립퍼 받침대(9)에 안치하는 단계이다.
(실시례 3)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송로봇을 이용한 드립커피 제조방법의 실시례3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례 2에서 제공하는 제조방법은 (1)드립퍼인출단계(S110), (2)필터공급단계(S120), (3)컵공급단계(S130), (4)원두공급단계(S140), (5)드립퍼인입단계(S150), (6)드리핑단계(S160), (7)커피배출단계(S170), (8)필터버림단계(S180), (9)드립퍼세척단계(S190)의 순서에 의해 이루어진다.
(1)드립퍼인출단계(S110)
드립퍼 받침대(9)에 안치된 드립퍼(12)를 이송로봇(3)의 핑거(31)로 클램핑 인출하는 단계이다.
드립퍼 받침대(9)가 복수로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위치가 이송로봇(3)의 좌표로 기억되어 드립핑되는 것을 제외한 비어 있는 드립퍼(12)를 클램핑할 수 있도록 한다.
(2)필터공급단계(S120)
클램핑된 드립퍼(12)를 필터공급기(4)로 공급하여 드립퍼(12) 상측으로 필터(13)를 적층하는 단계이다.
필터공급기(4)에서 공급되는 필터(13)는 종이 재질로 구성되며, 상측으로 드립퍼(12)에 걸림되는 걸림테가 형성되며, 하향 공급식으로 구성되어 핑거(31)에 클램핑된 드립퍼(12)가 내입되면 드립퍼(12) 상으로 필터(13)를 낙하시키는 방법으로 드립퍼(12)와 필터(13)가 적층되도록 구성한다.
(3)컵공급단계(S130)
컵공급단계(S130)는 상기에서와 같이 필터(13)가 적층된 드립퍼(12)를 컵(14) 위에 올린 후 이송로봇(3)의 핑거(31)를 드립퍼(12)에서 분리하고, 하측에 위치하는 컵(14)을 클램핑하여 컵(14)과 컵(14)에 적층된 드립퍼(12) 및 필터(13)를 동시에 운반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컵공급기(5)는 상향 공급식 또는 하향 공급식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상향 공급식인 경우 핑거(31)로 클램핑하여 180도 회전시켜 컵(14)의 개구측이 위로 보도록 한 상태로 공급해야 한다.
(4)원두공급단계(S140)
필터(13)가 적층된 드립퍼(12)를 원두공급기(6)에 내입하여 필터(13) 내에 원두가루를 공급하는 단계이다.
원두분쇄기는 드립퍼(12)가 내입된 상태에서 원두를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단말기(11)를 통해 주문이 이루어질 때 미리 원두를 분쇄하여 두었다가 필터(13)가 올려진 드립퍼(12)가 내입됨과 동시에 원두분말을 공급토록 하여 제조시간을 단출할 수 있도록 한다.
(5)드립퍼인입단계(S150)
필터(13)에 원두 공급이 완료된 상태에서 드립퍼 받침대(9)에 드립퍼(12)를 올려 드립퍼(12)와 컵(14)이 분리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6)드리핑단계(S160) 내지 (9)드립퍼세척단계(S190)는 상기 실시례 1과 동일하다.
(실시례 4)
도 9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송로봇을 이용한 드립커피 제조방법의 실시례4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례 2에서 제공하는 제조방법은 (1)드립퍼인출단계(S110), (2)필터공급단계(S120), (3)컵공급단계(S130), (4)원두공급단계(S140), (5)드립퍼인입단계(S150), (6)드리핑단계(S160), (7)커피배출단계(S170), (8)버림세척단계(S181), (9)마무리단계(S191)의 순서에 의해 이루어진다.
실시례4에서는 실시례 3의 (1) 내지 (7) 단계는 동일하며, (8)버림세척단계(S181), (9)마무리단계(S191)가 상이하다.
(8)버림세척단계(S181)는 드립퍼(12)를 이송로봇(3)의 핑거(31)로 클램핑 인출하여 드립핑된 원두를 포함하는 필터(13)를 쓰레기통(7)에 버린 후 드립퍼(12)를 세척조(8)에서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9)마무리단계(S191)는 세척된 드립퍼(12)를 드립퍼 받침대(9)에 안치하는 단계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 드립커피 제조장치(1) 및 제공방법에 의하면 드립커피를 보다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설치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례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드립커피 장치 2:기체
21:배출수단 3:이송로봇
31:핑거 4:필터공급기
5:컵공급기 6:원두공급기
7:쓰레기통 8:세척조
9:드립퍼 받침대 10:온수공급기
10a:X축로봇 10b:Y축로봇
10c:노즐 11:단말기
12:드립퍼 13:필터
14:컵 15:차분말공급기
S10,S130:컵공급단계 S20,S110:드립퍼인출단계
S30,S120:필터공급단계 S40,S140:원두공급단계
S50,S150:드립퍼인입단계 S60,S160:드리핑단계
S70,S170:커피배출단계 S80,S180:필터버림단계
S90,S190:드립퍼세척단계 S81,S181:버림세척단계
S91,S191:마무리단계

Claims (13)

  1. 기체(2)의 좌측으로 배치되는 드립퍼(12)가 안치되는 드립퍼 받침대(9)와;
    필터(13)가 끼워진 상태로 드립퍼 받침대(9)에 안치된 드립퍼(12)에 온수를 드립핑하도록 X축로봇(10a)에 독립 구성되는 2개의 테이블을 설치하고, 이들 테이블에 노즐(10c)이 설치되어 있는 Y축로봇을 설치하여 미리 설치해둔 뜸들이기 시간, 드립패턴, 추출수 온도, 유량, 유속, 추출시간이 제어되도록 한 온수공급기(10)와;
    기체(2)의 우측에 배치되며, 드립퍼(12)가 공급되면 드립퍼(12) 위에 필터(13)를 적층 상태로 공급하는 하향 공급식의 필터공급기(4)와;
    필터공급기(4)의 측방에 배치되며, 컵(14)을 공급하는 컵공급기(5)와;
    드립퍼(12)와 필터(13)를 적층한 상태로 투입할 때 필터(13) 내로 원두가루를 공급하는 원두공급기(6)와;
    드립핑된 필터(13)를 수거하는 쓰레기통(7)과;
    기체(2)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어 드립퍼 받침대(9)와, 필터공급기(4)와, 컵공급기(5)와, 원두공급기(6), 쓰레기통(7)으로 이동하면서 작업하는 이송로봇(3)과;
    기체(2)의 전방으로는 완성된 드립커피를 배출하는 승강식 혹은 인라인 타입으로 구성된 배출수단(21)과; 기체(2)에 설치한 단말기(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커피 제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컵공급기(5)는 상향 공급식 또는 하향 공급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커피 제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통(7)의 측방에는 드립퍼(12)를 세척하는 세척조(8)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커피 제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11)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주문 및 결재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커피 제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두공급기(6) 측방으로 차분말공급기(15)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커피 제조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공급기(4)와, 컵공급기(5)와, 원두공급기(6), 쓰레기통(7), 그리고 드립퍼 받침대(9)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하여 드립커피의 추출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커피 제조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립퍼 받침대(9)는 2개 이상 복수로 설치되며, 온수공급기(10)의 노즐(10c)은 개별 구동되도록 복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커피 제조장치.
  9. 단말기(11)에 의해 드립커피 주문이 이루어질 때 이송로봇(3)에 의해 드립커피가 제조되어 배출되는 것으로;
    컵공급기(5)에서 공급된 컵(14)을 이송로봇(3)의 핑거(31)로 클램핑하여 드립퍼 받침대(9) 하측에 안치하는 컵공급단계(S10)와;
    드립퍼 받침대(9)에 안치된 드립퍼(12)를 이송로봇(3)의 핑거(31)로 클램핑 인출하는 드립퍼인출단계(S20)와;
    클램핑된 드립퍼(12)를 필터공급기(4)로 공급하여 드립퍼(12) 상측으로 필터(13)를 적층하는 필터공급단계(S30)와;
    필터(13)가 적층된 드립퍼(12)를 원두공급기(6)에 내입하여 필터(13) 내에 원두가루를 공급하는 원두공급단계(S40)와;
    필터(13)에 원두 공급이 완료된 상태에서 드립퍼 받침대(9)에 드립퍼(12)를 올리는 드립퍼인입단계(S50)와;
    온수공급기(10)의 노즐(10c)로 온수를 공급하는 드리핑단계(S60)와;
    완성된 드립커피를 이송로봇(3)의 핑거(31)로 클램핑하여 배출하는 커피배출단계(S70)와;
    드립퍼(12)를 이송로봇(3)의 핑거(31)로 클램핑 인출하여 드립핑된 원두를 포함하는 필터(13)를 쓰레기통(7)에 버린 후 드립퍼 받침대(9)에 인입하는 필터버림단계(S80)와;
    온수공급기(10)의 노즐(10c)로 드립퍼(12)를 세척하는 드립퍼세척단계(S90)와;
    상기 드립퍼 받침대(9)는 2개 이상 복수로 설치하고, 온수공급기(10)의 노즐(10c)은 개별 구동되도록 복수가 제공되어 드립퍼 받침대(9) 중 어느 하나에서 드립핑 될 때 이송로봇(3)은 비어 있는 드립퍼 받침대(9)에서 드립퍼(12)를 인출하여 작업이 행해질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커피 제공방법.
  10. 단말기(11)에 의해 드립커피 주문이 이루어질 때 이송로봇(3)에 의해 드립커피가 제조되어 배출되는 것으로;
    컵공급기(5)에서 공급된 컵(14)을 이송로봇(3)의 핑거(31)로 클램핑하여 드립퍼 받침대(9) 하측에 안치하는 컵공급단계(S10)와;
    드립퍼 받침대(9)에 안치된 드립퍼(12)를 이송로봇(3)의 핑거(31)로 클램핑 인출하는 드립퍼인출단계(S20)와;
    클램핑된 드립퍼(12)를 필터공급기(4)로 공급하여 드립퍼(12) 상측으로 필터(13)를 적층하는 필터공급단계(S30)와;
    필터(13)가 적층된 드립퍼(12)를 원두공급기(6)에 내입하여 필터(13) 내에 원두가루를 공급하는 원두공급단계(S40)와;
    필터(13)에 원두 공급이 완료된 상태에서 드립퍼 받침대(9)에 드립퍼(12)를 올리는 드립퍼인입단계(S50)와;
    온수공급기(10)의 노즐(10c)로 온수를 공급하는 드리핑단계(S60)와;
    완성된 드립커피를 이송로봇(3)의 핑거(31)로 클램핑하여 배출하는 커피배출단계(S70)와;
    드립퍼(12)를 이송로봇(3)의 핑거(31)로 클램핑 인출하여 드립핑된 원두를 포함하는 필터(13)를 쓰레기통(7)에 버린 후 드립퍼(12)를 세척조(8)에서 세척하는 버림세척단계(S81)와;
    세척된 드립퍼(12)를 드립퍼 받침대(9)에 안치하는 마무리단계(S91)와
    상기 드립퍼 받침대(9)는 2개 이상 복수로 설치하고, 온수공급기(10)의 노즐(10c)은 개별 구동되도록 복수가 제공되어 드립퍼 받침대(9) 중 어느 하나에서 드립핑 될 때 이송로봇(3)은 비어 있는 드립퍼 받침대(9)에서 드립퍼(12)를 인출하여 작업이 행해질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커피 제공방법.
  11. 단말기(11)에 의해 드립커피 주문이 이루어질 때 이송로봇(3)에 의해 드립커피가 제조되어 배출되는 것으로;
    드립퍼 받침대(9)에 안치된 드립퍼(12)를 이송로봇(3)의 핑거(31)로 클램핑 인출하는 드립퍼인출단계(S110)와;
    클램핑된 드립퍼(12)를 필터공급기(4)로 공급하여 드립퍼(12) 상측으로 필터(13)를 적층하는 필터공급단계(S120)와;
    필터(13)가 적층된 드립퍼(12)를 컵공급기(5)로 공급하고, 상향 개구되도록 공급된 컵(14) 위에서 드립퍼(12)를 언클램핑하여 컵(14) 위에 드립퍼(12)가 적층되도록 한 상태에서 핑거(31)로 컵(14)을 클램핑하는 컵공급단계(S130)와;
    컵(14)과 드립퍼(12) 및 필터(13)를 적층한 상태로 원두공급기(6)에 공급하여 필터(13) 내에 원두가루를 공급하는 원두공급단계(S140)와;
    필터(13)에 원두 공급이 완료된 상태에서 드립퍼 받침대(9)에 드립퍼(12)를 올려 드립퍼(12)와 컵(14)이 분리되도록 하는 드립퍼인입단계(S150)와;
    드립퍼(12)와 컵(14)이 분리된 상태에서 온수공급기(10)의 노즐(10c)로 온수를 공급하는 드리핑단계(S160)와;
    완성된 드립커피를 이송로봇(3)의 핑거(31)로 클램핑하여 배출하는 커피배출단계(S170)와;
    드립퍼(12)를 이송로봇(3)의 핑거(31)로 클램핑 인출하여 드립핑된 원두를 포함하는 필터(13)를 쓰레기통(7)에 버린 후 드립퍼 받침대(9)에 인입하는 필터버림단계(S180)와;
    온수공급기(10)의 노즐(10c)로 드립퍼(12)를 세척하는 드립퍼세척단계(S190)와;
    상기 드립퍼 받침대(9)는 2개 이상 복수로 설치하고, 온수공급기(10)의 노즐(10c)은 개별 구동되도록 복수가 제공되어 드립퍼 받침대(9) 중 어느 하나에서 드립핑 될 때 이송로봇(3)은 비어 있는 드립퍼 받침대(9)에서 드립퍼(12)를 인출하여 작업이 행해질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커피 제공방법.
  12. 단말기(11)에 의해 드립커피 주문이 이루어질 때 이송로봇(3)에 의해 드립커피가 제조되어 배출되는 것으로;
    드립퍼 받침대(9)에 안치된 드립퍼(12)를 이송로봇(3)의 핑거(31)로 클램핑 인출하는 드립퍼인출단계(S110)와;
    클램핑된 드립퍼(12)를 필터공급기(4)로 공급하여 드립퍼(12) 상측으로 필터(13)를 적층하는 필터공급단계(S120)와;
    필터(13)가 적층된 드립퍼(12)를 컵공급기(5)로 공급하고, 상향 개구되도록 공급된 컵(14) 위에서 드립퍼(12)를 언클램핑하여 컵(14) 위에 드립퍼(12)가 적층되도록 한 상태에서 핑거(31)로 컵(14)을 클램핑하는 컵공급단계(S130)와;
    컵(14)과 드립퍼(12) 및 필터(13)를 적층한 상태로 원두공급기(6)에 공급하여 필터(13) 내에 원두가루를 공급하는 원두공급단계(S140)와;
    필터(13)에 원두 공급이 완료된 상태에서 드립퍼 받침대(9)에 드립퍼(12)를 올려 드립퍼(12)와 컵(14)이 분리되도록 하는 드립퍼인입단계(S150)와;
    드립퍼(12)와 컵(14)이 분리된 상태에서 온수공급기(10)의 노즐(10c)로 온수를 공급하는 드리핑단계(S160)와;
    완성된 드립커피를 이송로봇(3)의 핑거(31)로 클램핑하여 배출하는 커피배출단계(S170)와;
    드립퍼(12)를 이송로봇(3)의 핑거(31)로 클램핑 인출하여 드립핑된 원두를 포함하는 필터(13)를 쓰레기통(7)에 버린 후 드립퍼(12)를 세척조(8)에서 세척하는 버림세척단계(S181)와;
    세척된 드립퍼(12)를 드립퍼 받침대(9)에 안치하는 마무리단계(S191)와;
    상기 드립퍼 받침대(9)는 2개 이상 복수로 설치하고, 온수공급기(10)의 노즐(10c)은 개별 구동되도록 복수가 제공되어 드립퍼 받침대(9) 중 어느 하나에서 드립핑 될 때 이송로봇(3)은 비어 있는 드립퍼 받침대(9)에서 드립퍼(12)를 인출하여 작업이 행해질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커피 제공방법.
  13. 삭제
KR1020180081334A 2018-07-12 2018-07-12 드립커피 제조장치 및 제공방법 KR101978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334A KR101978718B1 (ko) 2018-07-12 2018-07-12 드립커피 제조장치 및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334A KR101978718B1 (ko) 2018-07-12 2018-07-12 드립커피 제조장치 및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8718B1 true KR101978718B1 (ko) 2019-05-15

Family

ID=66579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1334A KR101978718B1 (ko) 2018-07-12 2018-07-12 드립커피 제조장치 및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71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92312A (zh) * 2019-06-04 2019-10-01 口碑(上海)信息技术有限公司 饮品订单的处理方法及装置
KR20200142756A (ko) * 2019-06-13 2020-12-23 주식회사 라운지랩 커피 드립을 수행하는 로봇 팔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
KR20210073796A (ko) * 2019-12-11 2021-06-21 소프트팩(주) 그리퍼 및 이를 포함하는 카페 로봇
KR20210155109A (ko) 2020-06-15 2021-12-22 (주)털보의 커피놀이터 드립커피 제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분말커피 제조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984B1 (ko) 2007-06-21 2009-05-18 한국전력공사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분말을 이용한 초고순도 y형석탄회 제올라이트의 합성방법
KR20140020848A (ko) * 2010-12-16 2014-02-19 브리고,엘엘씨 끓인 에스프레소 음료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50101084A (ko) 2014-02-26 2015-09-0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드립커피 제조장치
KR101661455B1 (ko) * 2015-09-24 2016-09-30 정재웅 드립식 커피 제조 장치
KR101693261B1 (ko) 2015-04-28 2017-01-05 송유진 자동 드립커피 메이커
US20170011442A1 (en) * 2015-07-12 2017-01-12 Cafe X Technologie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food and beverage serving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984B1 (ko) 2007-06-21 2009-05-18 한국전력공사 Y형 석탄회 제올라이트 시드분말을 이용한 초고순도 y형석탄회 제올라이트의 합성방법
KR20140020848A (ko) * 2010-12-16 2014-02-19 브리고,엘엘씨 끓인 에스프레소 음료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50101084A (ko) 2014-02-26 2015-09-0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드립커피 제조장치
KR101693261B1 (ko) 2015-04-28 2017-01-05 송유진 자동 드립커피 메이커
US20170011442A1 (en) * 2015-07-12 2017-01-12 Cafe X Technologie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food and beverage serving
KR101661455B1 (ko) * 2015-09-24 2016-09-30 정재웅 드립식 커피 제조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92312A (zh) * 2019-06-04 2019-10-01 口碑(上海)信息技术有限公司 饮品订单的处理方法及装置
CN110292312B (zh) * 2019-06-04 2021-08-10 口碑(上海)信息技术有限公司 饮品订单的处理方法及装置
KR20200142756A (ko) * 2019-06-13 2020-12-23 주식회사 라운지랩 커피 드립을 수행하는 로봇 팔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
KR102210134B1 (ko) * 2019-06-13 2021-02-01 주식회사 라운지랩 커피 드립을 수행하는 로봇 팔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
WO2020251231A3 (ko) * 2019-06-13 2021-02-04 주식회사 라운지랩 커피 드립을 수행하는 로봇 팔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
CN113412176A (zh) * 2019-06-13 2021-09-17 乐恩吉室株式会社 执行咖啡滴漏的机械臂控制方法及控制系统
KR20210073796A (ko) * 2019-12-11 2021-06-21 소프트팩(주) 그리퍼 및 이를 포함하는 카페 로봇
KR102273103B1 (ko) 2019-12-11 2021-07-06 소프트팩(주) 그리퍼 및 이를 포함하는 카페 로봇
KR20210155109A (ko) 2020-06-15 2021-12-22 (주)털보의 커피놀이터 드립커피 제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분말커피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8718B1 (ko) 드립커피 제조장치 및 제공방법
KR101963652B1 (ko) 에스프레소와 이를 이용한 다양한 커피음료 제조장치 및 제공방법
KR101992712B1 (ko) 각종 음료 제조장치
KR102214778B1 (ko) 바리스타 로봇
EP3871843A1 (en) Robot gripper for manufacturing coffee beverages
KR102187090B1 (ko) 무인 음료 제조시스템
KR102101298B1 (ko) 음료를 브루잉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N103402407A (zh) 饮品烹制装置和方法
CN103402408A (zh) 饮品烹制装置及方法
JPH07114670A (ja) 飲物の抽出及び分配機械
KR101652754B1 (ko) 커피 드립 머신
KR102232603B1 (ko) 로봇 암을 이용한 커피 추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1910952B2 (en) Customizable multiple port automated beverage brewer and system
KR20220165505A (ko) 로봇 카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22118485A1 (ja) コーヒー飲料製造装置
KR102218251B1 (ko) 자동 판매기용 커피 추출장치
KR20200125252A (ko) 바리스타 로봇
KR102357338B1 (ko) 로봇 기반 맞춤형 커피 제조 시스템
CN115349754A (zh) 机器人咖啡站
JP7156700B2 (ja) 飲料製造装置および表示方法
KR101499029B1 (ko) 원두커피 추출 장치
CN105918819A (zh) 一种新型年糕蒸煮设备
CN220477447U (zh) 一种全自动咖啡机
KR102241383B1 (ko) 자동 판매기용 회전식 커피 추출장치
KR102357343B1 (ko) 커피원두 제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